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431A -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431A
KR20170120431A KR1020160048919A KR20160048919A KR20170120431A KR 20170120431 A KR20170120431 A KR 20170120431A KR 1020160048919 A KR1020160048919 A KR 1020160048919A KR 20160048919 A KR20160048919 A KR 20160048919A KR 20170120431 A KR20170120431 A KR 20170120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insert member
mold
injec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0125B1 (ko
Inventor
허태윤
Original Assignee
허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윤 filed Critical 허태윤
Priority to KR102016004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12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45/14262Clamping or tensioning means for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82Mounting or clamping means for heating elements or thermocou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8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means for heating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294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25Electric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02Closure or clamping device
    • B29C2945/76709Closure or clamping device clamping or closing dr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인서트 사출금형(100)과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로 이루어지며; 인서트 부재 가열장치가 금속으로 된 인서트 부재를 순간 급속으로 가열시켜 유체로 형성된 성형재료의 유동이 용이하게 되어 복잡한 형상으로 된 인서트 부재에 사출성형이 가능하게 되고, 인서트 부재의 움직임과 이탈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이 높아지고,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Insert injection molding with Insert memger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서트 부재를 순간 급속으로 가열시켜, 복잡한 형상의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서트 사출장치는 인서트 사출금형 내에서 금속, 회로기판 등의 부품이나 이질, 이색의 수지 같은 각종 인서트 부재에 수지를 사출하여 일체화 성형하는 것으로서 평탄도 확보, 방수, 강도, 재질 등 단독으로 얻기 어려운 성질을 서로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인서트 사출장치는 금형 형합의 기구적 분류에 따라 수직 사출과 수평 사출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사출장치의 기본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인서트부재가 놓이는 고정금형이 테이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금형과 합체 및 분리되는 이동금형이 이송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이동으로 금형이 합체되고 프레임에 지지된 이송실린더의 가압력으로 금형의 체결력이 유지되었을 때 주입 건(Gun)에 의해 수지용액을 인서트 부재가 내재된 금형 내부의 성형공간부로 공급함으로써 완제품의 인서트 사출 성형품을 얻는 구조이다.
이러한 인서트 사출장치는 먼저 금형의 성형부 내에 인서트 부재를 끼워 넣은 다음 용융수지를 성형부 내에 주입하여 사출성형하게 되는데, 종래의 인서트 사출금형은 단순히 금형의 성형부 내에 인서트 부재를 장입시켜 놓은 다음 이에 용융수지로 사출성형시켰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인서트 부재를 단순히 사출금형의 성형부에 끼워 넣은 상태로 성형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융수지 주입 시 금형의 요동에 의해 인서트부재가 흔들러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금형의 동작을 천천히 하여야 하므로 작업 사이클의 지연에 따라 작업능률과 생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정확한 제품의 성형이 어려워 불량발생률이 놓고 또한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선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2995의 록킹불럭이 구비된 인서트 사출금형이 게시된 바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록킹불럭이 구비된 인서트 사출금형의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록킹블럭이 구비된 인서트 사출금형은 내측에 성형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11)의 내측에 인서트 부재(12)가 장입되는 고정금형(13)과, 상기 고정금형(13)측으로 이동되어 고정금형(13)과 합체되거나 분리되는 가동금형(14)과, 상기 고정금형(13)의 내부에 내삽되어 인서트부재(12)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15)와, 상기 성형부(11)의 내부측에 장입되는 인서트부재(12)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15)를 지지하도록 금형의 하측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13)에 내삽된 상기 안착부(15)의 내측에는 인입록킹홈(15a)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금형(13)과 가동금형(14)의 밀착시에 상기 안착부(15)의 내측에 형성된 인입록킹홈(15a)에 끼워져 고정금형(13)과 가동금형(14)을 록킹지지하도록 상기 가동금형(14)의 내측에 록킹블럭(2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록킹블럭이 구비된 인서트 사출금형의 작동과정을 간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가동금형(14)을 유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금형(13)측으로부터 후퇴시켜 고정금형(13)의 내부를 개방한 후, 상기 고정금형(13)의 내부에 형성된 성형부(11)의 내측에 인서트부재(12)를 장입한 다음, 상기 고정금형(13)측으로부터 후퇴된 상기 가동금형(14)을 다시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금형(13)측으로 전진시켜 고정금형(13)과 가동금형(14)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금형(13)과 가동금형(14)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금형(13)과 가동금형(14)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부(11)에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사출성형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서트 사출금형은 인서트 부재가 커넥터 같은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출성형이 이루어질 때에는 용융수지가 사출금형 내부를 다 못 채우고 응고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이 미성형되어 생산성은 물론 작업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20-0452995 (2011.03.2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금속으로 된 인서트 부재를 가열시켜 사출성형함으로써, 주입된 유체가 복잡한 형상의 공간에서도 잘 유동하여, 복잡한 형상으로 된 인서트 부재에 사출성형이 가능하고, 제품의 정밀도와 생산성을 높이고, 인서트 부재가 유동됨을 방지하여 작업이 용이한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는 인서트 사출금형에 있어서, 금속으로 된 인서트 부재를 파지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는 인서트 부재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와, 가열 시간과 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와, 클램프와 컨트롤 박스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는 인서트 사출금형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케이블을 통해서 클램프로 전기가 공급되어 인서트 부재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에 온도 센서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 사이에서 인서트 부재의 온도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에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와 온도 센서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 부재가 설정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글램프에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 인서트 부재가 이동금형과 고정금형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송되는 이송단계와; 클램프가 이송된 인서트 부재를 파지하는 파지단계와; 클램프로 전류가 공급되어 인서트 부재가 가열되는 가열단계와; 이동금형과 고정금형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이동밀착단계와; 인서트 부재가 내재된 인서트 사출금형에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주입단계와; 클램프의 파지가 해체되는 파지해체단계와; 이동금형과 고정금형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이동분리단계를 포함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성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가열단계가 상기 이동밀착단계 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열단계에서 온도 센서부가 인서트 부재의 온도를 인식하여, 인서트 부재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도록 클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은 사출성형시 주입되는 유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복잡한 형상으로 된 인서트 부재도 사출성형이 가능하게 되고, 제품의 품질이 높아지며,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또한, 인서트 부재가 흔들리거나 유동됨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성형시 금형의 요동에 의하여 인서트 부재가 움직이거나 이탈되어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록킹불럭이 구비된 인서트 사출금형의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인서트 사출장치에 구비된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인서트 사출장치에 구비된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의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인서트 사출장치에 구비된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인서트 사출장치에 구비된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의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는 인서트 사출금형(100)이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와,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금형(100)은 이동금형(120)과, 고정금형(140)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인서트 사출장치는 금형 형합의 기구적 분류에 따라 수직 사출과 수평 사출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출금형(100)의 사출 방법이 수직 사출이 될 수 있고, 수평 사출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인서트 사출장치는 공지된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바, 중복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서트 부재(1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서트 부재(10)는 상기 이동금형(120)과 고정금형(140)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인서트 부재(10)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를 통해 사출성형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는 인서트 사출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부재(10)를 순간 급속으로 가열시킨다.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는 복수의 클램프(210)과, 컨트롤 박스(230)와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210)는 인서트 사출금형(1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글램프(210)는 인서트 사출장치의 프레임(본체)에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210)는 상기 인서트 부재(10)를 파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210)는 높은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글램프(210)를 통하여 상기 인서트 부재(10)로 전류가 공급되어 인서트 부재(10)가 가열된다. 상기 글램프(210)는 이동본체(212)와 고정본체(2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본체(212)는 상기 고정본체(214)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동본체(212)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본체(212)는 상기 이동본체(212)와 상기 고정본체(214) 사이의 거리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인서트 부재(10)는 이동본체(212)와 고정본체(214) 사이를 지나도록 이송되며, 이동본체(212)와 고정본체(214)에 의하여 파지된다. 상기 클램프(210)는 전도체와 비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램프(210)가 비전도체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전극(2121)은 이동본체(212)와 고정본체(214)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2121)은 상기 인서트 부재(10)와 접촉되는 상기 이동본체(212)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2121)을 통하여 인서트 부재로 전기가 공급된다.
상기 고정본체(214)에 상기 이동본체(212)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고정본체(214)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본체(214)에 실린더(2143)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본체(214)에는 나사채결홈(2145)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채결홈(2145)에 나사가 채결되어 고정본체(214)가 인서트 사출장치의 프레임(본체)나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43)는 상기 고정본체(214)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본체(212)는 상기 실린더(2143)의 로드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2143)에 의하여 상기 이동본체(212)는 상기 이동본체(212)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상기 인서트 부재(210)로 인서트 사출성형할 때, 상기 클램프(210)는 인서트 부재(10)를 파지하며, 파지된 상태에서 전기가 공급되어 인서트 부재(10)가 가열된다. 인서트 부재(10)가 가열됨으로써, 사출성형시 주입된 용융수지가 잘 유동하여 복잡합 형상의 인서트 부재(210)에서도 인서트 사출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부재(210)에 대하여 인서트 사출성형할 때, 상기 클램프(210)는 인서트 부재(210)를 파지함으로써, 인서트 부재(210)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제품 성형시 금형의 요동에 의하여 인서트 부재(210)가 움직이거나 이탈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금형의 동작을 빨리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사이클을 단축시켜 생산성이 높아지고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클램프(210)와 컨스롤 박스(230)을 연결한다. 상기 케이블은 전류가 공급되는 케이블(240)과, 유압 또는 공압 작동라인(2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블은 여러 겹이 겹쳐진 동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여러 겹의 동판으로 이루어져 순간적으로 고전력을 보내는데 용이하다.
상기 온도 센서부(280)는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에 더 구비된다. 상기 온도 센서부(280)는 상기 고정본체(214)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210) 사이에서 인서트 부재의 온도가 측정된다. 상기 온도 센서부(280)의 온도 측정 방식은 열전대가 이용된 접촉식과, 레이저 등이 이용된 비접촉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도 센서부(280)는 상기 인서트 부재(10)와 접촉하는 상기 이동본체(212)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부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온도 센서부(280)는 서로 이격된 클램프(210) 사이에서 인서트 부재(10)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인서트 사출장치의 프레임(본체)이나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센서부(280)는 케이블를 통해 컨트롤박스의 제어부와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230)은 상기 인서트 사출장치의 프레임(본체)이나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230)는 제어부와, 전류 표시부(232)와, 온도 표시부(234)와, 전원 표시부(236)와, 전원부(23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212)를 통하여 인서트 부재(10)로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212)가 인서트 부재(10)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되도록 상기 실린더(2143)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 유체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온도 센서부(28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온도 센서부(280)에서 센싱된 인서트 부재(10)의 온도를 통하여 일정 온도로 인서트 부재(10)가 가열되도록 인서트 부재(10)로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00℃~150℃로 가열되도록 온도를 설정하고 전류는 200A로 공급되도록 설정했다. 상기 제어부(C)는 인서트 부재(10)을 가열시켜 인서트 사출되는 용융수지가 잘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C)는 전류 표시부(232)와, 온도 표시부(234)와, 전원 표시부(236)와, 전원부(23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류 표시부(232)는 상기 클램프(210)에 공급되는 전류 세기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온도 표시부(234)는 상기 온도 센서부(280)에서 측정된 상기 인서트 부재(10)의 온도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전원 표시부(236)는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의 on/off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원 표시부(236)는 LED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전원부(238)는 일반적으로는 제어부(C)가 자동으로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의 on/off를 제어된다. 상기 전원부(238)는 버튼이 구비되어 수동으로도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성형방법은 이송단계(ST-110)와, 파지단계(ST-120)와, 가열단계(ST-130)와, 이동밀착단계(ST-140)와, 주입단계(ST-150)와, 파지해체단계(ST-160)와, 이동분리단계(ST-170)로 이루어져 있다.
인서트 사출장치의 일측으로는 인서트 부재(10)가 롤 형태로 감긴 공급부가 구비되며, 사출금형(100)을 사이에 두고 공급부의 반대쪽에는 롤 형태로 감긴 인서트 부재(10)를 당겨 일정 거리 만큼씩 이송하는 인서트 부재 이송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수단의 예로, 이동수단은 인서트 부재를 파지 및 파지해제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파지부를 왕복운동 시키는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먼저 인서트 부재(10)는 공급부로부터 공급되어 이동금형(120)과 고정금형(140) 사이에 지나도록 이송된다(이송단계 ST-110).
상기 클램프(210)는 사출금형(100)의 양측에서 이동본체가(212)가 이동하여 인서트 부재(10)를 파지한다(파지단계 ST-120).
클램프(210)로 전류가 공급되어 인서트 부재(10)가 순간 급속 가열된다(가열단계 ST-130). 상기 가열단계(ST-130)에서 온도 센서부(280)가 상기 인서트 부재(10)의 온도를 센싱하여, 인서트 부재(10)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도록 클램프(210)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00℃~150℃로 가열되도록 온도를 설정하고 전류는 200A로 공급되도록 설정했다.
이어서, 이동금형(120)이 고정금형(140) 쪽으로 이동하여 서로 밀착된다(이동밀착단계 ST-140). 또한, 상기 가열단계(ST-130)가 상기 이동밀착단계(ST-140) 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밀착단계(ST-140)는 상기 파지단계(ST-120) 후에 진행됨으로써, 상기 인서트 부재(210)가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출성형시 금형의 요동에 의하여 인서트 부재(210)가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어서, 사출금형(100)으로 용융된 수지가 주입된다(주입단계 ST-150). 상기 주입단계(ST-150)에서는 인서트 사출금형(100)에 내의 인서트 부재(10)는 고온으로 가영되어 있으므로 용융수지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잡한 형상으로 된 인서트 부재(10)에 대해서도 인서트 사출성형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어서, 클램프(210)의 파지가 해제되고(파지해제단계 ST-160), 이동금형(120)은 고정금형(1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이동분리단계 ST-170). 상기 이동 분리단계(ST-170) 후에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일정 길이 만큼 인서트 부재(10)가 이송되고, 이송된 인서트 부재(10)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한 과정이 진행되면서 반복되어 인서트 사출이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인서트 사출금형 10 : 인서트 부재
120 : 이동금형 140 : 고정금형
200 :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 210 : 클램프
230 : 컨트롤 박스 2121 : 온도 센서부

Claims (7)

  1. 인서트 사출금형(100)에 있어서, 금속으로 된 인서트 부재(10)를 파지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는 인서트 부재(10)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210)와, 컨트롤 박스(230)와, 클램프(210)와 컨트롤 박스(230)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210)는 인서트 사출금형(1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케이블을 통해서 클램프(210)로 전기가 공급되어 인서트 부재(10)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에 온도 센서부(280)가 더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210) 사이에서 인서트 부재의 온도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200)에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210)와 온도 센서부(280)에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 부재(10)가 설정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글램프(210)에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성형 방법에 있어서,
    인서트 부재(10)가 이동금형(120)과 고정금형(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송되는 이송단계(ST-110)와;
    클램프(210)가 이송된 인서트 부재(10)를 파지하는 파지단계(ST-120)와;
    클램프(210)로 전류가 공급되어 인서트 부재(10)가 가열되는 가열단계(ST-130)와;
    이동금형(120)과 고정금형(140)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이동밀착단계(ST-140)와;
    인서트 부재(1)가 내재된 인서트 사출금형(100)에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주입단계(ST-150)와;
    클램프(210)의 파지가 해체되는 파지해체단계(ST-160)와;
    이동금형(120)과 고정금형(140)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이동분리단계(ST-170)를 포함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성형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ST-130)가 상기 이동밀착단계(ST-140) 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성형방법.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ST-130)에서 온도 센서부(280)가 상기 인서트 부재(10)의 온도를 인식하여, 인서트 부재(10)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도록 클램프(210)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성형방법.
KR1020160048919A 2016-04-21 2016-04-21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91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19A KR101910125B1 (ko) 2016-04-21 2016-04-21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19A KR101910125B1 (ko) 2016-04-21 2016-04-21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31A true KR20170120431A (ko) 2017-10-31
KR101910125B1 KR101910125B1 (ko) 2018-10-23

Family

ID=6030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919A KR101910125B1 (ko) 2016-04-21 2016-04-21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1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577B1 (ko) * 2018-04-03 2018-08-23 디엘피주식회사 온도유지장치
KR102341185B1 (ko) * 2021-07-14 2021-12-20 주식회사 진양코퍼레이션 모터 코어용 절연지 부착형 금형장치
KR20220135627A (ko) 2021-03-31 2022-10-07 한국식품연구원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양육 제조방법
KR20220135628A (ko) 2021-03-31 2022-10-07 한국식품연구원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양육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018U (ko) * 1990-06-29 1992-03-09
JP2004249681A (ja) * 2003-02-21 2004-09-09 Polyplastics Co 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金型
KR101594110B1 (ko) * 2014-11-11 2016-02-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인서트 금형 제어장치 및 이의 사출방법
JP5866398B2 (ja) * 2013-05-15 2016-02-17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システム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018U (ko) * 1990-06-29 1992-03-09
JP2004249681A (ja) * 2003-02-21 2004-09-09 Polyplastics Co 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金型
JP5866398B2 (ja) * 2013-05-15 2016-02-17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システム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594110B1 (ko) * 2014-11-11 2016-02-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인서트 금형 제어장치 및 이의 사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577B1 (ko) * 2018-04-03 2018-08-23 디엘피주식회사 온도유지장치
KR20220135627A (ko) 2021-03-31 2022-10-07 한국식품연구원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양육 제조방법
KR20220135628A (ko) 2021-03-31 2022-10-07 한국식품연구원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양육 제조방법
KR102341185B1 (ko) * 2021-07-14 2021-12-20 주식회사 진양코퍼레이션 모터 코어용 절연지 부착형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125B1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125B1 (ko) 인서트 부재 가열기구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장치 및 그 방법
US9738022B2 (en) Molding devic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molding device
TWI629153B (zh) Sole mould
JP2013220550A (ja) 繊維を含む樹脂成形品の圧縮成形方法
JP2015226014A5 (ko)
CN104884223B (zh) 搬运装置、成形品制造装置及成形品的制造方法
EP2431151A3 (e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JP6211503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製造装置
WO2017010266A1 (ja) 成型装置
CN106042265A (zh) 一种将嵌件安装到注塑模具中的方法
CN104859102A (zh) 一种压缩模
CN106976222B (zh) 吹塑模油箱加油口镶嵌自动一体化装置
JPS61220815A (ja) 合成樹脂射出成形機の型締めユニット
CN106626220A (zh) 一种注塑装置
CN204844832U (zh) 一种压缩模
JP5703486B2 (ja) 成型装置および同成型装置による成型方法
GB2498235A (en) Injection moulding using rapid hot cold vacuum
CN105235209A (zh) 一种3d打印机料丝对接方法及对接装置
JP2007320202A (ja)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及びインモールド成形用金型及びインモールド成形装置
JP6341955B2 (ja) 接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接合成形品の製造装置
CN207359573U (zh) 一种可实时检测模具型腔温度的注塑模具
CN205735776U (zh) 一种塑料插头成型用的嵌件注塑装置
JPS6031930A (ja) 熱可塑性樹脂のプレス成形方法
CN216860447U (zh) 可快速脱模的食品塑料盒模具
JP6634232B2 (ja) 成形品製造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