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698A -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 Google Patents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698A
KR20170113698A KR1020177026825A KR20177026825A KR20170113698A KR 20170113698 A KR20170113698 A KR 20170113698A KR 1020177026825 A KR1020177026825 A KR 1020177026825A KR 20177026825 A KR20177026825 A KR 20177026825A KR 20170113698 A KR20170113698 A KR 2017011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errite
austenitic stainless
stainless steel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987B1 (ko
Inventor
야메스 올리베르
에리크 쉐딘
라셀 페테르손
Original Assignee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17011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서, 어닐링된 조건에서 40 - 60 부피% 페라이트 및 40 - 60 부피% 오스테나이트, 바람직하게는 45 - 55 부피% 페라이트 및 45 - 55 부피% 오스테나이트를 갖고, 향상된 냉간 가공성 및 충격 인성을 갖는 상기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강은, 페라이트 형성제 및 오스테나이트 형성제, 즉 크롬 당량 (Creq) 및 니켈 당량 (Nieq) 에 대한 조건:
20 < Creq < 24.5 및 Nieq > 10
(여기서, Creq = Cr + 1.5Si + Mo + 2Ti + 0.5Nb
Nieq = Ni + 0.5Mn + 30(C+N) + 0.5(Cu+Co))
에서, 중량% 로, 0.07 % 미만 탄소 (C), 0.1 - 2.0 % 규소 (Si), 3 - 5 % 망간 (Mn), 19 - 23 % 크롬 (Cr), 1.1 - 1.9 % 니켈 (Ni), 1.1 - 3.5 % 구리 (Cu), 0.18 - 0.30 % 질소 (N), 선택적으로 식 (Mo + ½W) 로 계산되는 총량으로 1.0 % 미만의 몰리브덴 (Mo) 및/또는 텅스텐 (W), 선택적으로 0.001 - 0.005 % 붕소 (B), 선택적으로 0.03 % 이하의 각각의 세륨 (Ce) 및/또는 칼슘 (Ca) 을 함유하고, 잔부가 철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Description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DUPLEX FERRITIC AUSTENITIC STAINLESS STEEL}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40 - 60 부피% 페라이트 및 40 - 60 부피% 오스테나이트, 바람직하게는 45 - 55 부피% 페라이트 및 45 - 55 부피% 오스테나이트로 이루어진 미세조직을 갖고 구리의 추가에 의해 향상된 냉간 가공성 및 충격 인성 특성들을 갖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융점에 가까운 온도에서의 용접, 주조 또는 열간 가공 동안에 발생하는 고온 균열을 주로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에서 구리 함량은 대략 3 중량% 로 제한된다. 그렇지만, 더 낮은 레벨 (0.5 - 2.0 중량%) 이 스테인리스 강 그레이드에 존재하고, 더 높은 절삭성을 야기할 수 있고, 냉간 가공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고온 균열 저항을 갖는다.
EP 특허 1327008 로부터, 상표 LDX 2101® 로 판매되며, 페라이트 형성제 및 오스테나이트 형성제, 즉 크롬 당량 (Creq) 및 니켈 당량 (Nieq) 에 대한 조건:
20 < Creq < 24.5 및 Nieq > 10
(여기서, Creq = Cr + 1.5Si + Mo + 2Ti + 0.5Nb
Nieq = Ni + 0.5Mn + 30(C+N) + 0.5(Cu+Co))
에서, 중량% 로, 0.02 - 0.07 % 탄소 (C), 0.1 - 2.0 % 규소 (Si), 3 - 8 % 망간 (Mn), 19 - 23 % 크롬 (Cr), 1.1 - 1.7 % 니켈 (Ni), 0.18 - 0.30 % 질소 (N), 선택적으로 식 (Mo+½W) 로 최대 1.0 % 의 총량의 몰리브덴 (Mo) 및/또는 텅스텐 (W), 선택적으로 최대 1.0 % 의 구리 (Cu), 선택적으로 0.001 - 0.005 % 붕소 (B), 선택적으로 0.03 % 이하의 각각의 세륨 (Ce) 및/또는 칼슘 (Ca) 을 함유하고, 잔부가 철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인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알려져 있다.
이 EP 특허 1327008 에는, 구리에 대해, 구리는 유용한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이고, 일부 환경에서 내식성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구리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구리의 석출 위험이 존재하고, 따라서 구리 함량은 최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0.7 중량% 이어야 한다.
EP 특허 1786975 에 기재된 바와 같이, EP 특허 1327008 의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양호한 절삭성을 갖고, 따라서 예컨대 절삭 작업에 적합하다.
EP 특허출원 1715073 은, 오스테나이트 상의 백분율이 10 - 85 부피% 로 조절되는, 저니켈 고질소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각각 페라이트 상은 15 - 90 부피% 이다. 오스테나이트 상에서의 탄소와 질소 함량의 합계 (C+N) 를 0.16 내지 2 중량% 로 조절함으로써, 이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서 높은 성형성이 달성되었다. 더욱이, 문헌 EP 1715073 에서, 구리는 4 중량% 미만의 범위를 갖는 선택적인 원소로서 언급되어 있다. 문헌 EP 1715073 은 시험된 스테인리스 강에 대한 매우 다수의 화학 조성물을 보여주지만, 단지 매우 적은 수의 강이 1 중량% 초과의 구리를 함유한다. 따라서, 구리는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EP 1715073 의 스테인리스 강에 대해 단지 하나의 대안적인 원소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EP 1715073 은 언급된 구리 범위 내에서 스테인리스 강의 특성에서의 구리의 어떠한 다른 영향을 기재하고 있지 않다.
WO 공보 2010/070202 는, 중량% 로, 0.005-0.04 % 탄소 (C), 0.2-0.7 % 규소 (Si), 2.5-5 % 망간 (Mn), 23-27 % 크롬 (Cr), 2.5-5 % 니켈 (Ni), 0.5-2.5 % 몰리브덴 (Mo), 0.2-0.35 % 질소 (N), 0.1-1.0 % 구리 (Cu), 선택적으로 1 % 미만의 텅스텐 (W), 0.0030 % 미만의, 붕소 (B) 및 칼슘 (Ca) 을 포함하는 군의 하나 이상의 원소, 0.1 % 미만의 세륨 (Ce), 0.04 % 미만의 알루미늄 (Al), 0.010 % 미만의 황 (S) 및 잔부의 철 (Fe) 과 부수적인 불순물들을 함유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기재하고 있다. 이 WO 공보 WO 2010/070202 에는, 구리에 대해, 구리가 0.1 중량% 초과의 함량에서 금속간 상 (intermetallic phase) 의 형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고, 1 중량% 초과의 구리가 더 많은 양의 금속간 상을 야기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WO 공보 2012/004473 은 향상된 절삭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이 강은 중량% 로 0.01 - 0.1 % 탄소 (C), 0.2 - 1.5 % 규소 (Si), 0.5 - 2.0 % 망간 (Mn), 20.0 - 24.0 % 크롬 (Cr), 1.0 - 3.0 % 니켈 (Ni), 0.05 < Mo+½W < 1.0 % 이도록 0.05 - 1.0 % 몰리브덴 (Mo) 및 0.15 % 이하 텅스텐 (W), 1.6 - 3.0 % 구리 (Cu), 0.12 - 0.20 % 질소 (N), 0.05 % 이하 알루미늄 (Al), 0.5 % 이하 바나듐 (V), 0.5 % 이하 니오븀, 0.5 % 이하 티타늄 (Ti), 0.003 % 이하 붕소 (B), 0.5 % 이하 코발트 (Co), 1.0 % 이하 REM (Rear Earth Metal), 0.03 % 이하 칼슘 (Ca), 0.1 % 이하 마그네슘 (Mg), 0.005 % 이하 셀레늄 (Se) 을 포함하고, 잔부가 철 (Fe) 및 불순물이다. 이 공보에서 구리에 대해, 1.6 - 3.0 % 함량으로 존재하는 구리가 원하는 2상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 조직의 획득에 기여하여, 셰이드 (shade) 에서의 질소 비율을 너무 높게 증가시킬 필요없이 양호한 전면 부식 저항 (resistance to general corrosion) 을 획득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구리 1.6 % 미만에서는, 원하는 상 조직에 요구되는 질소 비율이 너무 커지기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주조된 블룸 (blooms) 의 표면 질의 문제를 피할 수 없고, 구리 3.0 % 초과에서는, 구리 편석 및/또는 석출 위험이 생기기 시작하고, 따라서 국부 부식 저항을 야기하고 장시간 회복력을 감소시킨다.
JP 공보 2010222695 는, Ni-bal. = (Ni+0.5Mn+0.5Cu+30C+30N) - 1.1(Cr+1.5Si+Mo+W) + 8.2 로 표현되는 Ni-bal. 을 -8 내지 -4 가 되도록 제어하면서, 중량% 로, 0.06 % 이하 C, 0.1 - 1.5 % Si, 0.1 - 6.0 % Mn, 0.05 % 이하 P, 0.005 % 이하 S, 0.25 - 4.0 % Ni, 19.0 - 23.0 % Cr, 0.05 - 1.0 % Mo, 3.0 % 이하 Cu, 0.15 - 0.25 % N, 0.003 - 0.050 % Al, 0.06 - 0.30 % V 및 0.007 % 이하 O 를 함유하고, 면적률에 의해 40 - 70 % 의 오스테나이트 상을 포함하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미국 공보 2011097234 에는, 용접 열 영향부의 내식성 및 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린 (lean)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이 기재되어 있고, 이는 중량% 로, C: 0.06 % 이하, Si: 0.1 내지 1.5 %, Mn: 2.0 내지 4.0 %, P: 0.05 % 이하, S: 0.005 % 이하, Cr: 19.0 내지 23.0 %, Ni: 1.0 내지 4.0 %, Mo: 1.0 % 이하, Cu: 0.1 내지 3.0 %, V: 0.05 내지 0.5 %, Al: 0.003 내지 0.050 %, 0: 0.007 % 이하, N: 0.10 내지 0.25 %, 및 Ti: 0.05 %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의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가지며, 식
Md30 = 551 - 462(C+N) - 9.2Si - 8.1Mn - 29(Ni+Cu) - 13.7Cr - 18.5Mo - 68Nb
로 표현되는, 80 이하의 Md30 온도 값을 갖고, 식
Ni-bal = (Ni + 0.5Mn + 0.5Cu + 30C + 30N) - 1.1(Cr + 1.5Si + Mo + W) + 8.2
로 표현되는, -8 내지 -4 의 Ni-bal 을 갖고, 식
N(%) ≤ 0.37 + 0.03(Ni-bal)
을 만족시키는, Ni-bal 와 N 함량 사이의 관계를 갖고, 또한 40 내지 70 % 의 오스테나이트 상 면적 백분율을 갖고, 3.5 이상의 2Ni + Cu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JP 공보 2010222695 와 US 공보 2011097234 모두에서, 이들 공보에 따르면 바나듐이 질소의 활동도를 낮추어서 질화물의 석출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바나듐은 중요한 첨가 원소이다. 용접 동안에 열영향부 (HAZ) 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질소가 추가되고, 질소가 많은 경우, 결정립계에의 질화물 퇴적에 의한 특성 열화 위험이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질화물의 석출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일부 단점들을 제거하고, 구리 함량의 증가로 냉간 가공성 및 충격 인성에서 EP 특허 1327008 에 따른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1.1 - 3.5 중량% 구리를 함유하도록, 상표명 LDX 2101® 로 판매되고 EP 특허 1327008 에 기재된 것과 같은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구리 함량을 증가시키면, 냉간 가공성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구리의 첨가는 절삭성에 또한 영향을 미친다. 어닐링된 조건에서 40 - 60 부피% 페라이트 및 40 - 60 부피% 오스테나이트, 바람직하게는 45 - 55 부피% 페라이트 및 45 - 55 부피% 오스테나이트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페라이트 형성제 및 오스테나이트 형성제, 즉 크롬 당량 (Creq) 및 니켈 당량 (Nieq) 에 대한 조건:
20 < Creq < 24.5 및 Nieq > 10
(여기서, Creq = Cr + 1.5Si + Mo + 2Ti + 0.5Nb
Nieq = Ni + 0.5Mn + 30(C+N) + 0.5(Cu+Co))
에서, 중량% 로, 0.07 % 미만 탄소 (C), 0.1 - 2.0 % 규소 (Si), 3 - 5 % 망간 (Mn), 19 - 23 % 크롬 (Cr), 1.1 - 1.9 % 니켈 (Ni), 1.1 - 3.5 % 구리 (Cu), 0.18 - 0.30 % 질소 (N), 선택적으로 식 (Mo + ½W) 로 계산되는 총량으로 1.0 % 이하의 몰리브덴 (Mo) 및/또는 텅스텐 (W), 선택적으로 0.001 - 0.005 % 붕소 (B), 선택적으로 0.03 % 이하의 각각의 세륨 (Ce) 및/또는 칼슘 (Ca) 을 함유하고, 잔부가 철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바람직하게는 1.1 - 2.5 중량% 구리, 더 바람직하게는 1.1 - 1.5 중량% 구리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임계 공식 온도 (critical pitting temperature; CPT) 는 13 - 19 ℃, 바람직하게는 13.4 - 18.9 ℃, 더 바람직하게는 14.5 - 17.7 ℃ 이다.
이하에서, 미세조직에서의 상이한 원소들의 영향을 설명하며, 원소 함량은 중량% 로 기재한다.
탄소 (C) 는 강의 강도에 기여하고, 또한 중요한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이지만, 강의 탈탄과 관련하여 탄소 함량을 낮은 레벨로 만드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고, 또한 환원제의 소비를 증가시키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탄소 함량이 높으면, 강의 충격 인성 및 입간 부식 (intercrystalline corrosion)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탄화물의 석출 위험이 존재한다. 탄소가 페라이트에 매우 작은 용해도를 갖는다는 것을 또한 고려하여야 하고, 이는 강의 탄소 함량이 실질적으로 오스테나이트 상에 수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탄소 함량은 최대 0.07 %, 바람직하게는 최대 0.05 %, 그리고 적절하게는 최대 0.04 % 로 제한되어야 한다.
규소 (Si) 는 강의 제조에서 탈산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강의 제조로부터 적어도 0.1 % 의 양으로 잔류물로서 존재한다. 규소는 제조에서 매우 중요한 페라이트의 고온 강도를 강화한다는 취지로 강에서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 규소는 또한 강한 페리아트 형성제이고, 듀플렉스 조직의 안정화에 참여하며, 이러한 이유로 적어도 0.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5 % 의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규소는 다량 존재해야 하는 질소의 용해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므로 일부 불리한 특성을 또한 가지며, 만약 규소의 함량이 높다면, 원하지 않는 금속간 상의 석출 위험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규소 함량은 최대 2.0 %,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 그리고 적절하게는 최대 1.0 % 로 제한된다. 최적의 규소 함량은 0.35 - 0.80 % 이다.
망간 (Mn) 은 중요한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이고 강에서의 질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므로, 적어도 3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8 % 의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망간은 강의 내식성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높은 함량의 망간을 갖는 스테인리스 강 멜트를 탈탄하는 것은 어렵고, 이는 망간이 비교적 순수한, 따라서 값비싼 망간의 형태로 탈탄 완료 후에 첨가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강은 5 % 초과의 망간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최적의 함량은 3.8 - 4.5 % 망간이다.
크롬 (Cr) 은 강의 원하는 내식성의 획득을 위해 가장 중요한 원소이다. 또한, 크롬은 강의 가장 중요한 페라이트 형성제이고, 다른 페라이트 형성제와 함께 그리고 강의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의 균형잡힌 함량과 함께 강의 원하는 듀플렉스 특성을 부여한다. 크롬 함량이 낮다면, 강이 마텐자이트를 함유할 위험이 있고, 크롬 함량이 높다면, 강의 균형잡히지 않은 상 조성, 그리고 이른바 475-취성 및 금속간 상의 석출에 대한 안정성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크롬 함량은 적어도 19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 그리고 적절하게는 적어도 20.5 %, 그리고 최대 23 %, 적절하게는 최대 22.5 % 이어야 한다. 적절한 크롬 함량은 21.0 - 22.0 %, 명목상으로 21.2 - 21.8 % 이다.
니켈 (Ni) 은 강한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이고, 강의 연성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므로, 적어도 1.1 % 의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그렇지만, 니켈의 원료 가격이 종종 높고 변동하므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니켈은 가능한 한 다른 합금 원소들로 대체된다. 다른 합금 원소들과 조합하여 강의 원하는 듀플렉스 조직의 안정화에 1.9 % 초과의 니켈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최적의 니켈 함량은 1.35 - 1.90 % 니켈이다.
몰리브덴 (Mo) 은 강의 조성의 넓은 양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원소이고, 즉 몰리브덴은 본 발명의 강에서 선택적인 원소이다. 그렇지만, 몰리브덴은 질소와 함께 내식성에 유리한 시너지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강의 높은 질소 함량을 고려하여, 강은 적어도 0.1 % 몰리브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5 % 를 함유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몰리브덴은 강한 페라이트 형성제이고, 강의 미세조직에서 시그마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또한 편석 경향을 갖는다. 더욱이, 몰리브덴은 값비싼 합금 원소이다. 이러한 이유로, 몰리브덴 함량은 최대 1.0 %, 바람직하게는 최대 0.8 %, 적절하게는 최대 0.65 % 로 제한된다. 최적의 몰리브덴 함량은 0.15 - 0.54 % 이다. 몰리브덴은 2배 양의 텅스텐 (W) (텅스텐은 몰리브덴과 유사한 성질들을 갖는다) 에 의해 부분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몰리브덴과 텅스텐의 총량은 식 (Mo + ½W) ≤ 1.0 % 에 따라 산출된다. 그렇지만, 강의 바람직한 조성에서, 강은 최대 0.5 % 초과의 텅스텐을 함유하지 않는다.
구리 (Cu) 는 유용한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이고, 일부 환경에서, 특히 일부 산성 매체에서 내식성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리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 강의 냉간 가공성 및 충격 인성을 또한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구리는 적어도 1.1 % 의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본 발명의 강은 바람직하게는 1.1 - 3.5 % 구리, 더 바람직하게는 1.0 - 2.5 % 구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 1.5 % 구리를 함유한다.
질소 (N) 는 강의 지배적인 오스테나이트 형성제이기 때문에 본질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질소는 강의 강도와 내식성에 또한 기여하고, 따라서 0.15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8 % 의 의 최소량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강에서의 질소의 용해도는 제한된다. 질소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강이 응고할 때에 결함이 형성될 위험이 있고, 강의 용접과 관련하여 기공이 형성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강은 0.30 % 초과의 질소를 함유하지 않아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0.26 % 질소를 함유하여야 한다. 최적의 함량은 0.20 - 0.24 % 이다.
붕소 (B) 는 강의 고온 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대 0.005 % (50 ppm) 까지 마이크로 합금 첨가로서 강에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붕소가 의도적으로 첨가된 원소로서 존재한다면, 강의 향상된 고연 연성과 관련하여 원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0.001 % 의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유사하게, 세륨 및/또는 칼슘은 강의 고온 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소들의 각각의 최대 0.03 % 의 양으로 강에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원소들 이외에, 강은 본질적으로 어떠한 추가의 의도적으로 추가된 원소들을 함유하지 않고, 단지 불순물 및 철을 함유한다. 인은 대부분의 철에서처럼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0.035 %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황은 가능한 적게 유지되어야 하고, 경제적 제조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최대 0.10 % 의 양이 가능하고, 듀플렉스 강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문제일 수 있는 강의 고온 연성과 따라서 그의 신뢰도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적절하게는 더 낮게, 예컨대 최대 0.002 % 이다.
본 발명의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시험 결과를 이하의 도면에서 더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1 은 단조된 상태 그대로의 조건에서 강에 대한 기계적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도 2 는 1050 ℃ 의 온도에서의 어닐링 후의 강에 대한 기계적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도 3 은 단조된 상태 그대로의 조건과 1050 ℃ 의 온도에서의 어닐링 후 쌍방의 강에 대한 충격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각 합금에 대해 진공로에서 받은 30 ㎏ 멜트를 이용하여, 냉간 가공성에 대한 구리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기계적 시험 전에, 합금들을 50 ㎜ 의 최종 두께로 단조하였다. 모든 멜트에 대해, 구리의 첨가를 달리하는 베이스 재료로서, 상표명 LDX 2101® 로 판매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사용하였다. 시험될 합금들의 화학 조성을 표 1 에 나타내고, 이는 상표명 LDX 2101® 로 판매되는 강의 각 멜트의 화학 조성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주로 페라이트 함량을 체크하기 위해, 미세조직 조사를 행하였다. 이는, 구리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제이므로 구리의 첨가로 오스테나이트 함량이 증가되었을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페라이트 함량을 적어도 45 부피% 로 유지하는 때, 망간 함량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제로서 대략 3 - 5 % 로 감소되었다. 또한, 구리 입자 또는 구리 풍부 상이 내공식성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구리가 페라이트 상에 완전히 용해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샘플들의 미세조직들은 1050 및/또는 1150 ℃ 에서의 어닐링 후 Behara II 용액에서의 에칭에 의해 밝혀졌다. 어닐링은 용체화 어닐링 (solution annealing) 에 의해 행해졌다. 0.85 % Cu 합금의 미세조직은 본질적으로 기준 합금과 동일하다. 1.1 % 이상 Cu 의 구리 레벨에서, 페라이트 상 함량이 연속적으로 낮아진다. 2.5 % Cu 의 첨가로 이차 오스테나이트 상이 용이하게 형성되고, 구리 입자들은 1050 ℃ 의 온도에서 어닐링되는 때에 페라이트 상 내에 존재하지만, 페라이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1150 ℃ 의 온도에서 어닐링되는 때에 용해될 수 있다. 3.5 % Cu 를 갖는 합금은 1150 ℃ 의 온도에서 어닐링되는 때에도 페라이트 상 내에 구리 입자들을 갖는다.
어닐링 온도 (T) 1050 ℃ 및 1150 ℃ 에서 어닐링된 샘플들의 페라이트 함량은 이미지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되었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 의 결과로부터, 구리 함량 1.5 % 까지, 페라이트 함량이 양호하지만, 이보다 더 높은 레벨에서는, 더 높은 온도에서 어닐링되더라도 페라이트 함량이 너무 낮다. 일반적으로, 어닐링 온도를 증가시키면, 1.1 % Cu 및 3.5 % Cu 합금들의 경우에서처럼 페라이트 함량이 5 - 7 부피% 만큼 증가한다. 2.5 % Cu 에 대한 페라이트 함량은 쌍방의 어닐링 온도에서 동일하다. 이는 가능하게는, 더 높은 온도 (1150 ℃) 에서 구리가 페라이트 상에 완전히 용해되므로 이차 오스테나이트 상이 형성되어 페라이트 상의 증가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0.75 % Cu, 1.0 % Cu 및 1.5 % Cu 합금들의 경우, 미세조직은 단조된 상태 그대로의 조건에서 결정되었고, 그 경우 페라이트 함량은 이 모든 합금들에서 61 - 66 % 이었다. 1050 ℃ 의 온도에서 어닐링 후, 모든 합금들에 대해 페라이트 함량이 대략 6 - 8 % 만큼 감소되었다. 이미지 분석으로부터, 페라이트 함량의 감소가 주로, 구리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더 분명해지는 이차 오스테나이트 상의 존재 때문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1.5 % Cu 합금에서, 페라이트 결정립들 사이에 다량의 오스테나이트 상이 존재한다.
1.0 M NaCl 로 ASTM G150 시험에 따라 1050 ℃ 의 온도에서 어닐링된 합금들에 대해 임계 공식 온도 (CPT) 를 결정하였다. 각 합금에 대해, 시험을 2번 행하였다 (CPT1 및 CPT2). 이 시험들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3 의 결과는, 이러한 환경에서 CPT 에 구리의 긍정적인 영향이 주어짐을 보여준다. CPT 는 미세조직에 구리 입자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3.5 % 합금의 경우 실제로 가장 높다. 놀랍게도, 이는 구리 입자가 내공식성에 유해하다는 추정과 다소 모순된다.
본 발명의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기준 재료 LDX 2101® 에 비해 더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정하기 위해, 단조상 상태 그대로 그리고 어닐링된 (1050 ℃) 조건에서 샘플에, 냉간 가공성의 일부로서 냉간 압조 (cold heading) 시험을 행하였다. 200 - 400 ㎜/s 의 고속으로 샘플들을 압축하기 위해, 재료들을 12 ㎜ × 8 ㎜ 치수의 원통형 샘플들로 기계가공하였다. 균열 발생 (실패 부품) 또는 균열 없음 (통과 부품) 을 인지함으로써, 샘플들을 평가하였다.
이 시험법에서, 단지 압축 속도에 상관없이 샘플이 대략 3 ㎜ 의 실제 최종 두께까지 최대 압축으로 압축되는 때에만 균열이 발생하였다. 더 높은 속도에서 균열 발생은 약간 더 심하였다.
냉간 압조 시험 결과를 표 4 에 나타내는데, 샘플들은 온도 1050 ℃ 에서 어닐링된 때에 칼럼 "어닐링" 에 용어 "예" 가 제공된 것을 제외하고 단조된 상태 그대로의 조건이다.
[표 4]
Figure pat00004

[표 4] (계속)
Figure pat00005

표 4 의 결과는, 단조된 재료의 시험에서, LDX 2101® 및 0.75 % Cu 의 모든 샘플들은 균열발생 때문에 실패한 반면, 구리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성공률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1.5 % Cu 샘플들은 한 개를 제외한 모두가 단조된 상태 그대로의 조건에서 시험을 통과하였다. 온도 1050 ℃ 에서의 어닐링 후, 1.0 % 이하의 구리를 갖는 합금들은 시험을 통과한 샘플들의 대략 3 분의 1 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1.5 % Cu 합금의 경우, 시험된 부품들의 절반 이상이 구리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시험을 통과하였다.
또한, 냉간 압조 시험 결과가 강 표면에서의 크랙 양에 따라 파라미터 "실패" 또는 "통과" 를 이용하여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는, 단조된 상태 그대로의 조건과 온도 1050 ℃ 에서의 어닐링 후 쌍방에서 구리의 첨가로 "통과" 시험 결과의 부분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강의 충격 인성 정보를 얻기 위해 강의 충격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더 시험하였다. 단조된 상태 그대로의 조건과 온도 1050 ℃ 에서의 어닐링 후 쌍방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표 5 에서, 샘플들은 온도 1050 ℃ 에서 어닐링된 때에 칼럼 "어닐링" 에 용어 "예" 가 제공된 것을 제외하고 단조된 상태 그대로의 조건이다. 표 5 와 도 3 쌍방은 충격 강도의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표 5]
Figure pat00006

표 5 및 도 3 의 결과는, 구리 함량이 0.75 % 초과인 때에, 구리의 첨가가 충격 인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리 언급한 것처럼, 구리의 증가는 페라이트를 통한 크랙 전파를 감소/방해할 수 있는 이차 오스테나이트의 증가를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강은 주조품 (castings), 잉곳, 슬래브, 블룸, 빌렛, 플레이트, 시트, 스트립, 코일과 같은 평평한 제품, 바아, 로드, 와이어와 같은 긴 제품, 프로파일과 형재 (shapes), 이음매없는 용접된 튜브 및/또는 파이프로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금속 파우더, 성형된 형재와 프로파일과 같은 부가적인 제품이 생산될 수 있다.

Claims (12)

  1.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서,
    상기 강은, 어닐링된 조건에서 40 - 60 부피% 페라이트 및 40 - 60 부피% 오스테나이트를 갖고, 향상된 냉간 가공성 및 충격 인성을 갖고,
    적어도 27.5 J 의 충격 강도를 갖는 상기 강은, 페라이트 형성제 및 오스테나이트 형성제, 즉 크롬 당량 (Creq) 및 니켈 당량 (Nieq) 에 대한 조건:
    20 < Creq < 24.5 및 Nieq > 10
    (여기서, Creq = Cr + 1.5Si + Mo + 2Ti + 0.5Nb
    Nieq = Ni + 0.5Mn + 30(C+N) + 0.5(Cu+Co))
    에서, 중량% 로, 0.07 % 미만 탄소 (C), 0.1 - 2.0 % 규소 (Si), 3 - 5 % 망간 (Mn), 19 - 23 % 크롬 (Cr), 1.1 - 1.9 % 니켈 (Ni), 1.1 - 1.5 % 구리 (Cu), 0.18 - 0.30 % 질소 (N), 0.1 - 1.0 % 몰리브덴 (Mo), 선택적으로 식 (Mo + ½W) 로 계산되는 총량으로 0.1 % 이상 1.0 % 이하의 텅스텐 (W), 선택적으로 0.001 - 0.005 % 붕소 (B), 선택적으로 0.03 % 이하의 각각의 세륨 (Ce) 및/또는 칼슘 (Ca) 을 함유하고, 잔부가 철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고,
    임계 공식 온도 (critical pitting temperature; CPT) 가 13 - 19 ℃ 인,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 제 1 항에 있어서,
    임계 공식 온도 (CPT) 가 13.4 - 18.9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 제 1 항에 있어서,
    임계 공식 온도 (CPT) 가 14.5 - 17.7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20 - 22 중량% 크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21 - 22 중량% 크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21.2 - 21.8 중량% 크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1.35 - 1.9 중량% 니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3.8 - 5.0 중량% 망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3.8 - 4.5 중량% 망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0.20 - 0.26 중량% 질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0.20 - 0.24 중량% 질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잉곳, 슬래브, 블룸, 빌렛, 플레이트, 시트, 스트립, 코일, 바아, 로드, 와이어, 프로파일과 형재 (shapes), 이음매없는 용접된 튜브 및/또는 파이프, 금속 파우더, 성형된 형재와 프로파일로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KR1020177026825A 2013-06-13 2014-06-12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KR102113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35649A FI125734B (en) 2013-06-13 2013-06-13 Duplex ferritic austenitic stainless steel
FI20135649 2013-06-13
PCT/FI2014/050476 WO2014199019A1 (en) 2013-06-13 2014-06-12 Duplex ferritic austenitic stainless ste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816A Division KR20160018810A (ko) 2013-06-13 2014-06-12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698A true KR20170113698A (ko) 2017-10-12
KR102113987B1 KR102113987B1 (ko) 2020-05-22

Family

ID=520217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825A KR102113987B1 (ko) 2013-06-13 2014-06-12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KR1020167000816A KR20160018810A (ko) 2013-06-13 2014-06-12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816A KR20160018810A (ko) 2013-06-13 2014-06-12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566309B2 (ko)
EP (1) EP3008222B1 (ko)
JP (2) JP6441909B2 (ko)
KR (2) KR102113987B1 (ko)
CN (2) CN105378135A (ko)
AU (1) AU2014279972B2 (ko)
BR (1) BR112015031072B1 (ko)
CA (1) CA2914774C (ko)
EA (1) EA029477B1 (ko)
ES (1) ES2751466T3 (ko)
FI (1) FI125734B (ko)
MX (1) MX2015016985A (ko)
MY (1) MY174675A (ko)
SI (1) SI3008222T1 (ko)
TW (1) TWI661059B (ko)
WO (1) WO20141990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183A (ko) *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충격인성이 개선된 저합금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210B1 (ko) * 2014-12-11 2016-08-10 주식회사 포스코 개재물이 저감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820526B1 (ko) * 2016-08-10 2018-01-22 주식회사 포스코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CN106140574B (zh) * 2016-08-30 2019-01-25 三河市汇莹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点胶机加热装置
WO2018114867A1 (en) * 2016-12-21 2018-06-2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Use of a duplex stainless steel object
JP6347864B1 (ja) * 2017-03-24 2018-06-27 日新製鋼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スラブの製造方法
CN107400835B (zh) * 2017-05-23 2021-12-03 上海大学 耐硫酸盐还原菌腐蚀用钢、其应用及其制备方法
CN112063919B (zh) * 2020-07-31 2021-11-26 丽水市正阳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
CN111961991B (zh) * 2020-09-02 2021-10-22 燕山大学 一种超高强塑积trip型双相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15233110A (zh) * 2022-08-09 2022-10-25 山东四通石油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防腐耐磨抗冲击合金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7056A1 (en) * 2000-09-27 2002-04-04 Avestapolarit Aktiebolag (Publ) Ferritic-austenitic stainless steel
KR20130060658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4381A (nl) * 1983-12-21 1985-07-16 Stamicarbon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melamine.
US4828630A (en) * 1988-02-04 1989-05-09 Armco Advanced Materials Corporatio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high manganese
US6551420B1 (en) * 2001-10-16 2003-04-22 Ati Properties, Inc. Duplex stainless steel
JP2003171743A (ja) * 2001-12-06 2003-06-20 Aichi Steel Works Ltd 強度、靭性、耐海水性の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EP2562285B1 (en) * 2004-01-29 2017-05-03 JFE Steel Corporation Austenitic-ferritic stainless steel
JP4760031B2 (ja) * 2004-01-29 2011-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4760032B2 (ja) * 2004-01-29 2011-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SE528375C2 (sv) * 2004-09-07 2006-10-31 Outokumpu Stainless Ab En sugvalsmantel av stål samt en metod för tillverkning av en sugvalsmantel
JP5072285B2 (ja) 2006-08-08 2012-11-1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
CN101765671B (zh) 2007-08-02 2012-01-11 新日铁住金不锈钢株式会社 耐蚀性和加工性优良的铁素体-奥氏体系不锈钢及其制造方法
TWI394848B (zh) * 2007-10-10 2013-05-01 Nippon Steel & Sumikin Sst 雙相不銹鋼線材、鋼線及螺釘以及其製造方法
KR20150024952A (ko) * 2008-03-26 2015-03-09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용접 열 영향부의 내식성과 인성이 양호한 저합금 2상 스테인리스강
JP5288980B2 (ja) * 2008-10-02 2013-09-1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衝撃靭性に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熱間圧延鋼材とその製造方法
FI121340B (fi) * 2008-12-19 2010-10-15 Outokumpu Oy Dupleksinen ruostumaton teräs
JP5511208B2 (ja) 2009-03-25 2014-06-0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食性の良好な省合金二相ステンレス鋼材とその製造方法
FI122657B (fi) * 2010-04-29 2012-05-15 Outokumpu Oy Menetelmä korkean muokattavuuden omaavan ferriittis-austeniittisen ruostumattoman teräksen valmistamiseksi ja hyödyntämiseksi
WO2012004464A1 (fr) * 2010-07-07 2012-01-12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Acier inoxydable austéno-ferritique à usinabilité améliorée
JP6056132B2 (ja) * 2010-11-25 2017-01-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二相ステンレス鋼
JP5406230B2 (ja) * 2011-01-27 2014-02-0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合金元素節減型二相ステンレス熱延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81422A1 (ko) * 2011-11-30 2013-06-06 (주)포스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N103382540A (zh) * 2012-05-02 2013-11-06 由国峰 一种耐疲劳的不锈钢丝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7056A1 (en) * 2000-09-27 2002-04-04 Avestapolarit Aktiebolag (Publ) Ferritic-austenitic stainless steel
KR20130060658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183A (ko) *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충격인성이 개선된 저합금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3008222T1 (sl) 2019-12-31
MX2015016985A (es) 2016-04-25
FI125734B (en) 2016-01-29
KR20160018810A (ko) 2016-02-17
CA2914774C (en) 2021-08-03
BR112015031072A2 (pt) 2017-07-25
CA2914774A1 (en) 2014-12-18
FI20135649A (fi) 2014-12-14
JP6441909B2 (ja) 2018-12-19
TWI661059B (zh) 2019-06-01
BR112015031072B1 (pt) 2020-11-10
AU2014279972B2 (en) 2018-01-04
EP3008222B1 (en) 2019-08-07
JP2019039073A (ja) 2019-03-14
ES2751466T3 (es) 2020-03-31
EA201592160A1 (ru) 2016-06-30
WO2014199019A1 (en) 2014-12-18
EA029477B1 (ru) 2018-03-30
JP2016526601A (ja) 2016-09-05
US20160115574A1 (en) 2016-04-28
TW201510241A (zh) 2015-03-16
KR102113987B1 (ko) 2020-05-22
EP3008222A4 (en) 2017-02-15
EP3008222A1 (en) 2016-04-20
CN111041358A (zh) 2020-04-21
AU2014279972A1 (en) 2016-01-21
US11566309B2 (en) 2023-01-31
CN105378135A (zh) 2016-03-02
MY174675A (en)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987B1 (ko) 듀플렉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US8137613B2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ed joint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ing material
EP2048255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ed joint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ing material
JP2012512960A (ja) 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EP3722448B1 (en) High-mn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39520B1 (ko) 2상 스테인리스강
WO2012132679A1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鋳鋼
KR20210113682A (ko) 고Mn강 및 그의 제조 방법
EP3158101B1 (en) Duplex stainless steel
JP2015147975A (ja) 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及びセンサー用部品
EP0835946B1 (en) Use of a weldable low-chromium ferritic cast steel, having excellent high-temperature strength
JP5329634B2 (ja) 二相ステンレス鋼、二相ステンレス鋼鋳片、および、二相ステンレス鋼鋼材
JPH04280946A (ja) 耐食性の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鋼
JPH10265913A (ja) 高クロム鋳鋼車室材及び同材製圧力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