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808B1 -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808B1
KR102526808B1 KR1020220039508A KR20220039508A KR102526808B1 KR 102526808 B1 KR102526808 B1 KR 102526808B1 KR 1020220039508 A KR1020220039508 A KR 1020220039508A KR 20220039508 A KR20220039508 A KR 20220039508A KR 102526808 B1 KR102526808 B1 KR 10252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self
yearbook
correction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주
Original Assignee
이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주 filed Critical 이상주
Priority to KR102022003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촬영컷을 선택하고,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의 원본을 다운로드하여 기 구축된 셀프보정툴(Tool)을 이용하여 셀프보정을 수행한 후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에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엑세스관리부, 사용자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셀프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사용자 단말의 졸업앨범 사진으로 확정하는 확정부를 포함하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YEARBOOK SELF RETOUCHING SERVICE}
본 발명은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졸업앨범 사진을 사용자가 선택, 보정 및 컨펌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혹은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찍은 사진을 보면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사람의 눈으로 보는 피사체를 사진이라는 사각형 영역 안에 담는 과정에서 피사체의 위치를 안정적인 느낌이 들도록 구도를 보정하여 촬영을 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진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은 비전문가가 이를 일일이 구도를 잡아서 촬영을 하는 일은 쉽지 않다. 졸업앨범은 전문가가 촬영하여 구도를 보정할 일은 없지만 비전문가인 피사체, 즉 학생이 얼굴 내 점, 다크서클, 자세 및 표정이 마음에 들지 않아 보정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증명사진의 경우에는 일대일로 촬영한 후 촬영본을 보고 바로 보정을 요구하므로 즉석에서 수정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나 한 학교의 졸업앨범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 백 명 내지 대학교의 경우 수 천 명까지 촬영을 하게 되므로 각자의 요구사항을 모두 반영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때, 단체인물사진을 보정하거나 셀프증명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97844호(2016년08월18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275172호(2021년07월08일 공고)에는, 사진 중 피사체를 인식하고, 피사체 윤곽선을 형성하며, 보정 베이스로 이용할 주(Main) 사진을 선택한 후, 주 사진에 나타난 객체 중 인물을 이루는 객체를 조합하여 인물 윤곽선을 형성하고, 사진에 나타난 인물을 비교하여 동일인물을 제외한 나머지를 주 사진에 합성하는 구성과, 피사체를 촬영한 후 광각렌즈에서 발생하는 술통형 왜곡을 보정하며, 피사체를 제외한 배경을 증명사진 배경으로 교체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졸업앨범에 포함되는 개개인의 보정요구를 반영하는 구성이 아니라 가장 많은 인물이 등장하는 메인사진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을 합성하는 구성이고, 후자의 경우에도 전문가가 촬영한 후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셀프로 증명사진을 찍기 위한 구도 및 배경을 잡아주는 구성에 불과하다. 증명사진은 촬영객체, 즉 피사체인 학생의 마음에도 들게 보정이 되어야 하지만, 학부모의 마음에 들지 않는 사진이 선택되거나 잡티나 주근깨, 피부톤 또는 점 등이 보정되지 않은 경우 컴플레인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각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컷을 선택하고 셀프보정툴을 이용하여 보정 및 컨펌을 함으로써 개인도 만족하고 졸업앨범을 제작하는 제작자의 수고도 덜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증을 하는 경우 사용자를 촬영한 졸업앨범 사진을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졸업앨범 사진을 셀프보정할 수 있도록 원본 다운로드를 허용하며, 원본 다운로드 후 셀프보정툴을 이용하여 보정을 한 후 사용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에서 컨펌이 되면 최종컨펌된 컷의 보정된 원본으로 인쇄를 시작하는,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 중 어느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의 원본을 다운로드하여 기 구축된 셀프보정툴(Tool)을 이용하여 셀프보정을 수행한 후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에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엑세스관리부, 사용자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셀프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사용자 단말의 졸업앨범 사진으로 확정하는 확정부를 포함하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증을 하는 경우 사용자를 촬영한 졸업앨범 사진을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졸업앨범 사진을 셀프보정할 수 있도록 원본 다운로드를 허용하며, 원본 다운로드 후 셀프보정툴을 이용하여 보정을 한 후 사용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에서 컨펌이 되면 최종컨펌된 컷의 보정된 원본으로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후 졸업앨범 사진컷을 선택하고, 선택한 졸업앨범 사진의 원본을 셀프보정툴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셀프보정툴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 후 사용자의 졸업앨범 사진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졸업앨범 사진을 고르고, 고른 졸업앨범 사진을 셀프보정툴을 이용하여 보정하거나 보정을 요청하도록 입력태그를 선택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최종 컨펌된 졸업앨범 사진을 이용하여 졸업앨범을 인쇄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보호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졸업앨범 사진의 컨펌을 요청받으면 컨펌 여부를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촬영제어부(320), 저장부(330), 교차확인부(340), 원본관리부(350), 원상복구중개부(360), 히스토리관리부(370) 및 자동입력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로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로드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미도시)로부터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받을 수도 있고, 촬영기사의 기사 단말(미도시)을 경유하여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실시간으로 업로드받을 수도 있다. 이때, 각 사용자, 즉 학생들의 정보를 함께 입력하여 업로드함으로써 이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본인인증을 한 후 본인사진에만 엑세스할 수 있도록 고유식별코드를 함께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식별코드는 휴대폰번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엑세스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에 엑세스권을 부여할 수 있다. 학생 A가 학생 B의 사진을 마음대로 고르거나 변형을 하면 안되므로 학생본인의 본인인증을 수행해야 자신의 사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졸업앨범 사진은 한 컷만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컷을 다양하게, 예를 들어 컨셉별로 4 내지 20 장 정도 촬영하는데, 이 중 원하는 컷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확정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셀프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사용자 단말(100)의 졸업앨범 사진으로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 중 어느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의 원본을 다운로드하여 기 구축된 셀프보정툴(Tool)을 이용하여 셀프보정을 수행한 후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셀프보정툴은 포토샵과 같은 프로그램을 깔지 않아도 웹 페이지에서 구동가능한 HTML5 기반으로 개발된 툴일 수 있다.
HTML5부터 등장한 Canvas API는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웹 표준 API다. 이는 HTML5 이전까지는 웹에서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표준이 정해져 있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창기 웹은 단순한 문서의 역할에 가까웠기 때문에, 웹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만으로는 풍부한 그래픽을 표현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Canvas API가 등장하기 전까지 웹에서는 SVG(Scalable Vector Graphic) 혹은 Adobe사의 Flash를 대체제로 이용하곤 했다. 그 사이 웹은 인터넷의 발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 그리고 뛰어난 접근성을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에 HTML에서도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HTML5부터는 그래픽을 전문적으로 표현하는 Canvas API가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Canvas API가 상용화되면서 웹에서도 다양한 그래픽 기술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Canvas API는 JavaScript를 이용한 로우 레벨 그래픽 라이브러리인 WebGL을 호환하기 때문에, 2D 뿐만 아니라 3D 그래픽 역시 제작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해 애니메이션, 데이터 시각화, 이미지 편집, 실시간 비디오 처리 등 복잡한 기능을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구현 가능하다. 또한 웹 표준 API이기 때문에 특정 운영체제나 플랫폼에 구애 받지 않는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진 편집에 초점을 맞추어, Canvas API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2D 그래픽 기반의 오픈소스 이미지 에디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셀프보정툴을 잘 이용하지 못하거나 스노우 또는 최근 셀카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얼굴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하의 방법을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얼굴 인식>
얼굴인식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사용자의 얼굴을 학습하여야 하는데, 해당 부분을 회원가입 단계에서 실시한다. 사용자의 얼굴이 담긴 사진 30장을 확정부(340)로 전송하고 확정부(340)는 이것을 학습하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Openface를 이용할 수 있다. 확정부(340)에서는 사용자의 얼굴이 담긴 사진을 받아서 얼굴 부분만 잘라낸다. 그 이후에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과 분류기법(Classification)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 예측한다. 이와 같은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궁극적인 목적은 증명사진의 얼굴을 자동적으로 보정 해주는데 있다. 카메라 한 프레임 내에 증명사진의 경우 한 명만 존재하지만, 단체사진의 경우에는 여러 명이 존재한다. 이때,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람이 누구인지 식별(Identification)하고, 그 사람에 맞는 보정 정보를 불러와서 자동으로 적용해줄 수 있다.
<랜드마크 추출>
사용자의 얼굴을 자동으로 보정해주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눈, 코, 입과 같은 얼굴의 부위, 즉 랜드마크를 찾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Dlib은 딥러닝 기반의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다. 얼굴인식 및 얼굴의 랜드마크 정보를 찾아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로봇공학, 임베디드 장비, 모바일 환경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사용자의 정면 얼굴이 담긴 영상이 입력되면 눈, 코, 입, 턱, 눈썹 등 N 개 부위에 대한 X, Y 좌표를 반환한다.
<들로네 삼각분할>
들로네 삼각분할(Delaunay Triangulation)기법은 평면 위의 점들을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공간을 분할할 때, 해당 삼각형들의 내각의 최소값을 최대한 크게 만들어 주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삼각분할기법으로 나뉘어진 삼각형은 정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을 지니게 된다. 위의 랜드마크 검출을 통해서 얻어진 점 N 개와 이미지 테두리의 점으로 들로네 삼각분할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삼각형으로 나눈다. 이러한 삼각분할기법을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적용하는 이유는 OpenGLES를 이용한 텍스쳐 매핑(Texture Mapping)을 하기 위함이다. 텍스쳐 매핑에 관한 내용은 이하 렌더링 부분에서 자세하게 다룬다.
<렌더링>
그래픽 렌더링(Rendering)의 기본 연산 중 하나는 평면에 텍스처의 적용이다. OpenGL ES에서 기본적 텍스처 형태인 2D 텍스처는 이미지 데이터의 2차원 배열이다. 2D 텍스처를 위한 텍스처 좌표들은 2D 좌표 (x, y)의 쌍으로 주어진다. 텍스처 좌표는 범위가 0.0에서 1.0으로 정규화된다. 먼저, 텍스처 객체를 생성하고 바인딩한 후에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적재한다. 랜드마크 검출을 통해 얻은 좌표를 텍스처 좌표 범위에 맞게 변환시키고, 눈과 턱에 해당하는 랜드마크의 좌표를 사용자가 지정한 조정 값에 맞게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변형된 텍스처 좌표를 버텍스 입력으로 버텍스 쉐이더에 전달한다. 버텍스 쉐이더의 출력값인 버텍스 스트림은 Triangle Processing의 입력값이 되어 들로네 삼각분할기법에 맞게 내장 함수를 이용해 텍스처를 삼각형으로 나눈다. 그 뒤, 프래그먼트 쉐이더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읽어 프래그먼트에 적용한다. 이 과정을 통해 GLSurfaceView에 텍스처 매핑된 결과값이 나타난다.
<보정 정도 설정 및 불러 오기>
얼굴 인식 기반의 개인화된 보정을 적용해 주기 위해서는 얼굴을 학습한 뒤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대한 보정 값을 설정해야 한다. 가령, 눈의 크기를 조금 키우고 싶은 사용자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내에 있는 막대(Bar)를 이용하여 0부터 100까지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을 하면, 실시간으로 바로 적용이 됨과 동시에 해당 값이 사용자의 ID와 함께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얼굴 학습과 설정을 모두 완료한 경우에는 학생 A가 어느 단체사진에 껴있다고 할지라도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저장한 보정 정보를 불러와서 자동적으로 적용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태그보정부(350)는, 셀프보정툴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보정될 부분을 지정하도록 하고, 보정될 부분에 기재될 요청사항을 기 구축된 태그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 태그, 피부톤 태그, 갸름 태그, 눈 크게 태그 등 각 사용자가 대다수 원하는 요구사항을 태그로 만들어두고, 각 사용자가 얼굴 부분을 지정하여 요구사항 태그를 태깅하면, 직원 단말(미도시)에서 이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보정 후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최종 컨펌을 받을 수 있다.
전후비교부(360)는, 셀프보정툴을 적용하기 전 및 후의 사진을 좌우로 비교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작은 화소 또는 픽셀 단위의 보정에 대해서 잘 확인을 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보정 부분을 부분확대 및 비교한 사진을 이용하여 비교사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전문가가 촬영을 했을지라도 구도가 보정되어야 할 경우가 존재한다. 자동 구도 보정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사체의 위치를 입력하고 삼분할법과 주요 물체의 크기를 활용한 사진 구도 개선을 위한 딥러닝 기반 크롭핑 기법이나 구도보정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고, 사진기사 장비에서 Edge Detection 기법을 활용해 사진을 찍을 때 장비에서 바로 사진의 자동 구도 보정을 제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CNN(Convoulutional Neural Network)을 기반의 객체 인식 기술의 정확도가 크게 높아졌고 얼굴인식기술도 연구가 활발하다. MTCNN(Multi-task Cascad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 모델 중 하나로, Joint Learning 방식으로 얼굴 인식 분야의 정확도를 상당히 끌어올렸다. 이후 최근까지도 DSFD(Dual Shot Face Detector) 등 점점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얼굴 인식 딥러닝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졸업앨범 사진에서는 사진의 중점 대상이 대부분 인물의 얼굴이라는 점과 졸업앨범 사진의 구도는 정형화 되어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졸업앨범 사진의 구도 보정을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화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얼굴 인식 딥러닝 기술인 MTCNN 을 활용해 얼굴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졸업앨범 사진의 구도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MTCNN 모델을 활용해 얼굴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삼분할법을 적용해 졸업앨범 사진 자동 구도 보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사진학적 활용 기법>
사진 구도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많이 사용하는 삼분할법은 영상을 가로 삼등분, 세로 삼등분으로 분할선을 형성한다. 가로 분할 선과 세로 분할선이 만나는 지점이나 분할선에 피사체가 위치하였을 때 안정감을 주는 사진학적 기법이다. 또한, 졸업앨범 사진에서 피사체인 인물을 사진의 정중앙에 배치하는 중앙배치법은 피사체에 집중하는 효과를 주는 사진학적 기법이다. 특히 삼분할법과 중앙 배치법을 사용하는 작가에게 효율적인 작업을 돕는 것이 목적이므로, 작가의 촬영 의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반복적인 작업을 지원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물사진의 중점이 되는 얼굴을 기준점으로 작가의 의도를 분석하고, 삼분할법 혹은 중앙배치법을 활용하여 세로 분할선에 배치한다. 이후 처음 데이터와 같은 비율로 기준점을 정해 전체 구도를 줄인다. 이때 상하의 비율은 같게 하여 작가의 촬영의도를 해치지 않도록 하는게 중요하다.
<MTCNN을 이용한 얼굴 인식>
졸업앨범 사진에서는 대부분 얼굴을 중심으로 사진의 자동 보정을 위해서는 원본 사진에서 얼굴의 위치가 자동 인식 되어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얼굴 인식 딥러닝 기술인 MTCNN 을 이용할 수 있다. MTCNN은 P-Net, R-Net, O-Net 3 단계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입력한 이미지를 여러 크기로 Resize 하여 Image Pyramid를 만든다. 이를 P-Net에 입력하여 얼굴 영역의 후보들을 얻은 후 NMS를 통해 겹쳐진 후보 영역에서 가장 높은 확률의 후보 영역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얼굴 영역 후보 리스트를 R-Net에 입력해 더 가능성이 높은 얼굴 영역 후보만을 남긴다. 마지막으로 O-Net에 이를 입력해 결과적으로 얼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Face Classification, 얼굴의 Bounding Box 좌표를 나타내는 Bounding Box Regression, 얼굴의 랜드마크 정보를 나타내는 Facial Landmark Localization을 출력한다.
<사진 자동 보정 방법>
MTCNN을 이용해 사진에서 추출한 얼굴 영역을 중점 피사체로 하여 삼분할법을 적용해 졸업앨범 사진을 보정한다.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사용자가 졸업앨범 사진을 입력한다. ② MTCNN 모델을 활용하여 사진에서 인물의 얼굴 영역 Bounding Box를 추출한다. ③ 사진의 좌측 삼분할선, 중앙 선, 우측 삼분할선 중 얼굴 중심 좌표와 가장 가까운 선을 찾는다. ④ 얼굴의 중심 좌표가 가장 가까운 선 위에 있도록 사진을 가로 Crop 한다. ⑤ 원본 사진과 비율이 맞도록 사진을 세로 Crop 한다. 상단과 하단은 같은 비율을 유지하도록 Crop 한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보정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보호자컨펌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의 보호자인 보호자 단말로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에 대하여 컨펌을 요청하고, 컨펌된 졸업앨범 사진을 최종컨펌 졸업앨범 사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원본제공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졸업앨범 사진의 원본을 요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는 경우 원본을 제공할 수 있다. 증명사진의 피사체에 따른 초상권은 본인에게 있지만 이를 촬영한 촬영자가 저작권을 가진다. 이에 따라 원본을 잘 주지 않으려고 하며 인화를 하는 경우에만 이용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본을 요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비용을 지불하면 원본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인쇄진행부(390)는, 사용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셀프보정 기간의 만료를 안내하고, 기 설정된 셀프보정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컨펌된 졸업앨범 사진으로 인쇄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인증을 하는 경우, 사용자를 촬영한 졸업앨범 사진컷을 디스플레이하고, (b) 어느 컷을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 (c)와 같이 셀프보정을 할 수 있는 셀프보정툴을 HTML5 기반으로 웹 페이지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d)와 같이 전후비교를 통하여 어느 부분이 어떻게 수정되었는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어떻게 다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b의 (a)를 참조하면 보정부분 및 태그를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직접 수정을 하지 못하는 경우 정확한 지시를 통해 요청을 할 수도 있고, (b) 보호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최종 컨펌을 받을 수도 있다. (c) 또 셀프보정기간을 안내하고 만료 이전 최종컨펌된 컷 및 보정된 사진으로 앨범이 인쇄될 것이라는 안내를 하며, (d) 만료가 되면 인쇄소 등에 전송을 하거나 또는 직접 졸업앨범 인쇄를 시작한다.
졸업앨범사업은 3월부터 12월, 다음 연도 1월까지 진행되는 1년에 걸친 사업인데, 1학기중 졸업앨범에 탑재될 개인컷과 단체 그룹컷을 촬영하고, 2학기 재촬영 후 졸업제작 업체에서 베스트 컷을 선정하여 수정한 후, 앨범 디자인 작업 후, 제본 인쇄 과정을 거쳐서 학생들은 졸업식 당일이나 일주일 전후로 앨범을 수령하여 앨범에 탑재된 사진을 확인한다. 기존에 졸업앨범의 제작과정 흐름상 학생들이 앨범을 수령 전까지 내 사진이 어떻게 촬영되었는지 알 수가 없기에, 학생이 직접 자신이 마음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고 수정사항을 기입하는 졸업앨범 셀렉시스템을 개발했다.
<셀렉시스템 이용방법>
졸업앨범에는 학생들의 개인컷(증명, 야외프로필, 실내프로필 등)과 그룹단체(학급단체 및 그룹컷) 컷을 각각의 컨셉에 맞게 여러장의 사진을 촬영하고 최종적으로는 앨범에 컨셉별로 한 컷씩만 탑재된다. 개인컷은 학교별로 사양의 차이는 있으나 증명, 야외프로필, 실내프로필은 각각 6~20컷 촬영하고, 총 20~60컷의 사진파일은 본 발명의 플랫폼의 당사의 홈피와 연결되고, 서버에 탑재하게 된다. 학생들은 해당 학교에서 주어진 셀렉 기간 내에 자신의 여러 사진 중 컨셉별로 한 컷씩 선택하고 제출하면되고, 원하는 수정사항은 기입할 수 있다. 학생이 최종선택한 사진을 업체가 다운받아 학생이 요청한 수정사항을 반영하여 가공한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학번 외에 개별코드숫자 6자리를 개인별로 부여하여 내 사진을 나만 볼 수 있도록 한다. 다만 학교에서 개인별로 안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개별코드를 분실 후 업체로 연락을 하는 학생들이 있어 어려움이 있기에, 학생명부등록시 학번과 이름 및 전화번호까지 등록하여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개별번호를 전송하는 형식으로 발전했다. 학교에서는 개별코드는 배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학생들을 핸드폰으로 알림을 확인가능하여 편리하다.
<셀렉시스템 완성까지 과정>
처음에는 한 학생당 개인 3컷 기준(증명, 실내프로필, 야외프로필) 총 50 내지 60개의 파일을 일일이 하나하나 클릭하여 서버에 올렸는데, 그러다 보니 졸업생이 100명인 학교도 5000번 이상의 클릭이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시행착오를 거쳐 파일을 드래그하여 컨셉별로 파일을 탑재할 수 기술을 개발했다. 즉 촬영한 파일을 증명, 실내프로필, 야외프로필로 분류하고, 증명파일, 실내프로필, 야외프로필이 한 번의 클릭만으로 경로가 설정되어 촬영된 개인파일이 서버에 탑재되는 시스텝을 개발했다. 파일명으로 경로를 설정하게 하는 것이다. 파일명으로 컨셉의 경로를 설정하고 각각 컨셉의 파일이 자동으로 넘버링되어 탑재되도록 했다. 앨범 촬영 시 원본파일은 123456 이러한 숫자로만 표기되어 기존에는 ACD 프로그램(네이밍 프로그램)으로 파일을 분류했다. 예를 들어, 01김명성_01, 01김명성_02, 01김명성_03 등과 같이 번호와 이름만을 넣어 파일을 네이밍했으나, 중간에 파일을 분류할 수 있는 확장자를 넣어 컨셉별 사진을 구분하여 탑재하게 되었다. 학생 명단도 초기버전에서는 일일이, [6학년 1반 1번 이름 김명성]과 같이 입력했으나, 지금의 버전에서는 학교에서 제공받은 학생명부를 업체 측 엑셀파일형식으로 변환하여 한 번의 클릭으로 학교졸업생 전체를 등록할 수 있게 되었다.
<선택한 파일 다운받기>
학생들이 컨셉별로 선택한 파일을 기존에는 예를 들어, 명성중학교 3학년 1반 1번 김명성 학생이 증명컷을 3번, 실내컷은 5번, 야외프로필컷은 7번으로 선택했다면 수동으로 사진파일을 일일이 골라야 했다. 그러다보니 작업자가 파일을 잘못 선택하거나 수동으로 선택하다 보니 100명의 학생이 있다면 개인사진 3컷 기준으로 300번 파일을 골라야 했다. 이에, 기존 버전에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사진을 컨셉별로 1컷씩 선택하여 [제출하기] 버튼을 누르면 각 학생이 선택한 사진들을 컨셉별로 한 번씩만 다운버튼을 누르면 다운받을 수 있게 기술력이 완성되었다. 수동으로 선택한 사진을 고르던 방식에서 컨셉별로 한 번 씩만 다운받으면 되는 형식이라 아주 간편해졌다.
<원본파일 탑재시 문제점 개선>
초기에는 촬영한 원본파일을 올리다 보니 용량이 너무 커서 서버 용량이 감당이 되지 않았으나,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원본파일을 올리되 서버에 등록할 때에는 원본파일 용량이 자동으로 줄어 서버에 올라가고 선택한 사진을 다운시는 원본파일을 다운할 수 있게 기술력을 완성되었다.
<플랫폼화 배경>
셀렉시스템이 있는 업체는 입찰이나 영업시 학생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으므로 우월적인 영업지위력 획득이 가능하고, 여러 동종업체에서 기술력 전수를 요구하고 있다. 학령인구의 감소, 영업환경의 변화, 즉 기존에는 교장이나 교직원의 인맥으로 영업권 보장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최저가 공개 입찰과, 학부모 및 교직원으로 구성된 앨범 선정위원회에서 앨범업체를 선정하는 형식으로 바뀌어 실질적인 소비자의 파워가 막강해졌기에, 업체의 기술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졸업앨범 플랫폼 사업을 개발했고, 회원제로 졸업앨범 업체나 결혼 스튜디오 업체들을 모집하여 서비스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결혼앨범 또는 웨딩앨범을 제작하는 업체들은 소비자가 스튜디오를 직접 방문하여 수 백 장 수 천 장의 사진 중 선택한 20 내지 30컷을 사진을 수동으로 선택하는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지금도 운영되고 있다. 사진셀렉이 디지털화 되는 업체는 웹상에서 소비자가 직접 선택하므로 이동이나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고, 우월한 지위 확보가 가능하여 매출증대 및 좋은 영업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이 보유한 셀프보정 시스템까지 플랫폼 회원들에게 제공하여 학생을 포함한 소비자가 원하는 내 사진을 직접 수정하여 탑재하면, 업체 입장에서는 베스트컷을 선정해야 하는 시간과 사진을 수정가공하는 시간들이 절약되어 업체입장에서도 이러한 중간과정이 생략되고, 인건비 절감과 가공과정이 축소되는 윈윈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좋은 사진을 고르는 기준 및 내가 좋아하는 포즈 및 표정은 지극히 소비자의 주관적인 판단이라 졸업앨범에 탑재될 사진을 직적 선택하고 직접수정하는 방향으로 앞으로 앨범시장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지금의 졸업앨범은 단체앨범에서 개인앨범화되어가고 있고, 학교별, 학생개인별 요구사항이 반영되는 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는 개인의 개성과 스타일을 존중받기를 원하는 MZ 세대의 시대상이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한다(S5100).
그리고,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에 엑세스권을 부여한다(S5200).
또,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을 저장하고(S5300), 사용자 단말에서 셀프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사용자 단말의 졸업앨범 사진으로 확정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 중 어느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의 원본을 다운로드하여 HTML5 기반으로 웹 페이지에서 동작하는 셀프보정툴(Tool)을 이용하여 셀프보정을 수행한 후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업로드하는 업로드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에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엑세스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졸업앨범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셀프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셀프보정된 졸업앨범 사진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졸업앨범 사진으로 확정하는 확정부와; 상기 셀프보정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정될 부분을 지정하도록 하고, 상기 보정될 부분에 기재될 요청사항을 점 태그, 피부톤 태그, 갸름 태그 및 눈 크게 태그를 포함한 기 구축된 태그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태그보정부와; 상기 셀프보정툴을 적용하기 전 및 후의 사진을 좌우로 비교하도록 출력할 때, 작은 화소 또는 픽셀 단위의 보정 부분을 부분확대 및 비교하는 전후비교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보호자인 보호자 단말로 상기 선택된 졸업앨범 사진에 대하여 컨펌을 요청하고, 상기 컨펌된 졸업앨범 사진을 최종컨펌 졸업앨범 사진으로 저장하는 보호자컨펌부를 포함하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셀프보정툴을 미적용한 졸업앨범 사진에 대해 지정된 태그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셀프보정툴을 미적용한 졸업앨범 사진에 대한 피사체의 위치를 입력받고 삼분할법과 주요 물체의 크기를 활용한 사진 구도 개선을 위한 딥러닝 기반 크롭핑 기법이나 구도보정 기술을 적용하여 사진 구도를 개선하고,
    상기 셀프보정툴을 미적용한 졸업앨범 사진에 대한 얼굴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P-Net, R-Net, O-Net 3 단계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MTCNN을 이용하여 입력한 이미지를 여러 크기로 리사이즈(Resize)하여 이미지 피라미드(Image Pyramid)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피라미드를 상기 P-Net에 입력하여 얼굴 영역의 후보들을 얻은 후 NMS를 이용하여 겹쳐진 후보 영역에서 가장 높은 확률의 후보 영역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하여 얼굴 영역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얼굴 영역 후보 리스트를 상기 R-Net에 입력해 최종 얼굴 영역 후보만을 남기고, 상기 O-Net에 상기 최종 얼굴 영역 후보를 입력하여 결과적으로 얼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얼굴 분류(Face Classification), 얼굴의 바운딩 박스(Bounding Box) 좌표를 나타내는 바운딩 박스 회귀(Bounding Box Regression), 얼굴의 랜드마크 정보를 나타내는 안면 랜드마트 로컬라이제이션(Facial Landmark Localization)을 출력하며,
    상기 MTCNN를 이용하여 사진에서 상기 얼굴의 바운딩 박스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셀프보정툴을 미적용한 졸업앨범 사진의 좌측 삼분할선, 중앙 선, 우측 삼분할선 중 얼굴 중심 좌표와 가장 가까운 선을 찾고, 얼굴의 중심 좌표가 가장 가까운 선 위에 있도록 사진을 가로를 크롭(Crop)하고, 상기 셀프보정툴을 미적용한 졸업앨범 사진에 대한 원본 사진과 비율이 맞도록 사진을 세로 크룹을 수행하고, 상단과 하단은 같은 비율을 유지하도록 크롭하여 상기 얼굴 영역을 중점 피사체로 하여 삼분할법을 적용해 졸업앨범 사진을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졸업앨범 사진의 원본을 요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는 경우 상기 원본을 제공하는 원본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KR1020220039508A 2022-03-30 2022-03-30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08A KR102526808B1 (ko) 2022-03-30 2022-03-30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08A KR102526808B1 (ko) 2022-03-30 2022-03-30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808B1 true KR102526808B1 (ko) 2023-04-28

Family

ID=8614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508A KR102526808B1 (ko) 2022-03-30 2022-03-30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8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546A (ko) * 2009-10-07 2011-04-13 권현태 인터넷을 이용한 앨범 제작 방법
KR20140047243A (ko) * 2012-10-11 2014-04-22 남창우 온라인 앨범 셀프 출판시스템
KR20170104766A (ko) * 2016-03-08 2017-09-18 박종록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546A (ko) * 2009-10-07 2011-04-13 권현태 인터넷을 이용한 앨범 제작 방법
KR20140047243A (ko) * 2012-10-11 2014-04-22 남창우 온라인 앨범 셀프 출판시스템
KR20170104766A (ko) * 2016-03-08 2017-09-18 박종록 원격 사진관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5608B2 (en) Super-resolution with reference images
US8761523B2 (en) Group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US111341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30128038A1 (en)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US20130130729A1 (en) User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CN109712082B (zh) 协作修图的方法及装置
CN115836292A (zh) 与旅行相关联的基于增强现实的翻译
US9024974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1645933B2 (en)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with tutorial content
CN104765715A (zh) 云端字体服务系统
CN115867882A (zh) 用于图像的基于出行的增强现实内容
CN110188216B (zh) 一种具有文字识别的照片直播系统及其方法
JP7337428B1 (ja) 対象物の双方向な三次元表現の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記録媒体
JP2023549810A (ja) 動物顔スタイル画像の生成方法、モデルのトレーニング方法、装置及び機器
KR20230079264A (ko)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기들에 대한 수집 파이프라인
KR102021781B1 (ko) 프린팅 자판기를 이용한 기념품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26808B1 (ko) 졸업앨범 셀프보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2013427A (ja) 情報処理装置、画像生成方法、プログラム
KR20220108914A (ko)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4584B1 (ko) 디지털 사진셀렉 및 셀프보정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489323A (zh) 双光场图像融合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053213B1 (ko) 비콘을 이용한 관광시스템
CN113822899A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738896B1 (ko) 패턴 복사를 이용한 가상 피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0421B1 (ko) 블록화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