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992A -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992A
KR20170111992A KR1020160038397A KR20160038397A KR20170111992A KR 20170111992 A KR20170111992 A KR 20170111992A KR 1020160038397 A KR1020160038397 A KR 1020160038397A KR 20160038397 A KR20160038397 A KR 20160038397A KR 20170111992 A KR20170111992 A KR 2017011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lignment mark
alignment marks
interval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378B1 (ko
Inventor
박기준
허재영
채성욱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37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6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wherein control means on the work feed means renders the cutting member oper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28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unting the number of cuts or measuring cut len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5Cutting handled material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2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6Illumination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set) 및 하나의 상기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상기 필름을 공급하는 이송부; 상기 필름의 일측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를 촬영하는 촬영부; 기결정된 간격이 입력되어 있는 제어부; 및 상기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OF FIL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 절단 장치는 필름을 전동모터에 회전하는 롤에 의해 이송되고, 절단 시 기계식 절단기(예를 들어, 재단 프레스 또는 슈퍼 커터)에 의해 일정크기로 절단된다. 또한,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별로 절단되어 일반 소비자들에게 공급된다. 이러한 필름을 연속으로 절단해야하기 때문에 원하는 폭으로 이루어진 절단된 필름의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절단 위치가 정확하고 정교하게 위치되어야 하나, 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져 절단된 필름의 정확한 폭을 균일하게 절단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제품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5582호(2012.01.1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필름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set) 및 하나의 상기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상기 필름을 공급하는 이송부; 상기 필름의 일측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를 촬영하는 촬영부; 기결정된 간격이 입력되어 있는 제어부; 및 상기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상기 필름의 타측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기결정된 간격은 상기 필름의 절단 여부를 판정하는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얼라인 마크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된 영상은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는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제4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상기 제4 얼라인 마크 중 인접하는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제어부가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름의 속도 및 이동시간을 기초로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기결정된 간격과 일치하면 상기 필름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 중 최종 얼라인 마크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set) 및 하나의 상기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상기 필름이 공급되고, 상기 필름의 일측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가 촬영되고, 입력된 기결정된 간격과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비교하여 상기 필름이 절단되는, 필름 절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필름의 타측에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기결정된 간격은 상기 필름의 절단 여부를 판정하는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의 위치가 획득되고, 획득된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는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제4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상기 제4 얼라인 마크 중 인접하는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이 판정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속도 및 이동시간을 기초로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이 판정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이 입력되어 있는 상기 기결정된 간격과 일치되면 상기 필름이 절단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 중 최종 얼라인 마크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 부위가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필름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시트 절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에 광을 조사하여 촬영부가 필름을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상에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제4 얼라인 마크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상에 제2 얼라인 마크 내지 제4 얼라인 마크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 시스템(1)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10)에 광(310)을 조사하여 촬영부(200)가 필름(10)을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필름 절단 시스템(1)은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set)(20) 및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하는 필름(10)을 이송부(100), 필름(10)의 일측에서 얼라인 마크를 촬영하는 촬영부(200), 필름(10)의 타측에 광(310)을 조사하는 발광부(300), 기결정된 간격이 입력되어 있는 제어부(300) 및 필름(10)을 절단하는 절단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10)은 보호층, 기재, 절연막, 터치센서, 분리막 등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름(10)이 적층되는 순서나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이송부(100)는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20) 및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포함하는 필름(10)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100)는 일정한 속도로 필름(10)을 공급할 수도 있고, 필름(10)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였다가 이동될 수도 있다.
이송부(100)는 필름(10)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개의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필름(10)이 띠 형상으로 롤러에 감겨있으며,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송부(10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송부(100)는 회전구동될 수 있다. 롤러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송부(100)는 공급되는 필름(1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고, 한방향으로만 계속적으로 이동시켜 필름(10)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이송부(100)는 필름(10)이 롤러에 감겨져 공급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송부(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송부(100)는 컨베이어 벨트로도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에 배치되는 필름(10) 자체의 장력이나 하중에 의한 중력이 작용되는 것을 경감시키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 상부 영역에 놓여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촬영부(200)는 필름(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검사 대상물의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검사 대상물은 필름(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200)는 한 개가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부(20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촬영부(200)가 배치되는 개수는 촬영부(200)의 촬영 영역과 필름(10)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200)는 필름(10)의 촬영 시간 또는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촬영부(200)는 필름(10)에 표시되어 있는 얼라인 마크의 위치의 영상을 포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촬영부(200)는 카메라(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00)는 필름(10)의 타측에 배치되어 검사 대상물(예를 들어,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에 광(310)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300)는 검사 대상물의 타측에 위치하여 일 방향에서만 빛이 조사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발광부(300)의 위치 및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광부(300)는 촬영부(2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광(310)이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00)에서 제공되는 광원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램프(Light Emitting Diode Lamp),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와 같은 할로겐 램프, 형광등, 백열 전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300)에서 조사되는 광(3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백색광, 녹색광, 청색광, 적색광, 적외선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광부(300)가 필름(10)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광(310)이 조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부(300)에서 광(310)은 수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부(300)가 필름(100)의 타측(촬영부(200)의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광(310)을 조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발광부(300)는 촬영부(200)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필름(10)이 위치한 측으로 조사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300)는 필름(10)에 제공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기결정된 간격이 입력되어 있다. 여기서 기결정된 간격은 필름(10)의 절단 여부를 판정하는 간격이다. 즉, 제어부(400)는 필름(10)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20)의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필름(10)의 속도 및 이동시간을 기초로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10)의 속도는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이동될 수 있거나 필름(10)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였다가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400)는 일정한 이동 속도로 이동되는 필름(10)의 이송시간을 기초로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판정할 수 있다. 또는, 필름(10)의 속도변화에 따른 이동시간을 기초로 하여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판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촬영부(200)에서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판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500)는 필름(10)을 기결정된 간격으로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결정된 간격은 제어부(400)에서 필름(10)의 절단 여부를 판정하여, 제어부(400)에 입력된 간격으로 절단되는 간격이다. 이에 따라, 상기 기결정된 간격은 일정한 간격일 수 있다. 하지만 필름(10)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절단되는 간격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촬영부(20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제어부(400)에서 분석하고, 제어부(400)는 필름(10)의 절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절단부(500)는 제어부(400)의 절단 여부의 판정에 따라 필름(10)을 절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절단부(500)는 촬영부(200)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절단부(500)는 촬영부(200)와 이격되어 있어, 필름(10)이 촬영부(200)에서 절단부(500)까지 이송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필름(10)이 절단부(500)까지 이송되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필름(10)의 절단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절단부(500)는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20)내의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 중 최종 얼라인 마크(예를 들어, 제4 얼라인 마크(20-4))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10)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부(500)는 필름(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할 수 있다. 절단부(500)는 필름(10)을 절단하기 위해 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터는 필름(10)의 절단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 시스템(1)은 이송부(100)의 종류, 촬영부(200)의 종류, 발광부(300)의 종류, 절단부(500)의 종류, 촬영부(200)의 배치, 발광부(300)의 배치, 촬영부(200)의 배치, 촬영부(200)의 촬영 각도 및 발광부(300)의 광 조사 각도는 필름(10)에 대한 적절한 광 조사 및 적절한 촬영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10)은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얼라인 마크는 제1 얼라인 마크(20-1) 내지 제4 얼라인 마크(2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마크 세트(20)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의 개수는 4개 이상일 수 있거나 4개 미만일 수 있다. 즉, 얼라인 마크 세트(20)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얼라인 마크 세트(20)가 4개인 것으로 한정한다.
또한, 제1 얼라인 마크(20-1) 내지 제4 얼라인 마크(20-4) 중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도 한정되지 않는다. 필름(10)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필름(10) 크기 또는 폭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 간의 간격도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 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도 한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한정한다. 예를 들어,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은 제1 얼라인 마크(20-1)와 제2 얼라인 마크(20-1) 간의 제1 간격(d11), 제2 얼라인 마크(20-2)와 제3 얼라인 마크(20-3) 간의 제2 간격(d12) 및 제3 얼라인 마크(20-3)와 제4 얼라인 마크(20-4) 간의 제3 간격(d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간격(d11) 내지 제3 간격(d13)은 같은 간격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간격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는 다양한 형태로 필름(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또는 문자로도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는 필름(10) 상에 지워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10) 절단 방법은,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set)(20) 및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20)의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포함하는 필름(10)이 공급되고, 필름(10)의 일측에서 얼라인 마크가 촬영되고, 필름(10)의 타측에서 광(310)이 조사되고, 입력된 기결정된 간격과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비교하여 필름(10)이 절단되는, 필름 절단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10) 상에 제1 얼라인 마크(20-1) 내지 제4 얼라인 마크(20-4)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필름(10) 상에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2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얼라인 마크 세트(20)는 필름(10) 상에 복수개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복수개 얼라인 마크 세트(20)를 포함하는 필름(10)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촬영부(200) 또는 발광부(300)가 위치한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필름(10)의 타측에서 광(310)이 조사될 수 있으며, 촬영부(200)는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의 위치를 촬영하고, 이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얼라인 마크(20-1) 내지 제4 얼라인 마크(20-4)의 위치를 획득하여, 제1 얼라인 마크(20-1)와 제2 얼라인 마크(20-2) 간의 제1 간격(d11), 제2 얼라인 마크(20-2)와 제3 얼라인 마크(20-3) 간의 제2 간격(d12) 및 제3 얼라인 마크(20-3)와 제4 얼라인 마크(20-4) 간의 제3 간격(d13)을 포함하는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300)에서 획득된 영상은 제어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기결정된 간격이 입력되어 있다. 제어부(400)는 필름(10)의 절단 여부를 판정하는 기결정된 간격이 입력되어 있으므로, 촬영부(200)에서 획득된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인접하는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판정하고, 필름(10)의 절단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가 필름(10)의 속도 및 이동시간을 기초로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이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10)의 속도는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이동될 수 있거나 필름(10)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였다가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400)가 일정한 이동 속도로 이동되는 필름(10)의 이송시간을 기초로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판정할 수 있다. 또는, 필름(10)의 속도변화에 따른 이동시간을 기초로 하여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판정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얼라인 마크(20-1)와 제2 얼라인 마크(20-1) 간의 제1 간격(d11), 제2 얼라인 마크(20-2)와 제3 얼라인 마크(20-3) 간의 제2 간격(d12) 및 제3 얼라인 마크(20-3)와 제4 얼라인 마크(20-4) 간의 제3 간격(d13)을 포함하는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이 제어부(400)에 입력되어 있는 기결정된 간격이 일치하면, 제어부(400)는 절단부(500)에 절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10)은 기결정된 간격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절단부(500)는 제어부(400)에서 절단 명령이 전송되어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 중 최종 얼라인 마크(예를 들어, 제4 얼라인 마크(20-4))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10) 부위가 절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10) 상에 제2 얼라인 마크(20-2) 내지 제4 얼라인 마크(20-4)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필름(10) 상에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에 제1 얼라인 마크(20-1)가 판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필름(10) 상에 제1 얼라인 마크(20-1)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거나, 촬영부(200)에서 제1 얼라인 마크(20-1)의 위치가 획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2 얼라인 마크(20-2)와 제3 얼라인 마크(20-3) 간의 제2 간격(d12) 및 제3 얼라인 마크(20-3)와 제4 얼라인 마크(20-4) 간의 제4 간격(d13)을 포함하는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이 제어부(400)에 입력되어 있는 기결정된 간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절단부(500)에 기결정된 간격으로 절단 명령을 전송하지 않고,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을 오차로 명령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부(500)는 최종 얼라인 마크(예를 들어, 제4 얼라인마크(20-4))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 부위를 절단하고, 이는 불량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얼라인 마크(20-1)가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만 설명하였지만, 제1 얼라인 마크(20-1), 제2 얼라인 마크(20-2), 제3 얼라인 마크(20-3) 및 제4 얼라인 마크(2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필름(10) 상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거나, 촬영부(200)에서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의 위치가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필름(10)의 영상에서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20-1, 20-2, 20-3, 20-4)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어 있지 않거나,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d1)이 제어부(400)에 입력된 기결정된 간격과 상이한 경우, 제어부(400)는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20)를 불량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20) 내의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 중 최종 얼라인 마크(예를 들어, 제4 얼라인 마크(20-4))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 부위를 절단하여, 이를 폐기할 수 있다.
나아가, 제4 얼라인 마크(20-4)가 필름(10)상에 표시되지 않을 경우, 제3 얼라인 마크(20-3)를 최종 얼라인 마크로 판정하여, 제3 얼라인 마크(20-3)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 부위를 절단할 수 있으며, 불량으로 판정된 절단된 필름(10)은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10)은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을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필름 절단 시스템
10 : 필름
20 : 얼라인 마크 세트
200 : 촬영부
300 : 발광부
310 : 광
400 : 제어부
500 : 절단부

Claims (16)

  1. 필름 절단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set) 및 하나의 상기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상기 필름을 공급하는 이송부;
    상기 필름의 일측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를 촬영하는 촬영부;
    기결정된 간격이 입력되어 있는 제어부; 및
    상기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상기 필름의 타측에 배치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결정된 간격은 상기 필름의 절단 여부를 판정하는 간격인, 필름 절단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얼라인 마크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된 영상은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는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제4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상기 제4 얼라인 마크 중 인접하는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제어부가 판정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름의 속도 및 이동시간을 기초로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판정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기결정된 간격과 일치하면 상기 필름을 절단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 중 최종 얼라인 마크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 부위를 절단하는, 필름 절단 시스템.
  9. 필름 절단 방법으로서,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얼라인 마크 세트(set) 및 하나의 상기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상기 필름이 공급되고,
    상기 필름의 일측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가 촬영되고,
    입력된 기결정된 간격과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을 비교하여 상기 필름이 절단되는, 필름 절단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타측에서 광이 조사되는, 필름 절단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결정된 간격은 상기 필름의 절단 여부를 판정하는 간격인, 필름 절단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의 위치가 획득되고, 획득된 영상이 전송되는, 필름 절단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는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제4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얼라인 마크 내지 상기 제4 얼라인 마크 중 인접하는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이 판정되는, 필름 절단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속도 및 이동시간을 기초로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이 판정되는, 필름 절단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얼라인 마크 간의 간격이 입력되어 있는 상기 기결정된 간격과 일치되면 상기 필름이 절단되는, 필름 절단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얼라인 마크 세트 내의 상기 복수개의 얼라인 마크 중 최종 얼라인 마크가 표시된 지점의 직후의 필름 부위가 절단되는, 필름 절단 방법.
KR1020160038397A 2016-03-30 2016-03-30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87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397A KR101879378B1 (ko) 2016-03-30 2016-03-30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397A KR101879378B1 (ko) 2016-03-30 2016-03-30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992A true KR20170111992A (ko) 2017-10-12
KR101879378B1 KR101879378B1 (ko) 2018-07-18

Family

ID=6014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397A KR101879378B1 (ko) 2016-03-30 2016-03-30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1938B2 (ja) * 2018-03-29 2022-09-06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6854A (ja) * 1982-08-06 1984-02-13 Rengo Co Ltd 走行材料のマ−ク検出装置
JP2003245894A (ja) * 2002-02-21 2003-09-02 Isowa Corp 被検出体の撮像方法並びにコルゲートマシンのカッタにおける被検出体の検出装置及び段ボールシート製函機における被検出体の検出装置
JP2005297101A (ja) * 2004-04-08 2005-10-27 Rengo Co Ltd 走行シートの切断位置検出装置
KR101249348B1 (ko) * 2011-04-27 2013-04-01 (주)엔에스 롤 필름 절단 가공기 및 롤 필름 절단 가공 방법
KR101355730B1 (ko) * 2012-07-19 2014-01-27 (주)씨지엠코리아 연성회로기판용 절연필름 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378B1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585B2 (en) Apparatus for stacking sheet members, apparatus for measuring dimensions of sheet members,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rking sheet members
KR20130073300A (ko) 이차전지의 전극 노칭장치
KR20200132725A (ko)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879378B1 (ko)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JP2018008307A5 (ko)
JP2017226526A (ja) スリッター装置ならびに幅方向位置ずれ異常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2003246307A (ja) ピロー包装機
JP2017189749A (ja) 物品選別装置
JP2001113610A (ja) クッション付きベルト部材のセン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6296174B2 (ja) 露光装置
KR101937635B1 (ko) 권취 코일용 단부 검출장치
CN207077514U (zh) 高精度偏光膜裁切装置
KR20140139420A (ko) 광학 필름 롤의 제조 시스템 및 광학 필름 롤의 제조 방법
JP2017067730A5 (ko)
JP2009255216A (ja) シートの裁断装置
JP200915836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TW201628811A (zh) 切割線形成方法及切割線形成裝置
KR20150094917A (ko) 타이어 제조용 벨트 반제품의 코드 노출 검출장치
JP2019155625A (ja) 成形品の撮影方法および成形品の撮影装置
KR101958974B1 (ko) 간지 공급장치
KR101412099B1 (ko) 스트립 에지 위치 검출장치
JP6622043B2 (ja) ウェブ補修システム及びウェブ補修方法
CN109476433B (zh) 用于板材元件加工机的具有相机校准系统的质量控制站
JP5475626B2 (ja) シート材の方向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シート材の切断方法、欠陥検査方法及びプリント方法
JP7067309B2 (ja) ゴムシートの長さ測定装置及び当該ゴムシートの長さ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