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909A - 일회용 화장 패드 - Google Patents

일회용 화장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909A
KR20170101909A KR1020177015481A KR20177015481A KR20170101909A KR 20170101909 A KR20170101909 A KR 20170101909A KR 1020177015481 A KR1020177015481 A KR 1020177015481A KR 20177015481 A KR20177015481 A KR 20177015481A KR 20170101909 A KR20170101909 A KR 2017010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fiber
cosmetic
aver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626B1 (ko
Inventor
히로코 이케다
요시노리 다나카
다케시 반도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Abstract

촉감이 부드럽고, 닦음성이 높은 일회용 화장 패드의 제공.
쿠션층(20)과, 상기 쿠션층을 포피하는 피복 시트(21)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10)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제1 섬유(26)를 주로 하여 구성된 외층(24)과, 상기 외층에 피복된, 상기 제1 섬유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제2 섬유(27)를 주로 하여 구성된 내층(23)을 갖고, 상기 화장 패드는, 상기 피부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1.20 ㎛ 이하이며,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35 이상이다.

Description

일회용 화장 패드{DISPOSABLE COSMETIC PAD}
본 발명은, 화장 지움 등에 사용되는 일회용 화장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을 포피(包被)하는 피복 시트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는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쿠션층과, 피복 시트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가 개시되어 있고, 피복 시트는, 0.1∼3 데니어의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실용공보 소56-98108호
이러한 화장 패드는, 화장수의 패팅이나 크림류의 제거에 이용할 수 있고, 크림류의 제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화장 패드에 클렌징제 등의 화장액을 도포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화장 패드에서는, 피부에 접촉되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자극감을 부여하는 경우가 없는 부드러운 촉감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화장 패드에서는, 자극감을 저하하기 위해 피복 시트 전체의 섬유 직경을 작게 하면, 피복 시트가 찢어지기 쉬워져 닦음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1 데니어를 초과하는 비교적 큰 섬유 직경의 섬유 부직포에 의해 피복 시트를 형성하면, 화장을 닦아낼 때에 사용자가 자극을 느끼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개량으로서, 촉감이 부드럽고, 닦음성이 높은 화장 패드의 제공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을 포피하는 피복 시트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를 개량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장 패드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상기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제1 섬유를 주로 하여 구성된 외층과, 상기 외층에 피복된, 상기 제1 섬유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제2 섬유를 주로 하여 구성된 내층을 갖고, 상기 화장 패드는, 상기 피부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1.20 ㎛ 이하이며,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3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일회용 화장 패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복 시트가, 상기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극세 섬유를 주로 하는 외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복 시트는, 외층의 극세 섬유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제2 섬유를 주로 하여 구성된 내층을 갖고 있고, 피부 접촉면은,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1.20 ㎛ 이하이며,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35 이상이기 때문에, 닦음성이 높다.
도면은, 본 개시에 관련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관련된 일회용 화장 패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장 패드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4는, 피복 시트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주요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피복 시트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1점 쇄선 VII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의 (a)는, 화장 패드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이고, (b)는, 화장 패드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하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인 도 1∼8에 나타내는 일회용 화장 패드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련된 일회용 화장 패드의 일례인 화장 패드(10)는, 서로 직교하는 제1 방향(S)과 제2 방향(R)과, 제1 면(11)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12)과, 제1 방향(S)으로 연장되는 양옆 가장자리(13, 14)와, 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양끝 가장자리(15, 16)와, 제1 방향(S)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단부(17) 및 제2 단부(18)와, 제1 및 제2 단부(17, 18)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9)를 갖는다. 중간부(19)에서는, 제2 방향(R)의 폭이 일정하고, 제1 및 제2 단부(17, 18)에서는, 각각, 제2 방향(R)의 치수가 끝 가장자리(15, 16)를 향하여 작아지도록 옆 가장자리(13, 14)가 경사져 있다. 화장 패드(10)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20)과, 쿠션층(20)을 포피하는 피복 시트(21)를 포함한다. 중간부(19)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크다.
<쿠션층>
쿠션층(20)은, 친수성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집합체이고, 이 섬유 집합체에는, 쿠션층(20)의 소요의 흡수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소수성 섬유가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섬유를 약 80 질량% 이상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로는, 예컨대, 레이온 섬유, 코튼 섬유, 아크릴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소수성 섬유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쿠션층(20)은, 레이온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친수성 섬유로서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경우, 코튼 섬유를 이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장수를 함침시켜 사용할 때의 이수성을 높일 수 있다.
하나의 화장 패드(10)에 있어서 쿠션층(20)의 질량은, 약 0.2∼0.4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층(20)은, 중간부(19)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션층(20)의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거의 동일 또는 각각 상이하게 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거의 동일하다. 또한, 예컨대, 쿠션층(20)의 제1 단부(17)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을 제2 단부(18)의 그것보다 크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포켓(50)에 손가락을 넣어 화장 패드(10)를 사용할 때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쪽에 있어서의 단부(제1 단부(17))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부드러운 촉감으로 할 수 있다.
<피복 시트>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피복 시트(21)는,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내층(지지층)(23)과,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외층(닦음층)(24)을 포함한다. 외층(24)은,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의 제1 섬유(흡습성 섬유)(26)를 주로 하는 멜트 블로운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제1 섬유(26)로는, 예컨대,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한 소수성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섬유(26)의 함유량은, 약 8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질량% 이상 포함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00 질량%이다.
내층(23)은, 예컨대, 흡수성을 갖는, 레이온 섬유나 펄프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고흡습성 섬유) 등이나 열융착성 섬유(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섬유(27)를 포함한다. 내층(23)은, 약 50∼100 질량%, 열융착성 섬유(소수성 섬유) 등을 약 0∼50 질량%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열융착성 섬유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을 2종류 이상 이용한 복합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섬유(26)의 평균 섬유 직경은, 내층(23)의 제2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보다 작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 이하이며, 제2 섬유(27)의 평균 섬유 직경은, 약 10∼20 ㎛이다. 또한, 제1 섬유(26)는 제2 섬유(27)보다 흡습성이 낮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섬유(26)를 극세 섬유 및/또는 저흡습성 섬유, 제2 섬유(27)를 고흡습성 섬유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외층(24)의 제1 섬유(26)의 흡습성을 내층(23)의 제2 섬유(27)의 그것보다 낮게 함으로써, 클렌징제 등의 화장액을 도포한 경우에, 화장액의 급속한 흡수를 억제하여, 화장 패드(10)의 피부 접촉면에 화장액을 일정 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내층(23)의 두께 치수(t1)는, 약 0.10∼0.25 mm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16 mm이다. 내층(23)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약 10∼35 g/m2로서, 약 15∼30 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층(23)의 밀도는, 약 0.08∼0.2 g/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12 g/cm3이다. 외층(24)의 두께 치수(t2)는, 약 0.05∼0.15 mm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09 mm이다. 외층(24)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약 5∼30 g/m2의 범위로서, 약 5∼15 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외층(24)의 밀도는 약 0.05∼0.2 g/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11 g/cm3이다. 외층(24)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약 10 g/m2 이하인 경우, 내층(23)의 질량은 약 25 g/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24)의 두께 치수(t2)는, 내층(23)의 두께 치수(t1)의 약 20∼60%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시트(21)의 두께 치수(t3)는, 약 0.2∼0.3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복 시트(21)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약 25∼40 g/m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 시트(21)의 비용적은, 약 50∼200 m3/kg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145 m3/kg이다. 외층(24)의 두께 치수(t2)는, 내층의 두께 치수(t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치수의 측정 방법>
피복 시트(21)의 두께 치수는, 피복 시트(21)에 3.0 gf/cm2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두께계((주)다이에이 과학 정기 제작소 제조, UF-60)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내층(23) 및 외층(24)의 두께 치수는, 현미경((주)키엔스 제조, 리얼 서페이스뷰 현미경 VE-7800)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피복 시트(21), 내층(23) 및 외층(24)의 각각의 밀도는, 밀도(g/cm3) = 단위 면적당의 질량(g/m2)/두께 치수(mm)×10-3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피복 시트(21)의 비용적(m3/kg)은, 밀도(g/cm3)×103의 역수로서 산출한다.
피복 시트(21)의 개공률(開孔率)은, 약 10∼50%의 범위이고, 또한, 약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복 시트(21)는, 피부 접촉면이 평균 섬유 직경 10 ㎛ 이하의 극세 섬유인 흡습성 섬유(제1 섬유(26))를 주로 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며, 또한, 이러한 개공률을 가짐으로써,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 흡습성 섬유가 비교적 조밀하게 배치된 상태가 되고, 섬유 사이의 공극이 작아져, 화장액의 유지성이 높아진다.
<개공률의 측정 방법>
피복 시트(21)의 개공률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화장 패드(10)로부터 쿠션층(20)을 제거한 상태의 피복 시트(21)를 추출하여, 26 mm×90 mm의 슬라이드 글라스에 피복 시트(21)를 고정하고, 그것을 필름 홀더에 세트하여 스캐너(세이코엡슨 주식회사 제조의 GT-X750)로 판독하고, 화상 소프트(Adobe Photoshop Elements 3.0)를 이용하여 화상을 읽어들이고, 24 mm×50 mm로 트리밍 처리한다. 그 후, 섬유가 흑색, 개공부가 백색이 되도록 페인트 소프트로 256 비트맵화하고, Histogram Analysis 소프트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 처리를 하고, 2진화 처리를 행하여 개공률을 구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피복 시트(21)는, 피부 접촉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접촉면과,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과,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옆 가장자리부(31) 및 제2 옆 가장자리부(32)와,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끝 가장자리부(33) 및 제2 끝 가장자리부(34)를 갖고 있고, 제1 및 제2 옆 가장자리부(31, 32)와 제1 및 제2 끝 가장자리부(33, 34)에 의해 피복 시트(21)의 외형이 획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의 각각은, 화장 패드(10)의 제1 방향(S) 및 제2 방향(R)의 각각과 일치한다.
피복 시트(21)는, 제1 끝 가장자리부(33)측에 위치하고,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선(35)과, 제1 절곡선(35)과 제2 끝 가장자리부(34) 사이에 위치하고,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선(36)을 갖고, 제1 끝 가장자리부(33)와 제1 절곡선(3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역(41)과, 제1 절곡선(35)과 제2 절곡선(36)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역(42)과, 제2 절곡선(36)과 제2 끝 가장자리부(34)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구역(43)으로 구분된다. 제2 구역(42)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M2)는, 제1 및 제3 구역(41, 43)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M1, M3)보다 크다. 또한, 제1 및 제3 구역(41, 43)의 치수(M1, M3)는, 제2 구역(42)의 치수(M2)의 2분의 1보다 크고, 제3 구역(43)의 치수(M3)는, 제1 구역(41)의 치수(M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옆 가장자리부(31, 32)는, 각각, 제1 절곡선(35)의 근방 및 제2 절곡선(36)의 근방에 있어서 폭 방향(X)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굽은 형상을 이룬다. 제1 절곡선(35)은, 화장 패드(10)의 한쪽의 끝 가장자리(15)와 일치하고, 제2 절곡선(36)은, 화장 패드(10)의 다른쪽의 끝 가장자리(16)와 일치한다.
쿠션층(20)은 피복 시트(21)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피복 시트(21)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다. 쿠션층(20)은, 설명의 편의상, 폭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제1 옆 영역(75) 및 제2 옆 영역(76)과, 제1 옆 영역(75)과 제2 옆 영역(76)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77)을 갖는다. 제1 옆 영역(75)은, 제1 옆 가장자리부(31)측에 위치하는 제1 절곡선(35)(끝 가장자리(15))의 일단부(78a)로부터 폭 방향(X) 외측(제1 옆 가장자리부(31)측에 위치하는 제2 절곡선(36)(끝 가장자리(16))의 일단부(78b)로부터 폭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제2 옆 영역(76)은, 제2 옆 가장자리부(32)측에 위치하는 제1 절곡선(35)(끝 가장자리(15))의 타단부(79a)로부터 폭 방향(X) 외측(제2 옆 가장자리부(32)측에 위치하는 제2 절곡선(36)(끝 가장자리(16))의 타단부(79b)로부터 폭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중앙 영역(77)은, 폭 방향(X)에 있어서, 제1 절곡선(35)의 일단부(78a)와 타단부(79a) 사이(제2 절곡선(36)의 일단부(78b)와 타단부(79b)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제1 옆 영역(75)과 제2 옆 영역(76)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거의 동일하고, 중앙 영역(77)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제1 및 제2 옆 영역(75, 76)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크다.
제1 및 제2 옆 영역(75, 76)과, 중앙 영역(77)은, 각각, 피복 시트(21)의 제1 구역(41)에 배치되는 제1 쿠션부(71)와, 피복 시트(21)의 제2 구역(42)에 배치되는 제2 쿠션부(72)와, 피복 시트(21)의 제3 구역(43)에 배치되는 제3 쿠션부(73)를 갖는다. 제1 쿠션부(71)는, 제1 구역(41)에 있어서 화장 패드(10)의 제1 단부(17)를 형성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쿠션부(72)는, 제2 구역(42)의 전역에 배치되고, 제3 쿠션부(73)는, 제3 구역(43)에 있어서 화장 패드(10)의 제2 단부(18)를 형성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피복 시트(21)의 제1 구역(41)은, 제2 구역(42)과의 사이에 쿠션층(20)을 둔 상태(즉, 제2 쿠션부(72)의 일부와 제1 쿠션부(71)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제1 절곡선(35)을 따라 제2 구역(42)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제3 구역(43)은, 제2 구역(42)과의 사이에 쿠션층(20)을 둔 상태(즉, 제2 쿠션부(72)의 일부와 제3 쿠션부(73)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제2 절곡선(36)을 따라, 제2 구역(42)에 적층된 제1 구역(41)의 피부 접촉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중간부(19)의 그것보다 크다. 또한, 제1 및 제2 단부(17, 18) 및 중간부(19)는, 각각, 제2 방향(R)의 중앙 영역(즉, 쿠션층(20)의 중앙 영역(77)이 배치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중앙 영역의 제2 방향(R) 외측에 위치하는 양옆 영역(즉, 쿠션층(20)의 제1 및 제2 옆 영역(75, 76)이 배치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보다 크다. 또한, 제1 및 제2 단부(17, 18)의 양옆 영역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중간부(19)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장 패드(10)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중간부(19)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사용 중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의 형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화장 패드(10)는, 제2 방향(R)의 양옆 영역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제2 방향(R)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작기 때문에, 중앙 영역에 있어서는 화장 패드(10)의 쿠션성을 높일 수 있고, 양옆 영역에서는, 적층된 피복 시트(21)를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 강고히 접합할 수 있다.
적층된 제1 및 제2 옆 가장자리부(31, 32)는, 각각,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 융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접어 겹쳐진 피복 시트(21)가 접합된 양측 접합부(44)가 형성된다. 제1 및 제3 구역(41, 43)은, 화장 패드(10)의 제1 면(11)을 형성하고, 제2 구역(42)은 제2 면(12)을 형성한다. 제1 면(11)에는, 제1 및 제2 구역(41, 42)에 적층된 제3 구역(43)에 의해 포켓(50)이 형성된다.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 쿠션층(20)은, 제2 구역(42)과, 제1 및 제3 구역(41, 43)에 협지된 상태에서 피복 시트(21)와 융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양측 접합부(44)는, 제1 절곡선(35)으로부터 제2 절곡선(36)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제1 옆 가장자리부(31)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45)와, 제2 옆 가장자리부(32)에 위치하는 제2 접합부(4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합부(45, 46)는, 각각, 제1 방향(S)(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상부(直狀部)(47)와, 직상부(47)의 제1 방향(S) 외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경사부(48)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상부(47)는, 화장 패드(10)의 중간부(19)에 위치하고, 경사부(48)는 화장 패드(10)의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위치하고 있고, 직상부(47)는, 경사부(48)보다 길이 방향(Y)의 치수가 크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접합부(45, 46)는, 대략 원 형상의 다수의 용착 스폿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그 밖의 형상, 예컨대, 대략 사각 형상의 용착 스폿이나, 연속 또는 비연속의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경사부(48)에서는, 직상부(47)에 비하여 적층된 피복 시트(21) 사이의 접합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화장 패드(10)의 모퉁이부에 위치하는 경사부(48)의 접합 강도를 비교적 높게 함으로써, 사용 중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의 형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 패드(10)의 양끝 가장자리(15, 16)에 위치하는 경사부(48)의 외단부(48a)에서는, 접합 강도가 경사부(48)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화장 패드(10)의 옆 가장자리(13)와 제1 접합부(45)의 이격 치수 및 화장 패드(10)의 옆 가장자리(14)와 제2 접합부(46)의 이격 치수(각 옆 가장자리(13, 14)와 각 접합부(45, 46)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 시트(21)의 비접합부의 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치수)(d1)는, 약 0.5∼5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 접합부(45, 46)의 폭 치수(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치수)(d2)는, 각각, 약 0.5∼5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50)은, 양측 접합부(44)와, 양측 접합부(44) 사이를 연장하는 제2 절곡선(36) 및 제2 끝 가장자리부(34)에 의해 획정되고, 제2 끝 가장자리부(34)에 의해, 제2 방향(R)(폭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가 형성된다. 포켓(50)에 있어서, 제1 및 제3 구역(41, 43)이 적층되는 적층부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L2)는, 화장 패드(10)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L1)의 약 20∼50%의 크기를 갖는다. 화장 패드(10)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L1)는 약 45∼65 mm, 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치수(L5)는 약 65∼85 mm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 가장자리(51)는 화장 패드(10)의 중간부(19)에 위치하고, 피복 시트(21)의 제1 끝 가장자리부(33)측의 끝 가장자리(33a)는 중간부(19)에 위치한다. 개구 가장자리(51)는, 화장 패드(10)의 제1 단부(17)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제1 면(11) 또는 제2 면(12)에 클렌징제를 도포하고, 화장 지움용 패드로서 사용하거나, 제1 면(11) 또는 제2 면(12)에, 모공의 오염물을 지우거나, 오래된 각질을 제거하거나 하기 위해 화장수(소위, 닦음 화장수)를 도포하고, 화장수용의 패드로서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화장을 닦아낼 때는, 화장 패드(10)의 제1 면(11) 또는 제2 면(12)을 피부에 눌러 대고 문지르기 때문에, 화장수를 함침시켜 얼굴에 대어 사용하는 페이스 마스크에 비교하여, 사용자가 자극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소요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특히, 닦음 화장수를 함침시켜 사용하는 경우, 모공의 오염물이나 오래된 각질을 제거하면서, 자극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비교적 높은 유연성이 요구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에서는, 제1 및 제2 면(11, 12)을 형성하는 외층(24)이,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의 극세 섬유인 흡습성 섬유(제1 섬유(26))를 주로 하는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큰 섬유 직경의 섬유 부직포에 의해 외층을 형성한 것과 비교하여, 자극감을 저감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극세 섬유는 멜트 블로운 섬유이기 때문에, 극세 섬유로서 분할형 섬유를 이용한 것과 비교하여, 섬유 직경을 균일하게 하며, 또한 섬유의 둘레면을 평활하게 할 수 있어, 부드러운 촉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층(23)은, 흡습성 섬유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극세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피복 시트(21)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피복 시트(21)가 극세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탄력이 약하여 안정적으로 각질 등을 닦아내지 못할 우려가 있지만, 극세 섬유(제1 섬유(26))로 구성된 외층(24)을 지지하도록, 극세 섬유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흡수성 섬유(제2 섬유(27))로 구성된 내층(23)이 적층됨으로써, 피복 시트(21)는 소요의 탄력을 가져 안정적으로 각질 등을 닦아낼 수 있다.
또한, 내층(23)이 소수성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내층(23)의 흡습성/흡수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외층(24)에 유지된 화장액 등을 인입하는 작용이 억제되어, 이러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 적층된 제1 옆 가장자리부(31)와 제2 옆 가장자리부(32)가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 융착될 때에, 서로 대향하는 내층(23)과 외층(24)이 접합되지만, 양층의 구성 섬유가 상이하기 때문에, 접합 강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내층(23)에 열가소성 섬유가 포함됨으로써,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향상되고, 사용 중에 상기 부분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복 시트의 제조방법>
피복 시트(21)를 구성하는 외층(24)과 내층(23)은, 기계 교락법, 유체 교락법(수류 교락법, 에어 교락법), 니들 펀치 교락법에 의해 일체화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류 교락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하기 본원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에 있어서, 양층(23, 24)을 접착제(바인더)로 접합함으로써 피복 시트(21)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수류 교락법에 의해 양층(23, 24)을 일체화함으로써, 피복 시트(21)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피부 접촉감이 양호해진다.
도 4는, 피복 시트(2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주요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피복 시트(21)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주요 부분에 관해서 기술하면, 우선, 내층(23)의 자재가 되는 제1 섬유 웹(91)(하층)과 외층(24)의 자재가 되는 제2 섬유 웹(상층)(92)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섬유층(93)을 고압 수류의 분사 작용하에 있어서 기계 방향(MD)으로 반송한다. 섬유층(93)은, 옵션으로서 탱크(94)로부터 수막을 공급하면서 형태를 안정시킨 후에, 개공 지지체(95)로서의 엔들리스·벨트형의 메시 스크린에 유도되고, 상기 메시의 하방으로부터 석션(96)을 작용시켜 배수함과 동시에, 그 위로부터 소정의 직경·피치를 갖는 복수의 노즐(97)의 오리피스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한다. 노즐(97)은, 기계 방향(MD)과 교차하는 방향(교차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시 스크린은, 서로 교차하는 스테인리스 스틸제의 복수의 선재(예컨대, 서로 직교하는 세로의 선재와 가로의 선재)를 평직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선재끼리가 교차하는 복수의 너클부를 갖는다. 본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외층(24)측에 고압 수류를 분사함으로써 피부 대향면측의 평활성이 향상되어 피부 접촉감이 양호해지지만, 하기 본원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에 있어서, 내층(23)측에 고압 수류를 분사해도 좋고, 내층(23)측과 외층(24)측의 양면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해도 좋다.
이 분사 처리에 의해, 제1 섬유 웹(91)의 섬유와 제2 섬유 웹(92)의 섬유가 교락함과 동시에, 개공 지지체(95) 상의 제1 섬유 웹(91)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너클부 상에 위치하는 섬유가 분사수의 작용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너클부 주변에 있어서 재배열되고, 상기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개공(80)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섬유 웹(91)에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97)로부터 분사되는 고압 수류에 의해 교차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홈부(82)가 형성됨과 동시에, 홈부(82) 사이에 위치하는 이랑부(畝部)(81)가 형성된다. 개공(80)은 홈부(82)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고압 수류가 직접 분사되는 제2 섬유 웹(92)은, 비교적 박육으로서, 나일론 등의 극세 섬유가 랜덤으로 배열되어 섬유끼리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어서 분사 처리되기 때문에, 제1 섬유 웹(91)과 같이 부형되어 복수의 개공(80)이 형성되는 경우는 없고, 섬유끼리의 교락이 풀려 네트형으로 고르게 퍼진다. 그 때문에, 제2 섬유 웹(92)을 구성하는 극세 섬유는, 제1 섬유 웹(91)의 개공(80)에 있어서도 그것을 막도록 존재하고 있다.
도 5∼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복 시트(21)에 있어서는, 외층(24)을 구성하는 극세의 제1 섬유(26)가 네트형으로 고르게 퍼져 있는 점에서, 그것을 얼굴에 문지르도록 눌러 대었을 때에, 제1 섬유(26)가 모공에 들어가 화장 가루나 피지 등을 긁어내도록 브러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 저흡습성의 제1 섬유(26)가 네트형으로 퍼져 있음으로써, 화장 패드(10)에 함침시킨 화장액이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 고르게 퍼지는 대략 균일한 액막이 형성되고,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되고, 화장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피부에의 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외층(24)은 제1 섬유(26)가 비교적 조밀하게 네트형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비교적 작은 섬유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섬유 간극이 큰 경우나 내층(23)과 같이 복수의 개공(80)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화장액 등의 액유지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비교적 적은 양의 화장액을 화장 패드(10)에 함침시킨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쿠션층(20)에 화장액이 흡수되는 경우는 없고, 습윤 상태에 있는 외층(24)으로 화장 가루나 피부의 오염물을 닦아낼 수 있다. 피복 시트(21)에 있어서, 이랑부(81) 및 홈부(82)는, 제1 방향(S) 또는 제2 방향(R)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방향(R)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S) 에 있어서 이랑부(81)와 홈부(82)가 교대로 늘어서 있다.
또한, 내층(23)은, 제1 섬유(26)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제2 섬유(27)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요철형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소요의 시트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피복 시트(21) 전체가 적절한 탄력을 갖고, 피부에 미끄럼 접촉했을 때에 외층(24)이 비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인 닦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층(24)으로부터 내층(23)으로 이동한 화장액은, 홈부(82)를 따라 내층(23) 전체에 확산됨과 동시에 복수의 개공(80)으로부터 쿠션층으로 신속히 이동된다.
또한, 외층(24)을 형성하는 제1 섬유(26)는, 제1 및 제2 면(11, 12) 상에 섬유의 말단부가 존재하지 않도록, 제1 방향(S)이나 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연속한 섬유(연속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섬유(26)가, 제1 및 제2 면(11, 12) 상에 섬유의 말단부가 존재하는 것과 같은 단섬유(스테이플)인 경우, 사용할 때에, 이 말단부가 피부에 닿아 자극을 부여할 우려가 있지만, 말단부가 제1 및 제2 옆 가장자리부(31, 32)를 제외하고 존재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 면(11, 12) 상에서 연속한 섬유로 함으로써, 단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외층(24)에 있어서, 제1 섬유(26)는 필라멘트로서, 섬유층(93)의 상태에 있어서 섬유 길이가 비교적 큰, 예컨대, 화장 패드(10)의 제1 방향(S) 및/또는 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및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에서는, 피복 시트(21)의 절단 변인 화장 패드(10)의 양옆 가장자리(13, 14)의 내측에 양측 접합부(4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면(12)에 있어서 양측 접합부(44)와 양끝 가장자리(15, 16)에 의해 획정되는 화장액 도포 영역에는, 연속 섬유인 흡습성 섬유의 말단부가 존재하지 않고, 양호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내층(23)이 소수성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내층(23)의 흡습성/흡수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외층(24)에 유지된 화장액 등을 인입하는 작용이 억제되어, 이러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 적층된 제1 옆 가장자리부(31)와 제2 옆 가장자리부(32)가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 융착될 때에, 서로 대향하는 내층(23)과 외층(24)이 접합되지만, 양층의 구성 섬유가 상이하기 때문에, 접합 강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내층(23)에 열가소성 섬유가 포함됨으로써,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향상되고, 사용 중에 상기 부분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장 패드(10)의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는, 0.35 이상이고,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단위: ㎛]는, 1.20 이하이다. 또한, 피부 접촉면의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는, 0.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는,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는, 0.0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극세 섬유를 이용하여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를 0.35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함으로써,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의, 미끈미끈함이 증가하여 흡착되는 것과 같은 감촉(밀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1.20 이하인, 요철이 적은 평평한 닦음면에 있어서, 평균 표면 마찰 계수를 비교적 높게 함으로써, 모공에 들어간 오염물을 긁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 패드(10)에서는, 외층(24)이 극세의 제1 섬유(26)를 포함하는 점에서, 피부 접촉면에 작은 복수의 에지 부분이 형성되고, 비교적 높은 마찰 저항을 갖고 있고, 이 에지 부분이 요철이 적은 평면에 형성됨으로써, 피부를 강하게 문지르지 않고 모공에 들어간 미세한 오염물을 긁어내듯이 닦아낼 수 있어, 닦음성이 우수하다. 피복 시트(21)는, 극세 섬유층(외층(24))이 내층(23)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찢어짐이나 비틀림이 잘 생기지 않고, 극세 섬유(제1 섬유(26))를 피부에 밀착시키기 쉬워지고, 특히, 클렌징제 등을 도포한 상태에서는, 극세 섬유층을 단층으로 이용한 것과 비교하여, 닦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를 0.010 이하로 함으로써, 매끄러운 촉감을 얻을 수 있고, 이와 같이,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 및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의 양쪽을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화장액을 도포했을 때에 피부 접촉면에 보다 균일한 액막이 형성되기 쉬워지고, 밀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 패드(10)는, 두께 방향(Z)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에 0.005 질량%의 청색 1호로 착색한 순수 0.02 ml를 상기 피부 접촉면에 적하하여 생기는 액적의 소실 시간이 적어도 약 0.3초 이상이고, 약 7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약 5초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화장 지움용으로서 사용할 때에 일반적인 사용량(약 2 ml)의 화장액(클렌징제 등)을 도포한 경우에, 화장액을 도포하고 나서 피부에 접촉하기까지의 소요 시간 동안, 피부 접촉면에 액체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적의 소실 시간을 약 7초 이하로 하여 화장 패드에 적절한 흡수성을 갖게 함으로써, 닦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도 8의 (a)는, 화장 패드(10)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도 2와 동일한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화장 패드(10)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도 2와 동일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변형예 1 및 2에 관련된 화장 패드(10)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것과 기본적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는, 피복 시트(21)의 제2 끝 가장자리부(34)가, 폭 방향(X)(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제3 절곡선(60)을 따라 내층(23)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된 제1 절곡 단부(53)를 갖는다. 제1 절곡 단부(53)는,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L3)가 약 1∼5 mm로서, 제1 단부(17)에 위치한다.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는, 제3 절곡선(60)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에 있어서 피복 시트(21)가 되접혀 있기 때문에, 개구 가장자리(51)에 있어서의 시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 단부(53)에서는, 제1 구역(41)의 외층(24)과 제3 구역(43)의 외층(24)이 대향한 상태에서,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기 때문에, 외층(24)을 형성하는 흡습성 섬유가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이며, 내층(23)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레이온 섬유인 경우, 제1 절곡 단부(53)에 있어서의 제1 및 제3 구역(41, 43)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제1 절곡 단부(53)는, 중간부(19)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는, 피복 시트(21)의 제2 끝 가장자리부(34)가, 폭 방향(X)(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제3 절곡선(60)을 따라 내층(23)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된 제1 절곡 단부(53)와, 피복 시트(21)의 제1 끝 가장자리부(33)가, 폭 방향(X)(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제4 절곡선(61)을 따라 외층(24)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된 제2 절곡 단부(54)를 갖는다. 제1 절곡 단부(53)는 제1 단부(17)에 위치하고, 제2 절곡 단부(54)는 제2 단부(18)에 위치하고 있고, 제1 및 제2 절곡 단부(53, 54)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L3, L4)는, 각각 약 1∼5 mm이다.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변경예 1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 단부(54)에 있어서의 양측 접합부(44)에서는, 제1 구역(41)의 내층(23)과 제2 및 제3 구역(42, 43)의 내층(23)이 대향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고, 내층(23)이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절곡 단부(54)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절곡 단부(53, 54)는, 각각 중간부(19)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물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복 시트: 두께 0.25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30 g/m2
외층 : 두께 0.09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10 g/m2,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일론 6: 100 질량%),
제1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4 ㎛
내층 : 두께 0.16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20 g/m2,
스펀 레이스 부직포(레이온: 80 질량%, 열융착성 섬유 20%),
제2 섬유(레이온)의 평균 섬유 직경 16 ㎛
[실시예 2]
피복 시트: 두께 0.25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30 g/m2
외층 : 두께 0.09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10 g/m2,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일론 6: 100 질량%),
제1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4 ㎛
내층 : 두께 0.16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20 g/m2,
스펀 레이스 부직포(레이온: 100 질량%),
제2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15 ㎛
[비교예 1]
피복 시트(단층): 두께 0.27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30 g/m2,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일론 6: 100 질량%),
평균 섬유 직경 4 ㎛
[비교예 2]
피복 시트(단층): 두께 0.25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30 g/m2,
스펀 레이스 부직포(코튼: 100 질량%),
평균 섬유 직경 10∼20 ㎛
[비교예 3]
피복 시트(단층): 두께 0.25 mm, 단위 면적당의 질량 30 g/m2,
스펀 레이스 부직포(레이온: 100 질량%),
평균 섬유 직경 15 ㎛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해서,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 적하 시험, 닦음 시험에 의한 측정 시험과 관능 시험을 행하고, 측정 및 관능 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또, 본 측정은, 부직포의 촉감을 나타내는 특성값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의 KES에 의한 특성값(참고 문헌: 텍스처 평가의 표준화와 해석(제2판), 저자 가와바타 스에오 발행 1980년 7월 10일)에 기초하여 측정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측정 시험의 측정 방법,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또, 각 측정은,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A(우수함), B(좋음), C(보통). D(나쁨)으로 평가했다.
<표면 특성의 측정 방법>
표면 특성의 측정은, 카토테크(주) 제조의 KES-FB4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제2 면의 제1 및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1.0×1.0 cm의 범위를 시료로 하고, 평활한 금속 평면의 시험대에 배치하여 행했다. 표면 거칠기의 측정은, 그 표면 상에, 10 gf의 하중을 가하며, 또한, 0.5 mm 직경의 피아노선으로 감긴 폭 0.5 cm의 접촉 단자를 시료에 압착시켜 행하고, 또한, 표면 마찰의 측정은, 표면 거칠기의 측정에 이용한 접촉 단자와 동일한 피아노선을 10개 늘어세우고 중추(重錘)에 의해 50 gf의 힘으로 접촉면을 시료에 압착시켜 행한다. 표면 마찰 및 표면 거칠기의 측정에서는, 시료를 0.1 cm/sec의 일정 속도로 수평으로 2 cm 이동시키고, 시료에는 20 gf/cm의 1축 장력이 부여된다. 측정 결과에 의해,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 및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를 구했다. 각 샘플의 제2 면(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를 갖고 있지 않은 면)에 있어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각각에 관해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치를 각 샘플의 값으로 했다.
≪평가 기준≫
1.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의 값
A: 0.35 이상
B: 0.30 이상, 0.35 미만
C: 0.25 이상, 0.30 미만
D: 0.25 미만
2.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
A: 0.010 이하
B: 0.010 초과, 0.015 이하
C: 0.015 초과, 0.020 이하
D: 0.020 초과
3.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의 값[㎛]
A: 1.20 이하
B: 1.20 초과, 1.40 이하
C: 1.40 초과, 1.60 이하
D: 1.60 초과
<닦음 시험의 측정 방법>
본 발명의 화장 패드(10)와 비교예의 화장 패드를 이용하여, 화장품(파운데이션)의 닦음 시험을 행했다. 시험 장치는, 주식회사 트리니티 라보 제조의 마찰 마모 측정 장치 TL201Ts를 사용했다. 또, 화장 패드는 화장액 등의 액체를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행했다. 우선, 폭 26 mm, 길이 90 mm의 직사각형의 슬라이드 글라스에, 길이 방향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20 mm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0.02 g의 화장품을 직경 13 mm의 원 형상으로 도포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다음으로, 화장 패드(10)를 제2 면(12)이 노출면이 되도록 하여 시험 장치의 패드 전용 지그(깊이 20 mm, 폭 70 mm)에 끼우고, 화장품의 도포 후, 40분을 경과한 시험편에 대하여, 전용 지그에 일정한 하중(시험편과 접촉하고 있는 화장 패드(10)의 면적 5.2 cm2에 대하여, 100 g의 하중)을 가하면서 이동 속도 2.5 mm/s로 시험편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이동 거리 60 mm에서 화장품을 닦아냈다.
다음으로, 화장품을 닦아낸 후의 시험편을 스캐너(세이코엡슨 주식회사 제조 GT-X750)로 판독하고, 그 후, 화상 소프트(Adobe Photoshop Elements 3.0)를 이용하여 화상을 읽어들이고, Histogram Analysis 소프트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 처리를 하고, 2진화 처리를 행했다. 화장품을 닦아내기 전의 시험편의 2진화 처리의 값을 100으로 하여, 닦음 후의 시험편의 2진화 처리의 값을 비율로 나타내고, 닦음율로 했다. 각 예에 있어서의 샘플수는 각각 N = 3으로 하고, 그 평균치를 산출했다. 또, 본 측정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는 파운데이션(예컨대, 방부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타르계 색소 및 인공 향료 등을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사용했다.
≪닦음율의 평가 기준≫
A: 90% 이상
B: 80% 이상, 90% 미만
C: 70% 이상, 80% 미만
D: 70% 미만
<액적의 소실 시간(적하 시험)의 측정 방법>
액적의 소실 시간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20도, 60% RH의 항온 항습실에서 측정했다. 화장 패드(10)를 제2 면(12)(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를 갖고 있지 않은 면)이 상면이 되도록 하여 시험대에 적재하고, 제2 면(12)의 제1 방향(S) 및 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0.005 질량%의 청 1호로 착색한 순수(증류수) 0.02 ml를 시험대의 적재면으로부터 높이 5 mm의 위치로부터 적하한다. 액적이 제2 면(12)에 부착되고 나서 소실될 때까지(액구슬형의 액적이 흡수되어 제2 면(12)으로부터 액구슬이 소실될 때까지)를 동화 촬영하고, 그 시간을 카운트했다. 각 비교예의 화장 패드도 동일하게 측정했다. 각 예의 화장 패드의 쿠션층의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서 레이온 섬유 100%로 했다. 각 예에 있어서의 샘플수는 각각 N = 20으로 하고, 그 평균치를 산출했다.
≪평가 기준≫
A: 0.03초 이상, 5.0초 이하
B: 5.0초 초과, 7.0초 이하
C: 7.0초 초과, 15.0초 이하
D: 그것 이외
<관능 평가>
각 화장 패드의 제2 면에, 2 ml의 순수(증류수)를 침투시켜, 여성 패널리스트 10명이, 각 화장 패드로 안면에 도포된 0.2 g의 파운데이션을 닦아냈을 때의 웨트 시트의 「부드러움」 「미끈미끈함(밀착감)」 「닦음감」에 관해서, 4단계로 평가했다.
1. 부드러움
A: 부드러움
B: 약간 부드러움
C: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음
D: 부드럽지 않음
2. 미끈미끈함
A: 미끈미끈함이 있음
B: 약간 미끈미끈함이 있음
C: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음
D: 미끈미끈함이 없음
3. 닦음감
A: 닦음감이 있음
B: 약간 닦음감이 있음
C: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음
D: 닦음감이 없음
<측정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 패드(10)의 제2 면(12)측에 있어서,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는 0.35 이상이고,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는 0.010 이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는 1.20 이하였다. 비교예 1의 화장 패드는, 평균 표면 마찰 계수가 0.35 이상,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가 1.20 이하이지만,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는 0.010 초과였다. 비교예 2의 화장 패드는, 평균 표면 마찰 계수가 0.30 미만,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가 0.010 초과,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가 1.20 초과였다. 비교예 3의 화장 패드는, 평균 표면 마찰 계수가 0.30 미만이고,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가 0.010 초과,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가 1.60 초과였다. 또한, 닦음 시험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2의 화장 패드(10)와 비교예 1의 화장 패드는, 닦음율이 90% 이상이고, 화장액을 도포하지 않는 상태에서 90%를 초과하는 높은 닦음율을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2 및 3의 화장 패드에서는, 닦음율이 80% 미만이었다. 또한, 적하 시험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2의 화장 패드는, 액적의 소실 시간(평균치)이 0.3초 이상이고, 5.0초 이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의 화장 패드는, 액적의 소실 시간이 7.0∼15.0초의 범위이고, 비교예 2 및 3의 화장 패드는, 액적의 소실 시간이 0.3초 미만이었다.
이러한 측정 평가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2의 화장 패드(10)는,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 제1 섬유(26)가 불규칙한 호를 그려 메시형으로 퍼져 있음으로써, 피부 접촉면이 비교적 평활하며, 화장액 등의 액체가 피부 접촉면에 공급된 경우에는, 액체가 피부 접촉면에 고르게 퍼져 균일한 액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화장 패드(10)는, 외층(24)에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26)를 포함하는 점에서 피부 접촉면측에 작은 복수의 에지 부분이 형성되고, 비교적 높은 마찰 저항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우수하고, 모공에 들어간 미소한 오염물을 긁어내듯이 닦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 패드(10)는, 그 피부 접촉면이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26)로 형성되어 있고, 비교적 평활하며, 또한, 비교적 마찰 저항이 높은 점에서, 관능 평가에 있어서도, 「부드러움」 「미끈미끈함」 「닦음감」의 평가는 「A」이고, 이러한 화장 패드(10)의 특성이 사용감으로서 실제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3의 화장 패드는, 실시예 1 및 2의 것에 비하여 매끄럽지 않고, 특히, 비교예 2 및 3의 화장 패드는, 비교적 표면이 요철이며, 비교적 마찰 저항이 낮은 점에서, 실시예 1 및 2와 같이 균일한 액막이 형성되며, 또한, 충분한 브러싱 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관능 평가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평가가 「A」가 되는 것은 없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일회용 화장 패드(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러한 종류의 물품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상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련된 개시는, 적어도 하기의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피부 접촉면을 갖고,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을 피복하는 피복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화장 패드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상기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을 갖는 제1 섬유를 주로 하여 구성된 외층과, 상기 외층에 피복된, 상기 제1 섬유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제2 섬유를 주로 하여 구성된 내층을 갖고, 상기 화장 패드는, 상기 피부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1.20 ㎛ 이하이며,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35 이상이다.
상기 단락 0073에 개시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기의 실시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피부 접촉면의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가 0.010 이하이다.
(2) 상기 화장 패드는, 제1 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갖고, 상기 외층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는 메시형으로 고르게 퍼져 있고, 상기 내층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섬유가, 상기 개공 중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있다.
(3) 상기 내층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랑부와 상기 이랑부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를 갖고, 상기 이랑부와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늘어서 있고, 상기 복수의 개공이 상기 홈부에 위치하고 있다.
(4) 상기 외층의 밀도는 0.05∼0.2 g/cm3로서, 상기 외층의 두께 치수가 상기 내층의 두께 치수의 20∼60%의 크기이다.
(5) 상기 제1 섬유는 나일론이다.
(6)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제1 섬유보다 흡습성이 높은 섬유이다.
(7) 상기 제2 섬유는, 레이온, 코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8)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은, 수류 교락법에 의해 일체화된다.
10: 화장 패드, 17: 제1 단부, 18: 제2 단부, 19: 중간부, 20: 쿠션층, 21: 피복 시트, 23: 내층, 24: 외층, 26: 제1 섬유, 27: 제2 섬유, 80: 개공, 81: 이랑부, 82: 홈부, S: 제1 방향, R: 제2 방향

Claims (9)

  1. 피부 접촉면을 갖고,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을 피복하는 피복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화장 패드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상기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을 갖는 제1 섬유를 포함하는 외층과, 상기 외층에 피복된, 상기 제1 섬유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제2 섬유를 포함하는 내층을 갖고,
    상기 화장 패드는, 상기 피부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1.20 ㎛ 이하이며,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3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면의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가 0.0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패드는, 제1 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갖고, 상기 외층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는 메시형으로 고르게 퍼져 있고, 상기 내층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개공(開孔)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섬유가, 상기 개공 중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랑부(畝部)와 상기 이랑부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를 갖고, 상기 이랑부와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늘어서 있고, 상기 복수의 개공이 상기 홈부에 위치하고 있는 화장 패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밀도는 0.05∼0.2 g/cm3로서, 상기 외층의 두께 치수가 상기 내층의 두께 치수의 20∼60%의 크기인 화장 패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는 나일론인 화장 패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제1 섬유보다 흡습성이 높은 섬유인 화장 패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는, 레이온, 코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의 하나 이상인 화장 패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은, 수류 교락법에 의해 일체화되는 화장 패드.
KR1020177015481A 2014-12-26 2015-03-03 일회용 화장 패드 KR102338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6720 2014-12-26
JPJP-P-2014-266720 2014-12-26
JPJP-P-2015-029067 2015-02-17
JP2015029067A JP5744358B1 (ja) 2014-12-26 2015-02-17 使い捨ての化粧パッド
PCT/JP2015/056181 WO2016103741A1 (ja) 2014-12-26 2015-03-03 使い捨ての化粧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909A true KR20170101909A (ko) 2017-09-06
KR102338626B1 KR102338626B1 (ko) 2021-12-14

Family

ID=5353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481A KR102338626B1 (ko) 2014-12-26 2015-03-03 일회용 화장 패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5744358B1 (ko)
KR (1) KR102338626B1 (ko)
CN (1) CN107105864B (ko)
BR (1) BR112017012476A2 (ko)
MY (1) MY183105A (ko)
PH (1) PH12017501108A1 (ko)
TW (1) TWI665982B (ko)
WO (1) WO2016103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2004B2 (ja) * 2016-02-15 2020-03-25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内装用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917242B2 (ja) * 2017-08-09 2021-08-11 花王株式会社 ワイピ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820736B (zh) * 2019-03-21 2022-04-01 广州市玛莉安化妆用品有限公司 一种化妆棉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108U (ko) * 1979-12-24 1981-08-03
JPS57189515U (ko) * 1981-05-29 1982-12-01
CN1205195A (zh) * 1997-03-21 1999-01-20 尤妮佳股份有限公司 擦拭片
JP3067948U (ja) * 1999-10-05 2000-04-21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化粧用パフ
JP2006082263A (ja) * 2004-09-14 2006-03-30 Sekisui Chem Co Ltd 液状物供給基材
KR20090037859A (ko) * 2006-07-05 2009-04-16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948B2 (ja) 1994-05-17 2000-07-24 株式会社精工技研 縮小された対面結合部をもつ光結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95100B1 (fr) * 1999-06-16 2001-09-14 Fort James France Produit de coton hydrophile comportant une face douce et une face grattante
EP1106723B1 (fr) * 1999-12-07 2003-03-12 Georgia-Pacific France Tampon de coton hydrophile destiné aux soins de la peau et comportant deux faces externes différentes
JP2001355173A (ja) * 2000-06-13 2001-12-26 Idemitsu Unitech Co Ltd 不織布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JP4045108B2 (ja) * 2002-03-08 2008-02-13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化粧料
JP4085674B2 (ja) * 2002-04-01 2008-05-14 東レ株式会社 化粧用具
JP4118640B2 (ja) * 2002-09-17 2008-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複合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3944526B2 (ja) * 2004-08-11 2007-07-11 大和紡績株式会社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4683957B2 (ja) * 2005-02-25 2011-05-18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JP2009292750A (ja) * 2008-06-04 2009-12-17 Lion Corp シート状化粧材
JP2010195735A (ja) * 2009-02-26 2010-09-09 Omikenshi Co Ltd 化粧・美容用不織布
CN101575767A (zh) * 2009-03-06 2009-11-11 稳健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化妆棉及其生产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108U (ko) * 1979-12-24 1981-08-03
JPS57189515U (ko) * 1981-05-29 1982-12-01
CN1205195A (zh) * 1997-03-21 1999-01-20 尤妮佳股份有限公司 擦拭片
JP3067948U (ja) * 1999-10-05 2000-04-21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化粧用パフ
JP2006082263A (ja) * 2004-09-14 2006-03-30 Sekisui Chem Co Ltd 液状物供給基材
KR20090037859A (ko) * 2006-07-05 2009-04-16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3955A (zh) 2016-10-01
WO2016103741A1 (ja) 2016-06-30
TWI665982B (zh) 2019-07-21
KR102338626B1 (ko) 2021-12-14
JP2016123833A (ja) 2016-07-11
MY183105A (en) 2021-02-14
CN107105864A (zh) 2017-08-29
BR112017012476A2 (pt) 2018-05-29
JP5744358B1 (ja) 2015-07-08
CN107105864B (zh) 2020-10-16
PH12017501108A1 (en)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3046B (zh) 擦拭用薄片
KR102397067B1 (ko) 인쇄된 질감을 갖는 세정 용품
US6013349A (en) Wiping sheet
JP4286255B2 (ja) タフト付きラミネートウェブ
CN107810106B (zh) 具有多层收集条元件的清洁制品
JP5671180B1 (ja) 使い捨ての化粧パッド
KR20170101909A (ko) 일회용 화장 패드
JP2007211371A (ja) 積層不織布
JP2018176522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体含浸用シート、液体含浸シートならびにフェイスマスク
JP2019170756A (ja)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JP3978423B2 (ja) 化粧用不織布シート
JP3621223B2 (ja) 清掃シート
JP2017128107A (ja) 清拭シート
US20200253430A1 (en) Fabric cleansing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ES2908231T3 (es) Artículo de limpieza con un material de base absorbente
JP6542458B1 (ja) 化粧用シート
JP2023051889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ならびにフェイスマスク
JP2020014740A (ja) 清掃用シート
JP6080260B2 (ja) 清拭シート
JP5622385B2 (ja) スキンケア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