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427A -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427A
KR20170108427A KR1020160032294A KR20160032294A KR20170108427A KR 20170108427 A KR20170108427 A KR 20170108427A KR 1020160032294 A KR1020160032294 A KR 1020160032294A KR 20160032294 A KR20160032294 A KR 20160032294A KR 20170108427 A KR20170108427 A KR 20170108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hamber
mold
curved glass
vacuum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솔
송미연
김상학
김원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427A/ko
Publication of KR2017010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4Pressing laminated glass articles or glass with metal inserts or enclosures, e.g. wires, bubbles, coloured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05Pressing under special atmospheres, e.g. inert, reactive, vacuum, cle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유리에 평판 소자를 접합한 접합품을 형성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A LAMINATE APPARATUS FOR A CURVED GLASS AND A LAMINAT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곡유리에 평판 소자를 접합한 접합품을 형성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자동차용 등의 유리에 평판 소자가 결합된 접합품은 상기 유리에 접합 필름, 평판 소자 등을 올린 뒤, 라미네이트(laminate) 장치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71597호는 태양 전지 모듈을 백 시트(back sheet) 및 글래스(glass)에 부착한 뒤, 이를 가압 및 가열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하는 라미네이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라미네이트 장치를 평판 유리에 평판 소자를 접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유리에 평판 소자를 접합하는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곡유리가 상기 라미네이트 장치에 의해 가압되어 평편해진 상태에서 평판 소자가 접합되는데, 냉각 과정에서 곡유리가 다시 원래의 곡률을 가지는 상태로 회복하기 때문에 곡유리와 평판 소자 간의 이격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만든 곡유리의 접합품은 외부의 충격에 굉장히 취약하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71597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접합품의 베이스가 되는 곡유리의 곡률에 맞게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 장치 및 라미네이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품이 냉각될 때까지 접합품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 장치 및 라미네이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는 곡유리 및 평판소자가 안착되는 금형, 상기 금형이 공급되는 파우치(pouch), 상기 파우치가 공급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에 열을 가하는 히터 및 상기 파우치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상기 파우치가 상기 금형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곡유리 및 평판소자가 접합되는 동안 상기 파우치가 상기 금형을 계속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일면에 곡유리의 곡률과 같은 원주를 갖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평판소자는 태양전지 모듈, 전기 변색 소자 또는 열전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 시트부, 상기 시트부를 복수의 위치에서 접합한 밀봉부, 상기 금형의 출입을 위한 개방된 공간인 개구부, 상기 금형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인 수용부 및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밀봉부에 관통 형성된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개구부가 점착되어 상기 파우치가 밀봉된 뒤, 상기 제1진공펌프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시트부가 상기 금형을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상기 공기 배출부를 밀봉하여 상기 파우치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제2진공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파우치를 상기 챔버에 공급 및 취출하는 운송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방법은 (1) 금형에 곡유리 및 평판소자를 안착시키고 상기 금형을 파우치에 공급하는 단계, (2) 상기 파우치를 밀봉한 뒤, 제1진공펌프로 상기 파우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파우치가 상기 금형을 가압하도록 하는 단계, (3) 상기 파우치가 상기 금형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파우치를 챔버에 공급하는 단계, (4) 상기 챔버에 설치된 히터로 상기 파우치에 열을 가하는 단계, (5)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파우치를 취출하는 단계 및 (6) 상기 파우치를 개방한 뒤, 상기 금형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파우치를 상기 챔버에 공급한 뒤, 제2진공펌프로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된 가압부재가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운송수단을 통해 상기 챔버에 공급 및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라미네이트 장치 및 라미네이트 방법에 따르면 곡유리와 평판 소자 간에 이격이 발생하지 않아 내충격성이 뛰어난 접합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라미네이트 장치 및 라미네이트 방법에 따르면 연속 공정으로 높은 품질의 접합품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곡유리에 평판 소자를 접합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한 라미네이트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면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곡유리에 평판 소자를 접합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라미네이트 장치는 챔버(80), 챔버(80)에 설치되어 챔버(80)에 공급되는 접합품(90)을 가압하는 가압부재(81), 챔버(80)에 설치되어 상기 접합품(90)에 열을 가하는 히터(82), 챔버(8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가압부재(81)가 상기 접합품(9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의 (a)와 같이 히터(82)에 의해 고온으로 유지되고 있는 챔버(80)로 곡유리에 접합필름과 평판 소자를 순서대로 올린 접합품(90)을 공급한다.
그 후 상기 챔버(80) 내부의 공기를 진공펌프로 제거하면 도 1의 (b)와 같이 가압부재(81)가 내려와 상기 접합품(90)을 가압한다. 이 때 곡유리는 상기 가압부재(81)에 의해 곡률이 펴진 상태가 된다. 곡유리, 접합필름 및 평판 소자는 히터(82)에 의한 열, 가압부재(81)에 의한 압력을 받으며 접합된다.
접합이 완료되면 진공펌프의 작동을 멈춰 도 1의 (c)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81)가 올라가게 한 뒤, 상기 접합품(90)을 상기 챔버(80)로부터 배출하여 냉각한다. 상기 접합품(90)에 대한 압력이 없어짐에 따라 상기 곡유리는 원래의 곡률로 복귀하는데, 상기 접합품(90)의 급속 냉각과 맞물려 도 1의 (d)와 같이 곡유리와 평판 소자 간 이격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한 접합품(90)은 충격에 굉장히 취약하여 자동차 등 곡유리가 많이 사용되는 산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일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유리 및 평판소자 등의 접합품(90)이 안착되는 금형(10), 상기 금형(10)이 공급되는 파우치(pouch, 20), 상기 파우치(20)가 공급되는 챔버(30), 상기 챔버(30)에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20)에 열을 가하는 히터(40), 상기 파우치(2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진공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는 곡유리에 평판 소자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평판 소자는 태양 전지 모듈, 전기 변색 소자, 열전 모듈 등 일 수 있다.
상기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는 곡유리, 평판 소자 등으로 구성된 접합품(90)을 상기 금형(10)에 안착시킨 뒤 가압한다.
즉,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곡유리가 평편해지지 않고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가압 상태가 해소되었을 때 곡유리의 회복력에 따른 구성 간 이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금형(10)에는 상기 곡유리의 곡률과 같은 원주를 갖는 안착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는 상기 챔버에 구비된 가압부재와 별도로 상기 파우치(20)를 도입하여 상기 접합품(90)을 챔버(30)에서 배출되어 냉각될 때까지 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치(20)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 시트부(21), 상기 시트부(21)를 복수의 위치에서 접합한 밀봉부(22), 상기 금형(10)의 출입을 위한 개방된 공간인 개구부(23), 상기 금형(10)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인 수용부(24),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밀봉부(22)에 관통 형성된 공기 배출부(25)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20)는 상기 시트부(21), 밀봉부(22) 및 개구부(23)를 포함하는 일종의 주머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23)는 상기 금형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공간으로써, 점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우치(20)를 이용하여 상기 금형(10) 및 이에 안착된 접합품(90)을 가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금형(10)을 상기 개구부(23)를 통해 상기 수용부(24)에 공급하고, 상기 개구부(23)를 점착하여 상기 파우치(20)를 밀봉한다.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를 상기 공기 배출부(25)와 연결한 뒤, 상기 파우치(2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한다. 상기 파우치(20)가 진공 상태가 되면서 상기 시트부(21)가 상기 금형(10) 및 이에 안착된 접합품(90)을 가압한다.
이후 상기 파우치(20)는 상기 챔버(30)에 공급되어 가열되고, 상기 챔버(30)에서 취출되어 냉각된다. 이 때 상기 파우치(20)와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를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 일 예는 상기 파우치(20)의 공기 배출부(25)와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의 연결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는 상기 파우치(20)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우치(20)와 일체형으로 설치하거나, 상기 파우치(20)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등의 운송 수단에 설치할 수 있다.
그 다른 예는 상기 파우치(20)의 공기 배출부(25)와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의 연결을 계속 유지하지 않는 것이다. 이 때에는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와의 연결이 단절되더라도 상기 파우치(20)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25)를 밀봉하는 폐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로 상기 파우치(2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한 뒤, 상기 폐쇄부(미도시)로 상기 공기 배출부(25)를 막아 상기 파우치(20)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챔버(30)는 상기 파우치(20)가 공급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취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싱기 파우치(20)의 공급 및 취출 경로에 개폐식의 도어가 설치된 형태, 상판과 하판이 분리되어 개폐되는 형태 등일 수 있다.
상기 챔버(30)에는 상기 히터(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40)는 상기 접합품(90)의 각 구성이 접합할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20)에 열을 가하는 구성이다. 상기 접합품(90)에 포함된 접합 필름 등이 상기 열에 의해 녹아서 곡유리와 평판 소자를 접합한다.
다만 상기 접합품(90)은 하측으로는 상기 금형(10) 및 상기 파우치(20)의 일 시트부(21)가 위치하고, 상측으로는 상기 파우치(20)의 타 시트부(21)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40)의 열이 상기 접합품(90)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금형(10)은 금속 소재로, 상기 파우치(20)는 열전달이 용이한 테플론(Teflon) 등의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30)에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2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31), 상기 가압부재(31)가 상기 파우치(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챔버(3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제2진공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품(90)은 상기 파우치(20) 및 상기 가압부재(31)로부터 이중으로 압력을 받으므로 접합 품질을 좀 더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한 라미네이트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의 각 구성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좀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방법은 크게 준비 단계(S1), 접합 단계(S2) 및 냉각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비 단계(S1)는 상기 금형(10)에 곡유리, 접합 필름, 평판 소자 등으로 구성된 접합품(90)을 안착시키고, 상기 금형(10)을 상기 파우치(20)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곡유리는 상기 금형(10)의 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후술할 접합 단계(S2), 냉각 단계(S3)에서 파우치(20), 가압부재(31)로부터 압력을 받더라도 그 곡률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 상태가 해소되었을 때 곡유리가 곡률을 회복함에 따라 구성 간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접합 단계(S2)는 상기 접합품에 압력 및 열을 가하여 접합하는 일련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품(90)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준비 단계를 통해 금형(10)이 공급된 파우치(20)의 개구부를 접착하여 밀봉한다. 제1진공펌프(미도시)로 상기 파우치(2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우치(20)가 상기 금형(10) 및 이에 안착된 접합품(90)을 가압(A)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진공펌프(미도시)와 상기 파우치(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의 공기 배출부와 상기 제1진공펌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연결 방식이라면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파우치를 상기 챔버에 공급한다.
다만 유지할 수 없는 연결 방식이라면 상기 공기 배출부를 폐쇄부로 막고 상기 제1진공펌프를 제거한 뒤 상기 파우치를 상기 챔버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20)와 함께 상기 챔버(30)에 설치된 가압부재(31)도 상기 접합품(9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챔버(30)를 폐쇄한 뒤, 상기 챔버(30) 내부의 공기를 제2진공펌프(미도시)로 제거하여 상기 가압부재(31)가 상기 파우치(20)를 가압(B)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합품(90)에 열을 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이 상기 파우치(20)를 밀봉하여 진공 상태로 만든 뒤, 상기 파우치(20)를 히터(40)에 의해 가열되고 있는 챔버(30)에 공급한다. 이 때 상기 파우치(20)와 금형(10)은 모두 열전달이 용이한 소재이므로 상기 히터(40)에 의한 열이 상기 접합품에 잘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접합품(90)에 열을 가하는 동안 상기 챔버(30)는 폐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각 단계(S3)는 접합 단계(S2)를 거친 접합품(90)을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이다.
접합이 완료된 뒤, 상기 챔버(30)를 개방하고 상기 파우치(20)를 취출한다. 상기 냉각 단계(S3) 중 상기 파우치(20)의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가 상기 파우치(2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상기 제1진공펌프(미도시)가 계속 상기 파우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도록 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폐쇄부로 공기 배출부를 계속 막아놓는다.
본 발명은 상기 냉각 단계(S3)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파우치(20)로 상기 접합품(90)에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품(90)이 고온에서 급격히 상온으로 냉각될 때 그 형상이 변한다거나, 이격이 생기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준비 단계(S1), 접합 단계(S2) 및 냉각 단계(S3)를 모두 완료한 뒤, 상기 파우치(20)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접합이 완료된 접합품(90)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라미네이트 방법은 컨베이어 벨트 등의 운송 수단(50)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운송 수단(50)을 통해 상기 파우치(20)를 상기 챔버(30)에 공급 및 취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금형 11 : 안착부
20 : 파우치 21 : 시트부 22 : 밀봉부 23 : 개구부
24 : 수용부 25 : 공기 배출부
30 : 챔버 31 : 가압부재
40 : 히터
50 : 운송수단
90 : 접합품

Claims (11)

  1. 곡유리 및 평판소자가 안착되는 금형,
    상기 금형이 공급되는 파우치(pouch),
    상기 파우치가 공급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에 열을 가하는 히터 및
    상기 파우치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상기 파우치가 상기 금형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곡유리 및 평판소자가 접합되는 동안 상기 파우치가 상기 금형을 계속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일면에 곡유리의 곡률과 같은 원주를 갖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소자는 태양전지 모듈, 전기 변색 소자 또는 열전 모듈인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 시트부,
    상기 시트부를 복수의 위치에서 접합한 밀봉부,
    상기 금형의 출입을 위한 개방된 공간인 개구부,
    상기 금형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인 수용부 및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밀봉부에 관통 형성된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점착되어 상기 파우치가 밀봉되고,
    상기 제1진공펌프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시트부가 상기 금형을 가압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상기 공기 배출부를 밀봉하여 상기 파우치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제2진공펌프를 더 포함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를 상기 챔버에 공급 및 취출하는 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9. (1) 금형에 곡유리 및 평판소자를 안착시키고 상기 금형을 파우치에 공급하는 단계;
    (2) 상기 파우치를 밀봉한 뒤, 제1진공펌프로 상기 파우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파우치가 상기 금형을 가압하도록 하는 단계;
    (3) 상기 파우치가 상기 금형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파우치를 챔버에 공급하는 단계;
    (4) 상기 챔버에 설치된 히터로 상기 파우치에 열을 가하는 단계;
    (5)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파우치를 취출하는 단계; 및
    (6) 상기 파우치를 개방한 뒤, 상기 금형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를 상기 챔버에 공급한 뒤, 제2진공펌프로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된 가압부재가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도록 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운송수단을 통해 상기 챔버에 공급 및 취출되는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방법.
KR1020160032294A 2016-03-17 2016-03-17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 KR20170108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294A KR20170108427A (ko) 2016-03-17 2016-03-17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294A KR20170108427A (ko) 2016-03-17 2016-03-17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427A true KR20170108427A (ko) 2017-09-27

Family

ID=6003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294A KR20170108427A (ko) 2016-03-17 2016-03-17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4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5840A (zh) * 2018-05-25 2018-11-02 汉能移动能源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太阳能薄膜电池的制造方法
CN108767029A (zh) * 2018-04-16 2018-11-06 无锡英富光能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屋顶的太阳能电池组件及封装工艺
CN111403543A (zh) * 2018-12-27 2020-07-10 龙焱能源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光伏夹层玻璃封装方法、及光伏夹层玻璃
JP2021506128A (ja) * 2017-12-07 2021-02-18 コミサリヤ・ア・レネルジ・アトミク・エ・オ・エネルジ・アルテルナテイブ 光起電力アセンブリ方式を使用した集光型サブモジュールの製造
CN113829620A (zh) * 2021-10-18 2021-12-24 湖南瑞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曲面玻璃盖板覆膜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6128A (ja) * 2017-12-07 2021-02-18 コミサリヤ・ア・レネルジ・アトミク・エ・オ・エネルジ・アルテルナテイブ 光起電力アセンブリ方式を使用した集光型サブモジュールの製造
CN108767029A (zh) * 2018-04-16 2018-11-06 无锡英富光能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屋顶的太阳能电池组件及封装工艺
CN108735840A (zh) * 2018-05-25 2018-11-02 汉能移动能源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太阳能薄膜电池的制造方法
WO2019223219A1 (zh) * 2018-05-25 2019-11-28 汉能移动能源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太阳能薄膜电池及其制造方法
CN111403543A (zh) * 2018-12-27 2020-07-10 龙焱能源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光伏夹层玻璃封装方法、及光伏夹层玻璃
CN111403543B (zh) * 2018-12-27 2022-02-08 龙焱能源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光伏夹层玻璃封装方法、及光伏夹层玻璃
CN113829620A (zh) * 2021-10-18 2021-12-24 湖南瑞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曲面玻璃盖板覆膜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8427A (ko) 곡유리용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
US5379572A (en) Blister packaging system and method
EP1587666B1 (en) Twin-sheet thermoforming of plastic fuel tanks
CN101165927B (zh) 基于预热的太阳电池模块的层压方法及其装置
JP6211074B2 (ja) プレス装置、真空枠及びプレス成形方法
EP2441096B1 (en) Method for producing a solar panel
KR20000071295A (ko) 박판화된 창유리 조립체의 적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266378B2 (ja) 絵付装置
US9625340B2 (en) Gas pressure testing device for a gas compartment portion of a bag
KR20010052725A (ko) 트윈 시트 열성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5227177A (en) Device for heating platelike parts
WO2004106082B1 (en) Thermal image transfer by sublimation or fusion
KR100973353B1 (ko) 전자기기를 위한 열융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8006463A (ja) 材料の成形装置及び材料の成形方法
US20060019078A1 (en) Multi-layer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159538B2 (ja) 真空包装方法
CA3018949C (en) Modular ultrasonic device for use in package sealing systems
JPH0218027A (ja) 包装容器の成型方法
JP2010076803A5 (ko)
KR101487605B1 (ko) 안전 유리 제조장치
JP2020066453A (ja) シール方法及びシール装置
KR100718587B1 (ko) 대면적 접합재의 진공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JPH11129431A (ja) 積層装置および積層方法
JP2012179839A (ja) 熱転写成形ユニット
CN110958978B (zh) 泡罩包装机、泡罩袋的制造方法和泡罩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