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644A -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644A
KR20170111644A KR1020160037514A KR20160037514A KR20170111644A KR 20170111644 A KR20170111644 A KR 20170111644A KR 1020160037514 A KR1020160037514 A KR 1020160037514A KR 20160037514 A KR20160037514 A KR 20160037514A KR 20170111644 A KR20170111644 A KR 2017011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oor
folded
safety plat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문근
Original Assignee
오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문근 filed Critical 오문근
Priority to KR102016003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644A/ko
Publication of KR2017011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4Hinges for saf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54Horizontally-sliding wing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wall; Pocke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05Y2400/3017Safety means therefor
    • E05Y2800/11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출입문이 고장났을 경우에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입구의 너비폭과 높이가 동일한 크기로 된 장방형이거나 무게절감 및 보관의 용이성과 이동과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상,하로 분리되어 중앙이 절첩되도록 절첩부가 형성된 안전판과 상기 안전판의 양측에 전동차의 벽면 내측으로 출입문이 출입되는 문틈 사이로 끼임장착되는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틈새를 막아 밀폐토록 하는 고무패킹을 장착한 장착바로 구성되어 안전판이 절첩된 상태에서 양측의 장착바를 먼저 문틈에 끼운 상태에서 안전판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절첩된 중앙을 가압토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의 절첩부가 형성된 외벽면에는 90°각으로만 절첩되는 경첩을 하나 이상으로 설치하고 내벽면에는 락방식으로 잠금되는 접힘방지수단을 형성하여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내,외측 방향으로 절첩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의 내벽면에는 설치를 위한 이동과 작업자의 설치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A broken door safety device used in trains}
본 발명은 전동차의 출입문이 고장 났을 경우에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첩구조로 이루어져 보관의 용이함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고 출입문 전체를 완전히 가려지도록 함으로서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실외의 외부바람과 오염됨 공기가 객차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전동차 출입문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퇴근이나 이동을 할 경우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되고 이러한 대중교통수단에는 버스와 도시철도가 있으며, 특히 도시철도는 교통체증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운행되어 이동시간이 빠른 장점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도시철도는 지상의 철도 위를 운행하는 지상철과 지하의 철도 위를 운행하는 지하철로 나뉘어 있고, 전기를 이용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지상철과 지하철을 통칭적으로 전동차라고 부른다.
이러한 전동차는 여러 대의 객차가 연결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탑승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객차 한 칸에는 4개의 출입문이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동차가 운행 도중에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거나 열린 상태에서 닫히지 않는 고장이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이럴 경우 출입문의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전동차 운행에 차질이 발생되고 후방 전동차도 운행이 중단되면서 연착이 되는 등의 승객이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출입문의 고장 시에 고장난 출입문에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출입문을 통재함으로써 전동차가 임시방편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장치는 도1과 같이 천으로 된 보호막의 양측에 지주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를 출입문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에 끈으로 묶어 고정토록 하여 출입문을 차단하거나 도2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링크형태로 제작되어 객차의 손잡이에 고정설치되어 출입문을 차단하여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토록 하였다.
그러나 도1과 같은 안전장치는 천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시에 찢어질 염려가 있어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고, 도2의 안전장치는 링크로 형성된 어느 한 부분이 고장이 발생되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안전장치들은 설치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가 되기 때문에 전동차 고장시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한 것이다.
특히 출입문의 고장이 개방된 상태일 경우 이 상태로 전동차를 운행하게 되면 달리는 속도에 의한 바람의 저항으로 인해 천으로 된 안전장치가 쉽게 찢어지게 되는 문제로 안전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링크로 된 안전장치는 외부 바람을 전혀 차단할 수가 없어 객차 내부로 바람이 들어오게 되면서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특히 실외와 지하터널의 공기 속에는 배기가스와 발암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러한 오염된 공기가 밀폐된 객차 내부로 들어오게 될 경우 객차 내부에 있는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10505호 (1999.03.15)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1694호 (2007.10.1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이 용이하면서 전동차의 출입문이 고장 났을 경우에 안전장치를 단순히 가압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출입문 전체가 가려지도록 하면서도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완전히 밀폐되게 설치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객차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차가 운행할 경우에 바람의 저항으로 안전장치가 객차의 실외나 실내로 이탈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견고하게 설치토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출입구의 너비폭과 높이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중앙이 절첩되도록 절첩부가 형성된 안전판과 상기 안전판의 양측에 전동차의 벽면 내측으로 출입문이 출입되는 문틈 사이로 끼임장착되는 끼움돌부가 형성된 장착바로 구성되어 안전판이 절첩된 상태에서 양측의 장착바를 먼저 문틈에 끼운 상태에서 안전판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절첩된 중앙을 가압토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토록 한 것이다.
상기 안전판의 절첩부에는 외측방향으로 90°각으로 절첩되는 경첩을 하나 이상으로 설치하여 상기 경첩으로 인해 안전판의 절첩작동의 용이성은 물론 안전판이 내측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이상 절첩되지 않게 스토퍼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은 두께가 있는 하나의 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보관된 상태에서 이동이나 설치작업시에 무게하중을 저감하기 위하여 얇은 판 두개를 이격되게 사용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이 얇은 판 두 개로 이루어질 경우에 이격된 내부공간에 스티로폼과 같은 가벼운 충진재를 충진토록 하여 안전판이 파손되지 않게 보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바의 끼움돌부가 형성된 내측방향에 고무패킹을 형성하여 장착바가 문틈 사이로 장착될 경우 고무패킹이 가압되어 긴밀하면서도 완전하게 밀폐되게 장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의 상,하단에는 출입구의 상,하단에 밀착되는 패킹바를 더 구비하여 틈새를 완전히 밀폐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의 내벽면에는 외부 바람의 저항으로 인해 안전판이 객실 내측으로 절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암,수 형태된 락방식의 접힘방지수단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의 내벽면에는 설치를 위한 이동과 작업자의 설치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는 상,하로 두 개로 분리하여 보관은 물론 설치작업시에 무게중량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상기 안전장치가 두 개로 분리될 경우 상측의 안전장치 하단과 하측의 안전장치 상단에는 틈새를 막음토록 하는 맞물림 바를 구비하여 결합된 틈새로 바람이 새어 들어오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에 광고면을 형성하여 상기 광고면에 안전표시나 다양한 그림이나 광고를 게재토록 함으로써 안전표시를 강조하거나 객차 실내의 분위기연출 또는 다양한 광고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동차의 출입문 고장시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안정장치에 의하면, 경량이면서 절첩구조로 이루어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압에 의해 전동차 출입문 전체를 완전히 밀폐되면서 견고하게 설치가 되어 작업자가 혼자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장치에 형성된 광고면에 안전표시나 다양한 그림 또는 광고를 게재토록 함으로써 객차 실내에서 승객이 안전표시에 따른 안전성을 인식하게 됨은 물론 다양한 그림이나 광고가 표시될 경우에는 객차의 실내분위기를 향상하게 되거나 시인성이 우수한 다양한 광고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접힘방지수단이 형성된 내측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경첩이 형성된 외측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안전판이 절첩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안전판과 장착바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세도
도10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안전판의 상,하단에 밀폐를 위한 패킹바가 형성된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상,하로 분리되어 출입구에 설치된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상,하로 분리된 안전장치의 틈새를 밀폐토록 한 맞물림바가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차 출입문용 안전장치(1)는 전동차의 출입문(120)이 고장 날 경우에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출입구(100)의 너비폭과 높이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중앙이 절첩되도록 절첩부(11)가 형성된 안전판(10)과 상기 안전판(10)의 양측으로 전동차의 벽면(110) 내측으로 출입문(120)이 출입되는 문틈(130) 사이로 끼임장착되도록 끼움돌부(21)가 일측에 형성되고 안전판(10)이 결합되는 결합홈(22)이 타측에 형성된 장착바(20)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전장치(1)를 설치하기 위하여 안전판(10)이 소정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안전판(10)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바(20)를 출입구(100)의 문틈(130) 사이로 위치시켜 상기 문틈(130) 사이에 장착바(20)의 끼움돌부(21)를 대각선 방향으로 끼운 상태에서 절첩된 안전판(10)을 완전히 펼쳐지도록 중앙을 가압시키면 상기 끼움돌부(21)가 문틈(130)사이에 완전히 끼워져 간단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판(10)의 절첩부(11)에는 전동차의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면으로 90°각으로만 절첩되는 경첩(13)을 하나 이상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경첩(13)을 형성하기 위하여 안전판(10)의 절첩부(11)에는 요입홈(12)을 형성하여 상기 경첩(13)의 헤드가 요입홈(12)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전판(10)이 안정적으로 절첩작동되면서 전동차의 객실 내측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더이상 절첩되지 않게 스토퍼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10)은 두께가 있는 하나의 판체를 사용되거나 얇은 판체 두 개를 내부공간(14)이 형성되게 이격된 상태로 장착바(20)에 결합토록 하고 상기 장착바(20)에는 상기 안전판(10)의 결합을 위하여 하나의 결합홈(22)이나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결합홈(22)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바(20)에 형성된 결합홈(22)에 안전판(10)을 결합한 상태에서 안전판(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박음고정이나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고정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전판(10)이 두 개의 얇은 판체로 형성될 경우에 무게하중이 저감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작업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10)이 두 개의 얇은 판체로 이루어질 경우에 이격된 내부공간(14)에 경량의 충진재(30)를 충진시켜 안전판(10)이 파손되지 않게 보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바(20)의 끼움돌부(21)가 형성된 일측으로 장착홈부(23)를 형성하여 상기 장착홈부(23)에 장착바(20)와 동일한 길이의 고무패킹(24)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장착바(20)가 문틈(130) 사이로 장착될 경우에 고무패킹(24)이 가압되어 긴밀하면서도 완전하게 밀폐되게 장착되어 바람이 새어 들어오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10)의 상,하단에는 내입공간으로 패킹바(15)를 결합하여 안전장치(1)를 장착시에 출입구(100)의 상,하단의 틈새까지도 완전히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10)의 내벽면에는 전동차의 출입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행시에 외부 바람의 저항으로 인해 안전판(10)이 객실 내측으로 절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힘방지수단(16)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접힘방지수단(16)은 절첩부(11)를 중심으로 안전판(10)의 양측에 암,수형태로 잠금되어지는 락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안전장치(1)를 출입구(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접힘방지수단(16)을 잠금토록 함으로써 절첩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장치(1)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벽면의 경첩(13)과 내벽면의 접힘방지수단(16)에 의해 내,외측 방향으로 절첩되지 않고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판(10)의 내벽면에는 설치를 위한 이동과 작업자의 설치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17)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7)는 절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동이나 설치시에만 돌출되게 절첩시켜 사용토록 하고 보관이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돌출되지 않게 절첩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17)는 절첩구조 이외에 안전판(10)에 구멍을 내고 상기 구멍에 내입된 손잡이를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장치(1)는 상,하로 두 개로 분리하여 무게중량을 분산토록 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을 용이토록 하면서도 설치작업을 위한 이동과 설치작업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1)가 두 개로 분리된 경우에는 상측의 안전장치(1) 하단과 하측의 안전장치(1a) 상단 각각에 이음틈새를 막음토록 하는 맞물림 바(40)를 결합토록 한 것이다.
상기 맞물림바(40)는 상단에 안전판(10)에 결합되는 결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1)의 일측변으로 하향으로 돌출된 수평바(42)가 형성된 것으로, 상측의 안전장치(1) 하단에 결합부(41)가 결합되고, 수평바(42)는 안전판(10)의 외벽면 방향에 위치토록 결합하고, 하측의 안전장치 상단에 맞물림바(40)의 결합부(41)가 결합되고 수평바(42)가 안전판(10)의 내벽면 방향에 위치토록 결합하여 상기 하단의 안전장치(1a)와 상단의 안전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 바(40)가 틈새를 막음토록 하여 상,하단으로 설치된 안전장치(1)의 사이틈새로 바람이 새어 들어오지 않게 밀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판(1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광고면(18)을 형성하여 상기 광고면(18)에 안전장치(1)의 표시를 위한 안전표시를 하여 객차 내부의 사람들에게 출입문의 고장을 알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광고면(18)에는 다양한 그림이나 광고를 게재토록 함으로써 객차 실내의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다양한 광고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 안전장치
10: 안전판 11: 절첩부
12: 요입부 13: 경첩
14: 내부공간 15: 패킹바
16: 접힘방지수단 17: 손잡이
18: 광고면
20: 장착바 21: 끼임돌부
22: 결합홈 23: 장착홈부
24: 고무패킹
30: 충진재
40: 맞물림바 41: 결합부
42: 수평바

Claims (11)

  1. 전동차의 출입문 고장 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전동차 출입문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1)는,
    출입구(100)의 너비폭과 높이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중앙이 절첩되도록 절첩부(11)가 형성된 안전판(10)과,
    상기 안전판(10)의 양측에 전동차의 벽면(110) 내측으로 출입문(120)이 출입되는 문틈(130) 사이로 끼임장착되는 끼움돌부(21)와 안전판(10)이 결합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된 장착바(20)로 구성되어
    상기 안전판(10)이 절첩된 상태에서 양측의 장착바(20)를 출입구(100)의 문틈(130) 사이에 먼저 끼운 상태에서 안전판(10)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절첩된 중앙을 가압시켜 간단하게 설치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의 절첩부(11)에는 전동차의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면으로 90°각으로 절첩되는 경첩(13)을 하나 이상으로 설치하여 상기 안전판(10)의 절첩작동의 용이토록 하면서 안전판(10)이 전동차의 객실 내측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이상 절첩되지 않게 스토퍼 기능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은 두께가 있는 하나의 판을 사용되거나 보관된 상태에서 이동이나 설치작업시에 무게하중을 저감하기 위하여 얇은 판 두개를 내부공간(14)이 형성되게 이격되게 형성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이 얇은 판 두 개로 이루어질 경우에 이격된 내부공간(14)에 경량의 충진재(30)를 충진시켜 안전판(10)이 파손되지 않게 보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20)의 끼움돌부(21)가 형성된 내측방향에는 장착홈부(23)를 형성하여 상기 장착홈부(23)에 고무패킹(24)을 장착하여 상기 장착바(20)가 문틈(130) 사이로 장착될 경우 고무패킹(24)이 가압되어 긴밀하면서도 완전하게 밀폐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의 상,하단에는 출입구(100)의 상,하단에 밀착되는 패킹바(15)를 더 구비하여 틈새를 완전히 밀폐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의 내벽면에는 외부 바람의 저항으로 인해 안전판(10)이 객실 내측으로 절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힘방지수단(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의 내벽면에는 설치를 위한 이동과 작업자의 설치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1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1)는 상,하로 두 개로 분리하여 보관은 물론 설치작업시에 무게중량을 분산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1)가 두 개로 분리될 경우 상측의 안전장치(1) 하단과 하측의 안전장치 상단 각각에는 틈새를 막음토록 하는 맞물림 바(40)를 구비하여 견고하게 장착토록 하면서 상,하단으로 설치된 안전장치(1)의 틈새로 바람이 새어 들어오지 않게 밀폐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광고면(18)을 형성하여 상기 광고면(18)에 안전표시나 다양한 그림이나 광고를 게재토록 하여 안전표시를 강조하거나 객차 실내의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다양한 광고효과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KR1020160037514A 2016-03-29 2016-03-29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KR20170111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14A KR20170111644A (ko) 2016-03-29 2016-03-29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14A KR20170111644A (ko) 2016-03-29 2016-03-29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44A true KR20170111644A (ko) 2017-10-12

Family

ID=6014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514A KR20170111644A (ko) 2016-03-29 2016-03-29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6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542A (zh) * 2018-09-14 2018-12-07 河南均美铝业有限公司 一种门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542A (zh) * 2018-09-14 2018-12-07 河南均美铝业有限公司 一种门体
CN108952542B (zh) * 2018-09-14 2023-08-22 河南均美铝业有限公司 一种门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71031U (zh) 轨道客车逃生门
AU2005200402B2 (en) Door threshold for access to the interior of a railway vehicle
KR20030066677A (ko) 출입구가 설치된 교통방호책
JPS5951456B2 (ja) 乗用車輌用摺動ドアおよびシ−ル装置
KR20170111644A (ko)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KR200464709Y1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CN106956640A (zh) 一种渣土车环保密闭篷布盖装置
CN206171064U (zh) 折棚
CN202685865U (zh) 一种客车铝合金安全门装置
KR101263564B1 (ko)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WO2022237126A1 (zh) 车厢及轨道车辆
US2158062A (en) Articulated car
CN206086722U (zh) 一种车厢贯通的悬挂式空中列车
JP4226765B2 (ja) 車両用の窓ガラス固定方法とこれによる窓構造
CN106476676A (zh) 渣土车链条传动全密封篷布顶盖系统
CN210793173U (zh) 一种轨道交通车辆侧门疏散结构及包含其的轨道交通车辆
KR20000013960U (ko) 알루미늄차체로 된 철도차량의 하부프레임 스커트 취부구조
KR20170134117A (ko) 전동차 출입문 고장 시 사용되는 안전장치
CN203888795U (zh) 一种检修门
CN219316562U (zh) 轨道交通区间隔断布置的人防结构
US1555308A (en) Window for freight box cars
KR200384904Y1 (ko) 지하철 투신 방지용 현가식(懸架式) 전동 스크린 셔터
RU199384U1 (ru) Заглушка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межвагонного перехода
KR20170015614A (ko)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WO2021027403A1 (zh) 车厢以及货物运输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