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752B1 - 미끄럼 방지용 자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용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752B1
KR101249752B1 KR1020100105517A KR20100105517A KR101249752B1 KR 101249752 B1 KR101249752 B1 KR 101249752B1 KR 1020100105517 A KR1020100105517 A KR 1020100105517A KR 20100105517 A KR20100105517 A KR 20100105517A KR 101249752 B1 KR101249752 B1 KR 10124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late
chair body
chair
mounting hol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107A (ko
Inventor
권혁준
김태연
조용래
Original Assignee
권혁준
조용래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준, 조용래, 김태연 filed Critical 권혁준
Priority to KR102010010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7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75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하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용 자에 관한 것으로, 자 본체와, 상기 자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장착공과, 상기 자 본체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장착공에 설치된 탄성판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탄성판을 누를 경우 그 하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자 본체를 고정시키는 반면,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판의 탄성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자 본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자를 신속하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도면 작성시 흔들림 없이 선을 곧게 그릴 수 있으며 절단 작업시 손을 다칠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자{NONSKID SCALE}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용 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신속하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용 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는 물건의 길이를 잴 때 사용되는 도구의 일종으로, 일측에 새겨진 눈금을 통해 물건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러한 자는 그 종류가 다양하여 단순히 물건의 길이를 잴 때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설계도 등의 도면 작성시 선을 긋거나 모형 제작시 정확한 치수로 자를 때에도 사용된다.
종래의 자는 대부분 합성수지 또는 스틸로 제작되므로 지면(紙面)과의 마찰력이 매우 작다. 따라서 도면을 그리거나 종이를 자르는 과정에서 자가 쉽게 미끄러지며, 이로 인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절단작업시 커터에 의해 손을 베일 우려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더브테일이 마련된 고정기능을 갖는 자가 개발되었다. 도 8은 참조하면, 고정기능을 갖는 자(1)는 바닥면에 더브테일홈(1a)이 형성되고, 더브테일홈(1a)에 고무재질의 더브테일(2)이 삽입되며, 더브테일(2)이 더브테일홈(1a)보다 일정 높이 이상 돌출되어, 돌출된 더브테일(2)의 하면이 바닥면과 접촉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서로 다른 위치에 선분을 그리기 위하여 자를 이동시킬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자를 바닥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밀어 이동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고정기능을 갖는 자(1)는 더브테일(2)이 바닥면에 항상 접촉하므로 고무재질의 더브테일(1)에 의해 자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없다. 또한, 자를 밀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종이에 기재된 내용이 더브테일(2)에 의해 번지거나 지워질 우려가 있으며, 심할 경우 종이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속하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용 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끄럼 방지용 자는, 자 본체와, 상기 자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장착공과, 상기 자 본체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장착공에 설치된 탄성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탄성판을 누를 경우 그 하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자 본체를 고정시키고,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판의 탄성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자 본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탄성판을 눌러 지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특정 위치에서 자를 고정할 수 있는 반면, 자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탄성판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판이 지면에서 이격되어 자를 신속하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자를 신속하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도면 작성시 흔들림 없이 선을 곧게 그릴 수 있으며 절단 작업시 손을 다칠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와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C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D-D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고정기능을 갖는 자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100)는, 자 본체(110)와, 자 본체(110)에 형성된 장착공(120)과, 장착공(120)에 설치된 탄성판(130)을 포함한다.
자 본체(1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자로, 폭이나 너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는다. 자 본체(1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필기구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되고, 경사면(112)에는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114)이 새겨져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미끄럼 방지용 자(100)의 일례로 직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자, 직각자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자를 사용할 수 있다.
장착공(120)은 탄성판(130)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자 본체(11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공(120)의 내측벽면 하단에는 탄성판(130)이 안착되는 장착돌기(122)가 형성되는데, 이 장착돌기(122)는 탄성판(130)을 자 본체(110)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시켜 지면(紙面)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탄성판(130)은 장착돌기(122)의 두께만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장착공(120)은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장착돌기(122)는 탄성판(130)의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하도록 탄성판(130)의 최소 부분만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 즉 장착공(120)의 내측벽면 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장착공(120)은 자 본체(110)가 지면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자 본체(110)를 따라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그 이격거리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벌린 상태에서 자 본체(110)를 자연스럽게 누를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판(130)은 지면에 밀착되어 자 본체(110)를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탄성판(130)의 재질은 마찰계수가 크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판(130)의 두께는 장착돌기(1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 본체(110)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판(130)의 두께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자 본체(110)를 뒤집어 사용하더라도 탄성판(130)이 지면에 밀착되지 않아 신속하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탄성판(130)을 장착돌기(122)에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나 장착돌기(122)의 좁은 돌출 폭을 고려하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미끄럼 방지용 자(100)는 탄성판(130)을 누를 경우 탄성판(130)의 하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자 본체(110)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반면, 탄성판(130)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판(130)의 하면이 지면에서 이격되어 자 본체(110)를 신속하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탄성판(2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240)가 추가된 구성이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판(230)을 장착돌기(222)에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탄성판(230)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220)의 내측벽면 하단에는 장착돌기(222)가 형성되고, 장착돌기(222)에는 탄성판(230)이 안착된다. 또한, 탄성판(230)의 상부에는 장착공(220)의 상단을 통해 삽입된 고정구(240)가 위치된다.
이러한 고정구(240)는 장착공(22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장착공(22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탄성판(230)을 누를 수 있도록 장착공(2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본체(310)에는 장착공(320)이 형성되고, 장착공(320)의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고정구(340,350)가 결합된다. 즉, 장착공(320)의 내측벽면에 장착돌기를 형성하지 않고 한 쌍의 고정구(340,350)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결합시켜 탄성판(330)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때, 한 쌍의 고정구(340,350)는 장착공(32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사용자가 탄성판(330)을 누를 수 있도록 장착공(2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끄럼 방지용 자 110: 자 본체
112: 경사면 114: 눈금
120: 장착공 122: 장착돌기
130: 탄성판

Claims (6)

  1. 자 본체;
    상기 자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며, 상기 자 본체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
    상기 자 본체의 하면보다 높고, 상기 자 본체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상기 장착공에 설치되고, 고무재질의 탄성판; 및
    상기 복수의 장착공 각각의 내측벽면 상단과 하단 각각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을 고정시키는 한쌍의 환형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은 사용자가 누를 경우에만 상기 탄성판의 일부가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자 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105517A 2010-10-27 2010-10-27 미끄럼 방지용 자 KR10124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17A KR101249752B1 (ko) 2010-10-27 2010-10-27 미끄럼 방지용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17A KR101249752B1 (ko) 2010-10-27 2010-10-27 미끄럼 방지용 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07A KR20120044107A (ko) 2012-05-07
KR101249752B1 true KR101249752B1 (ko) 2013-04-02

Family

ID=4626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517A KR101249752B1 (ko) 2010-10-27 2010-10-27 미끄럼 방지용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7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537Y1 (ko) * 1988-03-01 1991-03-07 김완득 미끄럼 방지장치를 한 자
KR920005283Y1 (ko) * 1989-10-12 1992-07-31 김종두
KR200324549Y1 (ko) 2003-05-14 2003-08-25 권용철 슬립억제구조를 갖는 막대 자
KR20050042114A (ko) * 2005-04-11 2005-05-04 김동재 다기능 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537Y1 (ko) * 1988-03-01 1991-03-07 김완득 미끄럼 방지장치를 한 자
KR920005283Y1 (ko) * 1989-10-12 1992-07-31 김종두
KR200324549Y1 (ko) 2003-05-14 2003-08-25 권용철 슬립억제구조를 갖는 막대 자
KR20050042114A (ko) * 2005-04-11 2005-05-04 김동재 다기능 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07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30010A (en) Nonslide ruler and instrument
US20140033407A1 (en) Pencil support for construction helmet
KR101249752B1 (ko) 미끄럼 방지용 자
JP2005516806A (ja) 滑り止め部材を有する定規
KR200479546Y1 (ko) 미끄럼 방지용 자
JP3187187U (ja) 移動式クリップボード
JP3216873U (ja) 定規
KR100647477B1 (ko) 다기능 자
KR200394776Y1 (ko) 다기능 자
JP3188791U (ja) 物差し
CN210454244U (zh) 一种方便单手使用的尺子
JP3211017U (ja) 紙クリップ
JPH0355841Y2 (ko)
KR20110058430A (ko) 눈금 보호용 자
JP2002283794A (ja) 滑り止め機構付き定規
KR200419488Y1 (ko) 기능성 눈금자
KR101997675B1 (ko)
KR200217005Y1 (ko) 마우스 조작용 손목 받침대
KR200422107Y1 (ko) 마찰자
KR20110078909A (ko) 미끄럼 방지 자
CN210862422U (zh) 一种便携式土木工程测绘用测绘装置
KR200312160Y1 (ko) 고무링이 부착된 이동형 직각자
KR20170118425A (ko) 안전한 작업 받침 자
JP2017209793A (ja) 切断用定規
US2771082A (en) Finger nail paint 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