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035A -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035A
KR20170109035A KR1020177024366A KR20177024366A KR20170109035A KR 20170109035 A KR20170109035 A KR 20170109035A KR 1020177024366 A KR1020177024366 A KR 1020177024366A KR 20177024366 A KR20177024366 A KR 20177024366A KR 20170109035 A KR20170109035 A KR 20170109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rts
acquired
typ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10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02F9/265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with follow-up actions (e.g. control signals sent to actuate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02F9/268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with failure correction follow-up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에 장착되어 피장착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부품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장치(30)와, 식별 장치(3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부품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15)와, 취득된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취득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200)와, 수신한 취득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111)를 구비하고, 부품 정보는, 피장착 부품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와, 같은 종별의 피장착 부품에 있어서 각각의 피장착 부품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관리 장치(111)는, 수신한 취득 정보에, 종별 정보가 같으며 고유 정보가 상이한 부품 정보인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의 수인 부품수보다 많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과, 부품수보다 많은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11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
본 발명은,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작업 차량(work vehicle)에 설치된 부품의 부품 정보를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설 기계[예를 들면, 유압 셔블이나 휠 로더(wheel loader)] 및 운반 차량(예를 들면, 덤프 트럭) 등의 작업 차량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작업 차량에 탑재된 필터 등의 교환 부품에, 식별 부품으로서의 IC 칩을 장착하고, 그 IC 칩에 기억된 정보를 센서에 의해 취득하여, 순정품 및 모방품을 식별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교환 부품 식별 장치에서는, 건설 기계의 메이커가 보증하는 순정의 교환 부품에 식별 부품인 IC 칩이 매립되어 있고, 리더(reader)(센서)는, IC 칩에 기억된 필요 정보를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필요 정보를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 출력되는 이상(異常) 검지 신호가 센서로부터 출력된 경우에는, 컨트롤러는, 엔진의 가동(稼動) 정지(停止)나 모니터에 의한 경고를 행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순정품인 새로운 필터로 교환된 것으로 하는 신호가 센서로부터 출력된 경우에는, 상기 필터의 장착 시기를 기억하는 동시에, 다음 회 교환 시기를 연산하여 오퍼레이터에게 알린다. 또한, 컨트롤러는, 순정품인 필터의 교환의 유무나 교환 횟수를 기억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5-273196호 공보
여기서, 예비의 부품(미사용의 부품)이나 사용이 끝난 부품이 작업 차량 내에 보관(배치) 또는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더의 통신 범위 내에, 현재 사용중인 교환 부품(소정의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교환 부품), 및 상기 교환 부품과 같은 종별의 교환 부품이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리더는 각 교환 부품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버리므로, 어느 교환 부품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환 부품인지를 파악할 수 없도록 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교환 부품의 관리나 불필요한 부품의 회수 관리 등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도록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부품이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을 통지할 수 있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에 장착되고, 상기 피장착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부품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장치와, 상기 식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부품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취득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취득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정보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와, 같은 종별의 상기 피장착 부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피장착 부품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수신한 상기 취득 정보에, 상기 종별 정보가 같으며 상기 고유 정보가 상이한 상기 부품 정보인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수인 부품수보다 많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취득 정보 판정 수단과,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이, 상기 취득 정보에,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별 정보로서는, 피장착 부품의 품번 및 품명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고유 정보로서는, 피장착 부품에 고유의 정보(예를 들면, 시리얼 번호)나, 식별 장치에 고유의 정보(예를 들면, 태그 ID)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정보의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장착 부품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들 수 있다. 또한, 통지 수단에 의한 통지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니터에 상기 이상 정보의 내용을 표시시키는 것이나, 스피커에 상기 이상 정보의 내용을 출력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의 통신 범위 내에 복수의 식별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각 식별 장치로부터 부품 정보가 취득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범위 내에, 설치 위치에 설치된 피장착 부품(사용중인 피장착 부품)에 장착된 식별 장치와, 상기 피장착 부품과 같은 종별이지만 설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피장착 부품(사용 중이 아닌 피장착 부품)에 장착된 식별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통신 장치에 의해 각 식별 장치로부터 부품 정보가 취득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 부품 정보는, 종별 정보는 같은 것의 고유 정보가 상이한 부품 정보(동일 종별 부품 정보)이다. 이와 같은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취득 정보는, 송신 장치를 통하여 관리 장치로 송신된다.
그리고, 관리 장치에서는, 취득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수신한 취득 정보에,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대응하는 상기 부품수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2이며, 상기 부품수가 2인 경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대응하는 피장착 부품의 수와 일치하고 있으므로,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로서는 정상적이다.
한편,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2이며, 상기 부품수가 1인 경우에는,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나타내는 피장착 부품이 설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취득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수신한 취득 정보에,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대응하는 상기 부품수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이상 정보가 통지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태양에 의하면, 관리 장치의 관리자(사용자) 등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방치된 피장착 부품이 존재하는 취지를 알릴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피장착 부품의 방치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종별 정보와 상기 부품수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상기 부품수를 취득하여, 상기 취득 정보에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태양에 의하면,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의 수(부품수)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이, 취득한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지의 여부를 용이하고 또한 적절히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장착 부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적절히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부품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신 강도와, 상기 전파에 포함되는 상기 부품 정보가 각각 관련된 상기 취득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이, 상기 취득 정보에,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와 관련된 상기 수신 강도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과거에 취득된 상기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 밖인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를,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기 피장착 부품의 상기 부품 정보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이상 정보와 함께,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부품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에 대한 식별 장치의 상대적인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된 피장착 부품에 장착된 식별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파의 수신 강도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수신 강도와 다른 수신 강도로 전파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설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피장착 부품이 존재할 가능성이 생각된다.
이로부터, 상기 제1 태양에서는, 통신 장치의 측정 수단이, 식별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파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고, 송신 장치가, 수신된 전파에 포함되는 부품 정보와 상기 전파의 수신 강도가 관련된 취득 정보를 송신한다. 관리 장치에서는, 특정 수단이, 동일 종별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과거에 취득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 밖인 동일 종별 부품 정보를,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장착 부품의 부품 정보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통지 수단이, 특정된 부품 정보(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장착 부품의 부품 정보)를, 상기 이상 정보와 함께 통지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방치된 피장착 부품의 부품 정보를 통지 가능하므로, 어떠한 피장착 부품이 방치되어 있는지를,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에 장착되고, 상기 피장착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부품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장치와, 상기 식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부품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부품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부품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정보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부품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신 강도와, 상기 전파에 포함되는 상기 부품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취득한 상기 부품 정보와 상기 수신 강도를 관련 짓고, 취득한 상기 수신 강도와, 취득한 상기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과거에 취득된 상기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상태 판정 수단과, 상기 차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된 것으로 상기 상태 판정 수단이 판정하면,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상 정보의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설치 위치에 설치된 피장착 부품이 벗겨졌을 가능성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들 수 있다. 통지 수단에 의한 통지의 방법으로서는,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의 통지 수단과 동일한 통지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위치에 모방품(식별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피장착 부품, 또는 부적합한 식별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피장착 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 위치 근방에 순정품(상기 식별 장치가 장착된 피장착 부품)이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순정품에 장착된 식별 장치로부터 부품 정보가 취득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순정품이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식별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파의 수신 강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식별 장치와 통신 장치와의 거리에 의해 변동되는 외에, 환경 요인에 의해서도 일시적으로 변동된다.
그러므로, 수신 강도의 변화를,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피장착 부품이 벗겨졌는지의 여부의 지표(指標)(피장착 부재가 설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의 여부의 지표)와 하면, 상기 환경 요인에 의해 수신 강도가 변동된 경우에, 피장착 부품이 벗겨진 것으로 판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실제의 사용 상태와 관리 장치에 의해 파악되는 사용 상태이 어긋나 버린다.
다른 한편, 환경 요인에 의한 수신 강도의 변동은 일시적인 것이므로, 수신 강도가 변화된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는 경우, 설치 위치로부터 피장착 부품이 벗겨진 것으로 판정하므로 문제가 없다.
이들로부터, 상기 제2 태양에서는, 관리 장치의 상태 판정 수단에 의해, 새롭게 취득된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와, 상기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과거에 취득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 밖인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된 것으로 판정되면, 통지 수단이 상기 이상 정보를 통지한다. 이에 따르면, 설치 위치에 설치된 피장착 부품이 분리되고, 상기 설치 위치 근방에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을 관리 장치의 관리자 등에 통지 및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장착 부품의 관리를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식별 장치,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송신 장치를 구비한 작업 차량과, 상기 관리 장치를 가지는 관리 센터와, 상기 작업 차량 및 상기 관리 센터를 무선으로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업 차량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의 부품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작업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관리 센터에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작업 차량과, 관리 센터와, 상기 작업 차량 및 상기 관리 센터를 무선으로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 차량은,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필터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를 식별하기 위한 부품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장치와, 상기 식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부품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취득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센터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취득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정보는, 상기 필터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와, 같은 종별의 상기 필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필터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종별 정보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필터의 수인 부품수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종별 정보가 같으며 상기 고유 정보가 상이한 상기 부품 정보인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부품수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수신한 상기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취득 정보 판정 수단과,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이,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상기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방법은, 부품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정보는,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와, 같은 종별의 상기 피장착 부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피장착 부품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종별 정보가 같으며 상기 고유 정보가 상이한 상기 부품 정보인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수인 부품수보다 많이 취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취득된 것으로 판정되면,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 태양에 의하면, 상기 부품 정보 관리 방법을,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과 마찬가지 구성의 시스템(특히 관리 장치)을 사용하여 행함으로써,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인 유압 셔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기계실 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펌프룸 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IC 태그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부품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유압 셔블의 구성 및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리더(마스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리더(슬레이브)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서버 취득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전체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의 유압 셔블(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작업 차량에 탑재된 부품이나 엔진(EG)을, 상기 작업 차량과는 상이한 위치의 관리 센터(110)(도 6 참조)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관리 및 감시한다. 이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 센터(110)와, 적어도 1대의 작업 차량[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1)]과, 관리 센터(110) 및 작업 차량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구비한다. 그리고, 대상으로 하는 작업 차량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과 불도저(bulldozer)라는 종류가 상이한 작업 차량을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들 중, 통신 네트워크(120)는,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 통신용의 네트워크이며, 휴대 전화망이나 위성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작업 차량으로서 유압 셔블(1)을 구비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을 예시하지만, 다른 작업 차량으로서의 건설 기계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유압 셔블 전체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본체(2)와 작업기(3)를 가진다. 차량 본체(2)는, 주행 장치(traveling device)(4)와 상부 선회체(旋回體)(5)를 가진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5)에 있어서는, 작업기(3) 및 운전실(5B)이 배치되어 있는 측이 전방이며, 기계실(5A)이 배치되어 있는 측이 후방이다. 전방을 향해 좌측이 상부 선회체(5)의 좌측이며, 전방을 향해 우측이 상부 선회체(5)의 우측이다. 또한, 유압 셔블(1) 및 차량 본체(2)는, 상부 선회체(5)를 기준으로 하여 주행 장치(4) 측이 하방이며, 주행 장치(4)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선회체(5) 측이 상방이다. 유압 셔블(1)이 수평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하방은 연직(沿直) 방향, 즉 중력의 작용 방향 측이며, 상방은 연직 방향과는 반대측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예를 들면,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동력 발생 장치로 하고 있지만, 유압 셔블(1)은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압 셔블(1)은, 예를 들면, 내연 기관과 발전 전동기와 축전 장치를 조합한, 이른바 하이브리드 방식의 동력 발생 장치를 구비한 것이나, 내연 기관을 전동기에 대신한 동력 발생 장치를 구비한 것 등이라도 된다.
[기계실]
도 2는, 기계실(5A)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부 선회체(5)는, 기계실(5A), 운전실(5B) 및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5C)를 가진다.
기계실(5A)은, 상부 선회체(5)의 일단측(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5A)의 내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隔壁)(5A3)에 의해 펌프룸(5A1)과 엔진룸(5A2)으로 구획되어 있고, 후방측에서 볼 때, 펌프룸(5A1)은 우측에, 엔진룸(5A2)은 좌측에 위치한다.
[엔진룸]
엔진룸(5A2) 내에는, 동력 발생 장치로서의 엔진(EG) 외에, 라디에이터 등의 쿨링 코어(CC) 등를 포함하는 냉각 유닛(CU)이 수용되어 있다. 냉각 유닛(CU)은, 엔진(EG)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EG)에 흐르는 냉각수나 도시하지 않은 유압(油壓) 기기(機器)에 흐르는 작동유 등을 냉각시킨다.
엔진(EG)는, 카운터웨이트(5C)와, 엔진룸(5A2)의 전방측에 있는 격벽과, 상기 격벽(5A3)과, 도시하지 않은 좌측의 도어에 의해 사방이 에워싸이는 동시에, 엔진(EG)의 위쪽에 배치되는 엔진 후드(engine hood)를 포함하는 천정판과 바닥판(각각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에워싸인 대략 밀폐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엔진룸(5A2) 내에는, 연료 메인 필터인 필터(20C) 및 식별 장치(30C)와, 엔진(EG)에 장착되는 식별 장치(30D)와, 각 식별 장치(30C, 30D)와 통신하는 리더(15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운전실(5B)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5)의 타단측(전방측)에 탑재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5C)는, 상부 선회체(5)의 최후부에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5C)는, 작업기(3)와의 중량 밸런스용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중량물이 충전되어 있다. 즉, 기계실(5A)은, 운전실(5B)과 카운터웨이트(5C)의 사이에 배치된다.
주행 장치(4)는, 크롤러(crawlers)(4a, 4b)를 가지고 있다. 주행 장치(4)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모터가 구동하고, 크롤러(4a, 4b)가 회전함으로써, 유압 셔블(1)을 주행, 또는 선회(旋回)시킨다.
작업기(3)는, 상부 선회체(5)의 운전실(5B)의 측방에 장착되어 있고, 붐(boom)(6), 암(arm)(7), 버킷(bucket)(8), 붐 실린더(6A), 암 실린더(7a) 및 버킷 실린더(8A)를 가진다. 붐(6)의 기단부(基端部)는, 붐 핀(boom pin)(6B)을 통하여 차량 본체(2)의 전부(前部)에 결합되고, 붐(6)이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암(7)의 기단부는, 암 핀(arm pin)(7B)을 통하여 붐(6)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암(7)이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암(7)의 선단부에는, 버킷 핀(bucket pin)(8B)을 통하여 버킷(8)이 결합되고, 버킷(8)이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펌프룸]
도 3은, 상부 선회체(5)의 우측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펌프룸(5A1) 내를 나타낸 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3은, 펌프룸(5A1) 내의 필터(20)[20A, 20B] 및 리더(15)[15A]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펌프룸(5A1)은, 도시하지 않은 우측의 도어와, 카운터웨이트(5C)와, 펌프룸(5A1)의 전방측에 있는 격벽과, 상기 격벽(5A3)에 의해 사방이 에워싸이는 동시에, 위쪽에 배치되는 엔진 후드를 포함하는 천정판과 바닥판(각각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에워싸인 대략 밀폐 공간이다.
펌프룸(5A1) 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펌프(PN)가 수납되어 있다. 유압 펌프(PN)는, 엔진(EG)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엔진(EG)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유압 펌프(PN)는, 상기 붐 실린더(6A) 등의 유압 기기에 작동유를 토출(吐出)한다.
구체적으로, 펌프룸(5A1)에는, 유압 펌프(PN)이 설치되는 브래킷(bracket)(11A)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11A)에는, 필터 유지 부품인 필터 헤드(13A)가 장착되고, 필터 헤드(13A)에는 호스(14A)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펌프룸(5A1)에는, 브래킷(11B)을 통하여 필터 헤드(13B)가 장착되고, 필터 헤드(13B)에는 연료 호스(14B)가 장착되어 있다.
[펌프룸 내의 필터 헤드 및 필터의 종류]
필터 헤드(13A)에는, 필터(20A)가 장착되어 있다. 필터(20A)는, 엔진 오일용의 오일 필터이며, 호스(14A)를 흐른 엔진 오일에 포함되는 먼지 등을 제거한다.
필터(20A)는, 상기 엔진(EG)(도 2 참조)와 호스(14A)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엔진(EG) 내에 체류하는 엔진 오일은,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필터(20A)에 보내진다. 필터(20A)를 통과한 엔진 오일은, 다시 엔진(EG)으로 되돌려진다.
필터 헤드(13B)에는, 필터(20B)가 장착되어 있다. 필터(20B)는, 연료 프리필터이며, 연료 호스(14B)에 흐른 연료에 포함되는 먼지 등을 제거한다. 그리고, 필터(20B)는, 유압 셔블(1)에 있어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상기 필터(20B)를 구비하지 않는 유압 셔블(1)이라도 된다.
필터(20B)(연료 프리필터)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와 호스(14B)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필터(20B)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보내진다. 그 후, 연료는 상기 필터(20C)(연료 메인 필터)에 보내지고, 필터(20C)를 통과한 연료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분사 장치에 보내진다. 연료 분사 장치에 의해 남은 연료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통하여 연료 탱크로 되돌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20A, 20B)는, 펌프룸(5A1)에 설치되고, 필터(20C)는, 엔진룸(5A2)에 설치된다.
각각의 필터(20)[20A, 20B, 20C]는, 사용에 의해 내부의 여과 부재가 눈막힘을 일으키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교환이 필요한 부품(교환 부품)이다. 그 정기적인 교환 시기의 도래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1)의 엔진(EG)의 가동 시간을 계시(計時)하는 SMR(서비스 미터)가 나타내는 누적 가동 시간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이와 같은 판단 처리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통신 컨트롤러(200), 모니터 장치(213), 또는 관리 서버(111)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들 필터(20A, 20B, 20C)에는, 식별 장치(30A, 30B, 30C)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EG)에는, 식별 장치(30D)가 장착되어 있다. 즉, 필터(20A, 20B, 20C)) 및 엔진(EG)은, 식별 장치(30)[30A, 30B, 30C, 30D]가 장착되는 피장착 부품에 상당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대의 작업 차량에 상이한 종류(종별)의 필터가 각 1개 장착된 예로 설명하지만, 1대의 작업 차량에, 같은 종류(종별)의 필터가 복수 개 장착되는 경우를 제외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피장착 부품의 종별은, 품번이라고 하는 것도 있어, 품번이 다르면 부품의 종류가 상이하다.
[식별 장치의 설명]
식별 장치(30)[30A, 30B, 30C, 30D]는, 상기 식별 장치(30)가 장착된 피장착 부품[교환 부품 외에, 엔진(EG) 등의 장치도 포함함]에 관련한 정보를 기억 및 제공한다.
식별 장치(30A, 30B, 30C)는, 리더(15)[15A, 15B]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에 의한 전자(電磁) 유도나 마이크로파 등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패시브 타입의 IC 태그(301)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별 장치(30A, 30B, 30C)는, 각각 식별 부품인 1개 이상의 IC 태그(301)(도 4 참조)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식별 장치(30A, 30B, 30C)는, 각각 1개의 IC 태그(301)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의 IC 태그(301)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식별 장치(30D)는, 상기 패시브 타입의 IC 태그(301)를 1개 구비한다. 그리고, 식별 장치(30D)가 구비하는 IC 태그(301)는, 식별 장치(30A, 30B, 30C)가 구비하는 IC 태그(301)와 형상 및 구성이 같은 것이라도 상이한 것이라도 되고, 적어도 후술하는 IC 칩(35) 및 안테나(3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식별 장치(30)가, 패시브 타입의 IC 태그(301)를 구비함으로써, 내장(內藏) 전지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비용도 염가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전지 조각에 의한 동작 불량도 방지할 수 있다.
[IC 태그의 설명]
도 4는, IC 태그(301)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IC 태그(301)는, IC 칩(35) 및 내부 안테나(36)를 패키지 재료(31, 32)로 봉입(封入)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이다.
본 실시형태의 IC 태그(301)는, 통신 주파수대로서, UHF(ultrahigh frequency) 대역, 구체적으로는 860∼960 MHz의 대역에서의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RFID 태그의 통신 주파수대로서는, 다른 대역이라도 된다.
IC 칩(35)은, 안테나(36)와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36)의 형상이나 치수는 리더(15A, 15B)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IC 칩(35)과 안테나(36)는, 패키지 재료(31, 32)의 사이에 협지된다. 도 4는, 패키지 재료(31)를 투과시킨 도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IC 태그(301)는,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라는 접합재를 사용하여, 필터(20A, 20B, 20C), 엔진(EG)에 장착된다.
도 5는, 부품 정보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IC 칩(35)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IC 칩(35)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TID: Tag Identifier)와, 식별 장치(30)가 장착되는 부품[예를 들면, 필터(20) 및 엔진(EG)]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EPC: Electronic Product Code)를 포함하는 부품 정보(태그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들 중, EPC에는, 부품의 이름을 식별하는 부품 명식별 번호, 식별 장치(30)가 장착되는 부품의 종류를 특정하는 종별 정보로서의 품번, 제조일, 같은 품번의 부품 속에서 각각의 부품을 특정하는 고유 정보로서의 시리얼 번호(제조 번호), 및 상기 부품의 제조원을 나타내는 서플라이어 코드(supplier code) 등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부품 명식별 번호란, 예를 들면, 엔진 오일용 오일 필터, 연료 프리필터, 연료 메인 필터라는 부품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각 부품에 대하여 개별적인 번호를 할당한 것이다. 상기 부품이 엔진(EG)의 경우에는, 엔진마다 할당되는 개별적인 번호를 부품 명식별 번호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부품이 엔진(EG)인 경우에는, 상기 엔진(EG)의 오버홀(overhaul)의 횟수가 식별 정보에 포함된다.
상기 TID는, 각 IC 태그(301)에 있어서 각각 고유의 고유 정보이다. 그러므로, 어떤 피장착 부품의 품번과, 상기 피장착 부품에 장착되는 IC 태그(301)의 TID가 취득할 수 있으면, 상기 피장착 부품에 복수의 IC 태그(301)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품번 및 TID에 의해, 같은 품번의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각각의 피장착 부품을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장치(30)가 1개의 IC 태그(301)를 가지는 경우에는, 품번과 TID와의 조합이 판명하고 있지 않아도, 상기 품번 및 TID의 정보를 식별 장치(30)로부터 취득할 수 있으면, 같은 품번의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각각의 피장착 부품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리얼 번호는, 같은 품번의 피장착 부품이라도 각각 고유의 고유 정보이다. 그러므로, 품번 및 시리얼 번호에 의해, 같은 품번의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각각의 피장착 부품을 구별할 수 있다.
[리더의 설명]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1)의 구성, 및 유압 셔블(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계실(5A)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별 장치(30A, 30B, 30C, 30D)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로서의 리더(15)[15A, 15B]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리더(15)는, 각각, 식별 장치(30A, 30B, 30C, 30D)의 IC 태그(301)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부품 정보(이하, 단지 「데이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더(15)가, 판독 기능을 가진 것으로 설명하지만, 리더(15) 대신에, 판독 기능에 더하여 기입 기능(writing function)도 가지는 리더-라이터(reader-writer)를 사용해도 된다.
리더(15A)는, 펌프룸(5A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더(15A)는, 후술하는 통신 컨트롤러(200)에 의한 제어 하에, 필터(20A, 20B)에 장착되고, 또한 리더(15A)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상정(想定)된 식별 장치(30A, 30B)와 통신한다. 그리고, 리더(15A)는, 상기 식별 장치(30A, 30B)로부터의 부품 정보의 판독이 가능한 것을 상정하여 판독을 행한다. 또한, 리더(15A)는, 다른 리더인 리더(15B)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리더(15A)는, 마스터로서 기능하고, 리더(15B)는, 상기 마스터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슬레이브로서 기능한다. 리더(15B)는, 식별 장치(30C, 30D)로부터의 부품 정보의 판독이 가능한 것을 상정하여 판독을 행한다. 그리고, 리더(15A)의 통신 범위는, 상기 리더(15A)로부터 출력된 전파가 도달하고, 상기 전파에 따라 식별 장치(30)로부터 출력된 응답 신호를 리더(15A)가 수신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리더(15B)의 통신 범위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리더(15A)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리더(15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시 판정 수단(151), 정보 수신 수단(152), 측정 수단(153), 슬레이브 제어 수단(154), 수신 판정 수단(155), 정보 유지 수단(156), 정보 판정 수단(157),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 및 정보 송신 수단(159)을 가진다.
지시 판정 수단(151)은, 후술하는 통신 컨트롤러(200)로부터, 식별 장치(30)에 기억된 부품 정보의 취득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 수신 수단(152)은, 지시 판정 수단(151)에 의해 지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식별 장치(30)에 전파를 소정 시간 출력하여, 식별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전파를 수신한다.
측정 수단(153)은, 식별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로서, 수신 신호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한다. 이 측정 수단(153)에 의해 측정된 수신 강도는, 후술하는 정보 유지 수단(156)에 의해, 측정된 전파에 포함되어 있는 부품 정보와 관련지어 유지된다. 측정 수단(153)에 의해 측정된 수신 강도와 측정된 전파에 포함되어 있는 부품 정보가 관련된 정보는, 후술하는 정보 송신 수단(159)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에 포함된다(도 10 참조).
슬레이브 제어 수단(154)은,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리더(15B)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슬레이브 제어 수단(154)은, 상기 지시 정보와 마찬가지의 지시 정보를 리더(15B)에 출력한다.
수신 판정 수단(155)은, 정보 수신 수단(152)에 의해 수신된 전파에 기초하여, 식별 장치(30)로부터 상기 식별 장치(30)에 기억된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수신 판정 수단(155)은, 슬레이브 제어 수단(154)에 의해 지시 정보를 출력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리더(15B)로부터 부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리더(15B)가 정상(正常)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 유지 수단(156)은, 상기 수신 판정 수단(155)에 의해, 정보 수신 수단(152)에 의한 출력 전파에 따라 식별 장치(30)로부터 부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정된 경우, 및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리더(15)[15B)]로부터 식별 장치(30)의 부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각각의 부품 정보를 마스터 측 취득 정보로서 유지한다. 즉, 정보 유지 수단(156)은, 자체의 리더(15A)에 의한 부품 정보의 취득 대상인 것을 상정한 식별 장치(30A, 30B)로부터 취득된 부품 정보와, 리더(15B)에 의해 취득된 식별 장치(30C, 30D)의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를, 마스터 측 취득 정보로서 유지한다.
이 때, 정보 유지 수단(156)은, 취득된 각 부품 정보와, 상기 측정 수단(153)에 의해 측정된 각 수신 강도를 관련지어 유지한다. 즉, 정보 유지 수단(156)은, 식별 장치(30A)로부터 수신된 전파에 포함되는 부품 정보와 상기 수신 강도를 관련지어 유지하고, 또한 식별 장치(30B)로부터 수신된 전파에 포함되는 부품 정보와 상기 수신 강도를 관련지어 유지한다. 그리고, 리더(15B)에 있어서도 동일한 관련 짓기가 행해지므로,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는, 각각 관련된 식별 장치(30C)의 부품 정보 및 수신 강도와, 각각 관련된 식별 장치(30D)의 부품 정보 및 수신 강도가 포함된다. 그리고, 정보 유지 수단(156)은, 이들 부품 정보와, 대응하는 수신 강도를 포함하는 마스터 측 취득 정보를 유지한다.
정보 판정 수단(157)은, 상기 정보 유지 수단(156)에 유지된 마스터 측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정보 판정 수단(157)은, 유지된 마스터 측 취득 정보에,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인 동일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중복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정보 판정 수단(157)은, 본 발명의 동일 정보 판정 수단에 상당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판정 수단(157)은, 적어도 상기 품번 및 시리얼 번호가 일치하는 부품 정보를, 동일 부품 정보(각각의 피장착 부품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인 EPC가 같은 부품 정보)라고 판정한다. 단, 유압 셔블(1)에 설치되는 상기 식별 장치(30A, 30B, 30C, 30D)가 모두 상이한 품번(종별 정보)이라도, 정보 판정 수단(157)은, 리더(15A)또는 리더(15B)에 의해 읽어들여진 품번에, 일치하는 부품 정보가 있다면,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같은 내용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부품 정보)라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유압 셔블(1)에 설치되는 상기 식별 장치(30A, 30B, 30C, 30D)가 모두 상이한 시리얼 번호(고유 정보)라도, 정보 판정 수단(157)은, 리더(15A) 또는 리더(15B)에 의해 읽어들여진 시리얼 번호에, 일치하는 부품 정보가 있다면,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같은 내용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부품 정보)라고 판정해도 된다.
여기서, 식별 장치(30A, 30B, 30C)는, 각각 1개 이상의 IC 태그(301)를 가진다. 각 IC 태그(301)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는, 1대의 리더(15)가, 복수의 식별 장치(30A, 30B, 30C), 또는 식별 장치(30D)로부터 부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가 있다. 즉, 상이한 내용의 부품 정보가 식별 장치(30)의 각 IC 태그(301)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식별 장치(30)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리더(15)[15A, 15B]에 의해, 1개의 식별 장치(30)로부터 부품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1개의 리더(15)가, 1개의 식별 장치(30)가 가지는 1개의 IC 태그(301)로부터 부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가 있는 것 외에, 복수의 리더(15)의 각각이, 1개의 식별 장치(30)가 가지는 1개의 IC 태그(301)로부터, 같은 식별 정보를 가지는 부품 정보, 즉 동일 부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가 있다. 즉, 리더(15)와 식별 장치(30)와의 통신 상황에 따라서는, 리더(15)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상정된 식별 장치(30)와는 상이한 식별 장치(30)로부터 부품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정보 유지 수단(156)은, 마스터 측 취득 정보에 동일 부품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정보 판정 수단(157)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동일 부품 정보 중, 1개를 남기고 다른 것을 삭제하여, 이들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를 통합하는 정리 처리(통합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므로, 정보 유지 수단(156)에 의해 유지되는 마스터 측 취득 정보에는, 상기 동일 부품 정보가 포함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유지 수단(156)은, 동일 부품 정보인 것으로 판정된 부품 정보 중 1개를 남기고 다른 것을 삭제하고 있지만, 삭제하지 않고,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에 의해 생성되는 송신 정보에 포함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은, 정보 유지 수단(156)에 유지된 마스터 측 취득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은, 상기 정보 판정 수단(157)에 의해 동일 부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정리 처리 후의 마스터 측 취득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은, 상기 수신 판정 수단(155)에 의해, 식별 장치(30A, 30B)의 부품 정보가 취득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자체의 리더(15)[15A]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리더(15)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식별 장치(30)와 통신할 수 없었던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인 에러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은, 상기 수신 판정 수단(155)에 의해,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리더(15B)로부터 정보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정된 경우[즉, 리더(15B)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리더(15)[15B)]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리더(15)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인 에러 정보를 생성한다.
부가하여,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은, 정보 판정 수단(157)에 의해,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리더(15)[15B)]로부터 수신된 정보(즉,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취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컨트롤러(200)에 송신하는 에러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취득된 에러 정보에는, 송신원(送信元)의 리더(15)[15B)]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리더(15)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식별 장치(30)]와 통신할 수 없었던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정보가, 통신 컨트롤러(200)에 송신되는 에러 정보에 포함되게 된다.
정보 송신 수단(159)은,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에 의해 생성된 송신 정보 또는 에러 정보를, 후술하는 통신 컨트롤러(200)에 송신한다. 이 정보 송신 수단(159)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가, 본 발명의 취득 정보에 상당한다.
리더(15B)는, 엔진룸(5A2) 내에 설치되어 있다. 리더(15B)는, 필터(20C)에 장착된 식별 장치(30C), 및 엔진(EG)에 장착된 식별 장치(30D)와 통신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즉, 리더(15B)는, 각각 상기 리더(15B)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상정된 식별 장치(30C, 30D)와 통신한다. 그리고, 리더(15B)는, 리더(15A)에 의한 제어 하에, 식별 장치(30C, 30D)로부터 부품 정보를 판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8은,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리더(15B)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리더(15B)는, 리더(15A)의 일부가 생략된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리더(15B)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상기한 지시 판정 수단(151), 정보 수신 수단(152), 측정 수단(153), 수신 판정 수단(155), 정보 유지 수단(156),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 및 정보 송신 수단(159)을 가진다.
그리고, 리더(15B)의 정보 유지 수단(156)은, 정보 수신 수단(152)에 의해 식별 장치(30C, 30D)로부터 수신된 전파에 포함되는 부품 정보와, 측정 수단(153)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신 강도를 포함하고, 이들이 관련된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를 유지한다.
또한, 리더(15B)의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은, 상기 정보 유지 수단(156)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정보를 생성하고, 정보 송신 수단(159)은, 상기 송신 정보를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리더(15A)에 송신한다. 그리고, 리더(15B)의 송신 정보 생성 수단(158)도, 수신 판정 수단(155)에 의해, 부품 정보의 취득 대상인 식별 장치(30)[30C, 30D]로부터 부품 정보가 취득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에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에러 정보는, 정보 송신 수단(159)에 의해 송신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더(15B)는, 상기 슬레이브 제어 수단(154) 및 정보 판정 수단(157)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리더(15B)가 상기 각 수단(154, 157)을 구비하지만, 상기 각 수단(154, 157)이 기능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들 리더(15)의 상기 정보 수신 수단(152)은, 예를 들면, 900 MHz의 UHF대의 전파를 사용하여 식별 장치(30)가 가지는 IC 태그(301)와 통신한다. 이 주파수대의 전파이면, 1m 정도 이격된 식별 장치(30)[30A, 30B, 30C, 30D]와도 교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펌프룸(5A1)내 및 엔진룸(5A2) 내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독 장치인 리더(15)를 통신 장치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리더(15) 대신에, 식별 장치(30)로부터 정보를 판독할뿐아니라 기입(write)의 기능도 가지는 리더-라이터[읽고쓰기(reading and writing) 장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대의 리더(15)[15A, 15B]가 설치되어 있지만, 리더(15)는, 리더(15A)의 1대만이라도 되고, 리더(15A, 15B)를 포함하는 3대 이상이라도 된다. 리더(15)와 각 식별 장치(30)와의 통신 상태는, 상대(相對) 위치 관계에 따라서 정해지므로, 복수의 리더(15)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높은 확률로 IC 태그(301)에 기억되어 있는 부품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각 컨트롤러의 설명]
작업 차량인 유압 셔블(1)은, 상기 구성의 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컨트롤러(200), 리더(15A, 15B), 엔진 컨트롤러(211), 펌프 컨트롤러(212) 및 모니터 장치(213)와, 이들을 접속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하는 차체 내 네트워크(210)를 구비한다.
엔진 컨트롤러(211)는, 엔진(EG)으로의 연료 공급량을 조정하여, 상기 엔진(EG)의 출력을 제어한다. 펌프 컨트롤러(212)는, 펌프(PN)의 출력을 제어한다.
모니터 장치(213)는, 연료 잔량이나 유압 셔블(1)의 고장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 기능이나, 유압 셔블(1)의 동작 설정 등을 행하는 입력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모니터 장치(213)는, 유압 셔블(1)의 엔진(EG)의 가동 시간을 계시하는 SMR(서비스 미터)가 구비되어 있고, SMR은 모니터 장치(213)에 표시되고, SMR의 정보(누적 가동 시간의 정보)는, 통신 컨트롤러(200),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관리 센터(110)에 송신된다.
통신 컨트롤러(200)는, 후술하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한 관리 센터(110)와의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안테나(201)에 접속된 통신 단말기(202)를 가진다. 이 통신 컨트롤러(200)는, 각 컨트롤러(211, 212) 및 모니터 장치(213)이나, 상기 리더(1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통신 컨트롤러(200)는, 리더(15)로부터 취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외에, 상기 정보를 관리 센터(110)의 관리 서버(111)에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 장치라도 기능한다. 즉, 통신 컨트롤러(200)는, 본 발명의 송신 장치에 상당한다.
따라서, 통신 컨트롤러(200)는, 리더(15)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나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새롭게 리더(15)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와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통신 컨트롤러(200)는, 그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연산 장치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컨트롤러(200)는,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가 도시하지 않은 키스위치를 온에 조작하여 엔진(EG)을 시동(始動)시켰을 때, 리더(15)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리더(15)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키스위치를 액세서리 위치로 조작하여, 통신 컨트롤러(200)이나 리더(15)를 비롯하여로 하는 전자 기기 등이,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로부터 급전된 상태로 하게 하면 된다. 즉, 리더(15)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엔진(EG)을 시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리더(15)가 작동하는 타이밍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컨트롤러(200)에 타이머 기능을 설치하고, 통신 컨트롤러(200)가, 예를 들면, 하루에 1회, 또는 일주일 간에 1회 등, 소정 타이밍으로 되었을 때 리더(15)를 작동시키도록 설정하여 두도록 해도 된다. 즉, 정기적으로 리더(15)를 작동시켜 식별 장치(30)로부터 부품 정보를 취득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오퍼레이터의 조작 지시에 따라 통신 컨트롤러(200)가, 리더(15)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오퍼레이터가 소정의 기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조작했을 때, 통신 컨트롤러(200)가, 그 기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리더(15)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관리 센터(110)의 관리자의 조작 지시에 의해, 통신 컨트롤러(200)가 리더(15)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관리자가 관리 센터(11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소정의 기동 신호를 유압 셔블(1)에 송신하고, 통신 컨트롤러(200)가, 상기 기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 리더(15)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관리자의 조작 지시 대신에, 관리 센터(110)의 관리 서버(111)가, 소정의 주기로 상기 기동 신호를 생성하는 기동 신호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자동적으로 기동 신호가 유압 셔블(1)에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부가하여, 필터 헤드(13A, 13B)에 필터(20A, 20B, 20C)[필터(20C)가 장착되는 필터 헤드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탈착(脫着)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의 출력에 따라 리더(15)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통신 컨트롤러(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더(15)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통신 컨트롤러(200)는, 상기 데이터와 기억이 끝난 데이터를 비교한다.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200)는, 새로운 데이터가 취득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기억이 끝난 데이터를 새롭게 취득한 데이터로 갱신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교 처리는, 후술하는 관리 서버(111)로 행해도 된다.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200)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관리 센터(110)의 관리 서버(111)에 각 식별 장치(30)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일시 데이터, 상기 통신 컨트롤러(200)가 설치된 작업 차량의 종별을 나타내는 차량 종별 정보, 및 상기 작업 차량에 고유의 차량 고유 정보(ID 등)도 맞추어 송신한다. 그러므로, 관리 서버(111)는, 어느 작업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200)에는,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시계 IC를 구비하고, 시계 IC에 의해 일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일시 데이터로서는, 각 리더(15)가 작동한 일시(전파를 발신한 일시), 각 리더(15)가 식별 장치(30)의 데이터를 읽어들인 일시, 및 상기 식별 장치(30)의 데이터를 관리 서버(111)에 송신하는 일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일시 데이터 대신에, 일자 또는 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통신 컨트롤러(200)의 기능을, 다른 컨트롤러(예를 들면, 펌프 컨트롤러(212)나 리더(15)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리더(15)[15A]가 관리 서버(111)에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리더(15)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 및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컨트롤러가 상기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컨트롤러가, 본 발명의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관리 센터의 구성]
관리 센터(1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작업 차량에 의해 취득된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관리 서버(111)를 구비한다.
관리 서버(111)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대용량 기억 장치를 구비한다. 관리 서버(111)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112)나,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통신 가능한 통신 기기(113) 등과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11)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예를 들면, 유압 셔블(1)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부품 정보나 유압 셔블(1)의 누적 가동 시간의 정보 등을 관리 및 기억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11)는, 작업 차량이 가동하는 현장 내에 설치되어도 되고, 작업 차량이 가동하는 현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 설치해도 된다. 관리 서버(111)는, 관리 서버(111)의 관리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이라도 되고, 다른 관리자로서, 예를 들면, 작업 차량을 관리하는 사람, 작업 차량의 보수 점검을 행하는 사람 등이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이라도 된다.
도 9는, 관리 서버(11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11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용량 기억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억 수단(1111)과, 상기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정보 취득 수단(1112), 에러 판정 수단(1113),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 특정 수단(1115), 정보 비교 수단(1116), 갱신 수단(1117), 상태 판정 수단(1118), 기간 산출 수단(1119) 및 통지 수단(1120)을 가진다.
기억 수단(1111)은, 관리 서버(111)에 의한 부품 정보의 관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억 수단(1111)은, 후술하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부품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이 외에, 기억 수단(1111)은, 각각의 작업 차량의 종류마다, 작업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예를 들면, 필터(20)]의 종별 및 수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억하고 있다. 즉, 기억 수단(1111)은, 피장착 부품의 종별 정보와 부품수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다. 작업 차량의 종별이란, 유압 셔블이나 불도저이라는 작업 차량의 종류를 나타낸다. 부품의 종별이란, 예를 들면, 오일 필터나 연료 프리필터라는 부품의 종류를 나타낸다.
또한, 기억 수단(1111)은, 각각의 작업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부품 정보나 수신 강도를 포함하는 취득 정보를, 상기 작업 차량의 차량 고유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그리고, 차량 고유 정보란, 작업 차량마다 부여된 차량의 제조 번호라도 되고, 통신 컨트롤러(200)마다 부여된 시리얼 번호라도 된다. 즉, 차량 고유 정보란, 작업 차량마다 작업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이 때, 기억 수단(1111)은, 수신된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TID와 EPC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관리 서버(111)는, 새롭게 취득된 부품 정보, 즉 IC 태그(301)로부터 판독한 TID와 EPC와의 데이터의 조합을, 이미 기억하고 있는 부품 정보(데이터)와 대조함으로서, 작업 차량의 부품[예를 들면, 필터(20)]이 교환된 것인지의 여부나, 교환된 부품이 순정품(정규품)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대조를 행함으로써, 상기 부품이 작업 차량에 장착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필터(20)의 교환 시기를 관리 서버(111) 측에서 관리할 수 있다.
정보 취득 수단(1112)은, 작업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취득 정보(이하, 서버 취득 정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리더(15A)에서의 처리에 의해, 동일 부품 정보는 통합되므로, 서버 취득 정보에는, 동일 부품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11)(예를 들면, 정보 취득 수단(1112)이, 상기 정리 처리(통합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에러 판정 수단(1113)은, 서버 취득 정보에,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에 의해,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후술하는 통지 수단(1120)에 의해 상기 에러 정보가 통지된다.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상기 서버 취득 정보의 내용을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품번(피장착 부품의 종별 정보)이 같으며 상기 시리얼 번호(피장착 부품의 고유 정보)가 상이한 부품 정보를 동일 종별 부품 정보로 한다. 품번(종별 정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오일 필터나 연료 프리필터라는, 부품의 종류를 나타낸다. 시리얼 번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부품의 제조 번호와 같이, 같은 종류의 부품이라도 상이한 번호로 되는 정보이다.
그리고,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서버 취득 정보에, 작업 차량 내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식별 장치(30)가 장착되는 것이 상정되는 피장착 부품의 수(부품수)보다 많은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수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도 10은, 서버 취득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정보수 판정 처리에서는,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먼저, 서버 취득 정보에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부품(A1, A2)에서는, 종별 정보인 품번은 각각 같지만, 고유 정보인 시리얼 번호가 각각 상이하다. 이들 부품(A1, A2)의 각각의 부품 정보가 작업 차량보다 취득할 수 있었을 경우,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부품(A1)의 부품 정보와 부품(A2)의 부품 정보를 동일 종별 부품 정보로서 취급하여,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는 2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이,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대응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품번에 따른 상기 부품수를 기억 수단(1111)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취득된 부품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에 의해, 취득된 부품수와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되어 있는 부품수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또한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것으로 판정되는 상태는, 예를 들면, 필터 헤드(13A)에 설치된 필터(20A)가 있는 데, 또한 같은 종별의 필터(20A)(필터 헤드(13A)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필터(20A)가 존재하는 상태가 상정된다. 또한,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상기 부품수보다 적은 것으로 판정되는 상태는, 예를 들면, 필터 헤드(13A)에 모방품[식별 장치(3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부품]인 필터, 또는 부적합한 식별 장치(30)가 장착된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상정된다.
구체적으로, 어떤 작업 차량 내에, 실제는, 오일 필터와, 연료 필터와, 연료 프리필터가, 각각 1개씩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피장착 부품의 수(부품수)는 「3」으로 된다. 이 부품수는,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부품(A1∼A4)의 부품 정보가 작업 차량으로부터 취득된 경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는 「4」로 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실제의 피장착 부품의 수(부품수)가 「3」인 것으로 하면, 상기 피장착 부품의 수보다 많은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부품 정보에 포함되게 된다. 오일 필터에만 주목하면, 작업 차량은, 오일 필터는 1개만 탑재되어 있는 사양이기 때문에, 실제의 부품수는 「1」인데 대하여, 부품 정보의 내용에서는, 부품수가 부품(A1, A2)의 「2」로 되도록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서버 취득 정보에 2개의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고, 또한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된, 상정되는 부품수(오일 필터의 수)보다 많은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면,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에 의해 판정된다.
도 9로 복귀하고, 특정 수단(1115)은,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에 의해,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된 부품, 및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 특정 수단(1115)은, 과거에 취득되어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된 수신 강도 중, 동일 종별 부품 정보로서 취급되는 부품의 품번의 부품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된 수신 강도(기억이 끝난 수신 강도)를 취득한다. 그리고, 특정 수단(1115)은, 새롭게 취득한 동일 종별 부품 정보 중, 기억이 끝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 내인 수신 강도와 관련된 동일 종별 부품 정보를,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된 부품[예를 들면, 필터 헤드(13A)에 설치된 필터(20A)]의 부품 정보인 것으로 특정한다. 또한, 특정 수단(1115)은, 상기 소정 범위 밖인 수신 강도와 관련된동일 종별 부품 정보를,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품[예를 들면, 필터 헤드(13A) 근방에 방치된 필터(20A)]의 부품 정보인 것으로 특정한다.
즉, 특정 수단(1115)은, 수신한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동일 종별 부품 정보 중, 관련된 수신 강도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과 같은 종별 정보의 부품 정보에 관련되어 과거에 취득된 수신 강도에 가까운 동일 종별 부품 정보를, 설치 위치에 설치된 부품의 부품 정보로서 특정한다. 또한, 특정 수단(1115)은, 상기 과거에 취득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큰 수신 강도가 관련된 동일 종별 부품 정보를, 설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부품의 부품 정보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이들 특정된 부품 정보는, 후술하는 통지 수단(1120)에서 관리자에게 통지된다. 그리고, 새롭게 취득한 동일 종별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와, 기억이 끝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는, 후술하는 상태 판정 수단(1118)에 의해 실행된다.
여기서, 기억 수단(1111)에 오일 필터(20A)의 식별 장치(30A)의 수신 강도가 「11」로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소정 범위를 ±3 이내로 한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강도 중, 부품(A1)과 관련된 수신 강도는 「10」이며, 부품(A2)과 관련된 수신 강도는 「2」이다. 이로부터, 새롭게 취득된 수신 강도 중, 오일 필터인 부품(A1)과 관련된 수신 강도는,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된 「11」에 대하여 「10」이다. 그러므로, 이들 수신 강도의 차이는 「1」이며, 부품(A1)과 관련된 수신 강도는 상기 소정 범위 내이다. 그러나, 동일하게 오일 필터인 부품(A2)과 관련된 수신 강도는,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된 「11」에 대하여 「2」이다. 그러므로, 이들 수신 강도의 차이는 「9」이며, 부품(A2)과 관련된 수신 강도는 상기 소정 범위 밖이다. 따라서, 부품(A2)(오일 필터)이, 필터 헤드(13A) 근방에 방치되어 있는 것이 추정된다.
그리고, 특정 수단(1115)에 의한 특정 처리에서는, 각각의 동일 종별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의 각각이, 상기 소정 범위 밖으로 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된 부품의 부품 정보를 특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모방품, 또는 부적합한 식별 장치(30)가 장착된 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부품수를 초과하는 수의 순정품[상기 식별 장치(30)가 장착된 부품]이 상기 설치 위치 근방에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된 부품의 부품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외에, 상기 순정품에 장착된 식별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가 상기 소정 범위 밖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로부터,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된 부품을 특정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특정 수단(1115)은, 취득된 부품 정보로부터, 적어도,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부품(상기 설치 위치 근방에 방치되어 있는 순정품), 즉 상기 설치 위치 근방에 방치된 부품의 부품 정보를 특정하고, 후술하는 통지 수단(1120)이, 상기 부품 정보를 통지한다.
도 9로 복귀하고, 정보 비교 수단(1116)은,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에 의해 서버 취득 정보에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및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상기 부품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기능한다. 이 정보 비교 수단(1116)은,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부품 정보(새롭게 취득된 부품 정보)의 각각과, 기억 수단(1111)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부품 정보(대응하는 차량 고유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된 부품 정보)의 각각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비교 수단(1116)은, 같은 품번의 부품 정보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번호가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부품 정보와 기억이 끝난 부품 정보로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각 부품 정보는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시리얼 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각 부품 정보는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갱신 수단(1117)은, 정보 비교 수단(1116)에 의해 각 부품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새롭게 취득된 부품 정보로,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된 부품 정보를 갱신한다. 이 때, 갱신 수단(1117)은, 각 부품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되는 수신 강도도 갱신한다. 이로써, 최신의 부품 정보가 수신 강도와 관련되어 관리 서버(111)에 유지(기억)된다.
상태 판정 수단(1118)은, 정보 비교 수단(1116)에 의해, 각 부품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각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각 부품의 배치 상태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정 수단(1118)은, 다음과 같은 판정을 실행한다.
상태 판정 수단(1118)은,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고, 또한 각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와,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되고, 또한 대응하는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 내(소정의 오차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판정 처리는, 각각의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가, 미리 상정되는 소정 범위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소정 범위로서는,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된 순정품에 장착된 식별 장치(30)로부터 발진(發振; oscillation)되는 전파에 대하여 상정되는 수신 강도를 중심으로 하고, 환경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변동(오차)를 포함하는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 범위의 폭은, 미리 실험이나 시험 등을 행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정 수단(1118)은, 상기 제1 판정 처리에 의해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한 상태가 계속하고 있는 기간이 소정 기간을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상기 모방품, 또는 부적합한 식별 장치(30)가 장착된 피장착 부품(이하, 모방품 등이라고 총칭함)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 위치 근방에 상기 순정품이 배치(방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순정품에 장착된 식별 장치(30)로부터 부품 정보가 취득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아무런 대응도 실행하지 않으면, 상기 설치 위치에 순정품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치 위치 근방의 위치에 놓여진 순정품으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는, 과거에 정확한 설치 위치에 설치된 순정품의 식별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전파의 수신 강도와는 상이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강도는 환경 요인에 의해서도 일시적으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어느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수신 강도가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기간이 비교적 긴 기간에 설정된 소정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설치 위치에 순정품은 아니고 상기 모방품 등이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의심된다. 그러므로, 상태 판정 수단(1118)은, 그와 같은 가능성을 환기하기 위해, 상기 제2 판정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한 상태가 계속하고 있는 기간이 소정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후술하는 통지 수단(1120)이 에러 정보(제2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기간 산출 수단(1119)은, 상태 판정 수단(1118)에 의한 상기 제1 판정 처리에 의해, 상기 수신 강도의 차이가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계속 기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기간 산출 수단(1119)은, 상기 제1 판정 처리에 의해 상기 소정 범위를 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될 때마다, 전회 취득된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일시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일시와, 이번 취득된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일시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일시와의 차분 기간을 계속 기간에 가산한다. 또한, 기간 산출 수단(1119)은, 상태 판정 수단(1118)에 의한 상기 제1 판정 처리에 의해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계속 기간을 초기화한다.
이와 같은 기간 산출 수단(1119)에 의해 산출되는 계속 기간은, 부품마다, 즉 상기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 정보마다 행해진다.
통지 수단(1120)은, 관리 서버(111)의 관리자, 유압 셔블(1)의 관리자, 유압 셔블(1)의 보수 점검을 행하는 사람이라는 관리자 등에 각종 정보를 통지한다. 이 통지는, 이들 관리자 등 중 어느 하나에 행해져도 되고, 복수의 관리자 등에 대하여 행해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지 수단(1120)은, 관리 서버(111)에 접속된 표시 장치(112)에 정보를 표시시킴으로써, 관리자 등으로의 통지를 실행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에서 관리자 등에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111)로부터 관리자 등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 등에 각종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통지 수단(1120)은, 예를 들면, 상기 에러 판정 수단(1113)에 의해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에러 정보를 통지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리더(15)에 문제점이 생기고 있는 경우나, 상기 리더(15)에 의해 부품 정보가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의 에러 내용을 관리자 등에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에러 내용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에러 정보(제1 이상 정보, 제2 이상 정보)의 통지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또한, 통지 수단(1120)은, 특정 수단(1115)에 의해 특정된 부품 정보와,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품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제1 이상 정보)를 통지한다. 이로써, 어떠한 부품이 적절한 설치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것인지를 관리자 등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통지 수단(1120)은, 상태 판정 수단(1118)에 의해 상기 계속 기간이 소정 기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소정 기간을 초과한 계속 기간와 관련된 부품 정보와, 설치 위치에 설치된 피장착 부품이 벗겨져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 또는 설치 위치에 설치될 피장착 부품이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제2 이상 정보)를 통지한다. 이로써,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모방품 등이 설치되고, 순정품이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을 관리자 등에 인식시킬 수 있다.
[관리 서버에 의한 부품 정보 관리 처리]
도 11은, 상기 관리 서버(111)에 의해 실행되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관리 서버(111)는, 상기 부품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부품의 부품 정보를 관리자 등에 통지한다. 이 부품 정보 관리 처리는, 본 발명의 부품 정보 관리 방법으로 나타내는 수순을 포함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품 정보 관리 처리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관리 서버(111)의 정보 취득 수단(1112)이, 상기 유압 셔블(1) 등의 작업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서버 취득 정보)를 수신 및 취득한다(스텝 S1).
다음에, 에러 판정 수단(1113)이, 취득된 정보(서버 취득 정보)에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이 스텝 S2의 판정 처리에 의해, 에러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2, YES), 통지 수단(1120)이, 상기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에러 내용을 통지한다(스텝 S3).
이 스텝 S3 후에, 관리 서버(111)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의 판정 처리에 의해,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2, NO),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이, 서버 취득 정보에 동일 종별 부품 정보로서 취급되는 부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
이 스텝 S4의 판정 처리에 의해,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4, NO), 관리 서버(111)는, 처리를 스텝 S9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4의 판정 처리에 의해,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4, YES),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된 상기 부품수[작업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와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 수단(1111)으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피장착 부품의 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
이 스텝 S5의 판정 처리에 의해,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부품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5, YES), 관리 서버(111)는, 처리를 스텝 S9로 이행한다.
스텝 S5의 판정 처리에 의해,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부품수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5, NO),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은, 또한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이 스텝 S6의 판정 처리에 의해, 작업 차량으로부터 새롭게 취득된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 쪽이,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되어 있는 부품수보다 적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6, NO), 관리 서버(111)는, 처리를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S3에 의해, 통지 수단(1120)이, 해당하는 작업 차량이 적절한 수의 부품 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던 취지의 정보와, 모방품, 또는 부적합한 식별 장치(30)가 장착된 부품이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취지의 정보를 통지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11)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6의 판정 처리에 의해,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 쪽이 많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6, YES), 특정 수단(1115)이,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적절한 설치 위치에 설치된 부품의 부품 정보, 및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품의 부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특정한다(스텝 S7).
이 후, 통지 수단(1120)이, 특정된 부품 정보와, 상기 제1 이상 정보를 통지한다(스텝 S8).
이 스텝 S8 후에, 관리 서버(111)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S5에 의해,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부품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스텝 S5, YES), 부품 정보 관리 처리는, 스텝 S9으로 진행한다.
스텝 S9에서는, 정보 비교 수단(1116)이,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각 부품 정보가, 대응하는 기억이 끝난 부품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9).
이 스텝 S9의 판정 처리에 의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9, NO), 갱신 수단(1117)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부품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부품에 대한 기억이 끝난 부품 정보가 갱신된다(스텝 S10).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갱신 수단(1117)은, 각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도 갱신한다.
이 스텝 S10 후에, 관리 서버(111)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9의 판정 처리에 의해,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9, YES), 상태 판정 수단(1118)이, 상기 제1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1). 즉, 스텝 S11에서는,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고, 또한 각 부품 정보와 관련된 각 수신 강도와, 상기 부품 종류별에 따라 이미 기억되어 있는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상기 소정 범위(소정의 오차 범위)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상태 판정 수단(1118)이 판정한다.
이 스텝 S11의 판정 처리에 의해, 상기 차이가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1, NO),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수신 강도에 따른 계속 기간(후술하는 스텝 S13에서 카운트되는 계속 기간)은, 기간 산출 수단(1119)에 의해 초기화된다(스텝 S12). 즉, 스텝 S12에서는, 기간 산출 수단(1119)이, 해당하는 계속 기간을 「0」으로 한다.
그리고, 스텝 S11의 판정 처리에 의해, 모든 수신 강도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2 후에, 관리 서버(111)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1의 판정 처리에 의해, 상기 차이가 상기 소정 범위를 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1, YES),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정된 수신 강도에 대응하는 계속 기간에, 기간 산출 수단(1119)에 의해 상기 차분(差分) 기간이 가산되고, 상기 계속 기간이 카운트된다(스텝 S13).
이 후, 상태 판정 수단(1118)은, 소정 기간을 초과한 계속 기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상기 제2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4).
이 스텝 S14의 판정 처리에 의해, 소정 기간을 초과한 계속 기간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4, NO), 관리 서버(111)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4의 판정 처리에 의해, 소정 기간을 초과한 계속 기간이 존재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즉 상기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나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 기간 계속된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4, YES), 통지 수단(1120)이, 대응하는 부품 정보와, 상기 제2 이상 정보를 통지한다(스텝 S15).
이 스텝 S15 후에, 관리 서버(111)는,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품 정보 관리 처리를 관리 서버(111)가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이하의 경우에, 이상 정보가 통지된다.
상기 유압 셔블(1)에 있어서, 상기 오일 필터인 필터(20A)가 설치되는 필터 헤드(13A) 근방에, 상기 필터(20A)와 동종으로 순정품의 필터(이하, 방치 필터이라고 함 경우가 있음)가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방치 필터는, 사용이 끝난 순정품 필터, 또는 미사용의 순정품 필터의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리더(15A)에 의해, 필터(20A) 및 방치 필터의 각각에 장착된 식별 장치(30)로부터, 상기 품번이 같으며 시리얼 번호가 상이한 부품 정보가 취득된다. 이들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 정보(서버 취득 정보)가 관리 서버(111)에 의해 취득되면, 상기 서버 취득 정보에 에러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수신 정보에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2개 포함된 것으로 판정된다.
여기서, 유압 셔블(1)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오일 필터의 수는, 실제로는 「1」이므로, 관리 서버(111)가 취득한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는 오일 필터의 수보다 많은 것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 필터(20A) 및 방치 필터의 각 부품 정보(동일 종별 부품 정보) 중, 과거에 오일 필터의 식별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전파의 수신 강도에 가까운 수신 강도와 관련된 부품 정보가, 필터 헤드(13A)에 설치된 필터의 부품 정보인 것으로 특정되고, 다른 부품 정보는, 방치 필터의 부품 정보인 것으로 특정된다. 그러므로, 필터 헤드(13A)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는 필터(20A)인 것으로 특정되고, 필터 헤드(13A) 근방에 방치되어 있는 필터는 상기 방치 필터인 것으로 특정된다. 그리고, 통지 수단(1120)에 의해, 필터(20A)가 필터 헤드(13A)에 설치되고, 상기 방치 필터가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취지의 정보(제1 이상 정보)가 통지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필터 헤드(13A)에 순정품이 아닌 필터[필터(20A)와 같은 종별이지만, 식별 장치(3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필터, 또는 부적합한 식별 장치(30)가 장착되어 있는 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필터 헤드(13A) 근방에 사용이 끝난 또는 미사용의 필터(20A)가 복수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부품수보다 많은 것으로 되지만, 모방품 등으로부터는 부품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그러므로, 필터 헤드(13A)에 설치된 필터는 특정되지 않고, 상기 필터 헤드(13A) 근방에 방치된 각각의 필터(20A)가 특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필터(20A)가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취지의 정보가 통지된다.
이와 같이,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대응하는 부품수보다 많은 경우, 적어도 방치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부품의 부품 정보와, 상기 부품이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게 된다.
또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모방품 등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순정품이 배치(방치) 될 가능성이 상정된다. 상기 유압 셔블(1)의 경우, 예를 들면, 필터 헤드(13A)에 상기 모방품 등이 설치되고, 상기 필터 헤드(13A) 근방에 단수의 필터(20A)가 배치될 가능성이 상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리더(15A)에 의해, 필터(20A)의 부품 정보가 취득되는 것이 상정되어 아무런 대응도 실행하지 않으면, 필터 헤드(13A)에 순정품의 필터(20A)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필터 헤드(13A)에 필터(20A)가 설치된 경우에 식별 장치(30A)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와, 상기 필터 헤드(13A) 근방에 필터(20A)가 배치된 경우에 식별 장치(30A)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는, 각각의 수신 강도의 크기가 상이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강도는 환경 요인에 의해서도 일시적으로 변화한다. 이로부터, 단지 식별 장치(30A)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변동한 것을 가지고, 필터(20A)가 필터 헤드(13A)와는 상이한 위치(부적합한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는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취득된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와, 상기 부품 정보에 대응하고, 또한 과거에 취득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계속 기간이, 소정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 강도의 변화는, 환경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필터(20A)가 필터 헤드(13A)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필터(20A)는 적절한 설치 위치[예를 들면, 필터 헤드(13A)]에 설치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취지의 정보(제2 이상 정보)가 통지되게 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에 의해, 취득된 서버 취득 정보에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가, 대응하는 부품으로서 실제의 작업 차량의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야 할 부품의 수보다 많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통지 수단(1120)에 의해 상기 제1 이상 정보가 통지된다. 이에 따르면, 관리 서버(111)의 관리자 등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방치된 부품이 존재할 가능성을 알릴 수가 있다.
작업 차량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의 수(부품수)는, 상기 작업 차량의 종류마다, 미리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되어 있다. 그러므로, 취득 정보 판정 수단(1114)이, 작업 차량으로부터 취득한 동일 종별 부품 정보의 수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수를 용이하고 또한 적절히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장착 부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적절히 판정할 수 있다.
통신 장치로서의 리더(15)의 측정 수단(153)이, 식별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고, 송신 장치로서의 통신 컨트롤러(200)가, 부품 정보 및 수신 강도가 관련된 취득 정보를 관리 서버(111)에 송신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11)에서는, 취득된 서버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강도, 및 과거에 취득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특정 수단(1115)이,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품의 부품 정보를 특정한다. 그리고, 통지 수단(1120)이, 특정된 부품 정보를, 상기 제1 이상 정보와 함께 통지한다. 이에 따르면, 방치된 부품이 존재하는 것뿐아니라,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방치된 부품의 부품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부품이 방치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용이 끝난 부품, 또는 미사용의 부품이, 실제는 방치되어 있는 데,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오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한 피장착 부품의 교환 시기의 관리나 불필요한 부품의 회수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111)에서는, 상태 판정 수단(1118)에 의해, 취득된 수신 강도와, 이전에 취득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계속 기간이 소정 기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통지 수단(1120)에 의해 상기 제2 이상 정보를 통지한다. 이에 따르면, 설치 위치에 설치된 피장착 부품이 분리되고, 상기 설치 위치 근방에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 또는 미사용의 피장착 부품이 상기 설치 위치 근방에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을 관리자 등에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장착 부품의 교환 시기 등의 관리나 불필요한 피장착 부품의 회수 관리 등을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유압 셔블(1) 등의 작업 차량과, 관리 센터(110)와, 이들을 무선으로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작업 차량에 설치되는 교환 부품 등의 부품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상기 작업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관리 센터(110)에서 관리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종별 정보로서의 품번과, 고유 정보로서의 피장착 부품[예를 들면, 필터(20)]의 시리얼 번호가 각각 일치하는 부품 정보를,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인 동일 부품 정보로 하고, 종별 정보로서의 품번이 같으며, 또한 고유 정보로서의 피장착 부품의 시리얼 번호가 상이한 부품 정보를, 동일 종별 부품 정보로서 취급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른 정보에 의해,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인지의 여부, 및 같은 종별의 부품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고유 정보로서는, 상기 TID와 같은 식별 장치(30) 또는 IC 태그(301)에 고유의 고유 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피장착 부품마다 품번 및 TID의 조합이 판명되어 있으면, 상기 조합에 의해, 같은 종별의 피장착 부품에 있어서 각각의 피장착 부품을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품번이 같으며 TID가 상이한 부품 정보를 동일 종별 부품 정보로 해도 된다. 또한, 종별 정보도 품번에 한정되지 않고, 부품 이름 등이라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종별 정보(품번) 또는 고유 정보(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한쪽이 일치하는 부품 정보를,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동일 부품 정보)인 것으로 판정해도 된다. 즉, 1대의 작업 차량[유압 셔블(1)]에 있어서, 식별 장치(30)가 장착된 복수의 부품이, 상이한 부품인 경우, 종별 정보는, 각 식별 장치(30)와 상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리더(15A, 15B)에서 같은 종별 정보의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이들은 동일한 부품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정보는, 통상, 부품마다 상이하므로, 리더(15A, 15B)에서 같은 고유 정보의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이들은 동일한 부품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에 따라서는, 같은 종별의 피장착 부품이 작업 차량 내에 복수 설치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기억 수단(1111)이, 작업 차량마다 피장착 부품의 수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종 다른 피장착 부품의 수가 미리 소정수(예를 들면, 「1」)로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다면, 기억 수단(1111)에 기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특정 수단(1115)이, 대응하는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 중,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장착 부품의 부품 정보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지 수단(1120)이 상기 제1 이상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면 되고,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장착 부품의 부품 정보(특정된 부품 정보)에 대해서는 통지 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태 판정 수단(1118)에 의해, 각 부품 정보와 관련된 수신 강도와, 대응하는 부품 정보에 관련 짓고, 또한 과거에 취득된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통지 수단(1120)이, 상기 제2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통지 처리는 실시하지 않고, 각각의 수신 강도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제2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수신 강도의 차이가 아니고, 취득된 수신 강도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제2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식별 장치(30A, 30B, 30C)는, 1개 이상의 IC 태그(301)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즉, 식별 장치(30A, 30B, 30C)는, 식별 장치(30D)와 같이, 1개의 IC 태그(301)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복수의 IC 태그(301)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작업 차량이 가지는 식별 장치(30)의 수, 즉 상기 식별 장치(30)가 장착되는 피장착 부품의 수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부품으로서의 IC 태그(301)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상기 IC 칩(35)을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식별 장치(30A, 30B, 30C)는, 필터(20A, 20B, 20C)에 각각 장착되고, 식별 장치(30D)는, 엔진(EG)에 장착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식별 장치(30)가 장착되는 피장착 부품은, 적절히 변경 또는 추가해도 되고, 작업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장치나 조립품을 포함함)이면, 교환 가능하게 설치된 교환 부품이라도, 교환 부품이 아니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리더(15A)는, 기계실(5A)에서의 펌프룸(5A1) 내에 배치되고,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리더(15B)는, 기계실(5A)에 있어서 펌프룸(5A1)과 격벽(5A3)을 통하여 구분되는 엔진룸(5A2)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작업 차량에 있어서, 리더(15)가 배치되는 부위는, 기계실(5A) 내에 한정되지 않고, 교환 부품과 함께 분리(detach)되는 식별 장치(30)와 통신 가능한 위치에 리더(15)가 배치되면 된다. 또한, 마스터가 배치되는 부위와, 슬레이브가 배치되는 부위는, 나누어져[예를 들면, 격벽(5A3)]에 의해 칸막이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더(15A)의 수신 판정 수단(155)은, 리더(15B)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 상기 리더(15B)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른 지표에 기초하여, 리더(15B)의 동작 상태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엔진룸(5A2) 내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리더(15)의 허용 온도 범위 밖인 경우에, 리더(15B)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더(15A)가 부품 정보를 수신 및 취득한 후, 지시 정보를 출력하여, 리더(15B)에 부품 정보를 수신 및 취득하게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리더(15B)가 부품 정보를 취득한 후에,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리더(15A)가 부품 정보를 취득하는 순서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셔블(1)은, 2대의 리더(15)를 구비하고, 리더(15A)는, 마스터로서 기능하여,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리더(15B)를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들 리더(15)의 수는, 2대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리더(15B)는, 다른 리더(15)[15A]에 의해 제어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리더(15)는, 작업 차량에 1대만 설치해도 된다. 식별 장치가 장착된 피장착 부품의 수가 적은 경우나, 피장착 부품이 좁은 범위에 모여 있는 경우 등에서는, 1대의 리더(15)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모든 피장착 부품의 식별 장치로부터 부품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리더(15)는, 취득한 부품 정보에, 식별 정보가 같은 부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정리 처리(통합 처리)를 행해도 되고, 또한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더(15B)는, 정보 판정 수단(157)을 가지고 있지 않고, 상기 리더(15B)의 정보 유지 수단(156)은, 상기 정리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리더(15B)도 정보 판정 수단(157)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정보 판정 수단(157)에 의해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 동일 부품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리더(15B)의 정보 유지 수단(156)이, 상기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동일 부품 정보를 통합하는 상기 정리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리더(15B)에서는,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상정한 식별 장치(30), 또는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 않은 식별 장치(30)로부터 취득된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 예를 들면, 어떤 필터(20)에 같은 부품 정보가 기억된 식별 장치(30)가 있었기 때문에,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가 취득되어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는 통합된다. 그러므로,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가 각각 취득된 경우에는, 상기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는 통합되어 통합 후의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가 리더(15A)에 송신된다. 한편,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유지된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가 리더(15A)에 송신된다.
이에 따르면, 리더(15A)에 송신되는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 같은 내용의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를 처리하는 리더(15A)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 외에,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의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리더(15A)에 송신되는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리더(15B)가 상기 판정 처리 및 정리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마스터로서의 리더(15A)가 가지는 정보 판정 수단(157)은, 수신된 슬레이브 측 취득 정보에 대하여 상기 중복 판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리더(15A, 15B)의 각각의 통신 범위가 확실하게 중첩되지 않는 것이면, 리더(15A)의 정보 판정 수단(157)이, 상기 리더(15A)에 의해 식별 장치(30)로부터 취득된 부품 정보에 대하여만 상기 중복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리더(15A)나 리더(15B)가 상기 중복 판정 처리 및 상기 정리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통신 컨트롤러(200) 및 관리 서버(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중복 판정 처리 및 상기 정리 처리(통합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의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유압 셔블(1)에 설치되는 식별 장치(30)[30A, 30B, 30C, 30D], 리더(15)[15A, 15B] 및 통신 컨트롤러(200), 관리 서버(111), 이들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리더(15B)는 취득한 부품 정보를 리더(15A)에 송신하고, 리더(15A)는, 리더(15B)로부터 수신한 부품 정보와, 스스로가 취득한 부품 정보를, 통신 컨트롤러(200)에 송신한다. 이 통신 컨트롤러(200)가, 수신한 부품 정보에 같은 식별 정보의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하고,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같은 식별 정보의 부품 정보를 통합하고, 통합된 부품 정보를 관리 서버(111)에 송신해도 된다. 또는, 통신 컨트롤러(200)를 통하여 리더(15A, 15B)에 의해 취득된 부품 정보를 수신한 관리 서버(111)가, 상기 부품 정보에 같은 식별 정보의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하고,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같은 식별 정보의 부품 정보를 통합해도 된다.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200)의 기능을 리더(15A)가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더(15A)로부터 직접 관리 서버(111)에 부품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셔블(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작업 차량을 구성하는 교환 부품의 방치를 관리자 등에 통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점포나 시설 등에 배치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작업 차량은, 유압 셔블(1)에 한정되지 않고, 휠 로더나 불도저,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덤프 트럭과 같은 건설 기계나, 포크리프트(forklift)와 같은 산업 차량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작업 차량 내에 설치 또는 배치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작업 차량), 13A, 13B: 필터 헤드(설치 위치), 15[15A, 15B]: 리더(통신 장치), 20[20A, 20B, 20C]: 필터(피장착 부품), 30[30A, 30B, 30C, 30D]: 식별 장치, 100: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110: 관리 센터, 111: 관리 서버(관리 장치), 120: 통신 네트워크, 153: 측정 수단, 200: 통신 컨트롤러(송신 장치, 301: IC: 태그(식별 부품), 1111: 기억 수단, 1114: 취득 정보 판정 수단, 1115: 특정 수단, 1118: 상태 판정 수단, 1120: 통지 수단.

Claims (7)

  1.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被)장착 부품에 장착되고, 상기 피장착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부품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장치;
    상기 식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부품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취득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취득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 정보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 및
    같은 종별의 상기 피장착 부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피장착 부품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수신한 상기 취득 정보에, 상기 종별 정보가 같으며 상기 고유 정보가 상이한 상기 부품 정보인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수인 부품수보다 많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취득 정보 판정 수단; 및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이, 상기 취득 정보에,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이상(異常)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종별 정보와 상기 부품수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상기 부품수를 취득하여, 상기 취득 정보에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부품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신 강도와, 상기 전파에 포함되는 상기 부품 정보가 각각 관련된 상기 취득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이, 상기 취득 정보에,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와 관련된 상기 수신 강도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과거에 취득된 상기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 밖인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를,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기 피장착 부품의 상기 부품 정보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이상 정보와 함께,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부품 정보를 통지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4.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에 장착되고, 상기 피장착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부품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장치;
    상기 식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부품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부품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부품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 정보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부품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신 강도와, 상기 전파에 포함되는 상기 부품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취득한 상기 부품 정보와 상기 수신 강도를 관련 짓고, 취득한 상기 수신 강도와, 취득한 상기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피장착 부품에 대하여 과거에 취득된 상기 수신 강도와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상태 판정 수단; 및
    상기 차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된 것으로 상기 상태 판정 수단이 판정하면,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송신 장치를 구비한 작업 차량(work vehicle);
    상기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센터; 및
    상기 작업 차량 및 상기 관리 센터를 무선으로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6. 작업 차량;
    관리 센터; 및
    상기 작업 차량 및 상기 관리 센터를 무선으로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차량은,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필터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를 식별하기 위한 부품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장치;
    상기 식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부품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부품 정보를 포함하는 취득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센터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취득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정보는,
    상기 필터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 및
    같은 종별의 상기 필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필터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종별 정보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필터의 수인 부품수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종별 정보가 같으며 상기 고유 정보가 상이한 상기 부품 정보인 동일 종별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부품수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수신한 상기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취득 정보 판정 수단; 및
    상기 취득 정보 판정 수단이,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상기 취득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7. 부품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정보는,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피장착 부품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 및
    같은 종별의 상기 피장착 부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피장착 부품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종별 정보가 같으며 상기 고유 정보가 상이한 상기 부품 정보인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피장착 부품의 수인 부품수보다 많이 취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수보다 많은 상기 동일 종별 부품 정보가 취득된 것으로 판정되면, 이상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품 정보 관리 방법.
KR1020177024366A 2015-03-30 2015-03-30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 KR20170109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0021 WO2016157392A1 (ja) 2015-03-30 2015-03-30 部品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情報管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035A true KR20170109035A (ko) 2017-09-27

Family

ID=5700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366A KR20170109035A (ko) 2015-03-30 2015-03-30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40174A1 (ko)
EP (1) EP3279856A4 (ko)
JP (1) JP6513790B2 (ko)
KR (1) KR20170109035A (ko)
CN (1) CN107533731A (ko)
WO (1) WO2016157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3773B2 (en) * 2017-03-06 2022-01-04 Cummins Filtration Ip, Inc. Genuine filter recognition with filter monitoring system
JP6856467B2 (ja) * 2017-07-14 2021-04-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11183260B (zh) * 2017-10-05 2023-02-03 沃尔沃建筑设备公司 具有附接装置的工程机械和用于监控附接装置的附接状态的系统
JP7154058B2 (ja) * 2018-07-27 2022-10-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部品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管理方法
WO2020049740A1 (ja) * 2018-09-07 2020-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方法および位置特定プログラム
US11367320B2 (en) 2019-09-24 2022-06-21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art identification
KR102551833B1 (ko) * 2020-12-21 2023-07-06 주식회사 젠트로피 지능형 차량 부품의 유지 보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3052277A (zh) * 2021-03-16 2021-06-29 中国广核电力股份有限公司 核电设备故障提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7365448B1 (ja) * 2022-03-31 2023-10-19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及び部品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9524B2 (ja) * 2004-03-23 2010-01-20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交換部品識別装置
JP4983017B2 (ja) * 2005-12-21 2012-07-2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非接触情報記憶装置内の情報にアクセスする方法
US8810364B2 (en) * 2006-07-11 2014-08-19 Komatsu Ltd. System for monitoring component of operating machine
JP4863801B2 (ja) * 2006-07-21 2012-01-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部品監視装置
US20080059339A1 (en) * 2006-08-31 2008-03-06 Gualandri J Joseph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ttachments
JP5455401B2 (ja) * 2009-03-13 2014-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所在管理システム
JP2012027628A (ja) * 2010-07-22 2012-02-09 Shimizu Corp 医療機器管理システム
WO2012116408A1 (en) * 2011-03-01 2012-09-07 Encore Automation Pty Ltd Detection system
JP5607125B2 (ja) * 2012-09-28 2014-10-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部品監視装置及び作業機械の部品監視方法
WO2015040716A1 (ja) * 2013-09-19 2015-03-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通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JP5669921B2 (ja) * 2013-11-20 2015-02-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所在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0174A1 (en) 2018-02-08
CN107533731A (zh) 2018-01-02
EP3279856A1 (en) 2018-02-07
JP6513790B2 (ja) 2019-05-15
JPWO2016157392A1 (ja) 2018-01-25
EP3279856A4 (en) 2018-12-05
WO2016157392A1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9035A (ko)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부품 정보 관리 방법
KR101944029B1 (ko) 부품 정보 관리 시스템
CN104036359B (zh) 车队管理系统
CN101512614A (zh) 作业机械的部件监视系统
US999192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work vehicle
CN102574528A (zh) 可与车队管理系统一起使用的撞击感应
CN109426869B (zh) 工程机械的消耗品维护日程信息调整服务器及方法
KR101949178B1 (ko) 통신 시스템 및 작업 차량
JP6479686B2 (ja) 識別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作業車両
JP5677216B2 (ja) 作業機の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966765B1 (ko) 식별 정보 취득 시스템 및 작업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