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096A -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096A
KR20170105096A KR1020177023144A KR20177023144A KR20170105096A KR 20170105096 A KR20170105096 A KR 20170105096A KR 1020177023144 A KR1020177023144 A KR 1020177023144A KR 20177023144 A KR20177023144 A KR 20177023144A KR 20170105096 A KR20170105096 A KR 20170105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clips
partial
ri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트 바이딩거
지몬 트레부히
하랄트 슐라이히
슈테펜 뮈치
닐스-헤닝 피비히
Original Assignee
뷔르트 엘렉트로닉 아이조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뷔르트 엘렉트로닉 아이조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뷔르트 엘렉트로닉 아이조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105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1/0007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2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6Constructional details of transient suppress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28RFI filters with housing divided in two bod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57Constructional details comprising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케이블에서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는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부분 셸들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각 부분 셸은 페라이트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의 폐쇄 상태에서, 케이블이 하우징을 통해 루트 결정될 수 있도록, 각 단부 측면은 개구를 가진다. 두 개의 U 자형 클립을 갖는 고정 수단이, 하우징의 각 단부 측면의 내측에 배치된다. 두 클립들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림들은, 케이블이 클램핑될 수 있는 슬롯을 형성한다. 내측 림들은 케이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ELECTRICAL NOISE ON CABLES}
본 발명은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장치들은 알려져 있다. 페라이트로 구성되고,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에 장착할 수 있는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는 데 사용된다. 각각의 요소는, 두 요소가 조립될 때, 케이블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홈을 포함한다. 이 페라이트 요소들은 두 개의 부분 셸 (shell) 로 이루어진 하우징 (housing) 내에 수납된다.
알려진 이런 종류의 장치들에는, 핑거들이 두 개의 부분 셸의 단부측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핑거들은 바깥쪽으로 비스듬하며, 상기 핑거들의 단부는 하우징이 폐쇄되었을 때, 케이블 상에 놓인다 (US 5, 003, 278).
이러한 유형의 장치가 또한 알려져 있는데 (EP 1 039 632 A2), 이 장치에서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평행한 모서리를 가진 슬롯 (slot) 을 구비하는 고정수단이 부분 셸의 양 단부측면에 끼워맞춰진다. 클램핑 (clamping) 에 의한 고정은 케이블의 절연체내로 상기 모서리를 다소 밀어넣음으로써 달성된다. 이 고정 수단은 각각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다.
고정 수단이 부분 셸의 단부측면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장치도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다. 이 고정수단은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평행한 모서리를 가진 슬롯을 가지고 있다. 모서리가 형성된 웹들 (web) 은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축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다. (DE 10 2006 027 312 A1).
상기 알려진 장치들은 케이블에 장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치들은 고정 수단의 변형 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따라서 그에 의해 제한되는 특정 직경 범위로 케이블에 각각 끼어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넓은 직경 범위를 갖는 케이블에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에서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안된 장치는, 고정 수단으로서, 삽입될 또는 삽입된 케이블을 대면하고 케이블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림들 (limbs) (자신들 사이에 클램핑 방식으로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의 경계를 형성함)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clip), 특히 케이블을 클램핑 방식으로 자신들 사이에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하는 두 개의 클립을 포함한다. 클립 또는 클립들은 케이블을 위한 통로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형되는 클립 또는 클립들 자체의 변형에 의해 상이한 케이블 직경에 맞게 조정된다. 만약 단 하나의 클립이 존재한다면, 클립의 반대편에 있는 슬롯의 경계는 적절한 스톱부 또는 개구의 경계부에 의해 형성된다. 오직 하나의 클립이 있는 경우, 두 개의 클립이 있는 경우보다 더 큰 단면적의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으나 체결력은 줄어든다.
이러한 유형의 변형에 의해 더 넓은 범위의 직경들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은 U 자형이고, 클립의 림들의 단부들은 하우징의 부분 셸에 일체로 형성된다.
클립의 이러한 형태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힘이 과도하게 변함이 없이, 넓은 범위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이 클립이 케이블에 클램핑되는 때에 발생하는 힘은 림과 클립의 림들을 연결시키는 보우 (bow) 의 변형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이 클립의 림들의 단부들이 부분 셸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실상 클립 전체가 변형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될 또는 삽입된 케이블을 향하는 림의 내부측면은 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리브 부분 (ribbed portion) 을 구비한다.
케이블에 작용하는 유지력은 이런 식으로 증가될 수 있다. 두 개의 대향 클립이 있으면, 자신들 사이에 슬롯을 형성하는 림들의 서로 마주보는 내부측면들은, 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부분을 구비한다. 이 리브 부분은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하게 큰 체결력이 요구되는 일 없이, 케이블에 대한 하우징의 고정이 특히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클립의 림들은 적어도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두 개의 클립의 서로 마주보는 림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림들의 단면적이 직사각형일 수 있고, 따라서 리브 부분이 특히 간단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 수단이 동일한 부분 셸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개방 상태에서도, 상기 하우징을 폐쇄할 수 있도록 케이블에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끼워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측면, 다시 말해서 하우징의 단부 측면들의 내부측면에, 클립들을 배치하는 것을 제안하여, 클립들 사이에 작은 간격을 제공ㅎ함으로써, 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클립들이 매우 유연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수단이 하우징의 단부 측면을 넘어서 돌출하지 않아, 하우징의 외부측면이 매끄러울 수 있고 또한 돌출부 없이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폐쇄 상태로 잠가서 하우징이 더이상 저절로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 잠금 디바이스는 각각 다른 부분 셸의 상응하는 개구에 맞물리는 돌출부를 갖는 탄성 설부 (elastic tongue) 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은 하우징을 폐쇄할 때 두 개의 부분 셸의 정확한 배향을 보장하기 위한 센터링 디바이스 (centring device) 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센터링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슬롯이 있는 돌출부로서, 다른 부분 셸의 리브 (rib) 가 돌출부의 슬롯 내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리브와 상호작용하는 돌출부일 수도 있다.
하우징의 두 부분 셸은 예를 들어, 두 부분 셸의 케이블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에서 관절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쇄 운동은 하우징을 관통하는 통로에 평행한 축 주위의 피봇 운동 (pivoting movement) 이다. 이 경우, 슬롯을 구비하며 하나의 부분 셸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넘어서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의 외부측면은 이 피봇 운동에 적합하게, 다시 말해서 비스듬한 또는 굽은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두 개의 부분 셸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서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부분 셸은 노이즈를 감소시키거나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요소들 중의 하나를 각각 부분 셸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들, 특히 페라이트 요소들을 위치결정하는 수단은, 요소들이 각 부분 셸에 삽입되는 때에 요소들을 부분 셸의 단부 벽면들 사이의 의도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비스듬히 배치된 센터링 웹 (centring web) 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링 웹은, 요소들이 각 부분 셸에 삽입될 때, 요소들을 단지 밀어넣음으로써 자동적으로 부분 셸에 대해 의도된 위치로 상기 요소들을 이동시키는 비스듬한 평면을 규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단부 벽면은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웹을 가지고 있고, 센터링 웹들 사이의 거리는 각 부분 셸의 기저부 방향으로 감소한다.
이런 식으로 배열된 센터링 웹들로 인해, 요소들은 요소들, 예를 들어, 하프 셸 (half-shell) 형태의 페라이트 요소들을 하우징의 부분 셸 안으로 단지 밀어넣음으로써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터링 웹들은 부분 셸에 연결되어 있고, 오직 한 단부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터링 웹들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요소들이 밀어 넣어지는 때에 스프링력 (spring force) 을 가할 수 있다. 요소들이 부분 셸 내의 그들의 최종 위치에 도달하더라도, 센터링 웹들은 요소들에게 프리텐셔닝력 (pretensioning force) 을 가해서, 상기 요소들이 덜컹거림 (rattling) 없이 부분 셸 안에 유지될 수 있다. 센터링 웹들은 부분 셸의 각 단부 벽면에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면, 각 부분 셸의 기저부 방향에서 바라볼 때, 각 부분 셸의 기저부에 있는 통로 개구 (passage opening) 는 센터링 웹들 아래에 배치된다. 이는 센터링 웹들이 부분 셸과 함께 주형틀에서 간단히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출 성형, 특히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한 부분 셸의 제조를 더 쉽게 만든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의 폐쇄 상태에서 케이블 상에서 축방향 장력에 대해 클립들을 안정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클립들을 안정시키는 수단은, 클립을 갖지 않는 부분 셸에 제공되는 핀들 (pins) 을 구비하고, 상기 핀들은 상기 하우징의 폐쇄 상태에서, 삽입된 케이블과 접촉하는 상기 림들과 상기 클립들을 갖는 상기 부분 셸의 인접한 단부 벽면 사이의 중간 공간을 채우는 핀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립들은 각 인접한 단부 벽면의 방향으로, 케이블 상에서 축방향 장력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만약 클립들이 바람직하게 부분 셸의 양 반대편 단부 벽면에 각각 배열되어 있다면, 일 단부측면의 클립들은 일 방향으로 케이블 상에서 장력에 대해 고정되고, 반대편 단부 벽면의 클립들은 반대 방향으로 케이블 상에서 장력에 대해 고정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인장되는 방향과 무관하게, 장력은 각 경우에 핀에 의해서 각 클립과 각 인접한 단부 벽면 사이에 분산되어, 클립들은 케이블 상의 축방향 장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세부사항 및 이점은 청구항과 요약으로부터 드러날 수도 있으며, 상기 청구항과 요약의 표현은 인용에 의한 설명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도면에 근거하여 포함된다. 이 경우, 상이한 실시형태들의 각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임의의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 은 페라이트 요소가 없는 개방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확대된 축적의 도면이다.
도면에 보여진 케이블의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는 장치의 하우징은, 두 개의 부분 셸들 (1, 2) 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길이방향 모서리 (3) 를 따라서 필름 힌지 (film hinge) (4) 의 도움으로,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두 개의 부분 셸들 (1, 2) 은 길이방향 모서리 (3) 에 대해 평행한 축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고, 폐쇄된 하우징을 만들기 위해 폐쇄될 수 있다. 각 부분 셸 (1, 2) 은 도면에 보여지지 않은 페라이트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두 부분 셸들 (1, 2) 은 배럴 (barrel) 형태이므로, 대략 원기둥 절반 형태의 단면적을 가진다.
각 하프 셸 (1, 2) 은 함께 접힌, 따라서 폐쇄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위한 원형 통로를 각각 형성하는, 하우징의 각 단부 측면 (5, 6) 에 각각 하나의 반원형 노치 (notch) (7) 를 가진다. 서로 정렬되어 있는 두 단부 측면들 (5, 6) 의 개구들은 케이블을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은 케이블을 위한 통로의 방향에서 횡방향에서보다 더 길지만, 이것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설명에서 사용되는 "길이방향" 과 "횡방향" 이라는 표현이 사용되는 경우, 길이방향은 케이블을 위한 통로의 방향을 의미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각 부분 셸 (1, 2) 의 기저부는 길이방향으로 오프셋 (offset) 된 두 개의 스프링 요소 (18) 를 가지고 있고, 이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이 폐쇄된 상태에서 두 페라이트 요소들이 서로를 향해 밀리도록 두 페라이트 요소들에 작용한다. 두 페라이트 요소들이 올바른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놓이는 것을 보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상 돌출부 (compensation projection) (9) 가 길이방향으로 두 스프링 요소들 (8) 사이 중심에 제공된다.
두 개의 래칭 설부 (latching tongue) (11) 가 도 1 의 왼쪽에 위치한 부분 셸 (1) 중 필름 힌지 (4) 의 반대측에 있는 외측 길이방향 모서리 (10) 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래칭 설부의 래칭 돌기는 하우징이 폐쇄되는 때에 다른 부분 셸 (2) 의 상응하는 외측 길이방향 모서리 (12) 상에 제공된 두 개의 개구 (13) 에 맞물린다. 이 래칭 설부 (11) 는, 개구 (13) 와 함께, 폐쇄 상태에서 하우징을 잠그는 잠금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슬롯 (14) 과 스프링 (15) 형태의 형상부들이 각 단부 벽면 (5, 6) 과 외측 길이방향 모서리 (10, 12) 의 모퉁이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하중을 받더라도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모퉁이 영역의 배열은 횡방향 하중과 종방향 하중 모두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페라이트 요소가 삽입되는 때에 그 페라이트 요소를 정확한 위치인 단부 벽면 (5, 6) 사이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비스듬히 세워진 센터링 웹들 (16) 은, 두 부분 셸 (1, 2) 의 단부 벽면 (5, 6) 의 내측에 형성된다. 페라이트 요소를 각 하프 셸 내에 단단히 유지시키기 위해서, 돌출부 (17) 가 하프 셸의 길이방향 벽면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페라이트 요소의 대응 형상부와 결합한다.
두 하프 셸을 피봇시킴으로써 하우징이 폐쇄되는 때에 신속하게 정확한 위치를 갖기 위해서, 하나의 부분 셸 (2) 의 길이방향 모서리 (12) 를 넘어서 돌출된 돌출부 (19) 를 가진 센터링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돌출부 (19) 는 슬롯 (20) 을 가지고 있어 두 개의 가지 (tines) 를 형성한다. 길이방향 모서리 (12) 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20) 의 위치는 다른 부분 셸 (1) 의 다른 길이방향 모서리 (10) 의 내측에 위치한 리브 (31) 에 상응한다. 따라서, 하우징이 폐쇄되면, 리브 (31) 는 돌출부 (19) 내의 슬롯 (20) 안에 놓이게 된다.
돌출부 (19) 의 외부측면은, 다른 부분 셸 (1) 의 내부측면의 곡률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마찬가지로 다소 곡선형이거나 비스듬하다.
두 개의 클립들 (21) 을 포함하는 고정 디바이스가, 도 1 과 도 2 의 오른쪽에 있는 부분 셸 (2) 의 양 단부 벽면 (5, 6) 의 내측에, 상기 단부 벽면들로부터 거리를 둔 채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총 네 개의 클립들 (21) 이 부분 셸 (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에서 위쪽에 있는, 부분 셸 (2) 의 단부 벽면 상의 두 클립들 (21) 은, 케이블의 고정 디바이스 또는 고정 수단을 형성하고, 도 1 에서 아래쪽에 있는, 부분 셸 (2) 의 단부 벽면 상의 두 클립들 (21) 은 케이블의 고정 디바이스 또는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각 클립 (21) 은 U 자형이고, 내측 림 (22), 외측 림 (23) 및 두 림을 연결시키는 보우 (24) 를 가진다. 외측 림 (23) 은 내측 림 (22) 과 평행하고, 마찬가지로 두 클립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림들 (22) 은 서로 평행하다. 막대와 같은 내측 림들 (22) 은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 변형 능력은 보우 (24) 의 변형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서로 마주보는 내측 림들 (22) 의 내부측면들은, 림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케이블의 유지력을 강화시키는 리브 부분 (25) 을 구비한다.
림들 (22, 23) 의 단부들은 일체형 형성에 의해 부분 셸 (2) 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클립들 (21) 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부분 셸들 (1, 2) 과 함께 제조된다. 부분 셸 (2) 을 주형으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부분 셸 (2) 은 림들 (22, 23) 의 각 단부들 사이에 개방되는 통로를 갖는다. 보우 (24) 는 변형 가능한 점뿐만 아니라, 동시에 케이블 상에서 부분 셸 (2) 을 밀기 위한 삽입 경사부도 형성한다. 내측 림들 (22) 사이에 형성된 슬롯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림들을 연결시키는 보우 (24) 의 외부측면은, 다른 부분 셸 (1) 의 내부 형태에 정합되어서, 폐쇄 중에, 부분 셸이 보우 (24) 를 직접 지나도록 안내될 수 있고, 보우 (24) 는 여전히 부분 셸들 내부측면을 지탱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 셸들 (1, 2) 이 폐쇄되면, 내측 림들 (22) 에 의해 케이블에 가해지는 클랩핑 력은 더 강화될 수 있다.
도 1 과 도 2 의 왼쪽에 보여지는 하우징의 부분 셸 (1), 다시 말해서 클립 (21) 이 없는 부분 셸 (1) 에는, 각 측의 하우징 개구의 영역에 두 개의 핀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핀들 (32) 은 부분 셸 (1) 의 각 단부 벽면으로부터 상기 부분 셸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두 부분 셸들 (1, 2) 이 폐쇄된 상태에서, 핀들 (32) 은, 삽입된 케이블과 접촉하는 림들 (22) 과 하우징 셸 (1) 각 단부 벽면 사이의 중간 공간을 채운다. 이로 인해, 클립들 (21) 은, 하우징이 폐쇄된 상태에서, 케이블 상의 축방향 장력에 대해 안정될 수 있다. 도 2 에서 부분 (2) 의 위쪽에 위치한 클립들 (21) 은 돌출부들 (32) 에 의해 축방향 상향 장력에 대해 안정되는 반면, 도 2 의 아래쪽에 위치한 클립들 (21) 은 돌출부들 (32) 에 의해 축방향 하향 장력에 대해 안정된다. 따라서, 삽입된 케이블 상의 양방향의 축방향 장력은, 도 2 에서 부분 셸 (1) 의 위쪽에 있는 단부 벽면 상의 돌출부들 (32) 또는 도 2 에서 부분 셸 (1) 의 아래쪽에 있는 단부 벽면 상의 돌출부들 (32) 에 의해 흡수된다.

Claims (15)

  1.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 노이즈를 감소시키거나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하나의 요소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부분 셸들 (1, 2) 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폐쇄 상태에서, 통과하게 루트 결정되는 (routed through) 케이블을 위한 하나의 개구를 두 단부 측면들 (5, 6) 에 각각 포함하고,
    - 상기 케이블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개구의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벽면 (5, 6) 에 위치해야 하고,
    - 적어도 두 개의 클립들 (21) 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클립들의 림들 (limbs; 22) 이 그 사이에 케이블을 클램핑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클립들 (21) 의 서로 마주보는 림들 (22) 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클립들 (21) 은 U 자형이고, 림들 (22, 23) 의 단부들이 부분 셸 (2) 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림들 (22) 의 서로 마주보는 내부측면들은, 상기 림들 (22)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부분 (ribbed portion)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클립 (21) 의 림들 (22, 23) 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림들 (22) 의 단면적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 수단들이 동일한 부분 셸 (2) 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페쇄 상태로 잠그기 위한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때에, 상기 두 개의 부분 셸들 (1, 2) 의 정확한 배향을 보장하기 위한 센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두 개의 부분 셸들 (1, 2) 이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부분 셸 (1, 2) 이 노이즈를 감소시키거나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요소들 중의 하나를 각각 상기 부분 셸 (1, 2) 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요소들이 각 부분 셸 (1, 2) 에 삽입되는, 상기 요소들을 상기 부분 셸 (1, 2) 의 단부 벽면들 (5, 6) 사이의 의도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비스듬히 배치된 센터링 웹 (16) 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 단부 벽면 (5, 6) 은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웹 (16) 을 포함하고, 센터링 웹들 사이의 거리가 각 부분 쉘 (1, 2) 의 기저부 방향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13. 제 11 항에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센터링 웹들 (16) 은 상기 부분 셸 (1, 2) 에 연결되어 있고, 오직 한 단부에서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브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폐쇄 상태에서 케이블 상의 축방향 장력에 대해 상기 클립들 (21) 을 안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들 (21) 을 안정시키는 수단은, 클립 (21) 을 갖지 않는 부분 셸 (1) 에 제공되는 핀들 (32) 을 구비하고, 상기 핀들은 상기 하우징의 폐쇄 상태에서, 삽입된 케이블과 접촉하는 상기 림들 (22) 과 상기 클립들 (21) 을 갖는 상기 부분 셸 (2) 의 인접한 단부 벽면 (5, 6) 사이의 중간 공간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KR1020177023144A 2015-03-23 2016-02-25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KR20170105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5193.5 2015-03-23
DE102015205193.5A DE102015205193A1 (de) 2015-03-23 2015-03-23 Vorrichtung zum Absorbieren des elektrischen Rauschens
PCT/EP2016/053915 WO2016150638A1 (de) 2015-03-23 2016-02-25 Vorrichtung zum absorbieren des elektrischen rauschens auf kabel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096A true KR20170105096A (ko) 2017-09-18

Family

ID=5544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144A KR20170105096A (ko) 2015-03-23 2016-02-25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878994B2 (ko)
EP (2) EP3120456B1 (ko)
JP (1) JP6581205B2 (ko)
KR (1) KR20170105096A (ko)
CN (1) CN107646169A (ko)
AU (1) AU2016236525B2 (ko)
BR (1) BR112017017136B1 (ko)
CA (1) CA2976702C (ko)
DE (1) DE102015205193A1 (ko)
ES (2) ES2879998T3 (ko)
HK (1) HK1245518A1 (ko)
MX (1) MX2017009954A (ko)
PL (2) PL3754845T3 (ko)
RU (1) RU2693568C2 (ko)
TW (1) TWI606463B (ko)
WO (1) WO2016150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176B (zh) * 2019-07-01 2021-09-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多功能线夹
DE102019215619B3 (de) * 2019-10-11 2020-12-24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Einrichtung zum Absorbieren von elektrischem Rauschen auf Leitungen und Verfahren zum Anordnen einer solchen 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801Y2 (ja) * 1989-02-17 1997-01-08 北川工業 株式会社 雑音吸収具
US5003278A (en) * 1990-03-01 1991-03-26 Ferrishield, Inc. Ferrite suppressor case with retaining fingers
JP2774454B2 (ja) * 1994-12-14 1998-07-09 北川工業株式会社 雑音吸収具
DE19536155A1 (de) 1995-09-29 1997-04-03 Wuerth Elektronik Gmbh & Co Kg Einrichtung zum Absorbieren des elektrischen Rauschens
JP3126922B2 (ja) 1996-07-19 2001-01-22 竹内工業株式会社 ノイズ吸収装置
JP2000012333A (ja) * 1998-06-24 2000-01-14 Fuji Elelctrochem Co Ltd ノイズフィルタ
DE19912917A1 (de) 1999-03-22 2000-09-28 Wuerth Elektronik Gmbh & Co Kg Elektrischer Rauschabsorber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an einem Kabel
US6515230B1 (en) * 1999-03-24 2003-02-04 Tdk Corporation Noise absorber and case for noise absorber
JP4077816B2 (ja) 2004-07-07 2008-04-23 Tdk株式会社 ノイズ吸収装置
JP4160592B2 (ja) * 2005-11-29 2008-10-01 Tdk株式会社 ノイズ吸収装置
DE102006027312A1 (de) 2006-06-08 2007-12-13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sorbieren des Rauschens
CN101500744B (zh) 2006-07-05 2011-11-30 富士电机株式会社 膏状钎焊料和电子部件的软钎焊方法
DE102010042743A1 (de) 2010-10-21 2012-04-26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Einrichtung zum Absorbieren des Rauschens
JP5526007B2 (ja) * 2010-11-26 2014-06-18 竹内工業株式会社 ノイズ吸収装置
JP6016459B2 (ja) * 2012-06-05 2016-10-26 竹内工業株式会社 ノイズ吸収装置の支持構造
JP5994061B2 (ja) * 2012-09-19 2016-09-21 北川工業株式会社 保持具
US20150208519A1 (en) * 2012-09-19 2015-07-23 Kitagawa Industries Co., Ltd. Ferrite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81205B2 (ja) 2019-09-25
RU2017133562A3 (ko) 2019-04-23
PL3754845T3 (pl) 2023-02-06
EP3120456A1 (de) 2017-01-25
RU2017133562A (ru) 2019-04-23
JP2018512733A (ja) 2018-05-17
EP3754845B1 (de) 2022-10-05
PL3120456T3 (pl) 2021-11-02
TWI606463B (zh) 2017-11-21
BR112017017136B1 (pt) 2023-04-11
RU2693568C2 (ru) 2019-07-03
CA2976702C (en) 2021-06-22
AU2016236525B2 (en) 2018-11-01
TW201643899A (zh) 2016-12-16
HK1245518A1 (zh) 2018-08-24
EP3120456B1 (de) 2021-04-21
CA2976702A1 (en) 2016-09-29
BR112017017136A2 (pt) 2018-04-03
AU2016236525A1 (en) 2017-09-07
DE102015205193A1 (de) 2016-09-29
CN107646169A (zh) 2018-01-30
MX2017009954A (es) 2018-03-07
US10878994B2 (en) 2020-12-29
WO2016150638A1 (de) 2016-09-29
ES2879998T3 (es) 2021-11-23
ES2934587T3 (es) 2023-02-23
US20180090264A1 (en) 2018-03-29
EP3754845A1 (de)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127B2 (en) Connector including electric wire cover with catching portion
US9463757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170105096A (ko) 케이블에서 전기적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
US10236618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dress cover
KR20140021514A (ko) 노이즈를 흡수하는 장치
KR100604971B1 (ko) 노이즈 흡수장치 및 노이즈 흡수장치용 케이스
JP2001132871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
US8813321B2 (en) Buckle
KR101379572B1 (ko) 노이즈 흡수용 장치
KR19990063807A (ko) 전기 노이즈 흡수용 장치
KR101840462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RU2738050C2 (ru) Пан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внутренне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контейнера
JP6873533B2 (ja) 自動車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101840458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64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63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60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56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65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59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61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57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CN111051710B (zh) 边缘保护器
KR101820138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JP2017220974A (ja) 電線ガイド用ゴムブーツ及び電線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