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425A - 안전한 작업 받침 자 - Google Patents

안전한 작업 받침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425A
KR20170118425A KR1020160046193A KR20160046193A KR20170118425A KR 20170118425 A KR20170118425 A KR 20170118425A KR 1020160046193 A KR1020160046193 A KR 1020160046193A KR 20160046193 A KR20160046193 A KR 20160046193A KR 20170118425 A KR20170118425 A KR 20170118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length
knife
protrus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노
권혜경
Original Assignee
권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혜경 filed Critical 권혜경
Priority to KR102016004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8425A/ko
Publication of KR2017011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07Straightedges with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2/00Means to prevent slippage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에 눈금을 형성하고 있는 자(1)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으로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눈금(12)을 형성하고, 수직부(20)와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평면부(10);와, 하부가 상기 평면부(10)의 길이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부가 돌출부(30)와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수직부(20);와, 상기 수직부(2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0)와 경사부(40)과 연결 형성되는 돌출부(30);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눈금(42)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0)와 지지부(50)에 경사를 가지며 연결 형성되는 경사부(40);와, 상기 경사부(40)의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 형성되는 지지부(50);를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10)와 수직부(20), 돌출부(30), 경사부(40), 지지부(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50)가 상기 수직부(20), 돌출부(30), 경사부(40)로부터의 힘을 지지하여, 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되어 손을 다치게 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 작업 받침 자이다

Description

안전한 작업 받침 자{Safe ruler for cutting}
본 발명은 물건의 치수를 재거나 선을 긋거나 칼을 이용하여 물체를 절단하는데 이용되는 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의 치수를 재거나 선을 긋거나 칼을 이용하여 물체를 커팅시 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하여 손을 베이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안전 작업 받침 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를 재거나 종이 등에 일정한 선을 긋고, 또는 칼로 종이 등을 일직선으로 자르려고 할 때 사용되는 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를 대고 칼로 종이를 자르려고 할 때 칼이 자의 측면을 파고 들어와 손을 다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부(20)와 돌출부(30), 경사부(40), 지지부(50)가 구비된 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를 재거나, 노트나 종이 등에 소정의 길이로 일직선을 긋거나 또는 칼을 이용하여 종이 등을 일직선으로 커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자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자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폭이 좁고, 가늘고 긴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즉, 이러한 자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폭이 좁고, 가늘고 긴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재기 위한 눈금이 형성된 눈금부(111)가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칼 또는 볼펜을 대고 그을 수 있는 경사면(112)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는 눈금부(111)를 이용하여 길이를 재기도하며, 특히 종이나 노트 등에 자의 경사면(112)을 대고 볼펜이나 칼로 자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그으면서 선을 긋거나 커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자를 사용하여 칼을 대고 종이 등을 자르려 할 때 자의 경사면(112)을 이용함에 따라 칼이 측면으로 쉽게 파고 들어와 손이 베이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를 대고 칼로 종이를 자르려고 할 때 칼이 자의 측면을 파고 들어와 손을 다치게 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판이 구비된 자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는 몸체(10)의 일측 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재기 위한 눈금이 형성된 눈금부(11)가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칼 또는 볼펜을 대고 그을 수 있는 경사면(1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부 길이방향으로 수납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13)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경사면(12)에 근접된 부분에서 힌지(15)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힌지(15)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되게 형성된 안전판(14)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는 경사면(12)의 길이방향으로 칼을 대고 종이 등을 자르고자 하는 경우 안전판(14)을 세워놓은 상태에서 칼을 대고 그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칼이 경사면(12)을 파고 들어와도 상기 안전판(14)에 의해 칼이 더 이상 넘어들어오지 못함으로서 줌으로서 칼에 의해 손이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자의 몸체(10) 일측 또는 양측 길이방향에는 통상의 자와 마찬가지로 눈금이 형성된 눈금부(11)가 구비되는데, 이 눈금부(11)는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의 길이를 잴 때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통상의 자와 마찬가지로 칼 또는 볼펜을 대고 그을 수 있는 경사면(12)이 구비되는데, 이 경사면(12)의 끝단에 칼이나 볼펜을 대고 노트나 종이 등에 선을 긋거나 종이 등을 커팅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칼을 대고 노트나 종이 등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칼이 상기 경사면(12)을 타고 파고 들어와 손이 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상단부 길이방향으로 수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3)에는 일측이 경사면(12)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안전판(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수납홈(13)은 안전판(14)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안전판(14)을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때 안전판(14)은 경사면(12)에 근접된 일단부가 힌지(15)에 의해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힌지(15)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되게 형성된다. 따라 경사면(12)에 칼을 대고 종이 등을 자를 때에는 안전판(14)을 올려 사용하게 되면 칼이 경사면(12)을 파고들어 와도 상기 안전판(14)이 더 이상 칼이 파고 들어오는 것을 막아줌으로서 칼에 의해 손이 베이는 것을 막아 주게 된다. 안전판(14)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홈(13)에 안전판(14)을 넣은 상태로 보관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자를 사용하여 칼을 대고 종이 등을 자르려 할 때, 손을 다칠우려가 있는 즉, 칼이 측면으로 쉽게 파고 들어와 손이 베이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088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자를 대고 칼로 종이를 자르려고 할 때 칼이 자의 측면을 파고 들어와 손을 다치게 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직부(20)와 돌출부(30), 경사부(40), 지지부(50)를 구비된 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측에 눈금을 형성하고 있는 자(1)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으로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눈금(12)을 형성하고, 수직부(20)와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평면부(10);와, 하부가 상기 평면부(10)의 길이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부가 돌출부(30)와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수직부(20);와, 상기 수직부(2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0)와 경사부(40)과 연결 형성되는 돌출부(30);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눈금(42)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0)와 지지부(50)에 경사를 가지며 연결 형성되는 경사부(40);와, 상기 경사부(40)의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 형성되는 지지부(50);를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10)와 수직부(20), 돌출부(30), 경사부(40), 지지부(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50)가 상기 수직부(20), 돌출부(30), 경사부(40)로부터의 힘을 지지하여, 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되어 손을 다치게 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 작업 받침 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문구용 자에 관한 것으로서, 종전의 사무, 문구용자를 사용하거나 인테리어 작업환경에서 종이를 별도의 칼과 자를 사용하여 한손으로 자를 누르고 다른 한손으로는 칼을 잡고 자의 측면을 따라 절단할 때 칼이 빗나가 손을 다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50)를 구비하고, 수직부(20)와 돌출부(30), 경사부(40)를 구비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제1실시예인 일반적인 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의 제2실시예인 일반적인 자의 사용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인 자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우측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좌측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우측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좌측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자의 평면도이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용 작업 받침 자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평면부(10), 수직부(20), 돌출부(30), 경사부(40), 지지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평면부(10)는 직사각 형상으로 상기 수직부(20)와 수직으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평면부(10)는 상기 수직부(20)와 연결되지 않은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눈금(12)를 구비한다.
상기 눈금(12)은 상기 평면부(10)의 상면에 형성되어, 물건의 치수를 재거나 선을 긋거나 칼을 이용하여 물체를 절단시 눈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부(20)는 하부가 상기 평면부(10)의 길이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돌출부(30)과 수직으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수직부(20)의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면은 상기 경사부(40)과 연결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0)는 상기 돌출부(3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0)와 상기 지지부(50)에 경사를 가지며 연결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0)와 연결되는 상기 경사부(4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눈금(4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경사부(40)의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20)와 돌출부(30), 경사부(40)로부터의 힘을 지지하여, 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물건의 치수를 재거나 선을 긋거나 칼을 이용하여 물체를 커팅시 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하여 손을 베이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과 평면부(10)의 상면에 눈금(12)를 형성함으로서 눈금이 손상되는 기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받침 자
10: 평면부
12: 눈금
20: 수직부
30: 돌출부
40: 경사부
42: 눈금
50: 지지부

Claims (1)

  1. 양측에 눈금을 형성하고 있는 자(1)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으로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눈금(12)을 형성하고, 수직부(20)와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평면부(10);와
    하부가 상기 평면부(10)의 길이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부가 돌출부(30)와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수직부(20);와
    상기 수직부(2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0)와 경사부(40)과 연결 형성되는 돌출부(30);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눈금(42)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0)와 지지부(50)에 경사를 가지며 연결 형성되는 경사부(40);와
    상기 경사부(40)의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 형성되는 지지부(50);를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10)와 수직부(20), 돌출부(30), 경사부(40), 지지부(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50)가 상기 수직부(20), 돌출부(30), 경사부(40)로부터의 힘을 지지하여, 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되어 손을 다치게 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용 작업 받침 자
KR1020160046193A 2016-04-15 2016-04-15 안전한 작업 받침 자 KR20170118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93A KR20170118425A (ko) 2016-04-15 2016-04-15 안전한 작업 받침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93A KR20170118425A (ko) 2016-04-15 2016-04-15 안전한 작업 받침 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25A true KR20170118425A (ko) 2017-10-25

Family

ID=6029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193A KR20170118425A (ko) 2016-04-15 2016-04-15 안전한 작업 받침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84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425A (ko) 안전한 작업 받침 자
JP2012106296A (ja) 切断用定規
JP3111685U (ja) 滑り止め付き定規
CN109746963B (zh) 裁断机
KR20160112361A (ko) 커터를 가지는 자
KR200408873Y1 (ko) 안전판이 구비된 자
KR101004289B1 (ko) 바닥 긁힘 및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춘 절단용 자
KR200479546Y1 (ko) 미끄럼 방지용 자
KR101479678B1 (ko) 스케일
KR100647477B1 (ko) 다기능 자
US20090293697A1 (en) Safety cutting rule
KR20160059827A (ko) 홈이 구비된 책받침
KR200394776Y1 (ko) 다기능 자
KR101249752B1 (ko) 미끄럼 방지용 자
KR20130012499A (ko) 커팅 장치
JP3146131U (ja) 安全尺
KR200422107Y1 (ko) 마찰자
JP2017209793A (ja) 切断用定規
JP2017000225A (ja) 床材用安全定規
KR101935257B1 (ko) 이중 자
JP6647842B2 (ja) 切断用定規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押圧部材
KR200413167Y1 (ko) 재단용 안전자
JP3190656U (ja) 彫刻刀用指支持具及びそれが取り付けられた彫刻刀
JP3211085U (ja) カット定規
KR101481470B1 (ko) 커팅 안전 및 눈금 보호용 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