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269B1 -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269B1
KR100971269B1 KR1020080014140A KR20080014140A KR100971269B1 KR 100971269 B1 KR100971269 B1 KR 100971269B1 KR 1020080014140 A KR1020080014140 A KR 1020080014140A KR 20080014140 A KR20080014140 A KR 20080014140A KR 100971269 B1 KR100971269 B1 KR 10097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composition
extract
thick
process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701A (ko
Inventor
우성식
김동선
이강우
이영철
손은정
김종한
이보수
고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젠
Priority to KR102008001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26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박 또는 후박근 추출물에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메탄올의 용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를 0.1~5.0%(v/v) 첨가하고 중탕하여 용해한 후, 헥산, 석유 에테르,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에테르, 싸이클로헥산, 벤젠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를 용액에 부유물이 생길 때까지 첨가하여 다시 40℃ 이상에서 중탕한 후 하냉하여 침전물로 얻어지는 가공된 후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제품;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독제;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살균 세정제; 및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보존제에 관한 것이다.
가공, 후박, 추출물, 퓨리놀, 항균, 피부질환, 치료제

Description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Processed magnolia extract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후박(Magnolia bark)과 후박근(Magnoliae radix)은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그 기원이 중국인 당후박(Magnolia officinalis)과 일본인 화후박(Magnolia obovata Thunberg)으로 구분되며, 한방적으로 조습소담(燥濕消痰), 하기제만(下氣除萬)의 효능을 지니고 있어 습체상중(濕滯像中), 완비토사(脘肥吐瀉), 식적기체(食積氣滯), 복창변비(腹脹便秘), 담음천해(痰飮喘咳)를 치료한다.
후박의 성분으로는 알파, 베타, 감마-오이데스몰(α, β, γ-eudesmol) 등의 정유, 마그놀올(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테트라하이드로마그놀올(tetrahydromagnolol), 마그노큐라린(magnocurarine), 마그노플로린(magnoflorine), 오보바톨(obovatol), 오보바탈데하이드(obovataldehyde),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를 활용하여 한국등록특허 10-0472052에 따른 후박 나무를 포함한 59종의 생약을 이용한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2005-0081550에 따른 후박(Magnolia obovata bark) 추출물을 포함한 5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여드름 피부용 항균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0583747에 따른 후박 추출을 포함한 27종의 생약의 여드름 및 염증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0624664에 따른 후박(Magnolia officinalis)를 포함하는 생약 3종의 두피 가려움 및 비듬 개선 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0583792에 따른 후박을 포함한 생약 및 황토수 19종의 피부 미백, 항염증 및 항비듬 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0537960에 따른 후박을 포함한 4종의 생약 추출물의 피부노화 방지의 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0382602에 따른 후박을 포함한 31종의 천연물의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과 같이 많은 화장료 조성물로써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극성 지표 3.0~5.5에 해당하는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등의 용매와 극성지표 0.0~1.0에 해당하는 헥산, 석유 에테르 등의 두 용매를 활용하여 가공된 후박 추출물에 대한 다양한 미생물들의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확인함으로써 항균효과가 월등히 향상된 효과를 확인하였고, 사람에서 피부 안전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일차자극 시험을 수행하여 안전함을 확인하여, 이를 이용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가공된 후박 추출물(퓨리놀)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박 또는 후박근 추출물에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메탄올의 용매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를 0.5~20%(v/v), 바람직하게는 1.0-10%(v/v) 첨가하고 중탕하여 용해한 후, 헥산, 석유 에테르,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에테르, 싸이클로헥산, 벤젠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를 용액에 부유물이 생길 때까지 첨가하여 다시 40℃ 이상에서 중탕한 후 하냉하여 침전물로 얻어지는 가공된 후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독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살균 세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보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경제적, 효과적인 가공된 후박 추출물의 대량생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로써 유용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박 또는 후박근 추출물에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메탄올의 용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를 0.5~20%(v/v), 바람직하게는 1.0-10%(v/v) 첨가하고 중탕하여 용해한 후, 헥산, 석유 에테르,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에테르, 싸이클로헥산, 벤젠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를 용액에 부유물이 생길 때까지 첨가하여 다시 40℃ 이상에서 중탕한 후 하냉하여 침전물로 얻어진 가공된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조성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박 추출물은 극성지표가 3.0~5.5에 해당하는 용매인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을 0.1~5.0%(v/v), 바람직하게는 0.1~2.0%(v/v) 첨가하여 중탕하여 용해 후, 극성지표가 0.0~3.0에 해당하는 용매, 바람직하게는 극성지표가 0.0~1.0인 헥산 등을 용액에 부유물이 생길 때까지 첨가하여 다시 40℃ 이상에서 중탕한 후 30℃ 이하로 하냉하여 얻어진 가공된 후박 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중탕 온도는 40-70℃ 이고 바람직한 하냉온도는 15-30℃ 이다.
상기 가공된 후박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6-0078154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원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에서, 상기 균은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프로피오니박테리아(Propionibacterium) 속, 칸디다(Candida) 속,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속, 트리코피톤(Tricophyton) 속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프로피오니박테리아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트리코피톤 메타그로파이트(Tricophyton metagrophytes) 등을 들 수 있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각막염, 세균성 안질환, 피부 감염증, 창상감염, 골수염, 식중독, 폐렴 , 폐혈증, 독소 충격 증후군(toxic shock syndrome) 등을 일으키고, 프로피오니박테리아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은 주로 여드름을 유발시키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진균증, 질염, 전신감염, 아구창, 관절염, 병원성 혈류감염, 기회감염, 구강염, 칸디다성 폐렴, 수막염 등을 일으키고,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는 화장품의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로 알려졌으며, 알러지성 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 확장증, 결핵, 진균종(aspergilloma), 아스페르길루스증(aspergillosis) 등을 유발시킬 수 있으나, 각각의 균이 일으키는 질병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항균의 역가는 최소저해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알려진 생장을 저해하는 최소의 약제 농도를 측정하여 표기한다. MIC를 측정하는 한 방법으로는 검사할 항균을 각각 다른 농도로 첨가한 배지를 함유하는 일련의 시험관을 준비하여 시험 균주를 접종한다. 접종한 시험관을 배양한 후에 생장하지 않은 시험관(탁도의 변화가 없는)을 찾아서 MIC를 구할 수 있다. 이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을 통상 시험관 희석법이라 부른다.
본 발명에서 획득한 후박 추출물에 대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최소저해농도는 10μg/ml이고, 프로피오니박테리아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의 최소저해농도는 10μg/ml이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최소저해농도는 20μg/ml이고,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의 최소저해농도는 40μg/ml이고, 트리코피톤 메타그로파이트(Tricophyton metagrophytes)의 최소저해농도는 4μg/ml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는,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항균 조성물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에서, 상기 피부질 환은 습진, 피부염, 두드러기, 여드름, 아토피 또는 무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예방 또는 치료제는 액체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는 분말화하거나 과립화, 정제화, 액상화하는 방법으로 제형을 변경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포장하여 제품화하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그 형태와 적용목적,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중 항균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성분이고 그 제품의 특성상 적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양으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제품, 소독제, 살균 세정제 또는 식품 보존제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두발제품은 본 발명의 가공된 후박 추출물과 함께 두발제품의 제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당 분야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발제품은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및 헤어젤 등과 같은 두발제품 및 비누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소독제는 본 발명의 가공된 후박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적합한 농도가 되도록 피부학적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로 희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독제는 생물체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의 피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피부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제는 무생물체의 표면 예를 들면, 나무, 금속,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종이 및 천의 표면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독제는 침지, 면봉, 분무 및 브러싱을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생물체 또는 무생물체의 표면에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독제는 상처표면, 수술 전 피부소독, 수술기구의 소독, 도관 소독 등의 용도로 병원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세정제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된 후박추출물 외에 세정제의 제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당 분야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세정제는 주방용 또는 식품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방용 살균 세정제에는 가공된 후박 추출물 외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제의 예로는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알파올레핀설페이트, 소듐 또는 암모늄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등이 있으며, 비온온계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지방산 아미드, 알킬폴리글루코시드, 에톡시화 지방알콜계, 에톡시화 노닐 페놀계 등이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아민 옥사이드 등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외에 향, 색소 및 물과 같은 희석제를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식품용 살균 세정제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된 후박 추출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적절한 농도로 희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품용 살균 세정제는 예를 들어, 과일류, 어류 및 육류 등의 살균 및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식품 보존제는 식품류의 보존성을 증강시키기기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공된 후박 추출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는 식품의 제조 공정시 원료와 함께 배합하거나 별도의 수용성 현탁액으로 제조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존제를 사용하여 대상 식품을 침지시키거나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를 대상 식품에 분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방법
(1) 후박 추출물 제조 방법
후박 또는 후박근을 분쇄, 건조한 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건조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헥산, 석유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들을 이용하여 계통 분획하고, 이 분획물을 건조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고압과 고온으로 액화시킨 이산화탄 소를 공용매와 혼합하여 추출하고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제조하여 후박 추출물을 제조한다.
(2) 가공된 후박추출물의 제조방법
후박 또는 후박근을 분쇄, 건조한 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건조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헥산, 석유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들을 이용하여 계통 분획하고, 이 분획물을 건조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제조하거나 고압과 고온으로 액화시킨 이산화탄소를 공용매와 혼합하여 추출하고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제조한 후, 극성 지표 3.0~5.5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등에 해당하는 최소한의 용매를 첨가하여 중탕한 후, 극성지표 0~1.0에 해당하는 헥산, 석유 에테르 등에 해당하는 용매를 부유물이 생길 때까지 첨가하여 다시 중탕한 후 하냉하여 가공된 후박 추출물 (퓨리놀)을 각각 제조하였다. 자세한 가공된 후박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6-0078154를 참고한다.
(3) 가공된 후박추출물의 항균력 조사
용액 중 항균물질의 유무 및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균주의 종류, 특성에 따라 신규 항생제의 항균력, 항균스펙트럼을 알 수 있어 항생제 개발에 있어서는 필수불가결의 실험항목이다. MIC 테스트는 그 방법에 따라 아가 희석방법(Agar dilution method)과 액체배지 희석방법(broth dilution method)으로 대별되며 세계적으로 그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는 미국의 NCCLS 방법을 근간으로 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매 실험 마다 표준약물을 공시함으로 해서 품질관리(quality control)를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배지 희석방법(Broth dilution method)을 실시하고,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암포테리신 비(Amphotericin B),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을 각각의 균에 대한 표준약물로 사용하였다.
(a) 1 차 테스트
① 시험 균을 액체배지에서 1~2 일 동안 전배양한다.
② 각각의 배지 3 ml 에 DMSO 로 녹인 50 μl 의 시험 물질을 넣어 5000~ 0.5 μg/ml 농도(1/10 dilution, 5 가지 농도)가 되게 하고, 균농도가 105~6 cfu/ml 이 되도록 전배양액을 첨가하여 1~3 일 동안 배양한다.
③ 각 시험은 농도별로 시험군(후박추출물, 가공된 후박추출물(퓨리놀) 처리군)과 대조군(Neg. Cont.로 표기함)을 측정하였고, 동시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Blank로 표기함)을 평가하였다.
④ 모든 시험물질은 500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석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b) 2 차 테스트
① 1 차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시험 균을 액체배지에서 1~2 일 동안 전배양하였다.
② 각각의 배지 3 ml 에 DMSO 로 녹인 50 μl 의 시험 물질을 넣어 800 ~0.5 μg/ml 농도(1/2 dilution, 5 가지 농도)가 되게 하고, 105~6 cfu/ml 이 되도록 전 배양액을 첨가하여 1~3 일 동안 배양하였다.
③ 1 차 테스트 결과에서 5000 μg/ml 이상의 농도로 MIC 값을 보인 시험물질에 대해서는 20000, 10000, 500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시험물질을 처리할 때 Twin 20 을 1% (최종농도)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④ 테스트가 완료된 후 1 차 테스트에서 배양이 완료된 후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지 않은 시료에 대해서는 배양액 100 μl 를 아가 플레이트(Agar plate)에 분주하여 2 차 배양하였고, 아가 플레이트에 생장한 균의 유무를 확인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도 1~5).
(4) 가공된 후박 추출물의 안전성 시험
인체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상기예 에서와 같이 제조된 가공된 후박 추출물이 인체 피부에서도 안전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방법으로는 CTFA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 따른 피부일차자극 시험을 이용하였다. 20% 에탄올을 이용하여 가공된 후박 추출물 1.0%가 첨가된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총 48시간 동안 피부에 주는 자극 정도를 평가하였다. 자극은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의 척도로 평가한 후 아래의 수식에 의하여 평가 반응도(평균반응도=(반응지수×피검자수/총피검자자×최고점수(4))÷검사회수(2회)×100)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가공된 후박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테스트>
본 발명에서, 시료 4 종을 5 가지 균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4 종의 균(S. aureus, C. albicans , A. niger , T. mentagrophytes)에 대하여는 모든 시료가 4~40 μg/ml 의 MIC 값을 보여 합성방부제인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e, 식약청 기준 함량 4000μg/ml) 보다 5~200 배 이상 강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드름균 프로피오니박테리아(P. acne)에 대하여 대조물질인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보다 낮은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모든 시료가 10~80 μg/ml 의 MIC 값을 보여 여드름균에 대하여도 높은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공된 후박추출물은(Purinol로 칭함)은 아스퍼질러스(A. niger)에 대하여 대조구인 메틸 파라벤 보다 200 배 이상의 낮은 MIC 값을 가졌으며, 트리코피톤(T. mentagrophytes)과 스타필로코커스(S. aureus), 칸디다(C. albicans)에 대해서도 40~100 배 이상의 낮은 MIC 값을 가졌다. 또한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아(P. acne)에서도 10μg/ml 의 낮은 MIC 값을 보여 상기 균에 대한 높은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된 후박 추출물은 후박 추출물(magnolia extract)과 비교하였을 때, 4~10배의 낮은 MIC 값을 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공된 후박추출물은 기존의 후박 추출물에 비해 매우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가공된 후박추출물의 항균력>
Figure 112008011611619-pat00001
a: Erythromycin, b: Amphotericin
<실시예 2. 가공된 후박 추출물 (퓨리놀)을 이용한 안전성 테스트>
본 발명에서 30명을 대상으로 피부에서의 48시간동안의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가공된 후박 추출물 1%가 함유된 패치는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4시간, 48시간에서 모두 임상 평가에서 어떠한 자극도 발견되지 않아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표 2. 가공된 후박 추출물 (퓨리놀)의 일차자극척도>
Figure 112008011611619-pat00002
도 1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최소저해농도를 테스트한 결과이고,
도 2는 프로피오니박테리아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의 최소저해농도를 테스트한 결과이고,
도 3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최소저해농도를 테스트한 결과이고,
도 4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의 최소저해농도를 테스트한 결과이고,
도 5는 트리코피톤 메타그로파이트(Tricophyton metagrophytes)의 최소저해농도를 테스트한 결과이고,
도 6은 가공된 후박 추출물의 피부 안전성 시험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Claims (10)

  1. 후박 또는 후박근을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메탄올로부터 선택되는 극성용매로 추출한 후 그 추출용액에 헥산, 석유 에테르,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에테르, 싸이클로헥산, 벤젠으로부터 선택되는 비극성용매를 첨가하여 침전을 형성시키고 다시 40℃ 이상에서 중탕 용해시킨 다음 하냉하여 침전을 재결정시켜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극성용매는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이고, 비극성용매는 헥산이며, 하냉온도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은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프로피오니박테리아(Propionibacterium) 속, 칸디다(Candida) 속,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속 및 트리코피톤(Tricophyton) 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은 습진, 피부염, 두드러기, 여드름, 아토피 또는 무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또는 치료제는 액체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제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독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살균 세정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보존제.
KR1020080014140A 2008-02-15 2008-02-15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097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40A KR100971269B1 (ko) 2008-02-15 2008-02-15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40A KR100971269B1 (ko) 2008-02-15 2008-02-15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01A KR20090088701A (ko) 2009-08-20
KR100971269B1 true KR100971269B1 (ko) 2010-07-20

Family

ID=4120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140A KR100971269B1 (ko) 2008-02-15 2008-02-15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2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640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래디안 화장품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66568A (ko) 2019-11-28 2021-06-07 전라남도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125203A (ko) 2020-04-08 2021-10-18 정원철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145346A (ko) 2020-05-25 2021-12-02 정원철 멀구슬나무 열매와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91B1 (ko) * 2014-03-12 2021-04-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102141462B1 (ko) * 2018-11-13 2020-08-0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석창포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830A (ja) * 1990-07-23 1992-03-16 Mikimoto Pharmaceut Co Ltd ニキビ用皮膚外用剤
KR920005687A (ko) * 1990-04-27 1992-04-03 요시다 다다오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단부 정지구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KR960007923A (ko) * 1994-08-17 1996-03-22 이웅열 청소용 포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87A (ko) * 1990-04-27 1992-04-03 요시다 다다오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단부 정지구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JPH0482830A (ja) * 1990-07-23 1992-03-16 Mikimoto Pharmaceut Co Ltd ニキビ用皮膚外用剤
KR960007923A (ko) * 1994-08-17 1996-03-22 이웅열 청소용 포지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640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래디안 화장품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985264B1 (ko) * 2017-09-07 2019-09-03 주식회사 래디안 화장품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66568A (ko) 2019-11-28 2021-06-07 전라남도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125203A (ko) 2020-04-08 2021-10-18 정원철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145346A (ko) 2020-05-25 2021-12-02 정원철 멀구슬나무 열매와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01A (ko)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lube et al. Effect of Punica granatum on the virulence factors of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KR100971269B1 (ko)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49973B1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0699333B1 (ko) 복분자 또는 산딸기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07257688A (zh) 用于治疗痤疮的组合物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4432A (ko)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능을 지닌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65185B1 (ko)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Jafer et al. The biological activity of aqueous and methanolic extracts of Juglans regia on yeasts and pathologic bacteria
JP2006523684A (ja) 活性化かんきつ類果皮エキス含有組成物
KR101433823B1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Sharma et al. Comparative antifungal study of essential oil with allopathic drugs against Malassezia furfur
KR101152168B1 (ko) 항균활성을 갖는 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US11666621B2 (en) Composition having inhibitory effect on virus and bacteria
KR102126406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0562077B1 (ko) 피부보호,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유해균 성장억제, 여드름 예방 및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1326164B1 (ko) 항균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Darmani et al. Novel essential oils target the virulence factors of Candida albicans
KR20200056542A (ko) 석창포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40099223A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102146479B1 (ko) 정향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35917B1 (ko) 천연물질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30127B1 (ko) 후박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30128B1 (ko) 고본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