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049A - 폴리카보네이트 및 액정 폴리머 블렌드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및 액정 폴리머 블렌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049A
KR20170107049A KR1020177023430A KR20177023430A KR20170107049A KR 20170107049 A KR20170107049 A KR 20170107049A KR 1020177023430 A KR1020177023430 A KR 1020177023430A KR 20177023430 A KR20177023430 A KR 20177023430A KR 20170107049 A KR20170107049 A KR 2017010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liquid crystal
ppb
weight percent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레나 발레라 리조
이그나시오 빅 페르난데스
다비드 델 아구아 헤르난데스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7010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4Polyesters containing both carboxylic ester groups and carbon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2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04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main chain
    • C09K19/3809Polyesters; Polyester derivatives, e.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4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being liquid crystalline or anisotropic in the mel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으로부터 유도된 폴리머 블렌드이면서; 상기 폴리머는 투명한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및 액정 폴리머 블렌드
관련 출원
본원은 2015년 2월 26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번호 15382081.6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것의 기재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
기술 분야
본 개시 내용은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 및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에 관한 것이다.
배경
폴리머 블렌딩은 특성이 상이한 신규한 물질을 얻는 방법이다. 폴리카보네이트 (PC)는 그것의 양호한 충격 강도, 투명도 및 전기 특성 때문에 탁월한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폴리머이다. 액체 결정성 폴리머 (LCP)는 탁월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며, 일부 매트릭스에서 원위치(in-situ) 보강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를 LCP와 블렌딩하는 것은 문제가 되었다. PC 및 LCP는 불혼화성이며, 블렌드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굴절률이 상이하다. 당해 기술에서는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LCP에 의해 제공된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요약
본 개시 내용은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으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액정 폴리머의 투명한 블렌드를 제공한다. 보통 투명하지 않은 폴리머의 조합으로부터 투명성을 달성하는 것은,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에 의해 달성된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s))"는 코폴리카보네이트, 호모폴리카보네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용어 폴리카보네이트는 식 (1)의 반복 구조 단위를 갖는 조성물로서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1 그룹의 총 수의 적어도 60 퍼센트는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며, 나머지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이다. 추가 양태에서, 각 R1은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식(2)의 라디칼이다:
-A1-Y1-A2- (2)
여기서 각각의 A1 및 A2는 단환식 2가 아릴 라디칼이며, Y1은 A2로부터 A1을 분리시키는 1개 또는 2개의 원자를 갖는 가교 라디칼(bridging radical)이다. 다양한 양태에서, 1개의 원자는 A2로부터 A1을 분리시킨다. 예를 들면, 이러한 유형의 라디칼은, 비제한적으로, -O-, -S-, -S(O)-, -S(O2)-, -C(O)-,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메틸렌, 2-[2.2.1]-바이사이클로헵틸리덴, 에틸리덴, 이소프로필리덴, 네오펜틸리덴, 사이클로헥실리덴, 사이클로펜타데실리덴, 사이클로도데실리덴, 및 아다만틸리덴과 같은 라디칼을 포함한다. 가교 라디칼 Y1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그룹 또는 포화된 탄화수소 그룹 예컨대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리덴 또는 이소프로필리덴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물질은 다양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는 특정 목적을 위해 미국 특허 번호 7,786,246(이것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되어 있음)에 개시되고 기재된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는 할로겐 원자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은 폴리카보네이트의 0.1 중량% 미만이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융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이 이용될 수 있다. 용융 폴리카보네이트 공정은 용융 단계에서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공급원의 연속 반응을 기반으로 한다. 반응은, 촉매, 온도, 진공 및 진탕의 조합된 효과가 모노머 반응 및 반응 부산물의 제거를 허용하여 반응 평형을 이동시키고 폴리머 사슬 성장을 초래하는 일련의 반응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용융 중합 반응으로 제조되는 통상적인 폴리카보네이트는 디페닐 카보네이트 (DPC)와의 반응을 통해 비스페놀 A (BPA)로부터 유도된다. 이러한 반응은, 예를 들면, 테트라 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TMAOH) 또는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아세테이트 (TBPA)에 의해 촉매작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중합 장치 및 수산화나트륨 (NaOH)에 도입되기 전에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으며, 제1 반응기 또는 제1 반응기의 업스트림에 그리고 모노머 혼합기 뒤에 첨가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는 33 중량 기준 십억분율 (ppb), 구체적으로 20 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 ppb 이하, 구체적으로 20 ppb 이하의 바나듐; 33 ppb 이하, 구체적으로 20 ppb 이하의 크로뮴; 75 ppb 이하, 구체적으로 50 ppb 이하의 티타늄; 375 ppb 이하, 구체적으로 250 ppb 이하의 니오븀; 33 ppb 이하, 구체적으로 20 ppb 이하의 니켈; 10 ppb 이하, 구체적으로 5 ppb 이하의 지르코늄; 10 ppb 이하, 구체적으로 5 ppb 이하의 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필요조건이 아니다). 추가의 세부사항은 유럽 출원 13382087.8 및 13382085.2에서 확인되며, 이 둘 모두는 임의의 및 모든 목적을 위해 그것의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되어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됨 없이, 디아릴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전술한 순도 수준은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의 투명도, 색상, 또는 둘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액정 폴리머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액정 폴리머" (LCP)는 액정 폴리머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액정 폴리머만을 갖는 폴리머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액정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분자가 고체 상태에 상응하는 온도 및 완전히 무질서한 용융물 (서모트로픽(thermotropic) 폴리머)에 상응하는 온도 사이의 중간 온도 범위에 걸쳐 유체 및 정렬된 상태로 존재하는 폴리머 또는 그렇지 않으면 용액 중에서 정렬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폴리머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LCP의 일부 예는 John Wiley & Sons에 의해 출판된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1987, Vol. 9, 페이지 1 내지 61 및, 특히, 표 12 (페이지 50 및 51) 및 표 13 (페이지 52)의 폴리에스테르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액정 폴리머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수지이다. 일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수지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은 유럽 특허 번호 0191705 및 0272992, 및 미국 특허 번호 4,161,470 및 4,330,457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액정 폴리머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또는 아라미드 폴리머 특성을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LCP 폴리머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p-하이드록시벤조산/6-하이드록시-2-나프토산 코폴리에스테르 및 p-하이드록시벤조산/테레프탈산/4,4'-바이페놀 코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상표명 VECTRA™ (Celanese Corporation) 및 XYDAR™ (Solvay)의 코폴리에스테르이다.
하나의 적합한 액정 폴리머는 Celanese Corporation에 의해 시판되는 VECTRA® A950이다. 이러한 폴리머는 ISO 527-2/1A에 따라 측정된 10,600 MPa의 인장 탄성률 (1mm/min), ISO 178에 따라 측정된 9100 MPa의 휨 탄성률 (23℃), 및 ISO 180/1A에 따라 측정된 95 kJ/m2의 노치드 충격 강도 (IZOD) (23℃)를 갖는다. 폴리머는 280℃의 용융 온도를 갖는다.
촉매
임의의 적합한 에스테르교환 촉매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촉매는 에스테르교환 촉매를 함유하는 전이금속이다. 전이금속은 Zn, Ce, Ti, Sn, Al, Co, Sb, 및 Pb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촉매는 알칼리 금속-기반 화합물, 또는 알칼리토금속으로부터 유도된 것들이다. 알칼리 금속-기반 화합물의 예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리튬,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리튬 아세테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칼륨 스테아레이트, 리튬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리튬 보로하이드라이드, 나트륨 보로페닐레이트, 나트륨 벤조에이트, 칼륨 벤조에이트, 리튬 벤조에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수소이리튬, 나트륨 페닐레이트, 칼륨 페닐레이트, 리튬 페닐레이트,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칼륨 보로하이드라이드, 및 리튬 보로하이드라이드이다. 실제로, 알칼리 금속-기반 화합물은 초기에 방향족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용융물로 반응하여 알칼리 금속 염을 형성한다. 따라서, 활성 촉매는 실제로 방향족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의 나트륨 염이다. 또한,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염 (미리 제조됨),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의 이나트륨- , 이칼륨- , 또는 이리튬 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의 예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스트론튬, 탄산수소칼슘, 탄산수소바륨, 탄산수소마그네슘, 탄산수소스트론튬, 탄산칼슘, 탄산바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스트론튬, 칼슘 아세테이트, 바륨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스트론튬 아세테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바륨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스트론튬 스테아레이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또는 Zn, Ce 또는 Sn을 함유하는 촉매가 바람직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연 아세테이트 (II)가 바람직한 촉매이다.
투명한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임의의 양의 촉매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촉매의 양은 폴리머 블렌드의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촉매의 양은 폴리머 블렌드의 0.01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이다.
추가의 구성요소
첨가제 조성물은 충격 보강제, 흐름 조절제, 충전제 (예를 들면, 미립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유리, 탄소, 미네랄, 또는 금속), 보강제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항산화제, 열 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UV) 광안정제, UV 흡수 첨가제, 가소제, 윤활제, 이형제 (예컨대 금형 이형제), 정전기방지제, 방무제, 항미생물제, 착색제 (예를 들면, 염료 또는 안료), 표면 효과 첨가제, 방사선 안정제, 난연제, 적하방지제 (예를 들면, PTFE-캡슐화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TSAN)), 또는 전술한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안정제, 금형 이형제, 및 자외선 광안정제 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공지된 양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첨가제 조성물 (임의의 충격 보강제, 충전제, 또는 보강제 이외)의 총량은 조성물 중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1 내지 10.0 wt%, 또는 0.01 내지 5 wt%일 수 있다.
폴리머 블렌드는 이러한 유형의 폴리머 조성물 내에 통상적으로 편입되는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 첨가제(들)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요망되는 특성 (예를 들면, 양호한 혼용성)에 유의미하게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선택된다. 그와 같은 첨가제는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혼합 동안 적합한 시간에 혼합될 수 있다. 첨가제는 용융 압출 동안 첨가될 수 있지만, 단, 첨가제는 촉매에 의해 촉매작용된 요망되는 반응의 효율을 억제하거나 이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첨가제는 또한, 제2 용융 혼합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다.
충격 보강제의 예는 천연 고무, 플루오로엘라스토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에틸렌-부텐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EPDM), 아크릴레이트 고무, 수소화된 니트릴 고무 (HNBR), 실리콘 엘라스토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SE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스티렌 (AE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SEPS),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MBS), 고 고무 그래프트 (high rubber graft; HRG), 및 기타 동종의 것을 포함한다. 일부 적합한 충격 보강제는 PC(폴리카보네이트)/ABS (예컨대 Cycoloy PC/ABS) 및 MBS 유형 제형을 포함한다.
열 안정제 첨가제는 오르가노포스파이트 (예를 들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6-디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혼합된 모노-및 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등), 포스포네이트 (예를 들면, 디메틸벤젠 포스포네이트 등), 포스페이트 (예를 들면,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등), 또는 전술한 열 안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열 안정제는 IRGAPHOS™ 168로 이용가능한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열 안정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 중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wt%의 양으로 사용된다.
가소제, 윤활제 및 금형 이형제 사이에는 상당한 중복이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면,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GTS), 프탈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옥틸-4,5-에폭시-헥사하이드로프탈레이트), 트리스-(옥톡시카보닐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테아린,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방향족 포스페이트 (예를 들면, 레조르시놀 테트라페닐 디포스페이트 (RDP), 하이드로퀴논의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및 비스페놀 A의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폴리-알파-올레핀; 에폭시화된 대두 오일; 실리콘 오일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 디페닐 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 에스테르, 예를 들면,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알킬 스테아릴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기타 동종의 것), 왁스 (예를 들면, 밀랍, 몬탄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기타 동종의 것), 또는 전술한 가소제, 윤활제, 및 금형 이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조성물 중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wt%의 양으로 사용된다.
광안정제, 특히 자외선 (UV) 흡수 첨가제, 또한 일명 UV 안정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4-n-옥톡시 벤조페논),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옥사닐라이드, 벤즈옥사지논 (예를 들면, 2,2'-(1,4- 페닐렌)비스(4H-3,1-벤즈옥사진-4-온, Cytec으로부터 상표명 CYASORB UV-3638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아릴 살리실레이트,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예를 들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Cytec으로부터 상표명 CYASORB 5411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또는 전술한 광안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UV 안정제는 조성물 중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반으로 하여 0.01 내지 1 wt%, 구체적으로 0.1 내지 0.5 wt%, 및 더 구체적으로 0.15 내지 0.4 wt%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가능한 충전제 또는 보강제는, 예를 들면, 마이카, 점토, 펠드스파(feldspar), 석영, 규암, 펄라이트(perlite), 트리폴리(tripoli), 규조토,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멀라이트(mullite)), 합성 칼슘 실리케이트, 융합된 실리카, 발연 실리카, 모래, 붕소-니트라이드 분말, 붕소-실리케이트 분말, 황산칼슘, 탄산칼슘 (예컨대 백악, 석회석, 대리석, 및 합성 침전된 탄산칼슘) 탈크 (섬유질, 모듈러(modular), 침상, 및 라멜라(lamellar) 탈크 포함), 규회석, 중공형 또는 중실형 유리 구형체, 실리케이트 구형체, 세노스피어(cenosphere),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또는 (아르모스피어(armosphere)), 카올린, 탄화규소의 위스커(whisker), 알루미나, 탄화붕소, 철, 니켈, 또는 구리, 연속 및 세절된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몰리브데늄 설파이드, 황화아연, 바륨 티타네이트, 바륨 페라이트, 바륨 설페이트, 중정석, TiO2,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미립자 또는 섬유질 알루미늄, 청동, 아연, 구리, 또는 니켈, 유리 플레이크, 박편화 탄화규소, 박편화 알루미늄 디보라이드, 박편화 알루미늄, 강철 플레이크, 천연 충전제 예컨대 목분, 섬유질 셀룰로오스, 면, 사이잘(sisal), 황마, 전분, 리그닌, 땅콩 쉘, 또는 쌀 곡물 껍질, 보강 유기 섬유질 충전제 예컨대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옥사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 뿐만 아니라 전술한 충전제 또는 보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충전제 및 보강제는 전도성을 촉진하기 위해 금속 재료의 층으로 코팅되거나 폴리머 매트릭스와의 접착 및 분산을 개선시키기 위해 실란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충전제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항산화제 첨가제는 오르가노포스파이트 예컨대 트리스(노닐 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알킬화된 모노페놀 또는 폴리페놀; 폴리페놀과 디엔의 알킬화된 반응 생성물, 예컨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 파라-크레졸 또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의 부틸화된 반응 생성물; 알킬화된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록실화된 티오디페닐 에테르; 알킬리덴-비스페놀; 벤질 화합물; 베타-(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베타-(5-ter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티오알킬 또는 티오아릴 화합물의 에스테르 예컨대 디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트리데실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베타-(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또는 전술한 항산화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항산화제는 임의의 충전제를 제외한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유용한 난연제는 인, 브롬 및/또는 염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비-브롬화된 및 비-염소화된 인-함유 난연제, 예를 들면, 유기 포스페이트 및 인-질소 결합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은 규제상의 이유로 특정 용도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무기 난연제, 예를 들면, C1-16 알킬 설포네이트 염의 염 예컨대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 (리마르 염(Rimar salt)), 칼륨 퍼플루오르옥탄 설포네이트, 테트라에틸암모늄 퍼플루오로헥산 설포네이트, 및 칼륨 디페닐설폰 설포네이트; Na2CO3, K2CO3, MgCO3, CaCO3, 및 BaCO3과 같은 염, 또는 플루오로-음이온 복합체 예컨대 Li3AlF6, BaSiF6, KBF4, K3AlF6, KAlF4, K2SiF6 및/또는 Na3AlF6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무기 난연제 염은 임의의 충전제를 제외한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0.02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하방지제, 예를 들면, 피브릴 형성 또는 비-피브릴 형성 플루오로폴리머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이 또한 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하방지제는 강성 코폴리머,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SAN)로 캡슐화될 수 있다. SAN에 캡슐화된 PTFE는 TSAN으로 공지되어 있다. TSAN은 캡슐화된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wt% PTFE 및 50 wt% SAN을 포함한다. SAN은, 예를 들면, 코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5 wt% 스티렌 및 25 wt%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하방지제는 임의의 충전제를 제외한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말화된 폴리카보네이트, 및 다른 선택적인 구성요소는 우선, 선택적으로 임의의 충전제와 함께 고속 혼합기에서 또는 수동 혼합에 의해 블렌딩된다. 이후 블렌드는 호퍼(hopper)를 통해 2축 압출기의 목(throat)으로 공급된다. 대안적으로, 구성요소 중 적어도 1종은 목에서 압출기로 직접적으로 및/또는 사이드스터퍼(sidestuffer)를 통해 다운스트림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요망되는 폴리머로 마스터배치로 화합되어 압출기로 공급됨으로써 조성물에 편입될 수 있다. 압출기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데 필요한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된다. 압출물은 수조에서 즉시 켄칭되고 펠렛화될 수 있다.
폴리머 조성물
분산상 (이 경우에 LCP)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투명한 블렌드를 달성하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액정 폴리머 블렌드의 상용화. 2종의 관여된 폴리머의 성질 (카보네이트, OH 그룹 및 에스테르 결합의 존재) 때문에, 그것은 OH 말단 그룹에 의한 알코올분해, 산 말단 그룹에 의한 산분해 또는 에스테르교환 (Mw가 높은 폴리머에서 더 높은 확률로 발생함)과 같은 상이한 화학 반응을 통해 상용화될 수 있다. 이들 반응은 고온 (200℃ 초과)에서 일어날 수 있거나 촉매를 사용하여 강제될 수 있다.
일부 투명한 폴리머는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으로부터 유도된다.
특정 조성물은 84.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4.9 내지 15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으로부터 수득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머 조성물은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폴리머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및 혼합 기술은 폴리머 조성물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공정은 rpm (50-300), 온도: (200-300℃)와 같은 조건 하에서 짧은 혼합 시간 (5분 미만)으로 압출기에서 반응성 블렌딩 단계를 사용한다. 상기 공정은 또한 더 긴 혼합 시간으로 사이드 압출기를 통해 중합 공정의 임의의 중간 단계에서 생성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물품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형상화된, 형성된 또는 성형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다양한 수단 예컨대 사출 성형, 압출, 회전 성형, 취입 성형 및 열성형에 의해 유용한 성형품으로 성형되어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또한 필름 및 시트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물품의 제조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구성요소, 액체 폴리머, 촉매 및 임의의 선택적인 성분을 용융 블렌딩하고; 압출된 조성물을 물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추가의 양태에서, 압출은 2축 압출기로 수행된다.
추가 양태에서, 개시된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물품은 자동차 용도에 사용된다. 또 추가의 양태에서, 물품은 컴퓨터 및 사무 기기 하우징 예컨대 모니터용 하우징,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하우징 예컨대 휴대폰용 하우징, 전기 커넥터, 의료 기기, 막 디바이스, 및 조명 기구, 장식품(ornament), 가전 제품, 지붕, 온실, 선룸(sun room), 수영장 인클로저(enclosure)의 부품, 및 기타 동종의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된 코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 다른 대표적인 물품은 헤드램프 베즐(bezel), 헤드램프, 테일 램프, 테일 램프 하우징, 테일 램프 베즐, 번호판 인클로저, 전기 및 전기통신 디바이스용 인클로저, 건축 및 건설 용도 예컨대 글레이징, 지붕, 창문, 바닥, 장식용 윈도우 퍼니싱 또는 트리트먼트; 사진, 페인팅, 포스터, 및 기타 디스플레이 품목을 위한 처리된 유리 커버; 광학 렌즈; 안과 렌즈; 교정용 안과 렌즈; 이식가능 안과 렌즈; 벽 패널, 및 도어; 보호된 그래픽; 야외 및 실내 사인;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용 인클로저, 하우징, 패널, 및 부품; 인클로저, 컴퓨터 하우징; 데스크-탑 컴퓨터 하우징; 휴대용 컴퓨터 하우징; 랩-톱 컴퓨터 하우징; 소형(palm-held) 컴퓨터 하우징; 모니터 하우징; 프린터 하우징; 키보드; FAX 기계 하우징; 복사기 하우징; 전화기 하우징; 휴대폰 하우징; 라디오 발신기(radio sender) 하우징; 라디오 수신기(radio receiver) 하우징; 조명 기구; 조명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하우징; 및 유사한 용도를 포함한다. 또 추가의 양태에서, 자동차 용도에 사용되는 물품은 계기판, 오버헤드 콘솔, 내장용 트림, 중심 콘솔, 헤드램프 베즐, 헤드램프, 테일 램프, 테일 램프 하우징, 테일 램프 베즐, 번호판 인클로저, 스티어링 휠, 라디오 스피커 그릴(radio speaker grille), 거울 하우징, 그릴 개방 보강재(grille opening reinforcement), 스텝, 해치 커버(hatch cover), 손잡이, 버튼, 및 레버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가공 작업,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성형, 인-몰드 데코레이션(in-mold decoration), 페인트 오븐에서의 베이킹, 라미네이션 및/또는 열성형이 물품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개시된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물품은 휴대폰용 투명 키패드와 같은 적용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전형적인 그와 같은 물품은 자동차 트림, 자동차 내장 부품, 휴대용 전기통신 및 가전제품 프런트(front)이다. 추가 양태에서, 물품이 필름인 경우, 그것은 시각 효과 안료 (예컨대 코팅된 Al 및 유리 플레이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추가의 양태에서, 물품은 개시된 코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이며, 직접적인 필름 적용 뿐만 아니라 IMD (In Mould Decoration)와 같은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추가의 양태에서, 개시된 코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은 자동차 헤드램프 렌즈, 다른 광학 기기용 커버 및 렌즈를 포함하는 조명 용도, 뿐만 아니라 투명한 필름 및 시트에 사용된다. 상기 물품은 또한 다양한 성형품 예컨대 의료 기기, 라디오 및 TV 베즐, 휴대폰 키패드, 노트북 컴퓨터 하우징 및 키, 광학 디스플레이 필름, 자동차 부품, 및 다른 전자 및 소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폴리머는 휴대폰 및 자동차용 하우징과 같이, 박벽 부품의 제조를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양태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하기 양태를 포함한다.
양태 1.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으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면서; 상기 폴리머는 투명하고;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wt.%를 초과하지 않으며,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2. 양태 1에 있어서, 84.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4.9 내지 15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3. 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ASTM D1003에 따라서 측정된 투과율은 적어도 70%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4.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또는 아라미드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5.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i) p-하이드록시벤조산/6-하이드록시-2-나프토산 코폴리에스테르 및 (ii) p-하이드록시벤조산/테레프탈산/4,4'-바이페놀 코폴리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6.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2-나프탈렌카복실산, 4-(아세틸옥시)벤조산을 갖는 6-(아세틸옥시)-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7.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채워지지 않은(unfilled),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8.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의 잔기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9. 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33 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 ppb 이하의 바나듐; 33 ppb 이하의 크로뮴; 75 ppb 이하의 티타늄; 375 ppb 이하의 니오븀; 33 ppb 이하의 니켈; 10 ppb 이하의 지르코늄; 10 ppb 이하의 철;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10. 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추가로, 적하방지제, 항산화제, 정전기방지제, 사슬 연장제, 착색제, 탈형제, 염료, 흐름 촉진제, 흐름 조절제, 광안정제, 윤활제, 금형 이형제, 안료, 켄칭제, 열 안정제, UV 흡수 물질(substance), UV 반사 물질, 및 UV 안정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11. 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물품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자동차에서의 부품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양태 12.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a)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혼합물을 에스테르교환하는 단계로서;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wt.%를 초과하지 않으며,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상기 폴리머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에스테르교환 단계; 및 (b) 상기 폴리머 블렌드를 상기 물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
양태 13. 양태 12에 있어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압축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4. 양태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5. 양태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의 잔기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6. 양태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33 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 ppb 이하의 바나듐; 33 ppb 이하의 크로뮴; 75 ppb 이하의 티타늄; 375 ppb 이하의 니오븀; 33 ppb 이하의 니켈; 10 ppb 이하의 지르코늄; 10 ppb 이하의 철;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양태 17. 양태 1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추가로, 적하방지제, 항산화제, 정전기방지제, 사슬 연장제, 착색제, 탈형제, 염료, 흐름 촉진제, 흐름 조절제, 광안정제, 윤활제, 금형 이형제, 안료, 켄칭제, 열 안정제, UV 흡수 물질, UV 반사 물질, 및 UV 안정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8.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 단계를 포함하면서; 상기 폴리머 블렌드는 투명하고;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wt.%를 초과하지 않으며,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상기 폴리머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
양태 19. 양태 18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20. 양태 18 또는 19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의 잔기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21. 양태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교환 단계는, 선택적으로, 1종의 반응성 구성요소가 사이드 압출기를 통해 에스테르교환 공정의 중간 단계에 첨가되는,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50 내지 300 rpm에서 작동하는 압출기에서의 반응성 블렌딩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양태 22. 양태 21에 있어서, 압출기에서의 혼합 시간이 5분 이하인, 방법.
양태 23. 양태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33 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 ppb 이하의 바나듐; 33 ppb 이하의 크로뮴; 75 ppb 이하의 티타늄; 375 ppb 이하의 니오븀; 33 ppb 이하의 니켈; 10 ppb 이하의 지르코늄; 10 ppb 이하의 철;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양태 24. 양태 18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렌드를 물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양태 25. 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물품.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실시예 1
투명한 폴리머는 0.01 내지 0.1 중량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Vectra A-950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으로부터 형성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투명한 폴리머는 압축 성형을 사용하여 성형품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3
투명한 폴리머는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84.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15 중량 퍼센트의 Vectra A-950 액정 폴리머의 에스테르교환으로부터 형성된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투명한 폴리머는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성형품으로 형성된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양태를 기재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구현예 "구성되는(consisting of)" 및 "본질적으로 구성되는(consisting essentially of)"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다수의 용어가 참조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맥락상 달리 명확히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에 대한 언급은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폴리머"는 단일 종의 반복 단위로 구성된 폴리머 ("호모폴리머") 및 복수의 종류의 반복 단위로 구성된 폴리머 (소위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조합"은 블렌드, 혼합물, 합금, 반응 생성물, 및 기타 동종의 것을 포함한다.
범위는 하나의 특정한 값에서 또 다른 특정한 값으로 본 명세서에서 표현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범위가 표현될 때, 또 다른 양태은 하나의 특정한 값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한 값까지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앞에 '약'을 사용하여 근사치로 표현될 때, 특정한 값은 또 다른 양태를 형성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범위 각각의 종점은 다른 종점과 관련하여 및 다른 종점과는 독립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수많은 값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으며, 각 값은 그 값 자체 이외에 또한 "약" 특정한 값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또한 이해된다. 예를 들면, 값 "10"이 개시된 경우, "10"도 개시된다. 또한, 2개의 특정한 단위 사이의 각 단위가 또한 개시됨이 이해된다. 예를 들면, 10 및 15가 개시된 경우, 11, 12, 13 및 14도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about)" 및 "에서 또는 약(at or about)"은 해당 양 또는 값이 대략 일부 다른 값으로 지정된 값일 수 있거나 동일한 것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그것은, 달리 지시되거나 추론되지 않는 한, ±5% 변동을 나타내는 명목 값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해된다. 상기 용어는, 유사한 값이 청구항들에 열거된 동등한 결과 또는 효과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양, 크기, 제형, 파라미터, 및 다른 양 및 특징은 정확하지 않고 정확할 필요가 없지만, 원하는 경우, 허용 오차, 환산 계수, 반올림, 측정 오차 및 기타 동종의 것, 및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른 인자를 반영하여 근사치 및/또는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양, 크기, 제형, 파라미터 또는 다른 양 또는 특징은, 그러한 것으로 명확히 언급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약" 또는 "대략"이다. 정량 값 이전에 "약"이 사용된 경우,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파라미터는 또한 특정 정량 값 자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조성물 또는 물품에서 특정한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중량부에 대한 언급은 중량부로 표현되는 조성물 또는 물품에서의 요소 또는 구성요소와 임의의 다른 요소 또는 구성요소 사이의 중량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2 중량부의 구성요소 X 및 5 중량부의 구성요소 Y를 함유하는 화합물에서, X 및 Y는 2:5의 중량비로 존재하며, 화합물에 추가의 구성요소가 함유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그와 같은 비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중량 퍼센트", "wt. %" 및 "wt.%"라는 용어는, 특별히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가 포함되는 폴리머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면, 조성물 또는 물품에서 특정한 요소 또는 구성요소가 8 중량%를 갖는 것으로 언급된 경우, 이러한 백분율은 100 중량%의 총 조성물 백분율에 상대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투명한"은 개시된 조성물의 투과율 수준이 50% 초과임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투과율은 적어도 60%, 70%, 80%, 85%, 90%, 또는 95%, 또는 상기 예시된 값으로부터 유도된 임의의 범위의 투과율 값일 수 있다.  "투명한"의 정의에서, 용어 "투과율"은 3.2 밀리미터의 두께에서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된 샘플을 통과하는 입사광의 양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시험 표준은 본원의 출원 당시 유효한 가장 최근의 표준이다.
용어 "에스테르교환"은 에스테르 교환 및 축합 반응과 같이 에스테르, 알코올 및 산 그룹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반응 기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
    의 에스테르교환으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면서, 상기 폴리머는 투명한,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84.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4.9 내지 15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ASTM D1003에 따라서 측정된 투과율은 적어도 70%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또는 아라미드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i) p-하이드록시벤조산/6-하이드록시-2-나프토산 코폴리에스테르 및 (ii) p-하이드록시벤조산/테레프탈산/4,4'-바이페놀 코폴리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2-나프탈렌카복실산, 4-(아세틸옥시)벤조산을 갖는 6-(아세틸옥시)-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채워지지 않은(unfilled),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의 잔기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33 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 ppb 이하의 바나듐; 33 ppb 이하의 크로뮴; 75 ppb 이하의 티타늄; 375 ppb 이하의 니오븀; 33 ppb 이하의 니켈; 10 ppb 이하의 지르코늄; 10 ppb 이하의 철;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추가로, 적하방지제, 항산화제, 정전기방지제, 사슬 연장제, 착색제, 탈형제, 염료, 흐름 촉진제, 흐름 조절제, 광안정제, 윤활제, 금형 이형제, 안료, 켄칭제, 열 안정제, UV 흡수 물질(substance), UV 반사 물질, 및 UV 안정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자동차에서의 부품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12.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 촉매의 존재 하에
    (i) 69.9 내지 95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ii) 4.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액정 폴리머
    의 에스테르교환 단계를 포함하면서, 상기 폴리머는 투명한,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머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교환 단계는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50 내지 300 rpm에서 작동하는 압출기에서의 반응성 블렌딩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15.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렌드를 물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23430A 2015-02-26 2016-02-25 폴리카보네이트 및 액정 폴리머 블렌드 KR20170107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382081 2015-02-26
EP15382081.6 2015-02-26
PCT/IB2016/051040 WO2016135671A1 (en) 2015-02-26 2016-02-25 Polycarbonate and liquid crystal polymer ble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049A true KR20170107049A (ko) 2017-09-22

Family

ID=5262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430A KR20170107049A (ko) 2015-02-26 2016-02-25 폴리카보네이트 및 액정 폴리머 블렌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44302B2 (ko)
EP (1) EP3262096A1 (ko)
KR (1) KR20170107049A (ko)
CN (1) CN107250209B (ko)
SG (1) SG11201706993UA (ko)
WO (1) WO2016135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1267A (zh) * 2018-09-25 2019-01-11 广东顾纳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耐热、高模量的pc-lcp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3409A1 (en) * 1996-11-29 1999-09-22 Polyplastics Co. Ltd. Injection-molded object
JP2002146172A (ja) * 2000-11-15 2002-05-22 Daicel Chem Ind Ltd 薄肉成形体用樹脂組成物
US6956072B1 (en) * 1999-07-16 2005-10-18 Polyplastic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object thereof
US7786246B2 (en) * 2007-10-18 2010-08-3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sosorbide-based polycarbonates,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EP2692767A1 (en) * 2011-03-30 2014-02-05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470A (en) 1977-10-20 1979-07-17 Celanese Corporation Polyester of 6-hydroxy-2-naphthoic acid and para-hydroxy benzoic acid capable of readily undergoing melt processing
JPS5584943A (en) * 1978-12-21 1980-06-26 Ricoh Co Ltd Laminated type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US4330457A (en) 1980-12-09 1982-05-18 Celanese Corporation Poly(ester-amide) capable of forming an anisotropic melt phase derived from 6-hydroxy-2-naphthoic acid, dicarboxylic acid, and aromatic monomer capable of forming an amide linkage
FR2576027B1 (fr) 1985-01-11 1987-02-06 Rhone Poulenc Rech Copolyesters aromatiques thermotropes
FR2607818B1 (fr) 1986-12-05 1989-03-24 Rhone Poulenc Chimie Copolyesters amides aromatiques thermotropes
US5262473A (en) 1991-11-29 1993-11-16 Enichem America Inc. Polymer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s and polyesters and liquid crystalline polymers
JPH06200129A (ja) 1992-12-28 1994-07-19 Nippon G Ii Plast Kk 樹脂組成物
JP3398595B2 (ja) * 1998-05-20 2003-04-21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器ハウジング
KR100557684B1 (ko) 2003-12-23 2006-03-07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피로 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070071592A (ko) 2005-12-30 2007-07-0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제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3409A1 (en) * 1996-11-29 1999-09-22 Polyplastics Co. Ltd. Injection-molded object
US6956072B1 (en) * 1999-07-16 2005-10-18 Polyplastic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object thereof
JP2002146172A (ja) * 2000-11-15 2002-05-22 Daicel Chem Ind Ltd 薄肉成形体用樹脂組成物
US7786246B2 (en) * 2007-10-18 2010-08-3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sosorbide-based polycarbonates,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EP2692767A1 (en) * 2011-03-30 2014-02-05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QUID CRYSTALLINE POLYMERS, 1판,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LIQUID CRYSTALLINE POLYMERS, 1993년 6월 1~4일 *
VECTRA A950 *
윤창주, 폴리카보네이트, 화학용어사전, 화학용어사전편찬회, 2011년 1월 15일 *
일본통상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첨단산업기술사전, 겸지사, 1992년 5월 1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0266A1 (en) 2018-02-01
WO2016135671A1 (en) 2016-09-01
CN107250209A (zh) 2017-10-13
SG11201706993UA (en) 2017-09-28
US10544302B2 (en) 2020-01-28
EP3262096A1 (en) 2018-01-03
CN107250209B (zh)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461B1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
EP3262097A1 (en) Polymer blends comprising polymethyl methacrylate and polycarbonate
KR101890789B1 (ko) 향상된 전기도금 접착력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KR102273858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미네랄 강화 열가소성 폴리머 조성물
WO2015159813A1 (ja) 強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シート又はフィルム
KR101963205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서 향상된 내열성
US20160108234A1 (en) Resin compositions, resin molded articles, processes for preparing resin molded articles, and laser direct structuring additives
KR20150131104A (ko) 개선된 몰드 이형성을 갖는 블렌딩된 폴리머 조성물
JP2012514089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WO2014115475A1 (ja) レーザーダイレクトストラクチャリング用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50023573A (ko) 향상된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EP2557105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of said resin, and molded body of said resin
KR20160077081A (ko) 향상된 물성을 갖는 난연제 열가소성 조성물
US9969876B2 (en) Resin composition for laser direct structuring,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article with plated layer
WO2016170468A1 (en) Polycarbonate blends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US10544302B2 (en) Polycarbonate and liquid crystal polymer blends
JP5599914B1 (ja) レーザーダイレクトストラクチャリング用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WO2015053159A1 (ja) 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5599929B1 (ja) 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5599928B1 (ja) 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5706033B1 (ja) 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20210130609A1 (en)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resin molding
JP2015189907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