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640A -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640A
KR20170109640A KR1020177024259A KR20177024259A KR20170109640A KR 20170109640 A KR20170109640 A KR 20170109640A KR 1020177024259 A KR1020177024259 A KR 1020177024259A KR 20177024259 A KR20177024259 A KR 20177024259A KR 20170109640 A KR20170109640 A KR 2017010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force
shaft portion
rotating body
coupling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케 우라타니
šœ스케 우라타니
유 후카사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5841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143912A1/en
Publication of KR2017010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카트리지는 회전체, 회전가능한 회전력 피전달 부재, 수납부를 포함하는 규제 부재, 회전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자유 단부와, 커플링 부재의 회전 축선이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 축선에 대해 틸팅(tilting)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수납부에 부분적으로 수납되도록 규제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플링 부재 및 샤프트부를 포함한다. 규제 부재는, 샤프트부가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샤프트부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를 통해 샤프트부로부터 받은 회전력을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 전달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과 프로세스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이하, 장치 본체라고 칭함)에 착탈 가능하다. 카트리지의 대표예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들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과 이 감광 드럼에 작용가능한 현상 수단과 같은 프로세스 수단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유닛)로 조립함으로써 준비되며,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식 등을 이용하여 기록재(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복사기,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종래에,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조작자(사용자)에 의해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카트리지 방식에 의하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유지 보수가 서비스 맨에 의하지 않고 사용자 자신에 의해 행해질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카트리지 방식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넓게 이용되고 있다.
카트리지의 구성으로서, 감광 드럼과 같은 회전체의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장치 본체의 구성으로서, 감광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본체측 결합부가 제공되고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커플링 부재가 본체측 결합부에 결합되어, 본체측 결합부로부터 커플링 부재를 개재시켜 카트리지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방식에서, 감광 드럼 유닛에 커플링 부재와 회전력 피전달 부재(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재)가 제공되어, 커플링 부재가 부분적으로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수납되고, 커플링 부재가 감광 드럼 유닛의 축선에 대해 틸팅가능한(tiltable) 구성이 채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장치 본체에 대한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에 수반하여, 커플링 부재의 결합 동작과 이탈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와 회전력 피전달 부재가 샤프트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본체측 결합부로부터 커플링 부재로 전달된 회전력이 커플링 부재로부터 샤프트부를 통해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 전달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일본 공개 특허 출원(JP-A) 2014-112169호).
하지만, JP-A 2014-112169호의 도 20에 개시된 종래의 구성에서는, 커플링 부재로부터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샤프트부를 지지하기 위한 홈부(groove portion)가 제공된다. 그리고, 샤프트부가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홈부와 접촉하여, 커플링 부재로부터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홈부에 대해 회전력이 가해져, 회전력의 크기에 따라서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홈부뿐만 아니라 회전력 피전달 부재 자체가 크게 변형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회전력 피전달 부재가 변형된 상태로 회전하여, 회전력 피전달 부재와 감광 드럼 유닛이 높은 정밀도로 회전하는 것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는 홈부가 제공되는 부분과 홈부가 제공되지 않는 부분이 혼재하여,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형상이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회전력 피전달 부재를 성형할 때 수지 재료의 유동성이 불균일하게 되어, 회전력 피전달 부재를 높은 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본체에 이용되는 카트리지에서,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회전력이 전달될 때의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변형을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력 피전달 부재를 성형할 때 수지 재료의 유동성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회전력 피전달 부재를 고정확도(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로서, 회전체; 회전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회전력 피전달 부재; 회전력 피전달 부재와 결합하고, 내측에 수납부를 포함하는 규제 부재; 회전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회전력을 받는 회전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자유 단부와, 커플링 부재의 회전 축선이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 축선에 대해 틸팅(tilting)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수납부에 부분적으로 수납되도록 규제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플링 부재; 및 커플링 부재로부터 회전력을 받을 수 있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규제 부재는,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를 통해 샤프트부로부터 받은 회전력을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 전달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후술하는 형태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에서, (a) 및 (b)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실시예 1에서의 구동측 플랜지(flange) 유닛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측면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측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서, (a) 및 (b)는 실시예 1에서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서, (a) 내지 (f)는 실시예 1에서의 커플링 부재가 본체측 결합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서, (a) 내지 (c)는 실시예 1에서의 감광 드럼 유닛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서, (a) 및 (b)는 실시예 1에서의 감광 드럼 유닛을 포함하는 클리닝 유닛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서, (a) 내지 (c)는 실시예 1에서의 커플링 부재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에서, (a) 내지 (c)는 실시예 1에서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서의 본체측 결합부로부터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에서, (a) 및 (b)는 실시예 1에서의 커플링 부재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서, (a) 및 (b)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실시예 2에서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에서, (a) 및 (b)는 실시예 2에서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조립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에서, (a) 내지 (c)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실시예 3에서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에서, (a) 내지 (c)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실시예 4에서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레이저 빔 프린터 본체와 레이저 빔 프린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회전체로서의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 L1 및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L5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며,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장치 본체로부터 감광 드럼이 회전력을 받는 측이 구동측이고, 구동측의 반대측이 비구동측이다. 또한, 폭(단측) 방향은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 L1 및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L5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설명 중의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도면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되는 구성 요소 또는 부분의 기능, 치수, 재료 및 상대적인 배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
(실시예 1)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에 따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재 P에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한다. 기록재 P의 일례로서, 기록지, 라벨지, OHP 시트, 천 등을 들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조작자)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이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B”라고 칭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장치 본체 A”라고 칭한다. 장치 본체 A는, 카트리지 B가 제외된 화상 형성 장치의 부분이다.
인쇄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체인 감광 드럼(62)은 화살표 R 방향으로 소정의 주속도(peripheral speed)(프로세스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62)은, 표면이 장치 본체 A로부터의 전압 인가에 의해 대전 롤러(6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또한, 대전된 감광 드럼(62)이 광학 수단(3)으로부터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광 L으로 조사되어, 감광 드럼(62)에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전 잠상은 후술하는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제로 현상된다.
장치 본체 A에는, 기록재 P의 반송 방향 D를 따라,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쌍(5b), 반송 롤러쌍(5c),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롤러쌍(5d), 전사 가이드(6), 전사 롤러(7), 반송 가이드(8), 정착 장치(9), 배출 롤러쌍(10), 배출 트레이(11) 등이 차례로 제공된다. 정착 장치(9)는 히터(9c)를 내장한 가열 롤러(9a)와 가압 롤러(9b)를 포함한다.
한편, 급송 트레이(4)에 수용된 기록재 P는 현상제상(developer image)의 형성과 동기하여, 픽업 롤러(5a)와 픽업 롤러(5a)에 압접(press-contact)하는 분리 패드(5e)에 의해, 1매씩 분리 및 급송된다. 그리고, 기록재 P는 급송 롤러쌍(5b), 반송 롤러쌍(5c)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d)에 의해 급송되어, 전사 가이드(6)를 경유하여 감광 드럼(62)과 전사 롤러(7)의 사이로 공급된다. 전사 롤러(7)는 감광 드럼(62) 표면에 접촉하도록 가압된다.
그 다음에, 기록재 P는, 감광 드럼(62)과 전사 롤러(7)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닙(nip)부(7a)를 통과한다. 이 때, 전사 롤러(7)에 현상제상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62)의 표면상에 형성된 현상제상이 기록재 P로 전사된다.
현상제상이 전사된 기록재 P는 감광 드럼(62)으로부터 분리되어, 반송 가이드(8)를 따라 정착 장치(9)로 반송된다. 기록재 P가 가열 롤러(9a)와 가압 롤러(9b) 사이의 닙부(9d)를 통과할 때 열 및 압력이 인가되어, 기록재 P에 전사된 현상제상이 기록재 P에 정착된다. 그 결과, 기록재 P에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기록재 P는 배출 롤러쌍(10)까지 반송되어, 배출 트레이(11)로 배출된다.
(2) 카트리지 B의 전체 구성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B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카트리지 B의 측면설명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 B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B는 현상 유닛(20)과 클리닝 유닛(60)으로 구성된다. 현상 유닛(20)은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32), 현상 블레이드(42), 현상제 수납 용기(21), 덮개(22), 현상 용기(23), 마그넷 롤러(34), 현상제 반송 부재(43), 현상제 t 등을 포함한다. 또한, 클리닝 유닛(60)은 클리닝 프레임(71), 감광 드럼(62), 클리닝 블레이드(77), 대전 롤러(66) 등을 포함한다.
현상제 수납 용기(21)에 수납된 현상제 t는 현상제 수납 용기(21)의 개구부(21a)를 통해 현상 용기(23)의 현상실(23a)로 보내어진다. 현상 용기(23)에는, 마그넷 롤러(34)를 내장한 현상 롤러(32)가 제공된다. 현상 롤러(32)는 마그넷 롤러(34)의 자력(magnetic force)에 의해 현상실(23a)의 현상제 t를 현상 롤러(32)의 표면으로 끌어당긴다. 현상 블레이드(42)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42a)와 우레탄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탄성 부재(42b)로 구성되어, 탄성 부재(42b)가 현상 롤러(32)에 대해 일정한 접촉압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현상 롤러(32)가 회전 방향 X5로 회전하여, 현상 롤러(32)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제 t의 양이 규정되고 현상제 t에 마찰 대전 전하가 부여된다. 그 결과, 현상 롤러(32) 표면에 현상제층이 형성된다. 장치 본체 A로부터 전압이 인가된 현상 롤러(32)를 회전 방향 X5로 회전시킴으로써, 감광 드럼(62)의 현상 영역에 현상제 t가 공급된다.
감광 드럼(62)의 외주면에는, 클리닝 프레임(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가압되는 상태로, 대전 롤러(66)가 감광 드럼(2)에 접촉되게 제공된다. 대전 롤러(66)는 장치 본체 A로부터의 전압 인가에 의해, 감광 드럼(62)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그리고, 광학 수단(3)으로부터의 레이저광 L에 의해, 감광 드럼(62)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 영역에서, 감광 드럼(62)상의 정전 잠상에 따라 현상제 t가 전사되어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여, 감광 드럼(62)상에 현상제상이 형성된다.
클리닝 블레이드(77)는 감광 드럼(6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현상제상이 기록재 P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62)상에 잔류하는 현상제 t를 긁어낸다. 긁어내어진 현상제 t는, 클리닝 블레이드(77)가 고정된 클리닝 프레임(71)의 제거 현상제 수용부(71a)에 제공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B는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합체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유닛들은 결합 부재(75a, 75b)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현상 용기(23)의 길이 방향(회전 축선 방향 L5)으로 양단에, 암부(arm portion)(23aL, 23aR)가 형성된다. 암부(23aL, 23aR)의 단부에, 각각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 L5와 평행한 회동 구멍(rotation hole)(23bL, 23bR)이 제공된다. 클리닝 프레임(7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결합 부재(75a, 75b)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멍(71bL, 71bR)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 구멍(23bL, 23bR)이 결합 구멍(71bL, 71bR)과 각각 일치하도록, 현상 유닛(20)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결합 부재(75a, 75b)를 회동 구멍(23bL, 23bR)과 결합 구멍(71bL, 71bR)에 삽입한다. 그 결과,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이 결합 부재(75a, 75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이 때, 암부(23aL, 23aR)의 기초부(base portion)에 장착된 가압 부재(46L, 46R)가 클리닝 프레임(71)에 맞닿아, 결합 부재(75)(75a, 75b)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현상 유닛(20)을 클리닝 유닛(60)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현상 롤러(32)는 감광 드럼(62)의 방향으로 확실하게 가압된다.
현상 롤러(32)의 양단에 장착된 간격 유지 부재(17L, 17R)에 의해, 현상 롤러(32)는 감광 드럼(62)으로부터 소정의 갭(간격)을 가지고 위치한다.
(3) 장치 본체 A에 대한 카트리지 B의 착탈 구성
도 5 및 6을 이용하여, 장치 본체 A에 대한 카트리지 B의 착탈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서, (a) 및 (b)는 장치 본체 A에 카트리지 B가 장착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서, (a) 내지 (f)는 커플링 부재(86)의 경사(틸팅(tilting)) 동작에 수반하여,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서, (a) 내지 (c)는 커플링 부재(86) 근방을 구동측으로부터 비구동측을 향해 보았을 때의 확대도이고, (d) 내지 (f)는 도 6의 (a) 내지 (c)의 상태를 각각 위쪽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카트리지 B는 도 6의 (a), (b) 및 (c)의 순서대로 장착되고, 도 6의 (c)는 장착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장치 본체 A에 대해서는, 구동측 가이드 부재(102)와 본체측 결합부(14)만을 나타낸다. 또한, 카트리지 B에 대해서는, 감광 드럼 유닛(U1)을 구성하는 커플링 부재(86),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서의 구동측 플랜지(87) 및 감광 드럼(62)만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 A에는, 본체 커버(1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 A의 구동측에, 장치 본체 A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구동측 측판(108)상에 구동측 가이드 부재(102)가 제공된다. 또한, 구동측 가이드 부재(102)에는, 제1 가이드부(102a)와 제2 가이드부(102b)가 제공된다. 제1 가이드부(102a)와 제2 가이드부(102b)의 각각은 카트리지 B의 착탈 경로 X1(장착 방향 X1a, 탈착 방향 X1b)을 따른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가이드부(102a)의 장착 방향 X1a 종단에 구동측 가압 부재(103)가 제공된다. 여기서, 장착 방향 X1a 및 탈착 방향 X1b는,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축선 L1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이다. 또한, 장착 방향 X1a에 대해, 제1 가이드부(102a)의 종단에는, 본체측 결합부(14)가 제공되고 장치 본체 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본체측 결합부(14)와 커플링 부재(86) 사이의 결합에 의해, 장치 본체 A로부터 카트리지 B로 회전력이 전달된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마찬가지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 A의 비구동측에, 장치 본체 A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비구동측 측판(109)상에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125)가 제공된다. 또한,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125)에는, 제1 가이드부(125a)와 제2 가이드부(125b)가 제공된다. 제1 가이드부(125a)와 제2 가이드부(125b)의 각각은 카트리지 B의 착탈 경로 X1(장착 방향 X1a, 탈착 방향 X1b)을 따른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125a)의 장착 방향 X1a 종단에 비구동측 가압 부재(104)가 제공된다.
한편,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B의 비구동측에서, 클리닝 프레임(71)에는 피가이드부(portion-to-be-guided)(71e)와 회전 방지부(71d)가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B의 구동 측에서, 지지 부재(76)에는 피가이드부(76e)가 제공되고, 클리닝 프레임(71)에는 회전 방지부(71f)가 제공된다.
여기서, 카트리지 B의 착탈 경로 X1은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축선 L1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장치 본체 A의 본체 커버(13)를 개방 방향 X3으로 회동시켜, 장치 본체 A 내부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카트리지 B의 파지부(gripping portion) T를 파지하여, 카트리지 B를 장착 방향 X1a로 이동시켜, 장치 본체 A에 카트리지 B를 장착한다. 이러한 장착 과정 중에, 지지 부재(76)의 피가이드부(76e)가 구동측 가이드 부재(102)의 제1 가이드부(102a)에 의해 지지되고, 클리닝 프레임(71)의 회전 방지부(71f)가 구동측 가이드 부재(102)의 제2 가이드부(102b)에 지지된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71)의 피가이드부(71e)가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125)의 제1 가이드부(125a)에 지지되고, 클리닝 프레임(71)의 회전 고정부(71d)가 제2 가이드부(125b)에 의해 지지된다.
도 6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86)의 경사(틸팅) 동작에 수반하여,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 및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방향 X1a를 따라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삽입된다. 이 때, 커플링 부재(86)는 지지 부재(76)에 제공된 가압 부재(91)(도 8의 (b) 참조)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본체측 결합부(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커플링 부재(86)가 장착 방향 X1a 하류측을 향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로 점차 삽입되어 간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여기서,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축선 L2는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서의 구동측 플랜지(87)의 회전 축선 L1 및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축선 L10에 대해 경사진(틸팅된) 상태이다.
카트리지 B를 장착 방향 X1a로 더욱 삽입하면, 도 6의 (b) 및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대기부(86k1)와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력 부여부(14b)가 서로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위치가 규제되어, 회전 축선 L1 및 회전 축선 L10에 대한 회전 축선 L2의 경사량(틸팅량)이 점차 작아진다.
카트리지 B를 장착 완료 위치까지 삽입하면, 도 6의 (c) 및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축선 L2는 회전 축선 L1 및 회전 축선 L10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정렬되어) 위치된다. 이 때, 커플링 부재(86)의 대기부(86k1)에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력 부여부(14b)가 배치된 상태가 형성된다. 본체측 결합부(14)가 회전하면, 커플링 부재(86)의 회전력 수용부(86e1)와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력 부여부(14a)가 서로 결합한다. 또한, 커플링 부재(86)의 회전력 수용부(86e2)와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력 부여부(14b) 사이의 관계도 상술한 관계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결합부(14)의 결합에 의해, 장치 본체 A로부터 카트리지 B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축(정렬)”이라는 것은, 회전 축선(예를 들어, L2)이 다른 회전 축선(예를 들어, L1, L10)과 완전히 동축(정렬)인 경우에 더하여, 부품(컴포넌트) 치수의 편차에 의해 회전 축선이 동축(정렬) 상태로부터 다소 어긋나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것은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91)(도 8의 (b) 참조)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본체측 결합부(14)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 구성이 채용되었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장착 방향 X1a와 중력 방향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에 있을 때에는, 가압 부재(91)(도 8의 (b))가 없이도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장착 방향 X1a를 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압 부재(91)(도 8의 (b) 참조)를 생략(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가압 부재(91)(도 8의 (b)) 대신, 장치 본체 A에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를 본체측 결합부(14)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 B는 장치 본체 A에 위치 결정되어, 카트리지 B의 장치 본체 A로의 장착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로부터 탈착할 때에는, 사용자가 파지부 T를 파지하면서, 카트리지 B의 장착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거쳐 탈착 동작이 행해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커플링 부재(86)는 도 6의 (c) 및 (f) 상태로부터 도 6의 (a) 및 (d) 상태로 천이되고, 회전 축선 L1 및 L10에 대해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축선 L2가 경사(틸팅)지게 되어, 커플링 부재(86)가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분리된다. 즉, 카트리지 B가 장착 방향 X1a와 반대인 탈착 방향 X1b로 이동되어, 커플링 부재(86)가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결합 해제(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탈 경로 X1은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축선 L1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설치되는 경로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탈 경로 X1은 직선 또는 곡선 경로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B가 착탈 경로 X1을 따라 본체측 결합부의 회전 축선 L1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착 완료 위치의 근방에서만 카트리지 B가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축선 L1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장착 완료 위치의 근방 외의 장소에서는, 카트리지 B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커플링 부재(86)가 본체측 결합부(14)에 대해 착탈되는 시점에서, 커플링 부재(86)는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축선 L10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4) 감광 드럼 유닛 U1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감광 드럼 유닛 U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서, (a) 및 (b)는 감광 드럼 유닛 U1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서, (a)는 구동측에서 본 감광 드럼 유닛 U1의 사시도이며, (b)는 비구동측에서 본 감광 드럼 유닛 U1의 사시도이고, (c)는 감광 드럼 유닛 U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서, (a)는 감광 드럼 유닛 U1을 클리닝 유닛(60)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b)는 클리닝 유닛(60)을 구동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 드럼 유닛 U1은 감광 드럼(62), 감광 드럼 구동 전달 유닛으로서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 비구동측 플랜지(64) 및 접지판(65)으로 구성된다.
감광 드럼(62)은 감광층으로 피복한 표면을 갖는 알루미늄과 같은 도전성 부재이다. 감광 드럼(62)의 내부는 중공형(hollow)일 수 있거나 속이 찬 형태일 수 있다.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는 감광 드럼(62)의 구동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에 있어서, 회전력 피전달 부재인 구동측 플랜지(87)의 피고정부(portion-to-be-fixed)(87b)가 감광 드럼(62)의 길이방향 단부의 감광 드럼(62)의 개구부(62a1)와 결합하여, 접착, 코킹(caulking) 등에 의해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가 감광 드럼(62)에 고정된다. 구동측 플랜지(87)가 회전하면, 감광 드럼(62)이 구동측 플랜지(87)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 축선 L1과 감광 드럼(62)의 회전 축선 L0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축(정렬)이 되도록, 구동측 플랜지(76)는 감광 드럼(62)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비구동측 플랜지(64)는 감광 드럼(62)의 비구동측 단부에서 감광 드럼(62)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구동측 플랜지(64)는 접착, 코킹 등에 의해 감광 드럼(62)에 고정된다. 비구동측 플랜지(64)에는, 도전성(주로 금속) 접지판(65)이 제공된다. 접지판(65)은 감광 드럼(62)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전기 접점(미도시)을 통해 감광 드럼(62)과 장치 본체 A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 드럼 유닛 U1은 클리닝 유닛(60)에 의해 지지된다. 감광 드럼 유닛 U1의 비구동측에서, 비구동측 플랜지(64)의 베어링부(64a) (도 7의 (b))가 드럼 샤프트(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드럼 샤프트(78)는 클리닝 프레임(71)의 비구동측에 제공된 지지부(71b)에서 압입 및 고정된다. 한편, 감광 드럼 유닛 U1의 구동측에서, 구동측 플랜지(87)의 피지지부(87d)가 지지 부재(76)의 지지부(7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지지 부재(76)에 대하여, 위치 결정부(76b)가 클리닝 프레임(71)의 지지부(71c)에 삽입되고, 지지 부재(76)의 기초부(피고정부)로서의 벽면(76h)이 스크류(90)에 의해 클리닝 프레임(71)에 고정된다. 그 결과, 지지 부재(76)가 클리닝 프레임(71)에 고정된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가 지지 부재(76)를 통해 클리닝 프레임(71)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76)가 스크류(90)에 의해 클리닝 프레임(71)에 고정되는 구성을 채용했지만, 접착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이나, 수지재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71)과 지지 부재(76)가 서로 일체화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76)에는, 커플링 부재(86)을 경사지게 하기 위한 가압 부재(91)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부재(91)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가압 부재(91)의 피지지부(91a)는 지지 부재(76)의 지지부(76c)에 고정된다. 또한, 가압 부재(91)의 고정 단부(91b)가 지지 부재(76)의 고정부(76d)에 접촉하고, 가압 부재(91)의 자유 단부(91b)는 커플링 부재(86)의 연결부(86g)에 접촉하도록 가압 부재(91)가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 부재(91)의 고정 단부(91b)와 자유 단부(91c)는, 이러한 부분이 고정부(76d)와 연결부(86g) 사이에서 압축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자유 단부(91c)가 연결부(86g)를 가압하여, 커플링 부재(86)가 경사지게 된다. 커플링 부재는, 자유 단부(86a)가 장착 방향 X1a에 대해 하류측을 향하도록 경사진다.
(5)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
도 1, 9 및 10을 이용하여,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a)는 구동측에서의 감광 드럼 플랜지 유닛 U2의 분해 사시도이며, (b)는 도 1의 (a)에서의 평면 S2를 따라 절단한 규제 부재(89)의 단면도이다. 도 9에서, (a)는 커플링 부재(86)의 사시도이며, (b)는 도 9의 (a)의 축선 L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커플링 부재(86)의 개략도이고, (c)는 도 9의 (a)에서 평면 S1을 따라 절단한 커플링 부재(86)의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a) 내지 (c)는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사시도이며, (b)는 도 10의 (a)의 평면 S3을 따라 절단한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단면도이며, (c)는 도 10의 (a)의 평면 S4를 따라 절단한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를 이용하여,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구성 요소(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는 커플링 부재(86), 샤프트부로서의 핀(88), 규제 부재(89) 및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서의 구동측 플랜지(87)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86)는 주로 3개(제1 내지 제3)의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본체측 결합부(14)와 결합하여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회전력을 받기 위한 자유 단부(86a)이다. 제2 부분은 실질적으로 구형(spherical)이며, 규제 부재(89)와 결합(커플링)되는 결합부(86c)이다. 제3 부분은, 자유 단부(86a)와 결합부(86c)를 연결하는 연결부(86g)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86g)의 직경 φZ2가 자유 단부(86a)의 직경 φZ1보다 작고, 결합부(86c)의 직경 φZ3보다 작다. 직경 φZ1은 직경 φZ3보다 작다. 연결부(86g)는 실질적으로 회전 축선 L2를 따른 원기둥 형상(원통 형상)을 갖는다.
자유 단부(86a)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축선 L2에 대해 퍼져 있는 개구부(86m)가 제공된다. 개구부(86m)에는, 본체측 결합부(14)를 향해 퍼진 확개부(spreading portion)로서의 원추형(conical-shaped) 수용면(86f)이 제공된다. 수용면(86f)은 오목 형상이다. 개구부(86m)는 수용면(86f)에 대해 회전 축선 L2 방향을 따라 감광 드럼(62)이 제공되는 측의 반대측에 제공된다.
또한, 자유 단부(86a)의 자유 단부측과 회전 축선 L2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2개의 돌출부(86d1, 86d2)가 제공된다. 돌출부(86d1, 86d2)는 회전 축선 L2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회전 축선 L2에 대해서 점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86d1, 86d2) 사이에, 대기부(86k1, 86k2)가 제공된다. 여기서, 커플링 부재(86)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2개의 돌출부(86d1, 86d2)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면(86f)이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커플링 부재(86)로의 회전력의 전달을 위한 대기 중에, 대기부(86k1, 86k2)에 회전력 부여부(14a, 14b)가 위치한다. 또한, 돌출부(86d1, 86d2)에는 카트리지 회전 방향인 R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에 R 방향과 교차하는 회전력 수용부(86e1, 86e2)가 각각 제공된다.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결합부(14)가 서로 결합하여, 본체측 결합부(14)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력 부여부(14a, 14b)가, 회전력 수용부(86e1, 86e2)에 접촉한다. 그 결과,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커플링 부재(86)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결합부(86c)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회전 축선 L2 상에 틸팅 중심으로서의 중심 C를 갖는 실질적인 구 형상으로 구성된다.
결합부(86c)에는, 회전 축선 L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구멍(86b)이 제공된다. 이 구멍(86b)은 회전 축선 L2에 대해 평행한 회전력 전달부(86b1, 86b2), 제1 경사 피규제부(86p1) 및 제2 경사 피규제부(86p2)로 구성된다. 도 9의 (c)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경사 피규제부(86p1, 86p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핀(88)의 축선 L4와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축선 L2의 양쪽 모두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축선 주위에, 커플링 부재(86)가 핀(88)에 대해 경사진다. 이 때, 제1 및 제2 경사 피규제부(86p1, 86p2)가 핀(88)의 외주부(88c)와 접촉하여, 핀(88)에 대한 커플링 부재(86)의 경사가 규제된다. 한편, 커플링 부재(86)는 핀(88)의 축선 L4 주위에도 핀(88)에 대해 경사진다. 이 때, 커플링 부재(86)의 연결부(86g)가 구동측 플랜지(87)에 제공되는 경사 규제부(87n)(도 1의 (a))에 접촉하여,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4 주위의 경사가 규제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플링 부재(86)의 재료는,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PPS, 액정 폴리머 등과 같은 수지 재료이다. 하지만, 커플링 부재(86)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하 토크에 따라 상기 수지 재료 중에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섬유가 수지 재료에 추가되는 경우에, 커플링 부재(86)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재료에 금속을 삽입함으로써,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으며, 커플링 부재(86) 전체를 금속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자유 단부(86a), 결합부(86c) 및 연결부(86g)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별개 부재로 형성된 후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핀(88)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기둥(또는 원통) 형상이며, 회전 축선 L1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규제 부재(89)에는, 원반 형상인 기초부(89a), 규제 부재(89)의 회전 축선 L3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기초부(89a)로부터 돌출하며 원통 형상인 돌출부(89b)가 제공된다. 기초부(89a)에는, 구동측 플랜지(87)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89a1)가 제공된다. 돌출부(89b)의 내측에는, 회전 축선 L3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지지부(89b1)와 회전 축선 L1에 대해 제1 지지부(89b1)보다 기초부(89a)에 더 가깝게 제공되는 원추형의 제2 지지부(89b2)가 제공된다. 규제부(89)에는, 제1 지지부(89b1)와 제2 지지부(89b2)로 둘러싸인 수납부가 제공된다. 또한, 규제부(89)에는, 돌출부(89b)의 회전 축선 L3와 대략 평행한 한 쌍의 홈부(89c)가 제공된다. 한 쌍의 홈부(89c)는 돌출부(89b)의 회전 축선 L3 주위에 약 180도 위상이 시프트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홈부(89c)는, 돌출부(89b)의 회전 축선 L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력 수용부(89c1)와 회전 규제부(89c2) 및 돌출부(89b)의 회전 축선 L3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규제부(89c3)로 구성되어 있다. 규제부(89c3)는 회전 축선 L1에 대해 홈부(89c)의 비구동측(축선 방향에 대해 타측)에 위치하고, 홈부(89c)의 구동측(축선 방향에 대해 일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구동측 플랜지(87)에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87a), 피고정부(87b), 기어부(헬리컬(helical) 기어 또는 평(spur) 기어)(87c) 및 피지지부(87d)가 제공된다. 결합부(87a)는 규제 부재(89)의 결합부(89a1)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피고정부(87b)는 감광 드럼(62)과 접촉하여 감광 드럼(6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기어부(87c)는 현상 롤러(32)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분이다(도 4). 피지지부(87d)는 지지 부재(76)의 지지부(76a)(도 8의 (a))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분들은 감광 드럼(62)의 회전 축선 L0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의 회전 축선 L1은 규제 부재(89)의 회전 축선 L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제공된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는 중공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납부(87i)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부(87i)는 그 내부에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와 핀(88)과 규제 부재(89)의 돌출부(89b)를 수납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수납부(87i)는 그 구동측에서,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구동측을 향해 탈락(이탈)하는 것을 규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측 플랜지(87)는 사출 성형에 의해 수지 재료로 성형되며, 구동측 플랜지(87)의 재료는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등이다. 하지만, 감광 드럼(62)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하 토크에 따라, 구동측 플랜지(87)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의 (a) 및 (b)를 이용하여,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핀(88)이 커플링 부재(86)의 구멍(86b)에 삽입된다. 다음에, 규제 부재(89)의 한 쌍의 홈부(89c)의 위상에 핀(88)의 위상이 정렬되어, 핀(88)이 한 쌍의 홈부(89c)에 결합한다. 그리고,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함께 회전 축선 L1을 따라 수납부(89b3)에 삽입한다. 이 때,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가 규제 부재(89)의 제1 지지부(89b1)에 의해 지지되어, 커플링 부재(86)는 회전 축선 L1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핀(88)의 회전력 전달부(88a1, 88a2)가 규제 부재(89)의 홈부(89c)를 형성하는 회전력 수용부(89c1)와 회전 규제부(89c2) 사이에 협지되어, 핀(88)이 감광 드럼(62)의 회전 방향 R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커플링 부재(86), 핀(88) 및 규제 부재(89)가 함께 회전 축선 L1을 따라 비구동측으로부터 구동측 플랜지(87)의 수납부(87i)에 삽입된다. 한편, 구동측 플랜지(87)의 구동측에는, 개구부(87m)가 제공된다. 개구부(87m)의 직경 φZ10은 자유 단부(86a)의 직경 φZ1 및 연결부(86g)의 직경 φZ2보다 커지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와 일부의 연결부(86g)가 개구부(87m)를 통과하고, 수납부(87i)의 구동측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규제 부재(89)의 결합부(89a1)와 구동측 플랜지(87)의 결합부(87a)가 용착(welding)이나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규제 부재(89)의 결합부(89a1)와 구동측 플랜지(87)의 결합부(87a)는 회전 축선 L1 주위의 넓은 범위에서 서로 결합된다. 그 결과,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은 규제 부재(89)를 통해 구동측 플랜지(87)에 연결된다.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부(87i)의 구동측에 제2 빠짐 방지부(87f)가 제공된다. 그리고, 핀(88)의 외주부(88c)가 구동측 플랜지(87)의 제2 빠짐 방지부(87f)와 규제 부재(89)의 규제부(89c3)에 접촉하여, 핀(88)이 회전 축선 L1에 평행한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87m)는 커플링 부재(86)의 탈락을 규제하기 위한 제1 빠짐 방지부(87e)와,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졌을 때 연결부(86g)와 접촉하는 커플링 부재(86)의 경사를 규제하기 위한 경사 규제부(87n)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빠짐 방지부(87e)는 회전 축선 L1를 중심 축으로 하는 원추형 또는 구면(spherical surface)을 가질 수 있거나, 회전 축선 L1과 교차하는 평면일 수도 있다. 개구부(87m)의 직경 φZ10은 결합부(86c)의 직경 φZ3보다 작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개구부(87m)를 형성하는 제1 빠짐 방지부(87e)에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가 접촉하여, 커플링 부재(86)가 수납부(87i)의 구동측에서 탈락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규제 부재(89)의 제2 지지부(89b2)에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가 접촉하여, 커플링 부재(86)가 수납부(87i)의 비구동측에서 탈락되는 것이 규제된다.
구멍(86b)과 핀(88)은 커플링 부재(86)의 틸팅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커플링 부재(86)는 구동측 플랜지(87)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경사(틸팅, 선회(swinging))질 수 있다.
(6)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감광 드럼(62)으로의 회전력의 전달 구성
도 11을 이용하여,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감광 드럼(62)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회전력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축선 L10과 구동측 플랜지(87)의 회전 축선 L1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 A의 구동원으로부터 본체측 결합부(14)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본체측 결합부(14)가 정회전(normal rotation)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방향과 감광 드럼(62)의 회전 방향 R은 같다. 회전력 부여부(14a, 14b)가 회전력 수용부(86e1, 86e2)에 접촉한다. 다음으로, 커플링 부재(86)의 회전력 전달부(86b1, 86b2)가 핀(88)의 외주부(88c)에 접촉한다. 그리고, 핀(88)의 회전력 전달부(88a1, 88a2)가 규제 부재(89)의 회전력 수용부(89c1)와 접촉한다. 규제 부재(89)와 구동측 플랜지(87)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체로 회전하고, 또한 구동측 플랜지(87)와 감광 드럼(62)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장치 본체 A의 구동원의 회전력이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커플링 부재(86), 핀(88), 규제 부재(89) 및 구동측 플랜지(87)의 순서를 통해 감광 드럼(62)으로 전달된다.
부품(컴포넌트) 치수의 편차 등에 의해, 본체측 결합부(14)의 회전 축선 L10과 구동측 플랜지(87)의 회전 축선 L1이, 이러한 축들이 서로 완전하게 일치하는 동축 상태로부터 다소 시프트되게(어긋나게)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회전 축선 L2가 회전 축선 L1에 대해 전방향(all direction)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가 규제 부재(89)의 제1 지지부(89b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커플링 부재(86)는, 회전 축선 L2가 회전 축선 L1에 대해 경사지면서 회전하여, 본체측 결합부(14)로부터 커플링 부재(86)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 부재(89)의 홈부(89c)를 구성하는 규제부(89c3)와 구동측 플랜지(87)의 제2 빠짐 방지부(87f)에 의해, 핀(88)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었다. 또한, 규제 부재(89)의 홈부(89c)를 구성하는 회전력 수용부(89c1)와 회전 규제부(89c2)에 의해, 핀(88)이 회전 방향 R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었다. 또한, 규제 부재(89)의 수납부(89b3)를 구성하는 제1 지지부(89b1)에 의해, 커플링 부재(86)가 구동측 플랜지(87)의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었다. 또한, 규제 부재(89)의 수납부(89b3)를 구성하는 제2 지지부(89b2)에 의해, 커플링 부재(86)가 구동측으로부터 비구동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었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의 제1 빠짐 방지부(87e)에 의해, 커플링 부재(86)가 비구동측으로부터 구동 측에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었다. 그 결과, 구동측 플랜지(87)에 홈형상부를 제공하지 않고도,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규제 부재(89)를 통해 구동측 플랜지(87)에 연결되었다.
종래 구성에서는, 커플링 부재로부터 핀에 전달된 회전력이 구동측 플랜지의 홈형상부에 의해 수용되지만, 회전력의 크기에 따라 구동측 플랜지의 홈형상부뿐만 아니라 구동측 플랜지 자체가 크게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구동측 플랜지에 대해, 구동측 플랜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현상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부 등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구동측 플랜지는 변형된 상태로 회전하고 회전중의 기어부의 결합이 불안정하게 되어, 정확한 회전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86)로부터 핀(88)에 전달된 회전력이 규제 부재(89)의 홈부(89c)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규제 부재(89)의 결합부(89a1)와 구동측 플랜지(87)의 결합부(87a)는 회전 축선 L1 주위의 넓은 범위에서 서로 결합되어, 홈부(89c)에 의해 수용된 회전력이 규제 부재(89)의 결합부(89a1)로부터 구동측 플랜지(87)의 결합부(87a)로 전달된다. 회전력에 의해 규제 부재(89)의 홈부(89c)가 변형되었다고 상정하면, 변형된 홈부(89c)와 다른 결합부(89a1)에서 규제 부재(89)가 구동측 플랜지(87)에 결합되어, 홈부(89c)의 변형이 구동측 플랜지(87)에 쉽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회전 축선 L1주위에서 규제 부재(89)로부터 구동측 플랜지(87)로의 회전력의 전달의 편향이 제거된다. 따라서, 구동측 플랜지(87)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성에 비해, 구동측 플랜지(87)는 높은 정확도로 회전하고 기어부(87c)의 결합이 안정되어, 구동측 플랜지(87)으로부터 감광 드럼(62)과 현상 롤러(32)로 원활하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구성에서는, 구동측 플랜지에 회전 축선 L1 주위에 홈형상부가 제공되는 위상과, 홈형상부가 없는 위상이 혼재했기 때문에, 구동측 플랜지의 형상이 복잡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구동측 플랜지(87)가 홈형상을 갖지 않으므로, 구동측 플랜지(87)의 형상이 회전 축선 L1주위에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측 플랜지(87)가 사출 성형으로 성형될 때 수지 재료가 균일하게 유동하기 쉬워지므로, 구동측 플랜지(87)의 성형성이 향상되어, 구동측 플랜지(87)의 부품(컴포넌트)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를 코킹에 의해 감광 드럼(62)에 고정하는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코킹을 실시할 때 구동측 플랜지(87)에는 구동측 플랜지(87)의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강한 힘이 가해진다. 종래 구성에서는, 구동측 플랜지의 홈형상부가 트리거(trigger)로서 작용하여, 구동측 플랜지가 크게 변형할 가능성이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측 플랜지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보강 형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어, 구동측 플랜지의 형상이 복잡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구동측 플랜지(87)가 홈 형상을 갖지 않으므로,, 간단한 형상으로 구동측 플랜지(87)가 보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측 플랜지(87)에, 커플링 부재(86)가 축선 L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제1 빠짐 방지부(87e)와, 핀(88)이 축선 L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제2 빠짐 방지부(87f)가 제공되는 구성이 채용되었다. 하지만, 핀(88)이 커플링 부재(86)의 구멍(86b)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1 빠짐 방지부(87e)도 제외(제거)될 수 있고, 핀(88)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1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을 별개 부재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6)의 결합부(186c)에 샤프트부(186a, 186b)가 제공되는 구성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부(186a, 186b)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치되어, 샤프트부(186a, 186b)의 축선이 구형상을 갖는 결합부(186c)의 중심 C2를 통과한다. 샤프트부(186a, 186b)의 각각의 축선은 규제 부재(189)의 회전 축선 L13과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배치된다. 또한, 샤프트부(186a)의 축선 방향에 대해 단부에, 회전력 전달부(186a1)가 제공되고, 샤프트부(186b)의 축선 방향으로의 단부에, 회전력 전달부(186b1)가 제공된다. 그리고, 회전력 전달부(186a1, 186b1)가 규제 부재(189)의 지지부(홈부)를 구성하는 회전력 수용부(189c1)에 접촉하여, 커플링 부재(186)로부터 규제 부재(189)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6)의 경사에 대응되게 샤프트부(186a, 186b)도 경사진다. 이 때문에, 커플링 부재(186)의 경사를 저해하지 않도록, 샤프트부(186a)와 구동측 플랜지(187)의 제2 빠짐 방지부(187f)의 사이에 갭(간격) H11이 제공되고, 샤프트부(186 b)와 규제 부재(189)의 규제부(189c3)의 사이에 갭 H12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즉, 규제 부재(189)의 홈부(지지부)(189c)는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제공되고,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일측이 개구된 홈부이다. 홈부(189c)는 커플링 부재(186)의 틸팅에 수반하여 샤프트부(186a, 186b)가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축부의 양단을 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핀(88)을 제거(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서, (a)는 본 실시예에서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1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도 13의 (a)의 평면 S21을 따라 절단한 규제 부재(289)의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a) 및 (b)는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규제 부재(289)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구성과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품명과 동일 참조 번호 또는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이하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비해, 핀(88)을 지지하는 부분에서의 규제 부재(289)의 형상이 다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부재(289)에는, 기초부(289a)와, 기초부(289a)로부터 규제 부재(289)의 회전 축선 L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289b)와, 회전 축선 L23에 대해 기초부(289a)와 반대측의 한 쌍의 구멍(289c)이 제공된다. 한 쌍의 구멍(289c)은 회전 축선 L23 주위에 약 180도 서로 위상이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구멍(289c)은 샤프트부인 핀(88)의 외주를 둘러싸는 관통 구멍(지지부)이다. 또한,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구멍(289c)에는, 회전 축선 L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력 수용부(289c1)와 회전 규제부(289c2)가 제공되고, 회전 축선 L23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규제부(289c3, 289c4)가 제공된다. 또한, 규제부(289c3)는 회전 축선 L23에 대해 구멍(289c)의 기초부(289a)측에 배치되고, 규제부(289c4)는 규제부(289c3)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핀(88)은 규제부(289c3, 289c4)에 의해 회전 축선 L23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회전력 수용부(289c1)와 회전 규제부(289c2)에 의해, 감광 드럼(62)의 회전 방향 R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가 규제 부재(289)의 수납부(289b3)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핀(88)이 커플링 부재(86)의 구멍(86b)과 규제 부재(289)의 구멍(289c)에 삽입된다(도 14의 (b)). 그 결과, 핀(88)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와 규제 부재(289)가 유닛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커플링 부재(86), 핀(88) 및 규제 부재(289)가 구동측 플랜지(87)에 조립될 수 있어, 커플링 부재(86), 핀(88) 및 규제 부재(289)가 구동측 플랜지(87)와 조립될 때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회전력 수용부(289c1)와 회전 규제부(289c2)가 규제부(289c4)에 의해 연결되므로, 핀(88)이 회전력 수용부(289c1)에 접촉했을 때 회전력 수용부(289c1)가 회전 규제부(289c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핀(88)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구멍(289c)과 핀(88)이 압입(press-fitting) 방식으로 제공되어, 커플링 부재(86), 핀(88) 및 규제 부재(289) 간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86), 핀(88) 및 규제 부재(289)를 구동측 플랜지(87)에 조립할 때의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 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서, (a)는 본 실시예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 U31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도 15의 (a)의 평면 S31을 따라 절단한 규제 부재(389)의 단면도이고, (c)는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규제 부재(389)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및 2에 비해, 핀(88)을 지지하는 부분에서의 규제 부재(389)의 형상이 다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부재(389)에는, 기초부(389a), 기초부(389a)로부터 규제 부재(389)의 회전 축선 L3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원통형 돌출부(389b), 및 돌출부(389b)의 회전 축선 L3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한 쌍의 홈부(389c)가 제공된다. 한 쌍의 홈부(389c)는 회전 축선 L33 주위에 약 180도만큼 서로 위상이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홈부(389c)에는, 회전 축선 L3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력 수용부(389c1)와 회전 규제부(389c2)가 제공되고, 회전 축선 L33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규제부(389c3)가 제공된다. 또한, 규제부(389c3)는 회전 축선 L33에 대해, 홈부(389c)의 비구동측에 위치하고, 홈부(389c)는 구동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또한, 회전력 수용부(389c1)에는, 감광 드럼(62)의 회전 방향 R로 돌출하도록 돌출부(389d)가 제공되고, 회전 규제부(389c2)에는, 감광 드럼(62)의 회전 방향 R로 돌출하는 돌출부(389e)가 제공된다. 또한, 회전 방향 R에 대해, 홈부(389c)를 사이에 협지하도록 배치된 컷-어웨이(cut-away)부(389f)가 제공된다.
돌출부(389d, 389e)는 부분(389c1, 389c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기만 하면 되고, 돌출부(389d, 389e)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또한 컷-어웨이부(389f)가 하나의 위치에 제공되기만 하면 된다. 이 때, 회전 규제부(389c2)에 컷-어웨이부(389f)가 제공되고 회전력 수용부(389c1)에 컷-어웨이부(389f)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회전력 수용부(389c1)가 회전 규제부(389c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력 수용부(389c1)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동측 플랜지 유닛 U3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서로 페어링(pairing)되고, 회전 축선 L33을 따라 규제 부재(389)에 조립된다. 이 때, 돌출부(389d, 389e) 사이의 갭 H31은 핀(88)의 외경 φZ31보다 작으므로, 핀(88)과 돌출부(389d, 389e)가 서로 접촉한다. 여기서, 회전력 수용부(389c1)에 제공되는 돌출부(389d)의 접촉부(389d1)는, 회전 축선 L33을 따라 규제부(389c3)로부터 감소하는 거리에 따라, 접촉부(389d1)가 회전력 수용부(389c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된다(도 15의 (b)). 회전 규제부(389c2)에 제공되는 돌출부(389e)의 접촉부(389e1)도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 축선 L33을 따라 핀(88)을 홈부(389c)에 밀어넣으면, 홈부(389c)는 컷-어웨이부(389f)가 제공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핀(88)이 돌출부(389d)를 통과한다. 그리고, 도 1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축선(L33)을 따라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더욱 이동되면,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가 수납부(389b3)에 수납되고, 핀(88)은 홈부(389c)에 수납된다. 그 결과, 핀(88)은 규제부(389c3)와 돌출부(389d)에 의해 회전 축선 L33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규제 부재(389)의 회전력 수용부(389c1)와 회전 규제부(389c2)에 의해, 감광 드럼(62)의 회전 방향 R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핀(88)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와 규제 부재(389)가 유닛으로 조립될 때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4)
도 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 4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에서, (a)는 본 실시예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1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도 16의 (a)의 평면 S41을 따라 절단한 규제 부재(489)의 단면도이고, (c)는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규제 부재(489)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핀(88)을 지지하는 부분에서의 규제 부재(489)의 형상과 변형 방향이 다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부재(489)에는, 기초부(489a)와, 기초부(489a)로부터 규제 부재(389)의 회전 축선 L4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원통형의 한 쌍의 돌출부(489b)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돌출부(489b)에는, 회전 축선 L43에 대해 기초부(489a)와 반대측에 구멍(489c)이 제공된다. 한 쌍의 구멍(489c)은 회전 축선 L43 주위에 약 180도만큼 서로 위상이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구멍(489c)은 샤프트부인 핀(88)의 외주를 둘러싸는 관통 구멍(지지부)이다. 또한,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홈부(489c)에는, 회전 축선 L4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력 수용부(489c1)와 회전 규제부(489c2)가 제공되고, 회전 축선 L43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규제부(489c3, 489c4)가 제공된다. 또한, 규제부(489c3)는 회전 축선 L43에 대하여, 구멍(489c)의 기초부(489a)측에 배치되고, 규제부(489c4)는 규제부(489c4)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기초부(489a)로부터 회전 축선 L4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원통형인 한 쌍의 제2 돌출부(489d)가 제공된다. 또한, 돌출부(489b)와 제2 돌출부(489d) 사이에는, 회전 축선 L43을 따라 갭 H41이 제공된다. 제2 돌출부(489d)의 내측에는,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를 규제하기 위한 제1 지지부(489d1)와 제2 지지부(489d2)가 제공된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부(489d1, 489d2)로 둘러싸인 수납부(489c3)가 형성된다.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서로 페어링되어, 회전 축선 L43을 따라 규제 부재(489)에 조립된다. 이 때, 한 쌍의 돌출부(489b) 사이의 갭 H41은 핀(88)의 전체 길이 T41보다 작으므로, 핀(88)과 돌출부(489e)의 접촉부(489b1)가 서로 접촉한다. 여기서, 접촉부(489d1)는 회전 축선 L43을 따라 접촉부(489d1)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된다. 이 때문에, 회전 축선 L43을 따라 핀(88)이 이동되면, 돌출부(489b)는 회전 축선 L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핀(88)이 접촉부(489b1)를 통과한다. 그리고, 도 1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축선 L43을 따라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더욱 이동되면,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가 수납부(489d3)에 수납되고, 핀(88)이 구멍(489d)에 수납된다. 그 결과, 핀(88)은 규제부(489c3, 489c4)에 의해 회전 축선 L43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규제 부재(489)의 회전력 수용부(489c1)와 회전 규제부(489c2)에 의해, 감광 드럼(62)의 회전 방향 R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핀(88)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와 규제 부재(489)가 유닛으로 조립될 때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회전력 수용부(489c1)와 회전 규제부(489c2)가 규제부(489c4)에 의해 연결되므로, 핀(88)이 회전력 수용부(489c1)에 접촉했을 때 회전력 수용부(489c1)가 회전 규제부(489c2)로부터 멀어질 방향으로의 핀(88)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 B의 형태는 감광 드럼과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B의 형태로서,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프로세스 수단이 제공되지 않고, 감광 드럼(1)에 제공되는 감광 드럼 카트리지에도 적절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감광 드럼이 제공되지 않고, 현상 롤러(32)가 제공되고, 본체측 결합부로부터 회전하면서 토너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 롤러(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현상 카트리지에도 적절하게 적용된다. 이 경우, 커플링 부재는 감광 드럼 대신 회전체로서의 현상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서의 구동측 플랜지는, 구동측 플랜지가 기록재인 감광 드럼의 길이방향 단부에 고정된 구성을 가지지만, 회전력 피전달 부재와 회전체가 서로 고정되지 않고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회전력 피전달 부재가 기어 부재이며, 기어의 결합에 의해 감광 드럼이나 현상 롤러와 같은 회전체에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B는 단색(단일 컬러)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복수의 현상 수단이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 화상(예를 들면, 2색 화상, 3색 화상 또는 풀-컬러)이 형성되는 카트리지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간격 유지 부재(17L, 17R)가 감광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감광 드럼(62)을 향해 현상 롤러(32)가 가압되는 구성을 채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현상 롤러(32)의 외주면이 직접 감광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감광 드럼(62)을 향해 가압되는 구성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프린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이러한 장치의 기능의 조합을 갖는 복합기 등과 같은 다른 화상 형성 장치일 수도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 담지체가 사용되고, 기록재 담지체에 담지된 기록재에 색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전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일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중간 전사체가 사용되고, 중간 전사체에 색 토너상이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전사된 후, 중간 전사체로부터 일괄적으로 전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카트리지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될 때,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배치는 적절히 선택 및 조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카트리지에서, 회전력이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전달될 때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변형 정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력 피전달 부재가 성형될 때, 수지 재료의 유동성이 균일하게 되어, 회전력 피전달 부재가 높은 정밀도로 성형된다.

Claims (21)

  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로서,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회전력 피전달 부재;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와 결합하고, 내측에 수납부를 포함하는 규제 부재;
    회전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상기 회전력을 받는 회전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자유 단부와,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 축선이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 축선에 대해 틸팅(tilting)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부분적으로 수납되도록 상기 규제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을 수 있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받은 상기 회전력을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 전달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에 접촉가능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에 대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은 상기 규제 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서 개구된 홈(groove)부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타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을 지지하는,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제공되고,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서 개구된 홈부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토너상에 수반하여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을 지지하는,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관통 구멍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을 지지하는,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본체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가능하고, 상기 본체측 결합부의 회전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탈착가능한(demountable),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의 탈착에 따라, 상기 커플링 부재가 틸팅되어 상기 회전력 수용부가 상기 본체측 결합부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카트리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회전하는, 카트리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커플링 부재와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카트리지.
  10.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본체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측 결합부의 회전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탈착가능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회전력 피전달 부재;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와 결합하고, 수납부를 포함하는 규제 부재;
    회전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상기 본체측 결합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는 회전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자유 단부와, 상기 회전력 수용부가 상기 본체측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 축선이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 축선에 대해 틸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상기 규제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을 수 있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받은 상기 회전력을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 전달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에 접촉가능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에 대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은 상기 규제 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서 개구된 홈부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타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을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제공되고,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서 개구된 홈부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토너상에 수반하여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을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관통 구멍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을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전달 유닛은,
    상기 회전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회전력 피전달 부재;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와 결합하고, 내측에 수납부를 포함하는 규제 부재;
    회전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상기 회전력을 받는 회전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자유 단부와,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 축선이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 축선에 대해 틸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상기 규제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을 수 있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커플링 부재의 상기 결합부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규제 부재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지지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커플링 부재와, 상기 샤프트부를 포함하는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에 접촉가능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을 지지하는 상기 공정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에 대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양단은 상기 규제 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16.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retaining portion)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피고정부(portion-to-be-fixed)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9.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피고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7024259A 2015-03-10 2016-03-10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KR20170109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46613 2015-03-10
JPJP-P-2015-046613 2015-03-10
JP2016021447A JP6771899B2 (ja) 2015-03-10 2016-02-08 カートリッジ、及び駆動伝達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
JPJP-P-2016-021447 2016-02-08
PCT/JP2016/058418 WO2016143912A1 (en) 2015-03-10 2016-03-10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of drive transmission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622A Division KR102163324B1 (ko) 2015-03-10 2016-03-10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640A true KR20170109640A (ko) 2017-09-29

Family

ID=569837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622A KR102163324B1 (ko) 2015-03-10 2016-03-10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KR1020177024259A KR20170109640A (ko) 2015-03-10 2016-03-10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622A KR102163324B1 (ko) 2015-03-10 2016-03-10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394182B2 (ko)
EP (1) EP3268812B1 (ko)
JP (1) JP6771899B2 (ko)
KR (2) KR102163324B1 (ko)
CN (1) CN107407898B (ko)
TW (2) TWI64084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36104A (ko) 2023-03-06 2024-09-13 주식회사 엠디케이 포토프린터의 카트리지 조립설비의 필름 융착장치
KR20240136105A (ko) 2023-03-06 2024-09-13 주식회사 엠디케이 포토프린터의 카트리지 조립설비의 인화지 장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1899B2 (ja) * 2015-03-10 2020-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駆動伝達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
JP6794117B2 (ja) * 2015-03-10 2020-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シリンダユニット、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ドラムユニット
CN114047680B (zh) 2016-06-14 2024-03-22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电子照相式成像装置
BR112019003028A2 (pt) 2016-08-26 2019-05-14 Canon Kabushiki Kaisha unidade de tambor, cartucho,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eletrofotográfica e elemento de acoplamento
JP6473725B2 (ja) * 2016-08-31 2019-02-20 株式会社藤商事 遊技機
JP6881941B2 (ja) * 2016-10-21 2021-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6184779A (zh) * 2017-12-13 2023-05-30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JP2022050266A (ja) 2020-09-17 2022-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1713B2 (ja) 2003-08-29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85927B2 (ja) 2004-09-29 2008-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98407B2 (ja) *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RU2467369C2 (ru) 2006-12-22 2012-11-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Деталь, передающая вращательное усилие
JP5094189B2 (ja) 2007-04-13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420052B2 (ja) * 2008-06-20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283986B2 (ja) * 2008-06-20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71627B2 (ja) * 2008-08-27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06236B2 (ja)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1095604A (ja) * 2009-10-30 2011-05-12 Canon Inc 現像装置、回転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1074707A1 (ja) 2009-12-16 2011-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ドラムユニット、現像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8846B2 (ja) * 2009-12-24 2014-02-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839826B2 (ja) 2011-04-22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4081291B (zh) * 2011-12-06 2018-09-11 佳能株式会社 可拆卸地安装到电子照相成像设备的主组件的盒
JP5460824B2 (ja) 2011-12-0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04011605A (zh) 2011-12-26 2014-08-27 佳能株式会社 显影装置、处理盒和鼓单元
JP6299446B2 (ja) * 2013-07-12 2018-03-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軸受部材、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中間部材、及び軸受部材の本体
JP2015121776A (ja) * 2013-11-19 2015-07-02 三菱化学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及び一組の端部部材
JP6274892B2 (ja) 2014-02-04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771899B2 (ja) * 2015-03-10 2020-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駆動伝達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36104A (ko) 2023-03-06 2024-09-13 주식회사 엠디케이 포토프린터의 카트리지 조립설비의 필름 융착장치
KR20240136105A (ko) 2023-03-06 2024-09-13 주식회사 엠디케이 포토프린터의 카트리지 조립설비의 인화지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49622A1 (en) 2020-08-06
US10663911B2 (en) 2020-05-26
TW201633021A (zh) 2016-09-16
TWI596453B (zh) 2017-08-21
CN107407898A (zh) 2017-11-28
JP6771899B2 (ja) 2020-10-21
KR20190117817A (ko) 2019-10-16
TWI640848B (zh) 2018-11-11
KR102163324B1 (ko) 2020-10-08
US20170293255A1 (en) 2017-10-12
US10394182B2 (en) 2019-08-27
EP3268812A1 (en) 2018-01-17
TW201736991A (zh) 2017-10-16
EP3268812B1 (en) 2021-05-12
US11003129B2 (en) 2021-05-11
US20190354061A1 (en) 2019-11-21
CN107407898B (zh) 2020-05-19
JP2016170396A (ja)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324B1 (ko)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구동 전달 유닛의 조립 방법
CN110456625B (zh) 用于电子照相式成像装置的盒和鼓单元
EP1580622B1 (en) Process cartridge and assemblying method therefor
KR102232010B1 (ko) 카트리지, 회전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US72723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artridge including a photoconductive drum with axis shaft having a minimal rotational eccentricity,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P1336905B1 (en) Stable mounting of 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327919A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259500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ower-Transmission Assembly
TW201736992A (zh) 旋轉力傳達單元
JP2004012523A (ja) 現像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180795A1 (en) Charging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charging image carrier
US20180181057A1 (en) Cartridge and cover member
JP2015099366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用駆動伝達装置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2565722B1 (en) Developer cartridge having developing roller
WO2016143912A1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of drive transmission unit
JP202000381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14089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