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669A -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 Google Patents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669A
KR20170114669A KR1020160042027A KR20160042027A KR20170114669A KR 20170114669 A KR20170114669 A KR 20170114669A KR 1020160042027 A KR1020160042027 A KR 1020160042027A KR 20160042027 A KR20160042027 A KR 20160042027A KR 20170114669 A KR20170114669 A KR 20170114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rner key
bus bar
lay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558B1 (ko
Inventor
황상근
오명환
김란화
이정근
노영식
강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주)하이퍼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주)하이퍼윈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42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55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05B3/265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the insulating bas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e.g. ceram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유리에 형성된 전도성 버스 바(Bus Bar)와 연결되는 전원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에 관한 것으로, 다층 유리의 유리와 유리 사이에서 단열, 결로 방지 등의 목적으로 덧대어 끼워 넣는 간봉 층에서 버스바와 전기적 접촉을 유도하고 그 외부를 밀봉층으로 봉하여, 기밀을 유지할 뿐 아니라 전선연결을 소켓부와 플러그부로 분리하여 작업용이성과 방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층 발열유리 연결 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Multiple Layered Heating Glasses Comprising Corner Key for Electric Connection}
본 발명은 다층 발열유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열유리에 형성된 전도성 버스 바(Bus Bar)와 연결되는 전원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 창을 말하는데, 대부분 유리와 이를 둘러싸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특히 외벽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호의 기능은 외부의 기상변화에 대응하여 실내를 지키는 것이며, 외부의 소음이나 내부의 빛 등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창호는 채광과 조망 및 방음의 목적 이외에도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벽면에 구비되는 창틀에 결합되어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주택, 사무실 등의 건물 실내의 협소한 공간에 많은 사람이 머무르게 되는 경우, 환기를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창호의 유리는 벽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낮으므로, 창호의 유리 표면온도는 실내는 물론 벽면보다도 낮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실내 상대습도가 50%일 때 창호의 유리 표면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약 10℃ 이상 낮거나, 실내 상대습도가 70%인 경우에는 창호의 유리 표면 온도가 실내온도보다 약 5℃ 이상 낮으면 유리 표면에 결로가 발생한다.
결로현상 자체도 문제되지만 유리를 통해 빠져나가는 열로 인해 실내의 난방효과도 저하되는데, 거실유리를 비롯한 창호가 커지면서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가 있는 실내공간에는 보온을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난방효과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전면에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발열막을 코팅해서 발열막에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유리표면을 가열하여 유리의 단열성을 보완하는 발열 유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발열유리는 겨울철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에 의한 결로를 방지하여 시인성을 확보하는 발열 유리분야의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발열 유리는 발열면 양단에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 등 전도성 도료 물질로 버스 바(Bus Bar)를 형성하고, 발열유리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버스 바와 연결된 전원선을 꺾임 형태로 노출시켜 창호 조립공정에 제공된다. 그러나 여러 층의 유리를 적재하고 이송하는 과정에서 전원선이 절단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서, 전원선 절단 문제로 발열유리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2679호는 전극 연결 장치가 포함된 발열 복층 유리와 그 제조 방법으로, 유리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전극 연결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돌출면 포함 전극 연결 장치는 전원선에 해당하는 전극 연결 장치가 노출되는 구조로 인해 복층유리면 내부 기밀유지가 어려울 뿐더러 노출부의 전극관리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2679
다층 유리의 유리와 유리 사이에서 단열, 결로 방지 등의 목적으로 덧대어 끼워넣는 간봉 층에서 버스바와 전기적 접촉을 유도하고 그 외부를 밀봉층으로 봉하여 기밀을 유지할 뿐 아니라 전선연결을 소켓부와 플러그부로 분리하여 작업용이성과 방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층 발열유리 연결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로, 상기 다층 발열유리는, 발열막이 일면에 코팅된 4각형의 제1 유리; 상기 발열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리 2개의 변 양단에 평행하게 형성된 버스 바(Bus Bar); 상기 제1 유리의 각 변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 간봉과 상기 막대형 간봉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여 모서리로 고정하는 코너 키(Coner Key)를 포함하는 간봉 층; 상기 간봉 층 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유리와 동일한 크기의 제2 유리; 및 상기 간봉 층을 둘러싸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각 변이 상기 간봉 층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채우며 밀봉하는 밀봉 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키는 내부에 상기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바 연결부, 외부 전선과 소켓-플러그 결합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전선 연결부, 및 상기 버스 바 연결부와 상기 외부 전선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부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층은 상기 외부 전선 연결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소켓부 또는 플러그부 통과 구멍을 구비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층 발열유리는, 상기 제2 유리의 상기 간봉 층과 접한 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다른 간봉 층; 상기 다른 간봉 층 위에 위치하는 제3 유리; 및 상기 다른 간봉 층을 둘러싸며 상기 제2 유리와 상기 제3 유리의 각 변이 상기 다른 간봉 층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채우며 밀봉하는 밀봉 층을 더 구비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버스 바와 상기 버스 바 연결부는 납땜, 전도성 접착제 또는 전도성 테이프로 연결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소켓부와 플러그부 소재는 방습과 기밀을 위한 흡습제를 포함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는, 다층 유리 작업시 간봉 결합공정에서 전극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층 유리의 2차 봉합 공정에서 전선의 간섭이 제거되며, 노출되는 전선이 없어서 이동이 용이하며, 간봉 외부의 2차 실링을 통해서 유리부위로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정단순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 위에 전극연결용 코너 키와 간봉이 결합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플러그 구조로 결합하는 코너 키와 외부전선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소켓-플러그 구조로 결합하는 코너 키와 외부전선 연결부의 평면도와 (b)전선 연결부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a)외부전선 연결용 전선이 구비된 발열유리와 (b)간봉을 사이에 두고 발열유리와 적층된 일반유리로 이루어진 다층유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발열유리와 적층된 일반유리 사이에 위치한 간봉 및 밀봉층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간봉은 다층 유리에서 유리와 유리 사이에 단열, 결로 방지 보온 등을 위해 덧대어 끼워 넣는 재료를 말한다. 상기 간봉은 유리면의 테두리를 따라 사각형 또는 모리가 둥근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형 간봉 4개를 모서리 주위에 4각형 형태로 배열하고 두 간봉의 단부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에서 간봉 두 개를 직각으로 고정하는 코너 키(Corner Key)를 구비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a)외부전선 연결용 전선이 구비된 발열유리와 (b)간봉을 사이에 두고 발열유리와 적층된 일반유리로 이루어진 다층유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발열유리와 적층된 일반유리 사이에 위치한 간봉 및 밀봉층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복층으로 구성된 종래의 발열 유리를 예로 들면, 발열층이 코팅된 발열유리(100)는 발열면 양단에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 등 전도성 도료 물질로 버스 바(Bus Bar)(110)를 형성하고, 발열유리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버스 바(110)와 납땜 등으로 전원선(120)을 연결(130)하고, 연결된 전원선(120)을 꺾임 형태로 노출하여 복층 발열유리 조립공정에 제공한다. 복층 발열유리는 상기 발열유리(100)의 발열면과 마주보도록 일반유리(200)를 적층하되, 상기 발열유리(100)와 상기 일반유리(200) 사이에 간봉(150)과 밀봉층(160)을 개재하여 상기 사이에 중간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간봉(150)은 액자 형태의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4개의 막대를 모서리에서 고정하는 코너 키(corner key)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 위에 전극연결용 코너 키와 간봉이 결합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는, 발열막이 일면에 코팅된 4각형의 제1 유리(100); 상기 발열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리 2개의 변 양단에 평행하게 형성된 버스 바(Bus Bar)(110); 상기 제1 유리의 각 변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 간봉(15)과 상기 막대형 간봉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여 모서리로 고정하는 코너 키(Coner Key)(10)를 포함하는 간봉 층; 상기 간봉 층 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유리(100)와 동일한 크기의 제2 유리(미도시); 및 상기 간봉 층을 둘러싸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각 변이 상기 간봉 층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채우며 밀봉하는 밀봉 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코너 키(coner key)(10)의 간봉 삽입부(11)는,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빈 실린더 형상의 간봉(15)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습기 및/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주름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플러그 구조로 결합하는 코너 키와 외부전선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소켓-플러그 구조로 결합하는 코너 키와 외부전선 연결부의 평면도와 (b)전선 연결부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코너 키(10)는 내부에 상기 버스 바(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바 연결부(17), 외부 전선(20)과 소켓-플러그 결합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전선 연결부(12), 및 상기 버스 바 연결부(17)와 상기 외부 전선 연결부(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코너 키 내부 전선(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버스바(110)와 상기 버스 바 연결부(17)는 납땜, 전도성 접착제 또는 전도성 테이프 등 전도성이 있는 접착물질로 전기적 연결(13)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켓부와 플러그부는 방습과 기밀을 위해 꼭 맞는 구조로 제작되고 그 소재도 제올라이트, 활성탄, 실리카겔 또는 활성알루미나 등의 흡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 층(미도시)은 상기 외부 전선 연결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소켓부 또는 플러그부 통과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외부 전선(20)과 일체형을 이루는 플러그부(14)와 상기 플러그부가 결합될 수 있는 소켓부가 상기 밀봉층 및 상기 코너 키(10)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발열유리는 3개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층 발열유리는, 상기 제1 유리와 간봉 층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상기 제2 유리의 상기 간봉 층과 접한 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다른 간봉 층; 상기 다른 간봉 층 위에 위치하는 제3 유리; 및 상기 다른 간봉 층을 둘러싸며 상기 제2 유리와 상기 제3 유리의 각 변이 상기 다른 간봉 층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채우며 밀봉하는 밀봉 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리 쌓기를 계속하여 4개층 이상의 다층유리 형성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10. 코너 키
11. 간봉 삽입부
12. 외부 전선 연결부
13. 전기적 연결
14. 플러그부
15. 막대형 간봉
16. 코너 키 내부 전선
17. 버스 바 연결부
20. 외부 전선
100. 발열유리
110. 버스 바
120. 전원선
130. 전원선 연결
150. 간봉
160. 밀봉층

Claims (4)

  1.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로, 상기 다층 발열유리는,
    발열막이 일면에 코팅된 4각형의 제1 유리;
    상기 발열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리 2개의 변 양단에 평행하게 형성된 버스 바(Bus Bar);
    상기 제1 유리의 각 변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 간봉과 상기 막대형 간봉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여 모서리로 고정하는 코너 키(Coner Key)를 포함하는 간봉 층;
    상기 간봉 층 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유리와 동일한 크기의 제2 유리; 및
    상기 간봉 층을 둘러싸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각 변이 상기 간봉 층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채우며 밀봉하는 밀봉 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키는 내부에 상기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바 연결부, 외부 전선과 소켓-플러그 결합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전선 연결부, 및 상기 버스 바 연결부와 상기 외부 전선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부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층은 상기 외부 전선 연결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소켓부 또는 플러그부 통과 구멍을 구비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발열유리는,
    상기 제2 유리의 상기 간봉 층과 접한 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다른 간봉 층;
    상기 다른 간봉 층 위에 위치하는 제3 유리; 및
    상기 다른 간봉 층을 둘러싸며 상기 제2 유리와 상기 제3 유리의 각 변이 상기 다른 간봉 층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채우며 밀봉하는 밀봉 층을 더 구비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와 상기 버스 바 연결부는 납땜, 전도성 접착제 또는 전도성 테이프로 연결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와 플러그부 소재는 방습과 기밀을 위한 흡습제를 포함하는,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KR1020160042027A 2016-04-06 2016-04-06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KR101818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27A KR101818558B1 (ko) 2016-04-06 2016-04-06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27A KR101818558B1 (ko) 2016-04-06 2016-04-06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69A true KR20170114669A (ko) 2017-10-16
KR101818558B1 KR101818558B1 (ko) 2018-01-15

Family

ID=6029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27A KR101818558B1 (ko) 2016-04-06 2016-04-06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330B1 (ko) * 2018-05-25 2019-10-30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아이앤씨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157A (ja) * 2001-09-26 2003-04-03 Panoramikku Kk 複層ガラス
KR101192679B1 (ko) * 2009-10-21 2012-10-19 (주)엘지하우시스 전극 연결 장치가 포함된 발열 복층 유리와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558B1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6107B2 (ja) 絶縁ガスの層を含む少なくとも一つの内部空間を含む絶縁板ガラスパネル、及びかかる板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194864A (ja) 熱線が具備された複層ガラス窓戸
JP4518952B2 (ja) 省エネルギー窓
WO2016121332A1 (ja) 複層ガラス及び光学デバイス
US20150109770A1 (en) Internal envelope infrastructure for electrical devices
KR20100011181A (ko) 발열 수단을 갖는 창호 시스템
CN110847770B (zh) 中空玻璃单元及其组装方法
KR101818558B1 (ko)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JP3178817U (ja) 暖房モジュール
JP2017105664A (ja) 複層ガラス
JPH08218742A (ja) 複層ガラス
JP6989707B2 (ja) 絶縁グレージング及びウィンドウ
WO2015025679A1 (ja) 複層ガラス
KR101523474B1 (ko) 면상발열체장치를 이용한 알루미늄 창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9868A (ko) 회로 보호 디바이스
KR200279176Y1 (ko) 창문용 복층유리
JP2000286460A (ja) ペルチェモジュール
WO2020144916A1 (ja) 室内構造
JP2014133990A (ja) 防火複層ガラスユニット
KR200340530Y1 (ko)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
JP2017002550A (ja) 窓構造体
NL2012690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8100476A (ja) 採光構造、および採光構造の製造方法
TWI411346B (zh) 鰭片式陶瓷加熱器
JP2007115546A (ja) 温度調節用ヒ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