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866A -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 Google Patents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866A
KR20170109866A KR1020160034001A KR20160034001A KR20170109866A KR 20170109866 A KR20170109866 A KR 20170109866A KR 1020160034001 A KR1020160034001 A KR 1020160034001A KR 20160034001 A KR20160034001 A KR 20160034001A KR 20170109866 A KR20170109866 A KR 20170109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pipe fixing
pipe
floating pipe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411B1 (ko
Inventor
신석순
Original Assignee
(주)해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광테크 filed Critical (주)해광테크
Priority to KR102016003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4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10)와, 상기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와, 몸체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측면(20,30)과, 상기 몸체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보강대(15)에 의해 연결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과, 상기 좌측면(20)의 상부에 설치된 “└┘” 형상의 좌측상부홈(21) 및 하부에 설치된 “┌┐”형상의 좌측하부홈(22)과, 상기 좌측면(2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와,
상기 우측면(30)의 상부에 설치된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과, 하부에 설치된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와, 상기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와, 상기 몸체(1)의 하부(50)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유파이프가 삽입고정되는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과, 상기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상부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50)를 연결 보강하는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로 구성된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Fixed multi-purpose tool for buoyancy}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 즉, 가두리 양식장 또는 낚시터 및 부잔교 등에 사용되며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에 관한 것이다.
해상부유구조물, 부잔교, 선박계류시설, 수상가옥, 마리나, 해상 낚시터, 해상 레저시설등 다양한 수상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수상구조물에는 하부에 물에 뜨는 부력체가 설치되는데, 부력체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부력체는 일반적으로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접착 및 조립이 가능한 중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파이프 형태로 고정수단인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부력체를 고정하는 브라켓 등은 부력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부력체를 지지하는 브라켓 등은 상호 여러개 조립되어 소정 크기의 부유구조체를 이룬다.
이렇게 부유구조체는 부력체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상호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안정성이나 강도 등 좀 더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고려하여 개량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84615호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가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해상구조물용 발판 고정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1)에 파이프(22)를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함과 함께 상기 브라켓(21)의 양측에 스토퍼수단을 구비하여 파이프(22)에서 브라켓(21)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489480000 (2014.10.01)호에는 지지살(111)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부력체(F)가 삽입되는 부력체 삽입링(120)으로 이루어진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삽입링(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다른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연결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하는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가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20006180 (2012.09.05)호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2)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측면(3,4)과, 상기 몸체(1)의 하부에 설치되며 1/2로 구분된 상부 링형상의 파이프고정부(6)와, 상기 1/2로 구분된 상부 링형상의 파이프고정부(6)의 하부 양쪽 끝단부에 연결홈(미도시)이 구비된 파이프고정연결부(6-10)에 파이프고정하부연결돌부(61)에 의해 연결되는 1/2로 구분된 하부 링형상의 파이프고정하부(60)와, 상기 몸체(1)와 파이프고정부(6)사이에 설치되며 양측면 중간부에 보강부관통공(51)과 양쪽 외측 하부에 고정홈(55)이 구비된 보강부(5)와,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판(7)로 구성된 가두리 양식 브라켓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85820000 (2008.02.15)호에는 서로 결합되는 인접한 커플링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력 파이프들 사이의 보수유지용으로 접근가능하게 공간이 확보되도록 커플링에는 하나의 부력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홀(111)이 양측면이 경사진 하부에 하나만 형성되고, 하단부가 홀(111)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상측의 발판부재들과 부력 파이프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격자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방에서 결합되는 인접한 커플링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일측면에 돌출부(112)가 형성되는 한편, 타측면에는 인접한 커플링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원통형부분(113)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 해상 구조물용 파이프 커플링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362780000(2015.07.07)호에는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해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가 하중의 발생에 따라 추가 부력이 필요한 경우 추가부력체를 설치하여 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해상부유구조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84575호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파이프(22)와, 상기 파이프에 소정의 간격으로 끼워지는 관통공(23)을 갖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서 파이프(22)가 회전되지 않도록 이들의 결합부위에 구비된 회전방지수단과, 상기 브라켓(21)의 양측에 위치하는 파이프(22)에 융착 고정되어 브라켓(21)이 파이프(22)의 중심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수단이 구비되도록 발판 고정유니트(24)를 구성하여 상기 발판 고정유니트(24)를 구성하는 파이프(22)를 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접하는 브라켓(21)을 상호 체결부재로 고정함과 동시에 동일평면을 이루는 브라켓(21)의 상면에 발판(25)을 고정하여 구성된 해상구조물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84615호 2.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489480000 (2014.10.01)호 3.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20006180 (2012.09.05)호 4.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85820000 (2008.02.15)호 5.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362780000(2015.07.07)호 6.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84575호
상기 종래의 브라켓에 관한 기술들은 브라켓 측면중간부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브라켓과 볼트 및 너트등으로 결착시키므로 시공후 장기간 사용시 횡으로 설치된 이웃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결합된 (측면) 하부가 파도에 의해 조금씩 이격되면서(벌어지면서) 브라켓이 파손 또는 찢어지거며, 나아가 부유물 구조가 파손되는 문제점과, 부유물이 태풍에 의한 피해로 이를 관리하거나 수리하기 위하여 부유물을 점검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모되며 대량생산이 어려우며 관리하기가 불편한 등의 결점이 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부유물 시공시 이웃하는 브라켓의 측면부분에 보다 밀착되게 구조를 개선하고, 하부에 임의의 부유파이프고정부를 더 설치하여 무거운 하중도 견딜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상기 몸체의 상부(10)와, 상기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와, 몸체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측면(20,30)과, 상기 몸체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보강대(15)에 의해 연결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과, 상기 좌측면(20)의 상부에 설치된 “└┘” 형상의 좌측상부홈(21) 및 하부에 설치된 “┌┐”형상의 좌측하부홈(22)과, 상기 좌측면(2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와,
상기 우측면(30)의 상부에 설치된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와, 하부에 설치된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와, 상기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와, 상기 몸체(1)의 하부(50)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유파이프가 삽입고정되는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와, 상기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상부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50)를 연결 보강하는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로 구성된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연결시 브라켓측면 상부의 “ㄱ”형상으로 돌출된 부분과 다른 브라켓의 측면 상부의 “└┘” 홈에 삽입 밀착되고,
측면하부에서는 반대로 브라켓측면 하부의 “┘” 돌출된 부분과 다른 브라켓의 측면 상부의 “┌┐” 홈에 삽입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또 브라켓 측면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볼트 및 너트로 누구나 쉽게 단시간에 연결시키고, 장기간 사용시 브라켓 측면 하부가 벌어지는 현상을 견고하게 방지하여 부유물이나 브라켓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며,
하부에 설치된 1/2의 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를 설치하여 브라켓의 결합시 형성되는 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에 부력파이프를 설치하여 부유물의 추가 하중의 발생에 따라 추가 부력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추가부력물의 설치와 지지가 용이하며,
나아가, 대형의 부유파이프 및 보조부유파이프들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됨과 함께 대형 해상구조물 또는 부유물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부유파이프들 사이의 간격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부유파이프와 브라켓상면에 조립되는 발판부재들 사이의 간격 또한 증대시켜 수중에서 유지되는 부유물 부속장치 들에 대하여 작업자가 보수유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시공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다른 예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다른 예 시공상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10)와, 상기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와, 몸체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측면(20,30)과, 상기 몸체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보강대(15)에 의해 연결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과, 상기 좌측면(20)의 상부에 설치된 “└┘” 형상의 좌측상부홈(21) 및 하부에 설치된 “┌┐”형상의 좌측하부홈(22)과, 상기 좌측면(2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와,
상기 우측면(30)의 상부에 설치된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과, 하부에 설치된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와, 상기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와, 상기 몸체(1)의 하부(50)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유파이프가 삽입고정되는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과, 상기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상부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50)를 연결 보강하는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로 구성된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 중앙에 설치된 파이프연결통공부(40)는 브라켓이나 파이프, 부력 등의 수리시, 사용되는 오수, 급수 공급관 등을 삽입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며,
몸체의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를 설치하여 발판의 탈리를 방지하였고,
본 발명의 부유물식 브라켓의 좌측면과 다른 부유물식 브라켓의 우측면을 밀착시켜, 각각의 돌부를 홈부에 삽입시키고, 별도로 좌우측면의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된 측면 통공에 볼트로 연결시키는 구조인 것이다.
부력의 제공은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하부(50)중앙부에 설치된 부유파이프고정부(60)에 삽입되는 부유파이프와,
또 하부(50)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유물 보조파이프고정부(70)는 1/2로 구분된 상부 링형상으로, 1/2로 구분된 하부 링형상의 파이프고정하부(60)이 결합하여 하나의 링형상을 형성하여 부유보조파이프고정부(700)가 시공시 생성되게 하여 부유보조파이프고정부(700)에 부유보조파이프를 삽입시켜 부력을 제공하게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시공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다른 예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다른 예 시공상태도를 도시하였고, 상부(10), 발판이동방지돌기(11), 보강대(15), 좌측면(20), 좌측상,하부홈(21,22), 우측면(30), 우측상하부연결부(31, 32),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35), 파이프연결통공부(40), 하부(50), 부유파이프고정부(60),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연결통공(71),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75), 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0)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10)와, 상기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와, 몸체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측면(20,30)과, 상기 몸체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보강대(15)에 의해 연결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과,
상기 좌측면(20)의 상부에 설치된 “└┘” 형상의 좌측상부홈(21) 및 하부에 설치된 “┌┐”형상의 좌측하부홈(22)과, 상기 좌측면(2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와,
상기 우측면(30)의 상부에 설치된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과, 하부에 설치된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와, 상기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와,
상기 몸체(1)의 하부(50)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유파이프가 삽입고정되는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과,
상기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상부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50)를 연결 보강하는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다른 예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10)와, 상기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와, 몸체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측면(20,30)과, 상기 몸체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보강대(15)에 의해 연결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과,
상기 좌측면(20)의 상부에 설치된 “└┘” 형상의 좌측상부홈(21) 및 하부에 설치된 “┌┐”형상의 좌측하부홈(22)과, 상기 좌측면(2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와,
상기 우측면(30)의 상부에 설치된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과, 하부에 설치된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와, 상기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와,
상기 몸체(1)의 하부(50)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유파이프가 삽입고정되는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과,
상기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상부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50)를 연결 보강하는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와,
상기 하부(50)의 양측면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1/2로 구분된 일측면의 링형상의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와, 상기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의 하부에 설치된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통공(71)와, 상기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의 중간부와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중간부에 연결보강된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75)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물에 사용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을 횡으로 연결하되,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는 이웃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 형상의 좌측상부홈(21)에 삽입시키고,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는 이웃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형상의 좌측하부홈(22)에 삽입시키고,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의 좌측에 이웃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좌측면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에 일치시켜 볼트 및 너트로 견고하게 밀착시킨 다음,
연결된 각각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하부(50)에 연결된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에 부유파이프를 삽입시키고,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상부(10)에 발판을 삽입시키되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 사이에 발판을 삽입시킨 후, 볼트 및 너트로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상부와 발판을 고정시키며,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몸체 중간부에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에 원하는 파이프를 삽입시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계속하여 병렬로 원하는 길이로 연장시킬 수도 있다)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다른 예의 사용방법은 도4와 같이,
부유물에 사용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을 횡으로 연결하되,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는 이웃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 형상의 좌측상부홈(21)에 삽입시키고,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는 이웃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형상의 좌측하부홈(22)에 삽입시키고,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의 좌측에 이웃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좌측면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에 일치시켜 볼트 및 너트로 견고하게 밀착시킨 다음,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하부(50)의 양측면 하부에 설치된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를
이웃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에 합체하여 각각의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 하부에 설치된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통공(71)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켜 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0)(시공시에만 형성되는 형상)을 형성시킨 후에,
연결된 각각의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하부(50)에 연결된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에 부유파이프를 삽입시키고, 또 상기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좌우측면에 시공시 생성된 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0)에 보조부유파이프를 삽입시킨 다음,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상부(10)에 발판을 삽입시키되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 사이에 발판을 삽입시킨 후, 볼트 및 너트로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상부와 발판을 고정시키며,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의 몸체 중간부에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에 원하는 파이프를 삽입시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계속하여 병렬로 원하는 길이로 연장시킬 수도 있다)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상부(10), 발판이동방지돌기(11), 보강대(15), 좌측면(20), 좌측상,하부홈(21,22), 우측면(30), 우측상하부연결부(31, 32),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35), 파이프연결통공부(40), 하부(50), 부유파이프고정부(60),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연결통공(71),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75), 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0),

Claims (2)

  1.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10)와, 상기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와, 몸체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측면(20,30)과, 상기 몸체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보강대(15)에 의해 연결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과,
    상기 좌측면(20)의 상부에 설치된 “└┘” 형상의 좌측상부홈(21) 및 하부에 설치된 “┌┐”형상의 좌측하부홈(22)과, 상기 좌측면(2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와,
    상기 우측면(30)의 상부에 설치된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과, 하부에 설치된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와, 상기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와,
    상기 몸체(1)의 하부(50)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유파이프가 삽입고정되는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과,
    상기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상부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50)를 연결 보강하는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2.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10)와, 상기 상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발판이동방지돌기(11)와, 몸체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측면(20,30)과, 상기 몸체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보강대(15)에 의해 연결 설치된 3개의 링형상의 파이프연결통공부(40)과,
    상기 좌측면(20)의 상부에 설치된 “└┘” 형상의 좌측상부홈(21) 및 하부에 설치된 “┌┐”형상의 좌측하부홈(22)과, 상기 좌측면(2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25)와,
    상기 우측면(30)의 상부에 설치된 “ㄱ”형상의 우측상부연결부(31)과, 하부에 설치된
    “┘” 형상의 우측하부연결부(32)와, 상기 우측면(3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측면볼트연결통공부(35)와,
    상기 몸체(1)의 하부(50)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유파이프가 삽입고정되는 링형상의 부유파이프고정부(60)과,
    상기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 상부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50)를 연결 보강하는 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65)와,
    상기 하부(50)의 양측면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1/2로 구분된 일측면의 링형상의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와, 상기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의 하부에 설치된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통공(71)와, 상기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70)의 중간부와 부유파이프고정부(60)의중간부에 연결보강된 1/2보조부유파이프고정부연결대(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KR1020160034001A 2016-03-22 2016-03-22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KR10178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001A KR101789411B1 (ko) 2016-03-22 2016-03-22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001A KR101789411B1 (ko) 2016-03-22 2016-03-22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866A true KR20170109866A (ko) 2017-10-10
KR101789411B1 KR101789411B1 (ko) 2017-10-23

Family

ID=6019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001A KR101789411B1 (ko) 2016-03-22 2016-03-22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8040A (zh) * 2018-02-12 2018-07-20 厦门屿点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浮动平台上部设施的防震荡装置
CN108313226A (zh) * 2018-02-12 2018-07-24 厦门屿点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上平台浮管支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78B1 (ko) * 2019-03-06 2019-06-10 주식회사 혁신 해상부유구조물
KR102050997B1 (ko) * 2019-07-26 2020-01-07 김대령 해상부유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78B1 (ko) * 2015-02-04 2015-07-13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545729B1 (ko) * 2015-02-12 2015-08-20 주식회사 지엔씨 충격완충기능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8040A (zh) * 2018-02-12 2018-07-20 厦门屿点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浮动平台上部设施的防震荡装置
CN108313226A (zh) * 2018-02-12 2018-07-24 厦门屿点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上平台浮管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411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411B1 (ko)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KR101471014B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KR100644141B1 (ko) 물탱크용 기초 패드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1277117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KR200438582Y1 (ko) 해상 구조물용 파이프 커플링
KR101894631B1 (ko) 알루미늄 부표가 설치된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KR102196017B1 (ko) 수상 부유 구조물
US5460114A (en) Float for dock construction
KR100922218B1 (ko) 반잠수식 소파장치
KR101172032B1 (ko) 해양 어업용 가두리 구조물
KR20100005101U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KR101712029B1 (ko) 다기능 플로팅 데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물의 조립식 설치방법
KR101298679B1 (ko) 부력파이프 교차식 고강도 부잔교
KR101270949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
KR200466457Y1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R101052076B1 (ko) 천정 구조물용 트러스
CN103921904A (zh) 一种海上平台
KR102273223B1 (ko)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KR101613844B1 (ko) 해상 풍력발전 중간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CN219707280U (zh) 一种拼装式水上作业平台
KR100497511B1 (ko) 측력에 대항력을 갖는 조립식 저수조
KR200437188Y1 (ko)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
CN217974601U (zh) 一种地下装配式bdf无底板预埋抗浮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