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893A - 리니어 압축기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893A
KR20170124893A KR1020160054878A KR20160054878A KR20170124893A KR 20170124893 A KR20170124893 A KR 20170124893A KR 1020160054878 A KR1020160054878 A KR 1020160054878A KR 20160054878 A KR20160054878 A KR 20160054878A KR 20170124893 A KR20170124893 A KR 2017012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charge
pipe
guide pipe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638B1 (ko
Inventor
강동한
김정해
유효상
김창규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638B1/ko
Priority to EP17167092.0A priority patent/EP3242018B1/en
Priority to CN201710263351.5A priority patent/CN107339226B/zh
Priority to US15/496,077 priority patent/US10323630B2/en
Publication of KR2017012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쉘; 상기 쉘 내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커버; 상기 토출 커버로 인입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커버 토출부; 상기 쉘에 결합되며, 압축된 냉매를 상기 쉘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파이프; 상기 토출 커버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파이프;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커버 토출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토출 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일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토출 파이프 또는 상기 커버 토출부에 삽입되며,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은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냉각 시스템이란, 냉매를 순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서,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 시스템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시스템은, 가전제품으로서 냉장고 또는 에어컨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장치로서, 상기 가전제품 또는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를 크게 분류하면,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 및 선회 스크롤(Orbi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특히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보통,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된 쉘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도록 움직이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 모터는 이너 스테이터 및 아우터 스테이터 사이에 영구자석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영구자석은 영구자석과 이너(또는 아우터) 스테이터 간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이 피스톤과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됨에 따라,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5516호(공개일 2016.01.15.)에는 리니어 압축기가 개시된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쉘과, 쉘 내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하는 리니어 모터와,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수용되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 과정에서 압축된 냉매의 토출공간을 형성하는 토출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상기 쉘에 구비되는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와 상기 토출 커버를 연결하는 루프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상기 루프 파이프와 토출 커버 또는 루프 파이프와 토출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토출 냉매의 압력에 의하여 루프 파이프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루프 파이프와 토출 커버 또는 루프 파이프와 토출부의 결합이 느슨해지면서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안내 파이프를 토출 커버와 토출 파이프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파손이 방지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파이프와 토출 커버의 연결 부위 및 안내 파이프와 토출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파이프가 토출 커버와 토출 파이프에 연결된 후에는 안내 파이프가 토출 커버와 토출 파이프의 분리가 방지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파이프와 토출 커버의 연결 부위 및 안내 파이프와 토출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서 사용되는 실링 부재의 개수가 감소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버 토출부의 길이가 증가에 따른 전체 크기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니어 압축기는, 쉘; 상기 쉘 내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커버; 상기 토출 커버로 인입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커버 토출부; 상기 쉘에 결합되며, 압축된 냉매를 상기 쉘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파이프; 상기 토출 커버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파이프;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커버 토출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토출 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일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토출 파이프 또는 상기 커버 토출부에 삽입되며,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은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안내 파이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연결 부재를 함께 둘러싸는 파이프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는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연결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 파이프에는 상기 파이프 커버의 일부가 위치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는 상기 안내 파이프를 둘러싸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 부재를 둘러싸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의 외경은 상기 제 1 커버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의 외경은 상기 결합부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토퍼와 이격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상기 제 2 커버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 상기 안내 파이프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 2 커버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둘레는 하나의 실링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쉘; 상기 쉘 내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커버; 상기 토출 커버로 인입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커버 토출부; 상기 쉘에 결합되며, 압축된 냉매를 상기 쉘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파이프; 상기 토출 커버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파이프;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커버 토출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토출 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일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토출 파이프 또는 상기 커버 토출부에 삽입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연결 부재를 함께 둘러싸는 파이프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 커버는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연결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 파이프에는 상기 안내 파이프에는 상기 파이프 커버의 인서팅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 커버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액이 채워지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안내 파이프의 개구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는 상기 안내 파이프를 둘러싸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 부재를 둘러싸는 제 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의 외경은 상기 제 1 커버의 외경 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토출 파이프 또는 상기 커버 토출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파이프를 커버 토출부 또는 토출 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스틸 재질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커버 토출부 또는 토출 파이프가 스틸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연결 부재와 토출 파이프의 결합 과정에서 연결 부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파손이 방지되면,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커버 토출부의 연결 부위 또는 상기 연결 부재와 토출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결 부재가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커버 토출부 또는 토출 파이프가 스틸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와 커버 토출부 또는 상기 연결 부재와 토출 파이프의 코킹 과정에 의해서 접촉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냉매 누설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코킹 공정 완료 후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커버 토출부의 접촉면의 마찰력 이 커지므로, 상기 연결 부재의 둘레 하나의 실링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고, 상기 커버 토출부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쉘 내에서 상기 연결 부재 및 커버 토출부가 위치되기 위한 공간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쉘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부가 안내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안내 파이프 및 연결 부재를 함께 둘러싸는 커버 토출부를 포함하고, 커버 토출부의 일부가 안내 파이프에 삽입되므로, 상기 커버 토출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에서 분리되는 것이 및 상기 안내 파이프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안내 파이프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와, 커버 토출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되, 스토퍼와 결합부 사이이 파이프 커버의 일부가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파이프 커버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안내 파이프가 토출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안내 파이프의 제 1 결합부가 토출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안내 파이프의 제 1 결합부와 토출 커버의 커버 토출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안내 파이프의 제 2 결합부가 토출 파이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는, 쉘(101) 및 상기 쉘(101)에 결합되는 쉘 커버(102,103)를 포함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상기 쉘 커버(102, 103)는 상기 쉘(101)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하측에는, 레그(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50)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10)가 설치되는 제품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품은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품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실외기의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101)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누워져 있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축방향으로 누워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쉘(10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반경 방향으로는 다소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리니어 압축기(10)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10)가 냉장고의 기계실 베이스에 설치될 때, 상기 기계실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쉘(101)의 외면에는, 터미널(10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은 외부 전원을 리니어 압축기(10)의 모터(140, 도 3 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은 코일(141c, 도 3 참조)의 리드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의 외측에는, 브라켓(109)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09)은 상기 터미널(108)을 둘러싸는 다수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9)은 외부의 충격등으로부터 상기 터미널(108)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양측부는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개구된 쉘(101)의 양측부에는, 상기 쉘 커버(102, 103)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쉘 커버(102,103)는, 상기 쉘(101)의 개구된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 1 쉘 커버(102) 및 상기 쉘(101)의 개구된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 2 쉘 커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 커버(102,103)에 의하여, 상기 쉘(101)의 내부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쉘 커버(102)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우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쉘 커버(103)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좌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2 쉘 커버(102,10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는, 상기 쉘(101) 또는 쉘 커버(102,103)에 구비되어, 냉매를 흡입, 토출 또는 주입시킬 수 있는 다수의 파이프(104,105,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파이프(104,105,106)는, 냉매가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104)와, 압축된 냉매가 상기 리니어 압축기(1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 파이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파이프(104,105,106)는, 냉매를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 보충하기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 파이프(104)는 상기 제 1 쉘 커버(102)에 결합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쉘(1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축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된 냉매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제 1 쉘 커버(102)보다 상기 제 2 쉘 커버(10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내부로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1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라 함은, 상기 레그(50)로부터의 수직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의 거리로서 이해된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는, 압축기 본체(100)와, 상기 압축기 본체(100)를 상기 쉘(100) 및 쉘 커버(102,103)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장치(2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쉘(101)의 내부에 제공되는 실린더(120)와,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30) 및 상기 피스톤(13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40)가 구동하면, 상기 피스톤(130)은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피스톤(130)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상기 흡입 머플러(150)를 거쳐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동한다. 일례로, 냉매가 상기 흡입 머플러(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150)는, 다수의 머플러(151,152,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머플러(151,152,153)는, 서로 결합되는 제 1 머플러(151), 제 2 머플러(152) 및 제 3 머플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머플러(151)는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머플러(152)는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후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머플러(153)는 상기 제 2 머플러(152)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냉매의 유동방향 관점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상기 제 3 머플러(153), 제 2 머플러(152) 및 제 1 머플러(151)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소음은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150)는, 머플러 필터(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플러 필터(155)는 상기 제 1 머플러(151)와 상기 제 2 머플러(152)가 결합되는 경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머플러 필터(155)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머플러 필터(155)의 외주부는 상기 제 1,2 머플러(151,152)의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축 방향"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 즉 도 4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 중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로부터 압축 공간(P)을 향하는 방향, 즉 냉매가 유동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반면에, "반경 방향"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도 4의 세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본체의 축"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의 축 방향 중심선을 의미한다.
상기 피스톤(13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피스톤 본체(131)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플랜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본체(131)는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 플랜지부(132)는 상기 실린더(120)의 외측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30)에 의하여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공간(P)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압축 공간(P)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흡입공(133)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133)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공(133)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흡입 밸브(135)가 제공된다. 상기 흡입 밸브(135)의 대략 중심부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 공간(P)의 전방에는, 상기 압축 공간(P)에서 배출된 냉매의 토출공간(160a)을 형성하는 토출커버(160) 및 상기 토출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 공간(P)에서 압축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밸브 어셈블리(161,163)가 제공된다. 상기 토출공간(160a)은 토출커버(160)의 내부 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공간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161,163)는, 상기 압축 공간(P)의 압력이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냉매를 상기 토출커버(160)의 토출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토출 밸브(161) 및 상기 토출 밸브(161)와 토출커버(160)의 사이에 제공되어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조립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조립체(163)는, 밸브 스프링(163a) 및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을 상기 토출커버(160)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은,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163b)는 사출 공정에 의하여 상기 밸브 스프링(163a)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161)는 상기 밸브 스프링(163a)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 밸브(161)의 후방부 또는 후면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토출 밸브(161)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되면 상기 압축 공간(P)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토출 밸브(161)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압축 공간(P)은 개방되어, 상기 압축 공간(P) 내부의 압축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압축 공간(P)은 상기 흡입 밸브(135)와 상기 토출 밸브(16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 밸브(135)는 상기 압축 공간(P)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토출 밸브(161)는 상기 압축 공간(P)의 타측, 즉 상기 흡입 밸브(135)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이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 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 공간(P)의 압력이 토출압력보다 낮고 흡입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 밸브(135)가 개방되어 냉매는 상기 압축 공간(P)으로 흡입된다. 반면에, 상기 압축 공간(P)의 압력이 상기 흡입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흡입 밸브(135)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압축 공간(P)의 냉매가 압축된다.
한편, 상기 압축 공간(P)의 압력이 상기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이 전방으로 변형하면서 상기 토출 밸브(161)를 개방시키고, 냉매는 상기 압축 공간(P)으로부터 토출되어, 토출커버(160)의 토출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 냉매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은 상기 토출 밸브(161)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토출 밸브(161)가 닫혀지도록 한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토출 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 커버(160)의 토출공간(160a)을 유동한 냉매를 배출시키는 커버 토출부(16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토출부(162a)는 스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커버 토출부(162a)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토출부(162a)를 유동하는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105)로 전달하는 안내 파이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파이프(500)의 일측부는 상기 커버 토출부(162a)에 결합되며, 타측부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파이프(5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 파이프(500)는 상기 커버 토출부(162a)로부터 상기 쉘(101)의 내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내 파이프(500)는 감겨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파이프(500)가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 본체(100)의 진동 과정에서 상기 커버 토출부(162a)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상기 안내 파이프(500)로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파이프(500)가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 본체(100)의 진동 과정에서 상기 토출 파이프(10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상기 안내 파이프(500)로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파이프(500)와 상기 커버 토출부(162a)의 결합 구조 및 상기 안내 파이프(500)와 상기 토출 파이프(105)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프레임(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일례로,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압입(壓入, press fitting)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커버(160)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40)는,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48) 및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1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 및 이너 스테이터(148)와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146)은 1개의 극을 가지는 단일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3개의 극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마그넷 프레임(13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4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은 상기 피스톤 플랜지부(132)에 결합되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이 왕복 운동할 때,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영구자석(146)과 함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는, 코일 권선체(141b,141c,141d) 및 스테이터 코어(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권선체(141b,141c,141d)는, 보빈(141b) 및 상기 보빈의 원주 방향으로 권선된 코일(141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권선체(141b,141c,141d)는, 상기 코일(141c)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외부로 인출 또는 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단자부(14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141a)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이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다수의 코어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코어 블럭은, 상기 코일 권선체(141b,141c)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에는 스테이터 커버(149)가 제공된다. 즉,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부는 상기 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부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와 상기 프레임(110)을 체결하기 위한 커버 체결부재(14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체결부재(149a)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주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이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피스톤(130)을 지지하는 서포터(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37)는 상기 피스톤(130)의 후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머플러(150)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플랜지부(132), 마그넷 프레임(138) 및 상기 서포터(137)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37)에는, 밸런스 웨이트(179)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179)의 중량은, 압축기 본체(100)의 운전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백 커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백 커버(17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3개의 지지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지지레그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지지레그와,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 사이에는, 스페이서(181)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81)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로부터 상기 백 커버(170)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170)는 상기 서포터(137)에 스프링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백 커버(170)에 결합되어 상기 머플러(150)로의 냉매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 가이드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가이드부(15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흡입 머플러(15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피스톤(130)이 공진 운동할 수 있도록 각 고유 진동수가 조절된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17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176b)은, 상기 서포터(137)와 스테이터 커버(149)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 1 공진스프링(176a) 및 상기 서포터(137)와 백 커버(170)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 2 공진스프링(17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176b)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가동부의 안정적인 움직임이 수행되며,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본체(100)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 주변의 부품간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한 다수의 실링부재(127,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실링부재(127,128)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토출커버(16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 1 실링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실링부재(127,128)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실린더(12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 2 실링부재(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부재(127,128)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장치(200, 300)는 상기 압축기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지지장치(200)와, 상기 압축기 본체(10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제 2 지지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지지장치(200, 300)는 상기 압축기 본체(200)의 축 방향 진동 및 반경 방향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압축기 본체(200)가 상기 쉘(100) 또는 쉘 커버(102, 103)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지지 장치(200)는 제 1 판 스프링(21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 장치(300)는 제 2 판 스프링(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안내 파이프가 토출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안내 파이프의 제 1 결합부가 토출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7은 안내 파이프의 제 1 결합부와 토출 커버의 커버 토출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안내 파이프의 제 2 결합부가 토출 파이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안내 파이프(500)는 상기 토출 커버(162)의 커버 토출부(162a)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510)와,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550)는 상기 제 1 결합부(5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결합부(510)와 상기 커버 토출부(162a)의 결합 방식은 상기 제 2 결합부(550)와 상기 토출 파이프(105)의 결합에 그대로 사용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결합부(510)의 구조 및 상기 제 1 결합부(510)와 상기 커버 토출부(162a)의 결합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결합부(510)는, 일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커버 토출부(162a)에 삽입되는 연결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20)는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 삽입되는 삽입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21)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삽입부(521)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5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22)는 상기 삽입부(521)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521)가 일정 길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하나의 스토퍼(522)가 상기 연결 부재(520)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스토퍼(522)가 상기 연결 부재(52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20)의 삽입부(521)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521)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삽입부(521)의 외주면에는 분리 방지 돌기(523)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 파이프(521)의 내주면에는 상기 분리 방지 돌기(523)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50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20)의 삽입부(521)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서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분리 방지 돌기(523)가 상기 삽입부(52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리 방지 돌기(523)가 상기 삽입부(52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510)는 상기 연결 부재(520)가 삽입된 상기 안내 파이프(500)를 둘러싸는 파이프 커버(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20)의 삽입부(521)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 커버(540)가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상기 안내 파이프(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 커버는 나일론(Nyl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파이프 커버(540)는 상기 안내 파이프(500)의 일부를 둘러쌀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부재(520)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파이프 커버(540)는 상기 안내 파이프(500)를 커버하는 제 1 커버(542)와, 상기 제 1 커버(542)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 부재(520)를 커버하는 제 2 커버(5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542)의 외경은 상기 제 2 커버(544)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이프 커버(540)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 부재(520)가 상기 커버 토출부(162a)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버(542)가 상기 연결 부재(520)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인서팅 사출된 상기 파이프 커버(540)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는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홀(5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502)은 상기 안내 파이프(500)의 개구에서 이격된다.
상기 파이프 커버(540)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 인서팅 사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 커버(540)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액이 상기 홀(502)에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커버(540)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 인서팅 사출된 후에는 상기 파이프 커버(540)로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서 분리되는 힘이 작용할 때 상기 홀(502)에 위치된 성형 액에 대응되는 부분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상기 파이프 커버(540)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파이프 커버(540)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서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홀(502)은 상기 안내 파이프(500)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502)이 상기 안내 파이프(500)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면, 상기 파이프 커버(540)로 회전력이 작용할 때, 상기 홀(502)에 위치된 성형 액에 대응되는 부분이 회전 저항으로 작용하여, 상기 파이프 커버(540)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 토출부(162a)는 상기 연결 부재(520)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 부재 결합부(16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520)는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6)는 상기 삽입부(521)에서 연장되며, 상기 결합부(526)의 외경은 상기 삽입부(521)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22)는 상기 결합부(526)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22)와 상기 결합부(526)의 위치 관계 및 상기 삽입부(521)와 상기 결합부(526)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일부가 상기 스토퍼(522)와 상기 결합부(526) 사이에서 상기 연결 부재(522)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제 2 커버(544)가 상기 스토퍼(521)와 상기 결합부(52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제 1 커버(542)는 상기 스토퍼(522)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제 2 커버(544)가 상기 스토퍼(521)와 상기 결합부(526)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연결 부재(520)가 상기 파이프 커버(54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부재(520)는 상기 파이프 커버(540)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부(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안착부(524)의 외경은 상기 삽입부(52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커버 안착부(524)의 외경이 상기 삽입부(521)의 외경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연결 부재(520)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스토퍼(522)와 상기 제 2 커버(544)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연결 부재(520)가 상기 파이프 커버(540)에서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6)에는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일부(545)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5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28)은 상기 결합부(526)에서 상기 안내 파이프(500)를 바라보는 면에서 상기 연결 부재(520)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6)의 수용홈(528)에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일부(545)가 수용되면,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제 2 커버(544)가 상기 연결 부재(520)의 길이 방향(도 7에서는 상하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반경 방향(도 7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528)은 상기 제 2 커버(544)의 반경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6)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실링 부재 안착홈(527)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 부재 안착홈(527)에는 실링 부재(530)가 안착된다. 상기 실링 부재(530)는 일예로 오링(O-ring)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526)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에 수용된 상태에서, 코킹(caulking) 공정에 의하여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의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가 상기 실링 부재(530)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526)의 외주면에 접촉 및 상기 결합부(526)의 외주면을 가압함에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가 상기 결합부(526)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6)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코킹 공정 수행 전에 상기 결합부(526)의 외경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의 외경 보다 작다.
또한, 상기 결합부(526)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제 2 커버(544)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제 2 커버(544)의 외경은 상기 결합부(526)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526)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제 2 커버(544)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26)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코킹 공정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526)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52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20) 및 상기 커버 토출부(162a)가 각각 스틸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코킹 공정 완료 후 상기 연결 부재(520) 및 상기 커버 토출부(162a)의 접촉면의 마찰력이 커져 상기 연결 부재(520)가 상기 커버 토출부(162a)에서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코킹 공정 완료 후 상기 연결 부재(520)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상기 연결 부재(520)와 상기 커버 토출부(162a)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냉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코킹 공정 완료 후 상기 연결 부재(520) 및 상기 커버 토출부(162a)의 접촉면의 마찰력이 커지므로, 상기 결합부(526)의 둘레에 하나의 실링 부재(5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526) 및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고 상기 쉘(101)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쉘(101)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안내 파이프(500)가 제 1 결합부(510)에 의해서 상기 커버 토출부(162a)에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연결 부재(520)의 삽입부(521)를 상기 안내 파이프(500)로 삽입시킨다. 상기 삽입부(521)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522)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의 단부에 접촉하면 상기 삽입부(521)의 삽입이 제한된다.
상기 연결 부재(520)의 삽입부(521)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파이프 커버(540)가 상기 안내 파이프(500) 및 상기 연결 부재(520)를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파이프 커버(540)를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연결 부재(520)의 결합부(526)의 둘레에 실링 부재(530)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 상기 결합부(526)를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부(526)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의 단부가 상기 파이프 커버(540)의 제 1 커버(542)에 접촉하면 상기 결합부(526)의 삽입은 제한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결합부(526)와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부재 결합부(162b)의 직경을 줄이는 코킹(caulking) 공정을 수행한다.
10: 리니어 압축기 100: 압축기 본체
105: 토출 파이프 160: 토출 커버
162a: 커버 토출부 500: 안내 파이프
510: 제 1 결합부 520: 연결 부재
530: 실링 부재 540: 파이프 커버
550: 제 2 결합부

Claims (14)

  1. 쉘;
    상기 쉘 내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커버;
    상기 토출 커버로 인입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커버 토출부;
    상기 쉘에 결합되며, 압축된 냉매를 상기 쉘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파이프;
    상기 토출 커버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파이프;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커버 토출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토출 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일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토출 파이프 또는 상기 커버 토출부에 삽입되며,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안내 파이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연결 부재를 함께 둘러싸는 파이프 커버를 더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커버는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연결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 파이프에는 상기 파이프 커버의 일부가 위치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커버는 상기 안내 파이프를 둘러싸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 부재를 둘러싸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의 외경은 상기 제 1 커버의 외경 보다 작은 리니어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삽입부의 외경 보다 크고,
    상기 제 2 커버의 외경은 상기 결합부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토퍼와 이격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상기 제 2 커버가 위치되는 리니어 압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상기 안내 파이프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 2 커버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커버 토출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둘레는 하나의 실링 부재가 결합되는 리니어 압축기.
  11. 쉘;
    상기 쉘 내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커버;
    상기 토출 커버로 인입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커버 토출부;
    상기 쉘에 결합되며, 압축된 냉매를 상기 쉘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파이프;
    상기 토출 커버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파이프;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커버 토출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안내 파이프를 상기 토출 파이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일부가 상기 안내 파이프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토출 파이프 또는 상기 커버 토출부에 삽입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연결 부재를 함께 둘러싸는 파이프 커버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커버는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상기 안내 파이프 및 상기 연결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 파이프에는 상기 파이프 커버의 인서팅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 커버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액이 채워지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안내 파이프의 개구에서 이격되는 리니어 압축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커버는 상기 안내 파이프를 둘러싸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 부재를 둘러싸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의 외경은 상기 제 1 커버의 외경 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토출 파이프 또는 상기 커버 토출부에 삽입되는 리니어 압축기.
KR1020160054878A 2016-05-03 2016-05-03 리니어 압축기 KR102259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78A KR102259638B1 (ko) 2016-05-03 2016-05-03 리니어 압축기
EP17167092.0A EP3242018B1 (en) 2016-05-03 2017-04-19 Linear compressor
CN201710263351.5A CN107339226B (zh) 2016-05-03 2017-04-21 线性压缩机
US15/496,077 US10323630B2 (en) 2016-05-03 2017-04-25 Linea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78A KR102259638B1 (ko) 2016-05-03 2016-05-03 리니어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893A true KR20170124893A (ko) 2017-11-13
KR102259638B1 KR102259638B1 (ko) 2021-06-02

Family

ID=5857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878A KR102259638B1 (ko) 2016-05-03 2016-05-03 리니어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23630B2 (ko)
EP (1) EP3242018B1 (ko)
KR (1) KR102259638B1 (ko)
CN (1) CN1073392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3312A1 (en) 2018-04-10 2019-10-16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347B1 (ko) * 2016-05-03 2021-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N108050048A (zh) * 2018-01-09 2018-05-18 加西贝拉压缩机有限公司 一种压缩机气缸盖与壳体之间的排气连接结构
DE102020004386A1 (de) * 2019-10-11 2021-04-15 Motan Holding Gmbh Fördergerät für den Einsatz im Kunststoffbereich
US20220106953A1 (en) * 2020-10-07 2022-04-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 dissipation assembly for a linear compressor
CN216812050U (zh) * 2021-10-25 2022-06-24 思科普有限责任公司 封装式制冷剂压缩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6805A1 (en) * 2007-10-05 2010-09-09 Herwig Kulmer Refrigerant compressor
KR20150044431A (ko) * 2012-08-17 2015-04-24 월풀 에쎄.아. 냉동 압축기용 가스 배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1271A (en) * 1947-10-14 1951-11-21 Millar John Humphre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ose couplings
JP3081864B2 (ja) * 1996-01-08 2000-08-28 三井化学株式会社 金属製接続部材付き合成樹脂製管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188020B1 (ko) * 1996-04-04 1999-06-01 윤종용 이중 관의 접속 장치
US6186558B1 (en) 1999-07-09 2001-02-13 Naris Komolrochanaporn Pipe fitting
CN2463648Y (zh) * 2001-02-22 2001-12-05 纪耀宗 塑料管路密封连接件
KR100564439B1 (ko) * 2003-11-14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압축기
DE102008004790B4 (de) * 2008-01-17 2021-11-11 Secop Gmbh Kältemittelverdichteranordnung
CN203052081U (zh) * 2012-12-04 2013-07-10 上海伟星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可进行不同材质管道连接的组合接头
US20140232107A1 (en) * 2013-02-19 2014-08-21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High-flow hose fitting
KR102244362B1 (ko) 2014-07-07 2021-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모터
JP2016087688A (ja) * 2014-10-30 2016-05-23 ヂュジィ スーベイダー マシーナ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Zhuji Sibeida Machinery Co., Ltd 銅と鋼との溶接方法及びその応用
KR20160055497A (ko) * 2014-11-10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6805A1 (en) * 2007-10-05 2010-09-09 Herwig Kulmer Refrigerant compressor
KR20150044431A (ko) * 2012-08-17 2015-04-24 월풀 에쎄.아. 냉동 압축기용 가스 배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3312A1 (en) 2018-04-10 2019-10-16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KR20190118425A (ko) 2018-04-10 2019-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US10830232B2 (en) 2018-04-10 2020-11-10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638B1 (ko) 2021-06-02
EP3242018B1 (en) 2019-01-02
EP3242018A1 (en) 2017-11-08
US10323630B2 (en) 2019-06-18
CN107339226B (zh) 2019-05-14
US20170321682A1 (en) 2017-11-09
CN107339226A (zh)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8367B2 (ja) リニア圧縮機
EP3242027B1 (en) Linear compressor
EP3244064B1 (en) Linear compressor
KR20170124893A (ko) 리니어 압축기
CN107339225B (zh) 线性压缩机
KR20170124889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83075A (ko) 리니어 압축기
US10900477B2 (en) Linear compressor
KR20180082248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70124900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70124916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70124910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70124907A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38350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93526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74092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70124899A (ko) 리니어 압축기
EP4027012B1 (en) Linear compressor
KR101948105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65529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65626A (ko) 압축기
KR20180088166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00042219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90520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91451A (ko) 리니어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