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410A -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410A
KR20170097410A KR1020160019130A KR20160019130A KR20170097410A KR 20170097410 A KR20170097410 A KR 20170097410A KR 1020160019130 A KR1020160019130 A KR 1020160019130A KR 20160019130 A KR20160019130 A KR 20160019130A KR 20170097410 A KR20170097410 A KR 20170097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er
latch
auxiliary do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205B1 (ko
Inventor
김주영
박남수
이제원
임현규
백동일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1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05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MX2018000442A priority patent/MX2018000442A/es
Priority to PCT/KR2017/001383 priority patent/WO2017142249A1/ko
Priority to AU2017221661A priority patent/AU2017221661B2/en
Priority to EP17753410.4A priority patent/EP3299508B1/en
Priority to US16/069,490 priority patent/US10851488B2/en
Priority to CN201780003190.4A priority patent/CN108026686B/zh
Priority to SG11201710527YA priority patent/SG11201710527YA/en
Priority to BR112018000003-5A priority patent/BR112018000003B1/pt
Publication of KR2017009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410A/ko
Priority to CL2017003230A priority patent/CL2017003230A1/es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3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06F2224/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02B4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7Push button op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69Washing machine or stove closure l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1014Operating means
    • Y10T292/1022Rigid
    • Y10T292/1028Sliding c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가 개구를 닫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락킹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도어락킹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구속하고,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 및 래치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락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의 개폐, 구속, 개방동작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DOOR LOCK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에 형성된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도어를 열지 않고도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해서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서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와, 세탁물이 수용되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캐비닛에는 드럼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가 마련되고, 개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세탁 행정 시 드럼세탁기의 터브에 일정 수위의 세탁수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세탁 행정 중에 추가로 세탁물을 투입하려면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시킨 후 도어를 열어야만 했다. 이를 위해, 세탁기의 도어에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형성하여, 세탁 행정 중에도 세탁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열지 않고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추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가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 행정 중에 추가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의 락킹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탁기 도어에 장착된 보조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구속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 및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다른 제 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 3 방향과 반대인 제 4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락커;를 포함한다.
상기 락커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락커와 교차하는 부분에 함몰 형성되는 래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락킹장치는 상기 락커를 상기 제 3 방향 및 상기 제 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상기 락커의 몸체상에 마련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받는 랙기어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락킹장치는 상기 락커가 상기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락킹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락킹 스토퍼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락커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제 1, 2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개구;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보조도어; 및 상기 보조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락킹장치;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락킹장치는, 상기 보조도어에 맞물려 상기 보조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보조도어에 맞물려 있는 위치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도어로부터 분리되는 래치; 및 상기 제 2 방향과 다른 제 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락커;를 포함한다.
간단한 구성의 락킹장치로 도어를 락킹하거나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를 개방한 확대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를 캐비닛으로부터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와 캐비닛을 분리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도어와 도어 락킹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0, 11,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 16, 17, 1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일부구성에 대한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 스토퍼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도어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도어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를 개방한 확대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를 캐비닛으로부터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와 캐비닛을 분리한 도면이다.
세탁기(1)는 내부에 세탁공간(5)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터브(2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를 포함한다. 캐비닛 내부의 세탁공간(5)은 터브와 드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각각 캐비닛의 상면, 전면, 후면 및 측면을 구성하는 상면 패널(10a), 전면 패널(10b), 후면 패널(10c) 및 측면 패널(10d)을 포함한다.
전면 패널(10b)의 상부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80)의 아래로, 전면 패널(10b)의 중앙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11, 도 4 참고)가 배치되고, 세탁물 투입구(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00)가 전면 패널(10b)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세탁물 투입구(11)와, 터브(20)의 개구(21) 사이에는 다이어프램(9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90)은 세탁물 투입구(11)로부터 터브(20)의 개구(21)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드럼(30)의 회전시에 전면 패널(10b)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90)의 일부분은 도어어셈블리(110)와 전면프레임(10b) 사이에 배치되어 터브(20)의 세탁수가 캐비닛(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설치된다. 급수관(13)의 일측에는 급수밸브(14)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40)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4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42)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42)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42)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42)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구동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6)가 설치된다.
드럼(30)과 구동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동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미도시)가 마련된다.
도어(100)는 세탁물 투입구(11)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도어유닛(110)과, 도어유닛(110)에 마련된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를 개폐하기 위한 보조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유닛(110)은 캐비닛(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유닛(110)은 도어 프레임(112)과 도어글래스(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2)은 전방 도어 프레임(112a)과 후방 도어 프레임(112b)이 결합된 구조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환형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대략 사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어글래스(121)는 전방 도어 프레임(112a)과 후방 도어 프레임(112b)의 사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도어글래스(121)는 도어(100)가 세탁물 투입구(11)를 닫은 상태에도 세탁기의 외부에서 드럼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글래스(121)는 도어 프레임(112)로부터 캐비닛(1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100)를 닫았을 때, 도어글래스(121)는 세탁물 투입구(11) 안 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어(10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11)의 주변에 힌지(114)가 마련되어, 도어유닛(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115)에 결합된다. 도어 프레임(112)의 타측에는 후크(116)가 마련되고, 후크(116)에 대응하여 전면 패널(10a)에는 후크 수용부(118)가 마련되어 도어(100)가 세탁물 투입구(11)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세탁기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해, 도어(100)에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가 도어유닛(110)에 마련된 구조이지만, 도어글래스(121)에 구멍을 뚫어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어유닛(110)의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를 통해 세탁물을 세탁기 내부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세탁물이 도어글래스(121)를 관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어글래스(121)에는 글래스 관통 홀(121a)이 마련된다. 대안으로서, 도어글래스의 상부를 함몰시켜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의 후방으로는 도어글래스가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어유닛(110)의 보조 세탁물 투입구(11)와 도어글래스(121)의 글래스 관통 홀(121a)을 연결하기 위해, 도어유닛(110)은 연결가이드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가이드부(119)는 양단이 개방되며, 중공부를 갖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결가이드부(119)의 일단은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와 연결되고, 타단은 글래스 관통 홀(121a)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가이드부(119)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와 연결된 연결가이드부(119)의 일단이 타단 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용이하다.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를 개폐하기 위해, 보조도어(120)가 도어유닛(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조도어(120)는 단열성 또는 내열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건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경우에는 캐비닛(10)의 내부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캐비닛(10) 내부의 열이 보조도어(120)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조도어(120)의 후면에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의 둘레 주변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탄성 가스켓(130)이 배치된다. 탄성 가스켓(130)은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보조도어(120)가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를 닫은 상태에서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와 보조도어(120)의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탄성 가스켓(130)은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거나, 튜브와 같은 탄성을 내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보조도어(120)는 열리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즉, 보조도어(12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던 힘이 사라지면, 탄성 가스켓(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조도어(120)는 자동으로 열릴 수 있다.
한편, 보조도어(120)에는 보조도어 힌지부(135)가 마련되어 도어유닛(110)에 배치된 보조도어 결합부(117)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도어(120)가 탄성 가스켓(130)의 복원력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기도 하지만, 보조도어 힌지부(135)에 탄성부재(537, 도 22 참고)를 설치하여 보조도어(120)의 오토 오픈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조도어(12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도어(100)는 도어 락킹장치(140, 도 3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락킹장치(140)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어 락킹장치(140)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전방 도어 프레임(112a)과 후방 도어 프레임(112b)의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 락킹장치(140)의 일부분만 외부로 노출된다. 도어 락킹장치(140)는 보조도어(12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거나, 보조도어(120)를 락킹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보조도어(12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는 것은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즉, 사용자가 보조도어(120)를 조작하지 않으면 보조도어(120)가 열리지 않도록 유지시킨다는 의미이고, 보조도어(120)를 락킹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보조도어(120)를 열려고 해도 열리지 않도록 보조도어(12)를 닫힌 상태로 잠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보조도어(120)의 락킹 상태와 상대적인 용어는 언락킹 상태로 표현하며, 보조도어(120)의 언락킹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조작이 없으면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보조 도어(120)의 닫힌 상태는 언락킹 상태와 동일하다. 요컨대, 보조도어(120)는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또는 락킹 상태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게 된다.
도어 락킹장치(140)은 하우징(142)과, 래치(150)와, 락커(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2)은 도어 락킹장치(14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42)의 내부에는 이후 설명하는 래치(150), 락커(160) 등의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래치(15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4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보조도어(120)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이후 설명하는 락킹스토퍼(180) 또한 하우징(14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42)은 전방 하우징(142a)과, 후방 하우징(142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42a)과 후방 하우징(142b)의 겹합에 의해 양 구성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래치(150)는 대체적으로 바 형상으로 그 일단에 마련된 래치 헤드(152)가 하우징(142)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142) 내부에 장착된다. 보조도어(120)가 열린 상태일 때, 돌출된 래치 헤드(152)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111)의 상부에 노출되며,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래치 헤드(152)가 보조도어(120)의 상부에 마련된 삽입홈(122)에 끼워져 보조도어(120)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래치(150)는 상하로 진퇴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래치(150)의 진퇴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전방 하우징(142a)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143)가 마련된다. 가이드 돌출부(143)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는 래치(150)의 중간 부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래치 레그(151)가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래치(15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래치 레그(151)가 가이드 돌출부(143)의 내부 공간 양측벽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래치 레그(151) 사이에는 스프링 서포트(151a)가 형성되고, 스프링 서포트(151a)와 가이드 돌출부(143)의 내부 공간 상부벽의 사이에 래치 스프링(156)이 배치되어, 래치(150)는 아래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한편, 보조도어(120)가 닫힐 때, 보조도어(120)가 래치(150)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래치(150)가 위로 후퇴할 수 있도록, 래치 헤드(150)의 보조도어(150)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래치 슬로프(153)가 마련된다.래치(150)의 진퇴 동작을 구속하기 위해, 래치(150)의 후방에 함몰 형성되는 래치 그루브(155)가 마련된다. 래치 그루브(155)는 래치 헤드(152)의 타단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벽(154)과, 상부 벽(154)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닥부(157)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래치 그루브(155)는 락커(160)가 이동하는 통로를 구성하며, 래치 그루브(155)에 락커(160)의 어느 부분이 위치하느냐에 따라, 래치(150)의 진퇴 동작을 구속하거나 래치(150)가 후퇴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락커(160)는 대체적으로 바 형상의 락커 바디(162)를 포함한다. 래치(150)의 길이 방향 또는 진퇴 방향을 제 1 방향(W1)으로 정의한다면, 락커(160)의 길이 방향 또는 왕복 방향은 제 1 방향(W1)과 다른 제 2 방향(W2)으로 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방향(W1)은 수직 방향이고, 제 2 방향(W2)은 수평 방향이지만,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이 서로 직각일 필요는 없으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이 직선이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일례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락커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2 방향(w2)을 원주방향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방향(w1)과 제 2 방향(w2)이 상호 직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래치(150)는 보조도어(120)를 구속하도록 제 1a 방향(w1a)으로 이동하거나, 보조도어(12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도록 제 1a 방향(w1a)과 반대되는 제 1b 방향(w1b)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a, 1b 방향(w1a, w1b)는 제 1 방향(w1)의 일성분일 수 있다.
락커 바디(162)는 제 2 방향(w2)으로의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에 형성되는 홀딩부(165)와, 홀딩부(165)로부터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리프트부(166)와, 홀딩부(165)와 리프트부(166)를 연결하는 연결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부(165)는 락킹 바디(16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위로서, 락커(160)의 왕복 이동 중에 홀딩부(165)가 래치(150)의 래치 그루브(155)에 위치하게 되면, 래치 그루브(155)의 바닥부(157)가 홀딩부(165)로 인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래치(150)의 후퇴 동작을 구속할 수 있다.
반면에, 리프트부(166)는 락커바디(162)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돌출되는 정도가 증가하는 리프트 경사부(166a)를 포함한다. 따라서, 락커(160)가 제 2 방향(W2)으로 진행하면서 리프트부(166)가 래치 그루브(155)에 진입할 때, 래치 그루브(155)의 상부 벽(154)과 리프트 경사부(166a)가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래치(150)를 밀어 올려 후퇴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방향(w2)은 제 2a 방향(w2a)와 제 2b방향(w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락커(160)가 제 2b 방향(w2b)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래치(150)를 밀어올려 후퇴 시킬 수 있다. 리프트 경사부(166a)는 래치가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방향(w2)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락커(160)는 제 2a 방향(w2a)으로 이동하여 홀딩부(165)가 래치 그루브(155)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래치(150)의 후퇴 동작을 구속할 수 있다.
홀딩부(165)와 리프트부(166)는 연결부(164)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164)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홀딩부(165)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리프트부(166)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64)가 래치 그루브(155)에 위치할 때, 연결부(164)의 상면은 래치 그루브(155)의 상부 벽(154)에 거의 접하게 되고, 래치 그루브(155)의 바닥부(157)와 연결부(164)의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므로, 외력에 의해 래치(15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즉, 보조도어(120)가 열린 또는 닫힌 상태에 있을 때, 락커(160)의 연결부(164)는 래치 그루브(155)에 위치하고 있다.
도어 락킹장치(140)은 락커 구동부(170, 도 6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락커 구동부(170)는 동력을 발생시켜, 락커(160)가 제 2 방향(W2)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락커 구동부(170)는 구동원(172)과, 구동원(17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락커(160)를 왕복 이동시키는 기어어셈블리(17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원(172)은 모터로 구성된다.
기어어셈블리(174)는 피니언기어(175)를 포함할 수 있다. 락커(160)의 락커 바디(162)후방에는, 피니언기어(175)와 맞물려서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랙기어(163, 도 7참고)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원(172)에서 발생된 동력은 피니언기어(175)를 거쳐, 랙기어(163)로 전달됨으로써, 락커 바디(162)가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 개폐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 락킹장치(140)은 락킹스토퍼(180)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스토퍼(180)는 보조도어(12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는, 락커(160)의 이동을 제한하고,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락커(160)에 대한 이동제한을 해제한다.
이를 위해, 락킹스토퍼(180)는 제 1 방향(W1) 및 제 2 방향(W2)에 대하여 직각인 제 3 방향(W3)으로 왕복 가능하게 마련된다. 하지만, 락킹스토퍼(180)의 이동 방향이 제 1 방향(W1) 및 제 2 방향(W2)에 대하여 직각일 필요는 없으며, 이동 방향이 직선일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도어(120)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락킹스토퍼(180)의 위치를 제한위치(180a)로 정의하고,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 또는 락킹 상태에 있을 때 락킹스토퍼(180)의 위치를 해제위치(180b)로 정의한다. 제한위치(180a)에서의 락킹스토퍼(180)는 락커(160)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며, 락커(160)의 홀딩부(165)와 거의 접하고 있다. 따라서, 보조도어(120)가 열린 상태일 때에는, 어떤 오류에 의해 구동원(172)에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락킹스토퍼(180)가 락커(160)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므로 홀딩부(165)가 래치 그루브(155)로 이동할 수 없다.
보조도어(120)가 닫히는 과정에서, 락킹스토퍼(180)는 보조도어(120)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제한위치(180a)에서 해제위치(180b)로 이동할 수 있다. 락킹 스토퍼(18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전방 하우징(142a)의 내측에는 레일홈(186)이 마련될 수 있고, 락킹 스토퍼(180)의 일측에는 레일홈(186)에 수용되는 슬라이딩 돌기(18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조도어(120)가 열릴 때, 락킹스토퍼(180)가 해제위치(180b)에서 제한위치(180a)로 복귀하도록 락킹스토퍼(180)와 후방 하우징(142b)의 사이에 스토퍼 스프링(188)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도어(120)는 탄성 가스켓(130)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것과 함께, 락킹 스토퍼(180)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는 스토퍼 스프링(188)에 의해서 열리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힘이 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락킹스토퍼(180)는 래치(150)의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보조도어(120)가 닫힐 때, 보조도어(120)의 상부는 래치 슬로프(153)와 접촉하여 래치(15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것과 동시에, 락킹스토퍼(180)를 후방으로 밀어 락킹스토퍼(180)가 제한위치(180a)에서 벗어나게 한다. 계속하여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가 되면, 락킹스토퍼(180)는 해제위치(180b)에 있게 되고 락커(160)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보조도어(12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22)은 보조도어(120)가 닫힐 때 보조도어(120)에 의해 후퇴한 래치(150)가 보조도어(120)와 완전히 닫히면 다시 전진하여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삽입홈(122)은 보조도어(120)의 상부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이며, 삽입홈(122)의 후방은 래치 슬로프(153)를 가압하게 되는 문턱부(123, 도 9 참고)가 형성된다. 문턱부(123)가 래치 슬로프(153)와 접촉하는 모서리는 둥글게 함으로써 래치(150)가 부드럽게 문턱부(123)를 넘어갈 수 있다.
삽입홈(122)의 내부에는 승강부재(124)가 승강하도록 마련된다. 보조도어(120)가 도 8와 같이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승강부재(124)는 상사점에 있고, 보조도어(120)가 도 9와 같이 닫힌 상태에 있게 되면 래치(150)에 의해 가압되어 하사점에 있게 된다. 승강부재(124)는 삽입홈(122)의 입구를 막아 삽입홈(122) 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하지만,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조도어(120)에 마련되는 조작부(126)와 연동하여 래치(150)를 위로 밀어 보조도어(120)가 열리게 하는 역할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별도의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승강부재(12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구성하여도 좋지만, 탄성부재 없이, 보조도어(120)의 개방 각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승강부재(124)는 조작부(126)로부터 가압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는 캠 면(124a)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126)는 적어도 일부가 보조도어(120)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푸쉬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조작부(126)는 보조도어(120)의 전면에 일부 노출되는 푸쉬 버튼(127)과, 푸쉬버튼(127)을 탄성지지하는 버튼 스프링(128)과, 푸시버튼(127)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승강부재(124)를 가압하는 가압 디스크(129)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쉬 버튼(127)을 누르면, 가압 디스크(129)는 승강부재(124)의 캠 면(124a)과 접촉하여 승강부재(124)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 디스크(129)와 캠 면(124a)이 슬라이딩하면서 승강부재(124)를 상승시키고, 승강부재(124)와 접촉하고 있던 래치(150)를 후퇴시키게 된다. 래치(150)가 후퇴하여 래치 슬로프(153)의 엣지가 문턱부(123) 보다 위에 있게 되면, 보조도어(120)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탄성 가스켓(130), 힌지부(135)의 탄성부재(136) 또는 락킹 스토퍼(180)의 스토퍼 스프링(188)에 의해 보조도어(120)가 열리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도어의 개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 11,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8,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어 락킹장치(140)은 준비모드(140a)와 제 1 내지 3 모드(140b, 140c, 140d)를 동작할 수 있다.
보조도어(120)가 열린 상태일 때, 보조도어(120) 및 도어 락킹장치(140)는 도 8과 같이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래치 그루브(155)에 락커(160)의 연결부(164)가 위치하므로 래치(150)가 후퇴 이동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스토퍼(180)가 락커(160)의 홀딩부(165)를 막고 있어서 락커(160)의 이동은 제한된다. 이를 도어 락킹장치(140)의 준비모드(140a)라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보조도어(120)가 닫히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50)는 보조도어(120)의 문턱부(123)를 넘을 때까지 후퇴했다가 문턱부(123)를 넘으면서 다시 전진하여 보조도어(120)의 삽입홈(122)에 삽입되고, 삽입홈(122)에 배치된 승강부재(124)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또한, 보조도어(120)가 닫히면서 락킹 스토퍼(180)가 뒤로 밀리게 되므로, 락커(160)는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를 도어 락킹장치(140)의 제 1 모드(140b)라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락킹 스토퍼(180)의 위치를 검출하는 보조도어 개폐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락킹장치(140)의 후방 하우징(142)에 리드스위치를 장착하여,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일 때 락킹 스토퍼(180)에 의해 리드스위치의 단자가 접촉하게 배치함으로써, 리드스위치의 온/오프 신호로 보조도어(180)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세탁기(1)가 작동하여 세탁, 헹굼 또는 탈수 행정을 수행하게 되면, 세탁기(1)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보조도어(120)를 락킹 상태로 만든다. 특히, 탈수 행정 시에는 드럼(30)이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보조도어(120)가 열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세탁기(1)의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제어명령에 따라, 도어 락킹장치(140)의 구동원(172)에 전원이 공급되고 락커(160)가 작동하게 된다. 락커(160)가 이동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160)의 홀딩부(165)가 래치 그루브(155)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래치(150)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조도어(120)의 푸쉬 버튼(127)을 눌러도 보조도어(120)가 열리지 않는다. 이를 도어 락킹장치(140)의 제 2 모드(140c)라 할 수 있다.
세탁기(1)가 작동 중일 때, 사용자가 보조도어(120)를 열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세탁기(10)의 컨트롤 패널(80)에 마련된 보조도어 오픈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 보조도어(12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보조도어 오픈 명령이 입력되면, 세탁기(1)는 현재 세탁기(1)의 상태가 보조도어(12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해도 되는 상황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터브(20) 내에 세탁수가 절반 이상 차 있는지, 드럼(30)이 회전하고 있는지, 드럼(30) 내부의 온도가 높은지 등을 판단한다. 그런 다음, 현재 세탁기(1)의 상태가 보조도어(12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해도 되는 상황이 되면, 보조도어 오토 오픈 동작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 오토 오픈 동작은 세탁기(1)이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제어 명령에 따라 도어 락킹장치(140)의 구동원(17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이 때에는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락킹 상태로 전환될 때 락커(16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락커(160)를 이동시킨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160)이 리프트부(166)가 래치 그루브(155)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락커(160)가 이동하고, 리프트 경사부(166a)를 타고 래치(150)가 후퇴함에 따라 보조도어(120)의 삽입홈(122)에 있던 래치(160)가 빠져 나오게 된다. 삽입홈(122)으로부터 래치(160)가 완전히 빠져 나오면 보조도어(120)를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조도어(120)가 자동으로 열린다. 이를 도어 락킹장치(140)의 제 3 모드(140c)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는 탈수 행정 완료 시 또는 건조 행정 완료 시 보조도어 오토 오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코스, 예를 들어, 표준 세탁 코스에 따라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완료하면, 세탁기(1)는 보조도어(12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 때, 보조도어(120)의 락킹 상태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조도어(120)를 열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도 있지만, 보조도어(120)의 락킹 상태 해제와 동시에 자동으로 열리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세탁 코스가 완료되면 세탁기는 소리나 디스플레이 등으로 사용자에게 세탁 완료 알람을 주는데, 이와 함께 보조도어(120)가 열리게 되면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세탁 코스 완료 후에도 세탁기 내부에 남아 있는 수증기가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세탁 완료를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가 장시간 도어를 열지 않을 때 발생되는 냄새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 완료된 세탁물의 수거를 잊은 사용자가 보조도어가 열려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세탁물 수거를 환기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 락킹장치(240)은 이전 실시예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락킹스토퍼(280)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스토퍼(280)는 보조도어(12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는, 도 15와 같이 위치한다. 락킹스토퍼(280)는 제 2 방향(W2)으로 이동하는 락커(160)의 이동경로상에 마련되어, 락커(16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락킹스토퍼(280)는 제한위치(280a, 도 15참고)와 해제위치(280b, 도 16참고)사이를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제한위치(280a)에서의 락킹스토퍼(280)는 보조도어(12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락킹부(160)의 제 2 방향(W2)으로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제한위치(280a)에서의 락킹스토퍼(280)는 락커(160)의 리프트부(166)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락킹스토퍼(280)는 홀딩부(165)가 래치 그루브(155)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조도어(12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락킹스토퍼(280)는 해제위치(280b)에 위치하게 된다. 즉, 락킹스토퍼(280)는 락커(160)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하여 락커(160)에 대한 이동 제한을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락킹스토퍼(280)는 작동 바(281)와, 작동 바(281)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스토퍼몸체(282)와, 작동 바(281)와 스토퍼몸체(282)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28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283)는 그 길이 방향 중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일단에는 작동 바(281)와 연결되고, 그 타단에는 스토퍼몸체(282)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작동 바(281)는 보조도어(120)와 접하는 부위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면(281a)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120)가 닫히면서, 작동 바(281)의 접촉면(281a)에 접하면서 이동하여, 작동 바(281)가 밀리면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몸체(282)는 커넥티 로드(283)를 사이에 두고 작동 바(281)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작동 바(281)가 상승하면 스토퍼몸체(282)는 하강하고, 작동 바(281)가 하강하면 스토퍼몸체(282)는 상승하도록 마련된다.
스토퍼몸체(282)는 락킹스토퍼(280)가 제한위치(280a)에 있는 경우 락커(160)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홀딩부(165)가 래치 그루브(155)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어 락킹장치(240)은 작동 바(281)와 스토퍼몸체(28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이동레일(286a, 286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스토퍼이동레일은 작동 바(281)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 1 스토퍼이동레일(286a)와, 스토퍼몸체(282)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 2 스토퍼이동레일(286b)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스토퍼(280)는 보조도어(120)에 의해 푸쉬되어 제한위치(280a)와 해제위치(280b)간을 이동할 수 있다. 즉, 보조도어(120)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락킹스토퍼(280)는 제한위치(280a)에 위치하며, 이로서 락커(160)의 이동을 방지하여 락커(160)가 래치(150)를 구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 때 작동 바(281)는 하사점에 있고, 스토퍼몸체(282)는 상사점에 있게 되어, 스토퍼몸체(282)가 락커(160)의 이동을 간섭하도록 마련된다.
보조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가 될 때 보조도어(120)의 일측에 의해 푸쉬되어 락킹스토퍼(280)는 제한위치(280a)에서 해제위치(280b)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작동 바(281)는 보조도어(120)에 의해 상승하며, 스토퍼몸체(282)는 하강하게 되어 락커(16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게된다. 이로서 락킹스토퍼(280)는 락커(16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며, 락커(160)의 동작에 따라 래치(150)를 구속하거나 , 상승시킬 수 있다.
도어 락킹장치(240)은 스토퍼탄성부재(2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120)가 열릴 때, 락킹스토퍼(280)는 해제위치(280b)에서 제한위치(280a)로 이동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작동 바(281)는 하향이동하게 되고, 스토퍼몸체(282)는 상향이동하게 된다. 스토퍼탄성부재(288)는 락킹스토퍼(280)가 해제위치(280b)에서 제한위치(280a)로 탄성복귀할 수 있도록, 락킹스토퍼(280)를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스토퍼탄성부재(288)는 커넥팅 로드(283)의 회전축(283a)상에 배치되어, 작동 바(281)가 하향되게 탄성복귀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 16, 17, 1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보조도어(120)가 열린 상태일 때의 도어 락킹장치(240)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락킹스토퍼(280)는 락커(160)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므로, 락커(160)의 이동이 제한된다. 자세하게는 작동 바(281)는 하향배치되고, 스토퍼몸체(282)는 상향배치되어, 스토퍼몸체(282)가 락커(160)의 이동을 간섭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도어 락킹장치(240)의 준비모드(240a)라 할 수 있다.
이 때, 래치(150)는 락커(160)에 의해 구속되지 않도록 위치하므로, 보조도어(120)의 개폐에 따라 제 1 방향(W1)으로 잠금위치(150a)와 개방위치(150b)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어 락킹장치(240)은 제 1 내지 3 모드(240b, 240c, 240d)를 포함하여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제 1 모드(240b)는 래치(150)가 잠금위치(150a)로부터 개방위치(150b)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동작모드이다. 제 2 모드(240c)는 락커(160)에 의해 래치(150)가 잠금위치(150a)에서 구속되도록 마련되는 동작모드이다. 제 3 모드(240d)는 락커(160)에 의해 래치(150)를 잠금위치(150a)에서 개방위치(150b)로 이동시키는 동작모드이다.
보조도어(120)가 닫힌 상태일 때, 도어 락킹장치(240)는 제 1 내지 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있게 된다. 즉, 보조도어(120)에 의해 락킹스토퍼(280)가 제한위치(280a)에서 해제위치(280b)로 이동하게 되면 제 1 내지 3 모드를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제 1 모드(240b)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 락킹장치(240)가 제 1 모드(240b)에 있는 경우, 락커(160)의 연결부(164)가 래치(150)의 래치 그루브(155)에 위치하게 된다. 즉, 래치(150)는 락커(160)에 의해 동작이 구속되지 않는 상태이며, 래치(150)는 삽입홈(122)으로부터 이탈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 1 모드(240b)에서는 외력 또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래치(150)를 개방위치(150b)로 이동시킴으로서, 보조도어(120)를 열린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은 제 2 모드(240c)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 락킹장치(240)가 제 2 모드(240c)에 있는 경우, 락커(160)는 래치(150)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락커(160)의 홀딩부(165)는 래치(150)의 래치 그루브(155)에 삽입됨으로서, 래치(150)가 잠금위치(150a)에서 개방위치(150b)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락킹장치(240)은 보조도어(120)를 락킹 상태로 구속되게 할 수 있다. 세탁, 탈수, 또는 건조과정에 있어서, 보조도어(120)의 개방을 강제로 제한함으로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세탁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은 제 3 모드(240d)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 락킹장치(240)가 제 3 모드(240d)가 될 때, 락커(160)는 래치(150)를 가압하여 보조도어(12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락커(160)의 리프트부(166)는 래치(150)의 래치 그루브(155)에 삽입되면서 래치(150)를 잠금위치(150a)에서 개방위치(150b)로 상승시키게 된다. 자세하게는 래치 그루브(155)는 리프트부(166)의 리프트 경사부(166a)을 따라 이동하면서, 래치(150)가 잠금위치(150a)에서 개방위치(150b)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락킹장치(240)은 보조도어(12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할 수 있으며, 보조도어(120)는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 경우 락킹스토퍼(280)는 보조도어(120)에 의한 간섭이 해제되면서, 스토퍼탄성부재(288)에 의해 제한위치(280a)로 탄성복귀 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작동 바(281)는 하향이동하게 되고, 스토퍼몸체(282)는 상향이동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킹장치의 일부구성에 대한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스토퍼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 락킹장치(340)는 이전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락킹스토퍼(380)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스토퍼(380)는 보조도어(12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는, 락킹부(16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락킹스토퍼(380)는 제 2 방향(W2)으로 이동하는 락킹부(160)의 이동경로상에 마련되어, 락킹부(16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락킹스토퍼(380)는 제한위치(380a)와 해제위치(380b)사이를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제한위치(380a)에서의 락킹스토퍼(380)는 보조도어(12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락킹부(160)의 제 2 방향(W2)으로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제한위치(380a)에서의 락킹스토퍼(380)는 락킹부(160)의 홀딩부(165)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락킹스토퍼(280)는 홀딩부(165)가 래치 그루브(155)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해제위치(380b)에서의 락킹스토퍼(380)는 보조도어(12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하여 락커(160)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락킹스토퍼(380)는 스토퍼회동축(381)과, 스토퍼몸체(382)와, 피가압돌기(383)를 포함할 수 있다.
피가압돌기(383)는 보조도어(120)를 향하는 면으로서, 곡면으로 형성되는 돌기접촉면(383a)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120)는 개방위치(120a)에서 폐쇄위치(120b)로 이동하면서, 피가압돌기(383)의 돌기접촉면(383a)에 접하면서 이동하여, 피가압돌기(383)가 밀리면서 락킹스토퍼(380)가 제한위치(380a)에서 해제위치(380b)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피가압돌기(383)는 보조도어(120)에 간섭되어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몸체(382)는 스토퍼회동축(38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스토퍼몸체(382)는 락킹스토퍼(380)가 제한위치(380a)에 있는 경우에는 락커(160)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홀딩부(165)가 래치 그루브(155)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보조도어(120)가 폐쇄위치(120b)로 이동하는 경우, 보조도어(120)에 의해 피가압돌기(383)가 가압되면서 스토퍼몸체(382)와 함께 스토퍼회동축(38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락킹스토퍼(380)는 제한위치(380a)에서 해제위치(380b)로 이동하게 된다. 즉, 락킹스토퍼(380)는 락커(160)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하여, 락커(160)에 대한 이동제한을 해제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의 단면도이다.
도어(400)는 보조도어(420)가 도어 락킹장치(14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될 때, 외력이 없어도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도어(420)는 그 무게중심이 힌지부(135)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도어(42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135)보다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도어 락킹장치(140)가 보조도어(42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게 되면, 중력에 의해 보조도어(420)는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의 단면도이다.
도어(500)는 보조도어(520)가 도어 락킹장치(14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될 때, 외력이 없어도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부(135)는 힌지탄성부재(537)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탄성부재(537)는 보조도어(520)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복귀 하도록 마련된다. 힌지탄성부재(537)는 힌지부(135)의 회전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 락킹장치(140)가 보조도어(52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게 되면, 힌지탄성부재(537)에 의해 보조도어(120)의 오토 오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탄성가스켓(130)의 복원력에 더하여, 보조도어 힌지부(135)에 설치된 힌지탄성부재(53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조도어(120)는 열리는 방향으로 더 큰 힘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600)는 보조도어(120)가 도어 락킹장치(14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될 때,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가진다.
도어(600)는 푸쉬장치(69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장치(690)는 푸쉬로드(692)와, 푸쉬로드(692)를 동작하게 하는 로드동작부(694)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로드(692)는 도어유닛(110)의 외부로 돌출가능하게 마련되어 보조도어(120)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로드동작부(694)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동작할 수 있으며, 로드동작부(694)는 푸쉬로드(692)를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보조도어(120)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어 락킹장치(140)가 보조도어(12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게 되면, 로드동작부(694)는 푸쉬로드(692)를 동작시키게 되고, 푸쉬로드(692)는 보조도어(12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보조도어(120)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도어 110 : 도어유닛
120 : 보조도어 140 : 도어 락킹장치
150 : 래치 155 : 래치그루브
156 : 홀딩탄성부재 160 : 락커
180 : 락킹스토퍼

Claims (18)

  1. 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락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킹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구속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 및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다른 제 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 3 방향과 반대인 제 4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락커;를 포함하는 도어 락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도어 락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락커와 교차하는 부분에 함몰 형성되는 래치 그루브;를 포함하는 도어 락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를 상기 제 3 방향 및 상기 제 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상기 락커의 몸체상에 마련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받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도어 락킹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가 상기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락킹스토퍼;를 포함하는 도어 락킹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스토퍼가 상기 락커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도어 락킹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3 방향은 서로 수직인 도어 락킹장치.
  8.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개구;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보조도어; 및
    상기 보조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락킹장치;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락킹장치는,
    상기 보조도어에 맞물려 상기 보조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보조도어에 맞물려 있는 위치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도어와 분리되는 래치; 및
    상기 제 2 방향과 다른 제 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락커;를 포함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제 3 방향과 반대인 제 4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탁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제 2 방향과 상기 제 3 방향은 서로 수직인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락커와 교차하는 부분에 함몰 형성되는 래치 그루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가 상기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락킹스토퍼를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스토퍼가 상기 락커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스토퍼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래치가 맞물리게 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위치한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를 상기 제 3 방향 및 상기 제 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받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 9 항에 있어서,
    세탁 코스가 완료되면 상기 락커가 이동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60019130A 2016-02-18 2016-02-18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251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130A KR102512205B1 (ko) 2016-02-18 2016-02-18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PCT/KR2017/001383 WO2017142249A1 (ko) 2016-02-18 2017-02-08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AU2017221661A AU2017221661B2 (en) 2016-02-18 2017-02-08 Door lock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EP17753410.4A EP3299508B1 (en) 2016-02-18 2017-02-08 Door lock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MX2018000442A MX2018000442A (es) 2016-02-18 2017-02-08 Dispositivo de bloqueo de puerta y lavadora que tiene el mismo.
US16/069,490 US10851488B2 (en) 2016-02-18 2017-02-08 Door lock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201780003190.4A CN108026686B (zh) 2016-02-18 2017-02-08 门锁定装置以及具有该门锁定装置的洗衣机
SG11201710527YA SG11201710527YA (en) 2016-02-18 2017-02-08 Door lock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BR112018000003-5A BR112018000003B1 (pt) 2016-02-18 2017-02-08 Dispositivo de travamento de porta, e máquina de lavar
CL2017003230A CL2017003230A1 (es) 2016-02-18 2017-12-15 Dispositivo de cierre de puerta y lavadora que contiene el mi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130A KR102512205B1 (ko) 2016-02-18 2016-02-18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10A true KR20170097410A (ko) 2017-08-28
KR102512205B1 KR102512205B1 (ko) 2023-03-22

Family

ID=5962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130A KR102512205B1 (ko) 2016-02-18 2016-02-18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851488B2 (ko)
EP (1) EP3299508B1 (ko)
KR (1) KR102512205B1 (ko)
CN (1) CN108026686B (ko)
AU (1) AU2017221661B2 (ko)
BR (1) BR112018000003B1 (ko)
CL (1) CL2017003230A1 (ko)
MX (1) MX2018000442A (ko)
SG (1) SG11201710527YA (ko)
WO (1) WO20171422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9660B2 (en) 2018-11-13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handling apparatus
US11814771B2 (en) 2017-05-17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6649B3 (de) * 2017-07-13 2018-09-27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CN110872766A (zh) * 2018-08-31 2020-03-1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及其门盖组件
EP3725938B1 (en) * 2019-04-19 2022-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346039B2 (en) 2019-05-08 2022-05-31 Whirlpool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12144249B (zh) * 2019-06-27 2023-11-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设备
CN111021837B (zh) * 2019-11-25 2022-11-04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门锁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3338007B (zh) * 2020-02-18 2023-06-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13338008B (zh) * 2020-02-18 2023-06-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11663301A (zh) * 2020-06-12 2020-09-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门锁及洗衣机
AU2022216141A1 (en) * 2021-02-08 2023-08-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396909A1 (en) * 2021-06-15 2022-12-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with sliding doo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13B1 (ko) * 2007-06-12 2009-02-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 록 및 도어 록 스위치
KR20120008689A (ko) * 2010-07-19 2012-02-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도어 잠금장치
KR101236951B1 (ko) * 2010-11-04 2013-02-25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KR20150118230A (ko) * 2014-04-11 2015-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174A (en) * 1909-07-12 1909-11-02 Edward Fuller Sliding door and window fastener.
US1339492A (en) * 1916-10-04 1920-05-11 Packard Motor Car Co Door-latching means
US1769288A (en) * 1927-10-05 1930-07-01 Hiram J Godfried Door latch
US1816134A (en) * 1928-08-09 1931-07-28 Wood David Wilson Door latch
US1965939A (en) * 1931-11-09 1934-07-10 Briggs & Stratton Corp Compartment lock
US2047401A (en) * 1933-10-31 1936-07-14 Stewart Warner Corp Door latch and opening mechanism
US2014363A (en) * 1934-02-20 1935-09-10 Stewart Warner Corp Latch actuating mechanism
US2219186A (en) * 1938-11-02 1940-10-22 Gen Electric Magnetic latch
US2228674A (en) * 1939-10-28 1941-01-14 Eagle Lock Company Latch and locking means
US3040555A (en) * 1960-10-21 1962-06-26 Wartian Lock Co Sliding door latch
US4179143A (en) * 1978-01-31 1979-12-18 Shy Min C Fixed latch lock
US4476700A (en) * 1982-08-12 1984-10-16 King David L Bolt lock for a sliding patio door
FR2558202B1 (fr) * 1984-01-12 1986-04-11 Guitard Robert Serrure electromecanique
US5092637A (en) * 1990-08-24 1992-03-03 Miller Kermit G Latch assembly for doors
US5193861A (en) * 1992-07-24 1993-03-16 A. L. Hansen Mfg. Co. Latch
US5520026A (en) * 1994-12-20 1996-05-28 Honeywell Inc. Lid switch actuator
JP2001204991A (ja) 1999-12-29 2001-07-31 Lg Electronics Inc ドラム洗濯機のドアロックスイッチアセンブリ
ITTO20040534A1 (it) * 2004-07-30 2004-10-30 Itw Ind Components Srl Dispositivo di incaglio per una porta di un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una lavastoviglie
CN100530033C (zh) * 2006-05-26 2009-08-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置换设备
CN101324163B (zh) * 2007-06-11 2013-03-27 上海伙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转舌锁
KR100888655B1 (ko) 2007-12-12 2009-03-13 주식회사 삼코 드럼 세탁기의 도어 록킹장치
US8033583B2 (en) * 2008-03-25 2011-10-11 Gianni Industries Inc. Electric lock device
KR101603329B1 (ko) 2009-01-05 2016-03-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CN102097117B (zh) * 2009-12-10 2014-12-03 南通明芯微电子有限公司 用于光盘驱动器中的固定装置及使用该固定装置的电子装置
CN101841989A (zh) * 2010-04-29 2010-09-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弹出装置
CN103361931B (zh) * 2012-04-01 2017-01-2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3361933B (zh) 2012-04-02 2016-08-10 株式会社Scd 洗衣机用门锁装置
CN203782428U (zh) 2014-01-26 2014-08-20 温州天健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门锁
EP3119936B1 (en) 2014-03-21 2018-05-09 Elettrotecnica Rold Srl Combined release door lo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13B1 (ko) * 2007-06-12 2009-02-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 록 및 도어 록 스위치
KR20120008689A (ko) * 2010-07-19 2012-02-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도어 잠금장치
KR101236951B1 (ko) * 2010-11-04 2013-02-25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KR20150118230A (ko) * 2014-04-11 2015-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4771B2 (en) 2017-05-17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11319660B2 (en) 2018-11-13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hand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9508A1 (en) 2018-03-28
AU2017221661B2 (en) 2019-02-07
KR102512205B1 (ko) 2023-03-22
EP3299508B1 (en) 2019-08-07
MX2018000442A (es) 2018-05-17
CN108026686B (zh) 2021-10-15
BR112018000003B1 (pt) 2022-08-16
CL2017003230A1 (es) 2018-04-06
BR112018000003A2 (pt) 2018-11-06
AU2017221661A1 (en) 2018-01-04
SG11201710527YA (en) 2018-01-30
EP3299508A4 (en) 2018-09-19
US20190024287A1 (en) 2019-01-24
US10851488B2 (en) 2020-12-01
WO2017142249A1 (ko) 2017-08-24
CN108026686A (zh)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7410A (ko)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US20240035227A1 (en) Washing machine
KR101606725B1 (ko) 세탁기의 리드 로커
EP2740830B1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1019402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660828B2 (ja) 衣類処理装置
JP4142527B2 (ja) 食器洗浄機
JP3537759B2 (ja) 引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2017642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4693699B2 (ja) 食器洗浄機
JP2002200025A (ja) 食器洗浄機
KR200399783Y1 (ko) 드럼 세탁기의 펌프 커버 개폐구조
KR102627715B1 (ko) 세탁기
JP2008194209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KR102368716B1 (ko) 세탁기
KR10194024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058351A (ko) 세탁기
CN116536882A (zh) 一种洗涤桶及衣物处理设备
KR20060008460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JP2009142538A (ja) 食器洗浄機
KR20070070778A (ko) 세탁기용 도어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