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410A -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410A
KR20170131410A KR1020177025900A KR20177025900A KR20170131410A KR 20170131410 A KR20170131410 A KR 20170131410A KR 1020177025900 A KR1020177025900 A KR 1020177025900A KR 20177025900 A KR20177025900 A KR 20177025900A KR 20170131410 A KR20170131410 A KR 20170131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biomass
rpf
coal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이케가미
다카오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2Fuel feeders specially adapted for 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6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for shaft-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부착성이 다른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집합시켜 연소로(5)에 투입하는 반송장치(3)로서, 고형연료를 반송하는 반송부(33)와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낮은 쪽의 고형연료인 제1 고형연료를, 반송부(33)에 유입시키는 제1 유입부(33d)와,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제1 고형연료보다 부착성이 높은 고형연료인 제2 고형연료를, 제1 유입부(33d)보다 하류에서, 반송부(33)에 유입시키는 제2 유입부(33e)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반송장치
본 발명은, 고형(固形)연료를 반송하는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로(流動層爐)(연소로) 등에서는, 노 내에서 연소되는 연료로서, 복수 종류의 피처리물이 투입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유동층로에서는, 예를 들면 폐플라스틱, 폐목재 등의 고형물이 연료(고형연료)로서 노 내에 투입되고 있다. 이들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는, 각각 종류마다 단독 계통의 반송장치에 의하여 반송되어, 서로 다른 투입구를 통하여 노 내에 투입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27834호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과 같이 고형연료를 종류마다 단독 계통으로 노 내에 투입하는 경우,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고형연료의 성상(性狀)에 따라서는 부착성(付着性)이 높은 것도 있었다. 반송경로를 구성하는 기기류에, 부착성이 높은 고형연료가 부착되면, 고형연료의 반송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고형연료의 부착량을 저감시켜, 고형연료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반송장치는, 부착성이 다른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집합시켜 연소로에 투입하는 반송장치로서, 고형연료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낮은 쪽의 고형연료인 제1 고형연료를, 반송부에 유입시키는 제1 유입부와,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제1 고형연료보다 부착성이 높은 고형연료인 제2 고형연료를, 제1 유입부보다 하류에서, 반송부에 유입시키는 제2 유입부를 구비한다.
이 반송장치에서는, 부착성이 낮은 쪽인 제1 고형연료가 상류측의 제1 유입부로부터 반송부에 유입된다. 부착성이 높은 쪽인 제2 고형연료가 제1 유입부보다 하류에 배치된 제2 유입부로부터 반송부에 유입되고 있다. 따라서, 제2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제2 고형연료가 일시적으로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된 제1 고형연료가,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고형연료에 부딪쳐, 제2 고형연료를 깎아내게 된다. 이로써,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고형연료의 부착량을 저감시켜, 고형연료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로서, 3종류 이상의 고형연료를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3종류 이상의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가장 낮은 고형연료를, 제1 고형연료로 하여, 제1 유입부로부터 유입하고, 3종류 이상의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가장 높은 고형연료를, 제2 고형연료로 하여, 제2 유입부로부터 유입하며, 제1 유입부는, 고형연료를 반송부에 유입하는 복수의 유입부 중, 가장 상류에 배치되고, 제2 유입부는, 고형연료를 반송부에 유입하는 복수의 유입부 중, 가장 하류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장 부착성이 낮은 고형연료를 유입하는 제1 유입부가 가장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하류에서 유입된 고형연료가 일시적으로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된 제1 고형연료가,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고형연료에 부딪쳐, 이들 고형연료를 깎아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고형연료의 부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가장 부착성이 높은 고형연료를 유입하는 제2 유입부가 가장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고형연료가 일시적으로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그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된 고형연료가,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고형연료에 부딪쳐, 제2 고형연료를 깎아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2 고형연료의 부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제2 유입부는, 제1 고형연료가 통과하는 위치에, 제2 고형연료를 유입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고형연료가 유입되는 위치에, 제1 고형연료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고형연료가 일시적으로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어도, 제1 고형연료를 확실히 제2 고형연료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에 공급하여, 제2 고형연료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반송장치는, 제1 고형연료의 반송부에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하는 제1 정량공급부와, 제2 고형연료의 반송부에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하는 제2 정량공급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로써, 반송장치에 공급되는 제1 고형연료의 공급량 및 제2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각각 일정량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장치 내에 유입되는 제1 고형연료 및 제2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제한하여,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고형연료의 부착량의 증대를 억제하여, 고형연료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 반송장치는, 연소로에 있어서 요구되는 열량인 요구열량에 근거하여, 제1 정량공급부에 의한 제1 고형연료의 공급량, 및 제2 정량공급부에 의한 제2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로써, 연소로에 있어서 필요한 요구열량에 따라, 반송장치로 반송되어 연소로에 투입되는 제1 고형연료의 공급량 및 제2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므로, 연소로의 연소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반송부는, 회전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배치된 제1 반송 블레이드를 갖는 제1 스크루부와,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제1 스크루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 스크루부를 구비하고, 제2 스크루부는, 직경방향에 있어서 회전축 측에 개구영역을 형성하여 나선형으로 배치된 제2 반송 블레이드를 가지며, 제2 반송 블레이드는, 제2 유입부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로써, 제2 고형연료가 유입되는 제2 유입부의 하류에는, 축심 측에 개구영역이 형성된 제2 반송 블레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고형연료의 일부는 개구영역 내를 통과하여, 반송방향 하류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제2 반송 블레이드에 접촉하는 제2 고형연료를 줄일 수 있어, 제2 반송 블레이드에 부착되는 제2 고형연료의 부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고형연료의 부착량을 저감시켜, 고형연료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유동층식 연소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화로에 고형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연료공급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인 스크루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연료공급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연료공급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유동층식 연소설비(1)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가 투입되는 순환유동층 보일러(2)와, 순환유동층 보일러(2)에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설비(3)와, 순환유동층 보일러(2)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설비(4)를 구비하고 있다. 순환유동층 보일러(2)에 투입되는 고형연료로서는, 예를 들면 석탄, 페이퍼 슬러지, RPF(Refuse paper & Plastic Fuel), 바이오매스, TDF(Tire Derived Fuel), EFB(Empty Fruit Bunches), 라이스 허스크(왕겨), PKS(팜야자 껍질) 등을 들 수 있다. 고형연료로서, 그 외의 가연물을 사용해도 된다. 바이오매스에는, 예를 들면 건축폐재가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RPF(제1 고형연료), 바이오매스(제1 고형연료), 석탄(제2 고형연료)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순환유동층 보일러(2)는, 유동층을 형성하여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화로(5)를 갖는다. 화로(5)의 측부에는 고형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연료투입구(5a)가 마련되어 있다. 연료공급설비(3)는, 연료투입구(5a)를 통하여 화로(5) 내에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투입한다. 또, 화로(5)에는, 유동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동매체 공급구(5b)가 마련되어 있다.
화로(5)의 상부에는 연소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출구(5c)가 마련되고, 가스출구(5c)에는, 사이클론(6)이 접속되어 있다. 사이클론(6)은, 세퍼레이터, 사이클론 분급장치, 혹은 사이클론 분리기 등으로 불리며, 고기(固氣) 분리장치로서 기능한다. 사이클론(6)의 입구(6a)는 상기의 가스출구(5c)에 접속되고, 사이클론(6)의 배출구(6b)는 백 패스(7)를 통하여 후단의 배기가스 처리설비(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사이클론(6)의 바닥부 출구(6c)로부터는 다운 커머라고 칭해지는 리턴라인(8)이 하방으로 뻗어 있다. 리턴라인(8)의 하단은, 화로(5)의 하부측면 연락구(5d)를 통하여, 화로(5)에 연락되어 있다.
또, 화로(5)의 바닥부에는, 화로(5)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공급구(5e)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공기공급구(5e)를 통하여 화로(5) 내에 공기가 공급된다. 화로(5) 내에서는, 공기공급구(5e)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석탄, RPF, 바이오매스 및 유동매체가 유동하여 유동층을 형성하여, 고형연료가 연소된다.
화로(5)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는 유동매체를 동반하면서 사이클론(6)에 도입된다. 사이클론(6)의 내부에서는, 배기가스의 선회류가 형성되며, 이 선회류에 의한 원심분리작용에 의하여 유동매체와 기체가 분리된다. 분리된 유동매체는, 사이클론(6)의 바닥부 출구(6c)로부터 배출되어, 리턴라인(8) 내를 하강하고, 리턴라인(8)을 통과한 유동매체는 화로(5)의 바닥부로 되돌려진다.
백 패스(7)는, 배기가스를 유통시키는 덕트이다. 백 패스(7)에는,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 회수부(9)가 마련되어 있다. 열 회수부(9)는, 백 패스(7)의 내부에 도입되어 배기가스 유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된 전열(傳熱)관을 갖는다. 백 패스(7) 내를 흐르는 배기가스의 열은, 전열관 내를 흐르는 유체(예를 들면 보일러 급수)에 전열되어 회수된다.
배기가스는, 백 패스(7) 내를 위에서 아래로 흘러, 백 패스(7)의 바닥부로부터 배출되어, 배기가스 처리설비(4)에 도입된다. 배기가스 처리설비(4)는, 배기가스에 동반하는 비회(飛灰) 등의 미립자를 제거함과 함께, 배기가스에 대하여 탈황처리를 행한다. 배기가스 처리설비(4)에서 처리된 배기가스는, 예를 들면 굴뚝(10)으로부터 대기에 방출된다.
또, 화로(5)에는 노벽(爐壁)관이 형성되어 있다. 노벽관은 보일러 수를 유통시키는 보일러 튜브와, 보일러 튜브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하는 보일러 튜브끼리를 접속하는 핀을 갖는다. 보일러 튜브 내를 흐르는 보일러 수는, 화로(5) 내의 연소에 의한 열이 전열되고 가열되어 수증기가 된다. 화로(5) 내에서 유동하는 유동매체는, 연소로 발생한 열을 노벽관에 전달하는 열전달 매체로서 기능한다. 보일러 튜브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예를 들면 발전용 터빈에 공급되어 발전에 이용된다. 다만, 보일러에서 발생한 수증기의 용도는, 발전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용도에 수증기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연료공급설비(3)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료공급설비(3)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석탄, RPF, 바이오매스)를 집합시켜 반송하여, 화로(5)에 투입한다. 연료공급설비(3)는, 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11), RPF 수용반송부(12), 석탄 수용반송부(13),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 및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를 구비한다.
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11)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하나인 바이오매스를 받아들여 저류하고 반송한다. 바이오매스에는, 건축폐재 등의 목질이 포함된다. 바이오매스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낮은 쪽의 고형연료(제1 고형연료)이며, 마모성이 높은 쪽의 고형연료이다. 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11)는, 바이오매스 저류조(16)와, 바이오매스 반송부(17)를 갖는다.
다만, "부착성"이란, 고형연료가 반송되는 반송경로를 구성하는 기기류에 대한 고형연료의 부착의 용이성을 말한다. 예를 들면, 반송경로를 구성하는 기기류에 부착되는 고형연료의 부착량이 많은 쪽(고형연료의 부착의 두께가 두꺼운 쪽)을, 부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고형연료의 부착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연직방향을 따르는 벽면에 고형연료를 부착시켜, 고형연료가 낙하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고형연료가 벽면에 부착된 후, 고형연료가 낙하할 때까지의 시간이 긴 쪽을, 부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의 시험 방법에 따라, 고형연료의 부착성을 평가해도 된다.
바이오매스 저류조(16)는, 바이오매스를 받아들여 저류하는 것이다. 바이오매스 저류조(16)의 바닥부에는, 바이오매스 저류조(16)에 저류된 바이오매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6a)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16a)로부터 배출된 바이오매스는, 바이오매스 반송부(17)에 도입된다.
또, 바이오매스 저류조(16)의 조 내의 바닥부에는, 바닥부에 퇴적되어 있는 바이오매스를 반송하여 배출구(16a)에 도입하기 위한 스크루 리클레이머(16b)가 마련되어 있다. 스크루 리클레이머(16b)에는, 구동원으로서 전동모터가 접속되어 있고, 전동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스크루 리클레이머(16b)가 회전구동된다. 스크루 리클레이머(16b)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바이오매스 저류조(16)로부터 배출되는 바이오매스의 배출량을 일정하게 한다.
바이오매스 반송부(17)는, 바이오매스 저류조(16)에서 저류된 바이오매스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경로를 구성한다. 바이오매스 반송부(17)는, 바이오매스 저류조(16)와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의 사이에서, 바이오매스를 반송 또는 통과시킨다.
바이오매스 반송부(17)는, 바이오매스 저류조(16)의 바닥부에 접속된 바이오매스 슈트(18)와, 바이오매스 슈트(18)를 통하여 도입된 바이오매스를 반송하는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와,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에서 반송된 바이오매스를 낙하시키는 바이오매스 슈트(20)를 구비한다.
상류측의 바이오매스 슈트(18)의 상단부는, 바이오매스 저류조(16)의 배출구(16a)에 접속되고, 바이오매스 슈트(18)의 하단부는,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오매스 슈트(18)를 낙하한 바이오매스는,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의 일단측에 도입된다.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는, 예를 들면 스크루 컨베이어이고, 바이오매스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반송한다.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의 타단측의 바닥부에는, 반송된 바이오매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9a)가 마련되어 있다.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는,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여도 되고, 그 외의 반송장치여도 된다.
하류측의 바이오매스 슈트(20)의 상단부는,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의 배출구(19a)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오매스 슈트(20)의 하단부는,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오매스 슈트(20)를 낙하한 바이오매스는,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도입된다.
RPF 수용반송부(12)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하나인 RPF를 받아들여 저류하고 반송한다. RPF에는, 폐플라스틱이 포함된다. RPF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낮은 쪽의 고형연료(제1 고형연료)이며, 마모성이 높은 쪽의 고형연료이다. RPF 수용반송부(12)는, RPF 저류조(21)와, RPF 반송부(22)를 갖는다.
RPF 저류조(21)는, RPF를 받아들여 저류하는 것이다. RPF 저류조(21)의 바닥부에는, RPF 저류조(21)에 저류된 RPF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1a)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21a)로부터 배출된 RPF는, RPF 반송부(22)에 도입된다.
또, RPF 저류조(21)의 조 내의 바닥부에는, 바닥부에 퇴적되어 있는 RPF를 반송하여 배출구(21a)에 도입하기 위한 스크루 리클레이머(21b)가 마련되어 있다. 스크루 리클레이머(21b)에는, 구동원으로서 전동모터가 접속되어 있고, 전동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스크루 리클레이머(21b)가 회전구동된다. 스크루 리클레이머(21b)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RPF 저류조(21)로부터 배출되는 RPF의 배출량을 일정하게 한다.
RPF 반송부(22)는, RPF 저류조(21)에서 저류된 RPF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경로를 구성한다. RPF 반송부(22)는, RPF 저류조(21)와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의 사이에서, RPF를 반송 또는 통과시킨다.
RPF 반송부(22)는, RPF 저류조(21)의 바닥부에 접속된 RPF 슈트(23)와, RPF 슈트(23)를 통하여 도입된 RPF를 반송하는 RPF 반송장치(24)와, RPF 반송장치(24)에서 반송된 RPF를 낙하시키는 RPF 슈트(25)를 구비한다.
상류측의 RPF 슈트(23)의 상단부는, RPF 저류조(21)의 배출구(21a)에 접속되어 있다. RPF 슈트(23)의 하단부는, RPF 반송장치(24)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RPF 슈트(23)를 낙하한 RPF는, RPF 반송장치(24)의 일단측에 도입된다.
RPF 반송장치(24)는, 예를 들면 스크루 컨베이어이고, RPF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반송한다. RPF 반송장치(24)의 타단측의 바닥부에는, 반송된 RPF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4a)가 마련되어 있다. RPF 반송장치(24)는,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여도 되고, 그 외의 반송장치여도 된다.
하류측의 RPF 슈트(25)의 상단부는, RPF 반송장치(24)의 배출구(24a)에 접속되어 있다. RPF 슈트(25)의 하단부는,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접속되어 있다. RPF 슈트(25)를 낙하한 RPF는,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도입된다.
석탄 수용반송부(13)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하나인 석탄을 받아들여 저류하고 반송한다. 석탄은, 예를 들면 분체형상(粉狀)의 것이고,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높은 쪽의 고형연료(제2 고형연료)이고, 마모성이 낮은 쪽의 고형연료이다. 석탄 수용반송부(13)는, 석탄 저류조(26)와, 석탄 반송부(27)를 갖는다.
석탄 저류조(26)는, 석탄을 받아들여 저류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호퍼이다. 석탄 저류조(26)의 바닥부에는, 석탄 저류조(26)에 저류된 석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6a)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26a)로부터 배출된 석탄은, 석탄 반송부(27)에 도입된다.
석탄 반송부(27)는, 석탄 저류조(26)에서 저류된 석탄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경로를 구성한다. 석탄 반송부(27)는, 석탄 저류조(26)와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의 사이에서, 석탄을 반송 또는 통과시킨다.
석탄 반송부(27)는, 석탄 저류조(26)로부터 배출된 석탄을 반송하는 석탄 제1 반송장치(28)와, 석탄 제1 반송장치(28)에서 반송된 석탄을 낙하시키는 석탄 제1 슈트(29)와, 석탄 제1 슈트(29)를 통하여 도입된 석탄을 반송하는 석탄 제2 반송장치(30)와, 석탄 제2 반송장치(30)에서 반송된 석탄을 낙하시키는 석탄 제2 슈트(31)를 구비한다.
석탄 제1 반송장치(28)는,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 및 체인 컨베이어를 갖는 것이며, 석탄을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반송한다. 석탄 제1 반송장치(28)에서는, 상단에 벨트 컨베이어가 배치되며, 하단에 체인 컨베이어가 배치되어 있다. 석탄 제1 반송장치(28)는, 석탄의 반송경로를 구성하는 덕트(28a)와, 덕트(28a) 내에서 상단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와, 덕트(28a) 내에서 하단에 배치된 체인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벨트 컨베이어는, 반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의 롤러(28g)와, 이 복수의 롤러(28g)에 걸쳐져, 석탄을 반송하는 무단 벨트(28h)를 갖는다. 벨트 컨베이어의 복수의 롤러는, 구동용 롤러와 종동용 롤러를 포함한다. 구동용 롤러는, 구동원인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회동(回動) 구동된다. 종동용 롤러는, 무단 체인의 주회(周回) 궤도를 따라 배치되어, 무단 벨트를 지지함과 함께 무단 벨트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전동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용 롤러가 회전구동되면, 무단 벨트가 주회 궤도를 따라 회전한다. 벨트 컨베이어는, 상측에 배치된 벨트가 반송방향으로 이동하여, 벨트 상의 석탄을 반송한다.
덕트(28a)의 천판(상판)의 일단측에는, 석탄 저류조(26)의 배출구(26a)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배출구(26a)로부터 배출된 석탄을 받는 깔때기형의 석탄수용부(28e)가 마련되어 있다. 석탄 저류조(26)의 배출구(26a)로부터 배출된 석탄은, 낙하하여 석탄수용부(28e)를 통과하여, 덕트(28a)의 일단측에 도입된다.
체인 컨베이어는, 덕트(28a) 내에서,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한 석탄분말을 반송하는 것이다. 체인 컨베이어는, 석탄분말을 긁어모아 반송하는 복수의 플라이트(28b)와, 복수의 플라이트(28b)를 소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무단 체인(28c)과, 무단 체인(28c)이 걸쳐진 복수의 스프라킷(28d)을 구비한다.
벨트 컨베이어의 복수의 롤러는, 구동용 롤러와 종동용 롤러를 포함한다. 구동용 롤러는, 구동원인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회동구동된다. 종동용 롤러는, 무단 체인의 주회 궤도를 따라 배치되어, 무단 벨트를 지지함과 함께 무단 벨트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전동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용 롤러가 회전구동되면, 무단 벨트가 주회 궤도를 따라 회전한다. 벨트 컨베이어는, 상측에 배치된 벨트가 반송방향으로 이동하여, 벨트 상의 석탄을 반송한다.
복수의 스프라킷(28d)은, 구동용 스프라킷과 종동용 스프라킷을 포함한다. 구동용 스프라킷은, 구동원인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회전구동된다. 종동용 스프라킷은, 무단 체인(28c)의 주회 궤도를 따라 배치되어, 무단 체인(28c)을 지지함과 함께 무단 체인(28c)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전동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용 스프라킷이 회전구동되면, 무단 체인(28c) 및 플라이트(28b)가 주회 궤도를 따라 회전한다. 석탄 제1 반송장치(28)는, 하향구동 체인 컨베이어이고, 하측에 배치된 플라이트(28b)가 반송방향으로 이동하여, 덕트(28a)의 저판(하판) 상에 퇴적되는 석탄을, 복수의 플라이트(28b)에 의하여 긁어모아 반송한다.
또, 덕트(28a)의 타단측의 저판에는, 반송된 석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8f)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28f)로부터 배출된 석탄은, 석탄 제1 슈트(29)에 도입된다.
석탄 제1 슈트(29)의 상단부는, 석탄 제1 반송장치(28)의 배출구(28f)에 접속되어 있다. 석탄 제1 슈트(29)의 하단부는, 석탄 제2 반송장치(30)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석탄 제1 슈트를 낙하한 석탄은, 석탄 제2 반송장치(30)의 일단측에 도입된다.
석탄 제2 반송장치(30)는,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이다. 석탄 제2 반송장치(30)는, 석탄 제1 반송장치(28)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석탄 제2 반송장치(30)에서 반송된 석탄은, 배출구(30a)로부터 배출되어, 석탄 제2 슈트(31)에 도입된다.
석탄 제2 슈트(31)의 상단부는, 석탄 제2 반송장치(30)의 배출구(30a)에 접속되어 있다. 석탄 제2 슈트(31)의 하단부는,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 접속되어 있다. 석탄 제2 슈트를 낙하한 석탄은,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 도입된다.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는, 바이오매스 및 RPF를 합류시켜 반송하는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를 구비한다.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는, 바이오매스를 당해 반송장치의 내부에 유입시키기 위한 제1 유입부(32a)와, RPF를 반송장치의 내부에 유입시키기 위한 제2 유입부(32b)를 갖는다. 제1 유입부(32a) 및 제2 유입부(32b)는, 예를 들면 단면이 직사각형인 덕트이다. 제1 유입부(32a)는, 바이오매스 슈트(20)의 하단에 접속되고, 제2 유입부(32b)는, RPF 슈트(25)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유입부(32a)는, 일단측인 상류측에 배치되고, 제2 유입부(32b)는, 제1 유입부(32a)보다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유입부(32b)는, 예를 들면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는,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이다.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는, 바이오매스-RPF의 반송경로를 구성하는 덕트(32c)와, 덕트(32c) 내에 배치되어, 바이오매스 및 RPF를 긁어모아 반송하는 복수의 플라이트(32d)와, 복수의 플라이트(32d)를 소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무단 체인(32e)과, 무단 체인(32e)이 걸쳐진 복수의 스프라킷(32f)을 구비한다. 제1 유입부(32a) 및 제2 유입부(32b)는, 덕트(32c)의 천판에 마련되어 있다. 천판의 제1 유입부(32a) 및 제2 유입부(32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스프라킷(32f)은, 구동용 스프라킷과 종동용 스프라킷을 포함한다. 구동용 스프라킷은, 구동원인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회전구동된다. 종동용 스프라킷은, 무단 체인(32e)의 주회 궤도를 따라 배치되어, 무단 체인(32e)을 지지함과 함께 무단 체인(32e)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전동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용 스프라킷이 회전구동되면, 무단 체인(32e) 및 플라이트(32d)가 주회 궤도를 따라 회전한다.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는, 하향구동 체인 컨베이어이고, 하측에 배치된 플라이트(32d)가 반송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류측에서 제1 유입부(32a)로부터 유입된 바이오매스는, 복수의 플라이트(32d)에 의하여 긁어모아져 하류측에 반송된다. 하류의 제2 유입부(32b)로부터 유입된 RPF는, 복수의 플라이트(32d)에 의하여, 바이오매스와 함께 긁어모아져 하류측에 반송된다.
또, 덕트(32c)의 타단측의 저판에는, 반송된 바이오매스 및 RPF를 배출하기 위한 슈트(32g)가 마련되어 있다. 덕트(32c) 내를 반송된 바이오매스 및 RPF는, 슈트(32g)를 통과하여,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 도입된다.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는, 석탄, 바이오매스 및 RPF를 합류시켜 반송하는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와,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로부터 도입된 석탄, 바이오매스 및 RPF를 반송하는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와,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에서 반송된 석탄, 바이오매스 및 RPF를 낙하시키는 고형연료 공통 슈트(35)와, 고형연료 공통 슈트(35)를 통하여 도입된 석탄, 바이오매스 및 RPF를 반송하는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를 구비한다.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는, 예를 들면 스크루 컨베이어이고,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형연료의 반송경로를 구성하는 덕트(33a)와, 덕트(33a) 내에 배치되어, 고형연료를 반송하는 반송스크루(33b)와, 반송스크루(33b)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33c)를 구비하고 있다.
또,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는, 바이오매스-RPF를 덕트(33a)의 내부에 유입시키기 위한 제1 유입부(33d)와, 석탄을 덕트(33a)의 내부에 유입시키기 위한 제2 유입부(33e)를 갖는다.
제1 유입부(33d)는, 일단측인 상류측에 배치되고, 제2 유입부(33e)는, 제1 유입부(33d)보다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유입부(33e)는, 예를 들면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유입부(33d) 및 제2 유입부(33e)는, 덕트(32c)의 천판에 마련되고, 천판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 반송스크루(33b)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반송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배치된 제1 스크루부(33g)와, 하류측에 배치된 제2 스크루부(33h)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크루부(33g)는, 회전축(33f)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배치된 제1 반송 블레이드(33i)를 갖는다. 제1 반송 블레이드(33i)는, 직경방향에 있어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크루부(33h)는, 예를 들면 리본 스크루이며, 제1 반송 블레이드(33i)에 연속하여 배치된 제2 반송 블레이드(33j)를 갖는다. 제2 반송 블레이드(33j)는, 회전축(33f)의 직경방향에 있어서 회전축(33f)측에 개구영역을 형성하여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반송 블레이드(33j)는, 회전축(33f)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봉(33k)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덕트(33a)의 타단측의 저판에는, 반송된 고형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슈트(33l)가 마련되어 있다. 덕트(33a) 내를 반송된 고형연료는, 슈트(33l)를 통과하여,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에 도입된다.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는, 예를 들면 스크루 컨베이어이고, 고형연료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반송한다.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의 반송스크루는, 예를 들면 리본 스크루이다.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의 타단측의 바닥부에는, 반송된 고형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4a)가 마련되어 있다.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는,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여도 되고, 그 외의 반송장치여도 된다.
고형연료 공통 슈트(35)는,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어,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와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를 접속한다. 고형연료 공통 슈트(35)의 상단부는,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의 배출구(34a)에 접속된다. 고형연료 공통 슈트(35)의 하단부는,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고형연료 공통 슈트(35)를 낙하한 고형연료는,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에 도입된다.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는, 예를 들면 스크루 컨베이어이고, 고형연료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반송한다.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의 타단측은, 화로(5)의 연료투입구(5a)에 접속되어 있다.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의 덕트(36a) 및 반송스크루(36b)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덕트(36a) 및 반송스크루(36b)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는,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여도 되고, 그 외의 반송장치여도 된다. 또,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는,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 대신에, 고형연료 공통 슈트(35)와 연료투입구(5a)를 접속하는 슈트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에 의하여 반송된 고형연료는, 연료투입구(5a)를 통하여, 화로(5) 내에 공급된다.
또, 연료공급설비(3)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형연료의 화로(5)에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연료공급 제어장치(37)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공급 제어장치(37)는, 요구열량 산출부(38), 바이오매스 공급량 제어부(39), RPF 공급량 제어부(40), 석탄 공급량 제어부(41), 바이오매스-RPF 공급량 제어부(42),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 및 기억부(44)를 포함한다. 연료공급 제어장치(37)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입력신호회로, 출력신호회로, 및 전원회로 등을 갖는다.
또, 연료공급 제어장치(37)는, 입력부(45), 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11), RPF 수용반송부(12), 석탄 수용반송부(13),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 및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45)는, 연료공급 제어장치(37)에 있어서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입력부(45)는, 예를 들면 조작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사용되는 키보드이다. 입력부(45)는, 예를 들면 각종 센서여도 된다. 각종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화로(5)의 연소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 순환유동층 보일러(2)에 의한 증기발생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 각종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바이오매스 저류조(16)에 저류된 바이오매스의 저류량을 검출하는 센서, RPF 저류조(21)에 저류된 RPF의 저류량을 검출하는 센서, 석탄 저류조(26)에 저류된 석탄의 저류량을 검출하는 센서, 스크루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반송량을 검출하는 센서, 체인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반송량을 검출하는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기억부(44)에는, 각 고형연료의 열량에 관한 데이터, 화로(5)에서 요구되는 요구열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각 고형연료의 공급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기억부(44)에는, 각 반송장치에 있어서의 반송능력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요구열량 산출부(38)는, 입력부(45)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로(5)에서 요구되는 요구열량을 산출한다. 또, 요구열량 산출부(38)는, 산출된 요구열량 및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로(5)에 공급되는 각 고형연료의 공급비율을 결정하고, 각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결정한다. 즉, 요구열량 산출부(38)는, 바이오매스 반송부(17)에 의한 바이오매스의 반송량, RPF 반송부(22)에 의한 RPF의 반송량, 석탄 반송부(27)에 의한 석탄의 반송량,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의한 바이오매스 및 RPF의 합계 반송량,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 의한 각 고형연료의 합계 반송량을 결정한다.
바이오매스 공급량 제어부(39)는, 요구열량 산출부(38)에 의하여 결정된 바이오매스의 반송량이 되도록, 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1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바이오매스 공급량 제어부(39)는, 바이오매스 저류조(16)의 스크루 리클레이머(16b)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바이오매스 저류조(16)로부터 배출되는 바이오매스의 배출량을 조정한다. 또, 바이오매스 공급량 제어부(39)는,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의 반송스크루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에 의하여 반송되는 바이오매스의 반송량을 조정한다. 바이오매스 공급량 제어부(39)는, 단위시간당 바이오매스의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공급되는 바이오매스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한다.
RPF 공급량 제어부(40)는, 요구열량 산출부(38)에 의하여 결정된 RPF의 반송량이 되도록, 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1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RPF 공급량 제어부(40)는, RPF 저류조(21)의 스크루 리클레이머(21b)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RPF 저류조(21)로부터 배출되는 RPF의 배출량을 조정한다. 또, RPF 공급량 제어부(40)는, RPF 반송장치(24)의 반송스크루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RPF 반송장치(24)에 의하여 반송되는 RPF의 반송량을 조정한다. RPF 공급량 제어부(40)는, 단위시간당 RPF의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공급되는 RPF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한다.
석탄 공급량 제어부(41)는, 요구열량 산출부(38)에 의하여 결정된 석탄의 반송량이 되도록, 석탄 수용반송부(1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석탄 공급량 제어부(41)는, 석탄 제1 반송장치(28)의 플라이트(28b)의 이동속도를 제어하여, 석탄 제1 반송장치(28)에 의하여 반송되는 석탄의 반송량을 조정한다. 석탄 공급량 제어부(41)는, 석탄 제2 반송장치(30)의 플라이트의 이동속도를 제어하여, 석탄 제2 반송장치(30)에 의하여 반송되는 석탄의 반송량을 조정한다. 석탄 공급량 제어부(41)는, 단위시간당 석탄의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 공급되는 석탄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한다.
바이오매스-RPF 공급량 제어부는, 요구열량 산출부(38)에 의하여 결정된 바이오매스 및 RPF의 합계 반송량이 되도록,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바이오매스-RPF 공급량 제어부는,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의 플라이트(32d)의 이동속도를 제어하여,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에 의하여 반송되는 바이오매스 및 RPF의 합계 반송량을 조정한다. 바이오매스-RPF 공급량 제어부는, 단위시간당 바이오매스 및 RPF의 합계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 공급되는 바이오매스 및 RPF의 합계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한다.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요구열량 산출부(38)에 의하여 결정된 각 고형연료의 합계 반송량이 되도록,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의 반송스크루(33b)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의하여 반송되는 각 고형연료의 합계 반송량을 조정한다.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의 반송스크루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에 의하여 반송되는 각 고형연료의 합계 반송량을 조정한다.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의 반송스크루(36b)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에 의하여 반송되는 각 고형연료의 합계 반송량을 조정한다.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단위시간당 각 고형연료의 합계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화로(5)에 공급되는 각 고형연료의 합계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연료공급 제어장치(37)에 있어서의 처리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료공급 제어장치(37)의 요구열량 산출부(38)는, 입력부(45)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 S1). 요구열량 산출부(38)는, 각종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화로(5) 내의 연소온도, 보일러에 있어서의 스팀 발생량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 요구열량 산출부(38)는, 현상(現狀)의 각 고형연료의 공급량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해도 된다. 또, 요구열량 산출부(38)는, 바이오매스 반송부(17), RPF 반송부(22), 석탄 반송부(27),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 및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의 운전조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해도 된다. 운전조건에 관한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석탄 반송부(27)를 가동시키고, 바이오매스 반송부(17) 및 RPF 반송부(22)를 정지시키는 등의 정보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요구열량 산출부(38)는, 입력부(45)로부터 입력한 각종 데이터, 및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로(5)에 있어서의 요구열량을 산출한다(스텝 S2). 요구열량 산출부(38)는, 요구되는 스팀 발생량을 실현하기 위하여, 화로(5)에서 필요한 열량을 산출해도 된다. 요구열량 산출부(38)는, 기억부(44)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고형연료의 열량을 참조하여, 각 고형연료의 공급비율을 결정하고, 각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결정한다. 이로써, 바이오매스 반송부(17), RPF 반송부(22), 석탄 반송부(27),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 및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서 반송되는 각 고형연료의 반송량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연료공급 제어장치(37)는, 스텝 S3에서 결정된 각 고형연료의 반송량이 되도록, 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11), RPF 수용반송부(12), 석탄 수용반송부(13),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 및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를 각각 제어한다(스텝 S4).
연료공급 제어장치(37)는, 스텝 S4에 있어서, 이하의 스텝 S5~S9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5에서는, 바이오매스 공급량 제어부(39)는, 바이오매스 반송부(17)에 의한 바이오매스의 반송량을 제어한다. 바이오매스 공급량 제어부(39)는, 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11)에 지령신호를 송신하여, 각 전동모터를 제어하고, 바이오매스 저류조(16)의 스크루 리클레이머(16b)의 회전수, 및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의 반송스크루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바이오매스 공급량 제어부(39)는, 단위시간당 바이오매스의 반송량을 일정하게 하도록 바이오매스 반송부(17)를 제어한다.
스텝 S6에서는, RPF 공급량 제어부(40)는, RPF 반송부(22)에 의한 RPF의 반송량을 제어한다. RPF 공급량 제어부(40)는, RPF 수용반송부(12)에 지령신호를 송신하여, 각 전동모터를 제어하고, RPF 저류조(21)의 스크루 리클레이머(21b)의 회전수, 및 RPF 반송장치(24)의 반송스크루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RPF 공급량 제어부(40)는, 단위시간당 RPF의 반송량을 일정하게 하도록 RPF 반송부(22)를 제어한다.
스텝 S7에서는, 석탄 공급량 제어부(41)는, 석탄 반송부(27)에 의한 석탄의 반송량을 제어한다. 석탄 공급량 제어부(41)는, 석탄 수용반송부(13)에 지령신호를 송신하여, 각 전동모터를 제어하고, 석탄 제1 반송장치(28)의 플라이트(28b)의 이동속도, 및 석탄 제2 반송장치(30)의 플라이트의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석탄 공급량 제어부(41)는, 단위시간당 석탄의 반송량을 일정하게 하도록 석탄 반송부(27)를 제어한다.
스텝 S8에서는, 바이오매스-RPF 공급량 제어부(42)는,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의한 바이오매스 및 RPF의 합계 반송량을 제어한다. 바이오매스-RPF 공급량 제어부는,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에 지령신호를 송신하여, 전동모터를 제어하고,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의 플라이트(32d)의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바이오매스-RPF 공급량 제어부(42)는, 단위시간당 바이오매스 및 RPF의 합계 반송량을 일정하게 하도록 바이오매스-RPF 반송부(14)를 제어한다.
스텝 S9에서는,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 의한 각 고형연료의 합계 반송량을 제어한다.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 지령신호를 송신하여, 각 전동모터를 제어하고,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의 반송스크루(33b)의 회전수,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의 반송스크루의 회전수, 및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의 반송스크루(36b)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고형연료 공급량 제어부(43)는, 단위시간당 각 고형연료의 합계 반송량을 일정하게 하도록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유동층식 연소설비(1)의 연료공급설비(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연료공급설비(3)에서는, 연료공급 제어장치(37)에서 결정된 각 고형연료의 공급량에 근거하여,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가 각각 반송된다.
바이오매스 저류조(16)에 저류된 바이오매스는, 배출량이 제어되어, 바이오매스 슈트(18)에 도입된다. 바이오매스 슈트(18)를 통과한 바이오매스는,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에 공급된다. 바이오매스 반송장치(19)에 공급된 바이오매스는, 단위시간당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반송되며, 바이오매스 슈트(20)를 통과하여,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에 공급된다.
RPF 저류조(21)에 저류된 RPF는, 배출량이 제어되어, RPF 슈트(23)에 도입된다. RPF 슈트(23)를 통과한 RPF는, RPF 반송장치(24)에 공급된다. RPF 반송장치(24)에 공급된 RPF는, 단위시간당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반송되며, RPF 슈트(25)를 통과하여,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에 공급된다.
석탄 저류조(26)에 저류된 석탄은, 배출량이 제어되어, 석탄 제1 반송장치(28)에 공급된다. 석탄 제1 반송장치(28)에 공급된 석탄은, 단위시간당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반송되며, 석탄 제1 슈트(29)를 통과하여, 석탄 제2 반송장치(30)에 공급된다. 석탄 제2 반송장치(30)에 공급된 석탄은, 단위시간당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반송되며, 석탄 제2 슈트(31)를 통과하여,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공급된다.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에서는, 상류측의 제1 유입부(32a)로부터 바이오매스가 도입되고, 제1 유입부(32a)보다 하류인 제2 유입부(32b)로부터 RPF가 도입된다. 상류측에 도입된 바이오매스는,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에 의하여 하류에 반송되어, 제2 유입부(32b)로부터 도입된 RPF와 합류한다. 제2 유입부(32b)의 하류에서는, 바이오매스는 RPF와 함께 반송된다. 바이오매스 및 RPF는, 바이오매스-RPF 반송장치(32)에 의하여, 단위시간당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반송되며,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공급된다.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서는, 상류측의 제1 유입부(33d)로부터 바이오매스 및 RPF가 도입되고, 제1 유입부(33d)보다 하류인 제2 유입부(33e)로부터 석탄이 도입된다. 상류측에 도입된 바이오매스 및 RPF는,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의하여 하류에 반송되어, 제2 유입부(33e)로부터 도입된 석탄과 합류한다. 제2 유입부(33e)의 하류에서는, 바이오매스 및 RPF는, 석탄과 함께 반송된다. 이때, 부착성이 높은 쪽의 고형연료인 석탄이,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의 덕트(33a)의 내면, 반송스크루(33b)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마모성이 높은 쪽의 고형연료인 바이오매스 또는 RPF가, 부착되어 있는 석탄에 부딪쳐, 석탄을 깎아 제거하게 된다. 이로써, 석탄이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 RPF, 및 석탄은,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의하여, 단위시간당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반송되며,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에 공급된다.
바이오매스, RPF, 및 석탄은,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에 의하여, 단위시간당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반송되며, 고형연료 공통 슈트(35)를 통과하여,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에 공급된다.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 및 고형연료 공통 슈트(35)에 있어서도, 석탄이 부착되어도, 바이오매스 또는 RPF가, 부착되어 있는 석탄에 부딪쳐, 석탄을 깎아 제거하게 된다. 이로써, 석탄이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 및 고형연료 공통 슈트(35)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 RPF, 및 석탄은,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에 의하여, 단위시간당 반송량이 일정해지도록 반송되며, 연료투입구(5a)를 통과하여, 화로(5) 내에 공급된다.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에 있어서도, 석탄이 부착되어도, 바이오매스 또는 RPF가, 부착되어 있는 석탄에 부딪쳐, 석탄을 깎아 제거하게 된다. 이로써, 석탄이 고형연료 공통 제3 반송장치(36)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공급설비(3)에서는, 유로를 형성하는 벽면에, 부착성이 높은 석탄이 부착되어도, 상류로부터 흘러 온 바이오매스 및 RPF가 석탄에 부딪쳐 깎아 제거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석탄의 부착을 억제하고,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의 반송량을 유지하여, 고형연료를 안정적으로 화로(5)에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화로(5)에 있어서의 연소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석탄의 부착이 억제되므로, 유로 내에 있어서 고형연료가 쌓일 우려가 없어진다. 그 결과, 장치를 정지시켜 부착된 석탄을 제거하는 등의 보전 작업이 삭감되어, 장치의 장기 연속 운전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연료공급설비(3)에서는, 바이오매스 및 RPF의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하고, 석탄의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공급되는 바이오매스 및 RPF의 합계 공급량과, 석탄의 공급량을 각각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 내에 유입되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제한하고, 석탄의 부착을 억제하여, 고형연료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 연료공급설비(3)는, 화로(5)에 있어서 요구되는 열량인 요구열량에 근거하여, 화로(5)에 공급되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각각 제어하고 있다. 이로써, 화로(5)의 연소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는, 제2 유입부(33e)의 하류에 있어서, 리본 스크루인 제2 반송 블레이드(33j)를 갖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운전조건 등에 의하여, 석탄만을 반송하고, 바이오매스 및 RPF를 반송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석탄의 일부는, 개구영역 내를 통과하여, 반송방향 하류로 이동하므로, 제2 반송 블레이드(33j)에 접촉하는 석탄을 줄일 수 있어, 제2 반송 블레이드(33j)에 부착되는 석탄의 부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연료공급설비(3)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합류시켜 화로(5)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종류마다 연료투입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화로(5)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반송설비의 기기개수 및 설치스페이스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화로(5)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복수의 연료투입구를 마련할 수 없는 경우에, 하나의 연료투입구를 마련하기만 하면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화로(5)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바이오매스 및 RPF와 석탄을 유입시키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복수의 반송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류측의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바이오매스 및 RPF를 도입하고, 하류측의 고형연료 공통 제2 반송장치(34)에, 석탄을 도입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로써, 상류측에 부착성이 낮은 쪽의 고형연료를 유입시키고, 하류측에 부착성이 높은 고형연료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슈트(35)의 상류측에 부착성이 낮은 쪽의 고형연료를 유입시키고, 그 하류에 부착성이 높은 고형연료를 유입시켜도 된다. 반송부인 슈트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유입시켜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소로로서,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예시하고 있지만, 그 외의 보일러여도 되고, 쓰레기 소각로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이오매스, RPF, 및 석탄을 반송하고 있지만, 고형연료 공통 반송부(15)에서 반송되는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페이퍼 슬러지, TDF, EFB, 라이스 허스크, PKS 등, 그 외의 고형연료를 도입해도 된다. 이 중에서, 페이퍼 슬러지는, 부착성이 높은 쪽의 고형연료에 해당하고, 나머지의 TDF, EFB, 라이스 허스크, PKS 등은, 부착성이 낮은 쪽의 연료에 해당한다. 반송되는 고형연료는, 2종류여도 되고, 4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또, 3종류 이상의 고형연료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고형연료 중 가장 부착성이 낮은 연료를 유입하는 제1 유입부를 가장 상류에 배치하고, 복수의 고형연료 중 가장 부착성이 높은 연료를 유입하는 제2 유입부를 가장 하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장 부착성이 낮은 고형연료를 유입하는 제1 유입부가 가장 상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하류에서 유입된 고형연료가 일시적으로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된 제1 고형연료가,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고형연료에 부딪쳐, 이들 고형연료를 깎아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고형연료의 부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가장 부착성이 높은 고형연료를 유입하는 제2 유입부가 가장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고형연료가 일시적으로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그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된 고형연료가,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고형연료에 부딪쳐, 제2 고형연료를 깎아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2 고형연료의 부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4종류 이상의 고형연료를 반송하는 경우에, 부착성이 낮은 고형연료일수록 상류측으로부터 유입되고, 부착성이 높은 고형연료일수록 하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 유입부는, 제1 고형연료가 통과하는 위치에, 제2 고형연료를 유입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고형연료가 유입되는 위치에, 제1 고형연료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고형연료가 일시적으로 장치의 내부에 부착되어도, 제1 고형연료를 확실히 제2 고형연료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에 공급하여, 제2 고형연료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인 반송장치에 있어서, 반송벨트의 상방으로부터 제2 고형연료를 낙하시켜 유입시키는 경우에는, 제2 고형연료가 낙하하는 위치에, 제1 고형연료가 통과하도록, 제1 고형연료를 반송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고형연료 위에 제2 고형연료를 낙하시켜, 제2 고형연료의 반송벨트에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그 외의 반송장치에 있어서도, 제2 고형연료가 유입되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제1 고형연료를 반송함으로써, 제2 고형연료의 반송장치에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있어서, 제2 유입부(33e)의 하류에, 리본 스크루인 제2 반송 블레이드(33j)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제2 유입부(33e)의 하류에 있어서, 제1 반송 블레이드(33i)와 동일한 구성의 반송 블레이드를 배치해도 된다. 또, 제2 유입부(33e)의 상류에 있어서, 리본 스크루를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석탄 저류조(26)에 저류된 석탄을, 석탄 반송부(27)를 이용하여 반송한 후에,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석탄을 유입시키고 있다. 그러나, 석탄 반송부(27)를 통하지 않고, 예를 들면 석탄 저류조(26)로부터 배출된 석탄을 직접,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도입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석탄이 도입되는 지점이 제2 유입부가 된다. 제2 유입부는, 고형연료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부착성이 낮은 쪽의 고형연료인 제1 고형연료가 유입된 지점인 제1 유입부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마찬가지로, 바이오매스 및 RPF를 저류조로부터 직접 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33)에 유입시켜도 된다.
1…유동층식 연소설비
2…순환유동층 보일러
3…연료공급설비
5…화로
11…바이오매스 수용반송부(제1 정량공급부)
12…RPF 수용반송부(제1 정량공급부)
13…석탄 수용반송부(제2 정량공급부)
14…바이오매스-RPF 반송부(제1 정량공급부)
15…고형연료 공통 반송부(반송부)
33…고형연료 공통 제1 반송장치
33d…제1 유입부
33e…제2 유입부
37…연료공급 제어장치(제어부)
33f…회전축
33g…제1 스크루부
33h…제2 스크루부
33i…제1 반송 블레이드
33j…제2 반송 블레이드

Claims (6)

  1. 부착성이 다른 복수 종류의 고형연료를 집합시켜 연소로에 투입하는 반송장치로서,
    상기 고형연료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복수 종류의 상기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낮은 쪽의 상기 고형연료인 제1 고형연료를, 상기 반송부에 유입시키는 제1 유입부와,
    상기 복수 종류의 상기 고형연료 중 상기 제1 고형연료보다 부착성이 높은 상기 고형연료인 제2 고형연료를, 상기 제1 유입부보다 하류에서, 상기 반송부에 유입시키는 제2 유입부
    를 구비하는 반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상기 고형연료로서, 3종류 이상의 상기 고형연료를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3종류 이상의 상기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가장 낮은 상기 고형연료를, 상기 제1 고형연료로 하여, 상기 제1 유입부로부터 유입하고,
    상기 3종류 이상의 상기 고형연료 중 부착성이 가장 높은 상기 고형연료를, 상기 제2 고형연료로 하여, 상기 제2 유입부로부터 유입하며,
    상기 제1 유입부는, 상기 고형연료를 상기 반송부에 유입하는 복수의 유입부 중, 가장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입부는, 상기 고형연료를 상기 반송부에 유입하는 복수의 상기 유입부 중, 가장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부는, 상기 제1 고형연료가 통과하는 위치에, 상기 제2 고형연료를 유입시키는
    반송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형연료의 상기 반송부에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하는 제1 정량공급부와,
    상기 제2 고형연료의 상기 반송부에의 공급량을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하는 제2 정량공급부
    를 추가로 구비하는 반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에 있어서 요구되는 열량인 요구열량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정량공급부에 의한 상기 제1 고형연료의 공급량, 및 상기 제2 정량공급부에 의한 상기 제2 고형연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추가로 구비하는 반송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회전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배치된 제1 반송 블레이드를 갖는 제1 스크루부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루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 스크루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크루부는, 직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측에 개구영역을 형성하여 나선형으로 배치된 제2 반송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제2 반송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유입부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장치.
KR1020177025900A 2015-03-30 2016-03-14 반송장치 KR20170131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9648A JP6453137B2 (ja) 2015-03-30 2015-03-30 搬送装置
JPJP-P-2015-069648 2015-03-30
PCT/JP2016/058025 WO2016158360A1 (ja) 2015-03-30 2016-03-14 搬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410A true KR20170131410A (ko) 2017-11-29

Family

ID=5700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900A KR20170131410A (ko) 2015-03-30 2016-03-14 반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53137B2 (ko)
KR (1) KR20170131410A (ko)
PH (1) PH12017501712A1 (ko)
WO (1) WO2016158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5894B2 (ja) 2020-11-27 2024-01-1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化石燃料代替燃料の搬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5039A (en) * 1981-05-22 1982-11-30 Ebara Corp Conveyer screw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JP2976797B2 (ja) * 1994-03-04 1999-11-10 宇部興産株式会社 燃料製造方法
JP2002356689A (ja) * 2001-03-30 2002-12-13 Idemitsu Kosan Co Ltd 混合燃料および燃料供給方法
JP2002333116A (ja) * 2001-05-08 2002-11-22 Sumitomo Heavy Ind Ltd ごみ供給方法及び装置
JP3993802B2 (ja) * 2002-08-14 2007-10-17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脱水汚泥及び灰の処理方法
JP2011083654A (ja) * 2009-10-13 2011-04-28 Ugajin Seisakusho:Kk 有機廃棄物処理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使った有機廃棄物を成分とする肥料及び固形燃料の製造方法
JP2015161048A (ja) * 2014-02-28 2015-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7501712A1 (en) 2018-03-19
JP2016188743A (ja) 2016-11-04
JP6453137B2 (ja) 2019-01-16
WO2016158360A1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669B2 (ja) 汚泥を含む廃棄物の処理設備
US20050229824A1 (en) Two-stage wet waste gasifier and burner
EP1780465B1 (en) Particulate waste product 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H0739842B2 (ja) 固体燃料ボイラ内に飛散粒子を再注入する方法及び装置
BR112013009116B1 (pt) instalação e método de tratamento de resíduo
JP2013224810A (ja) 有機汚泥の処理装置と処理方法
CN102575847A (zh) 用于对热材料进行输送、冷却和能量回收的方法和装置
JPH03501997A (ja) 発電プラントの燃料としてゴミ燃料を使用する装置のゴミ燃料処理システム
CN207514894U (zh) 复杂混合燃料的气化燃烧系统
KR20170131410A (ko) 반송장치
KR20130011049A (ko) 비산재 분리 및 2차 연소기능을 갖는 연속 연소장치
WO2016158326A1 (ja) 搬送装置
JP6258102B2 (ja) 流動層式燃焼設備および流動層燃焼炉への流動媒体の供給方法
JP3186076U (ja) 高水分含有木屑チップ定量的供給機
CN102604660B (zh) 物料的调湿分级系统及调湿分级方法
JP6154699B2 (ja) ロータリーフィーダー
JP4906495B2 (ja) ボイラ設備および、灰を灰処理設備側に搬送するフィーダの制御方法
RU26313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мелко- и среднекусковых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2005343656A (ja) 粉粒体供給装置と燃焼装置とその運転方法
FI103608B (fi) Menetelmä ja laite osasmaisen materiaalin polttoon
RU74444U1 (ru) Котел с вихревой топкой и раздельными зонами дутья
CN112105870A (zh) 通过燃料燃烧产生热流体的优化方法和系统
JP2020059595A (ja) スクリューコンベア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改修方法
UA9452U (en) Drying-cleaning facility
Clamser et al. Solid fuel feed system for a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21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116

Effective date: 20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