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048A - 글라스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글라스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048A
KR20170132048A KR1020160063049A KR20160063049A KR20170132048A KR 20170132048 A KR20170132048 A KR 20170132048A KR 1020160063049 A KR1020160063049 A KR 1020160063049A KR 20160063049 A KR20160063049 A KR 20160063049A KR 20170132048 A KR20170132048 A KR 2017013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
driving
roll
draw roll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진
남궁경호
이주광
이진곤
정용재
Original Assignee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2048A/ko
Priority to PCT/KR2017/005340 priority patent/WO2017204526A1/en
Priority to CN201780031688.1A priority patent/CN109641773A/zh
Priority to JP2018561216A priority patent/JP2019516660A/ja
Priority to TW106116983A priority patent/TW201811686A/zh
Publication of KR2017013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8Means for providing the drawing force, e.g. traction or draw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15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ribbon be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은,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2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라스 제조장치 및 방법{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글라스 제조 장치(apparatus)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로 글라스 리본을 드로우하여 글라스 리본을 제조하는 글라스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양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고품질의 박막 글라스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퓨전 공정(예컨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공정)이 알려져 있다. 퓨전 공정은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글라스 시트와 비교하여 표면이 우수한 평탄성 및 평활성을 갖는 글라스 시트를 생산하기 때문에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된 글라스 시트를 생산하기 위한 바람직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퓨전 공정을 수행하는 글라스 제조 장치를 포함하는 몇몇의 글라스 제조 장치들은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을 구비하고, 그 한 쌍의 드로우롤 사이를 통해 글라스를 드로우하여 글라스를 성형한다. 드로우롤은 장기간 사용에 따라, 대응되는 두 개의 드로우롤에 의한 드로우 조건 및/또는 대응되는 두 개의 드로우롤의 마모량에 차이가 야기된다. 이러한 차이는 제품품질에 악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대응되는 드로우롤들에 의한 드로우 조건들을 차이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대응되는 드로우롤들의 마모량들의 차이를 보상하여 우수한 품질의 글라스 리본을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제1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제2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드로우롤이 마모된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드로우롤이 마모된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마모량의 차이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폭을 갖는 시트를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상기 시트의 일면을 제1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상기 시트의 타면을 제2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 조건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폭을 갖는 시트를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상기 시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상기 시트의 타면을 드로우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드로우롤이 마모되는 제1 마모량 및 상기 제2 드로우롤이 마모되는 제2 마모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롤의 마모량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2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성형 장치와; b)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하고,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 및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와; c) 상기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폭을 갖는 글라스 시트를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하고,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 및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와; b) 상기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김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응되는 드로우롤들에 의한 드로우 조건들을 차이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대응되는 드로우롤들의 마모량들의 차이를 보상하여 보상하여 우수한 품질의 글라스 리본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는 수반되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시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예시의 글라스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당김롤 장치를 기술하는 각각의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당김롤 장치를 기술하는 각각의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당김롤 장치를 기술하는 각각의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당김롤 장치를 기술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당김롤 장치를 기술하는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분리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실시예들에서 드로우 롤를 사이의 마모량 차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 및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실시예들에서 도 8의 방법에 의하여 평가된 마모량 차이를 보상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들에서 글라스 리본을 드로우하는 드로우 조건의 차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실시예 들에서 도 10의 방법에 의하여 평가된 드로우 조건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도 9 및 도 11의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방법을 실행하기 전과 후에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동안 얻어진 구동 전류의 값들의 차이를 보여주는 차트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2의 방법을 실행하기 전과 후에 상대적으로 긴 기간 동안 얻어진 드로우 힘의 값의 차이를 보여주는 차트이다.
이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여기서 기술된 구체 형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 및 당업자라면 전술한 바를 참고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제안되지 않으며,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 부호가 도면에 사용되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유사한 도면 부호 및 심볼은 서로 다른 도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공지의 기능 및 구성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로 인하여 오히려 본 발명의 명료성을 저해한다면 생략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 및 동작되는 글라스 제조장치(300) 및 당김롤 장치(440, 540, 640, 740)들의 각각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글라스 제조장치(300) 및 각각의 당김롤 장치(440, 540, 640, 740, 840)들이 글라스 리본(305)를 만들기 위해 다운드로우 퓨전 공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술했을 지라도, 이는 각각의 당김롤 장치(440, 540, 640, 740, 840)들이 글라스 리본(305)를 드로우하는 어떠한 타입의 글라스 제조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김롤 장치(440, 540, 640, 740, 840)들은 한정된 방식으로 구성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리본(305)를 제조하기 위해 퓨전 공정 및 새로운 당김롤 장치(440, 540, 640, 740, 840)를 사용하는 예시의 글라스 제조 장치(300)의 개략도이다. 글라스 제조 장치(300)는 용융 용기(310), 정제 용기(315), 혼합 용기(320), 전달 용기(325), 성형 장치(335), 당김롤 장치(440, 540, 640, 740, 840) 및 시트 분리 장치(900)를 포함한다.
용융 용기(310)는 용융 글라스(326)를 형성하기 위해 화살표(3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글라스 배치 재료가 도입되어 용융되는 곳이다. 정제 용기(315)는 용융 용기(310)로부터 용융 글라스(326)를 수용하여, 그 용융 글라스(326)로부터 버블을 제거하는 고온 처리영역을 갖춘다. 상기 정제 용기(315)는 연결 튜브(322)에 의해 혼합 용기(3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 용기(320)는 연결 튜브(327)에 의해 전달 용기(325)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 용기(325)는 상기 용융 글라스(326)를 다운커머(330; downcomer)를 통해 성형장치(335) 내로 전달한다. 상기 성형장치(335)는 상기 용융 글라스(326)를 전달 받는 유입구(332)를 포함한다. 상기 용융 글라스(326)는 트루프(337; trough) 내로 흐른 후 넘쳐 흘러 성형 장치(335)의 2개의 측면(338a, 338b)을 따라 흐른 후, 루트(339; root)에서 함께 융합한다. 상기 루트(339)는 글라스 리본(305)를 형성하기 위해 당김롤 장치(440, 540, 640, 740, 840)에 의해 드로우 방향(306)인 아래쪽으로 드로우시키기 전에 용융 글라스(326)의 2개의 플로우들이 재결합(예컨대, 융합)하는 곳이다. 다음에, 시트 분리 장치(900)는 상기 드로우된 글라스 리본(305)를 스코어(score)하여 개별 단편의 글라스 시트(355)로 분리시킨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이하 각각의 당김롤 장치(440, 540, 640, 740, 8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당김롤 장치(440)와 연관된 각각의 개략도들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롤 장치(pull roll apparatus)(440)는 풀롤 장치(pull roll device)와 제어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풀롤 장치는, 제1 드로우롤 쌍(442; cantilevered driven stub roll pair), 제2 드로우롤 쌍(444)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446)는 제1 롤쌍(442)과 연관된 2개의 드로우롤(450a, 450b) 사이에서 글라스 리본(305)의 제1엣지부(305a)가 드로우됨과 더불어 제2 롤쌍(444)과 연관된 2개의 드로우롤(452a, 452b) 사이에서 글라스 리본(305)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305b)가 드로우되는 동안 상기 2개의 제1 및 제2 롤쌍(442, 444)을 컨트롤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롤쌍들은 글라스 리본(305)의 다운-드로우 장력(드로우 방향(306)의 장력) 뿐만 아니라 크로스-드로우 장력(즉, 드로우 방향(306)에 수직 방향의 장력)을 생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다운틸트될 수 있다. 이들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쌍(442, 444)은 업틸트(uptilt)하도록 배치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 드로우롤 쌍들이 글라스 리본(305)를 변형시키고 응력을 생기게 하는, 글라스 리본(305)를 가로지르는 바람직하지 않은 압축력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처리 조건에 따라, 타 측의 롤(452a 및 452b)과 다르게 일 측의 롤(450a 및 450b)를 다운틸트 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참고: 도 5와 관련하여 기술한 당김롤 장치(740)는 수직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을 갖지 않는 대신 수평 레벨 롤(450a, 450b, 452a, 452b)을 갖는다).
원할 경우, 롤(450a, 450b, 452a, 452b) 또한 각각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 면이 글라스 리본(305)의 각각의 주면(305c, 305b)에 대해 위치되는 수평 각(θ)인 미리 결정된 스플레이 각(splay angle)을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2c 참조)(참고: 도 5와 관련하여 기술한 당김롤 장치(740)는 수평 레벨 롤(450a, 450b, 452a, 452b)을 가지며, 이들 특정 롤들은 원할 경우 또한 미리 결정된 스플레이 각을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정(positive)의 스플레이 각(θ)은 바람직한 크로스-드로우 장력(448a)을 생성한다. 반대로, 부(negative)의 스플레이 각(θ)은 바람직하지 않은, 글라스 리본(305)를 가로지르는 압축력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압축력이 글라스 리본(305)를 변형시키고 응력을 생기게 하기 때문이다(참고: 도 2c는 정의 스플레이 각(θ)을 갖는 당김롤 장치(440)를 나타낸다).
이러한 당김롤 장치(440))에는, 각각의 드로우롤을 하기 위한 구동 장치(454a, 454b, 456a, 456b), 예컨대, 기어 박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는 각각의 서보 모터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당김롤 장치(540)와 연관된 각각의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롤 장치(540)는 상기 첫번째로 기술한 당김롤 장치(440)와 연관된 구성요소, 즉 제1 롤쌍(442), 제2 롤쌍(444) 및 제어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컨트롤러) 외에 추가의 드로우롤 쌍을(500)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우롤 쌍(500)은 글라스 리본(305)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드로우롤 쌍(500)은, 글라스 리본(305)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선택적으로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으로 코팅된 두 개의 단부(502a, 502b)를 갖는) 제1 드로우 롤(502)과 (선택적으로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으로 코팅된 두 개의 단부(504a, 504b)를 갖는) 제2 드로우 롤(504)을 포함한다.
추가의 롤쌍(500)은 또한 리본 내의 각기 다른 설정된 다운-드로우 장력(448b, 448c)을 컨트롤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롤쌍(442, 444)들은 이들과 성형 장치(335) 사이에 위치된 리본의 다운-드로우 장력(448b)을 컨트롤할 수 있고, 롤쌍(500)은 이들과 상기 제1 및 제2 롤쌍(442, 444) 사이에 위치된 리본의 다운-드로우 장력(448c)을 컨트롤할 수 있다.
당김롤 장치(540)에는, 각각의 드로우롤을 하기 위한 구동 장치(454a, 454b, 456a, 456b, 506, 508)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당김롤 장치(640)와 연관된 각각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롤 장치(640)는 상기 첫번째로 기술한 당김롤 장치(440)와 연관된 구성요소, 즉 제1 롤쌍(442), 제2 롤쌍(444) 및 제어 장치(446;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가능 로직 컨트롤러) 외에 제3 및 제4 드로우 롤쌍(602, 60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롤쌍(602)은 제1 롤쌍(442)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글라스 리본(305)의 제1엣지부(305a)를 그들 사이에서 드로우하는 2개의 드로우롤(606a, 606b)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4 드로우 롤쌍(604)은 제2 롤쌍(444)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글라스 리본(305)의 대향의 제2엣지부(305b)를 그들 사이에서 드로우하는 2개의 드로우롤(608a, 608b)을 구비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3 및 제4 드로우롤 쌍이 수직으로 다운틸트 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들에서는, 제3 및 제4 드로우롤 쌍이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다.
추가의 하부 드로우 롤쌍(602, 604)은 또한 리본 내의 각기 다른 설정된 크로스-드로우 장력(448a, 448d) 및 다운-드로우 장력(448b, 448c)을 컨트롤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들은 이들과 성형 장치(335) 사이에 위치된 리본의 크로스-드로우 장력(448a) 및 다운-드로우 장력(448b)을 컨트롤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스터브 롤쌍(602, 604)들은 이들과 상기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 사이에 위치된 리본의 크로스-드로우 장력(448d) 및 다운-드로우 장력(448c)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당김롤 장치(640)에는, 각각의 드로우롤을 하기 위한 구동 장치(454a, 454b, 456a, 456b, 610a, 610b, 612a, 612b)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당김롤 장치(740)와 연관된 각각의 개략도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롤 장치(740)는 제1 롤쌍(442), 제2 롤쌍(444) 및 제어 장치(446;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가능 로직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446)는 제1 롤쌍(442)과 연관된 2개의 수평 롤(450a, 450b) 사이에서 글라스 리본(305)의 제1엣지부(305a)가 드로우됨과 더불어 제2 롤쌍(444)과 연관된 2개의 수평 롤(452a, 452b) 사이에서 글라스 리본(305)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305b)가 드로우되는(도 7b 참조) 동안 상기 2개의 제1 및 제2 롤쌍(442, 444)을 컨트롤함으로써 글라스 리본(305)의 다운-드로우 장력(448b)을 효과적으로 컨트롤한다.
원할 경우, 수평 롤(450a, 450b, 452a, 452b) 또한 글라스 리본(305)를 가로질러 생성된 크로스-드로우 힘(448a)의 양을 컨트롤하는 소정의 정(positive)의 스플레이 각(splay angle)을 갖도록 위치((예컨대, 제어 ㅈ아치(446)에 의하여)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될 수 있다. 덧붙여, 당김롤 장치(740)는 또한 롤쌍(500; 도 3 참조) 또는 제3 및 제4 롤쌍(602, 604; 도 4 참조)을 통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김롤 장치를 기술하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롤 장치(840)는 제어부(446) 외에 글라스 리본(305)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글라스 리본(305)의 엣지(305a, 305b)를 드로우하는 제1 드로우롤(842;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으로 코팅된 2개의 단부(842a, 842b)를 갖춘) 및 제2 드로우롤(844;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으로 코팅된 2개의 단부(844a, 844b)를 갖춘)을 포함한다. 또한, 당김롤 장치(840)는 드로우롤(84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장치(846) 및 드로우롤(844)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장치(848)을 갖춘다. 덧붙여, 당김롤 장치(840)는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한 롤 쌍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 분리장치(900)를 보여준다.
도 7a는 글라스리본(305)의 리딩엣지가 스코링(scoring) 부-어셈블리(921)를 지나고, 시트제거 부-어셈블리(915) 영역으로 들어가는 시점에서 전반적인 시스템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스코링 부-어셈블리(921)는 앤빌(923; anvil), 스크라이브(925; scribe), 스크라이브 트랜스포터(9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코링 어셈블리는 종래와 같이 이동식 스크라이브/이동식 앤빌 타입이 될 수도 있고, 원할 경우 레이저 기반 시스템(laser based system)과 같은 다른 타입의 스코링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시트제거 부-어셈블리(915)는 프레임(917), 예컨대 사각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917)은, 예를 들면 시트(355, 도 1 참조)의 폭 및 길이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 상기 프레임의 네 개의 코너에 채용된 네 개의 시트 파지(engaging) 부재와 같은, 시트 파지 부재(919)를 운반한다. 그 시트 파지 부재(919)는 소프트 진공 흡입 컵(soft vacuum suction cup)이 될 수도 있고, 원할 경우 글라스시트를 파지하기 위한 다른 장치, 예를 들면 클램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원할 경우 4개 이상 또는 이하의 시트 파지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시트 제거 부-어셈블리(915)는 커넥터 어셈블리(931)를 통해 프레임(917)에 연결되는 트랜스포터(929)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포터(929)는 프레임 및 커넥터 어셈블리에 선형 및 회전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산업용 로봇 및/또는 고정된 자동화기가 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931)는 드로우 방향(306)과 수직 방향으로 글라스 리본(305)의 폭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분리라인(947)에서 글라스시트가 리본(305)으로부터 분리되는 즉시, 트랜스포터와 호응하여 프레임(917) 및 파지된 글라스시트를 "하강" 조절되게 한다.
도 7b는 스크라이브(925)에 의한 글라스리본(305)에서의 분리라인(947) 형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는 시트 파지 부재(919)가 글라스시트를 파지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파지는 시트가 스코어링 되기 전,후로 일어난다. 이러한 파지는 시트에 과도한 유동을 유발하지 않는, 예를 들면 소프트 진공 흡입 컵 등의 충분히 소프트한 파지 부재의 사용과, 시트에 대한 시트 파지 부재의 견고한 배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시트제거 부-어셈블리(915)가 시트에 스코링 전에 파지되든 스코링 후에 파지되든, 그 부-어셈블리는 리본에서 시트를 분리하는 밴딩 모멘트가 적용되기 전에 시트에 파지되어야 한다.
도 7c는 벤딩 모멘트의 적용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이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벤딩 모멘트는 회전이 일어나는 곳에 앤빌(923)을 멈추개로 사용하여 시트의 제 1면(스코링 되지 않은 면)을 향하여 가해질 수 있다. 예컨대, 시트 파지 부재(919)는 스코어 라인의 아래의 글라스 리본(305)의 미 스코링 측에 파지될 수 있고, 트랜스포터(309)를 통하여, 스코어 라인 아래의 상기 글라스 리본(305)의 부위는 스코어 라인을 오픈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스코어 라인을 가로질러 가해지는 장력은 스코어 라인과 관련된 크랙이 글라스 리본의 두께를 통하여 연장됨으로써, 글라스 리본으로부터 글라스 시트를 분리하도록 야기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커넥터 어셈블리(931)는 분리된 글라스 시트의 뒤따르는(trailing) 엣지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글라스 리본(305)의 선도(leading) 엣지로부터 멀어지도록 즉시 이동시킨다. 이 방법으로, 글라스 시트, 글라스 리본 또는 이 둘 모두에 가해지는 엣지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글라스 제조장치(300)는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 및 적어도 한 쌍의 구동 장치 쌍을 을 포함하고, 그 한 쌍의 드로우롤은 도 2a 내지 도 6의 드로우롤 쌍(442, 444, 500, 602, 604, 842/844) 중 어느 것 일수 있고, 그 한 쌍의 구동장치는 도 2a 내지 도 6의 구동장치 쌍(454a/454b, 456a/456b, 506/508, 610a/610b, 612a/612b, 846/848)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a의 드로우롤 쌍(442) 및 구동 장치 쌍(454a/454b)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술적 사상이 도 2 내지 도 6의 다른 드로우롤 쌍(444, 500, 602, 604, 842/844) 및 구동 장치 쌍(456a/456b, 506/508, 610a/610b, 612a/612b, 및/또는 846/848)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드로우롤들 사이의 마모량의 차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 및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 장치(446)는 제1 드로우롤(450a) 및 제2 드로우롤(450b)의 기설정된 각속도들로 각각 회전되도록 제1 구동장치 및 제2 구동장치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최초 사용시에는 각각의 드로우롤이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 장치(446)는 피드백 시스템을 구성하여 구동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드로우롤(450a, 450b)의 사용이 계속됨에 따라, 드로우롤(450a, 450b)의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드로우롤(450a, 450b)의 마모량에 차이가 발생하면, 양 드로우롤의 각속도가 동일하더라도 드로우롤의 원주면의 선속도에는 차이가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작은 선속도를 갖는 드로우롤, 즉 마모가 큰 드로우롤이 글라스 리본 상에서 슬립되는 현상이 유발되어, 성형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며 롤의 마모가 가속화시킨다.
도 8b는 마모량 평가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 장치(446)는 제1 및 제2 구동 전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1 드로우롤이 마모되는 제1 마모량 및 제2 드로우롤이 마모되는 제2 마모량을 평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마모량이 타 드로우롤의 마모량보다 더 큰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드로우롤이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더라도, 마모량이 큰 드로우롤에는 더 작은 토오크가 걸리게 되고, 따라서 더 작은 구동전류가 소비된다. 따라서, 구동전류의 비교에 기초하여 어느 드로우롤의 마모량이 더 큰지를 알아낼 수 있다.
도 9는 도 8b의 방안에 따라 평가된 마모량의 차이를 보상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제1 드로우롤(450a)이 제1 회전조건으로 회전되어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제2 드로우롤(450b)이 제2 회전조건으로 회전되어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도록 한다. 풀 롤 장치의 작동의 계속 중에, 제어 장치(446)는, 제1 구동 장치(454a)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장치(454b)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비교하여, 제1 드로우롤이 마모된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드로우롤이 마모된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한다. 그리고 나서, 제1 마모량과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제어 장치(446)는 제1 회전조건 및 제2 회전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마모량의 차이를 보상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각각 상기 제1 드로우롤(450a)의 기설정된 제1 각속도 및 제2 드로우롤(450b)의 기설정된 각속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446)는,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나서, 제1 구동 전류와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446)는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각속도를 직전 기설정된 각속도보다 크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되면, 제어 장치(446)는,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을 직전 기설정된 각속도보다 작도록 감소시킨다. 여기서 기설정된 직경은 제어 장치(446)가 제1 및 제2 드로우롤(450a, 450b)의 현재의 직경으로 인식하는 직경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경우,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값은 실제 직경의 값과 다를 것이다. 제1 및 제2 드로우롤(450a, 450b)가 오랫동안 사용된 후, 그러나 제어 장치(446)가 기설정된 직경의 값을 업데이트하여 감소시키기 전에는, 기설정된 직경의 값은 실제 직경의 값보다 클 것이다. 기설정된 직경의 값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최초 입력할 수도 있고,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제1 및 제2 구동 전류의 차이의 결과로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의 감소에 따라, 제어 장치(446)는,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각속도를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의 함수로서 증가시킬 수 있다. 드로우롤이 글라스 리본을 드로우하는 드로우속도, 즉, 드로우롤의 선속도는 각속도와 직경의 곱에 비례하므로, 마모량이 큰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드로우롤의 선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모량이 큰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을 감소되게 업데이트한 뒤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변경하는 대신에, 마모량이 큰 드로우롤의 실제 직경보다 직경이 큰 새로운 드로우롤로 교체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드로우롤들이 글라스 리본을 드로우 하는 드로우 조건의 차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제1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제1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고 제2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제2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 장치(446)는,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한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 장치(446)는, 제1 및 제2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을 평가한다.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제어 장치(446)는, 상기 제1 드로우 조건과 상기 제2 드로우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의 각각은 i) 제1 및 제2 드로우롤(450a, 450b) 중 대응되는 드로우롤이 글라스 리본을 드로우하는 드로우힘 및 ii) 제1 및 제2 드로우롤(450a, 450b) 중 대응되는 드로우롤이 글라스 리본을 드로우하는 드로우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446)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450a, 450b)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305)을 드로우하는 드로우힘이, 타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305)을 드로우하는 드로우힘보다 더 작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446)는, 제1 및 제2 드로우롤(450a, 450b)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305)을 드로우하는 드로우속도가, 타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305)을 드로우하는 드로우속도보다 더 작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방안에 따라 평가된 드로우 조건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제1 드로우롤(450a)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글라스 리본(305)의 일면을 제1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고 제2 드로우롤(450b)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글라스 리본(305)의 타면을 제2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도록 한다. 풀 롤 장치의 작동의 계속 중에,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한다. 그리고 나서,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제어 장치(446)는,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의 차이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446)는,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각속도를 직전 기설정된 각속도보다 크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446)는,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을 직전 기설정된 직경보다 작도록 감소시키고, 그리고 나서, 기설정된 직경의 감소에 따라, 제어 장치(446)는,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각속도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함수로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9 및 도 11의 방법들을 구체화시킨 플로우 차트이다.
스코링(scoring) 부-어셈블리(21)의 스코링 및 시트제거 부-어셈블리(15)의 파지 동작은 구동전류의 값에 외란으로 작용하므로, 외란이 발생하지 않는 구간 동안에만 구동전류의 값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분리 장치가 글라스 리본과 접촉되는 분리 기간(시트제거 부-어셈블리의 파지 동작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그널이 제어 장치(446)에 입력되는 시점으로부터 스코링 부-어셈블리(921)의 스크라이브 트랜스포터(927)이 원상 복귀 동작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그널이 제어 장치(446)에 입력되는 시점 사이)에 얻어진/얻어질 수 있는 구동전류의 값은 마모량 평가 및 드로우 조건 평가에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제어 장치(446)는, 시트 분리 장치(900)가 글라스 리본(305)으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준비 기간 중에 구동전류의 값을 모니터링하고 이 때 얻어진 구동전류의 값을 마모량 평가 및 드로우 조건 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장치에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 제어 장치(4460는, 글라스 시트 한 장이 생성되는 기간 동안 제1 구동장치(454a) 및 제2 구동장치(454b)에 각각 공급되는 제1 시리즈의 구동전류들 및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을 일정한 주기로 모니터링한다. 제1 시리즈의 구동전류들 및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의 값, 즉 기설정된 수 (예컨대 60개)의 구동전류의 값들이 수집되면, 제어 장치(446)는 이들의 무빙 에버리지를 계산하여 얻어진 평균 구동전류 값을 마모량 평가 및 드로우 조건 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
구동전류의 값의 편차, 즉, 제1 구동장치(454a)에 공급되는 제1 구동전류(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시리즈의 구동 전류들의 평균값)와 제2 구동장치(454b)에 공급되는 제2 구동전류(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의 평균값)의 차를 계산하고, 구동전류의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범위보다 큰지를 비교한다. 제어 장치(446)는,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이 나머지 드로우롤보다 더 많이 마모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기설정된 차이 범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446)는, 다음 번 비교 시점까지 대기한다. 그러나, 기설정된 차이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구동전류의 값이 큰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의 값은 그대로 두고, 구동전류의 값이 작은 드로우롤을 상대 드로우롤보다 마모량이 큰 것으로 인식하고, 구동전류의 값이 작은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의 값을 기설정된 크기 (예컨대 0.0005")만큼 감소 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는, 글라스 제조 장치(300)는, 드로우 조건, 마모량 및 구동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하는 평가 단계와 회전 조건을 변경하는 변경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 단계가 기설정된 회수동안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동안, 상기 제1 구동전류와 상기 제2 구동전류의 차이가 계속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제어 장치(446)는, 변경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상기 반복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직전 변경 단계에서 기설정된 직경의 값이 변경되었을 경우, 제어 장치(446)는 구동전류의 값의 차이의 변화 추이를 주시한다. 새로운 차이가 직전 차이보다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4460는 카운트 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반대로 차이가 직전보다 클 경우에는 카운트 값을 1씩 증가시킨다. 카운트 값이 기설정된 값(예컨대, 5)에 이르면 구동전류의 값이 차이를 점점 더 심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제어 장치(446)는, 마모량 보상 및 드로우 조건의 차이 감소를 위한 제어를 종료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12의 방법의 실행 전과 후의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걸쳐 얻어진 구동 전류 값들의 차이를 보여주는 차트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 전에는 제1 구동전류(DC1)의 값(최대 0.075, 최소 -0.15)이 제2 구동전류(DC2)의 값(최대 0.275, 최소 0.075)에 비하여 상당한 차이로 작았으나, 본 발명의 방법에 실행 후에는 제1 구동전류(DC1)의 값(최대 0.15, 최소 -0.08)과 제2 구동전류(DC2)의 값(최대 0.17, 최소 -0.11)이 거의 동일해졌음을 알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2의 방법의 실행 전과 후의 상대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얻어진 드로우힘들의 차이를 보여주는 차트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 실행 전에는 제1 드로우힘(DF1)이 제2 드로우힘(DF2)보다 상당한 차이로 작았으나,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 후에는 제1 드로우힘(DF1)이 제2 드로우힘(DF2)과 거의 동일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장치에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변화를 글라스 시트 1장이 생성되는 주기로 반복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드로우롤의 마모량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보상함으로써,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의 실제 지름이 다른 경우라도 드로우롤의 개별 마모에 기인하는 공정 변수의 차이를 확실히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드로우롤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일부 성형 품질이 악화되는 시점에 드로우힘의 값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마모량 차이 보상을 실시한 이후에는 드로우힘의 값이 차이가 드로우롤 교체 직후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가 가능하여 드로우롤의 수명 증대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가 수반되는 도면에 도시됨과 더불어 상술한 설명으로 기술했을 지라도,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및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재배열, 변경 및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34)

  1.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제1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제2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로루 조건은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 하는 제1 드로우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로우 조건을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 하는 제2 드로우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단계 c)는,
    c1)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드로우힘과 상기 제2 드로우힘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로루 조건은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 하는 제1 드로우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로우 조건을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 하는 제2 드로우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단계 c)는,
    c1)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드로우힘과 상기 제2 드로우힘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는,
    d1)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d2)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감소에 따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각속도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함수로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로루 조건은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 하는 제1 드로우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로우 조건을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 하는 제2 드로우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단계 d)는,
    c1)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드로우 속도와 상기 제2 드로우 속도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로루 조건은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 하는 제1 드로우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로우 조건은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 하는 제2 드로우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단계 c)는,
    c1)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드로우 속도와 상기 제2 드로우 속도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는,
    d1)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d2)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감소에 따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각속도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함수로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6.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드로우롤이 마모된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드로우롤이 마모된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마모량의 차이를 보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단계 c)는,
    c1)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상기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상기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단계 c)는,
    c1)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마모량과 상기 제2 마모량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는,
    d1)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d2)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감소에 따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각속도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함수로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9. a)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폭을 갖는 시트를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상기 시트의 일면을 제1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상기 시트의 타면을 제2 드로우 조건으로 드로우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 조건 평가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대응되는 드로우롤이 상기 시트를 드로우하는 드로우힘을 포함하고,
    단계 c)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이 상기 시트를 드로우하는 드로우힘이, 타 드로우롤이 상기 시트를 드로우하는 드로우힘보다 더 작은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로우 조건 평가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 조건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대응되는 드로우롤이 상기 시트를 드로우하는 드로우힘을 포함하고,
    단계 c)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이 상기 시트를 드로우하는 드로우속도가, 타 드로우롤이 상기 시트를 드로우하는 드로우속도보다 더 작은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로우 조건 평가방법.
  12. a)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폭을 갖는 시트를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상기 시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회전되어 상기 시트의 타면을 드로우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드로우롤이 마모되는 제1 마모량 및 상기 제2 드로우롤이 마모되는 제2 마모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롤의 마모량 평가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c)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로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마모량이 타 드로우롤의 마모량보다 더 큰 것으로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드로우롤의 마모량 평가방법.
  14.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과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2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함으로써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c)는,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때,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c)는,
    c1) 상기 제1 구동장치 및 제2 구동장치에 각각 공급되는 제1 시리즈의 구동전류들 및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을 일정한 주기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 시리즈의 구동전류들과 상기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을 각각의 평균을 구하는 단계와,
    c3) 상기 제1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의 평균과 상기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의 평균을 각각 상기 제1 구동전류 및 상기 제2 구동전류로 사용하여, 상기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단계 d)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e)는,
    e1)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단계 d1)에서,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을 기설정된 양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단계 e)는, 단계 d1)의 뒤에,
    d2)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증가에 따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각속도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함수로서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시트 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글라스 리본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 시트를 분리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분리 장치는 상기 글라스 리본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분리 기간과 상기 글라스 리본으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준비 기간을 갖고,
    단계 c)는,
    c1) 상기 준비 기간 중에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2) 상기 준비 기간 중에 모니터링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계 c) 및 단계 d)를 반복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단계 c)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 단계 d)가 기설정된 회수동안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동안, 상기 제1 구동전류와 상기 제2 구동전류의 차이가 계속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면, 단계 d)로 진행하지 않고 상기 반복을 종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방법.
  23. a) 폭을 갖는 글라스 리본을 형성하는 성형 장치와;
    b) 상기 글라스 리본을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하고,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 및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와;
    c) 상기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드로우 조건과 상기 제2 드로우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되는 주기로 상기 제1 구동장치 및 제2 구동장치에 각각 공급되는 제1 시리즈의 구동전류들 및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시리즈의 구동전류들과 상기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을 각각의 평균을 구하고,
    상기 제1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의 평균과 상기 제2 시리즈의 구동전류들의 평균을 각각 상기 제1 구동전류 및 상기 제2 구동전류로 사용하여, 상기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중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기설정된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을 기설정된 양만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의 각속도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감소에 따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각속도를 상기 더 작은 구동 전류로 구동되는 드로우롤의 상기 기설정된 직경의 함수로서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리본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 시트를 분리하는 시트 분리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분리 장치는 상기 글라스 리본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분리 기간과 상기 글라스 리본으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준비 기간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준비 기간 중에,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준비 기간 중에 모니터링된 제1 및 제2 구동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가와 상기 변경이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변경이 기설정된 회수 동안 반복되는 동안, 상기 제1 구동전류와 상기 제2 구동전류의 차이가 계속하여 증가하면, 상기 변경으로 진행하지 않고 상기 반복을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은 상기 폭이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글라스 리본의 두 에지 부분 중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이 상기 제1 및 제2 드로우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적어도 1열의 드로우롤 쌍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열의 드로우롤 쌍들은 상기 글라스 리본의 두 에지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리본 제조장치.
  34. a) 폭을 갖는 글라스 시트를 상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드로우 경로를 따라 드로우하고,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과 적어도 한 쌍의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드로우롤은 제1 드로우롤 및 제2 드로우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풀 롤 장치와;
    b) 상기 풀 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드로우롤이 제1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일면을 드로우하고, 상기 제2 드로우롤이 제2 회전 조건으로 회전되어 상기 글라스 리본의 타면을 드로우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1 구동 전류와 상기 제2 드로우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공급되는 제2 구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평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김롤 장치.

KR1020160063049A 2016-05-23 2016-05-23 글라스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70132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049A KR20170132048A (ko) 2016-05-23 2016-05-23 글라스 제조장치 및 방법
PCT/KR2017/005340 WO2017204526A1 (en) 2016-05-23 2017-05-23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CN201780031688.1A CN109641773A (zh) 2016-05-23 2017-05-23 玻璃制造设备和方法
JP2018561216A JP2019516660A (ja) 2016-05-23 2017-05-23 ガラス製造機器および方法
TW106116983A TW201811686A (zh) 2016-05-23 2017-05-23 玻璃製造裝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049A KR20170132048A (ko) 2016-05-23 2016-05-23 글라스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48A true KR20170132048A (ko) 2017-12-01

Family

ID=6041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049A KR20170132048A (ko) 2016-05-23 2016-05-23 글라스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9516660A (ko)
KR (1) KR20170132048A (ko)
CN (1) CN109641773A (ko)
TW (1) TW201811686A (ko)
WO (1) WO2017204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7853B2 (ja) * 2019-12-18 2024-01-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5291B2 (ja) * 1997-04-16 2002-10-15 ホーヤ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753067B2 (ja) * 2005-08-18 2011-08-1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成形方法
CN102933514B (zh) * 2011-03-30 2013-10-23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玻璃板的制造方法以及玻璃板制造装置
TWI570075B (zh) * 2012-05-31 2017-02-11 康寧公司 製造玻璃帶的玻璃製造設備及方法
US9038418B2 (en) * 2012-09-25 2015-05-26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es for manufacturing glass and methods of managing pulling forces applied to glass ribb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6660A (ja) 2019-06-20
TW201811686A (zh) 2018-04-01
WO2017204526A8 (en) 2017-12-28
CN109641773A (zh) 2019-04-16
WO2017204526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065B2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glass ribbon
US87940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glass sheet from a moving ribbon of glass
KR101521670B1 (ko) 글래스 시트 장력을 컨트롤하기 위한 풀 롤 장치 및 방법
US9670086B2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KR20160023794A (ko) 이동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7413379B2 (ja) 薄型ガラスおよび薄型ガラスリボン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00308040A1 (en) Multi-elevation drive apparatus for a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tension control in bottom of draw
JP6945454B2 (ja) ガラス製造装置における張力制御
US106404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heet width attenuation of sheet glass
KR20170132048A (ko) 글라스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303365B1 (ko)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60009633A (ko) 연이은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시키는 방법
CN113272258A (zh) 用于处理与移除玻璃片外围区域的系统与方法
JP7208247B2 (ja) ガラス分離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ガラス製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