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766A -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766A
KR20170104766A KR1020160027565A KR20160027565A KR20170104766A KR 20170104766 A KR20170104766 A KR 20170104766A KR 1020160027565 A KR1020160027565 A KR 1020160027565A KR 20160027565 A KR20160027565 A KR 20160027565A KR 20170104766 A KR20170104766 A KR 20170104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
consumer
photo
control unit
corr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록
Original Assignee
박종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록 filed Critical 박종록
Priority to KR102016002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766A/ko
Publication of KR2017010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H04N5/225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사진을 찍어서 신속하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한 사진 보정 작업에 소비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어 소비자가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비자를 촬영하여 얻은 원본 사진을 원격지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지에서 보정된 보정 사진을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여 전달하는 사진관 부스; 및 상기 사진관 부스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원본 사진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 사진을 상기 사진관 부스에 전송하며, 상기 보정 사진을 실시간으로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도록 상기 사진관 부스를 제어하는 원격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Remote picture sho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관에서 찍는 반명함판이나 여권 사진 등의 다양한 증명사진은 사진관의 사진기사가 촬영부터 보정까지 모든 것을 주도한다. 그런데 사진이 잘 나오면 다행이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본인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사진관에서 찍는 사진은 적어도 2~3시간 또는 1일 이상 기다린 후 찾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비싼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유동 인구가 많은 지하철이나 상가 등에 자판기 형태인 저렴한 즉석 사진관이 설치 및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사진관은 비용이 저렴하고 즉석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문 사진기사가 촬영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촬영 및 보정되기 때문에 상술한 사진관에서 찍는 사진보다 품질이 조악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사진을 찍어서 신속하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한 사진 보정 작업에 소비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어 소비자가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명의 관리자가 다수의 사진관을 원격지에서 동시에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사진관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은 소비자를 촬영하여 얻은 원본 사진을 원격지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지에서 보정된 보정 사진을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여 전달하는 사진관 부스; 및 상기 사진관 부스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원본 사진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 사진을 상기 사진관 부스에 전송하며, 상기 보정 사진을 실시간으로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도록 상기 사진관 부스를 제어하는 원격지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은 소비자를 촬영하여 원본 사진을 얻고, 상기 원본 사진을 보정하여 보정 사진을 얻으며, 상기 보정 사진을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여 전달하는 사진관 부스; 및 상기 원본 사진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 사진을 실시간으로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도록 상기 사진관 부스를 제어하는 원격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관 부스는 상기 소비자를 촬영하여 상기 원본 사진을 얻는 카메라; 상기 원본 사진 또는 상기 보정 사진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상기 원본 사진 또는 상기 보정 사진을 인쇄하는 프린터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니터 및 프린터는 상기 사진관 부스에 설치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원격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사진관 부스의 컴퓨터에는 소비자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 또는 가상 현금 단말기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진관 부스는 상기 소비자에게 액자를 제공하는 자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판기는 상기 원격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사진관 부스는 자판기, 출입문, 안내등, 모니터 및 조명과, 상기 자판기, 출입문, 안내등, 모니터 및 조명을 제어하는 로컬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원격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사진관 부스는 상기 소비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CCTV 또는 출입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CCTV 또는 출입 센서에 의한 상기 소비자의 출입 신호는 상기 원격지 제어부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사진관 부스는 상기 사진관 부스의 소비자와 상기 원격지 제어부의 관리자 사이에 통화가 가능한 스피커 및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지 제어부는 상기 사진관 부스를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 상기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제1모니터; 및 상기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제2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컴퓨터는 상기 제1모니터를 통해서 CCTV를 통한 영상과 출입 센서에 의한 소비자 출입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2모니터를 통해서 원격 촬영된 원본 사진, 보정 사진, 인쇄 명령창 및 로컬 제어부 명령창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원격지 제어부는 상기 사진관 부스에서 인쇄되는 상기 보정 사진에 광고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격지 제어부는 상기 사진관 부스에서 인쇄되는 상기 원본 사진 또는 상기 소비자가 제공한 사진에 광고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사진을 찍어서 신속하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한 사진 보정 작업에 소비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어 소비자가 가장 마음에 들어 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소비자가 사진관 부스에 들러 사진을 찍으면, 원격지 제어부의 관리자가 원본 사진을 보정하여 보정 사진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이때 사진관 부스에 설치된 스피커/마이크 및/또는 모니터를 통해 소비자와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통화하면서 원본 사진 및/또는 보정 사진을 함께 보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사진을 인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한명의 관리자가 다수의 사진관을 원격지에서 동시에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사진관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원격지 제어부에 한개 내지 열개의 사진관 부스가 통신/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한명의 관리자가 서로 다른 위치/공간에 설치된 한개 내지 열개의 사진관을 동시에 운영하는 것과 같게 되어, 관리자의 수익률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중 사진관 부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의 한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로컬 제어부 및/또는 제어 컴퓨터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로컬 제어부 및/또는 제어 컴퓨터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로컬 제어부 및/또는 제어 컴퓨터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컴퓨터, 로컬 제어부 및/또는 제어 컴퓨터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로컬 제어부 및/또는 제어 컴퓨터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로컬 제어부 및/또는 제어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100)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100)은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상호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사진관 부스(110) 및 이를 제어하는 원격지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진관 부스(110)는 소비자가 입장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또한 보정된 사진을 즉석에서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 제어부(140)는 관리자에 의해 사진관 부스(110)를 관리하도록 한다. 더불어, 1개의 원격지 제어부(140)에는 1개 내지 10개의 사진관 부스(110)가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연결됨으로써, 1개의 원격지 제어부(140)가 1개 내지 10개의 사진관 부스(110)를 동시에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한다.
사진관 부스(110)는 소비자를 촬영하여 얻은 원본 사진을 원격지 제어부(140)에 전송하고, 원격지 제어부(140)에서 보정된 보정 사진을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예로, 사진관 부스(110)는 소비자를 촬영하여 얻은 원본 사진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원격지 제어부(140)가 사진관 부스(110)에 원격 접속하여 사진관 부스(110)에 자체적으로 저장된 원본 사진을 보정하여 얻은 보정 사진을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진관 부스(110)는 지하철, 관공서, 대학가, 번화가, 인구 밀집 상가 등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즉, 사진관 부스(110)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연결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원격지 제어부(140)는 사진관 부스(110)로부터 전송받은 원본 사진을 보정하고, 보정 사진을 사진관 부스(110)에 전송하며, 보정 사진을 실시간으로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도록 사진관 부스(11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예로, 원격지 제어부(140)는 사진관 부스(110)에 접속하여 사진관 부스(110)에 저장된 원본 사진을 보정하고, 보정 사진을 실시간으로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도록 사진관 부스(11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지 제어부(140)는 일반 가정, 빌딩, 상가 등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즉, 원격지 제어부(140) 역시 유무선 인터넷망과 연결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라도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진관 부스(110) 및 원격지 제어부(140)의 구성, 상호간 연결 관계 및/또는 작용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진관 부스(110)는 카메라(111), 모니터(112) 및 프린터(113)를 포함한다. 카메라(111)는 소비자(피사체)를 촬영하여 원본 사진을 얻고, 이를 원격지 제어부(140)에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112)는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소비자의 원본 사진 및/또는 원격지 제어부(140)에서 보정된 보정 사진을 소비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프린터(113)는 원격지 제어부(140)에서 전달받은 보정 사진(또는 경우에 따라 카메라(111)로 촬영되어 얻은 원본 사진)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원격지 제어부(140)에 의해 보정된 보정 사진을 인쇄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진관 부스(110)는 컴퓨터(114)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114)는 상술한 카메라(111), 모니터(112) 및/또는 프린터(113)를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컴퓨터(114)가 카메라(111)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자를 촬영하여 원본 사진을 얻고,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컴퓨터(114)가 모니터(112)를 제어함으로써, 모니터(112)를 통해 소비자의 촬영된 원본 사진 및/또는 보정 사진을 표시하며, 그리고 원격지 제어부(140)에 의해 컴퓨터(114)가 프린터(113)를 제어함으로써, 프린터(113)를 통해 소비자의 보정 사진 및/또는 원본 사진을 인쇄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프린터(113)는 컴퓨터(114) 및/또는 컴퓨터(114)가 아닌 원격지 제어부(140)에 의해 직접 제어됨으로써,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프린터(113)가 소비자에게 보정 사진 및/또는 원본 사진을 인쇄하여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컴퓨터(114)에는 스피커/마이크(115)가 더 연결됨으로써, 소비자는 스피커/마이크(115)를 통하여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와 실시간으로 의사 소통할 수도 있다. 즉, 소비자는 스피커/마이크(115)를 통하여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에게 보정 영역 및/또는 보정 방향 등을 제안할 수 있으며, 또한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는 스피커/마이크(115)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사진 촬영 시 자세 교정을 요구하거나, 또는 특정 동작을 취하도록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및/또는"을 의미한다.
또한, 컴퓨터(114)에는 소비자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116), 가상 현금 단말기(117)(예를 들면, 티머니 단말기)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폐 인식기(116) 및 가상 현금 단말기(117)는 소비자가 사진 촬영, 보정 및/또는 인쇄에 대한 서비스 비용을 지폐, 카드 및/또는 스마트 폰 등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완료 신호가 컴퓨터(114)를 통해 원격지 제어부(140)에 전달됨으로써, 관리자가 이를 인식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
더불어, 사진관 부스(110)는 자판기(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판기(118)는, 예를 들면, 소비자에게 필요한 액자, 소품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자판기(118) 역시 원격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에 의해 자판기 도어(119)가 개방 및/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사진관 부스(110)는 상술한 자판기 도어(119), 출입문(120), 관리자 도어(121), 안내 LED(122), 모니터 전원(123), 각종 전원(124) 및 조명(12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제어하는 로컬 제어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로컬 제어부(126) 역시 원격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일례로, 상술한 로컬 제어부(126)는 웹 페이지 형태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컴퓨터(141)가 웹 페이지 형태의 제어창을 로딩하여, 상술한 로컬 제어부(126) 즉, 자판기 도어(119), 출입문(120), 관리자 도어(121), 안내 LED(122), 모니터 전원(123), 각종 전원(124) 및/또는 조명(125)을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자판기 도어(119)의 개방/폐쇄, 출입문(120)의 락/언락, 관리자 도어(121)의 개방/폐쇄, 안내 LED(122)의 안내 문구, 모니터 전원(123)의 턴온/턴오프, 각종 전원(124)(컴퓨터(114), 카메라(111) 등) 및 조명(125)(소비자 전방에 설치되어 소비자에게 빛을 제공함)을 직접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진관 부스(110)는 CCTV/출입 센서(127)를 더 포함한다. CCTV/출입 센서(127)는 소비자가 사진관 부스(110)에 입장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비자의 영상 및 출입 신호를 원격지 제어부(140)에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컴퓨터(114), 프린터(113), 로컬 제어부(126) 및/또는 CCTV/출입 센서(127)는 공유기(128)를 통하여 원격지 제어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컴퓨터(141)는 공유기(128)를 통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상술한 컴퓨터(114), 프린터(113) 및/또는 로컬 제어부(126)에 전송하고, CCTV/출입 센서(127)로부터 소비자 입장 영상 및 출입 신호를 전송받는다.
원격지 제어부(140)는 상술한 제어 컴퓨터(141), 제1관리자 모니터(142) 및 제2관리자 모니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컴퓨터(141)는 공유기(128)를 통하여 사진관 부스(110) 즉, 컴퓨터(114), 프린터(113), 로컬 제어부(126)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컴퓨터(141)에 의해 제1관리자 모니터(142)는 CCTV/출입 센서(127)를 통한 소비자 출입 영상과 소비자 출입 여부를 표시하고, 제2관리자 모니터(143)는 원격 촬영된 원본 사진, 보정 사진, 인쇄 명령창 및/또는 로컬 제어부(126)의 명령창(네트워크 홈페이지)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1관리자 모니터(142)를 통하여 소비자 영상과 소비자 출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제2관리자 모니터(143)를 통하여 원본 사진을 보정하여 보정 사진을 얻고, 프린터(113)에 인쇄 명령을 전송하며, 로컬 제어부(126)에도 각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로컬 제어부(126)에 연결된 자판기 도어(119), 출입문(120), 관리자 도어(121), 안내 LED(122), 모니터 전원(123), 각종 전원(124)(컴퓨터(114), 카메라(111), 프린터(113) 및/또는 자판기(118)의 전원), 조명(125) 등을 직접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제어 컴퓨터(141)를 이용하여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111)로 촬영된 원본 사진을 전송 받아서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제어 컴퓨터(141)에 설치된 포토샵과 같은 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본 사진을 보정하고, 이와 같은 보정 사진을 다시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전송함으로써, 컴퓨터(114)가 모니터(112)를 통하여 보정 사진을 소비자에게 표시하도록 한다. 물론, 관리자는 제어 컴퓨터(141)를 이용하여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를 제어함으로써,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저장된 원본 사진을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사진을 찍어서 신속하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한 사진 보정 작업에 소비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어 소비자가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명의 관리자가 다수의 사진관을 원격지에서 동시에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사진관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100) 중 사진관 부스(110)의 다양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사진관 부스(110)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이러한 사진관 부스(110)의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관 부스(110)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대략 육면체 형태의 프레임(150)과, 프레임(150)의 일측에 설치된 출입문(120)과, 프레임(150)의 내부 후방에 설치된 의자(151)와, 프레임(150)의 내부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111), 모니터(112), 프린터(113), 컴퓨터(114), 지폐 인식기(116), 자판기(118), 자판기 도어(119), 관리자 도어(121) 및 조명(125) 등을 포함한다. 더불어, 프레임(150)의 상부에는 CCTV/출입 센서(12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50)은, 예를 들면, 가로 폭이 대략 1~3m, 세로 폭이 대략 0.5~2m, 높이가 대략 2~3m로서, 성인 1명 내지 5명 정도가 동시에 입장하여, 의자(151)에 착석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또한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지하철, 관공서, 대학, 상가 등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프레임(150)의 표면에는 관리자의 연락처 등이 기재되어 있음으로써, 사진관 부스(110)가 폐장한 이후에도 긴급하게 사진이 필요할 경우, 소비자가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사진 촬영 및 인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소비자가 출입문(120)을 열고 사진관 부스(110)에 입장하게 되면, 이를 CCTV/출입 센서(127)가 감지하여 원격지 제어부(140)에 알려주게 되고, 이에 따라 관리자는 스피커/마이크(115)를 통해 소비자와 대화하면서 사진 촬영 및 인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프레임(150)의 후방 벽면(152)(즉, 소비자의 후방 배경)은 원격지 제어부(140)에서 원본 사진의 용이한 보정을 위해 흰색이 채택될 수 있으며, 또한 고급스럽거나 신뢰성있는 사진을 위해 후방 벽면(152)에 청색이나 회색의 승강 가능한 블라인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후방 벽면(152)이나 블라인드의 색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밖에도 다양한 색상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100)의 한 동작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동작 순서도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이러한 동작 순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100)은 소비자 감지 단계(S1)와, 제어 컴퓨터 동작 단계(S2)와, 결제 완료 단계(S3)와, 사진 촬영 단계(S4)와, 보정 완료 단계(S5)와, 모니터 표시 단계(S6)와, 소비자 동의 단계(S7)와, 사진 인쇄 단계(S8) 등을 포함하는 동작 순서를 구현한다.
소비자 감지 단계(S1)에서, 소비자가 사진관 부스(110)의 출입문(120)을 열고 내부에 들어 가게 되면, CCTV/출입 센서(127)가 이를 감지하여 원격지 제어부(140)에 전송한다. 더불어, 이때 로컬 제어부(126)는 사진관 부스(110)의 내부에 소비자가 있음을 외부에 알리기 위해, 사진관 부스(110)의 외부에 설치된 안내 LED(122)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 LED(122)를 통하여 "현재 사진 촬영 중에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 컴퓨터 동작 단계(S2)에서,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컴퓨터(141)가 상술한 CCTV/출입 센서(127)의 신호에 따라 알람을 울려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며, 또한 예를 들어 제1관리자 모니터(142)에 사진관 부스(110)에 입장한 소비자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사진관 부스(110)에 몇명이 입장하였는지, 소비자의 연령대가 어떻게 되는지, 입장한 소비자들이 가족인지 친구들인지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결제 완료 단계(S3)에서, 소비자가, 예를 들면, 지폐 인식기(116)를 통해 사진 촬영 및 인화에 관련된 비용을 결제하였는지 판단한다. 즉, 소비자가 지폐 인식기(116)나 가상 현금 단말기(117)를 통해 소정 비용을 결제하게 되면, 이는 컴퓨터(114)를 통해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컴퓨터(141)에 전달됨으로써, 관리자는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진 촬영 단계(S4)에서, 소비자는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 지시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게 된다. 즉, 관리자는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컴퓨터(141)를 통해 사진 부스의 컴퓨터(114)를 직접 제어하게 되는데, 특히, 이에 연결된 카메라(111)를 직접 제어하여 소비자를 촬영하게 된다. 물론, 관리자는 카메라(111)의 초점이나 사진 크기 등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이때 로컬 제어부(126)는 소비자의 전방에 부착된 다수의 조명(125)을 턴온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적절한 빛을 조사하여 최적의 사진이 얻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카메라(11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완료되어 원본 사진이 획득되면, 이는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를 통해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컴퓨터(141)에 전달된다. 물론,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원본 사진이 자체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112)를 통해 소비자는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된 자신의 원본 사진을 확인할 수도 있고, 따라서 원본 사진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재촬영을 관리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보정 완료 단계(S5)에서, 관리자는 전달받은 원본 사진 또는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저장된 원본 사진을 제어 컴퓨터(141) 또는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설치된, 예를 들면, 포토샵과 같은 영상 전문 보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소비자의 얼굴에서 점을 제거한다거나, 잔머리 등을 제거한다든가, 턱의 각도를 조정한다든가, 눈을 크게 한다던가, 볼 살을 조정한다든가 또는 뒷배경을 조정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보정 사진을 구현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보정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러한 보정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모니터 표시 단계(S6)에서,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가 제어 컴퓨터(141)를 이용하여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보정 사진을 전송한다. 그러면, 컴퓨터(114)는 모니터(112)를 통하여 보정 사진을 소비자에게 표시한다. 이때, 컴퓨터(114)는 모니터(112)를 통하여 원본 사진과 보정 사진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때 소비자는 스피커/마이크(115)를 통하여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와 실시간으로 통화하면서 원하는 보정 부분이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는 이를 토대로 원본 사진을 보정하여 보정 사진을 제작하고, 이를 모니터(112)를 통해 실시간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는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저장된 원본 사진을 보정하여 얻은 보정 사진을 컴퓨터(114)의 모니터(112)를 통해 원본 사진과 보정 사진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소비자 동의 단계(S7)에서, 소비자가 스피커/마이크(115)를 통해 보정 사진(또는 원본 사진)의 인쇄에 동의하는 의사 표현을 하면, 이를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가 인식하여 사진 인쇄를 준비하게 된다.
사진 인쇄 단계(S8)에서,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가 보정 사진의 출력을 조작하게 되면, 보정 사진이 프린터(113)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프린터(113)는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컴퓨터(141)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보정 사진이 원격지 제어부(140)의 제어 컴퓨터(141)에서 바로 프린터(113)에 제공되어 인쇄되거나, 또는 보정 사진이 사진관 부스(110)의 컴퓨터(114)에 전달된 후, 컴퓨터(114)가 보정 사진을 프린터(113)에 제공하여 인쇄되거나, 또는 컴퓨터(114)에 저장된 보정 사진이 프린터(113)에 전달되어 인쇄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입장, 결제, 사진 촬영, 사진 보정 및 사진 인쇄에는 통상적으로 대략 5분에서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거의 즉석에서 본인의 사진을 촬영하고 찾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사진 보정이 컴퓨터(114)에 미리 입력된 기계적인 정형화된 보정이 아니라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영상 보정 전문가)에 의해 직접 수행됨으로써, 소비자의 마음에 드는 양질의 사진을 얻게 된다.
또한, 인쇄되는 사진(예를 들면, 원본 사진, 보정 사진, 소비자가 제공한 USB 메모리나 카카오톡의 사진)은 대략 10장 내지 100장 정도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진의 여백에 타겟 광고(학원, 헤어샵, 음식점 등의 광고) 문구가 더 인쇄됨으로써, 여러가지 종류의 광고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이미 사진이 인쇄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된 이후에도, 추후에 소비자가 다시 방문해서 재인화를 요구할 경우 이의 처리가 가능한데, 이때 조건부 무료 재인화(e.g., 증명 사진 100장 기간 무제한)를 하되, 사진 페이지를 늘려서 상술한 광고 페이지 또한 늘릴 수 있음으로써, 소비자 입장에선 광고가 따라 붙더라도 무료 재인화를 할 수 있어서 좋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는 광고 페이지가 늘어나서 광고 효과 및 이에 따른 수익 증가 효과가 예상된다.
한편, 소비자가 액자 등을 원하고 또는 결제가 완료되었을 경우, 관리자는 원격지 제어부(140)에서 자판기(118)의 자판기 도어(119)를 개방하도록 제어함으로서, 소비기자가 자판기(118)로부터 액자를 직접 취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자판기(118)에는 액자 외에도 소비자에게 필요로 하는 다양한 물품이 더 수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가 사진관 부스(110)에 들러서 본인의 스마트폰이나 기타 저장기기에 있는 사진을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에게 카카오톡 등의 무선 전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는 소비자가 보내온 사진을 프린터(113)를 통해 사진관 부스(110) 내에서 출력해주는 서비스도 가능하다. 더욱이, 소비자의 무선 전송에 따른 비용 절감을 위해, 사진관 부스(110) 내에는 무료 와이파이 기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관 부스(110)는 영업 시간이 종료됨에 따라 출입문(120)이 락(잠금) 상태가 되고 내부의 모든 전원이 오프되는데, 경우에 따라 소비자는 긴급하게 사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때, 소비자는 사진관 부스(110)의 표면에 기재된 관리자의 연락처로 전화를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전화로 사진관 부스(110)의 위치 또는 시리얼 번호를 불러주면, 관리자는 원격지 제어부(140)에서 해당 사진관 부스(1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원격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지 제어부(140)에서 특정 시리얼 번호의 사진관 부스(110)에 접속하여 출입문(120)을 개방하고, 내부에 있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진 촬영 및 인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소비자가 사진관 부스(110)에 들러 사진을 찍으면, 원격지 제어부(140)의 관리자가 원본 사진을 보정하여 보정 사진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이때 사진관 부스(110)에 설치된 스피커/마이크(115) 및/또는 모니터(112)를 통해 소비자와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통화하면서 원본 사진 및/또는 보정 사진을 함께 보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사진을 인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 제어부(140)에 한개 내지 열개의 사진관 부스(110)가 통신/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한명의 관리자가 서로 다른 위치/공간에 설치된 한개 내지 열개의 사진관을 동시에 운영하는 것과 같게 되어, 관리자의 수익률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110; 사진관 부스 111; 카메라
112; 모니터 113; 프린터
114; 컴퓨터 115; 스피커/마이크
116; 지폐 인식기 117; 가상 현금 단말기
118; 자판기 119; 자판기 도어
120; 출입문 121; 관리자 도어
122; 안내 LED 123; 모니터 전원
124; 각종 전원 125; 조명
126; 로컬 제어부 127; CCTV/출입 센서
128; 공유기 140; 원격지 제어부
141; 제어 컴퓨터 142; 제1관리자 모니터
143; 제2관리자 모니터 150; 프레임
151; 의자 152; 벽면

Claims (13)

  1. 소비자를 촬영하여 얻은 원본 사진을 원격지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지에서 보정된 보정 사진을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여 전달하는 사진관 부스; 및
    상기 사진관 부스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원본 사진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 사진을 상기 사진관 부스에 전송하며, 상기 보정 사진을 실시간으로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도록 상기 사진관 부스를 제어하는 원격지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2. 소비자를 촬영하여 원본 사진을 얻고, 상기 원본 사진을 보정하여 보정 사진을 얻으며, 상기 보정 사진을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여 전달하는 사진관 부스; 및
    상기 원본 사진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 사진을 실시간으로 상기 소비자에게 표시 및 인쇄하도록 상기 사진관 부스를 제어하는 원격지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관 부스는
    상기 소비자를 촬영하여 상기 원본 사진을 얻는 카메라;
    상기 원본 사진 또는 상기 보정 사진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상기 원본 사진 또는 상기 보정 사진을 인쇄하는 프린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니터 및 프린터는 상기 사진관 부스에 설치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원격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관 부스의 컴퓨터에는 소비자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 또는 가상 현금 단말기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관 부스는
    상기 소비자에게 액자를 제공하는 자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판기는 상기 원격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관 부스는
    자판기, 출입문, 안내등, 모니터 및 조명과, 상기 자판기, 출입문, 안내등, 모니터 및 조명을 제어하는 로컬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원격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관 부스는
    상기 소비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CCTV 또는 출입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CCTV 또는 출입 센서에 의한 상기 소비자의 출입 신호는 상기 원격지 제어부에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관 부스는
    상기 사진관 부스의 소비자와 상기 원격지 제어부의 관리자 사이에 통화가 가능한 스피커 및 마이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제어부는
    상기 사진관 부스를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
    상기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제1모니터; 및
    상기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제2모니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퓨터는
    상기 제1모니터를 통해서 CCTV를 통한 영상과 출입 센서에 의한 소비자 출입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2모니터를 통해서 원격 촬영된 원본 사진, 보정 사진, 인쇄 명령창 및 로컬 제어부 명령창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제어부는
    상기 사진관 부스에서 인쇄되는 상기 보정 사진에 광고가 포함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제어부는
    상기 사진관 부스에서 인쇄되는 상기 원본 사진 또는 상기 소비자가 제공한 사진에 광고가 포함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KR1020160027565A 2016-03-08 2016-03-08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KR20170104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565A KR20170104766A (ko) 2016-03-08 2016-03-08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565A KR20170104766A (ko) 2016-03-08 2016-03-08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860A Division KR20170104968A (ko) 2017-09-01 2017-09-01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766A true KR20170104766A (ko) 2017-09-18

Family

ID=6003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565A KR20170104766A (ko) 2016-03-08 2016-03-08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7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9660A (zh) * 2019-10-21 2020-01-14 陈碧霞 一种汽车零售体验亭
KR102526808B1 (ko) * 2022-03-30 2023-04-28 이상주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9660A (zh) * 2019-10-21 2020-01-14 陈碧霞 一种汽车零售体验亭
CN110689660B (zh) * 2019-10-21 2021-04-06 陈碧霞 一种汽车零售体验亭
KR102526808B1 (ko) * 2022-03-30 2023-04-28 이상주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009B2 (ja) 顔画像登録装置
JP5445420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写真シール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39131B1 (ko) 다기능 키오스크 시스템
JP5447183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1889232A1 (en) Animation composing vending machine
KR20170104766A (ko)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US20040114193A1 (en)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and method, photo sticker and photo sticker unit
WO2011078765A1 (en) Interactive kiosk
JP5115528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写真シール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31541B2 (ja) 管理サーバ、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70104968A (ko)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JP2006254214A (ja) 自動写真撮影装置、写真撮影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454973B2 (ja) 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183156A (ja) 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の制御方法
JP5482830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写真シール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65311A (ja) 画像印刷装置および方法
KR101651558B1 (ko) 전자 초상화 키오스크 장치 및 즉석유화 제작방법
JP6029381B2 (ja) 写真シール作成システム及び写真シール作成方法
JP701495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6184287A (ja) 画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
JP2005091937A (ja) 写真自動販売機、写真自動販売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媒体
KR20130087900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 출력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135596B1 (ko) 사진 촬영 장치
KR2014000051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사진인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306168B2 (ja) 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