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083A -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083A
KR20170119083A KR1020160046784A KR20160046784A KR20170119083A KR 20170119083 A KR20170119083 A KR 20170119083A KR 1020160046784 A KR1020160046784 A KR 1020160046784A KR 20160046784 A KR20160046784 A KR 20160046784A KR 20170119083 A KR20170119083 A KR 20170119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mperature
control unit
cooling water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951B1 (ko
Inventor
김대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951B1/ko
Priority to US15/254,639 priority patent/US10272798B2/en
Priority to JP2016172757A priority patent/JP6845640B2/ja
Priority to CN201610853286.7A priority patent/CN107303823B/zh
Priority to EP16191641.6A priority patent/EP3236526B1/en
Publication of KR2017011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11/1883
    • B60L11/18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starting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5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tart-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01M8/0430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applied during start-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58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23Temperature of the coolant
    • B60L223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4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20Energy converters
    • B60Y2400/202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시동 오프 시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냉각수 온도를 포함하는 냉간 주행 모드 조건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1설정값비교단계; 및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차량 시동 오프 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STARTING CONTROL METHOD AT FUL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이 저온상태에서 시동 오프 시 차량 상태 정보를 기억하고 이를 재시동시 재시동단계에 적용함으로써 차기 시동에서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연료인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반응부산물로 열과 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연료전지를 탑재한 연료전지 차량에서 연료전지 스택 내에 잔류하는 물은 겨울철 차량을 장시간 주차할 경우 영하의 외기 조건에서 빙결될 수 있고, 이는 냉시동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외기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키 오프시에 스택 내에 잔류하는 물을 제거해 주지 않으면 이 물의 빙결로 인해 이후 다음번의 냉시동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즉, 스택 내에 생성된 얼음이 녹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할 경우 수소 및 공기의 공급경로를 방해하여 시동 불량 현상이 발생하고, 연료전지의 정상 운전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료전지의 운전 정지시에 일정시간 무부하 상태에서 다량의 공기를 스택에 공급하여 스택 내부에 잔존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 및 제거하는 CSD(Cold Shutdown)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며 종래의 KR 10-0074556 A "연료전지 차량의 저온 시동 정지 방법"에서도 저온상태에서 스택 내부의 얼음을 제거할 수 있는 연료전지 차량의 저온 시동 정지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따르더라도 스택 내부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결국 스택의 온도를 상승시켜야 하므로 순간의 스택 온도 상승에 따른 잠열에 의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시동 오프 후 얼음 제거를 위한 단계 수행 중에 시동을 다시 온하는 경우에는,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실제로는 냉간 주행 모드로 주행하여야 하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정상 주행 모드로 주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074556 A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이 저온에서 시동 오프 되더라도 재시동단계에서 차량의 시동 오프 시의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차량이 재시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은 차량 시동 오프 시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냉각수 온도를 포함하는 냉간 주행 모드 조건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1설정값비교단계; 및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차량 시동 오프 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설정값비교단계 이후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삭제하는 삭제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단계 이후에는 제어부에서 차량의 재시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도출하는 경과시간도출단계; 제어부에서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시간 미만인지 비교하는 시간비교단계; 및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단계 이후에는 제어부에서 재시동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을 재시동하는 재시동단계; 및 제어부에서 냉간 주행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냉간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의 재시동단계는, 제어부에서 차량 시동 오프 시 감지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2설정값비교단계; 및 냉각수 온도가 제2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스택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상승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비교단계 이후에는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삭제하는 삭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삭제단계 이후에는 차량 재시동시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감지단계;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보다 작은 제 2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2온도비교단계;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2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스택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상승단계; 및 제어부에서 냉간 주행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냉간모드 설정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반면에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2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1온도비교단계; 및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냉간 주행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냉간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정상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정상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시스템은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도출하는 도출부;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 및 제1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냉각수의 온도와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을 비교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차량 시동 오프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시동 오프 시의 차량 상태를 재시동시 시동 단계에 적용함으로써, 이전 시동 단계에서 냉간 모드와 같은 정상 상태가 아니었다고 하더라도, 차기 시동에서 이를 반영하여 차기 시동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저온모드와 극저온모드를 구분하여 재시동단계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시스템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차량 시동 오프 시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냉각수 온도를 포함하는 냉간 주행 모드 조건을 감지하는 감지단계(S100);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1설정값비교단계(S200); 및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차량 시동 오프 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설정단계(S220);로 이루어져 있다.
감지단계(S100)에 있어서 냉간 주행 모드 조건은 스택 발열량, 연료전지 스택 추정 온도 등 다양한 요소를 이용할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조건은 냉각수의 온도가 될 것이다. 냉각수의 온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연료전지 냉각수에 직접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여 제어부로 온도 정보를 직접 전달할 수 있고, 냉각수의 온도 값을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값, 예를 들자면 연료전지 스택의 전류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를 도출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이용하여 재시동 프로세서를 설정하고 있으므로 정확하게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바, 직접적으로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위의 방식들을 통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였다면 감지한 냉각수 온도의 값이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1설정값비교단계가 필요한데, 여기서 제1설정값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1설정값은 연료전지차량이 정상모드로 주행할 수 없는 상태일 때의 냉각수 온도 값을 의미한다.
연료전지 차량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연료전지 차량은 수소와 산소의 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이 기본 원리이므로 연료전지 내부에는 수소와 산소의 반응의 부산물인 물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료전지 온도가 낮아져 물의 어는점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연료전지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얼어서 연료전지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연료전지 차량의 온도가 낮은 경우, 연료전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량 시동 시 바로 정상적인 주행 모드로 들어가지 않고, 냉간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1설정값은 연료전지 내부의 물이 얼어 연료전지 차량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냉각수의 온도값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어는점은 0℃이므로 제1설정값을 0℃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어부에서 감지하는 온도는 연료전지 스택 내부의 직접적인 온도가 아닌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이다. 그러므로 제1설정값은 정확히 0℃가 아닌 다양한 값으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설명에 따를 경우 제어부에서 감지한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이라면 차량의 시동 오프시에 차량의 운행상태가 정상모드가 아니었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차량 재시동시 제어부에 시동 오프시의 정보를 입력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시동 오프 후에 이루어지는 일정단계들에 의해 재시동시 제어부에서 차량 상태 정보를 실제 차량의 상태와 다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연료전지 차량이 저온상태 즉 냉간 주행 모드를 거쳐야 하는 상태에서 시동이 온 된 후 차량이 정상주행 모드에 돌입하지 못한 상태에서 시동이 오프 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차량은 정상모드에 돌입하지 못하였으므로 재시동시에도 일정 기간 동안 냉간 주행 모드를 거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시동 오프 후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차량은 스택 전압을 떨어뜨리기 위해 연료전지 차량에 마련된 저항을 동작시킨다. 이 때, 이 저항의 과열을 막기 위해서는 냉각수 펌프의 구동이 필수적이고 이에 따라 냉각수가 순환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결국 상승된 냉각수의 온도에 의하여 재시동시 제어부에서 차량의 상태를 정상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고 냉간 주행 모드를 거치지 않고 정상주행 모드에 돌입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고자 차량 시동 오프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두고 있는 것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설정값비교단계 이후에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삭제하는 삭제단계(S260)를 두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시동 오프 시 차량이 정상모드로 주행 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시동 오프 후 일련의 단계들에 의하여 재시동시 예기치 못한 오류나 에러가 발생할 일이 없다. 따라서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시동 온 상태에서의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시동단계를 거치면 되므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재시동 프로세스를 삭제하는 것이다.
반면에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로 판단되어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설정단계(S220)를 수행하였다면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서 차량의 재시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도출하는 경과시간도출단계; 제어부에서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시간 미만인지 비교하는 시간비교단계(S300); 및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유지단계(S32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경과시간도출단계에서 어떤 경우를 재시동 신호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운전자가 차량에 이그니션 온(Ignition on)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를 재시동 신호로 볼 수도 있고, 차량의 구동부측 메인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를 재시동 신호로 볼 수도 있으며, 연료전지가 기동되는 경우를 재시동 신호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는 차량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제어부에서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느 시점을 차량 시동이 오프된 때로 볼 것인지도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 신호를 받는 때, 구동부측 메인 릴레이가 오프 되는 때 또는 연료전지의 기동이 오프 되는 때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어느 시점으로 정하든지 양 시점을 정하였다면 제어부에서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를 수신한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도출하게 되고 이를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시간 미만인지 비교하는 시간비교단계(S300)를 거치게 된다.
본 단계의 존재 이유는 시동오프로부터 재시동까지의 경과시간이 길다면 시동 오프 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한 재시동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본 발명에서 시동 오프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한 재시동 단계를 두는 것은 재시동시 제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특히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와 관련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시동 오프 후 재시동까지의 경과시간이 길어진다면 이러한 오류가 발생할 일이 없어지게 된다. 저항의 작동으로 인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시동 오프 후의 일시적인 상황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동 오프 후 시간이 충분히 지났다면 냉각수의 온도는 다시 본래의 온도로 돌아갈 것이므로 앞선 단계에서 설정한 재시동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재시동을 하여야 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삭제하는 삭제단계(S260);를 두고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다양한 값으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연료전지 냉각수의 유량,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등 다양한 인자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앞서 말한 경우와 반대로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황이 다르다. 시동 오프 후 충분한 시간이 흐르지 않았기 때문에 저항의 작동 등으로 인하여 변한 냉각수의 온도 값이 본래의 값으로 돌아오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설정단계(S220)에 의하여 메모리에 설정된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차량을 재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유지단계(S320);를 거치게 된다.
유지단계(S320) 이후에는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서 재시동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을 재시동하는 재시동단계(S340);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재시동 단계라 함은 정상주행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시동 온을 하기 위한 단계들을 의미한다. 연료전지의 종류 및 차량 종류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연료전지 스택에 일정 부하를 걸어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을 확인하는 단계가 있을 것이다. 정상주행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저온과 같은 상태에서는 스택의 성능이 저하되었을 우려가 있는바 일반적으로 스택 성능 정상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일정 부하를 걸어 확인 수 시동을 완료하는 단계를 거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안정적인 재시동을 위하여 추가단계를 구성하고 있는데 제어부에서 차량 시동 오프 시 감지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2설정값비교단계; 및 냉각수 온도가 제2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스택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상승단계(S420);가 바로 그 구성이다.
본 제2설정값 비교단계(S400)에서 제2설정값이라는 새로운 값이 등장한다. 제2설정값은 제1설정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이 되는데, 앞서 설명했듯이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은 시동 오프 시 차량이 정상 주행 모드 중이었는지 냉간 주행 모드 중이었는지 구별해주는 냉각수 온도의 기준값이었다. 따라서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도 당연히 차량이 냉간 주행 모드 중의 냉각수 온도값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준 이유는 냉각수의 온도가 저온인 상태와 극저온인 상태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연료전지 차량이 상온상태에 있다면 냉각수 온도가 극저온인 상태는 존재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겨울이 오거나 주변환경 온도가 현저히 낮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냉각수의 온도도 이에 따라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연료전지 차량의 재시동 절차와 구별을 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제2설정값을 두고 있으며, 바로 이 값이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현저히 낮은지를 판별할 수 있게 하는 기준값이 된다.
제2설정값은 극저온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연료전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므로, 그 값은 제1설정값보다 작다는 조건하에서 고정될 필요 없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가 어느 정도의 저온상태까지 효율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지가 제2설정값을 설정함에 있어서 가장 큰 척도가 될 것이다.
제2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통하여 시동 오프 시 차량의 상태가 극저온에 있었다는 것이 감지되었다면 앞서 설명한 재시동단계(S340)에 연료전지 보호를 위한 단계가 추가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스택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상승단계(S420)를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스택의 온도가 제2설정값보다 낮은 값이라 하더라도 자체적으로 스택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의 내구성 및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제어부에서 감지한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이든, 제2설정값 미만이든 결국에 제어부는 차량의 운전모드를 냉간 주행 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냉간 주행 모드로 일정기간 차량을 주행한 후 제어부에서 스택의 발열량 및 성능이 정상단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이 되면 정상 주행 모드로 전환할 것이다.
앞서 살펴본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은 메모리에 설정된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재시동 프로세스가 삭제된 경우, 즉 1설정값 비교단계(S200)에서 감지한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와 시간비교단계(S300)에서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초과하는 경우의 시동 제어 방법이 문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삭제단계(S260) 이후에 차량 재시동시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감지단계(S100); 및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보다 작은 제 2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2온도비교단계(S500);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제어부는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앞서 설명한 방식들로 감지하고 감지한 냉각수의 온도값을 제2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 이유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온도가 제2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연료전지가 극저온 상태에 있는 것이므로 안정적인 차량 시동을 위하여 별도의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2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스택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상승단계(S420); 및 제어부에서 냉간 주행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냉간모드 설정단계(S700);를 수행하게 된다.
반면,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2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1온도비교단계(S600);를 거치게 된다. 본 단계에서 제1설정값을 냉각수 온도의 상한선으로 제2설정값을 하한선으로 정한 이유는 제1설정값은 연료전지 차량의 정상주행 모드와 냉간주행 모드를 판별해주는 기준값에 해당하고, 제2설정값은 연료전지가 극저온상태에 있는것인지 판별해주는 기준값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제1온도비교단계(S600)에 따라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이고 제2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된다면 제어부에서 냉간 주행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주행 시 차량의 주행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1온도비교단계(S600)에서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정상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정상모드 설정단계(S800);를 수행하게 된다.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이라는 것은 냉간 운전 모드 없이 운전 모드 상태를 바로 정상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연료전지 출력에 부담이 가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별도의 시동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시동과 함께 바로 차량의 주행 모드를 정상 주행 모드로 설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시스템은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도출하는 도출부(100);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 및 제1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00); 및 냉각수의 온도와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을 비교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차량 시동 오프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00)에는 제1설정값 뿐만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제2설정값, 기준시간,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에서는 냉각수의 온도를 제1설정값과 비교하는 것 외에도, 냉각수의 온도와 제2설정값과의 비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 삭제, 경과시간과 기준시간의 비교 등 다양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도출부 200: 제어부
300: 메모리부 S100: 감지단계
S200: 제1설정값 비교단계 S300: 시간비교단계
S400: 2설정값 비교단계 S500: 제2온도 비교단계
S600: 제1온도 비교단계 S700: 냉간모드 설정단계
S800: 정상모드 설정단계

Claims (10)

  1. 차량 시동 오프 시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냉각수 온도를 포함하는 냉간 주행 모드 조건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1설정값비교단계; 및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차량 시동 오프 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설정값비교단계 이후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삭제하는 삭제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단계 이후에는,
    제어부에서 차량의 재시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도출하는 경과시간도출단계;
    제어부에서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시간 미만인지 비교하는 시간비교단계; 및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유지단계 이후에는,
    제어부에서 재시동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에 따라 차량을 재시동하는 재시동단계; 및
    제어부에서 냉간 주행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냉간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재시동단계는,
    제어부에서 차량 시동 오프 시 감지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2설정값비교단계; 및
    냉각수 온도가 제2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스택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상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시간 비교단계 이후에는,
    시동이 오프된 때로부터 재시동 신호가 수신된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에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삭제하는 삭제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7. 청구항 2 또는 6에 있어서,
    삭제단계 이후에는,
    차량 재시동시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감지단계;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보다 작은 제 2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2온도비교단계;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2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연료전지 스택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상승단계; 및
    제어부에서 냉간 주행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냉간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온도비교단계 이후에는,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2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제1온도비교단계; 및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에서 냉간 주행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냉간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온도비교단계 이후에는
    차량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에서 정상 모드로 차량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정상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10. 연료전지 냉각수의 온도를 포함하는 냉간 주행 모드 조건을 도출하는 도출부;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 및 제1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냉각수의 온도와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제1설정값을 비교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차량 시동 오프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차량 재시동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시스템.
KR1020160046784A 2016-04-18 2016-04-18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KR10190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784A KR101905951B1 (ko) 2016-04-18 2016-04-18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US15/254,639 US10272798B2 (en) 2016-04-18 2016-09-01 Starting control method of fuel cell vehicle
JP2016172757A JP6845640B2 (ja) 2016-04-18 2016-09-05 燃料電池車両の始動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CN201610853286.7A CN107303823B (zh) 2016-04-18 2016-09-26 燃料电池车辆的起动控制方法
EP16191641.6A EP3236526B1 (en) 2016-04-18 2016-09-30 Starting control method of fuel cel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784A KR101905951B1 (ko) 2016-04-18 2016-04-18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83A true KR20170119083A (ko) 2017-10-26
KR101905951B1 KR101905951B1 (ko) 2018-10-08

Family

ID=5732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784A KR101905951B1 (ko) 2016-04-18 2016-04-18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2798B2 (ko)
EP (1) EP3236526B1 (ko)
JP (1) JP6845640B2 (ko)
KR (1) KR101905951B1 (ko)
CN (1) CN1073038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0685B (zh) * 2019-03-25 2021-09-1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冷启动方法、装置及设备
CN114914486A (zh) * 2022-06-01 2022-08-16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的关机吹扫的控制方法以及其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4399B2 (ja) * 1998-05-14 2009-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並びに燃料電池システムの起動制御方法
JP4660927B2 (ja) * 2001-01-09 2011-03-30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電池システム
JP4140294B2 (ja) * 2002-07-05 2008-08-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002955B2 (ja) 2005-12-13 2012-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とその運転停止方法
JP2007250280A (ja) * 2006-03-14 2007-09-27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の制御方法
KR20090039253A (ko) 2007-10-17 2009-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온 시동성 향상을 위한 연료전지의 운전정지 방법
JP5312907B2 (ja) * 2008-10-31 2013-10-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033898B1 (ko) * 2009-07-14 2011-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냉시동 및 기동 방법
KR101558343B1 (ko) 2009-08-31 2015-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 관리방법
SA04250400B1 (ar) * 2009-09-10 2008-03-29 سولفاي فارماسويتكالز جي ام بي اتش مشتقات الهيدرونوبول hydronopol كمؤازرات agonists في مستقبلات orl1 البشرية
US20110087389A1 (en) * 2009-10-09 2011-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andby mode for optimization of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a fuel cell vehicle application
KR101282622B1 (ko) * 2010-11-17 2013-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온도제어방법
JP5811932B2 (ja) * 2012-04-05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熱源冷却装置
KR101405774B1 (ko) 2012-08-30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승온 및 냉시동 방법
KR20140078948A (ko) 2012-12-18 201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승온 방법
CN103231662B (zh) * 2013-04-18 2015-10-21 同济大学 一种燃料电池轿车动力系统控制方法
JP5790705B2 (ja) * 2013-05-17 2015-10-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DE102013017543A1 (de) * 2013-10-22 2015-04-23 Daimler Ag Verfahren zur Startvorbereitung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KR101439058B1 (ko) * 2013-10-29 2014-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의 냉시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51024B1 (ko) 2013-12-23 2015-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의 시동 제어 방법
CN103682403B (zh) * 2013-12-24 2016-07-06 武汉理工大学 具有分级式温度控制的燃料电池低温快速启动系统及方法
KR101558361B1 (ko) 2013-12-30 2015-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냉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558750B1 (ko) * 2014-03-24 2015-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출력 회복 시스템 및 방법
CN105406095B (zh) * 2015-12-24 2017-09-01 新源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系统的低温启动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5640B2 (ja) 2021-03-24
US20170297449A1 (en) 2017-10-19
EP3236526A1 (en) 2017-10-25
KR101905951B1 (ko) 2018-10-08
JP2017195756A (ja) 2017-10-26
EP3236526B1 (en) 2022-03-02
CN107303823A (zh) 2017-10-31
US10272798B2 (en) 2019-04-30
CN107303823B (zh)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2005B1 (en) Control device of vehicular fuel cell system and related method
EP1872984B1 (en) Load drive controller and control system
KR101724883B1 (ko) 연료전지 시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10008B1 (ko) 연료필터의 히팅 제어방법 및 장치
JP4873378B2 (ja) 吸入空気量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JP2005299633A (ja) 車両のサーモスタット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KR101846687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재시동 시스템과 제어기 및 재시동 방법
CN103726967B (zh) 发动机反复启停时的起动机控制方法
CN108365299B (zh) 电动车热管理使能控制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905951B1 (ko) 연료전지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US20110218729A1 (en) Engine start control system
CN109863284B (zh) 尿素水供给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0101250A (ja) エンジン自動始動停止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40175404A1 (en) Pump unit
JP7056360B2 (ja) 車両の制御装置
CN108953029B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温度管理方法
JP2010084630A (ja) エンジン自動始動停止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制御方法
KR101637295B1 (ko) 디젤 연료 필터용 히터 제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9802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135082A (zh) 一种车辆供暖系统的除气方法、装置、车辆和可读存储介质
JP4843385B2 (ja) 自動給水装置のポンプ渇水保護装置
JP5276402B2 (ja) エンジン自動始動制御装置、エンジン自動始動停止制御装置、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エンジン再始動方法
KR20140045208A (ko) Isg차량의 배터리센서 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20090061827A (ko) 엘피아이 차량에서의 엔진 시동 방법 및 시스템
JP2003120408A (ja) 内燃機関の触媒早期暖機制御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