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419B1 -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419B1
KR100258419B1 KR1019970057760A KR19970057760A KR100258419B1 KR 100258419 B1 KR100258419 B1 KR 100258419B1 KR 1019970057760 A KR1019970057760 A KR 1019970057760A KR 19970057760 A KR19970057760 A KR 19970057760A KR 100258419 B1 KR100258419 B1 KR 10025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hair
extracting
seaweed
ke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419A (ko
Inventor
심호진
Original Assignee
한승희
주식회사다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주식회사다민기업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101997005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419B1/ko
Publication of KR98000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419A/ko
Priority to TW087117710A priority patent/TWI231212B/zh
Priority to CA002250528A priority patent/CA2250528C/en
Priority to JP10312612A priority patent/JP2981470B2/ja
Priority to US09/184,599 priority patent/US6254858B1/en
Priority to CNB981228356A priority patent/CN1180762C/zh
Priority to DE19850516A priority patent/DE19850516A1/de
Priority to FR9813822A priority patent/FR2771288B1/fr
Priority to GB9824055A priority patent/GB2334444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8Preparations for oily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추출용액, 미역 및 다시마 추출용액, 쑥 추출용액 및 솔잎추출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용 안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용 안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황토추출용액가공공정, 미역 및 다시마 추출용액가공공정, 쑥 추출용액가공공정 및 솔잎추출용액가공공정 및 상기 모든 추출용액들을 혼합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모를 예방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COSMETICS COMPOSITION FOR ANTI-ALOPECIA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용 화장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탈모를 감소시키고, 탈모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발모를 촉진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모증은 정신적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 화학요법, 고열을 동반한 질병, 물리적 압박 및 노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탈모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아니지만 외모를 중시하고, 영상문화가 발달한 사회적 환경에서는 개인의 사기저하를 유발하고 미관을 해치며, 정신건강에 저해되므로 극복되어야 할 실질적인 요구가 존재했다. 따라서 탈모 및 발모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 졌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후천성 탈모의 원인에 관해 몇 가지 원인을 이끌어 냈다.
상기 원인들 중에서, 지루에 의해 탈모가 일어난다는 지루설이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지루설에 의한 탈모기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카락(1)은 혈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 모유두(毛乳頭)(2)를 갖는 모전세포(3)가 위치한 모구(4)와, 상기 모전세포와 연결되는 부분에 있는 피지선(5)을 갖는 모근(6)과 피부의 표피(7)부분인 모간(8)으로 이루어진다.
원래 피지는 모발을 윤택하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분비량이 많아지면 모구를 막게 된다. 모구를 막은 피지는 산화되어 과산화지질로 변하게 되며, 모발생성의 중추역할을 하는 모전 세포의 활동을 둔화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모구를 막은 피지는 왁스 형태의 유리 지방산으로 굳어져 모전 세포의 대사 작용을 저하시킴으로써 새로운 머리카락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머리카락에 기름기가 과잉으로 존재하여 비듬이 생기고 가려워지며 탈모현상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으로, 가장 설득력 있는 후천성 탈모의 원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탈모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기술을 살펴보면, 한약제를 배합하여 만들어진 약품, 동물의 피부에서 추출된 다당체를 주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약품, 고혈압 치료제인 미녹시딜을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진 약품 및 침술을 이용하여 경락혈을 자극하거나 직접 두피에 모발을 심는 등의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탈모증을 극복하기 위한 다수의 약품 및 방법이 서양의학과 한의학에서 개발되었으나 뚜렷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서, 탈모를 예방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새로운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잉 분비된 피지가 산화되어 모구를 막는 경우 막힌 피지를 녹여서 모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여 탈모를 예방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접 모낭상피에 작용하여 모발의 성장을 유발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피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말초혈관을 자극함으로써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는 모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용 조성물은 황토추출용액, 갈조류추출용액, 쑥 추출용액 및 솔잎추출액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쑥추출용액 1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추출용액 40-60중량부, 미역 및 다시마추출용액 40-60중량부, 솔잎추출용액 10-30중량부 및 화장용으로 적합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황토, 갈조류, 쑥 및 솔잎으로부터 각종 약용성분이 포함된 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황토로부터 황토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황토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채로 걸러서 미세한 것만 선별하는 단계와 정제수에 용해시켜 용해된 것을 선별하여 규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등 각종 미네랄이 용해된 황토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로부터 갈조류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갈조류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갈조류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갈조류를 가열하지 않고 엽체 조직을 파괴 및 여과하여 갈조류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가열하여 추출한 갈조류추출용액과 가열하지 않고 추출한 갈조류추출용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갈조류추출용액을 가공하는 것은 갈조류를 가열하여 추출하면 비타민이 파괴될 우려가 있고, 가열하지 않는 방법에 의해 추출하면 갈조류의 성분들이 제대로 용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갈조류의 유용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갈조류추출용액을 가공하기 위해 가열법과 비가열법을 병용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는 미역 및 다시마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를 가열하지 않고 엽체 조직을 파괴 및 여과하여 갈조류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갈조류 고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단계와 갈조류에 함유된 각종 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엽체조직을 파괴하는 단계와 상기 파괴된 엽체조직을 마쇄기에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엽체조직을 여과하여 갈조류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의 엽체조직을 파괴하는 단계는 동결및 해동 조작을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쑥으로부터 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갈조류를 끓여서 용출한 액을 60℃전후가 되도록 냉각하여 쑥을 분말화한 가루를 넣어서 씨네올(cineol), 쎄스키테르펜(sesquiterpene)등 각종 약용성분을 함유하는 쑥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잎으로부터 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솔잎을 채취하는 단계와 채취한 솔잎을 물에 넣고 가열하여 솔잎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용 화장조성물은 본 쑥 1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추출용액 50중량부, 갈조류추출용액 50중량부, 솔잎추출용액 20중량부 및 향료, 방부제등 화장용으로 적합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용 안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이하에서 상술한다.
먼저 산화되어 왁스 형태로 변형되어 두피의 모구를 막는 피지의 분비를 조절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은 규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등의 각종 무기질이 용해된 황토 용액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토양중에서 황색을 띤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황토는 입자의 크기가 약0.02~0.05mm이며, 수분함량은 약 10~15%이고, 공극율은 약 50~55%정도이다.
황토의 광물조성은 약 60~70%가 석영이며, 그 함량은 최저 40~80%까지 변화한다. 장석과 운모는 약10~20%, 탄산염 광물은 약 5~35%를 함유하며, 약 2~5%정도 함유된 실트는 각섬석, 인회석, 흑운모, 녹니석, 남정석, 녹렴석, 석류석, 휘석, 금호석, 규선석, 십자석, 전기석, 지르콘 등과 무거운 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황토는 세립질의 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일라이트(Ill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등과 같은 점토광물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황토의 화학조성을 살펴보면, 이산화규소(SiO2) 50~60%, 산화알루미늄(Al2O3) 8~12%, 산화철(Ⅲ)(Fe2O3)2~4%, 산화철(Ⅱ)(FeO) 0.8~1.1%, 이산화티탄(TiO2)및 산화망간 (MnO) 0.5%, 산화칼슘(CaO) 4~16% 및 산화마그네슘(MgO) 2~6%의 비율로 되어 있다.
상기 규산은 이러한 황토속의 2차 광물질에서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규산은 뼈, 근육, 혈관, 치아, 손톱등의 조직을 튼튼하게 해주며 조직과 조직을 연결하는 성분인 콜라겐의 필수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규산이 부족하게 되면 손톱이 갈라지고 피부가 늘어나며, 탈모가 일어난다. 또한 혈관은 규산이 많이 함유된 조직으로 인간의 동맥속에 포함되어 있는 규산의 농도가 떨어지면 동맥벽으로부터 지방이 침적되는 것을 알 수 있어 규산은 또한 지방의 제거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는 성분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규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등의 각종 무기질이 용해된 황토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자연상태의 황토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채로 걸러서 미세한 것만 선별하여 정제수에 용해시키는데, 이때 용해되지 않고 가라앉은 앙금은 버리고 용해된 황토수를 여러 번 저어준 후 그늘에 두었다가 상층부의 맑은 용액을 추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직접 모낭상피에 작용하여 모발의 성장을 유발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은 갈조류의 추출용액을 포함한다.
갑상선 기능 결핍증에 걸리게 되면 머리숱이 줄어들고 거칠어지며, 피부도 각질화 될 뿐만 아니라 원인 모르게 체중이 증가된다. 이러한 증세는 칼슘 및 요오드의 부족과 상당한 인과 관계가 있다.
즉 갑상선 호르몬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갑상선을 전부 제거하거나 일부만을 제거해도 동물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결과가 생긴다고 한다. 또한 생리적인 원인 등에 의해 일어나는 근육경련 같은 증세도 혈액중의 칼슘함량의 변화가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때 혈액중의 칼슘함량이 저하되는 것은 갑상선 추출물을 주사해서 방지할 수 있으나, 이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면 항호르몬이 생겨서 상기 효과가 없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과 영양결핍에 의한 후천성 원형탈모를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은 이러한 갑상선 기능 결핍증을 방지하는 칼슘과 요오드 성분이 다량 포함된 갈조류추출용액을 포함한다.
갈조류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방법은 요오드 성분을 원활히 추출해 내기 위해 물에 넣고 가열하여 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방법과 다른 각종 성분을 용이하게 용출하기 위해 동결과 해동을 번갈아 조작하여 엽체를 파괴함으로써 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방법을 혼용한다.
가열하여 추출하는 방법은 상기 갈조류와 물을 적당히 혼합하여 2~3시간 끓여서 액을 우려내는 것이고, 가열하지 않고 추출용액을 추출하려면 갈조류를 분쇄하여 냉동 및 냉장을 반복함으로써 세포의 조직 파괴를 유도하여 각종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갈조류의 엽체는 -7℃로 동결했다가 +5℃로 해동하는 과정을 반복 조작했을 때 가장 세포조직이 잘 파괴되었고, -3℃로 동결했다가 +1℃로 해동하는 과정을 반복 조작했을 때는 세포조직의 파괴 정도가 낮았으나,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을 만큼 세포조직의 파괴 정도는 양호하다. 이러한 조작후 90%이상의 세포조직의 파괴를 위해 마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두겹의 거즈를 사용하여 원하는 갈조류추출용액을 추출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갈조류의 형태가 자연상태의 것, 냉동된 것, 가공된 것 및 건조된 것에 관계없이 갈조류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말초 혈관에 작용함으로써 두피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모발의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은 쑥추출용액을 포함한다.
쑥은 독특한 향기와 색을 가지는 다년초로서, 해충들이 서식하지 않아 자생력도 강하며, 쑥에 함유된 여러 성분은 포유류의 장내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나타낸다. 특히 쑥은 장내 유익세균인 비피도 박테리아의 생육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쑥은 한방에서 복통, 지혈, 소화불량, 만성간염 및 부인병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약초식물이다.
이러한 쑥은 씨네올 및 쎄스키테르펜등의 여러 약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상기 씨네올 및 쎄스키테르펜성분은 조직세포의 복원력을 강화하며, 혈액속에서 적혈구를 증가시키며 백혈구등 각종 병원체 및 인체에 해로운 이물질을 제거하는 면역체를 증가시켜 질병의 예방 및 치료력을 향상시키는 효능이 있다. 또한 헤모글로빈, 옵소닌 등의 생성을 촉진하여 원기를 보강하며,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쑥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자연상태의 쑥을 그늘에서 건조하여 분쇄하여 가루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술한 갈조류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추출한 용액에 적당량을 넣어서 쑥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은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솔잎추출용액을 포함한다.
솔잎의 구성성분은 100g을 기준하여 수분이 58.1g, 단백질 4.5g, 지질 3.9g, 당질 19.6g, 섬유소 13.3g, 회분 0.6g(칼슘 61mg, 인 51mg, 철 3.1mg, 니아신 0.2mg, 비타민 B10.70mg, 비타민 B20.16mg 및 C 29mg 등)이 함유되어 있다.
모발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성분이 함유된 식물중에서 마늘, 양파, 고추, 생강, 당근, 은행잎, 솔잎, 사철나무 잎을 선정하여 이들을 각각 물에 넣어 3~4시간동안 가열하여 액기스를 추출한다. 각각의 추출용액을 상술한 쑥추출용액, 갈조류추출용액 및 황토추출용액과 혼합하여 3개월간 10명을 대상으로 실험해본 결과 확실히 효과가 증가되는 것은 솔잎과 생강의 추출용액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은 경제성 때문에 생강이 아닌 솔잎 추출용액을 사용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황토로부터 규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등 각종 무기질이 용해된 용액을 추출하는 황토용액 가공공정과, 갈조류로부터 액기스를 추출하는 갈조류 추출용액 가공공정과 쑥의 액기스를 추출하는 쑥 추출용액 가공공정과 솔잎으로부터 솔잎 추출용액을 추출하는 솔잎 추출용액 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황토용액, 쑥 추출용액, 갈조류 추출용액 및 솔잎 추출용액을 모두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을 완성하는 공정과 상기 완제품을 포장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규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등 각종 무기질을 포함하는 황토용액의 추출
황토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채로 2~3회 걸러서 모래같이 미세한 것만 중량이 100g이 되도록 선별한다. 정제수 500ml에 완전히 상기 선별된 황토를 용해하여 가라앉는 앙금은 버리고 용해된 것만 선별한다. 상기 선별된 황토용액을 나무젓가락으로 약 50~60회 정도 저어 주고 1시간 정도 그늘에 둔다. 상기 황토용액 중 상층의 황토용액만 선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용 안료 조성물에 사용될 황토용액을 추출하였다.
2.칼슘, 요오드 및 각종 미네랄을 포함하는 갈조류 추출용액의 추출
2.1 원료
갈조류중 미역과 다시마를 자연상태의 것으로 2kg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2 가열에 의한 용액추출
상기 원료중 1kg은 물 4L에 넣고 100℃에서 3~4시간 가열하여 용액을 추출하였다.
2.3 엽체조직의 파괴 및 여과 방법에 의한 용액추출
원료 중 나머지 1kg은 먼저 미역 및 다시마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원료를 진탕기를 이용하여 1분당 500~1000 회로하고 정제수를 흘려주면서 60분간 수세하여 냄새를 제거하였다.
탈취한 미역과 다시마의 원료를 -5℃의 동결실에서 동결한 후 3℃의 냉장실에서 6시간 해동하는 조작을 3회 반복 실시하면, 엽체조직세포가 빙결점의 성장에 의해 50%정도 파괴되어 각종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 지도록 하였다.
상기 50%정도 파괴된 엽체조직의 파괴도를 90%이상으로 하기 위해 마쇄기에 넣고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것을 두 겹의 거즈를 이용하여 분리 및 여과하여 미역 및 다시마 액을 추출하였다.
상기 가열에 의해 추출한 용액과 엽체조직의 파괴 및 여과 방법에 의해 추출한 용액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3.쑥추출용액의 추출
원료로 마른 쑥(식용 또는 약용)을 1kg구입하여 분말이 되도록 마쇄기에 3회
정도 분쇄한다. 상기 가열에 의해 추출한 미역, 다시마 용액을 60℃정도로 냉각하고, 상기 냉각한 용액 1L당 상기 쑥 분말 10g정도를 넣어서 쑥추출용액을 추출하였다.
4.솔잎추출용액의 추출
솔잎을 채취해서 약 500g정도를 선별하여 물 4L정도에 넣어서 상기 혼합용액이 1L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솔잎추출용액을 추출하였다. 상기 솔잎은 건조된 것이든 채취한 후 바로 사용하든 관계없다.
5.상기 1항 ~ 4항의 추출용액을 혼합하여 만든 탈모 예방 헤어 화장수
다음 표 1의 조성에 따라 상기 추출용액들을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표 1에서 원료들의 중량부는 쑥추출용액 10중량부를 기준한 것이다)
원료명 5항의 화장수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황토용액(실시예의 1항) 50 - 50 50 50
갈조류추출액(실시예의 2항) 50 50 50 50 -
쑥액기스(실시예의 3항) 10 10 10 - 10
솔잎추출액(실시예의 4항) 20 20 - 20 20
파라옥시 안식향산 프로필 0.01 0.01 0.01 0.01 0.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조합향료 0.01 0.01 0.01 0.01 0.01
상기 5항의 화장수와 비교예 1~ 4에서 제조한 제품에 대해 30명의 피시험자에게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테스트 결과를 1~5점으로 평가한 후 테스트 항목 점수를 평균하여 표 2에 표시하였다.(상기 평균값이 5점이면 매우 우수, 4점은 우수, 3점은 보통, 2점은 불량 및 1점은 아주 불량으로 판단한다.)
항목 5항의 화장수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탈모된 부분의 재생율 3.2 2.8 2.5 3.0 2.8
탈모방지율 4.4 4.0 4.0 2.5 3.0
기름기 제거율 4.5 4.0 4.0 4.0 4.0
비듬 제거율 4.5 4.3 4.2 4.2 3.8
머리결의 향상율 4.8 4.8 4.8 4.8 2.0
이상의 결과를 고찰해 볼 때 모발의 재생과 탈모 예방에는 규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등 각종 무기질이 용해되어 있는 황토용액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머리결이 부드러워지는 것을 갈조류 추출용액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후천성 원형 탈모증으로 대머리가 되는 원인으로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지루설에 따라 본 발명자가 개발한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용 안료 조성물은 피지분비를 적절히 조절하고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모발 성장에 필요한 각종 유기질 및 각종 미네랄을 공급함으로써 탈모예방뿐만 아니라 탈모된 모발을 다시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탈모를 예방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황토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채로 걸러서 미세한 것만 정제수에 용해시켜 용해된 용액만을 걸러서 휘저은 후 그늘에 두었다가 상층부의 용액만을 취하는 황토추출용액 가공공정;
    미역 및 다시마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추출한 용액과 가열하지 않고 엽체 조직을 파괴 및 여과하여 추출한 용액을 1:1로 혼합하는 미역 및 다시마 추출용액 가공공정;
    상기 미역 및 다시마 추출가공공정에서 얻어진 용액을 냉각한 후 쑥을 넣어서 추출하는 쑥 추출용액 가공공정;
    물에 솔잎을 넣고 가열하여 최초 부피의 1/4이 될 때까지 가열하여 추출하는 솔잎추출용액 가공공정; 및
    상기 추출용액 및 화장용으로 적합한 부형제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및 다시마를 가열하지 않고 엽체 조직을 파괴 및 여과하여 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미역 및 다시마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단계와 상기 탈취한 미역 및 다시마를 동결 및 해동하는 단계와 상기 동결 및 해동을 반복한 미역 및 다시마를 마쇄기에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미역 및 다시마를 분리 및 여과하여 가열하지 않은 미역 및 다시마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및 다시마를 동결 및 해동하는 단계는 약 -7 ~ -3℃에서 동결한 후, 약 1 ~ 5℃에서 해동하는 조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및 다시마를 동결 및 해동하는 단계는 약 -5℃에서 동결하고, 다시 약 3℃에서 약 6시간 해동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약 60℃정도로 냉각한 상기 미역 및 다시마 용액 1L당 분말화 한 쑥 10g을 넣어서 쑥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추출용액 가공공정은 물 1L당 솔잎 125g을 넣고 혼합용액의 부피가 처음 부피의 1/4 이 될 때까지 가열하여 솔잎추출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70057760A 1997-11-03 1997-11-03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KR10025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760A KR100258419B1 (ko) 1997-11-03 1997-11-03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TW087117710A TWI231212B (en) 1997-11-03 1998-10-27 Hair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ion
CA002250528A CA2250528C (en) 1997-11-03 1998-10-30 Hair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ion
US09/184,599 US6254858B1 (en) 1997-11-03 1998-11-02 Hair treatment composition containing loess, artemesia, brown algae and pine juices
JP10312612A JP2981470B2 (ja) 1997-11-03 1998-11-02 毛髪用化粧組成物及びその組成物の製造方法
CNB981228356A CN1180762C (zh) 1997-11-03 1998-11-03 护发组合物及其制造方法
DE19850516A DE19850516A1 (de) 1997-11-03 1998-11-03 Zusammensetzung zur Haarbehand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Zusammensetzung
FR9813822A FR2771288B1 (fr) 1997-11-03 1998-11-03 Composition de traitement capillai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GB9824055A GB2334444B (en) 1997-11-03 1998-11-03 Hair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760A KR100258419B1 (ko) 1997-11-03 1997-11-03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419A KR980000419A (ko) 1998-03-30
KR100258419B1 true KR100258419B1 (ko) 2000-07-01

Family

ID=1952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760A KR100258419B1 (ko) 1997-11-03 1997-11-03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54858B1 (ko)
JP (1) JP2981470B2 (ko)
KR (1) KR100258419B1 (ko)
CN (1) CN1180762C (ko)
CA (1) CA2250528C (ko)
DE (1) DE19850516A1 (ko)
FR (1) FR2771288B1 (ko)
GB (1) GB2334444B (ko)
TW (1) TWI231212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50A (ko) * 2000-10-27 2002-05-04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대용 모발세정제 및 그의제조방법
KR20020070220A (ko) * 2002-07-25 2002-09-05 노재숙 한방팩을 이용한 대머리 찜질
KR100664400B1 (ko) 2005-07-01 2007-01-04 동아제약주식회사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0830401B1 (ko) * 2007-01-26 2008-05-19 원유용 백토 스프레이 액, 백토 미용 파우더 제조방법과 생산된백토 스프레이액 및 백토 미용 파우더
KR100879822B1 (ko) 2007-08-23 2009-01-22 대한민국 다시마 엽체를 이용한 미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1802961B1 (ko) 2016-02-26 2017-11-29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73183B1 (ko) * 2023-02-27 2023-09-01 정재문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천연샴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78B1 (ko) * 2001-05-15 2004-02-21 최정면 모발 도포 조성물
FR2826866B1 (fr) * 2001-07-03 2005-12-30 Ahmed Kadri Lotion capillaire favorisant la repousse des cheveux
KR20030012311A (ko) * 2001-07-31 2003-02-12 배영환 샴푸 조성물
KR100433380B1 (ko) * 2001-11-16 2004-05-27 박장용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U2001298075A1 (en) * 2001-11-27 2003-06-10 Constantina Dumitrescu Composition for the regeneration and stimulation of hair growth
US20050002884A1 (en) * 2003-07-02 2005-01-06 Marsella Jefferson Hair treatment compositions
US20070190075A1 (en) * 2003-10-09 2007-08-16 Advangen, Inc. C/O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 Science And Tech Hair growth stimulant composition
US20070148266A1 (en) * 2003-10-30 2007-06-28 Loders Croklaan B.V. Pine needle extract
JP2007509624A (ja) * 2003-10-30 2007-04-19 リピッド ニュートリション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松葉からの抽出物を含む食品
US20050260152A1 (en) * 2004-05-03 2005-11-24 Jaghab Khalil C Hair growth composition
US7252844B2 (en) * 2004-10-18 2007-08-07 Jang Yong Park Facial pack and bathing compositions based on Hwangto (Korean loess) and preparation thereof
JP4594698B2 (ja) * 2004-10-29 2010-12-08 ジャン ヨン パク 黄土粉、顔専用パック、入浴組成物並びに顔専用パック組成物及び入浴組成物の製造方法
US20060210524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Skin care composition
US20060210515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Hair growth formula
US7749545B2 (en) * 2005-03-18 2010-07-06 Sakura Properties, Llc Fucoid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etary and nutritional supplements
FR2890312B1 (fr) * 2005-09-02 2007-10-19 Limousine D Applic Biolog Dite Procede d'obtention d'un principe actif repulpant, principe actif obtenu et compositions cosmetiques l'incluant
JP2009530369A (ja) * 2006-03-21 2009-08-27 ヘオング ゲオン チョイ 天然漢方毛髪生長促進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036054A2 (en) * 2006-09-21 2008-03-27 Ala Eddine El Amri Anti-hair loss and hair growth enhancer product
KR100757237B1 (ko) * 2006-12-28 2007-09-10 김지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JP4668976B2 (ja) 2007-12-04 2011-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蒸気タービンのシール構造
CN101690705B (zh) * 2009-08-21 2011-07-27 珈侬生化科技(中国)有限公司 高山松针活性提取物的制备方法及美白抗衰老活性化妆品
US20110274776A1 (en) 2010-05-07 2011-11-10 Michael Anthonavage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southernwood and an amine compound
JP5469146B2 (ja) * 2011-09-21 2014-04-09 義昭 樋上 発毛促進剤・松葉トニック
KR20160040969A (ko) 2014-10-06 2016-04-15 (주)아모레퍼시픽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CN108685820A (zh) * 2018-08-08 2018-10-23 廖家平 护发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3615A (ja) * 1981-08-04 1983-02-12 Yasumasa Mimura 発毛剤
US4931274A (en) * 1986-02-27 1990-06-05 Physiological Research Associates Composition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scalp diseases that delivers magnesium adsorbed in alumina silicate clays to affected sites
JPH02164811A (ja) * 1988-12-15 1990-06-25 Ichinoshin Sugimoto 養毛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7545A (en) * 1975-05-11 1977-10-05 Dso Pharmachim Dermatological composition
FR2318620A1 (fr) * 1975-07-21 1977-02-18 Nardou Michel Lotion capillaire gymnosperm iodique
FR2424024A1 (fr) * 1978-04-26 1979-11-23 Roman Aguilera Mercedes Procede pour la preparation d'une lotion capillaire agissant contre la chute des cheveux ainsi que lotion capillaire obtenue par ce procede
CN1035436A (zh) * 1988-12-28 1989-09-13 王玉花 一种生发剂的制造方法
FR2655268B1 (fr) * 1989-12-06 1994-10-14 Secma Utilisation d'extraits d'algues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smetiques, alimentaires ou a usage agricole.
JP3133532B2 (ja) * 1992-12-18 2001-02-13 鐘紡株式会社 養毛化粧料
CN1089133A (zh) * 1993-01-09 1994-07-13 黄诗炎 一种生发养发素
JPH0873324A (ja) * 1994-09-06 1996-03-19 Kao Corp 養毛・育毛料
JPH08310923A (ja) * 1995-05-19 1996-11-26 Maruzen Pharmaceut Co Ltd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
US5674510A (en) 1995-11-14 1997-10-07 Ditucci; Ida Hair treatment solu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3615A (ja) * 1981-08-04 1983-02-12 Yasumasa Mimura 発毛剤
US4931274A (en) * 1986-02-27 1990-06-05 Physiological Research Associates Composition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scalp diseases that delivers magnesium adsorbed in alumina silicate clays to affected sites
JPH02164811A (ja) * 1988-12-15 1990-06-25 Ichinoshin Sugimoto 養毛化粧料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50A (ko) * 2000-10-27 2002-05-04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대용 모발세정제 및 그의제조방법
KR20020070220A (ko) * 2002-07-25 2002-09-05 노재숙 한방팩을 이용한 대머리 찜질
KR100664400B1 (ko) 2005-07-01 2007-01-04 동아제약주식회사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0830401B1 (ko) * 2007-01-26 2008-05-19 원유용 백토 스프레이 액, 백토 미용 파우더 제조방법과 생산된백토 스프레이액 및 백토 미용 파우더
KR100879822B1 (ko) 2007-08-23 2009-01-22 대한민국 다시마 엽체를 이용한 미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1802961B1 (ko) 2016-02-26 2017-11-29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73183B1 (ko) * 2023-02-27 2023-09-01 정재문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천연샴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50528A1 (en) 1999-05-03
CN1221604A (zh) 1999-07-07
CN1180762C (zh) 2004-12-22
CA2250528C (en) 2003-01-07
JPH11217317A (ja) 1999-08-10
US6254858B1 (en) 2001-07-03
TWI231212B (en) 2005-04-21
KR980000419A (ko) 1998-03-30
DE19850516A1 (de) 1999-05-06
GB2334444B (en) 2002-04-10
GB9824055D0 (en) 1998-12-30
FR2771288A1 (fr) 1999-05-28
JP2981470B2 (ja) 1999-11-22
GB2334444A (en) 1999-08-25
FR2771288B1 (fr) 200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419B1 (ko) 탈모를예방하는모발용화장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CN104825351B (zh) 一种沉香美白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100472052B1 (ko)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5588A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010000396A (ko) 미백 화장료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3033B1 (ko)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
CN107412709A (zh) 一种具有止脱生发的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00308B1 (ko)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879601B (zh) 乌发作用制剂的配方及制备方法
KR20070023315A (ko)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3309A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5125467A (zh) 一种祛红血丝乳液及其制备方法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101084489B1 (ko) 두피 보호,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38536B1 (ko)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CN107375154A (zh) 一种祛斑净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91929B1 (ko) 코끼리마늘을 이용한 피부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983B1 (ko) 토판염을 함유한 탈모개선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38499B (zh) 一种治疗手足癣和甲癣的中药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179663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를 위한 천연 한방에센스의 제조방법
CN104055709A (zh) 天然植物多效生发护发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