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302A -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302A
KR20170097302A KR1020160018877A KR20160018877A KR20170097302A KR 20170097302 A KR20170097302 A KR 20170097302A KR 1020160018877 A KR1020160018877 A KR 1020160018877A KR 20160018877 A KR20160018877 A KR 20160018877A KR 20170097302 A KR20170097302 A KR 20170097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late
support plate
close contact
shap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681B1 (ko
Inventor
김윤상
김분순
김수연
Original Assignee
김윤상
김수연
김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상, 김수연, 김분순 filed Critical 김윤상
Priority to KR102016001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6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5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directly by the roof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공패널(1)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C형강(10)과;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C형강(10) 각각과 직각으로 교차하며 제1C형강(10) 하부에 위치하는 제2C형강(20)과; 상기 제1형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1체결지지판(30)과; 상기 제2C형강(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2체결지지판(40)과; 상측에는 상기 제2체결공(42)에 대응하는 제1관통홀(52)이 형성되고, 하측 절곡단(55)에는 제2관통홀(56)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지지판(40) 일면에 밀착되는 볼지지판(50)과; 직각으로 절곡된 제1체결판(61) 및 제2체결판(65)으로 이루어지되, 제1체결판(61)은 상기 제1체결지지판(30)의 일면에 밀착되고 제2체결판(65)은 상기 볼지지판(50) 일면에 밀착되는 체결판(60)과; 상기 제1체결지지판(30) 및 제1체결판(61)을 결합하는 제1체결볼트(72)와, 상기 제2체결지지판(40), 볼 지지판(50), 제2체결판(65)을 결합하는 제2체결볼트(76)로 이루어지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The structure of metal panel roof-truss supported by double purlin of assembling type}
본 발명은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과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지붕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담보하면서도 퍼린 사이의 경간 폭을 증대시키는 가능한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선형 부재들을 연결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트러스 지붕이나 트러스 구조에서 복수 개의 결점에 볼을 위치시킨 볼 트러스 지붕과 같은 구조체는 중간기둥이 없는 대공간을 갖는 건축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체에 대한 경량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구조체의 최소 그리드가 작아 2차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근자 활발하게 시공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지붕의 일례 중 볼 트러스 금속패널지붕은 도 4와 같은 구조의 금속패널지붕에 도 5와 같은 볼 트러스를 설치하여 시공된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종래 금속패널지붕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퍼린으로서의 C형강(1)과, C형강(1) 상부에 안치되는 유공패널(2a)과,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공패널(2a) 상부에 위치하는 Z바(4)와, Z바(4)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재(3)와, Z바(4) 상부에 설치되되 클립의 상단부위에 거멀접기 방식으로 설치되는 지붕패널(5)로 구성된다.
한편, 볼 트러스는 복수 개의 탭홀(20a)이 마련되는 볼(20)과, 일단부위가 탭홀(20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볼트에 의해 볼(20)과 연결되는 멤버(30)로 이루어지며, 퍼린으로서의 C형강(200, 도 4의 C형강(1)과 동일)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20)은 브라켓(10)에 의해 C형강(200)과 연결되어 지지됨으로써 금속패널지붕과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종래 볼 트러스 금속패널지붕은 유공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Z바가 지붕패널을 지지하고, 유공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C형강이 금속패널지붕을 지지함과 동시에 볼 트러스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때문에, 지붕구조체의 전체 규모나 지지해야 하는 볼 트러스의 규모가 커지면 보다 두꺼운 C형강을 사용하거나 C형강 사이의 경간 폭을 좁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전체 시공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후자는 시공비용과 시공기간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제안된 것이, 일정 두께를 가지는 C형강을 상하로 교차배치한 상태에서, 교차하는 상, 하부 각각의 C형강을 용접으로 서로 결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처럼 상, 하부로 교차하는 C형강을 용접으로 결합하는 경우, 시공이 완료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용접부위가 자연스럽게 부식됨에 따라 용접부위의 결합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지붕패널을 통해 빗물이라도 스며들게 되면 용접부위의 부식 현상은 더욱 심해지며, 부식에 따른 녹물이 건물 내부로 낙하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1982-00005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993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445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퍼린 사이의 경간 폭 확장이 가능한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공패널(1)과, 유공패널(1) 상면에 위치하는 단열재(2)와, 결합클립(3)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4)과, 유공패널(1)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6)과, 인접하는 볼(6) 상호 간을 연결하는 멤버(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로서,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유공패널(1)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C형강(10)과;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C형강(10) 각각과 직각으로 교차하며 제1C형강(10) 하부에 위치하는 제2C형강(20)과; 제1체결공(32)이 형성되어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기 제1, 2C형강(10, 20) 중에 제1형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1체결지지판(30)과; 제2체결공(42)이 형성되어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기 제1, 2C형강(10, 20) 중에 제2C형강(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2체결지지판(40)과; 상측에는 상기 제2체결공(42)에 대응하는 제1관통홀(52)이 형성되고, 하측 절곡단(55)에는 상기 볼(6)과 연결되어 볼(6)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볼트(5)의 일단 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관통홀(56)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지지판(40) 일면에 밀착되는 볼지지판(50)과; 직각으로 절곡된 제1체결판(61) 및 제2체결판(6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체결판(61, 65) 각각에는 상기 제1, 2체결공(32, 42) 각각에 대응하는 제1, 2관통공(62, 66)이 형성되어, 제1체결판(61)은 상기 제1체결지지판(30)의 일면에 밀착되고 제2체결판(65)은 상기 볼지지판(50) 일면에 밀착되는 체결판(60)과; 상기 제1체결지지판(30) 및 제1체결판(61)을 결합하는 제1체결볼트(72)와, 상기 제2체결지지판(40), 볼 지지판(50), 제2체결판(65)을 결합하는 제2체결볼트(76)로 이루어지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체결지지판(30)은 상부 및 하부 각각이 상기 제1C형강(10)의 개구부 단턱(12)에 밀착되는 제1밀착판(31)과 모서리부위가 상기 제1C형강(10) 내면에 밀착되는 제1절곡단(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체결지지판(30)은 상부 및 하부 각각이 상기 제2C형강(20)의 개구부 단턱(22)에 밀착되는 제2밀착판(41)과 모서리부위가 상기 제2C형강(10) 내면에 밀착되는 제2절곡단(4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체결지지판(30, 40) 각각은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붕패널 및 트러스를 지지하는 퍼린으로서의 제1, 2C형강을 상하 이중으로 교차 배치하되, 이들 각각의 내부에 체결지지판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사용하여 체결판을 조립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조립과 시공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경간 폭을 확장하더라도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에 있어 퍼린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에 있어 퍼린의 개략적인 다른 결합 구성도.
도 4는 종래 금속패널지붕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5는 종래 퍼린과 볼 트러스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서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를 보여주며, 도 2는 도 1에 있어 퍼린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은, 유공패널(1), 단열재(2), 결합클립(3) 및 금속패널지붕(4), 퍼린, 제1, 2체결지지판(30, 40), 볼지지판(50), 체결판(60), 볼(6) 및 멤버(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유공패널(1)은 단열재(2)의 거치를 위한 수단으로, 도면과 같이 상호 간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유공패널은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2)는 단열이나 흡음을 위한 수단으로, 유공패널(1) 상면에 위치하며 유리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재는 유공패널(1)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Z바(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클립(3)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Z바 상부에 마련된다. 금속패널지붕(4)은 결합클립(3)에 의해 지지된다. 금속패널지붕(4)은 결합클립(3)의 상단부위에 거멀접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관련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퍼린은 지붕 및 볼 트러스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제1, 2C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퍼린 구조를 제안한다. 제1퍼린으로서의 제1C형강(10)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유공패널(1)의 하면에 위치한다. 제1C형강은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유공패널(1) 및 Z바에 긴밀하게 고정결합된다.
제2퍼린으로서의 제2C형강(20)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제1C형강(10) 각각과 직각으로 교차하며 제1C형강(10) 하부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2C형강(10, 20) 각각은 복수 개의 직각 교차점에서 상호 접하게 된다.
제1체결지지판(30)은 제1C형강(10)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직각으로 상호 교차하는 제1, 2C형강(10, 20) 중에서 제1C형강(10)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제1체결지지판(30)에는 제1체결공(32)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각각은 도면과 같이 제1C형강(10)의 개구부 단턱(12)에 밀착된다. 제1체결공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체결지지판(30)이 제1밀착판(31) 및 제1절곡단(35)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1밀착판(3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은 제1C형강(10)의 개구부 단턱(12)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제1절곡단(35)은 제1밀착판(31)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며 모서리부위가 제1C형강(10)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체결지지판(30)은 제1C형강(10) 내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체결공(32)은 제1밀착판(3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체결지지판(40)은 제2C형강(20)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직각으로 상호 교차하는 제1, 2C형강(10, 20) 중에서 제2C형강(20)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제2체결지지판(40)에는 제2체결공(42)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각각은 도면과 같이 제2C형강(20)의 개구부 단턱(22)에 밀착된다. 제2체결공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체결지지판(30)과 동일하게, 제2체결지지판(40) 역시 제2밀착판(41) 및 제2절곡단(45)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2밀착판(41)은 제2C형강(20)의 개구부에 밀착되되 상부 및 하부 각각이 단턱(22)에 지지되며, 제2절곡단(45)은 제2밀착판(41)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모서리부위가 제2C형강(20)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제2체결지지판(40)이 제2C형강(20) 내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체결공(42)은 제2밀착판(4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2체결지지판(30, 40) 각각이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도 3에는 이 중에서 제1체결지지판이 도면부호 30, 30′과 같이 2개로 분리 구성되고, 제2체결지지판이 도면부호 40, 40′과 같이 2개로 분리 구성된 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면부호 32, 32′및 42, 42′각각은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다. 이때, 제1, 2체결공 각각은 제1, 2밀착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지지판(50)은 볼 트러스를 지지하기 위해 볼 트러스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볼지지판(50)에는 제1관통홀(52) 및 제2관통홀(56)이 형성된다. 제1관통홀(52)은 볼지지판(50)의 상측부위에 마련되며, 제2관통홀(56)은 볼지지판(5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절곡단(55)에 마련된다. 제2관통홀(56)은 조절볼트(5)의 일단 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1, 2체결지지판(30, 40)이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되면, 볼지지판(50)의 제1관통홀 역시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도면부호 53, 57 각각은 제2체결지지판(40)이 2개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홀이다. 도면에는 제1관통홀이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이들 각각이 상하 2개로 이루어진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로서 제1관통홀 각각이 단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판(60)은 제1, 2체결지지판(30, 40) 및 볼지지판(5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1체결판(61) 및 제2체결판(65)으로 이루어진다. 제1체결판(61)은 제1체결지지판(30)의 일면에 밀착되며, 제1체결공(32)에 대응하는 제1관통공(62)이 형성된다. 제1체결판(61)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되는 제2체결판(65)은 볼지지판(50) 일면에 밀착되며, 제2체결공(42) 및 제1관통홀(52)에 대응하는 제2관통공(66)이 형성된다.
제1, 2체결지지판(30, 40)이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되면, 체결판(60)에 있어 체1체결판(61)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 역시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도면부호 63은 제1체결지지판(30)이 2개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공이다. 도면에는 좌우 한쌍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1관통공이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이 상하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체결볼트는 제1, 2체결지지판(30, 40) 및 볼지지판(50), 그리고 체결판(60)을 일체화시키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체결볼트 중에서 제1체결볼트(72)는 제1체결판(61)의 제1관통공(62) 및 제1체결지지판(30)의 제1체결공(32)을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하여 이들을 결합하는 수단이며, 체결볼트 중에서 제2체결볼트(76)는 제2체결판(65)의 제2관통공(66) 및 볼지지판(50)의 제1관통홀(52) 그리고 제2체결지지판(40)의 제2체결공(4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이들을 결합하는 수단이다.
제1, 2체결지지판(30, 40) 각각이 제1, 2C형강(10, 20) 각각의 개구부 단턱(12, 22)에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제1체결볼트(72)에 의해 제1체결지지판(30)이 제1체결판(61)에 밀착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제2체결볼트(76)에 의해 제2체결지지판(40) 및 볼지지판(50)이 제2체결판(65)에 밀착 고정되면, 제1C형강(10)과 제2C형강(20)은 긴밀하게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퍼린으로서의 제1, 2C형강의 결합이 완료되면, 타단 부위가 볼(6)에 형성되는 탭 홀에 나사치합된 조절볼트(5)의 일단부위를 볼지지판(50)의 제2관통홀(56)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후 멤버(7)의 양단 부위를 인접하는 볼(6) 각각의 탭 홀에 결합하여 볼(6) 상호 간을 연결한다. 이러한 볼과 멤버의 조립 구성은 관련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퍼린으로서의 제1, 2C형강 하부에 전술한 볼 트러스 구조가 설치되는 경우와 달리 단순 트러스 구조가 설치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단순 트러스 구조라 함은 볼의 매개 없이 선형부재들이 일정각도로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단순 트러스 구조가 설치되는 경우, 조절볼트의 타단 부위는 트러스 구조 중의 선형부재들이 상호 연결되는 결점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퍼린으로서의 제1, 2C형강을 상하로 교차 배치하여 지붕과 볼 트러스 구조를 지지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경간 폭을 확장하더라도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부가하여 상하로 교차 배치되는 제1, 2C형강을 별도의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체결볼트로서 조립하여 일체화시키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현장에서의 작업을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제1C형강 20 : 제2C형강
30 : 제1체결지지판 40 : 제2체결지지판
50 : 볼지지판 60 : 체결판
72, 76 : 제1, 2체결볼트

Claims (3)

  1. 유공패널(1)과, 유공패널(1) 상면에 위치하는 단열재(2)와, 결합클립(3)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4)과, 유공패널(1)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6)과, 인접하는 볼(6) 상호 간을 연결하는 멤버(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로서,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유공패널(1)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C형강(10)과;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C형강(10) 각각과 직각으로 교차하며 제1C형강(10) 하부에 위치하는 제2C형강(20)과;
    제1체결공(32)이 형성되어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기 제1, 2C형강(10, 20) 중에 제1형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1체결지지판(30)과;
    제2체결공(42)이 형성되어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기 제1, 2C형강(10, 20) 중에 제2C형강(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2체결지지판(40)과;
    상측에는 상기 제2체결공(42)에 대응하는 제1관통홀(52)이 형성되고, 하측 절곡단(55)에는 상기 볼(6)과 연결되어 볼(6)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볼트(5)의 일단 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관통홀(56)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지지판(40) 일면에 밀착되는 볼지지판(50)과;
    직각으로 절곡된 제1체결판(61) 및 제2체결판(6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체결판(61, 65) 각각에는 상기 제1, 2체결공(32, 42) 각각에 대응하는 제1, 2관통공(62, 66)이 형성되어, 제1체결판(61)은 상기 제1체결지지판(30)의 일면에 밀착되고 제2체결판(65)은 상기 볼지지판(50) 일면에 밀착되는 체결판(60)과;
    상기 제1체결지지판(30) 및 제1체결판(61)을 결합하는 제1체결볼트(72)와, 상기 제2체결지지판(40), 볼 지지판(50), 제2체결판(65)을 결합하는 제2체결볼트(76)로 이루어지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지지판(30)은 상부 및 하부 각각이 상기 제1C형강(10)의 개구부 단턱(12)에 밀착되는 제1밀착판(31)과 모서리부위가 상기 제1C형강(10) 내면에 밀착되는 제1절곡단(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체결지지판(30)은 상부 및 하부 각각이 상기 제2C형강(20)의 개구부 단턱(22)에 밀착되는 제2밀착판(41)과 모서리부위가 상기 제2C형강(10) 내면에 밀착되는 제2절곡단(4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체결지지판(30, 40) 각각은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KR1020160018877A 2016-02-18 2016-02-18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KR101864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877A KR101864681B1 (ko) 2016-02-18 2016-02-18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877A KR101864681B1 (ko) 2016-02-18 2016-02-18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302A true KR20170097302A (ko) 2017-08-28
KR101864681B1 KR101864681B1 (ko) 2018-06-05

Family

ID=5975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877A KR101864681B1 (ko) 2016-02-18 2016-02-18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6124A (zh) * 2022-01-21 2022-04-26 陈智利 一种用于阳光房顶梁的连接方法
KR102448360B1 (ko) 2021-11-25 2022-09-28 주식회사 디자인기린 슬라이딩 방식의 내진성능을 갖는 퍼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043B1 (ko) * 2020-02-11 2023-02-21 주식회사 광스틸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582Y1 (ko) 1977-11-01 1982-04-09 요시다 다다오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붕구조
JPH0657867A (ja) * 1993-06-29 1994-03-01 Y K K Architect Prod Kk 連結装置
JP3044896U (ja) * 1997-06-30 1998-01-16 文男 川阪 C形鋼材の連結構造
KR101399375B1 (ko) 2013-09-16 2014-05-27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수직조절브라켓이 구비되는 스페이스 프레임
KR101414521B1 (ko) * 2013-11-18 2014-07-04 한국아치스판 주식회사 지붕 판넬 조립체
KR101444454B1 (ko) 2014-04-02 2014-10-02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구조보강부재를 구비한 지붕판넬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582Y1 (ko) 1977-11-01 1982-04-09 요시다 다다오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붕구조
JPH0657867A (ja) * 1993-06-29 1994-03-01 Y K K Architect Prod Kk 連結装置
JP3044896U (ja) * 1997-06-30 1998-01-16 文男 川阪 C形鋼材の連結構造
KR101399375B1 (ko) 2013-09-16 2014-05-27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수직조절브라켓이 구비되는 스페이스 프레임
KR101414521B1 (ko) * 2013-11-18 2014-07-04 한국아치스판 주식회사 지붕 판넬 조립체
KR101444454B1 (ko) 2014-04-02 2014-10-02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구조보강부재를 구비한 지붕판넬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360B1 (ko) 2021-11-25 2022-09-28 주식회사 디자인기린 슬라이딩 방식의 내진성능을 갖는 퍼린
CN114396124A (zh) * 2022-01-21 2022-04-26 陈智利 一种用于阳光房顶梁的连接方法
CN114396124B (zh) * 2022-01-21 2023-07-11 陈智利 一种用于阳光房顶梁的连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681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681B1 (ko)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JP2011518265A (ja) 建築構造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109958A (ko)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601913B1 (ko) 지붕판넬용 z바 조립체
KR101465013B1 (ko) 건축 구조물의 트러스형 지붕 건축 방법 및 건축 구조물의 트러스형 지붕 구조
JP6150640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用架台
JP6473236B2 (ja) 建築用デッキパネル
KR100732562B1 (ko) 지붕패널 구조물
KR200390559Y1 (ko) 펄린, 펄린용 클립 및 지붕구조
KR100910163B1 (ko) 커튼월 고정용 브래킷
JP6079464B2 (ja) 耐力壁及び住宅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CN211447287U (zh) 一种便于装配的建筑钢结构
JP2009203687A (ja) ランナー取付具
JP3156192U (ja) 天井板の支持構造
JP2008133662A (ja) 建物の耐震構造
KR100912552B1 (ko) 조립식 연결구조물의 건축용 삼각파이프
KR200430415Y1 (ko) 조립식 벽체
JP2002021242A (ja) 架台の取付構造
KR101685290B1 (ko) 건축용 벽체 데크패널
KR20180086640A (ko) 금속패널지붕의 구조
JP5953213B2 (ja) バルコニー付建物
KR200468935Y1 (ko) 태양광 모듈 패널이 설치된 지붕구조
CN219471313U (zh) 一种装配整体式混凝土夹芯板互相搭接的板梁连接结构
KR101371198B1 (ko) 조립식 사각강관 구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