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829A -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8829A KR20170098829A KR1020177016474A KR20177016474A KR20170098829A KR 20170098829 A KR20170098829 A KR 20170098829A KR 1020177016474 A KR1020177016474 A KR 1020177016474A KR 20177016474 A KR20177016474 A KR 20177016474A KR 20170098829 A KR20170098829 A KR 201700988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processing
- processing apparatus
- wireless communication
- external device
- communication m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N5/2320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2—User authentication using separate channels for security data
- G06F21/43—User authentication using separate channels for security data wireless chan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 H04W4/008—
-
- H04W76/04—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제1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및 제2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제2 카메라)가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에서 각각의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활성 통신 접속이 존재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제2 외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그 전체 내용이 통합되는, 2014년 12월 26일자로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 2014-265649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원격 제어 가능한 비디오 카메라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특허 문헌 1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된 촬영 신호에 따라 촬영을 행하고, 촬영 화상을 리모트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비디오 카메라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원격으로 화상 촬영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단말(스마트 폰, 휴대 전화 단말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수행되는 촬영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331434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이용되는 정보 처리 단말과 원격 제어 대상이 되는 장치를 접속하는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네트워크 형태의 전환에는 시간과 노력이 든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고,네트워크 형태를 손쉽게 전환하는 기능이 없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접속되는 외부 장치와의 네트워크 접속 형태를 적절히 전환시킬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제1 예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는 무선 통신 회로와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는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에서 외부 장치와 각각의 통신 접속을 확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활성인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사이에서 무선 통신 회로가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예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 처리 장치,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로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 사이의 각각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는 정보 처리 장치, 제1 외부 장치, 제2 외부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외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하나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상태에서, 제2 외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하나의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회로로 하여금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정보 처리 장치, 제1 외부 장치, 제2 외부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예시에 따르면, 본 방법은 제1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그 후 제2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의 확립을 개시하는 단계, 및 그 후 정보 처리 장치 및 제1 외부 장치로 하여금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속되는 외부 장치와의 네트워크 접속 형태가 적절히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의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에 나타내고 싶은 임의의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보여져도 좋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제1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근접 통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제2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제1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근접 통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제2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표기되고, 이러한 구성 요소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하는 것으로 한다.
1.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
2. 기본 구성
2-1. 카메라의 구성
2-2.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3. 동작 처리
3-1. 제1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
3-2. 제2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
4. 결론
<<1.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
우선,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 처리 장치(20) 및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일례인 카메라(10A, 10B)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카메라(1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원격으로 카메라(10)에 의해 행해지는 촬영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기능한다. 본 기능은, 예를 들면,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작성된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정보 처리 장치(20)에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20)는 API를 이용하여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20)는 제어 정보를 카메라(10)로 송신하여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카메라(10)에 대한 촬영 지시, 촬영전 피사체의 화상을 정보 처리 장치(20)로 송신시키는 것(라이브 뷰(live view)의 표시), 카메라(10)의 설정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0)로 송신시키는 것(설정값의 취득), 카메라(10)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것(설정값 변경)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에 의해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한된(예를 들면, 간소화 또는 배제된) 카메라(10)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10A)는 스포츠(자전거, 런닝, 스노보드, 스키, 드라이브, 서핑, 다이빙 등)를 할 때 헬멧이나 장비에 장착되어, 스포츠 중에 보이는 실제감 있는 장면을 핸즈 프리로 촬영할 수 있도록, 소형화, 경량화 및 견고화(예를 들면 방수, 방진, 내충격, 내저온 등)된 촬상 장치이다.. 카메라(10B)는 주로 촬상 렌즈 부분에 특화된 렌즈형 촬상 장치로서, 뷰파인더(viewfinder)나 디스플레이는 구비되어 있지 않고, 유저가 손에 들고 임의의 각도로 촬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새로운 스타일의 카메라(10A, 10B)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조작 표시부가 간소화 또는 배제되므로, 촬영 제어나 설정 변경 등과 같은 조작은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20)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카메라(10A, 10B)의 하우징은 그 자체로 또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 마운팅(mounting)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인체, 동물, 정보 처리 단말 등과 같은 다른 물체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카메라(10A, 10B)는 웨어러블 카메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정보 처리 장치(20)와 카메라(10)의 접속에는, 원거리 무선 통신 규격의 일례인 Wi-Fi(등록 상표) 규격에 기초하여,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보조 스테이션(STA: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접속시킬 수 있는 통신 방식이 이용된다. 초기 접속 시에, 보조 STA로서 동작하는 장치는, 마스터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와 같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터 AP로서 동작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인증한다. 마스터 AP의 인증 정보는 예를 들면, 유저가 보조 STA에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면, NFC(near-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마스터 AP에 설치된 태그(NFC 태그)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와 카메라(10A)가 일대일로 접속하는 경우, 조작 입력부가 간소화 또는 배제된 카메라(10A)에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20)를 보조 STA로서 동작시키고, 카메라(10A)를 마스터 AP로서 동작시키는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정보 처리 장치(20)와 카메라(10A)가 제어된다.
여기서,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20)를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장치가 추가로 제공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와 카메라(10A, 10B)는 일대다(one-to-many)(다중 접속)의 관계를 갖는다. 이 경우, 도 1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의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보조 STA로부터 마스터 AP로 전환하고, 카메라(10A, 10B)를 보조 STA로서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마스터-보조 관계를 전환하려면,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를 카메라(10A, 10B)에 입력하여, 정보 처리 장치(20)와 모든 카메라(10A, 10B) 사이에서 인증 처리를 새롭게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저가 조작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든다. 또한, 통상적인 유저에게 있어서는, 조작 대상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에, 유저가 마스터-보조 관계를 전환시키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고, 이러한 조작은 유저를 혼란스럽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대상 장치(즉, 외부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 마스터-보조 관계가 적절히 전환되게 하여, 유저 조작에 대한 시간과 노력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스터-보조 관계의 전환 및 전환에 따른 일시적인 원거리 무선 통신의 단절이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저를 혼란스럽지 않게 한다.
<<2. 기본 구성>>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20) 및 카메라(10)의 기본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1. 카메라의 구성>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10)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10)는 제어 유닛(100), 촬상 유닛(101), 화상 처리 유닛(102), 기록/판독 유닛(103), 기록 매체(104), 조작 입력 유닛(105), 표시 유닛(106), 기억 유닛(107),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 및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 요소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외부 장치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현된다.
(제어 유닛)
제어 유닛(100)은 예를 들면, 중앙 제어 자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00)은 카메라(10)에 포함된 각 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10)가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20)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 유닛(100)은, 카메라(10)가 마스터 AP 또는 보조 STA 로서 동작하도록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한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유닛(101)의 촬영을 제어한다.
(조작 입력 유닛 및 표시 유닛)
조작 입력 유닛(105)은 유저의 조작 입력을 검출하고, 조작 신호를 제어 유닛(100)에 출력한다. 조작 입력 유닛(105)은 물리적인 구성을 갖는 버튼이어도 좋다. 표시 유닛(106)은 배터리 레벨, 이용가능한 저장 용량, 시각 등과 같은 기본적인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10)에서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조작 입력 유닛(105) 및 표시 유닛(106)이 간소화 혹은 배제되어도 좋다.
(촬상 유닛)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신호 변환 유닛인 촬상 유닛(101)은 광학계를 이용하여 피사체상을 형성한다. 신호 변환 유닛에 형성된 피사체상이 신호 변환 유닛에 의해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된다. 촬상 유닛(101)에 의해 변환된 화상 신호(촬상 화상)는 화상 처리 유닛(102) 및 기록/판독 유닛(103)을 통해 기록 매체(104)로 보내진다.
(화상 처리 유닛)
화상 처리 유닛(102)은 촬상 유닛(101)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촬상 화상)를 처리한다. 화상 처리 유닛(102)은,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노이즈 제거, 색조 보정, 엣지 검출 등을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 유닛(102)은 촬상 유닛(101)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촬상 화상)를 기록/판독 유닛(103)에 출력한다.
(기록/판독 유닛)
기록/판독 유닛(103)은 화상 처리 유닛(102)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촬상 화상)를 기록 매체(104)에 기록하거나, 기록 매체(104)에 기록되어 있는 촬상 화상을 판독한다. 기록/판독 유닛(103)은 촬상 화상을 압축하여 기록 매체(104)에 압축 화상을 기록해도 좋다. 기록/판독 유닛(103)은 기록 매체(104)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판독했을 경우,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기록 매체)
기록 매체(104)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이 기입되는 메모리 카드이다.
(기억 유닛)
기억 유닛(107)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이다. RAM은 예를 들면, 제어 유닛(100)에 대한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ROM은, 제어 유닛(100)이 각 제어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은 제어 유닛(10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 안테나와 협업하여 근접하는 정보 처리 장치(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은 예를 들면, NFC 통신 유닛이어도 좋다. NFC 통신 유닛은 NFC 안테나와 협업하여 NFC 안테나로부터 약 3cm 내지 10cm, 또는 일부 설계에서는 약 7mm의 근거리에 도달 가능한 무선 전파를 송신하여, 무선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위치되는 정보 처리 장치(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은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의 인증에 이용되는 인증 정보로서 SSID 및 패스워드(암호화 키의 일례)를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송신한다.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은 제어 유닛(100)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 무선 안테나와 협업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정보 처리 장치(20)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은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보다 긴 통신 거리에 걸쳐 통신을 행한다.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은 예를 들면, Wi-Fi 통신 유닛이어도 좋다. 또한,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은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원거리 무선 통신에 대한 인증을 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20)와의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은 제어 유닛(10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0)가 마스터 AP 또는 보조 STA로서 동작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네트워크 형태 설정 후의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원격 제어는 주로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행해진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10)의 기본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계속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20)의 기본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2.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도 3은, 정보 처리 장치(20)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는 제어 유닛(200), 조작 입력 유닛(201), 표시 유닛(202), 기억 유닛(203),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 및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을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 폰으로서 구현되어도 좋고, 태블릿 단말, 또는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구현되어도 좋다.
(제어 유닛)
제어 유닛(200)은 예를 들면, CPU, ROM, RAM,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200)은 정보 처리 장치(20)에 포함되는 각 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가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을 통해 외부 장치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 유닛(200)은, 정보 처리 장치(20)가 마스터 AP 또는 보조 STA로서 동작하도록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 유닛(200)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 대한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기능하여, 예를 들면 조작 입력 유닛(201)에 의해 검출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외부 장치를 제어한다.
(조작 입력 유닛)
조작 입력 유닛(201)은 유저의 조작 입력을 검출하여, 조작 신호를 제어 유닛(100)에 출력한다. 조작 입력 유닛(201)은 물리적인 구성을 갖는 버튼(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어도 좋고, 조작 화면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패널이어도 좋다.
(표시 유닛)
표시 유닛(202)은 메뉴 화면, 리모트 컨트롤러 화면, 인증 정보 입력 화면 등을 표시한다. 표시 유닛(202)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로서 구현된다.
(기억 유닛)
기억 유닛(203)은 RAM, ROM 등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이다. RAM은 예를 들면, 제어 유닛(200)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ROM은, 제어 유닛(200)이 각 제어를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은 제어 유닛(20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 안테나와 협업하여 근접하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은 예를 들면, NFC 통신 유닛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은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의 인증에 이용하는 인증 정보(예를 들면, SSID 및 패스워드(암호화 키의 일례))를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다.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제어 유닛(200)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 무선 안테나와 협업하여 주위의 외부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10))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보다 긴 통신 거리에 걸쳐 통신을 행한다.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예를 들면, Wi-Fi 통신 유닛이어도 좋다. 또한,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카메라(10)로부터 취득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원거리 무선 통신 인증을 행함으로써 카메라(10)와의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제어 유닛(200)의 제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20)가 마스터 AP 또는 보조 STA로서 동작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네트워크 형태의 설정 후의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원격 제어는 주로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행해진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20)의 기본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계속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3. 동작 처리>>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와 카메라(10)가 일대일로 접속되는 경우는, 정보 처리 장치(20)가 보조 STA로서 동작하고, 카메라(10)는 마스터 AP로서 동작한다. 한편, 조작 대상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일대다 접속(다중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20)를 마스터 AP로서 동작시키고, 복수의 카메라(10)는 보조 STA로서 동작시킨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20)는 활성화된 카메라(10)와의 통신 접속의 수에 근거하여 그 무선 통신 모드를 전환한다. 특히, 카메라(10)와의 하나만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는 제1 통신 모드에서 동작하고(보조 STA), (예를 들어, 근접 통지를 검출함으로써) 카메라(10)와의 제2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는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한다(AP). 이하의 설명에서, 정보 처리 장치(20)가 제1 카메라(10A)에 일대일로 접속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 처리에 대해 우선 설명한다.
<3-1. 제1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103에서, 정보 처리 장치(20)가 카메라(10A)에 접근하면, 카메라(10A)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이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A)이라 칭함)이 정보 처리 장치(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으로부터의 근접 통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조작 대상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10A))를 정보 처리 장치(20)에 가까이 하면(반드시 정보 처리 장치(20)에 장치를 접촉시킬 필요는 없음), 카메라(10A)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A)이 정보 처리 장치(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으로부터 발신되는 커맨드를 검출한다.
그 다음에, 스텝 S106에서, 카메라(10A)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A)은 커맨드의 검출에 기초하여 커맨드 응답을 반환한다. 커맨드 응답은 예를 들면, 카메라(10A)의 NFC의 태그 정보로서 카메라(10A)의 인증 정보(예를 들면,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카메라(10A)가 마스터 AP로서 동작하는, 카메라(10A)와의 원거리 무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인증 정보를 이용한다.
계속하여, 스텝 S107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은 취득한 카메라(10A)의 인증 정보를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텝 S109에서, 정보 처리 장치(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은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마스터 AP로 설정하도록 카메라(10A)에 요구한다.
그 다음에, 스텝 S112에서, 카메라(10A)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A)은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이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A)이라 칭함)에 마스터 AP를 기동하라고 지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115에서, 카메라(10A)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A)은, 카메라(10A)가 마스터 AP로서 동작하도록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스텝 S117에서, 정보 처리 장치(20)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정보 처리 장치(20)가 보조 STA로서 동작하도록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그 다음에, 스텝 S118에서, 정보 처리 장치(20)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스텝 S106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에 의해 취득한 카메라(10A)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10A)에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 요구를 송신하여, 카메라(10A)를 마스터 AP로서 동작시키는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장치와의 첫 번째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시에, 정보 처리 장치(20)가 보조 STA로서 동작하고 카메라(10A)가 마스터 AP로서 동작하는 마스터-보조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가 구축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축 후에, 정보 처리 장치(20)는 카메라(10A)를 원격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20)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정보를 카메라(10A)에 송신하여, 카메라(10A)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스텝 S121에서, 정보 처리 장치(20)는 카메라(10A)와 정보 처리 장치(20) 사이에 확립된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예를 들면, SSID 및 패스워드)를 카메라(10A)에 송신한다. 인증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20)가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의 마스터-보조 관계를 전환시켜 정보 처리 장치(20)가 마스터 AP로서 동작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할 때에 카메라(10A) 측에서 필요하게 되는 인증 정보이다.
그 후, 스텝 S124에서, 카메라(10A)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A)은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기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첫 번째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시에, 미리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의 마스터-보조 관계 전환(다중 접속)에 필요한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를 카메라(10A)에 송신하여 둠으로써, 다중 접속 상태에서 마스터-보조 관계가 적절히 전환될 수 있다. 계속하여, 제2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3-2. 제2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장치의 접속시의 동작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127에서, 정보 처리 장치(20)와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 사이에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이 확립되었을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은, 정보 처리 장치(20)가 외부 장치에 요구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의 설정을 보조 STA로 변경한다. 여기에서는, 도 4의 스텝 S1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가 카메라(10A)와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현재 하나 이상의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은, 정보 처리 장치(20)가 카메라(10A)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스텝 S130에서, 카메라(10B)가 정보 처리 장치(20)에 접근되면, 카메라(10B)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이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B)이라 칭함)이 정보 처리 장치(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으로부터의 근접 통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20)에 추가로 접속하기를 원하는 제2 조작 대상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10B))에 정보 처리 장치(20)를 가까이 하면(반드시 정보 처리 장치(20)를 제2 조작 대상 장치에 접촉시킬 필요는 없음), 카메라(10B)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B)이 정보 처리 장치(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으로부터 발신되는 커맨드를 검출한다.
그 다음에, 스텝 S133에서, 카메라(10B)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B)은 커맨드의 검출에 기초하여 커맨드 응답을 반환한다. 커맨드 응답은 카메라(10B)의 NFC 태그 정보로서 카메라(10B)의 인증 정보(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스텝 S134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은 취득한 카메라(10B)의 인증 정보를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에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이 제2 카메라(10B)와 NFC 통신했던 상황에 기초하여, 유저가 조작 대상 장치를 추가하려고 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136에서, 정보 처리 장치(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은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보조 STA 로 설정하도록 카메라(10B)에 요구하고,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를 카메라(10B)에 송신한다. 인증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20)가 마스터 AP로서 동작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데 카메라(10B) 측에서 필요한 인증 정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20)는 제2 및 그 이후의 장치에 NFC 통신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를 송신한다.
그 다음에, 스텝 S139에서, 카메라(10B)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B)은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이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B)이라 칭함)에 보조 STA를 기동할 것을 지시한다. 이 때,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B)은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 송신된 인증 정보를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B)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텝 S142에서, 카메라(10B)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B)은, 카메라(10B)가 보조 STA로서 동작하도록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스텝 S145에서, 정보 처리 장치(20)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204)이 제2 카메라(10B)와 NFC 통신했던 상황에 기초하여 유저가 조작 대상 장치를 추가하려는 것을 인식하여, 이미 접속을 확립한 카메라(10A)에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전환하도록 요구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20)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마스터 AP로서 동작하고 있는 카메라(10A)에, 카메라(10A)를 보조 STA로서 동작하도록 마스터-보조 관계를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 정보 처리 장치(20)가 외부 장치에 일대일로 접속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는 보조 STA로서 동작한다. 일대다 접속의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는 마스터 AP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이미 접속된 카메라(10A)와 정보 처리 장치(20) 사이의 마스터-보조 관계(정보 처리 장치(20)가 보조 STA이고, 카메라(10A)가 마스터 AP인 마스터-보조 관계)를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계속하여, 스텝 S148에서, 카메라(10A)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A)은, 카메라(10A)가 보조 STA로서 동작하도록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스텝 S151에서, 정보 처리 장치(20)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205)은, 정보 처리 장치(20)가 마스터 AP로서 동작하도록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이러한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드의 전환시에, 정보 처리 장치(20)와 카메라(10A) 사이의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이 단절되어도, 정보 처리 장치(20)의 표시 유닛(202) 및 카메라(10)의 표시 유닛(106)은 마스터-보조 관계의 전환 또는 단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대신 정보 처리 장치(20)와 카메라(10)가 서로 통신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는, 유저가 혼란해 하는 상황을 피하게 한다.
그 다음에, 스텝 S154에서, 카메라(10B)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B)은 스텝 S139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08B)에 의해 취득한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20)가 마스터 AP로서 동작하는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그 후, 스텝 S157에서, 카메라(10A)의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A)은 정보 처리 장치(20)에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의 요구를 송신하여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이 때,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09A)은 첫 번째 접속시에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기억하고 있던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스텝 S121, S124)를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20)를 마스터 AP로서 동작시키는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각각의 스텝 S154 및 S157에서의 네트워크의 구축 후에, 정보 처리 장치(20)는 카메라(10A, 10B)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20)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정보를 카메라(10A, 10B)에 송신하여, 카메라(10A, 10B)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가 제2 장치에 접속될 때, 정보 처리 장치(20)와 제1 카메라(10A) 사이의 이전의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에서의 마스터-보조 관계가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0A)는 정보 처리 장치(20)에의 첫 번째 접속시에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를 이미 취득하였다. 따라서, 유저의 인증 정보의 입력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마스터-보조 관계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보조 관계가 전환될 때, 정보 처리 장치(20)의 표시 유닛(202) 및 카메라(10)의 표시 유닛(106)은, 마스터-보조 관계가 전환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대신 정보 처리 장치(20)와 카메라(10)가 서로 통신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에 의해 직감적으로 인식될 수 없는 동작의 표시가 회피된다.
<<4. 결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일대다 접속(다중 접속)시에 외부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10))측에서 필요한 정보 처리 장치(20)의 인증 정보를 일대일의 접속(단일 접속)시에 이미 송신해 둠으로써, 다중 접속시에 인증 정보를 더 이상 입력할 필요가 없고, 마스터-보조 관계가 적절히 전환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에 드는 한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 조합 및 대안이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 또는 카메라(10)에 내장되는 CPU, ROM 및 RAM 등과 같은 하드웨어에, 정보 처리 장치(20) 또는 카메라(10)의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도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처리의 스텝은 반드시 첨부한 흐름도 또는 순서도에서 설명된 순서대로 시계열로 실행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처리에서의 각 스텝은 흐름도 또는 순서도에서 설명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실행되어도 좋고, 병렬로 실행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스텝 S107과 S109 내지 S115는 병렬로 실행되거나 역의 순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스텝 S154와 S157은 병렬로 실행되어도 좋고, 역의 순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첫 번째 접속시(단일 접속)에 다중 접속시에 필요한 인증 정보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카메라(10)에 송신되지만(스텝 S121 참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인증 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카메라(10)에 송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는 스텝 S109에서 모드 설정의 요구와 함께 인증 정보를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의 카메라(10)는, 첫 번째 접속시에 정보 처리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 접속을 위한 인증을 미리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원거리 무선 통신 접속의 마스터-보조 관계 전환시에 더 이상 인증을 행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 형태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NFC 통신 외에,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등록 상표), 트랜스퍼젯(TransferJet) 등과 같이, 원거리 무선 통신보다 통신 거리가 짧고, 인증 없이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이 이용되어도 좋다. 원거리 무선 통신에서, 상술한 Wi-Fi 외에, 휴대 통신 네트워크(4G 등)가 이용되어도 좋다. 근거리 무선 통신이 NFC 또는 트랜스퍼젯인 경우, 원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등록 상표)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가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조작 대상 장치(즉, 외부 장치의 일례)로서 카메라(디지털 카메라)가 채용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외부 장치는 드론(drone)(비행 물체), 로봇, 센서 단말 등이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효과는 단지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은 본 명세서에 기초한 효과와 함께, 또는 그 대신에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는 적어도 이하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1)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에서 외부 장치와 각각의 통신 접속을 확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활성인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사이에서 무선 통신 회로가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1)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무선 통신 회로가,
하나만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경우에, 제1 통신 모드를 사용하게 하고;
2개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경우에, 제2 통신 모드를 사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3)
(1)과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동작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외부 장치 중 제1 외부 장치와 하나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상태에서, 외부 장치 중 제2 외부 장치와 하나의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로 하여금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은, 제2 외부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의 부근에 접근하는 결과로서 개시되는, 정보 처리 장치.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무선 통신 회로가,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외부 장치를 제2 통신 모드로 전환시키는 커맨드를 제1 외부 장치로 송신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는,
접근시에 제2 외부 장치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제2 외부 장치의 검출시에,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제2 외부 장치와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 장치와의 인증 정보의 교환이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회로를 더 포함하고,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의 무선 통신 회로의 전환은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의 일시적인 단절을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무선 통신 회로가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있는 중에, 표시 회로로 하여금,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외부 장치가 서로 통신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게 하고,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일시적으로 단절됨을 나타내는 정보는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무선 통신 회로는 원거리 무선 통신 회로 및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에서 외부 장치와 각각의 통신 접속을 확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사이에서 무선 통신 회로가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11)에 있어서,
활성인 적어도 하나의 통신 접속이 존재하고, 두번째 통신 접속의 확립이 개시될 때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3)
(11) 및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부 장치 중 하나가 정보 처리 장치의 부근에 접근하게 될 때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를 포함하고,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로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 사이의 각각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외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하나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상태에서, 제2 외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하나의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회로로 하여금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5)
(14)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정보 처리 장치 내에 포함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로 하여금,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제1 및 제2 외부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6)
(14) 및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동작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7)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외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통신 접속은, 제2 외부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의 부근에 접근되는 결과로서 개시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8)
(1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는,
접근시에 제2 외부 장치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제2 외부 장치의 검출시에, 제2 외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제2 외부 장치와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제2 외부 장치와의 인증 정보의 교환은 제2 외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9)
제1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제2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의 확립을 개시하는 단계, 및
정보 처리 장치 및 제1 외부 장치로 하여금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19)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의 확립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외부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부근에 접근되는 것에 응답하여 행해지는 것인, 방법.
(21)
외부 장치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 및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외부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1 통신 모드에서 확립되었을 때, 외부 장치가 보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 정보가 외부 장치로 송신되게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2)
(21)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제1 외부 장치를 검출한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외부 장치의 인증 정보를 취득하고,
제어 유닛은,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제1 외부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1 통신 모드를 확립하도록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23)
(22)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제2 외부 장치를 검출한 경우에,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제2 외부 장치가 보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확립하도록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 정보가 제2 외부 장치로 송신되게 제어 유닛이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24)
(23)에 있어서,
제2 외부 장치가 검출된 경우에, 제어 유닛은,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이미 제1 통신 모드를 확립한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라고 제1 외부 장치에 지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25)
(2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 정보가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26)
(2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 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27)
(22)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의 통신 거리보다 짧은 통신 거리에서 외부 장치와 근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은 인증 절차 없이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허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
(28)
(2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증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패스(pass)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9)
(2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통신 모드의 확립 후에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
(30)
(29)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장치의 설정값을 취득하거나 변경하는, 정보 처리 장치.
(31)
(29) 또는 (30)에 있어서,
외부 장치는 촬영 장치인, 정보 처리 장치.
(32)
(31)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화상을 촬영하라고 촬영 장치에 지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33)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외부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1 통신 모드를 확립한 경우에, 외부 장치가 보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 정보가 외부 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34)
컴퓨터를,
외부 장치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 및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이, 외부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1 통신 모드를 확립한 경우에, 외부 장치가 보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2 통신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 정보가 외부 장치로 송신되게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10, 10A, 10B: 카메라
20: 정보 처리 장치
100, 200: 제어 유닛
101: 촬상 유닛
102: 화상 처리 유닛
103: 기록/판독 유닛
104: 기록 매체
105, 201: 조작 입력 유닛
106, 202: 표시 유닛
107, 203: 기억 유닛
108, 204: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
109, 205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
20: 정보 처리 장치
100, 200: 제어 유닛
101: 촬상 유닛
102: 화상 처리 유닛
103: 기록/판독 유닛
104: 기록 매체
105, 201: 조작 입력 유닛
106, 202: 표시 유닛
107, 203: 기억 유닛
108, 204: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
109, 205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
Claims (20)
-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에서 외부 장치와 각각의 통신 접속을 확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활성인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와 상기 제2 통신 모드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가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 회로로 하여금,
하나만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사용하고;
2개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경우에 상기 제2 통신 모드를 사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동작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제1 외부 장치와 하나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장치 중 제2 외부 장치와 하나의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은, 상기 제2 외부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부근에 접근하는 결과로서 개시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 회로가,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외부 장치를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시키는 커맨드를 상기 제1 외부 장치로 송신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접근시에 상기 제2 외부 장치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검출시에,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제2 외부 장치와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상기 인증 정보의 교환이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표시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의 상기 무선 통신 회로의 전환은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의 일시적인 단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 회로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있는 중에, 상기 표시 회로로 하여금,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외부 장치가 서로 통신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게 하고,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일시적으로 단절됨을 나타내는 정보는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원거리 무선 통신 회로 및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에서 외부 장치와 각각의 통신 접속을 확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와 상기 제2 통신 모드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가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활성인 적어도 하나의 통신 접속이 존재하고, 두번째 통신 접속의 확립이 개시될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중 하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부근에 접근하게 될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정보 처리 장치. -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 사이의 각각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하나의 통신 접속이 활성인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부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하나의 통신 접속이 개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 포함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로 하여금,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1 통신 모드와 상기 제2 통신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동작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통신 접속은 상기 제2 외부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부근에 접근되는 결과로서 개시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는,
접근시에 상기 제2 외부 장치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의 검출시에, 상기 제2 외부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제2 외부 장치와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상기 인증 정보의 교환은 상기 제2 외부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 통신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와 제1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제2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의 확립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의 확립을 개시하는 단계가, 상기 제2 외부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부근에 접근되는 것에 응답하여 행해지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265649 | 2014-12-26 | ||
JP2014265649A JP6503734B2 (ja) | 2014-12-26 | 2014-12-26 |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PCT/JP2015/005631 WO2016103556A1 (en) | 2014-12-26 | 2015-11-11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8829A true KR20170098829A (ko) | 2017-08-30 |
Family
ID=5475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6474A KR20170098829A (ko) | 2014-12-26 | 2015-11-11 |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448446B2 (ko) |
EP (1) | EP3192244B1 (ko) |
JP (1) | JP6503734B2 (ko) |
KR (1) | KR20170098829A (ko) |
WO (1) | WO20161035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3721B1 (ko) * | 2016-02-04 | 2023-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JP6755145B2 (ja) * | 2016-08-10 | 2020-09-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
EP3529983B1 (en) | 2016-11-23 | 2024-02-07 |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devices |
JP6474377B2 (ja) * | 2016-11-29 | 2019-02-27 | フロンティアビジョン株式会社 | 登録システム及び、登録方法 |
JP2018133793A (ja) * | 2017-02-14 | 2018-08-2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情報装置および通信装置並びに通信装置の通信方法 |
AU2019346568B2 (en) | 2018-09-26 | 2022-08-18 | W. L. Gore & Associates, Inc. | Constrain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1434A (ja) | 1995-06-01 | 1996-12-13 | Sony Corp | ビデオカメラ装置およびビデオカメラ遠隔制御装置 |
JP3937332B2 (ja) * | 2003-03-11 | 2007-06-27 | ソニー株式会社 | 撮影システム |
US20090163185A1 (en) * | 2007-12-24 | 2009-06-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ceiving and playing multiview images, and rel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JP5418065B2 (ja) * | 2009-08-24 | 2014-02-19 | ヤマハ株式会社 | マスタ装置切り替え方法 |
GB201002824D0 (en) * | 2010-02-19 | 2010-04-07 | Temasek Polytechnic | A method of preparing a substrate for immobilization of functional substances thereon and the substrate obtained therefrom |
US8856901B2 (en) * | 2010-05-26 | 2014-10-07 | Marcel Van Os | Digital handshake for authentication of devices |
CN103314606B (zh) * | 2011-01-20 | 2017-02-15 | 皇家飞利浦有限公司 | 认知无线电设备的认证和授权 |
JP2012217049A (ja) * | 2011-03-31 | 2012-11-08 | Fujitsu Ltd | プログラム、情報通信機器およびシステム |
JP5882769B2 (ja) * | 2012-02-06 | 2016-03-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 |
AU2013233646B2 (en) | 2012-03-16 | 2017-05-25 | Sony Corporation |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
US9055611B2 (en) | 2012-12-21 | 2015-06-09 | Broadcom Corporation | Resilient peer network with 802.11 technology |
JP6074725B2 (ja) * | 2012-12-27 | 2017-02-0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子機器 |
WO2014103313A1 (ja) * | 2012-12-27 | 2014-07-0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通信装置 |
JP6222979B2 (ja) * | 2013-05-09 | 2017-11-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2014
- 2014-12-26 JP JP2014265649A patent/JP6503734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11-11 WO PCT/JP2015/005631 patent/WO201610355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1-11 US US15/505,403 patent/US10448446B2/en active Active
- 2015-11-11 KR KR1020177016474A patent/KR20170098829A/ko unknown
- 2015-11-11 EP EP15802213.7A patent/EP319224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273131A1 (en) | 2017-09-21 |
WO2016103556A1 (en) | 2016-06-30 |
JP6503734B2 (ja) | 2019-04-24 |
EP3192244B1 (en) | 2022-05-11 |
EP3192244A1 (en) | 2017-07-19 |
US10448446B2 (en) | 2019-10-15 |
JP2016127379A (ja) | 2016-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98829A (ko) |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
US1047023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 |
CN107800955B (zh) | 通信装置、通信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JP6755081B2 (ja) |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US20220404884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6672780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10512111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863074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electronic apparatus, and system | |
US20190132505A1 (en) | Imaging apparatus | |
JP6810555B2 (ja) |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 |
US10404903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 |
US10285032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00228664A1 (en) | Controlled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EP3399740A1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
WO2022134084A1 (zh) | 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 |
JP2018157528A (ja) | 情報処理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プログラム | |
JP6351788B2 (ja)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電子機器の制御方法 | |
JP2019154001A (ja) | 通信制御装置、撮像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7069880A (ja) | 撮影装置 | |
JP2017200141A (ja) |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