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762A -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762A
KR20170099762A KR1020170017624A KR20170017624A KR20170099762A KR 20170099762 A KR20170099762 A KR 20170099762A KR 1020170017624 A KR1020170017624 A KR 1020170017624A KR 20170017624 A KR20170017624 A KR 20170017624A KR 20170099762 A KR20170099762 A KR 20170099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extract
present
black ginger
g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337B1 (ko
Inventor
이미영
류아름
강민주
진솔이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9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검은 생강 추출물은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이 있으며, 피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생강에 비해 검은 생강 추출물이 이들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염 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검은 생강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균 활성을 최적화함으로써, 검은 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드름 증상 개선 및 예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containing kaempferia parviflora}
본 발명은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이란 피지가 나오다 막혀 모공내 각질비후현상(retention hyperkeratosis)으로 인해 생성되는 피지선 단위조직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환자의 70-80%는 11-25세의 연령층에 집중되며, 경미한 여드름은 피부병이라기보다는 성장기의 피부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여드름은 피부 중 가장 잘 보이는 부위, 특히 얼굴, 가슴, 등 목 및 상박 등에 나타나며, 여드름에 의한 피부 손상이 심하면, 이로 인해 우울증이나 대인관계 기피 등 정신적 피해를 주기도 한다.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아직도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피지의 과잉분비, 모낭의 각질화, 여드름 균의 증식 등 세가지가 여드름을 생성하는 큰 요인으로 인정되고 있다.
첫째, 피지가 비정상적으로 과잉 분비되는 경우이다. 과도한 피지 분비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테스토스테론이 피부 세포 내의 5 알파-리덕타아제(5?-reductase)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DHT)으로 전환되어 피지 분비 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피지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senfield RL et al.,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6, pp 80~88, 1995).
둘째, 모낭 벽이 과각화하여 모공이 폐쇄되는 경우이다. 생성된 피지는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어야 하지만, 모낭의 과각화로 인하여 모공이 막히면 피지의 원활한 배출이 억제되므로 모낭 내에 피지가 정체되어 미세면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가 여드름 발병의 초기 단계이다.
셋째, 모낭 내 정체된 피지가 모낭 내 상주하는 혐기성 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촉진시킴으로써 여드름 병변을 악화시키는 경우이다. 피지선 내에 여드름균이 증식됨에 따라 피지를 구성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전환되어 자극원(irritants)으로 작용하거나, 면포 유발성(comedogenic) 물질로 작용함으로써 여드름 생성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염증 반응까지 수반하게 된다(Sergio Nacht, Cosmetics Toiletries, 101, pp 47-55,1986).
상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라는 박테리아 세균은 피지를 먹고 자라면서 트러블 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는데, 정상인에서는 이 균이 피부에 존재하더라도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모낭이 막혀 피지가 모낭 안에 쌓이게 되면서부터는 피지를 먹고 빠르게 자라난다.
상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의 여드름 원인균은 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 을 먹은 뒤 버터와 비슷한 물질, 즉 지방산을 배설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적 변화는 건강한 약산성 피부가 유분의 pH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알칼리화되어 결국 피부 자체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악순환을 초래한다. 이러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의해 유발되는 여드름을 예방 및 개선시키기 위하여 통상 바르는 약, 먹는 약의 치료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사람의 피부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한다. 이들 미생물들은 각종 피부 질환을 야기시킨다. 피부에서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비롯하여 피부상재균으로서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s) 등이 있으며, 이 균들은 Propionibacterium acnes와 더불어 피부 상에서 분비된 피지나 땀을 분해시켜 냄새를 발생시키며, 분해 산물들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염증을 발생시킨다.
상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세균의 하나로서 사람의 피부나 털에서도 흔히 검출되는 세균이며 박테리아의 일종으로, 둥근 공 모양을 한 1㎛ 미만의 작은 균이다. 이 균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하나하나의 균이 뭉쳐있는 모습이 포도송이와 비슷하여 포도상구균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그 중에서 노란색 색소를 생산하여 노랗게 보이는 황색포도상구균은 피부의 종기, 여드름 등 염증성 질환의 원인균이 되므로 화농균(化膿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아토피 피부에서 피부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요인 중 하나이고, 아토피 환자의 90% 이상이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되어 있다. 아토피가 없는 정상인들은 각질층이 두껍고 면역력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안 되지만 아토피 환자들은 각질층이 얇고 면역물질을 만들어 내지 못하기 때문에 황색포도상구균의 감염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염증 반응은 피부의 내피에 존재하는 인지질(phospholipids)의 구성 성분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인지질분해효소(phospholipase, PL) A2에 의해 세포막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러한 아라키돈산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 (cyclooxygenase, COX)의 작용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 E2가 되고, 이것은 염증성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염증 과정 중에는 많은 양의 염증유도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 아질산(Nitiric oxide, NO), 그리고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가 유도성 일산화질소 합성효소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 (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PLA2는 활성산소 등에 의해 활성화되는데(Lehinger, A. et al., Principles of Biochemistry. second ed. Worth Publisher. pp 229-235, 1993),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가 백혈구 등을 만들고 이로 인해 활성산소가 만들어진다(Webster, G.F. et al., Inflammation, 1980). 상기 COX에는 COX-1과 COX-2가 있으며, COX-1은 구성효소이고, COX-2는 유도효소로 염증생성 시 유도되는 효소이다(Crofford, L.J., J. Rheumatol., suppl 49, 24, pp 5-19, 1997). 상기와 같이 아라키돈산을 거쳐 COX-2 반응을 거치는 염증 반응이 여드름과 피부염의 주된 반응이다.
따라서 여드름은 피지의 과잉생성, 모공의 과각질화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작용, 염증 유도로 이어지는 복합적인 인자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으로 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지의 과잉분비, 모낭의 각질화, 여드름 균의 증식 등 세가지가 여드름을 생성하는 큰 요인이지만, 피지선의 비대증식, 모낭공의 각화항진, 세균의 영향 등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여드름을 악화시키며, 각자가 단독으로도 여드름을 만들어 낸다. 그 외에 여드름이 생기기 쉬운 체질인 유전적 요인, 계절, 기후 등의 외적인 요인, 음식물에 의한 영향, 피로와 스트레스도 여드름에 관여한다.
한편, 여드름 치료를 위해 바르는 약은 여드름 균에 대한 직접적인 살균 효과를 지니며, 유리 지방산이 생성되는 것을 막아주는 국소도포 항생제(클린다마이신, 에리쓰로마이신)와 비타민 A를 변형시켜 만든 약제들로서, 각질을 벗겨내 피지 배출이 잘 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약제들의 일례로는 피부재생 연고인 트레티노인, 아답팔렌이 있고, 강력한 항균제제로 세균집단을 줄이고 약간의 항염증과 면포 용해작용이 있는 여드름 연고(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이 있다.
먹는 약은 여드름균을 살균하고 염증을 줄여주는 항생제와 로아큐탄으로 알려진 약제로서 비타민 A를 변형시켜 만든 레티노이드로 크게 분류된다. 상기 레티노이드는 피지 분비를 줄여주는 작용이 있어 피지 조절제로 가능하고, 그 외 여드름 발생 원인인 이상각화, 염증반응, 세균증식 등의 여드름 발생의 모든 경로를 차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여드름 치료제는 위장장애, 간 및 신장에 장해, 임산부에게는 기형아를 낳는 위험 등의 신체 부작용과 함께 체내 상재균들의 항균제에 대한 면역력만 키워 준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여드름 치료 효능이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검은 생강 추출물이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이 있으며, 피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생강에 비해 검은 생강 추출물이 이들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염 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검은 생강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균 활성을 최적화함으로써, 검은 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드름 증상을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2850(공개일 2010.09.27.)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외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검은 생강은 흑생강으로도 불리우며, 생강과에 속하는 태국 식물로 Black ginger 또는 Kaempeferia parviflora로 불린다. Zingiberaceae family(생강과)에 속하는 5종의 식물, 즉 검은 생강 (K. parviflora)과 C. aromatic, C. longa, C. zedoaria 및 일반 생강(Zihngiber officinale; ginger)의 각 성분을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로 비교한 연구논문에 의하면 검은 생강과 일반 생강의 구성성분이 서로 다르며, 일반 생강의 주요 효능성분으로는 쉬가올(shogaol), 6-진게올(6-gingerol), 퍼네올(farnesol), 진기버엔(zingiberene)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검은 생강의 경우 주요 효능물질로 5, 7,-dimethoxyflavone을 비롯한 플라본계열 화합물이 특징적으로 과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14, 78. 851-860). 그러나, 지금까지 검은 생강이 여드름 증상을 개선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상기 검은 생강은 일반 생강과 모양이 비슷하지만 재배된 토양환경에 따라 보라색 혹은 검은색을 띠고 있으며 원산지는 태국과 라오스의 열대 원시림지대로 현재 태국과 라오스에서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태국에서는 검은 생강의 뿌리줄기 부분을 태국 인삼이라 불리울 만큼 동남아시아에서 전통적인 민간 의약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주로 민간요법으로는 혈압개선, 복통개선을 위한 약제로 이용되어 왔다. 태국에서는 주로 술이나 차의 형태로 음용하여 섭취한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검은 생강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검은 생강의 잎, 줄기, 줄기껍질, 가지, 가지껍질, 뿌리, 뿌리줄기, 꽃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 또는 뿌리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해당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건조는 채취한 식물로부터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파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식물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하면 족하며 분말화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와 파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검은 생강(Kaempeferia parviflora)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건조된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1kg을 무게의 10배인 10kg의 주정 에탄올에 침지하여 상온(25 )에서 약 5일 동안 정치시킨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검은생강 주정에탄올 추출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감압 농축하여 사용하였다(실시예 1).
상기 추출은 상기 식물 건조물의 무게 또는 부피를 기준으로 1 내지 20배 무게 또는 부피,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5배에 달하는 무게 또는 부피의 용매를 이용하여, 10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50의 추출 온도에서 2시간 내지 30일, 구체적으로는 12시간 내지 18일의 추출 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 및 파쇄물을 포함하여 1회 내지 5회 연속하여 추출하여 액상의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여과지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은 감압여과 등의 방법으로 식물의 건조파쇄물과 분리된 후 농축 또는 건조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한 농축액일 수 있고, 상기 액상의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화된 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렇게 농축 또는 분말화된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물, 알코올,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여드름"은 피지가 나오다 막혀 모공내 각질비후현상(retention hyperkeratosis)으로 인해 생성되는 질환으로서, 환자의 70-80%는 11-25세의 연령층에 집중되며, 경미한 여드름은 피부병이라기보다는 성장기의 피부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드름의 발생 원인은 크게 피지의 과잉분비, 모낭의 각질화,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와 더불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 이 여드름을 생성하는 큰 요인이지만, 피지선의 비대증식, 모낭공의 각화항진, 세균의 영향 등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여드름을 악화시키며, 각자가 단독으로도 여드름을 만들어 낸다. 그 외에 여드름이 생기기 쉬운 체질인 유전적 요인, 계절, 기후 등의 외적인 요인, 음식물에 의한 영향, 피로와 스트레스도 여드름에 관여한다. 여드름의 발병원인은 아직도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지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다면, 상기 세 가지의 중요한 원인이 여드름 발병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보고를 통하여 확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여드름"은 당업계에서 여드름으로 통칭되는 모든 피부 질환 또는 여드름과 유사한 기전을 통해 발명되는 모든 피부 질환을 포함한다. 예컨대, 집합성 여드름, 브롬화물에 의한 여드름, 일반적 여드름, 응괴 여드름(congoblate acne), 화장품 사용에 의한 여드름, 디터지칸 여드름(acne dtergicans), 청춘기 여드름, 섬광모양의 여드름(acne fulminans), 절성 여드름(acne furunculoid), 할로겐에 의한 여드름, 경결성 여드름, 켈로이드성 여드름, 물리적 자극에 의한 여드름(mechanical acne), 약물성 여드름, 괴사성 여드름, 속립성 여드름, 신생아 여드름(acne neonatorum), 지성 여드름(acne oil), 구진성 여드름, 적창(pomade acne), 월경전 여드름, 주사 여드름(acne rosacea), 모창성 여드름, 열대성 여드름(tropical acne), 중독성 여드름(acne venenata), 및 심상성 여드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검은 생강(Kaempeferia parviflora)의 주정 에탄올 추출물이 양성대조군인 트리클로산 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생강(Zingiber officinale) 추출물에 비해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이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염 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검은 생강(Kaempeferia parviflora)의 주정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존력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여, 검은 생강(Kaempeferia parviflora) 추출물이 여드름 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내지 3).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항균활성을 가지며, 이들 균에 의해 유발되는 여드름 증상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은 생강(흑생강) 추출물이 사람 피지선 세포주에서 linoleic cocktail로 자극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따라서 검은 생강 추출물이 피지의 과잉 생성을 억제하게 되어 피지 억제작용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검은 생강 추출물은 피지 억제를 통한 여드름을 개선하거나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 생강(Zingiber officinale) 추출물에 비해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이 항염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검은 생강 추출물은 항염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료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구체적으로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료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바디워시, 클렌징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외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여드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소독 청결제,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청소용 세정제, 치약, 가글제,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 워시, 헤어세정제, 헤어 유연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여드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외용제"는 외용으로 제공되는 제제이고, 외용산제, 외용정제, 외용액제, 연고제, 경고제, 좌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특히 피부 외용에 작용하는 제제는 제한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제제화된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취, 스프레이, 현탁제 및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용제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각 제형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 대비 추출물을 0.0001 내지 30%(w/v)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0.0001%(w/v) 미만으로 포함되면, 여드름 개선 효과를 실질적으로 기대할 수 없다. 반면, 30%(w/v)을 초과하며 포함할 경우에는 용제로의 용해성 등 조성물의 전체적인 가공성이 떨어져 제형 등 각종 용도로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 여드름 증상 개선 및 예방에 유효하다.
도 1은 건조된 검은 생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검은 생강 추출물의 P.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도 3은 검은 생강 추출물의 피지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검은 생강 추출물과 일반 생강 추출물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 또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검은 생강 추출물과 일반 생강 추출물의 항염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방법>
실시예 1: 검은 생강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1kg을 무게의 10배인 10kg의 주정 에탄올에 침지하여 상온(25℃)에서 약 5일 동안 정치시킨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검은 생강 주정 에탄올 추출 원액을 제조하였다.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검은 생강 추출 원액을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물을 적당한 용매로 충분히 녹인 후 여과하여 실험에서 필요한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일반 생강 추출물의 제조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 생강(Zingiber officinale)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검은 생강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력 측정
1-1. 균주 및 균주의 배양
균주는 한국유전자은행(Korean collection fot type cultures, KCTC)에서 분양 받은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KCTC 3314),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S. aureus, KCTC 1927)를 사용하였다. P. acnes의 배양은 균을 reinforced clostridial 고체 배지에 접종하여 anaerobic jar (OXOID, UK)에 넣어 37℃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reinforced clostridial 액체 배지에 접종 후 anaerobic jar (OXOID, UK)에 넣어 37℃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S. aureus의 배양은 균을 lysogeny broth 고체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lysogeny broth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1-2. 항균력 측정 방법
상기 1-1에서 배양한 균액을 McFarland 0.5 standard와 같은 탁도로 조절하였다.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흡광계수를 0.1~0.13이 되게 균의 탁도를 조정하였다. 액체배지로 균이 1.5X106 CFU/ml이 되도록 희석하여 96well plate에 100㎕씩 분주하였다. 검은 생강과 일반 생강 시료는 500, 250, 62.5 ppm이 되도록 액체배지로 희석하여 균이 담긴 96well plate에 100㎕씩 처리함으로써 최종 농도가 250, 125, 31.25ppm이 되도록 하였다.
각 시료 고유의 색을 빼주기 위해 균 대신 액체배지 100㎕와 같은 농도 시료 100㎕를 넣은 blank plate를 따로 준비하였다.
P. acnes를 넣은 96well plate와 그에 해당하는 blank plate는 anaerobic jar (OXOID, UK)에 넣어 37℃에서 72시간 배양하고, S. aureus를 넣은 96well plate와 그에 해당하는 blank plate는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suspension하여 새 96well plate에 100㎕씩 분주한 다음 ELISA reader기로 6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3. 항균력 측정 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의 주정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여드름 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 acnes)에 대한 항균력 시험은 액체 배지 희석 방법으로 하였다. 멸균한 액체 BHI 배지에 각 시료를 96well plate에 1/2 dilution으로 희석한 후, 균수를 일정하게 맞추어 미리 준비한 시료와 함께 72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혼탁도를 기준으로 성장이 저해된 최소농도를 최저 성장 저해 농도(MIC)라고 정의한 후 그 결과를 표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최소생육저해 농도(MIC)
시료명 MIC (ppm)
검은 생강 추출물 150
트리클로산 400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은 생강 추출물이 양성대조군인 트리클로산보다 최소생육저해 농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여드름 균에 대해 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검은 생강 추출물에 의해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 acnes)의 생존력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4. 일반 생강과 검은 생강의 항균력 측정 결과
상기 항균력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과 일반 생강(Zingiber officinale) 추출물의 항균력을 P. acnes 균과 S,aureus 균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일반 생강 추출물에 비하여 검은 생강 추출물이 모든 농도 조건에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31.25ppm에서 250ppm 농도범위의 일반 생강 추출물은 P. acnes 균에 대하여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지만 검은 생강 추출물은 31.25ppm에서 약 50%의 항균력을 보였고 250ppm에서는 약 92%의 항균력을 보였다.
또한, S. aureus균의 경우 250ppm의 일반 생강 추출물은 약 26 %의 항균력을 보였지만 동일 농도의 검은 생강 추출물은 약 59%의 항균력을 보였다.
따라서, 검은 생강 추출물이 일반 생강 추출물보다 P. acnes 균과 S,aureus 균에 대한 항균 할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검은 생강 추출물을 이용한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측정
사람의 피지선 세포주(human sebocytes, celprogen)를 CO2 배양기에서 피지선세포 배양액(human sebocyte cell culture complete growth media with serum, celrogen)을 사용해 배양하였다.
상기 사람 피지선세포를 세포배양 plate에 분주하고 linoleic acid와 dihydrotestosteron, arachidonic acid가 섞인 linoleic cocktail을 처리하여 피지선세포를 자극한 후 검은 생강 추출물을 처리하고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피지선 세포를 수거한 후, 세포를 분해하여 지질을 추출한 후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측정 키트(triglyceride quantification assay kit, abcam)를 사용하여 피지선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리한 세포지질 샘플 50 ㎕에 lipase 2 ㎕를 첨가한 후 triglyceride reaction mix 50 ㎕를 넣어 반응시킨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양을 정량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검은 생강 추출물이 사람 피지선 세포주에서 linoleic cocktail로 자극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검은 생강 추출물이 피지의 과잉 생성을 억제하게 되어 피지조절작용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검은 생강 추출물은 피지 억제를 통한 여드름을 개선하거나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일반 생강 추출물과 검은 생강 추출물의 항염 활성 비교
3-1. 세포주 및 세포주의 배양
본 실험에서 사용한 murine monocytic cell line인 Raw264.7 세포는 10% (v/v) FBS, 100 U/mg penicillin, 100 ㎍/ml streptomycin를 포함된 DMEM (Hyclone)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95% air가 공급되는 37℃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3-2. LPS로 유도된 in vitro 염증모델
Raw264.7 세포는 2.5X105 세포를 24well plate에 분주 후 37℃의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 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 배지로 교환하여 1 ㎍/ml LPS와 시료를 각 농도 별로 처리 후 다시 37℃의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3. 단백질 추출 및 정량
배지를 제거한 후 well당 1×PBS를 1ml 넣어 두 번 수세한 뒤 cell lysis buffer[10 mM Tris, 150 mM NaCl, 1 mM EDTA, 1 mM NaF, 1 mM Na3VO4, 1% NP40, 0.25% sodium deoxycholate, 1% PIC]를 40㎕/well씩 넣어 cell scrapper로 세포를 수거하였다. 초음파 분쇄기를 사용해 10 초씩 2 번 세포를 파쇄한 후 15,000 rpm, 4℃에서 50 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여 Bradford법을 사용해 정량하였다.
3-4.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는 각 시료에 대한 단백질 정량 후에 실시하였다. SDS sample buffer [0.06 M Tris-HCl(pH 6.8), 2% SDS, 14.4 mM β-mercaptoethanol, 25% glycerol, 0.1% BPB]와 시료를 섞은 후에 끊는 물에서 3 분간 중탕하여 단백질을 변성시켰다. 5% acrylamide로 이루어진 fast gel과 stacking gel 그리고 10% acrylamide로 이루어진 separating gel을 포함하는 평판 gel에 주입하여 전기이동을 하였으며 전개 용매로는 10%(w/v) SDS와 192 mM glycine이 포함되어 있는 25 mM Tris-HCl 완충용액(pH 8.3)을 사용하였다. 전압은 110 V를 유지하였다.
3-5. Western blot
분자량에 따라 분리된 단백질을 blotting kit에 transfer buffer[192 mM glycine, 25 mM tris, 20% methanol]를 채운 상태에서 PVDF membrane으로 1 시간 동안 400 mM로 이동시켰다. 이동시킨 후 5% 탈지용액에 넣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차 항체를 4℃에서 12 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1×TBST 완충용액으로 10 분씩 4 회 세척한 후에 1차 항체에 상보하는 horseradish peroxidase (HRP)-conjugated된 2차 항체로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TBST 완충용액으로 10 분씩 4 회 세척한 후에 membrane을 ECL solution으로 반응시킨 후 Sensi-Q 2000 (Lugen,South Korea)을 통해 시그널을 검출하였다.
3-6. 항염증 효과
항염증 효능 비교를 위해 LPS에 의해 유도된 iNOS의 발현양의 감소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5, 10, 20 ㎍/mL의 농도에서 모두 검은 생강 추출물의 감소 효과가 일반 생강보다 더 우수하였다. 즉, 항염증 효능도 검은 생강 추출물이 일반 생강 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드름 개선을 위해 필요한 항균력과 항염증 효능이 더 우수한 검은 생강 추출물이 항여드름 물질로 매우 우수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 또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 생강 추출물은 피지를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 생강 추출물은 항염 활성을 가지는 것인, 조성물.
  5.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외약외품 조성물.
  6. 검은 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70017624A 2016-02-23 2017-02-08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13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1258 2016-02-23
KR1020160021258 2016-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62A true KR20170099762A (ko) 2017-09-01
KR101913337B1 KR101913337B1 (ko) 2019-02-28

Family

ID=5992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624A KR101913337B1 (ko) 2016-02-23 2017-02-08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879A (zh) * 2017-12-11 2018-05-29 华南农业大学 用于防治痤疮丙酸杆菌的黄香楝-百合提取物及其应用
CN108888685A (zh) * 2018-07-26 2018-11-27 杭州金域医学检验所有限公司 三叶青提取物TH-w部位对金黄色葡萄球菌的用途及其作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275A (ko) * 2003-12-31 2005-07-07 (주) 이지함 피부 표면에 도포 되어 항균 및 과잉 피지 분비 억제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지루성 피부 등의 개선에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02850A (ko) 2009-03-12 2010-09-27 한국콜마 주식회사 여드름균에 유효한 한방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3456A (ko) * 2009-05-15 2010-11-24 애경산업(주) 피지생성 억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지루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2012176976A (ja) * 2012-06-04 2012-09-13 Maruzen Pharmaceut Co Ltd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2(MMP−2)活性阻害剤、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9(MMP−9)mRNA発現上昇抑制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アンドロゲンレセプター拮抗剤、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エンドセリン−1mRNA発現上昇抑制剤、及びSCFmRNA発現上昇抑制剤、並びに化粧料
KR20150112439A (ko) * 2014-03-28 2015-10-07 (주)보광코리아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및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275A (ko) * 2003-12-31 2005-07-07 (주) 이지함 피부 표면에 도포 되어 항균 및 과잉 피지 분비 억제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지루성 피부 등의 개선에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02850A (ko) 2009-03-12 2010-09-27 한국콜마 주식회사 여드름균에 유효한 한방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3456A (ko) * 2009-05-15 2010-11-24 애경산업(주) 피지생성 억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지루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2012176976A (ja) * 2012-06-04 2012-09-13 Maruzen Pharmaceut Co Ltd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2(MMP−2)活性阻害剤、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9(MMP−9)mRNA発現上昇抑制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アンドロゲンレセプター拮抗剤、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エンドセリン−1mRNA発現上昇抑制剤、及びSCFmRNA発現上昇抑制剤、並びに化粧料
KR20150112439A (ko) * 2014-03-28 2015-10-07 (주)보광코리아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및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추출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ive Thai Plant Extract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Online], 2013.12.20., 인터넷* *
North American J. of Medical Sciences,제4권,11호(2012.11.)*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879A (zh) * 2017-12-11 2018-05-29 华南农业大学 用于防治痤疮丙酸杆菌的黄香楝-百合提取物及其应用
CN108078879B (zh) * 2017-12-11 2019-12-24 华南农业大学 用于防治痤疮丙酸杆菌的黄香楝-百合提取物及其应用
CN108888685A (zh) * 2018-07-26 2018-11-27 杭州金域医学检验所有限公司 三叶青提取物TH-w部位对金黄色葡萄球菌的用途及其作用方法
CN108888685B (zh) * 2018-07-26 2021-12-10 杭州金域医学检验所有限公司 三叶青提取物TH-w部位对金黄色葡萄球菌的用途及其作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337B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166B1 (ko) 헴프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여드름 흉터개선,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재생, 피지억제용 조성물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A2819796A1 (fr)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gynandropsis gynandra ou cleome gynandra et compositions cosmetiques, dermatologiques ou pharmaceutiques le comprenant
KR20210076302A (ko) 와송 추출물 또는 와송 추출물과 참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7204449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9及び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剤、並びにその産生抑制剤を配合した炎症後色素沈着の予防・改善剤、化粧料
KR100971269B1 (ko)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13337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9323A (ko)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3823B1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04328A (ko)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8B1 (ko) 양배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7116A (ko) 발효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포 사멸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505B1 (ko) 덜꿩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JP2010202604A (ja) 皮膚常在菌正常化剤、皮膚常在菌正常化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65684B1 (ko) 민들레 추출물, 비타민 및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8913B1 (ko) 여주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면역 개선 천연 바디케어 조성물
KR102031354B1 (ko) 계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133074B1 (ko)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냉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3676B1 (ko)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3098A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Gonçalves et al. Antimicrobial effect and enzymatic activity of extract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stability in topical preparations
KR20140099223A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