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190A - 전기변색소자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190A
KR20170112190A KR1020160038888A KR20160038888A KR20170112190A KR 20170112190 A KR20170112190 A KR 20170112190A KR 1020160038888 A KR1020160038888 A KR 1020160038888A KR 20160038888 A KR20160038888 A KR 20160038888A KR 20170112190 A KR20170112190 A KR 2017011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chromic device
electrochromic
oxide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142B1 (ko
Inventor
김용찬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38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1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he substrate being rotated
    • B05D1/005Spin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Abstract

본 출원은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규한 이온저장층 물질을 포함하는 본 출원은, 내구성 및 박막 생산성이 우수하고, 종래 기술 대비 변색속도가 개선된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An Electrochromic Device}
본 출원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변색 효율 및 스위칭 타임이 개선된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은, 전기화학적 산화 및 환원 반응에 따라 전기변색 활성물질의 색이나 광 투과도와 같은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는 적은 비용으로도 넓은 면적의 소자로 제조될 수 있고, 낮은 소비전력을 갖기 때문에,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거울, 전자종이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전극층(110), 상기 제1 전극층(110) 상에 마련된 전기변색층(120),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130), 상기 전해질층 상에 마련된 이온저장층(140), 및 상기 이온저장층 상에 마련된 제2 전극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전극(110, 150)의 외측면에는, 투명한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로부터 형성된 기판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변색층 및/또는 이온저장층은 산화텅스텐(WOx)이나 리튬니켈산화물(LiNiOx)과 같은 무기물질을 전기변색물질로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전위가 전극에 인가될 경우, H+, 또는 Li+, Na+와 같은 전해질 이온이 전해질층을 거쳐 전기변색층과 이온저장층 사이를 이동하고, 동시에 외부 회로를 통해 전자가 전기변색층에 주입되거나 전기변색층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서, 전기변색물질의 산화/환원 반응이 교대되고, 전기변색층이나 이온저장층의 착색(coloring) 또는 탈색(bleaching)이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전기변색소자의 광학 특성 변화에는 이온 물질의 이동이 전제되기 때문에, 변색 에는 소정의 시간, 즉 스위칭 타임(switching time)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변색효율을 개선하고 변색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출원의 일 목적은 변색효율이 우수하고, 변색속도가 개선된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박막으로도 충분한 변색 효과를 갖는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그 외 기타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대향하는 2개의 전극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이온저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은 전기변색층에 전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극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전도성 고분자,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또는 메탈메쉬(Metal mes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TO(Indium Tin Oxide), FTO(Fluor doped Tin Oxide), AZO(Aluminium doped Zinc Oxide), GZO(Galium doped Zinc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NTO(Niobium doped Titanium Oxide), ZnO, OMO(Oxide/Metal/Oxide) 또는 CTO 등이 전극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전극층은 2 이상의 전극 물질이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투명 전도성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재료를, 투명한 유리 기판상에 박막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전극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1 nm 내지 1 ㎛ 범위 내에서, 150 nm 이상, 200 nm 이상, 또는 300 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극층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저 저항 구현을 위해 상기 전극층은 800 nm 이하, 700 nm 이하, 또는 500 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극층은 가시광선에 대하여 70 % 내지 95% 범위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가시광선이란 약 350 nm 내지 750 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광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550 nm 파장의 광을 의미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은 전기신호에 따라 색이 변하는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전기변색물질로는 전도성 고분자, 유기변색 물질 및/또는 무기변색 물질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피리딘, 폴리인돌, 폴리카바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유기변색 물질로는 비올로겐, 안트라퀴논, 페노사이아진과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Ti, Nb, Mo, Ta, W, V, Cr, Mn, Fe, Co, Ni, Rh, 및 Ir 의 산화물 중 하나 이상의 산화물을 무기변색 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TiO2 , Nb2O5, MoO3, Ta2O5, WO3, V2O5 , CrO3 , LixCoO2 , NiOx, LiNiOx, Rh2O3, 또는 IrO2 등이 사용 가능한 무기변색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변색층은 니켈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iOx 또는 LiNiOx를 변색 물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니켈옥사이드(LiNiOx)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반응을 통해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에서, M은 H+, Li+, 또는 Na+와 같은 전해질 이온일 수 있다.
[반응식]
LiNiO2 (착색: 갈색) + M+ + e- ⇔ Li2NiO2 (탈색: 무색)
상기 반응에서, 전기변색층에 포함되는 변색물질이 탈색된 경우 전기변색소자는 입사광을 투과시키게 되고, 착색된 경우에는 입사광의 투과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전기변색소자의 광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착색과 탈색 반응은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 또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교대로 일어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착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20 % 내지 40 %이고, 탈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45 % 내지 80 % 범위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전기변색층은 10 nm 내지 400 nm 범위 내에서 300 nm 이하, 200 nm 이하, 150 nm 이하, 또는 120 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 nm 미만일 경우 변색을 위한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기 어렵고, 400 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박막의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할 수 없고, 소자의 투과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경우, 하기와 같은 이온저장층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변색효율이 개선되어, 150 nm 이하, 또는 120 nm 이하의 두께에서도 전기변색층의 변색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온저장층은, 전기변색층의 산화환원반응에 필요한 전하 입자가 삽입 또는 탈리될 수 있어, 변색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전기변색층과 이온저장층 사이의 전하 밸런스를 맞추고자, 상보적인 전기변색물질을 전기변색층과 이온저장층 각각에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에 리튬니켈산화물(LiNiOx)과 같은 산화성 변색 물질이 포함된 경우, 이온저장층에는 산화텅스텐(WOx)과 같은 환원성 변색 물질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변색소자는 변색효율이 좋지 못하고, 스위칭 타임(switching time)이 느린 단점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전도성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이온저장층을 사용한다. 특유의 구조와 그에 기인한 높은 강도를 갖는 전도성 그라파이트는, 이온저장층의 크랙(crack)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의 층상 구조는, 전기변색에 관여하는 전해질 이온이 충분하게 삽입 및 탈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는 박막 증착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100 nm 이하의 두께에서도 전하를 충분히 수용하고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자의 변색 및 탈색 사이에 소요되는 스위칭 타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는 그라파이트 산화물(graphite oxide)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산화물은 산소와 탄소의 질량비가 0.001 ≤ O/C ≤ 0.5 범위, 또는 0.005 ≤ O/C ≤ 0.3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파이트 박막의 구성 원소 분포를 XPS 분석할 경우, C 원소 및 O 원소의 함량이 측정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박막 전체로서는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그라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량비가 0.005 미만일 경우 전도성은 다소 개선되나 투과도가 저하되고, 0.3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기 전도도가 저하되고, 스위칭 타임 단축에 장애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이온저장층은 그 두께가 10 nm 내지 150 nm 범위에서, 100 nm 이하, 또는 80 n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nm 미만일 경우 이온 저장효과가 충분치 않고, 150 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박막의 투명 이온저장층을 제공할 수 없고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온저장층의 가시광선에 대한 굴절률은 1.0 내지 3.0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그라파이트가 전극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이온저장층은 이온 이동에 대한 내부 저항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리튬니켈산화물로부터 형성된 이온저장층의 경우, 그 내부 저항이 1M Ω/□ 내지 10M Ω/□ 범위를 보였던 반면, 그라파이트가 증착되어 형성된 이온저장층의 경우 내부 저항이 100 Ω/□ 내지 10,000 Ω/□ 범위를 갖기 때문에 변색 시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65 % 내지 75 % 범위일 수 있다.
전해질층은 리튬이온(Li+)과 같이 전기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층에 포함되는 전해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액체 전해질, 겔-고분자 전해질 또는 무기 고체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해질이 겔-고분자 전해질인 경우, 상기 전해질층은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리튬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유전율이 높기 때문에, 리튬염이 제공하는 이온의 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C(propylene 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및 EMC(ethylmethyl carbonate)와 같은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리튬화합물로는 LiF,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ClO3, LiAsF6, LiSbF6, LiAl04, LiAlCl4, LiNO3, LiN(CN)2, LiPF6, Li(CF3)2PF4, Li(CF3)3PF3, Li(CF3)4PF2, Li(CF3)5PF, Li(CF3)6P, LiSO3CF3, LiSO3C4F9, LiSO3(CF2)7CF3, 또는 LiN(SO2CF3)2,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해질이 무기 고체전해질일 경우, 상기 전해질층은 소위 LIPON(Lithium Phosphorous Oxynitride)으로 불리는 리튬 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Ta2O5 와 같은 전이금속의 산화물에 리튬이온이 도핑된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전해질에 사용될 수 있는 전이금속으로는 몰리브덴(Mo), 탄탈(Ta), 지르코늄(Zr), 하프늄(Hf) 및 텅스텐(W)과 같은 전이금속을 예로 들 수 있다. 겔 폴리머의 경우 충방전 사이클이 증가함에 따라 버블이 발생하고 그 내구성이 저하되는 반면, 무기 고체전해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버블 발생이 없기 때문에 소자의 내구성과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은 30 ㎛ 내지 200 ㎛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70 % 내지 95 % 범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전기변색소자는 전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은, 외부회로를 통해 전극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나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원은,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4V 이하 크기의 착색 및 탈색전위를 인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경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전기변색층만이 착색 또는 탈색되고, 이온저장층은 착색 및 탈색 없이 일정 범위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iNiOx를 포함하는 층, 즉 전기변색층이 직접 적층된 전극층에 양(+)의 부호를 갖는 착색 전위가 1.5 V 내지 2.5 V 크기로 인가될 경우, 리튬이온이 탈리되면서 전기변색층이 착색되고, 상기 전기변색층이 착색되는 시간(duration time) 동안, 이온저장층에 포함된 전도성 그라파이트는 변색없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이온저장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리튬니켈산화물(LiNiOx)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이 직접 적층된 전극층에 음(-)의 부호를 갖는 탈색 전위를 3V 내지 4V 크기로 인가시키면 전기변색소자가 탈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일례에서, 본 출원은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하나의 전극층 상에 리튬니켈산화물 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다른 하나의 전극층 상에 산소와 탄소의 질량비가 0.005 ≤ O/C ≤ 0.3 범위를 갖는 그라파이트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리튬니켈산화물층은 전기변색층으로서, 그라파이트층은 이온저장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극층, 이온저장층 및 전기변색층의 구성이나 그 밖의 특성은 상기 언급된 바와 동일하다.
상기 각 층을 마련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착(deposition),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코팅, 졸겔(sol-Gel)법, 또는 슬롯 다이 코팅(slot di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각 층이 마련될 수 있다. 증착의 경우,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PVD)이나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가능한 물리기상 증착법으로는 스퍼터링(Sputtering)법, 전자-빔 증착법(E-beam evaporation), 열 증착법(Thermal evaporation), 레이저 분자 빔 증착법(Laser Molecular Beam Epitaxy, L-MBE) 또는 펄스 레이저 증착법(Pulsed Laser Deposition, PLD)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는 열 화학 기상 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광 화학 기상 증착법(Light Chemical Vapor Deposition), 레이저 화학 기상 증착법(Laser Chemical Vapor Deposition), 금속-유기 화학 기상 증착법(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또는 수소화물 기상 증착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HVPE)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리튬니켈산화물층 또는 그라파이트층의 일면에 고체전해질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층에 사용될 수 있는 전해질의 종류는 상기 언급된 바와 동일하다.
신규한 이온저장층 물질을 포함하는 본 출원은, 박막 생산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변색효율 및 변색속도가 개선된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례 1: 하프-셀(Half-Cell)의 광학 특성 및 구동 특성 측정
하기와 같이 제조된 하프-셀에 대하여, potentiostat 장비(Princeton Applied Research, PMC-1000) 및 UV-vis spectrometer 장비(Solidspec 3700)를 이용하여 각 셀의 구동특성 및 광학특성을 25℃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하프-셀에는 착색 전위로 2V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었고, 탈색 전위로는 4V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었다. 사용된 각 시편의 크기는 2.0 cm X 10 cm = 20 cm2로 일치시켰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작업 전극의 제조: 투명 전도성 산화물인 ITO 전극 상에 DC sputter 방식을 이용하여 리튬니켈산화물(LiNiOx)로 형성된 전기변색층을 100 nm 두께로 증착 하고, 제1 전극과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작업전극을 제조하였다.
상대전극의 제조: 투명 전도성 산화물인 ITO 전극 상에 DC sputter 방식을 이용하여 전도성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형성된 이온저장층을 50 nm 두께로 증착하고, 제2 전극과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작업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전기변색층으로는 300 nm 두께의 산화텅스텐(WOx)층을 사용하고, 이온저장층으로는 100 nm 두께의 리튬니켈산화물(LiNiOx)층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ITO 전극 상에 DC sputter 방식을 이용하여 전기변색층 및 이온저장층을 마련하였다.
하프-셀(Half-Cell)의 광학 특성 및 구동 특성 비교
하프-셀: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작업전극 하프-셀: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상대전극
측정
항목
TCO 면저항
(Ω/□)
전하량
(mC)
△T(%) Time(s)
Col. / Ble.
TCO 면저항 전하량
(mC)
△T(%) Time(s)
Col. / Ble.
실시예 30 200 40 30/30 30 100 - -
비교예 30 600 60 60/30 30 200 40 30/30
TCO 면저항: ITO 전극의 면저항 값
△T: 각 전극의 착색 및 탈색시 투과율 차이
Time(s) Col. : 전극이 탈색(bleacing) 상태에서 착색(coloring) 상태로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완전 착색 상태의 투과율 대비 80% 투과율을 갖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Time(s) Ble. : 전극이 착색(coloring) 상태에서 탈색(bleacing) 상태로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완전 탈색 상태의 투과율 대비 80% 투과율을 갖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출원의 상대전극에 포함된 이온저장층은 비교예의 이온저장층과 달리, 투과도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교예 이온저장층에 포함된 리튬니켈산화물의 경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착색 및 탈색이 일어나는 반면, 실시예 이온저장층에 포함된 그라파이트는 착색 및 탈색이 일어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험례 2: 풀-셀(Full-Cell)의 광학 특성 및 구동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작업전극과 상대전극을, PC(propylene carbonate)와 LiClO4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을 매개로 합착하고, 전기변색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실험례 1과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광학 및 구동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풀-셀(Full-Cell)의 광학 특성 및 구동 특성 비교
전기변색소자 (Full Cell)
△T(%) Coloring Time(s) Bleaching Time(s) 전하량 (mC)
실시예 35 10 5 150
비교예 50 36 13 250
△T: 전체 소자의 착색 및 탈색시 투과율 차이
Bleaching Time(s): 전기변색층이 착색(coloring) 상태에서 탈색(bleacing)될 경우 소요되는 시간. 완전 탈색 상태의 투과율 대비 80% 투과율을 갖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Coloring Time(s): 전기변색층이 탈색(bleacing) 상태에서 착색(coloring)될 경우, 소요되는 시간. 완전 착색 상태의 투과율 대비 80% 투과율을 갖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표 2과 같이, 작업전극과 상대전극으로 구성된 전기변색소자 전체의 전하량은 비교예의 그것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하량에 대한 투과도 변화로 나타낼 수 있는 변색효율(coloration efficiency=△T/전하량)의 경우, 비교예 소자 대비 실시예의 소자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의 소자는, 비교예 대비 50 % 이상 단축된 스위칭 타임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9)

  1. 대향 배치된 2개의 전극층, 전기변색층, 이온저장층, 및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이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리튬니켈산화물(LiNiOx)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저장층은 전도성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는 그라파이트 산화물이고, 산소와 탄소의 질량비가 0.005 ≤ O/C ≤ 0.3 범위인 전기변색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100 Ω/□ 내지 10,000 Ω/□의 저항을 갖는 전기변색소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10 nm 내지 150 nm 범위의 두께를 갖고, 가시광선에 대한 굴절률이 1.0 내지 3.0 범위인 전기변색소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65 % 내지 75 % 범위인 전기변색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10 nm 내지 300 nm 범위의 두께를 갖는 전기변색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착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20 % 내지 40 %이고, 탈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45 % 내지 80 %인 전기변색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전해질층은 두께가 30 ㎛ 내지 200 ㎛이고, 가시광선에 대한 광 투과율이 70 % 내지 95 % 범위인 전기변색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액체 전해질, 겔 타입 고분자 전해질 또는 무기고체전해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LiPON 또는 Ta2O5를 포함하는 무기 고체전해질인 전기변색소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리튬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경화물로부터 형성된 겔 타입 고분자 전해질인 전기변색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PC(propylene 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및 EMC(ethylmethyl carbonate)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의 화합물인 전기변색소자.
  13. 제11항에 있어서, 리튬화합물은 LiF,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ClO3, LiAsF6, LiSbF6, LiAl04, LiAlCl4, LiNO3, LiN(CN)2, LiPF6, Li(CF3)2PF4, Li(CF3)3PF3, Li(CF3)4PF2, Li(CF3)5PF, Li(CF3)6P, LiSO3CF3, LiSO3C4F9, LiSO3(CF2)7CF3, 및 LiN(SO2CF3)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전기변색소자.
  14. 제1항에 있어서, 전극층은, ITO(Indium Tin Oxide), FTO(Fluor doped Tin Oxide), AZO(Aluminium doped Zinc Oxide), GZO(Galium doped Zinc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NTO(Niobium doped Titanium Oxide), ZnO, OMO(Oxide/Metal/Oxide) 및 CTO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투명 전도성 화합물(TCO); 전도성 고분자;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및 메탈메쉬(Metal mesh)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1 nm 내지 1 ㎛ 범위의 두께를 갖고,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70 % 내지 95 % 범위인 전기변색소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전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착색 전위는 1.5 V 내지 2.5 V 크기이고, 탈색 전위는 3V 내지 4V 크기인 전기변색소자.
  17. 하나의 전극층 상에 리튬니켈산화물(LiNiOx)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다른 하나의 전극층 상에 산소와 탄소의 질량비가 0.005 ≤ O/C ≤ 0.3 범위를 갖는 그라파이트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니켈산화물층 또는 그라파이트층은 증착(deposition),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코팅, 졸겔(sol-Gel)법, 또는 슬롯 다이 코팅(slot di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마련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니켈산화물층 또는 상기 그라파이트층 중 어느 한 층의 일면에 고체전해질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체전해질층은 겔-고분자 전해질 또는 무기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60038888A 2016-03-31 2016-03-31 전기변색소자 KR102079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888A KR102079142B1 (ko) 2016-03-31 2016-03-31 전기변색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888A KR102079142B1 (ko) 2016-03-31 2016-03-31 전기변색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190A true KR20170112190A (ko) 2017-10-12
KR102079142B1 KR102079142B1 (ko) 2020-02-19

Family

ID=6014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888A KR102079142B1 (ko) 2016-03-31 2016-03-31 전기변색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1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6882A (zh) * 2019-03-25 2019-06-07 华南理工大学 一种电致变色玻璃及其封装方法
CN110184576A (zh) * 2019-06-18 2019-08-30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柔性无机电致变发射率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10086159A (ko) * 2019-12-31 2021-07-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원자층 증착공정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3963B2 (ja) * 1992-12-24 2004-12-22 サン・アクティブ・グラス・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KR20070103656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변색 소자용 전해질
KR20110132858A (ko) * 2010-06-03 2011-12-09 주식회사 마프로 결정성 텅스텐 산화물 나노입자 분산형 졸겔(Sol-Gel) 코팅용액을 이용한 전기변색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6327A (ko) * 2012-12-28 2014-07-08 전자부품연구원 그래핀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WO2015068317A1 (ja) * 2013-11-08 2015-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3963B2 (ja) * 1992-12-24 2004-12-22 サン・アクティブ・グラス・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KR20070103656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변색 소자용 전해질
KR20110132858A (ko) * 2010-06-03 2011-12-09 주식회사 마프로 결정성 텅스텐 산화물 나노입자 분산형 졸겔(Sol-Gel) 코팅용액을 이용한 전기변색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6327A (ko) * 2012-12-28 2014-07-08 전자부품연구원 그래핀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WO2015068317A1 (ja) * 2013-11-08 2015-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6882A (zh) * 2019-03-25 2019-06-07 华南理工大学 一种电致变色玻璃及其封装方法
CN110184576A (zh) * 2019-06-18 2019-08-30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柔性无机电致变发射率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10086159A (ko) * 2019-12-31 2021-07-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원자층 증착공정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142B1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184B1 (ko) 전기변색소자
CN108369363B (zh) 电致变色装置
KR102010755B1 (ko) 전기변색소자,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투과율 제어방법
KR102141635B1 (ko) 전기변색소자
KR20170101702A (ko) 전기변색 소자
KR20180119121A (ko) 전기변색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EP368666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romic device
KR102001611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056596B1 (ko) 전기변색 소자,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소자의 광학 특성 제어방법
KR102079142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108562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056599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010754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101151B1 (ko) 전기변색소자
KR20180036105A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734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034444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108553B1 (ko) 전기변색소자
JP2020518003A (ja) 導電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含む電気変色素子
KR102069486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071901B1 (ko) 전기변색소자
EP3444663B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90118120A (ko) 전기변색필름
KR20190118121A (ko) 전기변색필름
KR20180122132A (ko)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