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064B1 -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 - Google Patents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064B1
KR102117064B1 KR1020190086837A KR20190086837A KR102117064B1 KR 102117064 B1 KR102117064 B1 KR 102117064B1 KR 1020190086837 A KR1020190086837 A KR 1020190086837A KR 20190086837 A KR20190086837 A KR 20190086837A KR 102117064 B1 KR102117064 B1 KR 10211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screen
terminal device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낙천
Original Assignee
심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낙천 filed Critical 심낙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91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reading, e.g. e-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5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전자책 파일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로딩부; 사용자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가 표시된 화면영역을 적어도 2개 이상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영역 내에 사용자 공간을 생성하는 화면분할 및 공간생성부; 및 상기 분할된 화면영역 내에 사용자가 지정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영역설정, 텍스트 및 이미지 위치이동, 사용자 음성녹음, 전자책 TTS 녹음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Terminal device running e-book application program and a electronic pen corresponding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책을 표시함과 아울러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에 관한 것이다.
전자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통적으로 종이에 글자를 인쇄하여 제작되는 책은 디지털 파일 형태의 전자책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책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자책은 종이인쇄에 따른 출판비가 들지않고, 종이와 잉크 같은 재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재고의 염려가 없고 유통비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종이 책 대비 가격 경쟁력을 가지며, 디지털 시대에 전통적인 종이책을 효율적으로 대체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전자책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보급에 따라 그 선호도가 점점 더 가속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모바일 단말은 종이책 대비 휴대성 및 저장량이 월등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이 전자책 단말로 활용된다면 일반적인 텍스트 정보뿐만 아니라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모바일 단말의 고유의 각종 장치 및 센서를 이용한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책의 콘텐츠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용화된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은 저작권 보호 등의 이유로 전자책 파일에 대한 편집 및 기타 활용기능을 차단하고 있으며, 이에 현재까지 읽은 페이지를 표시하는 책갈피 기능 또는 언더라인 기능 등의 낮은 수준의 기능만을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853892호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전자책 파일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로딩부; 사용자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가 표시된 화면영역을 적어도 2개 이상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영역 내에 사용자 공간을 생성하는 화면분할 및 공간생성부; 및 상기 분할된 화면영역 내에 사용자가 지정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영역설정, 텍스트 및 이미지 위치이동, 사용자 음성녹음, 전자책 TTS 녹음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캘린더에 화면 페이지를 기록하는 기능(기 설정된 시간 동안 페이지가 오픈된 상태일 경우, 자동으로 해당 날짜에 페이지를 기록)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공간은 상기 분할된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범위를 선택하여 드래그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저장하고, 전자책의 페이지의 좌, 우, 문단 및 줄 간 중 어느 하나에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전자책 내용에서 특정 영역을 드래그하여 사용자 공간(빈 공간)을 생성할 수 있고, 전자책의 특정부위를 선택하여 한쪽으로 밀면 사용자 공간을 생성이 가능하고, 생성된 사용자 공간에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문자, 그림 캡쳐내용, 저장된 사진 등을 삽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책 내용에서 일정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단어는 별도의 복사 기능을 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사용자 공간에 삽입할 수 있고, 사용자 공간에 사용자 녹음파일, 책 TTS 녹음파일이 삽입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성된 사용자 공간에는 사전 파일이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는 펜 등을 이용하여 필기를 추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내지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와 연동하는 전자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2 내지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음성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버(미도시), 다른 단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서버, 상기 다른 단말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유/무선 통신 연결되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 앱, 해당 앱과 관련한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또는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0) 및 제어부(15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영어 단어 암기 앱 실행 결과 화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단어학습 앱 실행 결과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150)는 상기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선택(또는 터치/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응용 프로그램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로딩부(151), 화면분할 및 공간 생성부(152) 및 인터페이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부(151)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전자책 파일을 로딩하여 상기 전자책 파일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구동한다.
상기 화면분할 및 공간 생성부(152)는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로딩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둘 이상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한다.
상기 화면분할 및 공간 생성부(152)는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분할된 화면영역 내에 사용자 공간(빈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공간은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153)에서 제공하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면분할 및 공간 생성부(152)에서 생성된 사용자 공간은 분할된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일정범위를 선택하고, 드래그를 통해 선택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일 수 있다.
또한, 화면분할 및 공간 생성부(152)에서 생성된 사용자 공간은 분할된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사용자가 일정범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단어, 문장, 구, 절 등을 자동삽입되는 저장공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참조하여, 인터페이스부(153)에서 제공하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전자책의 페이지의 문단, 줄 간에 생성 및 전자책의 페이지 좌, 우에 생성된 사용자 공간 내에 카메라로 즉석 촬영한 사진, 저장된 사진, 문자, 그림, 캡쳐 이미지 등을 삽입 및 불러오기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상기 사용자 공간 내에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책 내에 설정한 텍스트, 단어, 구문 등의 사전적 검색을 위한 사전찾기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사용자 공간 내에 사용자가 지정 또는 선택한 단어, 구, 절, 문단을 자동삽입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사용자 공간 내에 사용자의 녹음파일을 저장 및 불러오기 기능, 사용자 지정한 단어의 음성번역 지원 기능(예컨대, 단어별 TTS 설정기능, 조합된 단어의별 TTS 기능), 펜 필기 기능, 단어별, 구문별로 지원되고,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에서 일시 멈춤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5 내지 도 8 참조).
일 예로, 사용자 공간이 전자책의 페이지의 좌, 우에 생성될 경우, 사용자는 해당 페이지의 문단 또는 줄의 내용을 요약정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공간이 전자책의 문단 또는 줄 간에 생성될 경우, 사용자는 해당 문단 또는 줄에 기재된 내용자체를 추가기록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썸네일을 통한 페이지 찾기, 선택, 북마크 기능, 페이지 미리보기 기능, 페이지 축소, 확대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9 및 도 10 참조).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전자칠판 또는 빔프로젝트와 연동되어, 전자칠판 또는 빔 프로젝트에서 실행된 영상을 단말장치에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공간을 생성하여 전자칠판 또는 빔프로젝트에서 실행되는 영상에 대한 내용을 전자펜으로 기록하거나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도 11 참조).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전자 문제 파일 중 해설 파일을 화면에 가리는 가림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12 참조).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사용자 공간 내에 동영상을 첨부하여 전자펜으로 필기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13 참조).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외부 단말과 블루투스 연동기능을 통해 외부 단말에서 필기한 내용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14 참조).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전자 책의 내용 중 사용자가 지정한 단어, 구, 문장과 유사한 내용을 검색하는 검색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15 참조).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화면 페이지 이동(좌우, 상하)시에 새 페이지를 좌우 또는 상하로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16 참조).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전자 캘린더에 화면 페이지를 기록하는 기능(기 설정된 시간 동안 페이지가 오픈된 상태일 경우, 자동으로 해당 날짜에 페이지를 기록)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17 참조).
상기 인터페이스부(153)는 사용자 공간의 색의 농도 및 색깔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도 18 참조).
앞에서 열거한 인터페이스부(153)의 기능들은 후술하는 전자펜의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와 연동하는 전자펜의 일 예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와 연동하는 전자펜(200)은 (a) 참조, 몸체에 색상 버튼 또는 회전버튼이 구비되어 색을 조절하는 형태이거나, (b) 참조, 자이로 센서를 탑재하여 흔들림 동작에 따라 색, 커서 위치 조절, 화면 색 변경을 조절하는 형태이거나, (c) 참조, 샤프와 같이 펜 상단에 색 조절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 누름 횟수에 따라 색을 조절하는 형태이거나, (d) 참조, 펜 몸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색을 조절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한 전자펜은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전자책 내용에서 특정 영역을 드래그하여 사용자 공간(빈 공간)을 생성할 수 있고, 전자책의 특정부위를 선택하여 한쪽으로 밀면 사용자 공간을 생성이 가능하고, 생성된 사용자 공간에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문자, 그림 캡쳐내용, 저장된 사진 등을 삽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책 내용에서 일정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단어는 별도의 복사 기능을 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사용자 공간에 삽입할 수 있고, 사용자 공간에 사용자 녹음파일, 책 TTS 녹음파일이 삽입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성된 사용자 공간에는 사전 파일이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는 펜 등을 이용하여 필기를 추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부”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표시부
140: 음성 출력부 150: 제어부
151: 로딩부
152: 화면분할 및 공간생성부
153: 인터페이스부

Claims (12)

  1.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전자책 파일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로딩부;
    사용자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가 표시된 화면영역을 적어도 2개 이상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영역 내에 사용자 공간을 생성하는 화면분할 및 공간생성부; 및
    상기 분할된 화면영역 내에 사용자가 지정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영역설정, 텍스트 및 이미지 위치이동, 사용자 음성녹음, 전자책 TTS 녹음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캘린더에 화면 페이지를 기록하는 기능(기 설정된 시간 동안 페이지가 오픈된 상태일 경우, 자동으로 해당 날짜에 페이지를 기록)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공간은 상기 분할된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범위를 선택하여 드래그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저장하고, 전자책의 페이지의 좌, 우, 문단 및 줄 간 중 어느 하나에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는 공간인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 설정된 사용자 터치에 따라 화면을 조작하는 화면조작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분할 및 공간생성부는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터치에 따라 화면분할 및 사용자 공간을 생성하는 전자책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자칠판 또는 빔프로젝트와 연동되어, 전자칠판 또는 빔 프로젝트에서 실행된 영상을 단말장치에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문제 파일 중 해설 파일을 화면에 가리는 블라인드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공간 내에 동영상을 첨부하여 전자펜으로 필기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단말과 블루투스 연동기능을 통해 외부 단말에서 필기한 내용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책의 내용 중 사용자가 지정한 단어, 구, 문장과 유사한 내용을 검색하는 검색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화면 페이지 이동(좌우, 상하)시에 새 페이지를 좌우 또는 상하로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공간의 색의 농도 및 색깔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12. 삭제
KR1020190086837A 2019-05-17 2019-07-18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 KR102117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7948 2019-05-17
KR1020190057948 2019-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064B1 true KR102117064B1 (ko) 2020-05-29

Family

ID=7091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837A KR102117064B1 (ko) 2019-05-17 2019-07-18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0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959A (ko) * 2007-08-13 2009-0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책 뷰어화면 상에서의 스크랩 실행 방법 및 이에적용되는 장치
KR20110010163A (ko) * 2009-07-24 2011-02-01 김상우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강의 제공방법
KR20110089014A (ko) * 2010-01-29 2011-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
KR20120053657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67203A (ko) * 2010-12-15 2012-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인터페이스 방법
KR20130049265A (ko) * 2011-10-31 2013-05-14 김형준 책자형 교재를 이용한 정보 재생기능을 갖는 교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853892B1 (ko) 2016-04-06 2018-05-02 조강수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959A (ko) * 2007-08-13 2009-0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책 뷰어화면 상에서의 스크랩 실행 방법 및 이에적용되는 장치
KR20110010163A (ko) * 2009-07-24 2011-02-01 김상우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강의 제공방법
KR20110089014A (ko) * 2010-01-29 2011-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 및 그의 독서 내역 정보 제공방법
KR20120053657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67203A (ko) * 2010-12-15 2012-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인터페이스 방법
KR20130049265A (ko) * 2011-10-31 2013-05-14 김형준 책자형 교재를 이용한 정보 재생기능을 갖는 교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853892B1 (ko) 2016-04-06 2018-05-02 조강수 학습, 복습 및 확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습장치, 영어학습서버, 영어학습시스템 및 영어학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27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US11550993B2 (en) Ink experience for images
US10417018B2 (en) Navigation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US93898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aptive wallpaper display for a device having multipl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US20140068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me screen navigation
US10474406B2 (en) Method of printing content shared between applications and computing apparatus to perform the method
US9858698B2 (en) Text resizing within an embedded image
US20180324310A1 (en) Cooperative processing system and cooperative processing method
KR20140027353A (ko) 이머시브 애플리케이션으로서의 데스크탑
US10402470B2 (en) Effecting multi-step operations in an application in response to direct manipulation of a selected object
CN111279300B (zh) 在多显示器环境中提供丰富的电子阅读体验
US201300361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blishing template-based content
KR20140043360A (ko) 이머시브 쉘 및 애플리케이션 쉘의 디스플레이
EP2696261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80011651A (ko) 노트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1397844B2 (en) Computer based unitary workspace leveraging multiple file-type toggling for dynamic content creation
KR102117064B1 (ko) 전자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전자펜
KR20130007838A (ko) 전자 책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50331728A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supporting data share function and methods thereof
KR102219886B1 (ko) 단어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KR1020975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49459B2 (ja) トグルインターフェース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289599A1 (en) Electronic book
US20160147741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sign language
KR101457999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