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539A -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539A
KR20170117539A KR1020177025862A KR20177025862A KR20170117539A KR 20170117539 A KR20170117539 A KR 20170117539A KR 1020177025862 A KR1020177025862 A KR 1020177025862A KR 20177025862 A KR20177025862 A KR 20177025862A KR 20170117539 A KR20170117539 A KR 2017011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verters
voltage
measuring element
gener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918B1 (ko
Inventor
피터 루거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1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2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parate haulage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4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uspended tracks serving as haulage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3/00Devices for using the energy of the movements of the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9/00Tramway or funicular systems with rigid track and cable 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롤러들, 특히 케이블 카 시스템의 트랙 롤러들 또는 지지 롤러들에 위치한 복수의 발전기에 의해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발전기(G, G1, G2, G3...Gn) 각각의 출력은 각각의 AC/DC 변환기(41, 42, 43...4n)로 라우트되고, 모든 AC/DC 변환기(41, 42, 43...4n)는, 적어도 거의 같은 일정한 전압이 그것들의 출력에서 생기며, 모든 AC/DC 변환기(41, 42, 43...4n)의 출력은 서로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는 취지로, 제어 유닛(40)에 의해 제어 또는 조절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store)에, 롤러들, 특히 케이블웨이(cableway) 시스템의 트랙 롤러들 또는 지지 롤러들에 위치한 복수의 발전기에 의해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웨이 시스템에서는, 케이블웨이 차량의 트랙 롤러 또는 당김(haulage) 케이블 또는 견인(traction) 케이블용 지지 롤러가 발전기를 구비하게 설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해, EP1992539B1, EP2623389A1, 및 WO2018/19019A1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단으로, 이러한 트랙 롤러에 의한 케이블웨이 시스템의 지지 케이블을 따라 이루어지는 케이블웨이 차량의 움직임으로 인해, 차량에서 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러한 전기 에너지에 의해 가열 시스템이 작동된다. 케이블웨이 시스템들의 지지체에 위치한 지지 롤러들 또는 홀드-다운(hold-down) 롤러들에 관해서는, 지지체들에 위치한 전기 또는 전자 설비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이러한 수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체까지 전기 리드(electrical lead)를 실행시키기 위한 어떠한 요구 사항도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타입의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는 전기 또는 전자 설비에 필수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 내로 흘러들어간다. 배터리로의 공급을 위해,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교류는 정류기에 의해 직류로 전환된다. 그 후, 이러한 직류의 전압은 전압 변환기에 의해, 배터리에 흘러들어가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전압으로 만들어진다.
전기 또는 전자 설비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은 또한, 전압 변환기가 직접 행할 수 있다.
케이블웨이 차량의 주행 장치(running-gear) 조립체의 트랙 롤러들 또는 지지 롤러들, 그리고 케이블웨이 시스템의 당김 케이블 또는 견인 케이블이 타고 도는, 지지체 상에 위치한 홀드-다운 롤러는, 생산 공학적 이유 때문에, 또는 연마-마모 현상의 이유 때문에 직경이 변하고, 변하는 주행(running) 특징들 때문에 회전 속도가 변하며, 이로 인해 끌고 가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거나 결합되는 발전기들의 출력에서 주파수와 전압에 관해 변하는 전기적 값(electrical value)들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들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가 상기 발전기 또는 배터리에 할당된 전기 부하에 출력되는 경우에, 이를 위한 제어 회로를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이를 통해 전기 부하 또는 배터리에 발전기들로부터 미리 정해진 전압을 가지는 전류가 확실하게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제어 회로는 각각의 AC/DC 변환기에 라우트(route)되는 발전기들 각각의 출력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AC/DC 변환기 모두는 적어도 거의 같은 일정한 전압이 그것들 출력에서 생기고, 모든 AC/DC 변환기의 출력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는 취지로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거나 조절된다.
AC/DC 변환기 각각은 정류기를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이러한 정류기의 출력은 DC/DC 전압 변환기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AC/DC 변환기 각각의 출력은 공통 양방향 제어선(control line)을 거쳐 제어 유닛에 바람직하게 연결된다. 게다가, 제어 유닛의 출력은 측정선 또는 출력선을 거쳐 AC/DC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입력/출력 라인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설계되었다. 더욱이, 주파수 측정 소자가 발전기들의 출력에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전류 측정 소자와 전압 측정 소자는 각 경우에서 DC/DC 전압 변환기들의 출력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온도 센서가 각 경우에 발전기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전압 및 주파수 측정 소자들, 전류 측정 소자들, 전압 측정 소자들, 및 온도 센서들의 출력은 바람직하게는 제어 회로에 연결되고, 제어 회로의 출력은 바람직하게는 전압 변환기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주제는 아래에서 도면에 나타낸 전형적인 구현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히 밝혀진다.
도 1은 케이블웨이 시스템의 차량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트랙 롤러들에 위치한 복수의 발전기에 의해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AC/DC 변환기가 있는 스위칭 설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개별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류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설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여러 개의 AC/DC 변환기가 있는 모듈러 유닛의 상면도.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라 단면이 취해진 단면도.
도 1은 차량(3)이 견인 케이블(2)의 도움으로 횡단하는 지지 케이블(1)이 있는 케이블웨이 시스템의 부분을 보여준다. 차량(3)은 주행 장치(31)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러한 주행 장치(31) 상에는 8개의 트랙 롤러(33)가 지지되는 2개의 로커 암(rocker arm)(32)이 위치한다. 주행 장치(31)는 견인 케이블(2)에 의해 움직여지고, 움직여지는 동안 트랙 롤러(33)들은 지지 케이블(1)을 따라서 구른다. 주행 장치(31)에는 지지 로드(34)가 관절로 이어져 있고, 이러한 지지 로드(34)의 하단부에 케이블웨이 객실(35)이 위치한다.
트랙 롤러(33)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지지 케이블(1)을 따라서 주행 장치(31)의 움직임에 의해 전류가 발생되는 발전기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개별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류의 전압 및 주파수는 발전기의 설계(design)와 트랙 롤러(33)들의 회전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트랙 롤러(33)들의 외측 직경은 제작 공차와 변하는 연마-마모 현상 때문에, 크기(size)가 변하는 것일 수 있다.
회전 속도 변화가 생기는 변하는 외측 직경 때문에, 그리고 트랙 롤러(33)들의 변하는 주행 특징들 때문에, 그에 따라 발전기들에 의해 변하는 전압과 변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가 발생된다.
지지 로드(34)를 따라서 배전기 상자(distributor box)(37)까지 라우트되는 선(36)들은 트랙 롤러(33)들에 위치한 발전기들에 연결되어 있다. 배전기 상자(37)의 출력들은 케이블웨이 객실(35)에 위치한 AC/DC 변환기 회로(4)에 연결되고, 이러한 AC/DC 변환기 회로(4)에서 개별 발전기들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정류되며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변환된다. AC/DC 변환기 회로(4)의 출력은 배전기 회로(5)에 연결되고, 이러한 배전기 회로(5)에 의해 케이블웨이 객실(35)에 위치한 전기 부하들로의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 공급이 제어되며, 이러한 전기 부하들에는 조명 시스템, 음향 시스템, 표시 스크린, 가열 설비, 및 원거리 통신을 위한 설비가 있다. 더욱이 케이블웨이 객실(35)은 송신/수신 안테나(38)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에 기초하여 아래에 밝혀진 것처럼, AC/DC 변환기 회로(4)는 트랙 롤러(33)들 상에 또는 안에 위치한 발전기(G1, G2, G3...Gn)의 출력이 라우트되는 복수의 AC/DC 변환기(41, 42, 43...4n)를 포함한다. AC/DC 변환기(41, 42, 43...4n)는 각각의 경우에, 공통 양방향 제어선(47)을 거쳐 그리고 공통 측정선(48)을 거쳐, 제어 유닛(40)에 연결되는 2개의 출력을 가지게 설계되었고, 이러한 제어 유닛(40)에 의해, 개별 AC/DC 변환기(41, 42, 43...4n)에 의해 출력되는 직류가 미리 정해진 동일한 전압을 가진다는 취지로, AC/DC 변환기(41, 42, 43...4n)가 제어되거나 조절된다. 제어 장치(40)는 입력/출력선(40a)을 가지게 설계되었다. 측정선(48)을 거쳐 AC/DC 회로(4)에 의해 출력선(49)에 출력되는 전류는, 전기 부하들 또는 배터리에 라우트된다.
AC/DC 변환기(41, 42, 43...4n)의 설계는 도 3에 기초하여 아래에 밝혀져 있다.
발전기(G)들 중 하나에 의해 발생된 전류의 3가지 상(phase)은 선(51)을 거쳐서 정류기(52)에 인가되고, 이러한 정류기(52)에 의해 발전기(G)에 의해 출력되는 교류가 굽이치는(undulatory) 직류로 변환된다. 정류기(52)에 의해 출력되는 직류는 선(52a)을 거쳐 DC/DC 전압 변환기(53)로 출력되고, 이러한 DC/DC 전압 변환기(53)에서는 이러한 직류의 전압이 일정한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환된다. DC/DC 전압 변환기(53)에 의해 출력되는 직류는 출력선(53a)을 거쳐 부하들에 공급된다.
발전기(G)에 의해 출력되는 전류의 전압 및 주파수가 확인되는 전압-및-주파수 측정 소자(54)는 발전기(G)의 출력선(51)에 연결되어 있다. 전류 측정 소자(55)와 전압 측정 소자(56)는 출력선(53a)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온도 센서(57)는 발전기(G)의 고정자 권선에 할당되어 있다. 게다가, 제어 회로(58)가 제공되고, 이러한 제어 회로(58)에 전압-및-주파수 측정 소자(54), 전류 측정 소자(55), 전압 측정 소자(56), 및 온도 센서(57)의 출력이 연결되어 있다. 제어선(58a)을 거쳐 연결된 DC/DC 전압 변환기(53)는 출력선(53a)을 거쳐 출력되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전압을 가진다는 취지로, 이러한 제어 회로(58)에 의해 감시되거나 제어된다. 출력선(53a)은 출력선(49)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도 2로부터 명백하다. 제어 회로(58)는 도 2에 나타낸 양방향 제어선(47)에 연결되어 있는 추가 선(59)을 가지게 설계되어 있다.
도 4와 도 4a에 나타낸 것처럼, AC/AC 변환기 회로(4)는 AC/DC 변환기(41, 42, 43...4n)가 위치하는 모듈(61, 62, 63...6n)이 삽입되는 프레임(60)을 가지는 모듈러 유닛(6)의 형태를 취한다. 모듈(61, 62, 63...6n)은 그리핑 릿지(gripping ridge)(61a, 62a, 63a...6n)를 가지게 설계되었다. 모듈러 유닛(6)을 배전기 회로(5)에 연결하는 것은 다극성 선(39)에 의해 행해지는데, 이러한 다극성 선(39)을 거쳐 미리 정해진 일정한 전압을 가지는 정류된 전류가 부하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출력된다.
더욱이, 모듈러 유닛(6)은 모듈(61, 62, 63...6n)에 할당되는 접촉 릿지(contact ridge)(7)를 가지게 설계되었다. 게다가, 모듈러 유닛(6)에는 LED(8)가 제공된다. 더욱이, 모듈러 유닛(6)은 송신/수신 안테나(38)를 가지게 설계되었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store)에, 롤러들, 특히 케이블웨이(cableway) 시스템의 트랙 롤러(33) 또는 지지 롤러에 위치한 복수의 발전기에 의해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발전기(G, G1, G2, G3...Gn) 각각의 출력은 각각의 AC/DC 변환기(41, 42, 43...4n)로 라우트(route)되고, 모든 AC/DC 변환기(41, 42, 43...4n)는, 적어도 거의 같은 일정한 전압이 그것들의 출력에서 생기며, 모든 AC/DC 변환기(41, 42, 43...4n)의 출력은 서로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는 취지로, 제어 유닛(40)에 의해 제어 또는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기(41, 42, 43...4n) 각각은 정류기(52)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기(52)의 출력은 DC/DC 전압 변환기(5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기(41, 42, 43...4n) 각각의 출력은 공통 양방향 제어선(47)을 거쳐 상기 제어 유닛(4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0)의 출력은 측정선 또는 출력선(48)을 거쳐 상기 AC/DC 변환기(41, 42, 43...4n)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0)은 입력/출력선(40a)을 가지게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파수 측정 소자(54)가 발전기(G)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2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류 측정 소자(55)와 전압 측정 소자(56)는 각각의 경우에 DC/DC 전압 변환기(53)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발전기(G, G1, G2, G3...Gn)에 온도 센서(57)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6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압-및-주파수 측정 소자(54), 전류 측정 소자(55), 전압 측정 소자(56), 및 온도 센서(57) 각각의 출력은 제어 회로(5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58)의 출력은 전압 변환기(5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77025862A 2015-03-19 2016-01-14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96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58/2015 2015-03-19
ATA158/2015A AT516963B1 (de) 2015-03-19 2015-03-19 Anlage zur Versorgung mindestens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bzw. eines Energiespeichers mit Gleichstrom
PCT/AT2016/000002 WO2016145463A1 (de) 2015-03-19 2016-01-14 Anlage zur versorgung mindestens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bzw. eines energiespeichers mit gleichst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539A true KR20170117539A (ko) 2017-10-23
KR102096918B1 KR102096918B1 (ko) 2020-04-06

Family

ID=5527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862A KR102096918B1 (ko) 2015-03-19 2016-01-14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0727674B2 (ko)
EP (1) EP3271989B1 (ko)
JP (1) JP6607953B2 (ko)
KR (1) KR102096918B1 (ko)
CN (1) CN107258043B (ko)
AR (1) AR103932A1 (ko)
AT (1) AT516963B1 (ko)
AU (1) AU2016232967B2 (ko)
BR (1) BR112017017375B1 (ko)
CA (1) CA2978967C (ko)
CL (1) CL2017002246A1 (ko)
CO (1) CO2017008621A2 (ko)
MA (1) MA41774A (ko)
MX (1) MX365220B (ko)
NZ (1) NZ734900A (ko)
PE (1) PE20171750A1 (ko)
RU (1) RU2678574C1 (ko)
TN (1) TN2017000298A1 (ko)
WO (1) WO2016145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8450B2 (en) * 2016-12-12 2021-12-14 Ropetrans Ag Method for operating a cable car system and cable car system for carrying out this operating method
CN110719867A (zh) 2017-06-02 2020-01-21 创新专利有限公司 缆线牵引的运输设备和用于操作缆线牵引的运输设备的方法
FR3069512B1 (fr) * 2017-07-27 2019-08-23 Vinci Construction Installation de transport a cable ou analogue, et vehicule adapte a une telle instal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980A (ja) * 2002-08-22 2004-03-11 Hitachi Ltd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US20080276826A1 (en) * 2007-05-07 2008-11-13 Innova Patent Gmbh Device for Conveying People and/or Good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598A (ja) 1992-11-30 1994-06-14 Shinko Electric Co Ltd 自然エネルギによる発電システム
JP2833460B2 (ja) 1993-12-27 1998-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源システム
JP2005297635A (ja) 2004-04-07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電源装置
DE102006034142A1 (de) 2006-07-24 2008-01-31 B.R.A.H.M.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der Therapie von Patienten mit Herzinsuffizienz anhand der vitro Bestimmung von Schwellenwerten von vasoaktiven Peptiden
JP2008131736A (ja) * 2006-11-21 2008-06-05 Yaskawa Electric Corp 分散型電源システムと昇降圧チョッパ装置
ITMI20070835A1 (it) 2007-04-20 2008-10-21 Rolic Invest Sarl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e metodo di azionamento dello stesso
JP5354892B2 (ja) * 2007-11-26 2013-11-27 ニッコー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JP4908455B2 (ja) 2008-05-20 2012-04-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用ファン装置および風力発電装置
GB0819561D0 (en) 2008-10-27 2008-12-03 Rolls Royce Plc A distributed electrical generation system
US20110285130A1 (en) 2009-01-30 2011-11-24 Jan Thisted Power System Frequency Inertia for Wind Turbines
CA2708001A1 (en) * 2009-07-13 2011-01-13 Lineage Pow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the outputs of multiple, disparate types of power sources
GB201006252D0 (en) 2010-04-15 2010-06-02 Rolls Royce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generation
AT510677B1 (de) * 2011-03-04 2016-07-15 Austro Engine Gmbh Stromversorgungseinrichtung mit zumindest zwei energiequellen
DE102011014536A1 (de) * 2011-03-18 2012-09-20 Psw-Energiesysteme Gmbh Elektroniksystem mit einem Wechselrichter
AT512298B1 (de) 2012-02-06 2013-07-15 Innova Patent Gmbh Rolle, insbesondere laufrolle bzw. tragrolle für seilbahnanlagen
JP5829186B2 (ja) 2012-07-18 2015-12-09 株式会社スカイ電子 交流発電機の直流平滑化装置
US8912674B2 (en) * 2012-10-15 2014-12-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selecting wind turbine generators in a wind park for change of output power
US10333299B2 (en) * 2013-03-05 2019-06-25 Abb Schweiz Ag Power converter and methods for increasing power delivery of soft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980A (ja) * 2002-08-22 2004-03-11 Hitachi Ltd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US20080276826A1 (en) * 2007-05-07 2008-11-13 Innova Patent Gmbh Device for Conveying People and/or Goo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타참증 - 첨부파일명 없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32967A1 (en) 2017-08-10
EP3271989B1 (de) 2022-12-21
PE20171750A1 (es) 2017-12-12
NZ734900A (en) 2019-07-26
EP3271989A1 (de) 2018-01-24
CA2978967C (en) 2019-08-20
TN2017000298A1 (en) 2019-01-16
JP2018512834A (ja) 2018-05-17
RU2678574C1 (ru) 2019-01-30
MX2017011077A (es) 2017-11-10
CL2017002246A1 (es) 2018-01-12
KR102096918B1 (ko) 2020-04-06
CO2017008621A2 (es) 2017-09-11
AU2016232967B2 (en) 2018-08-30
BR112017017375A2 (pt) 2018-04-03
JP6607953B2 (ja) 2019-11-20
CN107258043B (zh) 2020-11-17
CA2978967A1 (en) 2016-09-22
WO2016145463A1 (de) 2016-09-22
AR103932A1 (es) 2017-06-14
US10727674B2 (en) 2020-07-28
US20180048156A1 (en) 2018-02-15
MX365220B (es) 2019-05-28
MA41774A (fr) 2018-01-23
AT516963A4 (de) 2016-10-15
BR112017017375B1 (pt) 2022-09-27
AT516963B1 (de) 2016-10-15
CN107258043A (zh)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5299B2 (en) Elevat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0189679B2 (en) Elevator car power supply
KR102096918B1 (ko)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RU2480355C2 (ru) Система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JP4981973B2 (ja) 架線レス交通システムの充電システム
JP2013066364A5 (ja) 蓄電装置、蓄電システム、電力消費装置および電動車両
WO2011151465A3 (de) Turm für eine windturbine
KR100378604B1 (ko) 고압 송전선의 유도 전류를 이용한 송전선 무인 감시 시스템
CN106505930B (zh) 一种基于长距离物料输送装置多传控制方法
AU2016234948A1 (en) Improved power supply system for an overhead contact line
GB2067490A (en) Tracked conveyors driven by stepping motors
JP2015107766A (ja) 駅舎電源装置
CN110077287B (zh) 用于有色矿山地面窄轨牵引供电线路的架设装置
CN208440181U (zh) 一种单梁吊装行车电控系统
CN103370630A (zh) 接地检测电路
RU165424U1 (ru) Устройство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ассажирского вагона
JP2010120513A (ja) 電気鉄道用交流き電装置
WO2009014426A1 (en) Construction element for supllying electrical power to a rail vehicle and electrical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such a construction element
CN202076797U (zh) 临时车间集中分控式供电系统
RU57983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дольной емкостной компенсации на посту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