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864A - 누룽지 제조기용 가열판 - Google Patents

누룽지 제조기용 가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864A
KR20170117864A KR1020160177050A KR20160177050A KR20170117864A KR 20170117864 A KR20170117864 A KR 20170117864A KR 1020160177050 A KR1020160177050 A KR 1020160177050A KR 20160177050 A KR20160177050 A KR 20160177050A KR 20170117864 A KR20170117864 A KR 20170117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curved surface
heating
portions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광인
Original Assignee
진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광인 filed Critical 진광인
Publication of KR2017011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기의 핵심부품으로서 증숙된 밥을 상, 하면에서 압연 하고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누룽지 제조기용 가열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돌출테(12)로 구획된 다수의 곡면수용부(11)가 형성된 하부가열판(10)과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곡면압착부(21)가 형성된 상부가열판(20)이 전열선(16) (26)으로 가열되고 힌지(30)로 결합되는 누룽지 제조기의 가열판에 있어서, 하부가열판(10)의 곡면수용부(11) 외곽에는 하측방연장부(13) 및 하전방연장부(14)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가열판(20)의 곡면압착부(21)의 외곽에는 상측방연장부(23) 및 상전방연장부(24)를 형성하되 상, 하측방연장부(13)(23)의 폭(W)은 150mm이상 그리고 상, 하전방연장부((14)(24)의 폭(W')은 200mm 이상이 되게 하는 한편, 상, 하부가열판(10)(20)의 이면에 배설된 전열선(16)(26)은 회절부(16-1) (26-1)가 상, 하전방연장부(14)(24)의 이면에 위치시킨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 하부가열판의 곡면수용부 및 곡면압착부 외곽에 적정한 폭 이상의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열선의 회절부가 힌지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지점에 위치하여 누룽지의 탄화균일도가 80%이상이 되어 작업능률이 높을뿐만 아니라 우수한 품질의 누룽지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룽지 제조기용 가열판{Heating plate for Scorched Rice Cooker}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기의 핵심부품으로서 증숙된 밥을 상, 하면에서 압연하고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누룽지 제조기용 가열판에 관한 것이다.
누룽지는 쌀의 소비가 줄어드는 현실에서 밥과 달리 차츰 간식 또는 대용식으로 선호되고 있는 식품이다. 종래에는 소형인 가정용 누룽지 제조기로 가정에서 남은 식은 밥을 누룽지로 만들어 간식으로 이용했으나 근래에는 간식으로는 물론 소화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의 대용식으로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누룽지 제조기는 대형화 되고 누룽지 사업은 소득창출에 기여하는 업종으로 주목받고 있다.
누룽지 제조기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특허 제123409호가 있는데, 이는 곡면으로 오목한 하부열판과 곡면으로 볼록한 상부열판으로 밥을 가열 및 압연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구성이다. 이 발명의 특징은 밥에 함유된 수분이 상하면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급격히 양측으로 분출되면서 누룽지 조직에 무수한 모세공을 형성하여 튀김(puffing)과 같이 바삭거리는 식감을 가지는 누룽지가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누룽지 제조기가 가정용이 아닌 사업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생산성이 문제가 된다.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이 단위 시간당 최대한의 누룽지를 생산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1회당 생산량이 많아야 하므로 누룽지 제조기 가열판의 넓이가 증가해야한다.
가열판의 넓이가 증가하면 가열판의 부위에 따라 온도의 편차가 발생하는데 가열판이 힌지에서 멀어질수록 간극이 증대되므로 누룽지가 균일하게 구워지지 않는 형상이 발생한다. 누룽지에서 가장 늦게 구워지는 부분은 가열판의 전방이고 그 다음는 가열판의 양측방이다. 전방은 상, 하 가열판의 간극이 가장 크게 벌어져서 열손실이 가장 크기 때문이고 양측방은 중심부와 달리 일측이 외기와 접촉하므로 열손실이 적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누룽지의 일부가 덜 구워지는 경우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누룽지가 거의 구워지면 가열판을 열고 누룽지를 꺼내서 하나하나 180도 회전 시킨 후 추가로 압착, 가열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열손실이 많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누룽지 제조기의 가열판이 가지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열판의 열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누룽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워지도록 하는 것을 주된 해결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 가열판의 양측방 및 전방에 적정한 폭의 연장부를 형성하여 열의 보존량을 증대시키고 나아가서 가열판 이면에 설치되는 전열선의 회절부가 가장 적절한 가열판의 위치에 집중되게 안배함으로써 누룽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워지도록 하여 해결과제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돌출테(12)로 구획된 다수의 곡면수용부(11)가 형성된 하부가열판(10)과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곡면압착부(21)가 형성된 상부가열판(20)이 전열선(16)(26)으로 가열되고 힌지(30)로 결합되는 누룽지 제조기의 가열판에 있어서, 하부가열판(10)의 곡면수용부(11) 외곽에는 하측방연장부(13) 및 하전방연장부(14)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가열판(20)의 곡면압착부(21)의 외곽에는 상측방연장부(23) 및 상전방연장부(24)를 형성하되 상, 하측방연장부(13)(23)의 폭(W)은 150mm이상 그리고 상, 하전방연장부((14)(24)의 폭(W')은 200mm 이상이 되게 하는 한편, 상, 하부가열판(10)(20)의 이면에 배설된 전열선(16)(26)은 회절부(16-1) (26-1)가 상, 하전방연장부(14)(24)의 이면에 위치되게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 하부가열판의 곡면수용부 및 곡면압착부 외곽에 적정한 폭 이상의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열선의 회절부가 힌지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지점에 위치하여 누룽지의 탄화균일도가 80%이상이 되어 작업능률이 높을뿐만 아니라 우수한 품질의 누룽지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가열판이 장착된 누룽지 제조기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상하부 가열판이 전개된 상태의 평면도
도3 (a)는 상부가열판의 A-A선 단면도
(b)는 하부가열판의 B-B선 단면도
도4는 도3의 상, 하부가열판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전열선 배열구조의 예시도
도6은 힌지를 중심으로 상, 하부가열판 벌림상태의 변화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누룽지 제조에 사용되는 쌀은 5분도가 식감과 향취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분도 쌀로 밥을 지은 다음 적당량을 하부가열판(10)의 곡면수용부(11) 각각에 투입한 후 상부가열판(20)을 닫으면 곡면압착부(21)가 볼록한 형태이므로 수용간극(31)에 수용된 밥은 압연 및 가열되며 가열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는 측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가열판(10)과 상부가열판(20) 사이의 수용간극(31)에 수용되어 압착 및 가열되는 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워지게 하는데 있으며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첫 번째 수단으로 상, 하부 가열판(10)(20)의 좌, 우측 및 전방에 하측방연장부(13) 및 하전방연장부(14) 그리고 상측방연장부(23) 및 상전방연장부(24)를 형성하되 전방과 양측방 연장부의 폭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고, 두 번째 수단으로 상, 하부가열판(10) 이면에 내장되는 전열선(16)(26)의 회절부(16-1)(26-1)가 힌지(3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상, 하전방연장부(14)(24)의 이면에 오도록 배열한다.
상, 하부가열판의 후방에 있는 연장부는 가열판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의미 있는 폭을 가질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상, 하가열판(10)(20)은 힌지(30)를 중심축으로 벌어지는데 힌지(30)와 인접한 후방은 상, 하가열판(10)(20)을 닫았을 때 긴밀히 밀착되어 내부의 수증기나 열기가 빠져나가거나 외기가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 하부가열판(10)(20)은 전열선(16)(26)에 의하여 통상 210도 내지 230도로 가열되는데 투입되는 밥(32)이 정확히 적정량이라면 도4와 같이 수용간극(31)에 무리 없이 수용되고 상, 하가열판(10)(20) 사이에 틈새가 없어 열량의 손실이 없을 것이다. 문제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정량을 초과하여 밥(32)이 투입된 경우 힌지(30)에서 멀어질수록 상, 하가열판(10)(20)의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입되는 밥은 대부분 적정량을 초과하게 되며 특히 수개의 곡면수용부(11) 중 어느 하나라도 투입량이 초과되면 상, 하가열판(10)(20)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그리하여 전방의 곡면수용부(11)에 투입된 밥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는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므로 후방의 곡면수용부(11)에서보다 누룽지가 늦게 구워진다.
한편, 상, 하부가열판((10)(20)의 양측방 또한 외기와 직접 접촉되므로 중앙에 비하여 열손실이 적지 않아서 누룽지가 중앙보다 늦게 구워진다. 이러한 까닭에 누룽지는 곡면수용부(11)의 위치에 따라 구워지는 정도가 심한 편차를 보이게 된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누룽지 제조기는 누룽지의 탄화편차가 커서 누룽지가 거의 구워지는 시간에 상, 하부가열판(10(20)을 열고 누룽지를 꺼내어 180도 회전시킨 후 1분 정도를 더 굽지 않으면 정품을 생산할 수 없다.
우선 상, 하부가열판(10)(20)의 곡면수용부(11) 및 곡면압착부(21)의 외곽에 연장부를 두어 열의 보존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힌지(30)와 인접한 외곽과 좌, 우측 외곽 그리고 전방 외곽은 열손실량의 차이가 있으므로 연장부의 폭은 차이를 두어야 한다.
하부가열판(10)의 곡면수용부(11)의 외곽에는 하측방연장부(13)와 하전방연장부(14)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가열판(20)의 곡면압착부(21)의 외곽에는 상측방연장부(23). 상부전방연장부(24)를 형성한다. 하측방연장부(13)와 상측방연장부(23)의 폭을 W, 상전방연장부(14) 및 하전방연장부(24)의 폭을 W'라고 하고 W 및 W'의 변화에 따라 구워지는 누룽지의 탄화균일도를 실험한 결과는 표1 같다. 단, 등급의 구분은 가장 덜 구워진 부분이 가장 잘 구워진 부분보다 어느 정도 탄화되었는가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서, A(최적)은 90%이상, B(양호)는 80~90%, C(미흡)는 70~80%, D(부적)는 70%미만으로 분류한 것이다.
W 1.5 2.0 2.5 3.0 3.5 4.0
W 0.5 D D D D D D
1.0 D D D C C C
1.5 D D B B B B
2.0 D C B A A A
2.5 D C B A A A
3.0 D C B A A A
* 등급: A-최적 B-양호 C-미흡 D-부적
* 숫자의 단위: mm
<표1>에서 W가 150mm이고 W'가 250mm일 때 탄화균일도가 양호하였으며 W가 200mm이고 W'가 300mm일 때 탄화균일도가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하부가열판(10)의 곡면수용부(11)의 외곽에는 증기통로(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증기통로(18)는 증기 및 외기의 완충지대로서 누룽지가 구워질 때 수증기가 즉시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해주고 누룽지가 거의 구워졌을 때는 외기가 누룽지로 쉽게 침투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 하부가열판(10)(20)의 이면에 배치되는 U자형 전열선(16)(26)에는 회절부(16-1)(26-1)이 있는데 이 부분은 가장 발열량이 많다. 따라서 이 부분이 상, 하부전방연장부((14)(24)의 이면에 배치되는 것이 구워지는 누룽지의 균일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U자형 전열선(16)(26)에는 회절부(16-1)(26-1)가 상, 하부전방연장부(14)(24)의 이면에 집중되도록 배열했을 때 누룽지의 탄화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 <표2>이다. 단, 등급의 구분은 가장 덜 구워진 부분이 가장 잘 구워진 부분보다 어느 정도 탄화되었는가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서, A(최적)은 90%이상, B(양호)는 80~90%, C(미흡)는 70~80%, D(부적)는 70%미만으로 분류한 것이다.
W 1.5 2.0 2.5 3.0 3.5 4.0
W 0.5 D D D D D D
1.0 D D C C C C
1.5 D B B B B B
2.0 C B A A A A
2.5 C B A A A A
3.0 C B A A A A
* 등급: A-최적 B-양호 C-미흡 D-부적
* 숫자의 단위: mm
<표2>에서는 <표1>에서보다 누룽지의 탄화균일도가 한층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W가 150mm이고 W'가 200mm일 때는 탄화균일도가 양호하였으며 W가 200mm이고 W'가 250mm일 때는 탄화균일도가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 하측방연장부(13)(23)와 상, 하전방연장부(14)(24)를 형성함과 더불어 전열선(16)(26)의 회절부(16-1)(26-1)이 열손실에 가장 취약한 상, 하전방연장부(14)(24)의 이면에 각각 집중시켜 배열함으로써 탄화균일도가 양호 내지는 최적상태인 누룽지를 생산할 수 있다.
10: 하부가열판 11: 곡면수용부 12: 돌출테
13: 하측방연장부 14: 하전방방연장부 15: 증기통로
16: 전열선 16-1: 회절부 17: 덮개판
20: 상부가열판 21: 곡면압착부 23: 상측방연장부
24. 상전방연장부 26: 전열선 26-1: 회절부
27: 덮개판 30: 힌지 31: 수용간극

Claims (3)

  1. 돌출테(12)로 구획된 다수의 곡면수용부(11)가 형성된 하부가열판(10)과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곡면압착부(21)가 형성된 상부가열판(20)이 전열선(16) (26)으로 가열되고 힌지(30)로 결합되는 누룽지 제조기의 가열판에 있어서, 하부가열판(10)의 곡면수용부(11) 외곽에는 하측방연장부(13) 및 하전방연장부(14)를 형성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기의 가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가열판(20)의 곡면압착부(21)의 외곽에는 상측방연장부(23) 및 상전방연장부(24)를 형성하되 상, 하측방연장부(13)(23)의 폭(W)은 150mm이상 그리고 상, 하전방연장부((14)(24)의 폭(W')은 200mm 이상이 되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기의 가열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 하부가열판(10)(20)의 이면에 배설된 전열선(16)(26)은 회절부(16-1) (26-1)가 상, 하전방연장부(14)(24)의 이면에 위치되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기의 가열판.
KR1020160177050A 2016-04-14 2016-12-22 누룽지 제조기용 가열판 KR201701178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45733 2016-04-14
KR1020160045733 2016-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864A true KR20170117864A (ko) 2017-10-24

Family

ID=6029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050A KR20170117864A (ko) 2016-04-14 2016-12-22 누룽지 제조기용 가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78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868B1 (ko) * 2017-12-26 2018-08-22 진광인 누룽지 제과기
KR200487908Y1 (ko) 2018-10-18 2019-02-14 주식회사 스마트푸드 입체형 누룽지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868B1 (ko) * 2017-12-26 2018-08-22 진광인 누룽지 제과기
KR200487908Y1 (ko) 2018-10-18 2019-02-14 주식회사 스마트푸드 입체형 누룽지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5627A (en) Pizza crus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20074752A5 (ko)
US10912307B2 (en) Electric oven
KR20170117864A (ko) 누룽지 제조기용 가열판
KR101321440B1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102293268B1 (ko) 발열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6082611A (en) Method of making multi-ply bottom of clad metal cookware
CN205409484U (zh) 豆皮烘干设备
KR0123409B1 (ko) 간식용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173820B1 (ko) 떡볶기용 떡 및 그 떡의 제조방법
KR20180119793A (ko) 직화구이 맛을 갖는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누룽지
KR101773957B1 (ko) 시리얼용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시리얼용 누룽지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KR20200045694A (ko) 김스낵용 원료김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원료김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김스낵
KR19990081034A (ko) 숭늉용 누릉지의 제조방법
KR200239794Y1 (ko) 다목적 구이기
JP3751196B2 (ja) 米菓の製造方法
CN100400249C (zh) 一种竹拼装板及其制作方法
KR101232029B1 (ko) 둥근 막대형의 통째로 구운 말이 어묵,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1900072A (en) Coffee roasting process
US8512782B2 (en) Embossed cereal piece
KR102317457B1 (ko) 분리형 와이드 3구 불판
KR102362739B1 (ko) 취반편의성이 향상된 취반용 통곡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916388A (zh) 制造快餐食品的方法
KR20180029310A (ko) 오분도미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0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22

Effective date: 201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