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122A -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 Google Patents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122A
KR20170094122A KR1020177010360A KR20177010360A KR20170094122A KR 20170094122 A KR20170094122 A KR 20170094122A KR 1020177010360 A KR1020177010360 A KR 1020177010360A KR 20177010360 A KR20177010360 A KR 20177010360A KR 20170094122 A KR20170094122 A KR 20170094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bearing
housing
linear
bearing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154B1 (ko
Inventor
히로토 후쿠토메
시게키 신도
Original Assignee
히하이스트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하이스트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하이스트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과제) 특별히 숙달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을 직렬, 병렬 혹은 서로 교차한 배열로 배치 고정시킨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외통, 외통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각각 병렬, 직렬 혹은 서로 교차한 배열로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킨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Description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LINEAR MOTION BEARING COMPOSITE WITH HOUSING}
본 발명은,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직동 베어링을 서로 소정의 위치 관계로 배치한 상태로 하우징에 의해 복합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직동 베어링 (리니어 베어링) 은, 그 베어링에 삽입된 축체를 지지하고, 또한 축체의 축 방향으로 부여되는 구동력에 따라, 축체의 직선 방향 (즉, 축 방향) 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 부품으로서, 각종 기계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직동 베어링은 통상적으로, 외통, 외통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筒狀) 의 전동체 유지기,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에 유지된 복수 개의 구체 등의 전동체로 구성되어 있다. 축체는, 이 통상 전동체 유지기의 내측에 삽입되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의 내측면에 부분적으로 돌출된 전동체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문에, 축체에 축 방향의 구동력이 부여되면, 그 구동력에 따라 원활한 직선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직동 베어링의 각종 기계 장치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금속 재료제 혹은 수지 재료제의 통상 하우징을 배치한 구성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은 이미 알려져 있다.
도 1 의 (a) 와 (b) 는 각각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1 의 (a) 에 기입된 절단선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10) 의 단면도이다. 단, 도 1 의 (b) 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10) 에 축체 (21) 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 의 (b) 에서는, 도 1 의 (a) 에 나타내는 하우징 (15) 의 바닥부측 (나사공 (15c) 이 형성되어 있는 측) 이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나사공 (15c) 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 의 (a) 와 (b) 에 나타내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10) 은,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 (14), 및 직동 베어링 (14) 의 주위에 배치된 통상의 하우징 (15) 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15) 은, 금속 재료 혹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각종 기계 장치로의 삽입용 (장착용) 나사공 (15c)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서는, 축체의 축 방향의 이동 (즉, 직동) 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직동 베어링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통상적으로는, 직동 베어링을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형성된다.
즉, 도 1 의 (a) 와 (b) 에 나타내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10) 에서는, 하우징 (15) 으로부터 직동 베어링 (14) 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직동 베어링 (14) 의 축 방향의 양 외측에, 각각 고정 고리 (스냅 링) (16) 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고리 (16) 는, 하우징 (15) 의 내주면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된 둘레홈 (17) 에 끼워 맞춰져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도 1 의 (a) 와 (b) 에 나타내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서는, 그 하우징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각종 기계 장치로의 장착용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 문헌에는, 하우징으로부터 직동 베어링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우징과 직동 베어링을 접착, 압입, 혹은 고정 고리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33489호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이 기계 장치에 장착될 때에 1 개만이 단독으로 장착되는 경우도 있지만, 축체의 고정밀도의 직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2 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되는 경우도 많다. 즉, 직렬로 배치된 2 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의 각각에 축체를 삽입하여 직동시킴으로써, 축체의 고정밀도의 직동이 가능해진다. 혹은, 기계 장치에 2 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의 직동 베어링을 병렬로 배치하여 장착하고, 각각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축체를 평행하게 배치 삽입함으로써, 2 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의 축체를 서로 평행하게 직동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2 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을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하여, 각각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삽입된 축체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동시키는 경우도 있다.
복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을 직렬, 병렬 혹은 서로 교차한 배열로 배치하여, 그 위치 관계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는, 미리 기판을 준비하고, 그 기판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복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을 배치하고, 각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구비되어 있는 나사공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러나, 기판 상에 복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을 높은 정밀도의 위치 관계로 배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숙달된 기능 (技能) 을 필요로 하고, 또 그 배치 고정 작업도 번잡해진다. 이 때문에, 복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을 직렬, 병렬 혹은 서로 교차한 상태로 배치 고정시킨 기판을 다수 장 제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특별히 숙달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직동 베어링을 직렬, 병렬 혹은 서로 교차한 상태로 배치 고정시킨 직동 베어링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외통, 외통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각각 병렬, 직렬 혹은 서로 교차한 배열로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에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바람직한 양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1) 2 개 이상의 직동 베어링의 배치가 병렬 혹은 직렬이다.
(2)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직렬로 배치하여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 (列) 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과 1 개의 직동 베어링을 합쳐 2 열 이상이 되도록 조합하여 병렬로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키고 있다.
(3)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직렬로 배치하여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2 열 이상 조합하여 병렬로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키고 있다.
(4)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직렬로 배치하여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과 1 개의 직동 베어링을 서로 교차한 배열로 조합하여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키고 있다.
(5)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직렬로 배치하여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2 열 이상을 서로 교차한 배열로 조합하여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키고 있다.
(6) 각 직동 베어링을 금형 내에 배치하고, 이어서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를 수지 재료로 일체적으로 피복하고, 경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키고 있다.
(7) 각 직동 베어링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피복층이,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양 단면의 각각을 넘어 연장되고, 또한 각 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8) 피복층이,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양 단면의 적어도 외주측의 영역을 피복하고 있다.
(9) 각 직동 베어링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피복층의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는 표면 및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외주면 중 일방에 볼록부가 구비되고, 그리고 타방에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다.
(10)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외주면에 오목부가 구비되고, 그리고 당해 직동 베어링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피복층의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는 표면에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는, 미리 준비한 수지 재료의 주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그 금형 내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직동 베어링을 병렬, 직렬 혹은 서로 교차한 배열로 배치한 후, 이 금형 내에 액상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 혹은 열경화성 수지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직동 베어링의 주위를 수지 재료로 피복하고, 이어서 냉각 공정 혹은 경화 공정 등에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는, 특별히 숙달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에서는, 복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을 병렬, 직렬 혹은 서로 교차한 배열로 배치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위치 관계로 배치 고정시킨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가 된다.
도 1 은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절단선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단, 단면도에서는, 하우징 (15) 의 바닥부측 (나사공 (15c) 이 형성되어 있는 측) 은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나사공 (15c) 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병렬로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b) 는 각 직동 베어링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그리고 (c) 는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에 장착된 각각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는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b) 는 (a) 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에 장착된 각각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는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b) 는 (a) 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그리고 (b) 는 각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c) 는 직동 베어링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그리고 (b) 는 각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c) 는 직동 베어링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되고, 추가로 그 밖에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기판을 개재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에서는, 각 직동 베어링은, (a) 는 사시도, 그리고 (b) 는 일방의 세트의 직동 베어링열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c) 는 타방의 세트의 직동 베어링열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되고, 추가로 그 밖에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기판을 개재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다른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그리고 (b) 는 일방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c) 는 타방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다른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을 형성하고, 그 직동 베어링열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그리고 (b) 는 일방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c) 는 타방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의 대표적인 실시양태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병렬로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그리고 (b) 는 각 직동 베어링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c) 는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에서는,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이 서로 병렬 관계로 배치되고, 각각의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형성된 하우징 (35) 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도 2 의 구성에 있어서,「2 개의 직동 베어링이 병렬로 배치된」이란,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엄밀하게 평행한 관계를 가지고 배치된 구성뿐만 아니라,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대체로 평행한 관계를 가지고 배치된 구성도 포함한다.
도 2 에 있어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에 포함되는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사용되고 있는 직동 베어링, 즉,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예, 구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이어도 된다.
단,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에 포함되는 직동 베어링 (14) 의 외통 (11) 주위에 형성되는 하우징 (35) 의 구성은, 도 3 과 도 4 의 각각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 중 어느 것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의 (a) 와 (b) 는, 각각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에 있어서의 각 직동 베어링 (14) 과 그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35) 의 바람직한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그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3 의 (a) 는 도 1 의 (b) 와의 대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축 방향을 세로로 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 3 의 (a) 에 도시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는,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 (14), 및 직동 베어링 (14) 의 주위에 배치된 통상의 하우징 (35) 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되는 직동 베어링 (14) 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의 (a) 와 (b) 에 나타낸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10) 의 직동 베어링 (14) 의 구성과 실질적인 상이는 없다. 또한, 도 3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서도, 축체 (21) 의 축 방향의 이동 (즉, 직동) 에 의해 하우징 (35) 으로부터 직동 베어링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통상적으로는, 직동 베어링을 하우징 (35) 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형성된다. 즉, 도 1 의 (a) 와 (b) 에 나타내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과 동일하게, 하우징 (35) 으로부터 직동 베어링 (14) 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직동 베어링 (14) 의 축 방향의 양 외측에 각각 고정 고리 (스냅 링) (16) 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고리 (16) 는, 하우징 (35) 의 내주면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한 둘레홈에 끼워 맞춰져 있다.
도 3 의 (a) 에 도시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는, 하우징 (35) 이 수지 재료의 경화물로서, (b) 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35) 의 양 단부 (직동 베어링의 양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양 단부) 의 각각이, 외통 (11) 의 각 단면을 넘어 연장되고, 또한 각 단면의 외주측의 환상 (環狀) 의 영역 (외통의 각 단면의 일부분) 을 피복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외통의 단면의 일부분을 피복하고 있는 하우징의 일부분 (35a) 을「피복부」라고도 한다.
하우징 (35) 은, 금형 내에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액상의 수지 재료로부터 성형함으로써, 직동 베어링 (14) 의 주위에 간단하게 또한 직접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35) 의 내측면이 외통 (11) 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에서는, 하우징 (35) 의 피복부 (35a) 는, 외통 (11) 의 각 단면의 일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직동 베어링 (14) 의 외통 (11) 은, 하우징 (35) 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즉, 상기와 같이 하우징 (35) 을 형성할 때, 이것과 동시에 직동 베어링 (14) 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즉 하우징으로부터의 탈락 (빠짐) 을 방지하는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직동 베어링 (14) 과 하우징 (35) 을 별도로 준비한 고정 수단을 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번잡한 작업은 불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는, 그 제조가 용이하다.
도 4 의 (a) 와 (b) 는 각각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50) 에 있어서의 각 직동 베어링 (14) 과 그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55) 의 다른 바람직한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그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4 의 (a) 도, 도 1 의 (b) 와의 대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축 방향을 세로로 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 4 의 (a)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50) 도 또한, 외통 (51), 외통 (5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 (54), 및 직동 베어링 (54) 의 주위에 배치된 하우징 (55) 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러한 직동 베어링 (54) 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의 (a) 와 (b) 에 나타낸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10) 의 직동 베어링 (14) 의 구성과 실질적인 상이는 없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서도, 축체 (21) 의 축 방향의 이동 (즉, 직동) 에 의해 하우징 (55) 으로부터 직동 베어링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통상적으로는, 직동 베어링을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형성된다. 즉, 도 1 의 (a) 와 (b) 에 나타내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과 동일하게, 하우징 (55) 으로부터 직동 베어링 (54) 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직동 베어링 (54) 의 축 방향의 양 외측에 각각 고정 고리 (스냅 링) (16) 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고리 (16) 는, 하우징 (55) 의 내주면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한 둘레홈에 끼워 맞춰져 있다.
단,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50) 는,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 (51) 의 외주면에 오목부 (51a) 가 구비되고, 그리고 하우징 (55) 의 내주면에 볼록부 (55a) 가 구비되어 있다.
도 4 의 (a) 의 하우징 (55) 도 또한, 공지된 방법으로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직동 베어링 (54) 의 주위에 간단하게 또한 직접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 의 (a)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50) 에서는, 외통 (51) 의 오목부 (51a) 와 하우징 (55) 의 볼록부 (55a) 는 서로 걸어 맞춰져 있다. 이 때문에, 직동 베어링 (54) 의 외통 (51) 은, 하우징 (55) 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즉, 상기와 같이 하우징 (55) 을 형성할 때, 이것과 동시에 직동 베어링 (54) 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즉 하우징 (55) 으로부터의 탈락 (빠짐) 을 방지하는 수단이 형성된다. 따라서, 직동 베어링 (54) 과 하우징 (55) 을 별도로 준비한 고정 수단을 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번잡한 작업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다른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 의 (a) 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b) 와 (c) 는 각각 (a) 에 나타낸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와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60) 에서는,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이 서로 직렬 관계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도 5 에 있어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60) 에 포함되는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사용되고 있는 직동 베어링, 즉,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 (14) 이어도 된다.
단, 도 5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60) 에 포함되는 직동 베어링 (14) 의 외통 (11) 주위에 형성되는 하우징 (65) 은, 도 3 과 도 4 의 각각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 중 어느 것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다른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a) 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b) 와 (c) 는 각각 (a) 에 나타낸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와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70) 에서는, 직렬 관계로 배치 고정된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의 열이 2 열 서로 병렬 관계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도 6 에 나타낸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대신에,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과 1 개의 직동 베어링을 서로 병렬로 조합하여 배치해도 된다.
도 6 에 있어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70) 에 포함되는 4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사용되고 있는 직동 베어링, 즉,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 (14) 이어도 된다.
단, 도 6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70) 에 포함되는 직동 베어링 (14) 의 외통 (11) 주위에 형성되는 하우징 (75) 도 또한, 도 3 과 도 4 의 각각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 중 어느 것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다른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되고, 추가로 그 밖에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기판을 개재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 의 (a) 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b) 와 (c) 는 각각 (a) 에 나타낸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일방의 직동 베어링열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와 타방의 직동 베어링열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80) 에서는, 직렬 관계로 배치 고정된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의 열이 4 열 포함되고, 각각의 2 열이 동일하게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기판 (86) 상에 서로 대향하는 병렬 관계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도 7 에 있어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80) 에 포함되는 4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사용되고 있는 직동 베어링, 즉,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 (14) 이어도 된다.
단, 도 7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80) 에 포함되는 직동 베어링 (14) 의 외통 (11) 주위에 형성되는 하우징 (85) 도 또한, 도 3 과 도 4 의 각각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 중 어느 것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90) 에서는, 직렬 관계로 배치된 2 개의 직동 베어링의 열이 4 열 포함되고, 각각의 2 열이 서로 대향하는 병렬 관계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단, 도 8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90) 에서는, 서로 직렬 관계에 있는 직동 베어링의 각각이 하우징의 기판 (96) 을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결합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열 (91), 그리고 그 기판 상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열 (92) 로 구성되고, 전자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열, 그리고 후자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열, 동일하게 수지 재료제의 기판 (96) 상에 각각 대향하여 병렬되는 관계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도 8 에 있어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90) 를 구성하는 4 개의 직동 베어링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사용되고 있는 직동 베어링, 즉,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 (14) 이어도 된다.
단, 도 8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90) 에 포함되는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형성되는 하우징은, 도 3 과 도 4 의 각각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 중 어느 것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는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다른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서로 직교 (직각으로 교차) 하여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그리고 (b) 는 일방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c) 는 타방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100) 에서는,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이 서로 병렬 관계로 배치되고, 각각의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형성된 하우징 (105) 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도 9 에 있어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100) 에 포함되는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사용되고 있는 직동 베어링, 즉,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이어도 된다.
단, 도 9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100) 에 포함되는 직동 베어링 (14) 의 외통 주위에 형성되는 하우징 (105) 의 구성도, 도 3 과 도 4 의 각각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 중 어느 것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의 다른 구성예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을 형성하고, 그 직동 베어링열이 서로 직교 (직각으로 교차) 하여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그리고 (b) 는 일방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c) 는 타방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110) 에서는, 직렬 관계로 배치 고정된 2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의 열이 2 열, 서로 직교하여 하우징 (115) 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도 10 에 나타낸 2 개의 직동 베어링이 직렬로 배치된 직동 베어링열이 2 세트 서로 교차한 상태로 배치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대신에,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과 1 개의 직동 베어링을 서로 교차한 배열로 조합하여 배치해도 된다.
도 10 에 있어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110) 에 포함되는 4 개의 직동 베어링 (14) 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에 사용되고 있는 직동 베어링, 즉, 외통 (11), 외통 (11) 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 (13) 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이어도 된다.
단, 도 10 의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110) 에 포함되는 직동 베어링 (14) 의 외통 (11) 주위에 형성되는 하우징 (115) 도 또한, 도 3 과 도 4 의 각각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 중 어느 것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직렬, 병렬 혹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된 복수의 직동 베어링의 주위에 수지 재료 경화체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은, 공지된 수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지 재료로는, 열가소성 수지 재료, 혹은 각종 경화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PPS)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 파이버 등의 보강 재료를 함유하는 강화 열가소성 수지여도 된다.
하우징의 형성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사용하는 수지 재료에 적절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하우징의 형성 방법은, 사출 성형법 혹은 주형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형 내에서 복수의 직동 베어링을 소정의 위치 관계로 고정시킬 때, 예를 들어, 복수의 직동 베어링을 직렬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직동 베어링을 1 개의 축체의 주위에 배치하여 하우징을 형성하고, 이어서 축체를 빼내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3 에 나타낸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0) 와 같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양 단부로의 피복부를 갖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경우, 피복부는, 외통의 각 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피복하고 있으면 된다. 피복부는, 외통의 각 단면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만을 피복하고 있어도 되고, 외통의 각 단면의 직경 방향의 일부분만,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의 각 단면의 외주측의 환상의 영역을 피복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외통의 각 단면의 전부 (전체) 를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피복부는, 외통의 내주 가장자리부보다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되고, 또 직동 베어링의 내부에서의 축체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 축체의 둘레면에 근접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피복부를 갖는 하우징이 형성된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은, 예를 들어,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 (제조) 할 수 있다.
복수의 외통 (직동 베어링의 외통) 의 내주면을 차폐 부재로 덮은 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리고 그 외통의 주위에 금형을 배치하는 공정, 금형의 내부에 유동 상태로 한 수지 재료 (예를 들어, 가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 재료) 를 유입시켜 직동 베어링을 피복한 후,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외통의 주위에 하우징 (단, 이 하우징의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양 단부에 접하는 부분은, 외통의 각 단면을 넘어 연장되고, 또한 각 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을 형성하는 공정, 외통 및 하우징으로부터 금형 및 차폐 부재를 제거하는 공정, 그리고 외통의 내측에 복수 개의 전동체를 유지하고 있는 통상 전동체 유지기를 끼워 맞추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상기 도 4 에 나타낸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50) 에서는, 외통 (51) 의 외주면에 오목부 (51a) 가 구비되고, 그리고 하우징 (55) 의 내주면에 볼록부 (55a) 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외통의 외주면에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하우징의 내주면에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들 볼록부와 오목부 세트의 복수 세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단, 외통을, 예를 들어, 강으로 대표되는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외주면에 볼록부를 구비하는 외통보다 외주면에 오목부를 구비하는 외통 쪽이, 간단한 기계 가공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오목부에는, 외통 혹은 하우징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포함된다. 상기 홈은, 외통 혹은 하우징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둘레 방향의 전체에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상기 볼록부에는, 외통 혹은 하우징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상 돌기가 포함된다. 상기 선상 돌기는, 외통 혹은 하우징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둘레 방향의 전체에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통의 외주면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하우징의 내주면에 볼록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는, 예를 들어,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 (제조) 할 수 있다.
복수의 외주면에 오목부를 구비하는 외통 (직동 베어링의 외통) 의 내주면을 차폐 부재로 덮은 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리고 외통의 주위에 금형을 배치하는 공정, 금형의 내부에 유동 상태로 한 수지 재료 (예를 들어, 가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 재료) 를 유입시키고, 이어서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외통의 주위에 하우징 (단, 이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통의 오목부에 끼워 맞춰진 (외통의 오목부에 걸어 맞춰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을 형성하는 공정, 외통 및 하우징으로부터 금형 및 차폐 부재를 제거하는 공정, 그리고 외통의 내측에 복수 개의 전동체를 유지하고 있는 통상 전동체 유지기를 끼워 맞추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동일하게,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볼록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하우징의 내주면에 오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은, 예를 들어,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 (제조) 할 수 있다.
복수의 외주면에 볼록부를 구비하는 외통 (직동 베어링의 외통) 의 내주면을 차폐 부재로 덮은 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리고 외통의 주위에 금형을 배치하는 공정, 금형의 내부에 유동 상태로 한 수지 재료 (예를 들어, 가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 재료) 를 유입시키고, 이어서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외통의 주위에 하우징 (단, 이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통의 볼록부에 끼워 맞춰진 (외통의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는) 상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을 형성하는 공정, 외통 및 하우징으로부터 금형 및 차폐 부재를 제거하는 공정, 그리고 외통의 내측에 복수 개의 전동체를 유지하고 있는 통상 전동체 유지기를 끼워 맞추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하우징에 수용되는 직동 베어링으로는, 외통, 외통의 내측에 끼워 맞춰져 있는 통상 전동체 유지기,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를 포함하는 공지된 직동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공지된 직동 베어링으로는, 무한 순환형의 직동 베어링, 혹은 비무한 순환형의 직동 베어링이 알려져 있는데,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무한 순환형의 직동 베어링에서는, 통상 전동체 유지기에 전동체 순환홈을 형성하고, 이 전동체 순환홈에 복수 개의 전동체를 수용한다. 이로써, 축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전동체의 순환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지지하는 축체의 이동 거리에 제한이 없다.
비무한 순환형의 직동 베어링에서는, 통상 전동체 유지기의 벽체에, 각각 전동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 유지하는 복수 개의 투공 (透孔) 을 형성하고, 각 투공의 각각에 전동체를 수용한다. 이로써, 축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전동체가, 통상 전동체 유지기와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축체의 이동 거리는 통상적으로 축체의 이동시에 통상 전동체 유지기가 외통의 단부 개구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거리로 제한된다.
직동 베어링이 지지하는 축체의 예로는, 단면이 원형인 축체, 혹은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복수 개의 직선홈을 둘레면에 구비하는 축체 (스플라인축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를 들 수 있다. 축체로는, 중공의 축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외통은, 예를 들어, 강 (예, 스테인리스 스틸) 으로 대표되는 금속 재료 혹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또, 예를 들어,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이 수중 혹은 고온의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외통을 세라믹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통상 전동체 유지기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나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수지 재료의 예로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PPS)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수지를 들 수 있다.
통상 전동체 유지기는,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재료를 각종 성형법 (예, 사출 성형법, 압축 성형법, 혹은 주형법 등) 으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전동체는, 예를 들어, 강 (예, 스테인리스 스틸) 으로 대표되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지만, 수지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이 수중 혹은 고온의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동체를 세라믹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동체의 예로는, 구체 (볼) 및 롤러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이 원형인 기둥상체) 를 들 수 있다.
직동 베어링에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낸 직동 베어링 (1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통 (11) 으로부터의 통상 전동체 유지기 (12) 의 빠짐 (탈락) 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고리 (스냅 링) (16) 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외통으로부터의 통상 전동체 유지기의 빠짐 (탈락) 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고정 고리를 배치하는 방법 대신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10 :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11 : 외통
12 : 통상 전동체 유지기
13 : 전동체
14 : 직동 베어링
15 : 하우징
15c : 장착용 나사공
16 : 고정 고리
17 : 둘레홈
21 : 축체
30 :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5 : 하우징
35a : 피복부
50 :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51 : 외통
51a : 오목부
54 : 직동 베어링
55 : 하우징
55a : 볼록부
60, 70, 80, 90, 100, 110 :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65, 75, 85, 105, 115 : 하우징

Claims (11)

  1. 외통, 외통의 내측에 끼워 맞춰진 통상 전동체 유지기, 그리고 통상 전동체 유지기에 유지된 복수 개의 전동체를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각각 병렬, 직렬 혹은 서로 교차한 배열로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직동 베어링의 배치가 병렬 혹은 직렬인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직렬로 배치하여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 (列) 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과 1 개의 직동 베어링을 합쳐 2 열 이상이 되도록 조합하여 병렬로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직렬로 배치하여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2 열 이상 조합하여 병렬로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직렬로 배치하여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과 1 개의 직동 베어링을 서로 교차한 배열로 조합하여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직동 베어링을 2 개 이상 직렬로 배치하여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직동 베어링 복합체열을 2 열 이상을 서로 교차한 배열로 조합하여 배치한 후,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에 수지 재료제 피복층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직동 베어링을 금형 내에 배치하고, 이어서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 주위를 수지 재료로 일체적으로 피복하고, 경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이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에 각 직동 베어링을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직동 베어링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피복층이,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양 단면의 각각을 넘어 연장되고, 또한 각 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피복하고 있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피복층이,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양 단면의 적어도 외주측의 영역을 피복하고 있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 직동 베어링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피복층의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는 표면 및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외주면 중 일방에 볼록부가 구비되고, 그리고 타방에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외주면에 오목부가 구비되고, 그리고 당해 직동 베어링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피복층의 당해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는 표면에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KR1020177010360A 2014-12-15 2014-12-15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KR102217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3116 WO2016098154A1 (ja) 2014-12-15 2014-12-15 ハウジング付き直動軸受複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122A true KR20170094122A (ko) 2017-08-17
KR102217154B1 KR102217154B1 (ko) 2021-02-17

Family

ID=5612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360A KR102217154B1 (ko) 2014-12-15 2014-12-15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10557B2 (ko)
KR (1) KR102217154B1 (ko)
CN (1) CN107110206B (ko)
WO (1) WO201609815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3118A (ja) * 1988-09-30 1990-04-03 Copal Electron Co Ltd 直線運動機構
JPH0518415A (ja) * 1991-07-12 1993-01-26 Nippon Thompson Co Ltd 薄肉鋼板製xyテーブル
JP2005331048A (ja) * 2004-05-20 2005-12-02 Imv Corp 防振x−yテーブル
JP2010133489A (ja) 2008-12-04 2010-06-17 Hiihaisuto Seiko Kk 外面ねじ溝付き直動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55818A (ja) * 2012-01-31 2013-08-15 Hiihaisuto Seiko Kk ハウジング付き直動軸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25063U1 (de) * 1985-09-03 1985-10-17 Saxenhammer, Bernd, 5600 Wuppertal Linearführung
JPH0352419U (ko) * 1989-09-27 1991-05-21
JP3872003B2 (ja) * 2002-10-22 2007-01-24 竹内精工株式会社 ボールリニアガイド及びボールリニアガイ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3118A (ja) * 1988-09-30 1990-04-03 Copal Electron Co Ltd 直線運動機構
JPH0518415A (ja) * 1991-07-12 1993-01-26 Nippon Thompson Co Ltd 薄肉鋼板製xyテーブル
JP2005331048A (ja) * 2004-05-20 2005-12-02 Imv Corp 防振x−yテーブル
JP2010133489A (ja) 2008-12-04 2010-06-17 Hiihaisuto Seiko Kk 外面ねじ溝付き直動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55818A (ja) * 2012-01-31 2013-08-15 Hiihaisuto Seiko Kk ハウジング付き直動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10557B2 (ja) 2019-05-08
CN107110206A (zh) 2017-08-29
CN107110206B (zh) 2019-07-19
WO2016098154A1 (ja) 2016-06-23
JPWO2016098154A1 (ja) 2017-09-21
KR102217154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188B2 (en) Bearing apparatus
JP6254941B2 (ja) 外筒が三分割された直動軸受
CN106154478A (zh) 镜头模块
KR20140038556A (ko) 1 축 액추에이터
US9145917B2 (en) Cage for radial roller bearing
KR20170094122A (ko) 하우징이 형성된 직동 베어링 복합체
JP2015052391A (ja) 転動体を備えるフランジ付きラジアル軸受
JP2013155818A (ja) ハウジング付き直動軸受
JP4285286B2 (ja) 直動案内軸受装置
JP6312288B2 (ja) ハウジング付き直動軸受複合体
TWI619891B (zh) Direct-acting bearing composite with housing
KR102263558B1 (ko) 플랜지가 부착된 직동 베어링
JP2011132983A (ja) 保持器、および保持器付きころ
CN115451026A (zh) 轴承组件
US2007014401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ynamic pressure bearing member
JP2015206456A (ja) 転動装置
JP4773789B2 (ja) 成形用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16800B1 (ko) 볼 케이지
EP3869068B1 (en) Ball screw device
JP2020118259A (ja) アンギュラ玉軸受、及び、アンギュラ玉軸受用保持器
JP2004068861A (ja) 転がり軸受の製造方法及び転がり軸受
US20150267749A1 (en) Cage with parallel pockets for rolling bearing
EP3418024B1 (en) Bearing c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8469595B2 (en) Motion device and moving device
JP2007155036A (ja) リニア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