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385A - 상품 반출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반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385A
KR20160102385A KR1020167005678A KR20167005678A KR20160102385A KR 20160102385 A KR20160102385 A KR 20160102385A KR 1020167005678 A KR1020167005678 A KR 1020167005678A KR 20167005678 A KR20167005678 A KR 20167005678A KR 20160102385 A KR20160102385 A KR 2016010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roduct
stopper
link
receiv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594B1 (ko
Inventor
미치히코 마키노
요시오 야사카
노리오 나카지마
츠토무 이와코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375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17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8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214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82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4849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03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48495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0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supported individually on pivotally-mounted flaps or shel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배설된 하페달(28) 및 상페달(29)과, 하페달(28)과 상페달(29)을 연계하는 페달 링크(35)에 결합되고,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페달 스토퍼 핀(34b)과, 하페달(28)에 선단부가 연계되어 하페달(28)과 함께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 회동 스토퍼(36)를 구비한 상품 반출 장치(20a, 20b)에 있어서,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상품 수납 통로(13)와는 반대측을 덮는 가림부(36c)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품 반출 장치{PRODUCT-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적용되고,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된 상품을 적절히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서는, 자동 판매기 본체인 본체 캐비닛의 내부의 상품 수용고에 상품 수납 랙이 설치된다. 상품 수납 랙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와, 상품 수납 통로의 하부에 배설된 상품 반출 장치를 갖고 있다.
상품 반출 장치는, 하페달, 상페달, 페달 스토퍼 핀, 회동 스토퍼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페달은,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상페달은, 하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페달 스토퍼 핀은, 하페달과 상페달을 연계하는 페달 링크에 결합되고, 상기 페달 링크의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페달 링크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액추에이터인 AC 솔레노이드에 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가 됨으로써 상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회동 스토퍼는, 하페달에 선단부가 연계되어 상기 하페달과 함께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AC 솔레노이드가 비통전 상태가 되어 페달 링크가 하방향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며, 또한 회동 스토퍼가 페달 스토퍼 핀에 의해 퇴행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품이 하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상품의 반출 지령이 주어진 경우,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페달 링크가 상방향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하여 최하위로부터 2번째의 상품에 접촉하며, 또한 회동 스토퍼가 페달 스토퍼 핀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여 최하위의 상품을 하측을 향하여 반출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 외에, 가림판이 배설되어 있다. 가림판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평판형 부재이고, 페달 스토퍼 핀의 상품 수납 통로와는 반대측을 덮는 것으로, 상품의 도난 방지성을 향상시키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90927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상품 반출 장치의 수, 즉 상품 수납 통로만큼 가림판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자동 판매기에는 복수의 상품 수납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품 수납 통로의 수만큼 가림판을 필요로 하는 것은, 부품 개수의 증대에 따라, 제조 비용의 증대화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난 방지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상품 반출 장치는,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는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 하페달과, 상기 하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 상페달과, 상기 하페달과 상기 상페달을 연계하는 페달 링크에 결합되고, 상기 페달 링크의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페달 스토퍼 핀과, 상기 하페달에 선단부가 연계되어 상기 하페달과 함께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 회동 스토퍼를 구비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페달 링크가 하방향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며, 또한 상기 회동 스토퍼가 상기 페달 스토퍼 핀에 의해 퇴행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품이 하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 링크가 상방향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하여 최하위로부터 2번째의 상품에 접촉하며, 또한 상기 회동 스토퍼가 상기 페달 스토퍼 핀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여 최하위의 상품을 하측을 향하여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 스토퍼는, 상기 페달 스토퍼 핀의 상기 상품 수납 통로와는 반대측을 덮는 가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형성된 개구의 근방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페달은, 상기 대기 상태에 있어서, 상면에 최하위의 상품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제1 대기 자세가 되어 상기 상품이 하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대기 자세보다 상기 선단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하페달이 상기 제1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하페달이 상기 제2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 또는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상품의 유무를 검지하는 품절 검지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 스토퍼가, 페달 스토퍼 핀의 상품 수납 통로와는 반대측을 덮는 가림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가림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행하면서 도난 방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난 방지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상품 반출 장치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끝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상품 불출 장치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상품 불출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품절 검지 스위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 상품 반출 장치를 구성하는 회동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구동 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상품 반출 장치에서의 구동 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좌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베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2 상품 반출 장치를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배선 커버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배선 커버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구동 유닛의 주요부의 동작을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구동 유닛의 주요부의 동작을 후방 정면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1 상품 반출 장치에 제2 상품 반출 장치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2 품절 링크의 경사 안내면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페달 링크의 접촉편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상품 반출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상품 반출 장치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끝단면 측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에서 판매하는 것으로, 본체 캐비닛(1), 외부 도어(2) 및 내부 도어(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체 캐비닛(1)은, 복수의 강판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전면이 개구된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 단열 구조의 상품 수용고(4)를 갖고 있다. 외부 도어(2)는,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본체 캐비닛(1)의 한쪽 가장자리에 개폐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 외부 도어(2)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상품 선택 버튼, 지폐 삽입 통과구, 주화 투입구, 반환 레버, 일체 표시기, 주화 반환구, 상품 취출구(2a) 등등, 상품을 판매할 때에 필요해지는 것이 형성된다. 내부 도어(3)는, 상품 수용고(4)의 전면 개구를 덮기 위한 상하 2분할된 단열 도어이고, 외부 도어(2)보다 내측이 되는 위치에서 상부 단열 도어(3a)는 외부 도어(2)의 한쪽 가장자리에 개폐 가능하게 배설되고, 하부 단열 도어(3b)는 본체 캐비닛(1)의 한쪽 가장자리에 개폐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 내부 도어(3)에서의 하부 단열 도어(3b)의 하측부에는, 상품을 상품 수용고(4)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상품 반출구(3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 판매기에는, 상품 수용고(4)의 내부에 상품 슈트(chute)(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품 슈트(5)보다 하측이 되는 영역(이하, 「열교환 영역」이라고도 함)에 온도 조절 유닛(6)이 배설되는 한편, 상품 슈트(5)보다 상측이 되는 영역(이하, 「상품 수납 영역」이라고도 함)에 상품 수납 랙(10)이 배설된다.
상품 슈트(5)는, 상품 수납 랙(10)으로부터 반출된 상품을 내부 도어(3)의 상품 반출구(3c)로 안내하기 위한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전방측을 향하여 점차 하측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배설된다.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이 상품 슈트(5)에는, 열교환 영역과 상품 수납 영역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공(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천공된다.
온도 조절 유닛(6)은, 상품 수용고(4)의 내부 분위기를 원하는 온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6a), 전열 히터(6b) 및 송풍 팬(6c)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온도 조절 유닛(6)에 있어서는, 예컨대 냉동 사이클을 운전한 상태에서 송풍 팬(6c)을 구동하면, 증발기(6a)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품 슈트(5)의 통기공을 통하여 상측으로 송급되기 때문에, 상품 수납 영역을 저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열 히터(6b)에 통전한 상태에서 송풍 팬(6c)을 구동하면, 전열 히터(6b)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품 슈트(5)의 통기공을 통하여 상측으로 송급되기 때문에, 상품 수납 영역을 고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 밸브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모두 상품 수용고(4)의 외부가 되는 기계실(7)에 배설된다.
상기 상품 수납 랙(10)은, 전후 3열로 늘어서도록 배설되어 있고, 한쌍의 베이스 측판(11) 사이에 통로 구성 요소(12)가 배설됨으로써 상하 방향을 따라 사행형으로 구성된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구비하고, 이들 상품 수납 통로(13)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수납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로 구성 요소(12)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적절히 배설된 것으로서, 베이스 측판(1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각 상품 수납 랙(10)에 있어서는, 2개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서로 전후로 인접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하나의 상품 수납 랙(10)에 있어서, 전방측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라고도 하며, 후방측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라고도 한다.
또한, 통로 구성 요소(12)에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은 플래퍼가 설치된다. 플래퍼는,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통로 구성 요소(12)에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 플래퍼는,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박되어 통상 상태에서는 상품 수납 통로(13)에 진출 이동한 자세가 된다. 그리고, 상품 수납 통로(13)를 통과하는 상품에 접촉함으로써 자체은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사행형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따르도록 퇴행 이동하여 상기 상품의 자세를 수정하는 것이다.
상기 상품 수납 랙(10)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상부에 톱 트레이(14)가 설치되는 한편, 상품 수납 통로(13)의 하부에 상품 불출 장치(20)가 설치된다.
톱 트레이(14)는, 평판형의 판금을 굴곡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점차 하측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베이스 측판(11) 사이에 배설된다. 이러한 톱 트레이(14)의 상면은,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상품을 상품 수납 통로(13)까지 안내하는 상품 안내 통로(15)를 구성한다.
도 2∼도 4는, 각각 도 1에 나타낸 상품 불출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는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좌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 불출 장치(20)는, 한쪽의 상품 반출 장치(이하, 제1 상품 반출 장치라고도 함)(20a)와, 다른쪽의 상품 반출 장치(이하, 제2 상품 반출 장치라고도 함)(20b)를 구비하고, 이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가 서로 배면을 맞대어 감싸안기며, 또한 배선 커버(80)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들 도 2∼도 4에 있어서는, 상품 불출 장치(20)를 구성하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 모두 상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고, 그 후에 제2 상품 반출 장치(20b), 배선 커버(80)에 관해 설명한다.
도 6∼도 8은, 각각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들 도 6∼도 8도 적절히 이용하면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의 하부에 배설된다. 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대향하는 통로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거동을 제어함으로써, 대기 상태에서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상품을 수납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상품을 1개씩 상품 슈트(5)로 반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베이스(21)를 구비한다.
베이스(21)는, 강판에 절삭 가공 및 굴곡 가공을 실시하여 구성된 것으로, 자체의 표면을 통로폭 규정판(16)에 대향시키는 양태로 배설된다. 이 베이스(21)는, 양측부가 굴곡됨으로써 측벽(21a)이 형성되는 한편, 중간부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이 형성된다.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는 측벽(21a)과 마찬가지로 굴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된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서로 좌우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하 치수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에서는, 제1 삽통 구멍(22)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에 위치하고고, 제1 삽통 구멍(22)의 좌우폭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우폭보다 큰 것이다. 또한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서로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관통 개구(후술하는 하페달(28) 및 상페달(29)을 베이스(21) 내로 퇴행시키는 오목부)이고, 제1 삽통 구멍(22)의 상단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상단부가 우측으로 돌출된다.
제1 삽통 구멍(22)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제1 좌측 베어링편(22a)이 설치되며, 또한 제1 삽통 구멍(22)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제1 우측 베어링편(22b)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제2 좌측 베어링편(23a)이 설치되며, 또한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이 설치된다. 또한, 제1 좌측 베어링편(22a)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은,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에 형성한 플랜지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우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좌측 베어링편(23a)은, 후술하는 베어링부(24)를 감합 유지하는 곳의, 베이스(21)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횡단면 'ㄷ'자형(불연속)으로 형성된 베어링 유지부에서의 'ㄷ'자형의 양다리편을 이루는 축 삽통 플랜지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 베어링 유지부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으로 이루어지는 큰 관통 개구를 베이스(21)에 형성한 경우에도 베이스(21)의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21)에는, 베어링부(24) 및 품절 검지 스위치(25)가 장착된다. 베어링부(24)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1 우측 베어링편(22b)과 제2 좌측 베어링편(23a) 사이에 끼워져 있다.
품절 검지 스위치(25)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품절 검지부(25a)와 제2 품절 검지부(25b)가 전후로 늘어서도록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배설된다. 이 품절 검지 스위치(25)는, 소위 푸시형 스위치이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기립하도록 압박된 2개의 접촉자(251, 252)를 구비한다. 이러한 품절 검지 스위치(25)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촉자(251) 및 제2 접촉자(252)가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 상태가 되어 오프 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도 10의 (b) 혹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촉자(251) 및 제2 접촉자(252) 중 어느 한쪽이 가압되어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경우에는, 온 상태가 되어 온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품절 검지 스위치(25)는, 제1 접촉자(251) 및 제2 접촉자(252)가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오프 상태가 되는 한편, 제1 접촉자(251) 및 제2 접촉자(252) 중 어느 한쪽이 가압되어 변위하는 경우에 온 상태가 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품절 검지 스위치는, 제1 접촉자 및 제2 접촉자가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 한편, 제1 접촉자 및 제2 접촉자가 가압되어 변위하는 경우에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제1 요동 지지축(28a) 및 제2 요동 지지축(29a)이 설치된다. 제1 요동 지지축(28a)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태로 베이스(21)나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공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형 부재이고, 그 중간부에 하페달(28)을 지탱한다.
또한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단부에는, 제1 품절 링크(30)가 배설된다. 제1 품절 링크(3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품절 기초부(31)와 제1 품절 가압부(3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제1 품절 기초부(31)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단부를 관통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된 이형상 부위이다. 제1 품절 가압부(32)는, 제1 품절 기초부(31)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면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 품절 기초부(31)에 형성된 관통부는,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 품절 링크(30)가 제1 요동 지지축(28a)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요동 지지축(29a)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상측 영역에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태로 베이스(21)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공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형 부재이고, 그 중간부에 상페달(29)을 지탱한다.
하페달(28)은,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기단부에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배설된다.
하페달(28)의 선단부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페달(28)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하페달(28)과 베이스(21) 사이에는, 하페달 스프링(28b)이 개재된다. 하페달 스프링(28b)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하페달(28)을 진출 이동하는 방향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페달 스프링(28b)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없음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하페달 스프링(28b)은, 하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과 동등한 높이 레벨에 위치하도록 하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있음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페달(28)은,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될 때보다 선단부가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도 9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품절 링크(30)에서의 제1 품절 기초부(3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접촉부에 접촉하는 결과, 제1 품절 링크(30)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품절 가압부(32)가 품절 검지 스위치(25)의 제1 접촉자(25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품절 검지 스위치(25)에서는, 제1 접촉자(251)가 가압되어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고, 온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품절 링크(30)의 접촉부로부터 이격되는 결과, 제1 품절 링크(30)는 프리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품절 검지 스위치(25)에서는, 제1 접촉자(251)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고, 오프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게 된다. 즉, 프리한 상태가 된 제1 품절 링크(30)는, 제1 품절 가압부(32)가 제1 접촉자(251)에 가압됨으로써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페달(28)은, 판형의 페달 본체부(281)와, 한쌍의 안내부(282)를 구비한다. 한쌍의 안내부(282)는, 상기 페달 본체부(281)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각 안내부(28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 부재이고,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각 안내부(282)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안내 홈(283)이 형성된다.
안내 홈(283)은, 하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며, 또한 후술하는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되는 감입부(283a)와, 하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퇴행 이동시킨 퇴행 위치에 배치한 상태(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며, 또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이 접촉하는 접촉부(283d)와, 이들 감입부(283a) 및 접촉부(283d)가 연속되도록 접속하는 제1 안내부(283b) 및 제2 안내부(283c)를 구비한다.
제1 안내부(283b)는, 하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감입부(283a)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비스듬한 상측으로 경사진 후, 베이스(21)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비스듬한 상측으로 경사져 접촉부(283d)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된다.
제2 안내부(283c)는, 하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접촉부(283d)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비스듬한 하측으로 경사져 감입부(283a)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된다.
이러한 하페달(28)의 제1 요동 지지축(28a)으로부터의 직경 외측 방향의 길이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통로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 최대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폭보다 작은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설정된다.
상페달(29)은,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기단부에 제2 요동 지지축(29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베이스(21)에 배설된다.
상페달(29)의 선단부는,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페달(29)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상페달(29)과 베이스(21) 사이에는, 상페달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상페달 스프링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상페달(29)이 퇴행 이동하는 방향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상기 상페달(29)에는, 가압 경사면(291), 오목부(292), 스토퍼 접촉부(293) 및 돌기부(294)가 형성된다. 가압 경사면(291)은, 상페달(29)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페달(29)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퇴행 이동시킨 경우에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를 향하여 점차 낮아지는 양태로 형성된 만곡형의 경사면이다. 오목부(292)는, 상페달(29)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페달(29)의 양측면으로 개구되는 양태로 형성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1줄의 오목부이다. 스토퍼 접촉부(293)는, 후술하는 스토퍼 핀(34a)이 접촉하는 부위이고, 상페달(29)의 배면에 있어서 오목부(292)의 상측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형성된다.
돌기부(294)는, 상페달(29)의 기단부에 있어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를 향하여 돌출된 양태로 형성된다.
이 상페달(29)은, 상기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퇴행 이동하도록 압박되어 있지만, 상기 오목부(292)에 스토퍼 핀(34a)이 접촉함으로써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퇴행 이동한 상태로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이러한 상페달(29)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제2 요동 지지축(29a)을 통과하는 연직면에 대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페달(29)의 제2 요동 지지축(29a)으로부터의 직경 외측 방향의 길이는, 전술한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통로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 최대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폭보다 작은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베이스(21)에 있어서는,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는, 스토퍼 핀(34a), 페달 스토퍼 핀(34b) 및 스토퍼 축(34c)이 가설된다.
스토퍼 핀(34a)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된 축형 부재이다. 이 스토퍼 핀(34a)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 핀(34a)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페달(29)의 오목부(292)에 접촉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된 축형 부재이다. 이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다.
스토퍼 축(34c)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된 축형 부재이다. 이 스토퍼 축(34c)은, 그 중간부에 회동 스토퍼(36)를 지탱한다.
회동 스토퍼(36)는, 기단부의 삽통 구멍에 스토퍼 축(34c)을 삽입 관통시키며, 또한 이 스토퍼 축(34c)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배설된다.
회동 스토퍼(36)의 선단부는, 스토퍼 축(34c)의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스토퍼 축(34c)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회동 스토퍼(36)는, 선단부의 관통공(36a)을 페달 조작축(361)이 관통하는 것인, 상기 페달 조작축(361)을 갖고 있다. 페달 조작축(361)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된 축형 부재이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하페달(28)의 안내 홈(283)에 감입된다.
상기 회동 스토퍼(36)와 베이스(21) 사이에는, 페달 조작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페달 조작 스프링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회동 스토퍼(36)를 진출 이동시키는 방향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 스프링에 의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방향을 향하여 압박되고, 상기 회동 스토퍼(36)의 패임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진입하여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에 접촉함으로써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하페달(28)이 하페달 스프링(28b)에 의해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축(361)의 양끝이 안내 홈(283)의 감입부(283a)에 위치하고, 하페달(28)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위치에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 스토퍼(36)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배면측, 즉 패임부(36b)의 배면측에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평판형의 가림부(36c)가 설치된다. 이 가림부(36c)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와 반대측의 부분을 덮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부(36c)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와 반대측의 부분을 덮는 것이다.
상기 페달 링크(35)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척의 판형 부재이고, 상부가 전방을 향하여 굴곡된 후에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상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에 비스듬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편(351)이 설치됨과 동시에, 링크 스프링(35a)을 거는 걸림부(352)가 설치된다. 이 링크 스프링(35a)은, 페달 링크(35)와 베이스(21)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 페달 링크(35)를 하측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페달 링크(35)가 링크 스프링(35a)에 의해 압박되어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34a)에, 퇴행 위치에 배치된 상페달(29)의 오목부(292)가 접촉한다. 더구나 페달 스토퍼 핀(34b)에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가 접촉하고,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상기 하페달(28)의 감입부(283a)에 감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진출 위치에 배치된 하페달(28)의 퇴행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대하여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가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핀(34a)에 상페달(29)의 스토퍼 접촉부(293)가 접촉함으로써, 상페달(29)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페달(29)이 진출 이동하여 진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스토퍼 핀(34b)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기 때문에, 스토퍼 축(34c)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여기서, 회동 스토퍼(36)에는 상기 회동 스토퍼(36)에 의해 진출 위치에 유지되는 하페달(28)에 접촉한 상품의 하중이 가해지고 있고,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 것에 의해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개시한다.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개시되면 페달 조작축(361)이 하페달(28)의 감입부(283a)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하페달(28)은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이 허용되어 상품의 하중에 의해 하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퇴행 이동하게 된다(도 8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이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품절 링크(30)의 제1 품절 접촉부(283d)로부터 이격되는 결과, 제1 품절 링크(30)는 프리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품절 검지 스위치(25)에서는, 제1 접촉자(251)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됨으로써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도 상품 있음 대기 자세와 마찬가지로, 제1 품절 링크(30)가 품절 검지 스위치(25)의 제1 접촉자(251)를 가압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상기 구성 외에, 구동 유닛(40), 커버 플래퍼(50), 레버 부재(60)를 구비한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의 구동 유닛(4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2는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좌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구동 유닛(40)은, 베이스(21)의 배면측 상부의 중앙 영역에 배설된다. 이 구동 유닛(40)은, 베이스(21)의 배면에 부착되는 유닛 베이스(42)를 구비한다.
유닛 베이스(42)는, 예컨대 수지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후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유닛 베이스(42)는, 수지제의 유닛 커버(41)가 부착됨으로써 후면의 개구가 폐색되어, 유닛 커버(41)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닛 베이스(42)와 유닛 커버(4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는, 모터(43), 기어 부재(44), 캐리어 스위치(45) 및 링크 레버(46)가 수납된다.
모터(43)는, 구동원이 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직류 모터이다. 이 모터(43)는, 유닛 베이스(42)의 모터 유지부(41a)에 유지된 상태로 배설된다.
기어 부재(44)는, 웜 기어(441), 중간 기어(442) 및 출력 기어(44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웜 기어(441)는, 웜(441a)과 웜 휠(441b)을 갖고 있다.
웜(441a)은, 원통형의 형태를 이루고, 모터(43)의 출력축(43a)에 부착된다. 웜 휠(441b)은, 원판형의 제1 웜 휠(441b1)과, 원판형의 제2 웜 휠(441b2)을 갖고 있다.
제1 웜 휠(441b1)은 중심 부분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주위면에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제2 웜 휠(441b2)은, 제1 웜 휠(441b1)의 전면측에 위치하고, 자체의 중심축이 제1 웜 휠(441b1)의 축형상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축형상부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 제2 웜 휠(441b2)의 주위면에도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웜 휠(441b)은, 제1 웜 휠(441b1)의 기어부가 웜(441a)에 맞물린 상태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2) 및 유닛 커버(41)의 오목부(41b, 42b)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다.
중간 기어(442)는, 원판형의 제1 중간 기어(442a)와, 원판형의 제2 중간 기어(442b)를 갖고 있다. 제1 중간 기어(442a)는 중심 부분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주위면에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제2 중간 기어(442b)는, 제1 중간 기어(442a)의 후면측에 위치하고, 자체의 중심축이 제1 중간 기어(442a)의 축형상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축형상부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 제2 중간 기어(442b)의 주위면에도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간 기어(442)는, 제1 중간 기어(442a)의 기어부가 제2 웜 휠(441b2)의 기어부에 맞물린 상태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2) 및 유닛 커버(41)의 오목부(41c, 42c)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다.
출력 기어(443)는, 웜 휠(441b)이나 중간 기어(442)에 비하여 직경 확장이 되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이 출력 기어(443)의 주위면에도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또한, 출력 기어(443)의 중심 부분에는 전후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된다. 또한, 출력 기어(443)는, 전면에 캠부(443a)가 형성되며, 또한 후면에 가압편(443b)이 형성된다.
캠부(443a)는, 원호형의 형태를 이루고,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 캠부(443a)는, 그 원호형의 길이가 페달 링크(35)를 상측을 향하여 이동시킨 후에 그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된다.
가압편(443b)은,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있고, 캠부(443a)와 반대측의 면이 되는 후면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출력 기어(443)는, 기어부가 제2 중간 기어(442b)의 기어부에 맞물린 상태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2) 및 유닛 커버(41)의 오목부(41d, 42d)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다.
캐리어 스위치(45)는, 소위 푸시형 스위치이고, 접촉자(45a)를 구비한다. 이 캐리어 스위치(45)는, 출력 기어(443)가 배설되는 영역보다 약간 상측에 유지된 상태로 유닛 베이스(42)에 배설된다. 이 캐리어 스위치(45)는, 접촉자(45a)가 가압되면 온 상태가 되고, 그 취지를 온 신호로서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인 한편, 접촉자(45a)가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가 되고, 그 취지를 오프 신호로서 제어부에 부여하는 것이다.
링크 레버(46)는, 제1 링크 레버(461) 및 제2 링크 레버(46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링크 레버(461)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단부(461a)에 관통공(461a1)이 형성된다. 이 제1 링크 레버(461)는, 선단부(461b)가 기단부(461a)로부터 우측 비스듬한 하측으로 연장된 후에 우측 비스듬한 상측으로 만곡된 훅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는, 걸림부(461c)가 설치된다. 걸림부(461c)는, 기단부(461a)의 좌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형의 탄성 부재이다.
이러한 제1 링크 레버(461)는, 기단부(461a)의 관통공(461a1)에 유닛 커버(41)에 설치된 제1 링크축(42e)이 삽입 관통함으로써 출력 기어(443)의 전방측에 있어서 제1 링크축(42e)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 경우, 제1 링크 레버(461)는, 유닛 베이스(42) 및 유닛 커버(41)에 의해 형성되는 우측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관통하고, 선단부(461b)가 유닛 베이스(42) 및 유닛 커버(41)의 외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링크 레버(461)는, 우측 개구의 좌측 가장자리(471)에 걸림부(461c)가 접촉함으로써 통상 상태에서의 자세가 결정된다.
제2 링크 레버(462)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단부(462a)에 관통공(462a1)이 형성된다. 이 제2 링크 레버(462)는, 선단부(462b)가 기단부(462a)로부터 좌측 비스듬한 하측으로 연장된 후에 좌측 비스듬한 상측으로 만곡된 훅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제2 링크 레버(462)의 선단부(462b)는, 제1 링크 레버(461)의 선단부(461b)보다 전후폭이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는 걸림부(462c)가 설치된다. 걸림부(462c)는, 기단부(462a)의 우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형의 탄성 부재이다.
이러한 제2 링크 레버(462)는, 기단부(462a)의 관통공(462a1)에 유닛 커버(41)에 설치된 제2 링크축(42f)이 삽입 관통함으로써 출력 기어(443)의 전방측에 있어서 제2 링크축(42f)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 경우, 제2 링크 레버(462)는, 유닛 베이스(42) 및 유닛 커버(41)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관통하고, 선단부(461b)가 유닛 베이스(42) 및 유닛 커버(41)의 외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링크 레버(462)는, 좌측 개구의 우측 가장자리(472)에 걸림부(462c)가 접촉함으로써 통상 상태에서의 자세가 결정된다.
커버 플래퍼(5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폭이 베이스(21)의 좌우폭보다 약간 작은 것으로,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장척형 부재이다. 이 커버 플래퍼(50)에는, 중앙 부분의 상단부에 제1 설편형 부위(51)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설편형 부위(51)보다 좌측에 제2 설편형 부위(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설편형 부위(51)에는 절단기립부(切起部)(5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플래퍼(50)는, 제1 설편형 부위(51)가 베이스(2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1 축지지공(211)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관통하여 절단기립부(51a)가 베이스(21)의 배면에 접촉하며, 또한 제2 설편형 부위(52)가 베이스(21)의 좌측에 형성된 제2 축지지공(212)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관통함으로써,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한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러한 커버 플래퍼(50)는, 상페달(29)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를 향하여 진출 이동할 때에, 상기 상페달(29)에 가압되어 진출 이동하는 것이며, 상페달(29)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부터 퇴행 이동할 때에, 상기 상페달(29)과 함께 퇴행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설편형 부위(52)는, 제2 축지지공(212)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전방에서 보아 커버 플래퍼(50)가 제1 설편형 부위(5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한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를 구성하는 베이스(21)에 있어서는, 커버 플래퍼(50)가 배설되는 개소보다 상측, 즉 상페달(29)보다 상측 영역에서는,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의 근방이 되는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213)가 형성된다.
레버 부재(60)는, 베이스(21)의 우측 상단부의 레버 개구(214)를 관통한 상태에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21)의 배면측에서의 레버 개구(21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레버 걸림편(215)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 부재(6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걸림편(215)에 가설된 축부(61)의 축심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 레버 부재(60)와 베이스(21) 사이에는, 축부(61)를 권취하는 양태로 레버 스프링(62)이 개재되어 있고, 이러한 레버 스프링(62)에 의해 압박되어 레버 부재(60)는, 통상 상태에서는 선단부(461b)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도 16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제2 상품 반출 장치를 전방에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7은,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와 공통되어 있고,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전후의 방향이 상이함으로써 좌우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시를 적절히 생략하고,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구성 요소 중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와 공통되는 것에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 부여한 부호에 「'」를 붙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의 하부에 배설된다. 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대향하는 통로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거동을 제어함으로써, 대기 상태에서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상품을 수납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상품을 1개씩 상품 슈트(5)로 반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베이스(21')를 구비한다.
베이스(21')는, 강판에 절삭 가공 및 굴곡 가공을 실시하여 구성된 것으로, 자체의 표면을 통로폭 규정판(17)에 대향시키는 양태로 배설된다. 이 베이스(21')는, 양측부가 굴곡됨으로써 측벽(21a')이 형성되는 한편, 중간부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이 형성된다.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는 측벽(21a')과 마찬가지로 굴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된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서로 좌우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하 치수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에서는, 제1 삽통 구멍(22')이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에 위치하고, 제1 삽통 구멍(22')의 좌우폭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우폭보다 큰 것이다. 또한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서로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관통 개구(후술하는 하페달(28') 및 상페달(29')을 베이스(21') 내로 퇴행시키는 오목부)이고, 제1 삽통 구멍(22')의 상단부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상단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삽통 구멍(22')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제1 우측 베어링편(22a')이 설치되며, 또한 제1 삽통 구멍(22')의 좌측 가장자리(471)에는 제1 좌측 베어링편(22b')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이 설치되며, 또한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 가장자리(471)에는, 제2 좌측 베어링편(23b')이 설치된다. 또한, 제1 좌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은,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에 형성한 플랜지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좌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은, 후술하는 베어링부(24')를 감합 유지하는 곳의, 베이스(21')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횡단면 'ㄷ'자형(불연속)으로 형성된 베어링 유지부에서의 'ㄷ'자형의 양다리편을 이루는 축 삽통 플랜지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 베어링 유지부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으로 이루어지는 큰 관통 개구를 베이스(21')에 형성한 경우에도 베이스(21')의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21')에는 베어링부(24')가 장착된다. 베어링부(24')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1 좌측 베어링편(22b')과 제2 우측 베어링편(23a')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제1 요동 지지축(28a') 및 제2 요동 지지축(29a')이 설치된다. 제1 요동 지지축(28a')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태로 베이스(21')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공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형 부재이고, 그 중간부에 하페달(28')을 지탱한다.
또한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단부에는, 제2 품절 링크(70)가 배설된다. 제2 품절 링크(7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품절 기초부(71)와 제2 품절 가압부(7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제2 품절 기초부(71)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단부를 관통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된 이형상 부위이다. 제2 품절 가압부(72)는, 제2 품절 기초부(71)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면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품절 기초부(71)에 형성된 관통부는,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품절 링크(70)가 제1 요동 지지축(28a')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품절 링크(70)에 있어서는, 제2 품절 기초부(71)의 상단 부분에는, 경사 안내면(73)이 형성된다. 경사 안내면(73)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으로 경사, 즉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근접함에 따라 점차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제2 품절 링크(70)는, 품절 검지 스위치(25)를 제1 품절 링크(30)와 전후에서 끼워넣도록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품절 검지 스위치(25)는, 제1 품절 링크(30)와 제2 품절 링크(70)에 전후로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제2 요동 지지축(29a')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태로 베이스(21')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공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형 부재이고, 그 중간부에 상페달(29')을 지탱한다.
하페달(28')은,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기단부에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배설된다.
하페달(28')의 선단부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페달(28')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하페달(28')과 베이스(21') 사이에는, 하페달 스프링(28b')이 개재된다. 하페달 스프링(28b')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하페달(28')을 진출 이동하는 방향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페달 스프링(28b')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없음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하페달 스프링(28b')은, 하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하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과 동등한 높이 레벨에 위치하도록 하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있음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페달(28')은,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될 때보다 선단부가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도 9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품절 링크(70)에서의 제2 품절 기초부(7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접촉부에 접촉하는 결과, 제2 품절 링크(70)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품절 가압부(72)가 품절 검지 스위치(25)의 제2 접촉자(252)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품절 검지 스위치(25)에서는, 제2 접촉자(252)가 가압되어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고, 온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품절 링크(70)의 접촉부로부터 이격되는 결과, 제2 품절 링크(70)는 프리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품절 검지 스위치(25)에서는, 제2 접촉자(252)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고, 오프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게 된다. 즉, 프리한 상태가 된 제2 품절 링크(70)는, 제2 품절 가압부(72)가 제2 접촉자(252)에 가압됨으로써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페달(28')은, 판형의 페달 본체부(281')와, 한쌍의 안내부(282')를 구비한다. 한쌍의 안내부(282')는, 상기 페달 본체부(281')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각 안내부(28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 부재이고,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각 안내부(282')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 홈이 형성된다.
안내 홈은, 하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며, 또한 후술하는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도시하지 않음)이 감입되는 감입부와, 하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퇴행 이동시킨 퇴행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며, 또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이 접촉하는 접촉부와, 이들 감입부 및 접촉부가 연속되도록 접속하는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를 구비한다.
제1 안내부는, 하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감입부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비스듬한 상측으로 경사진 후, 베이스(21')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비스듬한 상측으로 경사져 접촉부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된다.
제2 안내부는, 하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접촉부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비스듬한 하측으로 경사져 감입부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된다.
이러한 하페달(28')의 제1 요동 지지축(28a')으로부터의 직경 외측 방향의 길이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통로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 최대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폭보다 작은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설정된다.
상페달(29')은,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기단부에 제2 요동 지지축(29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베이스(21')에 배설된다.
상페달(29')의 선단부는,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페달(29')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상페달(29')과 베이스(21') 사이에는, 상페달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상페달 스프링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상페달(29')이 퇴행 이동하는 방향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상기 상페달(29')에는, 가압 경사면(291'), 오목부(292'), 스토퍼 접촉부(293') 및 돌기부(294')가 형성된다. 가압 경사면(291')은, 상페달(29')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페달(29')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퇴행 이동시킨 경우에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를 향하여 점차 낮아지는 양태로 형성된 만곡형의 경사면이다. 오목부(292')는, 상페달(29')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페달(29')의 양측면으로 개구되는 양태로 형성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1줄의 오목부이다. 스토퍼 접촉부(293')는, 후술하는 스토퍼 핀이 접촉하는 부위이고, 상페달(29')의 배면에 있어서 오목부(292')의 상측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형성된다.
돌기부(294')는, 상페달(29')의 기단부에 있어서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를 향하여 돌출된 양태로 형성된다.
이 상페달(29')은, 상기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퇴행 이동하도록 압박되어 있지만, 상기 오목부(292')에 스토퍼 핀이 접촉함으로써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퇴행 이동한 상태로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이러한 상페달(29')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요동 지지축(29a')을 통과하는 연직면에 대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페달(29')의 제2 요동 지지축(29a')으로부터의 직경 외측 방향의 길이는, 전술한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통로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 최대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폭보다 작은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베이스(21')에 있어서는,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는, 스토퍼 핀(도시하지 않음), 페달 스토퍼 핀(34b') 및 스토퍼 축(34c')이 가설된다.
스토퍼 핀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된 축형 부재이다. 이 스토퍼 핀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 핀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페달(29')의 오목부(292')에 접촉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된 축형 부재이다. 이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다.
스토퍼 축(34c')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된 축형 부재이고, 그 중간부에 회동 스토퍼(36')를 지탱한다.
회동 스토퍼(36')는, 기단부의 삽통 구멍에 스토퍼 축(34c')을 삽입 관통시키며, 또한 이 스토퍼 축(34c')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배설된다.
회동 스토퍼(36')의 선단부는, 스토퍼 축(34c')의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스토퍼 축(34c')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회동 스토퍼(36')는, 선단부의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을 페달 조작축(도시하지 않음)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페달 조작축을 갖고 있다. 페달 조작축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된 축형 부재이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하페달(28')의 안내 홈에 감입된다.
상기 회동 스토퍼(36')와 베이스(21') 사이에는, 페달 조작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페달 조작 스프링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회동 스토퍼(36')를 진출 이동시키는 방향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 스프링에 의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방향을 향하여 압박되고, 상기 회동 스토퍼(36')의 패임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진입하여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에 접촉함으로써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하페달(28')이 하페달 스프링(28b')에 의해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축의 양끝이 안내 홈의 감입부에 위치하고, 하페달(28')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위치에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 스토퍼(36')에는, 그 배면측, 즉 패임부(36b')의 배면측에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평판형의 가림부(36c')가 설치된다. 이 가림부(36c')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와 반대측의 부분을 덮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부(36c')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와 반대측의 부분을 덮는 것이다.
상기 페달 링크(35')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척의 판형 부재이고, 상부가 후방을 향하여 굴곡된 후에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에 비스듬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편(351')이 설치됨과 동시에, 링크 스프링(35a')을 거는 걸림부(352')가 설치된다. 이 링크 스프링(35a')은, 페달 링크(35')와 베이스(21')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 페달 링크(35')를 하측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페달 링크(35')가 링크 스프링(35a')에 의해 압박되어 하측의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에 퇴행 위치에 배치된 상페달(29')의 오목부(292')가 접촉한다. 더구나 페달 스토퍼 핀(34b')에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가 접촉하고,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은 상기 하페달(28')의 감입부에 감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진출 위치에 배치된 하페달(28')의 퇴행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대하여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가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에 상페달(29')의 스토퍼 접촉부(293')가 접촉함으로써, 상페달(29')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페달(29')이 진출 이동하여 진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스토퍼 핀(34b')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기 때문에, 스토퍼 축(34c')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여기서, 회동 스토퍼(36')에는 상기 회동 스토퍼(36')에 의해 진출 위치에 유지되는 하페달(28')에 접촉한 상품의 하중이 가해지고 있고,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 것에 의해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개시한다.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개시되면 페달 조작축이 하페달(28')의 감입부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하페달(28')은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이 허용되어 상품의 하중에 의해 하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퇴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품절 링크(70)의 제2 품절 접촉부로부터 이격되는 결과, 제2 품절 링크(70)는 프리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품절 검지 스위치(25)에서는, 제2 접촉자(252)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됨으로써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도 상품 있음 대기 자세와 마찬가지로, 제2 품절 링크(70)가 품절 검지 스위치(25)의 제2 접촉자(252)를 가압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상기 구성 외에, 커버 플래퍼(50'), 레버 부재(60')를 구비한다.
커버 플래퍼(50')는, 도 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폭이 베이스(21')의 좌우폭보다 약간 작은 것으로,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장척형 부재이다. 이 커버 플래퍼(50')에는, 중앙 부분의 상단부에 제1 설편형 부위(51')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설편형 부위(51')보다 우측에 제2 설편형 부위(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설편형 부위(51')에는 절단기립부(5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플래퍼(50')는, 제1 설편형 부위(51')가 베이스(2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1 축지지공(211')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관통하여 절단기립부(51a')가 베이스(21')의 전면에 접촉하며, 또한 제2 설편형 부위(52')가 베이스(21')의 우측에 형성된 제2 축지지공(212')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관통함으로써,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한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러한 커버 플래퍼(50')는, 상페달(29')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를 향하여 진출 이동할 때에, 상기 상페달(29')에 가압되어 진출 이동하는 것이며, 상페달(29')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부터 퇴행 이동할 때에, 상기 상페달(29')과 함께 퇴행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설편형 부위(52')는, 제2 축지지공(212')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후방에서 보아 커버 플래퍼(50')가 제1 설편형 부위(5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한다.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구성하는 베이스(21')에 있어서는, 커버 플래퍼(50')가 배설되는 개소보다 상측, 즉 상페달(29')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는,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의 근방이 되는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213')가 형성된다.
레버 부재(60')는, 베이스(21')의 우측 상단부의 레버 개구(214')를 관통한 상태에서,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21')의 배면측에서의 레버 개구(21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레버 걸림편(215')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 부재(60')는, 도 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걸림편(215')에 가설된 축부(61')의 축심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다. 이 레버 부재(60')와 베이스(21') 사이에는, 축부(61')를 권취하는 양태로 레버 스프링(62')이 개재되어 있고, 이러한 레버 스프링(62')에 의해 압박되어 레버 부재(60')는, 통상 상태에서는 선단부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배선 커버(80)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하단부끼리에 걸치는 양태로 배설된다. 이 배선 커버(80)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탄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부착되는 품절 검지 스위치(25)나 구동 유닛(40) 등의 기기의 배선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선 커버(80)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 끼워진 베어링부(24')의 하단부(241')를 진입시켜 걺과 동시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단부(241')의 전방측에 규제부(81)를 갖고 있다. 이 규제부(81)는, 배선 커버(80)에 진입하는 베어링부(24')의 하단부(241')가 전방을 향하여 변위, 즉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상품 불출 장치(20)에 있어서는, 대기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설치된 구동 유닛(40)에 있어서는, 출력 기어(443)의 캠부(443a) 및 가압편(443b)이 가장 상측에 위치하고, 가압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가압한다. 이 경우, 캐리어 스위치(45)는 온 상태가 된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는, 구동 유닛(40)을 구성하는 제1 링크 레버(461)의 선단부(461b)가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고, 제2 링크 레버(462)의 선단부(462b)가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달 링크(35)가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 있다. 또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투입된 상품에 의해 하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적재됨으로써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페달(29)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부터 퇴행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이기 때문에, 품절 검지 스위치(25)(제1 품절 검지부(25a))는 제1 접촉자(251)가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서는, 페달 링크(35')가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 있고,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페달(29')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부터 퇴행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이기 때문에, 품절 검지 스위치(25)(제2 품절 검지부(25b))는 제2 접촉자(252)가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수납된 상품(이하, 「제1 상품」이라고도 함)의 반출 지령이 제어부로부터 주어진 경우에는, 상품 불출 장치(2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모터(43)가 정회전 구동함으로써,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이 전달된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 기어(443)의 가압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는 가압된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면,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레버(461)가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1 링크 레버(4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선단부(461b)가 상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단부(461b)가 상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에 접촉하고, 페달 링크(35)가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측을 향하여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고, 더구나 캠부(443a)가 기단부(461a)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페달 링크(35)를 소정 거리만큼 상측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링크 레버(461)는,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 상기 캠부(443a)와의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가)이 자체의 중심축(제1 링크축(42e)의 중심축)과 출력 기어(443)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나)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조정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 핀(34a)은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페달 스토퍼 핀(34b)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토퍼 핀(34a)이 상페달(29)의 오목부(292)의 가장자리벽에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페달(29)은,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진출 이동한다. 이 상페달(29)의 진출 이동은, 스토퍼 핀(34a)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스토퍼 핀(34a)이 소정의 상단부에 도달한 시점에서 스토퍼 접촉부(293)에 접촉하여 상페달(29)의 퇴행을 규제한다.
그리고, 진출 이동한 상페달(29)은, 최하위로부터 2번째의 제1 상품(이하, 다음 상품이라고도 함)에 접촉하여, 다음 상품이 하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진출 위치에 유지되는 하페달(28)에 접촉한 상품의 하중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 것에 의해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을 개시하면,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부(283a)로부터 빠지고, 상품의 자중에 의해 하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페달(28)이 퇴행 이동을 개시한다. 감입부(283a)로부터 빠진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제1 안내부(283b)를 따라, 제1 안내부(283b)와 제2 안내부(283c)가 교차하는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후, 최하위의 상품의 자중에 의해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고, 최하위의 상품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최하위의 상품은 하측으로 반출된다(도 8 참조). 반출된 상품은, 상품 슈트(5)를 통하여 상품 반출구(3c)로 안내되고, 또한 상품 취출구(2a)를 통해 취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최하위의 상품이 하페달(28)을 빠져나가면,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진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회동 스토퍼(36)도 페달 조작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진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하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면, 제1 안내부(283b)와 제2 안내부(283c)가 교차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부(283a)를 향하여 제2 안내부(283c)를 따라 이동하고, 하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로 복귀한다.
이 동안, 페달 링크(35)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스토퍼 핀(34a)이 소정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또한 페달 스토퍼 핀(34b)이 소정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와 기단부(461a)의 접촉이 해제되면, 링크 스프링(35a)에 페달 링크(35)는 압박되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페달 링크(35)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 핀(34a)은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페달 스토퍼 핀(34b)은 하측으로 이동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진출 위치로 복귀한 회동 스토퍼(36)의 배면측의 패임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의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까지 복귀한다.
한편, 상페달(29)은, 상페달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어, 스토퍼 핀(34a)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퇴행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 상품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그 후 상기 다음 상품은 진출 이동한 하페달(28)에 접촉하여 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하페달(28)은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하여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구동 유닛(40)에서는, 출력 기어(443)의 전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을 따른 회전에 의해, 그 후에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링크 레버(462)는, 걸림부(462c)가 좌측 개구의 우측 가장자리(472)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기단부(462a)가 걸림부(462c)에 근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걸림부(462c)는 탄성 변형하여,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한 캠부(443a)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후에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대기 상태의 위치로 복귀하면, 가압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가압하여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가 된다. 또한, 가압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가압한 직후에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로부터 벗어나 제2 링크 레버(462)는 걸림부(462c)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수납된 상품(이하, 「제2 상품」이라고도 함)의 반출 지령이 제어부로부터 주어진 경우에는, 상품 불출 장치(2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모터(43)가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이 전달된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 기어(443)의 가압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는 가압된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면, 제2 링크 레버(462)는, 전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2 링크 레버(46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선단부(462b)가 상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단부(462b)가 상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에 접촉하고,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를 상측을 향하여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더구나 캠부(443a)가 기단부(462a)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페달 링크(35')를 소정 거리만큼 상측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링크 레버(462)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 상기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이 자체의 중심축(제2 링크축(42f)의 중심축)과 출력 기어(443)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조정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 핀은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페달 스토퍼 핀(34b')도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토퍼 핀이 상페달(29')의 오목부(292')의 가장자리벽에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페달(29')은,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진출 이동한다. 이 상페달(29')의 진출 이동은, 스토퍼 핀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스토퍼 핀이 소정의 상단부에 도달한 시점에서 스토퍼 접촉부(293')에 접촉하여 상페달(29')의 퇴행을 규제한다.
그리고, 진출 이동한 상페달(29')은, 최하위로부터 2번째의 제2 상품(이하, 다음 상품이라고도 함)에 접촉하여, 다음 상품이 하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진출 위치에 유지되는 하페달(28')에 접촉한 상품의 하중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 것에 의해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을 개시하면,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부로부터 빠지고, 상품의 자중에 의해 하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페달(28')이 퇴행 이동을 개시한다. 감입부로부터 빠진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제1 안내부를 따라,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가 교차하는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후, 최하위의 상품의 자중에 의해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고, 최하위의 상품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최하위의 상품은 하측으로 반출된다. 반출된 상품은, 상품 슈트(5)를 통하여 상품 반출구(3c)로 안내되고, 또한 상품 취출구(2a)를 통해 취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최하위의 상품이 하페달(28')을 빠져나가면,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진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회동 스토퍼(36')도 페달 조작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진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하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면,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부를 향하여 제2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고, 하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로 복귀한다.
그 후,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와 기단부(462a)의 접촉이 해제되면, 링크 스프링(35a')에 페달 링크(35')는 압박되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페달 링크(35')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 핀은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페달 스토퍼 핀(34b')도 하측으로 이동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이 소정의 하단으로 이동하면 진출 위치로 복귀한 회동 스토퍼(36')의 배면측의 패임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의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품 없음 대기 자세까지 복귀한다.
한편, 상페달(29')은, 상페달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어, 스토퍼 핀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퇴행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 상품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그 후 상기 다음 상품은 진출 이동한 하페달(28')에 접촉하여 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하페달(28')은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하여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구동 유닛(40)에서는, 출력 기어(443)의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을 따른 회전에 의해, 그 후에 캠부(443a)가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링크 레버(461)는, 걸림부(461c)가 우측 개구의 좌측 가장자리(471)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기단부(461a)가 걸림부(461c)에 근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걸림부(461c)는 탄성 변형하여,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한 캠부(443a)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후에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대기 상태의 위치로 복귀하면, 가압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가압하여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예컨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있어서 상품이 없어지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품절 링크(70)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결과, 제2 품절 링크(70)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품절 가압부(72)가 품절 검지 스위치(25)의 제2 접촉자(252)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품절 검지 스위치(25)에서는, 제2 접촉자(252)가 가압되어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고, 온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상품이 품절된 것으로서, 품절 램프 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품 불출 장치(20) 및 상품 반출 장치(20a, 20b)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가,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43)와, 반출 지령이 주어진 경우에 반출 지령에 따라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모터(43)로부터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유닛(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반출 기구의 수에 대하여 구동원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더구나,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모터(43)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짝수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전후로 늘어서도록 형성된 상품 수납 랙(10)뿐만 아니라, 홀수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전후로 늘어서도록 형성된 상품 수납 랙(10)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후로 인접되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품절 검지 스위치(25)가, 제1 품절 링크(30)와 제2 품절 링크(70)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제거할 때에, 제2 품절 링크(70)가 품절 검지 스위치의 제2 접촉자에 간섭할 우려가 없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제2 품절 링크(70)의 상단 부분에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근접함에 따라 점차 하측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 안내면(7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부착하는 경우에, 품절 검지 스위치(25)의 제2 접촉자(252)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품절 링크(70)의 상단 부분에 접촉하더라도, 경사 안내면(73)을 따라 제2 접촉자(252)를 전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제1 품절 검지부(25a)와 제2 품절 검지부(25b)를 일체적으로 하여 품절 검지 스위치(25)를 구성했기 때문에, 도 10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배선을 공통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선 개수의 삭감, 조립 편차의 저감 등을 행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 및 제조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구성하는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에 비스듬한 상측을 향하여 연장, 즉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를 향하여 연장된 후에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근접하면서 기준 위치로부터 이격되도록 점차 경사져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부착하는 경우에, 만일 제2 링크 레버(462)가 상측으로 요동한 자세에 있으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링크 레버(462)에 접촉하여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페달 링크(35, 35')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척의 판형 부재로서, 그 상부가 전방을 향하여 굴곡된 후에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도중에 굴곡 부위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예컨대 하페달(28, 28') 등에 상품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강한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굴곡 부위가 휨으로써 댐퍼 효과를 발휘하여 구동 유닛(40) 등에 충격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배선 커버(80)의 규제부(81)가 상기 배선 커버(80)에 진입하는 베어링부(24')의 하단부(241')가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즉,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같이 품절 검지 스위치(25)나 구동 유닛(40)을 탑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보다 경량이다. 그 때문에,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상품 반출 동작시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대하여 상하 이동하기 쉽다. 그 때문에, 베어링부(24')의 하단부(241')가 베이스(2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가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로부터 이탈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규제부(81)가, 하단부(241')가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함으로써, 상품 반출 동작시에, 제2 상품 반출 장치(20b)가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로부터 이탈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구동원인 모터(43)가 직류 모터이기 때문에, 지역 전압이나 주파수 변동에 영향을 잘 받지 않고, 여러가지 로케이션에서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의하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품절 검지 스위치(25)(제1 품절 검지부(25a) 및 제2 품절 검지부(25b))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전후로 인접되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만 전장부가 배설되는 점에서 하니스를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집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는, 제1 품절 검지부(25a)가, 하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 및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할 때에 상태 변화되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의 제1 상품의 유무를 검지하고, 제2 품절 검지부(25b)가, 하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 및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할 때에 상태 변화되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의 제2 상품의 유무를 검지하기 때문에, 상품 수납 통로(13)에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품의 판매 기회의 수를 상기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납 상품의 수와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의하면, 상품의 판매 기회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하페달(28, 28')에 상품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상기 상품의 용기가 파손 등에 의해 상품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상품 중량이 작아져 있을 때에는,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 이행하기 때문에, 상품으로서 형태를 이루고 있지 않은 상품을 판매할 우려가 없어, 판매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 의하면, 상페달(29, 29')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선단부가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베이스(21, 21')에 배설된 레버 부재(60, 60')가, 통상 상태에서는 레버 스프링(62)에 의해 압박되어 선단부가 상품 수납 통로(13)에 진출 이동하는 한편, 상품 수납 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레버 스프링(62)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품 수납 통로(13)로부터 퇴행 이동하기 때문에, 상품 수납 통로(13)를 통과한 상품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 의하면, 상페달(29, 29')보다 상측 영역에 형성된 개구의 근방에는 상품 수납 통로(13)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2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 수납 통로(13)를 통과한 상품이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 끝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서는, 회동 스토퍼(36, 36')가, 페달 스토퍼 핀(34b, 34b')의 상품 수납 통로(13)와는 반대측을 덮는 가림부(36c, 36c')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가림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행하면서 도난 방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 의하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난 방지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응하며,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응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의 상품 반출 장치가 다른쪽의 상품 수납 통로에 대응하며, 또한 다른쪽의 상품 반출 장치가 한쪽의 상품 수납 통로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1: 본체 캐비닛, 4: 상품 수용고, 10: 상품 수납 랙, 13: 상품 수납 통로, 20: 상품 불출 장치, 20a: 제1 상품 반출 장치, 20b: 제2 상품 반출 장치, 25: 품절 검지 스위치, 251: 제1 접촉자, 252: 제2 접촉자, 28: 하페달, 29: 상페달, 30: 제1 품절 링크, 35: 페달 링크, 36c: 가림부, 40: 구동 유닛, 50: 커버 플래퍼, 60: 레버 부재, 70: 제2 품절 링크, 73: 경사 안내면, 80: 배선 커버

Claims (3)

  1.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는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 하페달과,
    상기 하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 상페달과,
    상기 하페달과 상기 상페달을 연계하는 페달 링크에 결합되고, 상기 페달 링크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페달 스토퍼 핀과,
    상기 하페달에 선단부가 연계되어 상기 하페달과 함께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된 회동 스토퍼
    를 구비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페달 링크가 하방향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며, 또한 상기 회동 스토퍼가 상기 페달 스토퍼 핀에 의해 퇴행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품이 하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 링크가 상방향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하여 최하위로부터 2번째의 상품에 접촉하며, 또한 상기 회동 스토퍼가 상기 페달 스토퍼 핀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여 최하위의 상품을 하측을 향하여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 스토퍼는, 상기 페달 스토퍼 핀의 상기 상품 수납 통로와는 반대측을 덮는 가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의 근방에 상기 상품 수납 통로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페달은, 상기 대기 상태에 있어서, 상면에 최하위의 상품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제1 대기 자세가 되어 상기 상품이 하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대기 자세보다 상기 선단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대기 자세가 되고,
    상기 하페달이 상기 제1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하페달이 상기 제2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 또는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상품의 유무를 검지하는 품절 검지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KR1020167005678A 2014-01-10 2015-01-08 상품 반출 장치 KR102207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3753A JP6221755B2 (ja) 2014-01-10 2014-01-10 商品搬出装置
JPJP-P-2014-003753 2014-01-10
JPJP-P-2014-148245 2014-07-18
JP2014148245A JP6421482B2 (ja) 2014-07-18 2014-07-18 商品払出装置
JP2014148244A JP6484943B2 (ja) 2014-07-18 2014-07-18 商品払出装置
JPJP-P-2014-148244 2014-07-18
JP2014160314A JP6484952B2 (ja) 2014-08-06 2014-08-06 商品搬出装置
JPJP-P-2014-160314 2014-08-06
PCT/JP2015/050396 WO2015105156A1 (ja) 2014-01-10 2015-01-08 商品搬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385A true KR20160102385A (ko) 2016-08-30
KR102207594B1 KR102207594B1 (ko) 2021-01-26

Family

ID=5352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678A KR102207594B1 (ko) 2014-01-10 2015-01-08 상품 반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10993B2 (ko)
KR (1) KR102207594B1 (ko)
CN (1) CN105580056B (ko)
MY (1) MY184766A (ko)
SG (1) SG11201601334QA (ko)
WO (1) WO2015105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601334QA (en) * 2014-01-10 2016-03-30 Fuji Electric Co Ltd Product discharging device
SG11201601619VA (en) * 2014-01-10 2016-04-28 Fuji Electric Co Ltd Product discharging device
JP6221756B2 (ja) * 2014-01-10 2017-11-01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CN110246265B (zh) * 2015-02-27 2021-04-27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排出装置
CN104828452B (zh) * 2015-05-11 2017-03-22 江苏迅捷装具科技有限公司 立式储物配发装置及发药机
CN108682073B (zh) * 2018-07-10 2023-08-15 宜兴启明星物联技术有限公司 具有远程操作灯箱的智能柜
CN110264617A (zh) * 2019-05-07 2019-09-20 肖猛 仓储式货架、智能售货集成设备及其使用方法
US20220392295A1 (en) * 2020-10-14 2022-12-08 Barbara Coatney Medication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JP2022079279A (ja) * 2020-11-16 2022-05-26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0927A (ja) 2012-03-13 2013-09-26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863A (en) * 1978-06-05 1979-03-06 Eastman Kodak Company Article container for dispensing reagent slides
IT1169483B (it) * 1982-12-08 1987-05-27 Sanden Corp Meccanismo erogatore per macchine distributrici o simili
JPS59105198A (ja) * 1982-12-08 1984-06-18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S59229696A (ja) * 1983-06-10 1984-12-24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GB2162502B (en) * 1984-06-06 1987-12-16 Sanden Corp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GB2168964B (en) * 1984-12-28 1987-10-14 Sanden Corp Dispensing apparatus with timing control
JPS6327255Y2 (ko) * 1985-06-17 1988-07-22
JP2749917B2 (ja) * 1989-10-26 1998-05-13 松下電工株式会社 商品搬出装置
ES2066697B1 (es) * 1992-12-29 1995-08-16 Azkoyen Ind Sa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columnas expendedoras automaticas de productos.
JP3316291B2 (ja) * 1994-01-19 2002-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US5791516A (en) * 1995-10-03 1998-08-11 Fawn Engineer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items from a vending machine
US5799824A (en) * 1997-01-31 1998-09-01 Fawn Engineer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deter breakage or deformation of vertically stacked containers during dispension from a vending machine
JPH11283096A (ja) * 1998-03-30 1999-10-15 Sanden Corp 商品搬出装置
JP3719363B2 (ja) * 1999-11-26 2005-11-2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JP2001188953A (ja) * 1999-12-28 2001-07-1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2288732A (ja) * 2001-03-28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US6902084B2 (en) * 2002-06-26 2005-06-07 Barry B. Bauman Container dispenser
JP2004288070A (ja) * 2003-03-25 2004-10-14 Kubota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US7431176B2 (en) * 2005-06-17 2008-10-07 Barryco Technologies Inc. Dispensing machine to store and dispense elongated containers vertically
US7882980B1 (en) * 2008-07-15 2011-02-08 Terry Horn Sanitary lid dispenser
JP5672045B2 (ja) * 2011-02-16 2015-02-1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379830B2 (ja) * 2011-07-07 2013-12-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固定構造、光ファイバの固定方法
JP2013196049A (ja) * 2012-03-15 2013-09-3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CN103886685A (zh) * 2012-12-20 2014-06-25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货物掉落装置
SG11201600802RA (en) * 2014-01-10 2016-03-30 Fuji Electric Co Ltd Product discharging device
SG11201601334QA (en) * 2014-01-10 2016-03-30 Fuji Electric Co Ltd Product discharg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0927A (ja) 2012-03-13 2013-09-26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84766A (en) 2021-04-21
CN105580056B (zh) 2018-08-31
SG11201601334QA (en) 2016-03-30
WO2015105156A1 (ja) 2015-07-16
KR102207594B1 (ko) 2021-01-26
CN105580056A (zh) 2016-05-11
US9710993B2 (en) 2017-07-18
US20160180630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385A (ko) 상품 반출 장치
KR20160102382A (ko) 상품 반출 장치
KR102197784B1 (ko) 상품 불출 장치
KR20160102384A (ko) 상품 반출 장치
KR20160102383A (ko) 상품 불출 장치
JP2016024627A (ja) 商品払出装置
JP5332499B2 (ja) 商品搬出装置
JP6221755B2 (ja) 商品搬出装置
JP6835171B2 (ja) 商品払出装置
JP6295755B2 (ja) 商品払出装置
KR20170088852A (ko) 상품 불출 장치
WO2015105157A1 (ja) 商品搬出装置
JP2016110589A (ja) 商品払出装置
JP6484952B2 (ja) 商品搬出装置
JP2016038660A (ja) 商品搬出装置
JP2017126278A (ja) 商品搬出装置
JP6485115B2 (ja) 商品払出装置
JP6484943B2 (ja) 商品払出装置
JP6341297B2 (ja) 商品払出装置
JP6209970B2 (ja) 商品搬出装置
JP7435264B2 (ja) 商品払出装置
KR20170087891A (ko) 상품 불출 장치
JP6447241B2 (ja) 商品払出装置
JP2022079279A (ja) 商品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