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828A -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828A
KR20170100828A KR1020160023180A KR20160023180A KR20170100828A KR 20170100828 A KR20170100828 A KR 20170100828A KR 1020160023180 A KR1020160023180 A KR 1020160023180A KR 20160023180 A KR20160023180 A KR 20160023180A KR 20170100828 A KR20170100828 A KR 2017010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broth
fermentation
lactobacillus
lactic acid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961B1 (ko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9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약재 추출액에 발효 시스템을 적용하여, 적어도 탈모 방지능이 우수한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5종의 특정된 약재 발효액으로서 어성초 발효액, 자소엽 발효액, 녹차 발효액, 박하 발효액 및 개똥쑥 발효액의 약재 발효액을 포함하고, 상기 각 약재 발효액은 각 약재 추출액에 약재별로 다른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탈모 방지능(및 발모 촉진능)을 가지면서 모발과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고, 청량감 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약재 추출액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탈모 방지능(및 발모 촉진능)을 가지면서 모발과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고, 청량감 등이 향상된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 15만개 정도로서, 모낭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낭에는 유두가 있으며, 이 부위에는 작은 혈관이 분포되어 모발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한다.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하고 탈락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주기는 3 ~ 6년에 걸쳐 반복되며, 하루 평균 약 50 ~ 100개의 모발이 탈락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 모발이 많아져 탈락하는 모발의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분비 과잉설, 혈액순환 불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및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이 효소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ehydrotestoserone ; DHT)으로 활성화되고, 이 DHT가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고 탈모를 일으키는 단백질을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작에 의하여 피지를 과잉 생성하기도 하며,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 등을 일으켜 두피에 염증을 동반한 탈모가 나타나기도 한다.
현대인들에 있어, 탈모는 유전적인 요인보다는 스트레스, 육식 위주의 식습관, 불규칙적인 생활습관, 샴푸와 헤어용품 등의 화학성분이 첨가된 제품의 사용 등이 주요 요인인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탈모 인구는 남녀를 불문하고 50 ~ 60대는 물론 30대 직장인과 20대 대학생들까지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편, 한방에서는 탈모의 원인을 수승화강(水升火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화(火)는 아래로 내려와 하체를 따뜻하게 해야 하고, 수(水)는 위로 올라가 머리를 식혀 몸의 균형을 바로 잡아야 하는데, 현대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과로 등이 원인이 되어 열이 위로 상승함에 따라 탈모가 생기는 것으로 보고 있다.
위와 같은 탈모 현상으로 인한 빈모 증세를 방지하면서 두피의 모공에서 활발한 발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탈모 방지제 및 발모 촉진제가 개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제로는 미녹시딜(Minoxidil) 함유 제제를 들 수 있다. 미녹시딜은 원래 혈압 강하를 위해 개발된 고혈압 치료제였지만, 이는 사용상 부작용으로 발모 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재에는 발모제로 더 유명해진 약물이다. 그러나 미녹시딜 제제는 과다 사용 시, 두피 건조, 홍반 등의 두피 자극 증상,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안면부 다모증과 혈관 확장, 항고혈압 작용에 의한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의 부작용을 일으켜 장기 사용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머크(Merck)사에서 개발한 프로페시아(propecia)의 주성분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남성호르몬 신진대사 효소인 5α-리덕타아제(타입2)의 억제제로서, 이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탈모를 방지한다. 그러나 피나스테라이드의 이러한 치료 효과는 투여할 당시에는 그 약효가 유효하지만, 약의 사용을 중지하게 되면 수개월 후 비복용자와 같이 탈모가 다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또한 가격이 워낙 비싸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우며, 복용 시 성욕 감퇴, 발기 부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을 위해 천연 한방 약재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31349호에는 인삼, 천궁, 한현초, 보골지, 당귀 및 측백엽 등의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6834호에는 오가피, 인삼 및 사과즙을 주재료로 한 발모 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2414호에는 창포근 추출액, 의이인 추출액, 아마씨유 및 알파-토코페롤을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8585호에는 황련, 황백, 황금, 황정, 황기, 백지, 야국화, 감초 및 생강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한방추출물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1337호에는 측백나무잎, 회첨나무잎, 맥문동, 감초, 상백피, 황금 및 창포 등의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종래 대부분의 탈모 방지(및 발모 촉진) 조성물은 모발 손상 및 탈모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인삼, 천궁, 오가피, 황련 등의 한방 약재 추출물을 주재료로 하되, 기타 다른 천연 재료를 첨가하고 있다.
탈모는 노화에 의한 두피세포의 퇴화, 모근에 공급되는 영양소의 부족뿐만 아니라, 지방질이나 이물질 또는 두피 질환에 의한 염증과 모공폐쇄현상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에는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및 세균적 요인에 의한 탈모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한방 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및 발모 촉진) 조성물은 탈모 방지(및 발모 촉진) 등에서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거나, 그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한방 약재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두피의 세균 억제 기능이나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는 기능이 미미하고, 청량감이 떨어져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313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68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241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85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1337호
이에, 본 발명은 개선된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의 천연 약재(식물)들로부터 추출된 천연 약재 추출액에 발효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탈모 방지능(및 발모 촉진능)이 우수하고 모발과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시키면서 청량감 등이 향상된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성초 발효액, 자소엽 발효액, 녹차 발효액, 박하 발효액 및 개똥쑥 발효액의 약재 발효액을 포함하고,
상기 각 약재 발효액은 각 약재 추출액에 약재별로 다른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탈모 방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어성초 발효액은 어성초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고, 상기 자소엽 발효액은 자소엽 추출액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며, 상기 녹차 발효액은 녹차 추출액에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고, 상기 박하 발효액은 박하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며, 상기 개똥쑥 발효액은 개똥쑥 추출액에 엔터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엔터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박하 및 개똥쑥의 약재를 준비하고, 각 약재별 추출액을 얻는 추출 공정;
상기 각 약재 추출액에 배지와 각 약재별 해당 유산균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각 약재별 발효액을 얻는 발효 공정; 및
상기 발효액을 상온에서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발효 공정은,
(a) 어성초 추출액에 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어성초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b) 자소엽 추출액에 배지와 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자소엽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c) 녹차 추출액에 배지와 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녹차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d) 박하 추출액에 배지와 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박하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e) 개똥쑥 추출액에 배지와 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엔터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엔터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개똥쑥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탈모 방지능 및 발모 촉진능이 우수하고 모발과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청량감 등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탈모 방지를 위한 탈모 방지용 조성물로서, 적어도 5종의 특정 약재 발효액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조성물, 및 상기 탈모 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탈모 방지"는 실질적인 탈모 방지는 물론, 탈모의 예방 및/또는 발모의 촉진(양모의 촉진)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탈모 방지를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어성초 발효액, 자소엽 발효액, 녹차 발효액, 박하 발효액 및 개똥쑥 발효액으로 구성된 5종의 약재 발효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약재 발효액은 약재의 추출액을 유산균 발효를 통해 얻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약재 발효액은 각 약재를 추출하는 추출 공정과, 상기 추출 공정을 통해 얻어진 각 약재 추출물을 정제하여 액상의 추출액을 얻는 정제 공정과, 상기 정제 공정을 통해 얻어진 각 약재 추출액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액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5종의 각 약재 발효액은 각 약재 추출액에 약재별로 다른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다. 예를 들어, 상기 어성초 발효액이 어성초 추출액을 A균으로 발효시킨 것이라면, 상기 자소엽 발효액은 자소엽 추출액을 B균으로 발효시킨 것이며, 이때 상기 A균과 B균은 서로 다른 유산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재료로서 상기 5종의 특정된 약재가 이용되되, 이들이 발효액으로 포함되어, 상기 5종의 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활성화와 새로운 유효성분의 생성으로 우수한 탈모 방지능을 갖는다. 또한, 유효성분의 거대분자는 미생물(유산균) 발효에 의해 저분자화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소수성화되어 모발 및 두피에 빠르게 흡수된다. 아울러, 미생물(유산균)의 세포벽은 탄수화물과 단백질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중금속이나 소수성 유해성분에 대한 흡착력을 가져 5종의 천연 약재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 물질로부터 모발 및 두피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5종의 각 약재 발효액이 각 약재별로 각기 다른 미생물(유산균)로 발효되어 발효 효율은 물론 탈모 방지능에서도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특히, 각 약재별로 특정된 해당 유산균으로 발효된 경우, 발효 효율 및 탈모 방지능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본 발명에서, 탈모 방지 조성물은 그 종류 및/또는 제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탈모 방지 조성물은 인체의 모발 및/또는 두피 등에 적용되는 것이면, 그 종류나 제형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그 제품 형태의 종류에 있어서, 모발의 청결을 위한 모발 청결제(샴푸, 린스, 비누 등); 모발의 미용을 위한 모발 화장품; 모발의 염색을 위한 염색제; 탈모를 방지하는 탈모 방지제; 발모를 촉진하는 발모 촉진제; 및/또는 두피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두피 질환 치료/예방제; 등의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샴푸, 린스, 비누, 헤어 스프레이, 헤어젤, 헤어 커디셔닝제, 두피 마스크, 염색제, 두피 치료제(아토피 치료제 등), 탈모 방지제 및 발모 촉진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품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고형, 액상형, 분무형, 연고형 및/또는 젤형 등이 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의 실시 형태를 함께 설명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5종의 약재 추출액을 얻는 추출 공정; 각 약재별 발효액을 얻는 발효 공정; 및 상기 발효액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공정을 포함한다. 각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추출 공정
먼저, 5종의 약재(식물)로서 어성초, 자소엽(차조기의 잎), 녹차, 박하 및 개똥쑥을 준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5종의 약재는 적어도 탈모 방지에 유용하다. 이들 각 약재는, 예를 들어 건조된 것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절편(절단) 및/또는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약재에 따라 잎, 뿌리 및/또는 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약재의 건조된 잎을 사용하되, 소정 크기로 절편(절단) 및/또는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어성초에는 데카노일 아세트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탈모를 유발하는 균을 억제하고 강력한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어 탈모의 치료/예방과 두피의 청결에 효과적이다. 특히, 어성초는 탈모 성분인 DHT를 억제하고, 두피의 잡균 및 모낭충의 번식을 억제하여 염증성 탈모를 치료/예방한다. 또한, 어성초는 탈모의 치료/예방에는 물론 여드름 피부와 아토피를 개선하고, 해독 및 이뇨작용도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자소엽은 차조기의 잎으로서, 이는 보라색 깻잎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보라색 성분이 항산화 역할을 한다. 자소엽은, 기(氣)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고 찬 기운을 돋게 해줘 탈모 방지에 효과적이다. 특히, 자소엽에는 모발이 자라는 데 필요한 활성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두 가지 성분이 모발 생장에 좋은 코엔자임 역할을 한다. 또한, 자소엽에 함유된 페릴알데히드와 베타카로틴은 강력한 항균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며, 자소엽에 함유된 피토케미컬은 모낭세포의 활성화 및 노화방지 작용을 갖는다. 이러한 자소엽은 어성초 및 녹차입과 함께 차로 달여마시는 것도 좋지만, 모발과 두피에 직접 적용하는 것도 탈모 방지에 효과적이다.
상기 녹차는 탈모 방지는 물론 모근의 항산화력 향상, 염증 치료, 노화 억제, 모공 수축 및 비듬 방지 등에 도움을 준다. 또한, 녹차는 폴리페놀 및 카테킨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 작용을 가지면서 탈모 성분인 DHT를 억제한다.
상기 박하는 항균 작용을 가지면서 두피결의 개선 및 두피 백선을 제거하며, 향기를 발산하여 아로마 테라피 효과를 도모한다. 특히, 박하는 두피 청량감을 개선한다.
상기 개똥쑥은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길가나 들판 등에서 야생하고 있는 국화과 일년생 초본으로서, 이는 두피 각질 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여 두피 재생 작용을 가지면서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아 강력한 항산화 작용를 갖는다. 특히, 개똥쑥은 두피 재생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면서 두피 청량감을 개선한다. 또한, 개똥쑥은 항말라리아제인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의 공급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개똥쑥의 지상부를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 살충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탈모 방지 및 두피 청결 유지 등에 유효한 효능을 가지는 5종의 약재가 사용된다. 상기 각 약재들은 약재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어성초 30 ~ 50중량%, 자소엽 10 ~ 30중량%, 녹차 10 ~ 30중량%, 박하 5 ~ 15중량%, 및 개똥쑥 5 ~ 15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각 약재의 사용량은 건조 중량 기준이 될 수 있다. 각 약재들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각 약재들이 가지는 항균, 항산화, 해독, 두피 재생, 혈액순환, 모세혈관 확장,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영영소 공급, 모근 손상 방지, 모근 내의 각종 세균 제거 및/또는 두피 청량감 등의 효능이 전체적으로 최적 조합되어, 탈모 방지 및 두피 청결 등에 효과적이다.
위와 같이 각 약재들을 준비한 다음, 각 약재별로 추출액을 얻는다. 즉, 본 추출 공정은, 어성초 추출액을 얻는 어성초 추출 단계, 자소엽 추출액을 얻는 자소엽 추출 단계, 녹차 추출액을 얻는 녹차 추출 단계, 박하 추출액을 얻는 박하 추출 단계, 및 개똥쑥 추출액을 얻는 개똥쑥 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각 추출 단계는 독립적으로서 각각 별도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추출은 통상의 추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추출은, 예를 들어 열수 추출, 용매 추출 및/또는 압착 추출 등의 방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온 열수 추출을 통해 각 약재별로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각 약재의 건조 잎을 약 60℃ ~ 80℃의 저온 열수에 투입하여 약 10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각 약재별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각 약재와 물(열수)은, 예를 들어 20 ~ 40중량% 및 60 ~ 80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각 약재와 물(열수)은 중량 기준으로 20 ~ 40 : 60 ~ 80(= 약재 : 물)의 비율로 혼합되어 추출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추출 공정을 진행한 다음에는 여과(거름)를 통해 액상의 추출액을 분리, 수득한다. 이때, 수득된 액상의 추출액에 대해서는 살균 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2] 발효 공정
상기 약재 추출액을 유산균 접종을 통해 발효시킨다. 이때, 각 약재별로 다른 유산균을 접종, 발효시켜 각 약재별 발효액을 얻는다. 즉, 어성초 발효액, 자소엽 발효액, 녹차 발효액, 박하 발효액 및 개똥쑥 발효액의 각 약재 발효액(5종의 발효액)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효를 진행함에 있어서 각 약재에 따라 특정된 유산균이 선택되어 발효되는 경우에 최적 발효가 진행되고, 이는 탈모 방지의 효능에도 향상된 작용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각 약재 발효액은 각 약재별로 특정된 해당 유산균으로 발효된 발효액으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성초 발효액은 어성초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고, 상기 자소엽 발효액은 자소엽 추출액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다. 또한, 상기 녹차 발효액은 녹차 추출액에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고, 상기 박하 발효액은 박하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며, 상기 개똥쑥 발효액은 개똥쑥 추출액에 엔터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엔터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효 공정에서는 각 약재에 따라 특정의 해당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되, 각 약재 추출액에 배지와 각 약재별 해당 유산균을 혼합(투입)한 다음, 적정 온도에서 발효시킨다. 이때, 발효 온도는, 예를 들어 32℃ ~ 40℃, 바람직하게는 34℃ ~ 38℃의 온도가 좋다. 이러한 온도에서, 상기 유산균들의 활동도가 증가되어 최적 발효에 효과적이다. 또한, 발효는, 예를 들어 3일 ~ 7일 동안 진행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배지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이러한 배지의 혼합(투입)에 발효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배지는 유산균에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지는, 예를 들어 효모 추출물, 포도당 및 프락토올리고당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지의 혼합(투입)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약재 추출액에 배지를 먼저 혼합(투입)한 다음, 여기에 해당 유산균을 접종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배지와 유산균을 먼저 혼합하여 배양시킨 다음, 이를 각 약재 추출액에 혼합(투입)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배지는 각 약재 추출액 및/또는 유산균에 혼합(투입)되기 이전에 살균 처리된 것이 좋다. 배지의 살균은, 예를 들어 80℃ ~ 120℃의 온도에서 열처리되어 살균 처리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배지를 열처리하여 살균한 경우, 살균된 배지는 유산균의 활동도에 유리한 34℃ ~ 38℃의 온도로 식힌 다음, 각 약재 추출액 및 균에 혼합(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지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이는 발효 속도 등을 고려하여 각 약재 추출액의 예를 들어 2 ~ 10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배지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약재 추출액의 발효가 늦고, 너무 적으면 발효가 빨라져 최적 발효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배지는 각 약재 추출액의 3 ~ 7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약재 추출액의 최적 발효를 위해, 각 약재별 해당 유산균은 각 약재 추출액의 0.01 ~ 5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효 공정은, 구체적으로 하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포함하며, 각 단계는 서로 독립적으로서 각각 별도로 진행된다.
(a) 어성초 발효 단계
어성초엽 추출액에 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투입)한 다음, 발효시켜 어성초 발효엽 발효액을 얻는다. 이때, 배지는, 예를 들어 고온 열처리를 통해 살균 처리한 것을 34℃ ~ 38℃의 온도로 식힌 다음 사용한다. 어성초엽의 발효를 위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종균을 사용한다.
(b) 자소엽 발효 단계
자소엽 추출액에 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투입)한 다음, 발효시켜 자소엽 발효 발효액을 얻는다. 이때, 배지는, 예를 들어 고온 열처리를 통해 살균 처리한 것을 34℃ ~ 38℃의 온도로 식힌 다음 사용한다. 자소엽의 발효를 위한 유산균은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종균을 사용한다.
(c) 녹차 발효 단계
녹차엽 추출액에 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투입)한 다음, 발효시켜 녹차엽 발효 발효액을 얻는다. 이때, 배지는, 예를 들어 고온 열처리를 통해 살균 처리한 것을 34℃ ~ 38℃의 온도로 식힌 다음 사용한다. 녹차엽의 발효를 위한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균을 사용한다.
(d) 박하 발효 단계
박하엽 추출액에 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투입)한 다음, 발효시켜 박하엽 발효 발효액을 얻는다. 이때, 배지는, 예를 들어 고온 열처리를 통해 살균 처리한 것을 34℃ ~ 38℃의 온도로 식힌 다음 사용한다. 박하엽의 발효를 위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paracasei)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종균을 사용한다.
(e) 개똥쑥 발효 단계
개똥쑥엽 추출액에 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투입)한 다음, 발효시켜 개똥쑥엽 발효 발효액을 얻는다. 이때, 배지는, 예를 들어 고온 열처리를 통해 살균 처리한 것을 34℃ ~ 38℃의 온도로 식힌 다음 사용한다. 개똥쑥엽의 발효를 위한 유산균은 엔터로코커스(Enterococcus)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엔터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엔터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종균을 사용한다.
위와 같이 각 약재 추출액에 대하여 각 약재별로 특정의 해당 유산균을 이용하여 각 약재별 발효액을 얻는다. 이후, 얻어진 발효액을 아래의 공정에 따라 안정화시킨다.
[3] 안정화 공정
발효 종류 후, 상기 발효액에는 예를 들어 배지 등으로부터 유래된 당 성분이 잔류하고, 발효 과정에서 발생된 탄산가스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당 성분과 탄산가스 등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의 제형, 탈모 방지능 및/또는 저장 안정성 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안정화 공정을 통해 상기 당 성분과 탄산가스 등을 제거한다.
본 안정화 공정은 상기 발효액에 포함된 잔당과 탄산가스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안정화 공정은, 예를 들어 상기 발효액을 상온에서 소정 시간 동안 방치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는, 잔당이 완전히 고갈되고 탄산가스가 완전히 진행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안정화는 상온에서 약 0.5일 내지 4일간 방치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온은 인위적인 열을 가하거나 빼지 않은 실온으로서, 이는 계절 및/또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5℃ ~ 35℃, 또는 5℃ ~ 30℃일 수 있다. 상온은, 바람직하게는 15℃ ~ 25℃일 수 있다.
또한, 본 안정화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는, 상기 5종의 약재 발효액을 모두 혼합하여 진행하거나, 각 약재 발효액을 각각 별도로 진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안정화 공정은 상기 5종의 약재 발효액을 모두 혼합하여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이상에서 설명한 추출 공정, 발효 공정 및 안정화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5종의 약재 발효액을 탈모 방지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5종의 약재 발효액은 생균 상태로 병입되어 냉장 유통되거나, 멸균 및 농축된 후에 병입되어 상온 유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상기 5종의 약재 발효액을 적어도 포함하되, 상기 5종의 약재 발효액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어성초 발효액 30 ~ 50중량%, 자소엽 발효액 10 ~ 30중량%, 녹차 발효액 10 ~ 30중량%, 박하 발효액 5 ~ 15중량%, 및 개똥쑥 발효액 5 ~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약재 발효액을 위와 같은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약재들이 가지는 항균, 항산화, 해독, 두피 재생, 혈액순환, 모세혈관 확장,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영영소 공급, 모근 손상 방지, 모근 내의 각종 세균 제거 및/또는 두피 청량감 등의 효능이 전체적으로 최적 조합되어, 탈모 방지 및 두피 청결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상기 5종의 약재 발효액을 포함하되, 그의 종류나 제형에 따른 베이스(bas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예를 들어 그 종류에 따라 샴푸 베이스, 린스 베이스, 비누 베이스, 헤어 스프레이 베이스, 헤어젤 베이스, 헤어 커디셔닝 베이스, 두피 마스크 베이스 및 염색제 베이스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사용되며, 이는 수상, 유상 또는 수상과 유상의 혼합 제형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그의 종류나 제형에 따라 상기 5종의 약재 발효액을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5중량% 이상, 20중량% 이상, 또는 4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5 ~ 99중량% 또는 20 ~ 80중량%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잔량은 베이스 및 첨가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및 첨가제는, 각 종류나 제형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습제, 가용화제, 왁스, 오일, 지방산, 방부제, 향료, pH 조절제, 유기 용매 및/또는 물(증류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상기 5종의 약재 발효액 이외에, 탈모 방지 및 두피 청결 유지 등에 효능을 가지는 부가 성분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성분은, 예를 들어 한방 약재, 식물 및/또는 곡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성분은 하수오, 구기자, 한련초, 측백엽, 감국, 감초, 계지, 구절초, 고삼, 금은화, 남과자, 노근, 녹차, 단삼, 당귀, 떡갈나무, 마늘, 만형자, 배괴화, 백복령, 백작약, 백지, 보골지, 사상자, 삼백초, 상백피, 석창포, 선학초, 생강, 숙지황, 소루쟁이, 송엽, 솔잎, 약쑥, 연교, 유근피, 인삼, 조협(주협나무 열매), 지모, 참깨, 창포, 천궁, 형개, 홍화, 황기, 님, 네틀, 로즈마리, 시카카이, 검은콩, 검은깨, 뽕잎, 포공영, 오디 및 칡뿌리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 및/또는 이들의 발효액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흡수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촉진제는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이 모발이나 두피에 빠르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면 좋다. 이러한 흡수 촉진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촉진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5종의 약재 발효액이 모발이나 두피에 빠르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면 좋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흡수 촉진제는 상기 5조의 약재 발효액에 대해 선택적 빠른 흡수력을 구현하는 초산 함유 발효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초산 함유 발효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5종의 약재 발효액이 모발이나 두피에 빠르게 흡수되도록 하여, 탈모 방지 및 두피 청결 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산 함유 발효물은 초산을 함유한 발효물로서, 이는 당 발효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초산 함유 발효물은, 구체적으로 당 함유 물질(당 공급원)을 미생물(유산균)로 발효시킨 발효물로서, 이는 당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초산을 함유한다. 이때, 상기 당 함유 물질(당 공급원)은 포도당 및/또는 다당류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포도당, 올리고당, 설탕, 탄수화물 및/또는 녹말 등의 당 공급원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초산 함유 발효물을 얻기 위한 미생물(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의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당 함유 물질(당 공급원)의 발효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산 함유 발효물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의 종류 및 제형 등에 다를 수 있지만, 탈모 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1중량% 내지 12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은 모공 수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공 수축제는 두피의 모공을 수축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이러한 모공 수축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공 수축제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식물 추출물로서 에난티아 클로란타 추출물(Enantia Chlorantha Extract)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에난티아 클로란타 추출물은 에난티아 클로란타의 껍질을 용매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난티아 클로란타 추출물은 피지 세포(sebocyte)의 분화와 확산을 조절하여 모공 축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모공 수축제는 에난티아 클로란타 추출물 및 올레아노릭산(Oleanolic acid)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공 수축제는 에난티아 클로란타 추출물과 올레아노릭산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아노릭산은 5알파-환원 효소를 억제하여 피지 분비 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모공 수축제로서 에난티아 클로란타 추출물과 올레아노릭산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상기 두 성분의 상승 작용에 의해 적어도 모공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두피 트러블 및 피지 분비 등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 에난티아 클로란타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1중량% 내지 12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아노릭산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0.1중량%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5종의 특정 약재를 사용하되, 이들의 추출액에 각 약재별로 특정된 해당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발효 시스템이 적용되어 우수한 탈모 방지 효능을 가짐은 물론 모발과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시킨다. 아울러, 청량감 등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다.
또한, 발효를 위한 유산균을 접종함에 있어, 약재 건조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추출 후에 수득된 추출액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진행하는 경우 공기 노출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약재 건조물에 유산균을 먼저 접종하는 경우, 발효물이 추출 과정에서 공기에 노출될 수 있고 외부 오염원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추출한 후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경우, 발효액을 공기나 오염원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비교예들은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제공된다. 그리고 하기의 비교예들 중에서 일부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한다.
[실시예 1]
< 각 약재별 추출 >
잘 건조된 어성초엽, 자소엽, 녹차엽, 박하엽 및 개똥쑥을 4 : 2 : 2 : 1 : 1의 중량 비율로 준비하였다. 각 약재를 70℃에서 12시간 동안 저온 열수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액상을 분리하여 각 약재별 추출액을 얻었다. 이때, 추출 시, 각 약재와 물(증류수)는 3 : 7의 중량 비율로 사용하였다.
< 각 약재별 발효 >
배지로서 효모 추출물을 구입, 준비한 다음, 이를 오븐에 넣어 약 100℃에서 살균 처리하였다. 이후, 고온 살균된 배지를 36℃로 식힌 다음, 이를 상기 얻어진 각 약재 추출액에 해당 종균과 함께 투입하여 발효시켰다. 발효는 36℃로 유지되는 항온 발효조를 이용하여 5일간 진행하였다. 배지와 종균은 각 약재 추출액의 약 5중량%(배지) 및 약 0.5중량%(종균)로 사용하였다. 이때, 각 약재 추출액에 따라 종균을 달리 사용하여 각 약재 발효액을 얻었으며, 각 약재별 사용된 해당 종균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 발효액의 안정화 >
상기 발효를 통해 얻어진 5종의 약재 발효액을 모두 무균 상태의 안정화조에 넣은 다음, 상온(약 20℃)에서 2일간 방치하여 안정화시켰다.
< 탈모 방지 조성물 제조 샴푸 제형 >
상기 안정화를 진행한 약재 발효액(5종의 혼합)을 샴푸 베이스에 혼합하되, 약재 발효액(5종의 혼합)과 샴푸 베이스를 2 : 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탈모 방지 조성물(샴푸 제형)을 제조하였다. 이때, 샴푸 베이스는 하기 [표 2]에 보인 성분 및 함량으로 조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발효 과정에서 각 약재 추출액에 따른 종균의 사용 시, 상기 실시예 1과는 각 약재별로 다른 종균을 사용하였다. 이는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탈모 방지 조성물(샴푸 제형)의 제조 시에 초산 함유 발효물을 더 첨가하였다. 이때, 상기 초산 함유 발효물은 설탕을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 균으로 36℃로 유지되는 항온 발효조에서 5일간 발효시켜 얻은 설탕 발효물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샴푸 제형)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발효 과정에서 각 약재 추출액에 따른 종균의 사용 시, 상기 실시예 1과는 각 약재별로 다른 종균을 사용하였다. 이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약재의 사용을 달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약재로서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의 3종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 각 약재별 사용 종균 >
약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어성초엽 L.acidophilus L. plantarum L.acidophilus L.acidophilus
자소엽 B. longum B. lactis L.acidophilus B. longum
녹차엽 S. thermophilus S. thermophilus S. thermophilus S. thermophilus
박하엽 L. paracasei L. fermentum B. longum -
개똥쑥 E. faecalis E. faecium L. rhamnosus -
- L.acidophilus :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 L. paracasei :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 L. plantarum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 L. rhamnosus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 L. fermentum :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 B. longum :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 B. lactis :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 S. thermophilus :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
- E. faecalis : 엔터로코커스 패칼리스
- E. faecium : 엔터로코커스 패시움
< 탈모 방지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단위 : 중량부 >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발효물 약재 발효액 200 200 200 200
초산 함유 발효물 - 5 - -


샴푸
베이스
계면활성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10 10 10 10
코코아미드 프로필베타인 5 5 5 5
pH 조절제 구연산 0.5 0.5 0.5 0.5
방부제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0.5 - 0.5
보습제 프로필렌 글리콜 2 2 2 1.5
점증제 젠탄검 2.5 2 2.5 2.5
향료 페퍼민트 - - 2 2
정제수 80 80 80 80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샴푸 제형)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소비자 만족도와 탈모 방지능(및 양모능)을 평가하였다.
< 소비자 평가 >
피시험자 30명을 대상으로 20회(20일 간, 1일 1회)에 걸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탈모 방지 조성물(샴푸 제형)을 사용하도록 하여 세정능력, 가려움 완화, 모발의 위생상태, 및 두피 청량감 개선 정도 등의 선호도를 아래의 평가 기준에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이 5점 만점으로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
1점 : 매우 불량
2점 : 불량
3점 : 보통
4점 : 양호
5점 : 매우 양호
< 선호도 평가 결과 >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세정능력 3.4 3.4 3.2 3.2
가려움 완화 4.2 4.5 3.4 2.4
모발의 위생상태 3.4 3.6 2.6 2.6
두피 청량감 3.8 3.8 3.4 1.6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4개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서 비교예들보다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비교예 2와 대비해 보면, 5종의 약재 발효액을 포함하는 경우에 모발의 위생상태 및 두피 청량감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산 함유 발효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2), 빠른 흡수에 의해 더욱더 향상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탈모 방지능 양모능 평가 >
탈모 증상이 있는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발효물을 사용하게 하여 탈모 방지 효과와 양모 효과를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대상자로는 일일 평균 탈모수가 100개 이상인 40 ~ 50세의 성인 남자 30명씩을 선정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약재 발효액을 사용하게 하였으며, 사용방법은 6개월 동안 탈모부위에 1일 2 ~ 3회 약 3㎖ 정도를 손가락으로 고루 바른 다음 충분히 흡수되도록 문질러 도포하게 하였다. 그리고 6개월 후 양모 및 탈모 여부를 다음과 같이 4점 만점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
1점 : 효과 없음
2점 : 보통
3점 : 양호
4점 : 매우 양호
< 양모 및 탈모 방지능 평가 결과 >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발효물
5종의
약재 발효액
5종의 약재 발효액
+
초산 함유 발효물
5종의
약재 발효액
3종의
약재 발효액
평가 결과
(평균)
2.8 3.1 2.1 2.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약재 발효액의 경우 비교예들보다 양모 및 탈모 방지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1과 대비해 보면, 실시예들에 따라서 각 약재별 특정된 해당 유산균을 통해 발효된 경우, 양모 및 탈모 방지능에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산 함유 발효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2)에는 빠른 흡수에 의해 더욱더 향상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5종의 약재 발효액을 포함하되, 각 약재에 따라 특정된 해당 유산균의 접종을 통해 발효된 경우 탈모 방지 및 양모 효능이 우수하고, 모발 및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시켜 주며, 청량감 등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산 함유 발효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빠른 흡수에 의해 더욱더 향상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어성초 발효액, 자소엽 발효액, 녹차 발효액, 박하 발효액 및 개똥쑥 발효액의 약재 발효액을 포함하고,
    상기 각 약재 발효액은 각 약재 추출액에 약재별로 다른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성초 발효액은 어성초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고,
    상기 자소엽 발효액은 자소엽 추출액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며,
    상기 녹차 발효액은 녹차 추출액에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고,
    상기 박하 발효액은 박하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이며,
    상기 개똥쑥 발효액은 개똥쑥 추출액에 엔터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엔터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조성물.
  3.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박하 및 개똥쑥의 약재를 준비하고, 각 약재별 추출액을 얻는 추출 공정;
    상기 각 약재 추출액에 배지와 각 약재별 해당 유산균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각 약재별 발효액을 얻는 발효 공정; 및
    상기 발효액을 상온에서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발효 공정은,
    (a) 어성초 추출액에 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어성초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b) 자소엽 추출액에 배지와 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자소엽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c) 녹차 추출액에 배지와 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녹차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d) 박하 추출액에 배지와 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박하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e) 개똥쑥 추출액에 배지와 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되, 엔터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엔터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개똥쑥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23180A 2016-02-26 2016-02-26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80A KR101802961B1 (ko) 2016-02-26 2016-02-26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80A KR101802961B1 (ko) 2016-02-26 2016-02-26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828A true KR20170100828A (ko) 2017-09-05
KR101802961B1 KR101802961B1 (ko) 2017-11-29

Family

ID=5992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180A KR101802961B1 (ko) 2016-02-26 2016-02-26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961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865A (zh) * 2018-01-31 2018-05-29 洁宝日化(湘西)有限责任公司 一种包含青蒿的组合物及其应用
KR20190041865A (ko) * 2017-10-13 2019-04-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1995B1 (ko) * 2017-12-19 2019-09-30 (주)지에스엘바이오 식물성 효소 및 허브향이 추가되어 제공되는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11744A (ko) * 2018-07-25 2020-02-04 농업회사법인(주)제이케이크래프트 막걸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5705A (ko) * 2019-05-25 2020-12-03 주식회사 우리엘바이오 천연 발효성분을 이용한 염모제 및 그 제조 방법
CN112402358A (zh) * 2020-12-11 2021-02-26 桂林长发小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发功能的益生菌植物发酵产品及制备方法
KR102236236B1 (ko) 2021-01-19 2021-04-02 김현숙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405779B1 (ko) * 2021-08-19 2022-06-07 주식회사 디엠쎌코스메틱 쐐기풀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39372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유산균의 융합 발효를 통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KR20220096261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258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260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큐티박테리움 그래뉼로섬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259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브레분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000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골도니아 테레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CN115317561A (zh) * 2021-09-17 2022-11-11 莱博药妆技术(上海)股份有限公司 植物提取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058494A (zh) * 2021-10-29 2023-05-05 江苏恒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补气固发的益生菌发酵药食同源饮料及其制备方法
CN117338684A (zh) * 2023-11-02 2024-01-05 广州优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滋养生发及乌发防脱发的发酵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538B1 (ko) 2019-03-21 2020-07-17 함미경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기능을 가지는 약리 샴푸의 제조방법
KR102200906B1 (ko) * 2019-04-23 2021-01-12 배용태 엽록소 또는 색소가 제거된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억제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419B1 (ko) 1997-11-03 2000-07-01 한승희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US20070190075A1 (en) 2003-10-09 2007-08-16 Advangen, Inc. C/O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 Science And Tech Hair growth stimulant composition
KR100930839B1 (ko) * 2007-11-16 2009-12-10 주혜경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위한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9458B1 (ko) 2013-05-20 2014-02-10 라끄르와 주식회사 두피용 자외선 차단 조성물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65A (ko) * 2017-10-13 2019-04-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1995B1 (ko) * 2017-12-19 2019-09-30 (주)지에스엘바이오 식물성 효소 및 허브향이 추가되어 제공되는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078865A (zh) * 2018-01-31 2018-05-29 洁宝日化(湘西)有限责任公司 一种包含青蒿的组合物及其应用
CN108078865B (zh) * 2018-01-31 2021-11-02 洁宝日化(湘西)有限责任公司 一种包含青蒿的组合物及其应用
KR20200011744A (ko) * 2018-07-25 2020-02-04 농업회사법인(주)제이케이크래프트 막걸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5705A (ko) * 2019-05-25 2020-12-03 주식회사 우리엘바이오 천연 발효성분을 이용한 염모제 및 그 제조 방법
CN112402358A (zh) * 2020-12-11 2021-02-26 桂林长发小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发功能的益生菌植物发酵产品及制备方法
WO2022139372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유산균의 융합 발효를 통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KR20220096261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258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260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큐티박테리움 그래뉼로섬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259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브레분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000A (ko)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골도니아 테레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236236B1 (ko) 2021-01-19 2021-04-02 김현숙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405779B1 (ko) * 2021-08-19 2022-06-07 주식회사 디엠쎌코스메틱 쐐기풀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22272A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디엠쎌코스메틱 쐐기풀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317561A (zh) * 2021-09-17 2022-11-11 莱博药妆技术(上海)股份有限公司 植物提取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317561B (zh) * 2021-09-17 2024-02-09 莱博药妆技术(上海)股份有限公司 植物提取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058494A (zh) * 2021-10-29 2023-05-05 江苏恒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补气固发的益生菌发酵药食同源饮料及其制备方法
CN117338684A (zh) * 2023-11-02 2024-01-05 广州优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滋养生发及乌发防脱发的发酵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961B1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961B1 (ko)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963B1 (ko)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671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JP3966924B2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6000022B2 (ja) ニキビ予防・改善剤および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196523B1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20210103951A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8858B1 (ko)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
KR20170141497A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2020013997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2796B1 (ko) 복합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102584194B1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963A (ko) 씀바귀, 선복화 및 민들레를 유산균으로 발효한 항염활성, 피부개선에 유용한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1653A (ko)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용도
KR102403309B1 (ko) 건강 개선을 위한 천연성의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기능성 화장제
KR102591640B1 (ko) 여드름 개선 및 예방과 여드름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20200117652A (ko) 혼합추출물을 활용한 아토피, 여드름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