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793A -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793A
KR20170114793A KR1020160042341A KR20160042341A KR20170114793A KR 20170114793 A KR20170114793 A KR 20170114793A KR 1020160042341 A KR1020160042341 A KR 1020160042341A KR 20160042341 A KR20160042341 A KR 20160042341A KR 20170114793 A KR20170114793 A KR 2017011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english
learner
service
gramm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892B1 (ko
Inventor
조강수
Original Assignee
조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강수 filed Critical 조강수
Priority to KR102016004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8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문법 및 영어 단어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고,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학습자의 능력의 점검 및 공부를 수행한 후의 학습자의 능력을 점검하는 확인 과정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상태에 따른 학습방법도 컨설팅할 수 있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을 개시(introduce)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 등은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으로 영어문법 및 영어단어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고,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학습자의 능력의 점검 및 공부를 수행한 후의 학습자의 능력을 점검하는 확인 과정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상태에 따른 학습방법도 컨설팅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Apparatus,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english study based on process of study, review and verification}
본 발명은 영어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으로 영어문법 및 영어단어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고,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학습자의 능력의 점검 및 공부를 수행한 후의 학습자의 능력을 점검하는 확인 과정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상태에 따른 학습방법도 컨설팅할 수 있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어의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영어학습법을 제공하는 영어학습장치 및 영어학습방법에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유아 및 아동의 영어 학습을 위해 제안된 발명(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63357) 및 정확한 발음을 효과적으로 학습 및 평가를 위해 제안된 발명(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8212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74298)이 있다.
그러나 공개되어 있는 기존의 영어학습장치 및 영어학습방법은, 영어 공부의 구체적인 일부분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영어학습 중 영어의 발음뿐만 아니라 문법과 단어 그리고 학습에 대한 평가나 학습 컨설턴트를 아우르는 전반적인 영어학습에 대해서는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어 문법 및 영어 단어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고,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학습자의 능력의 점검 및 공부를 수행한 후의 학습자의 능력을 점검하는 확인 과정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상태에 따른 학습방법도 컨설팅할 수 있는 영어학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영어 문법 및 영어 단어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고,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학습자의 능력의 점검 및 공부를 수행한 후의 학습자의 능력을 점검하는 확인 과정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상태에 따른 학습방법도 컨설팅할 수 있는 영어학습서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영어 문법 및 영어 단어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고,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학습자의 능력의 점검 및 공부를 수행한 후의 학습자의 능력을 점검하는 확인 과정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상태에 따른 학습방법도 컨설팅할 수 있는 영어학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영어학습장치를 이용하여, 영어 문법 및 영어 단어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고,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학습자의 능력의 점검 및 공부를 수행한 후의 학습자의 능력을 점검하는 확인 과정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상태에 따른 학습방법도 컨설팅할 수 있는 영어학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는, 입·출력부, 저장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부는 학습자가 명령을 인가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입력수단, 영어의 발음 또는 효과음과 같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수단 및 애니메이션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비디오출력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학습자의 학습이력 및 학습결과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는 문법학습모듈, 보카학습모듈 및 부가기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요구받은 학습 내용을 상기 입·출력부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는,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문법, 영어단어 및 영어숙어 중 적어도 하나를 공부하는 과정 및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서버는, 문법학습 DB, 보카학습 DB, 부가기능 DB, 데이터저장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문법학습 DB는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문법에 관한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보카학습 DB는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단어 또는 영어숙어에 관한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부가기능 DB는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학습자의 학습이력 및 학습결과가 저장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법학습 DB, 상기 보카학습 DB, 상기 부가기능 DB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를 참조하여,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문법, 영어단어 및 영어숙어 중 적어도 하나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거나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시스템은,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영어학습서버 및 상기 영어학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어학습서버로부터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문법, 영어단어 및 영어숙어 중 적어도 하나를 공부하는 과정을 서비스받거나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학습자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또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상기 영어학습장치 및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상기 영어학습서버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학습자가, 상기 영어학습장치 또는 상기 영어학습서버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문법학습의 서비스, 단어학습의 서비스 및 부가기능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서비스선택단계 및 상기 서비스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를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적용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을 활용하면, 영어발음 또는 유아의 영어교육과 같은 구체적이지만 단편적인 학습 이외에, 영어 문법 및 영어 단어를 효과적으로 공부하는 과정, 영어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학습자의 능력의 점검 및 영어 공부를 수행한 후의 학습자의 능력을 점검하는 확인 과정 및 학습자의 상태에 따른 학습방법에 대한 조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에서 제공하는 초기서비스메뉴를 나타낸다.
도 4는 학습자가 문법학습선택메뉴를 클릭한 경우에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학습자가 보카학습선택메뉴를 클릭한 경우에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학습자가 부가기능선택메뉴를 클릭한 경우에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영어학습시스템(200)의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에서 제공하는 초기서비스메뉴를 나타낸다.
도 9는 학습자가 문법바로학습하기를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학습자가 문장구조를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를 나타낸다.
도 11은 학습자가 프리테스트를 선택하고 이어서 학습하기를 클릭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프리테스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프리테스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문장구조섹션을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에서 학습자가 주어메뉴를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학습자가 주어메뉴에서 학습하기를 클릭한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16은 학습자가 주어메뉴에서 시작버튼을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메뉴를 나타낸다.
도 17은 문법학습선택메뉴에서 제공하는 문법학습을 수행한 후 학습한 과정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8은 문법에 사용되는 단어의 학습과정을 설명한다.
도 19는 학습자가 복습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메뉴를 나타낸다.
도 20은 복습메뉴에서 게임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한다.
도 21은 스펠링비를 택하였을 때에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2는 스펠링비에서 제공하는 게임으로 푸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도 23은 출제포인트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4는 출제포인트를 선택하였을 때 게임의 형식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학습자가 실전문제를 선택하였을 때의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6은 학습자가 실전문제를 선택하였을 때 게임형식으로 제공되는 실전문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보카학습선택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8은 보카학습선택메뉴에서 동사를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9는 보카학습선택메뉴에서 동사에 포함되는 단어를 학습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보카학습선택메뉴에서 동사에 포함되는 단어를 학습한 후 이어지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1은 보카플립(VocaFlip)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2는 보카레이싱(VocaRacing)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3은 미니테스트(MiniTest)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4는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학습법컨설턴트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5는 학습법컨설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하는 화면이다.
도 36은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레벨테스트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7은 레벨테스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8은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보카칩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9는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심화학습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40은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메모장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41은 메모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는 하드웨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해당 영어학습 내용을 제공하는 영어학습서버를 포함하는 영어학습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형태를 가진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학습자가 하나의 장치를 일대 일로 사용하는 경우에 필수적이며,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서비스를 모니터에 메뉴의 형태로 제공하며 학습자는 모니터 및 오디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외부의 통신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능은 부가될 수 있다.
영어학습서버의 형태를 가진다는 것은, 여러 학습자가 다중으로 접속하여 서비스가 동시다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가 자신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영어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어학습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수단과 영어학습서버는 영어학습시스템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10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10)는 학습자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I00)에 명령을 인가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입력수단(111), 영어의 발음 또는 효과음과 같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수단(112) 및 애니메이션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비디오출력수단(113)을 포함한다. 비디오출력수단(113)이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명령입력수단(111)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출력부(110)를 통해 요구받은 학습 내용을 입·출력부(110)에 재생하며, 이를 위해 문법학습모듈(121), 보카학습모듈(122) 및 부가기능모듈(123)을 포함한다. 문법학습모듈(121)은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문법의 학습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카학습모듈(122)은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단어 및 숙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부가기능모듈(123)에서는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저장부(130)에는 학습자와 관련된 제반의 정보가 저장되는데, 예를 들면, 학습자의 학습이력 및 학습결과 등이 저장되어 있다.
통신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장치(100)가 외부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시스템(200)은 영어학습서버(210) 및 복수의 학습자(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학습자(220)는 영어학습서버(21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구하고 요구한 서비스를 향유하는 컴퓨터,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수단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영어학습서버(210)는 내장되거나 영어학습서버(210)의 외부에 설치되는 프로세서(211)가 문법학습 DB(212), 보카학습 DB(213), 부가기능 DB(214) 및 데이터저장부(215)를 참조하여 복수의 학습자(22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학습요구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영어학습장치(100, 이하 장치) 및 도 2에 도시된 영어학습시스템(200)의 영어학습서버(210)에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영어학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치(100)에 포함되는 문법학습모듈(121), 보카학습모듈(122) 및 부가기능모듈(123)의 기능은 영어학습서버(210)에 포함되는 문법학습DB(212), 보카학습DB(213), 부가기능DB(214)의 기능에 각각 대응되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문법학습모듈(121), 보카학습모듈(122) 및 부가기능모듈(123)은 문법학습DB(212), 보카학습DB(213), 부가기능DB(214)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실제로는 영어학습서버(210)에서 제공하는 것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영어학습서버(2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에서 제공하는 초기서비스메뉴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영어학습방법을 제공하는 영어학습장치(이하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영어학습시스템(이하 시스템)에 액세스하였을 때,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초기서비스메뉴를 나타내며, 학습자는 3가지 메뉴 즉 문법학습선택메뉴(310), 보카학습선택메뉴(320) 및 부가기능선택메뉴(33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문법학습선택메뉴(310), 보카학습선택메뉴(320) 및 부가기능선택메뉴(330)는 문법학습모듈(121), 보카학습모듈(122) 및 부가기능모듈(123)에서 직접 또는 프로세서(211)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된다.
도 4는 학습자가 문법학습선택메뉴를 클릭한 경우에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문법학습모듈(121) 또는 시스템(200)의 문법학습 DB(212)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섹션이 학습자에게 메뉴의 형태로 제공되며(410), 학습자는 메뉴에서 학습하고자 하는 섹션을 선택하고(420), 장치(100) 또는 시스템(200)은 학습자가 선택한 섹션과 관련된 서비스를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한다(430). 학습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판단하여(440) 학습이 완료된 경우(Yes)에는 학습대상섹션(410)을 표시하고, 학습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학습(430)을 계속하도록 한다. 학습이 완료되었는가는 장치(100) 또는 시스템(200)에 판단할 수도 있지만, 학습자가 학습의 완료를 장치(100) 또는 시스템(200)에 직접 명령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학습의 완료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이하의 설명에서 학습의 완료와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는 상기의 내용을 준용할 것이다.
도 5는 학습자가 보카학습선택메뉴를 클릭한 경우에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보카학습모듈(122) 또는 시스템(200)의 보카학습 DB(213)는 난이도를 학습자의 모니터에 표시하고(510), 학습자는 학습할 난이도를 선택하며(520), 장치(100) 및 시스템(200)은 학습자가 원하는 단어를 포함하는 품사메뉴 및 숙어메뉴를 표시하고(530), 학습자는 품사메뉴 또는 숙어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며(540), 장치(100) 및 시스템(200)은 선택된 품사 또는 숙어를 선택된 난이도에 맞춘 서비스를 학습자에게 제공(550)한다. 학습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560), 학습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No)에는 학습(550)을 계속하고, 학습이 완료된 경우(Yes)에는 학습자가 보카학습선택메뉴를 선택한 직후에 제공되는 메뉴 즉 난이도를 표시(510)하도록 한다.
도 6은 학습자가 부가기능선택메뉴를 클릭한 경우에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치(100)의 부가기능모듈(123) 또는 시스템(200)의 부가기능 DB(214)는 서비스받을 수 있는 부가기능을 표시하고(610), 학습자는 받고 싶은 서비스를 선택하며(620), 장치(100) 또는 시스템(200)은 학습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한다(630). 서비스의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640), 서비스 수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No)에는 서비스 수행(630)을 계속하고, 서비스 수행이 완료된 경우(Yes)에는 학습자가 부가기능선택메뉴를 선택한 직후에 제공되는 메뉴 즉 부가기능표시(510)를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 및 시스템(200)을 이용하며, 도 3 ~ 도 6에 도시한 영어학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지만, 게임형식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타이포모션 그래픽을 도입하여 암기의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스토리텔링 + 애니메이션 + 원어민의 발음을 활용하는 등 이하에서 설명하는 독특한 방법 및 방식이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영상재생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한 영어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에서 제공하는 최초의 서비스화면은 학습자가 영어학습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와 영어학습시스템(200)을 이용하는 경우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영어학습장치(100)는 하나의 학습자가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반면에, 영어학습시스템(200)을 이용하는 경우 복수의 학습자가 공유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학습자가 영어학습시스템(200)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메뉴가 추가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학습자가 영어학습시스템(200)에 액세스하였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7은 영어학습시스템(200)의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어학습시스템(200)에 접속한 학습자는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 영어학습시스템(200)에 액세스하여야 한다. 영어학습시스템(200)은 각종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이 허용된 학습자가 필요한 정보 및 서비스를 선택하여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기재된 원 내부의 번호는 제공되는 메뉴를 크게 분류하였을 때의 구분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에서 제공하는 초기서비스메뉴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어학습시스템(200)에 액세스한 학습자가 학습시작(도 7의 화면 중 왼쪽 상단에 표시)을 클릭한 후 표시되는 화면으로, 학습자는 문법학습선택메뉴(810), 보카학습선택메뉴(820) 및 부가기능선택메뉴(83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부가기능선택메뉴(83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Yes 또는 No 문답을 통한 문법 및 단어 학습에 관한 로드맵(Road-Map)을 제공하는 학습법컨설턴트메뉴(831); 학습자 스스로 문법 및 단어에 대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테스트메뉴(832); 출제포인트, 동의어, 확장어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보카칩메뉴(833); 문법이나 단어에 대한 세부사항을 애니메이션(Animation)으로 제작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심화학습메뉴(834); 학습 도중 복습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저장하고 저장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장메뉴(835); 및 인터넷, 효과음, 배경음 및 화면 밝기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메뉴(836)를 포함한다.
화면의 좌측 상단에 표시한 것과 같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는 수단(← Back)도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3가지 선택메뉴(810, 820, 830) 및 서비스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학습자가 문법학습선택메뉴(810)를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뉴의 선택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메뉴를 클릭하거나 손가락 또는 바(bar)를 이용하여 해당 메뉴를 터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임의의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클릭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9는 학습자가 문법바로학습하기를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문법바로학습하기 즉 문법학습선택메뉴(810)를 클릭하였을 때 이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학습자는 문장성분, 동사구, 준동사구, 품사 및 특수구문과 같은 복수의 섹션 중 하나의 섹션을 선택할 수 있다. 화면의 제약으로 인해 상기 6가지의 선택 메뉴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더 많은 서비스 섹션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의해 보이지 않는 나머지 섹션은, 좌우의 화살표를 이용하면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9에는 학습자가 문장성분섹션을 클릭하였을 때를 나타내며, 문장성분섹션에서는 문장구조에 관한 학습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학습자가 문장구조를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문장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프리테스트(pretest), 주어, 동사, 수일치, 목적어, 보어, 복습, 스펠링비, 출제포인트 및 실전문제라는 총 10가지의 메뉴를 제공한다.
도 10에서는 학습자가 프리테스트를 클릭한 것으로 화면의 중심부에는 프리테스트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재생한다. 학습자가 상술한 10가지의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메뉴와 선택받지 못한 메뉴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여기서는 일 예로, 선택된 메뉴의 상단부는 오렌지색으로 변하고, 선택받지 못한 메뉴의 상단부는 파란색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도 11은 학습자가 프리테스트를 선택하고 이어서 학습하기를 클릭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리테스트를 수행하기 준비시간을 학습자에게 부여하기 위하여, 준비(READY)라는 용어를 재생하면서 일정한 시간 예를 들면 약 3초가량의 효과음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프리테스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에서 학습자가 프리테스트를 선택하고 학습하기를 클릭한 후 도 11에 도시된 화면이 일정시간 재생된 후 이어서 재생되는 것으로, 스톱워치창, 제시문장창, 선택보기창 및 총문항표시창을 제공한다.
스톱워치창은 화면의 상부에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램프로 구성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하나씩 순서대로 턴 온 되도록 구성한다. 스톱워치창을 일정한 크기의 바(Bar)형태로 구성하고,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한쪽 면으로부터 반대 면으로 점차적으로 색깔을 변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시문장창에서는 테스트에 필요한 문장(James came into the building.)을 제시한다. 문장 중 질문의 핵심이 되는 부분(came)에는 밑줄이 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밑줄이 그어진 단어의 품사가 무엇인가를 묻고 있다.
선택보기창에서는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4개의 품사 즉 주어, 동사, 목적어 및 수식어를 각각 표시한다.
화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총문항표시창에서는 프리테스트에서 제공하는 총 문항을 표시하며, 빨간색 불은 이미 푼 문제를 의미하고, 노란색 불은 현재 풀고 있는 문제를 의미하며, 회색 불은 아직 풀지 않은 문제를 의미한다.
도 13은 프리테스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게임 형식의 프리테스트를 수행한 후에는, 풀었던 문제에 대한 결과를 O 및 X로 표시해주고 학습자가 선택한 답과 정답을 표시하는 학습자응답창, 학습자가 맞춘 문제를 그래프와 숫자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해 주는 정답그래프창, 풀었던 문제를 다시 풀기를 원할 때 클릭하는 다시풀기 및 도 10에 도시된 문장구조섹션을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로 이동하도록 하는 확인 메뉴를 제공한다.
도 14는 문장구조섹션을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에서 학습자가 주어메뉴를 클릭하였을 때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주어메뉴를 클릭하였으므로, 주어메뉴 부분만 오렌지색으로 변하고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들은 파란색으로 되어 있으며, 화면의 중앙부는 주어메뉴를 선택하였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도 10에서 프리테스트메뉴가 선택되었음을 설명하기 위해 프리테스트메뉴를 오렌지색으로 도시하였는데, 도 14는 이와는 별도로 최초로 주어메뉴를 선택한 것을 가정하고 도시한 것이다. 만일 프리테스터메뉴가 수행된 후 주어메뉴를 수행한다고 가정할 경우, 현재 선택한 주어메뉴뿐만 아니라 이전에 수행이 완료된 프리테스트메뉴도 모두 오렌지색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단에 표시된 학습하기버튼을 클릭하면 주어메뉴가 제공하는 학습이 시작될 것이다.
도 15는 학습자가 주어메뉴에서 학습하기를 클릭한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의 상부에는 학습자가 주어 메뉴를 클릭하였을 때 최초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학습할 유니트 그리고 도 15의 하부에는 학습자가 원하는 유니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바가 도시되어 있다.
학습할 유니트에는, 예를 들면,
2-1 주어가 될 수 있는 것
2-2 it의 용법
2-3 there 용법
2-4 연습(exercise) 등이 있다.
학습자는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 선택바(2-1, 2-2, 2-3, 2-4) 중 하나를 클릭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학습 유니트를 선택할 수 있다. 학습자가 임의의 선택바를 클릭하면, 유니트의 해당 부분이 나머지부분과 구분되도록 하여 선택된 부분을 확인시켜 주도록 한다. 선택 후 시작버튼(START)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유니트에서 제공하는 학습을 이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학습자가 주어메뉴에서 시작버튼을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메뉴를 나타낸다.
주어 메뉴에서 제공하는 학습은 타이포모션 그래픽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도 16a로부터 도 16d의 순서로 진행된다.
도 16a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주어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메뉴화면에는 광고기법 중 하나인 타이포모션 그래픽 기법을 적용하는 직렬로 배열된 세 장의 카드가 제시되는데, 가장 왼쪽에 있는 첫 번째 카드에는 '주어가 될 수 있는 것은'이라는 문장이 기재되어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첫 번째 카드가 중간에 있는 두 번째 카드의 아래로 사라진다.
도 16c를 참조하면, 첫 번째 카드가 두 번째 카드로 완전히 사라진 다음에는, 두 번째 카드에 "명사, 대명사, 동명사, 명사절, 부정사이다"라는 문장이 표시된다.
도 16d를 참조하면, 두 번째 카드가 세 번째 카드로 완전히 사라진 다음에, 세 번째 카드에 "주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 대명사, 동명사, 명사절, 부정사이다"라는 문장이 표시된다. 이때, 핵심 포인트에는 빨간색 또는 동그라미 표시를 함으로써 강조할 수 있다.
카드에 표시되는 문장은 모두 타이포모션 그래픽 기법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 순간 음악에 맞춰 적어도 한 번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이포모션 그래픽 기법이 인간이 기억하기에 좋은 방법이라는 사실과, 음악에 맞춰 표시하는 경우 리듬이 기억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17은 문법학습선택메뉴에서 제공하는 문법학습을 수행한 후 학습한 과정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7a를 참조하면, 문법학습 즉 주어와 관련된 문법을 완료한 후에는, 상부의 질문창 및 하부의 2개의 보기창을 통해 공부한 것이 정확하게 암기 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b를 참조하면, 질문창에는 '유형 및 부정사구에서 주어가 될 수 있는 것은'이라는 질문이 표시되고, 보기창에는 2개의 부정사구(To create, To creation)가 표시된다. 학습자는 보기창에 표시된 2개의 부정사구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문법공부의 암기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선택한 부정사구에 대해 설명하는 상부의 해설창, 맞춘 문제의 개수에 대응되는 그래프를 길이로 표시하는 하부의 그래프창, 다시하기, 계속하기, 심화학습 및 종료 등의 메뉴를 제공하는 우측 하단의 부가기능창을 표시한다.
도 18은 문법에 사용되는 단어의 학습과정을 설명한다.
도 18은 문법의 학습에만 사용되는 단어들을 공부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따로 선택메뉴를 두어 학습자가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지만, 해당 문법을 공부하기 전에 미리 선행 학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배가 출항하다는 뜻의 sail이라는 단어를 학습하기 위하여, 영어 sail과 한글 출항하다 이외에도 배가 출항하는 장면을 애니메이션으로 도시한다.
도 18b를 참조하면, 새 등이 울다, 지저귀다라는 뜻의 chirp라는 단어를 학습하기 위하여, 영어 chirp와 한글 울다, 지저귀다 이외에도 새가 바다 위에서 날고 있는 모습을 애니메이션으로 도시한다.
도 18c를 참조하면, 다가가다, 접근하다라는 뜻의 approach라는 단어를 학습하기 위하여, 영어 approach와 한글 다가가다, 접근하다 이외에도, 새가 바다 위의 배에 접근하고 있는 모습의 애니메이션을 표시한다.
도 18d를 참조하면, 상기 3개의 단어를 결합하여 학습하도록 하기 위하여, 3개의 영어단어를 순서대로 나열하면서 우측에 대응하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 포함된 한글 문장이 더불어 표시되고 있다. 즉, "배가 출항하자, 갈매기들이 지저귀며 배로 다가갔다"와 같이 단어를 연결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도 18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학습자가 영어 단어를 클릭할 때 또는 화면의 재생되는 초기에 적어도 한 번 영어 단어의 원어민 발음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문법에만 사용되고 있는 단어들을 제대로 그리고 오랫동안 암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리텔링+애니메이션+원어민음' 등을 적용한다.
도 19는 학습자가 복습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메뉴를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된 복습메뉴는, 앞서 배운 문법사항을 학습자가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가를 확인해주거나, 다시 복습함으로써 확실하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0은 복습메뉴에서 게임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한다.
도 20a를 참조하면, 시간의 흐름을 알려주는 스톱워치창을 상부에, 문제가 제공되는 문제제공창이 화면의 중간부분에 그리고 문제에 대한 답을 선택하는 답선택창을 하부에 각각 제공한다. 학습자는 문제제공창에서 제공되는 문제(동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한다)에 대해 답선택창에 표시된 2개의 선택메뉴(Right, Wrong)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답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문제를 모두 풀고 난 후에는 이에 대한 결과와 해설을 표시한다.
도 21은 스펠링비를 택하였을 때에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2는 스펠링비에서 제공하는 게임으로 푸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앞서 공부한 단어의 테스트를 위해 학습자가 스펠링비를 선택하였을 때 장치(100) 또는 서버(210)는 학습자에게 스톱워치창, 질문창 및 선택창을 제공한다.
상부의 스톱워치창은 단어 문제를 풀어야 할 시간 및 푸는 시간의 경과를 표시한다. 중앙의 질문창은 풀어야 할 단어 문제(Which word is spelled incorrectly?)를 제시한다. 선택창에는 복수의 단어(discuss, ask, lay, attand)가 나열되어 있으며, 학습자는 이 중 질문에 따라 스펠링이 틀렸다고 생각되는 단어를 선택하면 된다.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정답과 오답에 대응되는 O 및 X를 화면의 중간에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였다 없앤다. 특히 정답이 선택된 경우에는 정확한 스펠링을 잘못 기재된 스펠링의 주위에 표시한다. 도 22의 경우 잘못 기재된 단어(attand)의 상단부에 정확한 철자의 단어(attend)를 표시하였다.
도 23은 출제포인트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4는 출제포인트를 선택하였을 때 게임의 형식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24a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주어에 관한 문법을 공부한 후 주어에 관한 출제포인트 즉 출제경향을 확인하고자 할 때, 장치(100) 또는 서버(210)는 출제유형 및 출제유형별 대응책을 설명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제유형이 '빈칸 채우기 유형'인 경우 문장에는 반드시 주어가 있어야 한다는 점과 주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 역할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을 표시하고 있다. 출제유형이 '틀린 부분 찾기 유형'인 경우, 주어의 오류 문제가 출제된다는 것과 명사 주어 뒤에 대명사 주어를 쓰면 틀린 문장이라는 점을 표시하고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출제포인트에 해당하는 문제와 보기가 표시되며 문제를 풀면 OX 표시가 화면의 중간에 나타났다 사라진다.
도 24c를 참조하면, "문장에는 반드시 주어가 있어야 한다" 라는 문장이 화면 전체의 크기로 표시되었다가 작아지면서 상부의 창의 위치로 이동하고, 제시된 4개의 단어에 대한 핵심 포인트를 정리하여 시험에 대비하도록 구성되며, 다시보기 또는 확인 버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5는 학습자가 실전문제를 선택하였을 때의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6은 학습자가 실전문제를 선택하였을 때 게임형식으로 제공되는 실전문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6a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실전문제를 선택하였을 때, 스톱워치창, 질문창, 선택창 및 총문항표시창이 제공된다. 상부의 스톱워치창은 실전문제를 풀어야 하는 정해진 시간 및 시간의 경과를 표시하고, 아래로 이어지는 질문창은 실전문제(___ arrived to class an hour late on his first day.)가 표시되며, 선택창은 질문창의 질문에 대한 답(To professor, Our new professor, Professionally, Professional)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의 총문항표시창에는 실전문제로 제공되는 문항의 수와 문제를 해결한 항의 수 및 현재 수행중인 항을 표시한다. 선택창에서 일정한 항을 선택하였을 때 정답 및 오답에 따라 화면의 중앙부에 OX를 일정시간 표시하였다가 제거한다.
도 26b를 참조하면, 게임의 형식의 실전문제를 모두 수행한 후에는, 해설 및 맞춘 문제의 결과를 보여주고, 맞춘 문항의 수를 합산하여 총점으로 표시하며, 필요한 경우 다시보기 또는 확인 버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학습자가 보카학습선택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7은 보카학습선택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면, 보카학습선택메뉴에서는 학습할 단어의 난이도(Easy, Normal, Hard), 단어가 속하는 품사(동사, 형용사, 명사, 부사)를 선택하도록 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숙어(Idioms)나 실전문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다양화시킬 수 있다. 도 27에 표시된 동사의 상부에는 체크와 함께 학습완료라는 붉은색 글씨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동사에 대한 단어의 학습은 이미 전에 수행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전문제메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이미 공부한 동사에 포함되는 단어에 대한 기출문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은 보카학습선택메뉴에서 동사를 클릭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8을 참조하면, 동사에 포함되는 단어의 학습에는 10개의 동사섹션(동사1~동사10) 및 6개의 퀴즈섹션(퀴즈A~퀴즈F)이 제공된다. 중앙 하단부에 표시된 마지막 학습은 이전의 학습이 어디까지 이루어졌는가를 표시한다.
도 29는 보카학습선택메뉴에서 동사에 포함되는 단어를 학습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9a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영어단어(visit), 영어 단어에 대한 한글의미(방문하다) 및 좌측 하단에 표시된 문 앞에 서있는 사람을 표시하는 애니메이션이 도시되어 있다.
도 29b~도 29c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영어단어(open, close), 영어 단어에 대응되는 한글의미(열다, 닫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애니메이션이 도시되어 있다.
도 29d를 참조하면, 도 29a~도 29c에 도시된 3개의 단어를 결합하여 하나의 문장 즉 스토리를 만들어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커서를 영어단어로 가져가거나 클릭면 원어민의 발음을 들을 수 있다. 애니메이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해당 애니메이션 화면이 작아지면서 스토리텔링 화면을 크게하는 방식도 도입할 수 있다.
도 30은 보카학습선택메뉴에서 동사에 포함되는 단어를 학습한 후 이어지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0은 앞 단계에서 배운 단어를 확실하게 외웠는가를 확인시켜주는 퀴즈 형식의 서비스이다.
도 30a를 참조하면, 가장 상부에 표시된 세 개의 빈칸의 바로 밑 칸이 깜빡이도록 하고, 학습자는 깜빡이는 빈칸에 기재하여야 할 단어를 가장 아래에 표시되고 각각 단어가 기재된 칸을 클릭함으로써, 깜빡이는 빈칸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한다.
도 30b는 모든 단어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0c는 방금 풀었던 각 단어의 원어민 발음을 순서대로 2번 정도 들려주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하기 버튼을 누르면 스피커 이미지가 다시 맨 위로 이동하면서 발음을 반복하여 들려준다.
도 31은 보카플립(VocaFlip)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1a를 참조하면, 보카플립을 선택한 후 스타트버튼(START)을 클릭함으로써 게임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1b를 참조하면, 단어와 맞는 뜻을 선택하면 맞는 뜻 창이 열리는 게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1c를 참조하면, 게임학습이 종료되면, 게임시간, 클릭 횟수 및 순위가 기록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를 요약하면, 제시될 영어(또는 한글)의 뜻에 대응되는 한글(또는 영어)이 기재된 면이 보이지 않는 복수의 패널 중에서, 제시된 영어(또는 한글)의 뜻에 대응되는 한글(또는 영어)이 표시된 패널을 학습자가 선택하였을 때만 뒤집어 지는 게임을 적용한다.
도 32는 보카레이싱(VocaRacing)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2a를 참조하면, 보카레이싱(VocaRacing)을 선택한 후 스타트버튼을 누름으로써 게임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2b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테스트 유형(뜻으로, 단어로)을 선택하도록 한다.
도 32c를 참조하면, 테스트할 단어 또는 뜻의 글자가 점점 커지면서 마치 학습자쪽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게 하고, 하단에 표시되는 단어 중 테스트할 단어 또는 뜻에 대응되는 단어를 선택 클릭함으로써 퀴즈가 수행된다.
도 33은 미니테스트(MiniTest)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3a를 참조하면, 미니테스트(MiniTest)를 선택한 후 스타트버튼(START)을 누름으로써 게임이 시작된다.
도 33b를 참조하면, 스톱워치를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를 학습자에게 알리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새로운 문제를 계속하여 출제하며, 출제된 문제에 대한 답을 4지 선다형으로 선택하도록 하고, 전체문항의 수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33c를 참조하면, 게임의 모두 종료된 후에는 출제문제의 해설 및 결과를 나타내고, 그래프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맞힌 개수를표시해 주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부가기능선택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학습법컨설턴트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4a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도 8에 도시된 서비스화면에서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하나인 학습법컨설턴트를 클릭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어떤 섹션을 선택하는 과정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해당 도면을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34b를 참조하면, 학습법컨설턴트가 선택된 후 바로 이어지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며, 학습법컨설턴트에 관한 간단한 소개와 컨설턴트 받을 메뉴(문법, 보카)가 표시된다.
도 35는 학습법컨설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하는 화면이다.
도 35a에서는 컨설턴트를 위한 질문이 연속하여 제시되며 이에 대한 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도 35b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선택한 내용을 확인한 후 우측하단에 표시된 결과보기를 누르면 다음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5c에서는 학습자가 선택한 내용을 취합하여 학습자의 현재 영어실력을 진단해 주며, 진단이 끝나면 수준에 맞는 학습방법을 제시해 주고 그 대책을 표시한다.
도 36은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레벨테스트를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6을 참조하면, 레벨테스트가 선택된 후 바로 이어지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며, 레벨테스트에 관한 간단한 소개와 컨설턴트 받을 메뉴(문법, 보카)가 표시된다.
도 37은 레벨테스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7a를 참조하면, 상부에 표시된 스톱워치를 활용하여 레벨테스트에 할당된 한계시간 및 시간의 경과를 학습자에게 알려주고, 질문 내용(most)을 도시하며, 질문 내용에 대응되는 답을 4지 선다형으로 제안(대명사, 동사, 전치사, 부사)하며, 학습자는 이를 선택함으로써 테스트를 수행하고, 하단에 표시된 총문항표시부에서 테스트하여야 할 문항, 테스트를 수행한 문항 등을 표시한다.
도 37b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선택한 것과 정확한 답의 표시, 맞힌 문제 수 만큼 그래프로 표시하고, 모든 문제를 랜덤으로 제작하여 다시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다시하기), 맞힌 개수만큼 학습자의 상태를 자동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도 38은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보카칩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8을 참조하면, 보카칩메뉴에서는 이미 학습한 또는 앞으로 학습할 단어가 모두 저장된 것을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보카정열 및 전체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카정열에는 초급-중급-고급 중 하나는 선택하는 선택사양1, 동사1-동사2-동사3 중에서 하나를 고르도록 하는 선택사양2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학습자가 단어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전체보기는 초급, 중급, 고급, 숙어 등 전체 메뉴를 보고 학습자가 원하는 레벨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화면에 나오는 애니메이션 정지 또는 계속버튼을 제공한다.
도 39는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심화학습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9a를 참조하면, 심화학습은 상당한 수의 애니메이션 스토리로 문법이론을 제작한 것으로, 원터치 버튼 기능으로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 또는 계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9b를 참조하면, 심화학습은 애니메이션 스토리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이팩트를 통한 문법 이론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0은 부가기능선택메뉴 중 메모장을 선택하였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모든 학습 도중 저장하기 기능을 클릭하였을 때 메모장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고 있으며, 도 40을 참조하면, 메모장에 대한 간략한 소개 및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모장 선택창(문법, 보카)을 제공한다.
도 41은 메모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다.
문법 메모장의 경우를 표시하는 도 41a를 참조하면, 스크랩 문법개수, 학습완료개수, 학습 미완료개수의 표시, 챕터별로 하나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는 기능, 스크랩한 문법 또는 문제의 학습과 학습의 완료 또는 스크랩의 삭제를 할 수 있는 기능, 앞 단계 또는 후속 단계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보카 메모장의 경우 표시하는 도 41b를 참조하면, 스크랩 보카 개수, 학습완료 개수, 학습 미완료개수의 표시, 스크랩한 초급, 중급, 고급 또는 동사, 형용사, 명사, 부사 등의 단어들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 검색 창에서 검색한 단어들이 중앙의 화면에 표시되는 기능 및 앞 단계 또는 후속 단계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학습과 관련된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도중 학습자가 저장을 원하는 명령을 표시하였을 때, 장치(100) 또는 서버(210)는 해당 페이지 및 이수하고 있던 학습과 관련된 사항을 저장하고, 학습자는 저장된 내용을 메모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의 완료를 표시하는 경우 진행되는 과정에 상관없이 일정한 서비스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는 본 서비스의 진행이 장치(100)나 서버(210)가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야 하므로, 학습자가 내린 학습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판단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21: 문법학습모듈
122): 보카학습모듈
123: 부가기능모듈
130: 저장부
140: 통신부
210: 서버
211: 프로세서
212: 문법학습 DB
213: 보카학습 DB
214: 부가기능 DB
215: 데이터저장부
220: 학습자

Claims (13)

  1. 학습자가 명령을 인가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입력수단, 영어의 발음 또는 효과음과 같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수단 및 애니메이션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비디오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입·출력부;
    학습자의 학습이력 및 학습결과가 저장되는 저장부;
    문법학습모듈, 보카학습모듈 및 부가기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요구받은 학습 내용을 상기 입·출력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외부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문법, 영어단어 및 영어숙어 중 적어도 하나를 공부하는 과정; 및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2.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문법에 관한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문법학습 DB;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단어 또는 영어숙어에 관한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보카학습 DB;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기능 DB;
    학습자의 학습이력 및 학습결과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문법학습 DB, 상기 보카학습 DB, 상기 부가기능 DB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를 참조하여,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문법, 영어단어 및 영어숙어 중 적어도 하나를 공부하는 과정을 제공하거나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서버.
  3.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영어학습서버; 및
    상기 영어학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어학습서버로부터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초중고, 수능, 토플 및 토익 등에 사용되는 영어문법, 영어단어 및 영어숙어 중 적어도 하나를 공부하는 과정을 서비스받거나 학습관련컨설턴트, 레벨테스트, 보카칩, 심화학습, 메모장 및 설정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학습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시스템.
  4.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상기 영어학습장치 및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상기 영어학습서버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학습자가, 상기 영어학습장치 또는 상기 영어학습서버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문법학습의 서비스, 단어학습의 서비스 및 부가기능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서비스선택단계; 및
    상기 서비스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를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원어민 발음,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및 게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적용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5. 제4항에서 학습자가 상기 문법학습의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영어학습장치 또는 상기 영어학습서버는,
    영어문법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 후, 해당 학습자의 실력을 테스트하는 테스트과정;
    영어문법과 관련된 서비스를 복습하는 과정;
    영어문법과 관련된 출제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제공하는 과정; 및
    영어문법과 관련된 기출문제를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6. 제4항에서 학습자가 상기 보카학습의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영어학습장치 또는 상기 영어학습서버는,
    학습자가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난이도 선택메뉴를 제공하고, 학습자가 선택한 난이도에 따라,
    영어단어 또는 영어숙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 후, 해당 학습자의 실력을 테스트하는 테스트과정;
    영어단어 또는 영어숙어와 관련된 서비스를 복습하는 과정;
    영어단어 또는 영어숙어와 관련된 출제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제공하는 과정; 및
    영어단어 또는 영어숙어와 관련된 기출문제를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7. 제4항에서 학습자가 상기 부가기능의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영어학습장치 또는 상기 영어학습서버는,
    Yes 또는 No 문답을 통한 문법 및 단어 학습에 관한 로드맵을 제공하는 학습법컨설턴트;
    학습자 스스로 문법 및 단어에 대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테스트;
    출제포인트, 동의어, 확장어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보카칩;
    문법이나 단어에 대한 세부사항을 애니메이션(Animation)으로 제작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심화학습;
    학습 도중 복습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저장하고 저장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장; 및
    인터넷, 효과음, 배경음 및 화면 밝기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8. 제4항에 기재된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및 원어민발음 서비스는,
    영어단어, 영어단어의 뜻에 대응하는 한글, 영어단어와 관련된 애니메이션을 하나의 화면에 제공하고;
    학습에 사용된 복수의 영어단어를 하나의 스토리로 생성한 내용을 화면으로 제공하며;
    학습자가 커서로 단어를 지정하거나 터치패널스크린의 특성을 이용하여 해당 단어를 지정하였을 때 원어민의 발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9. 제4항에 기재되며, 복수의 카드를 이용하는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방식의 서비스는,
    표면에 일정한 내용이 기재된 하나의 카드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카드의 하부로 감춰지면서 다른 하나의 카드의 표면에 학습과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게 하며,
    다른 하나의 카드가 이웃하는 또 다른 하나의 카드의 하부로 감춰지면서 학습과 관련된 최종 내용이 또 다른 카드의 표면에 표시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10. 제9항에 기재된 타이포 모션 그래픽 방식의 서비스는,
    일정한 음악과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11. 제4항에 기재된 게임 방식은,
    제시될 영어(또는 한글)의 뜻에 대응되는 한글(또는 영어)이 기재된 면이 보이지 않는 복수의 패널 중에서, 제시된 영어(또는 한글)의 뜻에 대응되는 한글(또는 영어)이 표시된 패널을 학습자가 선택하였을 때만 뒤집어 지는 게임; 및
    제시된 단어가 화면의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이동하는 일정 시간 이내에 제시된 단어에 대응되는 한글 또는 영어를 선택창에서 선택하는 게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12. 제4항에 기재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에서,
    학습과 관련된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도중 학습자가 저장을 원하는 명령을 표시하였을 때,
    상기 영어학습장치 또는 상기 영어학습서버는 해당 페이지 및 이수하고 있던 학습과 관련된 사항을 저장하고,
    학습자는 저장된 내용을 상기 메모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13. 제4항에 기재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에서,
    학습자가 상기 영어학습장치 또는 상기 영어학습서버가 제시하는 문제에 대한 답을 표시하였을 때, 화면에 정답 또는 오답을 의미하는 표시를 일정시간 동안 표시한 후 제거하는 서비스;
    제시하는 문제를 풀어야 하는 시간 및 시간의 경과를 표시하는 스톱워치 창 서비스;
    제시하는 문제의 총수와 학습자가 맞춘 수와 관련된 통계 서비스;
    학습자가 학습의 완료를 표시하는 경우 진행되는 과정에 상관없이 일정한 서비스 화면으로 이동하는 학습완료표시 서비스; 및
    학습자가 이미 풀은 테스트문제를 다시 풀기를 표시할 때, 이미 제시된 문제제시 순서를 무작위로 변경하여 제시하는 문제 제시순서 무작위 변경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방법.
KR1020160042341A 2016-04-06 2016-04-06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KR101853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41A KR101853892B1 (ko) 2016-04-06 2016-04-06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41A KR101853892B1 (ko) 2016-04-06 2016-04-06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793A true KR20170114793A (ko) 2017-10-16
KR101853892B1 KR101853892B1 (ko) 2018-05-02

Family

ID=6029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341A KR101853892B1 (ko) 2016-04-06 2016-04-06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714B1 (ko) * 2019-01-04 2019-08-28 강혜숙 그래머 앤 리딩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07540A (ko) 2018-03-12 2019-09-20 이영식 외국어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학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499B1 (ko) * 2016-12-05 2018-05-16 (주)뤼이드 단말의 학습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KR102117064B1 (ko) 2019-05-17 2020-05-29 심낙천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
KR20210126240A (ko)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외국어 문장구조 학습 시스템
KR102219886B1 (ko) 2020-06-17 2021-02-24 심낙천 단어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KR102235788B1 (ko) * 2020-09-25 2021-04-01 박명재 외국어 강의를 위한 콘텐츠 생성 및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93996B1 (ko) * 2021-08-09 2022-05-03 박정아 동시통역카드를 이용한 영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6696B1 (ko) 2022-05-24 2023-08-16 주식회사 임서영영재교육연구소 영어 학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540A (ko) 2018-03-12 2019-09-20 이영식 외국어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101976714B1 (ko) * 2019-01-04 2019-08-28 강혜숙 그래머 앤 리딩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892B1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892B1 (ko)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Edge et al. From Experience to Knowledge in ELT-Oxford Handbooks for Language Teachers
Blake et al. Measuring oral proficiency in distance, face-to-face, and blended classrooms
US8777626B2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multi-sensory learning
KR101054052B1 (ko) 문장의 블랭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
US200601158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of a student
US9536439B1 (en) Conveying questions with content
Howard Is there such a thing as a typical language lesson?
Campfield et al. The influence of prosodic input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Does it stimulate child acquisition of word order and function words?
Ferris Language power: Tutorials for writers
Abobaker Improving ELL s' Listening Competence Through Written Scaffolds
US10957210B2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Chan et al. Applying gamification in portuguese learning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Aarts et al. Bridging the Grammar Gap: teaching English grammar to the iPhone generation1: University College London
Tůma et al. ‘There are two gaps, so’: teaching materials as resources for correction in pre-service teachers’ EFL classes
Alexander et al. E-learning of New Zealand sign language: Evaluating learners' perceptions and practical achievements
Lertola Subtitling new media: Audiovisual translation and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Cooze Approaches to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US20050003333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teaching a target of instruction
KR20230082877A (ko) 학습툴
WO2009078741A2 (en) Learning aid
McElwee Introducing French to pre-primary children in the North East of England: the Narrative Format approach
Loewen et al. A practical guide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US200401664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learning through listening and ty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