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929A - 췌장암 및 기타 암에 대한 면역요법에서의 사용을 위한 펩티드 및 펩티드의 조합 - Google Patents

췌장암 및 기타 암에 대한 면역요법에서의 사용을 위한 펩티드 및 펩티드의 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929A
KR20170126929A KR1020177025935A KR20177025935A KR20170126929A KR 20170126929 A KR20170126929 A KR 20170126929A KR 1020177025935 A KR1020177025935 A KR 1020177025935A KR 20177025935 A KR20177025935 A KR 20177025935A KR 20170126929 A KR20170126929 A KR 20170126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cancer
cell
cells
pept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니 바인쉥크
옌스 프리췌
하르프레트 싱
안드레아 마르
마르티나 오트
클라우디아 바그너
올리버 쇼르
Original Assignee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2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61K39/001174Proteoglycans, e.g. glypican, brevican or CSPG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48Tumour specific antigens; Tumour rejection antigen precursors [TRAP], e.g. M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39MHC-molecules, e.g. HLA-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3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MHC-molecules, e.g. HLA-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5Aptamers, i.e. nucleic acids binding a target molecule specifically and with high affinity without hybridising therewith ; Nucleic acids binding to non-nucleic acids, e.g. apta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9Dendritic cells, e.g. Langherhans cells in the epiderm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8Antigen-pulsed cells, e.g. T-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6Apta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요법 방법에서의 사용을 위한 펩티드, 단백질, 핵산 및 세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의 면역요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단독 또는 예를 들어 백신 조성물의 활성 약학적 성분으로 역할가능한 기타 종양 연관 펩티드들과 병용하여 항종양 면역 반응을 촉진하거나 세포를 생체외 촉진하여 환자로 이전하기 위한 종양 연관 T 세포 에피톱에 관한 것이다. 주조직적합 복합체(MHC)의 분자에 결합된 펩티드 또한 그러한 펩티드는 항체, 용해성 T 세포 수용체 및 기타 결합하는 분자의 표적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췌장암 및 기타 암에 대한 면역요법에서의 사용을 위한 펩티드 및 펩티드의 조합
본 발명은 면역요법에 사용되는 펩티드, 단백질, 핵산 및 세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의 면역요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양 연관 T 세포 에피톱을 단독으로 또는 예를 들어 백신 조성물의 활성 약학적 성분으로 역할가능한 기타 종양 연관 펩티드들과 병용하여 항종양 면역 반응을 촉진하거나 T 세포를 생체외 자극하여 환자에게 이전하는 것과 관련된다. 주조직적합 복합체(MHC)의 분자에 결합된 펩티드 또는 그러한 펩티드는 항체, 용해성 T 세포 수용체 및 기타 결합하는 분자의 표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항종양 면역 반응을 이끌어내는데 필요한 백신 조성물에 또는 약학적/면역학적 활성 화합물 및 세포의 개발에 필요한 표적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인간 종양 세포의 HLA 클래스 I 분자로부터 유래하는 몇몇 신규 펩티드 서열들 및 이들의 변이체들에 관한 것이다.
췌장암은 세계에서 가장 공격적이고 치명적인 암의 하나이다. 2012년에, 췌장암은 세계적으로 남자에서는 178,000건이 발생하여 12번째로 가장 흔한 암이었으며, 여자에서는 160,000건으로 11번째로 가장 흔한 암이었다. 같은 해에 330,000건의 사망이 보고되었으며, 이에 따라 췌장암은 암 사망 원인 중 7위이다(World Cancer Report, 2014).
췌장암은 단일의 암 객체가 아니라 몇몇 뚜렷한 아형을 구별해야 한다. 외분비 종양이 모든 췌장암의 약 95%를 차지하며, 이에는 췌관 및 선방형 선암종,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IPMN), 고형 가유두상 종양, 점액성 낭성 선암 및 장액성 남선종이 포함된다. 모든 췌장암의 나머지 5%는 췌장 신경내분비 종양의 하위군에 속한다(World Cancer Report, 2014).
침윤성 췌관 선암종은 가장 공격적인 췌장암의 형태를 나타나며, 높은 빈도로 인해(모든 췌장암의 90%) 역학 데이터는 주로 이 특정한 아형을 반영한다(World Cancer Report, 2014).
2012년에, 모든 신규 사례의 68%는 선진 국가에서 발생했으며, 중부 및 동부 유럽, 북미,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및 호주에서의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반대로 아프리카와 동아시아 지역의 대부분 국가에서는 낮은 발생률을 보인다. 세계적으로 발생률은 두 성별 모두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안정성 있게 나타났다(World Cancer Report, 2014).
췌장암은 구체적인 증상의 결여로 인해 전형적으로 진행 단계 및 흔히 이미 전이된 단계에서 진단된다. 진단 시점에서 예후는 매우 불량하여 5년 생존율은 5%이고 사망률 대 발생률 비는 0.98이다(World Cancer Report, 2014).
췌장암 발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몇몇 요인이 보고된 바 있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진단 시 65세 이상인 것에 따른 고령, 및 미국의 경우 흑인이 백인에 비해 위험이 1.5배 높다는 것에 따른 인종이 포함된다.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 체지방, 당뇨병, 비-0 AB0 혈액형, 췌장염 및 췌장암의 가족력이 있다(World Cancer Report, 2014).
모든 췌장암 사례의 최대 10%는 가족성 기반으로 사료된다. 다음 유전자에서 생식세포계 돌연변이는 췌장암 발생의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다: p16/CDKN2A, BRCA2, PALB2, PRSS1, STK11, ATM 및 DNA 불일치 복구 유전자. 그 밖에 췌장암의 산재성 사례는 다른 종양유전자 및 종양 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의 특징을 가진다. 췌관 선암종에서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종양유전자 KRAS(95%), AIB1(최대 60%) 및 종양 억제 유전자 TP53(75%), p16/CDKN2A(95%) 및 SMAD4(55%)에서 발생한다(World Cancer Report, 2014).
췌장암 환자에 대한 치료 옵션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하나의 주요 문제는 진단 시 대개 진행성인 종양 병기이다. 그 밖에도 췌장암은 화학요법에 대한 내성이 꽤 높으며, 이는 치밀하고 저혈관성 결합조직형성 종양 기질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독일 암 협회, 독일 암 방지협회 및 독일 의학협회가 공개한 지침에 따르면, 유일하고 가능한 근치적 치료 옵션은 종양 절제이다. 종양이 췌장으로 제한되거나 전이가 주위 기관으로 제한되는 경우 절제가 권장된다. 만약 종양이 원격 부위로 퍼졌다면 절제가 권장되지 않는다. 절제 후에는 6개월 동안의 젬시타빈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 류코보린을 사용한 화학요법에 따른다(S3-Leitlinie Exokrines Pankreaskarzinom, 2013).
진행성 병기에 있는 수술 불가능한 환자는 화학요법과 방사선-화학요법 병용으로 치료할 수 있다(S3-Leitlinie Exokrines Pankreaskarzinom, 2013).
완화 화학요법을 위한 표준 요법은 젬시타빈이며, 단일요법 또는 EGF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인 엘로티닙과의 병용이다. 대체 옵션에는 5-플로오로우라실, 류코보린, 이리노테칸 및 옥살리플라틴의 병용(FOLFIRINOX 프로토콜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또는 젬시타빈과 냅-파클리탁셀의 병용이 있으며, 후자는 MPACT 연구에서 젬시타빈 단일요법에 비해 우월한 효과를 보였다(Von Hoff et al., 2013; S3-Leitlinie Exokrines Pankreaskarzinom, 2013).
췌장암에서 높은 치사율 대 발병률 비는 더 효과적인 치료 전략의 이행에 의한 필요를 반영한다.
이미 몇몇 다른 암 객체에서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는 표적 요법은 흥미로운 옵션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진행성 췌장암에서의 표적 요법의 이익 평가를 위해 몇몇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불행하게도 성공은 매우 제한적이었다(Walker and Ko, 2014). 그럼에도 불구하고 췌장암의 유전적 다양성은 개인화 요법의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는데, 이는 BRCA2 또는 PALB2의 양측 대립유전자 비활성화를 가진 침입성 췌관 선암종이 폴리(ADP-리보스) 중합효소 억제제 및 미토마이신 C 치료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World Cancer Report, 2014).
종양 기질의 표적화는 췌장암의 새로운 치료 개발에 대한 대체 접근 방식을 성립시킨다. 전형적으로 치밀하고 저혈관성의 기질은 화학요법에 대한 장벽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종양의 증식, 침입 및 암 줄기세포의 유지를 촉진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질 소모 및 비활성화의 효과 분석을 위한 여러 전임상 및 임상 연구가 설계되었다(Rucki and Zheng, 2014).
면역접종 전략은 췌장암의 치료에 대한 더욱 혁신적이고 유망한 대안으로서 조사되고 있다. KRAS 변이를 표적하는 펩티드 기반 백신, 반응성 끝분절효소(telomerase), 가스트린, 서바이빈(surviving), CEA 및 MUC1은 임상 시험에서 이미 평가된 바 있으며, 부분적으로 유망한 결과를 나타냈다. 더욱이 췌장암 환자에서 수지상 세포 기반 백신, 동종이형 GM-CSF-분비 백신 및 알젠판투셀-L에 대한 임상 시험은 면역요법의 유익한 효과도 드러냈다. 여러 백신 임상시험계획서의 효율성을 조사하는 추가 임상 시험이 현재 진행 중이다(Salman et al., 2013).
암 치료와 연관된 중증의 부작용과 비용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암, 특히 췌장암에서 사용가능한 요인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암, 특히 췌장암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나타내는 요인들, 암의 보다 나은 진단과 예후의 평가 및 치료 성공의 예측을 초래하는 요인들을 파악할 필요도 있다.
암의 면역요법이란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 암 세포에 특이적으로 표적화하는 옵션을 나타낸다. 암 면역요법에서는 종양 연관 항원을 이용한다.
종양 관련 항원(TAA)의 현재 분류는 다음과 같은 주요 그룹을 포함한다:
a) 암-고환 항원: 이미 확인되어 T 세포에 의해 인식된 첫 번째 TAA는 이 종류에 속하며, 이는 그 멤버들의 발현이 조직학적으로 인간 종양과 다르며, 정상 조직 중, 고환의 정모 세포/정원 세포에만 있으며, 때로는 태반에 있기 때문에 최초에 암-고환(CT) 항원이라고 불렸다. 고환 세포가 클래스 I 또는 II HLA 분자를 발현하지 않기 때문에, 이 항원들은 정상 세포에 있는 T 세포에 의해 인식될 수 없으며 면역학적으로 종양-특이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CT 항원의 잘 알려진 예로는 MAGE 계열 구성원 및 NY-ESO-1이 있다.
b) 분화 항원: 이러한 TAA는 종양 및 종양이 발생한 정상 세포 사이에 공유된다. 대부분의 알려진 분화 항원은 흑색종과 정상 멜라닌 세포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많은 멜라닌 세포 계통-관련 단백질은 멜라닌의 생합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종양 특이적은 아니지만 암 면역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예로는, 흑색종을 위한 티로시나아제 및 Melan-A/MART-1 또는 전립선암을 위한 PSA가 있고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c) 과발현된 TAA: 일반적으로 낮은 발현 수준이 있는 많은 정상 조직뿐만 아니라 조직학적으로 다른 유형의 종양에서 유전자 인코딩에서 널리 발현된 TAA가 발견된다. 정상 조직에 의해 처리되고 잠재적으로 제시되는 많은 에피톱이 T 세포 인식의 임계치 수준보다 낮을 수 있고, T 세포의 종양 세포에서의 과발현은 이전에 확립된 내성을 중단시켜 항암 반응을 개시할 수 있다. 이 클래스 TAA의 유력한 예로는 Her-2/neu, 서바이빈, 텔로머라제 또는 WT1가 있다
d) 종양 특이적 항원: 이러한 독특한 TAA는 정상 유전자의 변이로써 발생한다(β-카네틴, CDK4 등). 이러한 분자 변경의 일부는 종양 변이 및/또는 진행과 관련되어 있다. 종양 특이적 항원은 일반적으로 강한 면역 반응을 정상 조직에 대한 자가 면역 반응 위험성 없이 유도할 수 있다. 반면에, 대부분의 경우 TAA는 발견되어 일반적으로 많은 개별 종양에서 대개 공유되지 않은 해당 종양에만 적절하다. 종양 특이적(연관된) 아형을 갖는 단백질의 경우 펩티드가 종양(관련) 엑손으로부터 비롯된다면 펩티드의 종양-특이성(또는 연관성) 또한 발생할 수 있다.
e) 비정상 번역 후 변형에서 발생하는 TAA: 이러한 TAA는 특이적이 아니고 과발현되지도 않는 단백질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종양에서 주로 활동적인 번역 후 과정에 의해 종양과 관련된다. 이 클래스의 예는 종양 특이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분해 과정 동안 단백질 스플라이싱과 같은 이벤트 또는 MUC1의 경우 종양의 새로운 에피톱으로 이끄는 변화된 당화 패턴에서 발생한다.
f) 종양 바이러스 단백질: 이러한 TAA는 종양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바이러스 단백질이며, 그들이 이질적이기 때문에(인간 태생이 아닌), T 세포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단백질의 예로는 인간 유두종 타입 16 바이러스 단백질, 및 경부 암종에서 발현하는 E6와 E7이 있다.
T 세포 기반의 면역요법은 종양-관련 또는 종양-특정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펩티드 에피톱을 표적으로 하며, 이는 주조직적합 복합체(MHC)의 분자에 의해 제시된다. 종양 특정 세포 독성 T 림프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 즉 그들의 에피톱은, 발현되고, 같은 원조의 변형없는 세포들에 비해서, 각각의 종양의 대개 상향조절된 세포인 효소, 수용체, 전사 인자 등과 같은 모든 단백질 클래스에서 유도된 분자일 수 있다.
MHC-분자에는 두 클래스가 있으며, MHC 클래스 I 및 MHC 클래스 II이다. MHC 클래스 I 알파 중쇄와 베타-2-저분자글로불린, 알파와 베타 쇄의 MHC 클래스 II 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3차원 형태는 결합 홈을 형성하며, 이는 펩티드와의 비공유결합에 사용된다.
MHC 클래스 I 분자는 대부분의 유핵 세포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대부분 내인 단백질, 결손 리보솜 생성물(DRIP)과 큰 펩티드의 단백질분해성 절단으로 인해 생성된 펩티드를 제시한다. 하지만 엔도솜 구획이나 외생 출처로부터 유래된 펩티드 또한 MHC 클래스 I 분자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비고전적 방식의 클래스 I 제시를 문헌에서는 교차-제시라고 칭한다(Brossart and Bevan, 1997; Rock et al., 1990). MHC 클래스-II 분자는 대부분 전문적인 항원-제시 세포(APC)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들은 주로 APC에 의해 섭취된 외인 또는 막횡단 단백질의 펩티드를 제시하며(예: 세포내이입 동안), 이는 후에 처리된다.
펩티드와 MHC 클래스 I 분자의 복합물은 적당한 T 세포 수용체(TCR)를 갖는 CD8-양성 T 세포에 의해서 인식이 되는 반면, 펩티드와 MHC 클래스 II 분자의 복합물은 적당한 TCR을 갖는 CD4-양성 조력 T 세포에 의해 인식이 된다. TCR, 펩티드 및 MHC가 이로써 1:1:1의 화학양론적 반응량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CD4-양성 보조 T 세포는 CD8-양성 세포 독성 T 세포에 의한 효과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지속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양 연관 항원(TAA)에서 유도된 CD4-양성 T 세포 에피톱의 동정은 항-종양 면역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의약품의 개발에 아주 중요하다(Gnjatic et al., 2003). 종양 부위에서, 보조 T 세포는, 세포독성 T 세포(CTL) 친화적 사이토킨 주위 환경을 지원하고(Mortara et al., 2006) 효과기 세포, 예를 들면 CTL, 자연 살해(NK) 세포, 대식 세포, 과립구를 유치한다(Hwang et al., 2007).
염증이 없는 경우, MHC 클래스 II 분자의 발현은 주로 면역계의 세포, 특히 전문적 항원-제시 세포(APC), 예를 들면, 단핵 세포, 단핵 세포-유도된 세포, 대식 세포, 수지상 세포로 제한된다. 암 환자에서, 종양의 세포는 MHC 클래스 II 분자를 발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Dengjel J, et al.).
본 발명의 신장(더 기다란) 펩티드는 HLA 클래스 II 활성 에피톱으로 작용할 수 있다.
MHC 클래스 II에 의해 활성화된 조력 T 세포는 항-종양 면역에서 CTL 효과기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D8-양성 킬러 T 세포의 TH1 유형 지원 효과기 기능의 조력 T 세포 반응을 일으키는 조력 T 세포 에피톱은, 세포 표면에 종양-관련 펩티드/MHC 복합체를 보이는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기능을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종양-관련 조력 T 세포 펩티드 에피톱은, 따로 또는 다른 종양-관련 펩티드와 함께, 항-종양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백신 조성의 활성 약학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쥐 같은 포유류 동물 모델에서는 심지어 CD8-양성 T 림프구의 부재 하에서도, CD4-양성 T 세포가 인터페론-감마(IFN-γ)의 분비에 의한 혈관신생의 저해를 통한 종양의 억제 징후에 충분하다는 것이 보여졌다(Beatty and Paterson, 2001; Mumberg et al., 1999). CD4 T 세포가 직접적 항종양 작용기라는 증거가 있다(Braumuller et al., 2013; Tran et al., 2014).
이전에는 HLA 클래스 II 분자의 구성적 발현이 일반적으로 면역 세포로 제한되기 때문에, 클래스 II 펩티드를 원발성 종양에서 직접 격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간주되었다. 그러나, Dengjel 등은 MHC 클래스 II 에피톱을 종양에서 직접적으로 식별하는데 성공했다(WO 2007/028574, EP 1 760 088 B1).
CD8 및 CD4에 의존하는 두 유형의 반응이 함께 상승작용에 의해 항종양 효과에 기여함으로써, CD8+ T 세포(리간드: MHC 클래스 I 분자 + 펩티드 에피톱) 또는 CD4-양성 조력 T 세포(리간드: MHC 클래스 II 분자 + 펩티드 에피톱)에 의해 인식되는 종양-관련 항원의 식별 및 특성화가 종양 백신의 개발에 중요하다.
MHC 클래스 I 펩티드 세포 면역 반응을 촉발(유도)하려면 MHC-분자에도 결합해야 한다. 이 프로세스는 MHC-분자의 대립형질 및 그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의 특정한 다형성에 의존한다. MHC-클래스-I-결합 펩티드는 대개 길이가 8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잔기이며 대개 그 서열 내에 MHC-분자와 상응하는 결합 홈과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보존 잔기("고정")를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MHC 대립형질은 어떤 펩티드가 결합 홈에 특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결합 모티프"를 갖는다.
MHC 클래스 I 의존 면역 반응에서, 펩티드는 종양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어떤 MHC 클래스 I 분자와 결합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추후 특정한 T 세포 수용체(TCR)를 갖는 T 세포에 의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종양-특이 또는 연관 항원으로서 T 림프구에 의해 단백질이 인식되고, 치료에 사용되려면, 특정한 전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항원은 주로 종양 세포에 의해 발현되어야 하며 비교적 소량일지라도 건강한 정상 조직에 의해서는 발현되어서는 안 된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펩티드는 건강한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종양 세포에 의해 과다제시되어야 한다. 더욱이 각각의 항원이 하나의 유형의 종양에서뿐만 아니라 높은 농도로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세포마다 펩티드의 각각의 사본 번호). 종양-특정 및 종양-관련 항원은 흔히 기능 때문에(예: 세포 주기 관리 또는 아폽토시스의 억제) 정상 세포를 종양 세포로 전환하는 것과 직접 관련된 단백질에서 유도된다. 또한, 변환을 직접적으로 일으키는 단백질의 하류 표적은 상향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간접적으로 종양과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간접적 종양-관련 항원은 백신 접근법의 표적이 될 수도 있다(Singh-Jasuja et al., 2004). 에피톱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에 나타나는 것이 중요하며, 종양 관련 항원에서 유도된 그러한 펩티드("면역성 펩티드")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T 세포반응을 유도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MHC 분자에 결합할 수 있는 모든 펩티드는 T 세포 에피톱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전제 조건은 상응하는 TCR이 있는 T 세포의 존재와 이 특정 에피톱에 대한 면역 내성의 부재이다.
그러므로, TAA는 종양 백신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이를 포함하는 T 세포 기반 요법의 개발에 있어서 시작점이 된다. TAA의 식별과 특성화의 방법은 대개 환자 또는 건강한 대상에서 격리될 수 있는 CTL의 사용에 기반되거나, 다른 전송 프로파일 또는 종양과 정상 조직 사이의 차등 전사 프로파일이나 차등 펩티드 발현 패턴의 생성에 기반한다. 그러나, 종양 조직 또는 인간 종양 세포주에서 과발현되거나 그런 조직 또는 세포주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식별은 면역 치료에서 이런 유전자에서 전사된 항원의 이용에 대한 정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응하는 TCR이 있는 T 세포가 나타나야 하고 이 특정 에피톱에 대한 면역 내성이 없거나 최소화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항원의 에피톱의 개개의 소집단만이 그런 응용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구현에서, 기능성 및/또는 증식성 T 세포가 발견될 수 있는 MHC 분자와 관련이 있게 나타나는 과발현된 또는 선택적으로 발현된 펩티드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기능성 T 세포는 특정 항원에 의해 자극되었을 때 클론에 의해 확대되고 효과기 기능("효과기 T 세포")을 실행할 수 있는 T 세포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TCR(예: 용해성 TCR) 및 항체 또는 다른 결합 분자(골격)에 의해 펩티드-MHC를 표적화하는 경우, 기저 펩티드의 면역원성은 이차적인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시가 결정요인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 또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대해 적어도 77%,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8% 상동성인(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7% 또는 적어도 88% 동일한) 이의 변이체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변이체는 MHC에 결합하며/거나 상기 펩티드와 교차 반응하는 T세포를 유도하며, 상기 펩티드는 기저의 전장 폴리펩티드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 또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대해 적어도 77%,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상동성인(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7% 또는 적어도 88% 동일한) 이의 변이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가 갖는 전체 길이는 8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의 아미노산이다.
다음 표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와 각각의 서열번호 및 이 펩티드의 유망한 소스(기저) 유전자가 나와 있다. 표 1 및 표 2의 모든 펩티드는 HLA-A*02에 결합한다. 표 2에 나와있는 펩티드는 오류 비율이 높은 고처리량 선별의 결과로서 대규모 목록으로 이전에 공개되었거나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된 바 있으나 이전에는 전혀 암과 연관된 적은 없다. 표 3의 펩티드는 본 발명의 다른 펩티드와의 조합으로 유용할 수 있는 추가의 펩티드이다. 표 4-1 및 표 4-2의 펩티드는 해당되는 기저 폴리펩티드의 과발현 또는 과다제시가 관여하는 다양한 악성 종양의 진단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표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2]
Figure pct00004
[표 3]
Figure pct00005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폐암, 신장암, 뇌암, 결장 또는 직장암, 식도암, 유방암, 난소암, 위암, 간암, 전립선암, 흑색종, 및 백혈병과 같은 증식성 질병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 또는 조합의 펩티드이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4(표 1 참조) 그리고 췌장암, 폐암, 신장암, 뇌암, 결장 또는 직장암, 식도암, 유방암, 난소암, 위암, 간암, 전립선암, 흑색종, 바람직하게는 췌장암의 면역요법에서 이들의 사용이다. 다음 표 4-1 및 4-2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펩티드는 다른 종양 유형에서도 발현되며, 따라서, 다른 적응증의 면역요법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및 실시예 1 또한 참조한다.
표 4-1은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및 다른 증식성 질병에서 특히 다른 암 질병에서 그 구체적 사용을 나타낸다. 표 4-1은 선택되는 펩티드들에 있어서, 측정된 종양 샘플들의 적어도 5%에서 과다제시를 보이거나 정상 조직 대 기하 평균 종양의 비율이 3보다 큰 측정된 종양 샘플들의 5% 이상에서 제시를 보이는 추가 종양 유형을 보여준다. 과다제시는 제시가 가장 높은 정상 샘플에 비해 종양 샘플에서 더 높은 제시로 정의된다.
[표 4-1]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표 4-2는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및 다른 증식성 질병, 특히 다른 암 질병에서 이의 구체적 사용을 나타낸다. 표 4-1과 같이 표 4-2는 선택되는 펩티드들에 있어서, 측정된 종양샘플들의 5% 이상에서 과다제시(특이적 제시 포함)를 보이거나 정상 조직 대 기하 평균 종양의 비율이 3보다 큰 측정된 종양 샘플들이 5% 이상에서 제시를 보이는 추가 종양 유형을 보여준다. 과다제시는 가장 높은 제시를 가진 정상 샘플에 비해 종양 샘플에 대한 더 높은 제시로서 정의된다. 과다제시를 시험한 정상 조직들은 다음과 같다: 지방 조직, 부신, 혈액 세포, 혈관, 골수, 뇌, 연골, 식도, 눈, 담낭, 심장, 신장, 대장, 간, 폐, 림프절, 신경, 췌장, 부갑상선, 복막, 뇌하수체, 흉막, 침샘, 골격근, 피부, 소장, 비장, 위, 흉선, 갑상선, 기관, 요관 및 방광.
[표 4-2]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NSCLC= 비소세포 폐암, SCLC= 소세포 폐암, RCC= 신장암, CRC= 결장암 또는 직장암, GC= 위암, HCC= 간암, PC= 췌장암, PrC= 전립선암, BRCA=유방암, MCC= 메르켈 세포 암종, OC= 난소암, NHL= 비호지킨 림프종, AML= 급성 골수성 백혈병, CLL= 만성 림프성 백혈병.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폐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3, 4, 9, 10, 11, 12, 14, 15, 21, 23, 24, 30, 36, 40, 41, 42, 43, 44, 50, 53, 58, 60,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1, 82, 83, 84 85 및 8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신장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3, 4, 5, 15, 30, 45, 50, 58, 60, 65, 66, 68, 73, 74, 75, 76, 77, 78, 79 및 8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뇌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3, 5, 15, 30, 36, 39, 47, 55, 67, 73, 74, 79, 81, 82, 86 및 87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결장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3, 9, 11, 42, 43, 44, 50, 55, 60, 65, 68,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1, 82, 83, 84 및 8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직장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3, 9, 11, 42, 43, 44, 50, 55, 60, 65, 68,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1, 82, 83, 84 및 8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식도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3, 8, 9, 12, 15, 41, 42, 43, 51, 65, 69, 70, 71, 72 73, 74, 75, 77, 81, 83, 84 및 85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흑색종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4, 5, 15, 44, 66, 72, 78 및 8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난소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5, 15, 24, 30, 41, 55, 65,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83 및 8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유방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9, 10, 11, 12, 41, 43, 60, 71, 72, 73, 78, 83 및 8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간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5, 30, 44, 55, 58, 65, 67, 68, 69, 71, 72, 73, 74, 76, 79, 81, 82, 85 및 8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위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10, 15, 24, 30, 34, 44, 45, 50, 68, 70, 71, 72, 73, 74, 78, 81, 84 및 8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전립선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23, 39, 64, 69, 73, 78, 81 및 82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합쳐진 바람직한 구현에서 백혈구암의 치료를 위한, 서열번호 16, 30, 66 및 7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I 또는 길이 변이체와 같은 긴 형태의 MHC 클래스-II의 분자와 결합하는 능력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티드는 (각각)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펩티드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티드는 변형되며/거나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티드는 융합 단백질의 일부이며 특히 HLA-DR 항원-결합 항원-연관된 불변쇄(Ii)에 융합되거나 예를 들어 수지상 세포에 특이적인 항체와 같은 항체에(또는 그 서열 안으로) 융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핵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DNA, cDNA, PNA, RNA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본 발명에 따른 핵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핵산을 발현할 수 있거나 발현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질병의 치료와 의학, 특히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펩티드와 MHC와의 복합체 및 이들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T 세포 수용체(TCR), 특히 용해성 TCR(sTCR) 및 상동성 또는 동종이형 T 세포로 조작된 복제된 TCR 및 이러한 수용체를 만드는 방법은 물론 상기 TCR을 함유하거나 상기 TCR과 교차반응하는 NK 세포 또는 기타 세포들에 관한 것이다.
항체 및 TCR은 즉시 가용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의 면역치료적 용도의 추가 구현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핵산을 포함하는 또는 전에 설명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항원-제시 세포인 본 발명에 따른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발명에 따른 숙주 세포의 배양과 상기 숙주 세포 또는 그 배양 배지로부터 펩티드의 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충분한 수량의 항원을 항원-제시 세포와 접촉시킴으로써 항원이 적합한 항원-제시 세포 또는 인공 항원-제시 세포의 표면에 발현된 클래스 I 또는 II MHC 분자 위에 로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원-제시 세포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4 또는 변이체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상기 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거나 발현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공된 활성화된 T 세포에 관한 것으로, 상기 T 세포는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은 또한 표적 세포가 본 발명에 따른 일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환자에서 그 표적 세포를 죽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효과적인 수의 T 세포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설명한 일체의 펩티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본 발명에 따른 발현 벡터, 본 발명에 따른 세포, 활성화된 T 림프구, T 세포 수용체 또는 항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펩티드 및/또는 펩티드-MHC-결합 분자의 약제로서의 또는 약제의 제조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는 암에 대해 활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는 암에 대해 활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는 세포 요법, 백신, 단백질에 대한 것이거나 가용성 TCR 또는 항체에 근거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암 세포는 췌장암, 폐암, 신장암, 뇌암, 결장 또는 직장암, 식도암, 유방암, 난소암, 위암, 간암, 전립선암, 흑색종 및 백혈병, 바람직하게는 췌장암의 세포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여기서 "표적"이라 칭하며 암, 바람직하게는 췌장암의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근거하는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마커는 펩티드 자체의 과다제시 또는 상응하는 유전자의 과발현일 수 있다. 또한 마커는 치료, 바람직하게는 면역요법,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이오마커에 의해 파악된 동일한 표적을 대상으로 하는 면역요법의 성공 확률을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용해성 TCR은 MHC와의 복합체에서 관심 있는 펩티드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종양의 부분들 염색에 사용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그 항체는 면역 자극 도메인 또는 독소와 같은 추가의 효과기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 암 치료의 맥락에서 이러한 신규 표적들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암 질환에 대한 치료 및 진단 사용 모두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의 기저 발현 생성물(폴리펩티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공개된다.
ACAT2에 대한 유전자는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티올라아제(thiolase)인 아세틸-CoA 아세틸 전이효소를 인코딩한다. 간세포 암종에서 ACAT2 발현은 상향조절된다(Song et al., 2006). ACAT2 발현은 췌장암 세포주에서 방사선내성과 연관이 있다(Souchek et al., 2014).
ACTA1에 대한 유전자는 세포 이동성, 구조 및 통합성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고도로 보존된 단백질로 이루어진 액틴 계열의 구성원인 골격근 알파 액틴을 인코딩한다. ACTA1은 고전적 근육상피 표지자이며, 방광암, 구강 편평 세포 암종, 침입성 유방암, 위암, 담관 암종 및 전이성 간 암종의 암 연관 섬유모세포에서 고도로 발현되며 상피-간엽 전환, 종양 기질 형성 및 섬유증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chulte et al., 2012; Franz et al., 2010; Kuroda et al., 2005; Nakayama et al., 2002; Terada et al., 1996).
ACTA2에 대한 유전자는 세포 이동성, 구조 및 통합성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고도로 보존된 단백질들로 이루어진 액틴 계열의 구성원인 평활근 알파 액틴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만성 백혈구성 백혈병, 비소세포 폐암의 뇌 전이 및 전이 흑색종에서 ACTA2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 또는 복제수 변이가 확인되었다(Berndt et al., 2013; Lee et al., 2012; Dutton-Regester et al., 2012). 기능적으로 ACTA2의 높은 발현 수준은 강화된 종양 세포 침입 및 전이 형성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Kojima et al., 2014; Lee et al., 2013b; Tatenhorst et al., 2004).
ACTB에 대한 유전자는 수축 기구의 주요 성분이며 2가지 비근육 세포골격 액틴의 하나인 베타 액틴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ACTB는 간암, 흑색종, 신장암, 결장직장암, 위암, 췌장암, 식도암,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백혈병 및 림프종에서 조절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TB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중합 및 그에 따른 세포골격에 대한 변화는 암의 침입성 및 전이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Guo et al., 2013).
ACTBL2에 대한 유전자는 세포 이동성, 구조 및 통합성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고도로 보존된 단백질들로 이루어진 액틴 계열의 구성원인 골격근 알파 액틴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ACTBL2의 발현 증가가 간세포 암종과 간암에서 관찰되었으며, 여기서 세포 성장의 성질을 변경시켰으며 불량한 수술후 예후에 기여했다(Chang et al., 2006; Chang et al., 2011).
ACTC1에 대한 유전자는 심근 알파 액틴 1을 인코딩하며, 이것은 심근 세포에서 수축 기구의 주요 성분이다(RefSeq, 2002). ACTC1의 발현 변형이 방광암, 파클리탁셀로 치료한 비소폐암 세포 및 화학내성 난소암에서 보고되었다(Zaravinos et al., 2011; Che et al., 2013; Pan et al., 2009). 더욱이 ACTC1은 전립선암과 횡문근육증에서 유용한 진단용 표지자일 수 있다(Huang et al., 2010; Clement et al., 2003).
ACTG1에 대한 유전자는 비근육 세포에서 발견되는 세포질 액틴인 액틴 감마 1을 인코딩하며, 이는 내부 세포 이동성의 매개인자 역할을 한다(RefSeq, 2002). ACTG1은 소세포 폐암과 골육종에서 과발현되고 상피 난소암에서 하향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Li et al., 2010; Jeong et al., 2011; Chow et al., 2010). ACTG1 수준의 변형은 여러 유형의 암 세포에서 침입과 전이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결장암 세포와 간세포 암종에서 ACTG1의 과발현은 이동과 침입을 강화시키는 반면, 흑색종 세포와 침샘 선암종 세포에서 ACTG1의 하향조절은 이 표현형과 연관이 있다(Simiczyjew et al., 2014; Luo et al., 2014; Zhang et al., 2006; Gutgemann et al., 2001; Suzuki et al., 1998).
ACTG2에 대한 유전자는 자궁내막 조직에서 발견되는 평활근 액틴인 액틴 감마 2를 인코딩하며 이는 내부 세포 이동성을 매개한다(RefSeq, 2002). ACTG2는 전립선암 진단의 가능한 바이오마커로서 논의되고 있으며 교차분화된 전립선 기저 세포에서 상향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Fillmore et al., 2014; Untergasser et al., 2005). 화학요법에 대하여, ACTG2는 후두암 세포의 파클리탁셀 치료 시 상향조절되며, 유방암 세포에서 시스플라틴 내성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이고, 또한 간 전이가 있는 결장직장암의 FOLFOX4 요법에 대한 민감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u et al., 2013; Watson et al., 2007; Lu et al., 2013b).
ADAM8에 대한 유전자는 세포-세포 및 세포-기질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디스인테그린 및 메탈로프로테아제 도메인 계열의 구성원인 ADAM 메탈로펩시다아제 도메인 8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췌장암에서 ADAM8 과발현은 췌관 선암종 세포의 이동 및 침입성 증가와 연관이 있다(Schlomann et al., 2015). ADAM8은 폐암, 신장 세포 암종 및 뇌암에서 종양 세포의 이동 및 침입에 관여한다(Mochizuki and Okada, 2007).
AEBP1에 대한 유전자는 지방생성과 평활근 세포 분화에 중요성을 둔 전사 공동억제인자로서 기능할 수 있는 카르복시펩시다제 A인 지방세포 강화제 결합 단백질 1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AEBP1은 흑색종에서 상향조절되며, 돌연변이체 v-raf 쥐과 육종 바이러스 종양 유전자 상동체 B1(BRAF) 억제에 대한 획득된 내성에 기여한다(Hu et al., 2013). AEBP1은 대부분의 원발성 아교모세포종에서 상향조절된다(Reddy et al., 2008).
AHNAK2에 대한 유전자는 골격 단백질 AHNAK 핵단백질 2를 인코딩한다(Marg et al., 2010). AHNAK2는 종양 성장 및 침입에 관여하는 인자인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FGF1)의 비고전적 분비 경로에서 중요한 요소이다(Kirov et al., 2015).
ANKH에 대한 유전자는 피로인산염 수준을 조절하는 다회 막횡단 단백질인 관절강직, 진행성 상동체(마우스)/ANKH 무기 피로인산염 수송 조절인자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ANO1에 대한 유전자는 소장 육종 및 구강암과 연관 있는 칼슘 의존성 염소 이온 채널인 아녹타민 1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ANO1은 식도 편평 세포암(ESCC), 위장관 기질 종양(GIST),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HNSCC), 췌장암 및 유방암에서 증폭된다(Qu et al., 2014).
APOB에 대한 유전자는 킬로미크론의 중심 아포지질단백질인 아포지질단백질 B 그리고 저밀도 지질단백질(LDH)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알파-태아단백질 음성 HBV-관련 HCC에서, APOB는 HCC 진행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14개의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의 하나로 나타났다(He et al., 2014a). 진행성 유방암에서 APOB는 환자의 신보강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성 및 무재발 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차등적으로 발현된 6가지 단백질의 하나로 밝혀졌다(Hyung et al., 2011).
ASPHD1에 대한 유전자는 아스파르테이트 베타-히드록실라제 영역 함유 1을 인코딩한다. ASPHD1은 염색체 16p11.2에 위치한다(RefSeq, 2002).
ATM에 대한 유전자는 PI3/PI4-키나제 계열의 구성원이며 DNA 손상에 대한 세포 반응 및 게놈 안정성에 요구되는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 신호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조절인자(master controller)인 돌연변이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 실조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ATM은 폐암, 결장직장암, 유방암 및 조혈성 암 등 광범위한 인간 암에서 빈번히 돌연변이되는 종양 억제인자이다(Weber and Ryan, 2014).
ATP5B에 대한 유전자는 ATP 합성효소, H+ 수송, 미토콘드리아 F1 복합체, 베타 폴리펩티드,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효소의 촉매 코어의 베타 하부단위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ATP5B 유전자 발현은 건강한 조직에 비해 결장직장암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Geyik et al., 2014). 종양 조직에서 ATP5B의 하향조절은 담낭암에서 전이, 침입 및 불량한 예후와 면밀하게 관련이 있다(Sun et al., 2015b).
ATP5L에 대한 유전자는 ATP 합성효소, H+ 수송, 미토콘드리아 Fo 복합체, 양성자 채널을 구성하는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효소의 막전체(membrane-spanning)의 구성요소에서 하부단위 G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ATP5L2에 대한 유전자는 ATP 합성효소, H+ 수송, 미토콘드리아 Fo 복합체, 양성자 채널을 구성하는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효소의 막전체(membrane-spanning) 구성요소에서 하부단위 G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BACE2에 대한 유전자는 통합 막 당단백질 및 아스파르트산 단백분해효소인 베타-부위 APP-분리 효소 2를 인코딩한다. BACE2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을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로 분리한다(RefSeq, 2002). BACE2는 췌장의 베타 세포 기능에 관여한다(Vassar et al., 2014).
CCNB1에 대한 유전자는 유사분열에 관여하는 조절 단백질인 사이클린 B1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CCNB1은 잘 설명된 종양 항체이며, CCNB1 과발현은 유방암, 두경부암, 전립선암, 결장직장암, 폐암 및 간암에 대해 기술된 바 있다(Egloff et al., 2006).
CEACAM6에 대한 유전자는 종양 표지자 CEACAM 계열의 구성원인 암배아 항원 연관 세포 부착 단백질 6(비특이적 교차 반응 항원)이다(RefSeq, 2002). CEACAM6은 위암에서 상향조절된다(Yasui et al., 2004). CEACAM6은 유방 종양 항원의 후보이다(Sood, 2010).
CLTA에 대한 유전자는 조절 기능을 가진 피막홈의 구조적 성분인 클라트린 경쇄 A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CLTA 유전자는 신경아교종에서 대안의 스플라이스 형태를 보여준다(Cheung et al., 2008).
CLTB에 대한 유전자는 조절 기능을 가진 피막홈의 구조적 성분인 클라트린 경쇄 B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CLU에 대한 유전자는 세포사, 종양 진행 및 신경변성 질환과 같은 몇몇 기본적인 생물학적 사건에 관여할 수 있는 분비된 샤페론(chaperone)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종양 생성에서 이것의 역할은 정상 세포와 같이 양면적인 것으로 보인다. 발암의 조기 단계에서 CLU는 종양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반면, 진행성 신생물의 경우에는 다수의 치료 스트레스 인자의 억압 및 전이의 강화에 의해 이 종양에서 유의한 생존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CLU는 전립선암의 발병기전에서 중대한 역할을 하며, ERK1/2 신호전달 및 MMP-9 발현의 조절을 통해 인간 투명 신장세포 암종세포의 공격적 행동을 조절하고 또한 폐암의 진행성 병기에서의 치료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Trougakos, 2013; Panico et al., 2009; Takeuchi et al., 2014; Wang et al., 2014b).
COL12A1에 대한 유전자는 FACIT(fibril-associated collagens with interrupted triple helices) 콜라겐 계열의 구성원인 XII형 콜라겐의 알파 쇄를 인코딩하므로, 세포외 기질(ECM)의 일부이다(RefSeq, 2002). COL12A1은 난소암 세포주의 약물 내성 변이체에서 과발현된다(Januchowski et al., 2014). 직장결장암에서 COL12A1은 침입 일선 장피의 암 세포는 물론 암 관련 섬유모세포 옆과 주위의 결합조직형성 기질에서 과발현된다(Karagiannis et al., 2012).
COL6A3에 대한 유전자는 대부분의 연결 조직에서 발견되며 기질 구성요소를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염주 미세섬유인 VI형 콜라겐의 알파 3 쇄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Sherman-Baust et al., 2003; Kang et al., 2014). COL6A3 발현은 췌장암, 결장암, 위암, 점막표피양 암종 및 난소암에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엑손 3, 4 및 6 등 암 관련 전사 변이체가 결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및 췌장암에서 검출되었다(Arafat et al., 2011; Smith et al., 2009; Yang et al., 2007; Xie et al., 2014; Leivo et al., 2005; Sherman-Baust et al., 2003; Gardina et al., 2006; Thorsen et al., 2008). 난소암에서는 COL6A3 수준이 더 높은 종양 등급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췌장암에서는 COL6A3이 적절한 진단용 혈청 바이오마커를 대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herman-Baust et al., 2003; Kang et al., 2014).
DCBLD2에 대한 유전자는 디스코이딘, CUB 및 LCCL 도메인 함유 단백질 2를 인코딩하며 후자는 막횡단 공동수용체 단백질인 상피 및 평활근에서 유래하는 뉴로필린 유사 단백질이라고도 한다(RefSeq, 2002). DCBLD2는 아교모세포종과 두경부 암(HNC)에서 상향조절되며 EGFR 자극에 의한 종양생성에 요구된다(Feng et al., 2014). 더욱이, DCBLD2는 고도의 전이성 폐암 하위 세포주와 조직 샘플에서 상향조절된다(Koshikawa et al., 2002). 이와 반대로 위암에서 DCBLD2의 발현은 그 프로모터의 과메틸화에 의해 침묵된다(Kim et al., 2008).
이중 특이성 인산분해효소 14인 DUSP14에 대한 유전자는 티로신 및 세린/트레오닌 잔기를 탈인산화시킬 수 있으며 MAP 키나제 신호전달의 비활성화에서 역할을 수행한다(RefSeq, 2002). DUSP14 유전자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은 변형된 흑색종의 위험과 연관이 있다(Yang et al., 2014a; Liu et al., 2013b).
EEF1A1에 대한 유전자는 신장 인자-1 복합체에서 알파 하위단위의 아이소형을 인코딩하는데, 이는 아미노아실 tRNA의 리보솜에 대한 효소 전달의 책임이 있다(RefSeq, 2002). EEF1A1은 결장직장암, 난소암, 위암, 전립선암, 아교모세포종 및 편평 세포 암종이 포함되는, 다양한 암 객체에서 상향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립선암의 가능한 혈청 바이오마커로서 기술된 바 있다(Matassa et al., 2013; Vui-Kee et al., 2012; Lim et al., 2011; Kuramitsu et al., 2010; Kido et al., 2010; Scrideli et al., 2008; Qi et al., 2005; Rehman et al., 2012). 기계적으로는 EEF1A1은 p53 및 p73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자멸사를 억제하고, 세포 주기 억제인자 p21의 전사적 억제에 의해 증식을 촉진하며 또한 상피-간엽 전환의 조절에 참여한다(Blanch et al., 2013; Choi et al., 2009; Hussey et al., 2011).
EEF1A1P5에 대한 유전자는 진핵 번역 신장 인자 1 알파 1 위유전자를 인코딩하며 염색체 9q34.13에 위치한다(RefSeq, 2002).
FAMC3에 대한 유전자는 서열 유사성 3(FAM3) 계열의 구성원으로 GG 영역을 갖는 분비된 단백질을 인코딩한다. 이 단백질의 발현에 대한 변화는 췌장암에서 유래된 세포에서 주목된 바 있다(RefSeq, 2002). 흑색종에서 FAMC3은 자가포식을 위한 후보 바이오마커로서 확인된 바 있으며 이는 중요한 종양 세포 생존의 기전이다(Zou et al., 2002; Kraya et al., 2015). FAMC3은 특히 간세포암, 결장직장암, 폐암 및 유방암에서 공격성, 종양의 전이성 진행 및 불량한 생존율과 상관관계가 있는 상피-간엽 전환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Csiszar et al., 2014; Gao et al., 2014c; Song et al., 2014; Chaudhury et al., 2010; Lahsnig et al., 2009).
FAP에 대한 유전자는 막횡단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인코딩하며 이는 상피 암의 간질 종양 섬유모세포(암 관련 섬유모세포[CAF]), 치유되는 상처의 육아 조직 및 뼈와 연조직 육종의 악성 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된다(RefSeq, 2002). FAP는 세포 유착, 이동 과정 및 세포외 기질(ECM)의 재형성에 대한 관여를 통해 암 성장과 전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Jacob et al., 2012). FAP의 과별현은 결장암, 식도 편평 세포 암종, 췌장 선암종, 아교모세포종, 골육종, 난소암 및 유방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암에서 불량한 예후, 진행성 종양 병기, 전이 형성 및 침입 가능성과 상관관계가 있다(Wikberg et al., 2013; Kashyap et al., 2009; Cohen et al., 2008; Mentlein et al., 2011; Yuan et al., 2013; Zhang et al., 2011; Ariga et al., 2001).
FKBP10에 대한 유전자는 FKBP-유형 펩티딜-프롤일 시스-트랜스 이성화효소 계열에 속하는 FK506-결합 단백질 10을 인코딩한다. FKBP10 유전자 생성물은 세포질세망에 국소화되며 분자 샤페론(chaperone)으로 작용한다(RefSeq, 2002). FKBP10은 백혈병 세포에서 아드리아마이신 내성 표현형의 획득 및 유지에 참여하는 새로운 유전자로서 확인되었다(Sun et al., 2014). FKBP10은 FKBP10의 상향조절을 통해 결장직장암과 관련된 바 있다(Olesen et al., 2005). 이와 반대로 FKBP10의 과소발현은 상피 난소 암종의 특징이었다(Quinn et al., 2013).
FLNA에 대한 유전자는 필라민 A를 인코딩하며, 필라민 A는 액틴 필라멘트를 교차연계하며 액틴 필라멘트를 막 당단백질과 연결시키는 액틴 결합 단백질이다. 인코딩된 단백질은 세포골격의 재형성에 관여하며, 여기에는 세포 형태와 이동의 변화 유도 및 인테그린, 막횡단 수용체 및 이차 전령 물질과의 상호작용이 포함된다(RefSeq, 2002). 필라민 A는 그 세포하 국소화에 따라, 암에서 이중 역할을 한다: 세포질에서 필라민 A는 세포 이동 및 유착 경로에 관여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성장 신호전달 경로에서 기능한다. 따라서, 필라민 A 과발현은 종양 촉진 효과가 있다. 전장 필라민 A와는 달리, C-말단 단편은 단백질의 단백질 분해 시 방출되고 핵에 국소화되며 그 곳에서 전사인자와 상호작용하며 그에 따라 종양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한다(Savoy and Ghosh, 2013).
GGA1에 대한 유전자는 골지 국소화된 감마 아답틴 이어 함유(ear-containing), ARF 결합(GGA) 단백질 계열의 구성원을 인코딩한다. 이 계열의 구성원은 후기 골지망과 리소좀 사이의 단백질 전달을 조절하는 흔한 외피 단백질이다(RefSeq, 2002).
HBB에 대한 유전자는 적혈구에서 철 함유 산소 운반 금속 단백질인 인간 헤모글로빈의 베타쇄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유방암의 뼈 및 내장 전이를 생성하는 능력은 전이가 뼈로 제약된 유방암에 비해 불량한 임상적 결과의 분명한 표시를 나타낸다. 뼈 전이 시 HBB의 발현 증가는 다른 기관으로 빨리 퍼지는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다(Capulli et al., 2012). HBB는 자궁 경부 암종 조직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부암에서 HBB의 자궁외 발현은 산화성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세포의 생존력을 개선시켰다(Li et al., 2013).
HBD에 대한 유전자는 적혈구에서 철 함유 산소 운반 금속 단백질인 인간 헤모글로빈의 베타쇄를 인코딩한다. 2개의 알파쇄와 2개의 델타쇄에 의해 헤모글로빈 A2가 성립되며 이것은 HbF와 함께 성인 헤모글로빈의 3%를 구성한다(RefSeq, 2002).
HKDC1에 대한 유전자는 헥소키나제 영역 함유 1을 인코딩하며 이는 헥소키나제 활성도를 시험관내에서 드러낸다(Guo et al., 2015). 이질성 데이터로부터 잠재적 치료 표적을 파악하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여, 잘 알려진 치료 표적들 중에서 HKDC1이 폐암의 잠재적인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발견되었다(Li and Huang, 2014).
HSPD1에 대한 유전자는 샤페로닌(chaperonin) 계열의 구성원이며 미토콘드리아에서 새로 들어온 단백질의 접힘과 조립에 필수적이고 선천적 면역계에서 신호전달 분자에서 기능할 수 있는 미토콘드리아 열충격 60kDa 단백질 1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HSPD1은 미토콘드리아 내 단백질로서 간주되지만, 세포질액, 세포막, 수포, 세포 표면, 세포외 공간 및 혈액에서 발견된 바 있다. 다양한 기관에서 암형성 동안 세포질액의 HSPD1 수준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므로, HSPD1은 전신생물 및 신생물 병변의 진단과 예후를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HSPD1의 일부 새로 확인된 기능들은 발암 특히 종양 세포 생존 및 증식과 연관이 있으며, 또한 항종양 요법을 위한 유망한 표적으로 집중 논의된 바 있다(Pace et al., 2013; Nakamura and Minegishi, 2013; Cappello et al., 2013; Cappello et al., 2011; Cappello et al., 2008).
HYOU1에 대한 유전자는 170 kDa 포도당 조절 단백질(GRP170)이라고 더 잘 알려져 있는 저산소증 상향조절 1 단백질을 인코딩하며, 이 단백질은 열 충격 단백질 70 계열에 속한다. HYOU1의 발현은 저산소 조건 하에서 스트레스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유도되며 소포체(ER)에서 단백질의 축적을 초래한다. HYOU1에 의해 인코딩되는 단백질은 ER의 단백질 접힘과 분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사료된다(RefSeq, 2002). 세포내 HYOU1 단백질의 활동도는 암 세포에서 종양 진행이나 전이 동안 생존 이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외 HYOU1 단백질은 교차제시를 위한 종양 항원의 전달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항종양 면역 반응의 생성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Fu and Lee, 2006; Wang et al., 2014a). HYOU1 단백질은 암 면역요법에 도입하여 긍정적인 면역조절 효과를 나타낸 바 있다(Yu et al., 2013; Chen et al., 2013a; Yuan et al., 2012; Wang and Subjeck, 2013). 전립선암 세포에서 HYOU1의 억제는 항종양 효과를 나타냈었다(Miyagi et al., 2001).
IFT88에 대한 유전자는 테트라트리코 펩티드 반복(TPR) 계열의 구성원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유사분열에서 IFT88은 적합한 방추 방향을 보장하기 위해 말초 미소세관 다발을 방추극으로 운반하는 디네인1 구동 복합체의 일부이다. IFT88 소모는 인간 배양 세포에서 유사분열의 결함을 유도한다(Delaval et al., 2011). IFT88(Tg737로도 불림) 유전자 발현의 손실은 간 줄기 세포(타원 세포)의 증식을 초래하므로 간 신생물 종양의 억제 유전자이다(Isfort et al., 1997). 2012년 돌연변이가 인간에서 새로운 형태의 섬모병증과 무후각증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생쥐에서 아데노바이러스 매개 유전자 요법에 의한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McIntyre et al., 2012).
IGF2BP3은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의 번역을 억제하는 종양 태아 단백질인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mRNA 결합 단백질 3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몇몇 연구에 의하면 IGF2BP3은 세포 분극 이동, 형태학, 대사, 증식 및 분화 등 세포 기능의 다양한 주요 양상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관내 연구에서는 IGF2BP3이 종양 세포 증식, 유착 및 침입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IGF2BP3은 공격적이고 진행성인 암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ell et al., 2013; Gong et al., 2014). IGF2BP3 과발현은 다수의 종양 유형, 예를 들어 신경모세포종, 결장직장 암종, 간내 담관암종, 간세포 암종, 전립선암 및 신장세포 암종에서 기술되고 불량한 예후, 진행성 종양 병기 및 전이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ell et al., 2013; Findeis-Hosey and Xu, 2012; Hu et al., 2014; Szarvas et al., 2014; Jeng et al., 2009; Chen et al., 2011; Chen et al., 2013; Hoffmann et al., 2008; Lin et al., 2013; Yuan et al., 2009).
ITGB4에 대한 유전자는 인테그린 계열의 단백질을 인코딩한다. 인테그린은 비공유적으로 연관된 막횡단 당단백질 수용체인 알파 및 베타 하위단위들로 구성원 이질이합체이다. 이것은 세포-기질이나 세포-세포 유착을 매개하고 유전자 발현 및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신호를 변환시킨다(RefSeq, 2002). ITGB4(CD104라고도 함)는 알파 6 하위단위와 연관되는 경향이 있으며, 식도 편평 세포 암종, 방광암 및 난소암과 같은 몇몇 침입성 암종의 생물학에서 결정적 역할을 할 확률이 높다(Kwon et al., 2013; Pereira et al., 2014; Chen et al., 2014b). ITGB4에서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은 종양의 공격성과 생존에 영향을 주는 것처럼 보이며 유방암 환자에서 예후적 가치가 있을 수 있다(Brendle et al., 2008).
KCNK6에 대한 유전자는 2개의 기공-형성 P 도메인을 함유하는 칼륨 채널 단백질의 슈퍼계열(superfamily) 구성원 가운데 하나를 인코딩한다. 이 채널 단백질은 공개 정류기로서 간주되며 광범위하게 발현된다. 이 단백질은 아라키돈산에 의해 촉진되며 내부 산성화 및 휘발성 마취제에 의해 억제된다(RefSeq, 2002). KCNK6(K2P6.1이라고도 함)은 K2P1.1, K2P3.1, K2P5.1, K2P6.1, K2P7.1 및 K2P10.1과 함께, 온라인 암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베이스인 Oncomine(www.oncomine.org)을 사용한 검사에서 암 유형 전반에 걸쳐 유의한 과소발현을 보였다(Williams et al., 2013).
KCNN3에 대한 유전자는 KCNN 계열의 칼륨 채널에 속한다. 이것은 전압-독립적 칼슘 활성 채널을 형성하는 것으로 과다분극 후 시냅스의 느린 성분에 기여함으로써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통합 막 단백질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KCNN3(TASK-1이라고도 함) 발현은 생쥐의 신경모세포종 N2A 세포에서 17베타-에스트라디올에 의해 하향조절되고 세포 증식을 개선시켰다(Hao et al., 2014). KCNN3 발현은 유방암의 기관형적 배양을 생리적 및 초생리적 농도의 1,25 디히드록시 비타민 D(3)에 노출시킴으로써 상향조절되었다(Milani et al., 2013). KCNN3(K2P3.1이라고도 함)은 K2P1.1 및 K2P12.1과 함께, 온라인 암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베이스인 Oncomine(www.oncomine.org)을 사용한 검사에서 암 유형 전반에 걸쳐 유의한 과소발현을 보였다(Williams et al., 2013).
KDM1A(LSD1이라고도 함)에 대한 유전자는 SWIRM 도메인, FAD-결합 모티프 및 아민 산화효소 도메인을 함유하는 핵 단백질을 인코딩한다. 이 단백질은 히스톤 탈메틸효소로서 기능하여 유전자를 침묵시키지만 몇몇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복합체의 구성요소이다(RefSeq, 2002). KDM1A의 과발현은 종양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입을 촉진시키고 NSCLC 및 HCC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다(Lv et al., 2012; Zhao et al., 2013). KDM1A의 상승된 발현은 전립선암 재발 및 VEGF-A의 발현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Kashyap et al., 2013). 트리코스타틴 A(TSA) 및 5-아자-2'-디옥시시티딘(데시타빈)의 병용에 의한 KDM1A의 억제는 난소암 복수 세포주 SKOV3의 종양원성을 억제시킨다(Meng et al., 2013).
KIF26B에 대한 유전자는 신장 발육에 필수적인 키네신 슈퍼 계열(superfamily) 단백질(KIF)의 구성원을 인코딩한다. KIF26B 발현은 후신 중간엽으로 제약되며, 그 전사는 아연 핑거 전사 조절인자 Sall1에 의해 조절된다(Terabayashi et al., 2012). 유방암에서 KIF26B의 높은 발현은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다(Wang et al., 2013b). KIF26B 상향조절은 CRC 종양조직 및 짝지어진 주위의 정상 점막을 분석한 결과 종양 크기와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있었다. KIF26B는 결장직장 발암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CRC에 대한 새로운 예후 지표 및 가능한 치료 표적으로서 기능한다(Wang et al., 2015).
KRT19에 대한 유전자는 케라틴 계열의 구성원을 인코딩한다. 케라틴은 상피 세포의 구조적 무결성에 대한 책임이 있는 중간 미세섬유 단백질이며 사이토케라틴 및 털 케라틴으로 분류된다. KRT19는 구체적으로는 발육중 표피를 싸는 일과성 표재층인 외표피에서 발현된다(RefSeq, 2002). 종양 세포에서의 KRT19 발현은 유방암, 폐암, 난소암 및 간세포 암과 같은 몇몇 종양 객체에 대한 예후 표지자이다(Skondra et al., 2014; Gao et al., 2014b; Liu et al., 2013b; Lee et al., 2013a). KRT19는 췌장 신경 내분비 종양 특히 인슐린 음성 종양에 필요한 독립적 예후 인자로 나타난 바 있다. KRT19 양성 종양은 크기, 유사분열, 림프혈관 침입 및 괴사와 같은 확립된 병리학적 매개변수와 무관하게 불량한 결과와 연관이 있다(Jain et al., 2010).
KRT7에 대한 유전자는 케라틴 유전자 계열의 구성원을 인코딩한다. 제II형 사이토케라틴은 단층 및 중층 상피 조직의 분화 동안 공동 발현되는 이형 케라틴 쇄의 쌍으로 배열되는 염기성 중성 단백질로 구성된다. 이 제II형 사이토케라틴은 특이적으로 내부 기관에서 공동의 단층 상피층이나 샘관 및 혈관에서 발현된다(RefSeq, 2002). KRT7은 몇몇 표현형을 구별하는 면역조직화학에서 그리고 신장 세포 암종, 난소 암종, 싱피 피부 종양 등 일부 암의 예후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사용된다(Kuroda et al., 2013; McCluggage and Young, 2005; Alhumaidi, 2012).
LAMC2에 대한 유전자는 세포의 기질 당단백질 계열인 라미닌 계열에 속한다. 라미닌은 기저막의 주요 비콜라겐 성분이다. 이것은 세포 부착, 분화, 이동, 신호전달, 신경돌기 외성장 및 전이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 바 있다. LAMC2는 몇몇 태아 조직에서 발현되며 구체적으로 피부, 폐 및 신장의 상피 세포에 국소화되는 단백질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LAMC2는 역형성 갑상선 암종에서 고도로 발현되며 EGFR의 신호전달 조절에 의한 종양의 진행, 이동 및 침입과 연관이 있다(Garg et al., 2014). LAMC2 발현은 II기 결장직장암 환자에서 더 불량한 예후를 예측했다(Kevans et al., 2011). LAMC2 발현은 3가지의 다른 바이오마커와 함께 구강 편평 세포 암종 환자에서 LN 전이의 존재와 유의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anaruddin et al., 2013).
LUM에 대한 유전자는 데코린, 바이글리칸, 피브로모듈린 케라토칸, 에피피칸 및 오스테오글리신을 포함하는 소 류신 함유 프로테오글리칸(small leucine-rich proteoglycan, SLRP) 계열의 구성원을 인코딩한다. 루미칸은 각막의 주요 황산 케라틴 프로테오글리칸이지만 신체 전체에서 간질성 콜라겐 기질에도 분배된다. 루미칸은 콜라겐 원섬유의 조직 및 주위 성상, 각막의 투명성 그리고 상피 세포의 이동 및 조직 복원을 조절할 수 있다(RefSeq, 2002). LUM 단백질은 정상 조직에 비해 유방암, 결장직장암, 췌장암과 같은 대부분의 종양 조직에서 상향조절되며 더 높은 종양 등급 및 불량한 결과와 연관이 있다. 하지만 세포외 루미칸은 췌장암의 세포 성장을 억제하여 수술후 생존의 연장과 연관이 있다(Leygue et al., 1998; Seya et al., 2006; Ishiwata et al., 2007; Li et al., 2014). LUM 및 세포외 기질 무결성과 관련 있는 다른 유전자(DCN 및 DPT)는 차등적으로 발현되며 뼈의 전이 및 재발성 거대세포 종양에 대한 바이오마커 역할을 할 수 있다(Lieveld et al., 2014). LUM은 A2780 난소암 세포주의 시스플라틴-, 독소루비신-, 토포테칸- 및 파클리탁셀-내성 변이체에서 하향조절된다(Januchowski et al., 2014).
MAP4에 대한 유전자는 주요 비신경세포 미세관 연관 단백질을 인코딩하고, 이는 미세관 조립체를 촉진하며 간기의 미세관 파국 촉진에 대한 불안정화를 중화시킨다. 이 단백질의 인산화는 미세관 성질과 세포 주기 진행에 영향을 준다(RefSeq, 2002). MAP4의 높은 수준은 방광암 등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단백질 키나제 A에 의한 단백질의 인산화는 방광암의 세포 이동 및 침입을 감소시킨다(Ou et al., 2014).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 대한 한 연구에서 정상 샘플에 비해 종양 샘플의 MAP4 대 스타스민(stathmin) mRNA의 증가된 비율이 보고되었으며, 이는 이 비율이 비소세포 폐암의 바이오마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Cucchiarelli et al., 2008). MAP4 수준은 종양 억제인자 p53에 의해 음성적으로 조절되며(negatively regulated) 미세관 표적 제제의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높은 수준의 MAP4는 미세한 안정화 약물(탁산)의 효과를 증가시키고 미세관 불안정화 약물(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kaloid])의 효과를 감소시킨 반면 낮은 수준의 MAP4는 반대 효과를 갖는다(Hait and Yang, 2006; Galmarini et al., 2003; Zhang et al., 1999).
MMP7에 대한 유전자는 프로테오글리칸, 피브로넥틴, 엘라스틴 및 카세인을 분해시키는 효소를 인코딩하며, 보호된 C-말단 단백질 도메인이 결여된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MMP 계열 구성원과 다르다. 기질 금속함유 단백분해효소(MMP) 계열의 단백질은 관절염 및 전이와 같은 질병 과정은 물론 배아 발육, 생식, 조직 재형성과 같은 정상적인 생리적 과정에서 세포 기질의 파괴에 참여한다(RefSeq, 2002). MMP7은 결장직장암, 전이성 폐 암종 및 위암 등 인간 암 조직에서 빈번히 과발현되며 암 진행 및 전이 형성과 연관 있다(Ii et al., 2006; Sun et al., 2015a; Han et al., 2015; Long et al., 2014). MMP7은 중요한 종양 촉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으며, 세포외 기질 단백질의 분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및 헤파인 결합 표피 성장 인자의 생체이용률의 증가에 의한 종양 세포 증식의 활성화, 막-결합 Fas 리간드의 분리에 의한 종양 주위 세포에서의 세포자멸사의 유도가 그 역할에 속한다(Ii et al., 2006).
MROH6은 C8orf73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유전자는 염색체 8q24.3에 위치한다(RefSeq, 2002).
MX1에 대한 유전자는 I형 및 II형 인터페론에 의해 유도되는 구아노신 삼인산(GTP) 대사 단백질을 인코딩하며 세포 항바이러스 반응에 참여한다(RefSeq, 2002). 암에서 MX1의 역할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MX1 발현이 전립선암과 역으로 상관관계가 있으며 전이 형성을 감소시키고 도클레탁셀에 대한 민감도를 강화시킨다. 더욱이, 과메틸화에 의한 MX1의 후성적 침묵이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에서 검출된 바 있으며, MX1 발현은 전립선암과 흑색종 세포주의 세포 이동성 및 침입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모두 MX1의 종양 억제 작용을 유리하게 한다(Brown et al., 2015; Calmon et al., 2009; Mushinski et al., 2009). 또 한편, MX1 내부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은 전립선암과 연관이 있으며, MX1의 높은 발현은 결장직장암에서 림프절 전이와 연관이 있는데 이는 MX1의 발암 유전자 성질을 나타낸다(Croner et al., 2014; Glymph et al., 2013).
MXRA5에 대한 유전자는 기질 재형성과 연관된 단백질 중 하나를 인코딩하며, 이는 7개의 류신이 풍부한 반복서열 그리고 페를레칸(perlecan)과 관련된 12개의 면역글로불린 유사 C2-유형 도메인을 포함한다(RefSeq, 2002). 중국에서의 한 연구에 의하면 비소세포 폐암에서 MXRA5가 두 번째로 가장 빈번하게 변이되는 유전자로 확인되었다(Xiong et al., 2012). 결장암에서, MXRA5가 과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기 진단 및 그물막 전이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Zou et al., 2002; Wang et al., 2013a).
MYH9에 대한 유전자는 IQ 도메인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비근육 미오신 IIA 중쇄, 및 세포질 분열, 세포 이동성 및 세포 유형의 유지 중 일부 중요한 기능에 관여하는 미코신 머리-유사 도메인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MYH9의 높은 발현은 식도 편평 세포 암종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으며, 아넥신(annexin) II 및 킨들링-2(kindling-2)와 병용하여 이 질병의 전체 생존율 및 무질병 생존율에 대한 예측적 바이오마커로서 기능할 수 있다(Xia et al., 2012; Cao et al., 2014). MYH9 유전자 내부의 돌연변이는 인간 유방암 샘플에서 확인된 바 있으며, 결장 암종에서는 차등적으로 발현된다(Ellis et al., 2012; Mu et al., 2013). 시험관내 및 이종이식 연구에서는 유방암 및 비소 폐암의 세포 등 여러 종양 세포주에서 MYH9가 종양 세포의 성장 및 침입을 촉진함을 나타낸다(Robinson et al., 2013; Lin et al., 2013a; Lund et al., 2012; Derycke et al., 2011; Medjkane et al., 2009).
MYL12A에 대한 유전자는 평활 근육 및 비근육의 세포 수축을 조절하는 비근절 미오신 조절 경쇄를 인코딩한다(Amatschek et al., 2004; RefSeq, 2002). MYL12A의 인산화는 시험관내 및 동물 모델에서 종양 세포 이동성 및 침입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anning, Jr. et al., 2000; Kaneko et al., 2002; Khuon et al., 2010). 더욱이, MYL12A는 전사적 조절인자 세포사멸사-길항 전사 인자의 격리에 의해 DNA 손상 복구 및 p53-주도 세포자멸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Hopker et al., 2012a; Hopker et al., 2012b).
MYL12B에 대한 유전자는 비근육 미오신 II(MYH9)의 조절 경쇄를 인코딩한다. MYL12B의 인산화는 더 높은 MgATPase 활성도와 미토신 II 미세섬유의 조립을 초래한다(RefSeq, 2002). 이 단백질은 3등급 난소암에서 상향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YL12B 인산화나 활성화에 대한 약리적 차단은 유방암에 대하여 시험관내 종양 세포 이동 및 침입, 및 동물 모델에서 전이 형성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데이터는 MYL12B의 전이 역할을 나타낸다(Lim et al., 2011; Menhofer et al., 2014; Zhang et al., 2013; Patel et al., 2012).
PARD3B에 대한 유전자는 상피 세포의 치밀 이음부(tight junctions)에 국소화되는 단백질을 인코딩하며 세포 극성의 확립에 참여한다(Izaki et al., 2005). PARD3B 유전자 내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은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이나 림프모구 림프종에 걸린 아동에서 중증의 치료 관련 간독성과 유의하게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orinouchi et al., 2010).
PDIA6(ERp5이라고도 함)에 대한 유전자는 단백질에서 이황화 결합의 형성, 감소 및 이성화를 촉매하는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상주 단백질인 단백질 이황화 이성화효소를 인코딩하며, 이황화 결합된 단백질의 접힘에 있어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fSeq, 2002). PDIA6에 대한 전립선 조직 마이크로어레이의 면역염색의 결과 비악성 상피에 비해 전악성 병변에서(P < 0.0001, Mann-Whitney U-test), 그리고 높은 Gleason 등급(4 내지 5) 대비 낮은 등급(2 내지 3) 암에서(P < 0.05) 유의하게 더 높은 면역반응성을 보였다(Glen et al., 2010). ERp5/ADAM10의 높은 발현은 호지킨 림프종의 림프절 미세환경에서 MICA 흘림(MICA shedding)과 NKG2D 리간드 부전의 인식을 초래한다. 이것은 CD8 T 세포상에서 NKG2D 표면 발현의 하향조절과 비효율적인 항종양 반응을 초래한다(Zocchi et al., 2012). 단백질 이황화 이성화효소인 PDIA4 및 PDIA6은 폐 선암종에서 시스플라틴 유도 세포사에 대한 내성을 매개한다(Horibe et al., 2014).
PIK3IP1에 대한 유전자는 PI3K 억제제인 포스포이노시티드-3-키나제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1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PIK3IP1의 하향조절은 인간 T-세포 림프모구 림프종 세포에서 종양 성장의 증가를 초래한다(Wong et al., 2014). PIK3IP1은 간세포 암종(HCC)에서 하향조절되고 PIK3IP1은 HCC의 발생을 억제시킨다(He et al., 2008).
PLEC에 대한 유전자는 세포골격 및 유착 복합체의 교차결합과 조직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플라킨(plakin) 계열 구성원 플렉틴(plectin)을 인코딩한다(Bouameur et al., 2014). PLEC는 결장직장 선암종,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및 췌장암에서 과발현한다(Lee et al., 2004; Katada et al., 2012; Bausch et al., 2011).
POTEE에 대한 유전자는 POTE 안키린(ankyrin) 도메인 계열의 구성원 E이며 POTE 유전자 계열에 속하는 13개 이원체(paralog)의 하나를 인코딩한다. POTE 유전자는 암 고환 항원의 새 계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POTE 유전자 계열의 생물학적 기능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증거는 세포자멸사의 역할을 시사한다(Liu et al., 2009; Bera et al., 2006). POTEE는 전립선, 유방, 결장, 폐 및 난소의 암에서 우선적으로 발현된다(Bera et al., 2006). 한 연구에서는 전사체학적 및 게놈 기능분석적 접근방식의 조합을 사용하여 POTEE가 유방암과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설명했다(Cine et al., 2014).
POTEE에 대한 유전자는 POTE 안키린(ankyrin) 도메인 계열의 구성원 J이며 POTE 유전자 계열에 속하는 13개 이원체(paralog)의 하나를 인코딩한다. POTE 유전자는 암 고환 항원의 새 계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POTE 유전자 계열의 생물학적 기능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증거는 세포자멸사의 역할을 시사한다(Liu et al., 2009; Bera et al., 2006). POTEF는 미토콘드리아 경로를 통해 Hela 세포에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iu et al., 2009). POTEF는 전립선암, 유방암, 결장암, 폐암 및 난소암에서 주로 발현된다(Bera et al., 2006).
POTEE에 대한 유전자는 염색체 2q21.1에 위치하고, POTE 유전자 계열에 속하는 13개 이원체(paralog)의 하나인 POTE 안키린(ankyrin) 도메인 계열의 구성원 I를 인코딩한다. POTE 유전자는 암 고환 항원의 새 계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POTE 유전자 계열의 생물학적 기능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증거는 세포자멸사의 역할을 시사한다(Liu et al., 2009; Bera et al., 2006). POTEI는 전립선암, 유방암, 결장암, 폐암 및 난소암에서 주로 발현된다(Bera et al., 2006).
POTEJ에 대한 유전자는 POTE 유전자 계열에 속하는 13개 이원체(paralog)의 하나인 POTE 안키린(ankyrin) 도메인 계열의 구성원 J를 인코딩한다. POTE 유전자는 암 고환 항원의 새 계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POTE 유전자 계열의 생물학적 기능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증거는 세포자멸사의 역할을 시사한다(Liu et al., 2009; Bera et al., 2006). POTEJ는 전립선암, 유방암, 결장암, 폐암 및 난소암에서 주로 발현된다(Bera et al., 2006).
POTEKP에 대한 유전자는 POTE 안키린(ankyrin) 도메인 계열 구성원 K인 위유전자(pseudogene)를 인코딩하며 염색체 2q21.1에 위치한다(RefSeq, 2002).
POTEM에 대한 유전자는 POTE 유전자 계열에 속하는 13개 이원체(paralog)의 하나인 POTE 안키린(ankyrin) 도메인 계열의 구성원 M을 인코딩한다. POTE 유전자는 암 고환 항원의 새 계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POTE 유전자 계열의 생물학적 기능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증거는 세포자멸사의 역할을 시사한다(Liu et al., 2009; Bera et al., 2006). POTEM은 정상 및 악성의 전립선 조직에 대한 특이적 전사물로서 확인되었다(Stolk et al., 2004).
PTRF에 대한 유전자는 폴리머라아제 I 및 전사 복합체의 해리 및 신생 rRNA 전사물 상에서의 폴리머라아제 재개시를 촉진시키는 rRNA 전사의 조절인자인 전사물 분비 인자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PTRF는 유방암 세포주와 유방 종양 조직에서 하향조절된다(Bai et al., 2012). PTRF는 비소세포 폐암의 바이오마커이다(Gamez-Pozo et al., 2012). PTRF 발현은 전립선암에서 하향조절되며, 전립선암 세포에서 PTRF의 부재는 암 세포의 혈관생성 잠재력을 촉진함으로써 종양 진행 및 전이에 유의하게 기여한다(Nassar et al., 2013).
PUS7L에 대한 유전자는 가능한 슈도유리딘 합성효소 활성도를 갖는 단백질인 슈도유리딜레이트 합성효소 7(pseudouridylate synthase 7) 상동체(s. cerevisiae) 유사를 인코딩한다. PUS7L 유전자는 염색체 12q12 상에 위치한다(RefSeq, 2002).
RAN에 대한 유전자는 소형 GTP 결합 단백질인 RAS 종양유전자 계열의 구성원인 RAN을 인코딩하며, 이는 핵공 복합체를 통한 RNA 및 단백질의 전위, DNA 합성 및 세포 주기 진행의 통제, 미세관망의 형성 및 조직, 그리고 안드로겐 수용체의 활성화에 관여한다(RefSeq, 2002). RAN은 암의 전이성 진행에서 핵심 단백질이다. RAN은 유방과 신장 등의 다양한 종양에서 과발현된다(Matchett et al., 2014).
RANP1에 대한 유전자는 염색체 6p21.33에 위치한 위유전자인, RAS 종양유전 계열 위유전자 1에 속하는 구성원인 RAN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RASA4에 대한 유전자는 Ca (2+)에 반응하며 Ras-MAPK 경로를 끄는 Ca (2+)-의존 Ras GTPase-활성 단백질인 RAS p21 단백질 활성인자 4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RASA4는 원발성 삼출성 림프종에서 유의하게 증폭된다(Roy et al., 2011). RASA4는 정상 자궁내막에 비해 자궁내막 선암종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된다(Jeda et al., 2014).
RASA4에 대한 유전자는 Ras-MAPK 경로의 조절에 관여할 수 있는 Ca (2+)-의존 Ras GTPase-활성 단백질인 RAS p21 단백질 활성인자 4B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RCN1에 대한 유전자는 소포체의 내강에 위치한 칼슘 결합 단백질인 레티큘로칼빈(reticulocalbin) 1, EF-핸드 칼슘 결합 도메인을 인코딩한다. RCN1은 인간의 내피 및 전립선암 세포주에 있는 형질막에 국소화된다(RefSeq, 2002). RCN1은 유방암에서 과발현된다(Amatschek et al., 2004).
RGS4에 대한 유전자는 이종삼량체(heterotrimeric) G 단백질의 G 알파 하위단위에 대한 GTPase 활성 단백질(GAP)인 G-단백 신호전달 4의 조절인자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RGS4는 간 전이 그리고 원발성 췌장 종양에 비해 종양 침입 전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하향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Niedergethmann et al., 2007). RGS4는 정상 인간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지만 갑상선 암종에서는 매우 흔히 과발현된다(Nikolova et al., 2008). RGS4 전사물은 비암성 무한증식 난소 표면의 상피 세포에서 난소암 세포주의 발현 수준보다 수천 배 더 높게 검출되었다(Hurst et al., 2009).
RPS6에 대한 유전자는 리보솜에서 40S 소단위의 구성유소인 세포질 리보솜 단백질인 리보솜 단백질 S6을 인코딩한다. RPS6은 특정한 등급의 mRNA에 대한 선택적 번역을 통해 세포 성장과 증식의 통제에 기여할 수 있다(RefSeq, 2002). RPS6은 mTOR의 하류 표적이며 다수의 생리적 및 병리생리적 기능과 연관 있는 것으로 발견된 바 있다(Chen et al., 2014a). RPS6 인산화는 췌장암의 발생 동안 DNA 손상 및 종양 억제를 약화시킨다(Khalaileh et al., 2013).
RPS8에 대한 유전자는 리보솜에서 40S 소단위의 구성요소인 세포질 리보솜 단백질인 리보솜 단백질 S8을 인코딩한다. RPS8 발현은 상응하는 정상 결장 점막에 비해 결장직장 종양 및 결장 폴립에서 증가한다(RefSeq, 2002). 췌관 선암종 환자에서 RPS8의 상향조절은 단기 생존과 상관관계가 있다(Chen et al., 2015).
RPS8P10에 대한 유전자는 염색체 15q11.2에 위치하는 위유전자(pseudogene)인 리보솜 단백 S8 위유전자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SCG5에 대한 유전자는 신경내분비성 분비 단백질인 세크레토그라닌(secretogranin) V(7B2 단백질)를 인코딩한다(Portela-Gomes et al., 2008). SCG5 유전자의 3' 말단과 GREM1 유전자자리로부터 상류 부위에 걸친 복제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Jaeger et al., 2012; Yang et al., 2014b).
SERPINB2에 대한 유전자는 세르핀 펩티다아제(serpin peptidase) 억제제, 클레이드(clade) B(난알부민), 구성원 2, 세포외 단백분해효소 우로키나제(urokinase) 플라즈미노겐 활성인자의 억제인자 및 조직 플라즈미노겐 활성인자를 인코딩한다(Schroder et al., 2014). SERPINB2는 다수의 다른 종양에서 발현된다. SERPINB2 발현은 유방암 및 췌장암에서 긍정적인 예후와 연관이 있지만 자궁내막암, 난소암 및 결장직장암에서는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다(Schroder et al., 2014).
SERPINB3에 대한 유전자는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세르핀 펩티다아제 억제제(serpin peptidase), 클레이드(clade) B(난알부민), 구성원 3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SERPINB3은 Ras-연관 사이토카인 생산 및 종양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Ras-반응성 인자이다(Catanzaro et al., 2014). SERPINB3 발현은 간세포 암종에서 상향조절된다(Pontisso, 2014). SERPINB3은 난소암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Lim and Song, 2013).
SERPINB4에 대한 유전자는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세르핀 펩티다아제(serpin peptidase) 억제제, 클레이드(clade) B(난알부민), 구성원 4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SERPINB4는 Ras-연관 사이토카인 생산 및 종양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Ras-반응 인자이다(Catanzaro et al., 2014). SERPINB4 발현은 간세포 암종에서 상향조절된다(Pontisso, 2014).
SERPINH1에 대한 유전자는 세르핀 펩티다아제(serpin peptidase) 억제제, 클레이드(clade) H(열충격 단백질 47), 구성원 1, (콜라겐 결합 단백질 1), 세린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인코딩한다. SERPINH1은 소포체에서 콜라겐-특이적 분자 샤페론으로 기능한다(RefSeq, 2002). SERPINH1은 위암, 폐암, 췌관 선암종, 신경 아교종 및 궤양성 대장염-연관 암종 등 다수의 인간 암에서 과발현된다(Zhao et al., 2014).
SEZ6L에 대한 유전자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및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복수의 도메인을 갖는 발작 관련 6 상동체(마우스)-유사, 막횡단 단백질을 인코딩한다(Nishioka et al., 2000). SEZ6L은 위암에서 과메틸화된다(Kang et al., 2008). SEZ6L 발현은 정상 폐 조직에 비해 원발성 종양 샘플에서는 물론 비소세포 폐암과 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상향조절된다(Gorlov et al., 2007).
SLC16A3에 대한 유전자는 양성자-연계 모노카르복실레이트 전달체인 용질 담체 계열 16 구성원 3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대부분의 고형 종양은 에너지 생산을 위해 당분해 작용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은 속도의 당분해 작용은 유산염의 생산 증가를 초래하며, 이것은 불량한 임상적 결과와 종양 성장 및 진행에 대한 직접적 기여와 연관되었다. SLC16A3은 암세포에서 유산염 유출을 원활하게 하는 소수의 모노카르복실레이트 수송체의 하나이다(Dhup et al., 2012; Draoui and Feron, 2011). SLC16A3 발현은 간세포 암 환자에서의 불량한 예후 및 세포주 실험에서 세포 증식, 이동 및 침입의 증가와 연관되었다(Gao et al., 2014a). 종양 생성에서 SLC16A3의 기능적 관여가 췌장암의 하위집단에서 나타났다(Baek et al., 2014).
MTCL1에 대한 유전자는 미세관 교차 결합 인자 1을 인코딩한다. MTCL1은 극성-의존 미세관 재형성에 관여하고, 미세관-교차 결합 활성도를 통한 비중심체 미세관의 상피세포 특이적 재조직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ato et al., 2013).
SST에 대한 유전자는 호르몬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의 프리-프로-단백질(pre-pro-protein)을 인코딩한다. 소마토스타틴은 신체 전체에서 발현되며 다수의 이차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한다. 이 호르몬은 뇌하수체 성장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및 대부분의 위장관 호르몬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분비계에서 중요한 조절인자이다. 소마토스타틴은 중추신경계에서의 신경전달 및 정상 및 종양원성 세포 모두의 증식에 대한 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RefSeq, 2002). SST 유사체는 위창자췌장 신경내분비(카르시노이드) 종양, 간세포 암 및 유방암의 치료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며 또한 치료 접근방식으로서 조사되고 있다(Pivonello et al., 2014; Culler, 2011; Appetecchia and Baldelli, 2010; Modlin et al., 2010; Watt et al., 2008).
THY1에 대한 유전자는 항침습성 활성을 지닌 비인두 암종에서 종양 억제 유전자 후보이다(Lung et al., 2010).
TSC22D4에 대한 유전자는 류신 지퍼 전사 조절인자의 TSC22 도메인 계열의 구성원인 단백질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TSC22D4의 간 수치는 암 악액질에서 증가시켰다(Jones et al., 2013).
TUBA1A에 대한 유전자는 튜불린(tubulin), 알파 1a를 인코딩한다. TUBA1A의 발현은 형태학적으로 분화된 신경 세포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뇌회결손 3형(LIS3)을 초래하며, 이 신경학적 질병은 소두증, 정신 지체 및 조기발병 간질의 특징을 가지며 원인은 결함 있는 신경 이동이다(RefSeq, 2002). 방사선 전환 및 종양 형성에 의한 유방 세포주에서 염색체 재배열에 의해 초래되는 TUBA1A 및 일부 다른 유전자의 조절완화된 발현은 유방 발암에서의 조기 분자 사건을 반영할 수 있다(Unger et al., 2010). 진행성 장액성 상피성 난소 암종에 대한 비교 단백질체학적 분석을 사용한 결과, TUBA1A는 화학내성의 잠재적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Kim et al., 2011).
TUBA1B에 대한 유전자는 튜불린(tubulin), 알파 1b를 인코딩한다. TUBA1B의 차등 발현과 일부 다른 유전자의 발현의 조합은 외투세포 림프종의 예후, II기 결장직장암 환자에 대한 재발 예측 및 추후 전이되는 포도막 흑색종과 그렇지 않은 포도막 흑색종의 차별화와 연관이 있었다(Blenk et al., 2008; Agesen et al., 2012; Linge et al., 2012). TUBA1B 발현은 간세포 암 조직과 증식하는 간세포 암 세포에서 상향조절되었다. 간세포 암 환자에서 TUBA1B 발현의 증가는 불량한 전체 생존율과 파클리탁셀에 대한 내성과 연관이 있었다(Lu et al., 2013a). 난소암 세포에서 TUBA1B의 발현 감소는 옥살리플라틴 내성과 연관이 있었다(Tummala et al., 2009).
TUBA1C에 대한 유전자는 튜불린(tubulin), 알파 1c를 인코딩한다. TUBA1C의 발현은 골육종과 HCV 관련 간세포 암에서 상향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육종 종양형성이나 잘 분화된 HCV 관련 간세포 암에 대한 잠재적 바이오마커일 수 있다(Kuramitsu et al., 2011; Li et al., 2010).
TUBA3C에 대한 유전자는 튜불린(tubulin), 알파 3c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TUBA3D에 대한 유전자는 튜불린(tubulin), 알파 3d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TUBA4A에 대한 유전자는 튜불린(tubulin), 알파 4a를 인코딩한다(RefSeq, 2002). 식도 편평 세포 암종(ESCC)에 대한 비교 단백질체학적 분석은 TUBA4A의 발현 증가를 나타냈다(Qi et al., 2005).
TUBA8에 대한 유전자는 튜불린(tubulin), 알파 8을 인코딩한다. TUBA8에서의 돌연변이는 다소뇌회증 및 시신경 형성 부전증과 연관이 있다(RefSeq, 2002). 생쥐의 간에서, TUBA8은 비유전독성 발암물질인 페노바비르탈에 의한 치료 후 유도되었다. 간세포 암종 세포주에서 TUBA8의 과발현은 세포 신장, 증식 및 이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Kamino et al., 2011).
UCN3에 대한 유전자는 사우바진(sauvagine)/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 인자/유로텐신 I 계열의 구성원이다. 이것은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 인자(CRF) 유전자와 구조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코딩된 생성물은 CRF 2형 수용체의 내인성 리간드이다. 이것은 뇌에서 식욕에 대한 압박 영향을 끼칠 수 있다(RefSeq, 2002). Ucn3은 정상 부신 및 부신 종양(부신피질 종양 및 갈색세포종) 모두에서 생산되며, 정상 부신 및 부신 종양에서 자가분비 및 주변분비의 조절인자로서 작용한다(Takahashi et al., 2006). 유로코르틴(urocortin) 3은 쥐의 골격 근육에서 AMPK 및 AKT 경로를 활성화시키고 포도당 처분을 강화한다(Roustit et al., 2014).
VCAN에 대한 유전자는 아그레칸(aggrecan)/베르시칸(versican) 프로테오글리칸 계열의 구성원이다. 인코딩되는 단백질은 커다란 황산 콘드로이틴 프로테오글리칸이며, 세포외 기질의 주요 성분이다. 이 단백질은 세포 유착, 증식, 이동 및 혈관형성에 관여하며 조직 형태 발생과 유지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RefSeq, 2002). VCAN 발현은 TGF-베타 수용체 II형 및 SMAD 신호전달을 통해 암 관련 섬유모세포에서 조절되었다. 상향조절된 VCAN은 NF-카파B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 및 CD44 기질 금속 단백 분해효소-9 및 히알우로난 매개 이동성 수용체에서 발현의 상향조절에 의해 난소암 세포의 이동성과 침입을 촉진시켰다(Yeung et al., 2013). TGF-베타 신호전달에 의해 조절되는 VCAN 등 콜라겐-재형성 유전자 표지(gene signature)는 장액성 난소암에서 전이 및 불량한 생존율과 연관이 있다(Cheon et al., 2014). VCAN은 건강한 결장 점막과 53명 환자의 종양 조직을 사용한 CRC 샘플의 비교에서 유의하게 상향조절된다(Pitule et al., 2013).
WNT16(wingless-type MMTV 통합 부위 계열, 구성원 16)에 대한 유전자는 종양 생성 및 배아생성 동안 세포의 운명 및 형태화의 조절 등 여러 발달 과정에 연루되는 분비된 신호전달 단백질을 인코딩한다(RefSeq, 2002). WNT16의 발현은 t(1;19) 염색체 전위-함유 급성 림프모세포 백혈병(ALL)에서 상향조절되고 백혈병 유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asagrande et al., 2006; Mazieres et al., 2005). ALL 환자의 ALL 세포주와 샘플에 대한 연구에서, WNT16 및 몇 가지 다른 Wnt 표적 유전자에 대한 상향조절은 Wnt 억제인자의 메틸화에 의해 유발되었으며 또한 10년 무질병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에 대한 유의한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oman-Gomez et al., 2007).
WNT5A에 대한 유전자는 분비된 신호전달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구조적으로 관련된 유전자들로 구성되는 WNT 유전자 계열에 속한다. 이 단백질들은 종양생성 및 배아생성 동안 세포의 운명 및 형태화의 조절 등 여러 발달 과정에 연루된 바 있다. WNT5A 유전자는 정준 및 비정준 WNT 경로 모두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WNT 계열의 구성원을 인코딩한다. 이 단백질은 7개의 막횡단 수용체 frizzled-5 및 피로신 키나제 고아 수용체 2에 대한 리간드이다. 이 단백질은 배아생성 동안 발육 경로의 조절에서 필수적 역할을 한다. 이 단백질은 종양생성에서도 역할을 할 수 있다(RefSeq, 2002). WNT5A는 CRC에서 과발현되며 원발성 종양과 전이된 부위 사이의 일치율은 76%였다(Lee et al., 2014). WNT5A는 인간 위 암종 세포, 비인간 암종 및 췌장암에서 상향조절되며, 상피간엽이행 및 전이의 핵심 조절인자이다(Kanzawa et al., 2013; Zhu et al., 2014; Bo et al., 2013).
면역 반응 자극은 숙주 면역계가 외부 물질로 인식하는 항원의 존재에 의존한다. 종양 연관 항원의 발견은 숙주의 면역계를 종양 성장에 개입하는 데 사용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면역계의 체액성 및 세포성 지류를 이용하는 다양한 기전이 현재 암 면역 치료에서 탐색되고 있다.
세포 면역 반응의 특정 요소들은 종양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파괴할 수 있다. T 세포의 종양 침투 세포 군락 또는 말초 혈액에서의 분리는 이러한 T 세포가 암에 대해 자연 면역 방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토졸에 자리잡은 단백질 또는 불완전 리보솜 생성물(DRIPS)에서 파생된 보통 8 내지 10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를 가진 펩티드의 클래스 I 분자를 인식하는 CD8 양성 T 세포는 특히, 이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의 MHC-분자도 인간 백혈구 항원(HLA)으로 지정된다.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것처럼,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용어는 아래 제시와 같이 정의된다.
"T-세포 반응"이란 특이적 증식과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유도되는 효과기 기능의 활성화를 의미한다. MHC 클래스 I 제한 세포 독성 T 세포의 경우, 효과기 기능이 펩티드 펄스, 펩티드 전조 펄스 또는 자연적 펩티드 제시 표적 세포들의 용해, 시토카인의 분비, 바람직하게는 펩티드에서 유도되는 인터페론 감마, TNF 알파, 또는 IL-2, 효과기 분자의 분비, 바람직하게는 펩티드에서 유도되는 그랜자임 또는 퍼로린 또는 탈과립일 수 있다.
"펩티드"란 용어는 여기서 이웃 아미노산의 알파 아미노와 카보닐 기 사이에 펩티드 결합으로 보통 서로 연결되는 일련의 아미노산 잔기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펩티드는 아미노산 9개의 길이가 바람직하지만 아미노산 8개까지 짧을 수도 있고 10, 11, 12, 13 또는 14개까지 길 수도 있으며, MHC 클래스 II 펩티드의 경우(본 발명의 펩티드의 연장된 변이) 그 길이가 15, 16, 17, 18, 19 또는 20개의 아미노산일 수 있다.
더욱이 "펩티드"라는 용어는 알파 아미노 기와 이웃 아미노산의 카보닐 기 사이의 펩티드 결합으로 보통 서로 연결되는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에 의한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염은 예를 들어 염화물 또는 아세트산염(삼분화 아세트산염)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펩티드의 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의 염은 펩티드가 생체내에서 염이 아니므로 생체내 상태의 펩티드와는 실질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펩티드"라는 용어는 "올리고펩티드"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올리고펩티드"라는 용어는 인접 아미노산의 알파 아미노 기 및 카보닐 기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올리고펩티드의 길이는 올바른 에피톱이 유지되는 이상 중요하지 않다. 올리고펩티드는 일반적으로 30개 아미노산 보다 길이가 짧고, 15개 아미노산 보다 길다.
"폴리펩티드"라는 용어는 인접 아미노산의 알파 아미노 기 및 카보닐 기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되는, 일련의 아미노산 잔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펩티드의 길이는 정확한 에피톱들이 유지되는 이상 중요하지 않다. 펩티드 또는 올리고 펩티드와 다르게, 폴리펩티드는 약 30개 아미노산 잔기 이상의 분자를 가지고 있는 것을 언급한다.
이런 분자의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단백질,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코딩은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면 "면역성"(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면역원")이다. 본 발명의 경우, 면역성은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으로 특정하게 정의된다. 그러므로, "면역원"은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분자이고, 본 발명의 경우, T 세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분자이다. 다른 양태에서, 면역원은 펩티드, 펩티드와 MHC의 복합체, 올리고펩티드 및/또는 특정 항체나 항체에 대한 TCR을 높이는데 사용되는 단백질일 수 있다.
클래스 I T 세포 "에피톱"은 적당한 친화력을 가진 MHC/펩티드 혼합물에 결합하는 T 세포 수용체에 일치하는 T 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삼항 혼합물(MHC 클래스 I 알파 쇄, 베타-2-미세글로블린 및 펩티드)을 생성하는 클래스 I 또는 II MHC 수용체에 결합하는 짧은 펩티드를 필요로 한다. MHC 클래스 I 분자에 결합하는 펩티드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8 내지 14개 아미노산이며, 대개 일반적으로 길이가 9개 아미노산이다.
인간에는 MHC 클래스 I 분자를 인코딩하는 세 개의 유전자 부위가 있다(인간의 MHC 분자도 인간 백혈구 항원(HLA)으로 지정된다(HLA)): HLA-A, HLA-B, 및 HLA-C. HLA-A*01, HLA-A*02, 및 HLA-A*07은 유전자 부위에서 발현할 수 있는 다른 MHC 클래스 I 대립형질의 예이다.
표 5는 HLA-A*02, HLA-A*24 및 가장 빈번한 HLA-DR 혈청형의 발현 빈도를 나타낸다. 빈도는 Mori 등(Mori et al., 1997)으로부터 조정된 미국 인구 내에서의 일배체형 빈도 Gf로부터 유추되며(Mori et al., 1997), 하디-와인버그 공식 F = 1 - (1-Gf)2를 사용한다. A*02 또는 A*24와 일부 HLA-DR 대립형질의 조합은 강화되거나 연관 불평형으로 인해 단일 빈도보다 덜 빈번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Chanock et al 등(Chanock et al., 2004)을 참조한다.
[표 5]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본 발명의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신에 포함되는 경우 A*02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MHC 클래스 II 펩티드는 몇몇 HLA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하며 무차별 결합제(범-결합 펩티드)로 불린다. 백신은 범-결합 MHC 클래스 II 펩티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백신은 A*02 양성인 환자의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반면, MHC 클래스 II 동종형에 대한 선택은 이 펩티드의 범-결합 성격으로 인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A*02 펩티드가 예를 들어 A*24와 같은 다른 대립형질과 결합하는 펩티드와 조합되는 경우, 모든 환자 모집단에서 MHC 클래스 I 대립형질 하나만을 취급하는 것에 비해 더 높은 비율의 치료가 가능하다. 대부분의 모집단에서 하나의 대립형질만으로는 환자의 50% 미만을 해결할 수 있는 반면, HLA-A*24 및 HLA-A*02로 구성되는 백신은 일체의 관련있는 모집단에서 적어도 환자의 60% 치료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다음 백분율은 다양한 지역에서 하나 이상의 이러한 대립형질에 대해 양성이 된다: 미국 61%, 서부 유럽 62%, 중국 75%, 한국 77%, 일본 86%(www.allelefrequencies.net의 자료로부터 계산됨).
한 바람직한 구현에서 용어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의 이성중합체를 언급한다.
특정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에 대한 뉴클레오티드 서열 코딩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합성 구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DNA 절편은 cDNA 조각들과 짧은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링커, 또는 일련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서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오페론에서 유도된 조절 요소를 구성하는 재조합 전사 단위에서 발현될 수 있는 합성 유전자를 제공하기 위해서 조립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펩티드를 코딩(또는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는 예를 들어, 수지상 세포 또는 TCR 제조에 유용한 다른 세포계에 의해 서열이 발현되는 생물학적 체계와 호환가능한 인공(사람이 만든) 시작 및 정지 코돈을 포함하는 펩티드에 대한 뉴클레오티드 서열 코딩을 지칭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핵산 서열에 대한 언급에는 한 가닥 및 두 가닥 핵산 모두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DNA의 경우 특정 서열이란 문맥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이러한 서열의 단일 가닥 DNA, 보완이 있는 이러한 서열의 중복(이중 가닥 DNA) 및 이러한 서열의 보완을 언급한다.
용어 "코딩 영역"은 자연적인 게놈 환경에서 유전자의 발현 생성물에 대해 자연스럽게 또는 정상적으로 코딩하는 유전자의 부분을 언급한다(즉, 유전자 본래의 발현 생성물에 대한 생체내 영역 코딩).
코딩 영역은 비변이("정상적")이거나 변이 또는 개조된 유전자에서 찾을 수 있거나, 심지어는 DNA 서열, 또는 DNA 합성 기술을 보유한 제조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해서 실험실에서 전적으로 합성된 유전자에서 찾을 수 있다.
용어 "발현 생성물"은 유전자의 자연 번역 생성물인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그리고 유전적 코딩 퇴화 및 이에 따른 동일 아미노산 코딩으로 인해 초래된 어떤 핵산 서열 코딩 생성물을 의미한다.
코딩 서열을 말할 때, 용어 "단편"은 발현 제품이 완전한 코딩 영역의 발현 생성물과 같은 생물학적 기능이나 활동을 유지하는 완전한 코딩 영역보다 적은 부분의 DNA를 언급한다.
용어 "DNA 세그먼트"는 최소한 한번 이상의 상당히 순수한 형태로 분리된 DNA에서 유도된 단편의 형태, 또는 큰 DNA 구조의 구성 요소로서 DNA 중합체를 언급한다. 여기서 순수한 형태는 내인성 오염 물질이 없고 세그먼트 및 표준 생화학 방법, 예를 들면, 복제 벡터에 따른 그 구성 요소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식별, 조작 및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양 또는 농도를 언급한다. 이러한 세그먼트는 일반적으로 진핵 생물 유전자에 존재하는 내부 비번역 서열, 또는 인트론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오픈 리딩 프레임의 형태로 제공된다. 비번역 DNA 서열은 동일 서열이 코딩 영역의 조작이나 발현을 방해하지 않는 오픈 리딩 프레임의 하단에 나타날 수 있다.
용어 "프라이머"는 하나의 표준 DNA와 짝을 이룰 수 있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하며 DNA 폴리머라아제가 디옥시리보 뉴클레오티드 쇄 합성을 시작하는 자유 3'-OH 말단을 제공한다.
용어 "프로모터"는 모사를 시작하기 위한 RNA 폴리머라아제의 결합에 관여하는 DNA 영역을 뜻한다.
용어 "단리"는 그 물질이 원래의 환경(예를 들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연 환경)에서 제거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자연 발생하는 살아 있는 동물에 존재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분리되지 않지만, 자연계에서 공존하는 물질의 부분 또는 전체에서 분리되는 같은 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제거된다.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운송체 및/또는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부분이거나 폴리펩티드는 구성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러한 벡터 또는 구성이 자연 환경의 일부가 아닐 때 여전히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밝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재조합 또는 면역성의 폴리펩티드는 "순수한" 형태일 수도 있다. 용어 "정제"는 절대적인 순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상대적인 정의를 의도하며, 관련된 당업자들이 이해하는 용어로서 상당히 정제된 제조 또는 부분적으로 정제된 제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DNA 라이브러리에서 분리된 각각의 클론은 전기 영동 동일성으로 통상적으로 정제된다. 시작 물질 또는 자연 물질의 최소한 하나 이상의 순서, 바람직하게 2내지 3개 순서,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개 순서의 크기로 정제가 명시적으로 심사숙고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량으로 99.999%, 또는 최소한 99.99% 또는 99.9%; 심지어는 바람직하게 99%보다 큰 순도를 가진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폴리펩티드는 명시적으로 심사숙고된다.
본 발명에서 밝혀진 핵산과 폴리펩티드 발현 생성물은, 이러한 핵산 및/또는 이러한 폴리펩티드를 가진 발현 벡터뿐만 아니라, "강화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용어 "강화"는 물질의 농도가 최소한 그것의 자연적 농도(예를 들면)의 최소한 2, 5, 10, 100, 또는 1000배 정도이고, 유리하게는 0.01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0.1 중량% 정도임을 의미한다. 중량으로 약 0.5%, 1%, 5%, 10%, 및 20% 강화된 제조도 심사 숙고된다. 서열, 구성, 벡터, 클론, 및 본 발명의 다른 물질들은 유리하게 강화된 또는 격리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용어 "활성 단편"은 예를 들면 토끼 또는 쥐 및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같은 동물에게 따로 또는 임의적으로 적당한 보조제와 함께 또는 매개체로서 투여했을 때 면역 반응(즉, 면역성 활동이 있는)을 생성하고 인간과 같은 받는 동물 내에서 T 세포 반응을 자극하는 형태로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펩티드,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 서열의 단편을 의미한다. 그렇지 않으면, "활성 단편"은 또한 시험관내 T 세포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부분", "분절" 및 "단편"이라는 용어는, 폴리펩티드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서열이 더 큰 서열의 하위 집합을 형성하는 경우 아미노산 잔기와 같은 잔기의 지속적인 서열을 언급한다. 예를 들면, 만약에 폴리펩티드가 트립신이나 키모트립신 같은 일반적인 엔도펩티다아제 치료를 받는다면, 그런 치료로 인해 생기는 올리고펩티드는 폴리펩티드의 시작 부분, 분절 또는 단편을 나타낼 것이다. 폴리뉴클레오티드와 관련해서 사용될 때, 이러한 용어들은 일반적인 엔도뉴클레아제 중 어떤 것과 함께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치료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을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서열을 언급할 때 용어 "백분율 동일성" 또는 "백분율 동일한"은 설명되거나 명시된 서열("기준 서열")에 비교될 서열의 정렬 후("비교 서열") 서열이 명시된 또는 설명된 서열에 비교되는 것을 언급한다. 백분율 동일성은 하기 공식에 따라서 결정된다:
백분율 동일성 = 100 [1 -(C/R)]
여기서 C는 기준 서열과 비교 서열의 정렬의 길이에 비해 기준 서열과 비교 서열의 차이의 개수이고, 또한,
(i) 비교 서열에서 상응하는 정렬된 염기 또는 아미노산이 없는 기준 서열에 각 염기 또는 아미노산,
(ii) 기준 서열의 각 차이, 및
(iii) 비교 서열의 정렬된 염기 또는 아미노산과 다른 기준 서열의 각 정렬된 염기 또는 아미노산은 차이를 구성하며,
(iiii) 정렬은 정렬된 서열의 위치 1에서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R은 비교 서열과의 정렬의 길이에 대한 기준 서열 염기 또는 아미노산의 수이고 기준 서열에 생긴 공백도 염기 또는 아미노산 개수로 계산된다.
만약에 위에서와 같이 계산된 비교 서열과 기준 서열 사이의 백분율 동일성이 특정 최소 백분율과 같거나 더 크면 위에서 계산된 백분율 동일성이 특정 백분율 동일성보다 작은 경우에 정렬이 있더라도 비교 서열은 기준 서열에 대해 특정한 최소 백분율 동일성이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포함하는 팹티드 또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대해 88% 상동성인 그 변이체 또는 상기 펩티드와 교차 반응하는 T 세포를 유도하는 그 변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I의 분자에 결합하는 능력 또는 신장된 버전의 상기 펩티드가 클래스 II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동"이라는 용어는 두 개의 아미노산 서열, 즉,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 사이의 일치 정도(위의 백분율 동일성 참조)를 일컫는다. 전술한 "상동"은 비교될 두 개의 서열을 최적 상태에서 나란히 정렬하여 비교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서열 상동 관계는 예를 들면 ClustalW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렬을 만들어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서열 분석 소프트웨어, 더 구체적으로 벡터 NTI, GENETYX 또는 다른 도구들은 공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된다.
이 분야의 당업자는 특정 펩티드의 변이체에 의해서 유도된 T 세포가 그 펩티드 자체와 교차 반응할 수 있을 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Appay et al., 2006; Colombetti et al., 2006; Fong et al., 2001; Zaremba et al., 1997)}.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체"에 의해, 발명자들은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두 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곁쇄가 변경되어 그 펩티드가 여전히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와 실질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HLA 분자와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예를 들면 그들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다른 아미노산 잔기 또는 다른 곁쇄로 교체). 예를 들면, 펩티드 변형에 의해 HLA-A*02 또는 DR와 같은 적합한 MHC 분자의 결합 홈과 상호 작용하여 결합하는 능력이 향상되지 않으면 적어도 유지하고 마찬가지로 활성화된 T 세포의 TCR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지 않으면 적어도 유지할 수 있다.
이 T 세포는 그 결과로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정의가 된 바 있는 동족의 펩티드의 자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와 교차 반응을 하고 이러한 세포를 죽일 수 있다. 과학 문헌 및 데이터베이스(Rammensee et al., 1999; Godkin et al., 1997)에서 얻을 수 있듯이, HLA 결합 펩티드의 특정한 위치는 전형적으로 HLA 수용기의 결합 모티프에 일치하는 핵심 고정 잔기이며 이는 결합 홈을 이루고 있는 폴리펩티드의 극성, 전기 물리성, 소수성 및 공간적 특성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이 분야의 당업자는 알려진 고정 잔기를 유지함으로써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정해진 아미노산 서열을 변형할 수 있고 이러한 변이체들이 MHC 클래스 I 또는 II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본 발명의 변이체는 활성화된 T 세포의 TCR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고, 이는 그 결과로 본 발명의 양태에서 동족의 펩티드라고 정의된 자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와 교차 반응을 하고 이 세포를 죽일 수 있다.
여기에서 밝혀진 본래 (변형되지 않은) 펩티드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이상 아마도 선택적인 다른 부위에서 펩티드 쇄의 부위의 하나 이상의 잔기의 치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치환은 아미노산 쇄의 말단에 위치한다. 그런 치환은, 예를 들면, 소수성의 아미노산이 다른 소수성의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처럼, 보수적일 수 있다. 심지어 더 보수적인 것은 류신이 이소류신으로 치환되는 것 같이, 같거나 비슷한 크기와 화학적 특성을 가진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동종 단백질의 종족에서의 서열 변화의 연구에서, 특정 아미노산의 치환은 다른 것들보다 더 자주 용인되고 있으며, 이들은 본래의 아미노산과 치환 사이에서 크기, 전하, 극성, 및 소수성이 비슷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것은 "보존적 치환"을 정의하는데 기본이 된다.
여기서 보존적 치환은 아래의 다섯 개 그룹 중 하나의 교환으로 정의된다: 그룹 1- 작은 지방성, 무극성 또는 약간 극성의 잔기(Ala, Ser, Thr, Pro, Gly); 그룹 2- 극성, 음성 하전된 잔기와 그 아미드(Asp, Asn, Glu, Gln); 그룹 3- 극성, 양성 하전된 잔기(His, Arg, Lys); 그룹 4- 큰, 지방성, 무극성 잔기(Met, Leu, Ile, Val, Cys); 및 그룹 5- 큰, 방향족 잔기(Phe, Tyr, Trp).
덜 보존적 치환은 알라닌을 이소류신 잔기로 치환하는 것처럼, 비슷한 성질이지만 크기가 어느 정도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주 비보수적인 치환은 산성 아미노산을 극성, 또는 심지어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진적" 치환은 화학적 작용이 완전히 예측 불가능하고 급진적 치환은 단순한 화학 원리에서 예측 가능하지 않은 뜻밖의 발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고 기각할 수는 없다.
물론, 이런 치환은 일반적인 L-아미노산 외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D-아미노산을 본 발명의 항원 펩티드에서 흔히 발견되는 L-아미노산으로 교체할 수 있고 여기에서 공개를 통해 계속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비표준 아미노산(즉, 흔히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단백질성 아미노산이 아닌) 역시 본 발명에 따라 면역성과 면역성 폴리펩티드를 생산하기 위해서 치환될 수 있다.
아래에서 정의된 것과 상당히 동일하거나 더 큰 항원 활성이 있는 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치환이 발견되면, 이러한 치환의 조합은 조합된 치환이 펩티드의 항원성에 추가적 효과 또는 시너지 효과의 결과를 내는지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된다. 최대, 펩티드에서 4 곳 이상의 위치에서 동시에 치환될 수 없을 것이다.
본 문서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아미노산 서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펩티드는,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I 또는 클래스-II의 분자에 결합하는 능력이 비변형 펩티드에 비하여 상당히 변경되거나 부정적으로 영향받음 없이 하나 또는 두 개의 비앵커 아미노산(앵커 모티프에 대해서는 아래 참조)이 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는, 본 문서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아미노산 서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펩티드에 있어서,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I 또는 클래스-II의 분자에 결합하는 능력이 비변형 펩티드에 비하여 상당히 변경되거나 부정적으로 영향받음 없이 하나 또는 두 개의 아미노산이 그에 대한 보존적 교환 파트너(다음을 참조)와 교환될 수 있다.
T 세포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데에 상당히 기여를 하지 않는 아미노산 잔기들은 이와 결합됨으로써 T 세포의 반응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지 않고 관련된 MHC와의 결합을 제거하지 않는 다른 아미노산과의 교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 외에도, 본 발명의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 한 부분 또는 주어진 변이체를 포함하는(발명자들이 올리고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고 일컫는) 어떠한 펩티드가 될 수도 있다.
[표 6]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더 긴 펩티드도 적합할 수 있다. 대개 길이가 8 내지 11개의 아미노산이지만, MHC 클래스 I 에피톱이 더 긴 펩티드로부터 처리되는 펩티드 또는 실제 에피톱을 포함하는 단백질에 의해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 에피톱이 양측에 있는 잔기는 처리 동안 실제 에피톱을 노출하는데 필요한 단백질 분해에 의한 분할에 상당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잔기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아미노산을 최대 4개까지 연장할 수 있는데 즉, 1, 2, 3 및 4개의 아미노산이 4:0과 0:4 사이에서 일체의 조합으로 양쪽 어디로든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의 조합은 표 7에서 찾을 수 있다:
[표 7]
Figure pct00014
연장/신장을 위한 아미노산은 해당 단백질의 원래 서열의 펩티드나 기타 모든 아미노산일 수 있다. 연장은 펩티드의 안정성이나 용해성 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피톱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종양 관련 또는 종양 특정 에피톱과 동일하거나 실질상 동일한 항원적 활동력을 가지고 있는 한, 참조 펩티드와 비교 시 4개 이하의 다른 잔기를 가지고 있는 에피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의 구현에서, 펩티드는 한쪽 또는 양쪽으로 4개 이상의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총 30개의 아미노산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는 MHC 클래스 II 결합 펩티드를 초래할 수 있다. MHC 클래스 II에 대한 결합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으로 시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MHC 클래스 I 에피톱의 펩티드와 변이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전체 길이가 8 내지 100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사이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 사이이며, 이는 즉 8, 9, 10, 11, 12, 13, 14개의 아미노산이다. 신장된 클래스 II 결합 펩티드의 경우 그 길이는 15, 16, 17, 18, 19, 20, 21 또는 22개의 아미노산일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 I 또는 II의 분자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펩티드 또는 변이체의 MHC 복합체에 대한 결합은 당업계의 방법에 의해 시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특이적 펩티드의 T 세포가 치환 펩티드에 대해 시험될 때, 치환 펩티드가 배경에 상대적으로 세포 용해의 최대 증가의 절반을 달성할 때의 펩티드 농도는 약 1 mM 이하, 바람직하게 약 1 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 약 1 nM 이하, 여전히 더 바람직하게 약 100 p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pM 이하 이다. 치환 펩티드가 하나 이상, 최소 2개, 보다 바람직하게 3개의 개별 T 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에서 펩티드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따라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펩티드이다.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이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따른 서열 또는 변이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는 N- 및/또는 C-말단에 추가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아미노산이 MHC 분자 에피톱에 대한 에피톱으로 기능하는 펩티드의 한 부분을 반드시 형성하지 않는 아미노산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추가된 아미노산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 내로 효율적인 펩티드의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펩티드는 예를 들면 NCBI, GenBank Accession-number X00497에서 유도된 것처럼 HLA-DR 항원 결합 불변쇄(p33, 다음의 "Ii")의 80개 N-말단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 융합 단백질의 일부이다. 다른 융합에서는, 본 발명의 펩티드는 항체에 의해 특이적으로 표적화될 수 있도록 여기서 설명된 상기 항체나 그 기능적 일부 특히 항체의 서열에 대해 또는 예를 들어 수지상 세포에 특이적인 항체에 대해 또는 그 안으로 융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안정성 및/또는 MHC 분자와의 결합성을 높여 더 강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펩티드 서열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반대 펩티드 결합 또는 비-펩티드 결합을 도입하는 것이 있다.
반대 펩티드 결합에서는 아미노산 잔기가 펩티드(-CO-NH-) 연결로 결합되어 있지 않으나 펩티드 결합이 반대로 되어있다. 이러한 역-인버스 펩티드 모방형 물질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의 예는 이 문헌의 참조 문헌으로 포함된 Meziere 등(1997)(Meziere et al., 1997)에 설명되어 있다. 이 방법은 백본의 변경을 포함하지만, 곁쇄의 방향을 바꾸지 않는 유사펩티드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Meziere 등(Meziere et al., 1997)은 MHC 결합과 T 조력 세포 반응에서 이 유사 펩티드가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CO-NH 대신에 NH-CO 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레트로 역위 펩티드는 단백질 가수 분해에 대한 저항력이 훨씬 높다.
비펩티드 결합의 예는 -CH2-NH, -CH2S-, -CH2CH2-, -CH=CH-, -COCH2-, -CH(OH)CH2-, 및 -CH2SO-이다. 미국 특허 제4,897,445호는 기본 과정을 거쳐 합성된 폴리펩티드와 아미노 알데히드와 아미노산을 NaCNBH3 존재 하에 반응을 시켜 생성된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한 폴리펩티드 쇄의 비펩티드 결합(-CH2-NH)을 위한 고체상 합성의 방법을 제공한다.
위에서 묘사된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는 안정성, 생물가용성, 및/또는 펩티드의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화학 기를 아미노 및 또는 카복시 말단에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보벤족실, 단실,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 기 등 소수성 기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에 추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세틸 기 또는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보닐-기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소수성 기, t-부틸옥시카보닐, 또는 아미도 기 또한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펩티드는 입체적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펩티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D-이성질체가 보통의 L-이성질체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비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 잔기와 치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안정성, 생물가용성, 및/또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결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이 발명의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특정한 아미노산을 펩티드 생성 전 또는 후에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이 문헌의 참조 문헌에 포함되어 있는 R. Lundblad, Chemical Reagents for Protein Modification, 3rd ed. CRC Press, 2004(Lundblad, 2004)에 잘 묘사되어 있다. 아미노산의 화학 변형은 아실화, 아미딘화, 리신의 피리독실화, 환원성 알킬화 반응, 아미노산의 2,4,6-트리니트로벤젠 설폰화(TNBS)에 의한 트라이니트로벤질화, 카르복실 기의 아미드 변형 및 퍼포민산에 의한 설피드릴 변형, 시스틴의 시스테릭산으로의 산화, 머큐리얼 유도체 생성, 다른 티올 화합물과 다이설피드 생성, 말레이미드와의 반응, 요오드화 아세트산 또는 요오드 아세트아미드에 의한 카르복시메틸레이션, 및 알칼리성 산도에서의 시안산 염에 의한 카르바밀화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 되지 않은 변형을 언급한다. 이에 관해서, 더 광대한 단백질의 화학 변형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서는 당업자는 Current Protocols In Protein Science, Eds. Coligan 등 (John Wiley & Sons NY 1995-2000)(Coligan et al., 1995)의 15장을 참조하길 바란다.
간단히 말하면, 예를 들어 단백질의 아르기닌 잔기는 흔히 페닐글리옥산, 2,3-부탄디온 및 1,2-사이클로헥산디온과 같은 이웃자리 디카르보닐 화합물과의 반응에 근거하여 부가물을 형성한다. 다른 예는 메틸글로옥살과 아르기닌 잔기와의 반응이다. 시스테인은 리신과 히스티딘과 같은 다른 친핵성 부위의 동시 변형 없이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다수의 시약들이 시스테인 변형에 사용 가능하다. Sigma-Aldrich(http://www.sigma-aldrich.com)와 같은 회사들의 웹사이트에서는 특정 시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단백질에서 이황화 결합의 선택적 환원 또한 흔하게 나타난다. 단백질에서 이황화 결합은 생물약제의 열 처리 동안 형성되어 산화될 수 있다. 우드워드의 시약 K는 특정 글루탐산 잔기의 변형에 사용될 수 있다.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를 사용하여 리신 잔기와 글루탐산 잔기 사이의 분자 내 가교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메틸피로카보네이트는 단백질에서 히스티딘 잔기의 변형을 위한 시약이다. 히스티딘은 4-히드록시-2-노네날을 사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리신 잔기와 다른 α-아미노기의 작용은, 예를 들어, 펩티드의 표면 결합 또는 단백질/펩티드들의 가교에 유용하다. 리신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부착 부위이며 단백질의 당화에서 중요 변형 부위이다. 단백질에서 메티오닌 잔기는 예를 들어 요오도아세트아미드, 브로모에틸아민 및 클로르아민 T를 사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테트라니트로메탄 및 N-아세틸이미다졸은 티로신 잔기의 변형에 사용할 수 있다. 디티로신의 형성을 통한 가교 형성은 과산화 수소/구리 이온으로써 성취할 수 있다.
트립토판의 변형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서는 N-브로모숙신이미드, 브롬화 2-히드록시-5-니트로벤질 또는 3-브로모-3-메틸-2-(2-니트로페닐메르캅토)-3H-인돌(BPNS-스카톨)이 사용된 바 있다.
PEG를 이용한 치료 단백질과 펩티드의 성공적인 변환은 히드로겔 준비시 사용되는 단백질을 글루타르알데히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포름알데히드와 교차 결합하는 동시 순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것과 흔히 관련되어 있다. 면역 치료를 위한 알레르겐의 화학적 변형은 종종 칼륨 시안산염의 카바밀화와 관련이 있다.
펩티드 또는 변이체, 여기에서 펩티드는 변환되었거나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 구현에서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펩티드와 변이체(적어도 펩티드 링크를 아미노산 잔기 사이에 포함하는 것들)는 고체상 펩티드 합성의 Fmoc-폴리아미드 모드에 의해 합성될 수 있으며, 이는 Lukas 등(Lukas et al., 1981) 및 여기에 인용된 참조문헌에 공개되어 있다. 일시적인 N-말단 기 보호는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에 의해 제공된다. 이렇게 염기 불안정한 보호 기의 반복적인 절단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20% 피페리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곁쇄 기능은 부틸 에테르(세린, 트레오닌 및 티로신의 경우), 부틸 에스테르(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의 경우), 부틸옥시카보닐 변이체(리신과 히스티딘의 경우), 트라이틸 변이체(아르기닌의 경우) 및 4-메톡시-2,3,6-트리메틸벤젠술포닐 유도체(아르기닌의 경우)로서 보호될 수 있다. 글루타민 또는 아스파라긴이 C-말단의 잔기인 경우, 4,4'-디메톡시벤즈히드릴이 사용되어 곁쇄 아미도 기능을 보호한다. 고체형 보조는 디메틸아크릴아미드(백본-모노머), 비스아크릴로일에틸렌 디아민(가교 결합) 및 아크릴로일사르코신 메틸 에스테르(기능 작용제)의 3개의 모노머로 만들어진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 중합체에 기반을 둔다. 펩티드 대 레진 절단 가능 연결 작용제로 사용되는 것은 산-불안정 4-히드록시메틸-페녹시아세트산 유도체이다. 모든 아미노산 유도체는 역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에 의한 커플링 과정에 의해 추가되는 아스파라진과 글루타민을 제외하고 미리 생성된 대칭의 무수물 유도체로서 추가된다. 모든 커플링과 탈보호 반응은 닌히드린, 트리니트로벤젠 술폰산 또는 이소틴 실험 과정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합성 완료 시에, 펩티드는 레진 기반에서 50% 스캐빈저 믹스를 포함한 9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의한 곁쇄 보호 기 제거와 동시에 절단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캐빈저로는 에탄디티올, 페놀, 아니솔 및 물을 포함하고, 정확한 선택은 합성되는 펩티드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에 따라 결정된다. 펩티드의 합성에 있어서 고체상과 액체상 방법의 결합 또한 가능하다(예를 들면, (Bruckdorfer et al., 2004) 및 이 문헌에 인용된 참고문헌 참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은 진공 상태에서 증발된 후 디에틸에테르에 의한 분쇄에 의해 제거되어 조펩티드를 생성한다. 존재하는 일체의 스캐빈저는 수용액 상태에서 냉동건조에 의한 간단한 추출 과정에 의해 제거되어 스캐빈저가 없는 조펩티드를 생성한다. 펩티드 합성의 시약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칼바이오켐-노바바이오켐(노팅힐)(Calbiochem-Novabiochem(Nottingham))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정제는 재 결정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소수성 상호 작용 크로마토그래피 및 (보통)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분리를 사용하는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단일 방법 또는 이의 결합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펩티드의 분석은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전기 영동법, 특히 모세관 전기 영동법, 고체상 추출법(CSPE), 고성능 역단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산성 가수분해 후 아미노산 분석 및 고속 원자 폭격 질량 분석법 및 MALDI와 ESI-QTOF 질량 분석법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과다제시된 펩티드를 선택하기 위해, 중간 샘플 제시는 물론 복제 변이를 보여주는 제시 프로필이 계산된다. 이 프로필은 관심 대상의 종양 개체 샘플을 정상 조직 샘플의 베이스라인에 병치된다. 그런 다음, 이 프로필 각각에 대해 선형 혼합효과 모형의 p-값을 계산하고(Pinheiro et al., 2015) 오류 발견율(Benjamini and Hochberg, 1995)에 대한 복수의 검사를 조절함으로써 과다제시 점수에 통합될 수 있다.
질량 분석에 의한 HLA 리간드의 동정 및 상대적 정량화를 위해, 충격동결된 조직 샘플에서 얻은 HLA를 정제하고 HLA-연관 펩티드를 확인했다. 확인된 펩티드는 분리하여 그 서열을 온라인 나노-전기분무-이온화(nanoESI)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 실험에 의해 식별했다. 췌장암 샘플(N = 18 A*02- -양성 샘플)로부터 기록된 자연적 TUMAP의 분절 패턴을 동일한 서열을 가진 상응하는 합성 참조 펩티드의 분절 패턴과 비교하여, 얻어진 펩티드 서열을 확인했다. 이 펩티드는 원발성 종양의 HLA 분자의 리간드로서 직접 식별되기 때문에, 그 결과는 18명의 췌장암 환자로부터 얻은 원발성 암 조직에 대해 식별된 펩티드의 자연적 처리와 제시에 대한 직접적 증거를 제공한다.
발견 파이프라인 XPRESIDENT® v2.1(예를 들어 전체가 여기에 포함되는 US 2013-0096016을 참고)은 몇 가지 다른 비암성 조직 및 기관에 비해 암 조직에 대한 HLA-제한 펩티드 수준의 직접적인 상대적 정량화를 기준으로 관련된 과다제시된 펩티드 백신 후보의 식별과 선택을 허용한다. 이는 서열 식별, 스펙트럼 집락화, 전화 이온 계수화, 정체 시간 정렬, 상태 디컨볼루션 및 정상화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조합시킨 독점 데이터 분석 파이프라인에 의해 처리하여 획득한 LC-MS 데이터를 사용한 비표지 차등 정량화의 개발에 의해 성취되었다.
펩티드와 샘플 각각에 대한 오류 측정치 등 제시 수준이 확립되었다. 종양 조직에 배타적으로 제시된 펩티드 및 종양에서 과다제시된 펩티드 대비 비암성 조직 및 기관이 식별된 바 있다.
췌장암 조직 샘플로의 HLA-펩티드 복합체를 정제했으며, HLA-관련 펩티드를 분리하여 LC-MS에 의해 분석했다(실시예 참조). 본 출원에 포함된 모든 TUMAP는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써 췌장암 샘플 상에서 식별하여 원발성 췌장암에 대한 제시를 확인했다.
복수의 췌장암 및 정상 조직에 대해 식별된 TUMAP를 비표지 LC-MS 데이터에 대한 이온-계수화를 사용하여 정량화했다. 이 방법은 펩티드의 LC-MS 신호 영역이 샘플에 과다한 존재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가정한다. 다양한 LC-MS 실험에서 펩티드의 모든 정량적 신호들을 LS-MS 실험을 중심 경향에 근거하여 정상화하고 샘플 당 평균화하여 제시 프로필이라 부르는 막대 도표에 통합시켰다. 이 제시 프로필은 단백질 데이터베이스 검색, 스펙트럼 군락화, 충전 상태 디컨벌루션(방전) 및 시간 성격 및 정체 정상화와 같은 다른 분석 방법들을 통합시킨다.
본 발명은 암/종양,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과도하게 또는 배타적으로 제시하는 췌장암의 치료에 유용한 펩티드를 제공한다. 이 펩티드들은 원발성 인간 췌장암 샘플의 HLA 분자에 의해 자연적으로 제시되는 것으로 질량 분석법에 의해 나타났다.
펩티드가 유래하는 소스 유전자/단백질("전장 단백질" 또는 "기저 단백질"로도 지정됨)의 다수는 소스 유전자에 대한 고도의 종양 연관을 표출하는 정상 조직과 비교해서 암에서 고도로 과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정상 조직"은 소스 유전자와의 높은 정도의 종양 연관성을 발휘하는 종양-상응 유형의 건강한 췌장 세포 또는 기타 정상 조직 세포를 의미한다(실시예 2 참조). 게다가 펩티드 자체는 종양 조직에서 강력히 과다제시된다 -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양 조직"은 정상 조직상의 것이 아니라 췌장암을 앓는 환자의 샘플을 의미한다(실시예 1 참조).
HLA-결합된 펩티드는 면역계 특히 T 림프구에 의해서 인식된다. T 세포는 인식된 HLA/펩티드 복합체를 제시하는 세포, 예를 들어 유도된 펩티드를 제시하는 췌장암의 세포를 파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T 세포 반응을 자극할 수 있으며/거나 과다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및/또는 TCR, 예를 들어 용해성 TCR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 더욱이 해당되는 MHC와 복합된 펩티드는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및/또는 TCR 특히 sTCR의 생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들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해당 문헌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펩티드는 환자의 종양 세포를 파괴할 수 있는 면역 반응을 생성하는데 유용하다. 환자의 면역 반응은 설명된 펩티드의 직접적인 투여 또는 면역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제(즉, 보조제)와 섞인 적당한 전조 물질(예를 들면, 연장된 펩티드, 단백질, 또는 이러한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핵산)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런 치료 백신에서 생긴 면역 반응은 본 발명의 표적 펩티드가 비교가능한 복사 수로 정상 조직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환자의 정상 세포에 대한 기피되는 자기 면역 반응의 위험을 배제하기 때문에 종양 세포에 아주 특이적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이란 의학적 환경에서 인간에게 투여하는데 적합한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은 무균이며 GMP 지침에 따라 생산된다.
약학 조성물은 유리 형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된 펩티드를 포함한다(상기 내용도 참조). 여기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펩티드가 산 또는 제제의 염기 염을 만들며 변형되는 공개된 펩티드의 유도체를 언급한다. 예를 들면, 산성 염은 적당한 산과의 반응을 가진 자유 염기(일반적으로 중성 NH2 기가 있는 약물의 중성 형태)로부터 제조된다. 산성 염을 준비할 때 적당한 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과 같은 같은 무기산뿐만 아니라 초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수산, 말산, 말론산, 호박산, 말레산, 푸마르산, 주석산, 구연산, 벤조산, 계피산, 맨델릭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과 같은 유기산을 포함한다. 반대로, 펩티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산성 잔기의 염기 염의 준비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암모늄, 수산화 칼슘, 트리메틸아민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를 사용한다.
특별히 바람직한 약학 조성물의 구현은 초산(아세트산염), 삼불화 초산 또는 염산(염화물)의 염으로의 펩티드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본 발명의 약제는 백신과 같은 면역요법제이다. 이는 환자의 영향을 받은 기관에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i.d., i.m., s.c., i.p. 및 i.v.로서 전체적으로 투여되거나, 환자에게서 또는 나중에 환자에게 투여될 인간 세포주에 생체 외로 적용될 수도 있거나, 나중에 환자에게 다시 투여될 선택되는 면역 세포의 부분 집단에 시험관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만약 핵산이 시험관내에서 세포에 투여되면, 인터루킨-2와 같은 면역 유도 시토카인과 함께 발현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펩티드는 상당히 순도가 높을 수도 있고, 또는 면역 유도 보조제(아래 참조)와 결합되어 있거나 면역-유도 시토카인과 함께 합성체로 사용되거나, 리포좀과 같은 적당한 전달 체계와 함께 투여될 수도 있다. 펩티드는 또한 키홀 임펫 헤모시아닌(KLH) 또는 만난과 같은 적절한 담체와 접합시킬 수도 있다(WO 95/18145 및 문헌(Longenecker et al., 1993) 참고). 펩티드는 표지를 붙일 수도 있으며 융합 단백질일 수 있고 하이브리드 분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그 서열이 제공된 펩티드는 CD4 또는 CD8 T 세포를 자극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CD8 세포의 자극은 CD4 보조 T 세포에 의해 제공되는 도움이 존재할 때 더 효율적이다. 그러므로 CD8 T 세포를 자극하는 MHC 클래스 I 에피톱의 경우, 융합 파트너 또는 하이브리드 분자의 섹션은 CD4-양성 T 세포를 자극하는 에피톱을 적절하게 제공한다. CD4-와 CD8-자극 에피톱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졌고 본 발명에서 식별된 것들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이 백신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을 명시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50개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25개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20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또는 18개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펩티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한 TAA에서 유도되었고 이는 MHC 클래스 I 및/또는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변이체를 인코딩하는 핵산(예를 들면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예를 들면, DNA, cDNA, PNA, CNA, RNA 또는 이의 결합될 수 있으며, 한 가닥 및/또는 이중 쇄로 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본래의 형태일 수도 또는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백본을 가지고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안정화된 형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펩티드를 코딩하는 한 인트론을 포함할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단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그리고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이 된 펩티드만이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서 인코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DNA와 같은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벡터, 예를 들면 보완 응집성 말단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보완 동종중합체 트랙트가 DNA 조각에 추가되어 이를 벡터 DNA에 삽입할 수 있다. 벡터와 DNA 조각은 이후 보완 동종중합체 꼬리와 함께 수소 결합을 이용하여 재조합 DNA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한 부위를 포함하는 합성된 연결부위는 DNA 분절과 벡터를 결합하는 다른 방법을 제시한다. 여러 가지의 제한 엔도뉴클레아제 부위를 포함하는 합성 연결부위는 상업적으로 International Biotechnologies Inc, New Haven, CN, USA를 비롯한 곳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DNA를 변형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의 Saiki RK 등에 의하여 공개된 폴리머라아제 연쇄 반응을 이용한다(Saiki et al., 1988). 이 방법은 예를 들면 적당한 제한 부위를 만들어 적당한 벡터로 DNA를 도입하는데 사용하거나 당업계에서 알려져 있는 DNA를 다른 유용한 용도를 위해 변형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만약 바이러스 벡터가 사용된다면, 수두 벡터 또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가 바람직하다.
DNA(또는 레트로 바이러스 벡터일 경우, RNA)는 그 후 적당한 숙주에서 발현되며 이는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변이체를 가지고 있는 폴리펩티드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변이체를 인코딩하는 DNA는 알려진 기술과 여기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적절히 수정하여 적절한 숙주 세포를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고 생성하도록 형질전환을 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기법은 예를 들어 다음에 공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440,859호, 제4,530,901호, 제4,582,800호, 제4,677,063호, 제4,678,751호, 제4,704,362호, 제4,710,463호, 제4,757,006호, 제4,766,075호 및 제4,810,648호.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만드는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DNA(또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일 경우, RNA)는 많은 종류의 다른 DNA 서열과 결합되어, 적절한 숙주로의 도입을 유도할 수 있다. 동반 DNA는 숙주의 특성, DNA를 숙주로 도입하는 방법 및 에피솜 유지 또는 통합이 필요한 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보통, DNA는 발현을 위한 올바른 방향 및 올바른 리딩 프레임에 맞추어 플라스미드와 같은 발현 벡터로 삽입된다. 필요할 경우, DNA는 바람직한 숙주에 의해 인식되는 적당한 전사 조절 제어 뉴클레오티드 서열(하지만, 이 제어는 대부분의 경우 발현 벡터 내에 이미 존재한다)에 연결될 수도 있다. 벡터는 그 후 숙주로 기본적인 기술을 통해 도입된다. 보통, 모든 숙주가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하나의 선택 기술은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선택이 가능한 특성(예: 항생제 내성)을 코딩하는 DNA 서열을 필요한 제어 요소와 함께 발현 벡터에 통합시키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이러한 선택이 가능한 특성이 다른 벡터에 있을 수도 있으며, 이는 바람직한 숙주 세포를 동시-형질전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발명의 재조합 DNA에 의해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내용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이미 알고 있는 적절한 상태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배양되어 폴리펩티드의 발현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후에 회복된다.
박테리아(예를 들면,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효모(예를 들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사상균류(예를 들면 아스퍼길러스 스피시즈(Aspergillus spec.)), 식물 세포, 동물 세포 및 곤충 세포 등의 많은 발현 체계가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체계는 ATCC Cell Biology Collection에서 구할 수 있는 CHO 세포 등의 포유류 세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조성 발현을 위한 전형적인 포유류 세포 벡터 플라스미드는 CMV 또는 SV40 촉진제와 적당한 폴리 A 꼬리 및 네오마이신과 같은 저항성 마커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는, Pharmacia, Piscataway, NJ, USA에서 구할 수 있는 pSVL이다. 유도가능 포유류 발현 벡터의 예는 pMSG이며 이 또한 Pharmacia에서 구할 수 있다. 유용한 효소 플라스미드 벡터는 pRS403-406과 pRS413-416이며 이는 대부분 Stratagene Cloning Systems, La Jolla, CA 92037, USA에서 구할 수 있다. 플라스미드 pRS403, pRS404, pRS405 및 pRS406은 효소 통합 플라스미드(YIps)이며 이는 효소 선택 마커 HIS3, TRP1, LEU2와 URA3을 통합한다. 플라스미드 pRS413-416은 효소 동원체 플라스미드(Ycps)이다. (예를 들면 Sigma-Aldrich로부터 입수한) CMV 프로모터 기반 벡터는 일시적인 또는 안정된 발현, 세포질 발현 또는 분비, 및 FLAG, 3xFLAG, c-myc 또는 MAT 등의 다양한 조합으로 N-말단 또는 C-말단 표지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융합 단백질은 재조합 단백질의 감지, 정제와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중 표지 융합은 감지 시 유연성을 제공한다.
강한 인간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CMV) 프로모터 조절 영역은 구성 단백질 발현 수준을 높게는 COS 세포에서 1mg/L까지 작동한다. 좀 더 효능이 약한 세포주에서는, 단백질 수준이 전형적으로 약 0.1mg/L 정도이다. SV40 복제 원점이 있음으로써 SV40, 복제를 가능하게 하는 COS 세포에서 DNA 복제의 수준이 높은 결과를 낳는다. CMV 벡터는 예를 들면 박테리아 세포에서의 복제를 위한 pMB1 원점, 박테리아에서 암피실린 저항 선택을 위한 b-락타마아제 유전자, hGH poly A, 및 f1 원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프로트립신 리더(PPT)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는 FLAG 융합 단백질을 ANTI-FLAG 항원, 레진, 및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기 위한 배양 배지로 분비하도록 방향을 정할 수가 있다. 다른 벡터와 발현 체계는 여러 가지의 숙주 세포 사용에 대해 널리 알려져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2개 이상 펩티드나 펩티드 변이체가 인코딩됨으로써 연속적인 순서로 발현된다("염주 모양" 구조와 유사). 그렇게 함으로써 펩티드나 펩티드 변이체는 예를 들어 LLLLLL과 같은 링커 아미노산의 퍼짐에 의해 함께 연결 또는 융합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사이에 추가의 펩티드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암 요법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MHC I 및 MHC II 모두가 연관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벡터 구성에 의해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숙주 세포는 원핵 세포이거나 진핵 세포일 수 있다. 박테리아 세포가 몇몇의 상황에서 바람직한 원핵 숙주 세포일 수 있으며, 보통 Bethesda Research Laboratories Inc., Bethesda, MD, USA에서 구할 수 있는 에스케리치아 콜라이 균주 DH5, 그리고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Rockville, MD, USA(No ATCC 31343)에서 RR1이 입수가능하다. 바람직한 진핵 숙주 세포는 효소, 곤충, 포유류 세포를 포함하고, 생쥐, 쥐, 원숭이 또는 인간 섬유아세포와 대장 세포주 등의 척추 동물이 바람직하다. 효모 숙주 세포는 YPH499, YPH500 및 YPH501을 포함하며, 이는 대부분 Stratagene Cloning Systems, La Jolla, CA 92037, USA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포유류 숙주 세포는 ATCC에서 구입이 가능한 CCL61로 알려져 있는 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 CRL 1658로 알려져 있는 스위스 생쥐 배아 세포 NIH/3T3, CRL 1650 세포로 알려져 있는 원숭이 신장-유도 COS-1 세포와 293 세포로 알려져 있는 인간 배아 신장 세포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곤충 세포는 Sf9 세포이며 이는 배큘로바이러스 발현 벡터에 의해 세포로 감염될 수 있다. 발현을 위한 적당한 숙주 세포의 선택에 대한 개관은 예를 들면 Paulina Balbas and Argelia Lorence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Recombinant Gene Expression, Reviews and Protocols," Part One, Second Edition, ISBN 978-1- 58829-262-9 및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다른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적당한 세포 숙주를 본 발명의 DNA 구성으로 형질전환하는 것은 보통 사용되는 벡터의 유형이 따라 결정되는 잘 알려진 방법으로 완성된다. 원핵 숙주 세포의 형질전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Cohen 등(Cohen et al., 1972) 및 (Green and Sambrook, 2012)를 참조한다. 효모 세포의 형질전환은 Sherman 등에 설명되어 있다(Sherman et al., 1986). Beggs의 방법(Beggs, 1978) 또한 유용하다. 척추 동물 세포와 관련하여 이러한 세포를 감염시키는 시약, 예를 들면 칼슘 인산염과 DEAE-덱스트란 또는 리포좀 제제는 Stratagene Cloning Systems 또는 Life Technologies Inc., Gaithersburg, MD 20877, USA에서 입수할 수 있다. 전기 천공법 역시 형질전환 및/또는 세포를 감염시키는 데에 유용하며 이는 효소 세포, 박테리아 세포, 곤충세포 및 척추동물 세포 형질전환에 잘 알려져 있다.
성공적으로 형질전환이 된 세포, 즉 본 발명의 DNA 구조를 가지고 있는 세포는 잘 알려진 PCR과 같은 기술로 식별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청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항생제를 사용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숙주 세포, 예를 들면 박테리아, 효소 및 곤충 세포와 같은 세포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준비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숙주 세포 또한 특정한 치료 방법에 유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지상 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는 적당한 MHC 분자에 로딩이 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발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숙주 세포는 항원-제시 세포이며, 특히 수지상 세포 또는 항원-제시 세포이다. 전립선산 인산효소(PAP)를 함유하는 재조합 융합 단백질로 로딩된 APC는 무증상 또는 최소한의 증상 전이성 HRPC(Sipuleucel-T)의 치료에 대해 미국 식품안전청(FDA)에서 2010년 4월 29일에 승인된 바 있다(Rini et al., 2006; Small et al., 2006).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생산하는 방법,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펩티드를 숙주 세포 또는 배지에서 단리하는 것을 포함한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펩티드, 핵산 또는 벡터 발현이 의학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펩티드 또는 그의 변이체는 정맥 내(i.v.) 투여, 피부 하(s.c.) 투여, 피부 내(i.d.) 투여, 복강 내(i.p.) 투여, 근육 내(i.m.) 투여를 포함한다. 펩티드 투여의 바람직한 방법은 s.c., i.d., i.p., i.m., 및 i.v. 투여를 포함한다. DNA 투여의 바람직한 방법은 i.d., i.m., s.c., i.p. 및 i.v.투여를 포함한다. 펩티드 또는 DNA의 50 μg 및 1.5 mg, 바람직하게는 125 μg 내지 500 μg 사이의 용량이 각각의 펩티드 또는 DNA에 따라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의 용량이 이전의 임상실험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된 바 있다(Walter et al., 2012).
면역 접종에 사용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당히 순도가 높거나 적당한 벡터 또는 전달 체계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핵산은 DNA, cDNA, PNA, CNA, RN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핵산을 설계하고 도입하는 방법은 이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개요는 예를 들어 Teufel 등(Teufel et al., 2005)이 제공하고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 백신은 만들기가 쉽지만, 이들 벡터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동작 모드는 완전히 이해가 되지 않았다. 적당한 벡터와 전달 체계는 아데노바이러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 또는 한 개 이상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혼성체 등의 바이러스 DNA 및/또는 RNA를 포함한다. 비-바이러스 전달 체계는 양이온 지질과 양이온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DNA 전달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유전자-총(gene-gun)"을 통한 것과 같은 물리적 전달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펩티드 또는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펩티드는 융합 단백질이 될 수도 있고, 예로서는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반대 CDR을 위한 T 세포를 유도하는 에피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제는 면역 반응을 비특이적으로 향상시키거나 강력하게 하는 물질을 언급한다(예: 항원에 대한 CD80-양성 T 세포 및 조력 T(TH) 세포에 의해서 중재된 면역 반응). 따라서, 본 발명에서 보조제는 유용한 약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적당한 보조제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1018 ISS, 알루미늄 염, 암플리박스, AS15, BCG, CP-870,893, CpG7909, CyaA, dSLIM, 플라젤린 또는 플라젤린에서 유도된 TLR5 리간드, FLT3 리간드, GM-CSF, IC30, IC31, 이미퀴모드(ALDARA®), 레스퀴미드, ImuFact IMP321, IL-2, IL-13, IL-21과 같은 인터루킨, 인터페론 알파 또는 베타, 또는 이들의 페길화된 유도체, IS 패치, ISS, ISCOMATRIX, ISCOMs, 주브이뮨(JuvImmune), LipoVac, MALP2, MF59,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몬타나이드 IMS 1312, 몬타나이드 ISA 206, 몬타나이드 ISA 50V, 몬타나이드 ISA-51, 유중수형과 수중유형 에멀전, OK-432, OM-174, OM-197-MP-EC, ONTAK, OspA, PepTel® 벡터 시스템, PLG와 덱스트란 극미립자, 탈락토페린, SRL172, 비로솜(Virosomes) 및 다른 바이러스-유사 입자, YF-17D, VEGF 트랩, R848, 베타글루칸, Pam3Cys, 사포닌에서 유도된 아퀼라스 QS21 스틸물론, 마이코박테리아 추출물과 합성 세균의 세포 벽 모방제, 및 다른 리비의 데톡스(Ribi's Detox), 쿠일(Quil), 또는 수퍼포스(Superfos)와 같은 독점 보조제 등이 있다. Freund's 또는 GM-CSF와 같은 보조제가 바람직하다. 몇몇 면역적 보조제(예: MF59)는 수지상 세포에 특이적이고, 그 제조 방법은 이전에 묘사된 바 있다(Allison and Krummel, 1995). 또한, 시토카인도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시토카인은 수지상 세포의 림포이드 조직으로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것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바 있으며(예: TNF-α), 이는 수지상 세포의 더 효율적인 T 림프구에 대한 항원-제시 세포로의 성장을 가속시키고(예: GM-CSF, IL-1 및 IL-4)(미국 특허 제5,849,589호, 여기에 그 전문이 참조 문헌으로 포함됨) 면역보조제의 역할을 한다(예: IL-12, IL-15, IL-23, IL-7, IFN-알파, IFN-베타)(Gabrilovich et al 1996).
CpG 면역자극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백신 세팅에서 보조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이론에 국한하지 않고,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톨-유사 수용체(TLR), 특히 TLR9를 통해 선천(비적응)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CpG에 의해 유도된 TLR9의 활성화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 항원, 살아 있거나 죽은 바이러스, 수지상 세포 백신, 자가 세포 백신 및 예방적 및 치료적 백신의 다당류 접합체를 포함한 넓은 종류의 항원에 대한 항원 특이적 체액성 및 세포성 반응을 향상시킨다. 더 중요하게 이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 및 차별화를 향상시키고 이는 TH1 세포의 활성화를 향상시키며 강한 세포독성 T 림프구(CTL) 생성을 CD4 T 세포의 도움이 없을 때에도 향상시킨다. TLR9 자극에 의해 일어난 TH1 바이러스는 보통 TH2 바이러스를 촉진시키는 alum 또는 비완성된 프로인트 보조제(Freund's adjuvant(IFA))와 같은 백신 보조제가 존재할 때도 유지된다.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다른 보조제와 함께 제조되거나 함께 투여될 시 또는 특히 항원이 상대적으로 약할 때 강한 반응을 얻어 내기 위해 필요한 미세입자, 나노입자, 지질 에멀전 또는 비슷한 제약으로 되어 있을 경우 더 큰 보조제 활동을 보인다. 그들은 또한 면역 반응을 가속화시키고, 몇몇의 연구에서 보여진 바 있듯이 CpG가 없을 때 백신 전체 용량이 일으키는 항체 반응 수준으로 항원의 용량을 약 두 배 정도 줄일 수 있도록 한다(Krieg, 2006). 미국 특허 제6,406,705 B1호는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비핵산 보조제 및 항원 특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의 결합 사용에 대해 묘사한다. CpG TLR9 길항제는 Mologen(Berlin, Germany)에 의해 만들어진 dSLIM(double Stem Loop Immunomodulator)이며 이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의 바람직한 성분이다. RNA 결합 TLR 7, TLR 8 및/또는 TLR 9 등의 다른 TLR 결합 분자 또한 사용이 가능하다.
다른 유용한 보조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화학적으로 변형된 CpGs(예: CpR, Idera), Poly(I:C)와 같은 dsRNA 유사체 및 그 유도체(예: 앰프리젠(AmpliGen, 힐토놀(Hiltonol, poly-(ICLC), poly(IC-R), poly(I:C12U), 비-CpG 박테리아 DNA 또는 RNA 및 사이클로포스아미드, 수니티닙, 베바시주맙(Bevacizumab), 셀레브렉스, NCX-4016, 실데나필, 타달라필, 바르데나필, 소라페닙, 테모졸로마이드, 템시롤리무스, XL-999, CP-547632, 파조파닙, VEGF 트랩, ZD2171, AZD2171, 안티-CTLA4와 같은 면역활성적인 작은 분자 및 항체 및 면역계의 주요 구조를 표적화하는 다른 항체(예: anti-CD-40, anti-TGFbeta, anti-TNFalpha 수용체) 및 SC58175가 있으며 이는 치료적으로 또는 보조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조제와 첨가제의 양과 농도는 특별히 다른 실험할 필요 없이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서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보조제들은 항CD40,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GM-CSF,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수리티닙, 베바시주맙, 인터페론-알파,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유도체 폴리-(I:C) 및 유도체, RNA, 실데나필, 및 PLG 또는 비로솜 미립자 제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구현에서, 보조제는 그래뉼로사이트 마크로파지 콜로니-자극 인자(GM-CSF, 사르가라모스팀),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및 인테페론 알파와 같은 콜로니 자극 인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구현에서, 보조제는 그래뉼로사이트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 인자(GMCSF, 사르가라모스팀),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이미퀴모드 및 레시퀴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구현에서, 보조제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이미퀴모드 또는 레시퀴모드이다. 훨씬 더 바람직한 보조제는 Montanide IMS 1312, Montanide ISA 206, Montanide ISA 50V, Montanide ISA-51, poly-ICLC(Hiltonol®) 및 anti-CD40 mAB 또는 이들의 조합들이다.
이 조성물은 피하, 피부내, 근육내 비경구 투약 또는 경구 투약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펩티드 및 임의적으로 다른 분자들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담체에 용해하거나 현탁한다. 추가로, 이 조성물은 완충제, 결합제, 발파제, 희석제, 향미료, 윤활제 등과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펩티드는 시토카인 같은 면역 자극 물질과 같이 투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에 사용될 수 있는 방대한 부형제 목록은 예를 들어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다: A. Kibbe, 약학적 부형제 핸드북(Kibbe, 2000). 이러한 조성물은 선종성 또는 암성 질병의 예방, 방지 및/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 제제는 예를 들어 EP2113253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에 의해 일어나는 면역 반응이 다른 세포 단계 및 다른 개발 단계에서 암을 공격한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암과 연관된 다른 신호전달 경로가 공격을 받는다. 이것은 단 하나 또는 몇몇 표적만을 다루며 종양으로 하여금 공격에 쉽게 적응하도록 유발할 수 있는(종양 탈출) 백신에 비해 이점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모든 개별 종양들이 같은 항원의 패턴을 발현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몇몇 종양 연관 펩티드들의 조합은 모든 개별 종양이 적어도 표적의 일부를 갖도록 한다. 이 조성물은 각 종양이 몇 개의 항원을 발현할 것으로 기대되며 종양 성장 및 유지에 필요한 몇 개의 독립적 경로를 다루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백신은 보다 큰 환자 모집단을 위해 "기성품"으로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백신으로 치료할 환자의 사전 선택을 HLA 형결정으로 제약될 수 있고, 항원 발현을 위해 어떠한 추가의 바이오마커 평가를 요구하지 않음을 의미하지만, 효능에 중요한 몇몇 표적들이 유도된 면역 반응에 의해 동시적으로 공격되도록 계속 보장한다(Banchereau et al., 2001; Walter et al., 2012).
여기서 사용된 "골격(scaffold)"이란 용어는 (예: 항원성) 결정인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자를 언급한다. 한 구현에서, 골격은 그것이 부착되는 객체(예: (두 번째) 항원 결합 모이어티)를 표적 부위, 예를 들어 특이한 유형의 종양 세포 또는 항원성 결정인자를 갖는 종양 간질(예: 당장의 용도에 따른 펩티드와 MHC의 복합체)로 향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골격은 그 표적 항원, 예를 들어 T 세포 수용체 복합체 항원을 통해 신호전달을 활성화할 수 있다. 골격은 항체 및 그 단편, 항체 중쇄 변수 영역 및 항체 연쇄 변수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원, 하나 이상의 앙키린 반복 모티프 및 단일 도메인 항원 결합(SDAB) 분자를 포함하는 결합 단백질, 압타머, (용해성) TCR 및 동종 또는 자가 T 세포와 같은 (변형된) 세포를 포함하지만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어떤 분자가 표적에 결합하는 골격인지 평가하기 위해, 결합 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이적" 결합이란 그 골격이 다른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펩티드-MHC-복합체보다 관심 대상의 펩티드-MHC-복합체에 더 잘 결합하며, 그 정도는 특정 표적이 포함된 세포를 줄일 수 있는 활성 분자로 무장한 골격이 특정 표적이 없는 다른 세포는 죽일 수 없으며 다른 펩티드-MHC 복합체를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차-반응성 펩티드-MHC의 펩티드가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면, 즉 인간 HLA-펩티돔으로부터 유래되지 않는다면, 다른 펩티드-MHC 복합체에 대한 결합은 관련이 없다. 표적 세포 살해의 평가 검사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이 검사는 변경되지 않는 펩티드-MHC 제시를 가진 표적 세포(일차 세포 또는 세포주)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펩티드-MHC 수준이 도달되는 정도로 펩티드가 포함된 세포를 사용하여 수행해야 한다.
각 골격은 라벨이 제공하는 신호의 존재나 부재를 판단함으로써 결합된 골격이 검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라벨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골격은 형광 염료나 일체의 다른 해당되는 세포 마커 분자를 사용하여 라벨링이 가능하다. 그러한 마커 분자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형광 라벨링은(예를 들어 형광 염료에 의해 제공되는) 형광이나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 또는 유세포 분석에 의해 결합된 압타머의 가시화를 제공할 수 있다.
각 골격은 IL-21, 항CD3, 항CD28와 같은 두 번째 활성 분자와 접합될 수 있다.
폴리펩티드 골격에 대한 추가 정보는 예를 들어 WO 2014/071978A1의 배경 부분과 거기에 인용된 참조 문헌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압타머에 관한 것이다. 압타머란(예를 들어 WO 2014/191359 및 여기에 인용된 문헌을 참조) 정의된 삼차원적 구조로 접힐 수 있으며 특정 표적 구조를 인지할 수 있는 짧은 단일 가닥 핵산 분자이다. 이것은 표적 요법의 개발에 필요한 적합한 대안인 것으로 보여진 바 있다. 압타머는 높은 친화성 및 특이성으로써 다양한 복합체 표적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세포 표면에 위치한 분자를 인지하는 압타머가 지난 십 년 동안 동정된 바 있으며 진단 및 치료 접근 방식을 개발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압타머가 독성 및 면역원성을 거의 소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바가 있으므로, 생존의학적 용도를 위한 유력한 후보이다. 정말로 압타머, 예를 들어 전립선 특이적 막-항원을 인지하는 압타머는 표적 대상의 요법을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생체 모델에서의 이종이식에 기능적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더욱이 특이적 종양 세포주를 인지하는 압타머가 동정된 바 있다.
DNA 압타머는 다양한 암 세포, 특히 고형 종양으로부터 유래하는 것들을 위한 광범위 인지 성질을 밝히기 위해 선택가능한 반면에, 비종양형성의 그리고 원발성의 건강한 세포는 인지되지 않는다. 동정된 압타머가 특이적 종양 아형을 인지할 뿐만 아니라 일련의 종양과 상호작용한다면, 이로 인해 압타머는 소위 광범위 진단 및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유세포 분석을 사용한 세포 결합 거동의 조사에 의하면 압타머는 나노몰 범위에서 매우 양호하고 뚜렷한 친화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타머는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유용하다. 더욱이 일부 압타머는 종양 세포에 의해 섭취되며, 따라서, 종양 세포 안으로의 siRNA와 같은 항암제의 표적 인도를 위한 분자 부형제로서 기능이 가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
압타머는 세포와 조직과 같은 복합체 표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 사이의 어느 것에 따른 서열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와 MHC 분자와의 복합체에 대하여, cell-SELEX(지수적 증식에 의한 리간드의 체계적 진화) 기법을 사용하여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MHC/펩티드 복합체에 대한 특정 항체를 생성하고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병변 조직에 치료, 독성 물질 표적화 또는 방사능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항체의 또 다른 사용은 PET 같은 이미지 목적을 위해 병변 조직의 방사성 핵종을 표적화할 수도 있다. 이 사용은 작은 전이를 감지하거나 병변 조직의 크기와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HLA-제한 항원과 복합되는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 I 또는 II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재조합 항체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방법은 상기 HLA 제한 항원과 복합체를 형성하는 용해성 형태의 MHC 클래스 I 또는 II 분자로써 상기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 I 또는 II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유전자 조작된 비인간 포유동물의 면역화; 상기 비인간 포유동물의 세포를 생산하는 항체로부터 mRNA 분자의 분리; 상기 mRNA 분자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 분자를 표시하는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의 생산; 및 상기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파지의 분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파지는 상기 HLA-제한 항원과 복합되는 상기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 I 또는 클래스 II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상기 항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HLA 제한 항원과 복합되는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 I 또는 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양특이성 항체 및/또는 키메라 항체이다.
그러한 항체 및 단일 쇄 클래스 I 주조직적합 복합체의 생산을 위한 해당 방법들은 물론 이러한 항체의 생산을 위한 다른 도구들은 WO 03/068201, WO 2004/084798, WO 01/72768, WO 03/070752 및 출판물(Cohen et al., 2003a; Cohen et al., 2003b; Denkberg et al., 2003)에 공개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그 전문이 참조문헌에 명백히 포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체는 20 나노몰 미만, 복합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0 나노몰 미만의 결합 친화력으로써 복합체와 결합하는데, 이는 또한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이적"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대해 88% 이상 상동성인(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그 변이체 또는 상기 펩티드와 교차 반응하는 T 세포를 유도하는 그 변이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티드는 기저 전장 폴리펩티드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대해 88% 이상 상동성인(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그 변이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전체 길이가 8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인 아미노산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인간 주조직적합 복합체(MHC) 클래스 I 또는 II의 분자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티드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티드는 (화학적으로) 변형되거나/며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관한 것으로 펩티드는 융합 단백질의 일부이며 특히 HLA-DR 항원 연관 불변 쇄(Ii)에 융합되거나 펩티드는 예를 들어 수지상 세포에 특이적인 항체와 같은 항체에(또는 안으로) 융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이 따른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핵산에 관한 것으로, 단 펩티드가 완전한 (전부) 인간 단백질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DNA, cDNA, PNA, RNA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본 발명에 따른 핵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핵산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또는 의학에서의 특히 췌장암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또는 전에 설명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항원-제시 세포, 바람직하게는 수지상 세포인 본 발명에 따른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숙주 세포의 배양과 상기 숙주 세포 또는 그 배양 배지로부터 펩티드의 분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충분한 수량의 항원을 항원-제시 세포와 접촉시킴으로써 항원이 적합한 항원-제시 세포의 표면에 발현된 클래스 I 또는 II MHC 분자 위에 로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원-제시 세포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을 포함하는 상기 펩티드 또는 상기 변이체 아미노산 서열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활성화된 T 세포에 관한 것으로, 상기 T 세포는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은 또한 표적 세포가 본 발명에 따른 일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환자에서 그 표적 세포를 죽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수의 T 세포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설명한 일체의 펩티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본 발명에 따른 발현 벡터,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된 세포 독성 T 림프구를 약제로서의 또는 약제의 제조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제가 암에 대해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제가 백신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제가 암에 대해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암세포는 췌장암 세포 또는 췌장암, 뇌암, 신장암, 결장 또는 직장암, 백혈병과 같은 기타 고형 또는 혈액 종양 세포이다.
본 발명은 또한 췌장암의 진단 및/또는 예후에 사용할 수 있는 여기서 "표적"으로 부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근거한 특정 마커 단백질 및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해 이러한 신규 표적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용어 "항체" 또는 "항체들"은 여기에서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며, 다클론 및 단클론 항체를 둘 다 포함한다. 무손상 또는 "온전한" 면역글로불린 분자 외에도, "항체"란 용어에는 그러한 면역글로불린 분자들의 단편(예: CDRs, Fv, Fab 및 Fc 단편) 또는 중합체 및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인간화 버전이 포함되는데, 단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물성들(예: 췌장암 마커 (폴리)펩티드의 특이적 결합, 암 마커 유전자를 발현하는 췌장암 세포로 증가된 수준의 독소 전달 및/또는 췌장암 마커 폴리펩티드의 활성도 억제)의 어느 것이라도 발현한다.
가능한 한, 본 발명의 항체는 상용 소스에서 구입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잘 알려진 방법을 통해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당업자는 전장 췌장암 마커 플리펩티드 또는 이들의 단편이 본 발명의 항체 생성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항체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될 폴리펩티드는 자연적인 원천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정화될 수 있으며, 또는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의 폴리펩티드에 따른 펩티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cDNA 또는 그 변이체나 단편은 원핵 세포(예, 박테리아) 또는 진핵 세포(예, 효모, 곤충 또는 포유류 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으며, 재조합 단백질은 그 후 정화되고 본 발명에 따른 항체 생성에 사용되는 췌장암 마커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두 개 이상의 다른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의 조합의 생성을 의도하는 용도(예: ELISA, 면역조직화학, 생체내 이미징, 면역 독소 요법)에 요구되는 특이성 및 친화성을 갖는 항체의 획득 가능성을 최대화함을 인식할 것이다. 이 항체들은 그 항체들이 사용되는 목적에 의거하여 알려진 방법에 의해 바라는 활성도에 대해 시험된다(예: ELISA, 면역조직화학, 면역요법 등; 항체의 생성과 시험에 관한 추가 지침은 다음을 참고한다(예: Greenfield, 2014 (Greenfield, 2014)). 예를 들어, 항체는 ELISA 검정, 웨스턴 블롯, 포르말린 고정 면역조직화학 염색 또는 동결 조직 절개에서 시험할 수 있다. 치료 또는 생체내 진단용을 위한 항체는 초기의 시험관내 특성화 이후, 알려진 임상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단클론 항체"라는 용어는 여기서 실질적으로 균등질 항체 개체군에서 획득이 된 것을 언급한다. 즉, 이 개체군이 포함하는 각각의 항체는 자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소수의 변이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단클론 항체는 여기서 특히 중쇄 및/또는 경쇄의 한 부분이 특정한 종 또는 특정한 항체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에서 유도된 항체의 서열과 상응하거나 일치하고, 쇄의 나머지 부분은 다른 종 또는 다른 항체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에서 유도된 항체, 및 이러한 항체의 단편의 서열과 상응하거나 일치하고, 희망하는 상반되는 활동성을 보여주는 "키메릭(chimeric)" 항체를 포함한다(미국 특허 제4,816,567호, 전문이 여기에 포함됨).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방법을 사용하여 준비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에서는, 생쥐 또는 다른 적당한 숙주 동물이 보통 면역성을 주는 작용제에 의해 면역되어, 면역성을 주는 작용제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거나 이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림프구를 유도해 낸다. 다른 방법으로는, 림프구는 시험관내에서 면역될 수도 있다.
단클론 항체는 미국 특허 제4,816,567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재조합 DNA 방법들에 의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인코딩하는 DNA는 손쉽게 격리되고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염기 서열 분석이 가능하다(예, 마우스 유래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인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정하게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시험관내 방법 또한 1가의(monovalent) 항체를 준비하는 데에 적당하다.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항체를 절편화시켜 항체의 단편을 특히 여기서는 Fab 단편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파인을 사용하여 절편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파파인 소화의 예는 WO 94/29348 및 미국 특허 제4,342,566호에 설명되어 있다. 항체의 파파인 소화는 보통 각각 하나의 항원 결합 위치 및 남은 Fe 단편을 포함한 Fab 단편의 동일한 두 개의 항원 결합 단편을 생산한다. 펩신 처리는 F(ab')2 단편 및 pFc' 단편을 생산한다.
항체 단편도, 이가 다른 서열과 붙어 있든 그렇지 않든 간에, 이 단편의 활동력이 변경되지 않은 항체 또는 항체 단편에 비교할 시, 현저하게 바뀌거나 손상이 되지 않는 한, 삽입, 삭제, 치환, 또는 특정한 위치의 또는 특정한 아미노산 잔기의 다른 선택되는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이황화물 결합의 능력이 있는 아미노산의 제거/추가, 생물적 생명의 증가, 분비 특징의 변화 등의 추가적인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항체 단편은 결합성, 결합 도메인에서의 결합 조정 등의 생물작용 성질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항체의 기능적인 또는 활동적인 범위는 단백질의 특정한 지역의 돌연변이 생성, 발현 및 이 발현된 폴리펩티드의 실험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이 분야의 기술자가 손쉽게 알 수 있는 기술이며 이는 항체 단편을 인코딩하는 핵산의 위치-특정 돌연변이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인간화된 항체 또는 인간 항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인간화된 형태의 비-인간(예, 쥐과 동물) 항체는 최소의 비-인간 면역글로불린 항체에서 유도된 서열을 포함하는 키메릭 면역글로불린항체, 면역글로불린 쇄 또는 이들의 단편(Fv, Fab, Fab' 또는 다른 항체의 항원 결합의 결과)이다. 인간화된 항체는 보완 결정 영역(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CDR))의 잔기가 생쥐, 쥐 또는 토끼와 같은 비-인간 종(공여 항체)의 CDR의 잔기로 바뀐 요구되는 특이성, 친화력 및 수용력을 가진 인간 면역글로불린(수납 항체)이다. 몇몇의 예에서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v 구조(FR) 잔기가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로 교체된다. 인간화된 항체는 수납 항체 또는 수입된 CDR 또는 구조 서열의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서열을 포함하기도 한다. 보통, 인간 항체는 변이성 도메인을 적어도 하나 또는 거의 대부분 두 개를 포함하며, 모든 또는 실질상 모든 CDR 범위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에 상응하고 모든 또는 실질상 모든 구조 범위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일치 서열이다. 인간화된 항체는 이상적으로 적어도 보통 인간 면역 글로불린의 면역글로불린 불변 범위(Fc)의 한 부분 또한 포함할 것이다.
이 분야에서 비인간 항체를 인간화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보통, 인간화된 항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비-인간 근원에서 이에 도입된다. 이 비-인간 아미노산 잔기들은 종종 "수입" 잔기라고 일컬어지며, 이는 대개 "수입" 변수 도메인에서 출처한다. 인간화는 본질적으로 설치류의 CDR 또는 상응하는 인간 항체 서열의 CDR 서열을 인간의 것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인간화된" 항체는 키메릭 항체이며(US 4,816,567), 온전한 인간 변수 도메인보다 훨씬 적게 비인간 종으로부터의 상응하는 서열에 의해 대체된다. 실제적으로, 인간화된 항체는 보통 몇몇의 CDR 잔기 및 가능하게는 몇몇의 구조 잔기가 이 설치류의 유사한 영역의 잔기와 치환된 인간 항체이다.
면역되었을 때, 내생의 면역글로불린 생성이 없는 중에 전체 인간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동물(예, 생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메릭 배선 돌연변이 생쥐의 항체의 중쇄 결합 영역 유전자 동형 삭제는 내생 항체 생산의 완전한 억제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배선 돌연변이 생쥐로의 인간 배선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정렬 이입은 항원이 존재할 때 인간 항체 생산의 결과를 낳을 것이다. 인간 항체는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에서도 생산될 수 있다.
발명의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에 의해서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보통, 적당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형을 등장 상태로 만들기 위해 제형에 사용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예로는, 링거 용액(Ringer's solution) 및 포도당 용액이 있다. 이 용액의 pH 값은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 사이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7.5 사이이다. 더 많은 담체는 항체를 포함하는 세포간질이 막, 리포좀 또는 미세입자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고체 소수성 중합체 반투성의 세포간질과 같은 지속적인 방출 준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투여 방법 및 투여되는 항체의 농도에 따라 어떤 담체가 더 바람직한지는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항체는 피험자, 환자 또는 세포에 주사(예, 정맥내, 복강내, 피하, 근육내), 또는 주입과 같은 혈액으로서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항체는 국소뿐만이 아니라 전신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종양 내 또는 종괴 주위의 방법으로도 투여될 수도 있다. 국소 또는 정맥내 주사가 바람직하다.
항체 투여의 효율적인 용량과 스케줄은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을 내리는 것은 이 분야의 기술 중의 하나다 이 분야의 당업자는 투여되는 항체의 용량은 예를 들어 이 항체를 받는 대상, 투여 방법, 사용되는 특정한 항체의 종류 및 투여되는 다른 약들에 따라 달라진 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단독으로 사용될 시 전형적인 항체의 일일 용량은 1μg/kg 내지 100 mg/kg으로 다를 수 있으며, 위에 언급된 요인을 고려할 때 이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췌장암의 치료를 위한 항체의 투여 후,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이 치료 항체의 효능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료를 받고 있는 시험대상자의 암의 크기, 수, 및/또는 분포 등을 표준 종양 영상 기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항체의 투여가 없을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종양의 성장을 정지시켜, 종양을 오그라들게 하고, 또는 새로운 종양의 성장을 예방하는 치료의 목적으로 투여된 항체는 효과있는 암의 치료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특이적 펩티드-MHC 복합체를 인식하는 용해성 T 세포 수용체(sTCR)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해성 T 세포 수용체는 특이적 T 세포 클론으로부터 생성 가능하며, 그 친화력은 상보결정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 돌연변이유발성에 의해 증가시킬 수 있다. T 세포 수용체 선택의 목적 상, 파지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US 2010/0113300, (Liddy et al., 2012) ). 파지 디스플레이 동안 T 세포 수용체의 안정화 목적 상 및 약물로서의 실용적인 용도의 경우, 알파 및 베타 쇄는, 예를 들어 비정상적 이황화 결합, 기타 공유 결합(단일-쇄 T 세포 수용체) 또는 이합체화 도메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Boulter et al., 2003; Card et al., 2004; Willcox et al., 1999). T 세포 수용체는 표적 세포에 대한 특정 기능의 실행을 목적으로 독소, 약물, 시토카인(예를 들어, US 2013/0115191 참고), 및 항-CD3 도메인과 같은 작용기 세포를 모집하는 도메인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이것은 입양 전달에 사용되는 T 세포에서 발견될 수 있다. 추가 정보는 WO 2004/033685A1 및 WO 2004/074322A1에서 찾을 수 있다. sTCR의 조합은 WO 2012/056407A1에 설명되어 있다. 이 생산에 관한 추가 방법들은 WO 2013/057586A1에 공개되어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펩티드 및/또는 TCR 또는 항체 또는 다른 결합하는 분자는 병리학자에 의한 생검 샘플에 근거하는 암의 진단을 확인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항체 또는 TCR은 생체내의 진단 분석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보통, 항체는 방사성핵종으로 라벨이 되고(예, 111 In, 99 Tc, 14 C, 131 I, 3 H, 32 P 또는 35 S) 면역 섬광 조형술을 사용하여 그 종양이 국소화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에서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은 상기 언급된 단백질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에 대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표적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을 하고 친화성 값(Kd)은 1x10μM 보다 낮다.
진단의 용도로 사용되는 항체는 여러 가지의 영상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는 적당한 프로브로 라벨이 될 수 있다. 프로브의 감지 방법은 형광, 광학, 공초점 및 전자 현미경,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영상 및 분광기 형광 투시법, 전산화 단층 촬영과 양전자 방사 단층 촬영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적당한 프로브는 플루오레세인, 로다민, 에오신과 다른 형광체, 방사성 동위 원소, 금, 가돌리늄과 다른 란탄계열 원소, 상자성체의 이온, 플루오르-18 및 다른 양전자 방출 방사성 핵종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로브는 두 개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여기에 나열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여기에 나열된 프로브로 라벨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항체와 프로브를 연결하는 것으로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들 중에 프로브의 공유원자 연결, 프로브의 항체로의 편입, 및 프로브의 결합을 위한 킬레이트 화합물의 공유원자 연결 등을 들 수 있다. 면역조직 화학을 위해서, 질병 조직 샘플은 신선하거나 냉동되었거나 파라핀에 포매되어 포르말린과 같은 방부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되었거나 포매되어 있는 샘플을 포함하고 있는 조직 절편은 라벨된 1차 항체와 2차 항체와 접촉되며 여기서 그 항체는 원위치 단백질 발현의 감지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활성화된 T 세포와 항원 적재된 적당한 항원-제시 세포의 표면에서 T 세포를 항원이 본 발명의 펩티드라고 할 때 항원 특정 방식으로서 활성화시키는 데 충분한 시간 동안에 발현되는 인간 클래스 I 또 는 II MHC 분자의 접촉을 포함하는 시험관내의 방법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양의 항원이 항원-제시 세포와 함께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세포는 TAP 펩티드 트랜스포터가 결핍되어 있거나, 감소된 수준 또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TAP 펩티드 트랜스포터가 결핍되어 있는 적당한 세포로는 T2, RMA-S 및 초파리 세포를 들 수 있다. TAP이란 항원 처리에 관련된 트랜스포터를 일컫는다.
인간 펩티드 적재 결핍 세포주 T2는 Type Culture Collection, 12301 Parklawn Drive, Rockville, Maryland 20852, USA의 카탈로그 번호 CRL 1992에서 구입이 가능하고, 초파리 세포주 Schneider 2는 ATCC의 카탈로그 번호 CRL 19863에서 구입이 가능하며, 생쥐 RMA-S 세포주는 Ljunggren 등에서 묘사가 된 바 있다(Ljunggren and Karre, 1985).
바람직하게는, 숙주 세포는 감염전에 실질적으로 MHC 클래스 I 분자를 발현하지 않는다. 자극기 세포는 B7.1, B7.2, ICAM-1 및 LFA 3과 같은 T 세포를 위한 공동-자극 신호의 제공에 중요한 분자를 발현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다수의 MHC 클래스 II 분자의 핵산 서열 및 동시자극 분자의 서열은 GenBank와 EMBL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개적으로 제공된다.
MHC 클래스 I 에피톱이 항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T 세포는 CD8-양성 CTL이다.
만약 항원-제시 세포가 이러한 에피톱을 발현하도록 감염되었다면, 바람직하게는 그 세포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상기 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T 세포를 시험관내에서 생성하는 몇몇의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가 종양-침윤 림프구를 CTL 생성에 사용할 수 있다. Plebanski 등 (Plebanski et al., 1995)은 T 세포의 준비에 자기 말초 혈액(PLB) 림프구를 사용했다. 수지상 세포를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로 펄스시키거나, 재조합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의해 자가 조직 T 세포의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B 세포는 자가 조직 T 세포의 생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로 펄스된 또는 재조합된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대식 세포가 자가 조직 T세포의 준비 시 사용될 수 있다. S. Walter 등(Walter et al., 2003)은 인공 항원-제시 세포(aAPCs)를 사용하는 시험관내 T 세포의 프라이밍을 묘사하며, 이는 역시 선택되는 펩티드에 대해 T 세포를 생성하는 적절한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APC는 미리 생성된 MHC:펩티드 복합체를 폴리스티렌 입자(마이크로 비드)의 표면과 커플링을 시키고 바이오틴-스트렙트아비딘 생화학을 이용함으로써 생성되었다. 이 체계는 aAPC의 정확한 MHC 밀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이는 항원-특정 T 세포 반응을 혈액 샘플에서 높은 효율성으로 고- 또는 저-결합력을 선택적으로 유도해낼 수 있게 한다. MHC:펩티드 합성체를 제외하고, aAPC는 그들의 표면에 커플된 항-CD28 항원과 같은 동시-자극 활동을 가지고 다른 단백질을 운반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aAPC-기반 체계는 종종 예를 들면, 인터루킨-12와 같은 시토카인 등 적당한 용해 요소의 첨가를 요구한다.
동종이계 세포는 T 세포의 준비에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방법은 WO 97/26328에 더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여기에 참조 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초파리 세포와 T2 세포에 추가적으로, CHO 세포, 배큘로바이러스-감염 곤충 세포, 박테리아, 효모, 백시니아-감염된 표적 세포 등과 같은 다른 세포들도 항원을 제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식물 바이러스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예를 들면, Porta 등(Porta et al., 1994)), 이는 외부 펩티드의 제시를 위한 카우피 모자이크바이러스의 높은 수확 체계로서 개발에 대해 묘사한다.
이 실험의 펩티드에 대해 활성화된 T 세포는 치료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더 나아간 양태는 앞서 말한 발명의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는 활성화된 T 세포에 대한 내용을 제공한다.
위에서 말한 방법으로 생성된 활성화된 T 세포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인식한다.
바람직하게는, T 세포는 그의 TCR을 HLA/펩티드-합성체(예, 결합)와 상호작용을 함으로서 이런 세포를 인식한다. 이 T 세포는 효율적인 활성화된 T 세포의 수가 투여되었을 시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는 폴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환자의 표적 세포를 죽이는 데 유용하다. 환자에게 투여된 T 세포는 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환자에게 유도되고 활성화된다(즉, 이는 자가 조직 T 세포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T 세포는 환자에게 유도가 안 되고, 다른 개인에서 유도된다. 물론, 이 개인이 건강한 개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이 말하는 "건강한 개인"이라고 함은 개인이 전체적으로 좋은 건강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면역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손쉽게 실험되고 감지될 수 있는 어떤 질병도 겪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생체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CD4-양성 T 세포는 종양 세포(이들은 가끔 MHC 클래스 II를 발현하기도 한다)이고/거나 종양을 감싸고 있는 간질성 세포(종양 세포)(이는 가끔 MHC 클래스 II를 또한 발현하기도 한다)이다(Dengjel et al., 2006)).
본 발명의 T 세포는 활성적인 치료 구성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는 폴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환자의 표적 세포를 죽이고 환자에게 위에 정의된 바처럼 효율적인 T 세포의 수를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자는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이라는 구절에 의해, 폴리펩티드가 정상 수준에 비교했을 때 과발현되거나 유전자가 종양이 유도된 조직에서는 침묵적이지만(silent) 종양에서는 발현되는 것도 의미한다. 발명자는 "과발현"이라는 구절에 의해, 폴리펩티드가 정상 조직에서 존재하는 수준의 적어도 1.2배 이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배 또는 10배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T 세포는 예를 들면 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흔히 T 세포의 입양 전송이라고 불리는 것에 대한 프로토콜은 이 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리뷰는 다음에서 찾을 수 있다: Gattioni 등 Morgan 등(Gattinoni et al., 2006; Morgan et al., 2006).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는 그 핵산이 클로닝되어 숙주 세포, 바람직하게는 T 세포로 도입되는 T 세포 수용체를 생성하기 위해 MHC와 복합체가 되는 펩티드의 사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조작된 T 세포는 이에 따라 암 치료를 위해 환자로 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분자 즉, 펩티드, 핵산, 항체, 발현 벡터, 세포, 활성화된 T 세포, T 세포 수용체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은 면역 반응을 피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세포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질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분자든지 약제로 사용되거나 약제를 만드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분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어떤 알려진 분자와 함께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암, 특히 췌장암 및 다른 악성 종양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한 키트(kit)를 포함한다:
(a) 위에 묘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을 용액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포함하고 있는 용기;
(b) 임의적으로 희석제 또는 동결건조된 제형을 위한 재구성 용액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c) 임의적으로 (i) 용액의 사용 또는 (ii) 동결건조된 제형의 재구성 및/또는 사용을 위한 설명서.
이 키트는 하나 이상의 (iii) 완충액, (iv) 희석제, (v) 필터, (vi) 주사바늘 또는 (v) 주사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용기는 바람직하게 병, 바이알, 주사기 또는 시험관이며; 다용도 용기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키트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되어 있는 약제를 적당한 용기와 이들의 재구성 및/또는 사용에 관한 설명서를 함께 포함한다. 적당한 용기는 예를 들면, 병, 바이알(예: 듀얼 챔버 바이알), 주사기(듀얼 챔버 주사기 등) 및 시험관을 포함한다. 용기는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키트 및/또는 용기는 재구성 및/또는 사용에 대한 사용법을 표시하는 지시 내용을 그 용기 상에 또는 그와 연관하여 포함한다. 예를 들어, 라벨 상에서 동결건조된 제형을 상기 펩티드 농도로 재구성해야 한다고 지시할 수 있다. 라벨은 또한 약제가 피하투여가 가능한지 아니면 유용한지를 보여줄 수도 있다.
제형을 포함한 용기는 재구성된 약제의 반복된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다용도 바이알일 수 있다(예: 2 내지 6회의 투여). 키트는 또한 적당한 희석제(예: 중탄산 용액)를 포함하는 두 번째의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희석제와 동결건조된 약제를 섞었을 때, 재구성된 제형의 최종 펩티드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5 mg/mL/펩티드(=75μg)이며 바람직하게는 3 mg/mL/펩티드(=1500μg)를 넘지 않아야 한다. 키트는 다른 완충제, 희석제, 필터, 바늘, 주사기, 및 패키지 삽입 및 사용 설명서 등의 사용자의 입장에서 필요한 것을 더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의 용기를 다른 제품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포함하거나(예: 다른 화합물들 또는 이 다른 화합물들의 약학 조성물) 각각의 조성물을 각자 다른 용기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키트는 다음과 같은 두 번째의 화합물 또는 그들의 약학 조성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보조제(예: GM-CSF), 화학요법제, 자연 생성물, 호르몬 또는 길항제, 항혈관신생 제제 또는 억제제, 괴사유도제 또는 킬레이터. 키트의 조성물은 미리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거나 각각의 조성물이 각각 따로 용기에 담겨 있을 수도 있다. 키트의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체 용액에 제공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균 수용액에 제공된다. 키트의 조성물은 적당한 용해제를 첨가함으로써 액체로 바뀔 수 있는 고체로 제공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는 다른 용기에 담겨 제공된다.
치료 키트의 용기는 바이알, 실험관, 플라스크, 병, 주사기 또는 고체나 액체를 담을 수 있는 다른 어떤 용기일 수 있다. 보통, 하나 이상의 구성물이 있을 경우, 키트는 두 번째의 물약병 또는 다른 용기를 포함하고, 이는 각각의 복용을 가능하게 한다. 키트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키트는 현재 키트의 조성물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할 수 있는 기구를 포함한다(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늘, 주사기, 안약 투입제, 피펫 등).
본 제형은 구강(경구), 비강, 안약 형태의, 피하의, 피내, 근육내, 혈관내 또는 경피 등 어떠한 투여 형태로든 펩티드 투여에 적당한 약제이다. 바람직하게는, 그 투여는 s.c.이며, 가장 바람직하게 i.d. 투여는 주입 펌프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췌장암으로부터 분리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약제는 바람직하게는 췌장암의 치료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전선별된 TUMAP의 창고(warehouse)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로 이루어진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포함하는 개별 환자를 위한 개인화 약제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약학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펩티드는 개별 환자의 적합성을 위해 선택된다. 한 구현에서 이 약학 조성물은 백신이다. 이 방법은 TCR 분리와 같은 하류 용도를 위한 T 세포 클론의 생산 또는 용해성 항체 및 다른 치료 옵션에도 적응할 수 있다.
"개인화 약학"이란, 활성적으로 개인화된 암 백신 및 자가 환자 조직을 사용하는 적응적 세포 요법을 포함하는 한 명의 개별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만 사용되는 그러한 개별 환자를 위해 구체적으로 맞춤화된 요법을 의미해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창고"란 특정한 종양 유형에서 면역원성 및/또는 과다제시에 대해 사전선별된 펩티드의 군 또는 조합을 지칭해야 한다. 용어 "창고"는 백신에 포함된 특정 펩티드가 사전 제조되어 물리적 시설에 보관되었음을 함축하는 의도가 아니다(하지만 그러한 가능성은 고려된다). 생산된 각 개인화된 백신을 위해 펩티드들이 새로 제조될 수 있거나 사전 제조되어 저장될 수 있음이 명백히 고려된다. 창고(예: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서)는 다양한 HLA-A, HLA-B 및 HLA-C 대립형질을 갖는 췌장암 환자들의 종양 조직에서 고도로 과발현된 종양 연관된 펩티드들로 구성된다. 이는 MHC 클래스 I 및 MHC 클래스 II 펩티드 또는 신장된 MHC 클래스 I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창고는 몇몇 췌장암 조직들로부터 수집된 종양 연관 펩티드 외에도, HLA-A*02 및 HLA-A*24 마커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펩티드들은 TUMAP에 의해 유도된 T 세포 면역성의 크기에 대한 정량적인 비교를 허용하므로 백신의 항종양 반응을 이끌어내는 용량에 관한 중요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어떤 환자에서 "자가" 항원으로 유래한 TUMAP에 대한 인체의 백신-유도 T 세포 반응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이것은 "비-자가" 항원으로부터 유래한 중요한 양성 대조 펩티드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셋째로, 이것은 환자의 면역능력 상태에 대한 결론의 도출을 가능케 한다.
창고의 TUMAP는 유전자 발현 분석, 질량 분석 및 T 세포 면역학(XPresident ®)이 조합된 통합 기능적 게놈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동정된다. 이 접근 방식은 정상 조직에서 발현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만 발현되는 것이 아닌 고비율의 종양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TUMAP만을 추가 분석을 위해 선택한다는 것을 보증한다. 초기 펩티드 선택을 위해, 환자의 췌장암 샘플 및 건강한 공여자의 샘플들을 단계적 접근 방식으로 분석했다:
1. 악성 물질의 HLA 리간드를 질량분석법으로 확인했다.
2. 전장 게놈 전령 리보핵산(mRNA)의 발현 분석을 사용하여, 정상 기관 및 조직과 비교하여 악성 조직(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유전자를 확인했다.
3. 동정된 HLA 리간드들을 유전자 발현 데이터와 비교했다. 2 단계에서 감지된 종양 조직 상에 과다제시되거나 선택적으로 제시된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발현되거나 과발현된 유전자들에 의해 인코딩된 펩티드들은 멀티-펩티드 백신의 적절한 TUMAP 후보로서 간주되었다.
4. TUMAP로서 동정된 펩티드의 관련성을 지지하는 추가 증거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수행했다
5. mRNA 수준에서의 과발현의 관련성은 3단계에서 종양 조직으로부터 선택되는 TUMAP의 재검출 및 건강한 조직에 대한 검출의 결여(낮은 빈도)에 의해 확인되었다.
6. 선택되는 펩티드에 의한 생체내 T 세포 반응의 유도가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건강한 공여자는 물론 췌장암 환자의 인간 T 세포를 사용하여 시험관내 면역원성 검사를 수행했다.
한 측면에서는, 펩티드들이 창고에 포함되기 전에 면역원성에 대해 사전선별된다. 제한이 아니라 한 예로서, 펩티드/MHC 복합체 및 항-CD28 항체가 로딩된 인공 항원-제시 세포를 가진 건강한 공여자의 CD8+ T 세포를 반복적으로 자극하는 시험관내 T 세포 초회감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창고에 포함된 펩티드의 면역원성을 결정한다.
이 방법은 희귀한 암과 드문 발현 프로필을 갖는 환자에 대해 선호된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고정된 성분을 갖는 멀티-펩티드 칵테일과 대비할 때, 창고는 종양에서 항원의 실제 발현과 백신과의 훨씬 더 높은 정합을 허용한다. 선택되는 하나의 또는 몇몇 "재고(off-the-shelf)" 펩티드들의 조합을 다중표적 접근 방식으로 각 환자에 대해 사용한다. 이론상으로, 예를 들어 50개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되는 5개의 다른 항원 펩티드 선택에 근거한 접근방법은 이미 약 1700만 가지의 가능한 약품(DP) 성분을 초래할 것이다.
한 양태에서, 이 펩티드는 여기서 또는 다음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근거하여 백신의 포함 여부가 선택된다.
HLA 표현형, 전사체학 및 펩티도믹스 데이터는 환자의 종양 물질과 혈액 샘플로부터 수집하여 "창고"와 환자 고유의(즉 돌연변이된) TUMAP를 포함하는 각 환자에 대해 가장 적절한 펩티드를 동정한다. 환자 종양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거나 과발현되는 펩티드를 선택하게 되며, 이는 가능한 경우 환자의 개별 PBMC로써 시험했을 때 강한 시험관내 면역원성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백신에 포함된 펩티드는, (a) 개별 환자의 종양 샘플에 의해 제시된 종양-연관 펩티드(TUMAP)의 동정; (b) (a)에서 동정된 펩티드를 위에 설명된 펩티드들의 창고(데이터베이스)와 비교; 및 (c) 그 환자에서 동정된 종양 연관 펩티드와 상관관계가 있는 창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펩티드 선택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동정된다. 예를 들어, 종양 샘플에 의해 제시된 TUMAP는 다음에 의해 동정된다: (a1) 종양 샘플에서 과발현되거나 이상 발현된 단백질의 파악을 위해 종양 샘플의 발현 데이터를 종양 샘플의 조직 유형에 상응하는 정상 조직의 샘플에서 얻은 발현 데이터와 비교; 및 (a2) 종양에 의해 과발현되거나 이상 발현된 단백질로부터 유래한 MHC 리간드를 파악하기 위해, 발현 데이터를 MHC 클래스 I 및/또는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된 MHC 리간드의 서열과 상관관계 결정. 바람직하게는 종양 샘플로부터 분리된 MHC 분자의 결합된 펩티드를 용출시키고 용출된 리간드의 서열결정에 의해 MHC 리간드의 서열을 파악한다. 바람직하게는 종양 샘플과 정상 조직은 같은 환자로부터 얻는다.
창고(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사용하는 펩티드의 선택 외에 또는 그 대안으로서, TUMAP를 새 환자에서 동정한 다음 백신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 예로서, 후보 TUMAP 환자에서, (a1) 종양 샘플에서 과발현되거나 이상 발현된 단백질의 파악을 위해 종양 샘플의 발현 데이터를 종양 샘플의 조직 유형에 상응하는 정상 조직의 샘플에서 얻은 발현 데이터와 비교; 및 (a2) 종양에 의해 과발현되거나 이상 발현된 단백질로부터 유래한 MHC 리간드를 파악하기 위해, 발현 데이터를 MHC 클래스 I 및/또는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된 MHC 리간드의 서열과 상관관계의 결정에 의해 동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개별 환자의 조직에 상응하는 정상 샘플에 대해 종양 샘플에서 고유한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단백질을 동정할 수 있으며, 돌연변이를 특이적으로 표적하는 TUMAP를 동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양 및 상응하는 정상 조직의 게놈에 대한 염기서열은 전체 게놈의 염기서열결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유전자의 단백질-코딩 영역에서 비동의 돌연변이의 발견을 위해, 게놈 DNA 및 RNA를 종양 조직으로부터 추출하고, 정상의 돌연변이되지 않은 게놈의 종자계 DNA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로부터 추출한다. 이러한 응용 NGS 접근방법은 단백질 코딩 영역의 염기서열 재결정으로 제약된다(신게놈 염기서열 재결정). 이 목적을 위해, 업체가 공급하는 표적 강화 키트를 사용한 다음 예를 들어 HiSeq2000(Illumina)에 의해 염기서열결정에 의해 인간 샘플의 엑손 DNA를 포착한다. 그 밖에, 유전자 발현의 직접 정량화 및 돌연변이된 유전자가 환자의 종양에서 발현된다는 검증을 위해 종양 mRNA에 대한 염기 서열을 결정한다. 그에 따른 수백만의 서열 판독값은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통해 처리된다. 그 출력 목록에는 돌연변이와 유전자 발현이 포함된다. 종양-특이적 체세포 돌연변이는 PBMC-유래 생식세포의 변종과 비교하여 결정한 다음 우선순위화 된다. 다음에는 새로 동정된 펩티드를 위에 설명한 창고의 면역원성에 대해 시험할 수 있으며, 적절한 면역원성을 소유하는 후보 TUMAP를 선택하여 백신에 포함시킨다.
하나의 예시적 구현에서, 백신에 포함되는 펩티드는 다음에 의해 동정된다: (a) 개별 환자의 종양 샘플에 의해 제시된 종양 연관 펩티드(TUMAP)를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동정한다; (b) 상응하는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종양에서 면역원성과 과다제시에 대해 사전선별된 펩티드들의 창고를 이용하여 a)에서 동정된 펩티드와 비교하는 단계; (c) 환자에서 동정된 종양 연관 펩티드와 상관관계가 있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를 창고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d) 임의적으로 (a)에서 새로 동정된 하나 이상의 펩티드를 선택하고 그 면역원성을 확인하는 단계.
하나의 예시적 구현에서, 백신에 포함되는 펩티드는 다음에 의해 동정된다: (a) 개별 환자의 종양 샘플에 의해 제시된 종양 연관 펩티드(TUMAP)를 위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동정하는 단계; 및 (b) (a)에서 새로 동정된 하나 이상의 펩티드를 선택하고 그 면역원성을 확인하는 단계.
개인화된 펩티드 기반 백신을 위한 펩티드들이 선택되면, 백신이 생산된다. 백신은 20 내지 40% DMSO, 바람직하게는 약 33% DMSO와 같은 약 30 내지 35% DMSO에 용해된 개별 펩티드들로 이루어진 액체 제형이다.
제품에 포함되는 펩티드는 각각 DMSO에 용해한다. 단일 펩티드 용액의 농도는 제품에 포함시킬 펩티드의 수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단일 펩티드-DMSO 용액들을 동등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품에 포함시킬 모든 펩티드가 포함된 용액을 만드는데 그 농도는 펩티드 당 약 2.5mg/ml이다. 그런 다음, 주사제용으로 33% DMSO에서 펩티드 당 0.826mg/ml의 농도를 얻기 위해 혼합된 용액을 1:3의 비율로 물로 희석한다. 희석시킨 용액을 0.22μm 멸균 필터를 통해 여과시킨다. 최종 벌크 용액을 얻는다.
최종 벌크 용액을 바이알에 채워 사용 시까지 -20℃에서 보관한다. 1개의 바이알에는 각 펩티드를 0.578mg씩 포함하는 700μL의 용액이 들어 있다. 여기서 500μL(펩티드 당 약 400 μg)를 피내 주사로 투여하게 된다.
암 치료에 유용함에 덧붙여, 본 발명의 펩티드는 진단으로도 유용하다. 펩티드가 췌장암 세포에서 생성되고 이런 펩티드가 정상 조직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더 낮은 수준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이런 펩티드는 암의 존재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주장되는 펩티드의 혈액 샘플 내 조직 생체 검사에서의 존재는 암의 진단 시 병리학자를 도울 수 있다. 항체, 질량 분석, 또는 이 분야에 다른 알려진 방법의 수단을 통한 특정 펩티드의 탐지는 조직 샘플이 악성 또는 염증이 있는지 또는 일반적으로 병들어 있는지 또는 췌장암의 바이오마커로서 사용가능한지 병리학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펩티드 기의 존재는 병변 조직의 분류 또는 하위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병변 조직 샘플의 펩티드의 탐지는 특히 만약 T 림프구가 작용 기전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기대할 때, 면역계를 포함한 치료의 이익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한다. MHC 발현의 손실은 감염된 악성 세포가 면역 감시를 탈출하는 과정에서 잘 설명되는 기전이다. 펩티드의 존재는 이 기전이 분석된 세포에서 악용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펩티드 또는 MHC 분자에 합성된 펩티드에 대한 T 세포 반응 또는 항체 반응 같은 펩티드에 대한 림프구 반응을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림프구 반응은 추가 치료 단계에서 결정을 내릴 때 전조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반응은 또한 림프구 반응을 여러 방법으로, 예를 들면, 단백질 백신, 핵산, 자가 조직 물질, 림프구의 양자 면역 전송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면역치료의 접근 방식에서 대리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유전자 치료 설정에서, 펩티드에 대한 림프구 반응은 부작용의 평가에서 고려할 수 있다. 림프구 반응의 모니터링은 이식 요법의 후속 시험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이식편대숙주 및 숙주대이식편병의 감지).
이제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구현을 설명하는 다음의 실시예에서 그리고 동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묘사될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상, 여기에 인용된 모든 참조 문헌들은 그 전문이 포함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정상 조직(진한 회색) 및 췌장암(연한 회색)에서 다양한 펩티드의 과다제시를 보여준다. 도 1d는 모든 세포주(진한 회색), 정상 조직(회색) 및 암 조직(연한 회색)을 보여주며 여기서 예시적 펩티드(FLFDGSANLV)(서열번호 9)가 검출된 바 있다. 도 1a) 유전자: CTLA/CTLB, 펩티드: FLAQQESEI (A*02)(서열번호 1),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조직: 1개 지방조직, 3개 부신, 2개 동맥, 3개 골수, 7개 뇌, 3개 유방, 13개 결장, 1개 난소, 4개 식도, 2개 담낭, 3개 심장, 12개 신장, 4개 백혈구 샘플, 19개 간, 43개 폐, 1개 림프절, 1개 난소, 2개 말초 신경, 1개 복막, 1개 뇌하수체, 3개 흉막, 1개 전립선, 6개 직장, 3개 골격근, 3개 피부, 2개 소장, 4개 비장, 5개 위, 1개 고환, 2개 흉선, 3개 갑상선, 2개 자궁, 2개 정맥, 6개 췌장, 18개 췌장암; 도 1b) 유전자: PLEC, 펩티드: SLQEEHVAVA (A*02)(서열번호 2),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조직들: 1개 지방조직, 3개 부신, 2개 동맥, 3개 골수, 7개 뇌, 3개 유방, 13개 결장, 1개 난소, 4개 식도, 2개 방광, 3개 심장, 12개 신장, 4개 백혈구 샘플, 19개 간, 43개 폐, 1개 림프절, 1개 난소, 2개 말초 신경, 1개 복막, 1개 뇌하수체, 3개 흉막, 1개 전립선, 6개 직장, 3개 골격근, 3개 피부, 2개 소장, 4개 비장, 5개 위, 1개 고환, 2개 흉선, 3개 갑상선, 2개 자궁, 2개 정맥, 6개 췌장, 18개 췌장암; 도 1c) 유전자: COL6A3, 펩티드: FLVDGSSAL (A*02)(서열번호 10),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도 1d) COL6A3, 펩티드: FLFDGSANLV (A*02)(서열번호 9),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조직들: 5개 췌장암 세포주, 7개 정상 조직(1개 결장, 6개 폐), 85개 암 조직(2개 유방암, 6개 결장암, 4개 식도암, 3개 간암, 56개 폐암, 5개 췌장암, 3개 직장암, 1개 흑색종, 5개 위암). 정상 조직의 조합은 도 1a 내지 1c와 동일하며 검출 없는 조직들은 도면에 나와 있지 않다. 도 1d와 표 4-1 사이에 종양 유형 목록에 대한 불일치는 표 4-1에 적용된 보다 엄격한 선택 기준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자세한 내용은 표 4-1 참조). 도 1d는 과다제시 매개변수 및 기술적인 샘플의 품질 점검과 무관하게 펩티드 Y의 검출가능한 제시가 있는 모든 샘플을 보여준다.
도 1e 내지 도 1i는 모든 세포주(진한 회색), 정상 조직(회색) 및 암 조직(연한 회색)을 보여주며 여기서 예시적 펩티드가 검출된 바 있다. 도 1e) 펩티드: SVDVSPPKV (A*02)(서열번호 4),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조직들: 1개 세포주, 3개 일차 배양액, 1개 피부, 1개 담관암, 3개 뇌암, 1개 유방암, 4개 식도암, 5개 신장암, 11개 폐암, 1개 림프절암, 1개 난소암, 3개 췌장암, 1개 전립선암, 3개 피부암, 2개 방광암, 3개 자궁암; 도 1f) 펩티드: LLVDDSFLHTV (A*02)(서열번호 5),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조직들: 2개 세포주, 1개 일차 배양액, 1개 담관암, 2개 뇌암, 1개 유방암, 3개 식도암, 2개 담낭암, 2개 신장암, 2개 간암, 3개 폐암, 7개 난소암, 2개 췌장암, 3개 피부암, 1개 위암, 1개 자궁암, 도 1g) 펩티드: IVDDLTINL (A*02)(서열번호 8),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조직들: 1개 세포주, 1개 결장암, 2개 식도암, 2개 담낭암, 5개 폐암, 1개 림프절암, 1개 췌장암, 2개 피부암, 4개 위암, 1개 방광암, 4개 자궁암; 도 1h) 펩티드: LLAGQTYHV (A*02)(서열번호 13),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조직들: 6개 세포주, 1개 폐, 1개 태반, 2개 담관암, 3개 유방암, 2개 결장암, 2개 식도암, 2개 담낭암, 1개 간암, 36개 폐암, 3개 난소암, 3개 췌장암, 1개 직장암, 3개 방광암; 및 도 1i) 펩티드: VLAKPGVISV (A*02)(서열번호 14),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표시된 조직들: 7개 세포주, 1개 폐, 1개 담관암, 4개 유방암, 1개 결장암, 2개 식도암, 1개 담낭암, 36개 폐암, 1개 난소암, 3개 췌장암, 2개 직장암, 1개 위암, 3개 방광암.
도 2는 정상 조직(진한 회색) 및 11개 췌장암 샘플(회색)의 패널에서 췌장암에서 고도로 과발현되거나 배타적으로 발현된 본 발명의 근원 유전자들의 예시적 발현 프로파일(정상 신장에 비한 상대적 발현)을 보여준다. 도 2a) LAMC2;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조직들: 1개 부신, 1개 동맥, 1개 골수, 1개 뇌(전체), 1개 유방, 1개 결장, 1개 식도, 1개 심장, 3개 신장, 1개 백혈구 샘플, 1개 간, 1개 폐, 1개 림프절, 1개 난소, 1개 췌장, 1개 태반, 1개 전립선, 1개 침샘, 1개 골격근, 1개 피부, 1개 소장, 1개 비장, 1개 위, 1개 고환, 1개 흉선, 1개 갑상선, 1개 방광, 1개 자궁 경부, 1개 자궁, 1개 정맥, 18개 췌장암; 도 2b) VCAN,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조직들: 1개 부신, 1개 동맥, 1개 골수, 1개 뇌(전체), 1개 유방, 1개 결장, 1개 식도, 1개 심장, 3개 신장, 1개 백혈구 샘플, 1개 간, 1개 폐, 1개 림프절, 1개 난소, 1개 췌장, 1개 태반, 1개 전립선, 1개 침샘, 1개 골격근, 1개 피부, 1개 소장, 1개 비장, 1개 위, 1개 고환, 1개 흉선, 1개 갑상선, 1개 방광, 1개 자궁 경부, 1개 자궁, 1개 정맥, 18개 췌장암; 도 2c) FAP;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조직들: 1개 부신, 1개 동맥, 1개 골수, 1개 뇌(전체), 1개 유방, 1개 결장, 1개 식도, 1개 심장, 3개 신장, 1개 백혈구 샘플, 1개 간, 1개 폐, 1개 림프절, 1개 난소, 1개 췌장, 1개 태반, 1개 전립선, 1개 침샘, 1개 골격근, 1개 피부, 1개 소장, 1개 비장, 1개 위, 1개 고환, 1개 흉선, 1개 갑상선, 1개 방광, 1개 자궁 경부, 1개 자궁, 1개 정맥, 18개 췌장암.
도 3은 펩티드-특이적 다합체 염색 이후 예시적 면역원성 데이터: 유세포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도 3c 및 도 3d는 건강한 HLA-A*02+공여자에서 펩티드 특이적 시험관내 CD8+ T세포 반응의 예시적 결과를 보여준다. 서열번호 3 펩티드(C, 왼쪽 패널) 및 서열번호 50 펩티드(D, 왼쪽 패널)와의 복합체에서 항-CD28 mAb 및 HLA-A*24로써 코팅된 인공 APC를 사용하여 CD8+ T 세포를 초회감작시켰다. 3주기의 자극 후, A*02/서열번호 3(C) 또는 A*02/서열번호 50(D)으로써 염색되는 2D 다합체를 사용하여 펩티드-반응성 세포의 검출을 수행했다. 왼쪽 패널들(C 및 D)은 관련이 없는 A*02/펩티드 복합체로써 자극한 세포의 대조 염색을 보여준다. 생존가능한 단일 유리 세포를 CD8+ 림프구에 대해 가두었다. 부울(Boolean) 게이트는 다른 펩티드에 대해 특이적인 다합체로써 검출된 허위 양성 사건의 배제에 도움이 되었다. CD8+ 림프구 가운데 특이적 다합체+ 세포의 빈도가 표시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세포 표면에 제시한 종양 연관 펩티드의 동정 및 정량화
조직 샘플
환자의 종양 조직은 다음을 통해 제공되었다: Asterand (Detroit, USA and Royston, Herts, UK); Geneticist Inc. (Glendale, CA, USA); Hospital of Heidelberg; University Hospital of Tubingen. 정상 (건강한) 조직은 다음을 통해 제공되었다: Bio-Options Inc. (CA, USA); BioServe (Beltsville, MD, USA); Capital BioScience Inc. (Rockville, MD, USA); Geneticist Inc. (Glendale, CA, USA); University Hospital of Geneva; University Hospital of Heidelberg; Kyoto Prefectural University of Medicine (KPUM); University Hospital Munich; ProteoGenex Inc. (Culver City, CA, USA); University Hospital of Tubingen. 모든 환자의 고지에 의한 동의서가 수술 전 또는 부검 전에 제출되었다. 조직은 절제 직후 충격 동결되었으며 TUMAP의 분리까지 -70℃ 이하에서 보관되었다.
조직 샘플에서 HLA 펩티드의 단리
약간 변형된 프로토콜에 따라, 충격 동결된 조직 샘플의 HLA 펩티드 풀은 고형 조직의 면역 침전에 의해 HLA-A*02-특이 항체 BB7.2 또는 HLA-A, -B, -C-특이적 항체 W6/32, CNBr-활성화 세파로오스, 산성 처리와 한외 여과를 이용해 획득되었다(Falk, et al 1991; Seeger, et al. T 1999).
질량 분광분석법의 분석
얻어진 HLA 펩티드 풀은 그들의 소수성에 의해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되었고(nanoAcquity UPLC system, Waters) 용출된 펩티드는 ESI 소스를 갖춘 LTQ- velos 및 융합 하이브리드 질량분광분석기(ThermoElectron)에 의해 분석되었다. 펩티드 풀은 분당 400nL의 유량을 적용하여 1.7 μm C18 역상 물질(Waters)로 충전된 용융-실리카 마이크로모세관 컬럼(75 μm i.d. x 250 mm)에 바로 로딩된다. 이어서, 펩티드는 두-단계 180분-10% 내지 33%의 2개 용매 구배를 이용하여 분리되고, 여기서 유량은 분당 300nL이다. 구배는 용매 A(물의 0.1% 포름산)와 용매 B(아세토니트릴의 0.1% 포름산)로 이루어져 있다. 구배는 용매 A(물의 0.1% 포름산)와 용매 B(아세토니트릴의 0.1% 포름산)로 이루어져 있다. 금이 입혀진 유리 모세관(PicoTip, New Objective)이 미세-ESI 소스로의 도입에 사용되었다. LTQ-Orbitrap 분광분석기가 TOP5 전략을 이용한 데이터-의존 모드에서 작동되었다. 간략하게, 스캔 사이클은 오비트랩(orbitrap)의 높은 질량 정확도(R = 30 00 0)의 전스캔으로 시작되고, 이후 5개의 가장 많은 이전에 선택한 이온의 동적 배제에 의한 전조 이온에 대한 오비트랩(R = 7500)의 MS/MS 스캔이 이어졌다. 탠덤 질량 스펙트럼은 SEQUEST와 추가적인 수동 컨트롤에 의해 해석된다. 동정된 펩티드 서열은 생성된 자연 펩티드 분절 패턴과 합성을 서열-일치 참고 펩티드와의 비교를 통해 보증되었다.
비표지 상대적 LC-MS 정량화는 이온 계측 즉, LC-MS 특징의 추출 및 분석에 의해 수행했다(Mueller et al., 2007). 이 방법은 펩티드의 LC-MS 신호 영역이 샘플 내의 풍부함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가정한다. 추출된 특징은 전하 상태 디컨볼루션 및 정체 시간 정렬에 의해 더욱 처리되었다(Mueller et al., 2008; Sturm et al., 2008). 마지막으로 모든 LC-MS 특징은 서열 확인 결과와 상호 참조하여 다른 샘플과 조직의 정량 데이터를 펩티드 제시 프로필에 합쳤다. 이 정량 데이터를 중심 경향성에 따라 2단 형태로 정상화함으로써 기술적인 생물학적 복제 내에서의 변동을 고려했다. 따라서, 동정된 펩티드는 하나씩 정량 데이터와 연관시키며 샘플과 조직 사이의 상대적 정량화를 허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펩티드 후보로부터 얻어진 모든 정량 데이터를 수동으로 검사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보증하고 자동화 분석의 정확성을 확인했다. 펩티드마다 평균 샘플 제시는 물론 복사 변이를 보여주는 제시 프로필을 계산했다. 이 프로필은 췌장암 샘플을 정상 조직 샘플의 기준선에 병치한다.
과다제시된 예시적인 펩티드의 제시 프로필이 도 2에 나와 있다. 예시적 펩티드의 제시 점수가 표 8에 나와 있다.
표 8은 정상 조직의 패널과 비교하여 종양에서 매우 고도로 과다제시된(+++), 정상 조직의 패널과 비교하여 종양에서 고도로 과다제시된(++) 또는 정상 조직의 패널과 비교하여 종양에서 과다제시된(+) 펩티드를 나열한다.
[표 8]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실시예 2
본 발명의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프로필
정상 세포와 비교한 종양 세포 상의 펩티드의 과다제시 또는 특이적 제시는 면역요법에서의 그 유용성에 충분하며 일부 펩티드는 정상 조직에서도 발생하는 그 소스 단백질에도 불구하고 종양-특이적이다. 여전히 mRNA 발현 프로필의 결정은 면역요법을 위한 펩티드 표적의 선택에서 추가적 안정성 수준을 추가한다. 특히 친화성-성숙된 TCR과 같은 안정성 위험이 높은 치료적 옵션의 경우에는, 이상적 표적 펩티드는 종양에 고유하며 정상 조직에서는 없는 단백질로부터 유래될 것이다.
RNA 소스 및 준비
외과적으로 제거된 조직 샘플은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각 환자로부터 서면 동의서를 받은 후 제공되었다(실시예 1 참조). 종양 조직 샘플은 수술 직후 스냅-냉동되었고 절구와 유봉을 이용하여 액체 질소 환경 아래에서 균질화되었다. 총 RNA는 TRIzol(Invitrogen, Karlsruhe, Germany)을 이용하여 샘플로부터 준비되었고 이는 RNeasy(QIAGEN, Hilden, Germany)에 의해 청소되었다; 이 두 개의 모든 방법은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실행되었다.
건강한 인간 조직의 총 RNA는 상업적으로 얻어졌다(Ambion, Huntingdon, UK; Clontech, Heidelberg, Germany; Stratagene, Amsterdam, Netherlands; BioChain, Hayward, CA, USA). 여러 개인에서 얻어진 RNA(2 내지 123명의 개인)는 각각의 개인에게 균등 가중치를 두어 섞어졌다.
NA 샘플의 양과 질은 Agilent 2100 Bioanalyzer(Agilent, Waldbronn, Germany)에 의해 RNA 6000 Pico LabChip Kit(Agilent)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마이크로어레이 실험
모든 암과 정상 조직 RNA 샘플의 유전자 발현 분석은 Affymetrix Human Genome(HG) U133A 또는 HG-U133 Plus 2.0 oligonucleotide microarrays(Affymetrix, Santa Clara, CA, USA)에 의해 실행되었다. 모든 단계는 Affymetrix의 사용설명서에 따라 실행되었다. 간단히, 이중가닥 cDNA는 SuperScript RTII(Invitrogen)와 올리고-dT-T7 프라이머(MWG Biotech, Ebersberg, Germany)를 사용하여 사용설명서에 따라 총 RNA 5 내지 8 μg으로부터 합성되었다. 시험관내 전사는 U133A 어레이를 위한 BioArray High Yield RNA Transcript Labelling Kit(ENZO Diagnostics, Inc., Farmingdale, NY, USA) 또는 U133 Plus 2.0 어레이를 위한 GeneChip IVT Labelling Kit(Affymetrix)를 사용하여 실행되었다. 이는 cRNA 단편화, 교배 및 스트렙트아비딘-피코에리트리틴 및 비오티닐화된 항-스트렙트아비딘 항체로의 염색으로 이어졌다(Molecular Probes, Leiden, Netherlands). 이미지는 Agilent 2500A GeneArray Scanner(U133A) 또는 Affymetrix Gene-Chip Scanner 3000(U133 Plus 2.0)을 이용하여 스캔되었고, 데이터는 기본 세팅을 이용하여 GCOS software(Affymetrix)를 통해 분석되었다. 정상화를 위해, Affymetrix에 의해 제공된 100개의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가 사용되었다. 상대적인 발현 값은 시그널 로그 비율을 통해 계산되었고 정상 샘플의 값은 임의로 1.0으로 정해졌다. 본 발명의 췌장암에서 고도로 과발현되는 또는 배타적으로 발현되는 근원 유전자의 예시적 발현 프로필이 도 1에 나와 있다. 추가의 예시적 유전자에 대한 발현 점수는 표 9에 나열된다.
표 9는 정상 조직의 패널과 비교하여 종양에서 매우 고도로 과다제시된 (+++), 정상조직의 패널과 비교하여 종양에서 고도로 과다제시된(++) 또는 정상 조직의 패널과 비교하여 종양에서 과다제시된(+) 펩티드를 나열한다.
[표 9]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실시예 3
MHC 클래스 I 제시 펩티드의 시험관내 면역원성
본 발명의 TUMAP의 면역원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펩티드/MHC 복합체 및 항-CD28 항체가 로딩된 인공 항원-제시 세포(aAPC)를 갖는 CD8+ T 세포의 반복된 자극을 근거로 시험관내 초회감작 검사를 사용하여 조사를 수행했다. 이 방법으로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22개의 HLA-A*0201 제한된 본 발명의 TUMAP의 면역원성을 보여줄 수 있었으며, 이것은 이 펩티드들이 인간에 존재하는 CD8+ 전구 T 세포에 대한 T 세포 에피톱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표 10).
CD8+ T 세포의 시험관내 초회감작
펩티드-MHC 복합체(pMHC) 및 항-CD28 항체가 로딩된 인공 항원-제시 세포에 의한 시험관내 자극을 수행하기 위해, 독일 소재 University clinics Mannheim에서 동의서를 받은 건강한 공여자로부터의 CD8 마이크로비드(Miltenyi Biotec, Bergisch-Gladbach, Germany)를 사용한 양성 선택을 통해 신선한 HLA-A*02 백혈구 성분 채집 산물로부터 CD8+ T 세포를 먼저 분리했다.
PBMC 및 분리된 CD8+ 림프구는 10% 열 비활성화된 인간 AB 혈청(PAN-Biotech, Aidenbach, Germany), 100 U/ml 페니실린 /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Cambrex, Cologne, Germany), 1 mM 피루브산 나트륨(CC Pro, Oberdorla, Germany), 20 μg/ml 젠타마이신(Cambrex)으로 보충된 RPMI-Glutamax(Invitrogen, Karlsruhe, Germany)로 이루어진 T 세포 배지(TCM)에서 사용할 때까지 배양했다. 이 단계에서 2.5 ng/ml IL-7(PromoCell, Heidelberg, Germany) 및 10 U/ml IL-2(Novartis Pharma, Nurnberg, Germany) 또한 TCM에 추가했다.
pMHC/항-CD28 코팅된 비드의 생성, T 세포 자극 및 판독은 고도로 정의된 시험관내 체계에서 수행했으며, 자극 조건 당 4가지 다른 pMHC 분자 및 판독 조건 당 8가지 다른 pMHC 분자를 각각 사용했다.
정제된 공동-자극 쥐 IgG2a 항인체 CD28 Ab 9.3(Jung et al., 1987)은 제조사가 권장하는 술폰-N-히드록시숙신이미도비오틴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비오틴닐화했다(Perbio, Bonn, Germany). 사용된 비드는 스트렙티비딘으로 코팅된 직경 5.6 μm의 폴리스티렌 입자였다(Bangs Laboratories, Illinois, USA).
양성 및 음성 대조 자극에 사용된 pMHC는 각각 A*0201/MLA-001(변형된 Melan-A/MART-1에서 얻은 펩티드 ELAGIGILTV(서열번호 88) 및 A*0201/DDX5-001(DDX5에서 얻은 YLLPAIVHI, 서열번호 89)였다.
800.000 비드 / 200 μl는 4 x 12.5 ng 비오틴-pMHC 존재 하에 96-웰 플레이트에서 코팅하고 세척한 다음 600 ng 비오틴 항CD28을 첨가하여 200 μl의 부피로 만들었다. 1x106 CD8+ T 세포와 2x105의 세척하고 코팅한 비드를 5 ng/ml IL-12 (PromoCell)로 보충한 200 μl TCM에서 그리고 37℃ 에서 3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96-웰 플레이트에서의 자극을 개시했다. 배지의 반은 80 U/ml IL-2로 추가된 새로운 TCM에 의해 교환되고 배양은 37℃에서 4 일간 계속되었다. 이 자극 주기는 총 세 번 수행되었다. 조건 당 8가지 다른 pMHC 분자를 사용하는 pMHC 멀티머의 판독을 위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Andersen et al., 2012) 2차원 조합대수적 코팅 접근 방식을 사용했으며, 5가지 다른 형광색소와의 결합을 허용하는 약간의 변형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멀티머 분석은 살아있는/죽은 세포를 근적외선(near IR) 염료(Invitrogen, Karlsruhe, Germany), CD8-FITC 항체 클론 SK1(BD, Heidelberg, Germany) 및 형광 pMHC 멀티머로써 세포를 염색하여 수행했다. 분석에는 적절한 레이저 및 필터가 장착된 BD LSRII SORP 세포측정기를 사용했다. 펩티드 특이 세포는 총 CD8+ T 세포의 백분율로 계산되었다. 멀티머 분석의 평가는 FCS Express 소프트웨어(De Novo Software)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특정 멀티머+ CD8+ 림프구의 시험관내 프라이밍은 음성 대조군 자극과 비교함으로써 검출했다. 주어진 항원의 면역성은 건강한 기증자의 최소한 하나의 시험관내 자극된 평가 가능한 웰에 시험관내 자극 후 CD8+ T 세포주가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될 때 나타났다(예를 들면, 이 웰은 CD8+ T 세포 중 최소한 1%의 특정 테트라머+를 가졌으며 특정 테트라머+ 세포의 백분율은 최소한 음성 대조군 자극의 매체보다 10배여야 한다).
췌장암 펩티드의 시험관내 면역원성
실험된 HLA 클래스 I 펩티드에서, 시험관내 면역원성은 펩티드 특정 T 세포주의 형성에 의해 입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2개의 펩티드에 대한 TUMAP-특이적 다합체 염색 이후 예시적 유세포 측정 결과 및 상응하는 음성 대조군이 도 3에 나와 있다. 본 발명의 2개의 펩티드에 대한 결과는 표 10A에 요약되어 있다.
[표 10A]
Figure pct00020
본 발명의 추가 7개의 펩티드에 관한 결과는 표 10B에 요약되어 있다.
[표 10B]
Figure pct00021
실시예 4
펩티드의 합성
모든 펩티드는 Fmoc-전략을 사용하여 표준 및 잘 확립된 고체상 펩티드 합성으로써 합성되었다. 각 개별 펩티드의 정체와 순도로 질량 분석법과 분석 RP-HPLC에 의해 결정했다. 펩티드는 백색 내지 황백색 동결건조 배양물(삼불화아세트산 염) 및 >50%의 순도로서 얻어졌다. 모든 TUMAP는 바람직하게는 삼불화아세트산 염 또는 아세트산 염으로 투여되지만, 다른 염의 형태 또한 가능하다.
실시예 5
MHC 결합 검정
본 발명에 따른 T 세포 기반 요법의 후보 펩티드를 그 MHC 결합 능력(친화성)에 대해 추가로 시험했다. 개별 펩티드-MHC 복합체는 UV-리간드 교환에 의해 만들었으며, UV에 민감한 펩티드가 UV 조사 후 분할된 다음 분석된 관심 대상의 펩티드로 교환되었다. 펩티드 수용성 MHC 분자를 효과적으로 결합하고 안정화시킬 수 있는 펩티드 후보만이 MHC 복합체의 해리를 막는다. 이 교환작용의 수율을 결정하기 위해, 안정화된 MHC 복합체의 경쇄(β2m) 검출에 근거하여 ELISA를 수행했다. 이 검정은 Rodenko 등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된 대로 수행했다(Rodenko et al., 2006).
96 웰 MAXISorp 플레이트(NUNC)를 PBS에서 2ug/ml 스트렙타비딘으로 밤새 코팅하고 4회 세척한 다음 블로킹 완충제를 함유하는 2% BSA에서 37℃ 및 30분 동안 블로킹을 진행했다. 되접기된 HLA-A*02:01/MLA-001 단량체가 표준의 역할을 했으며, 그 범위는 15 내지 500ng/ml였다. UV-교환 반응을 위한 펩티드-MHC 단량체는 블로킹 완충액으로 100배 희석되었다. 샘플은 37℃에서 1시간 배양 후 4회 세척하고 2ug/ml HRP 접합된 항-β2m으로 37℃에서 1시간 배양한 다음 NH2SO4로 정지시킨 TMB 용액으로 검출했다. 흡광은 450nm에서 측정했다. 높은 교환 수율(바람직하게는 50%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초과)을 보이는 후보 펩티드가 일반적으로 항체나 그 단편 및/또는 T 세포 수용체나 그 단편의 생성 및 생성을 위해 선호되는데, 이는 MHC 분자에 대한 충분한 결합성을 보이며 MHC 복합체의 해리를 막기 때문이다.
[표 1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참조문헌
Agesen, T. H. et al., Gut 61 (2012)
Alhumaidi, A., Indian J Dermatol.Venereol.Leprol. 78 (2012)
Allison, J. P. et al., Science 270 (1995)
Amatschek, S. et al., Cancer Res 64 (2004)
Andersen, R. S. et al., Nat.Protoc. 7 (2012)
Appay, V. et al., Eur.J Immunol. 36 (2006)
Appetecchia, M. et al., J Exp.Clin Cancer Res 29 (2010)
Arafat, H. et al., Surgery 150 (2011)
Ariga, N. et al., Int J Cancer 95 (2001)
Baek, G. et al., Cell Rep. 9 (2014)
Bai, L. et al., J Cell Biochem. 113 (2012)
Banchereau, J. et al., Cell 106 (2001)
Bausch, D. et al., Clin Cancer Res 17 (2011)
Beatty, G. et al., J Immunol 166 (2001)
Beggs, J. D., Nature 275 (1978)
Bell, J. L. et al., Cell Mol Life Sci. 70 (2013)
Benjamini, Y. et al.,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Series B (Methodological), Vol.57 (1995)
Bera, T. K. et al., Cancer Res 66 (2006)
Berndt, S. I. et al., Nat Genet. 45 (2013)
Blanch, A. et al., PLoS.One. 8 (2013)
Blenk, S. et al., BMC.Cancer 8 (2008)
Bo, H. et al., BMC.Cancer 13 (2013)
Bouameur, J. E. et al., J Invest Dermatol. 134 (2014)
Boulter, J. M. et al., Protein Eng 16 (2003)
Braumuller, H. et al., Nature (2013)
Brendle, A. et al., Carcinogenesis 29 (2008)
Brossart, P. et al., Blood 90 (1997)
Brown, S. G. et al., Prostate 75 (2015)
Bruckdorfer, T. et al., Curr.Pharm.Biotechnol. 5 (2004)
Calmon, M. F. et al., Neoplasia. 11 (2009)
Cao, H. H. et al., Oncotarget. (2014)
Cappello, F. et al., Curr.Pharm.Des 19 (2013)
Cappello, F. et al., Cancer Biol.Ther 7 (2008)
Cappello, F. et al., Front Biosci. (Schol.Ed) 3 (2011)
Capulli, M. et al., J Bone Miner.Res 27 (2012)
Card, K. F. et al., Cancer Immunol Immunother. 53 (2004)
Casagrande, G. et al., Haematologica 91 (2006)
Catanzaro, J. M. et al., Nat Commun. 5 (2014)
Chang, K. W. et al., Anticancer Res. 31 (2011)
Chang, K. W. et al., Hepatol.Res 36 (2006)
Chanock, S. J. et al., Hum.Immunol. 65 (2004)
Chaudhury, A. et al., Nat Cell Biol. 12 (2010)
Che, C. L. et al., Int J Clin Exp.Pathol. 6 (2013)
Chen, B. et al., Cancer Lett. 354 (2014a)
Chen, Q. et al., PLoS.One. 9 (2014b)
Chen, R. et al., Lab Invest 95 (2015)
Chen, S. et al., Cancer Epidemiol. 37 (2013a)
Chen, S. T. et al., Cancer Sci. 102 (2011)
Chen, Y. L. et al., Int J Surg. 11 (2013b)
Cheon, D. J. et al., Clin Cancer Res 20 (2014)
Cheung, H. C. et al., BMC.Genomics 9 (2008)
Choi, W. I. et al., Cell Physiol Biochem. 23 (2009)
Chow, S. N. et al., Eur.J Gynaecol.Oncol 31 (2010)
Cine, N. et al., Oncol Rep. 32 (2014)
Clement, S. et al., Virchows Arch. 442 (2003)
Cohen, C. J. et al., J Mol Recognit. 16 (2003a)
Cohen, C. J. et al., J Immunol 170 (2003b)
Cohen, S. J. et al., Pancreas 37 (2008)
Cohen, S. N. et al., Proc.Natl.Acad.Sci.U.S.A 69 (1972)
Coligan JE et al., (1995)
Colombetti, S. et al., J Immunol. 176 (2006)
Croner, R. S. et al., Int J Cancer 135 (2014)
Csiszar, A. et al., Breast Cancer Res 16 (2014)
Cucchiarelli, V. et al., Cell Motil.Cytoskeleton 65 (2008)
Culler, M. D., Horm.Metab Res 43 (2011)
Delaval, B. et al., Nat Cell Biol. 13 (2011)
Dengjel, J. et al., Clin Cancer Res 12 (2006)
Denkberg, G. et al., J Immunol 171 (2003)
Derycke, L. et al., Int J Dev.Biol. 55 (2011)
Dhup, S. et al., Curr.Pharm.Des 18 (2012)
Draoui, N. et al., Dis.Model.Mech. 4 (2011)
Dutton-Regester, K. et al., Genes Chromosomes.Cancer 51 (2012)
Egloff, A. M. et al., Cancer Res 66 (2006)
Ellis, M. J. et al., Nature 486 (2012)
Falk, K. et al., Nature 351 (1991)
Feng, H. et al., J Clin Invest 124 (2014)
Fillmore, R. A. et al., Exp.Biol.Med. (Maywood.) 239 (2014)
Findeis-Hosey, J. J. et al., Biotech.Histochem. 87 (2012)
Fong, L. et al., Proc.Natl.Acad.Sci.U.S.A 98 (2001)
Franz, M. et al., J Oral Pathol.Med. 39 (2010)
Fu, Y. et al., Cancer Biol.Ther 5 (2006)
Gabrilovich, D. I. et al., Nat Med. 2 (1996)
Galmarini, C. M. et al., Br.J Cancer 88 (2003)
Gamez-Pozo, A. et al., PLoS.One. 7 (2012)
Gao, H. J. et al., J Cancer Res Clin Oncol (2014a)
Gao, J. et al., PLoS.One. 9 (2014b)
Gao, Z. H. et al., Histopathology 65 (2014c)
Gardina, P. J. et al., BMC.Genomics 7 (2006)
Garg, M. et al., J Clin Endocrinol.Metab 99 (2014)
Gattinoni, L. et al., Nat Rev.Immunol 6 (2006)
Geyik, E. et al., Gene 540 (2014)
Glen, A. et al., Prostate 70 (2010)
Glymph, S. et al., Infect.Genet.Evol. 16 (2013)
Gnjatic, S. et al., Proc Natl.Acad.Sci.U.S.A 100 (2003)
Godkin, A. et al., Int.Immunol 9 (1997)
Gong, Y. et al., Adv.Anat.Pathol. 21 (2014)
Gorlov, I. P. et al., Cancer Res 67 (2007)
Green MR et al., 4th, (2012)
Greenfield EA, 2nd, (2014)
Guo, C. et al., Clin Chim.Acta 417 (2013)
Guo, C. et al., Nat Commun. 6 (2015)
Gutgemann, A. et al., Arch.Dermatol.Res 293 (2001)
Hait, W. N. et al., Trans.Am Clin Climatol.Assoc. 117 (2006)
Han, J. C. et al., World J Surg.Oncol 13 (2015)
Hao, X. et al., J Membr.Biol. 247 (2014)
He, X. et al., Neoplasma 61 (2014)
He, X. et al., Cancer Res 68 (2008)
Hoffmann, N. E. et al., Cancer 112 (2008)
Hopker, K. et al., EMBO J 31 (2012a)
Hopker, K. et al., Cell Cycle 11 (2012b)
Horibe, T. et al., Chembiochem. 15 (2014)
Horinouchi, M. et al., Pediatr.Hematol.Oncol 27 (2010)
Hu, S. et al., J Cancer Res Clin Oncol 140 (2014)
Hu, W. et al., Cell Death.Dis. 4 (2013)
Huang, H. C. et al., Technol.Cancer Res Treat. 9 (2010)
Hurst, J. H. et al., Cell Mol Biol.Lett. 14 (2009)
Hussey, G. S. et al., Mol Cell 41 (2011)
Hwang, M. L. et al., J Immunol. 179 (2007)
Hyung, S. W. et al., Mol Cell Proteomics. 10 (2011)
Ii, M. et al., Exp.Biol.Med. (Maywood.) 231 (2006)
Isfort, R. J. et al., Oncogene 15 (1997)
Ishiwata, T. et al., Oncol Rep. 18 (2007)
Izaki, T. et al., Biochem.Biophys.Res Commun. 329 (2005)
Jacob, M. et al., Curr.Mol Med. 12 (2012)
Jaeger, E. et al., Nat Genet. 44 (2012)
Jain, R. et al., Appl.Immunohistochem.Mol Morphol. 18 (2010)
Januchowski, R. et al., Biomed.Res Int 2014 (2014)
Jeda, A. et al., Ginekol.Pol. 85 (2014)
Jeng, Y. M. et al., Br.J Surg. 96 (2009)
Jeong, H. C. et al., J Proteome.Res 10 (2011)
Jones, A. et al., EMBO Mol Med. 5 (2013)
Jung, G.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84 (1987)
Kamino, H. et al., Cancer Genet. 204 (2011)
Kaneko, K. et al., Pancreas 24 (2002)
Kang, C. Y. et al., J Gastrointest.Surg. 18 (2014)
Kang, G. H. et al., Lab Invest 88 (2008)
Kanzawa, M. et al., Pathobiology 80 (2013)
Karagiannis, G. S. et al., Oncotarget. 3 (2012)
Kashyap, M. K. et al., Cancer Biol.Ther 8 (2009)
Kashyap, V. et al., Mol Oncol 7 (2013)
Katada, K. et al., J Proteomics. 75 (2012)
Kevans, D. et al., Int J Surg.Pathol. 19 (2011)
Khalaileh, A. et al., Cancer Res 73 (2013)
Khuon, S. et al., J Cell Sci. 123 (2010)
Kibbe AH, rd, (2000)
Kido, T. et al., Genes (Basel) 1 (2010)
Kim, M. et al., Mol Cancer Res 6 (2008)
Kim, S. W. et al., OMICS. 15 (2011)
Kirov, A. et al., J Cell Biochem. (2015)
Kojima, M. et al., PLoS.One. 9 (2014)
Koshikawa, K. et al., Oncogene 21 (2002)
Kraya, A. A. et al., Autophagy. 11 (2015)
Krieg, A. M., Nat Rev.Drug Discov. 5 (2006)
Kuramitsu, Y. et al., Anticancer Res 30 (2010)
Kuramitsu, Y. et al., Anticancer Res 31 (2011)
Kuroda, N. et al., Histol.Histopathol. 20 (2005)
Kuroda, N. et al., Pathol.Int 63 (2013)
Kwon, J. et al., Int J Oncol 43 (2013)
Lahsnig, C. et al., Oncogene 28 (2009)
Lee, C. W. et al., World J Surg.Oncol 11 (2013a)
Lee, H. W. et al., Clin Cancer Res 19 (2013b)
Lee, H. W. et al., Int J Oncol 41 (2012)
Lee, K. Y. et al., J Med. 35 (2004)
Lee, M. A. et al., BMC.Cancer 14 (2014)
Leivo, I. et al., Cancer Genet.Cytogenet. 156 (2005)
Leygue, E. et al., Cancer Res 58 (1998)
Li, G. H. et al., Bioinformatics. 30 (2014)
Li, X. et al., Clin Cancer Res 20 (2014)
Li, X. et al., PLoS.One. 8 (2013)
Li, Y. et al., Cancer Genet.Cytogenet. 198 (2010)
Liddy, N. et al., Nat Med. 18 (2012)
Lieveld, M. et al., Virchows Arch. 465 (2014)
Lim, R. et al., Biochem.Biophys.Res Commun. 406 (2011)
Lim, W. et al., J Cancer Prev. 18 (2013)
Lin, H. C. et al., J Proteome.Res 12 (2013a)
Lin, L. et al., Oncol Lett. 6 (2013b)
Linge, A. et al., Invest Ophthalmol.Vis.Sci. 53 (2012)
Liu, H. et al., Carcinogenesis 34 (2013a)
Liu, M. et al., Reprod.Sci. 20 (2013b)
Liu, X. F. et al., Apoptosis. 14 (2009)
Ljunggren, H. G. et al., J Exp.Med. 162 (1985)
Long, Z. W. et al., Tumour.Biol. 35 (2014)
Longenecker, B. M. et al., Ann N.Y.Acad.Sci. 690 (1993)
Lu, C. et al., Dig.Dis.Sci. 58 (2013a)
Lu, X. et al., Cancer Biother.Radiopharm. 28 (2013b)
Lukas, T. J. et al., Proc.Natl.Acad.Sci.U.S.A 78 (1981)
Lund, R. R. et al., Proteomics. 12 (2012)
Lundblad RL, 3rd, (2004)
Lung, H. L. et al., Int.J Cancer 127 (2010)
Luo, Y. et al., Mol Med.Rep. 9 (2014)
Lv, T. et al., PLoS.One. 7 (2012)
Manning, T. J., Jr. et al., Cell Motil.Cytoskeleton 45 (2000)
Marg, A. et al., Biochem.Biophys.Res Commun. 401 (2010)
Matassa, D. S. et al., Cell Death.Dis. 4 (2013)
Matchett, K. B. et al., Adv.Exp.Med.Biol. 773 (2014)
Mazieres, J. et al., Oncogene 24 (2005)
McCluggage, W. G. et al., Semin.Diagn.Pathol. 22 (2005)
McIntyre, J. C. et al., Nat Med. 18 (2012)
Medjkane, S. et al., Nat Cell Biol. 11 (2009)
Meng, F. et al., Int J Oncol 43 (2013)
Menhofer, M. H. et al., PLoS.One. 9 (2014)
Mentlein, R. et al., Biol.Chem. 392 (2011)
Meziere, C. et al., J Immunol 159 (1997)
Milani, C. et al., BMC.Cancer 13 (2013)
Miyagi, T. et al., Mol Urol. 5 (2001)
Mochizuki, S. et al., Cancer Sci. 98 (2007)
Modlin, I. M. et al., Aliment.Pharmacol.Ther 31 (2010)
Morgan, R. A. et al., Science 314 (2006)
Mori, M. et al., Transplantation 64 (1997)
Mortara, L. et al., Clin Cancer Res. 12 (2006)
Mu, Y. et al., Electrophoresis 34 (2013)
Mueller, L. N. et al., J Proteome.Res 7 (2008)
Mueller, L. N. et al., Proteomics. 7 (2007)
Mumberg, D. et al., Proc.Natl.Acad.Sci.U.S.A 96 (1999)
Mushinski, J. F. et al., J Biol.Chem. 284 (2009)
Nakamura, H. et al., Curr.Pharm.Des 19 (2013)
Nakayama, H. et al., J Clin Pathol. 55 (2002)
Nassar, Z. D. et al., Oncotarget. 4 (2013)
Niedergethmann, M. et al., Br.J Cancer 97 (2007)
Nikolova, D. N. et al., Oncol Rep. 20 (2008)
Nishioka, M. et al., Oncogene 19 (2000)
Olesen, S. H. et al., Mol Cell Proteomics. 4 (2005)
Ou, Y. et al., Urol.Oncol 32 (2014)
Pace, A. et al., Curr.Pharm.Des 19 (2013)
Pan, S. et al., OMICS. 13 (2009)
Panico, F. et al., Adv.Cancer Res 105 (2009)
Patel, R. A. et al., Cancer Res 72 (2012)
Pereira, P. M. et al., Org.Biomol.Chem. 12 (2014)
Pinheiro J et al., (2015)
Pitule, P. et al., Anticancer Res 33 (2013)
Pivonello, C. et al., Infect.Agent.Cancer 9 (2014)
Plebanski, M. et al., Eur.J Immunol 25 (1995)
Pontisso, P., Ann Hepatol. 13 (2014)
Porta, C. et al., Virology 202 (1994)
Portela-Gomes, G. M. et al., Regul.Pept. 146 (2008)
Qi, Y. et al., Proteomics. 5 (2005)
Qu, Z. et al., Cancer Med. 3 (2014)
Quinn, M. C. et al., Int J Oncol 42 (2013)
Rammensee, H. G. et al., Immunogenetics 50 (1999)
Reddy, S. P. et al., Clin Cancer Res 14 (2008)
RefSeq, The NCBI handbook [Internet], Chapter 18 (2002)
Rehman, I. et al., PLoS.One. 7 (2012)
Rini, B. I. et al., Cancer 107 (2006)
Robinson, T. J. et al., Cell Cycle 12 (2013)
Rock, K. L. et al., Science 249 (1990)
Roman-Gomez, J. et al., Blood 109 (2007)
Roustit, M. M. et al., J Endocrinol. 223 (2014)
Roy, D. et al., Blood 118 (2011)
Rucki, A. A. et al., World J Gastroenterol. 20 (2014)
S3-Leitlinie Exokrines Pankreaskarzinom, 032-010OL, (2013)
Saiki, R. K. et al., Science 239 (1988)
Salman, B. et al., Oncoimmunology. 2 (2013)
Sato, Y. et al., J Cell Sci. 126 (2013)
Savoy, R. M. et al., Endocr.Relat Cancer 20 (2013)
Schlomann, U. et al., Nat Commun. 6 (2015)
Schroder, W. A. et al., Cancer Med. 3 (2014)
Schulte, J. et al., Histochem.Cell Biol. 138 (2012)
Scrideli, C. A. et al., J Neurooncol. 88 (2008)
Seeger, F. H. et al., Immunogenetics 49 (1999)
Seya, T. et al., Oncol Rep. 16 (2006)
Sherman F et al., (1986)
Sherman-Baust, C. A. et al., Cancer Cell 3 (2003)
Simiczyjew, A. et al., Histochem.Cell Biol. 142 (2014)
Singh-Jasuja, H. et al., Cancer Immunol.Immunother. 53 (2004)
Skondra, M. et al., Anticancer Res 34 (2014)
Small, E. J. et al., J Clin Oncol. 24 (2006)
Smith, M. J. et al., Br.J Cancer 100 (2009)
Song, B. L. et al., Biochem.J 394 (2006)
Song, Q. et al., Tumour.Biol. 35 (2014)
Sood, A. K., Immunol Res 46 (2010)
Souchek, J. J. et al., Br.J Cancer 111 (2014)
Stolk, J. A. et al., Prostate 60 (2004)
Sturm, M. et al., BMC.Bioinformatics. 9 (2008)
Sun, D. W. et al., Cancer Epidemiol. (2015a)
Sun, J. et al., J Mol Histol. 46 (2015b)
Sun, Z. et al., J Proteome.Res 13 (2014)
Suzuki, H. et al., Int J Oncol 12 (1998)
Szarvas, T. et al., Int J Cancer 135 (2014)
Takahashi, K. et al., Peptides 27 (2006)
Takeuchi, A. et al., Mol Cell Endocrinol. 384 (2014)
Tatenhorst, L. et al., J Neuropathol.Exp.Neurol. 63 (2004)
Terabayashi, T. et al., PLoS.One. 7 (2012)
Terada, T. et al., J Hepatol. 24 (1996)
Teufel, R. et al., Cell Mol Life Sci. 62 (2005)
Thorsen, K. et al., Mol Cell Proteomics. 7 (2008)
Tran, E. et al., Science 344 (2014)
Trougakos, I. P., Gerontology 59 (2013)
Tummala, R. et al., Cancer Chemother.Pharmacol. 64 (2009)
Unger, K. et al., Endocr.Relat Cancer 17 (2010)
Untergasser, G. et al., Mech.Ageing Dev. 126 (2005)
Vassar, R. et al., J Neurochem. 130 (2014)
Von Hoff, D. D. et al., N.Engl.J Med. 369 (2013)
Vui-Kee, K. et al., Kaohsiung.J Med.Sci. 28 (2012)
Walker, E. J. et al., World J Gastroenterol. 20 (2014)
Walter, S. et al., J Immunol 171 (2003)
Walter, S. et al., Nat Med. 18 (2012)
Wang, G. H. et al., Oncol Lett. 5 (2013a)
Wang, H. et al., Front Oncol 4 (2014a)
Wang, J. et al., J Exp.Clin Cancer Res 34 (2015)
Wang, Q. et al., PLoS.One. 8 (2013b)
Wang, X. et al., Urol.Int. 92 (2014b)
Wang, X. Y. et al., Int J Hyperthermia 29 (2013)
Watson, M. B. et al., Acta Oncol 46 (2007)
Watt, H. L. et al., Mol Cell Endocrinol. 286 (2008)
Weber, A. M. et al., Pharmacol.Ther (2014)
Wikberg, M. L. et al., Tumour.Biol. 34 (2013)
Willcox, B. E. et al., Protein Sci. 8 (1999)
Williams, S. et al., PLoS.One. 8 (2013)
Wong, C. C. et al., Nat Genet. 46 (2014)
World Cancer Report, (2014)
Xia, Z. K. et al., Dis.Esophagus. 25 (2012)
Xie, X. et al., Oncol Lett. 7 (2014)
Xiong, D. et al., Carcinogenesis 33 (2012)
Xu, C. Z. et al., Int J Clin Exp.Pathol. 6 (2013)
Yang, C. Y. et al., J Immunol 192 (2014a)
Yang, H. et al., PLoS.One. 9 (2014b)
Yang, S. et al., Biochim.Biophys.Acta 1772 (2007)
Yasui, W. et al., Cancer Sci. 95 (2004)
Yeung, T. L. et al., Cancer Res 73 (2013)
Yu, X. et al., Cancer Res 73 (2013)
Yuan, B. et al., Immunobiology 217 (2012)
Yuan, D. et al., J Surg.Oncol 108 (2013)
Yuan, R. H. et al., Ann Surg.Oncol 16 (2009)
Zanaruddin, S. N. et al., Hum.Pathol. 44 (2013)
Zaravinos, A. et al., PLoS.One. 6 (2011)
Zaremba, S. et al., Cancer Res. 57 (1997)
Zhang, C. et al., Biochem.Biophys.Res Commun. 434 (2013)
Zhang, C. C. et al., Cancer Res 59 (1999)
Zhang, Y. et al., Zhonghua Gan Zang.Bing.Za Zhi. 14 (2006)
Zhang, Y. et al., Cancer Lett. 303 (2011)
Zhao, D. et al., J Neurooncol. 118 (2014)
Zhao, Z. K. et al., Tumour.Biol. 34 (2013)
Zhu, H. H. et al., Asian Pac.J Trop.Med. 7 (2014)
Zocchi, M. R. et al., Blood 119 (2012)
Zou, T. T. et al., Oncogene 21 (2002)
SEQUENCE LISTING <110>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120>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pancreatic cancer and other cancers <130> I32744WO <140> PCT/EP2016/055817 <141> 2016-03-17 <150> GB 1504502.4 <151> 2015-03-17 <150> US 62/134,253 <151> 2015-03-17 <160> 89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Phe Leu Ala Gln Gln Glu Ser Glu Ile 1 5 <210> 2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Ser Leu Gln Glu Glu His Val Ala Val Ala 1 5 10 <210> 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Ala Leu Leu Thr Phe Met Glu Gln Val 1 5 <210> 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Ser Val Asp Val Ser Pro Pro Lys Val 1 5 <210> 5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 Leu Leu Val Asp Asp Ser Phe Leu His Thr Val 1 5 10 <210> 6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 Val Leu Ile Ser Leu Lys Gln Ala Pro Leu Val 1 5 10 <210> 7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 Ala Gln Gln Glu Ser Glu Ile Ala Gly Ile 1 5 10 <210> 8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 Ile Val Asp Asp Leu Thr Ile Asn Leu 1 5 <210> 9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9 Phe Leu Phe Asp Gly Ser Ala Asn Leu Val 1 5 10 <210> 1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0 Phe Leu Val Asp Gly Ser Ser Ala Leu 1 5 <210> 1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1 Phe Leu Tyr Lys Ile Ile Asp Glu Leu 1 5 <210> 12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2 Phe Val Ser Glu Ile Val Asp Thr Val 1 5 <210> 1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3 Leu Leu Ala Gly Gln Thr Tyr His Val 1 5 <210> 14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4 Val Leu Ala Lys Pro Gly Val Ile Ser Val 1 5 10 <210> 1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5 Ser Leu Ala Asn Asn Val Thr Ser Val 1 5 <210> 16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6 Ala Pro Val Asn Val Thr Thr Glu Val Lys Ser Val 1 5 10 <210> 17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7 Phe Leu Lys Ser Gly Asp Ala Ala Ile Val 1 5 10 <210> 18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8 Ser Leu Leu Asp Asp Glu Leu Met Ser Leu 1 5 10 <210> 19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9 His Leu Ala Pro Glu Thr Asp Glu Asp Asp Leu 1 5 10 <210> 20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0 Arg Leu Ala Gly Asp Gly Val Gly Ala Val 1 5 10 <210> 2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1 His Leu Met Asp Gln Pro Leu Ser Val 1 5 <210> 22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2 Thr Leu Asp Gly Ala Ala Val Asn Gln Val 1 5 10 <210> 2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3 Ser Leu Ser Ala Phe Thr Leu Phe Leu 1 5 <210> 2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4 Gly Leu Leu Glu Glu Leu Val Thr Val 1 5 <210> 25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5 Ser Leu Lys Glu Glu Val Gly Glu Glu Ala Ile 1 5 10 <210> 26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6 Ser Leu Lys Glu Glu Val Gly Glu Glu Ala Ile Val 1 5 10 <210> 27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7 Tyr Leu Gln Gly Gln Arg Leu Asp Asn Val 1 5 10 <210> 28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8 Tyr Leu Gln Gly Gln Arg Leu Asp Asn Val Val 1 5 10 <210> 29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9 Phe Leu Gln Glu Tyr Leu Asp Ala Ile 1 5 <210> 3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0 Val Val Asp Glu Gly Pro Thr Gly Val 1 5 <210> 31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1 Ser Leu Ala Ala Ala Ala Gly Lys Gln Glu Leu 1 5 10 <210> 32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2 Ser Leu Ala Ala Ala Ala Gly Lys Gln Glu Leu Ala 1 5 10 <210> 3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3 Ser Leu Asp Ser Arg Leu Glu Leu Ala 1 5 <210> 3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4 Met Leu Met Pro Val His Phe Leu Leu 1 5 <210> 35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5 Val Met Asp Ser Gly Asp Gly Val Thr His Thr Val 1 5 10 <210> 36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6 Lys Gln Glu Tyr Asp Glu Ser Gly Pro Ser Ile Val His 1 5 10 <210> 37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7 Gly Leu Leu Lys Lys Ile Asn Ser Val 1 5 <210> 38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8 Asn Leu Val Glu Lys Thr Pro Ala Leu Val 1 5 10 <210> 39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9 Thr Leu Leu Ser Asn Leu Glu Glu Ala 1 5 <210> 40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0 Phe Ile Leu Asp Ser Ala Glu Thr Thr Thr Leu 1 5 10 <210> 4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1 Phe Leu Leu Asp Gly Ser Glu Gly Val 1 5 <210> 42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2 Lys Leu Val Asp Lys Ser Thr Glu Leu 1 5 <210> 4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3 Arg Leu Asp Gln Arg Val Pro Gln Ile 1 5 <210> 44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4 Val Leu Leu Asp Lys Ile Lys Asn Leu Gln Val 1 5 10 <210> 45 <211> 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5 Val Ala Asp Lys Ile His Ser Val 1 5 <210> 46 <211> 1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6 Thr Phe Ala Pro Val Asn Val Thr Thr Glu Val Lys Ser Val 1 5 10 <210> 47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7 Lys Met Asp Ala Ser Leu Gly Asn Leu Phe Ala 1 5 10 <210> 48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8 Ala Leu Thr Gln Thr Gly Gly Pro His Val 1 5 10 <210> 49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9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1 5 <210> 5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0 Ala Leu Ala Ala Ile Leu Thr Arg Leu 1 5 <210> 5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1 Ala Leu Met Leu Gln Gly Val Asp Leu 1 5 <210> 52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2 Arg Met Val Glu Glu Ile Gly Val Glu Leu 1 5 10 <210> 53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3 Ser Ser Phe Gly Gly Leu Gly Gly Gly Ser Val 1 5 10 <210> 5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4 Val Leu Leu Ser Glu Ile Glu Val Ala 1 5 <210> 5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5 Tyr Leu Asp Ala Met Met Asn Glu Ala 1 5 <210> 56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6 Gly Leu Leu Asp Tyr Ala Thr Gly Ala Ile Gly Ser Val 1 5 10 <210> 57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7 Phe Leu Gly Lys Val Val Ile Asp Val 1 5 <210> 58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8 Gly Leu Ala Ala Phe Lys Ala Phe Leu 1 5 <210> 59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9 Lys Leu Phe Asn Leu Ser Lys Glu Asp Asp Val 1 5 10 <210> 6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0 Tyr Leu Glu Glu Asp Val Tyr Gln Leu 1 5 <210> 61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1 Ala Leu Glu Lys Asp Tyr Glu Glu Val Gly Val 1 5 10 <210> 62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2 Ala Leu Glu Lys Asp Tyr Glu Glu Val 1 5 <210> 63 <211> 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3 Phe Ala Gly Asp Asp Ala Pro Arg 1 5 <210> 64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4 Phe Leu Val Ser Asn Met Leu Leu Ala Glu Ala 1 5 10 <210> 65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5 Tyr Leu Tyr Asp Ser Glu Thr Lys Asn Ala 1 5 10 <210> 66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6 Ala Leu Leu Ser Gly Leu Arg Glu Ala 1 5 <210> 67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7 Lys Met Phe Phe Leu Ile Asp Lys Val 1 5 <210> 68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8 Lys Leu Leu Thr Glu Val His Ala Ala 1 5 <210> 69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9 Val Met Ala Pro Phe Thr Met Thr Ile 1 5 <210> 7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0 Phe Leu Val Asp Gly Ser Trp Ser Val 1 5 <210> 7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1 Phe Leu Leu Asp Gly Ser Ala Asn Val 1 5 <210> 72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2 Tyr Val Tyr Gln Asn Asn Ile Tyr Leu 1 5 <210> 7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3 Thr Leu Val Ala Ile Val Val Gly Val 1 5 <210> 7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4 Lys Ile Gln Glu Ile Leu Thr Gln Val 1 5 <210> 7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5 Arg Leu Asp Asp Leu Lys Met Thr Val 1 5 <210> 76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6 Arg Leu Leu Asp Ser Val Ser Arg Leu 1 5 <210> 77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7 Gly Leu Thr Asp Asn Ile His Leu Val 1 5 <210> 78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8 Thr Leu Ser Ser Ile Lys Val Glu Val 1 5 <210> 79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9 Val Leu Ala Pro Arg Val Leu Arg Ala 1 5 <210> 8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0 Thr Leu Tyr Pro His Thr Ser Gln Val 1 5 <210> 8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1 Ala Met Ser Ser Lys Phe Phe Leu Val 1 5 <210> 82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2 Ser Ile Ser Asp Val Ile Ala Gln Val 1 5 <210> 8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3 Phe Leu Ile Asp Ser Ser Glu Gly Val 1 5 <210> 8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4 Asn Leu Leu Asp Leu Asp Tyr Glu Leu 1 5 <210> 8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5 Thr Val Ala Glu Val Ile Gln Ser Val 1 5 <210> 86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6 Ser Leu Leu Ala Gln Asn Thr Ser Trp Leu Leu 1 5 10 <210> 87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7 Leu Leu Leu Gly Ser Pro Ala Ala Ala 1 5 <210> 88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8 Glu Leu Ala Gly Ile Gly Ile Leu Thr Val 1 5 10 <210> 89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9 Tyr Leu Leu Pro Ala Ile Val His Ile 1 5

Claims (39)

  1.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에 대해 88% 이상 상동성인 이의 변이체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로서, 상기 변이체가 주조직적합 복합체(MHC)의 분자에 결합하고/거나 상기 변이체 펩티드와 교차 반응하는 T 세포를 유도하는, 전장 폴리펩티드가 아닌 펩티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 제1항에 있어서,
    클래스 I 또는 II MHC 분자에 결합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상기 MHC와 결합할 때, CD4 및/또는 CD8 T 세포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펩티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아미노산의 연속적인 신장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가 8 내지 100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개의 아미노산의 전체 길이를 갖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펩티드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펩티드가 변형되고/거나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펩티드가 융합 단백질의 일부이고, 특히 HLA-DR 항원-연관 불변쇄(Ii)의 N-말단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인코딩하고 임의적으로 이종 프로모터 서열에 연계된 핵산.
  8. 제7항에 따른 핵산을 발현하는 발현 벡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제7항에 따른 핵산 또는 제8항에 따른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지상 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인 재조합 숙주 세포.
  10. 의학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제7항에 따른 핵산, 제8항에 따른 발현 벡터 또는 제9항에 따른 숙주 세포.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를 제시하거나 제7항에 따른 핵산 또는 제8항에 따른 발현 벡터를 발현하는 제9항에 따른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상기 숙주 세포 또는 이의 배양 배지로부터 단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생산하는 방법.
  12. T 세포를, 적절한 항원-제시 세포의 표면에 발현된 항원-로딩된 인간 클래스 I 또는 II MHC 분자, 또는 항원-제시 세포를 모방하는 인공 구축물과 상기 T 세포를 항원 특이적 방식으로 활성화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시험관내에서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항원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인, 활성화 T 림프구를 생산하는 시험관내 방법.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제시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제1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활성화 T 림프구.
  14. 표적 세포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제시하는 환자의 표적 세포를 괴사시키는 방법으로서,
    효과적인 수의 제13항에 따른 활성화 T 세포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바람직하게는 MHC 분자에 결합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특히 용해성 또는 막-결합된 항체.
  16. 암의 치료 또는 암에 대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제7항에 따른 핵산, 제8항에 따른 발현 벡터, 제9항에 따른 숙주 세포, 제13항에 따른 활성화 T 림프구 또는 제15항에 따른 항체의 용도.
  17. 제16항에 있어서,
    암이 췌장암, 폐암, 신장암, 뇌암, 결장 또는 직장암, 식도암, 유방암, 난소암, 위암, 간암, 전립선암, 흑색종, 백혈병, 및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펩티드가 유래된 단백질의 과발현을 보여주는 기타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18. (a)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제7항에 따른 핵산, 제8항에 따른 발현 벡터, 제10항에 따른 세포, 제13항에 따른 활성화 T 림프구 또는 제15항에 따른 항체를 용액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
    (b) 임의적으로, 희석제, 또는 동결건조된 제형을 위한 재구성 용액을 함유하는 제2 용기;
    (c) 임의적으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펩티드; 및
    (d) 임의적으로, (i) 용액의 사용, 또는 (ii) 동결건조된 제형의 재구성 및/또는 사용을 위한 설명서
    를 포함하는 키트.
  19. 제1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iii) 완충액, (iv) 희석제, (v) 필터, (vi) 주사바늘, 또는 (v) 주사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펩티드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키트.
  21. a) 개별 환자의 종양 샘플에 의해 제시된 종양 연관 펩티드(TUMAP)를 동정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동정된 펩티드를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종양에서의 면역원성 및/또는 과다제시에 대해 사전선별된 펩티드의 창고(warehouse)와 비교하는 단계;
    c) 환자에서 동정된 TUMAP와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를 상기 창고로부터 선택하는 단계; 및
    d) c) 단계에서 선택되는 펩티드에 근거한 개인화 백신을 제형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별 환자를 위한 개인화 항암 백신의 생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a1) 종양 샘플로부터의 발현 데이터를 종양 샘플의 조직 유형에 상응하는 정상 조직의 샘플로부터의 발현 데이터와 비교하여 종양 샘플에서 과발현되거나 이상 발현된 단백질을 동정하고;
    (a2) 발현 데이터와 클래스 I 및/또는 클래스 II MHC 분자에 결합된 MHC 리간드의 서열과의 상관관계를 결정하여 종양에 의해 과발현되거나 이상 발현된 단백질로부터 유래한 MHC 리간드를 동정함으로써,
    TUMAP가 동정되는,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종양 샘플로부터 단리된 MHC 분자로부터 결합된 펩티드를 용출시키고, 용출된 리간드를 서열결정함으로써, MHC 리간드의 서열이 동정되는,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양 샘플의 조직 유형에 상응하는 정상 조직이 동일한 환자로부터 수득되는, 방법.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고에 포함된 펩티드가 다음 단계에 근거하여 동정되는, 방법:
    aa)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악성 조직에서 과발현된 유전자의 동정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또는 서열결정-기반의 발현 프로필 결정과 같은 고도의 병렬 방법에 의한 게놈-전체 전령 리보핵산(mRNA) 발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ab) aa) 단계에서 검출된 선택적으로 발현되거나 과발현된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된 펩티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ac) 건강한 공여자 또는 환자로부터의 인간 T 세포를 사용하는 시험관내 면역원성 검정을 포함하는, 선택되는 펩티드에 의한 생체내 T 세포 반응의 유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ba) 질량 분광분석법을 사용하여 종양 샘플로부터 HLA 리간드를 동정하는 단계;
    bb)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악성 조직에서 과발현된 유전자의 동정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또는 서열결정-기반의 발현 프로필 결정과 같은 고도의 병렬 방법에 의한 게놈-전체 전령 리보핵산(mRNA) 발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bc) 동정된 HLA 리간드를 유전자 발현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bd) bc) 단계에서 검출된 선택적으로 발현되거나 과발현된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된 펩티드를 선택하는 단계;
    be) 종양 조직 상에 존재하고 건강한 조직 상에 결여되거나 덜 빈번하게 검출된 선택되는 TUMAP를 bd) 단계로부터 재검출하고, mRNA 수준에서 과발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bf) 건강한 공여자 또는 환자의 인간 T 세포를 사용하는 시험관내 면역원성 검정을 포함하는, 선택되는 펩티드에 의한 생체내 T 세포 반응의 유도를 결정하는 단계.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고에 포함된 펩티드의 면역원성이 시험관내 면역원성 검정, 개별 HLA 결합에 대한 환자 면역 모니터링, MHC 멀티머 염색, ELISPOT 검정 및/또는 세포내 시토카인 염색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고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수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 환자로부터의 정상의 상응하는 조직에 대해, 종양 샘플에 고유한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를 동정하고, 상기 돌연변이와 상관관계가 있는 펩티드를 백신에 포함시키거나 세포 요법의 생성을 위해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가 전체 게놈 서열결정에 의해 동정되는, 방법.
  30.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75%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HLA 리간드에 반응성인 T 세포 수용체, 바람직하게는 용해성 또는 막-결합된 T 세포 수용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과 88% 이상 동일한 T 세포 수용체.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T 세포 수용체.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해성 분자로서 제공되되, 임의적으로 면역 자극 도메인 또는 독소와 같은 추가 효과기 기능을 보유하는 T 세포 수용체.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TCR을 인코딩하고 임의적으로 이종 프로모터 서열에 연계된 핵산.
  35. 제34항에 따른 핵산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
  36. 제34항에 따른 핵산 또는 제15항에 따른 항체를 인코딩하는 핵산 또는 제35항에 따른 발현 벡터를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T 세포 또는 NK 세포인 숙주 세포.
  37. 제36항에 따른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T 세포 수용체를 상기 숙주 세포 및/또는 이의 배양 배지로부터 단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T 세포 수용체의 생산 방법.
  38. a)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
    b) a)에 따른 펩티드 및/또는 펩티드-MHC 복합체와 반응성인 T 세포 수용체;
    c) a)에 따른 펩티드, 및 HLA-DR 항원-연관 불변쇄(Ii)의 N-말단 아미노산 1 내지 80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d) a) 내지 c) 중 어느 하나를 인코딩하는 핵산, 또는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
    e) d)의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f) T 세포를 적절한 항원-제시 세포의 표면에 발현된 a)에 따른 펩티드와 상기 T 세포를 항원 특이적 방식으로 활성화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시험관내에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및 이러한 활성화된 T 세포를 자가 조직 또는 다른 환자에게 이전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활성화 T-림프구;
    g) a)에 따른 펩티드 및/또는 펩티드-MHC 복합체, 및/또는 a)에 따른 펩티드를 제시하는 세포에 대해 반응성이고, 예를 들어 면역-활성화 도메인 또는 독소와의 융합에 의해 잠재적으로 변형되는 항체 또는 용해성 T 세포 수용체;
    h)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 및/또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와 MHC 분자의 복합체를 인식하는 압타머; 및
    i) a) 내지 h)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접합된 또는 표지된 펩티드 또는 골격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임의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및/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 바람직하게는 MHC 분자에 결합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압타머.
KR1020177025935A 2015-03-17 2016-03-17 췌장암 및 기타 암에 대한 면역요법에서의 사용을 위한 펩티드 및 펩티드의 조합 KR20170126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34253P 2015-03-17 2015-03-17
US62/134,253 2015-03-17
GB1504502.4 2015-03-17
GB201504502A GB201504502D0 (en) 2015-03-17 2015-03-17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pancreatic cancer and other cancers
PCT/EP2016/055817 WO2016146751A1 (en) 2015-03-17 2016-03-17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pancreatic cancer and other canc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929A true KR20170126929A (ko) 2017-11-20

Family

ID=5301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935A KR20170126929A (ko) 2015-03-17 2016-03-17 췌장암 및 기타 암에 대한 면역요법에서의 사용을 위한 펩티드 및 펩티드의 조합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0076560B2 (ko)
EP (1) EP3270952A1 (ko)
JP (1) JP6715856B2 (ko)
KR (1) KR20170126929A (ko)
CN (2) CN107428810B (ko)
AR (2) AR121588A2 (ko)
AU (4) AU2016232140B2 (ko)
BR (1) BR112017019217A2 (ko)
CA (1) CA2979506A1 (ko)
CR (3) CR20210234A (ko)
EA (1) EA037783B1 (ko)
GB (1) GB201504502D0 (ko)
MA (3) MA46648B2 (ko)
MX (1) MX2017011857A (ko)
PE (1) PE20171515A1 (ko)
SG (2) SG10202001404VA (ko)
TW (2) TWI726872B (ko)
UA (1) UA123392C2 (ko)
WO (1) WO2016146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173A (ko) * 2021-12-10 2023-06-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췌장암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췌장암 진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3565B1 (en) 2013-01-14 2018-03-28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immune cells to treat un-resectable or non-resected tumor cells and tumor relapse
WO2017083525A1 (en) 2015-11-11 2017-05-18 Opi Vi- Ip Holdco Llc Composition and methods for anti-tnfr2 antibodies
RU2729116C2 (ru) 2015-12-16 2020-08-04 Гритстоун Онколоджи, Инк. Идентификация, производство и применение неоантигенов
JP7075125B2 (ja) 2016-05-25 2022-05-25 イマティクス バイオテクノロジ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 標的としてのおよび胆嚢がんおよび胆管がんおよびその他のがんに対する免疫療法で使用するための新規ペプチド、ペプチド組み合わせ
GB201609193D0 (en) 2016-05-25 2016-07-06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peptides, combination of peptides as target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gallbladder cancer and cholangiocarcinoma and other cancers
EP4317432A3 (en) 2016-12-08 2024-04-17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T cell receptors with improved pairing
DE102016123893A1 (de) 2016-12-08 2018-06-14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T-Zellrezeptoren mit verbesserter Bindung
EP4371584A2 (en) * 2016-12-21 2024-05-22 Fred Hutchinson Cancer Center Scaffolds to treat solid tumor cells and escape variants
MA49122A (fr) * 2017-04-10 2021-03-24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Peptides et combinaisons de peptides destinés à être utilisés en immunothérapie anticancéreuse
WO2018218137A1 (en) 2017-05-25 2018-11-29 Leidos, Inc. Pd-1 and ctla-4 dual inhibitor peptides
EP3428194B1 (en) 2017-07-14 2021-08-18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Improved dual specificity polypeptide molecule
DE102017115966A1 (de) 2017-07-14 2019-01-17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Polypeptidmolekül mit verbesserter zweifacher Spezifität
KR20200087143A (ko) 2017-10-10 2020-07-20 그릿스톤 온콜로지, 인코포레이티드 핫스팟을 이용한 신생항원 동정
JP2021503897A (ja) 2017-11-22 2021-02-15 グリットストーン オンコ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新生抗原のためのジャンクションエピトープ提示の低減
DE102017127984B4 (de) 2017-11-27 2019-12-05 Immatics US, Inc. Verfahren für die Vermehrung und Aktivierung von γδ-T-Zellen
CA3090416A1 (en) * 2018-02-09 2019-08-15 Immatics US,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t cells
AU2018410849A1 (en) 2018-02-27 2020-09-10 Leidos, Inc. PD-1 peptide inhibitors
US20210024603A1 (en) * 2018-03-16 2021-01-28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Antigenic peptides deriving from urocortin 3 and uses thereof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US20210070819A1 (en) * 2018-03-16 2021-03-11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Antigenic peptides deriving from secretogranin v and uses thereof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WO2020191172A1 (en) 2019-03-19 2020-09-24 Immatics US, Inc. Cd28 t cell cultur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JP2022533711A (ja) 2019-05-22 2022-07-25 レイド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ag3結合ペプチド
MX2021014552A (es) 2019-05-27 2022-02-11 Immatics Us Inc Vectores viricos y uso de los mismos en terapias celulares adoptivas.
WO2020245326A1 (en) 2019-06-06 2020-12-10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Sorting with counter selection using sequence similar peptides
US20210032370A1 (en) 2019-08-02 2021-02-04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Recruiting agent further binding an mhc molecule
CN115427554A (zh) 2020-02-24 2022-12-02 伊玛提克斯美国公司 扩增t细胞治疗癌症和相关恶性肿瘤的方法
DE102020111571A1 (de) 2020-03-11 2021-09-16 Immatics US, Inc. Wpre-mutantenkonstrukte, zusammensetzungen und zugehörige verfahren
DE102020106710A1 (de) 2020-03-11 2021-09-16 Immatics US, Inc. Wpre-mutantenkonstrukte, zusammensetzungen und zugehörige verfahren
AU2021263927A1 (en) * 2020-04-29 2022-11-17 EG BioMed Co., Ltd. Method for early detection, prediction of treatment response and prognosis of colorectal cancer
CA3189692A1 (en) 2020-07-31 2022-02-03 Leidos, Inc. Lag3 binding peptides
US20220056411A1 (en) 2020-08-21 2022-02-24 Immatics US, Inc. Methods for isolating cd8+ selected t cells
US11987646B2 (en) 2020-10-12 2024-05-21 Leidos, Inc. Immunomodulatory peptides
CN112557347B (zh) * 2020-11-12 2023-10-24 渤海大学 一种黏液层中乳糜粒子迁移模型的制备及检测方法
CN112462066B (zh) * 2020-12-03 2023-05-19 中南大学湘雅医院 Fam3c蛋白及其特异性抗体在制备检测鼻咽癌试剂盒中的应用、试剂盒及其应用
CR20230295A (es) 2020-12-31 2023-07-27 Immatics Us Inc Polipéptidos cd8, composiciones y métodos de uso de estos
CN112760383B (zh) * 2021-03-02 2023-07-21 上海欧易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应用于肺腺癌细胞亚群的一组qRT-PCR内参基因及其应用
JP2024516699A (ja) 2021-05-05 2024-04-16 イマティクス バイオテクノロジ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 Bma031抗原結合ポリペプチド
WO2023025851A1 (en) 2021-08-24 2023-03-02 Immatics US, Inc. Selection of immune cells using peptide mhc complexes generated by conditional ligand exchange
WO2023044488A1 (en) 2021-09-20 2023-03-23 Immatics US, Inc. Monocyte depletion of t cells populations for t-cell therapy
WO2023081925A1 (en) 2021-11-08 2023-05-11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Adoptive cell therapy combination treatment and compositions thereof
CN114214406A (zh) * 2021-12-15 2022-03-22 天津医科大学总医院 一种用于评价肿瘤患者免疫治疗反应性和评估肿瘤预后的三联标志物及其应用
US20230348548A1 (en) 2022-04-28 2023-11-02 Immatics US, Inc. Membrane-bound il-15, cd8 polypeptides, cell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US20230348561A1 (en) 2022-04-28 2023-11-02 Immatics US, Inc. Dominant negative tgfbeta receptor polypeptides, cd8 polypeptides, cell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WO2023212655A1 (en) 2022-04-28 2023-11-02 Immatics US, Inc. Il-12 polypeptides, il-15 polypeptides, il-18 polypeptides, cd8 polypeptid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WO2023215825A1 (en) 2022-05-05 2023-11-09 Immatics US, Inc. Methods for improving t cell efficacy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031A (en) * 1993-10-27 1997-03-1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B1k chain of laminin and methods of use
US6316213B1 (en) * 1997-03-19 2001-11-1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Methods for the early diagnosis of ovarian, breast and lung cancer
WO1999064627A2 (en) * 1998-06-06 1999-12-16 Genostic Pharma Limited Probes used for genetic profiling
AU3395900A (en) * 1999-03-12 2000-10-04 Human Genome Sciences, Inc. Human lung cancer associated gene sequences and polypeptides
CN1469926A (zh) * 2000-03-29 2004-01-21 科里克萨有限公司 治疗和诊断肺癌的组合物和方法
WO2003010327A2 (en) 2001-02-21 2003-02-06 Curagen Corporation Novel proteins and nucleic acids encoding same
US20030021796A1 (en) * 2001-05-04 2003-01-30 Leszek Ignatowicz Method of enhancing T cell immunity by selection of antigen specific T cells
JP2003321494A (ja) * 2002-02-26 2003-11-11 Daiichi Fine Chemical Co Ltd プロmmp−7の活性化調節方法
US7563882B2 (en) * 2002-06-10 2009-07-21 University Of Rochester Polynucleotides encoding antibodies that bind to the C35 polypeptide
JP2006516089A (ja) * 2002-10-02 2006-06-22 ジェネン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腫瘍の診断と治療のための組成物と方法
WO2004050858A2 (en) * 2002-12-04 2004-06-17 Diadexus, Inc. Compositions, splice variants and methods relating to colon specific genes and proteins
ES2330013T3 (es) * 2005-09-05 2009-12-03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Peptidos asociados a tumores unidos a moleculas del antigeno de leucocito humano (hla) de clase i o ii y vacunas contra el cancer relacionadas.
GB0611116D0 (en) * 2006-06-06 2006-07-19 Oxford Genome Sciences Uk Ltd Proteins
EP2565204B1 (en) * 2007-07-27 2015-10-07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immunogenic epitopes for immunotherapy
EP2127664A1 (en) * 2008-02-15 2009-12-02 Max-Delbrück-Centrum Change of the load state of MHC molecules by dipeptides
CN102131919B (zh) * 2008-03-31 2017-05-03 东方酵母工业株式会社 一种增殖多能性干细胞的方法
ES2532896T5 (es) * 2008-05-14 2018-03-20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Péptidos del MHC de clase II novedosos y potentes derivados de survivina y neurocan
WO2010047938A2 (en) * 2008-10-21 2010-04-29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Mmp activation peptide detection in biological samples
GB201004551D0 (en) * 2010-03-19 2010-05-05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gastrointestinal and gastric cancer
WO2013040142A2 (en) * 2011-09-16 2013-03-21 Iogenetics, Llc Bioinformatic processes for determination of peptide binding
WO2011119484A1 (en) * 2010-03-23 2011-09-29 Iogenetics, Llc Bioinformatic processes for determination of peptide binding
US20140154691A1 (en) * 2011-06-22 2014-06-05 Oncocyte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Diagnosis of Bladder Cancer
EP2751570A4 (en) * 2011-08-31 2015-08-12 Oncocyte Corp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DIAGNOSIS OF CANCER
US20140065620A1 (en) * 2011-12-29 2014-03-0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Nucleic acids for detecting breast cancer
TWI777198B (zh) * 2013-08-05 2022-09-11 德商伊瑪提克斯生物科技有限公司 新穎肽類,細胞及其用於治療多種腫瘤的用途,其製造方法及包含其等之醫藥組成物(七)
CN104163862B (zh) * 2013-12-04 2017-02-08 魏敏杰 与人mhc‑i类分子结合的grp78多肽表位
CN104306976A (zh) * 2014-04-26 2015-01-28 深圳市康尔诺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的肿瘤个体化免疫治疗方法及其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173A (ko) * 2021-12-10 2023-06-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췌장암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췌장암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706155XA (en) 2017-09-28
EP3270952A1 (en) 2018-01-24
CN107428810A (zh) 2017-12-01
TW201643187A (zh) 2016-12-16
CR20210233A (es) 2021-06-25
US10357551B2 (en) 2019-07-23
TW202124427A (zh) 2021-07-01
AU2020220072B2 (en) 2021-11-25
AU2020220070B2 (en) 2021-12-02
JP6715856B2 (ja) 2020-07-01
US10076560B2 (en) 2018-09-18
BR112017019217A2 (pt) 2018-04-10
UA123392C2 (uk) 2021-03-31
US20180207251A1 (en) 2018-07-26
MX2017011857A (es) 2018-04-24
CA2979506A1 (en) 2016-09-22
CN113563456A (zh) 2021-10-29
AU2020220073B2 (en) 2021-10-14
AU2016232140B2 (en) 2020-07-02
AU2020220072A1 (en) 2020-09-03
AR121588A2 (es) 2022-06-22
US20170165335A1 (en) 2017-06-15
PE20171515A1 (es) 2017-10-20
GB201504502D0 (en) 2015-04-29
TWI769586B (zh) 2022-07-01
MA40713A1 (fr) 2018-11-30
CR20170419A (es) 2017-11-22
EA037783B1 (ru) 2021-05-20
AR121587A2 (es) 2022-06-22
AU2020220070A1 (en) 2020-09-03
MA46647A1 (fr) 2021-10-29
WO2016146751A1 (en) 2016-09-22
JP2018510628A (ja) 2018-04-19
SG10202001404VA (en) 2020-04-29
AU2020220073A1 (en) 2020-09-03
CN107428810B (zh) 2022-08-19
CR20210234A (es) 2021-06-25
TWI726872B (zh) 2021-05-11
MA46648A1 (fr) 2021-02-26
MA46648B2 (fr) 2023-01-31
AU2016232140A1 (en) 2017-09-07
EA201791853A1 (ru)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20072B2 (en)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pancreatic cancer and other cancers
JP7478718B2 (ja) 膵臓がんおよびその他のがんに対する免疫療法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新規ペプチドおよびペプチドの組み合わ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