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380A -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 Google Patents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380A
KR20170090380A KR1020170093574A KR20170093574A KR20170090380A KR 20170090380 A KR20170090380 A KR 20170090380A KR 1020170093574 A KR1020170093574 A KR 1020170093574A KR 20170093574 A KR20170093574 A KR 20170093574A KR 20170090380 A KR20170090380 A KR 20170090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eparator
partition wall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피아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피아,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피아
Priority to KR102017009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380A/ko
Publication of KR2017009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온기를 발생시키는 가열기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내부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어 상기 보온부와 보냉부가 구획되도록 하는 보온분리대를 포함하며; 상기 보온분리대에는 식판슬릿이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온부의 일측벽에는 중앙격벽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중앙격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히트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히트홀은 상기 중앙격벽의 위치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Cold And Hot Food Serving Cart Enhanced Air Conditioning Capability}
본 발명은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선카 내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카는 학교, 식당, 호텔 병원 등에서 학생, 투숙객, 환자 등에게 배식용 식판을 다수로 적층하여 이동하며 배식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다수를 대상으로 배선카를 이용한 배식에서는 최종 대상에게 배식하는데 장시간 소요됨에 따라 음식의 온도유지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따라 배선카를 이용함에 있어서 더 나은 배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선카에서 배식용 음식물을 따듯한 음식과 차가운 음식으로 각각 알맞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배선카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9995호(공개일 2015년3월19일)에서는 일측에 도어와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며 내부로 식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몸체에 상기 식판 수용 공간의 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기 및 온기를 발생시키는 가열기가 설치되고, 상기 식판 수용 공간을 상온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는 보온부와 상온 이하의 온도로 유지하는 보냉부로 구획하는 구획 조립체가 구비된 보온 배선카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온 배선카(1)는 몸체(10), 설정부(20), 구획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내부로는 다수 개의 식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로는 동작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식판 수용 공간의 온도를 설정하는 설정부(20), 도어(60), 손잡이(70), 이동용 바퀴(40) 및 수납부(80)가 설치된다. 몸체(10)는 보온 배선카(1)의 식판 수용 정도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며 식판 수용 공간은 몸체(10) 내부공간에 격벽을 설치하여 분리된다. 그리고, 격벽으로 분리된 식판 수용 공간마다 도어(60)가 장착되며 몸체(10)는 통상 스테인레스의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격벽 또는 외벽에 외부와 단열되도록 단열재가 충진된다.
그리고 외부에 보온 배선카의 이동에 용이하도록 손잡이와 배식에 참조할 수 있는 배식명단 등의 관리장부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80)가 구비된다.
설정부(20)는 추후 설명할 보온부와 보냉부의 온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가열기와 냉각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온부와 보냉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의 계측 결과에 따라 가열기 및 냉각기를 가동시킨다.
구획 조립체(30)는 식판 수용 공간을 상온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는 보온부와 상온 이하의 온도로 유지하는 보냉부로 구획한다. 자세하게는 격벽을 통해 분리된 각각의 식판 수용 공간에 구획 조립체(30)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보온부와 보냉부로 구획하며 식판 수납실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구획 조립체(30)는 구획 조립체(30) 상부면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구획 조립체(3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31)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구획 조립체(30)의 하부면 중앙에 가이드 돌기(31)에 대응하는 가이드 요홈(32)이 형성되어 복수로 적층된 상기 구획 조립체(30)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구획 조립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에 따른 구획 조립체(30)는 상단 조립체(31)와 하단 조립체(33)가 결합되어 하나의 구획 조립체(30)를 이루는데 구획 조립체(30)를 복수로 적층하면 일정한 두께로 보온부와 보냉부를 구획하는 분리벽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 조립체(3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1)는 위쪽에 적층된 구획 조립체(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 요홈(32)에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단 조립체(31)는 식판 수용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하단 조립체(33)는 상단 조립체(31)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조다. 상단 조립체(31)의 양 끝단에는 요철(38)이, 하단 조립체(33)의 양 끝단에는 요철홈(39)가 형성된다.
상단 조립체(31)와 하단 조립체(33) 내부에는 하단 조립체(33)가 상단 조립체(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5)가 구비된다.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35)는 각각의 조립체 내부에 이탈 방지용 격벽(36)과 스프링 삽입 지주(37)에 삽입되어 상단 조립체(31)에 삽입된 하단 조립체(33)를 하부 방향으로 밀어낸다.
하지만 종래의 배선카는 온도조절 장치를 작동하였을 시 보온부의 온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식판이 수용된 위치에 따라 음식물의 온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5-0026599호(1995년10월16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히트홀이 위치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여 보온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음식물의 온도를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식판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온기를 발생시키는 가열기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내부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어 상기 보온부와 보냉부가 구획되도록 하는 보온분리대를 포함하며; 상기 보온분리대에는 식판슬릿이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온부의 일측벽에는 중앙격벽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중앙격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히트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히트홀은 상기 중앙격벽의 위치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보냉부의 일측벽에는 외벽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외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냉기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냉기홀은 상기 외벽의 위치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몸체에는 열전소자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열전소자유닛은 온기통과, 냉기통과, 상기 온기통과 냉기통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어 열기와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와, 상기 온기통 및 냉기통에서 발생된 온기와 냉기를 흡입하여 각각 보온부와 보냉부에 공급하는 복수의 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히트홀의 크기는 상기 중앙격벽의 하부로부터 상향 할수록 감소하다 중앙격벽의 상부에서 히트홀 중 일부가 다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중앙격벽 하부로부터 상향 할수록 히트홀의 크기가 감소하다가 다시 커지는 지점은 상기 중앙격벽의 상하 방향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냉기홀의 크기는 상기 외벽의 상부로부터 하향 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보온 배선카는 히트홀이 위치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여 보온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보온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음식물의 온도가 균등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배선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배선카 내부에 구비된 구획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배선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배선카의 내부공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보온 배선카의 중앙격벽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보온분리대를 이루는 하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하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보온분리대를 이루는 분리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분리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하부부재와 상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상부부재에 결합되는 씰링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씰링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배선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보온 배선카에 구비되는 열전소자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온 배선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배선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배선카의 내부공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보온 배선카의 중앙격벽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보온분리대를 이루는 하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하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보온분리대를 이루는 분리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분리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하부부재와 분리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분리대부재에 결합되는 씰링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씰링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배선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보온 배선카에 구비되는 열전소자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의“가로 방향”을“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몸체(110)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외벽(113)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외측”, 외벽(113)으로부터 몸체(110)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내측”으로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폭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100)는 몸체(110)와, 가열기(H)와, 냉각기(C)와, 보온분리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박스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몸체(110)는 식판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11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이 외부로부터 밀폐 되도록 도어(117)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17)에는 도어(117)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부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17a)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117)는 보온부(111b)와 보냉부(111a)를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폭 방향 일측 당 4개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10)는 하부에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구동휠(118)이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휠(118)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몸체(110)는 하부에 상기 구동휠(118)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보조휠(119)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휠(119)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몸체(110) 내부공간(111)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온도조절 다이얼(143)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110) 외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구동조절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조절부(130)는 일측에 전원스위치(13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조절부(130)는 폭 방향 양측에 조작핸들(136)이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구동조절부(13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상기 조작핸들(136) 중 어느 하나에는 가속레버(133)가 구비된다. 상기 가속레버(133)는 상기 조작핸들(136)의 폭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분할되어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속레버(133)로부터 이웃한 위치에는 전후진 버튼(135)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조절부(130)는 일측에 최대속도조절 다이얼(137)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조절부(130)에는 디스플레이(139)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조절부(130) 하부에는 온도조절 전원스위치(1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온도조절 전원스위치(141)를 켠후 상기 내부공간(111)의 일측에 구비된 온도조절 다이얼(143)을 조작하여 내부공간(111)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속레버(133)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속레버(133)는 사용자에 의하여 비례제어 되어 배선카가 전진 또는 후진 하도록 한다. 상기 가속레버(133)는 사용자가 보온 배선카의 방향 유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핸들(136)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조작핸들(136)은 사용자가 보온 배선카의 방향 유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진 버튼(135)을 연속적으로 작동하여 사용자가 배선카의 진행 방향을“전진”또는“후진”으로 선택 할 수 있다.
상기 최대속도조절 다이얼(137)은 보온 배선카가 구동될 시의 최대 속도를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39)에는 배선카의 전후진 방향 및 후방 카메라를 통한 후방시야가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39)에는 추가적으로 보온 배선카의 최대 속도 정보 및 내부공간(111)의 온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11)은 폭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111)은 길이 방향 중심에 중앙격벽(112)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111)에는 상단부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설치부재(114)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111) 상부와 설치부재(114)의 상하 방향 사이에는 가열기(H)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111) 상부와 설치부재(114)의 상하 방향 사이에는 냉각기(C)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111) 상부와 설치부재(114)의 상하 방향 사이에는 팬(F)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111)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 내향 이격되어 외벽(113)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111)의 외벽(113)과 중앙격벽(112)의 길이 방향 사이에는 보온분리대(120)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14)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14)는 길이 방향 중심부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온기홀(114b)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외벽(11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외벽(113)에는 걸림턱(1133)이 길이 방향 양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1133)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외벽(113)의 내부에는 냉선(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벽(113)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냉기홀(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홀(113a)의 크기는 상기 외벽(113)의 상부로부터 하향 할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에 비교적 많은 양의 냉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보냉부(111a)의 온도가 상하 높이 관계없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격벽(11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중앙격벽(112)은 2열로 식판(2)이 수용되도록 상기 내부공간(111)을 구획한다. 상기 중앙격벽(112) 폭 방향 중심부에 중앙분리대(1123)가 구비된다. 상기 중앙격벽(112)에는 걸림턱(1121)이 길이 방향 양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중앙격벽(112) 내부에는 상기 가열기(H)와 연결된 열선(L)이 구비된다. 상기 중앙격벽(112) 내부의 상부에는 온도유지를 위한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중앙격벽(11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히트홀(112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히트홀(112a)의 크기는 상기 중앙격벽(112)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의 일 실시예로 히트홀(112a)의 크기는 중앙격벽(112)의 하부로부터 상향하면서 감소하다가 상기 중앙격벽(112)의 상부로부터 두번째 중앙걸림턱(1121)이 위치한 높이에서 다시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분리대(112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중앙분리대(1123)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분리대홀(1123a)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대(1123)는 식판이 폭 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대홀(1123a)은 상기 분리대(112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대홀(1123a)은 상기 중앙분리대(1123)의 폭 방향 외측면에 식판을 향하여 온기가 배출되도록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히트홀(112a)과 분리대홀(1123a)은 하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격벽(112) 내부의 상부열이 배출되지 못하여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내부 온도가 고온으로 측정되어 열선 작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온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보온부(111b)의 상하 높이에 관계없이 균일한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중앙걸림턱(1121)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중앙걸림턱(1121)은 상기 걸림턱(1133)과 같은 높이로 구비되다. 따라서, 식판(2)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각각 걸림턱(1133)과 중앙걸림턱(1121)에 걸리어 지지된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분리대(120)는 복수의 분리대부재(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온분리대(120)는 상기 분리대부재(123)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온분리대(120)는 상기 내부공간(111)을 보냉부(111a)와 보온부(111b)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대부재(123)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분리대부재(123)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분리대부재(123)는 하면에 폭 방향 중심부에 결합홈(123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분리대부재(123) 상면에는 폭 방향 중심부에 상부결합돌기(1233)가 상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분리대부재(123)는 폭 방향 중심에 나사홀(123a)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대부재(123)는 폭 방향 양측에 상부플랜지(1231)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대부재(123)는 분리대부재(123)의 폭 방향 양측에 씰링홈(1235)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씰링홈(1235)에는 상기 씰링홈(1235)의 폭 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씰링홈턱(1235a)이 형성된다. 상기 씰링홈턱(1235a)은 상하 방향 내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씰링홈(1235)에 의하여 씰링부재(125)가 상기 분리대부재(123)에 결합된다.
상기 씰링부재(125)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125)는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125)는 상기 씰링부재(125)의 폭 방향으로 고정돌기(1251)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125)는 하부에 씰립(1253)이 하향 연장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125)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 재질의 예로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251)에는 상기 씰링부재(125)의 폭 방향으로부터 이격되어 돌기턱(125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251)의 상하 방향 단부 사이에는 돌기홈(1251b)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턱(1251a)은 상하 방향 외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1251b)은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251)가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1251)는 상기 씰링홈(1235)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돌기턱(1251a)이 상기 씰링홈턱(1235a)에 걸리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돌기홈(1251b)에 의하여 상기 고정돌기(1251)가 씰링홈(1235)에 결합될 시 고정돌기(1251)가 상하 방향으로 압착되어 씰링홈(1235)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한편, 하부에 위치하는 분리대부재(123)의 상부결합돌기(1233)가 상부에 위치하는 분리대부재(123)의 결합홈(123b)에 결합되어 복수의 분리대부재(123)가 상하로 적층되어 상기 보온분리대(12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결합돌기(1233)의 돌출 높이는 상기 결합홈(123b)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로 적층된 분리대부재(123)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 식판슬릿(120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씰링부재(125)가 결합된 상기 분리대부재(123)가 상하 방향으로 척층 되었을 시, 상기 분리대부재(123)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씰립(1253)의 길이는 상기 2개의 분리대부재(123)에 의하여 형성된 식판슬릿(120a)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씰립(1253)의 하부로 구비된 분리대부재(123)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씰립(1253)은 상향 가압되어 길이 방향 외측으로 변형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하부에 구비된 분리대부재(123)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온분리대(120)에 의하여 구획된 보냉부(111a)와 보온부(111b) 사이의 공기 유동이 상기 씰링부재(125)의 씰립(1253)에 의하여 차단되어 단열 효과가 상승된다. 또한 상기 식판슬릿(120a)에 식판(2)이 수용되었을 시, 식판(2)의 상면으로 상기 씰립(1253)이 변형되어 상기 식판(2)을 하향 가압하게 됨으로써 식판(2)의 지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발생한다.
상기 상하로 적층된 분리대부재(123)의 폭 방향 중심부에는 지지대(12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6)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6)는 수용된 식판이 폭 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분리대(120)에는 하부부재(121)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12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부재(121)는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하부부재(121)는 상기 보온분리대(125)의 최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부재(121)는 상면의 폭 방향 중심부에 하부결합돌기(1213)가 상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합부부재(121)는 폭 방향 중심에 나사홀(121a)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홀(121a)에는 상기 지지대(126)와 하부부재(121)가 결합되기 위하여 나사가 삽입 체결된다.
상기 하부부재(121)는 상기 하부부재(121)의 하부결합돌기(1213)가 상부에 위치한 분리대부재(123)의 결합홈(123b)에 결합되어 상하로 적층 구비된다.
상기 하부결합돌기(1213)의 돌출 높이는 상기 결합홈(123b)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로 적층된 하부부재(121)와 분리대부재(123) 사이에 상기 식판슬릿(120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121)는 상기 분리대부재(123)를 내부공간(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부재(121)의 상부로 적층되는 분리대부재(123)와 상기 분리대부재(123)에 결합된 씰링부재(125)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음으로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100)는 다른 실시예로 열전소자유닛(150)에 의하여 보온 및 보냉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유닛(150)은 상기 설치부재(114)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열전소자유닛(150)은 온기통(151)과, 냉기통(155)과, 상기 온기통(151)과 냉기통(155)의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소자(152)와, 상기 온기통(151) 및 냉기통(155)에서 발생된 온기와 냉기를 흡입하여 각각 보온부(111b)와 보냉부(111a)에 공급하는 복수의 팬(F)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재(114)는 상기 내부공간(111)의 상단부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14)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14)는 길이 방향 중심부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온기홀(114b)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온기홀(114b)은 상기 보온부(111b)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재(114)는 길이 방향 양 단부로부터 내향 이격되어 냉기유동홀(114a)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유동홀(114a)은 상기 보냉부(111a)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온기통(151)은 상기 설치부재(114)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온기통(151)은 중공의 관체로 구비된다. 상기 온기통(151)은 길이 방향 일측에 온기파이프(153)의 일단이 연결 구비된다.
상기 온기파이프(153)는 상기 설치부재(114)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온기파이프(153)는 중공의 관체로 구비된다. 상기 온기파이프(153)는 상기 온기통(151)으로부터 발생되는 온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온기파이프(153)의 하단에는 팬(F)이 연결 구비된다. 상기 팬(F)은 상기 온기파이프(153)를 통하여 배출되는 온기를 흡입하여 상기 보온부(111b)로 공급한다. 상기 온기를 공급하는 팬(F)은 상기 온기홀(114b)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냉기통(155)은 상기 설치부재(114)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냉기통(155)은 중공의 관체로 구비된다. 상기 냉기통(155)은 길이 방향 일측에 냉기파이프(157)의 일단이 연결 구비된다.
상기 냉기파이프(157)는 상기 설치부재(114)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냉기파이프(157)는 중공의 관체로 구비된다. 상기 냉기파이프(157)는 상기 냉기통(155)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냉기파이프(157)의 하단에는 팬(F)이 연결 구비된다. 상기 팬(F)은 상기 냉기파이프(157)를 통하여 배출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보냉부(111a)로 공급한다. 상기 냉기를 공급하는 팬(F)은 상기 냉기유동홀(114a)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냉기는 상기 외벽(113)의 내부를 통하여 유동되어, 상기 냉기홀(113a)을 통하여 보냉부(111a)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52)는 상기 온기통(151)과 냉기통(155)의 사이에 접촉 구비된다. 상기 열전소자(152)는 전선(152a)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 받는다. 상기 열전소자(152)는 전기를 공급 받을시 일측에서는 열이 발생되고 타측에서는 온도가 낮아진다. 상기 열전소자(152)의 열이 발생되는 부분은 상기 온기통(151)에 접촉 구비된다. 상기 열전소자(152)의 온도가 하강하는 부분은 상기 냉기통(155)에 접촉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열이 발생되는 부분에 접촉된 온기통(151) 내부의 공기 온도는 상승하여 온기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온도가 하강하는 부분에 접촉된 냉기통(155) 내부의 공기 온도는 하강하여 냉기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보온 배선카는 상기 열전소자유닛(150)과 함께 가열기(H)와 상기 가열기(H)에 연결 구비된 열선(L)이 더 포함 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100)는 내부공간(111)의 보온부(111b)와 보냉부(111a)를 구획하는 보온분리대(120)에 형성된 식판슬릿(120a)에 씰링부재(125)가 구비되어 단열성능이 증대되어 보냉 및 보온 기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식판(2)의 고정성이 향상되고, 온기가 공급 되도록 중앙격벽(112)에 형성된 히트홀(112a)은 그 크기가 상기 중앙격벽(112)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보온부(111b)의 상,하부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배선카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110: 본체 111: 내부공간
120: 보온분리대 125: 씰링부재
130: 구동조절부 141: 온도조절 전원스위치
143: 온도조절 다이얼 150: 열전소자유닛

Claims (3)

  1. 식판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111)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구비되어 온기를 발생시키는 가열기(H)와, 상기 몸체(110)에 구비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기(C)와, 상기 내부공간(111)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어 보온부(111b)와 보냉부(111a)가 구획되도록 하는 보온분리대(120)를 포함하고; 상기 보온분리대(120)에는 식판슬릿(120a)이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온부(111b)의 일측벽에는 중앙격벽(112)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중앙격벽(11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히트홀(112a) 관통 형성되며;
    상기 히트홀(112a)의 크기는 상기 중앙격벽(112)의 하부로부터 상향 할수록 감소하다 중앙격벽(112)의 상부에서 히트홀(112a) 중 일부가 다시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보냉부(111a)의 일측벽에는 외벽(113)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외벽(113)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냉기홀(113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냉기홀(113a)의 크기는 상기 외벽(113)의 상부로부터 하향 할수록 감소하며;
    상기 중앙격벽(112) 폭 방향 중심부에 중앙분리대(1123)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중앙분리대(1123)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분리대홀(1123a)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대홀(1123a)의 크기는 상기 중앙분리대(112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대홀(1123a)은 상기 중앙분리대(1123)의 폭 방향 외측면에 식판을 향하여 온기가 배출되도록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에는 열전소자유닛(150)이 구비되고; 상기 열전소자유닛(150)은 온기통(151)과, 냉기통(155)과, 상기 온기통(151)과 냉기통(155)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어 열기와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152)와, 상기 온기통(151) 및 냉기통(155)에서 발생된 온기와 냉기를 흡입하여 각각 보온부(111b)와 보냉부(111a)에 공급하는 복수의 팬(F)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격벽(112) 하부로부터 상향 할수록 히트홀(112a)의 크기가 감소하다가 다시 커지는 지점은 상기 중앙격벽(112)의 상하 방향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KR1020170093574A 2017-07-24 2017-07-24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KR20170090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74A KR20170090380A (ko) 2017-07-24 2017-07-24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74A KR20170090380A (ko) 2017-07-24 2017-07-24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899A Division KR101773909B1 (ko) 2015-11-11 2015-11-11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80A true KR20170090380A (ko) 2017-08-07

Family

ID=5965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574A KR20170090380A (ko) 2017-07-24 2017-07-24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3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63B1 (ko) * 2021-11-08 2022-03-17 이용호 최적 온도로 음식이 배달되도록 하는 딜리버리 박스
KR102375594B1 (ko) * 2021-11-08 2022-03-18 이용호 배달자에게 음식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딜리버리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63B1 (ko) * 2021-11-08 2022-03-17 이용호 최적 온도로 음식이 배달되도록 하는 딜리버리 박스
KR102375594B1 (ko) * 2021-11-08 2022-03-18 이용호 배달자에게 음식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딜리버리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38888B2 (en) A refrigeration cabinet
US4638644A (en) Circulating air refrigerator with removable divider shelf
US4304101A (en) Circulating air refrigerator with removable divider shelf
EP1873468A2 (en) Refrigerator cabinet
JP4169471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20110028037A (ko) 배달용 용기함
KR20170090380A (ko)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US9573217B2 (en) Thermal control system for a hybrid welder
KR101773909B1 (ko) 공조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KR101747655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온 배선카
JP2008025920A (ja) 温冷蔵庫
KR20110033072A (ko) 수납장치
JP3617702B2 (ja) 冷蔵庫における冷気供給構造
JP4705787B2 (ja) 温蔵庫
ITMI20000784A1 (it) Impianto per il mantenimento a bassa temperatura di un ambiente isotermico
JP6068869B2 (ja) 冷温蔵装置の仕切壁構造
JP4102619B2 (ja) 温蔵庫
CN218033918U (zh) 一种冰箱
JP4267882B2 (ja) 温蔵装置
JP2001299466A (ja) 配膳車の温度調整風供給装置
KR20150029995A (ko) 보온 배선카
JP4166125B2 (ja) 貯蔵庫
JP2548428Y2 (ja) 食品トレー収納庫
JP2022047146A (ja) 冷蔵庫
JP4401824B2 (ja) 配膳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