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124A - 충전커넥터 - Google Patents

충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124A
KR20170074124A KR1020150183255A KR20150183255A KR20170074124A KR 20170074124 A KR20170074124 A KR 20170074124A KR 1020150183255 A KR1020150183255 A KR 1020150183255A KR 20150183255 A KR20150183255 A KR 20150183255A KR 20170074124 A KR20170074124 A KR 20170074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mounting
fastening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124A/ko
Publication of KR2017007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B60L11/1816
    • B60L223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의 안착홈(20)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이턱(22)에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레버의 걸림턱이 걸어지는데, 상기 플러그레버의 선단이 안착홈(2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래치(46)가 사용된다. 상기 래치(46)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엑츄에이터(40,40')가 제공한다. 상기 엑츄에이터(40,40')는 장착브라켓(3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0)은 상기 하우징(10)에 한쌍이 형성된 걸이레일(26)에 양단이 걸어진다. 상기 장착브라켓(30)에는 엑츄에이터(40,40')를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34,34')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충전커넥터에 다양한 종류의 엑츄에이터(40,40')를 장착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충전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충전커넥터{Charging connector}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커넥터의 사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에서는 구동원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커넥터에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인렛커넥터와 충전스테이션에 구비되는 플러그커넥터가 있어서, 이들이 서로 결합되어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상기 인렛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는 고전압에서 사용되므로, 서로 결합되어 충전을 진행하는 도중에 분리되면 스파크가 발생하고 고전압에 의해 사용자가 감전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커넥터에는 플러그레버를 두고, 상기 인렛커넥터에는 상기 플러그레버가 걸어지는 구성을 둔다. 또한 상기 플러그레버가 상기 인렛커넥터에 걸어진 상태에서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엑츄에이터 등에 의해 구동되는 별도의 잠금구를 두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인렛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터리의 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상기 충전커넥터는 다양한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많은 종류의 충전커넥터가 필요하게 되고, 이와 같이 많은 종류의 충전커넥터를 갖추기 위해서는 생산자의 부담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34336호 일본 특개평 7-859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커넥터의 사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커넥터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래치를 구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교체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의 레버가 걸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며 브라켓장착단이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브라켓장착단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브라켓몸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체결부중 하나에 장착되어 체결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턱에 걸어진 상대 커넥터의 레버의 이동을 차단하는 래치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장착단의 양측에는 걸이채널이 있는 걸이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걸이레일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가 관통하는 래치통공이 형성된 단차벽에서 상기 브라켓장착단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누름바아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은 브라켓몸체와, 상기 브라켓몸체의 선단에 직립되게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래치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선단벽과, 상기 브라켓몸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의 관통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개구부의 관통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장착단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몸체의 저면에는 상기 브라켓장착단이 안착되는 결함홈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는 리어홀더가 체결되는데, 상기 리어홀더의 일단이 상기 장착브라켓의 브라켓몸체 후단을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어홀더와의 체결을 위해 하우징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서 체결플랜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엑츄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을 착탈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브라켓을 다양한 엑츄에이터가 장착되도록 설계하면 하나의 브라켓으로 동일한 하우징에 다양한 엑츄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사양을 가지는 충전커넥터를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브라켓에 엑츄에이터가 장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브라켓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브라켓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엑츄에이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엑츄에이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는 소위 인렛커넥터이다. 본 충전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하우징(10)의 선단을 통해 개방되게 삽입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2)에는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간(12)에는 원통형으로 된 터미널설치부(14)들이 다수개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4)를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은 상기 하우징(10)을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 내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체결플랜지(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플랜지(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50)가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거의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는 단차면(19)이 있다. 상기 단차면(19)을 기준으로 선단의 직경이 후단의 직경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상기 단차면(19)중 일부는 단차벽(19')으로 된다. 상기 단차면(19)의 후방은 하우징(10)의 후단이 되나 상기 단차벽(19')의 후방은 하우징(10)의 외면으로 외부로 노출되고, 아래에 설명될 브라켓(30)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물론, 본 커넥터가 자동차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단차면(19)과 단차벽(19')을 기준으로 후방은 자동차 패널의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선단도 자동차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공간에 들어가고 상기 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단차벽(19')의 전방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선단 일측에는 안착홈(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0)의 선단은 걸이턱(22)이 된다. 상기 안착홈(20)에는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레버(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안착되어, 상기 걸이턱(22)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플러그레버의 걸림턱이 걸이턱(22)에 걸어짐에 의해 본 발명의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체결된다.
상기 안착홈(20)의 위치에 대응되는 단차벽(19')에는 래치통공(23)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통공(23)은 아래에서 설명될 래치(??)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홈(20)이 있는 상기 단차벽(19')의 후방에는 브라켓장착단(24)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장착단(24)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평평하게 대략 사각형 판형상으로 돌출된다.
상기 브라켓장착단(24)의 양측에는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걸이레일(26)이 길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양측의 걸이레일(26)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과의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걸이채널(27)을 형성한다. 상기 걸이채널(27)에는 장착브라켓(30)의 양단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단차벽(19')의 후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장착단(24)의 상부 중앙으로 연장되어 누름바아(28)가 있다. 상기 누름바아(28)는 장착브라켓(30)의 상면을 걸어주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바아(28)의 선단에는 경사안내면(29)이 형성되어 장착브라켓(30)의 삽입이 용이하게 한다.
장착브라켓(30)은 상기 브라켓장착단(24)에 장착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엑츄에이터(40)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브라켓(30)의 골격을 형성하는 브라켓몸체(32)의 하면에는 상기 브라켓장착단(24)이 안착되는 결합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33)은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일측면으로도 개구된다. 상기 결합홈(33)의 일측 가장자리, 즉 상기 브라켓몸체(32)의 후단에 해당되는 가장자리에는 걸이단(33')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장착단(24)의 후단에 밀착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0)은 판형상의 브라켓몸체(32)에 제1체결부(34)와 제2체결부(34')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부(34)와 제2체결부(34')는 그 연장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된다. 상기 제1체결부(34)와 제2체결부(34')에는 각각 체결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부(34)와 제2체결부(34')의 연장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엑츄에이터(40,40')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체결부(34,34')가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제1체결부(34)는 상기 브라켓몸체(32)의 후단 양측에 하나씩 브라켓몸체(32)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아래에서 설명될 개구부(37)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부(34')는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선단 양측에 하나씩 브라켓몸체(32)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 즉 아래에서 설명될 개구부(37)의 관통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선단에는 선단벽(36)이 직립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벽(36)은 상기 단차벽(19')의 배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선단벽(36)을 관통하여 개구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37)는 상기 래치통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선단벽(36)의 전면에는 상기 단차벽(19')과의 사이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구조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양단과 상기 선단벽(36) 및 제2체결부(34') 사이에는 레일채널(38)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채널(38)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걸이레일(26)이 위치된다. 상기 레일채널(36)의 방향은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0)에는 엑츄에이터(40)가 장착된다. 상기 엑츄에이터(40)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래치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엑츄에이터(40)의 주요 구조는 엑츄에이터몸체(42) 내에 있다. 상기 엑유에이터몸체(42)의 외부 일측에는 장착편(43)이 있다. 상기 장착편(43)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구(43')가 설치되어 상기 장착브라켓(30)의 제1체결부(34)에 체결된다. 상기 장착편(43)의 연장방향은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축(44)이 돌출되는 방향과 같다.
상기 엑츄에이터몸체(42)의 외부로는 구동축(4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44)은 전후진 동작을 한다. 상기 구동축(44)에는 래치(46)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46)는 상기 구동축(44)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브라켓(30)의 개구부(37)와 단차벽(19')의 래치통공(23)을 관통하여 단차벽(19')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착브라켓(3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종류의 엑츄에이터(4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엑츄에이터(40')는 위에서 설명된 엑츄에이터(40)와 구조적으로 상이하나 기능적으로는 같다. 즉, 엑츄에이터몸체(42)의 양측에 장착편(43)이 있는데, 상기 장착편(43)은 상기 장착브라켓(30)의 제2체결부(34')에 체결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상기 장착편(43)이 보는 방향으로 구동축(44)이 연장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착편(43)의 연장방향과 상기 구동축(44)의 연장방향은 직교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44)에는 래치(46)가 장착된다. 상기 래치(46)는 상기 개구부(37)와 래치통공(23)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20)의 상부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는 리어홀더(50)가 장착된다. 상기 리어홀더(50)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안착되는 터미널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리어홀더(50)는 상기 장착브라켓(30)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에 엑츄에이터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충전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커넥터를 다양한 사양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일단, 도시된 구성에서는 상기 엑츄에이터(40,4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장착브라켓(30)만을 상기 하우징(10)에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40,40')중의 하나를 상기 장착브라켓(30)에 체결하여 하우징(10)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40)를 장착하는 경우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40')를 장착하는 경우이다. 물론, 다른 엑츄에이터인 경우에도 상기 제1체결부(34)나 제2체결부(34')중 하나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장착이 가능하고, 상기 장착브라켓(30)에서 하우징(10)의 브라켓장착단(24)에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다른 종류의 엑츄에이터를 장착브라켓(3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형성하면 다른 종류의 엑츄에이터를 하우징(10)에 장착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엑츄에이터(40)를 하우징(10)에 장착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장착브라켓(30)의 제1체결부(34)에 상기 엑츄에이터(40)의 장착편(43)을 체결구(43')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이 상태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브라켓(30)을 상기 하우징(10)의 브라켓장착단(24)에 장착한다. 상기 장착브라켓(30)의 브라켓몸체(32) 선단을 상기 브라켓장착단(24)에 위치시키고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양단이 상기 걸이레일(26)의 걸이채널(27)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몸체(32)를 상기 브라켓장착단(24)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양단이 상기 걸이채널(27)을 따라 안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이레일(26)은 상기 장착브라켓(30)의 레일채널(38)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상기 브라켓몸체(32)가 상기 브라켓장착단(24)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누름바아(28)와 브라켓장착단(24)의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누름바아(28)는 상기 브라켓몸체(32)가 브라켓장착단(24)에서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작브라켓(30)이 상기 하우징(10)의 브라켓장착단(24)에 장착된 후에는 상기 리어홀더(50)를 상기 하우징(10)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리어홀더(50)의 일측이 상기 장착브라켓(30)의 브라켓몸체(32) 후단을 지지하여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엑츄에이터(40)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 엑츄에이터(40)의 구동축(42)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46)는 상기 개구부(37)와 단차벽(19')의 래치통공(23)을 관통한다. 상기 래치(46)는 상기 안착홈(20)에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레버 선단이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가, 상기 플러그레버의 선단이 안착홈(20)에 안착되면, 상기 엑츄에이터(40)의 구동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플러그레버의 상부에 있으면서 플러그레버가 안착홈(20)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40)를 도 7에 도시된 엑츄에이터(40')로 교체하는 것을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이 커넥터의 생산시에는 상기 장착브라켓(30)에 정해진 엑츄에이터(40,40')를 장착하면 된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상기 장착브라켓(30)을 하우징(10)에서 분리하고 다시 엑츄에이터(40')를 장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장착브라켓(30)을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어홀더(50)를 하우징(10)에서 분리한다. 상기 장착브라켓(30)을 상기 하우징(10)의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브라켓몸체(32)가 상기 브라켓장착단(24)에서 빠지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장착단(24)에서 상기 브라켓몸체(32)를 분리한 후에는 상기 체결구(43')를 풀어서 상기 장착브라켓(30)에서 상기 엑츄에이터(40)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엑츄에이터(40')의 장착편(43)을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제2체결부(34')에 안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래치(46)는 상기 개구부(37)를 관통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몸체(32)의 제2체결부(34')에 상기 엑츄에이터(40')를 체결구(43')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브라켓(30)을 상기 하우징(10)의 브라켓장착단(24)에 장착한다. 상기 브라켓장착단(24)에 상기 장착브라켓(30)을 장착한 후에는 상기 리어홀더(50)를 하우징(10)에 체결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장착브라켓(30)에 제1체결부(34)와 제2체결부(34')가 있으나, 더 많은 체결부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착브라켓(30)의 브라켓몸체(32) 후단이 리어홀더(50)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브라켓몸체(32)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이후크에 걸어질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삽입공간
14: 터미널설치부 16: 터미널안착공간
18: 체결플랜지 19: 단차면
19': 단차벽 20: 안착홈
22: 걸이턱 23: 래치통공
24: 브라켓장착단 26: 걸이레일
27: 걸이채널 28: 누름바아
30: 장착브라켓 32: 브라켓몸체
33: 결합홈 33': 걸이단
34: 제1체결부 34': 제2체결부
36: 선단벽 37: 개구부
38: 레일채널 40,40': 엑츄에이터
42: 엑츄에이터몸체 44: 구동축
46: 래치 50: 리어홀더
52: 체결구

Claims (7)

  1.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의 레버가 걸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며 브라켓장착단이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브라켓장착단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브라켓몸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체결부중 하나에 장착되어 체결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턱에 걸어진 상대 커넥터의 레버의 이동을 차단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충전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장착단의 양측에는 걸이채널이 있는 걸이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걸이레일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가 관통하는 래치통공이 형성된 단차벽에서 상기 브라켓장착단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누름바아가 구비되는 충전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브라켓몸체와, 상기 브라켓몸체의 선단에 직립되게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래치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선단벽과, 상기 브라켓몸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충전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의 관통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개구부의 관통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충전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장착단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몸체의 저면에는 상기 브라켓장착단이 안착되는 결함홈이 형성되는 충전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는 리어홀더가 체결되는데, 상기 리어홀더의 일단이 상기 장착브라켓의 브라켓몸체 후단을 지지하는 충전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어홀더와의 체결을 위해 하우징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서 체결플랜지가 형성되는 충전커넥터.
KR1020150183255A 2015-12-21 2015-12-21 충전커넥터 KR20170074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255A KR20170074124A (ko) 2015-12-21 2015-12-21 충전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255A KR20170074124A (ko) 2015-12-21 2015-12-21 충전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124A true KR20170074124A (ko) 2017-06-29

Family

ID=5928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255A KR20170074124A (ko) 2015-12-21 2015-12-21 충전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41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0734A (zh) * 2017-12-21 2019-06-28 深圳易瓦科技有限公司 一种低成本充电插座及其装配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0734A (zh) * 2017-12-21 2019-06-28 深圳易瓦科技有限公司 一种低成本充电插座及其装配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8605B2 (en) Device connector
US8333613B2 (en) Header assembly
US9415695B2 (en) Electric vehicle charger
US20140127924A1 (en) Charge connector locking apparatus
US20140295685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having a connector
CN107240810B (zh) 具有防水功能的汽车线束插件
JP2011159556A (ja) 充電コネクタの端子保持構造
US9461420B2 (en) Connector holder
US20160344137A1 (en) Connector
KR102421404B1 (ko) 충전커넥터용 잠금장치
KR20170074124A (ko) 충전커넥터
JP6521066B2 (ja) コネクタ
KR101558321B1 (ko) 고전압 정션박스
KR101285871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KR101308708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KR20150133044A (ko) 자동차용 박스
KR101246518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1110426B1 (ko) 암커넥터 조립체
KR101879823B1 (ko) 자동차용 블럭
KR200492436Y1 (ko) 축 장착장치
KR101234336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JP7354925B2 (ja) 接続モジュール
KR101159732B1 (ko) 이동형 끝단 지그 어셈블리
KR20160003335U (ko)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