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986A - 예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예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986A
KR20170114986A KR1020170044170A KR20170044170A KR20170114986A KR 20170114986 A KR20170114986 A KR 20170114986A KR 1020170044170 A KR1020170044170 A KR 1020170044170A KR 20170044170 A KR20170044170 A KR 20170044170A KR 20170114986 A KR20170114986 A KR 2017011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s
supply path
butterfly valv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230B1 (ko
Inventor
치코 시마추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1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0Devices for simultaneous control of gas and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F23N1/025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8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 F23N3/085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2Radiant burner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02Air or combustion gas valves or dampers
    • F23N2235/10Air or combustion gas valves or dampers power assisted, e.g. using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12Fuel valves
    • F23N2235/16Fuel valves variable flow or proportiona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가스공급로(4)의 하류단이 팬(2)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3)에 설치된 가스흡인부(31)에 접속되고,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스테핑모터(72)로 구동되는 버터플라이밸브(7)와, 유량조절밸브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전환밸브(8)와, 버터플라이밸브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기까지 전환밸브를 밸브닫힘 상태로 유지하도록 연동기구를 구성하는 예혼합장치에 있어서, 버터플라이밸브 및 전환밸브를 닫힘에서 열림으로 전환할 때의 실화나 연소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회동시킬 때, 스테핑모터(72)의 구동주파수를,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의 설정각도 회동할때까지 그 후의 구동주파수보다 높게 한다.

Description

예혼합장치{Premixing Apparatus}
본발명은,공기에 연료가스를 혼합하고, 혼합기(混合氣)를 팬을 통해서 버너에 공급하는 예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예혼합장치로서, 특허문헌1에 의해,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개설한 가스공급로의 하류단이 팬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에 설치된 가스흡인부에 접속되고,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大小)로 전환하는 공기저항전환수단과, 유량조절밸브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유량조절밸브로서 비례밸브를 이용하는 경우는, 요구연소량에 따른 양의 연료가스가 공급되도록 비례밸브가 제어되고, 그리고, 버너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공연비(空燃比)가 일정하게 되도록, 요구연소량에 따라서 팬회전수가 제어된다. 단, 요구연소량이 소정치 이하가 되어, 팬회전수가 송풍량의 비례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하한회전수 이하가 되거나, 비례밸브전류(비례밸브로의 통전전류)가 가스공급량의 비례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하한전류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는, 요구연소량에 따른 양의 공기나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유량조절밸브로서, 2차가스압을 대기압으로 유지하는 제로가바나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연료가스의 공급량은, 2차가스압인 대기압과 공기공급로내의 부압(負壓)과의 차압에 따라서 변화된다. 그리고, 공기공급로내의 부압이 팬회전수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연료가스의 공급량은 팬회전수 즉 공기의 공급량에 따라서 변화된다. 따라서, 요구연소량에 따라서 팬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요구연소량에 따른 양의 공기 및 연료가스가 버너에 공급되게 된다.
이것으로도, 팬회전수가 송풍량의 비례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하한회전수 이하가 되면, 요구연소량에 따른 양의 공기나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요구연소량이 소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여, 팬회전수를 상기 하한회전수 이하로 하지 않고, 소정치 이하의 요구연소량에 따른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것 만으로는, 공기공급로내의 부압의 증가로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요구연소량에 따른 양을 넘어버리기 때문에,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것에 맞춰서,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에서는, 요구연소량이 소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동시에 가스저항전환수단으로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을 크게 한 소능력상태로 하여, 소정치 이하의 요구연소량에 따른 양의 공기나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요구연소량이 소정치를 상회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의 통기저항을 작게 하는 동시에 가스저항전환수단으로 가스공급로의 통기저항을 작게 한 대능력상태로 복귀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공기저항전환수단은,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의 부분에 설치되고,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열림상태와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닫힘상태로 스테핑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버터플라이밸브로 구성되며, 가스저항전환수단은, 가스공급로내에 개폐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전환밸브로 구성되고, 버터플라이밸브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동작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어느 정도 열림측으로 회동하기까지, 공기유량은 그다지 증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회동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전환밸브가 열림동작하기 시작하면, 공기유량이 그다지 증가하지 않는 중에 가스유량이 증가하고, 소능력상태에서 대능력상태로의 전환시에, 혼합기가 일시적으로 가스가 풍부하게 되어 연소불량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에서는,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기까지 전환밸브를 밸브닫힘 상태로 유지하도록 연동기구를 구성하고, 소능력상태에서 대능력상태로의 전환시에, 공기유량이 증가하기 전에 가스유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서는, 소능력상태에서 대능력상태로의 전환시에, 혼합기가 과잉하게 공기가 풍부한 상태가 되어 실화(失火)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전환밸브가 열리기 시작한 직후에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1.0에 가까운 극소치가 되어, 연소불량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도 판명되었다.
JP 2015-230143 A
본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기까지 전환밸브를 밸브닫힘 상태로 유지하도록 연동기구를 구성한 경우의 부적합함, 소능력상태에서 대능력상태로의 전환시의 실화나 연소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예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발명은, 공기에 연료가스를 혼합하고, 혼합기를 팬을 통해서 버너에 공급하는 예혼합장치로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개설한 가스공급로의 하류단이 팬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에 설치된 가스흡인부에 접속되고,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공기저항전환수단과, 유량조절밸브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비하며, 공기저항전환수단은,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의 부분에 설치되고,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열림상태와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닫힘상태로 스테핑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버터플라이밸브로 구성되며, 가스저항전환수단은, 가스공급로내에 개폐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전환밸브로 구성되고, 버터플라이밸브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동작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하며, 연동기구는,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기까지 전환밸브를 밸브닫힘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회동시킬 때, 스테핑모터의 구동주파수를,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의 설정각도 회동하기까지, 버터플라이밸브가 해당 각도에서 열림상태로 회동하기까지의 구동주파수보다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의 설정각도 회동될때까지 스테핑모터가 비교적 고속으로 구동되게 된다. 그 때문에, 혼합기가 과잉하게 공기가 풍부한 상태가 되는 포인트가 있어서, 이 포인트를 재빠르게 통과할 수 있고, 실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버터플라이밸브가 설정각도 회동된 후는, 구동주파수의 저하로 스테핑모터의 출력토크가 증가하고, 버터플라이밸브 및 전환밸브를 확실하게 밸브열림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각도는, 전환밸브가 열리기 시작하여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극소치가 되는 포인트를 넘은 각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따르면,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극소치가 되는 포인트도 재빠르게 통과하고, 공기과잉률의 극소치가 1.0 가까이 되더라도 연소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가스공급로(4)의 하류단이 팬(2)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3)에 설치된 가스흡인부(31)에 접속되고,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스테핑모터(72)로 구동되는 버터플라이밸브(7)와, 유량조절밸브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전환밸브(8)와, 버터플라이밸브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기까지 전환밸브를 밸브닫힘 상태로 유지하도록 연동기구를 구성하는 예혼합장치에 있어서, 버터플라이밸브 및 전환밸브를 닫힘에서 열림으로 전환할 때의 실화나 연소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의 예혼합장치를 나타내는 절단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으로 절단한 절단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상태로 회동시켰을 때의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버터플라이밸브의 회동각도에 대한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1은, 혼합기가 분출하여 연소하는 연소면(1a)을 갖는 전체 1차연소식버너 등으로 이루어지는 버너이다. 버너(1)에는 팬(2)이 접속되어 있고, 본발명의 실시예의 예혼합장치(A)에 의해, 공기에 연료가스를 혼합하여, 혼합기를 팬(2)을 통해서 버너(1)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예혼합장치(A)는, 팬(2)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3)와,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로(4)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공급로(4)의 상류부에는, 개폐밸브(5)와 비례밸브나 제로가바나로 이루어지는 유량조절밸브(6)가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공급로(4)의 하류단은, 공기공급로(3)에 설치된 가스흡인부(3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예혼합장치(A)는, 가스흡인부(31)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3)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大小)로 전환하는 공기저항전환수단과, 유량조절밸브(6)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4)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요구연소량이 소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3)의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동시에 가스저항전환수단으로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을 크게 한 소능력상태로서, 소정치 이하의 요구연소량에 따른 양의 공기나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요구연소량이 소정치를 상회했을 때에, 공기저항전환수단으로 공기공급로(3)의 통기저항을 작게 하는 동시에 가스저항전환수단으로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을 작게 한 대능력상태로 복귀시키고 있다.
도 2 또한 참조하여, 공기저항전환수단은, 가스흡인부(31)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3) 부분에 축(7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공기공급로(3)의 지름보다 어느 정도 작은 지름의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버터플라이밸브(7)로 구성되어 있다. 버터플라이밸브(7)의 축(71)에는, 스테핑모터(7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소능력상태로의 전환시에, 버터플라이밸브(7)를, 스테핑모터(72)에 의해, 도 1,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공기공급로(3)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열림상태에서, 도 2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공기공급로(3)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닫힘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킨다. 닫힘상태에서는, 공기공급로(3)의 둘레면과 버터플라이밸브(7)의 외주와의 사이의 틈 만을 통해서 공기가 흐르고, 공기공급로(3)의 통기저항이 커진다.
버터플라이밸브(7)의 하류측의 공기공급로(3) 부분에는, 버터플라이밸브(7)를 배치한 공기공급로(3) 부분과 동심으로, 또한, 이 부분보다 단면적이 작은 벤튜리부(32)와, 벤튜리부(32)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차츰 증가하는 확경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공급로(4)의 하류단에, 벤튜리부(32) 및 확경부(33)를 둘러싸는 가스실(41)을 설치하고, 확경부(33)의 벤튜리부(32) 쪽으로 기운 기단부에, 가스실(41)에 연통하는 가스흡인부(31)를 형성하고 있다. 가스흡인부(31)는, 확경부(33)의 둘레벽(33a)을 기단측의 일부에서 벤튜리부(32)의 둘레벽(32a)으로부터 절리하여 지름방향 바깥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흡인부(31)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형성하고, 확경부(33)의 기단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가스실(41)로부터 연료가스가 흡인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스저항전환수단은, 가스공급로(4)내에 설치된 개폐동작이 자유로운 전환밸브(8)로 구성된다. 전환밸브(8)는, 가스공급로(4)를 횡단하도록 설치된 밸브좌(81)의 상방에 대향 배치된다. 밸브좌(81)에는, 전환밸브(8)로 개폐되는 밸브공(82)과, 상시 개통하는 바이패스공(8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8)를 아래로 움직이게 하여 밸브좌(81)에 앉혔을 때, 밸브공(82)이 폐쇄되고, 연료가스가 바이패스공(83)만을 통해서 흐르는 상태가 되어, 가스공급로(4)의 통기저항이 커지도록 하고 있다.
전환밸브(8)는,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에 수반하여 연동기구(9)를 통해서 개폐동작된다. 이 연동기구(9)는, 도1,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밸브(8)의 상방으로 연결된 연결자(91)와, 연결자(91)의 전환밸브(8)는 반대측, 즉, 상방으로 대향배치된 압압자(92)와, 버터플라이밸브(7)의 축(71)의 단부에 취부된, 압압자(92)에 맞닿는 캠(93)과, 전환밸브(8)를 연결자(91)를 통해서 상방의 열림측으로 부세하는 되돌림스프링(94)과, 연결자(91)와 압압자(92)와의 사이에 개설된, 되돌림스프링(94)보다 스프링정수가 큰 쿠션스프링(95)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압자(92)의 하단측에는, 연결자(91)에 일체의 되돌림스프링(94)용 스프링받침부(91a)의 하면에 계합가능한 돌기(92a)가 형성되어 있다.
버터플라이밸브(7)를 열림상태에서 닫힘상태측으로 회동하면, 압압자(92)가 캠(93)에 눌려서 아래로 움직이고, 쿠션스프링(95)을 통해서 전달되는 압압력에 의해 연결자(91)가 되돌림스프링(9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며,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전환밸브(8)가 밸브좌(81)에 앉아 밸브가 열린다. 그 후,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사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자(92)의 아래로 움직임에 수반하여 쿠션스프링(95)이 압축된다.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측으로 회동할 때는, 버터플라이밸브(7)가 열림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θ1(도5 참조)회동하기까지 쿠션스프링(95)의 부세력으로 전환밸브(8)는 밸브닫힘 상태로 유지되고, 버터플라이밸브(7)가 소정각도 θ1 회동한 곳에서 돌기(92a)가 스프링받침부(91a)의 하면에 계합하는 위치까지 압압자(92)가 위로 움직이며, 그 후 압압자(92)의 위로 움직임에 추종하여 연결자(91)가 위로 움직여서, 전환밸브(8)가 열림동작된다.
도 5는,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도와 전환밸브(8)의 열림정도 및 혼합기의 공기과잉률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에서 어느 정도 열림측으로 회동하기까지는, 공기유량은 그다지 증가하지 않고, 전환밸브(8)도 밸브닫힘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그 동안은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은 적정치인 1.30에서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그 후,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이 소정각도 θ1에 이르기까지의 사이, 공기과잉률이 차츰 증가한다.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이 소정각도 θ1를 넘어서 전환밸브(8)가 열리기 시작하면, 공기과잉률은 차츰 감소하고,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이 θ2에 이른 장소에서, 공기과잉률이 1.0 근방의 극소치가 된다. 그 후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의 증가에 수반하여 공기과잉률이 적정치를 향하여 차츰 증가한다.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이 θ1 부근에 있는 시간이 길면, 혼합기가 과잉하게 공기가 풍부한 상태가 되어 실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이 θ2 부근에 있는 시간이 길면, 혼합기가 가스가 풍부한 상태가 되어 연소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본실시예에서는, 전환밸브(8)가 열리기 시작하여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극소치가 되는 포인트 θ2를 넘은 각도인 도 5의 θ3을 소정의 설정각도로 하여, 버터플라이밸브(7)를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회동시킬 때, 스테핑모터(72)의 구동주파수를,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설정각도 θ3 회동하기까지, 버터플라이밸브(7)가 해당 설정각도 θ3에서 열림상태로 회동하기까지의 구동주파수보다 높게 하는 것으로 했다. 예를 들면, 스테핑모터(72)의 구동주파수를,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설정각도 θ3 회동하기까지는 500pps, 설정각도 θ3에서 열림상태로 회동하기까지는 200pps로 한다.
이것에 따르면, 버터플라이밸브(7)는 닫힘상태에서 설정각도 θ3까지 재빠르게 회동되게 된다. 따라서, 버터플라이밸브(7)의 회동각이 θ1 부근에 있는 시간 및 θ2 부근에 있는 시간이 짧게 되고, 실화나 연소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터플라이밸브(7)가 설정각도 θ3까지 회동한 후는, 구동주파수의 저하로 스테핑모터(72)의 출력토크가 증가하고, 버터플라이밸브(7) 및 전환밸브(8)를 확실하게 밸브열림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환밸브를, 도1, 도3, 도4의 밸브좌(81)의 하면에 앉히어 밸브열림 되도록 배치하고, 연동기구를, 버터플라이밸브(7)의 축(71)에 연결되는 캠과, 상단이 캠에 맞닿고, 밸브공(82)을 통해서 전환밸브에 연결되는 로드와, 전환밸브를 닫힘측으로 부세하는 밸브스프링으로 구성하고, 버터플라이밸브(7)의 닫힘상태에서의 회동으로 캠에 의해 로드가 눌러내려져서, 전환밸브가 밸브스프링에 대항하여 열림동작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기까지 로드의 눌러내려짐이 개시되지 않도록 캠을 형성함으로써, 버터플라이밸브(7)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기까지 전환밸브를 폐변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A: 예혼합장치, 1: 버너,
2: 팬, 3: 공기공급로,
31: 가스흡인부, 4: 가스공급로,
6: 유량조절밸브, 7: 버터플라이밸브,
8: 전환밸브, 9: 연동기구,
θ1: 소정각도,
θ2: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극소치가 되는 포인트,
θ3: 설정각도

Claims (2)

  1. 공기에 연료가스를 혼합하고, 혼합기를 팬을 통해서 버너에 공급하는 예혼합장치에 있어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개설한 가스공급로의 하류단이 팬의 상류측의 공기공급로에 설치된 가스흡인부에 접속되고,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大小)로 전환하는 공기저항전환수단과, 유량조절밸브보다 하류측의 가스공급로 부분의 통기저항을 대소로 전환하는 가스저항전환수단을 구비하고,
    공기저항전환수단은, 가스흡인부보다 상류측의 공기공급로 부분에 설치되고,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열림상태와 공기공급로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닫힘상태에 스테핑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버터플라이밸브로 구성되고, 가스저항전환수단은, 가스공급로내에 개폐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전환밸브로 구성되고,
    버터플라이밸브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환밸브를 개폐동작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연동기구는,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기까지 전환밸브를 밸브닫힘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버터플라이밸브를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회동시킬 때, 스테핑모터의 구동주파수를,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측으로 소정의 설정각도 회동하기까지, 버터플라이밸브가 해당 설정각도에서 열림상태로 회동하기까지의 구동주파수보다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각도는, 상기 전환밸브가 열리기 시작하여 혼합기의 공기과잉률이 극소치가 되는 포인트를 넘은 각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혼합장치.
KR1020170044170A 2016-04-06 2017-04-05 예혼합장치 KR102255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6518 2016-04-06
JP2016076518A JP6625925B2 (ja) 2016-04-06 2016-04-06 予混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986A true KR20170114986A (ko) 2017-10-16
KR102255230B1 KR102255230B1 (ko) 2021-05-24

Family

ID=5841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70A KR102255230B1 (ko) 2016-04-06 2017-04-05 예혼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95179B2 (ko)
EP (1) EP3249299B1 (ko)
JP (1) JP6625925B2 (ko)
KR (1) KR102255230B1 (ko)
CN (1) CN1072702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587B1 (ko) * 2022-09-15 2024-01-25 주식회사 대열보일러 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0278B2 (ja) * 2015-08-25 2019-06-12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US11530814B2 (en) * 2017-03-10 2022-12-20 Beckett Gas, Inc. Adjustable restrictor for burner
EP3617596B1 (en) * 2018-08-28 2021-10-06 Ademco Inc. Method for operating a gas burner appliance
JP7120895B2 (ja) * 2018-12-03 2022-08-17 リンナイ株式会社 電動式ガス弁装置
JP2021025722A (ja) * 2019-08-07 2021-02-22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767A (ja) * 2007-03-29 2008-11-06 Miura Co Ltd 低NOx燃焼装置
JP2014169837A (ja) * 2013-03-05 2014-09-18 Miura Co Ltd ボイラ
JP2015230143A (ja) 2014-06-06 2015-12-21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472A (ja) * 1992-10-27 1994-05-27 Osaka Gas Co Ltd ガスバーナ装置
JPH08312942A (ja) * 1995-05-15 1996-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液体燃焼装置
WO1999050580A1 (en) * 1998-03-27 1999-10-07 Maxon Corporation Intelligent valve actuator
CN101542205A (zh) * 2007-03-29 2009-09-23 三浦工业株式会社 低NOx燃烧装置
CN102072489B (zh) * 2011-02-25 2012-07-04 凯明企业有限公司 燃烧器
JP6189795B2 (ja) * 2014-06-04 2017-08-30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767A (ja) * 2007-03-29 2008-11-06 Miura Co Ltd 低NOx燃焼装置
JP2014169837A (ja) * 2013-03-05 2014-09-18 Miura Co Ltd ボイラ
JP2015230143A (ja) 2014-06-06 2015-12-21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587B1 (ko) * 2022-09-15 2024-01-25 주식회사 대열보일러 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70291B (zh) 2019-09-17
JP6625925B2 (ja) 2019-12-25
EP3249299A1 (en) 2017-11-29
US20170292697A1 (en) 2017-10-12
US10295179B2 (en) 2019-05-21
KR102255230B1 (ko) 2021-05-24
CN107270291A (zh) 2017-10-20
JP2017187229A (ja) 2017-10-12
EP3249299B1 (en)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4986A (ko) 예혼합장치
KR102295803B1 (ko) 예혼합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139800A (ko) 예혼합장치
JP6050281B2 (ja) 予混合装置
US9784225B2 (en) Intake air control apparatus of engine
KR101278688B1 (ko) 급발진 방지용 스로틀 밸브
JP4731592B2 (ja) 内燃機関の吸気量制御装置
EP3225912B1 (en) Premixing apparatus for a gas burner
JP6608749B2 (ja) 予混合装置
KR20170113069A (ko) 예비혼합장치
US9175639B2 (en) Plunger valve for a propane carburetor
KR20170113107A (ko) 예비혼합장치
US20220307691A1 (en) Premixing Apparatus
JP2023089714A (ja) 予混合装置
JP2019199816A (ja) ロータリ式気化器
JP2004293402A (ja) ガスエンジン用ミキサ
JP2020034040A (ja) 弁装置
US20110163250A1 (en) Disk actuator for a propane carbure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