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311A -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311A
KR20170123311A KR1020177021482A KR20177021482A KR20170123311A KR 20170123311 A KR20170123311 A KR 20170123311A KR 1020177021482 A KR1020177021482 A KR 1020177021482A KR 20177021482 A KR20177021482 A KR 20177021482A KR 20170123311 A KR20170123311 A KR 2017012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hydrogen atom
intege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유키 아오시마
다이수케 이이츠카
타쿠미 와타나베
카주유키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7012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31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3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VC, PT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식(I):(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수소원자 또는 불소원자, m은 0 또는 1∼4의 정수, n은 1∼12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원자함유 모노머, (B) 식(II):(식 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개의 알킬기, p는 1∼4의 정수, q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 및 (C) 식(III):(식 중, R6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7은 탄소수 8∼22개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켜서 이루어지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Description

화장료
본 발명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아울러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특히 메이크업 화장료로 있어서는 경시에서의 색 칙칙함 방지 및 화장 유지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선스크린 화장료로 있어서는 화장 유지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헤어 스타일링 화장료에 있어서는 셋트력의 지속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의 성질을 화장료에 부여하기 위해서 화장료에는 발수성, 발유성 및 2차 부착 방지 기능을 부여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 화장료에는 발수성, 발유성 및 2차 부착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화장료에 있어서의 유분의 함유율을 높게 함으로써 내수성을 향상시키거나, 화장료에 있어서의 유분의 함유율을 낮게 함으로써 내유성을 향상시키거나, 화장료에 사용되는 안료에 소수화 처리를 실시하거나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화장료는 모두 경시에서의 색 칙칙함 방지 효과 또는 화장 유지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및 내유성을 모두 갖는 것이 아니라는 점으로부터 최근, 발수성 및 발유성을 아울러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5-23227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아울러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1) (A) 식(I):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수소원자 또는 불소원자, m은 0 또는 1∼4의 정수, n은 1∼12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 (B) 식(II):
Figure pct00002
(식 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개의 알킬기, p는 1∼4의 정수, q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 및 (C) 식(III):
Figure pct00003
(식 중, R6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7은 탄소수 8∼22개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지어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켜서 이루어지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2) 모노머 성분이 술폰산기 또는 술폰산염기를 갖는 모노머를 더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장료, 및
(3) 모노머 성분이 식(IV):
Figure pct00004
(식 중,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10은 탄소수 2개 또는 3개의 알킬렌기, r은 1∼40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가교제를 더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수성 및 발유성을 아울러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화장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한 바와 같이, (A) 식(I):
Figure pct00005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수소원자 또는 불소원자, m은 0 또는 1∼4의 정수, n은 1∼12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 (B) 식(II):
Figure pct00006
(식 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개의 알킬기, p는 1∼4의 정수, q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 및 (C) 식(III):
Figure pct00007
(식 중, R6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7은 탄소수 8∼22개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켜서 이루어지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불소원자이고, m은 0 또는 1∼4의 정수이고, n은 1∼12의 정수이다.
m은 0 또는 1∼4의 정수이지만,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4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의 정수이다. n은 1∼12의 정수이지만,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1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의 정수이다.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2-퍼플루오로헥실-2-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는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것이고, 그 예로서는 식(I)에 있어서, R1이 수소원자, R2가 불소원자, m이 2, n이 6인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예를 들면,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제품, 상품명: 비스코트 13F 등], R1이 수소원자, R2가 수소원자, m이 1, n이 1인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예를 들면,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제품, 상품명: 비스 코트 4F 등], R1이 메틸기, R2가 수소원자, m이 1, n이 3인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예를 들면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제품, 상품명: 비스 코트 8FM 등]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의 함유율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질량%이다.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에 있어서,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개의 알킬기이고, p는 1∼4의 정수이고, q는 1∼4의 정수이다.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N-(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 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N,N-디에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N,N-디에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N,N-디에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베타인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9-9547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9-9558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11-222470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으로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는 예를 들면,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제품, 상품명:GLBT 등으로서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 중에서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의 함유율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3∼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7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70질량%이다.
식(I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 R6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7은 탄소수 8∼22개의 알킬기이다.
식(I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스테르를 구성하고 있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22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식(III)으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7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70질량%이다.
모노머 성분에는 발유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술폰산기 또는 술폰산염기를 갖는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술폰산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 메타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메타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에틸프로판술폰산, 2-메타크릴아미드-2-에틸프로판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프로필프로판술폰산, 2-메타크릴아미드-2-프로필프로판술폰산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술폰산염기를 갖는 모노머는 발유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술폰산염기를 갖는 모노머의 술폰산염기는 예를 들면,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가 갖는 술폰산기의 중화는 상기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의 단계에서 행해도 되고,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머에 대하여 행해도 된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술폰산기 또는 술폰산염기를 갖는 모노머의 함유율은 발유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이고, 발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다.
모노머 성분에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모노머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등의 지방족 모노 카르복실산;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시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 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카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프로필아크릴아미드, N-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tert-부틸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메타크릴아미드, N-옥틸아크릴아미드, N-옥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알콕시(메타)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메타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크릴아미드 등의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이타콘산 메틸, 이타콘산 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이외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4개의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지방산 비닐에스테르;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질소원자 함유 모노머 등의 단관능 모노머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다른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모노머 성분에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식(IV):
Figure pct00008
(식 중,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10은 탄소수 2개 또는 3개의 알킬렌기, r은 1∼40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IV)에 있어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10은 탄소수 2개 또는 3개의 알킬렌기이고, r은 1∼40의 정수이다. r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2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2∼18의 정수이다.
식(IV)으로 나타내어지는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상기 이외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상기 이외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상기 이외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상기 이외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가교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함유율은 발수성, 발유성 및 발유 지속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0.3∼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질량%이다.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킬 때에는 얻어지는 폴리머의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티오글리세롤 등의 메르캅탄기를 갖는 화합물, 차아인산 나트륨, 아황산수소 나트륨 등의 무기염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노머 성분 100질량부당의 연쇄이동제의 양은 0.01∼10질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성분의 중합은 예를 들면, 균일용액 중합법, 불균일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역상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침전 중합법 등의 중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모노머 성분을 용액 중합법에 의해 중합시킬 때에는 용매가 사용된다. 상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등의 알콜계 용매; 헥산, 헵탄, 옥탄, 이소옥탄, 데칸, 유동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염화물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옥산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용매의 양은 상기 용매의 종류 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한정할 수 없지만, 통상, 모노머 성분 100질량부당, 100∼1000질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킬 때에는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등이 열거된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이소부티르산 메틸,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중합개시제, 과산화 벤조일,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중합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옥소글루타르산,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벤조페논,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중합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개시제의 양은 상기 중합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모노머 성분 100질량부당, 통상 0.01∼10질량부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킬 때의 분위기는 특별하게 한정이 없고, 대기이어도 되고, 또는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이어도 된다.
모노머 성분의 중합 온도는 특별하게 한정이 없고, 통상 5∼80℃ 정도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성분의 중합에 요하는 시간은 중합 조건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임의이다. 중합 반응은 통상, 잔존하고 있는 모노머의 양이 10질량% 이하가 된 시점에서, 임의로 종료할 수 있다. 잔존하고 있는 모노머의 양은 예를 들면, 브롬을 모노머의 이중 결합에 부가하고, 이중 결합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킴으로써, 폴리머가 얻어진다. 상기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00∼10만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모노머 성분에 가교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폴리머는 가교 구조를 갖는다는 점으로부터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상기 폴리머는 필요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중화시켜도 된다.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디에틸에탄올아민, 모르폴린, 암모니아수, 수산화 나트륨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중화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머는 그 용도 등에 따라서는 그대로의 상태로 사용해도 되지만, 용매, 미반응 모노머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필요에 의해, 예를 들면 증류, 추출 등의 정제 방법에 의해 정제해도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폴리머를 화장료의 처방 중에 배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머의 함유율은 소망의 처방을 가짐과 아울러,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95질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폴리머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성분, 예를 들면 물, 유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생리 활성 성분, 염류, 산화 방지제, 킬레이트제, 중화제, pH 조정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지는 본 발명의 화장료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각종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파우더, 립스틱, 아이 셰도우, 치크,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선스크린제, 선스크린 크림, 베이스 크림, 헤어 크림, 유액, 젤, 마스카라, 헤어 스프레이, 헤어왁스, 오버코트제 등이 열거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교반 장치, 불활성 가스 도입구, 환류 냉각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500mL 용적의 5구 플라스크내에 2-퍼플루오로헥실-2-에틸아크릴레이트 10g,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N-α-메틸카르복시베타인 5g,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나트륨 1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g, 트리데실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5g 및 에틸알콜 2340g을 넣었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75℃로 승온한 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Wako Pure Chemicals Co., Ltd. 제품, 품번: V-601] 0.6g을 플라스크내에 넣고, 환류 조건 하에서 8시간 교반하면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폴리머를 합성했다.
합성예 2
교반 장치, 불활성 가스 도입구, 환류 냉각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500mL 용적의 5구 플라스크내에 2-퍼플루오로헥실-2-에틸아크릴레이트 10g,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N-α-메틸카르복시베타인 5g,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 1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g,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5g 및 에틸알콜 234.0g을 넣었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75℃로 승온한 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Wako Pure Chemicals Co., Ltd. 제품, 품번: V-601] 0.6g을 플라스크내에 넣고, 환류 조건 하에서 8시간 교반하면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폴리머를 합성했다.
합성예 3
교반 장치, 불활성 가스 도입구, 환류 냉각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500mL 용적의 5구 플라스크내에 2-퍼플루오로헥실-2-에틸아크릴레이트 10g,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N-α-메틸카르복시베타인 5g,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나트륨 1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5g,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에틸알콜 2340g을 넣었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75℃로 승온한 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Wako Pure Chemicals Co., Ltd. 제품, 품번: V-601] 0.6g을 플라스크내에 넣고, 환류 조건하에서 8시간 교반하면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폴리머를 합성했다.
비교 합성예 1
교반 장치, 불활성 가스 도입구, 환류 냉각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500mL 용적의 5구 플라스크내에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N-α-메틸카르복시베타인 2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0g 및 에틸알콜 234.0g을 넣었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75℃로 승온한 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Wako Pure Chemicals Co., Ltd. 제품, 품번:V-601] 0.6g을 플라스크내에 넣고, 환류 조건 하에서 8시간 교반하면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폴리머를 합성했다.
비교 합성예 2
교반 장치, 불활성 가스 도입구, 환류 냉각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500mL 용적의 5구 플라스크내에 2-퍼플루오로헥실-2-에틸아크릴레이트 1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0g 및 에틸알콜 2340g을 넣었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75℃로 승온한 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Wako Pure Chemicals Co., Ltd.제품, 품번:V-601] 0.6g을 플라스크내에 넣고, 환류 조건 하에서 8시간 교반하면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폴리머를 합성했다.
비교 합성예 3
교반 장치, 불활성 가스 도입구, 환류 냉각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500mL 용적의 5구 플라스크내에 2-퍼플루오로헥실-2-에틸아크릴레이트 20g,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N-α-메틸카르복시베타인 80g 및 에틸알콜 234.0g을 넣었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75℃로 승온한 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Wako Pure Chemicals Co., Ltd. 제품, 품번:V-601] 0.6g을 플라스크내에 넣고, 환류 조건 하에서 8시간 교반하면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폴리머를 합성했다.
비교 합성예 4
교반 장치, 불활성 가스 도입구, 환류 냉각관 및 온도계를 부착한 500mL 용적의 5구 플라스크내에 2-퍼플루오로헥실-2-에틸아크릴레이트 10g,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N-α-메틸카르복시베타인 20g, 부틸아크릴레이트 70g 및 에틸알콜 2340g을 넣었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75℃로 승온한 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Wako Pure Chemicals Co., Ltd. 제품, 품번:V-601] 0.6g을 플라스크내에 넣고, 환류 조건 하에서 8시간 교반하면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폴리머를 합성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6
표 1 또는 표 2에 나타내는 성분 1∼6을 혼합함으로써 수상을 조제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수상에 표 1 또는 표 2에 나타내는 성분 7∼15를 첨가함으로써 화장료를 얻었다. 또한, 성분 7은 성분 8∼15의 용매로서 사용했다.
실시예 6∼10 및 비교예 7∼12
표 3 또는 표 4에 나타내는 성분 1∼7을 혼합함으로써 수상을 조제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수상에 표 3 또는 표 4에 나타내는 성분 8∼16을 첨가하고, 이어서 성분 17∼22로 이루어지는 유상을 첨가하고, 유화시킴으로써 화장료를 얻었다. 또한, 성분 8은 성분 9∼16의 용매로서 사용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화장료의 물성으로서, 접촉각, 내수성 및 내피지성을 이하의 방법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각 표에 기재한다.
[접촉각]
유리 기판 상에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각 실시예 또는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장료의 에탄올 용액(폴리머의 함유율: 20질량%)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충분하게 건조시켰다.
다음에 접촉각 측정 장치[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제품, 품번: DM-501]을 사용하고, 상기 측정 시료 상에 물 또는 액상유(마카다미아너츠유)를 각각 2μL의 양으로 1방울씩 적하하고, 적하하고 나서 1초간 경과 시에 접촉각을 계측했다.
[내수성]
각 실시예 또는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장료 20μL를 각각 전완부의 3cm×3cm의 범위내에 도포하고, 균일하게 펴 바른 후, 실온에서 충분하게 건조시킨 후, 도포부를 유수로 세정했을 때의 각 화장료의 빠짐 상태를 전문 패널 20명이 목시로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내수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A: 화장료가 「빠지지 않는다」 또는 「빠지기 어렵다」라고 회답한 인원수가 16명 이상
B: 화장료가 「빠지지 않는다」 또는 「빠지기 어렵다」라고 회답한 인원수가 10∼15명
C: 화장료가 「빠지지 않는다」 또는 「빠지기 어렵다」라고 회답한 인원수가 9명 이하
[내피지성]
각 실시예 또는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장료 20μL를 각각 전완부의 3cm×3cm의 범위내에 도포하고, 균일하게 펴 바른 후, 실온에서 충분하게 건조시킨 후, 도포부에 액상유(마카다미아너츠유)를 적당량으로 도포하고, 충분하게 융화시켰다. 그 후, 페이퍼타올로 액상유를 닦아냈을 때의 각 화장료의 빠짐 상태를 전문 패널 20명이 목시로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내피지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A: 화장료가 「빠지지 않는다」 또는 「빠지기 어렵다」라고 회답한 인원수가 16명 이상
B: 화장료가 「빠지지 않는다」 또는 「빠지기 어렵다」라고 회답한 인원수가 10∼15명
C: 화장료가 「빠지지 않는다」 또는 「빠지기 어렵다」라고 회답한 인원수가 9명 이하
Figure pct00009
(주)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카르보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Figure pct00010
(주)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카르보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Figure pct00011
(주)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카르보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Figure pct00012
(주)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카르보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표 1∼4에 나타내어진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화장료는 물 및 액상유의 접촉각이 매우 높고, 게다가 내수성 및 내피지가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이에 대하여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장료는 물 및 액상유의 접촉각이 낮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열악한 것이 확인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장료의 처방예를 이하에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선스크린 크림]
이하의 각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선스크린 크림을 조제했다. 얻어진 선스크린 크림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에탄올 8질량부
(3) 디메틸폴리실록산 5질량부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질량부
(5) 트리메틸실록시규산 5질량부
(6)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2질량부
(7) 디프로필렌글리콜 5질량부
(7) 미립자 산화아연 15질량부
(8) 파라벤 적당량
(9) 페녹시에탄올 적당량
(10)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삼나트륨염 적당량
(11)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7.5질량부
(12)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0.5질량부
(13) 구상 폴리아크릴산 알킬 분말 5질량부
(14) 향료 적당량
(15) 정제수 잔부
처방예 2 [선스크린 유액]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선스크린 유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선스크린 유액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에탄올 8질량부
(3) 바셀린 1질량부
(4) 디메틸폴리실록산 3질량부
(5)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질량부
(6) 스테아릴알콜 0.5질량부
(7) 글리세린 7질량부
(8) 디프로필렌글리콜 3질량부
(9) 1,3-부틸렌글리콜 7질량부
(10) 크실리톨 3질량부
(11) 스쿠알란 1질량부
(12) 이소스테아르산 0.5질량부
(13) 스테아르산 0.5질량부
(14)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질량부
(15)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2질량부
(16) 수산화칼륨 0.05질량부
(17)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1질량부
(18) 아세트산 토코페롤 0.1질량부
(19) 아세틸화 히알루론산 나트륨 0.1질량부
(20)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삼나트륨염 0.05질량부
(21)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질량부
(22)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5질량부
(2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질량부
(24) 페녹시에탄올 적당량
(25) 향료 적당량
(26) 정제수 잔부
처방예 3 [선스크린 젤]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선스크린 젤을 조제했다. 얻어진 선스크린 젤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 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에탄올 15질량부
(3) 부탄디올 5질량부
(4) 트리에탄올아민 0.1질량부
(5) 페녹시에탄올 적당량
(6)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이나트륨염 적당량
(7) PEGPPG-19/19 디메치콘 4질량부
(8) 이소스테아르산 PEG-60 글리세릴 0.1질량부
(9)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5질량부
(10) 옥토크릴렌 2질량부
(11)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3질량부
(12) 크산탄검 0.1질량부
(13)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알킬기의 탄소수: 10-30개) 코폴리머 0.1질량부
(14) 카보머 0.1질량부
(15) 향료 적당량
(16) 트라넥삼산 2질량부
(17) 탤크 3질량부
(18) 옥시벤조 1질량부
(19) 정제수 잔부
처방예 4 [마스카라]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마스카라를 조제했다. 얻어진 마스카라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메틸폴리실록산 에멀젼 적당량
(3) 에탄올 8질량부
(4) 이소프로판올 3질량부
(5) 글리세린 3질량부
(6) 1,3-부틸렌글리콜 5질량부
(7) 무수 규산 1질량부
(8) 벵갈라 피복 운모 티탄(펄제) 9질량부
(9) 강암모니아수 0.1질량부
(10) 메타인산 나트륨 0.1질량부
(11) 가수분해 밀단백질 0.1질량부
(12)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적당량
(13) 데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적당량
(14) 흑산화철(안료) 1질량부
(15) 크산탄검 1질량부
(16)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2질량부
(17)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1질량부
(18) 아크릴산 알킬계 수지 에멀젼 10질량부
(19) 정제수 잔부
처방예 5 [파운데이션]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에탄올 8질량부
(3) 디메틸폴리실록산 8질량부
(4) 베헤닐알콜 0.5질량부
(5) 바틸알코올 0.5질량부
(6) 1,3-부틸렌글리콜 5질량부
(7) 마카다미아너츠유 0.1질량부
(8) 이소스테아르산 1.5질량부
(9) 스테아르산 1질량부
(10) 베헨산 0.5질량부
(11) 2-에틸헥산산 세틸 5질량부
(12)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질량부
(13)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1질량부
(14) 황산화철 피복 운모 티탄 2질량부
(15) 산화티탄 4질량부
(16) 탤크 0.5질량부
(17) 카올린 3질량부
(18) 합성 금운모 0.1질량부
(19) 가교형 실리콘 분말 0.1질량부
(20) 무수 규산 5질량부
(21) 수산화칼륨 0.2질량부
(22) 트리에탄올아민 0.8질량부
(23)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질량부
(24) 히알루론산 나트륨 0.1질량부
(25)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적당량
(26) 파라메톡시 신남산 2-에틸헥실 1질량부
(27) 벵갈라 적당량
(28) 황산화철 적당량
(29) 흑산화철 적당량
(30) 크산탄검 0.1질량부
(31) 벤토나이트 1질량부
(3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1질량부
(33) 향료 적당량
(34) 정제수 잔부
처방예 6 [수중유형 유액 파운데이션]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수중유형 유액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얻어진 수중유형 유액 파운데이션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산화티탄 9질량부
(3)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초미립자 산화티탄 5질량부
(4)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산화철(적) 0.5질량부
(5)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산화철(황) 1.5질량부
(6)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산화철(흑) 0.2질량부
(7)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가노 폴리실록산 0.5질량부
(8) 데카메틸펜타시클로실록산 5질량부
(9) 파라메톡시신남산 옥틸 5질량부
(10) 아크릴 실리콘 4질량부
(11) PEG-100 수첨 피마자유 2질량부
(12) 다이너마이트글리세린 6질량부
(13) 크산탄검 적당량
(1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적당량
(15)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공중합체 0.5질량부
(16) 에탄올 8질량부
(17) 이온 교환수 잔부
처방예 7 [메이크업베이스]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메이크업베이스를 조제했다. 얻어진 메이크업베이스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에탄올 8질량부
(3) α-올레핀올리고머 10질량부
(4) 디메틸폴리실록산 5질량부
(5) 베헤닐알콜 0.5질량부
(6) 바틸알코올 0.5질량부
(7) 1,3-부틸렌글리콜 5질량부
(8) 이소스테아르산 1질량부
(9) 스테아르산 1질량부
(10) 베헨산 1질량부
(11) 2-에틸헥산산 세틸 2질량부
(12) N-라우로일-L-글루탐산 디(피토스테아릴·2-옥틸도데실) 0.1질량부
(13)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2질량부
(14)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0.5질량부
(15) 탤크 0.5질량부
(16) 운모 티탄 0.5질량부
(17) 흑산화철 피복 운모 티탄 0.1질량부
(18) 수산화칼륨 0.2질량부
(19) 메타인산 나트륨 0.5질량부
(20) 아세트산 토코페롤 0.1질량부
(21)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적당량
(22)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3질량부
(23) 유색 안료 적당량
(24) 크산탄검 0.1질량부
(25) 벤토나이트 1질량부
(26)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1질량부
(27) 구상 폴리아크릴산 알킬 분말 0.1질량부
(28) 구상 무수규산 5질량부
(29) 산화티탄 5질량부
(30) 향료 적당량
(31) 정제수 잔부
처방예 8 [헤어 스프레이]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헤어 스프레이의 원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헤어 스프레이의 원액 92질량부 및 분사제(액화 석유 가스) 8질량부를 충전압이 0.43MPa가 되도록 에어로졸 용기내에 충전함으로써, 에어로졸 제품을 제작했다. 얻어진 에어로졸 제품으로부터 헤어 스프레이를 분사시킨 바, 상기 헤어 스프레이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에탄올 8질량부
(3) 양이온성 폴리머[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제품, 상품명: 유카포머 SM] 12질량부
(4) 비닐피롤리돈-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체 5질량부
(5)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조늄베타인 1질량부
(6)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에틸렌옥시드기의 부가 몰수: 60mol) 0.5질량부
(7) 염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0.2질량부
(8) 파라메톡시벤조산 에스테르 적당량
(9) 향료 적당량
(10) 정제수 잔부
처방예 9 [헤어 왁스]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헤어 왁스를 조제했다. 얻어진 헤어 왁스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2) 에탄올 8질량부
(3)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 분자량: 400) 3질량부
(4) 2-에틸헥산산 세틸 0.5질량부
(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15질량부
(6) 수산화나트륨 0.1질량부
(7)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적당량
(8)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삼나트륨염 적당량
(9) 커들란 0.6질량부
(10) 크산탄검 0.1질량부
(11) 베타인 폴리머[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제품, 상품명: 유카포머 301] 10질량부
(1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5질량부
(13) 향료 적당량
(14) 정제수 잔부
처방예 10 [오버코트제]
이하의 각 성분을 총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오버코트제를 조제했다. 얻어진 오버코트제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고, 내수성 및 내피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삼나트륨염 0.1질량부
(2) 글리세린 5질량부
(3) 디프로필렌글리콜 5질량부
(4) 페녹시에탄올 0.5질량부
(5) (디메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크로스폴리머 0.4질량부
(6) 에탄올 8질량부
(7)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 2질량부
(8) 향료 적당량
(9) 정제수 잔부

Claims (3)

  1. (A)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불소원자 함유 모노머,
    Figure pct00013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수소원자 또는 불소원자, m은 0 또는 1∼4의 정수, n은 1∼12의 정수를 나타낸다]
    (B)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 모노머, 및
    Figure pct00014

    [식 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개의 알킬기, p는 1∼4의 정수, q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C) 식(III)으로 나타내지어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켜서 이루어지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Figure pct00015

    [식 중, R6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7은 탄소수 8∼22개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은 술폰산기 또는 술폰산염기를 갖는 모노머를 더 함유하는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은 식(IV)으로 나타내어지는 가교제를 더 함유하는 화장료.
    Figure pct00016

    [식 중,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10은 탄소수 2개 또는 3개의 알킬렌기, r은 1∼40의 정수를 나타낸다]
KR1020177021482A 2015-02-28 2016-02-02 화장료 KR20170123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9685 2015-02-28
JP2015039685A JP6580842B2 (ja) 2015-02-28 2015-02-28 化粧料
PCT/JP2016/052978 WO2016136398A1 (ja) 2015-02-28 2016-02-02 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311A true KR20170123311A (ko) 2017-11-07

Family

ID=5678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482A KR20170123311A (ko) 2015-02-28 2016-02-02 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24831B2 (ko)
EP (1) EP3263094B1 (ko)
JP (1) JP6580842B2 (ko)
KR (1) KR20170123311A (ko)
CN (1) CN107405289B (ko)
TW (1) TWI683672B (ko)
WO (1) WO2016136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6399A1 (ja) * 2015-02-28 2016-09-01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撥水撥油剤
JP7288754B2 (ja) * 2018-12-07 2023-06-08 花王株式会社 塗膜の形成方法
JP7288755B2 (ja) 2018-12-07 2023-06-08 花王株式会社 皮膚用化粧組成物
JP6953604B1 (ja) * 2020-12-04 2021-10-27 株式会社コスモビューティー アスコルビン酸化合物含有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1772B2 (ja) * 1998-03-06 2005-11-30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撥水撥油剤
JP2001288233A (ja) * 2000-04-06 2001-10-16 Shiseido Co Ltd 新規高分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
DE10059818A1 (de) * 2000-12-01 2002-06-13 Clariant Gmbh Dekorativ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Mittel
CA2468946A1 (en) * 2001-12-05 2003-06-12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External preparation for the skin and copolymer to be used therein
JP2003231609A (ja) * 2001-12-05 2003-08-19 Pola Chem Ind Inc 皮膚外用剤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ポリマー
US7772284B2 (en) * 2003-08-27 2010-08-10 Labib Mohamed E Metho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irus infection using polybiguanide-based compounds
DE202004002471U1 (de) * 2004-02-18 2004-04-22 Wella Ag Haarbehandlungsmittel mit Terpolymer aus Vinylpyrrolidon, Methacrylamid und Vinylimidazol und Wirk- und Zusatzstoffen
JP2005232279A (ja) 2004-02-19 2005-09-02 Shiseido Co Ltd 疎水化処理酸化亜鉛粉末の製造方法
JP4719146B2 (ja) * 2004-05-20 2011-07-06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生体適合性材料
BRPI0909174B1 (pt) * 2008-03-04 2018-02-27 Avon Products, Inc. Composições cosméticas para proporcionar peliculas super hidrofórbicas
CN102822218A (zh) * 2010-03-30 2012-12-12 大金工业株式会社 接枝共聚物和防护组合物
EP2703465A4 (en) * 2011-04-27 2014-11-19 Asahi Glass Co Ltd WATER-REPELLENT AND OIL-REPELLENT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ITEM THEREOF
JP5583710B2 (ja) * 2012-03-22 2014-09-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これを含む化粧料及び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
CN105088787A (zh) * 2014-04-21 2015-11-25 中国科学院成都有机化学有限公司 一种拒水拒油含氟丙烯酸酯织物整理剂及制备方法
CN104358125B (zh) * 2014-10-30 2016-06-15 常州市灵达化学品有限公司 一种环保型自交联拒水拒油织物整理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6398A1 (ja) 2016-09-01
EP3263094A1 (en) 2018-01-03
CN107405289B (zh) 2020-07-24
EP3263094A4 (en) 2018-11-07
CN107405289A (zh) 2017-11-28
TWI683672B (zh) 2020-02-01
US20180028430A1 (en) 2018-02-01
EP3263094B1 (en) 2020-04-01
JP6580842B2 (ja) 2019-09-25
TW201632170A (zh) 2016-09-16
JP2016160205A (ja) 2016-09-05
US10624831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6435B2 (ja) 化粧料、化粧料用ナノ粒子及び化粧料用粉体
US7186405B2 (en) Deodorants and anti-perspirants
US7186774B2 (en) Silicone-modified comb polymers based on acryloyldimethyltaurine acid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ic acid)
KR20170123311A (ko) 화장료
CN111356710B (zh) 官能化的聚合物
US20170224604A1 (en) Cationic/cationogenic comb copolymer compositions and personal care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KR20050086852A (ko) 음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EP3411418A1 (en) Aqueous emulsion polymers as rheology modifier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 of use
CA2161576A1 (en) Soluble copolymers for hair cosmetics
US20110218295A1 (en) Anionic associative rheology modifiers
JP2019502777A (ja) アクリロイル部およびラクタム部を有するモノマー由来のポリマー含有非水系組成物およびその応用
CN101474138B (zh) 一种头发定型组合物
JP2009046662A (ja) シクロアルキル基含有アクリル系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2970549A1 (en) Polymers prepared from alkoxylated polyamines
JP6467127B2 (ja) 樹脂及び化粧料用基材
JP2009046663A (ja) t−ブチル基含有アクリル系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WO2013082359A1 (en) Soluble branched polymers
JP2011079871A (ja) 油性潤滑剤
CN114641273B (zh) 包含多级聚合物的个人护理组合物
JP2023133017A (ja) 皮膜形成性組成物
CN112708068A (zh) 一种水溶性梳状聚合物超分子体系及其应用
US20210308035A1 (en) Color cosmetic formulation
JP2001031529A5 (ko)
JP2004211010A (ja) ゲル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