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546Y1 - 미끄럼 방지용 자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용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546Y1
KR200479546Y1 KR2020140005997U KR20140005997U KR200479546Y1 KR 200479546 Y1 KR200479546 Y1 KR 200479546Y1 KR 2020140005997 U KR2020140005997 U KR 2020140005997U KR 20140005997 U KR20140005997 U KR 20140005997U KR 200479546 Y1 KR200479546 Y1 KR 200479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groove
present
slip
slipper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2020140005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2/00Means to prevent slipp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와 같이 작업 대상물과 맞닿는 자 보디의 한 면 전체에 대하여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미끄럼 방지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이용자가 자의 다른 한 면 어디를 누르더라도 자가 작업 대상물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고, 특히 유리와 같이 미끄러운 표면 위에서 자를 대고 작업하는 경우에도 미끄럼 없이 원하는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미끄럼 방지용 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 부재를 삽입하는 장착 홈이 안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와 같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 장착 홈에 끼운 미끄럼 방지 부재가 이 장착 홈의 사면에 걸려 임의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를 계속해서 볼 수 있게 한 미끄럼 방지용 자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장착 홈의 형상에서 입구 측보다 안쪽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측을 모두 자 보디와 수직인 형태로 형성하되 그 중에서 한 면만 안으로 갈수록 자 보디의 바깥쪽을 향해 벌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이 벌어진 부분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걸려 잘 빠지지 않으면서도 쉽게 장착 홈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게 한 미끄럼 방지용 자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자{RULER FOR PREVENTING }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용 자(Rul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 보디의 한쪽 면 전체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장착하여 자 보디를 어디를 누르더라도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이 미끄럼 방지 부재가 측면이 사면 형태로 형성한 장착 홈에 끼워지게 하여 쉽게 빠지지 않게 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Ruler)는 사무실뿐만 아니라 학교나 가정 등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품 중의 하나이다. 특히, 자에는 눈금(Scale)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종이나 천 위에 자를 올려놓고 원하는 길이만큼 자르거나 선을 긋는 데 사용하기도 하고, 길이에 상관없이 자르거나 구분 선 등을 긋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자는 보통 종이나 천 등의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나 종종 자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러한 미끄러짐은 사용하는 이가 선을 긋고자 하는 바대로 선을 그을 수 없고, 특히 종이나 천 등에 자를 대고 칼로 자르는 경우 이러한 미끄러짐은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종이나 천 등을 못 쓰게 하는 한가지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와 같이 자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지면과의 마찰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미끄럼 방지구가 부착된 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자의 하면에 하측으로 개구된 요입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 요입 홈의 내부에 바깥쪽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미끄럼 방지구를 끼워서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특허문헌 2는 학습용 자에 관한 것으로 자의 밑면 일부에 홈을 만들어 밀착력이 높은 투명 고무 재질을 부착 자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자를 이용하여 선을 그을 때 적은 힘으로 강한 밀착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칼과 자를 이용하여 종이를 자를 때 받침대로 이용되는 책상에 칼 자욱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에 책상을 보호하기 위한 받침대가 부착되었다.
특허문헌 3은 미끄럼 방지 자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한쪽에 제공되며 길이 측정용 눈금이 새겨지거나 인쇄된 눈금부, 상기 몸체에 제공되며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 홈들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4는 신속하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용 자에 관한 것으로, 자 본체와, 상기 자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장착 구멍과, 상기 자 본체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장착 구멍에 설치된 탄성 판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탄성 판을 누를 경우 그 하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자 본체를 고정하는 반면,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 판의 탄성에 의해 지면에서 떨어져서 상기 자 본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자를 신속하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도면 작성시 흔들림 없이 선을 곧게 그릴 수 있으며 절단 작업시 손을 다칠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하지만, 기존의 미끄럼 방지용 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가 자 본체의 일부에만 부착한다.
(2) 이는 자를 대고 칼로 종이 등을 자를 때, 자가 종이에서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깨끗하게 잘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3) 즉, 통상 자를 사용할 때는 한 손의 손가락 두 개로 자를 누르는 데, 이때 2개의 손가락이 2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 사이를 누르면 자의 양단 쪽이 들뜨는 현상이 생기고, 또한 손가락 하나는 미끄럼 방지 부재 위를 그리고 다른 손가락 하나는 이 부재가 없는 곳을 누르는 경우도 이처럼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4) 이런 들뜸 현상은 선을 긋는 등의 경우에는 그래도 부상이 염려가 없어서 다행이나, 칼로 종이나 천 등을 자르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을 베이는 등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5) 특히, 이런 사고는 성인들보다는 어린이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6) 자의 두께가 얇은 경우 이처럼 미끄럼 방지 부재 때문에 두께 차이가 발생하고, 이 두께 차이는 손가락으로 누를 때 같은 힘으로 균일하게 누르는 데 어려움이 있어 자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7) 또한, 자가 균일하게 종이나 천 등에 맞닿지 않은 상태로 종이나 천을 자르거나 선을 긋는 경우, 그 자르거나 그은 선이 곧게 뻗지 않아 선을 긋는 작업을 다시 하거나 자른 종이나 천을 버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8) 어린이와 같이 손가락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 이처럼 미끄럼 방지 부재 사이를 누르거나 그 양쪽을 누를 경우가 많아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일으킬 확률이 높다.
(9) 이처럼 기존 방식으로 미끄럼 방지 부재를 장착하는 경우 자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이 미끄럼 방지 부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려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자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는 접착제가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이와 같이 자를 입으로 무는 경우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201964호 (등록일 : 2000.08.25)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8988호 (공개일 : 2011.01.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8909호 (공개일 : 2011.07.07) 한국등록특허 제1249752호 (등록일 : 2013.03.27)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 종이와 같이 작업 대상물과 맞닿는 자 보디의 한 면 전체에 대하여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미끄럼 방지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이용자가 자의 다른 한 면 어디를 누르더라도 자가 작업 대상물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고, 특히 유리와 같이 미끄러운 표면 위에서 자를 대고 작업하는 경우에도 미끄럼 없이 원하는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미끄럼 방지용 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 부재를 삽입하는 장착 홈이 안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와 같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 장착 홈에 끼운 미끄럼 방지 부재가 이 장착 홈의 사면에 걸려 임의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를 계속해서 볼 수 있게 한 미끄럼 방지용 자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장착 홈의 형상에서 입구 측보다 안쪽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측을 모두 자 보디와 수직인 형태로 형성하되 그 중에서 한 면만 안으로 갈수록 자 보디의 바깥쪽을 향해 벌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이 벌어진 부분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걸려 잘 빠지지 않으면서도 쉽게 장착 홈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게 한 미끄럼 방지용 자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는, 미끄럼 방지용 자에 있어서, 종이나 대상물과 맞닿는 자 보디(100)의 한쪽 면에 미리 정한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장착 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홈(110)에는 그 내부 형상과 같게 형성한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삽입하여 그 한 면이 자 보디(100)와 같거나 약간 돌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장착 홈(110)은 서로 마주 보는 길이가 긴 양측 내면이 장착 홈(110) 안으로 갈수록 자 보디(100)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 홈(110)은 내측 면 중에서 길이가 긴 양쪽 면 중에서 어느 한쪽 면만 벌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 홈(110)은 안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00)는 고무 또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00)는 자 보디(100)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하게 형성하고, 자를 사용하기 위해 자 보디(100)를 손으로 누름에 따라 압착되면서 이 자 보디(100)와 같은 평면을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미끄럼 방지 부재가 자 보디의 한쪽 면 전체에 대하여 구성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자를 사용하기 위해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자가 휘어지지 않고, 특히 미끄러지지 않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자를 사용할 수 있다.
(2) 이는, 기존의 자를 이용할 때 성인과 같이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휘거나 미끄러지지 않게 조심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어린이는 손가락 사이의 거리가 짧아 그 조절 거리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자는 어린이나 성인의 구분이 없이 누구든지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자를 사용할 수 있다.
(3) 특히 이러한 안전성은 종이나 천 등과 같이 자를 대고 칼 등으로 자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한편,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장착 홈을 구성하는 측면이 안으로 갈수록 자 보디의 바깥쪽으로 넓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접착제 등으로 미끄럼 방지 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끼우는 방식으로 미끄럼 방지 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미끄럼 방지 부재를 자 보디에 끼워 조립할 수 있다.
(5) 그리고 접착제와 같은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고, 특히 어린이의 경우 자를 입에 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상황에도 본 고안에 따른 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6) 미끄럼 방지 부재가 자 보디의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하게 형성하고, 본 고안에 따른 자를 사용하기 위해 자를 누르면 이 미끄럼 방지 부재가 자 보디와 같은 평면을 이루게 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자와, 예를 들어서, 종이 사이의 밀착력과 더불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자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를 폭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를 폭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자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자를 폭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종이 등과 맞닿는 자 보디(100)의 한 면에, 그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크기만큼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자 보디(100)에 대하여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자 보디(100)가 쉽게 휘어지거나 미끄러지지 않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쉽게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자 보디(100)에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미리 정한 두께를 가진 띠 형상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이 자 보디(100)는 한 면에 눈금(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다른 한 면에는 장착 홈(110)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홈(110)은 입구 쪽에서 안으로 들어갈수록 넓게 형성함으로써, 여기에 끼워서 장착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200)가 쉽게 빠지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누구든지 쉽게 끼워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홈(1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그 내측 면 전체에 대하여 안으로 갈수록 자 보디(100)의 바깥쪽으로 깊어지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미끄럼 방지 부재(200)의 모든 테두리 부분에 걸쳐 빠지지 않게 지지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 보디(100)는 장착 홈(110)을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 부분의 폭을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폭이 넓으면 넓을수록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끼워서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이 테두리 부분과 미끄럼 방지 부재(200) 사이의 틈이 생기는 경우 여기를 누르면 본 고안에 따른 자가 휘어져서 종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자 보디(100)는 합성수지나 금속뿐만 아니라 이 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장착 홈(110)에 끼워서 설치하므로 이 홈의 형상과 같게 형성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부재(200)는 손으로 자 보디(100)를 눌렀을 때 종이 등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재질은, 예시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자 보디(100) 면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면보다 조금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자를 계속 사용하다 보면 미끄럼 방지 부재(200)가 닳거나 경화 등으로 충분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반대로 많은 변형을 일으켜 장착 홈(110) 안으로 들어가버릴 수 있는 데, 이렇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를 위에서 누르더라도 미끄럼 방지 부재(200)가 종이 등의 위에서 제대로 눌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미끄럼 방지 부재(200)가 자 보디(100) 밖으로 미리 정한 두께만큼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이 미끄럼 방지 부재(200)가 눌리게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00)는 이처럼 자 보디(100) 밖으로 돌출 구성하더라도 이 자 보디(100)를 누름에 따라 자 보디(100)의 바닥면과 평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만일, 이처럼 평면을 이루지 못하면 종이와 자 보디(100) 사이에 틈이 생기는 데, 자 보디(100)의 측면과 맞닿게 칼을 대고 종이를 자를 때 이러한 틈 때문에 종이가 원하는 대로 잘리지 않거나 손을 벨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는 자 보디(100)의 한 면 중에서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 전체에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장착하므로 자 보디(100)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자 보디(100)가 휘어지는 것과 미끄러지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여 안전하게 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자 보디(100')에 형성하는 장착 홈(110')의 형상을 변경하여 이에 맞게 제작한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쉽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한 장착 홈(110')의 형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장착 홈(110')은, 도 4와 같이 그 양쪽 끝의 내측 면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도 5와 같이 양측 테두리의 내측 면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안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한 것이다.
이는 미끄럼 방지 부재(200)의 각 테두리가 사면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한 장착 홈에 삽입할 때 간섭이 심하여 잘 끼우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는 장착 홈(110')을 형성할 때 이처럼 양측 테두리 부분만 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부재를 폭 방향으로 잡아서 접어지게 한 다음 양측 테두리 부분을 장착 홈(110')에 끼웠다가 놓으면 원래 형태로 돌아오면서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실시예 2와 비교할 때 자 보디(100")에 형성하는 장착 홈(110")의 형상을 변경하여 이에 맞게 제작한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쉽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한 장착 홈(110")의 형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장착 홈(110")은, 실시예 2를 보여주는 도 6과 같이 그 양쪽 끝의 내측 면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도 7과 같이 양측 테두리 중에서 어느 한쪽 테두리만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장착 홈(110")에 더욱 쉽게 끼울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미끄럼 방지 부재(200)의 경사진 한쪽 테두리를 먼저 장착 홈(110")의 경사진 부분에 끼운 상태에서 다른 한쪽 테두리를 누르기만 하면 쉽게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장착 홈(110")에 끼워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와 비교할 때 더욱 쉽고 신속하게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자 보디(100)에 끼워서 설치할 수 있다.
100 : 자 보디
110, 110', 110" : 장착 홈
200 : 미끄럼 방지 부재

Claims (6)

  1. 삭제
  2. 미끄럼 방지용 자에 있어서,
    종이나 대상물과 맞닿는 자 보디(100)의 한쪽 면에 미리 정한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장착 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홈(110)에는 그 내부 형상과 같게 형성한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삽입하여 그 한 면이 자 보디(100)와 같거나 약간 돌출하게 형성하고,
    상기 장착 홈(110)은 서로 마주 보는 길이가 긴 양측 내면이 장착 홈(110) 안으로 갈수록 자 보디(100)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자.
  3. 미끄럼 방지용 자에 있어서,
    종이나 대상물과 맞닿는 자 보디(100)의 한쪽 면에 미리 정한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장착 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홈(110)에는 그 내부 형상과 같게 형성한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삽입하여 그 한 면이 자 보디(100)와 같거나 약간 돌출하게 형성하고,
    상기 장착 홈(110)은 내측 면 중에서 길이가 긴 양쪽 면 중에서 어느 한쪽 면만 벌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자.
  4. 미끄럼 방지용 자에 있어서,
    종이나 대상물과 맞닿는 자 보디(100)의 한쪽 면에 미리 정한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장착 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홈(110)에는 그 내부 형상과 같게 형성한 미끄럼 방지 부재(200)를 삽입하여 그 한 면이 자 보디(100)와 같거나 약간 돌출하게 형성하고,
    상기 장착 홈(110)은 안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자.
  5. 삭제
  6. 삭제
KR2020140005997U 2014-08-11 2014-08-11 미끄럼 방지용 자 KR200479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97U KR200479546Y1 (ko) 2014-08-11 2014-08-11 미끄럼 방지용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97U KR200479546Y1 (ko) 2014-08-11 2014-08-11 미끄럼 방지용 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546Y1 true KR200479546Y1 (ko) 2016-02-12

Family

ID=5535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997U KR200479546Y1 (ko) 2014-08-11 2014-08-11 미끄럼 방지용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4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433B2 (ja) * 1994-03-17 2000-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確認可能なコネクタ
KR200255150Y1 (ko) 2001-07-10 2001-12-13 위동진 대면과 접지력이 뛰어난 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433B2 (ja) * 1994-03-17 2000-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確認可能なコネクタ
KR200255150Y1 (ko) 2001-07-10 2001-12-13 위동진 대면과 접지력이 뛰어난 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8270A1 (en) Slip Resistant Ruler
KR200479546Y1 (ko) 미끄럼 방지용 자
KR100744585B1 (ko) 파지조력기구
US20140201937A1 (en) Cleaning article holders
KR102021809B1 (ko) 손톱깎이
CA2540001A1 (en) Cutter adapted to be held by human hand or finger
KR101249752B1 (ko) 미끄럼 방지용 자
JP6510725B1 (ja) 指挟み防止装置
KR20170118425A (ko) 안전한 작업 받침 자
KR100647477B1 (ko) 다기능 자
KR200394776Y1 (ko) 다기능 자
JP2007038618A (ja) 滑り止め付き定規
JP3111685U (ja) 滑り止め付き定規
JP3211017U (ja) 紙クリップ
KR20110058430A (ko) 눈금 보호용 자
KR101481470B1 (ko) 커팅 안전 및 눈금 보호용 자
KR200422107Y1 (ko) 마찰자
KR20110003669U (ko) 기능성 눈금자
KR200286505Y1 (ko) 한쪽에 금속판을 붙이고 한면에 미끄럼 방지용 고무를도포한 자(尺).
KR20110038196A (ko) 기능성 눈금자
KR101378146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성 속옷
KR200322249Y1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의 구조
JP3185068U (ja) 三味線用撥
JP2022062355A (ja) 指当て具
US20210029982A1 (en) Removable extension for a spincast reel line release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