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160A - 상품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160A
KR20170094160A KR1020177014443A KR20177014443A KR20170094160A KR 20170094160 A KR20170094160 A KR 20170094160A KR 1020177014443 A KR1020177014443 A KR 1020177014443A KR 20177014443 A KR20177014443 A KR 20177014443A KR 20170094160 A KR20170094160 A KR 20170094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roduct
lower pedal
stat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025B1 (ko
Inventor
유지 다치
겐지 무토
시로우 다케우치
다츠로우 스가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zig-zag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배치된 하측 페달(28) 및 상측 페달(29)을 가지고,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측 페달(29)을 퇴행 이동시키면서 하측 페달(28)을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하게 하여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측 페달(29)을 진출 이동시키고 하측 페달(28)을 퇴행 이동시켜 최하위 상품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상품 반출 장치(20a)를 구비한 상품 불출 장치(20)에 있어서, 하측 페달(28)은, 진출 이동하여 상면에 상품이 놓이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고,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 되는 경우에만 온 상태가 되는 매진 검지 스위치(26)와, 상품 반출 장치(20a)가 구동하는 경우에 매진 검지 스위치(26)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상품이 불출되었음을 판정하는 불출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상품 불출 장치{COMMODITY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적용되어,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된 상품을 적절하게 반출하는 상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서는, 자동판매기 본체인 본체 캐비닛의 내부의 상품 수용고에 상품 수납 랙이 설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 랙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와, 상품 수납 통로의 하부에 배치된 상품 반출 장치를 갖고 있다.
상품 반출 장치는 하측 페달과 상측 페달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측 페달 및 상측 페달은, 링크를 통해 액츄에이터인 AC 솔레노이드에 연계되어 있고,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가 됨으로써 각각 상품 수납 통로로 적절하게 진퇴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 상측 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한 상태에 있는 한편, 하측 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하측 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되는 최하위의 상품에 맞닿아,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된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그리고, 상품의 반출 지령이 주어진 경우, 해당하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통로의 하부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가 됨으로써 링크를 통해 상측 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하여, 최하위에서 2번째의 상품에 맞닿음으로써, 그 상품, 그리고 그 상품보다도 위쪽에 수납된 상품이 아래쪽으로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상기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로 됨으로써 하측 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여, 최하위의 상품이 유일하게 아래쪽으로 향해서 반출되고, 상품이 하측 페달을 빠져나가면 하측 페달이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다. 그 후, AC 솔레노이드의 통전 상태가 해제되어 비통전 상태가 되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 하측 페달이 퇴행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되고 상측 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한 상태가 됨으로써 상술한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상품 반출 장치는, 각 페달 외에, 매진 검지 레버 및 매진 검지 스위치를 갖추고 있다. 매진 검지 레버는, 상기 상측 페달보다도 위쪽 영역에 있어서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압박 수단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하도록 압박되고 있다. 이러한 매진 검지 레버는, 상품 수납 통로에 상품이 있는 경우에는, 그 상품에 의해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고 있다.
매진 검지 스위치는, 매진 검지 레버에 연계되어 있어, 매진 검지 레버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한 경우에는 오프(off) 상태가 되는 한편, 매진 검지 레버가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 경우에는 온(on)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매진 검지 스위치는, 온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상품이 매진된 것으로 하여 매진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1-188953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매진 검지 레버 및 매진 검지 스위치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에서의 상품의 매진을 검출할 수는 있지만, 상품 수납 통로에서의 최하위의 상품이 아래쪽으로 향해서 반출되는 것에 관해서는 돌아가는 형편에 맡겨져 있어, 상품이 확실하게 불출되었음을 검출하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상품 반출 장치로부터 상품이 확실하게 불출되었음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곳에 센서 등을 설치하여 상품의 통과를 검출할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부품 개수의 증가에 의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해 버려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의 상품의 불출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상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불출 장치는,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서 수납하는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선단부가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하측 페달과, 상기 하측 페달보다도 위쪽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선단부가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측 페달을 가지고,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키면서 상기 하측 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상기 하측 페달이 상면에 최하위의 상품이 놓여 제1 대기 자세가 됨으로써 상기 상품이 아래쪽으로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측 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최하위에서 2번째의 상품에 맞닿게 하면서 상기 하측 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킴으로써 최하위의 상품을 아래쪽으로 향해서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를 구비한 상품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측 페달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상면에 상품이 놓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대기 자세보다도 상기 선단부가 위쪽에 위치하는 제2 대기 자세로 되는 것이고, 상기 하측 페달이 상기 제2 대기 자세로 되는 경우에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하측 페달이 상기 제2 대기 자세 이외의 것으로 되는 경우에 제2 상태가 되는 매진 검지 스위치와, 상기 상품 반출 장치가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상품이 불출되었음을 판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불출 장치에 있어서, 자신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또한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반출 장치를 대기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반출 장치를 구동시키는 출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상품이 불출되었음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회전시킨 상기 출력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가 될 때는 상기 설정 시간 경과 후에도 상기 출력 부재를 계속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가 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출력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켜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대기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출력 부재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상기 대기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 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이, 상품 반출 장치가 구동하는 경우에,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됨으로써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상품이 불출되었음을 판정하기 때문에,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의 상품의 불출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상품 불출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품 불출 장치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상품 불출 장치를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상품 불출 장치를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도 4에 도시한 제1 상품 반출 장치를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도 5에 도시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도 5에 도시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도 5에 도시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2~도 5에 도시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베이스에 부착된 베어링부 및 하네스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도 4에 있어서의 상품 불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하측 페달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매진 링크와 제1 매진 검지 스위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하측 페달이 퇴행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매진 링크와 제1 매진 검지 스위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유닛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유닛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좌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2~도 4에 도시한 제2 상품 반출 장치를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2~도 4, 도 16에 도시한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베이스에 부착된 베어링부 및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품 불출 장치의 특징적인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구동 유닛의 주요부의 작동을 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구동 유닛의 주요부의 작동을 후방 정면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1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상품의 반출 수순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제2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상품의 반출 수순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불출 제어부가 자판기 제어부로부터 제1 상품의 반출 지령을 받은 경우에 실시하는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재시행 처리(1)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복귀 처리(1)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불출 제어부가 자판기 제어부로부터 제2 상품의 반출 지령을 받은 경우에 실시하는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재시행 처리(2)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도시한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복귀 처리(2)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불출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상품 불출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본체 캐비닛(1), 외부 도어(2) 및 내부 도어(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 캐비닛(1)은, 복수의 강판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앞면이 개구된 직방체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 단열 구조의 상품 수용고(4)를 갖고 있다. 외부 도어(2)는,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본체 캐비닛(1)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외부 도어(2)의 앞면에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상품 선택 버튼, 지폐 삽입 관통구, 주화 투입구, 반환 레버, 일체 표시기, 주화 반환구, 상품 추출구(2a) 등, 상품을 판매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것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도어(3)는, 상품 수용고(4)의 앞면 개구를 덮기 위한 상하 2 분할된 단열 도어이며, 외부 도어(2)보다도 안쪽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부 단열 도어(3a)는 외부 도어(2)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부 단열 도어(3b)는 본체 캐비닛(1)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내부 도어(3)에 있어서의 하부 단열 도어(3b)의 하측부에는, 상품을 상품 수용고(4)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상품 반출구(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에는, 상품 수용고(4)의 내부에 상품 슈터(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품 슈터(5)보다도 아래쪽이 되는 영역(이하, 「열 교환 영역」이라고도 함)에 온도 조절 유닛(6)이 배치되어 있는 한편, 상품 슈터(5)보다도 위쪽이 되는 영역(이하, 「상품 수납 영역」이라고도 함)에 상품 수납 랙(10)이 배치되어 있다.
상품 슈터(5)는, 상품 수납 랙(10)으로부터 반출된 상품을 내부 도어(3)의 상품 반출구(3c)로 안내하기 위한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전방 측으로 향해서 점차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이 상품 슈터(5)에는, 열 교환 영역과 상품 수납 영역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이 다수 뚫려 있다.
온도 조절 유닛(6)은, 상품 수용고(4)의 내부 분위기를 원하는 온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6a), 전열 히터(6b) 및 송풍 팬(6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온도 조절 유닛(6)에 있어서는, 예컨대 냉동 사이클을 운전한 상태로 송풍 팬(6c)을 구동하면, 증발기(6a)에 있어서 냉각된 공기가 상품 슈터(5)의 통기 구멍을 통하여 위쪽으로 급송되기 때문에, 상품 수납 영역을 저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열 히터(6b)에 통전한 상태로 송풍 팬(6c)을 구동하면, 전열 히터(6b)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품 슈터(5)의 통기 구멍을 통하여 위쪽으로 급송되기 때문에, 상품 수납 영역을 고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 밸브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모두 상품 수용고(4)의 외부가 되는 기계실(7)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품 수납 랙(10)은, 앞뒤 3열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베이스 측판(11) 사이에 통로 구성 요소(12)가 배치됨으로써 상하 방향을 따라서 사행(蛇行) 형상으로 구성된 복수(도시하는 예에서는 2개)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구비하고, 이들 상품 수납 통로(13)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상품을 가로로 눕힌 자세로 수납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로 구성 요소(12)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적절하게 배치된 것이며, 베이스 측판(1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상품 수납 랙(10)에 있어서는, 2개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상호 앞뒤로 인접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상품 수납 랙(10)에 있어서, 전방 측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라고도 부르고, 후방 측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라고도 부르기로 한다.
또한, 통로 구성 요소(12)에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는 플래퍼가 설치되어 있다. 플래퍼는,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통로 구성 요소(12)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플래퍼는,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압박되어 평상 상태에서는 상품 수납 통로(13)로 진출 이동한 자세가 된다. 그리고, 상품 수납 통로(13)를 통과하는 상품에 맞닿음으로써 자신은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사행 형상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따르도록 퇴행 이동하여 상기 상품의 자세를 수정하는 것이다.
상기 상품 수납 랙(10)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상부에 톱 트레이(14)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품 수납 통로(13)의 하부에 상품 불출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톱 트레이(14)는, 평판형의 판금을 굴곡시켜 구성하는 것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해서 점차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베이스 측판(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톱 트레이(14)의 상면은,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상품을 상품 수납 통로(13)까지 안내하는 상품 안내 통로(15)를 구성하고 있다.
도 2~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상품 불출 장치(20)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는 우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 2~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품 불출 장치(20)는, 한쪽의 상품 반출 장치(이하, 제1 상품 반출 장치라고도 부름)(20a)와, 다른 쪽의 상품 반출 장치(이하, 제2 상품 반출 장치라고도 부름)(20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가 서로 등을 맞대고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 2~도 4에서는, 상품 불출 장치(20)를 구성하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 모두 상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2~도 4에 도시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를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도 8은 각각 도 2~도 5에 도시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도 6~도 8도 적절하게 이용하면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대향하는 통로 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거동을 제어함으로써, 반출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상품을 수납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상품을 하나씩 상품 슈터(5)로 반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베이스(21)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1)는,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강판에 절삭 가공 및 굴곡 가공을 실시하여 구성한 것으로, 자신의 표면을 통로 폭 규정판(16)에 대향시키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21)는, 양측부가 굴곡됨으로써 측벽(21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중간부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는 측벽(21a)과 마찬가지로 굴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상호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치수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에서는, 제1 삽통 구멍(22)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삽통 구멍(22)의 좌우 폭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우 폭보다도 큰 것이다. 또한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상호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관통 개구[후술하는 하측 페달(28) 및 상측 페달(29)을 베이스(21) 안으로 퇴행시키는 오목부]이며, 제1 삽통 구멍(22)의 상단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상단부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삽통 구멍(22)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제1 좌측 베어링편(22a)이 마련되며 또한 제1 삽통 구멍(22)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제1 우측 베어링편(22b)이 마련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제2 좌측 베어링편(23a)이 마련되며 또한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제1 좌측 베어링편(22a)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은,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에 형성한 플랜지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우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좌측 베어링편(23a)은, 후술하는 베어링부(24)를 끼워 맞춰 유지하는 곳의, 베이스(21)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횡단면 コ자형(불연속)으로 형성된 베어링 유지부에 있어서의 コ자형의 양 다리 부재를 이루는 축 삽통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베어링 유지부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으로 이루어지는 큰 관통 개구를 베이스(21)에 형성한 경우에도 베이스(21)의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21)에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은 베어링부(24) 및 하네스 가이드(25)가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부(24)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1 우측 베어링편(22b)과 제2 좌측 베어링편(23a)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네스 가이드(25)는, 베어링부(24)와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2 우측 베어링편(23b)에 인접하는 양태로 베이스(21)의 우측의 측벽(21a)을 따라서 끼워져 있다. 이 하네스 가이드(25)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의 하네스를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네스 가이드(25)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상호 등을 맞대고 결합되게 할 때에 가이드 부재로서의 역할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하네스 가이드(25)에는,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 및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는,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와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보다도 전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는, 소위 푸시형 스위치이며,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기립하도록 압박된 접촉자(26a)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는, 접촉자(26a)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 상태(제2 상태)로 되어 후술하는 불출 제어부(60)에 오프 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접촉자(26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경우에는, 온 상태(제1 상태)가 되어 불출 제어부(60)에 온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는, 접촉자(26a)가 눌리지 않는 상태로 오프 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자(26a)가 눌려 변위하는 경우에 온 상태가 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는, 접촉자(26a)가 눌리지 않는 상태로 온 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자(26a)가 눌려 변위하는 경우에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라도 좋다.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는,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보다도 후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는, 소위 푸시형 스위치이며,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기립하도록 압박된 접촉자(27a)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는, 접촉자(27a)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 상태(제2 상태)가 되어 후술하는 불출 제어부(60)에 오프 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접촉자(27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경우에는, 온 상태(제1 상태)가 되어 불출 제어부(60)에 온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는, 접촉자(27a)가 눌리지 않는 상태로 오프 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자(27a)가 눌려 변위하는 경우에 온 상태가 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는, 접촉자(27a)가 눌리지 않는 상태로 온 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자(27a)가 눌려 변위하는 경우에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제1 요동 지지축(28a) 및 제2 요동 지지축(29a)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요동 지지축(28a)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양태로 제1 좌측 베어링편(22a), 제1 우측 베어링편(22b), 제2 좌측 베어링편(23a), 제2 우측 베어링편(23b)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22a1, 22b1, 23a1, 23b1, 24a)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하측 페달(28)을 지승(支承)하고 있다. 또한,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측 단부에는 제1 매진 링크(3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요동 지지축(29a)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도 위쪽 영역에 있어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양태로 제1 좌측 베어링편(22a), 제1 우측 베어링편(22b), 제2 좌측 베어링편(23a), 제2 우측 베어링편(23b)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22a2, 22b2, 23a2, 23b2, 24b)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상측 페달(29)을 지승하고 있다.
하측 페달(28)은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기단부에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이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하측 페달(28)의 선단부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직경 바깥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한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측 페달(28)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측 페달(28)과 베이스(21)의 사이에는 하측 페달 스프링(28b)이 개재되어 있다. 하측 페달 스프링(28b)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하측 페달(28)을 진출 이동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측 페달 스프링(28b)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측 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없음 대기 자세(제2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측 페달 스프링(28b)은, 하측 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놓이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과 동등한 높이 레벨에 위치하도록 하측 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있음 대기 자세(제1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측 페달(28)은,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될 때보다도 선단부가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 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매진 링크(30)의 제1 매진 맞닿음부(32)에 맞닿는 결과, 제1 매진 링크(30)는, 제1 요동 지지축(28a)를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매진 누름부(33)가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의 접촉자(26a)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에서는, 접촉자(26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송출하게 된다.
그 한편, 하측 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매진 링크(30)의 제1 매진 맞닿음부(32)로부터 격리되는 결과, 제1 매진 링크(3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에서는, 접촉자(26a)가 스프링에 압박되어 기립한 자세가 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어, 오프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송출하게 된다. 즉, 자유로운 상태로 된 제1 매진 링크(30)는, 제1 매진 누름부(33)가 접촉자(26a)에 눌림으로써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측 페달(28)은, 판 형상의 페달 본체부(281)와, 한 쌍의 안내부(28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안내부(282)는, 상기 페달 본체부(281)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 안내부(282)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이며,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부(282)의 상호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안내 홈(283)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283)은, 하측 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시킨 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도 6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또한 후술하는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이 끼워져 들어가는 끼워맞춤부(283a)와, 하측 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최대로 퇴행 이동시킨 퇴행 위치에 배치한 상태(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며 또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이 맞닿는 맞닿음부(283d)와, 이들 끼워맞춤부(283a) 및 맞닿음부(283d)가 연속되도록 접속하는 제1 안내부(283b) 및 제2 안내부(283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안내부(283b)는, 하측 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끼워맞춤부(283a)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격리되도록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진 후, 베이스(21)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져 맞닿음부(283d)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안내부(283c)는, 하측 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맞닿음부(283d)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격리되도록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져 끼워맞춤부(283a)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측 페달(28)의 제1 요동 지지축(28a)으로부터의 직경 바깥 방향의 길이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통로 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 최대 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 폭보다도 작은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측 페달(29)은,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기단부에 제2 요동 지지축(29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베이스(21)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페달(29)의 선단부는,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직경 바깥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한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측 페달(29)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측 페달(29)과 베이스(21) 사이에는 상측 페달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 상측 페달 스프링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상측 페달(29)이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 페달(29)에는, 누름 경사면(291), 오목부(292), 스토퍼 맞닿음부(293) 및 돌기부(294)가 마련되어 있다. 누름 경사면(291)은, 상측 페달(29)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페달(29)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퇴행 이동시킨 경우에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향해서 점차 낮아지는 양태로 형성된 만곡형의 경사면이다. 오목부(292)는, 상측 페달(29)의 배면 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페달(29)의 양 측면에 개구되는 양태로 형성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줄의 오목부이다. 스토퍼 맞닿음부(293)는, 후술하는 스토퍼 핀(34a)이 맞닿는 부위이며, 상측 페달(29)의 배면에 있어서 오목부(292)의 위쪽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94)는, 상측 페달(29)의 기단부에 있어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향해서 돌출된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측 페달(29)은, 상기 상측 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퇴행 이동하도록 압박되고 있는데, 상기 오목부(292)에 스토퍼 핀(34a)이 맞닿음으로써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퇴행 이동한 상태로 초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 페달(29)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요동 지지축(29a)을 통과하는 수직면에 대하여 앞으로 기운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측 페달(29)의 제2 요동 지지축(29a)으로부터의 직경 바깥 방향의 길이는, 상술한 앞으로 기운 상태에 있어서, 통로 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 최대 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 폭보다도 작은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1)에 있어서는,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는, 스토퍼 핀(34a), 페달 스토퍼 핀(34b) 및 스토퍼축(34c)이 가설되어 있다.
스토퍼 핀(34a)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일단부가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의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에 삽입 관통되고, 타단부가 제2 좌측 베어링편(23a)으로부터 노출된 베어링부(24)의 스토퍼 핀 삽통 구멍(24c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스토퍼 핀(34a)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이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내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 핀(34a)은, 초기 위치에 있는 상측 페달(29)의 오목부(292)에 맞닿고 있다.
페달 스토퍼 핀(34b)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일단부가 베어링부(24)의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4c2)[스토퍼 핀 삽통 구멍(24c1)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연장되는 긴 홈이며, 참조 부호 24c1의 인출 부위인 홈 바닥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도 6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삽입 관통되고, 타단부가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의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2 좌측 베어링편(23a)에는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4c2)이 노출되도록 삽입 관통 홈(23a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이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 24c2)의 내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다. 이 페달 스토퍼 핀(34b)의 원통면은, 페달 링크(3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 24c2)의 홈 안을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스토퍼축(34c)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일단이 베어링부(24)의 스토퍼축 삽통 구멍(24c3)에 삽입 관통되고, 타단부가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의 관통 구멍(23b5)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2 좌측 베어링편(23a)에는 스토퍼축(34c)의 삽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스토퍼축(34c)은 그 중간부에 회동 스토퍼(36)를 지승하고 있다.
회동 스토퍼(36)는, 기단부의 삽통 구멍에 스토퍼축(34c)을 삽입 관통시키며 또한 이 스토퍼축(34c)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회동 스토퍼(36)의 선단부는, 스토퍼축(34c)의 직경 바깥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스토퍼축(34c)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한 경우에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이 회동 스토퍼(36)는, 선단부의 관통 구멍(36a)을 페달 조작축(361)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페달 조작축(361)을 갖고 있다. 페달 조작축(361)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양단부를 상기 하측 페달(28)의 안내 홈(283)에 끼워 넣고 있다.
상기 회동 스토퍼(36)와 베이스(21) 사이에는 페달 조작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 페달 조작 스프링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회동 스토퍼(36)를 진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향해서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 스프링에 의해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압박되어, 상기 회동 스토퍼(36)의 오목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진입하여 이 페달 스토퍼 핀(34b)에 맞닿음으로써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으며,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하측 페달(28)이 하측 페달 스프링(28b)에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축(361)의 양끝이 안내 홈(283)의 끼워맞춤부(283a)에 위치하고 있고, 하측 페달(28)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위치에 초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페달 링크(35)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판 형상 부재이며, 상부가 전방으로 향해서 굴곡된 후에 위쪽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 페달 링크(35)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향해서 연장한 후에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맞닿음편(351)이 마련됨과 더불어, 링크 스프링(35a)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35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링크 스프링(35a)은, 페달 링크(35)와 베이스(21) 사이에 개재하는 것이며, 페달 링크(35)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페달 링크(35)가 링크 스프링(35a)에 의해서 압박되어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하단부에 스토퍼 핀(34a)이 배치되며 또한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 24c2)의 하단부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34a)에, 퇴행 위치에 배치된 상측 페달(29)의 오목부(292)가 맞닿고 있다. 더구나 페달 스토퍼 핀(34b)에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가 맞닿고 있어,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상기 하측 페달(28)의 끼워맞춤부(283a)에 끼워져 들어가 있고, 이에 따라 진출 위치에 배치된 하측 페달(28)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가 위쪽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상단부에 스토퍼 핀(34a)이 배치되며 또한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 24c2)의 상단부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 핀(34a)에 상측 페달(29)의 스토퍼 맞닿음부(293)가 맞닿음으로써, 상측 페달(29)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며, 상측 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측 페달(29)이 진출 이동하여 진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스토퍼 핀(34b)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기 때문에, 스토퍼축(34c)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여기서, 회동 스토퍼(36)에는 이 회동 스토퍼(36)에 의해서 진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하측 페달(28)에 맞닿은 상품의 하중이 걸리고 있고,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시작되면 페달 조작축(361)이 하측 페달(28)의 끼워맞춤부(283a)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하측 페달(28)은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이 허용되어 상품의 하중에 의해서 하측 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퇴행 이동하게 된다(도 8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이 하측 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매진 링크(30)의 제1 매진 맞닿음부(32)로부터 격리되는 결과, 제1 매진 링크(3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에서는, 접촉자(26a)가 스프링에 압박되어 기립한 자세로 됨으로써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하측 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도 상품 있음 대기 자세와 마찬가지로, 제1 매진 링크(30)가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의 접촉자(26a)를 누르지 않는다.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전술한 구성 외에 구동 유닛(4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있어서의 구동 유닛(40)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4는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좌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구동 유닛(40)은 베이스(21)의 배면측 상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유닛(40)은 베이스(21)의 배면에 부착되는 유닛 베이스(41)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베이스(41)는, 예컨대 수지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후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유닛 베이스(41)는, 수지제의 유닛 커버(42)가 부착됨으로써 후면의 개구가 폐색되어, 유닛 커버(42)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닛 베이스(41)와 유닛 커버(4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는, 모터(43), 기어 부재(44), 캐리어 스위치(45) 및 링크 레버(46)가 수납되어 있다.
모터(43)는 구동원으로 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불출 제어부(60)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따라서 구동하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직류 모터이다. 이 모터(43)는, 유닛 베이스(41)의 모터 유지부(41a)에 유지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기어 부재(44)는, 웜 기어(441), 중간 기어(442) 및 출력 기어(출력 부재)(4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웜 기어(441)는 웜(441a)과 웜 휠(441b)을 갖고 있다.
웜(441a)은 원통형의 형태를 이루며, 모터(43)의 출력축(43a)에 부착되어 있다. 웜 휠(441b)은, 원판형의 제1 웜 휠(441b1)과, 원판형의 제2 웜 휠(441b2)을 갖고 있다.
제1 웜 휠(441b1)은 중심 부분에 후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원통면에 복수의 이빨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웜 휠(441b2)은, 제1 웜 휠(441b1)의 앞면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신의 중심축이 제1 웜 휠(441b1)의 축형상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축형상부가 전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웜 휠(441b2)의 원통면에도 복수의 이빨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웜 휠(441b)은, 제1 웜 휠(441b1)의 기어부가 웜(441a)에 맞물린 상태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오목부(41b, 42b)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중간 기어(442)는, 원판형의 제1 중간 기어(442a)와, 원판형의 제2 중간 기어(442b)를 갖고 있다. 제1 중간 기어(442a)는 중심 부분에 후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원통면에 복수의 이빨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중간 기어(442b)는, 제1 중간 기어(442a)의 뒷면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신의 중심축이 제1 중간 기어(442a)의 축형상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축형상부가 전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중간 기어(442b)의 원통면에도 복수의 이빨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 기어(442)는, 제1 중간 기어(442a)의 기어부가 제2 웜 휠(441b2)의 기어부에 맞물린 상태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오목부(41c, 42c)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출력 기어(443)는, 웜 휠(441b)이나 중간 기어(442)에 비해서 넓은 직경이 되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이 출력 기어(443)의 원통면에도 복수의 이빨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력 기어(443)의 중심 부분에는 전후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출력 기어(443)는, 앞면에 캠부(443a)가 형성되며, 또한 뒷면에 누름편(443b)이 형성되어 있다.
캠부(443a)는, 원호형의 형태를 이루며, 전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캠부(443a)는, 그 원호형의 길이가 페달 링크(35)를 위쪽으로 향해서 이동시킨 후에 그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누름편(443b)은,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있고, 캠부(443a)와 반대쪽의 면이 되는 뒷면에 있어서 후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출력 기어(443)는, 기어부가 제2 중간 기어(442b)의 기어부에 맞물린 상태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오목부(41d, 42d)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캐리어 스위치(45)는, 소위 푸시형 스위치이며, 접촉자(45a)를 갖추고 있다. 이 캐리어 스위치(45)는, 출력 기어(443)가 배치되는 영역보다도 약간 위쪽에 유지된 상태로 유닛 베이스(41)에 배치되어 있다. 이 캐리어 스위치(45)는, 접촉자(45a)가 눌리면 온 상태가 되어, 그 취지를 온 신호로서 불출 제어부(60)에 부여하는 것인 한편, 접촉자(45a)가 눌리지 않는 경우는 오프 상태가 되어, 그 취지를 오프 신호로서 불출 제어부(60)에 부여하는 것이다.
링크 레버(46)는, 제1 링크 레버(461) 및 제2 링크 레버(46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링크 레버(461)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단부(461a)에 관통 구멍(461a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링크 레버(461)는, 선단부(461b)가 기단부(461a)로부터 우측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에 우측 비스듬히 위쪽으로 만곡된 후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는 걸림부(461c)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부(461c)는, 기단부(461a)의 좌측 단부보다 아래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탄성 부재이다.
이러한 제1 링크 레버(461)는, 기단부(461a)의 관통 구멍(461a1)에 유닛 커버(42)에 설치된 제1 링크축(42e)이 삽입 관통함으로써 출력 기어(443)의 전방 측에 있어서 제1 링크축(42e)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링크 레버(461)는,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에 의해 형성되는 우측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관통하고 있으며, 선단부(461b)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링크 레버(461)는, 우측 개구의 좌측 가장자리부(471)에 걸림부(461c)가 맞닿음으로써 평상 상태에 있어서의 자세가 정해져 있다.
제2 링크 레버(462)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단부(462a)에 관통 구멍(462a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링크 레버(462)는, 선단부(462b)가 기단부(462a)로부터 좌측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에 좌측 비스듬히 위쪽으로 만곡된 후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제2 링크 레버(462)의 선단부(462b)는, 제1 링크 레버(461)의 선단부(461b)보다도 전후 폭이 크게 되어 있다. 더욱이,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는 걸림부(462c)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부(462c)는, 기단부(462a)의 우측 단부보다 아래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탄성 부재이다.
이러한 제2 링크 레버(462)는, 기단부(462a)의 관통 구멍(462a1)에 유닛 커버(42)에 설치된 제2 링크축(42f)이 삽입 관통함으로써 출력 기어(443)의 전방 측에 있어서 제2 링크축(42f)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링크 레버(462)는,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관통하고 있으며, 선단부(462b)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링크 레버(462)는, 좌측 개구의 우측 가장자리부(472)에 걸림부(462c)가 맞닿음으로써 평상 상태에 있어서의 자세가 정해져 있다.
도 16은 도 2~도 4에 도시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2~도 4, 도 16에 도시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와 공통되어 있으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전후의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좌우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도시를 적절하게 생략하여,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구성 요소 중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와 공통되는 것에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 붙인 부호에 「′」를 붙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대향하는 통로 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품의 거동을 제어함으로써, 반출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상품을 수납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상품을 하나씩 상품 슈터(5)에 반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베이스(21′)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1′)는,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강판에 절삭 가공 및 굴곡 가공을 실시하여 구성된 것으로, 자신의 표면을 통로 폭 규정판(17)에 대향시키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21′)는, 양측부가 굴곡됨으로써 측벽(21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중간부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는 측벽(21a′)과 마찬가지로 굴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상호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치수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에서는, 제1 삽통 구멍(22′)이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삽통 구멍(22′)의 좌우 폭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우 폭보다도 큰 것이다. 또한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상호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관통 개구[후술하는 하측 페달(28′) 및 상측 페달(29′)을 베이스(21′) 안으로 퇴행시키는 오목부]이며, 제1 삽통 구멍(22′)의 상단부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상단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삽통 구멍(22′)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제1 우측 베어링편(22a′)이 마련되며 또한 제1 삽통 구멍(22′)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제1 좌측 베어링편(22b′)이 마련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이 마련되며 또한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제2 좌측 베어링편(23b′)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제1 좌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은,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에 형성한 플랜지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좌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은, 후술하는 베어링부(24′)를 끼워 맞춰 유지하는 곳의, 베이스(21′)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횡단면 コ자형(불연속)으로 형성된 베어링 유지부에 있어서의 コ자형의 양 다리 부재를 이루는 축 삽통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베어링 유지부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으로 이루어지는 큰 관통 개구를 베이스(21′)에 형성한 경우에도 베이스(21′)의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21′)에는, 도 19에 도시한 것과 같은 베어링부(24′) 및 가이드(48)가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부(24′)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1 좌측 베어링편(22b′)과 제2 우측 베어링편(23a′) 사이에 끼워져 있다. 가이드(48)는, 베어링부(24′)와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2 좌측 베어링편(23b′)에 인접하는 양태로 베이스(21′)에 끼워져 있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제1 요동 지지축(28a′) 및 제2 요동 지지축(29a′)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요동 지지축(28a′)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양태로 제1 우측 베어링편(22a′), 제1 좌측 베어링편(22b′), 제2 우측 베어링편(23a′), 제2 좌측 베어링편(23b′)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22a1′, 22b1′, 23a1′, 23b1′, 24a′)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하측 페달(28′)을 지승하고 있다.
또한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매진 링크(5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매진 링크(50)는, 도시하지 않는 제2 매진 기초부 및 제2 매진 맞닿음부와, 제2 매진 누름부(53)(도 11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매진 기초부는, 예컨대 2개의 C자형을 이루는 원판형 부위의 하단부끼리를 연결부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각 원판형 부위에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측 단부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매진 맞닿음부는, 제2 매진 기초부 중 좌측의 원판형 부위의 전방 부분보다 좌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매진 맞닿음부는, 제1 매진 링크(30)를 구성하는 제1 매진 맞닿음부(32)보다도 좌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호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제2 매진 누름부(53)는, 제2 매진 기초부의 우측의 원판형 부위의 하측 부분보다 우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매진 기초부에 형성한 관통 구멍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제2 매진 링크(50)가 제1 요동 지지축(28a′) 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요동 지지축(29a′)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도 위쪽 영역에 있어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양태로 제1 우측 베어링편(22a′), 제1 좌측 베어링편(22b′), 제2 우측 베어링편(23a′), 제2 좌측 베어링편(23b′)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22a2′, 22b2′, 23a2′, 23b2′, 24b′)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상측 페달(29′)을 지승하고 있다.
하측 페달(28′)은,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기단부에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1 요동 지지축(28a′) 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하측 페달(28′)의 선단부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직경 바깥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제1 요동 지지축(28a′) 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한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즉, 하측 페달(28′)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측 페달(28′)과 베이스(21′) 사이에는 하측 페달 스프링(28b′)이 개재되어 있다. 하측 페달 스프링(28b′)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하측 페달(28′)을 진출 이동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측 페달 스프링(28b′)은,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측 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없음 대기 자세(제2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측 페달 스프링(28b′)은, 하측 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놓이는 경우에는, 하측 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과 동등한 높이 레벨에 위치하도록 하측 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있음 대기 자세(제1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측 페달(28′)은,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될 때보다도 선단부가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매진 링크(50)의 제2 매진 맞닿음부에 맞닿는 결과, 제2 매진 링크(50)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매진 누름부(53)가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의 접촉자(27a)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에서는, 접촉자(27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송출하게 된다.
그 한편, 하측 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하측 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매진 링크(50)의 제2 매진 맞닿음부로부터 격리되는 결과, 제2 매진 링크(5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에서는, 접촉자(27a)가 스프링에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어, 오프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송출하게 된다. 즉, 자유로운 상태가 된 제2 매진 링크(50)는, 제2 매진 누름부(53)가 접촉자(27a)에 눌림으로써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측 페달(28′)은, 판 형상의 페달 본체부(281′)와, 한 쌍의 안내부(28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안내부(282′)는, 상기 페달 본체부(281′)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 안내부(282′)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이며,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부(282′)의 상호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은, 하측 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시킨 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또한 후술하는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도 4 참조)이 끼워져 들어가는 끼워맞춤부와, 하측 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최대로 퇴행 이동시킨 퇴행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며 또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이 맞닿는 맞닿음부와, 이들 끼워맞춤부 및 맞닿음부가 연속되도록 접속하는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안내부는, 하측 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끼워맞춤부로부터 베이스(21′) 에 대하여 격리되도록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진 후, 베이스(21′) 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져 맞닿음부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안내부는, 하측 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맞닿음부로부터 베이스(21′) 에 대하여 격리되도록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져 끼워맞춤부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측 페달(28′)의 제1 요동 지지축(28a′)으로부터의 직경 바깥 방향의 길이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통로 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 최대 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 폭보다도 작은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측 페달(29′)은,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기단부에 제2 요동 지지축(29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2 요동 지지축(29a′) 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되는 양태로 베이스(21′)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페달(29′)의 선단부는,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직경 바깥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제2 요동 지지축(29a′) 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한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측 페달(29′)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측 페달(29′)과 베이스(21′) 사이에는 상측 페달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 상측 페달 스프링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상측 페달(29′)이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 페달(29′)에는, 누름 경사면(291′), 오목부(292′), 스토퍼 맞닿음부(293′) 및 돌기부(294′)가 마련되어 있다. 누름 경사면(291′)은, 상측 페달(29′)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페달(29′)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퇴행 이동시킨 경우에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향해서 점차 낮아지는 양태로 형성된 만곡형의 경사면이다. 오목부(292′)는, 상측 페달(29′)의 배면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측 페달(29′)의 양 측면에 개구되는 양태로 형성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줄의 오목부이다. 스토퍼 맞닿음부(293′)는, 후술하는 스토퍼 핀이 맞닿는 부위이며, 상측 페달(29′)의 배면에 있어서 오목부(292′)의 위쪽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94′)는, 상측 페달(29′)의 기단부에 있어서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향해서 돌출된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측 페달(29′)은, 상기 상측 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서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퇴행 이동하도록 압박되고 있는데, 상기 오목부(292′)에 스토퍼 핀이 맞닿음으로써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퇴행 이동한 상태로 초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 페달(29′)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최대로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요동 지지축(29a′)을 통과하는 수직면에 대하여 앞으로 기운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측 페달(29′)의 제2 요동 지지축(29a′)으로부터의 직경 바깥 방향의 길이는, 상술한 앞으로 기운 상태에 있어서, 통로 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 최대 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 폭보다도 작은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1′)에 있어서는,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의 사이에는 스토퍼 핀(도시하지 않음), 페달 스토퍼 핀(34b′) 및 스토퍼축(34c′)이 가설되어 있다.
스토퍼 핀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축 형상 부재이다. 이 스토퍼 핀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 핀은, 초기 위치에 있는 상측 페달(29′)의 오목부(292′)에 맞닿고 있다.
페달 스토퍼 핀(34b′)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축 형상 부재이다. 이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다.
스토퍼축(34c′)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회동 스토퍼(36′)를 지승하고 있다.
회동 스토퍼(36′)는, 기단부의 삽통 구멍에 스토퍼축(34c′)을 삽입 관통시키며 또한 이 스토퍼축(34c′) 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회동 스토퍼(36′)의 선단부는, 스토퍼축(34c′)의 직경 바깥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스토퍼축(34c′) 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한 경우에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이 회동 스토퍼(36′)는, 선단부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페달 조작축(361′)(도 4 참조)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페달 조작축(361′)을 갖고 있다. 페달 조작축(361′)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양단부가 상기 하측 페달(28′)의 안내 홈에 끼워져 들어가 있다.
상기 회동 스토퍼(36′)와 베이스(21′) 사이에는 페달 조작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 페달 조작 스프링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회동 스토퍼(36′)를 진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향해서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 스프링에 의해서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압박되고, 상기 회동 스토퍼(36′)의 오목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진입하여 이 페달 스토퍼 핀(34b′)에 맞닿음으로써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으며,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측 페달(28′)이 하측 페달 스프링(28b′)에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축(361′)의 양끝이 안내 홈의 끼워맞춤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측 페달(28′)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위치에 초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페달 링크(35′)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판 형상 부재이며, 상부가 후방으로 향해서 굴곡된 후에 위쪽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 페달 링크(35′)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향해서 연장된 후에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맞닿음편(351′)이 마련됨과 더불어, 링크 스프링(35a′)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35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링크 스프링(35a′)은, 페달 링크(35′)와 베이스(21′)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 페달 링크(35′)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페달 링크(35′)가 링크 스프링(35a′)에 의해서 압박되어 아래쪽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에 퇴행 위치에 배치된 상측 페달(29′)의 오목부(292′)가 맞닿고 있다. 게다가 페달 스토퍼 핀(34b′)에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가 맞닿고 있어,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상기 하측 페달(28′)의 끼워맞춤부에 끼워져 들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진출 위치에 배치된 하측 페달(28′)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가 위쪽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에 상측 페달(29′)의 스토퍼 맞닿음부(293′)가 맞닿음으로써, 상측 페달(29′)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상측 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측 페달(29′)이 진출 이동하여 진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스토퍼 핀(34b′) 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기 때문에, 스토퍼축(34c′)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여기서, 회동 스토퍼(36′)에는 이 회동 스토퍼(36′)에 의해서 진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하측 페달(28′)에 맞닿은 상품의 하중이 걸리고 있고,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시작되면 페달 조작축(361′)이 하측 페달(28′)의 끼워맞춤부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하측 페달(28′)은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이 허용되어 상품의 하중에 의해서 하측 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퇴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측 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 하측 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매진 링크(50)의 제2 매진 맞닿음부로부터 격리되는 결과, 제2 매진 링크(5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에서는, 접촉자(27a)가 스프링에 압박되어 기립한 자세가 됨으로써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하측 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도 상품 있음 대기 자세와 마찬가지로, 제2 매진 링크(50)가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의 접촉자(27a)를 누르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하네스 가이드(25)를 가이드 부재로 하여 상호 등을 맞대고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품 불출 장치(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 구동 유닛(40)을 구성하는 제1 링크 레버(461)는, 선단부가 페달 링크(35)의 맞닿음편(351)의 아래쪽 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제2 링크 레버(462)는, 선단부가 페달 링크(35′)의 맞닿음편(351′)의 아래쪽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도 20은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의 특징적인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품 불출 장치(20)는 불출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불출 제어부(60)는, 메모리(61)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서 상품 불출 장치(2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자동판매기의 판매 동작을 통괄하는 자판기 제어부(100)와 통신 가능한 것이다. 이 불출 제어부(60)가 실시하는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상품 불출 장치(20)에서는, 대기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수납된 상품을「제1 상품」이라고도 부르고,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수납된 상품을 「제2 상품」이라고도 부르면서 설명한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설치된 구동 유닛(40)에서는, 출력 기어(443)의 캠부(443a) 및 누름편(443b)이 가장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누르고 있다. 이 경우, 캐리어 스위치(45)는 온 상태가 된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는, 구동 유닛(40)을 구성하는 제1 링크 레버(461)의 선단부(461b)가 페달 링크(35)의 맞닿음편(35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격리된 위치에 있고, 제2 링크 레버(462)의 선단부(462b)가 페달 링크(35′)의 맞닿음편(35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격리된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페달 링크(35)가 아래쪽으로 배치된 상태에 있다. 또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투입된 상품에 의해 하측 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놓임으로써 하측 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측 페달(29)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부터 퇴행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도 23의 (a) 참조]. 이와 같이 하측 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이기 때문에,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는 접촉자(26a)가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서는, 페달 링크(35′)가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로 있고, 하측 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측 페달(29′)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부터 퇴행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도 24의 (a) 참조]. 이와 같이 하측 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이기 때문에,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는 접촉자(27a)가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 불출 장치(20)에서는, 불출 제어부(60)가 자판기 제어부(100)로부터 주어진 제1 상품의 반출 지령을 입력 처리한 경우에는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 기어(443)의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는 눌린 상태에서 개방되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오프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부여한다.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 위쪽으로부터 맞닿으면, 제1 링크 레버(461)는,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1 링크 레버(4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선단부(461b)가 위쪽으로 향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단부(461b)가 위쪽으로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페달 링크(35)의 맞닿음편(351)에 맞닿아,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를 위쪽으로 향해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구나 캠부(443a)가 기단부(461a)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페달 링크(35)를 소정 거리만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링크 레버(461)는, 캠부(443a)와 미끄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캠부(443a)와 미끄럼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면("가")이 자신의 중심축[제1 링크축(42e)의 중심축]과 출력 기어(443)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나")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조정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 핀(34a)은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 24c2)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토퍼 핀(34a)이 상측 페달(29)의 오목부(292)의 가장자리 벽에 맞닿으면서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23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측 페달(29)은 상측 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에서 진출 이동한다. 이 상측 페달(29)의 진출 이동은, 스토퍼 핀(34a)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토퍼 핀(34a)이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상단부에 도달한 시점에서 스토퍼 맞닿음부(293)에 맞닿아 상측 페달(29)의 퇴행을 규제한다.
그리고, 진출 이동한 상측 페달(29)은, 최하위에서 2번째의 제1 상품(이하, 다음 상품이라고도 함)에 맞닿아, 다음 상품이 아래쪽으로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진출 위치에 유지되고 있는 하측 페달(28)에 맞닿은 상품의 하중이 걸리고 있기 때문에,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을 시작하면, 페달 조작축(361)이 끼워맞춤부(283a)로부터 빠져나가, 상품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하측 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측 페달(28)이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끼워맞춤부(283a)로부터 빠져나온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제1 안내부(283b)를 따라, 제1 안내부(283b)와 제2 안내부(283c)가 교차하는 위치로 향해서 이동한다.
이후, 도 23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최하위 상품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측 페달(28)이 퇴행 이동하고, 최하위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최하위 상품은 아래쪽으로 반출된다(도 8 참조). 반출된 상품은, 상품 슈터(5)를 통하여 상품 반출구(3c)에 안내되고, 또한 상품 추출구(2a)를 통해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최하위 상품이 하측 페달(28)을 빠져나오면, 하측 페달(28)은 하측 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서 진출 위치로 향하여 이동함과 더불어, 회동 스토퍼(36)도 페달 조작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서 진출 위치로 향하여 이동한다. 하측 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면, 제1 안내부(283b)와 제2 안내부(283c)가 교차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페달 조작축(361)이 끼워맞춤부(283a)로 향해서 제2 안내부(283c)를 따라서 이동하여, 하측 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로 복귀한다.
이 사이, 페달 링크(35)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스토퍼 핀(34a)이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또한 페달 스토퍼 핀(34b)이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 24c2)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와 기단부(462a)의 맞닿음이 해제되면, 링크 스프링(35a)에 페달 링크(35)는 압박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페달 링크(35)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 핀(34a)은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 24c2)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이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23b4, 24c2)의 하단으로 이동하면 진출 위치로 복귀한 회동 스토퍼(36)의 배면 측의 오목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맞닿는다. 이에 따라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도 23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은 하측 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의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까지 복귀한다. 이 결과,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부여한다.
한편, 상측 페달(29)은, 상측 페달 스프링에 압박되어, 스토퍼 핀(34a)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퇴행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그 후 상기 다음 상품은 진출 이동한 하측 페달(28)에 맞닿아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도 23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은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하여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구동 유닛(40)에서는, 출력 기어(443)의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을 따른 회전에 의해, 그 후에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제2 링크 레버(462)는, 걸림부(462c)가 좌측 개구의 우측 가장자리부(472)에 맞닿아 있음으로써,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그 때문에, 기단부(462a)가 걸림부(462c)에 근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걸림부(462c)는 탄성 변형하여,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한 캠부(443a)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후에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대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눌러 캐리어 스위치(45)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부여하게 된다. 또한,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누른 직후에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서 벗어나 제2 링크 레버(462)는 걸림부(462c)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 후, 불출 제어부(60)가 모터(43)를 구동 정지로 하게 한다.
한편,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서는, 불출 제어부(60)가 자판기 제어부(100)로부터 주어진 제2 상품의 반출 지령을 입력 처리한 경우에는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 기어(443)의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는 눌린 상태에서 개방되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 오프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부여한다.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위쪽에서 맞닿으면, 제2 링크 레버(462)는,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2 링크 레버(46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선단부(462b)가 위쪽으로 향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단부(462b)가 위쪽으로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페달 링크(35′)의 맞닿음편(351′)에 맞닿아,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를 위쪽으로 향해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더구나 캠부(443a)가 기단부(462a)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페달 링크(35′)를 소정 거리만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링크 레버(462)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캠부(443a)와 미끄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캠부(443a)와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이 자신의 중심축[제2 링크축(42f)의 중심축]과 출력 기어(443)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조정되고 있다.
이 페달 링크(35′)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 핀은 위쪽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페달 스토퍼 핀(34b′)도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토퍼 핀이 상측 페달(29′)의 오목부(292′)의 가장자리 벽에 맞닿으면서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24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측 페달(29′)은, 상측 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에서 진출 이동한다. 이 상측 페달(29′)의 진출 이동은 스토퍼 핀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토퍼 핀이 스토퍼 핀 삽통 구멍의 상단부에 도달한 시점에서 스토퍼 맞닿음부(293′)에 맞닿아 상측 페달(29′)의 퇴행을 규제한다.
그리고, 진출 이동한 상측 페달(29′)은, 최하위에서 2번째의 제2 상품(이하, 다음 상품이라고도 함)에 맞닿아, 다음 상품이 아래쪽으로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진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하측 페달(28′)에 맞닿은 상품의 하중이 걸리고 있기 때문에,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을 시작하면, 페달 조작축(361′)이 끼워맞춤부에서 빠져나와, 상품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하측 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측 페달(28′)이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끼워맞춤부에서 빼져나온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제1 안내부를 따라서,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가 교차하는 위치로 향해서 이동한다.
이후, 도 24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최하위 상품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측 페달(28′)이 퇴행 이동하고, 최하위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최하위 상품은 아래쪽으로 반출된다. 반출된 상품은, 상품 슈터(5)를 통하여 상품 반출구(3c)에 안내되고, 또한 상품 추출구(2a)를 통해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최하위 상품이 하측 페달(28′)을 빠져나오면, 하측 페달(28′)은 하측 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서 진출 위치로 향하여 이동함과 더불어, 회동 스토퍼(36′)도 페달 조작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서 진출 위치로 향하여 이동한다. 하측 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면,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페달 조작축(361′)이 끼워맞춤부로 향해서 제2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여, 하측 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로 복귀한다.
그 후,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와 기단부(462a)의 맞닿음이 해제되면, 링크 스프링(35a′)에 페달 링크(35′)는 압박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페달 링크(35′)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 핀은 아래쪽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페달 스토퍼 핀(34b′)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이 페달 스토퍼 핀 지지 홈의 하단으로 이동하면 진출 위치로 복귀한 회동 스토퍼(36′)의 배면 측의 오목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맞닿는다. 이에 따라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도 24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은 하측 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의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품 없음 대기 자세까지 복귀한다. 이 결과,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부여한다.
한편, 상측 페달(29′)은, 상측 페달 스프링에 압박되어, 스토퍼 핀(34b′)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퇴행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그 후 상기 다음 상품은 진출 이동한 하측 페달(28′)에 맞닿아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도 24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측 페달(28′)은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하여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구동 유닛(40)에서는, 출력 기어(443)의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을 따른 회전에 의해, 그 후에 캠부(443a)가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제1 링크 레버(461)는, 걸림부(461c)가 우측 개구의 좌측 가장자리부(471)에 맞닿고 있음으로써,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그 때문에, 기단부(461a)가 걸림부(461c)에 근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걸림부(461c)는 탄성 변형하여,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한 캠부(443a)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후에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대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눌러 캐리어 스위치(45)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60)에 부여하게 된다. 그 후, 불출 제어부(60)가 모터(43)를 구동 정지로 하게 한다.
도 25는 상기 불출 제어부(60)가 자판기 제어부(100)로부터 제1 상품의 반출 지령을 받은 경우에 실시하는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한편, 이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는, 상술한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한 제1 상품의 반출 작동과 동시에 행해지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반출 작동과는 나눠서 설명한다.
이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101), 메모리(61)에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지 여부, 그리고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102, 단계 S103, 단계 S104).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102: 아니오, 단계 S103: 아니오, 단계 S104: 예), 즉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제1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여(단계 S105), 상기 단계 S102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고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102: 아니오, 단계 S103: 예), 즉 소정 시간이 경과했지만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106).
이 상기 단계 S106에 있어서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을 정지시킨 불출 제어부(60)는, 단계 S103에서의 소정 시간 경과 내에 단계 S105의 제1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했는지 여부에 관해서 판단한다(단계 S107). 이 단계 S107에서 단계 S105의 제1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7: 예),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켜(단계 S108), 상기 단계 S102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107에 있어서 단계 S105의 제1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07: 아니오), 메모리(61)에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109, 단계 S110).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109: 아니오, 단계 S110: 예), 즉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제1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고(단계 S111),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켜(단계 S112), 상기 단계 S102의 처리를 행한다.
상기 단계 S102에 있어서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102: 예), 즉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다음 처리를 실시한다.
즉, 불출 제어부(60)는, 상기 단계 S105 또는 상기 단계 S111에서 제1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13: 예),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114),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이번의 제1 상품의 반출 지령에 따라서 제1 상품이 확실하게 반출됨으로써 상품 불출 장치(20)로부터 불출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불출 제어부(60)는, 상기 단계 S105 또는 상기 단계 S111에서 제1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13: 아니오),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을 계속하게 하여 상기 단계 S102의 처리를 행한다.
그런데, 상기 단계 S109 및 단계 S110에 있어서,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고서 대기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109: 예, 단계 S110: 아니오), 즉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 되지 않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재시행 처리(1)를 실시한다(단계 S200).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재시행 처리(1)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재시행 처리(1)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켜,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201, 단계 S202). 이와 같이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흐름도에서는 명시하지 않지만, 이러한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에도,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
이 결과,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202: 예),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203), 모터(43)를 재차 정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204).
그리고, 불출 제어부(60)는,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지 여부, 그리고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205, 단계 S206, 단계 S207).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205: 아니오, 단계 S206: 아니오, 단계 S207: 예), 즉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제1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고(단계 S208), 상기 단계 S205의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205: 예), 즉 소정 시간 내에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봤을 때 방향으로 1 회전하는 경우, 모터(43)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에 재시행이 성공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209, 단계 S210),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1)를 종료한다.
한편,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단계 S205: 아니오, 단계 S206: 예), 불출 제어부(60)는, 문제점이 생긴 것으로 하여 재시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211),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1)를 종료한다.
이러한 재시행 처리(1)를 실시한 불출 제어부(60)는, 재시행이 성공한 경우(단계 S115: 예),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단계 S116),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재시행이 실패한 경우(단계 S115: 아니오), 불출 제어부(60)는 복귀 처리(1)를 실시한다(단계 S220).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복귀 처리(1)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복귀 처리(1)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켜,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221, 단계 S222). 이와 같이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킬 때, 적어도 출력 기어(443)의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맞닿은 상태, 즉 캠부(443a)가 기단부(462a)를 통과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모터(43)를 역회전 구동하더라도 제2 링크 레버(462)에 악영향[제2 상품 반출 장치(20b)로부터 제2 상품을 반출하는 것]을 미치게 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222: 예),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223),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복귀 처리(1)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복귀 처리(1)를 실시한 불출 제어부(60)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의 제1 상품에 관해서는 매진된 것으로 하여 매진 판정을 하여(단계 S117), 그 취지를 자판기 제어부(100)에 출력하거나 하고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제1 상품은 매진된 것으로 하여 매진 램프 등이 점등되어, 상기 제1 상품의 판매를 중지로 할 수 있다.
도 28은 상기 불출 제어부(60)가 자판기 제어부(100)로부터 제2 상품의 반출 지령을 받은 경우에 실시하는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한편, 이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는, 상술한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한 제2 상품의 반출 작동과 동시에 행해지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반출 작동과는 나눠서 설명한다.
이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켜(단계 S121), 메모리(61)에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지 여부, 그리고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122, 단계 S123, 단계 S124).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122: 아니오, 단계 S123: 아니오, 단계 S124: 예), 즉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제2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고(단계 S125), 상기 단계 S122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고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122: 아니오, 단계 S123: 예), 즉 소정 시간이 경과했지만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126).
이 상기 단계 S126에 있어서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킨 불출 제어부(60)는, 단계 S123에서의 소정 시간 경과 내에 단계 S125의 제2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했는지 여부에 관해서 판단한다(단계 S127). 이 단계 S127에 있어서 단계 S125의 제2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27: 예),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128), 상기 단계 S122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127에 있어서 단계 S125의 제2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27: 아니오), 메모리(61)에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129, 단계 S130).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129: 아니오, 단계 S130: 예), 즉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제2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여(단계 S131),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132), 상기 단계 S122의 처리를 행한다.
상기 단계 S122에 있어서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122: 예), 즉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다음 처리를 실시한다.
즉, 불출 제어부(60)는, 상기 단계 S125 또는 상기 단계 S131에서 제2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33: 예),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134),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이번의 제2 상품의 반출 지령에 따라서 제2 상품이 확실하게 반출됨으로써 상품 불출 장치(20)로부터 불출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불출 제어부(60)는, 상기 단계 S125 또는 상기 단계 S131에서 제2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33: 아니오),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을 계속하게 하여 상기 단계 S122의 처리를 행한다.
그런데, 상기 단계 S129 및 단계 S130에 있어서,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고서 대기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129: 예, 단계 S130: 아니오), 즉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지 않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재시행 처리(2)를 실시한다(단계 S300).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재시행 처리(2)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재시행 처리(2)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켜,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301, 단계 S302). 이와 같이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이 흐름도에서는 명시하지 않지만, 이러한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에도,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
이 결과,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302: 예),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303), 모터(43)를 재차 역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304).
그리고, 불출 제어부(60)는,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지 여부, 그리고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305, 단계 S306, 단계 S307).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305: 아니오, 단계 S306: 아니오, 단계 S307: 예), 즉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하측 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불출 제어부(60)는 제2 상품의 반출이 행해졌다고 판정하고(단계 S308), 상기 단계 S305의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305: 예), 즉 소정 시간 내에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1 회전하는 경우, 모터(43)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에 재시행이 성공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309, 단계 S310),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2)를 종료한다.
한편,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단계 S305: 아니오, 단계 S306: 예), 불출 제어부(60)는 문제점이 생긴 것으로 하여 재시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311),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2)를 종료한다.
이러한 재시행 처리(2)를 실시한 불출 제어부(60)는, 재시행이 성공한 경우(단계 S135: 예),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단계 S136),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재시행이 실패한 경우(단계 S135: 아니오), 불출 제어부(60)는 복귀 처리(2)를 실시한다(단계 S320).
도 30은 도 28에 도시한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복귀 처리(2)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복귀 처리(2)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켜,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321, 단계 S322). 이와 같이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진 경우(단계 S322: 예), 불출 제어부(60)는,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323),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복귀 처리(2)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복귀 처리(2)를 실시한 불출 제어부(60)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의 제2 상품에 관해서는 매진된 것으로 하여 매진 판정을 하여(단계 S137), 그 취지를 자판기 제어부(100)에 출력하거나 하고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제2 상품은 매진된 것으로 하여 매진 램프 등이 점등되고, 상기 제2 상품의 판매를 중지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불출 제어부(60)가, 자판기 제어부(100)로부터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의 반출 지령을 받아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또는 제2 상품 반출 장치(20b)가 구동하는 경우에,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 또는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가 온 상태가 되어 온 신호가 주어짐으로써 상품 수납 통로(13)로부터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이 반출되었음을 판정하기 때문에, 상품의 불출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이 불출되었음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의 불출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수납 통로(13)에서의 상품의 재고 관리 혹은 상품 수납 통로(13)의 상품의 매상 관리에 있어서의 오차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고, 더구나 상품 구입자와의 사이에서 상품의 불출에 관한 문제 등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불출 제어부(60)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내에 대기 위치로부터 회전시킨 출력 기어(443)가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내에 매진 검지 스위치(26, 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질 때는 상기 설정 시간의 경과 후에도 출력 기어(443)를 계속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단계 S108, 단계 S128 참조),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을 불출한 후에, 출력 기어(44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상품 또는 제1 상품을 불출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불출 제어부(60)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내에 대기 위치로부터 회전시킨 출력 기어(443)가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내에 매진 검지 스위치(26, 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을 때에는 출력 기어(443)의 회전을 정지시켜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내에 매진 검지 스위치(26, 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때문에, 설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도 대기 시간 분만큼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이 불출되었음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불출 제어부(60)가, 상기 대기 시간 내에 매진 검지 스위치(26, 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에 출력 기어(443)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단계 S112, 단계 S132 참조),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을 불출한 후에, 출력 기어(44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상품 또는 제1 상품을 불출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불출 제어부(60)는, 상기 대기 시간 내에 매진 검지 스위치(26, 27)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 기어(44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재시행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의 불출을 재차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불출 제어부(60)가,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 경우에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의 반출을 판정하고 있지 않을 때는, 모터(43)의 정회전 구동 또는 역회전 구동을 계속하게 하기 때문에(단계 S113, 단계 S133 참조),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출력 기어(443)가 대기 위치로 복귀하더라도 제1 상품 또는 제2 상품의 반출을 판정하고 있지 않을 때는, 모터(43)를 구동시키고 나서 하측 페달(28, 28′)이 한 번도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지 않음을 의미하고 있으며, 하측 페달(28, 28′)이 상품 수납 통로(13)로부터 퇴행 이동한 자세로 유지되어 상기 상품 수납 통로(13)의 상품이 아래쪽으로 계속해서 반출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모터(43)의 구동을 유지하게 하여 하측 페달(28, 28′) 및 상측 페달(29, 29′)을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재차 진퇴 이동시킴으로써, 상품 수납 통로(13)의 상품이 다수 불출되는 것을 피하고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가,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43)와, 반출 지령이 주어진 경우에 반출 지령에 따라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모터(43)로부터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유닛(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반출 기구의 수에 대하여 구동원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구나,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모터(43)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이 짝수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전후로 나란하게 설치된 상품 수납 랙(10)뿐만 아니라, 홀수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전후로 나란하게 설치된 상품 수납 랙(10)에 대하여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전후에 인접되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불출 제어부(60)가, 대기 위치로부터 일방향 혹은 타방향으로 향해서 회전시킨 출력 기어(443)가 소정 시간 내에 대기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 기어(443)를 타방향 혹은 일방향으로 향해서 회전시켜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처리 (1) 및 복귀 처리 (2)를 행하기 때문에, 출력 기어(443)를 대기 위치에 위치하게 하여, 판매를 중지한 상품 이외의 상품의 판매에 대비할 수 있다. 즉,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 중 어느 한쪽의 상품이 판매 중지로 되어도 다른 쪽은 상품의 반출을 계속하게 할 수 있어, 상품 수납 통로(13)마다에 대응한 세심한 운용을 할 수 있게 되어, 판매 기회의 일탈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구동원인 모터(43)가 직류 모터이기 때문에, 지역 전압이나 주파수 변동에 영향을 받기 어렵고, 여러 위치에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 및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만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도 전후로 인접되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만 전장부가 배치되므로 하네스를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집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상품 불출 판정 처리 및 제2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 단계 S103 및 단계 S123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한 번 모터(43)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나서 단계 S107 및 단계 S127의 판단을 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반출 있음이라고 판정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반출 있음이라고 판정하지 않는 경우에만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대기 시간 내에 제1 매진 검지 스위치(26) 또는 제2 매진 검지 스위치(27)로부터의 온 신호가 주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품 불출 판정 처리에 있어서, 모터를 구동시키고 나서 미리 정해진 금지 시간 내에는 매진 검지 스위치로부터의 온 신호의 입력을 금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1: 본체 캐비닛, 4: 상품 수용고, 10: 상품 수납 랙, 13: 상품 수납 통로, 20: 상품 불출 장치, 20a: 제1 상품 반출 장치, 20b: 제2 상품 반출 장치, 26: 제1 매진 검지 스위치, 27: 제2 매진 검지 스위치, 28: 하측 페달, 29: 상측 페달, 35: 페달 링크, 40: 구동 유닛, 41: 유닛 베이스, 42: 유닛 커버, 43: 모터, 44: 기어 부재, 443: 출력 기어(출력 부재), 45: 캐리어 스위치, 46: 링크 레버, 60: 불출 제어부, 61: 메모리

Claims (4)

  1.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서 수납하는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하측 페달의 선단부가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하측 페달과,
    상기 하측 페달보다도 위쪽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상측 페달의 선단부가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측 페달
    을 가지고,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키면서 상기 하측 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상기 하측 페달이 상면에 최하위의 상품이 놓여 제1 대기 자세가 됨으로써 상기 상품이 아래쪽으로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측 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최하위에서 2번째의 상품에 맞닿게 하면서 상기 하측 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킴으로써 최하위의 상품을 아래쪽으로 향해서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를 구비한 상품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측 페달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상면에 상품이 놓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대기 자세보다도 상기 하측 페달의 상기 선단부가 위쪽에 위치하는 제2 대기 자세로 되는 것이고,
    상기 하측 페달이 상기 제2 대기 자세로 되는 경우에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하측 페달이 상기 제2 대기 자세 이외의 것으로 되는 경우에 제2 상태가 되는 매진 검지 스위치와,
    상기 상품 반출 장치가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상품이 불출되었음을 판정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 부재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또한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반출 장치가 대기 상태가 되게 하는 한편,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반출 장치를 구동시키는 출력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상품이 불출되었음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불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회전시킨 상기 출력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될 때에는 상기 설정 시간의 경과 후에도 상기 출력 부재를 계속해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출력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켜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불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대기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출력 부재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상기 대기 시간 내에 상기 매진 검지 스위치가 제1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 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불출 장치.
KR1020177014443A 2014-12-18 2015-11-10 상품 불출 장치 KR102458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6560 2014-12-18
JP2014256560 2014-12-18
PCT/JP2015/081537 WO2016098485A1 (ja) 2014-12-18 2015-11-10 商品払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160A true KR20170094160A (ko) 2017-08-17
KR102458025B1 KR102458025B1 (ko) 2022-10-21

Family

ID=5612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443A KR102458025B1 (ko) 2014-12-18 2015-11-10 상품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40838B2 (ko)
JP (1) JP6341297B2 (ko)
KR (1) KR102458025B1 (ko)
CN (1) CN107004328B (ko)
WO (1) WO20160984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0061A1 (it) * 2021-04-21 2022-10-21 Am Automatic Machines S R L Distributore automatico di articol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143A (ko) * 1979-01-29 1983-05-23 작끄 스트락 특히 배출 밸브가 두 개인 실린더로 구성된 내연기관용 유체 냉각 순환식 머쉬룸 벨브하우징 및 그 설치 방법
JPH11283096A (ja) * 1998-03-30 1999-10-15 Sanden Corp 商品搬出装置
KR20010051947A (ko) * 1999-11-26 2001-06-25 다카노 야스아키 자동 판매기의 상품 인출 장치
JP2001188953A (ja) 1999-12-28 2001-07-1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20020069100A (ko) * 2001-02-22 2002-08-29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9882A (en) * 1943-09-21 1945-02-20 John B Brock Vending machine
US4423828A (en) * 1981-07-20 1984-01-03 Fuji Electric Company, Ltd. Goods discharge mechanism and goods storage and discharge system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S59229696A (ja) * 1983-06-10 1984-12-24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S6324529Y2 (ko) * 1984-12-28 1988-07-05
ES2066697B1 (es) * 1992-12-29 1995-08-16 Azkoyen Ind Sa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columnas expendedoras automaticas de productos.
US5511690A (en) * 1993-05-20 1996-04-30 Medical Laboratory Automation, Inc. Automated feeder system and apparatus
JP2868057B2 (ja) * 1993-09-27 1999-03-10 株式会社クボタ 直積み式商品払出装置
JP2001283312A (ja) * 2000-03-31 2001-10-12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2358565A (ja) * 2001-06-04 2002-12-13 Kubota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CN1267865C (zh) * 2003-02-21 2006-08-02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搬出装置
JP2007148552A (ja) * 2005-11-24 2007-06-1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01086794A (zh) * 2006-06-07 2007-12-12 富士电机零售设备系统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搬出装置
JP5621430B2 (ja) * 2010-09-10 2014-11-12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2221245A (ja) * 2011-04-08 2012-11-1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143A (ko) * 1979-01-29 1983-05-23 작끄 스트락 특히 배출 밸브가 두 개인 실린더로 구성된 내연기관용 유체 냉각 순환식 머쉬룸 벨브하우징 및 그 설치 방법
JPH11283096A (ja) * 1998-03-30 1999-10-15 Sanden Corp 商品搬出装置
KR20010051947A (ko) * 1999-11-26 2001-06-25 다카노 야스아키 자동 판매기의 상품 인출 장치
JP2001188953A (ja) 1999-12-28 2001-07-1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20020069100A (ko) * 2001-02-22 2002-08-29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0061A1 (it) * 2021-04-21 2022-10-21 Am Automatic Machines S R L Distributore automatico di artico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1297B2 (ja) 2018-06-13
US10540838B2 (en) 2020-01-21
US20170256118A1 (en) 2017-09-07
KR102458025B1 (ko) 2022-10-21
JPWO2016098485A1 (ja) 2017-09-21
CN107004328B (zh) 2019-07-19
CN107004328A (zh) 2017-08-01
WO2016098485A1 (ja)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382A (ko) 상품 반출 장치
KR20160102384A (ko) 상품 반출 장치
KR20160102385A (ko) 상품 반출 장치
KR20160084364A (ko) 상품 불출 장치
KR20160102383A (ko) 상품 불출 장치
KR20170088852A (ko) 상품 불출 장치
KR20170094160A (ko) 상품 불출 장치
JP6409547B2 (ja) 商品払出装置
JP6610750B2 (ja) 商品払出装置
JP5810785B2 (ja) 商品収納装置
KR20170087891A (ko) 상품 불출 장치
JP6485115B2 (ja) 商品払出装置
JP6221755B2 (ja) 商品搬出装置
JP2017126278A (ja) 商品搬出装置
JP6209970B2 (ja) 商品搬出装置
JP6447241B2 (ja) 商品払出装置
JP5810786B2 (ja) 商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