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606A - 공작 기계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606A
KR20170128606A KR1020177031476A KR20177031476A KR20170128606A KR 20170128606 A KR20170128606 A KR 20170128606A KR 1020177031476 A KR1020177031476 A KR 1020177031476A KR 20177031476 A KR20177031476 A KR 20177031476A KR 20170128606 A KR20170128606 A KR 2017012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ing
machine tool
units
stand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645B1 (ko
Inventor
디르크 노이베르트
Original Assignee
사마그 자알펠데 베르크제우크마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마그 자알펠데 베르크제우크마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사마그 자알펠데 베르크제우크마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2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7/00Metal-working machines, or constructional combinations thereof, built-up from units designed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units can form parts of different machines or combinations; Units therefor in so far as the feature of interchangeability is important
    • B23Q37/007Modular machining stations designed to be link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60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6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with perpendicular axes, e.g. cross-slides
    • B23Q1/621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with perpendicular axes, e.g. cross-slides a single sliding pair followed perpendicularly by a single sliding pair
    • B23Q1/6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with perpendicular axes, e.g. cross-slides a single sliding pair followed perpendicularly by a single sliding pair followed perpendicularly by a single sliding 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7/00Metal-working machines, or constructional combinations thereof, built-up from units designed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units can form parts of different machines or combinations; Units therefor in so far as the feature of interchangeability is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23Q39/02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 B23Q39/021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with a plurality of toolheads per workholder, whereby the toolhead is a main spindle, a multispindle, a revolver or the like
    • B23Q39/022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with a plurality of toolheads per workholder, whereby the toolhead is a main spindle, a multispindle, a revolver or the like with same working direction of toolheads on same work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23Q2039/006Machines with multi-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6Spindle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공통 기계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및 제3 축 방향으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기계가공 유닛 및 하나의 제2 기계가공 유닛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며, 기계가공 유닛들의 양측에는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스탠드 유닛들이 제공되다.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생산 유연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 및 이용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앞에서 언급한 유형의 공작 기계에 있어서, 기계가공 유닛들이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을 통해 안내되면서 제1, 제2 및 제3 축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공작 기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기계가공 유닛이 제1 축 방향으로 제1 및/또는 제2 기계가공 유닛의 옆에 제공될 수 있고 다시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기계가공 폭을 보유하며, 모든 기계가공 유닛은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그리고/또는 동일한 이송 경로를 보유하는 것인, 상기 공작 기계를 통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공작 기계
본 발명은, 하나의 공통 기계 베이스(machine base)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및 제3 축 방향으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기계가공 유닛(machining unit) 및 하나의 제2 기계가공 유닛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며, 기계가공 유닛들의 양측에는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스탠드 유닛들이 제공된다.
공지된 공작 기계들의 경우, 각각의 공작 기계가 포함하는 기계가공 유닛들 또는 스핀들들의 개수는 이미 공작 기계의 개발 동안 결정되며, 그리고 공작 기계의 전체 수명 주기(life cycle) 동안 더 이상 변경될 수 없거나, 또는 단지 매우 많은 비용으로만 변경될 수 있다. 공작 기계들은, 단일 스핀들 공작 기계인지, 또는 다중 스핀들 공작 기계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예컨대 변동하는 제품 수요, 또는 상이한 부품 치수들을 갖는 피가공물들(workpiece)의 기계가공과 같은 생산 조건들과 관련하여 그에 상응하게 낮은 유연성을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공작 기계의 구입 시, 예컨대 기대되는 높은 수요량을 기반으로 많은 개수의 스핀들을 포함하는 비용 및 공간 집약적인 공작 기계를 필요로 하는지 여부, 또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개수의 스핀들 및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적은 생산량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더 저렴하고 공간을 절약하는 공작 기계를 구입할 것인지 여부를 처음부터 결정해야 한다. 그에 상응하게, 생산자는 생산 조건들의 변경 또는 수요의 변동 시 보통 유연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리고 필요한 경우 부족한 생산량으로 인해 매출 감소를 감수해야 하거나, 또는 상응하는 매출을 달성하지 못하면서 높은 구입 및 운영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오래전부터, 자신들의 스핀들이 3개의 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단일 스핀들 공작 기계들이 존재하였다. 또한, 예컨대 독일 공보 DE 20 2013 00 225 U1호로부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z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으면서 프레임 상에 고정된 2개의 작업 스핀들(work spindle)과, x 및 y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하나의 크로스 테이블(cross table)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유닛들이 공지되어 있다.
다중 스핀들 공작 기계들의 경우에서도 스핀들 이동성의 증가된 유연성을 통해 피가공물에 대한 증가된 접근성을 달성하기 위해, 2개의 스핀들이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면, 스핀들들은 2개의 축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변위 또는 이송될 수 있고, 그에 반해 작업 테이블(work table)은 하나의 추가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거나, 또는 2개보다 더 많은 스핀들이 서로 나란히 제공된다면, 스핀들들은 하나의 축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하나의 추가 축 방향에서는 서로 연결되고 그 결과 상기 추가 축 방향에서 함께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반해 여기서도 작업 테이블은 스핀들들에 상대적으로 제3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독일 공보 DE 195 03 482 C2호에서는, 예컨대 2개의 서로 이격된 수직 칼럼을 포함한 포털 공작 기계(portal machine tool)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경우 칼럼들의 서로 향해 있는 내면들 상에는, 하나의 캐리지(carriage) 상에 각각 제공되는 2개의 주축대(spindle stock)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송 가능하게 하는 수직 가이드들이 제공된다. 주축대들의 수평 이송성은 캐리지 상에 제공되는 수평 가이드들을 통해 보장된다. 그에 상응하게, 주축대들은 2개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3 이동 방향은 칼럼들 전방에 배치되어 주축대들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피가공물 홀더(workpiece holder)를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달성된다.
서로 상이한 크기의 피가공물들을 기계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독일 공보 DE 10 2009 031 830 B3호에서는, 자신의 기계가공 필드가 x 및 y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는 CNC 포털 공작 기계가 제안된다. x 방향으로 기계가공 필드를 확대하기 위해, 기계가공 필드는 연결 수단들로서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며, 이 기계적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추가 기계가공 필드들이 제1 기계가공 필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y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계가공 필드의 폭을 가변시키기 위해, 기계의 포털 가이드 레일들은 y 방향으로 견인 이격되며, 그리고 포털의 저부(foot)는 크로스바(cross bar)를 따라서 변위되면서 자신의 신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를 위해, 포털의 크로스바는 기계가공 필드의 측면을 넘어 돌출되며, 크로스바는 자신에 연결될 수 있는 연장 바(extension bar)를 통해서도 연장될 수 있다.
독일 공보 DE 977 459는 가변 기계가공 폭을 포함하는 평삭기(planing machine)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경우 평삭기는 크로스 멤버를 통해 연결되는 2개의 스탠드를 포함하고, 이 스탠드들은, 받침대(pedestal) 내에 포함된 기초판(base plate) 및 이 기초판 상에 안착된 베드(bed)와 나사들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기계가공 폭을 가변시키기 위해, 기초판은, 다양한 이격 간격들에 상응하게 다양한 스탠드의 위치들에서 스탠드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복수의 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앞에서 언급한 유형에 따르는 복수의 기계가공 유닛을 포함한 공작 기계로서, 공지된 공작 기계들에 비해 증가된 생산 유연성을 보유하는 상기 공작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의 공통 기계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및 제3 축 방향으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기계가공 유닛 및 하나의 제2 기계가공 유닛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로서, 기계가공 유닛들의 양측에는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스탠드 유닛들이 제공되고, 기계가공 유닛들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을 통해 안내되면서 제1, 제2 및 제3 축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공작 기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기계가공 유닛이 제1 축 방향으로 제1 및/또는 제2 기계가공 유닛의 옆에 제공될 수 있고 다시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기계가공 폭을 보유하며, 모든 기계가공 유닛은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그리고/또는 동일한 이송 경로를 보유하는 것인, 상기 공작 기계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제1 구성 변형예(configuration varaint)에 따라서 3개의 상이한 축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의 독립된 이송성은, 동시에 이동 가능한 작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도, 피가공물들의 유연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에 의해, 적어도 2개의 피가공물이 동시에 기계가공될 수 있고, 각각 하나의 기계가공 유닛은 하나의 피가공물을 기계가공하며, 이와 동시에 기계가공 유닛들은 동일한 기계가공 공정들 또는 서로 상이한 기계가공 공정들을 시간상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다축 기계가공은, 복잡한 기하구조 및 높은 복잡성을 갖는 피가공물들이 제조될 수 있고, 예컨대 피가공물들의 재고정(reclamping) 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원들(defect source)이 최소화될 수 있고, 기계가공 시간은 단축될 수 있으며, 피가공물들의 향상된 표면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는 장점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제1 구성 변형예에 따라서, 기계가공 유닛들은, 자신의 세로 측들이 제1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 상에서 안내된다. 이 경우, 기계가공 유닛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연결되어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을 따라서 제1 축 방향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성 변형예의 추가 양태는, 기계가공 유닛들이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 상에서 안내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들 상에서 이송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기계가공 유닛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또는 서로 함께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런 이송성을 통해, 기계가공 유닛들 간의 이격 간격은 간단하게 가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이미 제공된 기계가공 유닛 사이에, 또는 그들 옆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의 배치를 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을 제공하는 점은, 본원의 공작 기계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개수의 피가공물이 동시에 기계가공될 수 있음으로써, 높은 추가 비용이 야기되지 않으면서 공작 기계의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부 가이드 및/또는 하부 가이드는,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의 폭을 넘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부 가이드뿐만 아니라 하부 가이드 역시도 공작 기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및/또는 상부 가이드는 목적에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나 또는 적어도 2개의 평행한 연속 가이드 레일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상부 가이드 및/또는 하부 가이드는 각각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레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예컨대 각각의 개별 기계가공 유닛 상에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 상에 제공되는 가이드 레일들은 서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히 공작 기계 상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가이드들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통해서도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추가 가이드 부재를 통해서는 기계가공 유닛들 중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 사이의 이격 간격이 확대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 사이에 다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공작 기계로 상대적으로 더 큰 피가공물들을 기계가공할 수 있게 한다.
공작 기계가, 적어도 하나의 제3 기계가공 유닛이 제1 축 방향으로 제1 및/또는 제2 기계가공 유닛의 옆에 제공될 수 있고 다시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기계가공 폭을 보유하고, 모든 기계가공 유닛은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그리고/또는 동일한 이송 경로를 보유하는 것인 본 발명의 제2 구성 변형예는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앞에서 설명한 제1 구성 변형예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공작 기계는, 제2 구성 변형예에 따라서, 자신의 기계가공 폭이 비록 고정되어 결정되기는 하지만, 그러나 동일한 구조 및/또는 동일한 이송 경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이 제1 축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다시 분리될 수 있게끔 결정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다. 공작 기계의 상기 구현예는 특히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구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제2 구성 변형예에서 공작 기계 내에 추가로 통합될 수 있으면서 상기 공작 기계에서 다시 분리될 수도 있는 기계가공 유닛은, 공작 기계에 의해 이미 포함된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과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이송 경로를 보유한다. 이는 바람직한 것이지만,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앞에서 설명한 제1 구성 변형예에서도 반드시 해당하는 경우는 아니다. 그러나 공작 기계의 모든 기계가공 유닛은 단지 동일한 이송 경로만을 보유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동일한 구조만을 보유할 수도 있다.
기계가공 유닛들 사이의 이격 간격의 가변성을 통해, 공작 기계의 기계가공 유닛들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고 또 다른 이송 경로 및/또는 또 다른 구조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기계가공 유닛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공작 기계에 의해 포함되는 기계가공 유닛들의 개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거나, 감소될 수 있거나, 또는 증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계가공 유닛을 교환하거나, 분리하거나, 또는 보충하는 것을 통해, 또 다른 치수들, 기하구조들 및/또는 재료 특성들을 보유한 피가공물들이 문제없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에 의해 기계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제2 구성 변형예의 경우, 반드시 기계가공 유닛들이 상부 및 하부에서 안내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포털 기계로서 형성된 공작 기계의 스탠드 유닛들, 또는 기계가공 유닛들은, 결과적으로 총 3개의 이동 방향으로 기계가공 유닛들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지 적어도 하나의 하부 가이드를 통해서만 안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계가공 유닛들은 예컨대 스탠드 유닛들 사이에 위치하는 공작 기계의 브리지(bridge) 상에 간단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기계가공 유닛들을 위해 단지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또는 단지 적어도 하나의 하부 가이드만이 공작 기계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런 적어도 하나의 상부 또는 하부 가이드는 예컨대 공작 기계의 브리지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성 변형예의 경우뿐만 아니라 제2 구성 변형예의 경우에서도, 추가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가공 유닛은, 공작 기계의 이미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가공 유닛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고도,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계가공 유닛의 옆에 제공될 수 있지만, 그러나 이미 제공된 기계가공 유닛들 중 2개 또는 그 이상의 기계가공 유닛과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은 추가 기계가공 유닛들로부터 분리되어서도 예컨대 공작 기계의 브리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브리지 상에는, 예컨대 추가 가이드들 및/또는 파지 장치들(holding device)이 제공될 수 있다.
기계가공 유닛들의 이송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선형 모터 또는 스레드 드라이브(threaded drive)에 의해 실현되며, 공작 기계에서 상기 구동장치의 구성 및 배치는 가변적이면서 각각의 작동 조건들에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가이드 상에 별도의 구동장치 및/또는 제동 장치(braking de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공작 기계의 복수의 기계가공 유닛이 구동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구동장치로 단지 기계가공 유닛들의 개별 축 방향들로의 이송만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은 하나의 공통 기계 베이스 상에서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스탠드 유닛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기계가공 유닛들 중 적어도 2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스탠드 유닛들의 측면들이면서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기 측면들 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기계가공 유닛들은, 자신들이 총 3개의 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탠드 유닛들 상에서, 예컨대 이 스탠드 유닛들의 측면들이면서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기 측면들 상에 제2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들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들 상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이송될 수 있으면서 기계가공 유닛을 수용하는 각각 하나의 캐리지가 배치되며, 이 캐리지는, 자신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가공 유닛이 제2 및 제3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제1 축 방향을 따르는 기계가공 유닛들의 이동은 예컨대 스탠드 유닛들을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변형예(performing variant)에서, 스탠드 유닛들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 상에서 안내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은 공작 기계의 기능상 적합한 정렬로 스탠드 유닛들의 상향하거나 하향하는 측면들 상에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스탠드 유닛들은 서로 함께,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부 가이드들은 공통 기계 베이스 상에 제공되며, 그에 반하여 상부 가이드들은 공작 기계의 상부 부분 상에, 예컨대 공작 기계의 브리지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추가 실시형태에서, 상부 가이드들뿐만 아니라 하부 가이드들은 스탠드 유닛들의 측면 표면들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도 장착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들을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기계가공 공정 동안 또는 후에, 선행 공정 시퀀스들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후행 공정들에서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정 보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들을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그러나 앞에서 기재한 것처럼도, 스탠드 유닛들 사이의 기계가공 폭이 가변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기계가공 공간이 확대될 수 있으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이 공작 기계의 가공 영역 내에 간단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은 다시 분리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스탠드 유닛들 사이의 기계가공 공간은 다시 축소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들 사이의 기계가공 폭을 변경하는 점은, 추가 기계가공 유닛들이 제공될 수 있지만, 오히려 그 결과로 가능해지는 기계가공 폭의 변경 가능성을 통해 서로 상이한 치수들을 갖는 피가공물들 역시도 기계가공된다는 장점 이상을 제공한다.
스탠드 유닛들의 이송성은 연속적으로, 또는 일부 섹션에서도, 예컨대 사전 설정된 단계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스탠드 유닛들은, 정확히 기계가공 유닛들과 똑같이, 스탠드 유닛들을 연결하는 하나의 공통 상부 가이드뿐만 아니라 하부 가이드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 분리된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의 상부 및/또는 하부 가이드는 스탠드 유닛들 상에, 또는 스탠드 유닛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들을 따르는 스탠드 유닛들의 이동은 예컨대 선형 모터 또는 스레드 드라이브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장치의 배치 및 구성은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작 기계의 각각의 요건들 및 작동 조건들에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가공 장치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 변형예에 따라서, 기계가공 유닛들 중 적어도 2개는 제1, 제2 및/또는 제3 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기계가공 유닛들의 연결은, 복수의 기계가공 유닛을 이송시키기 위해, 보다 적은 개수의 구동 유닛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기계가공 유닛의 비용은 최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기계가공 유닛들을 연결하는 것을 통해, 공작 기계의 프로그래밍 및/또는 조작 복잡성 역시도 감소될 수 있다.
기계가공 유닛들은 연결은 특히 기계가공 유닛들의 독립적인 이동이 3개의 상이한 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에서 필요하지 않을 때 제공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총 3개의 축 방향으로 기계가공 유닛들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기계가공 유닛들이 다시 분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기계가공 유닛들 사이에서 이용되는 커플링 장치를 형성하거나 선택하는 점이 권장된다.
생산 공정에 따라서, 상응하는 기계가공 유닛들의 모든 이동 방향은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오직 기계가공 유닛들의 하나 또는 2개의 이동 방향만이 연결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기계가공 유닛들의 개수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반드시 공작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기계가공 유닛이 연결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단지 2개만, 또는 3개만, 또는 또 다른 개수의 기계가공 유닛 역시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지 단일의 축 방향으로만, 그리고 모든 축 방향 중 일부 축 방향으로만 기계가공 유닛들 중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의 이동을 연결할 수도 있다.
공작 기계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형태에서, 기계가공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또는 제2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피가공물들의 4배 또는 5배의 유연한 기계가공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계가공 유닛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기계가공 유닛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1 및/또는 제2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개별 기계가공 유닛들의 회동 운동들은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반대하는 방향으로, 서로 함께, 또는 서로 상이한 각도 배향(angular orientation)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대안의 구성 변형예에서, 기계가공 유닛들 중 적어도 2개는 제1 및/또는 제2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자신들의 회동 운동 중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기계가공 유닛들의 선형 운동을 연결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계가공 유닛들의 회동 운동들을 연결하는 점 역시도, 적은 개수의 구동장치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비용은 감소될 수 있으며 공작 기계의 프로그래밍 및/또는 조작 복잡성도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개별 기계가공 유닛들의 회동 운동의 연결은 지속적일 수 있지만,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은 다시 분리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기계가공 유닛들의 회동 운동은 필요한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가공 유닛의 일 추가 실시예에서, 공작 기계의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switch board)은 공작 기계의 상부 반부(upper half) 내에 배치된다. 이런 배치를 통해, 공작 기계의 주위 영역은 비워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공작 기계의 컴포넌트들에 대해 더 나은 접근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예컨대 공작 기계에서의 설치 작업 및/또는 유지복수 작업을 간소화한다.
공작 기계의 상부 반부로서 간주되는 부분은 공작 기계의 기능상 적합한 정렬 또는 설치에서 공작 기계의 높이의 중심 상부에 위치하는 반부이다. 바람직하게는 배전반은 공작 기계의 상기 설치에서 상향 정렬되면서 기계 루프로서 이용되는 표면 상에 장착된다. 이는, 배전반을 위한 복잡한 고정 장치가 공작 기계 상에 제공될 필요 없이, 배전반이 기계 상에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배전반은 공작 기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벽부 상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배전반에 특히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 경우, 배전반은 별도의 고정 장치에 의해 공작 기계의 측면 벽부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공작 기계와 간단히 나사 결합되거나, 리벳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될 수 있다. 공작 기계의 설치 위치 및 구성에 따라서, 배전반의 배치는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그 구성, 기능 및 장점들은 하기에서 도면들을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가능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작 기계를 상부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추가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되고 추가 기계가공 유닛을 포함한 공작 기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재차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추가 구성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1)의 가능한 구성이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작 기계(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핀들의 형태로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2, 2')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이다.
도 1에 도시된 공작 기계(1)는 기계 베이스(3)를 포함하며, 이 기계 베이스 상에 2개의 스탠드 유닛(4, 4')이 제공된다. 스탠드 유닛들(4, 4')은 각각 기계 베이스(3) 상에 제공되는 수평의 하부 가이드(6, 6') 및 수평의 상부 가이드(5, 5')에 의해 제1 축 방향(x)을 따라서 안내된다. 도시된 스탠드 유닛들(4, 4')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렇게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함께 이송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들(4, 4')의 상기 유형의 이송성은 공작 기계(1)의 높은 유연성 및 높은 생산 정밀도를 생성한다. 스탠드 유닛들(4, 4')의 이송성은, 이미 공작 기계(1)에 제공된 기계가공 유닛들(2, 2')과의 교환으로, 또는 그에 보충하여 공작 기계(1)에 추가 또는 대안의 기계가공 유닛들(2, 2')을 제공하여 복수의 상이한 피가공물을 기계가공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선행 공정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후행 기계가공 공정들에서 방지하거나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계가공 공정 동안 공정들에 대해 보정을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기도 있다.
그러나 공작 기계(1)의 추가 구성 변형예들에서, 스탠드 유닛들(4, 4')은, 결과적으로 예컨대 공작 기계(1)의 프로그래밍 및/또는 조작 복잡성 및 비용을 적게 유지하기 위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탠드 유닛들(4, 4')은 다시 분리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런 식으로 공작 기계의 유연성이 불필요하게 제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공작 기계(1)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계가공 유닛들(2, 2')은 스탠드 유닛들(4, 4') 상에 장착된다. 기계가공 유닛들(2, 2')은, 스탠드 유닛들(4, 4') 상에 장착된 수직 가이드들(10, 10') 상에 캐리지의 형태로 제공되는 수평 가이드들(11, 11')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들(4, 4') 상에 포지셔닝된 수직 가이드들(10, 1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탠드 유닛들(4, 4')의 측면들이면서 제1 축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기 측면들 상에 제공된다. 수직 가이드들(10, 10') 상에서 기계가공 유닛들(2, 2')은 제2 축 방향(y)을 따라서 이송될 수 있다.
수평 가이드들(11, 11')은 제3 축 방향(z)으로 기계가공 유닛들(2, 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축 방향(x)을 따르는 기계가공 유닛들(2, 2')의 이송은 가이드들(5, 5', 6, 6')을 따라서 안내되는 스탠드 유닛들(4, 4')의 이동을 통해 가능해진다. 스탠드 유닛들(4, 4')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모터들(7, 7')에 의해 실현되지만, 그러나 스레드 드라이브 또는 또 다른 구동장치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7, 7')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가이드들(6, 6')의 단부들 상에 장착되지 않아도 되며, 그 대신 공작 기계(1)의 각각의 임의의 위치에, 또는 공작 기계(1)의 외부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장치들(7, 7')의 치수 설계 역시도 가변될 수 있고 구동장치(7, 7')의 작동 조건들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7, 7')는, 앞에서 기재한 것처럼, 복수의 기계가공 유닛(2, 2')을 위한, 그리고/또는 복수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들(4, 4')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평 가이드들(11, 11') 및 기계가공 유닛들(2, 2') 역시도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들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용되는 구동장치들 역시도 공작 기계(1)에서 자신들의 치수 설계 및 배치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가변적일 수 있다. 또한, 앞에서 기재한 것처럼, 공작 기계(1)의 복수의 컴포넌트는 하나의 공통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공작 기계(1)의 기계가공 폭(B)은 스탠드 유닛들(4, 4') 간의 이격 간격을 통해 결정된다. 스탠드 유닛들(4, 4')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공작 기계(1)의 기계가공 폭(B)은 확대될 수 있으며, 그리고 스탠드 유닛들(4, 4')을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공작 기계(1)의 기계가공 폭(B)은 축소될 수 있다. 최대 기계가공 폭(B)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5, 5', 6, 6')의 길이를 통해 범위 한정되며, 기계가공 폭(B)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5, 5', 6, 6')의 단부들 상에 추가 가이드 부재들을 장착하는 것으로 통해 확대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동장치(7, 7')는, 자신의 위치가 간단히 변경될 수 있도록 유연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가이드들(5, 5', 6, 6')을 연장할 때 구동장치(7, 7')를 신규 구동장치로 교환할 수도 있다.
스탠드 유닛들(4, 4')의 이송 및 그에 따른 기계 기공 폭(B)의 가변은, 앞에서 서술한 것처럼, 공작 기계(1) 상에서 상이한 치수들을 갖는 피가공물들이 최적으로 기계가공될 수 있게 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2")이 공작 기계(1) 상에 제공될 수 있게 하며, 그럼으로써 공작 기계(1)의 생산량은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2")은 예컨대 기계가공 유닛들(2, 2') 사이에, 또는 기계가공 유닛들(2, 2') 중 하나의 옆에도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기계가공 유닛들 또는 상기 기계가공 유닛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 기계가공 유닛(2")은 하나 또는 2개의 이웃한 기계가공 유닛(2, 2')과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공작 기계(1)에 이미 제공된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2, 2')의 이동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완전하게 분리되어 공작 기계(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계가공 유닛들(2, 2')은 동일한 구조를 보유하지만, 그러나 대안의 구성 변형예들에서는 서로 상이한 구조들을 보유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가공 유닛들(2, 2')은 도 1의 예시에서 동일한 이송 경로 역시 보유할 수 있지만, 그러나 서로 상이한 이송 경로들 역시도 보유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공작 기계(1)는 자신을 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하지만, 이 하우징은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에는, 도 1의 공작 기계(1)가 상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보이는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컴포넌트들을 지시하며, 그로 인해 이와 관련하여 상기 컴포넌트들의 상술한 기재내용이 참조된다.
도 2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1)의 더 나은 도해를 위해, 공작 기계(1)의 하우징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2에는, 제3 축 방향(z)으로 수평 가이드들(11, 11')에 의한 기계가공 유닛들(2, 2')의 이동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수직 가이드들(10, 10')을 따르는 제2 축 방향(y)으로 기계가공 유닛들(2, 2')의 이동 역시도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들(6, 6', 10, 10', 11, 11')은 각각 2개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예시로서 가이드들(5, 5') 상에서처럼 단지 하나의 가이드 레일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원칙상 공작 기계(1) 상에서 이용되는 모든 가이드(5, 5', 6, 6', 10, 10', 11, 11')는 임의로 형성될 수 있으면서 임의의 길이를 보유할 수도 있다. 가이드들(5, 5', 6, 6')의 길이를 결정할 때, 오직 가이드들(5, 5', 6, 6')의 길이 및 가이드들(5, 5', 6, 6') 간의 이격 간격을 통해 실질적으로 공작 기계(1)의 최대 기계가공 폭(B)이 결정된다는 점에만 유념하면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달리, 공작 기계(1)는 본 발명의 미도시한 추가 실시형태에서 스탠드 유닛들(4, 4')을 위한 하나의 공통 상부 및/또는 하부 가이드(5", 6")를 포함하고 분리된 가이드들(5, 5' 및 6, 6')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a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1')의 추가 구현예가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컴포넌트들을 지시한다. 이로써 상기 컴포넌트들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들이 참조된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탠드 유닛들(4, 4')은 오직 하나의 하부 가이드(6")를 통해서만 안내되고 상부 가이드들(5, 5')을 통해서는 안내되지 않는다. 공작 기계(1)의 앞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변형예들과 달리, 도 3a에서의 스탠드 유닛들(4, 4')은 하나의 공통 가이드(6") 상에서도 안내되지만, 그러나 2개의 분리된 가이드(6, 6')에 의해서는 안내되지 않는다.
도 3a에 도시된 공작 기계(1')의 스탠드 유닛들(4, 4')은 브리지(12)에 의해 연결되며, 그럼으로써 기계가공 유닛들(2, 2')은 제1 축 방향(x)에서 오직 함께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2 축 방향(y) 및 제3 축 방향(z)에서 기계가공 유닛들(2, 2')은 공작 기계(1')에서도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기계식 커플링 장치들을 이용하여 제2 축 방향(y) 및 제3 축 방향으로 기계가공 유닛들의 이동들 역시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공작 기계(1')는, 스탠드 유닛들(4, 4')이 상부 가이드(5, 5'), 또는 스탠드 유닛들(4, 4')을 서로 연결하는 브리지(12)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스탠드 유닛들(4, 4')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적어도 하나의 하부 가이드(6, 6', 6")를 통해서 안내되는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공작 기계(1')의 상기 구성 변형예의 경우, 스탠드 유닛들(4, 4')은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5, 5')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 방향(x)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공작 기계(1')의 기계가공 폭(B)은, 스탠드 유닛들(4, 4')이 이송될 수 있는 공작 기계(1)의 실시형태들에서와 달리 가변될 수 없다. 그러나 도 3a에 도시된 공작 기계(1)의 기계가공 폭(B)은, 두 기계가공 유닛(2, 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2")이 제공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추가로 제공되는 기계가공 유닛(2")은 바람직하게는 공작 기계(1')의 이미 제공된 두 기계가공 유닛(2, 2')과 동일한 이송 경로 및/또는 동일한 구조를 보유한다.
도 3a에서의 공작 기계(1')는 브리지(12)를 이용하여 스탠드 유닛들(4, 4')을 연결하는 것을 통해 특히 높은 기계적 하중지지능력을 보유한다.
도 3b에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면서 추가 기계가공 유닛(2")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1')가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이미 앞에서 이용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컴포넌트들을 지시하며, 이로써 상기 컴포넌트들에 대해서는 상술한 기재내용이 참조된다.
기계가공 유닛들(2, 2') 사이에 추가로 제공되는 기계가공 유닛(2")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계가공 유닛들(2, 2')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그럼으로써 총 3개의 기계가공 유닛(2, 2', 2")은, 적어도 제1 축 방향(x) 및 제2 축 방향(y)에서 동일한 이동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추가 기계가공 유닛(2")은 본 발명의 미도시한 또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오직 두 기계가공 유닛(2, 2') 중 하나와만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두 기계가공 유닛(2, 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모든 기계가공 유닛(2, 2', 2")은 동일한 이동을 실행하지 않아도 되며, 여기서는 오직 추가로 삽입된 기계가공 유닛(2") 및 이 기계가공 유닛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가공 유닛(2 또는 2')만이 동일한 이동을 실행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 추가로 제공되는 기계가공 유닛(2")과 연결되지 않은 기계가공 유닛(2 또는 2')은 다른 두 기계가공 유닛(2 또는 2'와 2")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공작 기계(1')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공작 기계의 기계가공 폭(B)은, 하나보다 더 많은 개수의 추가 기계가공 유닛(2")이 두 기계가공 유닛(2, 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크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떤 기계가공 유닛들 및 이동 방향들이 연결되는지가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권장되는 점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작 기계의 기계가공 유닛들 간의 연결부들은 다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1")의 추가 구성 변형예가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도 이미 이용되는 도면부호들은 공작 기계(1")의 컴포넌트들이면서 앞에서 기재한 도면들에서와 동일한 상기 컴포넌트들을 지시한다.
도 4에는, 공작 기계(1")의 하우징(13)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하우징(13)의 상향하는 루프 표면 상에는 배전반(8)이 제공된다. 공작 기계(1")의 루프 상에서 배전반(8)의 배치를 통해, 공작 기계의 사용자는 공작 기계(1")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공작 기계(1")에서 가능한 결함원 해소, 유지보수 또는 수리는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작 기계(1") 상에 배전반(8)을 제공함으로써, 전체 공작 기계(1")의 공간 소요는 최소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 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도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달리, 배전반(8)은 공작 기계(1")의 하우징(13)의 측면 벽부의 상부 영역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전반(8)이 공작 기계(1")의 루프 상에 배치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작 기계(1")는 그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게 유지되며, 결국 공작 기계(1")의 사용자는 배전반(8)에도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가장 단순한 경우, 배전반(8)은 나사 또는 리벳 연결부들을 통해 하우징(13)과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공작 기계(1")의 하우징(13) 상에 배전반(8)을 파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역시도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공작 기계(1")의 가능한 조립 및/또는 분해를 위해, 공작 기계(1")의 하우징과 배전반(8)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점도 제공된다.
또한, 공작 기계(1")가 복수의 배전반(8)을 포함한다면, 공작 기계(1")의 루프 상에, 그리고/또는 공작 기계(1")의 측면 벽부들의 상부 영역들 상에 복수의 배전반(8)을 분포되게 장착할 수도 있다. 그에 상응하게,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8)의 배치는 공작 기계(1")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도 4에는, 오직 자신의 하우징(13) 상에, 특히 자신의 루프 상에 하나의 배전반(8)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1")의 일 실시예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 변형예들에서, 공작 기계(1")의 하우징(13)의 내부는 상술한 구현예들에 기재된 것처럼 다른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공작 기계(1")는 예컨대 도 4의 도면에서와 달리 연속적인 가이드들(5", 6")을 포함하고, 분리된 가이드들(5, 5', 6, 6')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개수의 기계가공 유닛(2, 2') 역시도 공작 기계(1")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스탠드 유닛들(4, 4')은 오직 하부에서만 안내될 수 있고 상부에서는 필요한 경우 브리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Claims (6)

  1. 하나의 공통 기계 베이스(3)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제1 축 방향(x)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및 제3 축 방향(y, z)으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기계가공 유닛(2) 및 하나의 제2 기계가공 유닛(2')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1, 1', 1")로서, 기계가공 유닛들(2, 2')의 양측에는 제1 축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는 스탠드 유닛들(4, 4')이 제공되는 것인, 상기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공 유닛들(2, 2')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5, 5', 6, 6', 6")을 통해 안내되면서 상기 제1,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축 방향(x, y, z)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5, 5', 6, 6')은 상기 스탠드 유닛들(4, 4')의 상향하거나 하향하는 측면들 상에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들(5, 5', 6, 6')은, 상기 기계가공 유닛들(2, 2', 2") 중 적어도 2개의 기계가공 유닛 사이의 이격 간격이 확대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통해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공작 기계(1')는, 고정된 기계가공 폭(B)이지만,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제3 기계가공 유닛(2")이 상기 제1 축 방향(x)으로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기계가공 유닛(2, 2')의 옆에 제공될 수 있으면서 다시 분리될 수 있도록 결정되면서도 상기 스탠드 유닛들(4, 4') 간의 이격 간격을 통해서도 결정되는 상기 기계가공 폭(B)을 보유하고, 상기 모든 기계가공 유닛(2, 2', 2")은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그리고/또는 동일한 이송 경로를 보유하며, 상기 공작 기계(1')의 상기 스탠드 유닛들(4, 4')은, 상기 기계가공 유닛들(2, 2', 2")이 상기 제1 축 방향(x)으로 오직 함께만 이송될 수 있게 하는 브리지(1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유닛들(4, 4')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들(5, 5', 6, 6', 6") 상에서 안내되면서 이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3. 제1항 및 제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공 유닛들(2, 2', 2")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제1, 상기 제2 및/또는 상기 제3 축 방향(x, y, z)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공 유닛들(2, 2', 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축 방향(x, y)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공 유닛들(2, 2', 2")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축 방향(x, y)을 중심으로 하는 자신들의 회동 운동 중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 기계(1")의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8)은 상기 공작 기계(1")의 상부 반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KR1020177031476A 2015-04-01 2016-03-29 공작 기계 KR102472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5043.9A DE102015105043A1 (de) 2015-04-01 2015-04-01 Bearbeitungsmaschine
DEDE102015105043.9 2015-04-01
PCT/IB2016/051767 WO2016157078A1 (de) 2015-04-01 2016-03-29 Bearbeitungs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606A true KR20170128606A (ko) 2017-11-22
KR102472645B1 KR102472645B1 (ko) 2022-11-30

Family

ID=5564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476A KR102472645B1 (ko) 2015-04-01 2016-03-29 공작 기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80085879A1 (ko)
EP (1) EP3075490B1 (ko)
KR (1) KR102472645B1 (ko)
CN (2) CN107427975A (ko)
CA (1) CA2985962A1 (ko)
DE (1) DE102015105043A1 (ko)
DK (1) DK3075490T3 (ko)
ES (1) ES2737229T3 (ko)
HU (1) HUE045475T2 (ko)
PL (1) PL3075490T3 (ko)
PT (1) PT3075490T (ko)
SI (1) SI3075490T1 (ko)
TR (1) TR201910512T4 (ko)
WO (1) WO2016157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9748A1 (de) * 2017-12-13 2019-06-13 Eurolaser Gmbh Positionierungssystem und Materialbearbeitungsmaschine
IT201900007374A1 (it) * 2019-05-27 2020-11-27 Qdesign S R L Stazione multi-mandrino per celle robotizz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453A (en) * 1984-09-24 1985-05-14 Parham Jr Walter J Control and guidance apparatus for use with powered tools
US6666632B1 (en) * 1999-09-07 2003-12-23 Renault Automation Comau Twin-spindle machin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77459C (de) 1950-05-17 1966-06-23 Waldrich Gmbh H A Hobel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Staender
ES1019199Y (es) * 1991-11-04 1992-10-16 Ona Electro-Erosion, S.A. Estructura para maquina-herramienta, en particular maquina-herramienta de electroerosion.
DE19503482C2 (de) 1995-02-03 1996-12-05 Honsberg Gmbh Geb Werkzeugmaschine mit einem Ständer, an dem zwei Spindelstöcke unabhängig voneinander verfahrbar sind
DE19723702B4 (de) * 1997-06-06 2011-03-31 Niles-Simmons Industrieanlagen Gmbh CNC-Dreh- und Fräsbearbeitungszentrum
DE10054965A1 (de) * 1999-11-04 2001-05-23 Pcc Olofsson Lansing Standardisierte Werkzeugmaschinenelemente für einen modularen Aufbau von Werkzeugmaschinen
ITBO20010134A1 (it) * 2001-03-13 2002-09-13 Jobs Spa Macchina utensile
FR2857894B1 (fr) * 2003-07-24 2006-11-17 Camau Systemes France Machine-outil et procedes d'usinage
CN100402215C (zh) * 2005-04-12 2008-07-16 冯展华 齿轮加工装置
DE102006026184A1 (de) * 2006-05-30 2007-12-06 Index-Werke Gmbh & Co. Kg Hahn & Tessky Drehbearbeitungszentrum
CN201154447Y (zh) * 2007-10-12 2008-11-26 吴解弟 一种高效率的多轴运动数控机床
DE102009025009A1 (de) * 2009-06-16 2010-12-23 Mag Ias Gmbh Werkzeugmaschine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DE102009031830B3 (de) 2009-07-03 2011-03-03 Michael Schneeloch CNC-Bearbeitungsmaschine
JP2012071402A (ja) * 2010-09-29 2012-04-12 Hitachi Via Mechanics Ltd 穴明け加工装置
CN102152162B (zh) * 2011-01-25 2013-08-14 北京灿烂阳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携式拼接导轨及对接方法和工装夹具
CN102328234A (zh) * 2011-08-04 2012-01-25 四川欧曼机械有限公司 新型多轴加工机械
DE202013000225U1 (de) 2013-01-11 2014-04-14 Bumotec Sa Bearbeitungseinheit mit zwei Arbeitsspindeln
CN103264288B (zh) * 2013-04-26 2016-02-10 清华大学 一种具有多独立加工单元的龙门移动式机床
CN103341916A (zh) * 2013-07-23 2013-10-09 济南志力数控机械有限公司 石墨块专用卧式多主轴双面数控钻床
CN203557218U (zh) * 2013-09-26 2014-04-23 佛山市普拉迪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双机头数控机床
CN203557219U (zh) * 2013-09-26 2014-04-23 佛山市普拉迪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多轴机头数控机床
CN103962611B (zh) * 2014-05-07 2017-12-19 广州新成机械技术有限公司 组合式铣床
CN203863164U (zh) * 2014-06-16 2014-10-08 东莞台一盈拓科技股份有限公司 大型电火花机床的龙门结构
CN104043877B (zh) * 2014-06-23 2016-08-24 西安交通大学 一种龙门床身滚齿机工件压紧与端面铣削复合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453A (en) * 1984-09-24 1985-05-14 Parham Jr Walter J Control and guidance apparatus for use with powered tools
US6666632B1 (en) * 1999-09-07 2003-12-23 Renault Automation Comau Twin-spindle machin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7975A (zh) 2017-12-01
ES2737229T3 (es) 2020-01-10
HUE045475T2 (hu) 2019-12-30
WO2016157078A1 (de) 2016-10-06
PL3075490T3 (pl) 2019-09-30
EP3075490A3 (de) 2016-11-02
CN114055194A (zh) 2022-02-18
EP3075490A2 (de) 2016-10-05
PT3075490T (pt) 2019-07-17
EP3075490B1 (de) 2019-04-17
KR102472645B1 (ko) 2022-11-30
DE102015105043A1 (de) 2016-10-06
CA2985962A1 (en) 2016-10-06
SI3075490T1 (sl) 2019-11-29
DK3075490T3 (da) 2019-07-29
US20180085879A1 (en) 2018-03-29
TR201910512T4 (tr)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961B2 (en) Machining apparatus and machining method
CN100404190C (zh) 激光加工机中的喷嘴交换盒
KR20130119292A (ko) 수평식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구비된 다축 수직형 머시닝센터 및 툴 교환 방법
US9061386B2 (en) Machine tool
US10926373B2 (en) Honing machine with a machine frame and at least two unit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chine frame
US20180370069A1 (en) Woodworking work table and multipurpose woodworking device
CN104023907B (zh) 机床
US20060188352A1 (en) Machine tool
CN107708916B (zh) 激光加工机、激光加工方法、板材加工系统及板材加工方法
CN104607702A (zh) 一种立式精铣机
US10894292B2 (en) Machine tool
KR101239890B1 (ko) 벤딩파이프 가공시스템
TW201704126A (zh) 托板搬送裝置
KR20140014316A (ko) 공작 기계 라인
KR20120090196A (ko) 연속 툴 교체가 가능한 다축 스핀들이 구비된 가공장치
KR102472645B1 (ko) 공작 기계
US20060048361A1 (en) Double-spindle machine-tool
US20220097186A1 (en) Multifunctional machining center
CN111570840A (zh) 立卧一体式钻孔装置
JPH07251386A (ja) 特にプリント回路基板のための機械式板加工用マシン
JP4339711B2 (ja) 機械加工システム
CN103796791A (zh) 机床和工具更换方法
KR20120109847A (ko) 다축의 스핀들로 툴 교체가 가능한 칼럼 이동형 가공장치
KR101327274B1 (ko) 다수 공작물의 동시 가공장치
KR20010057034A (ko) 레이저용접용 판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