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087A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087A
KR20170116087A KR1020177025151A KR20177025151A KR20170116087A KR 20170116087 A KR20170116087 A KR 20170116087A KR 1020177025151 A KR1020177025151 A KR 1020177025151A KR 20177025151 A KR20177025151 A KR 20177025151A KR 20170116087 A KR20170116087 A KR 20170116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all
plate
wall
actuating
actu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633B1 (ko
Inventor
긴야 오노데라
이사오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하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하라
Publication of KR2017011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Ventilation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환기 장치의 장치 본체(10)는, 제1 환기구(12x)를 갖는 옥내측의 제1 주벽(12a)과, 제2 환기구(15x)를 갖는 옥외측의 제2 주벽(15a)을 구비하고 있다. 환기 장치는 추가로, 장치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제2 작동판(20, 30)과, 이들 제1, 제2 작동판(20, 30)을 각각 제1, 제2 주벽(12a, 15a)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제2 스프링(26, 36)을 갖고 있다. 제1, 제2 작동판(20, 30)에는, 각각 탄성, 통기성을 갖는 제1, 제2 패킹(25, 26)이 설치되어 있다. 강풍 시에 옥외가 정압일 때에는, 제1 작동판(20)이 옥외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제1 주벽(12a)에 근접하고, 제1 패킹(25)을 통해서만 환기가 행해진다. 강풍 시에 옥외가 부압일 때에는, 상기 제2 작동판(30)이 옥내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제2 주벽(15a)에 근접하고, 제2 패킹(35)을 통해서만 환기가 행해진다.

Description

환기 장치
본 발명은, 옥내의 더럽혀진 공기를 옥외의 신선한 공기와 교체함으로써, 옥내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제1 실시예로서 개시된 환기 장치는, 일반 건물 등의 창 샤시의 상인방에 조립되는 것이며, 수평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장치 본체와 작동판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는, 환기구가 형성된 주벽을 갖고 있다. 작동판의 상연부는, 장치 본체의 주벽 근방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하여 상기 장치 본체에 지지되어 있다. 작동판이 조작 손잡이의 수동 조작으로 수평으로 슬라이드되며, 이 슬라이드의 과정에서 캠 기구의 작용으로 주벽에 다가가거나 이격되거나 함으로써, 주벽에 형성된 환기구의 개방도가 조절된다.
상기 작동판의 하연부의 주벽측의 면에는, 비통기성 패킹이 장착되어 있다. 이 패킹은 작동판이 주벽에 다가갔을 때에 주벽에 닿고, 이에 의해 작동판과 주벽 사이가 시일되어, 환기량이 실질적으로 제로가 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환기 장치는 고층 건물 등의 벽에 설치되는 것이다. 수평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치 본체의 주벽의 하방에, 작동판이 평행을 이루게 배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작동판이 상하 이동됨으로써, 상기 주벽에 형성된 환기구의 개방도가 조절된다. 이 작동판의 양측 연부에는, 비통기성 패킹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판이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패킹이 주벽에 닿고, 작동판과 주벽 사이가 시일되어, 환기량이 실질적으로 제로가 된다.
상술한 특허문헌 1, 2의 환기 장치에서는, 작동판이 주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을 때에 옥외에서 강한 바람이 불면, 옥내로 바람이 들어가서, 과잉으로 옥내에 급기되어버린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3,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람이 강할 경우에는 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환기구를 폐쇄하는 환기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에 개시된 환기 장치에서는, 환기구가 형성된 주벽의 근방이면서 옥외측에, 작동판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작동판은, 바람이 없을 때에는 자중 또는 스프링의 힘으로, 주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바람이 강할 때에는, 작동판은 풍압을 받아서 자중 또는 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주벽에 맞닿아, 환기구를 폐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강한 바람이 옥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64425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03707호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7-185891 일본 특허 공개 평7-233980호
특허문헌 3, 4의 환기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가 강풍을 받았을 때(환기 장치에 있어서, 옥외의 기압이 옥내의 기압보다 현저하게 높을 때)에는, 작동판이 환기구를 폐쇄하여 환기구로부터 과잉으로 공기가 옥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환기 장치가 건물의 강풍이 닿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어, 환기 장치의 옥외가 부압이 될 때(즉, 상기와는 반대로 옥내 기압이 옥외 기압보다 현저하게 높을 때)에는, 작동판은 열린 채로, 옥내의 공기가 과잉으로 배출되어버린다.
특허문헌 3의 환기 장치에서는, 강풍 시에 작동판이 폐쇄되었을 때에 전혀 환기시킬 수 없게 된다. 특허문헌 4의 환기 장치에서는, 강풍 시에 작동판이 폐쇄되어도, 환기구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으며 작은 면적의 개구가 남아, 이 개구를 통해 환기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작은 개구를 바람이 통과하기 때문에, 풍절음이 발생한다. 또한, 강한 바람이 작은 개구를 통과할 때에 이 개구 근방에서 난류(와류)가 발생하고, 이 난류에 의해 작동판이 진동하여 주벽을 반복적으로 두드려, 소음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 환기 장치에 있어서,
제1 환기구를 갖는 제1 주벽과, 제2 환기구를 갖는 제2 주벽과, 상기 제1 환기구와 상기 제2 환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통로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상기 제1 주벽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되거나 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작동판과,
상기 제2 주벽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되거나 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작동판과,
상기 제1 작동판을 상기 제1 주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작동판을 상기 제2 주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제1 작동판의 회동 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판과 상기 제1 주벽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탄성 및 통기성을 갖는 제1 패킹과,
상기 제2 작동판의 회동 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판과 상기 제2 주벽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탄성 및 통기성을 갖는 제2 패킹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작동판은, 상기 제1 주벽보다 옥외측에 배치되고, 옥외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상기 제1 주벽을 향하고,
상기 제2 작동판은, 상기 제2 주벽보다 옥내측에 배치되고, 옥내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상기 제2 주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강풍을 받을 때 등과 같이, 환기 장치의 옥외의 기압이 옥내의 기압보다 현저하게 높아지면, 제1 작동판이 옥외로부터의 풍압을 받음으로써, 제1 스프링에 저항하여 제1 주벽에 가까워진다.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1 패킹을 통해서만 환기가 행해지고, 옥내로 과잉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강풍을 받는 측과는 반대측에 환기 장치가 있을 때 등과 같이, 옥내의 기압이 옥외의 기압보다 현저하게 높아지면, 제2 작동판이 옥내로부터의 풍압을 받음으로써, 제2 스프링에 저항하여 제2 주벽에 가까워진다.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2 패킹을 통해서만 환기가 행해지고, 옥외로 과잉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풍 시에 과잉의 공기 유통을 회피하면서도 환기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풍압이 강해짐에 따라서 패킹의 압축량이 증대되고, 패킹에 있어서의 유통 단면적이 감소되므로, 공기의 유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제1 패킹 또는 제2 패킹을 빠져나가기 때문에, 풍절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작동판의 진동에 수반하는 소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주벽이 옥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주벽이 옥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 작동판과 상기 제1, 제2 스프링이, 상기 제1, 제2 주벽 사이의 상기 환기 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 작동판과 제1, 제2 스프링을 장치 본체 내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고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본체는, 중공의 가늘고 긴 구조체와, 이 가늘고 긴 구조체의 양단부 개구를 막는 한 쌍의 폐색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제2 작동판 및 이들 제1, 제2 작동판의 상기 회동 축선이, 상기 가늘고 긴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본체에는 제1, 제2 스토퍼가 설치되고, 이들 제1,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제2 작동판을 각각 소정의 이격 위치에서 걸리게 하여 회동을 규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 작동판을 이격 위치에서 안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작동판의 상기 회동 축선이, 상기 제1 환기구로부터, 상기 가늘고 긴 구조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작동판의 상기 회동 축선이, 상기 제2 환기구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 작동판의 반대 배치에 의해, 제1, 제2 작동판을 근접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환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스토퍼가 제1, 제2 작동판의 개방 방향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제1, 제2 작동판을 근접시켜 배치해도, 제1, 제2 작동판, 제1,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작동판이, 상기 소정의 이격 위치에 있어서 평행을 이루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스토퍼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한 쌍의 폐색 부재 각각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1 작동판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걸리게 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2 작동판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걸리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 작동판의 회동 규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 본체가 창 샤시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주벽이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1 환기구가 상기 제1 주벽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추가로 상기 제1 주벽의 옥내측의 면에 접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수동 작동판을 구비하고, 이 수동 작동판이, 상기 제1 환기구와 등 피치로 형성된 다수의 제어구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옥내에서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수동 작동판에 의해 환기량을 제로 내지는 억제함으로써, 냉방, 난방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제2 주벽이 수평을 이루고, 상기 제1 주벽이 제2 주벽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작동판이 상기 제1 주벽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작동판이 상기 제2 주벽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작동판이, 이 제1 작동판의 자중 및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 주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추가로 상기 제1 작동판을 상기 제1 주벽을 향해 압박하는 보조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작동판이 그의 자중에 의해 제1 주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힘을 받고 있어도, 보조 스프링에 의해 그의 자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쇄시킴으로써, 제1 작동판은 풍압에 의해 확실하게 제1 주벽을 향해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패킹을 구성하는 재료가 오픈 셀 구조의 발포 수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킹 재료의 원하는 탄성, 통기성을 비교적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내로 들어가는 공기량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옥외로 배기되는 공기량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이루는 환기 장치의 사시도이며,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도 2는 동 환기 장치를, 바람이 약하여 제1, 제2 작동판이 각각 제1, 제2 주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환기 장치를, 바람이 강하여 옥외가 정압일 때에 제1 작동판이 제1 주벽에 접근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환기 장치를, 바람이 강하여 옥외가 부압일 때에 제2 작동판이 제2 주벽에 접근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이루는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이루는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이루는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창 샤시 조립 타입의 환기 장치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1)는 장치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장치 본체(10)는, 수평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가늘고 긴 구조체(10a)와, 이 가늘고 긴 구조체(10a)의 양단부 개구를 막는 한 쌍의 폐색 부재(10b)(도 1에 있어서 한쪽만 나타냄)를 갖고 있다. 도 1에서는, 가늘고 긴 구조체(10a)의 길이 방향 중간부가 생략되어 실제보다 짧게 나타나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늘고 긴 구조체(10a)는, 2개의 압출형재(11, 15)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형재(11)는 옥내측 수직부(12)와, 하측 연결부(13)와, 상측 연결부(14)를 갖고 있다.
상기 하측 연결부(13)는 역U자형을 이루고, 유리판(101)의 상연부가 감입된다. 상기 상측 연결부(14)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리브를 갖고, 이들 한 쌍의 리브가 창 샤시의 상인방(10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환기 장치(1)는 창 샤시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형재(11)의 옥내측 수직부(12)의 상부는 하부보다 옥외측으로 후퇴되어 있고, 주벽(12a)(제1 주벽)으로서 제공된다. 이 주벽(12a)에는, 수직으로 가늘고 긴 환기구(12x)(제1 환기구)가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며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옥내측 수직부(12)에는, 상기 주벽(12a) 상의 상하 연부에 인접하며, 주벽(12a)보다 옥내측에 위치하는 걸림 결합홈(12b, 1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결합홈(12b, 12c)에는, 후술하는 수동 작동판(4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주벽(12a)과 상측 연결부(14)의 교차부에는, 축지지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지지부(12d)는 주벽(12a)의 옥외측에 있어서 주벽(12a)에 인접하고, 상기 환기구(12x)보다 상방(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 축지지부(12d)에는, 후술하는 작동판(20)(제1 작동판)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형재(15)는 단면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옥외에 면하는 수직인 주벽(15a)(제2 주벽)과, 주벽(15a)의 하단 연부로부터 옥내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15b)를 갖고 있다. 주벽(15a)의 상하 연부는, 형재(11)의 하측 연결부(13) 및 상측 연결부(14)의 옥외측의 연부에 연결되어 있다. 주벽(15a)에는, 수직으로 가늘고 긴 환기구(15x)(제2 환기구)가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며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환기구(15x)는 상기 환기구(12x)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형재(15)의 주벽(15a)과 수평부(15b)의 교차부에는 축지지부(15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지지부(15d)는, 주벽(15a)의 옥내측에 있어서 주벽(15a)에 인접하고, 상기 환기구(15x)보다 하방(제2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 축지지부(15d)에는, 후술하는 작동판(30)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10)의 내부 공간이, 환기구(12x, 15x)를 연결하는 환기 통로(16)로서 제공된다. 이 환기 통로(16)는 환기구(12x)를 통해 옥내로 연결되고, 환기구(15x)를 통해 옥외로 연결되어 있다.
장치 본체(10) 내에는, 압출형재로 이루어진 상기 작동판(20, 30)이 수용되어 있다. 작동판(20)(제1 작동판)은, 그의 상측 연부에 형성된 단면 원형의 축부가 상기 장치 본체(10)의 축지지부(12d)에 삽입됨으로써, 주벽(12a)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가까워지거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작동판(20)의 하부(회동 축선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있어서, 주벽(12a)을 향하는 면에는, 패킹(25)(제1 패킹)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패킹(25)은 작동판(20)을 따라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균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상기 패킹(25)은, 오픈 셀 구조의 발포 수지(예를 들어 우레탄폼)를 포함하고, 통기성과 두께 방향의 탄성(쿠션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패킹(25)은 밀도 20 내지 40Kg/m3이며, 필터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INOAC사의 제품(MF-13)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작동판(20)은, 작동판(2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인장 코일 스프링(26)(제1 스프링)에 의해, 그의 자중에 저항하여 주벽(1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26)의 양단부는, 작동판(20)의 하부로부터 옥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걸림부와, 상기 형재(11)의 상측 연결부(14)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부에, 각각 걸려 있다.
작동판(30)(제2 작동판)은, 그의 하측 연부에 형성된 단면 원형인 축부가 상기 장치 본체(10)의 축지지부(15d)에 삽입됨으로써, 주벽(15a)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가까워지거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작동판(30)의 상부(회동 축선이 되는 축부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있어서, 주벽(15a)을 향하는 면에는, 상술한 패킹(25)과 동일한 패킹(35)(제2 패킹)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판(30)은, 작동판(3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인장 코일 스프링(36)(제2 스프링)에 의해, 주벽(15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36)의 양단부는, 작동판(30)의 상부로부터 옥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걸림부와, 상기 형재(15)의 수평부(15b)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부에, 각각 걸려 있다.
상기 장치 본체(10)의 한 쌍의 폐색 부재(10b) 각각에는, 2개의 스토퍼(28, 38)(제1, 제2 스토퍼)가 환기 통로(16)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28, 38)는, 인장 코일 스프링(26, 36)에 의한 상기 작동판(20, 30)의 이격 방향의 회동을 규제하여, 소정의 이격 위치를 정하는 것이다.
추가로 환기 장치(1)는 작동판(40)(수동 작동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작동판(40)에는, 상기 주벽(12a)의 환기구(12x)와 동일 형상의 제어구(41)가 동 피치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작동판(40)은 주벽(12a)의 옥내측의 면에 접하고, 그의 상하연부가 상기 장치 본체(10)의 걸림 결합홈(12b, 12c)에 각각 걸림 결합됨으로써, 장치 본체(1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구조체(10a)의 우측 단부에는 지지 플레이트(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45)는 상기 작동판(40)의 우측 단부의 옥내측에 배치되고, 그의 상하 연부가 상기 걸림 결합홈(12b, 12c)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5)에는, 조작 손잡이(46)가 장치 본체(10)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조작 손잡이(46)는 상기 작동판(40)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 손잡이(46)를 조작함으로써, 작동판(40)은, 상기 제어구(41)가 상기 주벽(12a)의 환기구(12x)와 일치하는 개방 위치와, 제어구(41)가 환기구(12x)와 일치하지 않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된다.
상기 구성의 환기 장치(1)에 있어서, 바람이 없을 때 또는 약할 때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판(20, 30)은 코일 스프링(26, 36)의 힘에 의해 주벽(12a, 15a)으로부터 이격되고, 패킹(25, 35)과 주벽(12a, 15a) 사이의 간극, 환기구(12x, 15x)를 통해, 통상적인 환기가 행해진다. 작동판(20)은, 그의 양단부에서 한 쌍의 스토퍼(28)에 의해 걸려, 소정의 이격 위치에 유지된다. 작동판(30)도 한 쌍의 스토퍼(38)에 의해 걸려, 소정의 이격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이격 위치에서는, 작동판(20, 30)은 경사지고,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다. 코일 스프링(26, 36)은, 환기 통로(16)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그의 일부가 작동판(20, 30)의 좁은 공간에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서로 평행을 이루는 주벽(12a, 15a) 사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2개의 작동판(20, 30)과 2개의 코일 스프링(26, 36)을 서로 간섭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다.
환기 장치(1)가 강풍을 받아 옥외측이 정압으로 되면, 작동판(20)은 주벽(12a) 방향의 풍압을 받는다. 이 풍압이 높아지면, 작동판(20)은 코일 스프링(26)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벽(12a)에 근접하며, 패킹(25)이 주벽(12a)에 접한다. 그 결과, 강한 바람이 옥내로 들어가서 과잉 급기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작동판(30)은 주벽(15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큰 힘을 받지만, 스토퍼(38)에 걸려 있기 때문에, 소정의 이격 위치로부터 더 회동되는 일은 없다.
작동판(30)이 하방에 배치되고, 작동판(20)이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동판(20)은 작동판(30)에 방해되지 않고 옥외로부터의 풍압을 받아들여 주벽(12a)을 향해 회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판(20)이 주벽(12a)에 근접하며 패킹(25)이 작동판(20)과 주벽(12a)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주벽(12a)에 접한 상태에서도, 패킹(25)은 오픈 셀 구조의 발포 수지를 포함하며 통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패킹(25) 내를 통과하여 옥내로 유입된다. 그 때문에, 옥내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판(20)이 이격 위치로부터 근접 위치에 도달했을 때, 공기의 유입량이 감소되지만, 이 때의 유입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패킹(25)의 탄성, 통기성이 결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풍압이 더 강해지면, 작동판(20)은 주벽(12a)을 향해 더 눌리고, 패킹(25)을 압축시킨다. 이 패킹(25)의 압축에 의해 패킹(25)의 유통 단면적이 감소된다. 이렇게 풍압이 높아짐에 따라서 패킹(25)의 압축량이 증대되어 유통 단면적이 감소되므로, 옥내로의 공기 유입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작동판(20)이 접근 위치에 있을 때, 공기는 패킹(25) 내부의 다수의 작은 통기로를 통과하여 옥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강성 부재로 둘러싸인 개구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유입될 때에 발생하는 것과 같은 풍절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작동판(20)의 근방에서 큰 난류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판(20)의 진동은 발생하지 않고, 이 진동에 기인한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환기 장치(1)가 건물의 강풍을 받는 측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옥외가 부압이 되어, 옥내의 공기가 옥외로 배기된다. 이 옥내로부터의 풍압이 높아지면, 작동판(30)은 코일 스프링(36)에 저항하여 주벽(15a)을 향해 회동한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킹(35)이 주벽(15a)에 닿고, 옥내로부터 과잉으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환기를 계속할 수 있다. 패킹(35)의 작용은 패킹(25)과 동일하다.
이 때, 작동판(20)은 주벽(1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큰 힘을 받지만, 스토퍼(28)에 걸려 있기 때문에, 소정의 이격 위치로부터 더 회동할 일은 없다.
작동판(30)이 하방에 배치되고, 작동판(20)이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동판(30)은 작동판(20)에 방해되지 않고 옥내로부터의 풍압을 받아들여 주벽(15a)을 향해 회동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손잡이(46)의 조작에 의해, 작동판(40)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환기구(12x)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방이나 난방을 행하고 있을 때에는, 공기의 유통량을 제로로 하거나 또는 작게 억제할 수 있어, 냉방, 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여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구성부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며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2)는 고층 빌딩벽에 설치되는 것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 5에 있어서, 부호 103은 빌딩벽에 설치되며 유리판(104)의 하연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나타낸다. 이 지지 프레임(103)은 수평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형재로 이루어지고, 옥외측의 수직벽(103a)과 옥내측의 수평벽(103b)을 갖고 있다. 수직벽(103a)에는 지지 프레임(10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103x)가 형성되고, 수평벽(103b)에는, 다수의 통기 구멍(103y)이 지지 프레임(10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직벽(103a)과 수평벽(103b) 사이의 내부 공간이 공기의 통로(103z)로서 제공되고 있다.
수평벽(103b) 위에는 지지 프레임(10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 부재(10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덮개 부재(105)가 세팅되어 있을 때에는 통로(103z)가 폐쇄되고, 덮개 부재(105)를 떼어냈을 때에는, 통로(103z)가 열린다.
환기 장치(2)는, 상기 지지 프레임(103)의 개구(103x)로부터, 통로(103z)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환기 장치(2)의 장치 본체(50)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과 동일하게, 중공을 이루는 가늘고 긴 구조체(50a)와, 이 가늘고 긴 구조체(50a)의 양단부 개구를 막는 폐색 부재(50b)를 갖고 있다. 가늘고 긴 구조체(50a)는 2개의 압출형재(51, 55)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한쪽 압출형재(51)는, 옥내측에 배치됨과 함께 환기구(51x)를 갖는 수직의 주벽(51a)(제1 주벽)과, 스프링 걸림부가 형성된 수평부(51b)를 갖고 있다. 다른 쪽 압출형재(55)는, 옥외측에 배치됨과 함께 환기구(55x)를 갖는 수직의 주벽(55a)(제2 주벽)과, 상하의 수평부(55b, 55c)와, 주벽(55a)의 연장 상에 배치된 플랜지부(55d)를 갖고 있으며, 이 플랜지부(55d)를 지지 프레임(103)의 수직벽(103a)에 고정시킴으로써, 환기 장치(2)가 지지 프레임(103)에 설치되어 있다.
작동판(20, 30), 패킹(25, 35), 코일 스프링(26, 36), 스토퍼(28, 38)의 배치, 작용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3)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고층 빌딩의 지지 프레임(103)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지지 프레임(103)의 옥외측의 수직벽(103a)에는, 다수의 통기 구멍(103x')이 지지 프레임(10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옥내측의 수평벽(103b)에는,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103y')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 장치(3)는 이 개구(103y')로부터 통로(103z)에 삽입되어 있다.
환기 장치(3)의 장치 본체(60)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가늘고 긴 구조체(60a)와, 이 가늘고 긴 구조체(60a)의 양단부 개구를 막는 폐색 부재(60b)를 구비하고 있다. 가늘고 긴 구조체(60a)는 상하 2개의 압출형재(61, 65)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한쪽 압출형재(61)는, 옥내측에 배치됨과 함께 환기구(61x)(제1 환기구)를 갖는 수평의 주벽(61a)(제1 주벽)과, 이 주벽(61a)으로부터 하방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61b)를 갖고 있다. 다른 쪽 압출형재(65)는, 옥외측에 배치되며 환기구(65x)(제2 환기구)를 갖는 수평의 주벽(65a)(제2 주벽)과, 이 주벽(65a)의 양측 연부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기립벽(65b)을 갖고 있다. 이들 한 쌍의 기립벽(65b)이 상기 압출형재(61)의 한 쌍의 플랜지부(61b)에 고정되어 있다. 옥내측의 주벽(61a)은 옥외측의 주벽(65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주벽(61a, 65a)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점에서 제1,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하지만, 작동판(20, 30), 패킹(25, 35), 코일 스프링(26, 36), 스토퍼(28, 38)의 배치, 작용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판(20)은, 그의 자중과 코일 스프링(26)에 의해 하방으로의 주벽(61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 그 때문에, 옥외의 풍압에 의해 주벽(61a)을 향할 때의 저항이 크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틀림 스프링(70)(보조 스프링)이 장비되어 있다. 이 비틀림 스프링(70)은 압출형재(65)의 한쪽 기립벽(65b)에 지지된 샤프트(71)에 감겨 있고, 한편이 기립벽(65b)에 닿아 있다. 다른 편에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연장 부재(72)가 고정되어 있다. 연장 부재(72)는 작동판(20)의 하면의 스프링 걸림부에 닿아 있으며, 작동판(20)을 상방으로, 즉 주벽(61a)을 향해 압박하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70)의 힘은 작동판(20)의 자중에 거의 필적한다. 통상 시에는, 작동판(20)은 코일 스프링(26)의 힘으로 스토퍼(28)에 걸려 이격 위치가 유지된다. 작동판(20)이 옥외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상방의 힘을 받을 때에는, 주벽(61a)을 향한다. 이 때, 비틀림 스프링(70)과 중력이 상쇄되므로, 작동판(20)은, 패킹(25)이 주벽(61a)에 닿는 위치까지 확실하게 회동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환기 장치(4)는 옥내측 유닛(4A)과 옥외측 유닛(4B)을 갖고 있다. 고층 빌딩에 조립된 지지 프레임(106)의 상측 수평벽(106a)에 옥내측 유닛(4A)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되고, 하측 수평벽(106b)에 옥외측 유닛(4B)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옥내측 유닛(4A) 위에는, 수동에 의해 통로를 개폐하는 장치(107)가 설치되어 있다.
옥내측 유닛(4A)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출형재(81)와, 이 형재(81)에 그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고정된 복수의 U자형 브래킷(82)을 갖고 있다. 형재(81)는 수평을 이루는 주벽(81a)을 갖고 있으며, 이 주벽(81a)에는, 그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어 다수의 환기구(81x)(제1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옥외측 유닛(4B)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출형재(85)와, 이 형재(85)에 그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고정된 복수의 U자형 브래킷(86)을 갖고 있다. 형재(85)는 수평을 이루는 주벽(85a)을 갖고 있으며, 이 주벽(85a)에는, 그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어 다수의 환기구(85x)(제2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옥내측 유닛(4A)의 형재(81)에는 작동판(20)이 지지되고, 작동판(20)과 브래킷(82)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6)이 걸쳐 놓이고, 추가로 비틀림 스프링(70)이 브래킷(82)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비틀림 스프링(70)은 힌지(75)를 통해 작동판(20)에 상방으로의 힘을 부여하지만, 그의 작용은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브래킷(82)에는, 작동판(20)의 이격 방향의 회동을 규제하는 매트(83)(제1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옥외측 유닛(4B)의 형재(85)에는 작동판(30)이 지지되고, 작동판(30)과 브래킷(85)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36)이 걸쳐 놓여 있다. 브래킷(86)에는, 작동판(30)의 이격 방향의 회동을 규제하는 매트(87)(제2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환기 장치(4)에서는, 지지 프레임(106)의 수평벽(106a, 106b) 사이의 내부 공간이 환기 통로(16)로서 제공된다. 환기 장치(4)의 장치 본체는, 상기 형재(81, 85), 브래킷(82, 86)뿐만 아니라, 지지 프레임(106)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약되지 않고, 각종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제1, 제2 패킹은 탄성 및 통기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약은 없고,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등이어도 된다. 패킹은, 주벽에 설치해도 되고, 작동판과 주벽의 대향면의 양쪽에 설치해도 된다.
제1, 제2 스토퍼는, 장치 본체에 형성된 축지지부의 슬릿의 한쪽 연부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강풍 시에 환기를 제한할 수 있는 환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환기구(12x; 51x; 61x; 81x)를 갖는 제1 주벽(12a; 51a; 61a; 81a)과, 제2 환기구(15x; 55x; 65x; 85x)를 갖는 제2 주벽(15a; 55a; 65a; 85a)과, 상기 제1 환기구와 상기 제2 환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통로(16)를 구비한 장치 본체(10; 50; 60)와,
    상기 제1 주벽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되거나 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작동판(20)과,
    상기 제2 주벽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격되거나 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작동판(30)과,
    상기 제1 작동판을 상기 제1 주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26)과,
    상기 제2 작동판을 상기 제2 주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36)과,
    상기 제1 작동판의 회동 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판과 상기 제1 주벽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탄성 및 통기성을 갖는 제1 패킹(25)과,
    상기 제2 작동판의 회동 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판과 상기 제2 주벽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탄성 및 통기성을 갖는 제2 패킹(35)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작동판은, 상기 제1 주벽보다 옥외측에 배치되고, 옥외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상기 제1 주벽을 향하고,
    상기 제2 작동판은, 상기 제2 주벽보다 옥내측에 배치되고, 옥내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상기 제2 주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벽(12a; 51a; 61a; 81a)이 옥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주벽(15a; 55a; 65a; 85a)이 옥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 작동판(20, 30)과 상기 제1, 제2 스프링(26, 36)이 상기 제1, 제2 주벽 사이의 상기 환기 통로(16)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0; 50; 60)는, 중공의 가늘고 긴 구조체(10a; 50a; 60a)와, 이 가늘고 긴 구조체의 양단부 개구를 막는 한 쌍의 폐색 부재(10b; 50b; 60b)를 갖고, 상기 제1, 제2 작동판(20, 30) 및 이들 제1, 제2 작동판의 상기 회동 축선이, 상기 가늘고 긴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0)에는 제1, 제2 스토퍼(28, 38)가 설치되고, 이들 제1,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제2 작동판(20, 30)을 각각 소정의 이격 위치에서 걸리게 하여 회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판(20)의 상기 회동 축선이, 상기 제1 환기구(12x)로부터, 상기 가늘고 긴 구조체(10a; 50a; 60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작동판(30)의 상기 회동 축선이, 상기 제2 환기구(12x; 51x; 61x)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작동판(20, 30)이, 상기 소정의 이격 위치에 있어서 평행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스토퍼(28, 38)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한 쌍의 폐색 부재(10b; 50b; 60b) 각각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1 작동판(2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걸리게 하며, 한 쌍의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2 작동판(3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0)가 창 샤시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주벽(12a, 15a)이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1 환기구(12x)가 상기 제1 주벽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 주벽의 옥내측의 면에 접함과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수동 작동판(40)을 구비하고, 이 수동 작동판이 상기 제1 환기구와 등 피치로 형성된 다수의 제어구(4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주벽(61a, 65a)이 수평을 이루고, 상기 제1 주벽이 제2 주벽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작동판(20)이 상기 제1 주벽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작동판(30)이 상기 제2 주벽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작동판이, 이 제1 작동판의 자중 및 상기 제1 스프링(26)에 의해 상기 제1 주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추가로 상기 제1 작동판을 상기 제1 주벽을 향해 압박하는 보조 스프링(7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패킹(25, 35)을 구성하는 재료가 오픈 셀 구조의 발포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KR1020177025151A 2015-12-15 2015-12-15 환기 장치 KR101950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5043 WO2017103990A1 (ja) 2015-12-15 2015-12-15 換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087A true KR20170116087A (ko) 2017-10-18
KR101950633B1 KR101950633B1 (ko) 2019-05-20

Family

ID=5905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151A KR101950633B1 (ko) 2015-12-15 2015-12-15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42072B2 (ko)
KR (1) KR101950633B1 (ko)
CN (1) CN107532449B (ko)
AU (1) AU2015417648B2 (ko)
WO (1) WO20171039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773A (ko) * 2017-10-23 2019-05-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환기 가능한 창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72844A (ja) * 2019-04-10 2020-10-22 三協立山株式会社 二重窓の製造方法
US20230056540A1 (en) 2020-03-16 2023-02-23 Shimadzu Corporation List mode image reconstruction method and nuclear medicine diagnostic apparatu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891A (en) 1981-05-01 1982-11-16 Singer Co Sewing machine
JPH07233980A (ja) 1994-02-25 1995-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通風調節装置
JPH10306661A (ja) * 1997-04-28 1998-11-17 Sahara Buresu Kogyo Kk 換気装置
JPH1162423A (ja) * 1997-08-08 1999-03-05 Sahara Buresu Kogyo Kk 換気装置および換気装置用フィルタ装置
JP2005264425A (ja) 2004-02-16 2005-09-29 Sahara:Kk 換気装置のフィルタ取付構造
JP3720902B2 (ja) * 1996-03-08 2005-11-30 株式会社佐原 換気装置
JP2010203707A (ja) 2009-03-05 2010-09-16 Howa:Kk 換気装置
JP2015010727A (ja) * 2013-06-27 2015-01-19 昭和リーフ株式会社 二重窓用自然換気装置及び二重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56Y2 (ko) * 1981-05-22 1988-05-11
JPH0325070Y2 (ko) * 1985-12-26 1991-05-31
JPH0754543Y2 (ja) * 1990-11-30 1995-12-18 日本建鐵株式会社 自然換気口構造
JP3680473B2 (ja) * 1997-01-31 2005-08-10 株式会社ウッドワン 換気機能のあるドア枠材
AU2001241605A1 (en) * 2000-02-17 2001-09-12 Acclaim Entertainment, Inc. Multi-player computer gam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891A (en) 1981-05-01 1982-11-16 Singer Co Sewing machine
JPH07233980A (ja) 1994-02-25 1995-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通風調節装置
JP3720902B2 (ja) * 1996-03-08 2005-11-30 株式会社佐原 換気装置
JPH10306661A (ja) * 1997-04-28 1998-11-17 Sahara Buresu Kogyo Kk 換気装置
JPH1162423A (ja) * 1997-08-08 1999-03-05 Sahara Buresu Kogyo Kk 換気装置および換気装置用フィルタ装置
JP2005264425A (ja) 2004-02-16 2005-09-29 Sahara:Kk 換気装置のフィルタ取付構造
JP2010203707A (ja) 2009-03-05 2010-09-16 Howa:Kk 換気装置
JP2015010727A (ja) * 2013-06-27 2015-01-19 昭和リーフ株式会社 二重窓用自然換気装置及び二重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773A (ko) * 2017-10-23 2019-05-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환기 가능한 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03990A1 (ja) 2017-12-14
AU2015417648B2 (en) 2018-09-20
JP6342072B2 (ja) 2018-06-13
CN107532449A (zh) 2018-01-02
CN107532449B (zh) 2019-05-03
KR101950633B1 (ko) 2019-05-20
WO2017103990A1 (ja) 2017-06-22
AU2015417648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4505B2 (ja) 換気装置
KR101484835B1 (ko) 이중창
KR101950633B1 (ko) 환기 장치
JP4891628B2 (ja) 換気装置
JP6230221B2 (ja) 開口部装置
KR101389159B1 (ko) 실내 압력 조절 장치
JP6470504B2 (ja)
JP6076066B2 (ja) ドア
JP6839009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AU2018271249A1 (en) Ventilation apparatus
JP2016138380A (ja) ドアセットおよび換気装置
JP5372592B2 (ja) 換気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サッシ
KR101114886B1 (ko) 창호용 통풍 환기장치
KR101034678B1 (ko) 창문용 밀폐장치
KR100917264B1 (ko) 환기장치
JP4143047B2 (ja) 換気機能付き窓
JP6164825B2 (ja) 開口部装置
JP2015113652A (ja) ドアおよび採光ユニット
US20140273802A1 (en) Room Ventil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3983181B2 (ja) 換気装置
KR102432393B1 (ko) 방진 및 방충 기능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창호시스템
JP6839008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JP2001311366A (ja) 換気機能付きドア
JP5861120B2 (ja) 扉装置
RU2222680C2 (ru) Окно с вентиляцио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