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443A -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443A
KR20170117443A KR1020177024007A KR20177024007A KR20170117443A KR 20170117443 A KR20170117443 A KR 20170117443A KR 1020177024007 A KR1020177024007 A KR 1020177024007A KR 20177024007 A KR20177024007 A KR 20177024007A KR 20170117443 A KR20170117443 A KR 2017011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iper
membrane
duc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럴드 카요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17011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60S1/482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combined with the operation of windscreen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7Liquid supply therefor the liquid being heated
    • B60S1/488Liquid supply therefor the liquid being heated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4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arranged in wipe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41Multiple-way valves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72One-way valve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45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23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the seat being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luid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ift Valv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특히 차량 윈드쉴드 세정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11)가, 유체의 통과를 위한 덕트(43)를 한정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유체 입구(45)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출구(47, 49)를 포함하는, 몸체(41), 덕트 내에 수용되며 그리고, 자기장의 작용 하에서,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폐쇄의 제1 위치와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개방의 제2 위치 사이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멤브레인(53), 및 멤브레인이 변형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하기 위해 덕트 내부에 자기장을 생성하는 수단(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
본 발명은, 특히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윈드쉴드 세정 장치를 보유하는 윈드쉴드 와이퍼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와이퍼는 하나 또는 2개의 윈드쉴드 세정액 분사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들이 공지된다. 하나의 매니폴드(단일-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와이퍼의 경우에, 매니폴드는, 윈드쉴드 상으로 윈드쉴드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해, 와이퍼의 일 측부 상에서 연장된다. 액체는 일반적으로, 즉시 닦이도록 그리고 운전자의 시야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하는 와이퍼의 앞쪽으로 분사된다. 예를 들어, 액체는, 상향 방향에서 분사되며 그리고 분사는 하향 방향에서 아암의 이동을 위해 중지된다. 일부 적용에서, 물은, 액체가 제거되어야만 하는 오염물질들과 상호작용할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 와이퍼의 뒤쪽에 분사될 수 있다.
매니폴드로의 윈드쉴드 세정액의 공급은, 차량의 후드 아래에 배치되는 윈드쉴드 세정액 탱크로부터 윈드쉴드 세정액을 취하는, 단일-채널 펌프로부터 매니폴드로 액체를 급송하기 위한 파이프를 필요로 한다.
2개의 매니폴드(이중-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와이퍼의 경우에, 와이퍼의 각 측부 상에 매니폴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매니폴드들은, 와이퍼의 회전에 대한 상향 방향 및 하향 방향으로 교대로, 윈드쉴드 세정액을 윈드쉴드 상으로 분사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매니폴드들로의 윈드쉴드 세정액의 공급은, 탱크로부터 액체를 취하는, 2-채널 펌프로부터 매니폴드들로 액체를 급송하기 위한 2개의 별개의 파이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분사 매니폴드들까지 이러한 2개의 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은, 특히 그를 따르는 이용 가능한 내부 공간이 작은 와이퍼 구동 아암들의 레벨에서, 비교적 복잡하다.
또한, 아암 상의 2개의 가시적 파이프는 흔히, 상대적으로 미학적이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며, 액체 공급 장치의 시각적 외양을 개선하기 위한 요구가 또한 존재한다.
2개의 파이프는 또한, 공기역학적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들을 완화하기 위해, 2개의 분사 매니폴드가, 상기 매니폴드들이 단일-채널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 파이프에 연결되는 와이퍼 시스템들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윈드쉴드 세정액은, 선택된 분사 매니폴드 또는 매니폴드들 내로 윈드쉴드 세정액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에 의해, 상기 분사 매니폴드들 중의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 내로 분배된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단일-채널 펌프로부터 하나 또는 2개의 (또는 그보다 많은) 분사 매니폴드들로 윈드쉴드 세정액을 분배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밸브에 의해, 이러한 기술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밸브는, 이러한 특정 적용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유체의 분배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적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특히 차량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로서, 유체의 통과를 위한 덕트를 한정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유체 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몸체, 덕트 내에 수용되며 그리고,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폐쇄의 제1 위치와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개방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자기장에 의해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멤브레인, 및 멤브레인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해 덕트 내부에 자기장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밸브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따라서, 자기장에 의해 제어되며, 그러한 자기장의 인가는, 멤브레인의 이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기술은 유리하게, 기술적 제약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출원에서,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폐쇄(개별적으로, 개방)은, 덕트의 적어도 하나의 입구 또는 출구의 폐쇄(개별적으로, 개방)를 의미한다. 멤브레인은, 인가되는 자가장의 부재에 대응하여, 자체의 제1 위치에서, 덕트의 적어도 일부를, 특히 덕트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위치에서, 멤브레인은, 비-평면 형상의 윤곽을 구비할 수 있다.
자기장의 인가 시, 멤브레인은 변형되며 그리고 제2 위치로 지칭되는, 자기장 선들에 따른 위치를 취한다. 이러한 제2 위치에서, 멤브레인은, 덕트의 내측 벽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착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이러한 제2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의 윤곽을 구비할 수 있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예를 들어 중합체 재료로, 특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멤브레인은, 자성 입자들을 함유한다. 상기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작용될 때, 자성 입자들은, 멤브레인을 변형시킬 수 있다. 자기장의 인가는 따라서, 멤브레인의 변형 및 덕트의 개방 또는 폐쇄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 멤브레인에 의해 보유되는 입자들은, 자기장의 인가 시 자기장 선들과 정렬될 것이며, 멤브레인의 변형 및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멤브레인의 이동으로 이어질 것이다.
멤브레인은, 덕트의 내측 벽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장을 생성하는 수단은 바람직하게, 멤브레인을 수용하는 덕트의 부분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와이어의 권선(winding)을 포함한다. 이러한 권선은, 전원에 연결되도록 의도되는, 코일 또는 솔레노이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로 고려될 수 있다. 자기장을 유도하는 것은, 권선 내의 전류의 흐름이다.
이러한 권선은,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체 결빙의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밸브는, 유체 파이프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밸브는 이러한 유형의 파이프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유체 입구는, 펌프로부터 나오는 급송 파이프에 자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및/또는 유체 출구는, 분사 매니폴드에 자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분사 매니폴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는 임의의 차량 윈드쉴드 세정액 분사 장치를 의미하며, 그리고 분사 매니폴드는, 예를 들어 복수의 분사 노즐을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매니폴드는, 단순한 노즐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은, 펌프, 예를 들어 단일-채널 펌프,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및, 상기 밸브에 의해 펌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밸브는, 예를 들어, 와이퍼 상에 위치하게 된다.
단일-매니폴드 와이퍼의 경우에, 밸브는, 펌프에 연결되는 입구, 및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출구를 구비하며, 그리고 2-포트 밸브로 지칭된다. 이중-매니폴드 와이퍼의 경우에, 밸브는, 3-포트 유형이며, 그리고 펌프에 연결되는 입구 및 개별적인 매니폴드들에 연결되는 2개의 출구를 구비한다.
밸브는, 와이퍼를 상기 와이퍼의 구동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 내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밸브는, 와이퍼의 끝단 부속품 내로 통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퍼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어 분사 매니폴드가 그 위에 위치하게 되는, 와이퍼 구동 아암을 포함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시스템과 함께 구비되는 차량의 후드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밸브는, 와이퍼 아암 내로 통합되는 노즐들 또는 매니폴드들에 급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동일한 원리로 분사를 제어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 운전자 지원 장치를, 특히 이미징 수단 또는 전자기적 검출 수단을, 세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상의 정의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유체 분배 밸브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미징 수단"은 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를 의미하며 그리고 "전자기적 검출 수단"은 예를 들어 레이더 또는 라이다(lidar) 수단을 의미한다. 센서들이, 그 중 하나의 잘 알려진 예가 주차 지원인, 특정 운전 상황에서, 차량의 운전자를 지원하기 위해, 점증적으로 다수의 자동차에 조립된다. 이러한 지원이 가능한 한 효과적이 되도록 하기 위해, 이미징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이미지들 또는 레이더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가능한 한 최상의 품질의 것이어야만 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차량의 외부를 향해 지향하는 이러한 센서들의 표면들이 깨끗하도록 하는 것이 본질적이다. 이를 위해, 센서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가, 센서와 연계될 수 있으며 그리고 검출이 일어나기 이전에 상기 센서 상으로 세정 유체의 유동을 분사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센서들이 작동하고 있을 때 세정 장치가 검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세정 장치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정 절차(cleaning sequence)의 시작 및 지속시간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필요한 경우 사용 이후에 세정 장치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유익하다. 더불어, 세정 장치는, 차량의 전체 크기에 관한 제약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콤팩트해야만 한다. 나아가, 그러한 장치들이, 기체들이든지 또는 액체들이든지, 상이한 유체들의 분사를 가능하게 한다는 요건이 존재한다. 실제로, 세정액이 센서 상으로, 예를 들어 이미징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상으로, 자체로부터 먼지를 털어내기 위해, 분사되는 경우, 그러한 액체가 이후에 남길 수 있는 흔적(물방울, 줄무늬, 등)에 의한 이미지들의 어떠한 오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를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포함하는 이러한 종류의 세정 시스템과 더불어 이러한 종류의 운전 지원 장치를 장착하는 것은 따라서, 특히 유리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콤팩트하며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운전 지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에 대한 요구를 회피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 또는 하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특히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폐쇄의 제1 위치로부터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개방의 제2 위치로, 상기 덕트 내에 수용되는 멤브레인을 이동시키기 위해, 밸브의 덕트 내부에 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뒤따르는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은 더욱 잘 이해될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들, 특징들 및 이점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 도 2는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의 사시도이며,
- 도 3 및 도 4는, 축 방향 단면도로, 이중-매니폴드 와이퍼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2개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그리고
-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와 유사한 단면도로, 단일-매니폴드 와이퍼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용어들 "종 방향의" 및 "횡 방향의"는, 와이퍼가 그 위에 장착되는, 구동 아암에 대한 배향을 지칭한다. 종 방향은, 아암이 그를 따라 연장되는, 아암의 주된 축에 대응하며, 그리고 횡 방향은, 동일점에서 교차하는, 즉 종 방향을 가로지르는, 특히 자체의 회전 평면에서의 아암의 종 방향 축에 수직인, 직선 선분들에 대응한다. 종 방향에 대해, 용어 "전방" 및 "후방"은, 와이퍼가 아암에 고정되는 지점에 상대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용어 "전방"은 아암의 말단부로부터의 방향을 그리고 용어 "후방"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더불어,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지칭되는 방향들은, 아암의 회전 평면에 수직인 배향들에 대응하며, 용어 "아래쪽"은 윈드쉴드의 평면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동차의 윈드쉴드(3)를 닦기 위한 시스템(1)을 도시하는 도 1을 우선 참조하면, 그러한 시스템은 여기에서, 구동 아암(7)으로부터 탈착되어 도시되는, 윈드쉴드(3)를 닦기 위한 이중-매니폴드 와이퍼(5)를 포함한다. 와이퍼(5)는, 와이퍼 상에 장착되는 2개의 윈드쉴드 세정액 분사 매니폴드(9)를 포함한다.
와이퍼 시스템(1)은, 각 매니폴드(9)에 대한 윈드쉴드 세정액의 선택적 분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11), 윈드쉴드 세정액 급송 펌프(15), 및 펌프(15)로부터 밸브(11)로 윈드쉴드 세정액을 급송하기 위한 급송 파이프(13)를 포함하는, 윈드쉴드 세정액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밸브(11)는, 2개의 파이프(17)에 의해 매니폴드들(9)에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와이퍼 시스템(1)은 실질적으로 윈드쉴드(3)의 중심에 배치되는, 단일 와이퍼(5)를 포함한다. 와이퍼 시스템(1)은 대안적으로, 하나는 운전자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다른 하나는 조수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2개의 와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매니폴드들(9)은, 각 측부에 그리고 자체의 종방향 축 상에서, 실질적으로 와이퍼의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이러한 매니폴드들(9)은, 따라서, 와이퍼를 따라 윈드쉴드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맞춰진다.
와이퍼(5)는 구동 아암(7) 상에 장착되며, 따라서 와이퍼는, 실질적으로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일부에서 윈드쉴드 위에서의 주기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윈드쉴드(3)를 닦도록, 구동 아암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매니폴드(9)에 윈드쉴드 세정액을 급송하기 위한 펌프(15) 자체는, 여기에서 가요성 파이프인 급송 파이프(13)에 의해 밸브(11)에 그리고, 액체가 그로부터 매니폴드(9)에 공급되도록 취해지는, 윈드쉴드 세정액 용기(21)에 연결된다.
급송 파이프(13) 및, 바람직하게 파이프(13)에 연결되는, 밸브(11)의 전기적 전원 케이블(25)은,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암(7) 내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차량의 후드(23) 아래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11)는, 아암(7)의 말단부(31)에, 예를 들어 아암 헤드 부품(arm headpiece)의 레벨에, 장착될 수 있다.
밸브(11)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9)에 대한 밸브(11)의 유압식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유압 커넥터(33)에 통합되며, 따라서 적어도 자체의 2개의 출구가, 와이퍼에 연결되도록 의도되는 유압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유압 커넥터(33)는, 도 2에 도시되지 않는 아암(7)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와이퍼(5)는, 기계적 커넥터(35) 및, 기계적 커넥터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아암(7) 상에 잠금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어댑터(36)를 더 포함한다.
밸브(11) 및 펌프(15)는, 밸브 및 펌프의 결합된 제어를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차량의 차체 컨트롤러인, 제어 유닛(37)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 유닛(37)은, 복수의 구별되는 작동 모드에 따라, 밸브(11) 및 펌프(15)의 작동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드들 중 하나는, 세정 사이클에서, 연관된 닦기 사이클에서의 윈드쉴드(3) 상에서의 와이퍼(5)의 다양한 위치들의 함수로서, 펌프(15)의 연속적인 활성화 및 밸브(11)의 선택적인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1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인, 도 3 및 도 4를 이어서 참조한다.
밸브(11)는, 윈드쉴드 세정액을 위한 덕트(43)를 한정하며 그리고 여기에서 입구(45) 및 2개의 출구(47, 49)를 포함하는, 몸체(41)를 포함한다. 제1 출구(47)는, 예를 들어, 입구와 정렬되며 그리고, 제2 출구(49)는 횡방향이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입구(45)에 수직이고, 덕트(43)는 따라서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이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밸브의 입구(45)는, 파이프(13)에 의해 펌프(15)에 연결되며 그리고 밸브의 출구들(47, 49)은 개별적인 파이프들(17)에 연결된다.
몸체(41)는, 입구(45) 및 제1 출구(47)를 한정하는 메인 부분(41a), 그리고 제2 출구(49)를 한정하는 가지부(41b)를 포함한다. 몸체의 메인 부분(41a)은, 코일 또는 솔레노이드를 형성하며 그리고 제어 유닛(37)의 전원 케이블(25)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전원에 연결되는, 전기 와이어(들)로 구성되는 권선(51)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러한 권선(51)은, 몸체의 부분(41a) 상에서 하나 이상의 층의 전기 와이어의 형태를 취한다. 대안적으로, 권선(51)은, 덕트(43)의 둘레에서 그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도록, 밸브의 몸체(41)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밸브(11)는, 덕트(43)의 적어도 부분적 폐쇄의 제1 위치(도 3)와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개방의 제2 위치(도 4) 사이에, 이동형 멤브레인(53)을 더 포함한다.
3-채널 밸브의 덕트의 T-자 형상은, 본 발명에 관해 제한하지 않는다. 입구 및 2개의 출구는 따라서, 이동형 멤브레인의 형상에 그리고 시스템 내로의 밸브의 통합에 적합한, Y-자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멤브레인(53)이 자체의 제1 위치(도 3)에 있을 때, 멤브레인은, 덕트의 제1 출구(47)를 차단하며 그리고 자체의 제2 출구(49)를 자유롭게 남겨둔다. 펌프(15)가 활성화될 때, 윈드쉴드 세정액은, 와이퍼(5)의 매니폴드들(9) 중 하나로 윈드쉴드 세정액을 급송하기 위해(화살표(55)), 밸브의 입구(45)로부터 제2 출구(49)로 유동한다.
멤브레인(53)이 자체의 제2 위치에 놓일 때, 멤브레인은, 덕트의 제2 출구(49)를 차단하며 그리고 자체의 제1 출구(47)를 자유롭게 남겨둔다. 펌프(15)가 활성화될 때, 윈드쉴드 세정액은, 화살표(57)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퍼(5)의 다른 매니폴드(9)로 윈드쉴드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해, 밸브의 입구(45)로부터 제1 출구(47)를 향해 유동한다.
멤브레인(53)은, 덕트(43) 내에서 그리고 특히 멤브레인을 수용하는 덕트의 부분 내에서,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형된다.
여기에서, 멤브레인(53)은, 덕트의 메인 부분(41a) 내에 수용된다. 여기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의 부재 시에, 멤브레인(53)은 도 3에 도시되는 제1 위치에 놓인다. 권선(51)에 대한 전력의 공급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장의 인가 시에 즉시, 멤브레인(53)은 변형되며 그리고 도 4에 도시되는 제2 위치를 취한다.
이를 위해, 멤브레인(53)은, (중합체 재료와 같은) 유연성 또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자기장이 작용될 때, 멤브레인을 변형시키도록 그리고 멤브레인을 자체의 제1 위치로부터 자체의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의도되는, 자성 입자들을 함유한다. 자기장의 인가 시에, 멤브레인에 의해 보유되는 입자들은, 자기장 선들(59)에 평행하게 정렬되며, 이는 멤브레인(53)을 변형시킨다.
도시된 예에서, 멤브레인(53)은, 실질적으로 자체의 중심에서, 몸체의 메인 부분(41a)의 내측 벽에 고정된다. 멤브레인은, (덕트(43) 내에서의 액체의 유동의 방향에 관한) 상류측 부분(61)을 포함하며, 상류측 부분은, 상류측 부분이 덕트 내에서 제2 출구(49)의 입구부(63)의 둘레 에지에 작용하게 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그러한 출구(49)를 차단(도 4)하는 위치와, 상류측 부분의 자유단이 입구부(63)를 바라보도록 위치하게 되는 덕트(43)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제1 출구(47)를 차단(도 3)하는 위치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멤브레인(3)은 또한, 하류측 부분(65)을 포함하며, 하류측 부분은, 하류측 부분이 입구부(63)와 같은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덕트(43)의 내측 표면에 작용하게 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제1 출구(47)를 자유롭게 남겨두는(도 4) 위치와, 하류측 부분의 자유단이 입구부(63) 반대편 측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덕트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제1 출구(47)를 차단(도 3)하는 위치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자체의 위치에서, 멤브레인(53)은, 덕트의 내측 벽(43)에 고정되는 U-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을 갖는 중간 부분을 구비하며, 그리고 그의 가지부들이, 개별적으로 상기한 상류측 부분(61) 및 하류측 부분(65)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멤브레인(53)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을 구비한다.
멤브레인(53)의 대략적 형상은, 특히 덕트(43)의 단면의 형상에 의존한다. 덕트(43)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구비할 때, 멤브레인(53)은 직사각형의 대략적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멤브레인(53)은 이때, 도 4에서 덕트(43)의 평면형 내측면에 대해 압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자체의 상류측 부분(61) 및 하류측 부분(65)은 각각, 자체의 둘레 에지들이 도 3의 덕트의 다른 내측면들과 유체-밀봉 방식으로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덕트(43)가 원형 단면 형상을 구비할 때, 멤브레인(53)의 상류측 부분(61) 및 하류측 부분(65)은 각각, 원형의 또는 장타원형의 대략적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로부터의 와이퍼 시스템(1) 및 밸브(11)는, 뒤따르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와이퍼(5)가, 윈드쉴드 세정액을 공급 받아야만 할 때, 제어 유닛(37)은, 용기(21)로부터의 윈드쉴드 세정액을 밸브로 급송하는 펌프(15)를 활성화한다. 밸브(11)의 권선(51)은, 이러한 단계에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도록 유지되어, 멤브레인(53)이 도 3에 도시되는 제1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윈드쉴드 세정액은, 예를 들어 상향 방향으로의 와이퍼의 회전 도중에, 제2 출구(49)에 연결되는 와이퍼의 매니폴드로 공급된다. 제어 유닛(37)은 이때, 밸브(11)를 활성화하며, 즉, 권선(51)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활성화한다. 멤브레인(53)은 이때, 도 4에 도시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윈드쉴드 세정액은, 예를 들어 하향 방향으로의 와이퍼의 회전 도중에, 제1 출구(47)에 연결되는 와이퍼의 매니폴드로 유동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이러한 밸브(11)는, 입구(45) 및 단지 하나의 출구(47)를 포함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2-포트 유형이고, 이는, 단일-매니폴드 와이퍼에 세정액을 급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관해 사용되는 참조 부호들이, 도 5 및 도 6에서 동일한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다시 사용된다.
한편으로 도 3 및 도 4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들 사이의 본질적인 구조적 차이는, 밸브의 몸체(41)가 가지부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 5에 도시된 자체의 제1 위치에서, 멤브레인(53)은, 덕트(43)를 완전히 차단하며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자체의 제2 위치에서, 멤브레인은, 덕트(43)를 자유롭게 남겨둔다.
제어 유닛(37)은, 도 5 및 도 6으로부터의 펌프(15) 및 밸브(11)의 동시 활성화를 명령할 수 있으며, 윈드쉴드 세정액은 이때, 용기(21)로부터, 밸브(11)의 덕트(43)를 통해, 와이퍼의 단일 매니폴드로 유동한다. 본 발명은, 설명된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특히 차량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1)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11)로서,
    유체의 통과를 위한 덕트(43)를 한정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유체 입구(45)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출구(47, 49)를 포함하는, 몸체(41), 덕트 내에 수용되며 그리고,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폐쇄의 제1 위치와 덕트의 적어도 부분적 개방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자기장에 의해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멤브레인(53), 및 멤브레인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해 덕트 내부에 자기장을 생성하는 수단(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53)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멤브레인(53)은 자성 입자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멤브레인(53)은, 덕트(43)의 내측 벽(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밸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51)은, 멤브레인(53)을 수용하는 덕트(43)의 부분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와이어의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권선(51)은,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밸브.
  7.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1)을 위한 유압 커넥터(33)로서,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밸브(11)를 포함하는 것인, 유압 커넥터.
  8.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1)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밸브(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
  9.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10)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5) 및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밸브(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펌프(15) 및 밸브(11)에 의해 펌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매니폴드(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5)를 구동하기 위한 아암(7)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밸브(11)는, 와이퍼(5)를, 상기 와이퍼를 구동하기 위한 아암(7)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33, 35, 36) 내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9)는, 와이퍼(5)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9)는, 아암(7)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쉴드 와이퍼 시스템.
  15. 자동차 운전 지원 장치를, 특히 이미징 수단 또는 전자기적 검출 수단을, 세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유체 분배 밸브(11)를 포함하는 것인, 세정 시스템.
KR1020177024007A 2015-01-30 2015-12-17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 KR20170117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0729 2015-01-30
FR1550729A FR3032162B1 (fr) 2015-01-30 2015-01-30 Vanne de distribution de fluide pour un systeme de distribution de liquide lave-glace de vehicule
PCT/EP2015/080237 WO2016119974A1 (fr) 2015-01-30 2015-12-17 Vanne de distribution de fluide pour un système de distribution de liquide lave-glace de véh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443A true KR20170117443A (ko) 2017-10-23

Family

ID=5277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007A KR20170117443A (ko) 2015-01-30 2015-12-17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01233B2 (ko)
EP (1) EP3250422B1 (ko)
JP (1) JP6804457B2 (ko)
KR (1) KR20170117443A (ko)
CN (1) CN107206972B (ko)
FR (1) FR3032162B1 (ko)
WO (1) WO2016119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4602B2 (ja) * 2017-02-23 2020-10-2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異物除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装置
SE542082C2 (en) * 2017-05-02 2020-02-18 Husqvarna Ab Valve, use of such valve, separator comprising such valve and method of cleaning a separator body
DE102018212050A1 (de) * 2018-07-19 2020-01-23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DE102019217192A1 (de) * 2019-11-07 2021-05-1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vorrichtung, Wischblatt mit der Wischblattadaptervorrichtung und Scheibenwischer mit dem Wischblat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116U (ko) 1973-07-27 1975-04-16
DE2638879A1 (de) * 1976-08-28 1978-03-02 Daimler Benz Ag Rueckschlagventil
JPS58118062U (ja) * 1982-02-08 1983-08-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洗浄液噴射装置
DE3208108A1 (de) * 1982-03-06 1983-09-0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ischer anschluss fuer elektrisches aggregat
JPS61165254U (ko) * 1985-04-02 1986-10-14
GB8804359D0 (en) 1988-02-25 1988-03-23 Trico Folberth Ltd Washer arrangement for windscreen wiper
US5118071A (en) * 1988-11-01 1992-06-02 Dr. Huelle Energie, Engineering Gmbh Electronically driven control valve
US4969424A (en) 1989-06-21 1990-1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diaphragm valve
JP2738054B2 (ja) * 1989-09-18 1998-04-08 横河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バルブ
DE4117109C2 (de) * 1991-05-25 1996-04-04 Teves Gmbh Alfred Wisch- und Waschanlage, insbesondere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H09286307A (ja) * 1996-04-22 1997-11-04 Fuji Heavy Ind Ltd ウインドウォッシャ液急速加熱装置
IL120858A (en) * 1997-05-19 2001-01-11 Q Core Ltd Magnetic flow controller
ES1039824Y (es) * 1998-04-08 1999-06-01 Bitron Ind Espana Sa Electrovalvula proporcional reguladora de caudal por membrana de efecto directo.
US20040265150A1 (en) * 2003-05-30 2004-12-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agnetic membrane system
JP2005014787A (ja) * 2003-06-26 2005-01-20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ウインドウォッシャ装置及びウインドウォッシャ液加熱装置
JP2007298126A (ja) * 2006-05-01 2007-11-15 Shimadzu Corp バルブ機構及び流路基板
EP1918167A1 (en) * 2006-10-30 2008-05-07 Valeo Systèmes d'Essuyage A device for attachment to a wiper blade
US7596828B2 (en) * 2007-08-27 2009-10-06 Evdokimo Arnold W Multiple blade windshield wiper
EP2106978B1 (en) * 2008-03-31 2017-03-08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DE102009059118A1 (de) 2009-12-19 2011-06-22 Daimler AG, 70327 Wisch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schanlage für einen Kraftwagen
CN103118908B (zh) * 2010-09-22 2016-01-13 特瑞克产品公司 具有流体歧管安装系统的梁片式风挡刮水器组件
FR2967954B1 (fr) * 2010-11-29 2012-12-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ircuit de distribution de liquide lav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JP5803831B2 (ja) * 2012-07-23 2015-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光学センサ用洗浄装置
FR2994148B1 (fr) * 2012-07-31 2015-01-0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et procede d'alimentation en liquide lave glace d'un systeme d'essuyage pour pare brise de vehicule
JP5956376B2 (ja) 2012-09-11 2016-07-27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69037A1 (en) 2017-12-28
CN107206972B (zh) 2021-07-27
JP2018508721A (ja) 2018-03-29
JP6804457B2 (ja) 2020-12-23
EP3250422B1 (fr) 2021-06-30
EP3250422A1 (fr) 2017-12-06
US11001233B2 (en) 2021-05-11
WO2016119974A1 (fr) 2016-08-04
CN107206972A (zh) 2017-09-26
FR3032162B1 (fr) 2017-02-17
FR3032162A1 (fr)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3889B2 (ja) ウォッシャノズル付カメラおよびウォッシャノズル
KR20170117443A (ko) 차량용 윈드쉴드 세정액 분배 시스템을 위한 유체 분배 밸브
US8832900B2 (en) Windshield washer system
CN105480202B (zh) 用于擦拭玻璃的机动车辆表面的风挡擦拭器、系统和方法
US9333949B2 (en) Washer system for vehicle
CN105499183A (zh) 用于清洁机动车辆驾驶辅助摄像头的装置
JP2019521899A (ja) 光学センサを洗浄するための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を備えるアセンブリ、及び対応する自動車
KR102330112B1 (ko) 차량의 유리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시스템
CN102652083A (zh) 用于汽车的刮水装置和用于运行刮水装置的方法
JP2012035654A (ja) 車載カメラ用ノズル装置、清掃装置付き車載カメラ、及び車載カメラ用清掃システム
WO2019097876A1 (ja) 洗浄装置および検出装置
WO2012089479A1 (en) Controller of a wiper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wiper system of a motor vehicle
CN111032451A (zh) 车牌板灯单元以及具备车牌板灯单元的车辆
JP2018184023A (ja) 車載カメラ洗浄装置
JP2020001498A (ja) 車両用清掃装置、車両用清掃システム及び車両用清掃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274833B2 (ja) 車両のガラス面を洗浄するシステム
KR20160096554A (ko) 차량의 윈도우 와이퍼용 노즐
JP2017140873A (ja) ワイパ制御装置
JP2023546220A (ja) 自動車両用洗浄システム
EP3210841A1 (en) Blade connector, wiper blade and wiper device for a vehicle
JP7156042B2 (ja) 車両用清掃装置
JP5876355B2 (ja) ウインドウウォッシャ装置
JP2017081532A (ja) 自動車の液体用導管のためのアダプタ及び液体分配装置
CN217048561U (zh) 用于清洁车辆的传感器的流体分配组件和机动车辆
JP2006199201A (ja) 車両用灯具クリーナ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