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093A -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093A
KR20170117093A KR1020177023600A KR20177023600A KR20170117093A KR 20170117093 A KR20170117093 A KR 20170117093A KR 1020177023600 A KR1020177023600 A KR 1020177023600A KR 20177023600 A KR20177023600 A KR 20177023600A KR 20170117093 A KR20170117093 A KR 20170117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susceptor
refriger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빙 저우
수에리 쳉
빈 페이
리용 루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얼 조인트 스탁 씨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얼 조인트 스탁 씨오.,엘티디.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얼 조인트 스탁 씨오.,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11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3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thrott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6Fan casings comprising more than on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출원는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분류 송풍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 및 여러개의 공기 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제어를 받아서 각 공기 배출구에 대해 전부 덮기, 일부 덮기 또는 전부 노출을 실시하여, 여러 공기 배출구의 각 공기 배출 면적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절 파트; 및 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로부터 하우징으로 흘러들러가 여러 공기 배출구중의 하나 또는 여러개를 거쳐 하우징에서 흘러나오도록 구성된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풍의 유로 및 유량에 대해 통일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송풍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본 출원은 냉각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년간, 사람들의 생활 수준의 제고 및 환경 의식에 대한 강화에 따라, 냉장고에 대한 요구는 점차 저온 냉각을 만족시키는 것으로부터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옮겨졌다. 하여 공기 냉각 냉장고(air-cooled refrigerator)가 차츰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공기 냉각 냉장고에 대해 말하자면, 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성능은 대부분 공기 냉각 냉장고 저장실내의 기류 순환 및 박스 내 각 부분 사이의 온도 차이에 달렸다. 박스내 기류 순환이 합리적이고, 온차가 작을수로, 냉장고의 신선도 유지 성능이 훌륭하다. 냉장고 기류 순환이 합리한지에 달린 관건적 조립 부품은 바로 풍로이며, 이는 냉장고의 풍향 및 유량크기를 제어하였으며, 냉장고의 신선도 유지 효과를 직접 결정한다.
이외, 저장 공간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한 개의 저장실은 일반적으로 선반 또는 서랍 등 방치 장치로 여러개의 세화된 저장 공간으로 나누어지고, 물품 보관 수량에 따라, 각 저장실에 수요되는 냉각 용량도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냉풍이 통제없이 직접 저장실 어느 한 곳에어 직접 저장실 내에 진입하는 경우, 일부 저장 공간이 과냉각되고, 일부 저장 공간은 냉각 용량이 부족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현재, 시장판에서 유통되는 공기 냉각 냉장고의 풍로 디자인 중에서, 일부 공기 냉각 냉장고는 냉동실로부터 바람이 나오는 방법을 채용하여, 직접 냉장실로 전달한다. 일반 공기 냉각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 사이에는 풍문이 없고, 풍로의 각 퐁로는 서로 연계되어 있으며, 냉장실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도, 냉동실 냉기는 계속 냉장실로 흘러서, 냉장실의 온도가 계속 순환적으로 파동되는 상태에 처하며, 즉 냉장실내의 온도는 항상 변화되어 있으므로, 냉장고의 신선도 유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시장판에서 유통되는 공기 냉각 냉장고의 풍로 디자인 중에서, 또 다른 종류의 냉각 냉장고는 증발기를 하나의 단독 용납실에 설치하여, 복잡한 풍로 시스템을 이용하여 증발기의 용납실을 각 저장실과 연결하며, 또한 환풍기를 이용하여, 증발기를 통해 생성된 냉풍을 각 저장실로 수송한다. 풍로내에는 제어 장치(예를 들면 전기 풍문을 설치하여 각 저장실과 연결된 풍로의 열림 및 닫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각 저장실내에 진입하는 풍량을 조절한다. 허나 이러한 구조는 비교적 복잡하여, 통일적으로 제어하기에 불편하다. 또한 각 저장물 공간의 냉각 수량의 수요에 따라 각 저장실내의 냉풍에 대해 분배 및 조정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본 출원는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며, 그 기술적 수단은 아래와 같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첫번째 목적으로서 바로 종래 공기 냉각 냉장고의 한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며,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를 제공하여, 냉풍의 유로(flow path) 및 유량에 대해 통일로 편리하게 조절하고, 또한 송풍 효율을 제고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목적으로서 바로 상기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은 분류 송풍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 및 여러개의 공기 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제어를 받아서 각 공기 배출구에 대해 전부 덮기, 일부 덮기 또는 전부 노출을 실시하여, 여러 공기 배출구의 각 공기 배출 면적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절 파트; 및
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로부터 하우징으로 흘러들러가 여러 공기 배출구중의 하나 또는 여러개를 거쳐 하우징에서 흘러나오도록 구성된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공기 공급 장치는 원심 날개바퀴이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하우징은,
원주 방향 모서리는 제1 모서리 구간 및 제2 모서리 구간으로 구성되고, 제1 모서리 구간은 원호 모양인 서셉터; 및
제1 모서리 구간 및 제2 모서리 구간에서 각각 서셉터의 한 측으로 연장된 제1 주벽 구간 및 제2 주벽 구간을 구비한 주벽을 포함하며, 제1 주벽 구간에는 여러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하우징은, 하우징은 스플리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케이스는 제1 축벽 구간의 서셉터에서 멀리한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스플리터 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진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서셉터의 내면에는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공급 장치는 장착 홈에 장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조절 파트는 서셉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가림부를 포함하고, 각 가립부의 주벽을 향한 표면은 적어도 일부가 제1 주벽 구간과 동축으로 설정되었고,
조절 파트는 제1 주벽의 축선을 감아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회전하여 다양한 회전 위치에 도달한 경우, 하나 또는 여러 가림부가 통제를 받아 각 공기 배출구에 대해 전부 덮기, 일부 덮기 또는 전부 노출을 실시할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조절 파트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를 더 포함하며, 가림부 및 유통부는 서셉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설치되어 있고, 하나 또는 다수의 가림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와 함께 둘러 통모양 구조를 이루고, 각 유통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조절 파트는 다양한 회전 위치로 회전된 경우, 가류가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의 유통 구멍을 통해 일부 가려지거나 또는 완전 노출된 공기 배출구로 흘러가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조절 파트는 제1 주벽과 동축으로 설치된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각 가림부는 턴테이블의 한 표면으로부터 확장되었다.
선택적으로, 해당 분류 송풍 장치는:
턴테이블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된 모터;
모터의 수출축에 장착된 기어; 및
기어와 맞물린 기어링을 포함하고,
기어링은 턴테이블의 다른 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 나온, 턴테이블과 동축인 고리 모양의 리브(凸肋), 및 고리 모양 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고리 모양 리브의 원주 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진열된 여러 치아를 포함하거나;
또는 기어링은 홀로서, 턴테이블과 동축으로 턴테이블의 다른 한 면에 고정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턴테이블은 고리 모양이고, 서셉터의 내면에는 고리 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링과 턴테이블은 고리 모양 홈내에 장착되었거나: 또는
턴테이블은 고리 모양이며, 주벽에 서셉터에서 멀리한 측에 장착되었다.
선택적으로, 공기 배출구 개수는 세 개이며, 서셉터의 원주 방향에서 순서대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고;
가림부 및 유통부의 수량은 두 개이며, 두 가림부는 각각 제1 가림부 및 제2 가림부이고, 두 유통부는 각각 제1 유통부 및 제2 유통부이며,
제1 가림부는 하나의 공기 배출구를 완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 가림부는 두 개의 공기 배출구를 완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제1 유통부에는 하나의 유통 구명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유통부에는 서셉터의 원주 방향에서 순서대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 세 개의 유통 구멍이 설치되었으며, 각 유통 구멍은 하나의 공기 배출구를 완전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유통부의 세 개의 유통 구멍은 세 개의 공기 배출구를 완전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서셉터는 고리 모양이며, 이는 공기 공급 장치 및 서셉터가 각각 냉장고의 기타 부품에 장착되었을 경우, 공기 공급 장치가 서셉터가 한정한 중앙 구멍으로부터 하우징에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은 냉장고를 제공하며, 상기 냉장고는,
내부에 진입 풍로와 여러 배출 풍로가 한정되어 있고, 각 배출 풍로는 하나 또는 다수의 냉풍 출구를 포함하는 풍로 모듈을 포함하며; 여러 배출 풍로는 풍로 모듈로부터 흘러 나가는 기류가 각각 냉장고의 여러 저장실로 진입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풍로 모듈에서 흘러나오는 기류가 각각 냉장고의 한 저장실 간실벽의 여러 위치에서 해당 저장실내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임의 한 종류의 분류 송풍 장치는, 용납 공간내에 설치되었으며, 분류 송풍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는 진입 풍로와 연결되어 있고, 분류 송풍 장치의 여러 공기 배출구는 각각 여러 배출 풍로와 연결되었다.
선택적으로, 분류 송풍 장치 하우징의 서셉터는 고리 모양이며; 분류 송풍 장치의 공기 공급 장치는 용납 공간의 밑벽에 장착되어 있고, 서셉터가 한정한 중앙 구멍으로부터 하우징으로 진입한다.
본 출원의 분류 송풍 장치 및 냉장고는 여러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였기 때문에, 조절 파트을 통해 여러 공기 배출구에 대해 제어 가능하게 덮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배출 풍로에 대한 선택 및 각 배출 풍로내의 공기 배출량에 대한 조절을 달성하여, 따라서 다양한 저장실내의 냉량 수요 또는 한 저장실내 다양한 위치의 냉량 수요에 따라, 냉풍에 대해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으며, 냉장고의 신선도 보증 성능을 강화시키고 운행 효율을 제고한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분류 송풍 장치 및 냉장고는 공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해당 분류 송풍 장치의 공기 공급 효율을 현저히 제고하여, 해당 분류 송풍 장치가 독립적으로 공기를 진입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더블 시스템 또는 멀티 시스템 냉장고에 적용된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분류 송풍 장치 및 냉장고는 기어 및 기어링을 통해 모터가 수출한 회전 운동을 감속하여 조절 파트으로 전달하면, 조절 파트 회전에 대한 모터 수출축의 흔들림의 영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조절 파트의 전좌를 정확하도록 하고, 조절 파트을 정확히 예정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각 공기 배출구에 대한 정밀한 가림 또는 노출을 보증한다. 이 외, 전달부는 또한 속도를 줄이고 토그를 증가하는 작용이 있으며, 모터 회전시 걸려서 잠시 멈추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추가 도면을 결합하여 아래 문장에 따라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해당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상기 및 기타 목적, 장점 및 특징에 대해 더욱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 추가 도면을 참조하여 제한성이 아닌 예시적인 방식을 통해 본 출원의 몇몇 구체적인 실시에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도면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품 또는 부분을 표시한다. 본 영역의 기술자들은 해당 도면들이 꼭 비례에 따라 제작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반드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각각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분류 송풍 장치내 조절 파트가 여러 회전 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국부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의 국부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냉장고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가 풍로 모듈에 장착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가 풍로 모듈에 장착된 분해도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100)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100)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분류 송풍 장치(100)를 제공하였다. 해당 분류 송풍 장치(100)는 하우징(20) 및 조절 파트(3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21) 및 여러 개의 공기 배출구(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21)를 거쳐 하우징(20)내로 진입하고, 여러 공기 배출구(22)를 통해 해당 하우징(20)에서 흘러나오도록 한다. 조절 파트(30)은 제어를 받아서 각 공기 배출구(22)에 대해 전부 덮기, 일부 덮기 또는 전부 노출을 실시하여, 여러 공기 배출구(22)의 각자 공기 배출 면적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파트(30)은 다양한 위치에서 각 공기 배출구(22)에 대해 전부 덮기, 일부 덮기 또는 전부 노출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중의 분류 송풍 장치(100)의 조절 파트(30)은 공기 입구(21)를 통해 흘러 들어간 냉풍을 통제 가능하게 여러 공기 배출구(22)로 분배할 수 있으며, 매 공기 배출구(22)와 연결된 배출 풍로(320, 도 14를 참고할 것)의 열기 닫기 및/또는 매 배출 풍로(320)내의 공기 배출 풍량에 대한 조절을 실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저장실(200, 도 13을 참고할 것)의 냉량 수요를 만속시키거나, 또는 한 저장실(200)의 다양한 위치의 냉량 수요, 또는 한 저장실(200)내 다양한 저장 공간의 냉량 수요를 만족시킨다.
특히,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의 분류 송풍 장치(100)는 공기 공급 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공기 공급 장치(60)는 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21)로부터 하우징(20)으로 흘러들러가 여러 공기 배출구중(22)의 하나 또는 여러개를 거쳐 하우징(20)에서 흘러나오도록 구성되었으며, 이는 공기 공급 효율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해당 공기 공급 장치(60)는 본 출원의 실시예중의 분류 송풍 장치(100)가 독립적으로 공기를 진입하도록 할수도 있으며, 이는 해당 공기 공급 장치(60)를 특히 더블 시스템 또는 멀티 시스템 냉장고에 적용되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공급 장치(60)는 원심 날개바퀴이며, 하우징(20)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부 대체성 실시예에서, 공기 공급 장치(60)는 축류 풍기, 축류 송풍기 또는 원심 풍기일 수도 있으며, 하우징(20)의 공기 입구(21)에 설치되어 있다. 분명한 것은, 공기 공급 장치(66)는 원심 날개 바퀴이고, 하우징(20)내에 위치한 경우, 분류 송풍 장치(100)의 구조를 치밀하고, 체적을 작게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본로 송풍 장치(100)의 하우징(20)은 서셉터(23) 및 주벽(24)을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23)의 원주 방향 모서리는 제1 모서리 구간 및 제2 모서리 구간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모서리 구간은 우선적으로 원호형이다. 주벽(24)은 제1 모서리 구간 및 제2 모서리 구간에서 각각 서셉터(23)의 한 측으로 연장된 제1 주벽 구간(241) 및 제2 주벽 구간(242)을 구비하며, 제1 주벽 구간(241)에는 여러 공기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벽 구간(241)은 하나의 완정한 원호형 주벽 구간일 수 있으며, 위에는 여러 공기 배출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공기 배출구(22)는 모두 배출구 모서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벽 구간(241)은 적어도 세 개의 원호형 주벽 구간부, 또한 두 개의 원호형 주벽 구간부 사이의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매 두개의 원호형 주벽 구간부 사이의 간격이 바로 하나의 공기 배출구(22)인 것이다. 가공하는 과정에서, 오직 각 원호형 주벽 구간부를 서셉터(23)의 제1 모사리 구간의 여러 위치로부터 서셉터(23)의 한 측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모서리 구간도 우선적으로 제1 모서리 구간과 동심인 원호형으로 디자인하여, 제1 주벽 구간(241) 및 제2 주벽 구간(242)이 동일한 원통 주벽에 처하도록 하며, 즉 제1 주벽 구간(241) 은 제2 주벽 구간(242)과 동축인 것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서셉터(23)의 내면에는 장착 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공급 장치(60)는 장착 홈(28)에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심 날개 바퀴는 장착 홈(28)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본 출원이 또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셉터(23)는 고리 모양일 수 있으며, 이는 공기 공급 장치(60) 및 서셉터(23)각 각각 냉장고의 기타 부품에 장착되었을 경우, 공기 공급 장치(60)가 서셉터(23)가 한정한 중앙 구멍으로부터 하우징(20)에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공급 장치(60)는 퐁도 모듈(300)의 용납 공간(330)의 밑벽에 장착될 수 있고, 서셉터(23)가 한정한 중앙 구멍으로부터 하우징(20)으로 진입한다. 장착 시, 우선 공기 공급 장치(60)를 풍로 모듈(300)내에 장착하고, 그 다음 분류 송풍 장치(100)의 하우징(20)을 공기 공급 장치(60)의 외곽에 커버한다.
본 출원의 일부 진일보의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은 스플리터 케이스(25)를 더 포함하며, 케이스는 제1 주벽 구간(241)의 서셉터(23)에서 멀리한 측에 설치되었으며, 서셉터(23), 주벽(24)과 함게 공기 배출구 공간을 한정하도록 하며, 즉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인 것이다. 스플리터 케이스(25)의 편리한 장착을 위하여, 하우징(20)은 스플리터 케이스(25) 모서리의 여러 위치에서 각각 서셉터(23)를 향해 연장된 여러 클램핑 암(2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클램핑 암(26)의 내면에는 여러 카드 슬롯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벽 구간(24)의 외면에는 각각 각 카드 슬롯과 매칭된 여러 돌기(27), 또는 각 돌기와 각각 매칭된 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스플리터 케이스(25)가 서셉터(23)에 걸려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스플리터 케이스(25)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출원이 일부 대체성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은 스플리터 케이스(25)를 포함하지 안으며, 주벽(24)의 서셉터(23)를 멀리한 측의 단말부 오프닝은 하우징(20)의 공기 입구(21)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조절 파트(30)은 하나 또는 다수의 서셉터(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설치된 가림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가림부(32)의 서셉터(23)를 향한 주벽(24)의 표면은 적어도 일부가 제1 주벽 구간과 동축으로 설정되었다. 조절 파트(30)은 제1 주벽(241)의 축선을 감아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20)내에 설치되어, 회전하여 다양한 회전 위치에 도달한 경우, 하나 또는 여러 가림부(32)가 통제를 받아 각 공기 배출구에 대해 전부 덮기, 일부 덮기 또는 전부 노출을 실시할도록 한다. 조절 파트(30)의 가림부(32)는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2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조절 파트(30)의 가림부(32)가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조절 파트(30)이 제1 주벽 구간(241)의 축선을 감아 회전하는 경우, 원호형 가림판의 외측 표면은 항상 제1 주벽 구간(24)의 내측 표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러 하여 원호 모양 가림판은 다양한 회전 위치에서도 통제를 받아 하나 또는 다수의 공기 배출구(22)를 열고나 닫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진일보의 실시예에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파트(30)은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33)를 더 포함하며, 가림부(32) 및 유통부(33)는 서셉터(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설치되어 있고, 하나 또는 다수의 가림부(32)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33)와 함께 둘러 통모양 구조를 이루고, 각 유통부(33)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통 구멍(333)이 설치되어 있다. 조절 파트(30)은 다양한 회전 위치로 회전된 경우, 가류가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33)의 유통 구멍(333)을 통해 일부 가려지거나 또는 완전 노출된 공기 배출구(22)로 흘러가도록 더 배치되었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구(22)의 수량은 세개이며, 서셉터(23)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이 셋의 공기 배출구(22)는 제1 공기 배출구(221),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를 포함하며, 세셉터(23)의 주변 방향을 따라 시겟바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될 수 있다. 가림부 및 유통부의 수량은 두 개이다.두 유통부는 각각 제1 유통부(331) 및 제2 유통부(332)를 포함하며, 서셉터(23)의 원주 방향에서 시겟바늘 순서대로 간격을 두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는 하나의 공기 배출구(22)를 완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제2 가림부(322)는 적어도 두 개의 공기 배출구(22)를 완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예를 들어 제2 가림부(322)는 세 개의 공기 배출구(22)를 완전 가릴 수 있다. 제1 유통부(331)에는 하나의 유통 구명(333)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유통부(322)에는 서셉터(23)의 원주 방향에서 순서대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 세 개의 유통 구멍(333)이 설치되었으며, 각 유통 구멍(333)은 하나의 공기 배출구(22)를 완전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유통부(332)의 세 개의 유통 구멍(333)은 세 개의 공기 배출구(22)를 완전 노출되도록 구성되었다.
도 3 내지 도 10은 각각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분류 송풍 장치(100)내 조절 파트이 여러 회전 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국부 구성도이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회전하여 도 3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2 유통부(332)의 세 개의 유통 구멍(333)은 제1 공기 배출구(221),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전부 열린 상태로 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회전하여 도 4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2 가림부(322)는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가리막고, 제2 유통부(332)위의 유통 구멍(333)은 제1 공기 배출구(221)를 완전 노출 상태에 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회전하여 도 5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1 가림부(321)는 제 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막을 수 있고, 제2 가림부(322)는 제1 공기 배출구(221)를 완전 막을 수 있으며, 제1 유통부(331)의 유통 구멍은 제2 공기 배출구(222)를 완전 노출 상태에 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회전하여 도 6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2 가림부(322)는 제1 공기 배출구(221) 및 제2 공기 배출구(222)를 완전 막을 수 있으며, 제1 유통부(331)의 유통 구멍(333)은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노출 상태에 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회전하여 도 7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2 가림부(322)는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적 막고, 제1 공기 배출구(221) 및 제2 공기 배출구(222)를 완전 노출된 상태로 처할 수 있고, 제2 유통부(332)의 두 개의 유통 구멍(333)은 제1 공기 배출구(221), 제2 공기 배출구(222)를 전부 열린 상태로 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회전하여 도 8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1 가림부(321)는 제1 공기 배출구(221)를 완적 막을 수 있고, 제2 유통부(332)의 두 개의 유통 구멍(333)은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노출된 상태에 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회전하여 도 9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1 가림부(321)는 제2 공기 배출구(222)를 완적 막을 수 있고, 제1 유통부(331)위의 유통 구멍(333)은 제1 공기 배출구(221)를 완전 노출 상태에 처하도록 할 수 있고, 제2 유통부(332)의 하나의 유통 구멍(333)은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노출 상태에 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회전하여 도 10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2 가림부(322)는 제1 공기 배출구(221),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적 막을 수 있다. 물론,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는 기타 회전 위치로 회전하여, 퐁로 및 풍량에 대해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또다른 일부 진일보의 실시예에서, 도 11에서 도시된 바, 단 하나의 가림부(32)가 존재하는 경우, 가림부(32)의 양측은 모두 기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절 파트(30)이 여러 가림부(32)를 구비한 경우, 매 두개의 상린 가림부(32) 사이의 간격은 모두 기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구(22)의 수량은 세개이며, 서셉터(23)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이 셋의 공기 배출구(22)는 제1 공기 배출구(221),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를 포함하며, 세셉터(23)의 주변 방향을 따라 시겟바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될 수 있다. 가림부(32)의 수량은 두 개이다. 두 가림부(32)는 각각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로서, 서셉터(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시겟바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는 하나의 공기 배출구(22)를 완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가림부(322)는 두 개의 공기 배출구(22)를 완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 사이의 간격은 하나의 공기 배출구(22)를 완전 드러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 및 제2 가림부(322)가 전부 공기 배출구를 막지 않는 경우, 제2 공기 배출구(221),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는 전부 오픈 상태이다. 제2 가림부(322)가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가릴 수 있는 경우, 두 가림부(32) 사이의 간격은 제1 공기 배출구(221)를 완전 노출 상태로 할 수 있다. 제2 가림부(322)가 제1 공기 배출구(221) 및 제2 공기 배출구(222)를 완전 가릴 수 있는 경우, 제3 공기 배출구를 완전 노출 상태로 할 수 있다. 제1 가림부(321)가 제2 공기 배출구(222)를 완전 가릴 수 있는 경우 , 제1 공기 배출구(221) 및 제2 공기 배출구(222)는 완전 노출 상태이다. 제2 가림부(322)가 단기 제1 공기 배출구(221)만 완전 막을수 있는 경우,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는 완전 노출 상태이다. 제1 가림부(321)가 제2 공기 배출구(222)를 완전 가릴 수 있는 경우, 제1 공기 배출구(221)는 완전 노출 상태이고, 두 가림부(32) 사이의 간격은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노출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조절 파트(30)의 편리한 회전을 위하여, 각 가림부(32) 및 제1 주벽 구간(241)사이의 거리를 조금 크게하는 방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으나, 가림부(32)와 제1 주벽 구간(24) 사이의 거리를 크게하는 경우, 풍량 바람이 샐 수 있으므로, 완전 효과적인 가림을 달성할 수 없으며, 즉 기류는 제1 주벽 구간(241) 및 가림부(32) 사이의 틈으로 하나의 공기 배출구(22)로부터 다른 한 공기 배출구(22)로 흘러갈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중의 분류 송풍 장치(100)는, 적어도 기류가 각 가림부(32)의 외면과 제1 주벽 구간(241) 내면 사이의 틈을 따라 각 공기 배출구(22)로 흘러가는 것을 어느정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밀봉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봉 장치 적어도 두 개의 밀봉 와셔(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밀봉 와셔(34)는 조절 파트(30)의 회전 축선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었다. 각 가림부(32)의 호형 외면의 각 회전 방향을 따른 양측은 전부 다 하나의 밀봉 와셔(33)를 구비하였다. 조절 파트(30)이 가림부(32) 및 유통부(33)를 포함한 경우, 밀봉 장치는 나머지 밀봉 와샤(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유통부(33)위 두 개의 서로 인접한 유통 구멍(3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조절 파트(30)은 제1 주벽 구간(241)과 동축으로 설치된 턴테이블(31)을 더 포함하며, 각 가림부(32)는 턴테이블(31)의 한 표면으로부터 확장되었다. 턴테이블(31)은 원판 모양 또는 고리 모양일 수 있으며, 풀 서클(全周)식 구조는 조절 파트(30)의 운행을 더욱 안정적이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분류 송풍 장치(100)는 모터(40) 및 전달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40)는 턴테이블(3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전달부(50)는 모터(40)에서 수출한 회전 운동을 감속하여 조절 파트(30)으로 전달한다. 발명자는 설계하는 과정에서, 조절 파트(30)의 회전이 불안정적인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유는 바로 모터(40)의 흔들림이며, 발명자는 전달부(50)를 통해 모터(40) 수출축 흔들림의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을 제출하여, 조절 파트(30)의 전좌를 정밀하도록 한다. 전달부(50)의 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증가하는 기능은 모터(40)가 걸려서 잠시 멈추는 현상도 제거할 수 있다. 모터(40)가 특수한 위치(즉 턴테이블(3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에 이는 분류 송풍 장치(100)의 총체적 두께를 얇게 하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특별히 냉장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부(50)는 우선적으로 기어 전달부(50)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기어(51) 전달부(50)는 기어(51) 및 기어(51)와 맞물린 기어링(5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51)는 모터(40)의 수출축에 장착될 수 있다. 기어링(52)은 턴테이블(31)과 일체형이 되거나 또는 홀로 존재하여 턴테이블(3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링(52)은 턴테이블(31)의 다른 한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턴테이블(31)과 동축인 고리 모양의 리브, 및 고리 모양 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고리 모양 리브의 원주 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진열된 여러 치아를 포함한다. 또는, 기어링(52)은 홀로, 턴테이블(31)과 동축으로 턴테이블(31)의 다른 한 면에 고정되어 있다. 더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서셉터(23)의 내면에는 고리 모양의 홈(231)이 형성되어 있고, 기어링(52)은 고리 모양 홈(231)에 장착되어 있으며, 조절 파트(30)을 안정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우선적으로, 턴테이블(31)은 고리 모양일 수도 있으며; 고리 모양 홈(231)은 계단 홈일 수 있으며, 턴테이블(31)을 용납하도록 더 마련되었으며, 더 나아가 조절 파트(30)의 안정적인 실행을 보증한다. 조절 파트(30)이 회전시 흔들리는 것을 더 나아가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0)은 여러 그래브(2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셉터(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셉터(23)의 내면에 균일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턴테이블(31)이 한정한 중앙 구멍(홀왝)안에 위치하였으며, 각 그래브(28)의 갈고리부 및 고리 모양 홈(231)의 밑바닥은 턴테이블(31)과 기어링(52)을 이 사이에 둔다. 모터(40)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우징(20)은 모터 용납부(29)를 더 포함하며, 제1 주벽 구간(241) 및/또는 제2 주벽 구간(242)의 외측 표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기어(51) 및 모터(40)을 용납한 용납강이 한정되어 있다. 모터 용납부(29)는 제1 주벽 구간(241)의 외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된 구멍체(cavity,29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멍체(291)에 장착된 케이스판(盖板)부(2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2에서 도시된 바, 턴테이블(31)은 고리 모양이며, 주벽(24)의 서셉터(23)에서 멀리한 측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냉장고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100)가 풍로 모듈(300)에 장착된 구성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된 바,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일종의 하나 또는 여러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를 더 제공하였으며, 각 저장실(200)은 방치 보드 또는 방치 선반으로 여러 저장 공간으로 나누어 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해당 냉장고에는 풍로 모듈(300) 및 풍로 모듈(300)내에 설치된, 상기 임의 한 실시예중의 분류 송풍 장치(100)가 더 설치되어 있다. 풍로 모듈(300)은 밑판(340) 및 케이스판(350),풍 출입 한정 풍로(310), 여러 공기 배출도(320) 및 용납 공간(3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배출 풍로(320)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냉풍 배출구(301)를 구비하였다. 진입 풍로(310)는 냉장고의 냉각실과 연결되어, 냉각실내의 냉각기를 거친 냉각후의 기류를 접수할 수 있다. 분류 송풍 장치(100)는 풍로 모듈(300)의 용납 공간(330)내에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21)는 진입 풍로(310)와 연결되어 있고, 여러 공기 배출구(22)는 각각 여러 배출 풍로(320)와 연결되어, 진입 풍로(310)에서 흘러나온 기류가 통제 받거나 또는 분배를 받아 상응한 배출 풍로(320)에 진입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러 배출 풍로(320)는 풍로 모듈(300)에서 흘러나간 기류가 각각 냉장고의 여러 저장실(200)내에 진입하도록 구성되었다. 분류 송풍 장치(100)는 진입 풍로(310)에서 흘러나온 기류가 통제 받거나 또는 분배를 받아 상응한 배출 풍로(320)에 진입하도록 한 다음, 상응한 저장실(200)내에 진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분류 송풍 장치(100)의 공기 배출구(22)의 개수는 세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공기 배출구(221),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이다. 배출 풍로(320)의 개수는 세 개일 수 있으며; 여러 저장실(200)은 제1 저장실, 제2 저장실 및 제3 저장실을 포할 수 있다. 제1 저장실에는 냉풍이 필요하고, 제2 내지 제3 저장실에는 냉풍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분류 송풍 장치(100)의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가림 상태로 하고, 제3 공기 배출구(223)를 완전 가린 상태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내의 온도 센서가 검출해낸 온도에 따라, 조절 파트(3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응한 통제를 달성하며, 따라서 냉풍이 합리적으로 여러 저장실(200)에 분배되어, 냉장고의 신선도 보장 기능 및 운행 효율을 제고한다.
또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중의 실선 화살표는 기류가 하나 또는 여러개의 저장실(200)내의 흐름 방향을 표시하고, 점선 화살표는 기류가 풍로내의 흐름 방향을 표시하며, 여러 배출 풍로(320)는 풍로 모듈(300)에서 흘러나간 기류가 각각 냉장고의 한 저장실(200, 예를 들어 저장실(210))의 간실벽의 여러 위치에서 해당 저장실(200)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분류 송풍 장치(100)의 공기 배출구(22)의 개수는 세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공기 배출구(221), 제2 공기 배출구(222) 및 제3 공기 배출구(223)이며; 배출 풍로(320)의 수량은 세 개이며, 예를 들어 제1 공기 배출구(221)와 연결된 제1 풍로(3201), 제2 공기 배출구(222)와 연결된 제2 풍로(3202), 제3 공기 배출구(223)와 연결된 제3 풍로(3203)이다. 제2 풍로(3202)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냉풍 배출구(3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대칭으로 해당 저장실(200)의 뒤벽 위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풍로(3201)는 제2 풍로(3202)의 한 측에 위치하고, 하나의 냉풍 배출구(301)를 구비하였으며, 해당 저장실(200) 뒤벽의 아래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3 풍로(3203)는 제2 풍로(3202)의 다른 한 측에 설치되었을 수 있으며, 하나의 냉풍 출구(301)를 구비하였으며, 저장실(200) 뒷벽 중부에 설치되어 있다. 더 나아가, 두 개의 방치 선반을 사용하여 해당 저장실(200)을 세 개의 저장 공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배출 풍로(320)는 하나의 저장 공간과 연결되었다. 해당 실시예에서, 여러 저장실(200)은 기타 저장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급속 냉동실(22), 냉동실(230)이다. 해당 실시예중의 저장실(200)은 냉장실(210)로 불리기도 한다.
해당 실시예중의 냉장고는 냉장고 저장실(200) 각 위치의 냉량이 충분한 지에 따라, 냉풍을 상응한 배출 풍로(320)에서 해당 위치로 흐르도록 통제하여, 냉풍이 합리적으로 저장실(200)내 다양한 위치에 분배할 수 있도록 하며, 냉장고의 신선도 보증 성능을 강화시키고 운행 효율을 제고한다. 해당 분류 송풍 장치(100)는 배출 풍로(320)의 풍향 및 풍량에 대한 조절을 실시할 수 있으며, 냉장고의 해당 저장실(200)내 어느 곳에 냉풍이 필요하면 그곳의 냉풍 출구(301)를 오픈하고, 냉풍이 필요 없으면 닫아버린다. 따라서 냉장고 내 온도가 일정하도록 통제하여, 냉장고내의 음식물을 위해 최적의 저장 환경을 제공하고, 음식물의 영양 유실을 감소하며, 또한 냉장고의 전기 소모를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분류 송풍 장치가 풍로 모듈에 장착된 분해도이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송풍 장치(100) 하우징(20)의 서셉터(23)는 고리 모양이다. 분류 송풍 장치(100)의 공기 공급 장치(60)는 퐁도 모듈(300) 용납 공간의 밑벽(330)에 장착되어 있고, 서셉터(23)가 한정한 중앙 구멍으로부터 하우징(20)으로 들어간다. 본 출원의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분류 송풍 장치(100)의 공기 공급 장치(60)는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장착 시 분류 송풍 장치(100)가 우선 조립 완료된 후, 풍로 모듈(300)의 용납 공간(330)내에 장착된다.
여기까지, 본 영역의 기술자들이 인색해야 할 것은 바로, 비록 본 문장은 본 출원의 여러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였지만, 본 출원의 주지 및 범위를 벗어 나지 않는 경우하에서, 여전히 본 출원에서 공개한 내용에 따라 본 출원의 원리에 부합하는 기타 변경 및 수정 내용을 직접 확정하거나 또는 유도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기타 전부 변경 또는 수정 내용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인정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 및 여러개의 공기 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제어를 받아서 각 공기 배출구에 대해 전부 덮기, 일부 덮기 또는 전부 노출을 실시하여, 여러 공기 배출구의 각 공기 배출 면적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절 파트; 및
    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로부터 하우징으로 흘러들러가 여러 공기 배출구중의 하나 또는 여러개를 거쳐 하우징에서 흘러나오도록 구성된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원심 날개바퀴이며,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주 방향 모서리는 제1 모서리 구간 및 제2 모서리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모서리 구간은 원호 모양인 서셉터; 및
    제1 모서리 구간 및 제2 모서리 구간에서 각각 서셉터의 한 측으로 연장된 제1 주벽 구간 및 제2 주벽 구간을 구비한 주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벽 구간에는 상기 여러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스플리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케이스는 상기 제1 주벽 구간의 상기 서셉터에서 멀리한 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플리터 케이스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의 내면에는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상기 장착 홈에 장착되어 있는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 파트는 서셉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가림부를 포함하고, 각 가립부의 주벽을 향한 표면은 적어도 일부가 제1 주벽 구간과 동축으로 설정되었으며;
    상기 조절 파트는 상기 제1 주벽의 축선을 감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회전하여 다양한 회전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또는 여러 가림부가 통제를 받아 각 상기 공기 배출구에 대해 전부 덮기, 일부 덮기 또는 전부 노출을 실시할도록 한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 파트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림부 및 상기 유통부는 상기 서셉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가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와 함께 둘러 통모양 구조를 이루고, 각 상기 유통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절 파트는 다양한 회전 위치로 회전된 경우, 가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통부의 유통 구멍을 통해 일부 가려지거나 또는 완전 노출된 공기 배출구로 흘러가도록 더 구성된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 파트는 상기 제1 주벽과 동축으로 설치된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각 상기 가림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한 표면으로부터 확장된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수출축에 장착된 기어; 및
    상기 기어와 맞물린 기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링은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 나온, 상기 턴테이블과 동축인 고리 모양의 리브, 및 고리 모양 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고리 모양 리브의 원주 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진열된 여러 치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기어링은 홀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동축으로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 면에 고정되어 있는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류 송풍 장치는,
    상기 턴테이블은 고리 모양이고,상기 서셉터의 내면에는 고리 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링과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고리 모양 홈내에 장착되었거나:,또는
    상기 턴테이블은 고리 모양이며, 상기 주벽의 상기 서셉터에서 멀리한 측에 장착된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11.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 개수는 세 개이며,상기 서셉터의 원주 방향에서 순서대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림부 및 상기 유통부의 수량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가림부는 각각 제1 가림부 및 제2 가림부이고, 상기 두 유통부는 각각 제1 유통부 및 제2 유통부이며,
    상기 제1 가림부는 하나의 상기 공기 배출구를 완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가림부는 두 개의 상기 공기 배출구를 완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상기 제1 유통부에는 하나의 유통 구명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유통부에는 상기 서셉터의 원주 방향에서 순서대로 간격을 두어 설치된 세 개의 유통 구멍이 설치되었으며, 각 상기 유통 구멍은 하나의 상기 공기 배출구를 완전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유통부의 상기 세 개의 유통 구멍은 세 개의 상기 공기 배출구를 완전 노출되도록 구성된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고리 모양이며,
    이는 상기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서셉터가 각각 상기 냉장고의 기타 부품에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공기 공급 장치가 상기 서셉터가 한정한 중앙 구멍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인 냉장고에 사용되는 분류 송풍 장치.
  13.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내부에 진입 풍로와 여러 배출 풍로가 한정되어 있고, 각 상기 배출 풍로는 하나 또는 다수의 냉풍 출구를 구비한 풍로 모듈; 및풍로풍로풍로상기 용납 공간내에 설치된, 제1 내지 제12 항에서 서술된 임의 한 항의분류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 송풍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는 상기 진입 풍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류 송풍 장치의 여러 공기 배출구는 각각 상기 여러 배출 풍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여러 배출 풍로는 상기 풍로 모듈로부터 흘러 나가는 기류가 각각 상기 냉장고의 여러 저장실로 진입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풍로 모듈에서 흘러나오는 기류가 각각 상기 냉장고의 한 저장실 간실벽의 여러 위치에서 해당 저장실내로 진입하도록 구성된 냉장고.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분류 송풍 장치 하우징의 서셉터는 고리 모양이며,
    상기 분류 송풍 장치의 공기 공급 장치는 상기 용납 공간의 밑벽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서셉터가 한정한 중앙 구멍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진입하는 냉장고.
KR1020177023600A 2015-08-28 2016-06-08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1701170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540309.4A CN106196840B (zh) 2015-08-28 2015-08-28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1510540309.4 2015-08-28
PCT/CN2016/085341 WO2017036223A1 (zh) 2015-08-28 2016-06-08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093A true KR20170117093A (ko) 2017-10-20

Family

ID=5745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600A KR20170117093A (ko) 2015-08-28 2016-06-08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53667B2 (ko)
EP (1) EP3343142B1 (ko)
JP (1) JP6488403B2 (ko)
KR (1) KR20170117093A (ko)
CN (1) CN106196840B (ko)
AU (2) AU2016314468A1 (ko)
WO (1) WO2017036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8426B (zh) * 2015-08-28 2018-03-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WO2017155133A1 (ko) * 2016-03-09 2017-09-14 주식회사 노벨이노베이션스 클립 타입 선풍기
CN106642935B (zh) * 2016-12-15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106642934B (zh) * 2016-12-15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挡风片保持架、分路送风装置及冰箱
CN106766568B (zh) * 2016-12-15 2019-08-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106802049B (zh) * 2016-12-15 2019-07-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卷绕机构、分路送风装置及冰箱
CN106958980B (zh) * 2017-04-14 2019-12-1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出风装置及具有该出风装置的冰箱
CN106958979B (zh) * 2017-04-14 2019-12-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出风装置及具有该出风装置的冰箱
CN107014142B (zh) * 2017-04-14 2019-10-0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送风装置及具有该送风装置的冰箱
CN107356037B (zh) * 2017-06-29 2019-12-2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7677033B (zh) * 2017-09-13 2020-04-2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CN107763943B (zh) * 2017-09-13 2020-02-0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CN107726711B (zh) * 2017-09-13 2020-03-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CN108020000B (zh) * 2017-09-13 2020-03-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JP6980265B2 (ja) * 2017-11-28 2021-12-15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CN108007041A (zh) * 2017-11-30 2018-05-0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的分风组件及冰箱
JP7011299B2 (ja) * 2017-12-15 2022-01-26 アクア株式会社 遮蔽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WO2019244709A1 (ja) * 2018-06-20 2019-12-26 アクア株式会社 遮蔽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CN110822791A (zh) * 2018-08-07 2020-02-2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送风装置及冰箱
CN110906606B (zh) * 2018-09-17 2022-02-22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风冷冰箱
CN109139559A (zh) * 2018-10-10 2019-01-04 浙江琦远科技有限公司 一种多向蜗壳及其双向风机
JP7226770B2 (ja) 2018-12-20 2023-02-21 アクア株式会社 遮蔽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CN111912153A (zh) 2019-05-10 2020-11-1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
US11644229B2 (en) 2020-01-28 2023-05-09 Whirlpool Corporation Cool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ppliance
CN113566471A (zh) 2020-04-28 2021-10-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及其风道遮蔽装置
JP7339228B2 (ja) * 2020-11-10 2023-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衣服
US11629727B2 (en) * 2020-11-10 2023-04-18 Airmate Electrical (Jiu Jiang) Co., Ltd Bladeless fan with multiple air ducts
CN112539190B (zh) * 2020-12-18 2022-06-17 浙江巴尔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风量换气扇及其制造方法
CN113464493A (zh) * 2021-07-28 2021-10-0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家用送风装置及其送风组件
US11994333B2 (en) 2021-11-17 2024-05-28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fan assembly
US20230152022A1 (en) * 2021-11-17 2023-05-18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fan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800A (ja) * 2000-03-31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節装置及び貯蔵庫の空気流制御装置
CN201251338Y (zh) * 2008-07-04 2009-06-03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门装置
EP2789937A1 (en) * 2013-04-09 2014-10-15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vertible compartment and method for adjusting temperature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3415B1 (ko) * 1968-01-24 1974-06-15
JPS5367233U (ko) * 1976-11-05 1978-06-06
JPS5568414A (en) * 1978-11-14 1980-05-23 Jidosha Denki Kogyo Co Ltd Rotary shutter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DE3144899A1 (de) * 1981-11-12 1983-05-19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Luftverteil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 heizungs-, belueftungs- und klimaanlagen
JPS62138647A (ja) * 1985-12-12 1987-06-22 Natl House Ind Co Ltd ダンパ
JPH0537100Y2 (ko) * 1986-01-14 1993-09-20
JP2967430B2 (ja) * 1990-11-29 1999-10-25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US5458186A (en) * 1992-08-17 1995-10-17 Goldstar Co., Ltd. Refrigerator with kimchi seasoning and storing chamber
KR0160423B1 (ko) 1994-07-19 1999-01-15 윤종용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US5884496A (en) 1995-11-25 1999-03-23 Lg Electronics, Inc. Cool air feeding system for refrigerator
JP3320987B2 (ja) * 1996-08-07 2002-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DE10250393A1 (de) * 2002-10-29 2004-05-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No-Frost-Kältegerät
CN100447511C (zh) * 2004-09-20 2008-12-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的冷气供给调节装置
KR100755139B1 (ko) * 2005-10-05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20080307807A1 (en) * 2007-06-13 2008-12-18 Emerson Electric Co. Air Damper Units for Refrigerators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KR20090055133A (ko) * 2007-11-28 2009-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US7626819B1 (en) * 2008-12-23 2009-12-01 Chenbro Micom Co., Ltd. Air director
KR20140004420A (ko) * 2012-07-02 2014-01-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슬라이드 개폐형 팬조립체
CN204404651U (zh) * 2014-12-29 2015-06-1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
CN205002482U (zh) * 2015-08-28 2016-01-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4923642U (zh) * 2015-08-28 2015-12-3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002486U (zh) * 2015-08-28 2016-01-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002484U (zh) * 2015-08-28 2016-01-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002485U (zh) * 2015-08-28 2016-01-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014738U (zh) * 2015-08-28 2016-02-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014737U (zh) * 2015-08-28 2016-02-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002483U (zh) 2015-08-28 2016-01-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014739U (zh) * 2015-09-18 2016-02-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风道组件及具有该风道组件的冰箱
CN205192043U (zh) * 2015-09-22 2016-04-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119611U (zh) * 2015-09-24 2016-03-3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800A (ja) * 2000-03-31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節装置及び貯蔵庫の空気流制御装置
CN201251338Y (zh) * 2008-07-04 2009-06-03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门装置
EP2789937A1 (en) * 2013-04-09 2014-10-15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vertible compartment and method for adjusting temperatur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3142B1 (en) 2022-03-23
EP3343142A4 (en) 2019-04-03
EP3343142A1 (en) 2018-07-04
US20180180345A1 (en) 2018-06-28
CN106196840A (zh) 2016-12-07
AU2019204583B2 (en) 2020-06-25
CN106196840B (zh) 2018-02-02
WO2017036223A1 (zh) 2017-03-09
JP2018509584A (ja) 2018-04-05
AU2016314468A1 (en) 2017-06-29
US10753667B2 (en) 2020-08-25
JP6488403B2 (ja) 2019-03-20
AU2019204583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7093A (ko)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170118760A (ko) 분류 송풍 장치 및 해당 분류 송풍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CN107192198B (zh) 冰箱
CN106168428B (zh)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WO2017152580A1 (zh) 冰箱及用于冰箱的分路送风装置
WO2017152538A1 (zh) 冰箱及用于冰箱的分路送风装置
CN107014142B (zh) 送风装置及具有该送风装置的冰箱
EP3647691B1 (en) Refrigerator
JP6495549B2 (ja) 分岐送風装置及びこの分岐送風装置を有する冷蔵庫
CN106958979B (zh) 出风装置及具有该出风装置的冰箱
EP3816547B1 (en) Air-cooled refrigerator
WO2017211073A1 (zh) 离心风机及具有该离心风机的冰箱
CN205002485U (zh)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5014737U (zh)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107270618B (zh) 冰箱
CN205002484U (zh)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106196834A (zh)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206817860U (zh) 出风装置及具有该出风装置的冰箱
CN205002486U (zh)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CN106958980B (zh) 出风装置及具有该出风装置的冰箱
WO2008120927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106196831B (zh)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WO2019001502A1 (zh) 风道组件及具有该风道组件的冰箱
WO2019001495A1 (zh) 冰箱
CN106196833B (zh) 分路送风装置及具有该分路送风装置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