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531A - 드립 커피 조성물 - Google Patents

드립 커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531A
KR20170122531A KR1020160051630A KR20160051630A KR20170122531A KR 20170122531 A KR20170122531 A KR 20170122531A KR 1020160051630 A KR1020160051630 A KR 1020160051630A KR 20160051630 A KR20160051630 A KR 20160051630A KR 20170122531 A KR20170122531 A KR 20170122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arts
weight
pow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
Original Assignee
황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 filed Critical 황영
Priority to KR102016005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531A/ko
Publication of KR2017012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 A23C13/125Cream preparations in powdered, granulated or solid for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4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using additives, e.g. milk, sugar; Coating, e.g. for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 커피 조성물(drip coffee compositio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피 원두 분말에 식물성 크림 분말, 코코넛 슈거 및 오렌지 추출물 분말을 더 포함하는 드립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조성물은 기존 원두만으로 제조되는 커피에 식물성 크림, 코코넛 슈거, 오렌지 추출물 분말 등이 추가로 배합되어 커피의 맛과 향을 더욱 증가시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 식품 산업에 적용할 가치가 높다.

Description

드립 커피 조성물{DRIP COFFEE COMPOSITION}
본 발명은 드립 커피 조성물(drip coffee compositio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피 원두 분말에 식물성 크림 분말, 코코넛 슈거 및 오렌지 추출물 분말을 더 포함하는 드립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독특한 풍미를 가진 갈색에 가까운 기호 음료이다. 커피나무 열매(cherry) 속의 씨앗(생두, Green Bean)을 볶아 원두를 제조하고, 물을 이용하여 그 성분을 추출하여 만든다. 어원은 아랍어인 카파(Caffa)로서 힘을 뜻하며, 에티오피아의 산악지대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896년 아관파천으로 고종 황제가 러시아 공관에 머물 당시에 초대 러시아 공사였던 웨베르의 처형인 손탁으로부터 커피를 접한 이후 커피 애호가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1902년에 손탁 호텔(Sontag Hotel)안에 정동구락부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다방이 생겼으며, 한국전쟁을 계기로 미군을 통해 인스턴트 커피가 일반인들에게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인공첨가물이 들어 있지 않은 원두커피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국내 커피원두의 수입량은 2008년 기준, 약 3,081톤, 금액으로는 33,370만 834달러에 이른다.
커피는 원두를 분말화하고, 이를 물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에스프레소, 드립 커피 등이 있고, 간편하게 분말화한 인스턴트 커피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인스턴트 커피가 있다.
이중에서, 드립 커피는 볶아서 곱게 간 커피 원두를 거름 장치에 담고, 그 위에 물을 부어 제조하는 커피이다. 드립 브류(drip brew)라 함은 이와 같이 커피를 만드는 방법을 일컫는다. 거름 장치를 필터라고도 일컬으므로, 드립 커피를 다른 말로 필터 커피(filter coffee)라고도 한다.
드립 커피는 주로 원두를 곱게 갈아 여기에 끓는 물을 내려 제조하며, 일반적으로 다른 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아 인스턴트 커피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커피 제조는 불가능하였다.
KR 10-2015-0053739 A KR 10-2015-0062159 A KR 10-2015-0053741 A KR 10-2014-0063183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두만으로 제조되는 드립 커피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맛과 향을 나타낼 수 있는 부재료들이 혼합된 드립 커피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크림 분말 40~80중량부, 코코넛 슈거 40~70중량부 및 오렌지 추출물 분말 40~70중량부를 포함하는 드립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드립 커피 조성물에는 바닐라향 분말 20~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립 커피 조성물에는 코코아 분말 20~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립 커피 조성물에는 아보카도 건조 분말 10~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조성물은 기존 원두만으로 제조되는 커피에 식물성 크림, 코코넛 슈거, 오렌지 추출물 분말 등이 추가로 배합되어 커피의 맛과 향을 더욱 증가시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 식품 산업에 적용할 가치가 높다.
도 1은 커피 열매의 내부 층상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조성물을 종이 필터에 포장한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 원두 분말만을 이용하여 왔던 드립 커피의 천편일률적인 제조 방법을 개선하고자 원두 분말에 커피의 맛과 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는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일정 함량의 식물성 크림, 코코넛 슈거, 오렌지 추출물 분말을 포함시키는 경우 커피의 향과 맛이 개선되면서도 추출 효율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크림 분말 40~80중량부, 코코넛 슈거 40~70중량부 및 오렌지 추출물 분말 40~70중량부를 포함하는 드립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커피나무는 심어지고 나서 약 2년이 지나면 개화(흰색)하고, 약 3년 후에는 빨간색 또는 노란색의 열매(Cherry, 체리)를 맺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피열매에서 외피, 과육, 내과피, 은피를 벗겨 낸 씨앗을 생두(Green Bean)라고 한다. 이 작업은 생두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가공공정으로 건식법(Dry Method; 수확한 체리를 그대로 건조한 후 과육 제거)과 습식법(Wet Method; 물을 이용해 과육을 제거한 후 발효 및 건조)이 있다. 생두는 여러 종이 있지만, 현재 상업적으로 재배하는 주요 품종은 아라비카(Arabica)와 로부스타(Robusta)로, 전체 품종의 95%를 차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커피 원두는 아라비카 또는 로부스타일 수 있으며, 상기 커피 원두를 곱게 간 분말상을 사용한다. 상기 분말상의 커피 원두는 원두를 입수한 후 직접 갈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시판되는 분말화 제품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크림 분말은 식물성유지를 주원료로 하여 이에 당류 등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케이크나 빵의 충전, 장식 또는 커피나 식품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식물성 크림 분말은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입수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크림 분말의 사용량은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40~8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이 경우 원두 자체만으로 제조되는 커피와 비교하여 부드러움의 차이가 크기 않으며, 8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드립 커피 제조시 필터에 분말이 축적되어 필터로의 물의 이동이 원활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코넛 슈거는 코코넛 수액에서 채취한 당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상의 제품으로서, 당분 이외에도 마그네슘, 포타슘, 철분 등 각종 미네랄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정제당 대신에 코코넛 슈거를 사용하며, 최근 문제되고 있는 대사성 질환 환자의 증가로 인한 설탕 등의 정제당의 섭취를 꺼리는 현대인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코넛 슈거의 사용량은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40~7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두 자체만으로 제조되는 커피와 비교하여 단맛이 거의 차이가 나지 않으며, 7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두의 향이 감소하고 지나치게 단맛이 강하여 문제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렌지 추출물 분말은 오렌지를 껍질과 함께 또는 껍질을 제거한 상태의 과육을 일정량의 열수를 가하여 가열 추출한 추출물을 분말상으로 제조한 것이다. 또한, 오렌지 과육을 믹서기로 액상으로 제조한 후 이를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렌지 추출물 분말의 사용량은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40~7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두 자체만으로 제조되는 커피와 비교하여 원두의 강한 맛에 차이가 없으며, 7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렌지 향이 원두 향에 비하여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립 커피 조성물의 각 성분에 추가하여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닐라향 분말 20~5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닐라향 분말을 추가함으로써 원두의 강한 향과 맛을 중화시킴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맛과 향을 원하는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닐라향 분말의 사용량은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20~5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두 자체만으로 제조되는 커피와 비교하여 원두의 강한 맛에 차이가 없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커피 향이 지나치게 중화되어 커피의 고유의 맛과 향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립 커피 조성물의 각 성분에 추가하여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코코아 분말 20~5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코아 분말은 강한 커피향을 싫어하는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기 위한 재료로서 커피에 단맛과 코코아의 향을 부여하여 관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코코아 분말의 사용량은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20~5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두 자체만으로 제조되는 커피와 비교하여 원두의 강한 맛에 차이가 없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드립 커피 제조시 필터에 물의 투과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립 커피 조성물의 각 성분에 추가하여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보카도 건조 분말 10~3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보카도는 악어의 등처럼 울퉁불퉁한 껍질 때문에 악어배라고도 하며, 멕시코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식물이다. 열매를 식용하기 위하여 재배하며, 열매는 녹갈색, 자줏빛을 띤 검은색 등이고, 둥글거나 타원 모양 또는 서양배같이 생기며 길이는 10~15cm이고, 종자는 1개씩 들어 있으며 매우 크다. 과육은 버터같이 부드럽고 노란색을 띠며 독특한 향기가 난다. 가장 영양가 높은 과일로 알려져 있는데, 30% 정도의 지방, 많은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들어 있고 비타민의 함량도 높다. 소스를 만들거나 샐러드 등의 요리재료로 쓰며, 빵에 발라먹거나 아보카도기름을 채취하기도 한다. 500종류 이상의 품종을 개발하였으나 과테말라, 서인도, 멕시코의 3가지 계통으로 크게 나눈다. 중앙아메리카와 서인도에서 많이 심으며, 미국의 캘리포니아주와 플로리다주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보카도 건조 분말은 아보카도 열매를 그대로 또는 껍질을 제거한 과육을 세절하여 건조시킨 후 이를 분말상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보카도 건조 분말을 드립 커피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커피 향을 보다 풍부하게 하고 부드럽게 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보카도 건조 분말의 사용량은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두 자체만으로 제조되는 커피와 비교하여 원두의 강한 맛에 차이가 없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보카도 특유의 향이 증가하여 전체적인 커피 향과 맛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된 드립 커피 조성물은 상기 설명된 각 성분을 그 함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조성물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 필터(100) 포장지에 포장되어 유통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 필터(100)의 상단부는 간단하게 절취할 수 있는 절취선(2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절취선(200)을 간단히 제거하여 종이 필터(100) 포장지 내부에 충전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조성물(300)에 바로 물을 가하여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
1. 드립 커피의 제조
다음 표 1의 나타낸 각 성분의 함량(단위, g)으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라비카 원두 식물성
크림분말
코코넛
슈거
오렌지
추출물
분말
바닐라향
분말
코코아
분말
아보카도
건조분말
실시예 1 6 4 2 2 - - -
실시예 2 7 3 2 2 - - -
실시예 3 8 2 2 2 - - -
실시예 4 7 3 2 2 - - -
실시예 5 6 4 2 2 1 - -
실시예 6 6 4 2 2 1 1 -
실시예 7 6 4 2 2 1 1 0.5
2. 관능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과 일반 원두 커피 분말(비교예)을 이용한 드립 커피를 각각 제조한 후 30인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색,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은 1점(나쁨), 2점(조금 나쁨), 3점(보통), 4점(조금 좋음), 5점(아주 좋음)으로 하였다.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4.5 4.3 4.6 4.5
실시예 2 4.6 4.4 4.2 4.6
실시예 3 4.3 4.5 4.4 4.4
실시예 4 4.5 4.5 4.3 4.5
실시예 5 4.6 4.5 4.6 4.6
실시예 6 4.5 4.6 4.6 4.6
실시예 7 4.6 4.7 4.6 4.7
비교예 3.6 3.5 3.0 3.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드립 커피는 일반 원두만으로 제조된 드립 커피에 비하여 색,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 우수하였고, 특히, 부드러움 및 은은한 향이 강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 --- 종이 필터
200 --- 절취선
300 --- 드립 커피 조성물

Claims (4)

  1. 커피 원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크림 분말 40~80중량부, 코코넛 슈거 40~70중량부 및 오렌지 추출물 분말 40~70중량부를 포함하는 드립 커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바닐라향 분말 20~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코코아 분말 20~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아보카도 건조 분말 10~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조성물.
KR1020160051630A 2016-04-27 2016-04-27 드립 커피 조성물 KR20170122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30A KR20170122531A (ko) 2016-04-27 2016-04-27 드립 커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30A KR20170122531A (ko) 2016-04-27 2016-04-27 드립 커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31A true KR20170122531A (ko) 2017-11-06

Family

ID=6038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30A KR20170122531A (ko) 2016-04-27 2016-04-27 드립 커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5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84161B2 (en) Food products and chocolate compositions containing coffee cherry byproduct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03891896B (zh) 一种贡菊枸杞茶
CN103404573B (zh) 一种葡萄籽保健蛋糕的制备方法
CN103931716A (zh) 一种提神醒脑雪米饼及其制备方法
CN110226657B (zh) 咖啡豆的制造方法
KR20100027256A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간장게장
CN103494154A (zh) 一种牛肉味烧烤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101377162B1 (ko) 커피를 함유한 민들레 뿌리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5920B1 (ko) 갈대 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2380679B1 (ko) 누룽지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WO2022117833A1 (en) Ground dried coffee flowers as food ingredient
KR102326532B1 (ko) 올리브 고구마 양갱의 제조방법
CN104187943A (zh) 一种当归鸡肉汤
KR20110080332A (ko) 쌀빵의 제조방법
KR20150053739A (ko) 코코넛 과액(Coconut water)으로 발효한 고품질 커피의 제조방법
KR20170122531A (ko) 드립 커피 조성물
KR20170114078A (ko) 그라비올라를 함유하는 커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3740A (ko) 베타글루칸이 함유된 기능성커피의 제조방법
KR101388744B1 (ko) 감귤과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100929A (zh) 一种芬芳调饮茶及制备方法
CN103932245A (zh) 一种健胃消食酒醉大闸蟹及其制备方法
McGee et al. Cooking
KR20180126751A (ko) 유기농 오렌지 티 제조방법
CN107373572A (zh) 多味花生的加工方法及多味花生
TR201605612A2 (tr) Jel espres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5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29

Effective date: 201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