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517A - 휴대용 러그 절단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러그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517A
KR20170098517A KR1020160020535A KR20160020535A KR20170098517A KR 20170098517 A KR20170098517 A KR 20170098517A KR 1020160020535 A KR1020160020535 A KR 1020160020535A KR 20160020535 A KR20160020535 A KR 20160020535A KR 20170098517 A KR20170098517 A KR 2017009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cutter
casing
band saw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국
Original Assignee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정선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정선국 filed Critical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517A/ko
Publication of KR2017009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3/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 B23D53/12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or clamping work
    • B23D55/04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or clamping work for feeding work into engagement with the saw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rives for strap saw blades; of whee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63B9/00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면서도 정확한 러그의 절단이 가능한 휴대용 러그절단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러그절단기는,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된 러그(R)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부분(12)을 구비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오목부분(12)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기압모터 및 감속기(23)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롤러(22); 상기 케이싱 내에서 오목부분(12)의 타측에 설치되는 구동롤러(24); 상기 구동롤러(22)와 구동롤러(24)에 감아 걸리고, 구동롤러에서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면서, 오목부분에서 러그와 접촉하여 절단하는 띠톱(30);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띠톱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 그리고 상기 오목부분에서 러그를 절단하기 위하여 러그와 접촉하는 띠톱을, 그 반대측에서 접촉하여 원래의 위치로 지지하는 이탈방지롤러(18)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절단기의 일부분과 결합하여, 러그를 절단하는 방향으로 러그절단기를 안내하는 절단기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러그 절단기{Portable lug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휴대용 러그(Lug)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표면에 설치된 러그를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절단 작업 후 남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러그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조선 산업 등에 있어서는 높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 많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고소 작업을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비계를 조립하여 일정 높이로 만들어서 작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계를 보다 안전하면서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선박의 표면에 지지용 러그(Lug)를 용접하고, 이러한 러그를 이용하여 높게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러그는 고소 작업을 위한 안전 상 매우 필요한 것임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러그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용접에 의하여 선박의 표면 등에 고정된 러그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뒤따르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러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철판이 원래의 상태에서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항상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는, 블록에 설치한 러그를 공기압 그라인더 또는 전기 그라인더에 절단용 커터를 장착하여 절단하고, 그 표면을 그라인더로 마무리 작업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작업자는 소음과 진동, 그리고 작업 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반력을 지지하기 위한 손목과 허리 등과 같은 신체의 부담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러그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러그 절단기, 예를 들면 특허 제10-0782521호 및 특허 제10-0835690호에 의하면, 띠톱을 이용하여 러그를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러그 절단기에 의하면, 띠톱의 날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안전 상 다소 문제 시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절단기를 사용하는 작업 현상에서 러그는 작업자의 키에 대응하는 높이에 있어서 실제로 작업자의 머리 또는 눈 높이에서 톱날이 움직이는 점을 고려하면 안전이 치명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러그 절단기에 의하면, 정확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절단이 완료되는 순간 러그가 공중에서 낙하할 수 있으며, 최초 절단이 시작되는 위치에 따라서 절단이 완전하게 진행되지 않아서 절단 후 남는 부분이 크거나 경사진 형태가 되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러그의 절단 작업 시 작업자를 안전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러그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 작업 시, 절단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띠톱의 절단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고, 더욱이 러그의 절단 후 남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러그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러그절단기는,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된 러그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부분을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오목부분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기압모터 및 감속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롤러; 상기 케이싱 내에서 오목부분의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롤러; 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에 감아 걸리고, 구동롤러에서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면서, 오목부분에서 러그와 접촉하여 절단하는 띠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띠톱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 그리고 상기 오목부분에서 러그를 절단하기 위하여 러그와 접촉하는 띠톱을, 그 반대측에서 접촉하여 원래의 위치로 지지하는 이탈방지롤러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절단기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기 가이드는, 상기 오목부분 내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양단부를, 러그가 형성된 대상물의 표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안내레일에 고정될 수 있으며, 러그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 그리고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케이싱과 착탈 가능하여, 상기 안내레일을 따른 케이싱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는 안내블럭으로 구성되는 절단기가이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절단기가이드는,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수평위치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위치조절바의 단부에는 상기 띠톱을 대상물의 표면측으로 눌러내릴 수 있도록 높이조절 가능한 누름판이 구비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러그절단기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공기압모터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띠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러그를 절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 대하여 열린 상태의 오목부분에서만 띠톱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안전 상의 측면에서도 상당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러그절단기는, 절단기가이드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절단을 위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절단기가이드에 의하여, 보다 정확한 경로 및 높이로 러그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러그를 절단한 후 후처리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기가이드의 클램프가 러그를 클램핑하고 있기 때문에, 러그의 절단하는 과정에서는 절단기의 견고한 지지 및 안내가 가능하고, 러그가 절단된 후에는 러그가 추락하지 않도록 잡고 있기 때문에 안전 사고의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절단기가이드가 장착된 러그절단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러그절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러그절단기의 절단기가이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러그절단기의 절단기가이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러그절단기의 절단가이드의 절단 상태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러그절단기의 절단가이드의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러그절단기(C)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러그절단기의 케이싱(10)은, 외부에 대하여 열린 상태가 되도록 오목한 오목부분(12)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오목부분(12)에서만 띠톱(30)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목부분(12)에서 노출된 띠톱(30)은 실제로 러그를 절단하게 되는데, 이는 케이싱(10)의 오목부분(12) 내부로 러그가 들어간 상태에서 절단이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목부분(12)이 러그(R)를 감싸는 상태에서, 케이싱이 러그의 고정방향(오목부분의 직각 방향)을 따라 케이싱(10)이 이동하면서 러그(R)를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오목부분(12)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구동롤러(22) 및 종동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띠톱(30)은 상기 구동롤러(22) 및 종동롤러(24)에 감겨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롤러(22)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띠톱(30)은 러그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구동롤러(22)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압모터 및 감속기(23)에 의하여 구동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에서 구동롤러(22)의 하단부에는 공기압모터 및 감속기(23)가 내장될 수 있는 모터케이싱부가 성형되어 있고, 소정 압력을 가지는 공기가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엔드리스 형상의 띠톱(3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롤러가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띠톱(30)의 지지를 위한 롤러는,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부분(오목부분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띠톱(3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지지롤러(14)와, 케이싱(10)의 오목부분(12)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띠톱(3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지지롤러(1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띠톱(20)이 실제 러그의 절단 작업을 수행할 때, 띠톱(30)은 반력에 의하여 외측(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상부 방향)으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오목부분(12)의 영역 내에서 띠톱(3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롤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롤러(16) 및 이탈방지롤러(18)는, 케이싱(10)의 오목부분(12)에 설치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러그절단기는,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공기압이 공급됨에 따라서, 케이싱의 모터케이싱부에 내장된 공기압모터 및 감속기(23)에서 발생하는 동력으로 구동된다. 즉 공기압모터 및 감속기(23)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구동롤러(22)가 회전하게 되면, 종동롤러(24)와의 사이에 걸려 있는 띠톱(30)이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하는 띠톱(30)은 상기 오목부분(12)에서 노출되는데, 이 부분에서 러그를 절단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실제 작업 시 오목부분(12)은 작업자와 반대편에 있어서, 띠톱(30)의 노출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위에서 설명한 러그절단기를 이용하여 러그를 절단할 때, 상기 띠톱(30)을 구비하는 러그절단기 자체를 가이드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으로 러그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절단기가이드(5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절단기가이드(50)는, 러그(R)를 절단하는 경우 가장 뿌리부분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상술한 러그절단기(C)와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절단기가이드(50)는, 러그(R)의 용접선을 따라 절단기를 이동시켜 절단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가이드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러그와 절단기를 결합시켜 절단중에는 러그절단기를 정해진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절단 후에는 분리된 러그(R)가 절단기가이드(50)에 그대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절단된 러그 등이 낙하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단기가이드(5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절단기가이드(50)는, 러그(R)가 성형된 위치의 좌우측에서 대상물(선박)의 표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지지대(52)와, 상기 지지대(52)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레일(5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52)는 선박의 표면 등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프(60)가 러그(R)를 클램핑하는 힘을 이용하여, 한 쌍의 지지대(52)가 선박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대(52)는 선박의 표면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로써, 높이조절볼트(52a)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52a)가 나사 결합되고 지지대(52)의 저면에 고정된 높이조절너트(52b)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대(52)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볼트(52a)를 이용하여 적절한 높이조절을 통하여 선박(러그가 성형된 대상물)의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지지대(52) 사이에는 안내레일(54)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레일(54)에는 클램프(60)가 설치되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클램프(6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클램프(60)는 실질적으로 안내레일(54)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에서 러그(R)를 클램핑하는 것이다. 도 6에서는 이러한 클램프(60) 중의 하나의 클램핑 작용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러그(R)에 클램핑된 상태로 분리된 것을 보이고 있다. 실질적으로 러그(R)의 절단이 완료되면 러그(R)는 상기 클램프(60)에 클램핑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낙하 사고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60)는 안내레일(54)을 따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안내레일(54)에는 단면이 T형상을 가지는 T홈(54a)이 성형되어 있고, 클램프(60)의 레그(62)에는 상기 T홈(54a)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T형돌기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그(62)에는 고정공(62a)이 성형되어 있는데, 이러한 고정공(62a)은 위치고정볼트(68)가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클램프(60)가 안내레일(54) 상의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60)에서는, 러그(R)에 절단기가이드(50) 전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60)에서 레그(62)에서 연장된 반대측의 헤드(64)에는 체결공(6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64a)에는 러그체결볼트(66)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60)의 헤드(64)와 안내레일(54) 사이에는 러그(R)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 러그(R)가 삽입된 상태에서 러그체결볼트(66)가 조여지게 되면, 고정된 러그(R)에 대하여 절단기가이드(50) 전체가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60)를 한 쌍으로 구성하게 되면 러그(R)를 더욱 견고하게 클램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클램프(60)를 이용하여 러그(R)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지지대(52)의 높이조절용볼트(52a)를 이용하여 높낮이 조절을 수행하면, 절단기가이드(50)는 대상물의 표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러그(R)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지지되는 절단기가이드(50)의 안내레일(54)는 실질적으로 대상물의 표면과 동등한 간격을 가지도록 높이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러그절단기(C)의 띠톱(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러그(R)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레일(54)에는 안내블럭(56)이 결합되는데, 안내블럭(56)은 안내레일(54)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블럭(5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러그절단기(C)를 안내레일(54)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러그절단기(C)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안내블럭(56)은, 러그절단기(C)를 안내하기 위하여, 러그절단기(C)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안내블럭(56)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케이싱(10)의 오목부분(12)을 형성하는 내측벽(12W) 부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블럭(56)은, 별도의 어댑터(18)를 통하여 내측벽(12W) 부근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블럭(56)에 러그절단기(C)가 결합되면, 러그절단기(C)는 안내블럭(56)에 의하여 안내레일(5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레일(54)의 방향은, 러그(R)의 용접 방향(또는 설치 방향)을 따르도록 절단기가이드(50)가 설치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안내레일(54)을 따라 절단기가이드(50)가 이동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띠톱(30)이 직각 방향으로 러그(R)와 만나면서 절단이 진행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절단기가이드(50)의 지지대(52)에는 수평위치조절바(7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위치조절바(70)는, 예를 들면 러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성형된 장공(75)을 통하여, 지지대(52)와 볼팅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위치조절바(70)의 단부에는 띠톱을 누를 수 있는 누름판(7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누름판(72)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띠톱(30)을 하방으로(선박의 표면측) 눌러서 가능하면 러그(R)의 뿌리 부분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누름판(72)이 띠톱(30)을 눌러 대상물의 표면(S)에 근접시킴으로써, 비드(B)까지 가능하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72)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누름판(72)이 하부에 고정된 높이조절볼트(74)가 수평위치조절바(70)에 나사 결합되거나, 수평위치 조절바(70)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76)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볼트(74)를 회전시켜서 그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누름판(7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누름판(7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은, 그 저면에서 접촉하는 띠톱(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띠톱(30)의 높이를 조절한다는 것은 대상물의 표면(S)에 비드(B)를 통하여 고정된 러그(R)의 절단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가이드(50)에서 두 개의 지지대(52)는 실질적으로 러그(R)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절단기가이드(50)는, 클램프(60)가 선박의 표면에 있는 러그(R)를 클램핑하는 것에 의하여 러그(R)에 지지된다. 여기서 러그절단기(C)는 안내블럭(56)을 통하여 절단기가이드(50)에 지지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러그절단기(50)가 절단기가이드(50)의 안내레일(54)을 따라 이동하면서 띠톱(30)이 러그(R)의 최저면을 절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도 자명한 사실이다.
10 ..... 케이싱
12 ..... 오목부분
14 ..... 제1지지롤러
16 ..... 제2지지롤러
18 ..... 이탈방지롤러
22 ..... 구동롤러
23 ..... 공기압모터 및 감속기
24 ..... 종동롤러
50 ..... 절단기가이드
52 ..... 지지대
52a ..... 높이조절볼트
52b ..... 높이조절너트
54 ..... 안내레일
54a ..... T홈
60 ..... 클램프
62 ..... 레그
64 ..... 헤드
66 ..... 러그체결볼트
68 ..... 위치고정볼트
70 ..... 수평위치조절바
72 ..... 누름판
74 ..... 높이조절볼트
76 ..... 높이조절너트

Claims (3)

  1.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된 러그(R)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부분(12)을 구비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오목부분(12)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기압 또는 전기모터 및 감속기(23)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롤러(22);
    상기 케이싱 내에서 오목부분(12)의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롤러(24);
    상기 구동롤러(22)와 종동롤러(24)에 감아 걸리고, 구동롤러에서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면서, 오목부분에서 러그와 접촉하여 절단하는 띠톱(30);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띠톱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 그리고
    상기 오목부분에서 러그를 절단하기 위하여 러그와 접촉하는 띠톱을, 그 반대측에서 접촉하여 원래의 위치로 지지하는 이탈방지롤러(18)로 구성되는 휴대용 러그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분 내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안내레일(54)과;
    상기 안내레일의 양단부를, 러그가 형성된 대상물의 표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52)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안내레일에 고정될 수 있으며, 러그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60); 그리고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케이싱과 착탈 가능하여, 상기 안내레일을 따른 케이싱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는 안내블럭(56)으로 구성되는 절단기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러그절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가이드는,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수평위치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위치조절바의 단부에는 상기 띠톱을 대상물의 표면측으로 눌러내릴 수 있도록 높이조절 가능한 누름판이 구비되는 휴대용 러그절단기.




KR1020160020535A 2016-02-22 2016-02-22 휴대용 러그 절단기 KR20170098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35A KR20170098517A (ko) 2016-02-22 2016-02-22 휴대용 러그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35A KR20170098517A (ko) 2016-02-22 2016-02-22 휴대용 러그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17A true KR20170098517A (ko) 2017-08-30

Family

ID=5976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535A KR20170098517A (ko) 2016-02-22 2016-02-22 휴대용 러그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5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3417A (zh) * 2018-06-28 2020-01-07 株式会社牧田 便携式带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3417A (zh) * 2018-06-28 2020-01-07 株式会社牧田 便携式带锯
CN110653417B (zh) * 2018-06-28 2023-04-11 株式会社牧田 便携式带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5559A (ko) 절단면 표면가공장치
US5024257A (en) Woodworking machine
KR101415939B1 (ko) 절단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컷팅기
US4947910A (en) Cutting tool guide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500580B1 (ko) 발판피스 절단장치
KR20170098517A (ko) 휴대용 러그 절단기
KR20170098519A (ko) 휴대용 러그 절단기용 가이드
KR101979440B1 (ko) 이동식 제재 장치
US3476161A (en) Tool guide support and saw guard
KR101762330B1 (ko) 대형판 보조용접대 절단기
TW201404563A (zh) 自動切割設備
KR102267165B1 (ko) 가공물 고정 지지장치
KR20180125203A (ko) 수직거치형 패널재단기
CN214292490U (zh) 一种拉丝模磨孔机
CN210910343U (zh) 一种圆盘锯的安全操作台
CN112490955A (zh) 一种电缆剥切装置
CN110549142B (zh) 一种精确切割的铝材切割系统
JP6568410B2 (ja) 切断機
CN215588015U (zh) 自动上料圆锯机
CN218342316U (zh) 一种数控精密推台锯
KR20190066181A (ko) 자동주행 면취기
CN214379773U (zh) 一种电缆剥切装置
KR101010609B1 (ko) 냉간압연 스트립의 판 파단 처리 장치
CN220197949U (zh) 木工圆盘锯防护装置及锯床
CN220761491U (zh) 一种数控切割机压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