KR200492436Y1 - 축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축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436Y1
KR200492436Y1 KR2020150006541U KR20150006541U KR200492436Y1 KR 200492436 Y1 KR200492436 Y1 KR 200492436Y1 KR 2020150006541 U KR2020150006541 U KR 2020150006541U KR 20150006541 U KR20150006541 U KR 20150006541U KR 200492436 Y1 KR200492436 Y1 KR 200492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latch
rotation shaft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283U (ko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43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4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축장착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10)에 형성된 한쌍의 레치지지판(26)에 형성된 축공(28)에 회전축(36)의 양단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6)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어댑터하우징(40)에 스톱돌기(52)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스톱돌기(52)가 상기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을 외측에서 막아 상기 회전축(36)을 지지한다. 또한, 조립과정에서 회전축(36)이 축공(28)에서 빠지지 않도록 회전축(36)의 양단을 축공(28)에 압입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축공(28) 내에는 압입의 용이함을 위해 다수개의 압입리브(29)를 회전축(3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축(36)의 설치를 위해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축 장착장치{Shaft moun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축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한 부품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을 최소의 부품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 축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는 축 장착장치가 충전 커넥터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기를 주동력으로 사용하거나 전기를 주동력의 일부로 사용하는 자동차에서는 충전을 위하여 자동차의 일측에 충전커넥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충전스테이션에는 상기 충전커넥터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충전커넥터를 인렛커넥터라고 하고 충전스테이션에 있는 충전커넥터를 플러그커넥터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인렛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는 결합상태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구조가 있으나,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사람의 조작에 의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이 진행되는 도중에 충전작업을 하는 당사자 또는 제3자가 실수나 무지로 상기 플러그커넥터를 인렛커넥터로부터 결합을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인렛커넥터에는 인렛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레치가 있다.
이와 같은 결합레치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와셔 등을 사용하므로 전체적으로 충전 커넥터의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작업 공수가 많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된 충전 커넥터에서 결합레치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을 인렛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에서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85871 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부품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을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한 쌍의 부품지지판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부품지지판에 형성된 축공에 양단부가 압입되어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지지판의 축공을 상기 한쌍의 부품지지판의 외측에서 막아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스톱돌기를 구비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부품지지판에 형성된 축공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압입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압입리브는 상기 축공의 내면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압입리브의 횡단면은 삼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부품은 충전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레치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에서 빠지는 것을 차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축 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결합레치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을 하우징에 설치함에 있어서, 하우징에 형성된 축공에 회전축을 압입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회전축의 양단을 하우징에 결합되는 어댑터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돌기로 막아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결합레치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을 별도의 부품없이 하우징에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부품수를 줄이고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축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충전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결합레치가 설치되는 하우징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축이 하우징에 설치되어 결합레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례의 충전커넥터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일측에 장착되어 충전스테이션의 플러그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된다. 충전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는 판형상의 장착판(12)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판(12)은 상기 하우징(10)과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장착판(12)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장착편(13)이 있다. 상기 장착편(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어댑터브라켓(40)의 장착편(48)과 결합하여 충전커넥터를 자동차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편(13,48)을 구성한다.
상기 장착판(12)에는 대략 원통형으로 되는 플러그삽입부(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삽입부(14)의 내부에는 원통형으로 터미널설치부(16)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6)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18)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8)의 내부에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20)이 설치된다.
상기 플러그삽입부(14)의 외면 일측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2)은 플러그커넥터의 플러그레치(도시되지 않음)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22)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플러그삽입부(14)의 외면에는 안내리브(24) 한쌍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리브(24)의 쌍은 상기 걸림턱(22)으로 상기 플러그레치가 정확하게 안내되어 들어가게 한다.
상기 안내리브(24)가 구비된 플러그삽입부(14)에 인접한 장착판(12)에는 레치지지판(26) 2개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치지지판(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레치(3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36)의 양단이 지지된다. 상기 레치지지판(26)에는 각각 축공(28)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공(28)은 회전축(36)의 양단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축공(28)의 내면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압입리브(29)가 형성된다. 상기 압입리브(29)는 상기 축공(28)의 내면에 회전축(3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압입리브(29)의 횡단면은 삼각형으로 된다. 상기 압입리브(29)는 상기 축공(28)의 회전축(36)을 삽입할 때, 회전축(36)이 압입이 되면서도 상대적으로 마찰력을 줄여서 압입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입리브(29)는 회전축(36)이 축공(28)에 압입될 때, 약간 압착된다.
상기 레치지지판(26)의 사이에는 결합레치(30)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레치(30)는 상기 걸림턱(22)에 걸어진 플러그레치를 직접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레치(30)는 레치몸체(32)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레치몸체(32)의 하측 내부에는 진입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진입공간(32')은 상기 레치몸체(32)의 하부 및 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플러그레치의 선단이 위치된다. 상기 진입공간(32')의 양측벽을 관통하여 축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축통공(33)을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축(36)이 관통한다.
상기 레치몸체(32)의 진입공간(32')의 후단을 형성하게 연동편(34)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편(34)은 상기 레치몸체(32)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레치의 선단과 마주보고 접촉된다. 상기 연동편(34)이 상기 플러그레치의 선단에 의해 밀려지면 레치몸체(32)가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축(36)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축(36)은 상기 레치몸체(32)의 축통공(33)을 관통하여 상기 레치몸체(32)의 양단으로 각각의 단부가 돌출된다. 상기 회전축(36)의 양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6)의 직경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단이 중간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축(36)은 상기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에 압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아래에 설명될 어댑터브라켓(40)의 스톱돌기(52)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회전축(36)에는 탄성부재(38)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38)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탄성부재(38)는 상기 회전축(36)이 중심이 되도록 내부를 회전축(36)이 관통하게 되고 일단부가 상기 결합레치(3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착판(12)이나 하우징(10)의 일측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38)에 의해 상기 결합레치(30)가 특정한 위치에 서 있게 되고, 그 위치에서 회전되려면 상기 탄성부재(38)의 탄성력을 극복해야 한다. 상기 결합레치(30)는 평상시에는 상기 탄성부재(38)에 의해 상기 연동편(34)이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결합래치(30)가 위치되면 상기 결합레치(30)의 회전을 차단하려는 고정로드(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결합레치(30)의 상면쪽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장착판(12)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게 어댑터브라켓(40)이 구비된다.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은 본 고안의 충전커넥터를 다양한 자동차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이 자동차의 패널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자동차의 패널의 형상에 맞춰서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이 만들어진다. 이는 하나의 충전커넥터를 생산해서, 상기 어댑터브라켓(40)만을 달리하여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의 골격을 브라켓몸체(42)가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몸체(42)는 상기 하우징(10)의 장착판(12)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가지게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몸체(4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관통부(4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44) 내에 상기 플러그삽입부(14) 등 하우징(10)의 구성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부(44)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브라켓몸체(42)에는 결합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46)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장착판(12)을 관통한 나사가 체결되어 어댑터브라켓(40)과 하우징(10)이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몸체(4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10)의 장착편(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편(4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48)은 상기 하우징(10)의 장착편(13)과 함께 자동차의 패널에 충전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 된다.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의 일측에는 로드통공(50)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통공(50)은 상기 어댑터브라켓(40)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원하우징(51)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고정로드가 상기 관통부(44)쪽으로 관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로드통공(50)을 통해 고정로드가 입출되면서 상기 결합레치(30)의 회전을 필요시에 차단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브라켓(40)에는 스톱돌기(5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돌기(52)는 상기 관통부(44)의 서로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브라켓몸체(42)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톱돌기(52)는 상기 어댑터브라켓(40)과 상기 하우징(10)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을 막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돌기(52)는 상기 축공(28)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6)의 양단을 지지하여 회전축(36)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축 장착장치가 조립되는 것과 사용되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충전 커넥터가 조립되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8)에 터미널(20)을 설치한다. 상기 터미널(20)의 후단에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8)에 설치된 상태로 리어홀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또한 상기 결합레치(3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레치지지판(26)의 사이에 상기 결합레치(3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레치(30)는 상기 회전축(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축(36)이 상기 레치지지판(26)에 양단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레치(30)의 축통공(33)을 상기 회전축(36)이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미리 상기 탄성부재(38)를 상기 회전축(36)에 설치한다.
상기 결합레치(30)의 축통공(33)을 통해 결합레치(30)의 양단으로 돌출된 회전축(36)의 양단부를 상기 레치지지판(26) 쌍의 사이에서 각각의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에 압입한다. 상기 회전축(36)이 상기 축통공(33)에 압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압입리브(29)가 압착되는데, 상기 압입리브(29)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회전축(36)의 압입이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결합레치(30)를 상기 레치지지판(26)에 설치하는 과정은 반드시 위에서 설명된 대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치지지판(26)의 사이에 상기 결합레치(30), 탄성부재(38) 등을 두고 상기 회전축(36)이 일측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에서부터 반대쪽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까지 관통하게 삽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축(36)이 상기 결합레치(30)를 상기 레치지지판(2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6)은 상기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에 압입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이 어떤 방향으로 놓여지더라도 상기 회전축(36)과 결합레치(30) 등은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을 결합한다. 즉,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의 관통부(44)로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의 후방에서부터 삽입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의 장착편(48)에 상기 하우징(10)의 장착편(13)이 일치되게 하고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나사(40')가 상기 하우징(10)의 대응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레치지지판(26) 쌍의 외측면에는 상기 어댑터브라켓(40)의 스톱돌기(52)가 위치된다. 특히 상기 스톱돌기(52)는 상기 레치지지판(26)의 축공(28)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축공(28)을 막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6)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축공(28)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회전축(36)이 하우징(10)의 레치지지판(26)에 설치된 상태에서 어댑터브라켓(40)의 일측인 스톱돌기(52)에 의해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충전커넥터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충전 커넥터 이외에도 다양한 곳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톱돌기(52)가 형성된 어댑터브라켓(40)은 하우징(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 즉 제2하우징으로 볼 수 있고, 상기 레치지지판(26)은 결합레치(30) 대신의 특정한 부품으로 볼 수 있다.
10: 하우징 12: 장착판
13: 장착편 14: 플러그삽입부
16: 터미널설치부 18: 터미널안착공간
20: 터미널 22: 걸림턱
24: 안내리브 26: 레치지지판
28: 축공 29: 압입리브
30: 결합레치 32: 레치몸체
32': 진입공간 33: 축통공
34: 연동편 36: 회전축
38: 탄성부재 40: 어댑터브라켓
42: 브라켓몸체 44: 관통부
46: 결합공 48: 장착편
50: 로드통공 51: 구동원하우징
52: 스톱돌기

Claims (5)

  1. 한 쌍의 부품지지판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부품지지판에 형성된 축공에 양단부가 압입되어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지지판의 축공을 상기 한쌍의 부품지지판의 외측에서 막아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스톱돌기를 구비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축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지지판에 형성된 축공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압입리브가 형성되는 축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리브는 상기 축공의 내면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장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리브의 횡단면은 삼각형상으로 되는 축장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충전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레치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에서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결합레치인 축장착장치.
KR2020150006541U 2015-10-05 2015-10-05 축 장착장치 KR200492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41U KR200492436Y1 (ko) 2015-10-05 2015-10-05 축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41U KR200492436Y1 (ko) 2015-10-05 2015-10-05 축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83U KR20170001283U (ko) 2017-04-13
KR200492436Y1 true KR200492436Y1 (ko) 2020-10-14

Family

ID=5860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541U KR200492436Y1 (ko) 2015-10-05 2015-10-05 축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4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061B1 (ko) * 2019-05-10 2019-1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71B1 (ko) * 2011-11-29 2013-07-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11B1 (ko) * 2007-11-01 2010-02-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커넥터
KR20120014709A (ko) * 2010-08-10 2012-02-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71B1 (ko) * 2011-11-29 2013-07-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83U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4657B2 (ja) 車載用電気機器のシールカバー
US20160137140A1 (en) Holder for mobile device and vehicle seat employing same
KR10240550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플러그 커넥터, 코어 유닛
US9831647B2 (en) Receiving section and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same
US20160345453A1 (en) Fix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200492436Y1 (ko) 축 장착장치
US9748534B2 (en) Electric tool and battery pack for the electric tool
CN204095336U (zh) 卡片夹和车辆
DE102014226945A1 (de) Türverbinder für Fahrzeug
JP2006128025A (ja) コネクタ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US9941677B2 (en) Electrical wire guide
JP2014022206A (ja) コネクタ、コネクタ固定構造、およびコネクタ固定方法
KR101779002B1 (ko) 인렛커넥터용 커버장치
KR101285871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KR200479836Y1 (ko) 차량용 정션 박스 유니트
CN109217040A (zh) 墙面插座
KR2004669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CN105990771B (zh) 一种螺栓连接器锁定装置
JP7257252B2 (ja) 上枠前面カバーの取付構造
DE202011002292U1 (de) Zur Anordnung in einem Kraftfahrzeug vorgesehene Halteeinrichtung
KR20170074124A (ko) 충전커넥터
WO2017032471A1 (de) Verbindungssystem zur steckerpositionierung
KR101702368B1 (ko) 자동차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102410463B1 (ko)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