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330B1 -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330B1
KR102038330B1 KR1020180059371A KR20180059371A KR102038330B1 KR 102038330 B1 KR102038330 B1 KR 102038330B1 KR 1020180059371 A KR1020180059371 A KR 1020180059371A KR 20180059371 A KR20180059371 A KR 20180059371A KR 102038330 B1 KR102038330 B1 KR 10203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ower
pipe
power suppl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5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 E04D13/103De-icing devices or snow me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92Clean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52
    • Y02A40/27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비닐커버가 설치되는 루프파이프의 자체 발열을 통해 상부에 쌓이는 눈이 제거됨에 따라 설치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통전 발열을 위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탄소섬유의 끝단이 단부측에 노출되는 루프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부;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접속면을 갖는 전원결합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루프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탄소섬유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연결삽입부를 포함하는 탄소 재질의 연결소켓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이 상기 연결소켓장치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assembly of vinyl house for removing snow}
본 발명은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커버가 설치되는 루프파이프의 자체 발열을 통해 상부에 쌓이는 눈이 제거됨에 따라 설치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화초, 야채 및 채소류와 같은 각종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비닐하우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저렴한 비용으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 및 보온성이 높아 작물의 생육에 적당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전국에 걸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비닐하우스는 지반에 설치되어 골격을 이루는 파이프조립체와, 내부에 재배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조립체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비닐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통상적으로 아연도금층이 피복 처리된 아연도금강관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상기 아연도금층이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설치 내지 사용과정에서 쉽게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아연도금층이 벗겨진 부위에서 부식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눈이 쌓이는 경우 사람이 직접 빗자루나 막대기를 이용하여 쌓인 눈을 쓸어내려 제설해야 하므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폭설로 인해 눈이 과도하게 쌓이는 경우 쌓인 눈의 하중에 의해 상기 비닐하우스의 상부가 무너져 내려 심각한 피해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의 상부가 쌓인 눈에 의해 무너져 내리지 않더라도 태양광이 차단되어 내부에 재배 중인 작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주기적으로 이동하면서 쌓이는 눈을 쓸어내리도록 하는 눈 제거장치나 열선패드를 별도로 설치하여 제설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눈 제거장치 내지 열선패드는 별도로 설치하기 위한 작업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설치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설치비용 발생으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1670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커버가 설치되는 루프파이프의 자체 발열을 통해 상부에 쌓이는 눈이 제거됨에 따라 설치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통전 발열을 위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수지가 함침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탄소섬유의 끝단이 단부측에 노출되는 루프파이프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 상기 루프파이프의 하측에 배치되되 하단부가 지반에 설치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형 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부;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접속면을 갖는 전원결합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루프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탄소섬유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루프파이프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을 갖되 통전접촉면이 형성된 연결삽입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삽입부를 포함하며 전원이 통전되는 탄소 재질의 연결소켓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이 상기 연결소켓장치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면접촉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커넥터는 상기 전원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통전되도록 탄소 재질로 형성된 소켓장착부와, 상기 소켓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연결플러그가 십입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결합부는 상기 소켓장착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되 내면에 상기 접속면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커넥터는 상기 연결소켓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소켓장착부의 외면이 상기 접속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전원결합부에 형합 삽입되며, 양단부가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부 개구측 및 상기 연결삽입부에 각각 삽입 및 결합되며 절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연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비닐커버를 지지하는 루프파이프가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연결소켓장치에 삽입되기만 해도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자체적으로 발열되어 상부에 쌓이는 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열선 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 및 설치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전원커넥터는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소켓장착부가 전원결합부에 형합 삽입되기만 하면 접속면에 전체적으로 면접촉됨에 따라 상호 간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연결소켓장치 및 전원공급수단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 및 설치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지지연결부는 연결소켓장치 및 지지파이프에 각 삽입돌출부가 균일하게 삽입되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실질적으로 통전 발열이 필요한 루프파이프에만 전원이 통전되도록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통전을 방지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방지되어 경제성 및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의 연결소켓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에서 연결소켓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의 전원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투영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에서 지지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의 연결소켓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에서 연결소켓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의 전원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투영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에서 지지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100)는 지지프레임부(10), 연결소켓장치(20) 그리고 전원커넥터(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10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비닐커버의 상부에 쌓이는 눈을 자체적인 발열을 통해 녹임으로써 쌓인 눈의 하중에 의한 제품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루프파이프(11) 및 지지파이프(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루프파이프(11)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통전 발열을 위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탄소섬유(Carbon Fiber, 11a)의 끝단이 단부측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루프파이프(11)는 원형 내지 다각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루프파이프(11)는 복수개의 탄소섬유(11a)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탄소섬유(11a)에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소섬유(11a)는 높은 인장 강도, 가벼운 무게, 낮은 열팽창율 등의 특성이 있으며 항공우주, 자동차, 군사, 자동차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된다. 특히, 상기 탄소섬유(11a)는 굽힘강성이 우수하여 상기 루프파이프(11)에 커버되는 비닐커버의 상부에 쌓이는 눈에 의해 작용하는 굽힘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현저히 증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11a)는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통전 발열될 수 있으며, 통전 발열되는 복수개의 상기 탄소섬유(11a)에 의해 상기 루프파이프(11)가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루프파이프(11)는 후술되는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측에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비닐커버가 씌워짐에 따라 상부를 커버하는 서까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루프파이프(11)는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중앙파이프(13)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일단부는 상기 중앙파이프(13)와 연결되되 측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비가 내리거나 눈이 녹은 경우 각 상기 루프파이프(11) 및 상기 중앙파이프(13)의 상부에 커버된 상기 비닐커버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을 향해 수분이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파이프(11)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소켓장치(2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소켓장치(20)는 일측이 상기 루프파이프(11)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후술되는 지지연결부(4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상기 중앙파이프(13)와 대응되는 형상 및 재질을 갖되 각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외면에 연결되어 교차 배치되는 루프보강파이프(1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루프파이프(11)가 상기 루프보강파이프(14)에 지지되어 상기 중앙파이프(13) 및 상기 연결소켓장치(20)에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소켓장치(20)는 탄소 재질로 형성되며 몸체부(21) 및 연결삽입부(23a,23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1)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접속면(22a)을 갖는 전원결합부(22)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21)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복수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연결부(2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연결부(21a)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원결합부(22)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결합부(22)의 내면에는 상기 접속면(2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원결합부(22)는 후술되는 소켓장착부(32)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삽입부(23a,23b)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2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루프파이프(11)의 단부가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탄소섬유(11a)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삽입부(23a,23b)가 2개소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삽입부(23a,23b)에는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을 갖는 연결삽입홈(24a,24b)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연결삽입부(23a,23b)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연결삽입홈에는 상기 루프파이프(11)의 단부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연결삽입홈(24a,24b)의 바닥면에는 노출된 상기 탄소섬유(11a)의 끝단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통전접촉면(25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각 상기 연결삽입부(23a,23b)는 상기 몸체부(21)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21)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연결삽입부(23a,23b)에는 상기 루프파이프(11)의 단부가 삽입되고, 타측 연결삽입부(23a,23b)에는 후술되는 상기 지지연결부(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 연결삽입부(23a)의 연결삽입홈(24a)은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 연결삽입부(23b)의 연결삽입홈(24b)은 후술되는 상기 지지연결부(40)의 상단부 직경이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직경과 상이한 경우 후술되는 상기 지지연결부(40)의 상단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상기 연결삽입부(23a,23b)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연결삽입홈(24a,24b)은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4와 같이, 각 연결삽입부(123a,123b)가 몸체부(121)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각 상기 연결삽입부(123a,123b)에 형성된 연결삽입홈은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루프파이프(11)의 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소켓장치(120)에는 상기 중앙파이프(13)가 상기 몸체부(121)를 관통 삽입되도록 삽입홀(126a)이 형성된 중앙삽입부(126)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삽입부(126)는 상기 몸체부(121)에 형성된 공간부를 복수 구획하는 구획연결부(121a)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연결삽입부(123a,123b)에 각 상기 루프파이프(11)가 삽입되기만 하더라도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설치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원커넥터(30)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이 상기 연결소켓장치(20)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결합부(22)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전원커넥터(30)는 소켓장착부(32) 및 플러그부(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소켓장치(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외면(32a)이 상기 접속면(22a)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전원결합부(22)에 형합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켓장착부(32)는 상기 전원결합부(22)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통전되도록 탄소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외면(32a)은 상기 전원결합부(22)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소켓장착부(32)는 상기 구획연결부(21a)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부 중 어느 하나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소켓장착부(32)가 상기 전원결합부(22)에 형합 삽입될 수 있으며 외면(32a)이 상기 접속면(22a)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켓장착부(32)가 탄소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31)로부터 유입된 전원이 통전되며,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외면(32a)이 상기 접속면(22a)에 면접촉됨에 따라 상기 연결소켓장치(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커넥터(30)는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상기 소켓장착부(32)가 상기 전원결합부(22)에 형합되도록 슬라이드 삽입되기만 하면 상기 연결소켓장치(20) 및 상기 전원공급수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품의 설치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원결합부(22)에 외면(32a)이 상기 접속면(22a)에 전체적으로 면접촉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하여 상호 간의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므로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외면(32a) 및 상기 접속면(22a) 중 어느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릭돌기 및 클릭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소켓장착부(32)가 상기 전원결합부(22)에 형합되도록 슬라이드 삽입되면 상기 클릭돌기가 상기 클릭홈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슬라이드 삽입시 상기 클릭돌기의 클릭감을 통해 작업자가 명확하게 장착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클릭돌기가 상기 클릭홈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전원커넥터(3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설치편의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외면(32a) 및 상기 접속면(22a) 중 어느 일측에 탄성 및 전도성 재질의 탄발가압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발가압부재는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외면(32a) 및 상기 접속면(22a) 중 대향면에 탄발적으로 가압 밀착되어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부(31)는 상기 소켓장착부(32)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연결플러그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부(31)는 일측이 상기 소켓장착부(32)로부터 돌출되며 타측이 상기 소켓장착부(32)의 외면(32a)에 형성된 플러그장착홈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부(31)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연결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삽입홈부(3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장된 케이블 등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부(31a)의 바닥면에는 접속단자(31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삽입홈부(31a)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31b)가 상기 연결플러그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부(31)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플러그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31c)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테두리에 걸림 구속되는 슬라이드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부(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돌기(31d)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돌기(31d)는 'T'자 형상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플러그에는 상기 장착돌기(31d)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장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삽입홈부(31a)에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드돌기는 상기 슬라이드홈부(31c)에 슬라이드되고, 상기 장착돌기(31d)는 상기 장착홈부에 슬라이드되어 동시에 걸림 구속되므로 유격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플러그의 임의 분리가 방지되어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상기 전원커넥터(30)에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삽입부(23a,23b)에 상기 루프파이프(11)가 삽입되고 상기 전원커넥터(30)가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원결합부(22)에 형합 삽입되면,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루프파이프(11)에 통전된다.
상세히,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상기 플러그부(31)를 통해 상기 소켓장착부(32)에 통전된다. 이때, 상기 소켓장착부(32)가 상기 전원결합부(22)에 면접촉되므로 통전된 전원이 상기 연결소켓장치(20)로 통전된다.
여기서, 상기 루프파이프(11)가 상기 연결삽입홈(24a,24b)에 삽입되어 단부 측에 노출된 복수개의 상기 탄소섬유(11a)의 끝단이 상기 통전접촉면(25c)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통전접촉면(25c)에 복수개의 상기 탄소섬유(11a)의 끝단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연결소켓장치(20)에 통전된 전원이 복수개의 상기 탄소섬유(11a)에 통전되며, 상기 탄소섬유(11a)가 통전에 의해 발열된다.
이를 통해, 상기 루프파이프(11)가 상기 연결소켓장치(20)에 삽입되기만 하면 내부에 구비된 각 상기 탄소섬유(11a)의 통전 발열에 의해 상기 비닐커버의 상부에 쌓인 눈이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녹게 된다. 여기서, 각 상기 루프파이프(11)가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상기 비닐커버의 상부에 쌓인 눈이 녹아 흐르게 되는 수분의 열기에 의해 각 상기 루프파이프(11) 사이 주변의 눈 또한 녹게 된다.
이에 따라, 비닐커버를 지지하는 루프파이프(11)가 상기 전원공급수단(3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연결소켓장치(20)에 삽입되기만 해도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자체적으로 발열되어 상부에 쌓이는 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설치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루프파이프(11)가 경량이면서도 굽힘강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쌓인 눈에 의해 작용되는 하중에 대해서도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쉽게 변형되지 않아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파이프(12)는 내부에 중공(12b)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 상기 루프파이프(11)의 하측에 배치되되 하단부가 지반(G)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파이프(12)는 상기 연결소켓장치(20)의 수량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단부(12a)가 지반(G)에 매립되어 설치된 상태로 상기 루프파이프(1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상기 지지파이프(12)는 상기 중앙파이프(13)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파이프(12)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금속 재질에 비해 재료비가 절감되고 경량이며 가공성이 용이하면서도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파이프(12)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은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를 용융 가공한 복수의 유리섬유를 강화제로 사용하며 내열성 및 화학적 내구성이 있기 때문에 부식이 방지되며 인장강도가 강할 뿐만 아니라 절연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파이프(12)가 후술되는 상기 지지연결부(40)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장치(20)와 연결되더라도 전기적 접속이 방지되어 실질적으로 자체 발열이 필요한 상기 루프파이프(11)에만 전원이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각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외면에 연결되어 교차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보강파이프(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지지파이프(12)가 상기 지지보강파이프(16)에 의해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루프파이프(11)의 하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상기 루프파이프(11)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중간지지파이프(17)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중간지지파이프(17)는 하단부가 지반(G)에 매립된 상태로 상단부가 상기 루프파이프(11)의 외면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중간지지파이프(17) 사이에는 사용자가 내부에 출입 가능한 출입문(18)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100)는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단부 개구측 및 상기 연결삽입부(23a,23b)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 및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연결부(4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지지연결부(4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삽입돌출부(41) 및 삽입제한부(4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 fluoroethylene, PTFE), 폴리이미드(polyi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imide)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은 고분자재료로 강도,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출부(41)는 상기 지지연결부(4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출부(41)는 내부에 중공(41a)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연결부(40)의 중공 직경 내지 상기 연결삽입홈(24a,24b)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출부(41)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된 복수개의 접촉방지홈부(41b)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삽입돌출부(41)가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단부 개구측 및 상기 연결삽입부(23a,23b)에 삽입시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용이하게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출부(41)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소켓장치(20) 및 상기 지지파이프(12)의 개구측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끼움돌기(41c)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끼움돌기(41c)는 상기 삽입돌출부(41)의 외면으로부터 0.2~0.8mm 두께를 갖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삽입돌출부(41)의 삽입시 상기 끼움돌기(41c)가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단부 개구측 내지 상기 연결삽입홈(24a,24b)의 내면에 압착되어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연결부(40)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억지 끼움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파이프(12)가 상기 루프파이프(11)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설치편의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제한부(42)는 각 상기 삽입돌출부(4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연결부(40)의 외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삽입돌출부(41)는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제한부(4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삽입제한부(42)는 각 상기 삽입돌출부(41)의 삽입시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단부 내지 상기 연결삽입홈(24a,24b)의 개구측 테두리에 걸림되어 각 상기 삽입돌출부(41)의 삽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파이프(12)는 상기 지지연결부(40)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통전이 방지되어 실질적으로 통전 발열이 필요한 상기 루프파이프(11)에만 전원이 통전되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방지되어 경제성 및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단부 내지 상기 연결삽입홈(24a,24b)의 개구측에 각 상기 삽입돌출부(41)가 균일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결소켓장치(20) 및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호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상기 지지파이프(12)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복수개의 보강파이프(15a,15b,15c)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파이프(15a,15b,15c)는 다각형 내지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단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파이프(15a,15b,15c)는 상기 지지파이프(12)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파이프(15a,15b,15c)는 측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상기 지지연결부(40)에 양단부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강파이프(15a,15b,15c)의 양단부에는 상기 삽입돌출부(41)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돌출부(41)는 상기 삽입장착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단부 개구측 및 상기 연결삽입부(23a,23b)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파이프(15a,15b,15c)는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제한부(42) 및 상기 지지파이프(12)의 상단부 개구측 내지 상기 연결삽입부(23a,23b)의 개구측 테두리 사이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파이프(15a,15b,15c)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보강돌출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파이프(15a,15b,15c)의 양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되 각 상기 보강돌출부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연결부(40)를 관통하도록 슬라이드 삽입되는 보강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핀의 슬라이드 삽입만으로도 상기 연결소켓장치(20) 및 상기 지지파이프(12) 간의 지지강도가 보강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소켓장치(20)에 삽입된 상기 루프파이프(1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 및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지지프레임부 11: 루프파이프
12: 지지파이프 20: 연결소켓장치
21: 몸체부 22: 전원결합부
22a: 접속면 23: 연결삽입부
24c: 통전접촉면 30: 전원커넥터
31: 플러그부 32: 소켓장착부
40: 지지연결부 100: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Claims (5)

  1. 복수개로 구비되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통전 발열을 위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수지가 함침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탄소섬유의 끝단이 단부측에 노출되는 루프파이프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 상기 루프파이프의 하측에 배치되되 하단부가 지반에 설치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형 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부;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접속면을 갖는 전원결합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루프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탄소섬유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루프파이프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을 갖되 통전접촉면이 형성된 연결삽입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삽입부를 포함하며 전원이 통전되는 탄소 재질의 연결소켓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이 상기 연결소켓장치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면접촉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커넥터는 상기 전원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통전되도록 탄소 재질로 형성된 소켓장착부와, 상기 소켓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연결플러그가 십입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결합부는 상기 소켓장착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되 내면에 상기 접속면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커넥터는 상기 연결소켓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소켓장착부의 외면이 상기 접속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전원결합부에 형합 삽입되며,
    양단부가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부 개구측 및 상기 연결삽입부에 각각 삽입 및 결합되며 절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연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59371A 2018-05-25 2018-05-25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KR10203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71A KR102038330B1 (ko) 2018-05-25 2018-05-25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71A KR102038330B1 (ko) 2018-05-25 2018-05-25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330B1 true KR102038330B1 (ko) 2019-10-30

Family

ID=6846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371A KR102038330B1 (ko) 2018-05-25 2018-05-25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3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705A (ko)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금문산업 비닐하우스용 제설 장치
KR101318419B1 (ko) * 2012-11-12 2013-10-17 (주)맥스이엔티 비닐하우스
KR20150009699A (ko) * 2013-07-17 2015-01-27 이도열 비닐하우스의 융설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512640B1 (ko) * 2014-01-13 2015-04-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팅 파이프 유닛
KR20160114826A (ko) * 2015-03-25 2016-10-06 오용화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1818558B1 (ko) * 2016-04-06 2018-01-15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705A (ko)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금문산업 비닐하우스용 제설 장치
KR101318419B1 (ko) * 2012-11-12 2013-10-17 (주)맥스이엔티 비닐하우스
KR20150009699A (ko) * 2013-07-17 2015-01-27 이도열 비닐하우스의 융설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512640B1 (ko) * 2014-01-13 2015-04-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팅 파이프 유닛
KR20160114826A (ko) * 2015-03-25 2016-10-06 오용화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1818558B1 (ko) * 2016-04-06 2018-01-15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전극연결용 코너키를 구비한 다층 발열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488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electrical line and solar modular arrangement with a connecting device of this type
EP1588464B1 (en) Flexible distribution line cov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8567734B2 (en) Cable support system
US20070224891A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connecting wire
EP0297728B1 (en) Optical fiber-containing insulators
US10071713B2 (en) Plastic heat-conducting component for a system for supplying and/or distributing a window-washing liquid for a motor vehicle
KR101564300B1 (ko) 송·배전용 철탑 현수 애자
KR102038330B1 (ko) 제설용 비닐하우스 조립체
KR101715576B1 (ko) 폴리머애자 절연을 위한 보조절연커버
US20150021068A1 (en) Multi-Conductor Cables With Spacers For Conductors
US20170072910A1 (en) Longitudinal structural element for a windscreen wiper
JP2014218241A (ja) 自動車両の付属品およびワイパー
US20150239435A1 (en) Heating device for a vehicle windscreen wiper, windscreen wiper including it, and method of assembling such a windscreen wiper
CN111512510B (zh) 附接夹,陆上配电线盖组件以及将陆上配电线盖安装到陆上配电线的方法
JP201011839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KR20210042674A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DE102013211870B4 (de) Waschdüse für eine Scheibenwaschanlage eines Kraftfahrzeuges
KR100853687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JP2006261065A (ja) アース端子保持具およびアース端子保持方法。
KR102038333B1 (ko) 비닐하우스용 제설시스템
JP6511241B2 (ja) 防水プラグ及び防水プラグ付コード
CN111525490B (zh) 一种电缆接头防护装置
KR101623153B1 (ko) 융설 및 결로방지기능을 가지는 온실의 물홈통
KR102228666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US20150156822A1 (en) Electric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