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018A -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 Google Patents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018A
KR20170103018A KR1020177023819A KR20177023819A KR20170103018A KR 20170103018 A KR20170103018 A KR 20170103018A KR 1020177023819 A KR1020177023819 A KR 1020177023819A KR 20177023819 A KR20177023819 A KR 20177023819A KR 20170103018 A KR20170103018 A KR 2017010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bearing surface
connecting rod
supply passage
cross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7622B1 (ko
Inventor
히데아키 니시다
다쿠조 시기하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7/00Connecting-rods or like links pivoted at both ends; Construction of connecting-rod heads
    • F16C7/02Constructions of connecting-rods with constan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4Connecting-rod bearings; Attach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크로스헤드 저널 (7) 과 크랭크 핀 (9) 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접봉 (18) 은, 그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단부 (8A) 의 베어링면 (8a) 에 연결되는 급유 통로 (15) 와, 베어링면 (8a)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급유 통로 (15) 가 베어링면 (8a) 상에 개구되는 개구부 (15c) 에 연결되는 급유홈 (16) 과, 베어링면 (8a) 에 장착되는 반할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 (11) 을 구비하고 있다. 급유 통로 (15) 의 개구부 (15c) 의 위치는, 베어링면 (8a) 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저널 (7) 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 (R) 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에 있다. 또한, 급유홈 (16) 은 압력 범위 (R) 중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CONNECTING ROD AND CROSS-HEAD TYPE ENGINE PROVIDED WITH SAME}
본 발명은, 주로 선박의 주기 (主機) 로서 탑재되는 크로스헤드형 엔진에 사용되는 연접봉 (連接棒)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에 관한 것이다.
도 6 은, 선박용의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 은 도 7 의 VIII-V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9 는 도 7 의 IX-IX 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이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라이너 (1) 에 피스톤 (2) 이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되고, 실린더 라이너 (1) 의 축심 연장선 상에 크랭크축 (3) 이 축지지되고, 실린더 라이너 (1) 와 크랭크축 (3)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판 (4) 사이에 크로스헤드 (5) 가 자유롭게 상하 슬라이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2) 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 (6) 의 선단에 형성된 횡축상(狀)의 크로스헤드 저널 (7) 이 크로스헤드 (5)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접봉 (8) 의 작은 단부 (端部) (8A) 가 크로스헤드 저널 (7) 에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게 피보팅되고, 연접봉 (8) 의 큰 단부 (8B) 가 크랭크축 (3) 에 편심하여 형성된 크랭크 핀 (9) 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 (2) 이 연료의 연소에 수반되는 압력 (P) 에 의해 밀려 하강하면, 크로스헤드 (5) 도 밀려 하강하고, 연접봉 (8) 이 회동하여 크랭크축 (3) 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이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출력이 된다.
연접봉 (8) 의 작은 단부 (8A) 와 큰 단부 (8B) 에는, 각각 캡 (81, 82) 이 장착되어, 크로스헤드 저널 (7) 과 크랭크 핀 (9) 이 클램프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작은 단부 (8A) (81) 의 베어링면 (8a) 과 큰 단부 (8B) (82) 의 베어링면 (8b) 에는, 각각 화이트 메탈 등의 베어링 재료로 형성된 반할 (半割)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 (11, 12) 이 장착되어 있다.
도 7 ∼ 도 9 및 특허문헌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접봉 (8) 에는, 그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작은 단부 (8A) (베어링면 (8a)) 와, 도 6 에 나타내는 큰 단부 (8B) (베어링면 (8b)) 사이를 연통 (連通) 시키는 급유 (給油) 통로 (1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급유 통로 (15) 는, 작은 단부 (8A) 의 베어링면 (8a) 과 큰 단부 (8B) 의 베어링면 (8b) 에 연통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도 5 등도 참조). 베어링면 (8a) 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급유홈 (16) 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8 및 특허문헌 1 의 도 5 등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작은 단부 (8A) 의 베어링면 (8a) 에 있어서의 급유 통로 (15) 의 개구부의 내경은, 급유홈 (16) 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급유 통로 (15) 의 개구 위치는, 베어링면 (8a) 의 중앙부, 즉 연접봉 (8) 의 중심선 (C) (도 8, 도 9 참조) 에 일치시킨 위치로 되어 있다.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작동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윤활유 펌프로부터 크로스헤드 (5) 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크로스헤드 저널 (7) 과 베어링 메탈 (11) 사이를 윤활시킨 후, 급유홈 (16) 과 급유 통로 (15) 를 지나 베어링 메탈 (12) 과 크랭크 핀 (9) 사이를 윤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7-532845호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급유 통로 (15) 의 개구부의 내경이 급유홈 (16) 의 폭보다 크고, 또한 급유 통로 (15) 의 개구부가 베어링면 (8a) 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크로스헤드 저널 (7) 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P) (도 6 참조) 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 (R) 에 있어서, 급유 통로 (15) 의 개구부와 급유홈 (16) 이 겹쳐져 있어, 베어링 메탈 (11) 의 이면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면적이 커져 있었다.
이 때문에, 크로스헤드 저널 (7) 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 (11) 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이 급유 통로 (15) 의 개구부로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고 있었다. 즉, 도 7 중에 선 D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에 있어서의 최대 유막 압력의 분포 상태가, 급유 통로 (15) 의 부근에 있어서 급격히 저하되고, 급유 통로 (15) 의 주위에 있어서 높이 (H)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최대 유막 압력이 급격히 높이 (H) 까지 상승하는 위치 (급유 통로 (15) 의 개구부 주위 부근) 에서는,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과 크로스헤드 저널 (7)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유막이 얇아진다. 이 때문에,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에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베어링 메탈의 손상을 억제하여, 엔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태가 되는 연접봉은,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형성된 크로스헤드 저널과, 크랭크축에 형성된 크랭크 핀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연접봉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연접봉의 단부의 베어링면에 연결되는 급유 통로와, 상기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유 통로가 상기 베어링면 상에 개구되는 개구부에 연결되는 급유홈과, 상기 베어링면에 장착되는 반할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을 구비하고, 상기 급유 통로의 상기 개구부의 위치는, 상기 베어링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저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에 있다.
상기 구성의 연접봉에 의하면, 그 단부의 베어링면에 개구되는 급유 통로의 개구부가, 크로스헤드 저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연접봉과 같이 압력 범위에 급유 통로의 개구부가 위치함으로써 압력 범위 중에 있어서 베어링 메탈의 이면에 베어링면이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크로스헤드 저널의 하중 (압력) 이 베어링 메탈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이 급유 통로의 개구부에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베어링 메탈의 슬라이딩면에 있어서의 최대 유막 압력의 분포 상태에 급격한 상승부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윤활유의 유막이 얇아지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베어링 메탈의 슬라이딩면에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가 되는 연접봉은,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형성된 크로스헤드 저널과, 크랭크축에 형성된 크랭크 핀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연접봉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연접봉의 단부의 베어링면에 연결되는 급유 통로와, 상기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유 통로가 상기 베어링면 상에 개구되는 개구부에 연결되는 급유홈과, 상기 베어링면에 장착되는 반할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을 구비하고, 상기 급유 통로의 개구부의 내경은, 상기 급유홈의 폭 치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연접봉에 의하면, 그 단부의 베어링면에 개구되는 급유 통로의 개구부가,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급유홈의 내부에 개구되어, 그 급유 통로의 개구부의 내경이 급유홈의 폭 치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급유홈의 폭보다 내경이 큰 급유 통로의 개구부가 급유홈과 함께 압력 범위에 존재함으로써 압력 범위 중에 있어서 베어링 메탈의 이면에 접촉하지않는 면적이 커지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제 1 양태와 마찬가지로, 크로스헤드 저널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이 급유 통로의 개구부에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베어링 메탈의 슬라이딩면에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급유홈은, 상기 베어링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저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크로스헤드 저널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이 급유홈의 오목부에 들어가는 것에 따른 압력 변형이 없어져, 베어링 메탈의 슬라이딩면에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각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급유 통로는, 상기 연접봉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직경부와, 이 대직경부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베어링면에 통하며, 또한 상기 대직경부보다 내경이 작은 복수의 소직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의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베어링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가 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1 개의 대직경부로부터 복수의 소직경부를 분기시켜 베어링면의 복수의 위치에 개구시켜, 급유 통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개개의 개구부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설계상의 형편에 의해 개구부가 베어링면의 압력 범위 내에 개구되었다고 해도, 그 개구 면적이 작기 때문에, 베어링 메탈의 이면에 접촉하지 않는 면적이 커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저널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이 급유 통로의 개구부에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지 않아,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직경부의 내경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상기 베어링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저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소직경부의 내경을, 그 이외의 장소에 위치하는 상기 소직경부의 내경보다 작게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압력 범위의 내부에 위치하는 소직경부의 내경이 작기 때문에, 압력 범위 중에 있어서 베어링 메탈의 이면에 접촉하지 않는 면적이 커지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크로스헤드 저널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이 소직경부의 개구부에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이로써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직경부는, 각각 상이한 각도로 상기 대직경부로부터 분기시켜도 된다.
대직경부는, 구조 역학적으로는 연접봉의 횡단면 범위의 중앙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치 위치에 제약이 있는 대직경부에 대하여, 각 소직경부의 말단부를 비교적 자유롭게 베어링면의 임의의 위치에 개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소직경부의, 베어링면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위치를 최적화하여, 베어링 메탈의 압력 변형을 억제하고,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급유 통로를 복수 개 평행하게 형성하고, 그들 각각의 상기 개구부를 상기 베어링면의 상이한 장소에 연통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전체의 급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서, 각 급유 통로의 내경을 가늘게 하여 각각의 개구부의 면적을 작게 해서, 베어링 메탈이 개구부에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급유 통로의 형성에 수반되는 연접봉의 강도 저하를 억제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가 되는 연접봉은,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형성된 크로스헤드 저널과, 크랭크축에 형성된 크랭크 핀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연접봉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급유 통로와, 그 연접봉의 단부에 있어서의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급유홈과, 상기 베어링면에 장착되는 반할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을 구비하고, 상기 급유 통로는, 그 상기 베어링면측의 단부가, 상기 베어링면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급유홈의 바닥부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연접봉에 의하면, 급유 통로가 베어링면에 직접 연통되지 않고, 베어링면에 형성된 급유홈의 바닥부에 연통되기 때문에, 베어링면에는 급유홈만이 오목부로서 존재하고, 그 이외의 오목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급유홈에 포집된 윤활유는, 급유홈의 바닥부와 급유 통로의 단부가 겹쳐서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급유 통로로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면에 급유홈 이외의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베어링면에 베어링 메탈이 장착되었을 때, 급유홈의 부분만이 베어링 메탈의 이면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저널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이 오목부에 들어가 압력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이로써 베어링 메탈의 슬라이딩면에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크로스헤드형 엔진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연접봉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베어링 메탈의 압력 변형을 억제하여 엔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에 의하면, 베어링 메탈의 손상을 억제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연접봉의 베어링면의 평면도, (b) 는 (a) 의 Ib-Ib 선을 따른 연접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연접봉의 베어링면의 평면도, (b) 는 (a) 의 IIb-IIb 선을 따른 연접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연접봉의 베어링면의 평면도, (b) 는 (a) 의 IIIb-IIIb 선을 따른 연접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연접봉의 베어링면의 평면도, (b) 는 (a) 의 IVb-IVb 선을 따른 연접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연접봉의 베어링면의 평면도, (b) 는 (a) 의 Vb-Vb 선을 따른 연접봉의 종단면도, (c) 는 (b) 의 Vc-Vc 선을 따른 연접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선박용의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도 6 의 VII-VII 선을 따른 피스톤 로드와 연접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도 7 의 VIII-V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연접봉의 베어링면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도 7 의 IX-IX 선을 따른 연접봉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접봉에 관해서, 도 1(a), (b)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 나타내는 연접봉 (18) 은,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종래의 연접봉 (8) 과 마찬가지로 작은 단부 (8A) 를 구비하고 있고, 이 작은 단부 (8A) 에 도시하지 않은 캡 (도 6 의 부호 81 참조) 이 장착되어, 피스톤측에 형성된 크로스헤드 저널 (도 6 의 부호 7 참조) 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유지된다. 베어링면 (8a) 에는 반할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 (11) 이 장착된다 (도 1(a) 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연접봉 (18) 의 내부에는 급유 통로 (15) 가 형성됨과 함께, 베어링면 (8a) 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급유홈 (16)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접봉 (18) 의 중심선 (C) 을 사이에 두고 편측에 3 개씩, 합계 6 개) 이 형성되어 있다. 급유 통로 (15) 는, 연접봉 (18) 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 구멍상의 대직경부 (15a) 와, 이 대직경부 (15a) 의 단부로부터 연접봉 (18) 의 중심선 (C) 을 사이에 끼우도록 V 자상으로 분기되어 베어링면 (8a) 에 통하며, 또한 대직경부 (15a) 보다 내경이 작은 직경부 (15b)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접봉 (18) 의 중심선 (C) 을 사이에 두고 편측에 1 개씩, 합계 2 개)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각의 소직경부 (15b) 의 선단부 (개구부 (15c)) 는, 급유홈 (16) 중, 연접봉 (18) 의 중심선 (C) 을 사이에 둔 양측의 급유홈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개구부 (15c) 의 내경은 급유홈 (16) 의 폭보다 크지만, 급유홈 (16) 의 폭과 동등 이하로 해도 된다.
연접봉 (18) 의 베어링면 (8a) 과 크로스헤드 저널 (7) (도 6 참조) 이 접하는 부분에는, 피스톤 (2) 의 상하 운동에 의해 압력이 작용한다. 이 중, 압력이 높은 범위 (압력 범위) 는, 엔진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적어도 크로스헤드 저널 (7) 과 연접봉 (18) 의 베어링면 (8a) 이 접하는 피스톤축 방향 최하 위치가 존재하는 범위 (연접봉 (18) 이 크로스헤드 저널을 중심으로 하여 120°의 범위에서 움직이는 것이면, 중심선 (C) 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120°의 범위) 를 포함하는 범위가 된다.
베어링면 (8a) 에 있어서, 크로스헤드 저널 (7) 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P) 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것은, 도면 중에 나타내는 R 의 범위이다. 이 압력 범위 (R) 의 위치는, 연접봉 (18) 의 중심선 (C) 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비켜난 위치가 된다. 그 이유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2) 이 연료의 연소에 수반되는 압력 (P) 에 의해서 밀려 하강하기 시작하면, 크랭크축 (3) 이 피스톤 (2) 의 상사점 위치로부터 20°정도의 회전각 (θ) 에 와서 연접봉 (18) 이 기울어졌을 때에 가장 큰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P) 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범위를 압력 범위 (R) 로 정의하고 있지만, 비교적 압력이 높은 범위를 압력 범위로 해도 된다.
베어링면 (8a) 에 있어서, 상기한 압력 범위 (R) 에는, 급유 통로 (15) 의 소직경부 (15b) (개구부 (15c)) 도, 급유홈 (16) 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소직경부 (15b) 의 개구부 (15c) 는, 압력 범위 (R) 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에 있고, 이 위치에서 도중에 중단된 3 개의 급유홈 (16) 중의 중앙의 1 개의 단부에 개구되어 있다.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유 통로 (15) 의 대직경부 (15a) 상단으로부터 V 자상으로 분기되는 소직경부 (15b) 는, 각각 상이한 각도 α, β 로 대직경부 (15a) 로부터 분기되어, 각각 급유홈 (16) 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P) 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범위를 압력 범위 (R) 로 하고 있고, 이 압력 범위 (R) 가 중심선 (C) 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비켜나 있다. 이 때문에, 소직경부 (15b) 가 급유 통로 (15) 로부터 상이한 각도 α, β 로 분기되어 있다. 그러나, 개구부 (15c) 가 압력 범위 (R) 의 둘레 방향 외측 근방에 개구되는 것이라면, 각도 α, β 를 동등하게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접봉 (18) 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도 6 참조) 이 작동하면, 도시하지 않은 윤활유 펌프로부터 크로스헤드 (5) 에 윤활유가 공급된다. 이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저널 (7) 과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의 사이를 윤활시킨 후, 베어링 메탈 (11)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일 구멍을 지나 급유홈 (16) 으로 들어가고, 또한 개구부 (15c) 로부터 급유 통로 (15) (15a, 15b) 로 흘러, 베어링 메탈 (12) 과 크랭크 핀 (9) 사이를 윤활시킨다.
연접봉 (18) 은, 그 급유 통로 (15) 의, 베어링면 (8a) 상에 개구되는 개구부 (15c) 의 위치가, 베어링면 (8a) 의 압력 범위 (R) 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연접봉 (8) (도 8, 도 9 참조) 과 같이, 압력 범위 (R) 내에 개구부 (15c) 가 위치함으로써 압력 범위 (R) 내에 있어서 베어링 메탈 (11) 의 이면에 베어링면 (8a) 이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크로스헤드 저널 (7) 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 (11) 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이 급유 통로 (15) 의 개구부나 급유홈 (16) 에 들어가는 등의 압력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에 있어서의 최대 유막 압력의 분포 상태에 급격한 상승부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유의 유막이 얇은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에 있어서의 편마모 등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연접봉 (18) 은, 베어링면 (8a) 에 형성되어 있는 급유홈 (16) 이 압력 범위 (R) 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크로스헤드 저널 (7) 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 (11) 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이 급유홈 (16) 의 오목부에 들어가는 것에 따른 압력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에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급유 통로 (15) 는, 연접봉 (18) 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직경부 (15a) 와, 이 대직경부 (15a) 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베어링면 (8a) 에 통하는 소직경부 (15b) 를 구비하고, 소직경부 (15b) 의 각각의 선단부가 베어링면 (8a) 에 있어서의 개구부 (15c) 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1 개의 대직경부 (15a) 로부터 2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의 소직경부 (15b) 를 분기시켜 베어링면 (8a) 의 복수의 위치에 개구시켜, 급유 통로 (15) 를 지나는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서 개개의 개구부 (15c) 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설계상의 형편에 의해 개구부 (15c) 가 압력 범위 (R) 내에 개구되었다고 해도, 그 개구 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저널 (7) 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 (11) 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이 개구부 (15c) 에 들어가는 등의 압력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서도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소직경부 (15b) 를 각각 상이한 각도 α, β 로 대직경부 (15a) 로부터 분기시키고 있기 때문에, 배치 위치에 제약이 있는 대직경부 (15a) 에 대하여, 각 소직경부 (15b) 의 말단부를 비교적 자유롭게 베어링면 (8a) 의 임의의 위치에 개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어링면 (8a) 에 있어서의 개구부 (15c) 의 위치를 최적화하여, 베어링 메탈 (11) 의 압력 변형을 억제하고,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접봉에 관해서, 도 2(a), (b)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연접봉 (28) 에 있어서도, 급유 통로 (15) 는, 연접봉 (28) 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원 구멍상의 대직경부 (15a) 와, 이 대직경부 (15a) 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베어링면 (8a) 에 통하는 복수의 소직경부 (15b)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소직경부 (15b) 의 각각의 선단부가 베어링면 (8a) 에 있어서의 개구부 (15c) 로 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직경부 (15b) 는 연접봉 (18) 의 중심선 (C) 을 사이에 두고 편측에 3 개씩, 합계 6 개 형성되어 있다.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직경부 (15a) 의 상단으로부터 V 자상으로 분기되어 상기한 2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소직경부 (15b) 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중심선 (C) 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소직경부 (15b) 가 압력 범위 (R) 의 내부에 개구되고, 다른 3 개의 소직경부 (15b) 가 압력 범위 (R) 의 외부에 개구되어 있다. 압력 범위 (R) 의 내부에 개구되는 소직경부 (15b)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된 3 개의 급유홈 (16) 의 선단부에 개구되어 있고, 그 개구부 (15c) 의 내경은, 급유홈 (16) 의 폭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압력 범위 (R) 의 외부에 개구되는 소직경부 (15b) 도, 반대측의 3 개의 급유홈 (16) 의 선단부에 개구되어 있고, 그 개구부 (15c) 의 내경은, 급유홈 (16) 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접봉 (28) 은, 급유 통로 (15) 의, 베어링면 (8a) 상에 개구되는 6 개의 소직경부 (15b) 의 개구부 (15c) 가 대소 2 종류의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베어링면 (8a) 의 압력 범위 (R) 중에 위치하는 개구부 (15c) 의 내경이 압력 범위 (R) 밖에 위치하는 소직경부 (15b) 의 내경보다 작으며, 또한, 그 내경이 급유홈 (16) 의 폭 치수와 동등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연접봉 (8) (도 8, 도 9 참조) 과 같이, 급유홈 (16) 의 폭보다 내경이 큰 급유 통로 (15) 가 급유홈 (16) 과 함께 압력 범위 (R) 에 존재함으로써 압력 범위 (R) 중에 있어서 베어링 메탈 (11) 의 이면에 접촉하지 않은 면적이 커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저널 (7) 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 (11) 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이 소직경부 (15b) 의 개구부 (15c) 에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에 있어서의 편마모 등의 손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접봉에 관해서, 도 3(a), (b)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연접봉 (38) 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2 개의 원 구멍상의 급유 통로 (15A, 15B) 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들 2 개의 급유 통로 (15A, 15B) 의 개구부 (15c) 가 베어링면 (8a) 의 상이한 장소에 연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2 개의 개구부 (15c) 가, 연접봉 (8) 의 중심선 (C) 을 사이에 두고 베어링면 (8a) 의 원주 방향으로 이간되어 위치하고, 베어링면 (8a) 의 압력 범위 (R) 가 사이에 끼이도록, 압력 범위 (R) 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면 (8a) 에 형성되어 있는 급유홈 (16)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접봉 (18) 의 중심선 (C) 을 사이에 두고 편측에 3 개씩, 합계 6 개) 은, 압력 범위 (R) 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앙의 급유홈 (16) 의 선단부에 급유 통로 (15A, 15B) 의 개구부 (15c) 가 연통되어 있다. 개구부 (15c) 의 내경은, 급유홈 (16) 의 폭 치수와 동등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접봉 (38) 은, 그 내부에 2 개의 동등한 내경을 갖는 급유 통로 (15A, 15B) 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들 급유 통로 (15A, 15B) 의 개구부 (15c) 가 베어링면 (8a) 의 상이한 장소에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체적인 급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서 각 급유 통로 (15A, 15B) 의 내경을 가늘게 하여, 이들 각각의 개구부 (15c) 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유 통로 (15A, 15B) 의 개구부 (15c) 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급유 통로 (15A, 15B) (개구부 (15c)) 가 베어링면 (8a) 의 압력 범위 (R) 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에 연통되어 있는 것과, 개구부 (15c) 의 내경이 급유홈 (16) 의 폭 치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 및 급유홈 (16) 이 압력 범위 (R) 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때문에, 압력 범위 (R) 중에 있어서 베어링 메탈 (11) 의 이면에 베어링면 (8a) 이 접촉하지 않은 오목부가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크로스헤드 저널 (7) 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 (11) 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이 압력 범위 (R) 중의 오목부에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베어링 메탈 (11) 의 손상을 방지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급유 통로 (15A, 15B) 의 내경을 가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급유 통로 (15A, 15B) 의 형성에 수반되는 연접봉 (8) 의 강도 저하를 억제하여, 이 점에서도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2 개의 급유 통로 (15A, 15B) 는 연접봉 (38) 의 중심선 (C) 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가공이 용이하다. 급유 통로 (15A, 15B) 를 2 개 이상 형성하거나, 내경을 다르게 하거나 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접봉에 관해서, 도 4(a), (b)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연접봉 (48) 에 있어서도, 급유 통로 (15) 는, 연접봉 (28) 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 구멍상의 대직경부 (15a) 와, 이 대직경부 (15a) 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베어링면 (8a) 에 통하는 복수의 소직경부 (15b) 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 소직경부 (15b) 의 각각의 선단부가 베어링면 (8a) 에 있어서의 개구부 (15c) 로 되어 있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직경부 (15b) 의 수는 예를 들어 4 개이고, 대직경부 (15a) 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그 각각의 개구부 (15c) 가 베어링면 (8a) 의 복수의 지점에 개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개구부 (15c) 의 모두가, 베어링면 (8a) 의 둘레 방향에 형성된 3 개의 급유홈 (16) 의 내부에 개구되어 있다. 중앙의 급유홈 (16) 에는 3 개의 개구부 (15c) 가 개구되고, 양측의 급유홈 (16) 에는 1 개씩 개구부 (15c) 가 개구되어 있다. 각 소직경부 (15b) (개구부 (15c)) 의 내경은, 급유홈 (16) 의 폭 치수와 같거나, 그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모든 개구부 (15c) 를 급유홈 (16) 내에 개구시킬 필요는 없고, 일부의 개구부 (15c) 만을 급유홈 (16) 내에 개구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접봉 (48) 은, 1 개의 대직경부 (15a) 로부터 다수의 소직경부 (15b) 를 분기시켜 베어링면 (8a) 의 복수의 위치에 개구시키고 있기 때문에, 급유 통로 (15) 를 지나는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서, 개개의 개구부 (15c) 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들 개구부 (15c) 는 베어링면 (8a) 의 압력 범위 (R) 중에 배치되어 있는데, 각 개구부 (15c) 는 급유홈 (16) 의 내부에 개구되어 있고, 그 내경이 급유홈 (16) 의 폭 치수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급유홈 (16) 의 폭보다 내경이 큰 개구부 (15c) 가 압력 범위 (R) 중에 개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크로스헤드 저널 (7) 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 (11) 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이 개구부 (15c) 에 들어가도록 압력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베어링 메탈 (11) 의 손상을 방지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접봉에 관해서, 도 5(a), (b), (c)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연접봉 (58) 은, 그 작은 단부 (8A) 의 베어링면 (8a) 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예를 들어 3 개의 급유홈 (16)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의 홈은 양측의 홈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연접봉 (58) 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원 구멍상의 급유 통로 (1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급유 통로 (15) 는 그 베어링면 (8a) 측의 단부가 베어링면 (8a) 에 도달하지 않고 중앙의 급유홈 (16) 의 바닥부에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앙의 급유홈 (16) 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급유 통로 (15) 에 연통되는 슬릿상의 개구부 (15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15c) 의 길이는 급유 통로 (15) 의 내경과 동등하고, 개구부 (15c) 의 폭은 급유홈 (16) 의 폭과 동등하다.
상기 구성의 연접봉 (58) 에 의하면, 도 5(a) 및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유 통로 (15) 가 베어링면 (8a) 의 압력 범위 (R) 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 급유 통로 (15) 는 베어링면 (8a) 의 표면에는 직접 연통되지 않고, 급유홈 (16) 의 바닥부에만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면 (8a) 에는 급유 통로 (15) 가 오목부로서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베어링면 (8a) 에는, 3 개의 급유홈 (16) 만이 오목부로서 존재하고, 그 이외의 오목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급유홈 (16) 에 포집된 윤활유는, 중앙의 급유홈 (16) 의 바닥부와 급유 통로 (15) 의 단부가 겹쳐져 형성된 개구부 (15c) 로부터 급유 통로 (15) 로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면 (8a) 에 급유홈 (16) 이외의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베어링면 (8a) 에 베어링 메탈 (11) 이 장착되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의 이면에 급유홈 (16) 의 부분만이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저널 (7) 의 하중 (압력 (P)) 이 베어링 메탈 (11) 에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메탈 (11) 이 개구부 (15c) 등의 오목부에 들어가 압력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이로써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에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접봉 (18, 28, 38, 48, 58)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EG) 에 의하면, 연접봉 (18 ∼ 58) 의 단부 (8A) 의 베어링면 (8a) 에 연통되는 급유 통로 (15) 가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인한 베어링 메탈 (11) 의 압력 변형을 억제하여, 베어링 메탈 (11) 의 슬라이딩면 (11a) 에 있어서의 최대 유막 압력이 급격히 높아지는 장소를 없애고 베어링 메탈 (11) 에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이나 개량을 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경이나 개량을 가한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연접봉 (18 ∼ 58) 의 작은 단부 (8A) 측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큰 단부 (8B) 측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거나, 별도 구성을 부가하거나 해도 된다.
1 : 실린더 라이너
2 : 피스톤
3 : 크랭크축
6 : 피스톤 로드
7 : 크로스헤드 저널
8A : 작은 단부 (단부)
8a : 베어링면
9 : 크랭크 핀
11 : 베어링 메탈
15, 15A, 15B : 급유 통로
15a : 대직경부
15b : 소직경부
15c : 개구부
16 : 급유홈
18, 28, 38, 48, 58 : 연접봉
EG : 크로스헤드형 엔진
P : 압력
R : 압력 범위
α, β : 소직경부의 각도

Claims (8)

  1.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형성된 크로스헤드 저널과, 크랭크축에 형성된 크랭크 핀 사이를 연결하는 연접봉으로서,
    그 연접봉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연접봉의 단부의 베어링면에 연결되는 급유 통로와,
    상기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유 통로가 상기 베어링면 상에 개구되는 개구부에 연결되는 급유홈과,
    상기 베어링면에 장착되는 반할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을 구비하고,
    상기 급유 통로는 상기 연접봉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분기되고,
    상기 개구부의 위치는, 상기 베어링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저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인 연접봉.
  2.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형성된 크로스헤드 저널과, 크랭크축에 형성된 크랭크 핀 사이를 연결하는 연접봉으로서,
    그 연접봉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연접봉의 단부의 베어링면에 연결되는 급유 통로와,
    상기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유 통로가 상기 베어링면 상에 개구되는 개구부에 연결되는 급유홈과,
    상기 베어링면에 장착되는 반할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을 구비하고,
    상기 급유 통로는 상기 연접봉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분기되고,
    상기 급유 통로의 상기 개구부의 내경은, 상기 급유홈의 폭 치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연접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홈은, 상기 베어링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저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에 대하여 둘레 방향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연접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통로는, 상기 연접봉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직경부와, 이 대직경부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베어링면에 통하며, 또한 상기 대직경부보다 내경이 작은 복수의 소직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의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베어링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가 되는 연접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직경부는 서로 내경이 상이하고, 상기 베어링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저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압력 범위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소직경부의 내경을, 그 이외의 장소에 위치하는 상기 소직경부의 내경보다 작게 한 연접봉.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직경부는, 각각 상이한 각도로 상기 대직경부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연접봉.
  7. 크로스헤드형 엔진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형성된 크로스헤드 저널과, 크랭크축에 형성된 크랭크 핀 사이를 연결하는 연접봉으로서,
    그 연접봉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급유 통로와,
    그 연접봉의 단부에 있어서의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급유홈과,
    상기 베어링면에 장착되는 반할 원통상의 베어링 메탈을 구비하고,
    상기 급유 통로는, 그 상기 베어링면측의 단부가, 상기 베어링면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급유홈의 바닥부에 연통되고,
    상기 급유 통로의, 상기 급유홈의 바닥부에 대한 연통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상기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급유 통로의 내경과 동등하고,
    상기 개구부의, 상기 베어링면의 축 방향을 따른 폭은 상기 급유홈의 폭과 동등한 연접봉.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접봉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KR1020177023819A 2015-03-31 2015-09-29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KR101957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3316 2015-03-31
JP2015073316A JP6727758B2 (ja) 2015-03-31 2015-03-31 連接棒およびこれを備えたクロスヘッド型エンジン
PCT/JP2015/077605 WO2016157575A1 (ja) 2015-03-31 2015-09-29 連接棒およびこれを備えたクロスヘッド型エンジ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018A true KR20170103018A (ko) 2017-09-12
KR101957622B1 KR101957622B1 (ko) 2019-03-14

Family

ID=5700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819A KR101957622B1 (ko) 2015-03-31 2015-09-29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7758B2 (ko)
KR (1) KR101957622B1 (ko)
CN (1) CN107407323B (ko)
WO (1) WO2016157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6051B2 (ja) * 2017-08-04 2019-12-25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サーボプレス機械
JP7127293B2 (ja) * 2018-02-15 2022-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
JP7099169B2 (ja) * 2018-08-23 2022-07-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複リンク式ピストンクランク機構
CN109854503A (zh) * 2018-12-29 2019-06-07 广东葆德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水润滑压缩机
WO2023247817A1 (en) * 2022-06-22 2023-12-28 Wärtsilä Finland Oy Bearing shell, bearing, piston engine and use of a bearing she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6612U (ja) * 1982-01-13 1983-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ピストン冷却用油通路
JP2004068682A (ja) * 2002-08-05 2004-03-04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圧縮比可変装置
JP2007532845A (ja) 2004-05-18 2007-11-15 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エーエス 大型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クロスヘッド軸受
JP2013241997A (ja) * 2012-05-21 2013-12-05 Hino Motors Ltd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5685A (en) * 1966-05-05 1970-02-17 Daimler Benz Ag Lubricating system for connecting rod and wristpin bearing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2658194C2 (de) * 1976-12-22 1985-01-17 Klöckner-Humboldt-Deutz AG, 5000 Köln Anordnung eines Rückschlagventils in der Pleuelstange einer Hubkolbenbrennkraftmaschine
US4345797A (en) * 1978-11-20 1982-08-24 Caterpillar Tractor Co. Lubrication system for an engine
JPH0754997A (ja) * 1993-01-27 1995-02-28 Toyota Motor Corp ピストンピン潤滑装置
CN201738964U (zh) * 2010-06-05 2011-02-09 锐展(铜陵)科技有限公司 一种发动机连杆结构
CN105324559B (zh) * 2013-06-20 2017-09-0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内燃机的多连杆式活塞曲柄机构的轴承构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6612U (ja) * 1982-01-13 1983-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ピストン冷却用油通路
JP2004068682A (ja) * 2002-08-05 2004-03-04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圧縮比可変装置
JP2007532845A (ja) 2004-05-18 2007-11-15 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エーエス 大型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クロスヘッド軸受
JP2013241997A (ja) * 2012-05-21 2013-12-05 Hino Motors Ltd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7575A1 (ja) 2016-10-06
JP2016191463A (ja) 2016-11-10
KR101957622B1 (ko) 2019-03-14
CN107407323A (zh) 2017-11-28
CN107407323B (zh) 2020-06-09
JP6727758B2 (ja)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622B1 (ko)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US10006491B2 (en) Slide bearing
EP3346107B1 (en) Piston crank mechanism with lubrication structure and lubrication method for upper pin in piston crank mechanis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876391B2 (en) Main bearing for crankshaf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012434B1 (en) Bearing structure for multi-link-type piston crank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5918107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6160779B2 (ja) 軸受構造
US10808801B2 (en) Bush and associated bush chain
US20140369633A1 (en) Bearing device
EP1751440B2 (en) Crosshead bearing for a large two-stroke diesel engine
JP2011208691A (ja) すべり軸受
KR102231313B1 (ko) 크로스헤드 베어링 및 크로스헤드 그리고 가구,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KR20180033277A (ko) 연접봉 및 이것을 구비한 크로스헤드형 엔진
EP2711567B1 (en) Weight optimized crank-shaft
JP4366590B2 (ja) エンジンの油路構造
JP7025951B2 (ja) 内燃機関の複リンク式ピストンクランク機構におけるアッパリンク
JP7044527B2 (ja) 内燃機関の複リンク式ピストンクランク機構におけるアッパリンク
JP2018054041A (ja) コンロッドのブッシュ
KR102077878B1 (ko) 크로스 헤드 베어링 장치
RU2652737C1 (ru) Двухзвенный поршневой кривошипно-шатун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754127B2 (ja) 潤滑油授受構造
KR20190039778A (ko) 컴프레서용 슈
CN102654094A (zh) 高压油泵用不动滚轮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